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627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8627B1 KR101758627B1 KR1020100097575A KR20100097575A KR101758627B1 KR 101758627 B1 KR101758627 B1 KR 101758627B1 KR 1020100097575 A KR1020100097575 A KR 1020100097575A KR 20100097575 A KR20100097575 A KR 20100097575A KR 101758627 B1 KR101758627 B1 KR 1017586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member
- guide
- cover
- engaging
- pa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2—Stationary guides or smooth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9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paper transpo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인쇄매체가 굽혀진 상태로 배출되거나, 적재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인쇄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의 인쇄면이 뒤집혀 배출되는 제1배지경로와, 용지의 인쇄면이 그대로 배출되는 제2배지경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배지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회동하여 상기 제2배지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용지가 상기 제1배지경로를 통해 배지될 때, 용지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되고, 용지가 상기 제2배지경로를 통해 배지될 때, 용지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의 인쇄면이 뒤집혀 배출되는 제1배지경로와, 용지의 인쇄면이 그대로 배출되는 제2배지경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배지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회동하여 상기 제2배지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용지가 상기 제1배지경로를 통해 배지될 때, 용지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되고, 용지가 상기 제2배지경로를 통해 배지될 때, 용지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매체인 용지가 배지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구조를 개선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감광체, 광주사장치와 현상기를 구비한다. 광주사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현상기는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장치를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화상이 인쇄된 인쇄매체는 정착과정을 거치게 된다.
정착과정을 거친 인쇄매체는 일정한 배지경로를 통해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되어 적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된 인쇄매체가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적재될 수 있도록 개선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된 인쇄매체를 적재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용지의 인쇄면이 뒤집혀 배출되는 제1배지경로와, 용지의 인쇄면이 그대로 배출되는 제2배지경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배지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회동하여 상기 제2배지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배지경로를 통해 배지되는 용지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배지경로를 통해 배지되는 용지와 간섭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배지경로를 통해 배지되는 용지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회피면을 포함하고, 상기 회피면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배지경로상에서 용지를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배지경로상에서 용지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회피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가이드면의 곡률반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그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주위에 마련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턱과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턱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동할 때, 상기 걸림편의 전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2가이드부재를 회동시키는 제1가압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회동할 때, 상기 걸림편의 후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2가이드부재를 회동시키는 제2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부와 상기 제2가압부는 예각을 이루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때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회동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일면에 배치되는 스트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링은, 상기 제2가이드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스트링을 당길 수 있도록 마련되는 파지부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편은 그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결합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연결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와 상기 스토퍼는 서로 접촉하여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가 배지되는 배지경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마련되는 가이드리브;와,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배지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회동하여 상기 제2배지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1배지경로를 통해 배지되는 용지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배지경로를 통해 배지되는 용지와 간섭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커버가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리브와 함께 상기 제1배지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면과, 상기 커버가 상기 열림 위치에 위치하여 제2배지경로를 형성할 때, 상기 제2배지경로를 통해 배지되는 용지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회피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피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가이드면의 곡률반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마련되는 트리거부재와, 상기 트리거부재의 하부에 마련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고정홈이 마련된 고정턱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커버가 상기 닫힘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고정홈과 결합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열림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고정홈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는, 가이드바디와, 상기 가이드바디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압돌기와, 상기 가이드바디의 내측을 이루는 가압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커버가 상기 닫힘위치에서 상기 열림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커버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트리거부재의 전면을 가압하고, 상기 가압면은 상기 커버가 상기 열림위치에서 상기 닫힘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커버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트리거부재의 후면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가압면은 상기 커버가 상기 열림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전부재의 후면과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트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링부재는, 몸체와, 상기 스트링부재를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사용자가 상기 스트링부재를 잡아 당길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는 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거부재는 그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과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링부재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스트링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기 그립과 상기 스토퍼는 서로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인쇄매체가 굽혀진 상태로 적재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인쇄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매수의 인쇄매체를 화상형성장치에 적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제1배지경로를 구성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제2배지경로를 구성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특징부인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레버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가 회동하여 제2배지경로를 형성하게 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에 스트링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는 도 6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b는 스트링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가 회동하여 제2배지경로를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제2배지경로를 구성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특징부인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레버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가 회동하여 제2배지경로를 형성하게 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에 스트링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7는 도 6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b는 스트링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가 회동하여 제2배지경로를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제1배지경로를 구성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제2배지경로를 구성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하는 본체(10)와, 용지(P)를 공급하기 위한 급지부(100)와, 용지에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부(20)와,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현상된 화상을 용지에 고착시키는 정착부(30) 및 인쇄를 마친 용지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지부(40)를 구비한다. 현상부(20)와 정착부(30)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로서,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다.
