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1616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616B1
KR101821616B1 KR1020110117068A KR20110117068A KR101821616B1 KR 101821616 B1 KR101821616 B1 KR 101821616B1 KR 1020110117068 A KR1020110117068 A KR 1020110117068A KR 20110117068 A KR20110117068 A KR 20110117068A KR 101821616 B1 KR101821616 B1 KR 101821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oller
opened
dischar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1742A (ko
Inventor
유재석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616B1/ko
Priority to EP12162540.4A priority patent/EP2597530B1/en
Priority to US13/585,487 priority patent/US9152102B2/en
Publication of KR20130051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32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 G03G15/2035Retractable heating or pressure unit for maintenance purposes, e.g. for removing a jammed shee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8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directed to paper handling or jam trea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fix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일정 각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스캐닝 유닛과, 상기 본체 상단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에 상기 스캐닝 유닛의 아래에 설치되며,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배지 커버와, 상기 배지 커버의 후방에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를 포함하는 정착유닛과, 상기 정착유닛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 사이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상기 배지 커버로 안내하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의 상측으로 상기 제1커버를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버를 열면 상기 정착유닛의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의 사이가 벌어지고, 상기 제2커버를 닫으면 상기 정착유닛의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가 접촉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착유닛에 잼된 인쇄매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정착유닛의 커버 구조를 갖는 스캐닝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복합기와 같이 전자사진 형성방식으로 화상을 형성하며 스캐닝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카트리지를 본체에서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캐닝 유닛을 들어올리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인쇄 중에 정착유닛 주변에서 잼이 발생한 경우 잼(jam)된 인쇄매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스캐닝 유닛을 위로 들고 정착유닛에 잼된 인쇄매체를 제거하여야 한다.
그런데, 정착유닛은 인쇄매체에 소정의 열과 압력을 가하기 위해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를 구비하며, 가압 롤러는 가열 롤러를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가압 롤러와 가열롤서 사이에 잼된 인쇄매체를 제거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배지 커버를 들어올리면 정착유닛의 가압 롤러가 가열 롤러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본체의 상측에 설치된 스캐닝 유닛을 90도 이상으로 열 수 없으므로, 배지 커버의 개방 각도가 스캐닝 유닛에 의해 한정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지 커버를 열어도 정착유닛에서 배출되는 인쇄매체를 배지 커버로 안내하는 안내 커버가 열리지 않으므로 잼된 인쇄매체를 정착유닛에서 제거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화상 형성 카트리지를 교환하기 위해 개폐되는 배지 커버와는 별개로 잼된 인쇄매체를 제거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개폐를 할 수 있으며 정착유닛을 덮는 커버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일정 각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스캐닝 유닛; 상기 본체 상단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에 상기 스캐닝 유닛의 아래에 설치되며,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배지 커버; 상기 배지 커버의 후방에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를 포함하는 정착유닛; 상기 정착유닛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 사이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상기 배지 커버로 안내하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의 상측으로 상기 제1커버를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버를 열면 상기 정착유닛의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의 사이가 벌어지고, 상기 제2커버를 닫으면 상기 정착유닛의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의 양 측면에는 안내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유닛은 상기 가압 롤러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에서 연장되며, 그 선단이 상기 안내 장공에 연결되는 감압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버가 닫혀 있는 경우, 상기 감압 레버의 선단이 제1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가압 롤러가 상기 가열 롤러와 접촉하며, 상기 제2커버가 열리면, 상기 감압 레버의 선단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 롤러가 상기 가열 롤러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커버의 후단에는 상기 제2커버의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를 열면,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제2커버와 연동하여 열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를 닫으면, 상기 제1커버도 상기 제2커버와 연동하여 닫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커버에 설치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제2커버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링크의 선단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 커버가 상기 본체의 상단을 닫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커버는 상기 배지 커버와 관계없이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 커버를 열면, 상기 제2커버가 상기 배지 커버에 의해 