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336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336B1
KR101590336B1 KR1020090021493A KR20090021493A KR101590336B1 KR 101590336 B1 KR101590336 B1 KR 101590336B1 KR 1020090021493 A KR1020090021493 A KR 1020090021493A KR 20090021493 A KR20090021493 A KR 20090021493A KR 101590336 B1 KR101590336 B1 KR 101590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in body
developing
unit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5814A (ko
Inventor
엄윤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1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336B1/ko
Priority to US12/414,703 priority patent/US8260168B2/en
Publication of KR2009010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814A/ko
Priority to US13/565,221 priority patent/US2012030117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 G03G2215/069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being an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유닛; 상기 현상유닛의 장착방향으로 상기 현상유닛의 후부를 커버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본체커버; 상기 현상유닛의 후부에 마련되며, 현상기단자를 갖는 메모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커버는 상기 메모리유닛과 접촉하는 본체단자부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현상기와 본체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른 진동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뢰성있게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현상기와 본체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른 진동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뢰성있게 유지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 종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일정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체를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인쇄과정에서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는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현상기는 현상제저장부, 대 전수단, 현상수단 및 클리닝수단 등이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된 카트리지 형태로 마련되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현상기는 한정된 사용 수명을 가지며, 그 수명이 다한 경우에는 새로운 것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현상기를 적절한 시기에 교체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원활하게 운용할 수 있으려면 현상기에 관한 각종 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현상기에는 그 운용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유닛이 마련된다. 메모리유닛에는 현상제 잔량 및 부품의 잔여 수명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메모리유닛의 일측에는 현상기단자들이 마련되고,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는 현상기단자들에 대응하는 본체단자들이 마련된다. 현상기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면, 현상기단자들과 본체단자들이 상호 접촉되며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현상기가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화상형성장치는 메모리유닛에 저장된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거나, 인식한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한 연산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메모리유닛으로 전송함으로써 메모리유닛에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데이터 송수신을 작업을 수행한다.
화상형상장치가 인쇄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구동모터를 포함한 각 부분을 시험적으로 가동하는 워밍업 과정을 거친다. 워밍업 과정에는 메모리유닛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포함된다. 그런데 구동모터 등의 작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하여 현상기단자와 본체단자 간의 접촉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구동모터 등의 시험작동이 완료되어 진동이 완전히 제거된 후에 데이터 송수신을 과정이 진행된다.
통상적으로 현상기 하나 당 데이터 송수신이 약 2초 가량 소모되므로, 4개의 현상기를 갖춘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약 8초의 시간이 데이터 송수신만을 위해서 소요되며,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소비되는 시간은 화상형성장치의 성능을 평가하는 일 지표인 첫장인쇄시간(FPOT)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첫장인쇄시간(FPOT)의 단축을 포함한 화상형성장치의 전반적인 인쇄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구동모터 등의 작동 여부에 관계없이 현상기와 화상형성장치 본체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현상기단자가 단순히 금도금 된 평면이고 이에 접촉되는 본체단자 끝단은 볼록한 호형상이다. 따라서 현상기단자와 본체단자는 한 지점에서 점접촉하며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화상형성장치의 내부에는 인쇄매체를 이동시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동부가 마련되며, 구동부가 작동하는 중에는 진동이 발생한다. 구동부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면 점접촉하고 있는 현상기단자와 본체단자의 접촉이 일시적으로 불량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현상기단자와 본체단자의 접촉이 불량해지면 전기적 접속이 일시적으로 단락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접속이 단락되면 메모리유닛과 본체간의 데이터 전송이 끊어져 화상형상장치가 오작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현상제가 누출되어 현상기단자와 본체단자 사이의 접점촉되는 부분에 적층되는 경우에 접속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하여 구동부가 작동하는 도중에는 메모리유닛과 본체간의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전송을 중단하는 시간만큼 인쇄시간이 증가되어 첫장인쇄시간(FPOT)을 증가시켜 소비자의 불만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기와 본체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른 진동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뢰성있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상제 등의 적층으로 인한 전기적 접속의 불량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모터 등의 작동 중에도 현상기와 본체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토록 하여 인쇄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유닛; 상기 현상유닛의 장착방향으로 상기 현상유닛의 후부를 커버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본체커버; 상기 현상유닛의 후부에 마련되며, 현상기단자를 갖는 메모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커버는 상기 메모리유닛과 접촉하는 본체단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단자부는 하나 이상의 본체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본체단자는 일단부에 복수의 접촉돌기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돌기는 3개 이상이며 상기 본체단자의 중심부로부터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단자를 수용하는 본체단자하우징 과, 상기 본체단자를 상기 현상기단자 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단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단자는 단자몸체부와,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탄성부재 결합부와, 상기 단자몸체부와 상기 탄성부재 결합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걸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단자의 상기 단자몸체부와 상기 가이드통공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통공의 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본체단자가 일정각도 기울어질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유닛은 복수의 현상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현상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현상기는 화상형성장치의 설치면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유닛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력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유닛은 상기 현상유닛의 폭방향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력수신부의 타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력수신부가 마련되는 상기 현상유닛의 일측과 폭방향으로 반대되는 상기 