급지부(100)는 인쇄매체인 용지(P)가 보관되는 급지카세트(101)와, 급지카세트(101)에 보관된 용지(P)를 한 장씩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 조립체(102)와, 픽업된 용지를 현상부(20) 쪽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롤러(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급지카세트(101)는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체(10)의 전면 하단부에는 급지카세트(101)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된다.
현상부(20)는 레이저스캐닝유닛(21)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22)과, 감광드럼(22)을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롤러(23)와, 감광드럼(22)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롤러(24) 및 감광드럼(22)의 토너 화상이 용지에 전사되도록 용지를 감광드럼(22) 쪽으로 가압하는 전사롤러(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정착부(30)는 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키는 것으로서, 토너가 전사된 용지에 열을 가해주기 위한 열원(31)을 가지는 가열롤러(32)와, 가열롤러(32)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가열롤러(32)와의 사이에 일정한 정착 압력을 유지시키는 가압롤러(33)와, 가압롤러(33)가 가열롤러(32)에 밀착되도록 가압롤러(33)를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가압수단(34)을 가진다.
배지부(40)는 정착부(30)를 통과한 용지를 본체(10)의 상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일련의 배지롤러들(41)과, 용지가 배지롤러들(41) 사이에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들(110,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재(110)가 본체(10)의 후면을 폐쇄하고 있는 경우 즉, 제1가이드부재(110)가 닫힘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배지경로(R1)가 형성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재(110)가 회동하여 본체(10)의 후면을 개방하고 있는 경우 즉, 제1가이드부재(110)가 열림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2배지경로(R2)가 형성된다.
용지가 제1배지경로(R1)를 따라 이송되는 경우에는 용지의 인쇄면이 뒤집혀 배출되고, 용지가 제2배지경로(R2)를 따라 이송되는 경우에는 용지의 인쇄면이 그대로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특징부인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는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레버부재를 추가하여 도시하였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재(110)는 가이드본체(120)와, 가이드본체(12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지지판(124)으로 구성되며, 가이드본체(120)는 복수의 가이드리브(112)와, 제1힌지돌기(114)와, 힌지결합리브(116)와, 걸림턱(118)을 포함한다.
지지판(124)은 가이드본체(120)의 외측에 결합되어 본체(10)의 후면을 개폐하는 커버의 역할을 한다.
복수의 가이드리브(112)는 가이드본체(120)의 내측에서 돌출되며, 용지가 배지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가이드본체(12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연장 형성된다. 복수의 가이드리브(112) 사이에는 배지롤러들(41)이 장착되어 복수의 가이드리브(112)를 따라 이송되는 용지를 지지하면서 본체(10)의 상부로 이송되도록 한다. 복수의 가이드리브(112)는 후술할 제2가이드부재(210)의 가이드면(211) 과 함께 용지가 배지되는 배지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제1힌지돌기(114)는 가이드본체(120)의 측면에서 돌출되며, 제1가이드부재(110)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힌지결합리브(116)는 제2가이드부재(210)가 가이드본체(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가이드본체(120)의 내측에서 돌출되며, 복수의 가이드리브(112)의 외측에 마련된다. 힌지결합리브(116)에는 제2가이드부재(210)의 제2힌지돌기(214)과 결합하기 위한 제1힌지홀(117)이 마련된다.
걸림턱(118)은 제2가이드부재(210)가 제2힌지돌기(214)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으로, 가이드본체(120)의 내측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며, 제2가이드부재(210)에 마련되는 걸림돌기(218)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걸림홈(119)을 포함한다. 걸림홈(119)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18)의 단부에서 걸림턱(118)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더 높게 형성되게 하므로, 제2가이드부재(210)가 후술할 걸림돌기(218)와 걸림턱(118)이 서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은 제한하지만, 그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은 제한하지 않는다.
