KR20200107454A - 토너 카트리지의 파지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구조 - Google Patents

토너 카트리지의 파지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454A
KR20200107454A KR1020190026609A KR20190026609A KR20200107454A KR 20200107454 A KR20200107454 A KR 20200107454A KR 1020190026609 A KR1020190026609 A KR 1020190026609A KR 20190026609 A KR20190026609 A KR 20190026609A KR 20200107454 A KR20200107454 A KR 20200107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toner cartridge
closing member
front cove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삼
김진홍
양성웅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90026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7454A/ko
Priority to US17/263,628 priority patent/US11199791B2/en
Priority to PCT/US2019/043452 priority patent/WO2020185249A1/en
Priority to CN201980055219.2A priority patent/CN112602023B/zh
Priority to EP19919191.7A priority patent/EP3803514B1/en
Publication of KR20200107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46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using a handle for carrying or pulling out of the main machine, legs of ca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4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46Process cartridge using a handle for carrying or pulling out of the main mach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개시된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가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전방으로 당기기 위한 파지부를 형성하는 제1개구가 마련된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개구를 막는 제1위치와 상기 제1개구를 개방하는 제2위치로 전환되는 개폐 부재; 상기 개폐 부재에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토너 카트리지의 파지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구조{Structure to selectively expose grip portion of toner cartridge}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매체를 거쳐 또는 직접 인쇄 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킨다.
토너는 현상제로서, 소모품이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에는 현상제를 보충할 수 있는 구조가 채용된다. 예를 들어, 현상제는 토너 카트리지에 수용될 수 있으며, 토너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로부터 장착/탈거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의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가 모두 소모되면, 토너 카트리지는 본체로부터 탈거되며,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토너 카트리지의 착탈 모습을 보여주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로서, 개폐 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로서, 개폐 부재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6과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토너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하는 동작에 의하여 개폐 부재를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전환시키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들로서, 도 6은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에 도달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며, 도 7은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에 도달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토너 카트리지를 본체(1)로부터 탈거할 때에 개폐 부재가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토너 카트리지가 돌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9와 도 10은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들로서, 도 9는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며, 도 10은 토너 카트리지가 돌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1과 도 12는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들로서, 도 11은 토너 카트리지가 장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며, 도 12는 토너 카트리지가 돌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와, 본체(1)에 착탈되는 토너 카트리지(20)를 구비한다. 토너 카트리지(20)는 '토너 카트리지'로 지칭되기도 한다. 화상형성장치 본체(1)는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인쇄부(2)는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화상을 인쇄한다. 인쇄부(2)는 현상기(10), 노광기(50), 전사기, 정착기(80)를 구비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제가 수용된 토너 카트리지(20)를 구비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는 인쇄부(2)로 공급될 현상제를 수용한다. 토너 카트리지(20)는 본체(1)에 장착되어 현상기(10)와 연결되며, 토너 카트리지(20)에 수용된 현상제는 현상기(10)로 공급된다. 토너 카트리지(20)는 예를 들어, 공급 관로(40)를 통하여 현상기(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토너 카트리지(20)와 현상기(10) 사이에 현상제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공급 유닛이 개재될 수도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토너 카트리지(20)은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를 공급 관로(40) 쪽으로 운반하는 운반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운반 부재는 토너 카트리지(20)가 본체(1)에 장착되면 본체(1)에 마련된 구동 모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현상기(10)는 토너를 감광드럼(14)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공급하여 정전 잠상을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기(10)는,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14)과, 토너를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롤러(13)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드럼(14)은 감광체의 일 예로서, 도전성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15)는 감광드럼(14)이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15) 대신에 대전 브러쉬, 코로나 대전기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10)는 대전롤러(15)에 부착된 현상제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대전롤러 클리너(미도시), 후술하는 전사과정 후에 감광드럼(14) 표면에 잔류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17), 감광드럼(14)와 현상롤러(13)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미도시)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리닝 부재(17)는 예를 들어 감광드럼(14)의 표면에 접촉되어 현상제를 긁어내는 클리닝 블레이드일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리닝 부재(17)는 회전되면서 감광드럼(14)의 표면에 접촉되어 현상제를 긁어내는 클리닝 브러쉬일 수도 있다.
