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224B1 -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224B1
KR101580224B1 KR1020140029157A KR20140029157A KR101580224B1 KR 101580224 B1 KR101580224 B1 KR 101580224B1 KR 1020140029157 A KR1020140029157 A KR 1020140029157A KR 20140029157 A KR20140029157 A KR 20140029157A KR 101580224 B1 KR101580224 B1 KR 101580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contact portion
main body
knob
tone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726A (ko
Inventor
문지원
장호진
최웅용
권오득
심윤규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224B1/ko
Priority to BR112015021942-0A priority patent/BR112015021942B1/pt
Priority to PCT/KR2014/010467 priority patent/WO2015137588A1/en
Priority to US14/540,698 priority patent/US9465357B2/en
Priority to ES17176715T priority patent/ES2787275T3/es
Priority to EP17176715.5A priority patent/EP3244267B1/en
Priority to PL17176715T priority patent/PL3244267T3/pl
Priority to EP14196962.6A priority patent/EP2919074B1/en
Priority to CN201520083832.4U priority patent/CN204557052U/zh
Priority to CN201520494821.5U priority patent/CN204807917U/zh
Publication of KR20150106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03G21/1882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 G03G21/1885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position of the memory; memory housings; electro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03G21/1871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23Cartridges having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84Projections on process cartridge for guiding mounting thereof in main machine

Abstract

개시된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카트리지로서,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접점부를 구비하며 본체와 연결되어 카트리지의 정보를 본체로 전달하는 메모리유닛을 포함한다. 접점부는 카트리지의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본체에 마련된 연결부에 연결되기 위하여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된다.

Description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이에 착탈되는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에 정착시켜 기록 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부품들의 조립체로서,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며, 수명이 경과한 때에 교체되는 소모품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체와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는 현상롤러와 토너가 수용된 수용부가 일체로 된 구조, 감광체 및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이미징 카트리지와 토너가 수용된 토너 카트리지로 구분된 구조, 및 감광체를 구비하는 감광체 카트리지와 현상롤러를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 및 토너가 수용된 토너 카트리지로 구분된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에는 카트리지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유닛이 마련된다. 메모리유닛은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되면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체와 통신하며, 카트리지의 정보를 본체로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유닛은 본체의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부를 구비한다.
본체와의 통신을 위하여 카트리지에 마련된 메모리유닛의 접점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메모리유닛의 접점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되는 카트리지로서, 상기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정보를 상기 본체로 전달하는 메모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접점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상기 본체에 마련된 연결부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접점부를 탑재하고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이동 부재;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부재와 연결된 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접점부가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에 숨겨진 후퇴 위치와 상기 본체에 마련된 삽입부에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보호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접점부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기 전에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접점부와 상기 연결부를 정렬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접점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접점부의 이동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점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상기 접점부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는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후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본체에 마련된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에 착탈되며, 상기 노브는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개구부와 대향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를 착탈하기 위한 손잡이;를 더 구비하며, 상기 노브는 상기 손잡이와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노브는 상기 접점부의 이동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돌출된 파지 위치와 상기 카트리지에 점근된 수납 위치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접점부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가이드 포스트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노브에는 상기 접점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상기 가이드 포스트가 삽입되는 경사 가이드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노브는 회전식 노브이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노브에 의하여 회전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도록 상기 이동 부재에 마련되는 랙 기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접점부를 탑재하고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이동 부재;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돌출된 파지 위치와 상기 카트리지에 접근된 제1수납 위치로 회동되는 손잡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1수납위치에 위치된 상기 손잡이가 수납될 수 있도록 몰입된 수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손잡이의 회동운동을 상기 이동 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유닛;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파지 위치로부터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제2수납위치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가 상기 파지 위치와 상기 제1수납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손잡이의 회동축은 상기 전환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가 상기 제2수납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손잡이의 회동축은 상기 전환유닛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토너가 수용된 토너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현상롤러; 상기 현상롤러에 공급될 토너가 수용된 토너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토너가 수용된 토너 수용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상기 토너 수용부의 토너를 상기 정전잠상에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카트리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정보를 상기 본체로 전달하는 메모리유닛; 상기 접점부를 탑재하고, 상기 접점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에 위치된 제1위치와, 상기 접점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제2위치로 이동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부재와 연결된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에는 상기 접점부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상기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상기 노브에 접촉되는 간섭부가 마련된다.
상술한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트리지 내부로 수납된 제1위치와 카트리지로부터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되는 접점부를 채용함으로써, 접점부의 오염과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a는 접촉 현상방식에서 감광드럼과 현상롤러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비접촉 현상방식에서 감광드럼과 현상롤러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은 현상기가 교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토너 카트리지가 교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로서, 메모리유닛과 본체와의 연결구조를 보여준다.
도 5a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접점부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구조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 접점부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5b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접점부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구조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 접점부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은 도 5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메모리유닛의 회로부가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접점부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토너 카트리지의 배면도이다.
도 8은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8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보호부재가 후퇴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보호부재가 돌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0a는 도 8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점부와 보호부재가 각각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b는 도 8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점부와 보호부재가 제2위치와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c는 도 8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점부와 보호부재가 제2위치와 돌출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슬라이딩되는 노브가 채용 된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연결 에러 방지 구조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3a와 도 14a는 접점부가 제1위치에 위치된 때의 노브와 간섭부와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b와 도 14b는 접점부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의 노브와 간섭부와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손잡이와 연동하여 접점부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가 채용된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16a는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b는 손잡이와 연동하여 접점부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로서, 손잡이가 파지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6c는 손잡이와 연동하여 접점부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로서, 손잡이가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7a는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손잡이가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7c는 도 17a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손잡이가 파지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7d는 손잡이의 회동축과 피니언과의 연결관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e는 손잡이의 회동축과 피니언과의 연결관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토너 카트리지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후면도이다.
도 19a는 연결부가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연결부가 접점부로부터 해제된 해제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9b는 연결부가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연결부가 접점부와 연결된 연결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0a는 연결부가 도어의 닫힘 동작에 의하여 연결위치로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연결부가 접점부로부터 해제된 해제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0b는 연결부가 도어의 닫힘 동작에 의하여 연결위치로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연결부가 접점부와 연결된 연결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보면, 화상형성장치 본체(1)와,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도시되어 있다. 본체(1)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장착/탈거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개구부(11)가 마련된다. 커버(12)는 개구부(11)를 개폐한다. 본체(1)에는 노광기(13), 전사롤러(14), 및 정착기(15)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1)에는 화상이 형성될 기록매체(P)를 적재하고, 이를 이송시키기 위한 기록매체 이송구조가 마련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토너 수용부(101)와,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21)과, 토너 수용부(101)로부터 토너를 공급받아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적인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롤러(22)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드럼(21)은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의 일 예로서, 도전성 금속 파이프와 그 외주에 형성되는 감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대전롤러(23)는 감광드럼(21)이 균일한 표면전위를 갖도록 대전시키는 대전기의 일 예이다. 대전롤러(23) 대신에 대전 브러쉬, 코로나 대전기 등이 채용될 수도 있다. 참조부호 24은 대전롤러(23)의 표면에 뭍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롤러이다. 클리닝 블레이드(25)는 후술하는 전사과정 후에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잔류되는 토너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의 일 예이다. 클리닝 블레이드(25) 대신에 회전되는 브러쉬 등의 다른 형태의 클리닝 장치가 채용될 수도 있다.