열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만 열린 경우의 제1개방 각도가 상기 배지 커버에 의해 상기 제2커버가 열리는 경우의 제2개방 각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커버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배지 커버는 상기 걸림 돌기에 대응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지 커버를 열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화상 형성 카트리지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공간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의 선단에는 적재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착유닛은 상기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 사이를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배지 커버로 이송하는 배지 롤러 및 배지 아이들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배지 롤러의 흔들림을 제한하는 샤프트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배지 커버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양을 감지하는 적재량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를 선 2-2에서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를 선 3-3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스캐닝 유닛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2커버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배지 커버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유닛으로서, 제1커버가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착유닛에서 제1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2커버가 닫혀 있는 경우에 제2커버와 정착유닛의 감압 레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2커버가 열린 경우에 제2커버와 정착유닛의 감압 레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2커버가 열릴 때, 제1커버가 연동하여 함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1커버와 제2커버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13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2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배지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정착유닛, 제2커버 및 배지 커버의 관계를 보여 주기 위한 부분 사시도;
도 16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제2커버만 열었을 때의 제1개방 각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 배지 커버를 열었을 때 제2커버가 열린 제2개방 각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를 선 2-2에서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를 선 3-3에서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전자사진 방식으로 화상을 형성하며, 화상 입력 장치로서 스캐닝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스캐너,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중 적어도 한가지로 사용할 수 있는 레이저 복합기에 관련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1)는 본체(10), 스캐닝 유닛(20), 급지 유닛(30), 화상 형성 카트리지(40), 정착유닛(100), 제1커버(210), 제2커버(220), 배지 커버(23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스캐닝 유닛(20), 급지 유닛(30), 화상 형성 카트리지(40), 전사 롤러(50), 정착유닛(100), 제1커버(210), 제2커버(220), 배지 커버(230) 등을 지지하며 고정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10)의 상단에는 상부 프레임(11)이 설치된다. 상부 프레임(11)은 스캐닝 유닛(20), 제2커버(220), 배지 커버(230)가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부 프레임(11)에는 제2커버(220)와 배지 커버(230)에 의해 덮여지는 개구부(12, 도 6 참조)가 마련된다. 제2커버(220)의 하측에는 정착유닛(100)이 설치된다.
스캐닝 유닛(20)은 화상을 입력하는 장치로서 상기 본체(10)의 상측에 일정 각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닝 유닛(20)은 상부 프레임(11)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11)과 스캐닝 유닛(20)은 2절 링크(23)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1)에는 스캐닝 유닛(20)이 닫혔을 때, 2절 링크(23)가 수용되는 링크 홈(13)이 마련된다. 스캐닝 유닛(20)을 열면, 스캐닝 유닛(20)은 힌지(21)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한다. 스캐닝 유닛(20)은 2절 링크(23)가 완전히 펴져 1자로 될 때까지 회전가능하므로 스캐닝 유닛(20)의 개방 각도는 2절 링크(23)의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스캐닝 유닛(20)의 하단에는 후크(25)가 마련되며, 본체(10)의 상부 프레임(11)에는 후크(25)가 삽입되는 고정 홈(15)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캐닝 유닛(20)을 닫으면 후크(25)가 고정 홈(15)에 삽입되어 스캐닝 유닛(20)이 본체(10)에 고정된다.
급지 유닛(30)은 소정 량의 인쇄매체(P)를 저장하며 저장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여 전사 롤러(50) 쪽으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다. 급지 유닛(30)은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된 급지 트레이(31)와 픽업 롤러(33)를 포함한다. 급지 트레이(31)를 열면, 인쇄매체(P)를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노출된다. 픽업 롤러(33)는 급지 유닛(30)의 전방에 설치되며, 급지 유닛(30)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여 전사 롤러(50) 쪽으로 이송시킨다.
화상 형성 카트리지(40)는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현상제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노광 유닛(60)에 의해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상담지체(41), 상담지체(41)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롤러(43), 현상 롤러(43)로 공급되는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수용공간(45)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카트리지(40)는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배지 커버(230)를 들어올리면, 상부 프레임(11)의 개구부(12)가 개방되어 화상 형성 카트리지(40)가 장착되는 본체 내부 공간이 노출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카트리지(40)는 상부 프레임(11)의 개구부(12)를 통해 급지 유닛(30) 상측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전사 롤러(50)는 화상 형성 카트리지(40)의 상담지체(41)와 마주하며 회전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설치되며, 상담지체(41)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이 인쇄매체(P)로 전사되도록 한다.