현상유닛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전력을 전달받는 전력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폐현상제를 회수하기 위한 폐현상제회수부가 상기 전력수신부에 인접하여 상기 현상유닛의 장착방향으로 본체의 후부에 마련될 수 있상기 현상기단자 및 상기 본체단자는 각각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현상기단자들 중 하나는 데이터 통신단자이며, 상기 현상기단자들 중에서 상기 데이터 통신단자는 상기 현상유닛의 폭방향으로 상기 구동력수신부로부터 가장 먼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단자 및 상기 본체단자는 각각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현상기단자들 중 하나는 접지단자이며, 상기 현상기단자들 중에서 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현상유닛의 폭반향으로 상기 구동력수신부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단자들 중에서 상기 접지단자의 면적이 가장 넓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커버에 마련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유닛의 후면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진퇴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압부재용 가이드부와, 상기 가압부재를 일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단자는, 외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되되 탄성력이 있는 탄성판과, 상기 본체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면에 마련된 도전성평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단자는 상기 본체단자와 접촉하는 격자형 도전(導電)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단자는, 상기 본체단자와 접촉하며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탄성도전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도전튜브는, 외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되되 탄성력이 있는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를 감싸며 마련된 적어도 한 겹의 도전성피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단자는, 상기 본체단자와 접촉하며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탄성엠보싱을 구비하며, 상기 도전성탄성엠보싱은, 상기 접촉면에서 상기 본체단자 측을 향하여 반구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메모리유닛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기에 마련되고, 상기 메모리유닛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본체단자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단자는 개폐가능하게 마련된 본체커버에 형성된 본체단자하우징에 부착되며, 상기 본체단자하우징은 상기 메모리유닛 측으로 상기 본체단자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상기 본체단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단자는 상기 가이드통공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전후로 이동하는 단자몸체부와, 상기 본체단자의 단부에 상기 본체단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3개가 등각격으로 배치된 접촉돌기를 포함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현상기가 장착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부재를 구동하는 모터를 수용하며, 상기 모터의 작동중에 상기 현상기의 메모리와 접속(access)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와 접속이 실패할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접속이 실패할 경우, 모터 중지에 앞서 소정의 휴지시간 경과 후 메모리와 접속을 반복적으로 재시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휴지시간은 100 밀리세크[ms]이고, 상기 재시도는 3회 반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메모리유닛과, 상기 본체의 본체단자와 접속되어 상기 메모리와 상기 화상형성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고, 상기 메모리유닛과 연결되는 현상기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단자는 본체단자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단자 하우징은 현상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구를 덮는 본체 커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메모리유닛은, 현상기와 본체 사이의 전기적 접속이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른 진동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뢰성있게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메모리유닛은, 현상제 등의 적층으로 인한 전기적 접속의 불량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메모리유닛은, 구동모터 등의 작동 중에도 현상기와 본체 사이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 토록 하여 인쇄속도를 증대시킨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인쇄매체 공급장치(20), 광주사장치(30), 감광체(40), 현상유닛(100), 전사장치(50), 정착장치(60) 및 인쇄매체 배출장치(70)를 구비한다.
현상유닛(100)는 서로 다른 색상의 현상제인 블랙(Black),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 색상의 현상제가 각각 수용되는 4개의 현상기들(100K, 100C, 100M, 100Y)이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본체(10)의 일측에는 본체커버(1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체커버(11)는 본체(10)의 일부분을 개폐한다. 사용자는 본체커버(11)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접근하여 현상기들(100K, 100C, 100M, 100Y)을 비롯한 각종 부품들을 착탈할 수 있다.
본체커버(11)는 현상기들(100K, 100C, 100M, 100Y)이 장착되는 방향(A방향)에 대해 현상기들(100K, 100C, 100M, 100Y)의 후방에 위치된다. 본체커버(11)의 내면에는 현상기들(100K, 100C, 100M, 100Y)을 가압하여 현상기들(100K, 100C, 100M, 100Y)의 유동을 방지하는 가압부재(12)들이 마련된다. 가압부재(12)들은 본체커 버(1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본체커버(11)가 폐쇄된 상태에서 각 현상기(100K, 100C, 100M, 100Y)의 후면(101) 양측을 가압한다. 가압부재(12)에 의한 현상기(100K, 100C, 100M, 100Y)의 더욱 안정적 지지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커버(11)에 마련되어 가압부재(12)의 진퇴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압부재용 가이드부(11a)와, 가압부재(12)를 일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1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압부재(12)는 엘라스토머(elastomer)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현상기(100K, 100C, 100M, 100Y)는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본체커버(11)를 닫을 때 가압부재(12)와 현상기(100K, 100C, 100M, 100Y)의 후면(101) 사이의 충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불쾌한 소음이 발생되지 아니한다. 물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부재(12')는 엘라스토머재질로 마련되어, 자체의 탄성력만으로 현상기본체커버(100K, 100C, 100M, 100Y)의 후면(101)을 지지할 수도 있다.
인쇄매체 공급장치(20)는 인쇄매체(S)가 보관되는 카세트(21)와, 카세트(21)에 보관된 인쇄매체(S)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2)와, 픽업된 인쇄매체를 전사장치(50) 쪽으로 이송하는 이송롤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주사장치(30)는 화상 정보에 상응하는 광을 감광체(40)에 주사함으로써 감광체(40)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감광체(40)는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감광체 하우징(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감광체 하우징(41)의 내부에는 대전롤러(42)가 설치된다. 대전롤러(42)는 광주사장치(30)로부터 광이 주사되기에 앞서 감광체(40)를 일정한 전위 로 대전시킨다.
전사장치(50)는 중간전사벨트(51), 제 1전사롤러(52) 및 제 2전사롤러(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간전사벨트(51)는 지지롤러(54, 55)에 의해 지지되어 감광체(40)의 선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주행한다. 제 1전사롤러(52)는 중간전사벨트(51)를 사이에 두고 감광체(40)와 마주하여 감광체(40)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되도록 한다.
제 2전사롤러(53)는 중간전사벨트(51)를 사이에 두고 지지롤러(55)와 마주한다. 제 2전사롤러(53)는 감광체(40)에서 중간전사벨트(51)로 화상이 전사되는 동안에는 중간전사벨트(51)로부터 이격되고, 감광체(40)의 화상이 중간전사벨트(51)로 완전히 전사되면 중간전사벨트(51)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된다. 제 2전사롤러(53)가 중간전사벨트(51)와 접촉하면 중간전사벨트(51)의 화상이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정착장치(60)는 열원을 가지는 가열롤러(61)와, 가열롤러(61)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압롤러(62)를 구비한다. 인쇄매체(S)가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를 통과할 때, 가열롤러(61)로부터 전달되는 열과 가열롤러(61)와 가압롤러(62)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화상이 인쇄매체(S)에 고정된다.