현상 방식으로는, 토너를 사용하는 일성분 현상방식과, 토너와 캐리어를 사용하는 이성분 현상방식이 있다.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일성분 현상방식을 채용한다. 현상롤러(22)는 토너를 감광드럼(21)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현상롤러(22)에는 토너를 감광드럼(21)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일성분 현상방식은 현상롤러(22)와 감광드럼(21)이 서로 접촉되어 회전되는 접촉 현상방식과 현상롤러(22)와 감광드럼(21)이 서로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정도 이격되게 위치되어 회전되는 비접촉 현상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a는 접촉 현상방식에서 감광드럼(21)과 현상롤러(22)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비접촉 현상방식에서 감광드럼(21)과 현상롤러(22)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접촉 현상방식의 경우, 현상롤러(22)의 회전축(22-1)의 양단부에는 현상롤러(22)의 직경보다 작은 갭유지부재(22-2a)가 설치될 수 있다. 갭유지부재(22-2a)는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접촉됨으로써 현상롤러(22)의 감광드럼(21)에 대한 접촉량을 규제한다. 현상롤러(22)는 감광드럼(21)에 접촉됨으로써 현상 닙(N)을 형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비접촉 현상방식의 경우, 현상롤러(22)의 회전축(22-1)의 양단부에는 현상롤러(22)의 직경보다 큰 갭유지부재(22-2b)가 설치될 수 있다. 갭유지부재(22-2b)는 감광드럼(21)의 표면에 접촉됨으로써 현상롤러(22)와 감광드럼(21) 사이의 현상 간격(g)을 규제한다.
규제부재(26)는 현상롤러(22)에 의하여 감광드럼(21)과 현상롤러(22)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공급되는 토너의 양을 규제한다. 규제부재(26)는 현상롤러(22)의 표면에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닥터 블레이드일 수 있다. 공급롤러(27)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 내의 토너를 현상롤러(22)의 표면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공급롤러(6)에는 공급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성분 현상방식이 채용되는 경우에는 현상롤러(22)는 감광드럼(21)으로부터 수십 내지 수백 미크론 이격되게 위치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롤러(22)는 중공 원통형 슬리브 내에 자기롤러가 배치된 형태일 수도 있다. 토너는 자성 캐리어의 표면에 부착된다. 자성 캐리어는 현상롤러(22)의 표면에 부착되어 감광드럼(21)과 현상롤러(22)가 대면된 현상영역으로 운반된다. 현상롤러(22)와 감광드럼(21) 사이에 인가되는 현상바이어스전압에 의하여 토너만이 감광드럼(21)으로 공급되어 감광드럼(2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토너를 캐리어와 혼합, 교반하여, 이들을 현상롤러(22)로 운반하는 교반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교반기는 예를 들어 오거(auger)일 수 있으며,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는 복수의 교반기가 마련될 수 있다.
노광기(13)는 화상정보에 대응되어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21)에 조사하여 감광드럼(21)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노광기(13)로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SU(laser scanning unit),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LED노광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전사롤러(14)는 감광드럼(21)으로부터 기록매체(P)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는 전사기의 일 예이다. 전사롤러(14)에는 기록매체(P)로 토너화상을 전사시키기 위한 전사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된다. 전사롤러(14) 대신에 코로나 전사기나 핀 스코로트론(pin scorotron)방식의 전사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기록매체(P)는 픽업롤러(16)에 의하여 적재대(17)로부터 한 장씩 픽업되고, 이송롤러(18-1)(18-2)에 의하여 감광드럼(21)과 전사롤러(14)가 대면된 영역으로 이송된다.
정착기(15)는 기록매체(P)로 전사된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시킨다. 정착기(15)를 통과한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19)에 의하여 본체(1)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노광기(13)는 화상정보에 대등하여 변조된 광을 감광드럼(21)에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롤러(22)는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드럼(21)의 표면에 가시적인 토너화상을 형성한다. 적재대(17)에 적재된 기록매체(P)는 픽업롤러(16)와 이송롤러(18-1)(18-2)에 의하여 감광드럼(21)과 전사롤러(14)가 대면된 영역으로 이송되며, 토너화상은 전사롤러(14)에 인가되는 전사바어스전압에 의하여 감광드럼(21)으로부터 기록매체(P) 상으로 전사된다. 기록매체(P)가 정착기(15)를 통과하면, 토너화상은 열과 압력에 의하여 기록매체(P)에 정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기록매체(P)는 배출롤러(19)에 의하여 배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감광드럼(21) 및 현상롤러(22)를 구비하는 이미징 카트리지(400)와 토어 수용부(101)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100)로 구분된 제1구조, 감광드럼(21)을 구비하는 감광체 카트리지(200)와 현상롤러(22)를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300)와 토너 수용부(101)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100)로 구분된 제2구조, 감광체 카트리지(200)와 토너 수용부(101)를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300)로 구분된 제3구조, 감광체 카트리지(200)와 현상 카트리지(300)와 토너 카트리지(100)가 일체로 된 제4구조일 수 있다.