정착유닛(100)은 인쇄매체(P)에 전사된 현상제 화상을 인쇄매체(P)에 정착시키는 것으로서, 상부 프레임(11)의 개구부(12)에 배지 커버(230)의 뒤쪽에 설치된다. 즉, 정착유닛(100)은 스캐닝 유닛(20)의 힌지(21)가 설치되는 본체(10)의 후면에 가깝게 본체(10)의 내측에 설치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정착유닛(100)은 가압 롤러(101), 가열 롤러(102), 가압 롤러(101)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제1지지 브라켓(111), 가열 롤러(102)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는 한 쌍의 제2지지 브라켓(112), 가열 롤러(10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제1지지 브라켓(111)의 하단에는 브라켓 힌지 홈(124)이 형성되고, 제2지지 브라켓(112)의 하단에는 제1지지 브라켓(111)의 브라켓 힌지 홈(124)에 삽입되는 브라켓 힌지 축(123)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지지 브라켓(111)은 하단의 브라켓 힌지 축(123)을 기준으로 제2지지 브라켓(112)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제1지지 브라켓(111)의 상단에는 제2커버(220)와 연결되는 감압 레버(120)가 설치된다. 감압 레버(120)에 힘을 인가하면, 제1지지 브라켓(111)이 브라켓 힌지 축(123)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제1지지 브라켓(111)이 브라켓 힌지 축(123)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가압 롤러(101)가 가열 롤러(102)로부터 이격된다. 제1지지 브라켓(111)과 제2지지 브라켓(112) 사이에는 가압 롤러(101)가 가열 롤러(102)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가압부재(116)가 설치된다. 가압부재(116)로는 인장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정착유닛(100)에는 배지 롤러(140)와 배지 아이들 롤러(150)가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 롤러(140)는 제2지지 브라켓(112)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배지 롤러(140)는 상술한 구동부(130)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할 수 있다. 배지 롤러(140)는 제2지지 브라켓(112)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는 배지 롤러 샤프트(141)와 배지 롤러 샤프트(141)에 설치된 복수 개의 롤러(142)로 구성된다. 배지 아이들 롤러(150)는 배지 롤러(140)의 복수 개의 롤러(142)에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된다. 배지 아이들 롤러(150)는, 한 쌍의 제2지지 브라켓(112) 사이에 설치되며 배지 커버(230)와 함께 배지된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배지 공간을 형성하는 배지 벽(114)의 상단에 설치된다. 따라서, 정착유닛(1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 벽(114)이 배지 커버(230)를 향하도록 본체(10)에 설치된다.
제1커버(210)는 정착유닛(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정착유닛(100)의 가열 롤러(102)와 가압 롤러(101)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P)가 배지 롤러(140)와 배지 아이들 롤러(150) 사이로 인입되도록 안내한다. 제1커버(210)는 가열 롤러(102)와 가압 롤러(10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열 롤러(102) 및 가압 롤러(101)에 대해 소정 각도 선회 가능하도록 한 쌍의 제1지지 브라켓(111)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1커버(210)의 양 측면의 일단에는 제1커버 힌지 축(213)이 형성되고, 한 쌍의 제1지지 브라켓(111) 각각에는 제1커버 힌지 구멍(113)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커버(210)는 제1커버 힌지 축(213)을 중심으로 상기 제1지지 브라켓(111)에 대해 소정 각도 선회할 수 있다.
제1커버(210)의 내면에는 복수 개의 안내 리브(211)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안내 리브(211)는 가압 롤러(101)와 가열 롤러(102)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P)의 선단을 배지 롤러(140)와 배지 아이들 롤러(150) 사이로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 롤러(101)와 가열 롤러(102) 사이를 통과한 인쇄매체(P)의 선단은 제1커버(210)의 복수 개의 안내 리브(211)에 의해 배지 롤러(140)와 배지 아이들 롤러(150) 사이로 인입된다.
제2커버(220)는 상기 제1커버(210)의 상측으로 제1커버(210)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부 프레임(11)에 설치된다. 또한, 제2커버(220)는 제2커버(220)를 열면 상기 정착유닛(100)의 가압 롤러(101)와 가열 롤러(102)의 사이가 벌어지고, 제2커버(220)를 닫으면 정착유닛(100)의 가압 롤러(101)와 가열 롤러(102)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제2커버(22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커버(210)와 배지 롤러(140)를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커버(220)의 양 측면(221)의 일단에는 제2커버 힌지 축(222)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11)에는 제2커버 힌지 축(222)이 삽입되는 제2커버 힌지 구멍(12)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2커버 힌지 축(222)을 상부 프레임(11)의 제2커버 힌지 구멍(12)에 삽입하면, 제2커버(220)는 제2커버 힌지 축(222)을 중심으로 상부 프레임(11)에 대해 소정 각도 선회할 수 있다.