현상제로서 토너를 사용하는 일성분 현상방식은 현상롤러(13)와 감광드럼(14)이 서로 접촉되어 회전되는 접촉 현상방식과 현상롤러(13)와 감광드럼(14)이 서로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 이격되게 위치되어 회전되는 비접촉 현상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현상제로서 토너와 캐리어를 사용하는 이성분 현상방식의 경우, 현상롤러(13)는 감광드럼(14)으로부터 수십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 이격되게 위치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롤러(13)는 회전되는 중공 원통형 슬리브와, 슬리브 내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자기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토너는 자성 캐리어의 표면에 부착된다. 자성 캐리어는 현상롤러(13)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드럼(14)과 현상롤러(13)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운반된다. 현상롤러(13)와 감광드럼(14) 사이에 인가되는 현상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토너만이 감광드럼(14)으로 공급되어 감광드럼(14)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성분 현상 방식이 채용된다. 현상기(10)의 내부는 격벽(11)에 의하여 교반실(10a)과 현상실(10b)로 구분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는 예를 들어 교반실(10a)로 유입될 수 있다. 교반기(12a)는 교반실(10a) 내부의 현상제를 축방향으로 운반한다. 교반기(12b)는 현상실(10b) 내부의 현상제를 교반기(12a)의 운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운반한다. 한 쌍의 교반기(12a)(12b)는 예를 들어 오거(auger)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격벽(11)의 축방향의 양측에는 교반실(10a)과 현상실(10b)를 서로 연통시키는 개구가 각각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현상제는 한 쌍의 교반기(12a)(12b)에 의하여 교반실(10a)(10b) 내부에서 순환된다. 교반기(12a)(12b)에 의하여 운반되는 동안에 토너는 캐리어와의 마찰에 의하여 대전된다. 현상롤러(13)는 현상실(10b) 내부의 토너를 감광드럼(14)으로 공급하여 감광드럼(14)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다.
일성분 현상 방식의 경우, 토너 카트리지(20)에는 현상제로서 토너가 수용된다. 이성분 현상 방식의 경우, 토너 카트리지(20)에 토너가 수용될 수 있으며, 토너와 캐리어가 수용될 수도 있다. 트리클 현상방식이 채용되는 경우, 토너 카트리지(20)에는 토너와 캐리어가 수용될 수 있다.
노광기(50)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14)에 조사하여 감광드럼(14)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기(50)의 예로서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ED노광기 등이 있다.
전사기는 감광드럼(14)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P)에 전사시킨다. 전사기는 전사롤러(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사롤러(70)는 감광드럼(14)과 대면되게 위치된다. 전사롤러(70)에는 감광드럼(14)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인쇄 매체(P)로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정착기(80)는 인쇄 매체(P)로 전사된 토너화상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인쇄 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기(8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노광기(50)는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정보에 대응하여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14)에 주사하여 감광드럼(14)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토너 카트리지(20)로부터 현상기(10)로 공급된 현상제에 의하여 감광드럼(14)의 정전잠상이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된다. 급지수단(90)에 적재된 인쇄 매체(P)는 급지경로(91)를 따라 이송되어 전사롤러(70)와 감광드럼(14) 사이로 이송된다. 전사롤러(70)에 인가되는 전사 바이어스 전압에 의하여 감광드럼(14) 상의 토너화상은 인쇄 매체(P)로 전사된다. 인쇄 매체(P)가 정착기(80)를 통과하면, 토너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인쇄 매체(P)에 고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인쇄 매체(P)는 배출롤러(92)에 의하여 배출된다.
토너 카트리지(20)는 본체(1)에 착탈가능하다. 토너 카트리지(20)의 내부에 수용된 현상제가 모두 소모되면, 토너 카트리지(20)는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20)로 교체될 수 있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 본체(1)에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되는 장착부(3)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7)는 토너 카트리지(20)를 본체(1)에/로부터 장착/탈거하기 위하여 본체(1)의 일부를 개폐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7)가 개방위치에 위치되면 장착부(3)가 노출되며, 장착부(3)에 토너 카트리지(20)를 장착 방향(A)으로 슬라이딩시켜 장착할 수 있다. 장착이 완료되면 토너 카트리지(20)는 장착 위치(3a)에 도달된다.
본체(1)로부터 토너 카트리지(20)를 탈거하는 과정은 토너 카트리지(20)가 부분적으로 장착부(3)로부터 약간 빠져나온 돌출 위치(3b)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는 후술하는 탈거 기구(도 7: 6)에 의하여 장착 위치(3a)로부터 탈거 방향(B)으로 약간 이동된 돌출 위치(3b)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거 기구(6)가 장착 위치(3a)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0)를 밀어 장착 위치(3a)로부터 돌출 위치(3b)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0)를 탈거 방향(B)으로 당겨서 본체(1)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의 도어(7)와 대향된 부분, 예를 들어 전면부(21)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토너 카트리지(20)를 탈거 방향(B)으로 당길 수 있을 정도로 오목한 형상이나 볼록한 형상이 없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위치(3a)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토너 카트리지(20)를 탈거할 수 없다.
