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082B1 -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082B1
KR101041082B1 KR1020080044254A KR20080044254A KR101041082B1 KR 101041082 B1 KR101041082 B1 KR 101041082B1 KR 1020080044254 A KR1020080044254 A KR 1020080044254A KR 20080044254 A KR20080044254 A KR 20080044254A KR 101041082 B1 KR101041082 B1 KR 101041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ver
process cartridge
cartridge uni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2100A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134,507 priority Critical patent/US7751747B2/en
Priority to CN2008102147043A priority patent/CN101334627B/zh
Publication of KR20080112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7Drive mechanisms for photosensitive medium, e.g. ge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손잡이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여 설치를 위한 공간점유를 줄일 수 있고 손잡이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개시한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과,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의 장착을 위해 본체에 형성된 개구와,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은 현상제를 수용하는 용기와, 용기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손잡이는 커버를 닫을 때 커버에 의해 접히고 커버를 개방할 때 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PROCESS CARTRIDG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잡이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을 응용하는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팩스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표면으로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 잠상을 가시화상으로 변환하고, 이를 용지에 전사하여 정착시킨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 현상롤러,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용기를 구비한다.
현상제는 소모품이고, 감광드럼이나 현상롤러는 다른 부품에 비하여 수명이 짧다. 따라서 최근의 화상형성장치는 이러한 부품들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부품들을 일체화한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을 채용하고 있다.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을 교체함으로써 관련 소모부품들을 일시에 교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을 채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을 장착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개구와,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에는 사용자가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을 손 쉽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의 손잡이로 인하여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의 부피(또는 길이)가 크기 때문에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의 수용을 위해 본체 내에 큰 공간을 확보해야 했다. 따라서 본체의 부피를 소형화하기 어려웠다. 또 본체로부터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을 분리할 때 손잡이를 잡기 위해 사용자가 본체 내부로 손을 진입시켜야 하는 불편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은 현상제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화상형성장치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닫을 때 상기 커버에 의해 접히고 상기 커버를 개방할 때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커버를 개방할 때 상기 개구의 외측으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를 개방할 때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결합부에는 상기 손잡이를 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용기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커버에 대한 상기 손잡이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면을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손잡이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과,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의 장착을 위해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은 현상제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커버를 닫을 때 상기 커버에 의해 접히고 상기 커버를 개방할 때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는 상기 손잡이의 하측 단부를 밀어 올리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이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은 본체를 개폐하는 커버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가 닫힐 때 상기 커버와 접하는 접 점을 가지고, 상기 손잡이의 회전 중심과 상기 접점을 연결한 직선이 상기 손잡이에 접한 상기 커버와 이루는 각도(α)는 90°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개구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은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은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가지고,상기 손잡이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은 손잡이가 본체의 커버를 닫을 때 회전하면서 접히고 본체의 커버를 개방할 때 회전하면서 펴지기 때문에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상태의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부피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커버를 개방하는 동작만으로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의 손잡이가 개구를 통해 본체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의 손잡이를 쉽게 파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화상형성장치는 용지(P)를 적재하는 급지유닛(10), 용지(P)를 이송하는 이송유닛(20),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수단, 용지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40), 용지를 배출시키는 배지유닛(50)을 구비한다.
급지유닛(10)은 본체(1) 하부에 설치된다. 급지유닛(10)은 카세트방식으로 장착되는 급지트레이(11)와, 급지트레이(11) 내부의 용지(P)를 상측의 픽업롤러(15)로 밀어 주는 가압판(12) 및 가압스프링(13)을 포함한다. 가압스프링(13)은 가압판(12) 하부에 설치되고 가압판(12)을 픽업롤러(15) 쪽으로 밀어 준다. 픽업롤러(15)는 회전에 의해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이송유닛(20)으로 공급한다.
이송유닛(20)은 픽업롤러(15)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인쇄경로(A)로 이송한다. 이송유닛(20)은 이송롤러(21) 및 이송백업롤러(22), 인쇄경로(A)를 형성하는 이송가이드(23)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수단은 인쇄경로(A)에 위치하는 감광롤러(31), 감광롤러(31)를 대전하는 대전롤러(32), 대전된 감광롤러(31)로 화상신호에 따라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감광롤러(31)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LSU(33, Laser Scanning Unit), 감광롤러(31)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현상롤러(34), 그리고 감광롤러(31)에 형성된 화상이 용지로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롤러(35)를 포함한다. 감광롤러(31)는 대전롤러(32)의 대전에 의해 음전하를 띠게 되고, 그 표면 에는 LSU(33)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정전 잠상이 생긴다. 현상롤러(34)는 음전하를 띤 현상제를 감광롤러(31)의 정전 잠상에 부착시켜 화상을 형성한다. 양전하를 띤 전사롤러(35)는 감광롤러(31)에 부착된 현상제를 용지로 전사한다.