제2커버(220)의 양 측면(221)에는 정착유닛(100)의 한 쌍의 제1지지 브라켓(111) 각각에서 연장된 감압 레버(120)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121)가 삽입되는 안내 장공(223)이 형성된다. 안내 장공(223)은 제2커버(220)가 최대로 상측으로 선회하여 제1커버(210)의 상부를 개방하였을 때, 가열 롤러(102)와 가압 롤러(101) 사이를 이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가열 롤러(102)와 가압 롤러(101)가 이격되면 가열 롤러(102)와 가압 롤러(101) 사이의 압력이 해소되므로 가열 롤러(102)와 가압 롤러(101) 사이에 잼된 인쇄매체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내 장공(223)은 제2커버(220)가 상부 프레임(11)의 제2커버 힌지 축(12)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최대로 선회하였을 때, 감압 레버(120)에 힘을 인가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 브라켓(111)이 브라켓 힌지 축(12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커버(22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감압 레버(120)의 돌기(121)는 제2커버(220)의 안내 장공(223)의 제1위치에 위치하여, 가압 롤러(101)와 가열 롤러(102)가 서로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제2커버(220)가 열리면, 감압 레버(120)의 돌기(123)가 안내 장공(223)의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여 가압 롤러(101)와 가열 롤러(102) 사이가 떨어지게 된다. 그 후, 제2커버(220)를 닫으면, 감압 레버(120)의 돌기(121)가 안내 장공(223)의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2커버(220)의 안내 장공(223)이 감압 레버(120)의 돌기(121)에 가하는 힘이 제거되므로, 제1지지 브라켓(111)은 가압부재(116)에 의해 브라켓 힌지 축(123)을 중심으로 제2지지 브라켓(112) 쪽으로 선회한다. 그러면, 가압 롤러(101)와 가열 롤러(102)가 서로 접촉하여 일정한 압력이 인가되므로 인쇄매체(P)에 전사된 현상제 화상을 정착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220)의 상면에는 제2커버(220)의 선회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225)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스토퍼(225)가 제2커버(220)의 양 측면(22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스토퍼(225)는 제2커버(220)가 개방되면, 상부 프레임(11)과 간섭되어 제2커버(220)의 개방 각도를 제한한다. 도 16에는 제2커버(220)가 최대로 상측으로 회전하였을 경우의 각도, 즉 제2커버(220)의 제1개방 각도(θ1)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13에서 안내 장공(223)과 제2커버 힌지 축(222)은 한 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 측면(221)에도 동일한 안내 장공(223)과 제2커버 힌지 축(222)이 형성된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제2커버(220)의 선단에는 2개의 걸림 돌기(227)가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걸림 돌기(227)는 제2커버(220)의 양 측면(221)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걸림 돌기(227)는 배지 커버(230)를 상측으로 열 때, 제2커버(220)도 연동하여 열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커버(220)의 선단에는 적재 가이드(228)가 설치될 수 있다. 적재 가이드(228)는 제2커버(220)의 하측에 위치한 배지 롤러(140)와 배지 아이들 롤러(150) 사이를 통해 배출되는 인쇄매체(P)가 배지 커버(230)의 상측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인쇄매체(P)의 양 모서리와 인접한 영역을 접촉하며 안내할 수 있도록,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적재 가이드(228)를 소정 간격으로 제2커버(220)의 선단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적재 가이드(228)는 플렉시블한 필름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2커버(220)의 하면에는 배지 롤러(140)의 샤프트(141)와 대응되는 위치에 샤프트 홀더(229)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홀더(229)는 배지 롤러(140)의 샤프트(141)의 대략 중앙 부분과 근접하도록 설치되어 배지 롤러 샤프트(141)가 회전할 때, 샤프트(141)의 흔들림을 제한한다. 따라서, 샤프트 홀더(229)는 배지 롤러(140)의 샤프트(141)의 지름에 대응되는 곡률로 굽힘 가공된 곡면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커버(220)에는 배지 커버(230)의 상면에 적재된 인쇄매체(P)의 양을 감지하는 적재량 감지센서(226)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적재량 감지센서(226)는 배지 커버(230)의 상면에 적재된 인쇄매체(P)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그 거리가 소정 값 이하가 되면 화상 형성 장치(1)가 인쇄를 중지할 수 있도록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 예로서, 제2커버(220)는 스캐닝 유닛(20)과 연동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캐닝 유닛(20)이 열릴 때, 제2커버(220)도 열리고, 스캐능 유닛(20)을 닫으면 제2커버(220)도 닫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배지 커버(230)는 본체(10) 상단의 개구부(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단에 스캐닝 유닛(20)의 아래에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배지 커버(230)는 본체(10) 내부에 화상 형성 카트리지(40)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공간을 노출시키도록 상부 프레임(11)의 개구부(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11)에 힌지 설치된다. 또한, 배지 커버(230)는 인쇄가 완료되어 배지 롤러(140)와 배지 아이들 롤러(150) 사이를 통과하여 배출된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배지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배지 커버(230)는 정착유닛(100)의 전방에 설치된다.