토너 카트리지(20)를 장착부(3)로부터 탈거하기 위하여는 토너 카트리지(20)를 돌출 위치(3b)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0) 내부의 현상제 잔량이 교체 기준 잔량에 도달되면, 도시되지 않은 출력장치,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버저, 점등장치 등을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0)를 교체하도록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교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교체 신호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영상 신호, 버저를 통한 소리 신호, 점등장치를 통한 광신호 등일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 패널을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0)의 교체를 요청하는 조작을 입력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20)의 교체를 위한 사용자의 조작 절차를 안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안내에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0)를 교체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의 임의적인 교체를 방지하기 위하여, 조작 절차는 암호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0)를 돌출 위치(3b)까지 탈거 방향(B)으로 밀어내도록 탈거 기구(6)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러면, 토너 카트리지(20)는 도어(7)와 대향된 전면부(21)가 장착부(3)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탈거 가능한 상태가 된다. 장착 위치(3a)에서 토너 카트리지(20)는 사용자가 임의로 탈거하지 못하도록 본체(1)에 로킹될 수도 있다. 전술한 탈거 기구(6)에 의하여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위치(3a)에서 돌출 위치(3b)로 이동됨에 따라 토너 카트리지(20)의 본체(1)에의 로킹이 해제될 수도 있다.
돌출 위치(3b)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0)를 탈거 방향(B)으로 당겨서 장착부(3)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20)의 도어(7)와 대향된 전면부(21)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고 토너 카트리지(20)를 탈거 방향(B)으로 당길 수 있을 정도로 오목한 형상이나 볼록한 형상이 없으므로, 돌출 위치(3b)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0)를 탈거 방항(B)으로 당기기가 쉽지 않다. 돌출 위치(3b)에서 토너 카트리지(20)의 돌출량은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토너 카트리지(20)의 돌출된 부분을 사용자가 파지하기도 어렵다. 돌출 위치(3b)에 위치된 토너 카트리지(20)의 장착부(3)로부터의 돌출량을 크게 하여 토너 카트리지(20)의 돌출된 부분을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탈거 기구(6)의 크기가 커지고 탈거 기구(6)의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탈거를 위한 파지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한 토너 카트리지(20)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파지부는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위치(3a)에 위치된 때에는 숨겨진 상태가 되고,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위치(3a)에서 돌출 위치(3b)로 이동되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 탈거를 위한 파지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한 토너 카트리지(20)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3은 토너 카트리지(20)의 일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20)의 일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로서, 개폐 부재(240)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20)의 일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로서, 개폐 부재(240)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20)는, 토너가 수용되는 몸체(210), 몸체(210)의 전방에 위치되며 토너 카트리지(20)를 전방으로 당기기 위한 파지부를 형성하는 제1개구(230)가 마련된 전면 커버(220), 전면 커버(220)의 내부에 위치되며 제1개구(230)를 막는 제1위치(도 4)와 제1개구(230)를 개방하는 제2위치(도 5)로 전환되는 개폐 부재(240), 및 개폐 부재(240)에 제2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250)를 포함한다.
전면 커버(220)는 몸체(210)의 탈거 방향(B) 쪽에 위치된다. 일 실시예로서, 제1개구(230)는 전면 커버(220)의 전면부(21)에 마련될 수 있다. 제1개구(2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토너 카트리지(20)를 탈거 방향(B)으로 당기기 위하여 손을 넣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개폐 부재(240)는 전면 커버(220)의 내부에 위치된다. 개폐 부재(240)는 전면 커버(220)에 제1, 제2위치로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전면 커버(220)의 내측에 한 쌍의 지지축(221)(222)이 마련되고, 개폐 부재(240)의 양단부에 지지축(221)(222)이 각각 삽입되는 홀(244)(245)이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부재(240)는,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1개구(230)를 막는 차단부(241)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1개구(230)와 정렬되어 토너 카트리지(20)를 전방으로 당길 수 있도록 파지부를 형성하는 오목부(242)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 부재(250)는 개폐 부재(240)에 제2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한다. 일 실시예로서, 탄성 부재(250)는 지지축(221)(222) 중 적어도 하나에 권선부가 삽입되고, 권선부로부터 연장된 두 아암은 각각 개폐 부재(240)와 전면 커버(220)에 지지된 토션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토너 카트리지(20)에 따르면, 토너 카트리지(20)가 본체(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개폐 부재(240)는 탄성 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위치에 유지된다. 오목부(242)가 제1개구(230)와 정렬되며, 토너 카트리지(20)의 전면부(21)에는 제1개구(230)와 오목부(242)에 의하여 사용자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된다. 토너 카트리지(20)가 본체(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토너 카트리지(20)의 취급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토너 카트리지(20)에 따르면, 파지부를 형성하는 제1개구(230)와 개폐 부재(240)가 토너 카트리지(20)의 전면부(21)로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0)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파지부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의 포장 설계가 쉽고, 운송 과정에서 파지부의 손상 위험이 줄어들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토너 카트리지(20)를 탈거할 수 없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개폐 부재(240)는 제1위치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토너 카트리지(20)는 외부로부터 액세스하여 개폐 부재(240)를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전면 커버(220)에는 제2개구(260)가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부재(240)에는 외부로부터 액세스하여 제2위치에 위치된 개폐 부재(240)를 제1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제2개구(260)를 통하여 전면 커버(220)로부터 돌출된 전환 레버(243)가 마련될 수 있다. 제2개구(260)는 전면 커버(220)의 측부(22)에 마련될 수 있다. 전환 레버(243)는 개폐 부재(24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홀(244)(245)로부터 편심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전환 레버(243)는 개폐 부재(24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개구(260)를 통과하여 전면 커버(22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토션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 부재(250)의 일측 아암은 전환 레버(243)에 지지되어 개폐 부재(240)에 제2위치에 유지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전환 레버(243)에 액세스하여 개폐 부재(240)를 탄성 부재(25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개폐 부재(240)를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토너 카트리지(20)가 본체(1)에 장착되는 동작에 의하여 개폐 부재(240)가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전환된다. 토너 카트리지(20)가 본체(1)로부터 탈거되면 개폐 부재(240)는 탄성 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복귀된다.