인쇄매체 배출장치(70)는 배지롤러(71)와 배지백업롤러(72)를 구비하여 정착장치(60)를 통과한 인쇄매체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현상유닛(100)은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40)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색상별로 마련되는 4개의 현상기들(100K, 100C, 100M, 100Y)은 감 광체(4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여 나란히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현상기들(100K, 100C, 100M, 100Y)은 화상형성장치의 설치면, 즉 본체(10)의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본체(10)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본체(10)의 좌, 우 길이(도 2 기준)가 줄어들고, 본체(10)의 상, 하 공간(도 2 기준)이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되는 바, 화상형성장치가 더욱 컴팩트하게 마련된다.
각각의 현상기(100K, 100C, 100M, 100Y)는 현상기 하우징(110), 현상제저장부(120), 공급롤러(130), 현상롤러(140) 및 교반부재(150)를 가진다. 도 2에서는 편의상 현상기(100K)에 대해서만 참조 부호 '110', '120', '130', '140', '150'을 표시하였다.
현상기 하우징(110)은 각 현상기(100K, 100C, 100M, 100Y)의 외관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들을 지지한다. 현상제저장부(120)에는 감광체(40)로 공급될 현상제가 저장된다. 또 현상제저장부(120)에는 교반부재(1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교반부재(150)는 현상제저장부(120)에 저장된 현상제가 뭉치지 않도록 교반하면서 현상제를 공급롤러(130) 쪽으로 이송한다.
공급롤러(130)는 현상제저장부(120)에 저장된 현상제를 현상롤러(140)에 공급한다. 현상롤러(140)에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면, 현상롤러(140)는 정전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체(40)의 표면에 현상제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현상기 하우징(110)의 상면 일측에는 규제부재(111)가 설치된다. 규제부재(111)는 공급롤러(130)에 의해 현상롤러(140)의 표면에 부착된 현상제 두께를 규 제한다.
현상기 하우징(110)의 후단 양측에는 손잡이(11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손잡이(112)는 현상기들(100K, 100C, 100M, 100Y)의 착탈 시에 사용자가 현상기들(100K, 100C, 100M, 100Y)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현상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 현상기가 장착된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블랙 색상의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기(100K)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후술하는 내용은 다른 현상기들(100C, 100M, 100Y)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100K)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력수신부(160)와, 본체(10)로부터 전력을 전달받는 전력수신부(170)를 구비한다. 구동력수신부(160)와 전력수신부(170)는 현상기(100K)의 폭 방향(W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위치된다.
구동력수신부(160)는 현상롤러(140), 공급롤러(도 2의 130) 및 교반부재(도 2의 150)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받는 부분으로서, 현상기(100K)가 본체(10)에 장착되는 방향(A방향)인 현상기(100K)의 전단부 일측에 마련된다. 구동력수신부(160)는 현상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기어(161)와, 이 연결기어(161)에 맞물리는 현상롤러 구동기어(162)를 포함한다.
본체(10)에는 현상기(100K)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어(81)가 설치된다. 현상기(100K)가 본체(10)에 장착되면, 현상기(100K)의 연결기어(161)는 동력전달기어(81)에 맞물린다. 동력전달기어(81)는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된 구동모터 (미도시)에 의해 회전하고, 동력전달기어(81)에 맞물려 회전하는 연결기어(161)는 현상롤러 구동기어(162)로 동력을 전달하여 현상롤러(140)를 회전시킨다. 또한 연결기어(161)는 공급롤러(도 2의 130)와 교반부재(도 2의 150)를 회전시킨다. 미설명부호 400은 상기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동력전달기어(81)로 전달시키는 기어트레인(미도시)이 구비되는 구동유닛을 나타낸다.
전력수신부(170)는 현상롤러(140), 공급롤러(130) 또는 규제부재(111)를 대전시키는데 필요한 전원을 인가받는 부분으로서, 현상기(100K)의 전단부 타측에 마련된다. 전력수신부(170)는 현상기(100K)의 측면에 노출되는 제 1전기접점(171)을 포함한다. 본체(10)의 전력수신부(170)에 인접한 곳에는 회로기판(90)이 배치된다. 또한, 본체(10)의 제 1전기접점(171)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 2전기접점(82)이 배치된다.제 2전기접점(82)은 회로기판(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현상기(100K)가 본체(10)에 장착되면, 현상기(100K)의 제 1전기접점(171)은 본체(10)의 제 2전기접점(82)에 접속된다. 회로기판(90)에서 인가되는 전원은 제 2전기접점(82)과 제 1전기접점(171)을 통해 현상기(100K)로 전달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0)에 마련되는 폐현상제회수부(300)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현상기(100K)가 장착된 상태에서, 현상기(100K)를 기준으로 좌측(도 4 기준) 및 후부의 공간에는 폐현상제회수부(300)가 배치되고 우측(도 4 기준)에는 구동유닛(400)이 배치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의 폐현상제회수부(300)는 본체(10)에 착탈가능 하도록 장착되고, 폐현상제회수부(300)에는 중간전사벨트(51)에 잔존하는 폐현상제가 수집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인쇄동작이 시작되면, 감광체(40)의 표면은 대전롤러(4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40)의 표면에는 광주사장치(30)로부터 어느 한 색상, 예를 들어 옐로우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광이 조사되고, 감광체(40)에는 옐로우 색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점상이 형성된다.
이어서 옐로우 현상기(100Y)의 현상롤러(140)에는 현상바이어스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옐로우 색상의 현상제가 정전잠상에 부착되어 감광체(40)에는 옐로우 색상의 가시화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시화상은 제 1전사롤러(52)에 의해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된다.