또한, 배지 커버(230)는 상술한 제2커버(220)와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배지 커버(230)와 제2커버(220)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배지 커버(230)가 본체(10)의 상단을 닫고 있는 경우에는, 제2커버(220)는 배지 커버(230)와 관계없이 제1커버(210)의 상측을 열고 닫을 수 있다.
도 3, 도 4, 도 6 및 도 14를 참조하면, 배지 커버(230)는 본체(10)의 상부 프레임(11)의 개구부(12)를 덮을 수 있으며,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공간(S)을 형성하는 적재부(231)와 적재부(231)의 양 측면에서 돌출된 2개의 암부(233)를 포함한다. 2개의 암부(233)는 상부 프레임(11)의 상면에 형성된 2개의 배지 커버 홈(16)에 삽입된다. 2개의 배지 커버 홈(16)에는 배지 커버 힌지 축(17)이 형성되고, 2개의 암부(233) 선단에는 배지 커버 힌지 축(17)이 삽입되는 배지 커버 힌지 홈(235)이 형성된다. 따라서, 배지 커버(230)의 암부(233)를 상기 배지 커버 홈(16)에 삽입하면, 배지 커버(230)의 힌지 홈(235)이 배지 커버 힌지 축(17)에 삽입되어 배지 커버(230)는 배지 커버 힌지 축(17)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선회할 수 있다. 또한, 배지 커버 홈(16)의 측면에는 고정 돌기(18)가 형성되어 있어 배지 커버(230)의 암부(233)의 측면을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배지 커버(230)를 배지 커버 힌지 축(17)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들어올리면, 배지 커버(230)는 고정 돌기(18)에 의해 열린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배지 커버(230)에 사용자가 소정의 힘을 가하면, 배지 커버(230)는 상부 프레임(11)의 개구부(12)를 덮는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배지 커버(230)는 배지 커버(230)의 개폐 동작에 제2커버(220)가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배지 커버(230)를 열면, 제2커버(220)가 배지 커버(230)에 의해 열리고, 배지 커버(220)를 닫으면, 제2커버(220)도 닫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커버(220)에는 상술한 걸림 돌기(227)를 형성하고, 도 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 커버(230)에는 제2커버(220)의 걸림 돌기(227)에 대응되는 걸림부(237)를 형성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제2커버(220)에 2개의 걸림돌기(227)가 형성되므로 배지 커버(230)에도 2개의 돌림부(237)가 형성된다.
배지 커버(230)에 의해 제2커버(220)가 열린 경우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배지 커버(230)에 의해 제2커버(220)가 열린 경우의 제2커버(220)의 개방 각도, 즉 제2개방 각도(θ2)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 커버(230)는 닫힌 상태로 제2커버(220)만 단독으로 열린 경우의 제2커버(220)의 제1개방 각도(θ1)보다 작다. 따라서, 제2커버(220)가 배지 커버(230)에 의해 열린 경우에는 제2커버(220)가 완전히 열린 상태가 아니다. 따라서, 배지 커버(230)가 닫히면, 제2커버(220)는 정착유닛(100)의 가압부재(116)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여 제1커버(210)의 상부를 덮게 된다.
이상에서는 제2커버(220)와 제1커버(210)가 별개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로서, 제2커버(220)의 개폐 동작에 제1커버(210)가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2커버(220)를 열면, 제1커버(210)가 제2커버(220)와 연동하여 열리고, 제2커버(220)를 닫으면, 제1커버(210)도 닫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의 사이에는 연결유닛(24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은 제2커버(220)와 제1커버(210)를 연결하는 연결유닛(240)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스캐닝 유닛(20)을 제거한 상태로 도시하였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연결유닛(240)은 제1커버(2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연결링크(241)와 제2커버(220)의 하면에 설치되는 연결레일(24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링크(241)는 제1커버(210)의 상면에서 제2커버(220)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연결링크(241)의 선단은 연결레일(242)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연결유닛(240)은 한 개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제2커버(220)에 대한 제1커버(210)의 연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2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는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 사이에 2개의 연결유닛(240)이 설치된 화상 형성 장치(1)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는, 제2커버(220)를 열면, 제2커버(220)의 하면에 설치된 연결레일(242)이 상측으로 이동하고, 연결레일(242)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연결레일(242)에 연결된 연결링크(241)가 상측으로 힘을 받는다. 