제1구조(또는 제2구조)를 채용한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경우, 토너 카트리지(100)는 본체(1)에 장착되면 이미징 카트리지(400)(또는 현상 카트리지(300))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되면, 토너 카트리지(100)의 토너 배출부(102)와 이미징 카트리지(400)(또는 현상 카트리지(300))의 토너 유입부(301)가 서로 연결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수명이 경과하면 교체되는 소모품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개구부(11)를 통하여 본체(1)에 착탈된다. 제4구조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경우 토너 수용부(101)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2) 전체가 교체된다. 일반적으로 이미징 카트리지(400)의 수명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수명보다 길다. 제1구조 또는 제2구조 또는 제3구조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를 채용하여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 또는 토너 수용부(101)가 일체로 된 현상 카트리지(300)를 개별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모품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는 제1구조를 갖는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체(1)에는 토너 카트리지(100)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30)이 마련되며,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가이드 레일(30)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100-3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메모리유닛(110)이 마련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되면, 메모리유닛(110)은 본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토너 카트리지(100)의 정보를 본체(1)로 전달할 수 있다. 본체(1)는 메모리유닛(110)과의 전기적 연결 여부, 예를 들어 메모리유닛(110)과의 통신 가능 여부에 따라서 토너 카트리지(100)의 장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유닛(110)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상태를 모니터링 또는 관리하기 위한 회로부(111)와, 본체(1)와의 연결을 위한 접점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111)에는 예를 들어 자체 O/S(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본체(1)와의 사이에서 인증 및/또는 암호화 데이터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CPU(centralprocess unit)를 포함하는 CRUM(customer replaceable unit monitor)부가 마련될 수 있다. 회로부(111)에는 메모리가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에는 토너 카트리지(100)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에는 제조사에 대한 정보, 제조일시에 대한 정보, 일련 번호, 모델 명 등과 같은 고유 정보, 각종 프로그램, 전자 서명 정보 및 사용 상태(예를 들어, 현재까지 몇 매를 인쇄하였는지, 인쇄 가능한 잔여 매수가 얼마인지, 토너 잔량이 얼마인지 등)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에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수명, 셋업 메뉴 등에 대한 정보까지 저장될 수 있다. 이외에도 회로부(111)는 본체(1)와의 통신, 인증, 암호화 등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부(111)는 CPU를 포함하는 칩(chip)의 형태, 또는 메모리와 CPU를 포함하는 칩의 형태, 칩 및 다양한 기능 블록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소자들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접점부(112)는 회로부(111)의 인쇄회로기판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부(111)와 신호선(113)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접점부(112)는 예를 들어 모듈러 잭(modular jack)일 수 있다. 본체(1)에는 접점부(112)와 연결되는 연결부(40)가 마련된다. 연결부(40)는 모듈러 잭 형태의 접점부(112)가 삽입되는 모듈러 커넥터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접점부(112)는 도전성 패턴 형태일 수 있다. 도전성 패턴 형태의 접점부(112)는 도시되지 않은 회로 보드에 형성될 수 있으며, 회로부(111)의 인쇄회로기판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통신유닛(110)은 회로부(111)가 내장되고 접점부(112)가 외부로 노출된 패키지 형태이고 접점부(112)는 도전성 패턴의 형태로서 패키지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40)는 도전성 패턴 형태의 접점부(1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핀형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점부(112)는 핀형 단자의 형태일 수 있으며, 연결부(40)는 핀형 단자가 접속되는 도전성 패턴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외에도 접점부(112)와 연결부(40)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가 토너 카트리지(1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면, 토너 카트리지(100)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접점부(112)가 오염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본체(1)와의 충돌로 인하여 접점부(112)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접점부(112)의 파손 또는 오염은 접점부(112)와 연결부(40)와의 접점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메모리유닛(110)은 토너 카트리지(100)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와,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돌출된 제2위치(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가능한 접점부(112)를 구비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 때에 접점부(112)는 본체(1)에 마련된 연결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위치로 이동되며,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로부터 탈거되기 전에 접점부(112)는 연결부(40)와의 전기적 연결이 해제된 제2위치로 이동된다. 제2위치에서의 접점부(112)의 돌출 방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접점부(112)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 상부, 하부, 전부, 후부(100-1) 등 다양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접점부(112)가 장착 방향(A)과 직교하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로 돌출되는 구조를 예로써 설명한다.
접점부(112)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제1,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토너 카트리지(100)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 5b는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장착 방향(A)을 기준으로 하여,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에 노브(120)가 마련된다.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측부(100-2)에는 접점부(112)가 출입되는 제1출입구(103)가 마련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되면, 접점부(112)는 토너 카트리지(100) 내부에 수납되며 제1출입구(103)를 통하여 노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를 열고 본체(1)의 개구부(11)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한다. 그런 다음, 본체(1)의 개구부(11)를 통하여 노브(120)에 액세스하여 노브(120)를 회전시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를 제2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1출입구(103)를 통하여 접점부(112)가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로부터 돌출되며, 도 4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가 본체(1)의 연결부(40)에 결합되어 메모리유닛(110)과 본체(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이동 부재(130)가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동 부재(13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에 결합되는 배면 커버(104)의 내측에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접점부(112)는 이동 부재(130)에 고정되고, 신호선(113)에 의하여 회로부(111)와 연결된다. 노브(120)는 전환유닛에 의하여 이동 부재(130)와 연결된다. 노브(120)의 회전운동은 전환유닛에 의하여 이동 부재(130)의 직선 슬라이딩운동으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전환유닛은 피니언(140)과 랙 기어(131)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랙 기어(131)는 이동 부재(130)에 마련된다. 피니언(140)은 배면 커버(104)의 내측에 설치되어 랙 기어(131)와 맞물린다. 노브(120)는 배면 커버(104)에 마련된 설치홀(104-1)에 삽입되어 피니언(14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노브(120)를 회전시키면, 피니언(140)과 랙기어(131)에 의하여 노브(120)의 회전조작이 이동 부재(130)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접점부(112)가 도 5a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100)의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로부터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된다. 전환유닛의 구조에 따라서 접점부(112)의 이동방향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피니언(140)으로서 제1베벨기어(미도시)를 채용하고, 랙기어(131)와 피니언(140) 사이에 피니언(140)과 맞물리는 제2베벨기어(미도시) 및 제1베벨기어(미도시)와 동축을 이루는 평기어(미도시)를 배치하여, 평기어(미도시)와 랙 기어(131)가 서로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전환유닛은 후술하는 도 18을 참조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전환유닛에 의하면, 이동 부재(13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폭방향 또는 높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접점부(112)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전부 또는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제2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노브(120)는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착탈할 때에 도어(12)에 의하여 개방되는 개구부(11)를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개구부(11)와 대향된 부분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노브(12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장착 방향(A)을 기준으로 하여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에 위치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착탈과정에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50)가 마련될 수 있으며, 노브(120)는 손잡이(150)에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토너 카트리지(100)를 착탈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노브(120)를 인식하고 노브(120)를 조작할 수 있다.
도 5a, 5b,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회로부(111)가 이동 부재(130)에 장착되어 접점부(112)와 함께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동안에 접점부(112)와 회로부(111)와의 상대위치가 변하지 않으므로, 신호선(113)과 접점부(112) 및 회로부(111)와의 단선의 위험이 크게 낮아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점부(112)는 회로부(1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신호선(113)이 생략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부(111)는 배면 커버(104) 또는 토너 카트리지(100)에 고정되고, 접점부(112)만이 이동 부재(130)에 설치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배면 커버(104)에 마련되어 신호선(113)을 지지하는 와이어 홀더(104-2)는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될 때의 스트로크(S)의 중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접점부(112)가 이동되는 동안에 접점부(112)와 회로부(111) 사이의 신호선(113)의 길이 변화를 최소화하여 신호선(113)과 접점부(112) 및 회로부(111)와의 단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100)는 접점부(112)가 제1위치(도 5a)에 위치된 상태에서 본체(1)에 장착된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 후에 접점부(112)를 제2위치(도 5b)로 이동시켜 본체(1)의 연결부(40)에 연결시킨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접점부(112)를 제1위치로 복귀시켜 연결부(40)와의 연결을 해제한 후에 본체(1)로부터 탈거하여야 한다.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하면, 접점부(112)가 본체(1) 또는 연결부(40)와 충돌하여 접점부(112)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는 경우에는 연결부(40) 또는 접점부(112)가 손상될 수 있다.