옐로우 색상에 대한 한 페이지 분량의 전사가 완료되면, 광주사장치(30)는 다른 한 색상, 예를 들어 마젠타 색상의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40)에 주사하여 마젠타 색상의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마젠타 현상기(100M)는 정전잠상에 마젠타 색상의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감광체(40)에 형성된 마젠타 색상의 가시화상은 제 1전사롤러(52)에 의해 중간전사벨트(51)로 전사되는데, 이 때 마젠타 색상의 가시화상은 먼저 전사되어 있던 옐로우 색상의 가시화상 위에 중첩된다.
시안 및 블랙 색상에 대하여도 위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면, 중간전사벨트(51)에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화상이 중첩된 칼라화상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칼라화상은 중간전사벨트(51)와 제 2전사롤러(53)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로 전사되고, 인쇄매체는 정착장치(60)와 인쇄매체 배출장치(70)를 거쳐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인쇄 과정에서 현상기들(100K, 100C, 100M, 100Y)에 저장된 현상제가 소모되고, 현상롤러(140)나 공급롤러(130)와 같은 부품의 수명이 소진되는데, 사용자가 적절한 시기에 현상기들(100K, 100C, 100M, 100Y)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려면 현상기들(100K, 100C, 100M, 100Y)의 사용에 관한 각종 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각각의 현상기(100K, 100C, 100M, 100Y)에는 각종 사용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유닛(180)이 마련된다. 메모리유닛(180)에는 각 현상기(100K, 100C, 100M, 100Y)의 고유이력, 현상제 잔량 및 현상롤러(140)나 공급롤러(130)와 같은 부품의 수명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메모리유닛(180)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에 마련된 전원부, 예를 들어 회로기판(90)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현상기단자(181)를 구비하고, 본체(10)는 현상기단자(도 3의 181)에 접촉되는 본체단자(200)를 구비한다. 본체단자(200)는 현상기들(100K, 100C, 100M, 100Y)의 후방에 배치되는 본체커버(11)에 위치되고, 하네스(미도시)를 통해 회로기판(9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블랙 현상기(100K)에 마련된 메모리유닛(18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내용은 다른 현상기들(100C, 100M, 100Y)에 마련된 메모리유닛(180)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유닛(180)은 현상기(100K)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에 장착되는 방향(A방향)에 대해 현상기(100K)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현상기단자(181)는 현상기(100K)의 후면(10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메모리유닛(180)을 설치하면, 메모리유닛(180)이 도 2와 같이 정착장치(60), 감광체(40) 및 현상롤러(140)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되므로 고열로 인해 메모리유닛(180)이 손상되거나 비산하는 현상제로 인해 현상기단자(181)가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현상기단자(181)가 다른 부품들과 간섭될 가능성이 거의 없는 현상기(100K)의 후면에 배치되므로 현상기(100K)를 본체(10)에 장착 또는 분리하는 과정에서 현상기단자(181)가 손상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의 좌측 및 우측공간의 활용성이 증대되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더욱 컴팩트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메모리유닛(180)이 현상기(100K)의 측부에 설치되는 경우 현상기의 현상기단자에 대응하여 본체의 일측에는 본체단자가 설치되므로, 상기 본체의 일측의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본체(10)의 좌측(도 4 기준) 공간에는 폐현상제회수부(300)가 배치되고 우측(도 4 기준) 공간에는 구동유닛(400)이 배치된다.
메모리유닛(180)은 현상기(100K)의 폭 방향 중앙부(C)로부터 일측으로 편향되어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메모리유닛(180)은 현상기단자(181)들이 현상기(100K)의 구동력수신부(160)보다는 전력수신부(170)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되도록 전력수신부(170) 쪽으로(도 4 상에서 좌측으로) 편향되어 위치된다.
메모리유닛(180)이 구동력수신부(16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위치되도록 하면, 본체(10)로부터 구동력수신부(160)로 구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발생 하는 진동으로 인한 영향이 저하된다.
또한 메모리유닛(180)이 전력수신부(170)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되도록 하면, 이에 따라 본체커버(11)에 마련된 본체단자(200)들이 회로기판(90) 쪽으로 편향되어 위치되게 되므로 본체단자(200)들과 회로기판(90)을 연결하는 하네스(마도시)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부품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네스(미도시) 주위에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한 악영향을 줄일 수 있다.
메모리유닛(180)의 현상기단자(181)들은 도 3과 같이, 현상기(100K)의 폭 방향(W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1단자 내지 제 4단자(151, 154, 152, 153)를 포함한다.
제 1단자(151)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10)에 마련된 제어유닛(미도시)과의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통신단자이다. 화상형성장치(1)의 제어유닛(미도시)은 제 1단자(151)를 통해 메모리유닛(180)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읽어 들이거나 새로운 정보를 메모리유닛(180)에 저장할 수 있다.
제 2단자(154)는 메모리유닛(180)을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단자이다. 또 제 3단자(152)는 메모리유닛(18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단자이고, 제 4단자(153)는 메모리유닛(180)에 클럭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클럭단자이다.
제 1단자 내지 제 4단자(151, 154, 152, 153) 중 제 1단자(151)는 현상기(100K)의 구동력수신부(160)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와 같이, 구동력수신부(160)가 현상기(100K)의 우측에 마련된 경우, 제 1단자(151)는 네 단자들 중 가장 좌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단자(151)를 구동력수신부(160)로부터 가능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시키는 것은 구동력수신부(16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에 의해 데이터 전송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
제 1단자 내지 제4단자(151, 152 ,153 ,154) 중 구동력수신부(160)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단자는 제 2단자(154)이다. 즉, 도 4와 같이, 구동력수신부(160)가 현상기(100K)의 우측에 마련된 경우, 제 2단자(154)는 네 단자들 중 가장 우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단자(154)는 접지단자로서 본체커버(11)에 마련된 본체단자(200)에 접촉만 되면 되고, 어떤 정보나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 2단자(154)가 구동력수신부(160)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됨에 따라 진동에 의한 영향을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받게 되더라도 접속불량으로 인한 오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적다. 다만 제 2단자(154)는 진동에 의한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 1, 3, 4단자(151, 153, 154)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현상기단자(181)와 본체단자(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을 설명하도록 한다. 현상기단자(181)는 제 1 내지 4단자(151, 154, 152, 153)로 구분되지만 현상기단자(181)와 본체단자(200)가 접촉된다는 점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 1 내지 4단자(151, 154, 152, 153) 중 어느 한 단자를 특별히 지칭하지 않고 현상기단자(181)로 표현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의 현상기단자와 본체단자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본체단자의 부분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현상기(100K)에 마련된 현상기단자(181)와, 본체(도 1의 10)의 본체커버(11)에 마련된 본체단자(200)가 마련된 단자접촉체(210)를 포함한다.