도 6과 도 7은 토너 카트리지(20)가 본체(1)에 장착되는 동작에 의하여 개폐 부재(240)를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전환시키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위치(도 2: 3a)에 도달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며, 도 7은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위치(도 2: 3a)에 도달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8은 토너 카트리지(20)가 본체(1)로부터 탈거될 때에 개폐 부재(240)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복귀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8은 토너 카트리지(20)가 돌출 위치(3b)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에는 전환 부재(4)가 마련된다. 전환 부재(4)는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부(3)에 장착될 때에 개폐 부재(240)를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전환시킨다. 전환 레버(243)는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부(3)에 장착될 때에 전환 부재(4)와 간섭되어 제2위치에 위치된 개폐 부재(240)를 제1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제2개구(260)를 통하여 전면 커버(220)로부터 돌출된다. 본 실시예의 전환 레버(2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 커버(220)의 측부(22)로부터 돌출된다. 전환 부재(4)는 전면 커버(220)의 측부(22)로부터 돌출된 전환 레버(243)와 간섭될 수 있도록 장착부(3)에 마련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체(1)에는 탈거 기구(6)가 마련될 수 있다. 탈거 기구(6)는 토너 카트리지(20)를 장착 위치(도 2: 3a)로부터 돌출 위치(도 2: 3b)로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탈거 기구(6)는 캠(61)과, 캠(61)을 회전시키는 모터(62)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62)는 캠(61)을 구동하는 전용 모터일 수 있다. 모터(62)는 화상형성장치의 회전 요소들을 구동하는 메인 모터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모터(62)와 캠(61) 사이에는 모터(62)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캠(61)에 전달하는 클러치(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탈거 기구(6)는 토너 카트리지(20)를 돌출 위치(3b)까지 밀 수 있는 스트로크를 가진 리니어 액추에이터,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탈거 기구(6)는 토너 카트리지(20)를 장착 위치(3a)에 로킹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탈거 기구(6)는 토너 카트리지(20)를 장착 위치(3a)에 로킹시키는 로킹부와 토너 카트리지(20)를 장착 위치(3a)로부터 돌출 위치(3b)로 미는 탈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로킹부는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위치(3a)에 위치된 때에 토너 카트리지(20)에 마련된 제1후크에 걸리는 제2후크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2후크는 예를 들어 제1후크에 걸리는 걸림 위치와 제1후크로부터 해제되는 해제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탈거부는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위치(3a)에 위치된 때에 토너 카트리지(20)에 마련된 제1경사부와 맞물리는 제2경사부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2경사부는 회전되면서 제1경사부를 밀어서 토너 카트리지(20)를 장착 위치(3a)로부터 돌출 위치(3b)로 밀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서, 토너 카트리지(20)를 본체(1)의 장착부(3)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토너 카트리지(20)의 몸체(210)를 장착부(3)에 삽입한다. 이때, 사용자는 한 손으로는 전면 커버(22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몸체(210)를 아래쪽에서 지지하고, 몸체(210)부터 장착부(3)에 삽입할 수 있다. 개폐 부재(240)는 탄성 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위치에 유지되므로, 제1개구(230)와 개폐 부재(240)의 오목부(242)에 의하여 파지부가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전면 커버(220)에 형성된 파지부를 파지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를 장착 방향(A)으로 밀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3)에 삽입한다. 토너 카트리지(20)를 장착 방향(A)으로 밀면 토너 카트리지(20)가 돌출 위치(3b)에 도달되고, 전환 레버(243)가 전환 부재(4)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0)를 장착 방향(A)으로 더 밀면, 전환 레버(243)와 전환 부재(4)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개폐 부재(240)가 탄성 부재(250)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개폐 부재(240)는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전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위치(3a)에 도달되면, 개폐 부재(240)는 제1위치에 도달된다. 개폐 부재(240)의 차단부(241)가 제1개구(230)와 정렬되어 제1개구(230)가 막히고, 파지부가 없어진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0)의 임의적인 탈거가 방지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서, 토너 카트리지(20)를 본체(1)의 장착부(3)로부터 탈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20)가 본체(1)에 장착되어 장착 위치(3a)에 위치된다. 캠(61)의 하사부(61a)가 토너 카트리지(20)와 대향된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0)는 장착 위치(3a)에 유지될 수 있다. 전환 레버(243)는 전환 부재(4)에 걸려 있다. 따라서, 개폐 부재(240)는 제1개구(230)를 막는 제1위치에 유지된다.