그러면, 연결링크(241)가 설치된 제1커버(210)가 제1커버 힌지 축(213)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이동하여 가열 롤러(102)와 가압 롤러(101)의 상측을 개방하게 된다. 반대로 제2커버(220)가 닫히면, 연결레일(242)이 하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연결링크(241)도 하측으로 힘을 받는다. 그러면, 연결링크(241)가 설치된 제1커버(210)가 제1커버 힌지 축(213)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이동하여 가열 롤러(102)와 가압 롤러(101)의 상측을 덮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1)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인쇄 중에 정착유닛(100)에 인쇄매체(P)의 잼이 발생한 경우에 잼된 인쇄매체를 제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1)로 인쇄를 수행하면, 급지 유닛(30)의 인쇄매체(P)가 한 장 픽업되어 전사 롤러(50)로 공급된다. 그러면, 화상 형성 카트리지(40)의 상담지체(41)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이 전사 롤러(50)에 의해 인쇄매체(P)로 전사된다. 현상제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P)는 정착유닛(100)으로 이송되어, 가압 롤러(101)와 가열 롤러(102) 사이를 통과한다. 그러면, 가열 롤러(102)와 가압 롤러(101)에 의해 인가되는 열과 압력에 의해 현상제 화상이 인쇄매체(P)에 정착된다. 가압 롤러(101)와 가열 롤러(102) 사이를 통과한 인쇄매체(P)는 제1커버(210)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안내 리브(211)에 의해 배지 롤러(140)와 배지 아이들 롤러(150) 사이로 인입된다. 배지 롤러(140)에 의해 배출되는 인쇄매체(P)는 제2커버(220)의 선단에 설치된 2개의 적재 가이드(228)에 의해 안내되어 배지 커버(230)의 적재부(231)에 낙하한다. 배지 롤러(140)가 회전하여 인쇄매체(P)를 배지할 때, 배지 롤러(140)의 샤프트(141)는 샤프트 홀더(229)에 의해 중앙부가 지지되므로 흔들림이 최소화된다.
이와 같이 인쇄를 하는 중에 정착유닛(100)에 인쇄매체(P)의 잼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닝 유닛(20)을 상측으로 소정 각도 선회시킨다. 이때, 스캐닝 유닛(20)과 본체(10) 사이에는 2절 링크(23)가 설치되어 있어, 스캐닝 유닛(20)의 선회 각도가 제한되며, 스캐닝 유닛(20)이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제2커버(220)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도 5에서는 제2커버(220)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2절 링크(23)를 삭제하였다. 그러면, 제2커버(220)는 제2커버 힌지 축(222)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제2커버(220)의 스토퍼(225)가 상부 프레임(11)과 간섭되면, 제2커버(220)는 최대로 열린 상태가 되어 제1커버(210)가 노출된다. 또한, 제2커버(220)가 열리면, 제2커버(220)의 안내 장공(223)에 삽입된 감압 레버(120)의 돌기(121)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여 감압 레버(120)에 힘을 인가한다. 그러면, 감압 레버(120)가 설치된 제1지지 브라켓(111)이 브라켓 힌지 축(123)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한 쌍의 제1지지 브라켓(111)에 의해 지지되는 가압 롤러(101)가 가열 롤러(102)로부터 이격된다(도 10 참조).
그 후, 사용자는 제1커버(210)를 상측으로 들어올려 정착유닛(100)의 가압 롤러(101)와 가열 롤러(102)를 노출시킬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서로 이격된 가압 롤러(101)와 가열 롤러(102) 사이에 위치하는 잼된 인쇄매체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잼된 인쇄매체를 제거한 후, 사용자는 제1커버(210)를 닫고, 이어서 제2커버(220)를 닫는다. 제2커버(220)를 닫으면, 제2커버(220)의 안내 장공(223)에 연결된 감압 레버(120)의 돌기(121)가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2커버(220)의 안내 장공(223)에 의해 감압 레버(120)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므로 감압 레버(120)가 설치된 제1지지 브라켓(111)은 가압부재(116)에 의해 제2지지 브라켓(112) 쪽으로 힘을 받는다. 그러면, 제1지지 브라켓(111)은 브라켓 힌지 축(123)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롤러(101)가 가열 롤러(102)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 후, 사용자가 스캐닝 유닛(20)을 덮으면, 화상 형성 장치(1)는 인쇄 준비가 완료된다.