도 8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는 보호부재(132)가 후퇴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b는 보호부재(132)가 돌출 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가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b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가 제2위치와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c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가 제2위치와 돌출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접점부(112)와 본체(1) 또는 연결부(40)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보호부재(132)가 도시되어 있다. 보호부재(132)는 노브(120)의 조작에 의하여 접점부(112)와 함께 이동된다. 즉, 보호부재(132)는 토너 카트리지(100) 내부로 숨겨진 후퇴위치와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돌출된 돌출 위치를 갖는다. 일 예로서, 보호부재(132)는 이동 부재(13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보호부재(132)는 토너 카트리지(100) 내부에 수납된 후퇴 위치에 위치된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20)가 회전됨에 따라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보호부재(132)는 제2출입구(105)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로부터 돌출된 돌출 위치에 위치된다.
도 9b 및 도 10a를 참조하면, 장착 방향(A)을 기준으로 하여 보호부재(132)는 접점부(112)의 전방에 위치된다. 즉, 보호부재(132)의 장착 방향(A)의 최 전방면(132-1)은 접점부(112)의 장착 방향(A)의 최 전방면(112-1)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되면 보호부재(132)는 돌출위치에 위치된다.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할 때에, 접점부(112)가 본체(1) 또는 연결부(40)와 접촉되기 전에 보호부재(132)가 먼저 본체(1) 또는 연결부(40)와 접촉된다. 그러므로, 장착 과정에서 접점부(112)의 본체(1) 또는 연결부(40)와의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100)는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가 각각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노브(120)를 회전시키면, 이동 부재(130)가 슬리이딩되고,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가 함께 제2위치와 돌출위치로 슬라이딩된다. 본체(1)에는 보호부재(132)가 삽입되는 삽입부(50)가 마련된다.
도 10b를 참조하면, 보호부재(132)는 돌출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접점부(112)보다 더 돌출된 형태이다. 즉, 보호부재(132)의 선단부(132a)는 접점부(112)의 선단부(112a)보다 돌출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삽입부(50)가 연결부(40)보다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 쪽으로 더 가깝게 위치될 수도 있다. 접점부(112)와 연결부(40)와의 정렬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 즉 토너 카트리지(100)가 덜 삽입된 상태에서 접점부(112)가 연결부(40)에 삽입되면 접점부(112)가 연결부(40)와 충돌하여 손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점부(112)가 연결부(40)에 삽입되기 전에 보호부재(132)가 먼저 삽입부(50)에 삽입됨으로써 접점부(112)와 연결부(40)를 정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40)에의 삽입과정에서 접점부(112)의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노브(120)를 완전히 회전시키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는 연결부(40)에 삽입된 제2위치에 위치되며, 보호부재(132)는 삽입부(50)에 삽입된 돌출 위치에 위치된다.
도 10c에 도시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고자 하는 경우, 접점부(112)가 연결부(4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접점부(112)에 힘이 가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부재(132)도 삽입부(50)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접점부(112)에 가해지는 힘이 보호부재(132)에 의하여 분산된다. 따라서, 접점부(112)의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호부재(132)를 구비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100)를 장착하는 과정 및 탈거하는 과정에서 접점부(112)의 손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회전되는 노브(120)를 이용하여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딩되는 노브(도 11의 120-1)를 이용하여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11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100)는 슬라이딩되는 노브(120-1)가 채용된다는 점에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이동 부재(130-1)가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이동 부재(130-1)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배면 커버(104a)의 내측에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접점부(112)는 이동 부재(130-1)에 고정되고, 신호선(113)에 의하여 회로부(111)와 연결된다. 회로부(111)는 이동 부재(1301-)에 고정되어 접점부(112)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보호부재(132)는 이동 부재(130-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부재(130-1)에는 배면 커버(104a)를 향하여 돌출된 결합편(133)이 마련된다. 노브(120-1)는 홈(121)이 마련된 결합부(122)를 구비한다. 배면 커버(104a)에는 노브(120-1)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절개된 슬롯(104-3)이 마련된다. 결합부(122)는 배면 커버(104a)의 외측으로부터 슬롯(104-3)에 삽입되며, 결합편(133)은 결합부(122)의 홈(121)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노브(120-1)를 슬롯(104-3)을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접점부(112)를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노브(120-1)의 슬라이딩 방향은 접점부(112)의 이동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한 후에, 노브(120 또는 120-1)를 조작하여 접점부(112)를 제2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메모리유닛(110)이 본체(1)와 연결된다. 그런 후에 도어(12)를 닫는다.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한 후에 접점부(112)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로 도어(12)를 닫으면 메모리유닛(110)과 본체(1)는 연결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접점부(112)가 제2위치로 전환되지 않으면 도어(12)가 닫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토너 카트리지(100)와 본체(1)와의 연결 에러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 에러 방지를 위하여, 예를 들어 노브(120 또는 120-1)와 도어(12)와의 간섭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2는 연결 에러 방지 구조가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3a는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된 때의 노브(120)와 간섭부(12-1)와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3b는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의 노브(120)와 간섭부(12-1)와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어(12)에는 노브(120)를 향하여 돌출된 간섭부(12-1)가 마련된다. 노브(120)는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부(12-1)와 간섭되는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노브(120)는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부(12-1)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되고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어(12)를 닫을 경우, 간섭부(12-1)가 노브(120)와 간섭되어 도어(12)가 닫히지 않는다.
도 12 및 도 13a, 도 13b에 도시된 구조는 도 11에 도시된 슬라이딩되는 노브(120-1)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1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점부(112)가 제1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부(12-1)가 노브(120-1)와 간섭되며, 접점부(112)가 제2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20-1)는 간섭부(12-1)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된다.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본체(1)에 착탈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150)가 마련될 수 있다. 접점부(112)는 손잡이와 연동하여 제1,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손잡이(150)와 연동하여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가 채용된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15a와 도 15b에서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는 도 11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는 이동 부재(130-1)에 설치되고, 보호부재(132)는 이동 부재(130-1)와 일체로 형성된다. 노브(120-2)는 경사 가이드홈(120-4)을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1에 도시된 노브(120-1)와 동일하다.
도 15a와 도 15b를 참조하면, 손잡이(15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손잡이(150)는 예를 들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를 파지하기 위하여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도출된 파지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파지 위치로부터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에 접근된 수납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손잡이(150)의 회동 방향은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100)의 장착 방향(A)일 수 있다. 손잡이(150)의 회동운동은 전환유닛에 의하여 이동 부재(130-1)의 슬라이딩 운동으로 전환된다. 전환유닛은 예를 들어, 이동 부재(130-1)에 마련되는 경사 가이드 홈(120-4)과, 경사 가이드 홈(120-4)과 손잡이(15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6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경사 가이드홈(120-4)은 접점부(112)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며, 노브(120-2)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60)의 일측에는 경사 가이드홈(120-4)에 삽입되는 가이드 포스트(161)가 마련된다. 연결부재(160)의 타측은 손잡이(150)에 연결된다. 손잡이(150)가 토너 카트리지(100)에 장착방향(A)으로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결부재(160)와 손잡이(150)는 접점부(112)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162)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회동될 수 있게 연결된다.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하기 위하여는,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50)를 장착 방향(A)의 반대 방향, 즉 탈거 방향(B)으로 당겨서 손잡이(150)를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로부터 이격된 파지 위치에 위치시킨다. 손잡이(150)가 회동되면 연결부재(160)는 손잡이(150)를 따라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즉 탈거 방향(B)으로 이동된다. 가이드 포스트(161)는 경사 가이드홈(120-4)의 제1단부(120-4a)에 위치되며,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내측에 숨겨진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와 손잡이(150) 사이의 공간에 손을 넣어 손잡이(150)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100)를 든다. 손잡이(15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유지되며,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유지된다.