정착유닛(40)은 가열롤러(41)와 가압롤러(42)를 구비한다. 정착유닛(40)은 가열롤러(41)와 가압롤러(42) 사이로 용지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용지에 전사된 현상제(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현상제가 용지에 융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배지유닛(50)은 정착유닛(40)을 거친 용지를 본체(1) 상부의 배지부(3)로 이송한다. 배지유닛(50)은 용지를 배지부(3)로 안내하는 배지가이드들(51)과, 배지경로(B)에 배치된 복수의 배지롤러들(52)을 구비한다.
한편 본 실시 예의 화상형성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롤러(31)와 대전롤러(32)가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과 일체화된 형태이다. 즉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은 그 내부에 현상제를 수용하는 용기(61)로서 기능하고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는 프레임(61a)과, 현상제를 감광롤러(31)로 공급하는 현상롤러(34), 현상제의 이송을 위해 용기(61) 내에 설치된 이송블레이드들(62,63) 뿐 아니라 상술한 감광롤러(31)와 대전롤러(32)가 일체화된 형태이다. 이는 감광롤러(31)와 대전롤러(32) 등이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과 일체화됨으로써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을 교체할 때 이들도 함께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의 예에서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은 감광롤러(31)와 대전롤러(32)를 포함하는 형태이지만,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이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 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은 감광롤러와 대전롤러 등을 배제하고 현상제 공급과 직접 관련되는 부품인 용기, 현상롤러, 이송블레이드들 만이 일체화된 형태일 수 있다. 또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은 현상롤러 및 현상제를 수용하는 용기와 현상제의 보충을 위한 용기가 별도일 수 있다. 현상제 보충을 위한 용기만이 본체 외부로 분리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 측면에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의 교체를 위한 개구(5)와, 개구(5)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6)가 마련된다. 커버(6)는 상하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하단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을 교체할 때는 커버(6)를 열고 개구(5)를 통해 분리한다.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 단부에 각각 마련된 손잡이(70)를 구비한다. 사용자가 본체(1)로부터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을 분리할 때 양측의 손잡이(70)를 잡고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각 손잡이(7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61) 양측에 마련된 축(6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결합부(71), 축결합부(71)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파지부(72), 축결합부(71)로부터 파지부(72) 반대편으로 연장된 스토퍼부(73)를 구비한다. 이는 손잡이(70)가 용기(61)에 대하여 상하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파지부(72)의 단부에서 커버(6)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면(72a)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면(72a)은 커버(6)가 손잡이(70)를 밀어 올리기 시작할 때(도 3의 가상선 참조), 손잡이(70)의 파지부(72)가 커버(6)의 내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이러한 손잡이(7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을 본체(1)에 장착한 후 커버(6)를 닫을 때 커버(6) 내면에 의해 밀려 상부로 회전하며 접힌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을 분리하기 위해 커버(6)를 열 때는 손잡이(70)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회전하면서 펴진다. 또 손잡이(70)가 펴질 때는 스토퍼부(73)가 용기(61)의 걸림부(66)에 걸림으로써 파지부(72)가 대략 수평으로 유지되고, 파지부(72)가 본체(1)의 개구(5) 외측으로 펼쳐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1) 외부에서 손잡이(70)를 잡고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을 분리할 수 있다.
이처럼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은 커버(6)의 개폐에 따라 손잡이(70)가 상하로 회전하면서 접히거나 펴지기 때문에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의 설치를 위한 본체(1) 내부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의 손잡이(70)로 인한 본체(1)의 내부공간 점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의 부피도 줄일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커버(6)를 열 때 손잡이(70)가 자중에 의해 스스로 펴지고 커버(6)를 닫을 때 커버(6) 내면에 의해 밀리면서 접히기 때문에 손잡이(70)를 접거나 펴기 위한 별도의 조작이 필요하지 않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를 개방할 때 손잡이(70)는 자중에 의해 펴질 수 있다. 이처럼 손잡이(70)가 펴지는 동작이 더욱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70)의 축결합부(71) 쪽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도 5의 예는 손잡이(70)의 축결합부(71) 쪽에 토션스프링(80)을 설치한 것이다. 도 6의 예는 손잡이(70)의 축결합부(71) 쪽에 손잡 이(90)로부터 탄성변형 가능하게 연장되며 용기(61)의 걸림부(66)에 지지되는 탄성지지부(90)를 마련한 것이다. 탄성지지부(90)는 손잡이(7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은 손잡이(70)가 펴지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함으로써 커버(6)를 개방할 때 손잡이(70)가 더욱 쉽게 펴지도록 할 수 있다.