지지판(124)은 가이드본체(120)의 외측에 결합되며, 그 내측으로는 체결돌기(122)가 돌출되어, 본체(10)에 마련된 체결홈(미도시)와 결합됨으로써 제1가이드부재(110)가 자유롭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2가이드부재(210)는 가이드면(211)과, 회피면(212)과, 제2힌지돌기(214)와, 걸림편(216)과, 걸림돌기(218)와, 복수의 리브들(220)을 포함한다.
복수의 리브들(220)은 제2가이드부재(210)의 일면에 마련되며, 제2가이드부재(210)의 하단부에서 중앙으로 이어지면서 돌출되는 길이가 커지다가 중앙에서 상단부로 이어지면서 돌출되는 길이가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게 되며, 따라서 적어도 둘 이상의 경사면을 가지게 된다.
가이드면(211)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경사면 중 제2가이드부재(210)의 하단부에서 중앙으로 이어지면서 형성된 경사면으로, 가이드보스(140)를 거친 용지를 가이드리브(112)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면(211)은 복수의 가이드리브(112)와 함께 제1배지경로(R1)를 형성하게 된다.
회피면(212)은 복수의 리브들(220)이 형성된 면의 이면에 마련되며, 제1가이드부재(110)가 회동하여 제2배지경로(R2)를 형성할 때, 제2가이드부재(210)가 회동된 상태에서 제2배지경로(R2)를 통해 배지되는 용지와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회피면(212)의 곡률반경은 가이드면(211)의 곡률반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힌지돌기(214)는 제2가이드부재(210)의 측면에 마련되며, 힌지결합리브(116)에 마련되는 제1힌지홀(117)과 결합하여 제2가이드부재(210)가 가이드본체(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걸림편(216)은 제2가이드부재(210)의 일측에서 연장 형성되며, 걸림편(216)의 하단에는 걸림돌기(218)가 마련된다. 걸림편(216)은 후술할 레버(310)와 접촉하여 제2가이드부재(210)가 제1가이드부재(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걸림홈(119)에 걸려 있는 걸림돌기(218)를 걸림홈(119)과 분리시켜, 제2가이드부재(210)가 제1가이드부재(110)가 회동할 때 이와 연동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제2가이드부재(210)가 필요 이상으로 회동하지 못하도록 제2가이드부재(21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걸림돌기(218)는 그 단부가 걸림홈(119)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118)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걸림돌기(218)가 걸림턱(118)에 걸린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걸림돌기(218)는 걸림턱(118)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나, 그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지 않는다.
레버(310)는 제2가이드부재(210)가 제1가이드부재(110)와 연동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부재(210)의 일측에 마련되는 걸림편(216)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10)의 내부에 걸림편(216)의 전면 및 후면과 단속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레버(310)는 몸체를 형성하는 가이드바디(312)와, 가이드바디(312)를 이루는 제1가압부(314) 및 제2가압부(316)와, 제1가압부(314)의 일단에 마련되는 가압돌기(322)와, 제1가압부(314) 및 제2가압부(316)의 내측면을 이루는 가압면(3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가압부(314) 및 제2가압부(316)는 서로 예각을 이루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압부(314)의 일단에 마련되는 가압돌기(322)는 걸림편(216)의 전면을 가압하여 걸림돌기(218)가 걸림턱(118)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제1가압부(314) 및 제2가압부(316)의 내측면을 이루는 가압면(324)은 걸림편(216)의 후면을 가압하여 걸림돌기(218)와 걸림턱(118)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거나, 걸림편(216)의 후면을 지지하여 제2가이드부재(210)의 회동각을 제한한다.
이하에서는 제1가이드부재(110)와 제2가이드부재(210)가 용지가 배지되는 배지경로를 형성하게 되는 동작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레버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가 회동하여 제2배지경로를 형성하게 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재(110)가 본체(10)의 후면을 폐쇄하고 있는 경우 즉, 제1가이드부재(110)가 닫힘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2가이드부재(210)가 제1가이드부재(110)와 나란하게 배치되고, 회피면(212)은 제1가이드부재(11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2가이드부재(210)에 형성된 걸림돌기(218)는 제1가이드부재(110)에 마련된 걸림턱(118)에 걸린 상태이므로 제2가이드부재(210)는 걸림돌기(218)와 걸림턱(118)이 분리되는 방향으로는 회동하지 못한다.