그런 다음, 도어(12)를 열고 토너 카트리지(100)를 개구부(11)를 통하여 본체(1)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도 1: 100-30)을 따라 본체(1)에 삽입한다.
삽입이 완료되면, 손잡이(150)를 장착 방향(A)으로 밀어서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연결부재(16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가이드 포스트(161)가 경사 가이드 홈(120-4)의 내벽을 밀다. 이 미는 힘에 의하여 노브(120-2) 및 이동 부재(130-2)가 접점부(112)가 제2위치로 이동되는 방향(C1)으로 슬라이딩된다. 손잡이(150)가 수납 위치에 도달되면, 가이드 포스트(161)는 경사 가이드 홈(120-4)의 제2단부(120-4b)에 도달되고,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제2위치 및 돌출 위치에 위치된다.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할 때에는 도어(12)를 열고 손잡이(150)를 탈거 방향(B)으로 당겨 파지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연결부재(16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가이드 포스트(161)는 경사 가이드 홈(120-4)의 내벽을 당기면서 제2단부(120-4b)로부터 제1단부(120-4a)로 이동된다. 이에 의하여 노브(120-2)와 이동 부재(130-2)는 접점부(112)가 제1위치로 이동되는 방향(C2)으로 슬라이딩된다. 손잡이(150)가 파지 위치에 도달되면,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각각 제1위치와 후퇴위치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와 손잡이(150) 사이의 공간에 손을 넣어 손잡이(150)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100)를 당겨서 본체(1)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손잡이(150)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100)를 탈거 또는 장착하는 동작에 의하여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를 각각 제1, 제2위치와 후퇴/돌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6a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손잡이(150-1)가 마련된다. 손잡이(150-1)는 토너 카트리지(100)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손잡이(150-1)는 예를 들어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를 파지하기 위하여 토너 카트리지(100)로부터 도출된 파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50-1)는 파지 위치로부터 점선으로 도시된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에 접근된 제1수납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된 손잡이(150-1)를 수납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몰입된 수납부(100-1a)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150-1)는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50-1)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개구부(111)에 대향되게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150-1)가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에 회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또한, 수납부(100-1a)는 후부(100-1)에 내측으로 몰입되게 형성된다. 손잡이(150-1)의 파지 위치와 제1수납 위치로의 회동에 연동되어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6b 및 도 16c는 손잡이(150-1)와 연동하여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들로서, 각각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에 위치된 상태와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접점부(112)가 장착 방향(A)과 직교하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토너 카트리지(100)의 상부(100-3)로부터 돌출된 제2위치에 위치된다.
도 16b와 도 16c를 참조하면, 이동 부재(130-3)는 토너 카트리지(10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가이드 핀(106)이 마련되고, 이동 부재(130-3)에는 가이드 핀(106)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가이드 슬롯(135)이 마련될 수 있다. 접점부(112)는 이동 부재(130-3)에 탑재된다. 토너 카트리지(100)의 상부(100-3)에는 접점부(112)가 출입되는 제1출입구(103)가 마련된다. 보호부재(132)는 이동 부재(130-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토너 카트리지(100)의 상부(100-3)에는 보호부재(112)가 출입되는 제2출입구(10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40)와 삽입부(50)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상측에 배치된다.
토너 카트리지(100)는 손잡이(150-1)의 회동을 이동 부재(130-3)의 슬라이딩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유닛을 구비한다. 전환유닛은 예를 들어 피니언-랙 기어 구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환유닛은 손잡이(150-1)의 회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하나 이상의 피니언(171)(172)과, 이동 부재(130-3)에 마련되어 피니언(172)과 맞물리는 랙기어(13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피니언(171)(172)을 채용하나, 이에 의하여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니언의 갯수는 손잡이(150-1)의 회동 방향을 고려하여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와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된 때에 접점부(112)를 각각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위치시키기 위한 것일 뿐이다. 예를 들어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손잡이(150-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파지 위치로부터 제1수납 위치로 전환되나, 손잡이(150-1)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파지 위치로부터 제1수납 위치로 전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피니언(172)는 불필요하며, 피니언(171)과 랙기어(136)가 맞물리면 된다. 즉, 피니언의 갯수는 손잡이(150-1)의 회동 방향과 이동 부재(130-1)의 슬라이딩 방향을 고려하여 짝수 또는 홀수일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하기 위하여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위치에 위치된 손잡이(150-1)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100)를 개구부(11)를 통하여 본체(1)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도 3b: 30)을 따라 본체(1)에 삽입한다.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각각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위치된다.
삽입이 완료되면, 손잡이(150-1)를 제1수납 위치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이때, 회동축(151)과 연결된 피니언(171)(172)도 회전되며 피니언(171)(172)의 회전은 랙기어(136)에 의하여 슬라이딩 운동으로 전환되어 이동 부재(130-3)가 D1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접점부(112)는 제1출입구(103)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100)의 상부(100-3)로부터 돌출되어 연결부(40)를 향하여 이동된다. 보호부재(132)는 제2출입구(105)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100)의 상부(100-3)로부터 돌출되어 삽입부(50)를 향하여 이동된다.