단자접촉체(210)는 본체(도 1의 10)에 마련된 회로기판(도 4의 90)을 포함한 각종 전원장치와 현상기(100K) 사이에 전기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한다. 단자접촉체(210)는 전기저항이 낮아 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마련된다. 단자접촉체(210)는 회로기판(도 4의 90)과 현상기(100K)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함과 동시에 본체(도 1의 10) 내부에 마련된 구동모터(미도시) 등의 작동에 의한 진동에 의하여 접속이 단락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현상기단자(181)는 현상기(100K) 측에 마련된 도전성평판이다. 현상기단자(181)는 접촉면(183)을 통하여 본체단자(200)와 기구적으로 접촉이 되는 동시에, 상호 통전 가능한 도체로 마련된 현상기단자(181)와 본체단자(200) 사이에 전기신호가 송수신된다. 현상기단자(181)의 일측에는 전기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하네스(미도시)가 마련된다. 현상기단자(181)의 접촉면(183)은 전기신호 송수신을 위한 통전이 원활하도록 전기저항이 낮은 금도금처리 된다.
본체단자(200)는 본체(도 1의 10)의 본체커버(11)에 마련된다. 본체단자(200)는 현상기단자(181)와 접촉되는 경우에 전기신호의 송수신이 원활하도록 도전성물질로 마련된다. 본체단자(200)는 본체커버(11)에 마련된 본체단자하우징(220)에 수용된다. 본체단자하우징(220)은 본체단자(200)를 현상기단자(181) 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209)와, 탄성부재(209)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 되는 본체단자(20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통공(222)을 포함한다. 본체단자(200)는 가이드통공(222)을 관통하는 단자몸체부(202a)와, 상기 탄성부재(209)가 결합되는 탄성부재 결합부(202b)와, 상기 단자몸체부(202a)와 상기 탄성부재 결합부(202b)의 사이에 마련되는 걸림부(202c)와, 본체단자(200)의 단부(206)에 마련된 접촉돌기(203)를 포함한다.
단자몸체부(202a)는 원통형으로 마련된다. 단자몸체부(202a)는 도전성 물질로 마련되어, 현상기단자(181)와 기구적으로 접촉됨과 동시에 전기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전상태가 된다. 원통형의 단자몸체부(202a)는 가이드통공(222)을 통하여 현상기단자(181) 방향으로 원활하게 전후진된다.
탄성부재 결합부(202b)에는 탄성부재(209)가 결합된다. 탄성부재(209)는 본체단자(200)를 현상기단자(181) 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켜, 본체단자(200)의 단부(206)에 마련된 접촉돌기(203)가 현상기단자(181)와 밀착되도록 한다. 탄성부재(209)는 탄성체임과 동시에 통전가능한 물질로 마련된다. 따라서, 현상기단자(181)에 본체단자(200)가 접촉되면, 전기신호가 탄성부재(209)을 통하여 본체커버(11) 측으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의 탄성부재(209)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지만, 탄성부재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음은 당연하다.
접촉돌기(203)는 단자몸체부(202a)의 단부(206)에 마련된 다접점형성부이다. 접촉돌기(203)는 단부(206)에 본체단자(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3개가 대략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3개가 정삼각형의 세 꼭지점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3개의 접촉돌기(203)들은 본체단자(200)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 을 형성한다. 물론, 접촉돌기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는 바, 4개 이상의 접촉돌기들이 본체단자(200)의 단부(206)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역시, 4개의 접초돌기들은 본체단자(200)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을 형성할 수 있다.
접촉돌기(203)는 본체단자(200)와 일체로 마련되므로 생산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된다. 본체단자(200)의 단부(206)에 접점형성부인 접촉돌기(203)가 돌출마련됨으로 인하여, 본체단자(200)가 현상기단자(181)와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은 접촉돌기(203)이다. 접촉돌기(203)가 3개가 정삼각형의 세 꼭지점 위치에 분산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구동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한 진동 등의 외부적 요인에 의하여 본체단자(200)가 흔들리는 경우에도 3개의 접촉돌기(203) 중 적어도 하나가 현상기단자(181)와 접촉된다. 또한, 3개의 접촉돌기(203)가 현상기단자(181)와 접촉하므로 전기적 접속이 원활하게 되어 본체단자(200)와 현상기단자(181) 간의 저항이 감소된다.
참고로, 도 22 및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단자(200)와 현상기단자(181) 사이의 접촉성을 실험적으로 나타내는 실험표이다. 구체적으로, 도 22는 별도의 접촉돌기를 구비하지 아니하는 본체단자,와 현상기단자 사이의 정상조건 및 비정상조건에서의 저항측정결과를 나타내는 실험표이고, 도 23은 본 실시예의 3개의 접촉돌기를 구비하는 본체단자(200),와 현상기단자(181) 사이의 정상조건 및 비정상조건에서의 저항측정결과를 나타내는 실험표이다. 참고로, 비정상조건이란 현상기 교체 등의 이유로 현상기단자의 표면이 현상제로 오염된 상태를 나타내고, 정상조건이란 현상기단자의 표면이 현상제로 오염되지 아니한 상태를 나 타낸다. 그리고, Y, M, C, K는 각각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색상의 현상기들을 나타낸다.