토너 카트리지(20)를 탈거하기 위하여, 제어부는 모터(62)를 구동하여 캠(61)을 회전시킨다. 캠(61)은 토너 카트리지(20)를 탈거 방향(B)으로 민다. 토너 카트리지(20)가 탈거 방향(B)으로 밀림에 따라 전환 레버(243)가 전환 부재(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탄성 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하여 개폐 부재(240)는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회전된다. 토너 카트리지(20)가 돌출 위치(3b)에 도달될 때까지 전환 레버(243)와 전환 부재(4)는 탄성 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하여 서로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캠(61)이 계속하여 회전되면 토너 카트리지(20)는 탈거 방향(B)을 계속 밀린다. 캠(61)의 상사부(61b)가 토너 카트리지(20)와 대향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20)는 돌출 위치(3b)에 위치된다. 개폐 부재(240)는 제2위치에 도달된다. 제어부는 토너 카트리지(20)가 다시 장착될 때를 대비하여, 캠(61)을 도 8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사부(61a)가 토너 카트리지(20)와 대향될 때까지 회전시켜 그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0)를 탈거 방향(B)으로 당겨서 본체(1)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개폐 부재(240)가 제2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오목부(242)가 제1개구(230)와 정렬되어 파지부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에 손을 넣어 토너 카트리지(20)를 용이하게 탈거 방향(B)으로 당겨서 장착부(3)로부터 탈거할 수 있으므로, 탈거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토너 카트리지(20)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위치(3a)에 위치된 때에는 전면 커버(220)에 파지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토너 카트리지(20)를 탈거 방향(B)으로 당길 수 없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0)의 임의적인 탈거가 방지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가 돌출 위치(3b)에 위치되면 전면 커버(220)에 파지부가 형성되므로 토너 카트리지(20)를 용이하게 장착부(3)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대용량 토너 카트리지(20)의 경우 돌출된 토너 카트리지(20)의 전방 형상 전체를 손으로 잡기가 불편하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220)에 파지부가 형성되므로 용이하게 대용량 토너 카트리지(20)를 탈거 방향(B)으로 당길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토너 카트리지(20)를 본체(1)의 장착부(3)에/로부터 장착/탈거하는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9는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위치(3a)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며, 도 10은 토너 카트리지(20)가 돌출 위치(3b)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개폐 부재(240a)는 전면 커버(220)의 내부에 제1위치(도 9)와 제2위치(도 10)로 회동될 수 있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개폐 부재(240a)는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전면 커버(2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점에서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개폐 부재(240)와 차이가 있다.
개폐 부재(240a)는,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1개구(230a)를 막으며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토너 카트리지(20)를 전방, 즉 탈거 방향(B)으로 당길 수 있도록 파지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개구(230a)로부터 도피되는 차단부(241a)를 구비한다. 즉, 차단부(241a)는 제1위치에서 제1개구(230a)를 막으며, 제2위치에서 제1개구(230a)를 개방한다. 제1개구(230a)는 전면부(21)에 마련될 수 있다. 제1개구(230a)는 전면 커버(220)의 상면(23)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차단부(241a)는, 외부로부터 액세스하여 제2위치에 위치된 개폐 부재(240a)를 제1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전면 커버(220)에 마련된 제2개구(260a)를 통하여 전면 커버(220)로부터 돌출된다. 예를 들어 제2개구(260a)는 전면 커버(220)의 상면(23)에 마련될 수 있다. 본체(1)에는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부(3)에 장착될 때에 개폐 부재(240a)를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전환시키는 전환 부재(4a)가 마련된다. 전환 부재(4a)는 전면 커버(220)의 상면(23)과 대향되게 위치된다. 차단부(241a)는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부(3)에 장착될 때에 전환 부재(4a)와 간섭되어 제2위치에 위치된 개폐 부재(240a)를 제1위치로 전환시킨다.