보호부재(132)의 선단부(132a)는 접점부(112)의 선단부(112a)보다 더 상방에 위치되므로, 보호부재(132)가 먼저 삽입부(50)에 삽입되어 접점부(112)와 연결부(40)를 정렬시킨다. 뒤이어 접점부(112)가 연결부(40)에 삽입된다.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50-1)가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되면,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제2위치 및 돌출 위치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어(12)를 연다. 손잡이(150-1)는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납 위치에 유지되며,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각각 제2위치와 돌출 위치에 유지된다. 손잡이(150)를 당겨 파지 위치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회동축(151)과 연결된 피니언(171)(172)도 회전되며 피니언(171)(172)의 회전은 랙기어(136)에 의하여 슬라이딩 운동으로 전환되어 이동 부재(130-3)가 D2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에 위치되면,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각각 제1위치와 후퇴위치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150-1)를 잡고 토너 카트리지(100)를 당겨서 본체(1)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로부터 분리된 때에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에 위치되면 토너 카트리지(100)의 외형이 커진다. 손잡이(150-1)를 제1수납 위치로 전환시키면 토너 카트리지(100)의 외형은 작아지지만 접점부(112)가 돌출되어 접점부(112)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로부터 분리된 때에 토너 카트리지(100)의 외형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도 17a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손잡이(150-1)가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7c는 도 17a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에 위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7d와 도 17e는 각각 손잡이(150-1)의 회동축(151)과 피니언(171)과의 연결관계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손잡이(150-1)는 파지 위치(점선으로 도시)와 토너 카트리지(100)의 후부(100-1)에 마련된 수납부(100-1a)에 수납된 제2수납 위치로 슬라이딩된다. 이를 위하여, 도 17b와 도 17c를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100)에는 가이드 슬롯(107)이 마련된다. 회동축(151)은 가이드 슬롯(107)에 삽입되어 가이드 슬롯(107)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파지 위치와 제2수납 위치로 이동되는 손잡이(150-1)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e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100)는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와 제2수납 위치로 슬라이딩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6a 내지 도 16c에 도시된 토너 카트리지(100)와 동일하다. 따라서,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와 제1수납 위치로 회동되는 동작에 의하여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은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손잡이(150-1)는 파지 위치에서 도 16a에 도시된 제1수납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손잡이(150-1)의 회동축(151)는 파지 위치와 제1수납 위치에 위치된 때에 전환유닛과 연결되며,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전환유닛으로부터 해제된다. 예를 들어, 손잡이(150-1)가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된 때에 피니언(171)과 회동축(151)과의 연결이 해제되며,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에 위치된 때에 피니언(171)과 회동축(151)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도 16b및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50-1)를 파지 위치와 제1수납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접점부(112)를 제1위치와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7d와 도 17e를 참조하면, 회동축(151)과 피니언(171)에는 제1, 제2결합부(151a)(171b)가 각각 마련된다. 제1, 제2결합부(151a)(171b)는 손잡이(150-1)가 회동될 때에 피니언(171)이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상보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결합부(151a)는 회동축(151)에 손잡이(150-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편의 형태일 수 있으며, 제2결합부(171b)는 연장편이 삽입될 수 있도록 피니언(171)의 중심축(171a)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연장홈의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17e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50-1)가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된 때에는 회동축(151)과 피니언(171)과의 연결이 해제되며,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로 슬라이딩되면, 제2결합부(171b)에 제1결합부(151a)가 삽입되어 회동축(151)과 피니언(171)이 서로 연결되며, 손잡이(150-1)가 제1수납 위치로 회동되면 피니언(171)도 회동된다.
본체(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손잡이(150-1)는 도 17a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납 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회동축(151)과 피니언(171)의 연결은 해제된 상태이다.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위치된다.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하기 위하여, 손잡이(150-1)를 당겨 도 17a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위치로 슬라이딩시킨다. 손잡이(150-1)가 파지 위치에 도달되면, 회동축(151)에 마련된 제1결합부(151a)가 피니언(171)의 제2결합부(171b)에 결합되어 회동축(151)과 피니언(171)이 서로 연결된다.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도 16b 및 도 16c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에 장착하고 손잡이(150-1)를 밀어 제1수납 위치로 회동시키면, 손잡이(150-1)의 회동동작에 의하여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제2위치와 돌출위치로 각각 이동되어 연결부(40)와 삽입부(50)에 각각 삽입된다.
토너 카트리지(100)를 탈거하는 과정 역시 도 16c 및 도 16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토너 카트리지(100)의 탈거가 완료되면, 손잡이(150-1)를 밀어 제2수납 위치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러면, 회동축(151)에 마련된 제1결합부(151a)가 피니언(171)의 제2결합부(171b)로부터 이탈되고, 회동축(151)과 피니언(171)의 연결이 해제되며,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는 제1위치와 후퇴위치에 각각 유지된다. 손잡이(150-1)를 제2수납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본체(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는 작은 외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토너 카트리지(100)는 소모품의 형태로 제공될 때에 포장된 상태에서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운송을 위한 적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6a 내지 도 16c 및 도 17a 내지 도 17e에 도시된 실시예는 접점부(112)가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8은 토너 카트리지(100)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후면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접점부(112)가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로부터 돌출된 제2위치에 위치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손잡이(150-1)의 회동축(151)과 연결되는 피니언(171)은 베벨 기어이다. 피니언(171)과 연결되는 피니언(172)은 베벨기어(172a)와 평기어(171b)를 구비한다. 베벨기어(172a)와 평기어(171b)는 공통의 회전축(172c)을 가지며, 회전축(172c)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피니언(171)과 피니언(172)은 서로 직교하는 회전축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피니언(171), 베벨기어(172a), 평기어(171b), 및 랙기어(136)가 순차로 연결됨으로써, 손잡이(150-1)의 파지 위치로부터 제1수납 위치(도 18에 점선으로 도시)로의 회동에 의하여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가 각각 토너 카트리지(100)의 측부(100-2)로부터 돌출된 제2위치와 돌출위치에 위치되도록 이동 부재(130-3)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벨기어 형태의 피니언(171)과 베벨기어(172a)의 배치 각도에 따라서 이동 부재(130-3)는 접점부(112)와 보호부재(132)가 토너 카트리지(100)의 전부(100-4)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도 있다.
접점부(112)가 사용자의 노브 조작 또는 카트리지를 착탈하기 위한 손잡이의 조작에 연동되어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점부(112)는 도어(12)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제1, 제2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노브(120-1)는 도어(12)를 닫는 동작 및/또는 여는 동작에 의하여 슬라이딩되어 접점부(112)를 제2위치 및/또는 제1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5a, 도 15b에 도시된 손잡이(150)는 도어(12)를 닫는 동작 및/또는 여는 동작에 의하여 회동되어 노브(120-2)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접점부(112)를 제2위치 및/또는 제1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6a 및 도 17a에 도시된 손잡이(150-1)는 도어(12)를 닫는 동작에 의하여 회동되어 피니언(151)을 회전시킴으로써 접점부(112)를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접점부(112)는 카트리지를 본체(1)에 장착하는 동작에 의하여 제1, 제2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이동부재는 카트리지를 본체(1)에 장착할 때에 본체(1)에 마련된 작동부재(미도시)와 연결되어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접점부(112)가 제2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카트리지가 본체(1)로부터 탈거될 때에 접점부(112)는 제1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접점부(112)는 고정된 위치에 위치되고 연결부(40)가 이동될 수도 있다.