이상에서는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를 개별적으로 선회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만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210)와 제2커버(220)가 연동하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제2커버(220)를 열면 연결유닛(240)에 의해 제1커버(210)가 연동하여 제2커버(220)와 같이 열리게 된다. 또한, 제2커버(220)를 닫으면, 제2커버(220)에 의해 제1커버(210)도 닫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커버(220)를 연후 다시 제1커버(210)를 열 필요가 없으며, 제1커버(210)를 닫을 필요 없이 제2커버(220)만 닫으면 제1커버(210)도 닫히므로 잼된 인쇄매체를 제거하는 것이 편리하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장치(1)에 장착된 화상 형성 카트리지(40)를 교체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스캐닝 유닛(20)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소정 각도 선회시킨다. 이때, 스캐닝 유닛(20)과 본체(10) 사이에는 2절 링크(2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캐닝 유닛(20)의 선회 각도가 제한되며, 스캐닝 유닛(20)이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지 커버(230)를 상측으로 들어올린다. 도 6에서도 배지 커버(230)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2절 링크(23)는 삭제하였다. 그러면, 배지 커버(230)는 배지 커버 힌지 축(17)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선회하여, 상부 프레임(11)의 개구부(12)가 노출된다. 제2커버(220)의 걸림 돌기(227)가 배지 커버(230)의 걸림부(237) 위에 위치하므로, 배지 커버(230)가 상측으로 선회할 때, 제2커버(220)도 배지 커버(230)와 함께 상측으로 선회한다. 따라서, 제2커버(220)도 상측으로 소정 각도 열리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부 프레임(11)의 개구부(12)를 통해 화상 형성 카트리지(4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새로운 화상 형성 카트리지(40)를 상부 프레임(11)의 개구부(12)를 통해 본체(10) 내부에 장착한다. 이어서, 배지 커버(230)를 닫는다. 배지 커버(230)를 닫으면, 배지 커버(230)와 함께 열렸던 제2커버(220)는 정착유닛(100)의 가압 부재(116)에 의해 닫히게 된다.
그 후, 사용자가 스캐닝 유닛(20)을 닫으면, 화상 형성 장치(1)는 인쇄 준비 상태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제2커버와 배지 커버가 별개로 형성되고, 제2커버를 열 때 정착유닛의 가압력이 해제되고,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 사이로 배출되는 인쇄매체를 안내하는 제1커버를 열 수 있으므로 정착유닛에 잼된 인쇄용지를 제거하는 것이 편리하다.
또한, 제1커버가 제2커버에 연동되도록 형성된 경우에는 제2커버를 열면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 사이의 압력이 해제되고, 제1커버가 같이 열리므로 정착유닛에 잼된 인쇄매체를 제거하는 것이 더욱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는, 배지 커버를 열면, 화상 형성 카트리지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개구부가 개방되므로 화상 형성 카트리지의 교체가 용이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화상 형성 장치 10; 본체
11; 상부 프레임 12; 개구부
20; 스캐닝 유닛 21; 힌지
23; 2절 링크 25; 후크
30; 급지 유닛 33; 픽업 롤러
40; 화상 형성 카트리지 41; 상담지체
43; 현상 롤러 50; 전사 롤러
60; 노광 유닛 100; 정착 유닛
101; 가압 롤러 102; 가열 롤러
111; 제1지지 브라켓 112; 제2지지 브라켓
114; 적재 벽 120; 감압 레버
121; 돌기 123; 브라켓 힌지 축
130; 구동부 140; 배지 롤러
150; 배지 아이들 롤러 210; 제1커버
211; 안내 리브 213; 제1커버 힌지 축
220; 제2커버 222; 제2커버 힌지 축
223; 안내 장공 225; 스토퍼
227; 걸림 돌기 228; 적재 가이드
230; 배지 커버 231; 적재부
233; 암부 235; 배지 커버 힌지 홈

Claims (17)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일정 각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스캐닝 유닛;
    상기 본체 상단의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에 상기 스캐닝 유닛의 아래에 설치되며, 인쇄가 완료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배지 커버;
    상기 배지 커버의 후방에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를 포함하는 정착유닛;
    상기 정착유닛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 사이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상기 배지 커버로 안내하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의 상측으로 상기 제1커버를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버를 열면 상기 제1커버가 상기 제2커버와 연동하여 열리고 동시에 상기 정착유닛의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의 사이가 벌어지며, 상기 제2커버를 닫으면 상기 정착유닛의 가압 롤러와 가열 롤러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의 양 측면에는 안내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정착유닛은 상기 가압 롤러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에서 연장되며, 그 선단이 상기 안내 장공에 연결되는 감압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버가 닫혀 있는 경우, 상기 감압 레버의 선단이 제1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가압 롤러가 상기 가열 롤러와 접촉하며,
    상기 제2커버가 열리면, 상기 감압 레버의 선단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가압 롤러가 상기 가열 롤러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의 후단에는 상기 제2커버의 개방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를 닫으면, 상기 제1커버도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제1커버에 설치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제2커버의 하면에 설치되며, 상기 연결링크의 선단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2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커버가 상기 본체의 상단을 닫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커버는 상기 배지 커버와 관계없이 개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커버를 열면, 상기 제2커버가 상기 배지 커버에 의해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만 열린 경우의 제1개방 각도가 상기 배지 커버에 의해 상기 제2커버가 열리는 경우의 제2개방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배지 커버는 상기 걸림 돌기에 대응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커버를 열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화상 형성 카트리지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공간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의 선단에는 적재 가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유닛은 상기 가열 롤러와 가압 롤러 사이를 통과한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배지 커버로 이송하는 배지 롤러 및 배지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배지 롤러의 흔들림을 제한하는 샤프트 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배지 커버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양을 감지하는 적재량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10117068A 2011-11-10 2011-11-10 화상형성장치 KR101821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068A KR101821616B1 (ko) 2011-11-10 2011-11-10 화상형성장치