토너 카트리지(20)가 본체(1)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240a)가 제2위치에 위치된다. 차단부(241a)는 제1개구(230a)로부터 도피된다. 따라서, 전면 커버(220)에는 제1개구(230a)에 의하여 파지부가 형성된다. 차단부(241a)는 제2개구(260a)를 통하여 전면 커버(2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0)를 장착부(3)에 삽입하고 장착 방향(B)으로 밀면, 차단부(241a)가 전환 부재(4a)와 간섭된다.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방향(B)으로 밀림에 따라서 개폐 부재(240a)는 탄성 부재(250a)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전환된다.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위치(3a)에 도달되면, 개폐 부재(240a)는 제1위치에 도달된다. 차단부(241a)는 제1개구(230a)와 정렬되어 제1개구(230a)를 막는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위치(3a)에 위치되면 전면 커버(220)에 파지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토너 카트리지(20)를 탈거 방향(B)으로 당길 수 없어, 토너 카트리지(20)의 임의적인 탈거가 방지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즉, 캠(61)이 토너 카트리지(20)를 밀어 장착 위치(3a)로부터 돌출 위치(3b)로 이동시킨다. 토너 카트리지(20)가 돌출 위치(3b)로 이동되면 전환 부재(4a)와 차단부(241a)와의 간섭이 종료되며 개폐 부재(240a)는 탄성 부재(250a)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위치로 전환된다. 개폐 부재(240b)가 제2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제1개구(230a)가 개방되어 파지부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파지부에 손을 넣어 토너 카트리지(20)를 용이하게 탈거 방향(B)으로 당겨서 장착부(3)로부터 탈거할 수 있으므로, 탈거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파지부를 형성/제거하기 위하여 개폐 부재가 슬라이딩되어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11과 도 12는 토너 카트리지(20)를 본체(1)의 장착부(3)에/로부터 장착/탈거하는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1은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위치(3a)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며, 도 12는 토너 카트리지(20)가 돌출 위치(3b)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토너 카트리지(20)는 개폐 부재(240b)가 전면 커버(220)의 내부에 제1위치(도 11)와 제2위치(도 12)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마련되고, 개폐 부재(240b)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전면 커버(2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환 레버(270)를 구비하는 점에서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개폐 부재(240)와 차이가 있다.
개폐 부재(240b)는,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제1개구(230b)를 막으며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토너 카트리지(20)를 전방, 즉 탈거 방향(B)으로 당길 수 있도록 파지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개구(230b)로부터 도피되는 차단부(241b)를 구비한다. 즉, 차단부(241b)는 제1위치에서 제1개구(230a)를 막으며, 제2위치에서 제1개구(230a)를 개방한다. 제1개구(230b)는 전면부(21)에 마련될 수 있다.
전환 레버(270)는 전면 커버(220)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전환 레버(270)는, 개폐 부재(240b)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외부로부터 액세스하여 제2위치에 위치된 개폐 부재(240b)를 제1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전면 커버(220)에 마련된 제2개구(260b)를 통하여 전면 커버(220)로부터 돌출된다. 예를 들어 제2개구(260b)는 전면 커버(220)의 상면(23)에 마련될 수 있다. 전환 레버(270)는 개폐 부재(240b)와 연결된다.
탄성 부재(250b)는 제2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개폐 부재(240b)를 탄성 바이어스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탄성 부재(250b)는 일단부와 타단부가 전면 커버(220)와 개폐 부재(240b)에 각각 지지된 압축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개폐 부재(240b)는 탄성 부재(250b)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환 레버(270)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탄성 부재(250b)의 탄성력에 의하여 전환 레버(270)는 제2개구(260b)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는 전환 레버(270)가 제2개구(260b)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방향을 회동되도록 전환 레버(27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8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탄성부재(280)는 예를 들어 권선부가 전환 레버(270)의 회동축에 설치되고 두 아암이 각각 전면 커버(220)와 전환 레버(270)에 지지된 토션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체(1)에는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부(3)에 장착될 때에 개폐 부재(240b)를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전환시키는 전환 부재(4b)가 마련된다. 전환 부재(4b)는 전면 커버(220)의 상면(23)과 대향되게 위치된다. 전환 레버(270)는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부(3)에 장착될 때에 전환 부재(4b)와 간섭되어 개폐 부재(240b)를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전환시킨다.