도 19a와 도 19b는 연결부(40)가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들이다. 도 19a는 연결부(40)가 접점부(112)로부터 해제된 해제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19b는 연결부(40)가 접점부(112)와 연결된 연결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9a와 도 19b를 참조하면, 접점부(112)는 토너 카트리지(100)에 위치된다. 접점부(112)는 토너 카트리지(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100)의 예를 들어 측부(100-2)에는 연결부(40)가 출입되는 출입구(103-1)가 마련된다. 본체(1)에는 이동부재(510)가 장착방향(A)에 직교하는 방향,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100)의 폭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연결부(40)는 이동부재(510)에 탑재된다. 이동부재(5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연결부(40)가 접점부(112)와 연결된 연결위치와, 접점부(112)로부터 해제된 해제위치로 이동된다. 이를 위하여, 이동부재(510)는 노브(520)를 구비한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가 열린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다. 이때, 연결부(40)는 해제 위치에 위치된다. 토너 카트리지(100)를 장착한 후에 사용자는 노브(520)를 잡고 이동부재(510)를 M1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연결부(40)는 출입구(103-1)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100)의 내부에 위치된 접점부(112)에 접근하며,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부(112)에 연결된 연결 위치에 위치된다. 토너 카트리지(100)를 탈거하기 위하여, 도 19b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12)를 열고, 이동부재(510)를 M2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연결부(40)는 접점부(112)로부터 해제되어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연결부(40)를 연결위치와 해제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에서 보호부재(132)와 삽입부(50)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보호부재(132)가 이동부재(510)와 일체로 형성되고, 토너 카트리지(100)에 보호부재(132)가 삽입되는 삽입부(5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호부재(132)는 연결부(40)가 접점부(112)에 연결되기 전에 삽입부(50)에 삽입되어 연결부(40)와 접점부(112)를 정렬시킬 수 있으며, 연결부(40)가 해제위치로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로부터 탈거되는 경우에 보호부재(132)와 삽입부(50)는 연결부(40) 및 접점부(112)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하는 기능을 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연결부(40)는 도어(12)의 닫힌 동작에 의하여 연결위치로 이동될 수도 있다. 도 20a와 도 20b는 연결부(40)가 도어(12)의 닫힌 동작과 연동되어 이동되는 구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들이다. 도 20a는 연결부(40)가 접점부(112)로부터 해제된 해제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20b는 연결부(40)가 접점부(112)와 연결된 연결위치에 위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0a와 도 20b를 참조하면, 이동부재(510-1)는 그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부(530)를 구비하는 점에서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이동부재(510)와 차이가 있다. 도어(12)에는 닫힐 때에 경사부(530)에 접촉되어 미는 푸쉬 레버(12-9)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토너 카트리지(100)가 본체(1)에 장착된 후에 도어(12)를 닫으면, 푸쉬 레버(12-9)가 경사부(530)를 민다. 그러면, 이동부재(510-1)는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1방향으로 이동되며, 연결부(40)는 접점부(112)에 연결된 연결위치로 이동된다. 탄성부재(540)는 연결부(40)가 해제위치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동부재(510-1)에 탄성력을 가한다.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하기 우하여 도어(12)를 열면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부재(510-1)가 M2방향으로 이동되고, 연결부(40)는 접점부(112)로부터 해제된 해제위치로 복귀된다. 탄성부재(540)가 없는 경우에는 도어(12)를 열고 노브(520)를 이용하여 이동부재(510-1)를 M2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토너 카트리지(100)를 본체(1)로부터 탈거할 수 있다.
이상, 토너 카트리지(100)가 이미징 카트리지(400)와 분리되어 교체되는 구조에서 토너 카트리지(100)에 설치된 메모리유닛(110)의 접점부(112)를 제1,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구조는 토너 수용부(101)를 구비하는 현상 카트리지(300)가 감광체 카트리지(200)과 분리되어 교체되는 제3구조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토너 카트리지(100)는 현상 카트리지(300)로 대체된다. 메모리유닛(110)은 현상 카트리지(300)가 본체(1)에 장착되면 본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현상 카트리지(300)의 정보를 본체(1)로 전달한다. 메모리유닛(110)에는 현상 카트리지(300)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정보, 예를 들어, 제조사에 대한 정보, 제조일시에 대한 정보, 일련 번호, 모델 명 등과 같은 고유 정보, 각종 프로그램, 전자 서명 정보 및 사용 상태(예를 들어, 현재까지 몇 매를 인쇄하였는지, 인쇄 가능한 잔여 매수가 얼마인지, 토너 잔량이 얼마인지 등)에 대한 정보, 현상 카트리지(300)의 수명, 셋업 메뉴 등에 대한 정보까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접점부(112)가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구조는 감광체 카트리지(200)와 현상 카트리지(300)와 토너 카트리지(100)가 일체로 된 제4구조의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토너 카트리지(100)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로 대체된다. 메모리유닛(110)은 프로세스 카트리지(2)가 본체(1)에 장착되면 본체(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정보를 본체(1)로 전달한다. 메모리유닛(110)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정보, 예를 들어, 제조사에 대한 정보, 제조일시에 대한 정보, 일련 번호, 모델 명 등과 같은 고유 정보, 각종 프로그램, 전자 서명 정보 및 사용 상태(예를 들어, 현재까지 몇 매를 인쇄하였는지, 인쇄 가능한 잔여 매수가 얼마인지, 토너 잔량이 얼마인지 등)에 대한 정보, 프로세스 카트리지(2)의 수명, 셋업 메뉴 등에 대한 정보까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본체 2...현상기
11...개구부 12...도어
12-1...간섭부 13...노광기
14...전사롤러 15...정착기
21...감광드럼 22...현상롤러
23...대전롤러 24...클리닝 롤러
25...클리닝 블레이드 26...규제부재
27,...공급롤러 30...가이드 레일
40...연결부 50...삽입부
100...토너 카트리지 101....토너수용부
102...토너 공급부 103, 105...제1, 제2출입구
104, 104a...배면 커버 107...가이드 슬롯
100-30...가이드 돌기 110...메모리유닛
111...회로부 112...접점부
113...신호선 120, 120-1, 120-2...노브
120-4...경사 가이드홈 130, 130-1, 130-2, 130-3...이동 부재
132...보호부재 150, 150-1...손잡이
151...손잡이의 회동축 160...연결부재
161...가이드 포스트 171, 172...피니언
200...감광체 카트리지 300...현상 카트리지
400...이미징 카트리지

Claims (24)

  1.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되는 카트리지로서,
    상기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정보를 상기 본체로 전달하는 메모리유닛;
    상기 접점부를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상기 본체에 마련된 연결부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접점부와 연결된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노브는 상기 접점부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상기 도어에 마련된 간섭부와 접촉되는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를 탑재하고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이동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노브는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부재와 연결된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가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에 숨겨진 후퇴 위치와 상기 본체에 마련된 삽입부에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보호부재;를 더 구비하는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접점부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기 전에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접점부와 상기 연결부를 정렬시키는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접점부의 선단부보다 상기 접점부의 이동 방향으로 더 돌출된 카트리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방향과 직교하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으로 상기 접점부의 전방에 위치되는 카트리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를 탑재하고 상기 제1, 제2위치로 이동되는 이동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노브는 상기 이동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후부에 설치되는 카트리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본체에 마련된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에 착탈되며,
    상기 노브는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개구부와 대향된 부분에 설치되는 카트리지.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를 착탈하기 위한 손잡이;를 더 구비하며,
    상기 노브는 상기 손잡이와 인접되게 위치되는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접점부의 이동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카트리지.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돌출된 파지 위치와 상기 카트리지에 접근된 수납 위치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연동하여 이동되는 카트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동에 따라 상기 접점부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가이드 포스트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노브에는 상기 접점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고, 상기 가이드 포스트가 삽입되는 경사 가이드 홈이 마련된 카트리지.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회전식 노브이며,
    상기 노브에 의하여 회전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도록 상기 이동 부재에 마련되는 랙 기어;를 더 구비하는 카트리지.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1항에 있어서,
    토너가 수용된 토너 수용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21. 제1항에 있어서,
    현상롤러;
    상기 현상롤러에 공급될 토너가 수용된 토너 수용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22. 제1항에 있어서,
    토너가 수용된 토너 수용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상기 토너 수용부의 토너를 상기 정전잠상에 공급하는 현상롤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23.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것으로서, 제1항 내지 제14항 또는 상기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24.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카트리지의 정보를 상기 본체로 전달하는 메모리유닛;
    상기 접점부를, 상기 카트리지의 내부로 숨겨진 제1위치와, 상기 본체에 마련된 연결부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외부로 돌출된 제2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접점부와 연결된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에는 상기 접점부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상기 노브에 접촉되는 간섭부가 마련된 화상형성장치.