도 2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상조건 시, 별도의 접촉돌기를 구비하지 아니하는 본체단자,와 현상기단자 사이에서 10[Ω] 내지 100[Ω] 범위 내에서 저항이 측정된 경우가 2회 발생하였고, 100[Ω]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도 6회가 발생하였다. 한편, 비정상조건 시에는, 별도의 접촉돌기를 구비하지 아니하는 본체단자,와 현상기단자 사이에서 10[Ω] 내지 100[Ω] 범위 내에서 측정된 경우가 13회 발생하였고, 100[Ω] 이상으로 측정되는 경우는 133회 발생하였다. 이와 비교하여, 도 2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정상조건 시, 본 실시예의 3개의 접촉돌기를 구비하는 본체단자(200),와 현상기단자(181) 사이에서 10[Ω] 내지 100[Ω] 범위 내에서 저항이 측정된 경우는 전혀 발생되지 아니하였다. 물론, 100[Ω] 이상의 저항이 측정된 경우도 전혀 없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화상형성장치의 초기 구동시 및 기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본체단자와 현상기단자 사이에는 전기저항이 매우 낮은 안정된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현상기단자와 본체단자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 7을 참조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한 진동 등의 외부적 요인에 의한 진동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본체단자(200)가 정상적인 위치에서 일정각도(d) 기울어진 경우에도, 3개의 접촉돌기(203) 중 하나는 현상기단자(181)의 접촉면(183)과 접촉된다. 따라서, 현상기단자(181)와 본체단자(200) 간의 전기적으로 접속이 단락되지 않아서, 본체(도 1의 10)에 마련된 회로기판(도 4의 90)을 포함한 각종 전원장치와 현상기(100K) 사이의 전기신호가 원활히 송수신된다.
또한, 접촉면(183)이 현상제 등에 의하여 오염된 경우에도, 3개의 접촉돌기(203) 중 적어도 한 부분 이상에서는 접촉이 유지될 수 있어 회로기판(도 4의 90)을 포함한 각종 전원장치와 현상기(100K) 사이의 전기신호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된다.
현상기단자(181)와 본체단자(200)간에 전기신호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가 여부는 현상기단자(181)와 본체단자(200) 사이의 저항값을 측정함으로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기준에 기초하여 실험을 진행하여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구동모터가 회전하여 진동이 발생하거나 현상제로 인하여 오염된 비정상 상태에서, 종래의 경우에는 저항값이 100옴(Ohm,Ω) 이상의 수치가 나와 정상적인 전기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 질 수 없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본체단자(200)의 경우에는 동일한 비정상 상태 조건하에서도 현상기단자(181)와 본체단자(200) 사이의 저항값이 10옴 이하로 측정되어 매우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인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동하고 있는 도중이라도 본체와 현상기간 데이터 송수 신을 시도한다(S10).
데이터 송수신을 시도하고, 데이터 송수신의 성공여부를 판단한다(S20). 데이터 송수신이 성공하면 데이터 송수신을 계속하며 성공여부를 계속 체크한다. 본체(도 1의 10)와 현상기(도 5의 100K) 간에는 진동에 의한 접속불량이 방지되도록 마련된 단자접촉체(도 5의 210)가 마련되므로 불규칙하고 매우 큰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한 데이터 송수신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만약, 데이터 송수신이 실패하면, 재시도회수(n)를 0(zero)으로 설정하고(S30), 100 밀리세크(ms, milisec) 간격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재시도한다(S40). 진동은 통상적으로 크고 작은 진동이 일정한 주기로 발생한다. 따라서, 100 밀리세크 동안 진동이 약화되기를 대기하며 데이터 송수신을 중단하였다가 다시 시도한다.
데이터 송수신의 재시도 여부를 판단하여(S50), 데이터 송수신 재시도가 실패하면 재시도회수(n)를 1회 증가시킨다(S60).
재시도회수(n)가 3회 이상인가 여부를 판단하여(S70), 3회 이상인 경우에는 구동모터를 정지시킨다(S80). 재시도를 3회 실시하였음에도 데이터 송수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큰 진동이 계속하여 발생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진도의 가장 큰 진동원인 구동모터를 정지시켜 진동을 감소시킨다.
구동모터가 정지되면, 데이터 송수신을 재시도한다(S90). 구동모터가 정지된 상태이므로 데이터 송수신은 원활하게 진행된다.
데이터 송수신이 끝나면, 구동모터를 재가동(S100)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단자 접촉면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는 'a'를 부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다접점형성부가 현상기단자(181a)에 마련된다. 현상기단자(181a)는 격자형 도전판인 접촉면(183a)와, 탄성판(185)과, 지지판(182)을 포함한다.
접촉면(183a)은 금 등의 전도성 물질이 격자형으로 도금되어 마련된다. 접촉면(183a)의 표면은 가로, 세로로 반복형성된 격자(191)와 격자(191) 사이에 형성된 격자공간(192)이다.
탄성판(185)은 외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되되 탄성력이 있는 폴리머 필름(PET) 등의 재질로 마련된다. 탄성판(185)은 본체단자(200a)가 접촉되면 탄성부재(도 5의 209)의 탄성력에 의하여 변형되며, 본체단자(200a)와 접촉이 해제되면 초기형상으로 되돌아온다.
지지판(182)은 탄성판(185)을 상부에 수용하여 현상기단자(181a)의 전체적인 구조를 지지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화상형성장치의 작동을 도 9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자접촉체(210a)의 본체단자(200a)가 현상기단자(181a) 측으로 접근하여 기구적으로 접촉되면, 탄성판(185)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탄성변형 된다. 탄성 판(185)이 탄성변형되면 격자공간(192)도 함께 변형되며, 다수개의 접점(187a)이 발생된다.