손잡이(70)가 토션스프링(80) 또는 탄성지지부(90)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에는 도 1의 예처럼 손잡이(70) 및 커버(6)가 본체(1)의 측면 쪽에 위치하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손잡이(70)가 개구 외측으로 돌출하면서 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의 교체를 위한 개구가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커버가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경우이더라도 커버를 개방하면 손잡이가 개구 외측으로 회전하면서 펴질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는 손잡이(70)의 접힘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7)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7)는 커버(6)가 닫히는 과정에서 손잡이(70)가 원활하게 회전하며 접힐 수 있도록 안내한다. 즉, 도 3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커버(6)가 손잡이(70)의 단부와 접촉할 때 커버(6)와 손잡이(70) 간의 마찰로 인해 손잡이(70)가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데,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7)는 커버(6)가 닫힐 때 손잡이(70)의 단부를 위쪽으로 살짝 밀어올림으로써 손잡이(70)의 접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부(7)는 커버(6)의 내면(6a)에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7a)로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7a)는 커버(6)가 닫힐 때 커버(6)의 내면(6a)보다 먼저 손잡이(70)에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7)가 돌기 형태로 구성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손잡이(70)의 하측 단부를 밀어 올려 손잡이(70)의 접힘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른 형태로도 변경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에서 프레임을 생략하고 손잡이(70a)만을 도시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의 손잡이(70a)는 본체(1)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70a)가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면, 커버(6)가 손잡이(70a)에 접하게 되는 시점에서 손잡이(70a)가 보다 원활하게 접힐 수 있게 된다.
도 8과 같이 커버(6)가 손잡이(70a)에 접하게 되는 시점에서 손잡이(70a)가 커버(6)에 의해 원활하게 접힐 수 있으려면, 손잡이(70a)와 커버(6)가 접하는 접점(C)과 손잡이(70a)의 회전 중심(O1)을 연결한 직선(X)이 커버(6)의 회전 중심(O2) 쪽으로 커버(6)의 내면(6a)과 이루는 각도(α)는 90°보다 작아야 한다.
도 8과 같은 상태에서 커버(6)가 수평 방향(H)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θ1, 상기 직선 X가 수평 방향(H)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θ2라 하면, 상기 각도(α)는 θ1-θ2가 된다.
상기 각도(α)가 작을 수록 손잡이(70a)의 접힘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θ1이 작은 값을 갖거나 θ2가 큰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θ1이 작은 값이 되도록 하려면 손잡이(70a)가 본체(1)의 외측으로 많이 돌출되어야 하므로, θ1이 작은 값을 가지도록 하는 대신에 θ2가 큰 값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바람직하다.
상기 θ2가 큰 값을 가진다는 것은 손잡이(70a)가 상향으로 경사진 정도가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손잡이(70a)의 설치 각도만을 고려하면 손잡이(70a)의 설치 각도와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의 장착(또는 분리) 각도가 크게 차이게 남에 따라 사용자가 손잡이(70a)를 잡고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을 착탈할 때 불편함을 느낄 수가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은 수평 방향으로 장착 또는 분리되도록 설치되는 반면에 손잡이(70a)는 수평 방향에 대해 큰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다면, 사용자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을 손쉽게 착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잡이(70a)를 잡고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에 가하는 힘의 방향이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의 분리 방향, 즉 수평 방향과 크게 어긋남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 이상의 큰 힘을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에 가해야만 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을 분리해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 9와 같이,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a)이 본체(1)에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하고, 손잡이(70a)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a)의 설치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 직선 P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a)의 설치 방향, 즉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a)이 본체(1)에 장착(또는 분리)되는 방향을 나타나는 직선이고, 직선 Q는 손잡이(70a)의 설치 방향을 나타내는 직선이다. 그러나 손잡이(70a)의 접힘 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손잡이(70a)를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a)의 설치 방향보다 약간 더 상측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체(1)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a)의 장착 또는 분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8)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8)은 본체(1) 내부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참조 부호 67은 가이드레일(8)에 의해 안내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a)의 가이드돌기로서,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a)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에 가이드레일(8)이 구비되는 경우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a)의 장착 또는 분리 방향은 가이드레일(8)의 각도에 의해 결정되므로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60a)의 손잡이(70a)는 가이드레일(8)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이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C부 상세도로, 커버가 닫힌 상태이다.