KR1020140029157A 2014-03-12 2014-03-12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1580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157A KR101580224B1 (ko) 2014-03-12 2014-03-12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BR112015021942-0A BR112015021942B1 (pt) 2014-03-12 2014-11-04 Cartucho e aparelho formador de imagem eletrofotográfica utilizando o mesmo
PCT/KR2014/010467 WO2015137588A1 (en) 2014-03-12 2014-11-04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14/540,698 US9465357B2 (en) 2014-03-12 2014-11-13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S17176715T ES2787275T3 (es) 2014-03-12 2014-12-09 Cartucho y aparato de formación de imagen electrofotográfica que usa el mismo
EP17176715.5A EP3244267B1 (en) 2014-03-12 2014-12-09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PL17176715T PL3244267T3 (pl) 2014-03-12 2014-12-09 Wkład i wykorzystujący go aparat do elektrofotograficznego tworzenia obrazów
EP14196962.6A EP2919074B1 (en) 2014-03-12 2014-12-09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N201520083832.4U CN204557052U (zh) 2014-03-12 2015-02-05 墨盒及使用该墨盒的电子照相成像设备
CN201520494821.5U CN204807917U (zh) 2014-03-12 2015-02-05 墨盒及使用该墨盒的电子照相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157A KR101580224B1 (ko) 2014-03-12 2014-03-12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278A Division KR101564565B1 (ko) 2015-05-01 2015-05-01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150181855A Division KR101649277B1 (ko) 2015-12-18 2015-12-18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726A KR20150106726A (ko) 2015-09-22
KR101580224B1 true KR101580224B1 (ko) 2015-12-24

Family

ID=5201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157A KR101580224B1 (ko) 2014-03-12 2014-03-12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465357B2 (ko)
EP (2) EP3244267B1 (ko)
KR (1) KR101580224B1 (ko)
CN (2) CN204557052U (ko)
BR (1) BR112015021942B1 (ko)
ES (1) ES2787275T3 (ko)
PL (1) PL3244267T3 (ko)
WO (1) WO20151375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77364T3 (es) * 2015-07-31 2021-11-1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Suministros de imágenes
JP6546559B2 (ja) * 2016-03-31 2019-07-17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処理装置、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662315B2 (ja) * 2017-01-17 2020-03-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6958021B2 (ja) * 2017-06-23 2021-11-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7047277B2 (ja) 2017-08-01 2022-04-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415664B1 (ja) * 2017-09-27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102774B2 (ja) 2018-02-23 2022-07-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KR20200107454A (ko) * 2019-03-08 2020-09-1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카트리지의 파지부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구조
JP7318463B2 (ja) 2019-09-30 2023-08-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2018139A (ja) 2020-07-15 2022-01-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2731781A (zh) * 2020-07-29 2021-04-30 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 处理盒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5863A (ja) * 2001-06-05 2002-12-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7079284A (ja) * 2005-09-15 2007-03-29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220649A (ja) 2012-04-19 2013-10-28 Brother Industries Ltd 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5733A (ja) * 1998-08-31 2000-03-14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取り付け方法、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交換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6834173B2 (en) * 2001-11-05 2004-12-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apparatus process cartridge having a locking portion to prevent the cartridge from disengaging from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ing such a cartridge
JP2004061596A (ja) * 2002-07-25 2004-02-26 Canon Inc 不揮発性メモリ搭載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3970279B2 (ja) 2004-07-30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840998B2 (en) 2005-05-20 2010-11-23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replaceable modules
EP1821157A3 (en) * 2006-02-20 2013-08-2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Toner cartridge, process cartridge, imag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thoses cartridges are attachable
US7272336B1 (en) * 2006-10-30 2007-09-18 Lexmark International, Inc. Cartridge with a movable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an image forming device
JP4370532B2 (ja) 2007-03-28 2009-11-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933290B1 (ko) 2008-02-22 2009-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부,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US8634743B2 (en) * 2009-03-27 2014-01-21 Fuji Xerox Co., Ltd. Detachable bod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1639647B (zh) * 2009-06-12 2013-02-20 珠海赛纳打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锁定机构的碳粉盒
KR101636550B1 (ko) * 2009-09-28 2016-07-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5094823B2 (ja) * 2009-12-02 2012-12-12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KR101446698B1 (ko) 2012-08-28 2014-10-0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음극 활물질 및 리튬 이차 전지
JP6161427B2 (ja) * 2012-09-07 2017-07-12 キヤノン株式会社 移動可能に設けられたカバーを有する装置
US8913948B2 (en) * 2013-02-19 2014-12-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nector for printer accessor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5863A (ja) * 2001-06-05 2002-12-18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7079284A (ja) * 2005-09-15 2007-03-29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220649A (ja) 2012-04-19 2013-10-28 Brother Industries Ltd 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4267B1 (en) 2020-03-25
US9465357B2 (en) 2016-10-11
KR20150106726A (ko) 2015-09-22
ES2787275T3 (es) 2020-10-15
EP2919074B1 (en) 2017-08-09
PL3244267T3 (pl) 2020-07-13
BR112015021942B1 (pt) 2022-03-29
BR112015021942A8 (pt) 2021-06-01
BR112015021942A2 (pt) 2017-07-18
WO2015137588A1 (en) 2015-09-17
EP2919074A1 (en) 2015-09-16
CN204807917U (zh) 2015-11-25
CN204557052U (zh) 2015-08-12
EP3244267A1 (en) 2017-11-15
US20150261181A1 (en)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224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1585058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150106729A (ko)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9651894B2 (en) Developer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9360835B2 (en) Substrate mounting structure, developer container, image forming unit,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ubstrate mounting method
KR100547130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CN106527077B (zh) 图像形成装置
US9804557B2 (en) Developing device attachable to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649277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547128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KR101564565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6428217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50098421A (ko) 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11237519B2 (en) Cartridge unit
JP2017215522A (ja) 容器保持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18656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装置
JPH03179474A (ja) 画像形成装置の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