토너 카트리지(20)가 본체(1)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240b)가 제2위치에 위치된다. 차단부(241b)는 제1개구(230b)로부터 도피된다. 따라서, 전면 커버(220)에는 제1개구(230b)에 의하여 파지부가 형성된다. 전환 레버(270)는 제2개구(260b)를 통하여 전면 커버(2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20)를 장착부(3)에 삽입하고 장착 방향(B)으로 밀면, 전환 레버(270)가 전환 부재(4b)와 간섭된다.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방향(B)으로 밀림에 따라서 전환 레버(270)가 회동되면서 개폐 부재(240b)를 탄성 부재(250b)의 탄성력의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전환시킨다.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위치(3a)에 도달되면, 개폐 부재(240b)는 제1위치에 도달된다. 차단부(241b)는 제1개구(230b)와 정렬되어 제1개구(230b)를 막는다.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20)가 장착 위치(3a)에 위치되면 전면 커버(220)에 파지부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토너 카트리지(20)를 탈거 방향(B)으로 당길 수 없어, 토너 카트리지(20)의 임의적인 탈거가 방지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2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즉, 캠(61)이 토너 카트리지(20)를 밀어 장착 위치(3a)로부터 돌출 위치(3b)로 이동시킨다. 토너 카트리지(20)가 돌출 위치(3b)로 이동되는 동안에 전환 부재(4b)와 전환 레버(270)와의 간섭이 종료되며 전환 레버(270)가 제2개구(260b)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개폐 부재(240b)는 탄성 부재(250b)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위치로 전환된다. 개폐 부재(240b)가 제2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제1개구(230b)가 개방되어 파지부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파지부에 손을 넣어 토너 카트리지(20)를 용이하게 탈거 방향(B)으로 당겨서 장착부(3)로부터 탈거할 수 있으므로, 탈거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토너가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전방으로 당기기 위한 파지부를 형성하는 제1개구가 마련된 전면 커버;
    상기 전면 커버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개구를 막는 제1위치와 상기 제1개구를 개방하는 제2위치로 전환되는 개폐 부재;
    상기 개폐 부재에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로 회동되는 토너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제1개구를 막는 차단부와,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제1개구와 정렬되어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전방으로 당길 수 있도록 상기 파지부를 형성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에는 제2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 부재에는 외부로부터 액세스하여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제1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개구를 통하여 상기 전면 커버로부터 돌출된 전환 레버가 마련된 토너 카트리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제1개구를 막으며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파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개구로부터 도피되는 차단부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에는 제2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차단부는 외부로부터 액세스하여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개구를 통하여 상기 전면 커버로부터 돌출되는 토너 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로 슬라이딩되는 토너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제1개구를 막으며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파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개구로부터 도피되는 차단부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에는 제2개구가 마련되며,
    외부로부터 액세스하여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제1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개구를 통하여 상기 전면 커버로부터 돌출된 전환 레버;를 더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
  10. 전자 사진 방식에 의하여 화상을 인쇄하며, 장착부가 마련된 본체;
    상기 장착부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착탈 가능한 제1항에 기재된 토너 카트리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될 때에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전환시키는 전환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장착 위치에 위치된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장착부로부터 돌출된 돌출 위치로 이동시키는 탈거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 위치로부터 상기 돌출 위치로 이동될 때에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2위치로부터 상기 제1위치로 복귀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제1개구를 막는 차단부와,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제1개구와 정렬되어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전방으로 당길 수 있도록 상기 파지부를 형성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1위치로 회동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에는 제2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재에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될 때에 상기 전환 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제1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개구를 통하여 상기 전면 커버로부터 돌출된 전환 레버가 마련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제1개구를 막으며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파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개구로부터 도피되는 차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면 커버에는 제2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될 때에 상기 전환 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제1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개구를 통하여 상기 전면 커버로부터 돌출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제1개구를 막으며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파지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제1개구로부터 도피되는 차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전면 커버에는 제2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전면 커버에는 상기 토너 카트리지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될 때에 상기 전환 부재와 간섭되어 상기 제2위치에 위치된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제1위치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개구를 통하여 상기 전면 커버로부터 돌출된 전환 레버가 마련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190026609A 2019-03-08 2019-03-08 토너 카트리지의 파지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구조 KR20200107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609A KR20200107454A (ko) 2019-03-08 2019-03-08 토너 카트리지의 파지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구조
US17/263,628 US11199791B2 (en) 2019-03-08 2019-07-25 Structure to selectively expose grip portion of toner cartridge
PCT/US2019/043452 WO2020185249A1 (en) 2019-03-08 2019-07-25 Structure to selectively expose grip portion of toner cartridge
CN201980055219.2A CN112602023B (zh) 2019-03-08 2019-07-25 选择性地露出调色剂盒的握持部分的结构