제1가이드부재(110)가 본체(10)의 후면을 폐쇄하고 있는 경우 가이드면(211)과 가이드리브(112)와 배지롤러들(41)은 제1배지경로(R1)를 형성하게 된다. 정착부(30) 및 가이드보스(140)를 지난 용지는 가이드면(211) 및 가이드리브(112)를 지나 본체(10)의 상부로 이송된다. 용지가 가이드면(211)을 지나는 순간에 제2가이드부재(210)는 걸림돌기(218)와 걸림턱(118)이 분리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 즉,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 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하면서 용지가 굽혀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재(110)가 본체(1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면, 제2가이드부재(210)와 레버(310)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자세하게는 레버(310)의 제1가압부(314)에 형성되는 가압돌기(322)와 걸림편(216)의 전면이 서로 접촉하게 된다.
한편 제1가이드부재(110)가 상기 일정한 각도에 도달하기 전에는 제2가이드부재(210)가 제1가이드부재(110)와 함께 회동하게 되는데, 이는 제1가이드부재(110)에 형성된 걸림턱(118)이 제1가이드부재(110)와 함께 이동하면서 걸림턱(118)에 걸린 걸림돌기(218)를 회동시키기 때문이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재(110)가 완전히 회동하여 본체(10)의 후면을 개방하고 있는 경우 즉, 제1가이드부재(110)가 열림위치에 있을 때에는 회피면(212)이 제1가이드부재(110)와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1가이드부재(110)가 본체(1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일정한 각도 이상 회동하게 되면, 레버(310)가 제2가이드부재(210)를 가압하여 제1가이드부재(110)가 회동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자세하게는 가압돌기(322)가 걸림편(216)의 전면을 가압하여 걸림턱(118)에 걸린 걸림돌기(218)를 걸림턱(118)에서 분리시킴으로써 제2가이드부재(210)가 제1가이드부재(110)가 회동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도록 한다.
제2가이드부재(210)는 레버(310)의 제2가압부(316)와 접촉하여 회동을 멈추게 된다. 이 때 제2가압부(316)의 내측면을 이루는 가압면(324)은 걸림편(216)의 후면을 지지하여 제2가이드부재(210)가 제2가압부(316)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1가이드부재(110)가 본체(10)의 후면을 개방하고 있는 경우 가이드리브(112)와 배지롤러들(41)은 제2배지경로(R2)를 형성하게 된다. 정착부(30) 및 가이드보스(140)를 지난 용지는 회피면(212)과 간섭되지 않고 가이드리브(112) 위에 적재된다.
이와 같이 제2가이드부재(210)가 제1가이드부재(110)의 회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배치되므로, 제2가이드부재(210)가 차지하는 공간만큼 용지가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이 확장되며, 용지가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가이드리브(112) 위에 적재되므로 컬(Curl)과 같은 인쇄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1배지경로(R1)로 인쇄하기 위해 열림위치에 있는 제1가이드부재(110)를 열림위치에서 닫힘위치로 회동시키게 되면, 레버(310)의 가압면(324)은 걸림편(216)의 후면을 가압하여 제2가이드부재(210)가 제1가이드부재(110)의 회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걸림돌기(218)를 걸림턱(118)에 걸리게 함으로써, 제2가이드부재(21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있어 레버(310)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레버(310)는 제1배지경로(R1) 또는 제2배지경로(R2)로 용지를 인쇄하기 위해 제1가이드부재(110)를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제2가이드부재(210)가 제1가이드부재(110)와 연동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인데, 레버(310)를 장착하지 않은 경우, 제2가이드부재(210)의 걸림편(216)에 일정 정도의 힘을 가하여 걸림돌기(218)와 걸림턱(118)을 서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킴으로써 수동으로 제2가이드부재(210)를 회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스트링부재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는 도 6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a 내지 도 8b는 스트링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1가이드부재 및 제2가이드부재가 회동하여 제2배지경로를 형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링부재(410)는 제2가이드부재(210)에 결합되어 제2가이드부재(21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스트링부재(410)는 제2가이드부재(210)와 결합되는 결합부(420)와,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430)와, 결합부(420)와 파지부(430)를 연결하는 연결부(440)를 포함하며, 결합부(420), 연결부(440), 파지부(430)는 하나의 몸체(412)를 구성한다.
결합부(420)에는 스트링부재(410)를 제2가이드부재(2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홀(422)이 마련된다.
제2가이드부재(210)의 결합편(216)에는 결합홀(422)에 끼워질 수 있도록 결합홀(422)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결합편(216)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236)가 마련된다.