본체단자(200a)가 다수개의 접점(187a)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므로, 구동모터(미도시) 등의 작동에 따른 진동이 발생하여도 복수개의 접점(187a)이 동시에 단락될 가능성은 현저히 저하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원활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단자 접촉면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다층와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는 'b'를 부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다접점형성부가 현상기단자(181b)에 가로, 세로가 상호 교차되며 격자형으로 마련된 탄성도전튜브(183b)이다.
탄성도전튜브(183b)는 현상기단자(181b)의 지지판(182) 상에 마련된다. 탄성도전튜브(183b)는 외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되되 탄성력을 보유한 중심체(193)와, 중심체(193)을 감싸며 마련된 제 1,2,3도전성피복(194, 195, 196)을 포함한다.
중심체(193)는 탄성력이 있는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Polyester Filament)와 같은 재질로 마련된다. 중심체(193)는 외력이 가해지면 변형되었다가, 외력이 제가되면 최초 형상으로 복귀된다.
제 1,2,3도전성피복(194, 195, 196)은 중심체(193)의 외면을 감싼다. 제 1,2,3도전성피복(194, 195, 196)은 구리(Cu), 니켈(Ni)과 같은 전도성이 좋은 재질로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화상형성장치의 작동을 도 11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단자(200b)가 현상기단자(181b) 측으로 접근하여 기구적으로 접촉되면탄성도전튜브(183b)가 탄성변형하게 된다.
탄성도전튜브(183b)가 탄성변형되며 본체단자(200b)가 현상기단자(181b) 측으로 접근되면, 본체단자(200b)와 탄성도전튜브(183b) 사이에 접점(187b)이 다수개 발생된다. 다수 부위에 접점(187b)이 발생하면, 본체단자(200b)와 탄성도전튜브(183b)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각종 전기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체단자(200b)에서 탄성도전튜브(183b)을 따라 전달된 전기신호는 와이어(미도시)를 통하여 필요한 부위로 전달된다. 본테단자(200b)와 탄성도전튜브(183b) 사이에 다수개의 접점(187b)이 발생되므로 진동 등의 원인으로 본체단자(200b)가 흔들리는 경우에도 전기적 접속이 유지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단자 접촉면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는 'c'를 부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다접점형성부가 접촉면(183c) 에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마련된 도전성탄성엠보싱(191c)이다.
도전성탄성엠보싱(191c)은 현상기단자(183c)의 지지판(182) 상에 마련되며, 도전성탄성엠보싱(191c)과 지지판(182)의 사이에는 탄성판(185)이 형성된다. 도전성탄성엠보싱(191c)은 접촉면(183c)에 마련되며, 본체단자(200c)측을 향하여 반구형으로 돌출된 형상이다.
본체단자(200c)가 접근하여 도전성탄성엠보싱(191c)에 접촉되면, 도전성탄성엠보싱(191c)은 탄성판(185)과 함께 형상이 변형되며 다수개의 접점(187c)을 형성한다. 따라서, 진동 등에 의하여 본체단자(200c)가 흔들리는 경우가 발생하여도 다수개의 접점(187c) 중 하나 이상은 전기적 접속상태를 유지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단자 접촉면의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는 'd'를 부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다접점형성부가 본체단자(200)와 접촉되는 접촉면(183d)에 마련된 도전성평판(191d)이다.
도전성평판(191d)은 현상기단자(181d)의 지지판(182) 상에 마련되며, 도전성평판(191d)과 지지판(182) 사이에는 탄성판(185)이 형성된다. 도전성평판(191d)은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동시에 탄성력이 있는 알루미늄(Al) 등의 재질로 마련된다.
본체단자(200)가 접근하여 도전성평판(191d)의 접촉면(183d)에 접촉되면, 도 전성평판(191d)은 탄성판(185)과 함께 변형된다. 동시에 본체단자(200)에 마련된 접촉돌기(203)가 도전성평판(191d)의 3곳에서 접점(187d)을 형성한다.
접속돌기(203)가 3곳에서 접속된다는 점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나, 3곳에서 접속됨과 동시에 도전성평판(191d)이 탄성변형되므로, 구동모터(미도시)의 작동 등에 따른 진동이 발생하여 본체단자(200)가 흔들리는 경우에도 도전성평판(191d)이 탄성변형된 변화량(t)만큼 복위하는 동안에는 3곳의 접점이 유지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단자와 현상기단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단자와 현상기단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통공(222')의 내경은 본체단자(20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가이드통공(222')의 중심선(C222')에 대하여 본체단자(200)는 소정각도 기울지게 마련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C200은 본체단자(200)의 중심선을 나타내고, 미설명부호 g는 본체단자(200)와 가이드통공(222') 사이의 간격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소정각도 범위 내에서 현상기(100K)가 기울어지더라도 현상기단자(181)와 본체단자(200) 사이의 안정적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즉, 현상기단자(181)의 면과 본체단자(200)의 중심선(C200) 사이의 각도가 90도를 벗어나더라도, 본 실시예의 본체단자(200)는 소정각도 내에 서 기울어지는 바, 현상기단자(181)의 면과 본체단자(200)의 단부 사이의 최대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현상기가 본체에 기울어진 상태로 장착되거나, 순간적인 진동 또는 충격이 화상형성장치에 가해지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물론,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단자(200)의 기울어짐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통공(222'')의 단부를 호형상 등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현상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 현상기가 장착된 상태도이다.
도 5은 도 1의 현상기단자와 본체단자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본체단자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현상기단자와 본체단자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단자 접촉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단자 접촉면의 사시도이다.
도 12은 도 11의 다층와이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는 도 11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단자 접촉면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현상기단자 접촉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는 도 1의 E-E 선에 대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를 나타낸다.