EP12162540.4A EP2597530B1 (en) 2011-11-10 2012-03-30 Image forming apparatus
US13/585,487 US9152102B2 (en) 2011-11-10 2012-08-14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7068A KR101821616B1 (ko) 2011-11-10 2011-11-10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742A KR20130051742A (ko) 2013-05-21
KR101821616B1 true KR101821616B1 (ko) 2018-01-25

Family

ID=4621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068A KR101821616B1 (ko) 2011-11-10 2011-11-10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52102B2 (ko)
EP (1) EP2597530B1 (ko)
KR (1) KR1018216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2477B2 (en) * 2011-11-30 2014-12-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reader, sheet feeding device and apparatus
JP6504801B2 (ja) * 2014-11-28 2019-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816532B2 (ja) * 2017-01-26 2021-01-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バー開閉ストッパ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0599093B1 (en) * 2018-08-29 2020-03-24 Oki Data Corporation Image formation apparatus
JP7294050B2 (ja) * 2019-10-15 2023-06-2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0048A (ja) * 2004-03-03 2005-09-15 Canon Finetech Inc 記録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750514B2 (ja) * 2000-11-20 2006-03-01 村田機械株式会社 駆動伝達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0644712B1 (ko) * 2005-10-10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잼 처리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872A (ja) * 1981-07-20 1983-01-27 Fuji Xerox Co Ltd 複写機のロ−ラ型定着装置
JP3129496B2 (ja) * 1991-12-24 2001-01-29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装置
DE4315785C2 (de) * 1992-05-13 1999-02-18 Fujitsu Ltd Tonerbildfixiereinrichtung
JP2000019927A (ja) * 1998-06-29 2000-01-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1205864A (ja) * 2000-01-27 2001-07-3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3627702B2 (ja) * 2001-12-20 2005-03-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642514B1 (ko) * 2004-12-15 2006-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US7515850B2 (en) * 2005-09-30 2009-04-07 Ricoh Company Ltd.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292435A1 (en) * 2007-05-22 2008-11-27 Turner Gary D Atv loading device
KR101473874B1 (ko) * 2007-05-25 2014-12-1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착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2009058644A (ja) * 2007-08-30 2009-03-19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4636095B2 (ja) * 2008-02-25 2011-02-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744305B2 (en) * 2009-06-12 2014-06-0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latch for openable cover
JP5322989B2 (ja) * 2010-03-30 2013-10-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0514B2 (ja) * 2000-11-20 2006-03-01 村田機械株式会社 駆動伝達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5250048A (ja) * 2004-03-03 2005-09-15 Canon Finetech Inc 記録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44712B1 (ko) * 2005-10-10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잼 처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97530A2 (en) 2013-05-29
EP2597530A3 (en) 2016-10-19
US9152102B2 (en) 2015-10-06
KR20130051742A (ko) 2013-05-21
EP2597530B1 (en) 2019-07-31
US20130121708A1 (en)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425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995311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01990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873848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3715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821616B1 (ko) 화상형성장치
US9086675B2 (en) Image forming device with cartridge support member supporting a plurality of cartridges
KR20100080714A (ko) 화상형성장치
JP6238780B2 (ja) 画像形成装置
US78697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60289024A1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heet conveying device
US865751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162310B2 (en) Medium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KR101758627B1 (ko) 화상형성장치
US9069326B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US95073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013159B2 (ja) 自動原稿搬送装置、その自動原稿搬送装置を備える読取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8406680B2 (en) Sheet revers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52384B2 (ja) 画像形成装置
JP5674108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開閉装置
JP5790324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EP3428736B1 (en) Image forming device
JP201508350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59233A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7707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