연결부(440)는 후술할 스토퍼(136)와 제1가이드부재(110)가 이루는 공간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사용자에 의해 파지부(430)에 가해지는 힘을 결합부(420)에 전달하게 된다.
파지부(430)는 사용자가 스트링부재(410)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그립(432)과, 단턱(434)을 포함한다. 단턱(434)은 스토퍼(136)와 접촉하는 부분으로 파지부(430)가 스토퍼(136)에 걸리게 함으로써, 스트링부재(41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제1가이드부재(110)의 내측으로는 스토퍼(136)가 마련된다. 스토퍼(136)는 스트링부재(410)의 연결부(440)를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가이드부재(110)와 함께 연결부(440)가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파지부(430)에 마련된 단턱(434)과 접촉하여 스트링부재(41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스트링부재(410)와 연결된 제2가이드부재(210)의 회동을 제한한다.
제2가이드부재(210)와 연결된 스트링부재(410)를 잡아 당겨 제2가이드부재(210)를 회동시켜 걸림돌기(218)를 걸림턱(118)에 걸리게 한 다음, 제1가이드부재(110)가 본체(1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본체(10)에 결합시킴으로써, 제1배지경로(R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재(110)를 본체(1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완전히 회동시켜 제2배지경로(R2)를 형성한 후, 스트링부재(410)를 밀어서 걸림돌기(218)가 걸림턱(118)으로부터 분리되게 한 다음, 단턱(434)과 스토퍼(136)가 서로 접촉할 때까지 제2가이드부재(210)를 회동시킴으로써 제1가이드부재(110)가 제2배지경로(R2)를 통해 배지되는 용지와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수동으로 제2가이드부재(210)를 회동시킬 수 있는데, 스트링부재(410)를 사용할 경우 더욱 편리하게 제2가이드부재(210)를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10: 본체, 20: 현상부,
30: 정착부, 40: 배지부,
100: 급지부, 110: 제1가이드부재,
112: 가이드리브, 120: 가이드본체,
210: 제2가이드부재, 211: 가이드면,
212: 회피면, 310: 레버,
410: 스트링부재, 420: 결합부,
430: 파지부, 440: 연결부,
30: 정착부, 40: 배지부,
100: 급지부, 110: 제1가이드부재,
112: 가이드리브, 120: 가이드본체,
210: 제2가이드부재, 211: 가이드면,
212: 회피면, 310: 레버,
410: 스트링부재, 420: 결합부,
430: 파지부, 440: 연결부,
Claims (23)
- 용지의 인쇄면이 뒤집혀 배출되는 제1배지경로와, 용지의 인쇄면이 그대로 배출되는 제2배지경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1배지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회동하여 상기 제2배지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배지경로를 통해 배지되는 용지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면; 및
상기 제2배지경로를 통해 배지되는 용지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회피면;을 포함하고,
상기 회피면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배지경로상에서 용지를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제1가이드부재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배지경로상에서 용지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가이드면의 곡률반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그 일측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주위에 마련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턱과 결합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동할 때, 상기 걸림편의 전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2가이드부재를 회동시키는 제1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후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2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와 상기 제2가압부는 예각을 이루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때, 상기 제1가이드부재가 회동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일면에 배치되는 스트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링은,
상기 제2가이드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스트링을 당길 수 있도록 마련되는 파지부와,
상기 결합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그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결합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연결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와 상기 스토퍼는 서로 접촉하여 상기 제2가이드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인쇄매체가 배지되는 배지경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닫힘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마련되는 가이드리브;와,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닫힘 위치에서 제1배지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닫힘 위치에서 상기 열림 위치로 회동하여 제2배지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커버가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리브와 함께 상기 제1배지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면; 및
상기 커버가 상기 열림 위치에 위치하여 제2배지경로를 형성할 때, 상기 제2배지경로를 통해 배지되는 용지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회피면을 포함하고,
상기 회피면은 상기 커버가 상기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배지경로상에서 용지를 가이드 하기 위해 상기 커버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배지경로상에서 용지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커버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삭제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가이드면의 곡률반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일측에 마련되는 걸림편과,
상기 걸림편의 하부에 마련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걸림홈이 마련된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커버가 상기 닫힘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홈과 결합되고, 상기 커버가 상기 열림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홈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레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재는,
가이드바디와,
상기 가이드바디의 일단에 형성되는 가압돌기와,
상기 가이드바디의 내측을 이루는 가압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돌기는 상기 커버가 상기 닫힘위치에서 상기 열림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커버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걸림편의 전면을 가압하고,
상기 가압면은 상기 커버가 상기 열림위치에서 상기 닫힘위치로 회전할 때,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커버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걸림편의 후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은 상기 커버가 상기 열림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전부재의 후면과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트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트링부재는,