EP19919191.7A EP3803514B1 (en) 2019-03-08 2019-07-25 Structure to selectively expose grip portion of toner cart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609A KR20200107454A (ko) 2019-03-08 2019-03-08 토너 카트리지의 파지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454A true KR20200107454A (ko) 2020-09-16

Family

ID=7242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609A KR20200107454A (ko) 2019-03-08 2019-03-08 토너 카트리지의 파지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99791B2 (ko)
EP (1) EP3803514B1 (ko)
KR (1) KR20200107454A (ko)
CN (1) CN112602023B (ko)
WO (1) WO2020185249A1 (ko)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5161A (ja) * 1981-10-29 1983-05-06 Canon Inc プロセスキツト及びこのキツト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US4945364A (en) * 1988-09-07 1990-07-31 Seiko Epson Corporation Page printer
EP0586042B1 (en) * 1992-09-04 1998-09-02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530644B2 (ja) * 1995-07-31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フレー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1898274B1 (en) * 2002-09-24 2011-04-20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 image bearing member unit having a protective shutter
JP2005258024A (ja) 2004-03-11 2005-09-2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589045B2 (ja) 2004-07-15 2010-12-01 株式会社東芝 トナー容器
JP4455360B2 (ja) * 2005-02-09 2010-04-21 株式会社リコー ユニット及びそのユニット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7256352A (ja) 2006-03-20 2007-10-04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DE102006027473A1 (de) * 2006-06-12 2007-12-13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I
KR100873449B1 (ko) 2006-07-20 2008-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탱크, 슬라이드 셔터, 실링부재, 탄성부재, 및 이를 구비한 토너공급장치
CN200984342Y (zh) * 2006-12-12 2007-12-05 广东万和集团有限公司 带隐藏式拉手的消毒柜门体
EP2023212B8 (en) 2007-07-24 2013-08-21 Funai Electric Co., Ltd. Toner cartridge having a handle
TWM325586U (en) * 2007-08-03 2008-01-11 Netronix Inc Withdraw-able hard disk device
KR100889820B1 (ko) 2007-09-19 2009-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EP2333620A1 (en) * 2008-09-01 2011-06-1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072308A (ja) * 2008-09-18 2010-04-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JP5350998B2 (ja) * 2008-12-24 2013-11-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該トナーカートリッジが組み込まれた画像形成装置
US7904005B2 (en) * 2009-02-26 2011-03-08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8121516B2 (en) 2009-03-27 2012-02-21 Zhuhai Seine Technology Limited Processing cartridge having a retractable handle
JP5950565B2 (ja) * 2011-12-19 2016-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メインカートリッジ、サブ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22816B2 (ja) * 2012-11-20 2015-11-24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収容体、現像剤収容体保持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CN103206109B (zh) * 2013-04-11 2015-07-22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隐藏式拉手
KR101883898B1 (ko) 2013-05-30 2018-08-01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토너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580224B1 (ko) * 2014-03-12 2015-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RU2670567C2 (ru) 2014-08-01 2018-10-23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артридж для тонера, механизм подачи тонера и затвор
KR20160143391A (ko) * 2015-06-05 2016-12-14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현상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N106826924B (zh) * 2017-03-17 2023-05-23 芜湖星途机器人科技有限公司 便于机器人搬运的隐藏式拉手装置
CN206818602U (zh) * 2017-05-29 2017-12-29 深圳华药南方制药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旋光仪的旋盖
CN207123529U (zh) * 2017-08-08 2018-03-20 广东上风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抽屉式水质在线分析仪
KR20190135317A (ko) * 2018-05-28 2019-12-0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현상제 카트리지의 탈거를 위하여 핸들을 돌출시키는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86291A1 (en) 2021-09-16
EP3803514A4 (en) 2022-03-16
EP3803514B1 (en) 2024-04-24
WO2020185249A1 (en) 2020-09-17
CN112602023A (zh) 2021-04-02
US11199791B2 (en) 2021-12-14
CN112602023B (zh) 2024-05-17
EP3803514A1 (en) 202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9902B2 (en)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3869902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69901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69903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73540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a developing cartridge or process cartridge are detachably mountable comprising driving control means for permitting and preventing transmission of a driving force to a winding member
EP3710892B1 (en) Structure for protruding handle to release developer cartridge
KR20040021517A (ko)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5406355A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322554A (ja) 感光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5903806A (en) Developing agent replenishing apparatus and cartridge
CN111902776B (zh) 显影剂盒
KR20170060412A (ko)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3572500B2 (ja) 現像剤補給装置及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3452296B2 (ja) 画像形成装置
KR20200107454A (ko) 토너 카트리지의 파지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구조
JP3517475B2 (ja) 画像形成装置
JPH096110A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899886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10153912A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074088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167530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115042A (ja) 画像形成装置
JPH01191885A (ja) 画像記録装置のトナー回収装置
JPH1063077A (ja) 現像剤カートリッジ、現像剤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084446B2 (ja) 画像形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