도 4는 도 1의 C부 상세도로, 커버가 열린 상태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현상장치에 채용된 탄성부재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의 설치 방향과 손잡이의 설치 각도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체, 3: 배지부,
5: 개구, 6: 커버,
10: 급지유닛, 20: 이송유닛,
40: 정착유닛, 50: 배지유닛,
60, 60a: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61: 용기,
70, 70a: 손잡이, 71: 축결합부,
72: 파지부, 73: 스토퍼부,
80: 토션스프링, 90: 탄성지지부.

Claims (22)

  1. 화상형성장치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은 현상제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닫을 때 상기 커버에 의해 접히고 상기 커버를 개방할 때 상기 개구의 외측으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를 개방할 때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결합부에는 상기 손잡이를 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용기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커버에 대한 상기 손잡이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8.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과,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의 장착을 위해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은 현상제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커버를 닫을 때 상기 커버에 의해 접히고 상기 커버를 개방할 때 상기 개구의 외측으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를 개방할 때 자중에 의해 회전하면서 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축결합부에는 상기 손잡이를 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용기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손잡이의 하측 단부를 밀어 올리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이 상기 본체에 착탈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본체를 개폐하는 커버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에 있어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커버를 개방할 때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펴지고 상기 커버가 닫힐 때 상기 커버와 접하는 접점을 가지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회전 중심과 상기 접점을 연결한 직선이 상기 손잡이에 접한 상기 커버와 이루는 각도(α)는 9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19. 개구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은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상기 커버를 개방할 때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펴지고 상기 커버가 닫힐 때 상기 커버와 접하는 접점을 가지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은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상기 본체에 장 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가지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회전 중심과 상기 접점을 연결한 직선이 상기 손잡이에 접한 상기 커버와 이루는 각도(α)는 9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044254A 2007-06-20 2008-05-14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KR101041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34,507 US7751747B2 (en) 2007-06-20 2008-06-06 Process cartridg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08102147043A CN101334627B (zh) 2007-06-20 2008-06-13 处理盒单元和包含该处理盒单元的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0208 2007-06-20
KR1020070060208 2007-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100A KR20080112100A (ko) 2008-12-24
KR101041082B1 true KR101041082B1 (ko) 2011-06-13

Family

ID=40197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254A KR101041082B1 (ko) 2007-06-20 2008-05-14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41082B1 (ko)
CN (1) CN1013346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4425B2 (ja) * 2010-03-17 2014-07-0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カバーの開閉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101833375B1 (ko) 2011-07-21 2018-02-28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N105446104B (zh) * 2014-05-30 2022-05-03 纳思达股份有限公司 图像形成装置用处理盒
CN106959598B (zh) * 2016-01-12 2021-05-04 纳思达股份有限公司 处理盒及图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757A (ko) * 2004-08-28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손잡이를 가지는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화상형성장치
KR20060084468A (ko) * 2005-01-19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757A (ko) * 2004-08-28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손잡이를 가지는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화상형성장치
KR20060084468A (ko) * 2005-01-19 2006-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34627A (zh) 2008-12-31
KR20080112100A (ko) 2008-12-24
CN101334627B (zh)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5051B2 (en)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nd dismounting the cartridge in and from a main body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60257164A1 (en)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mechanism therefo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511583B2 (ja) トナー補給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TW201302590A (zh) 蓋體開啟與關閉單元以及包含該單元的成像裝置
JP6075546B2 (ja) 現像剤収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670690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605166B1 (ko) 접철식 손잡이를 가지는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한화상형성장치
JP5051249B2 (ja) 画像形成装置
US104960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10651229B (zh) 显影剂容器以及包括它的图像形成装置
KR101583684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041082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US7751747B2 (en) Process cartridg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0950492B1 (ko) 현상기,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기의 탈착방법
EP259753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6034969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758627B1 (ko) 화상형성장치
JP6248373B2 (ja) 現像剤収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555748B1 (ko) 화상형성장치
JP2019159088A (ja) 画像形成装置、トナー容器
JPS63244059A (ja) 画像形成装置
JP5495127B2 (ja) 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029595B2 (ja) 画像形成装置
JP735379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912071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