몸체와,
상기 스트링부재를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결합홀과,
사용자가 상기 스트링부재를 잡아 당길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는 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편은 그 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홀과 결합하는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링부재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면,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스트링부재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몸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기 그립과 상기 스토퍼는 서로 접촉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7575A KR101758627B1 (ko) | 2010-10-07 | 2010-10-07 | 화상형성장치 |
US13/242,492 US8636281B2 (en) | 2010-10-07 | 2011-09-23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lural discharge paths |
EP11183980.9A EP2439597B1 (en) | 2010-10-07 | 2011-10-05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plural discharge path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7575A KR101758627B1 (ko) | 2010-10-07 | 2010-10-07 | 화상형성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5962A KR20120035962A (ko) | 2012-04-17 |
KR101758627B1 true KR101758627B1 (ko) | 2017-07-17 |
Family
ID=4504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7575A KR101758627B1 (ko) | 2010-10-07 | 2010-10-07 | 화상형성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636281B2 (ko) |
EP (1) | EP2439597B1 (ko) |
KR (1) | KR10175862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85448A (ja) * | 2012-10-22 | 2014-05-12 | Toshiba Corp | 画像形成装置 |
JP6543980B2 (ja) * | 2015-03-19 | 2019-07-17 | 株式会社リコー | 定着出口ガイド板、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6477095B2 (ja) * | 2015-03-20 | 2019-03-06 | 株式会社リコー |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6477118B2 (ja) * | 2015-03-25 | 2019-03-06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
JP2023151996A (ja) * | 2022-04-01 | 2023-10-16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97619B2 (ja) | 1994-03-03 | 2000-01-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排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JP3757776B2 (ja) * | 2000-09-29 | 2006-03-22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86369U (ko) * | 1985-11-19 | 1987-06-02 | ||
KR100437165B1 (ko) * | 2002-07-26 | 2004-06-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KR100449733B1 (ko) * | 2002-08-10 | 2004-09-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페이스-업 및 페이스-다운 배출이 가능한 프린터 |
-
2010
- 2010-10-07 KR KR1020100097575A patent/KR10175862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09-23 US US13/242,492 patent/US8636281B2/en active Active
- 2011-10-05 EP EP11183980.9A patent/EP2439597B1/en not_active Not-in-forc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97619B2 (ja) | 1994-03-03 | 2000-01-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シート排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JP3757776B2 (ja) * | 2000-09-29 | 2006-03-22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439597A3 (en) | 2017-05-17 |
EP2439597A2 (en) | 2012-04-11 |
US20120086166A1 (en) | 2012-04-12 |
KR20120035962A (ko) | 2012-04-17 |
EP2439597B1 (en) | 2018-12-05 |
US8636281B2 (en) | 2014-0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01426B2 (en) |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095039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n opening and closing unit | |
US20130011174A1 (en) | Cover opening and clos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US20070147919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hutter arm unit | |
KR101758627B1 (ko) | 화상형성장치 | |
US10459393B2 (en) | Image-forming apparatus | |
US9731918B2 (en) | Roller separat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1821616B1 (ko) | 화상형성장치 | |
US8162310B2 (en) | Medium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 |
US1018065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ly detaching a developing unit on an image forming apparatus | |
US10603935B1 (en) |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53829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constituent component and holding part | |
US1064940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features that suppress deformation of door caused by counterforce from cartridge | |
KR101041082B1 (ko) | 프로세스카트리지 유닛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 | |
JP4254689B2 (ja) | レーザビームプリンタ | |
US8774678B2 (en) | Supporting cov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 |
JP3628869B2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シャッター機構、これを用い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 |
JP7242413B2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1385541B1 (ko) | 화상형성장치 | |
US11150601B2 (en) | Mov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895608B2 (ja) | 用紙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2024077079A (ja) | 画像形成装置 | |
KR20080082796A (ko) | 화상형성장치 | |
JP2015060043A (ja) | 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