도 19는 도 18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재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단자와 현상기단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단자와 현상기단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단자와 현상기단자 사이의 접촉성을 실험적으로 나타내는 실험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화상형성장치 10 : 본체
11 : 본체커버 90 : 회로기판
100K, 100C, 100M, 100Y : 현상기
110 : 현상기 하우징 160 : 구동력수신부
170 : 전력수신부 180 : 메모리유닛
181 : 현상기단자 183 : 접촉면
185 : 탄성판 200 : 본체단자

Claims (25)

  1. 일측에 개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유닛;
    상기 현상유닛의 장착방향으로 상기 현상유닛의 후부를 커버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본체커버;
    상기 현상유닛의 후부에 마련되며, 현상기단자를 갖는 메모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커버는 상기 메모리유닛과 접촉하는 본체단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단자부는 하나 이상의 본체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본체단자는 일단부에 복수의 접촉돌기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3개 이상이며 상기 본체단자의 중심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단자를 수용하는 본체단자하우징과, 상기 본체단자를 상기 현상기단자 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본체단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단자는 단자몸체부와,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탄성부재 결합부와, 상기 단자몸체부와 상기 탄성부재 결합부의 사이에 마련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단자의 상기 단자몸체부와 상기 가이드통공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통공의 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본체단자가 일정각도 기울어질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1항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복수의 현상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현상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현상기는 화상형성장치의 설치면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력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유닛은 상기 현상유닛의 폭방향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력수신부의 타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수신부가 마련되는 상기 현상유닛의 일측과 폭방향으로 반대되는 상기 현상유닛의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전력을 전달받는 전력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폐현상제를 회수하기 위한 폐현상제회수부가 상기 전력수신부에 인접하여 상기 현상유닛의 장착방향으로 본체의 후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단자 및 상기 본체단자는 각각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현상기단자들 중 하나는 데이터 통신단자이며,
    상기 현상기단자들 중에서 상기 데이터 통신단자는 상기 현상유닛의 폭방향으로 상기 구동력수신부로부터 가장 먼거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단자 및 상기 본체단자는 각각 복수 개 마련되고,
    상기 현상기단자들 중 하나는 접지단자이며,
    상기 현상기단자들 중에서 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현상유닛의 폭반향으로 상기 구동력수신부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단자들 중에서 상기 접지단자의 면적이 가장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버에 마련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현상유닛이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유닛의 후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진퇴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압부재용 가이드부와,
    상기 가압부재를 일측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단자는,
    외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되되 탄성력이 있는 탄성판과,
    상기 본체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면에 마련된 도전성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단자는 상기 본체단자와 접촉하는 격자형 도전(導電)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단자는, 상기 본체단자와 접촉하며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탄성도전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도전튜브는, 외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되되 탄성력이 있는 중심 체와, 상기 중심체를 감싸며 마련된 적어도 한 겹의 도전성피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단자는, 상기 본체단자와 접촉하며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탄성엠보싱을 구비하며,
    상기 도전성탄성엠보싱은, 상기 접촉면에서 상기 본체단자 측을 향하여 반구형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현상기에 마련된 화상형성장치의 메모리유닛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유닛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본체단자에 의해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단자는 개폐가능하게 마련된 본체커버에 형성된 본체단자하우징에 부착되며,
    상기 본체단자하우징은 상기 메모리유닛 측으로 상기 본체단자를 탄성바이어스 시키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상기 본체단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단자는 상기 가이드통공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전후로 이동하는 단자몸체부와, 상기 본체단자의 단부에 상기 본체단자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하여 3개가 등각격으로 배치된 접촉돌기를 포함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메모리유닛.
  22. 현상기가 장착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부재를 구동하는 모터를 수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작동중에 상기 현상기의 메모리와 접속(access)하는 단계와,
    상기 메모리와 접속이 실패할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메모리와 접속이 실패할 경우, 모터 중지에 앞서 소정의 휴지시간 경과 후 메모리와 접속을 반복적으로 재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휴지시간은 100 밀리세크[ms]이고, 상기 재시도는 3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25.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현상기에 있어서,
    메모리유닛과,
    상기 본체의 본체단자와 접속되어 상기 메모리와 상기 화상형성장치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고, 상기 메모리유닛과 연결되는 현상기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단자는 본체단자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단자 하우징은 현상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개구를 덮는 본체 커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기.
KR1020090021493A 2008-04-01 2009-03-1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9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493A KR101590336B1 (ko) 2008-04-01 2009-03-1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2/414,703 US8260168B2 (en) 2008-04-01 2009-03-31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enhanced electrical connection mainten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3/565,221 US20120301173A1 (en) 2008-04-01 2012-08-02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284 2008-04-01
KR20080030284 2008-04-01
KR1020090021493A KR101590336B1 (ko) 2008-04-01 2009-03-1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814A KR20090105814A (ko) 2009-10-07
KR101590336B1 true KR101590336B1 (ko) 2016-02-01

Family

ID=4111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493A KR101590336B1 (ko) 2008-04-01 2009-03-1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260168B2 (ko)
KR (1) KR1015903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4257B2 (ja) * 2006-12-28 2012-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7742717B2 (en) * 2007-09-11 2010-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device, memory unit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30051812A (ko) * 2011-11-10 2013-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WO2013100350A1 (en) * 2011-12-28 201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pgrade apparatus,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180173B2 (ja) * 2012-05-31 2017-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基板及び画像形成装置
JP6398362B2 (ja) * 2013-10-24 2018-10-03 株式会社リコー 通信コネクタ及び画像形成装置
JP6524723B2 (ja) * 2015-03-09 2019-06-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65462B2 (ja) * 2015-08-17 2018-08-0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7078761A (ja) * 2015-10-20 2017-04-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5549361A (zh) * 2015-12-31 2016-05-04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一种存储元件、使用该存储元件的显影盒及图像形成设备
JP2018205379A (ja) * 2017-05-31 2018-12-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7000730B2 (ja) 2017-08-01 2022-01-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441B1 (ko) 1997-08-09 2005-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터에서 에러 이력 저장 및 수리코드 저장방법
JP2006267528A (ja) 2005-03-24 2006-10-05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KR100765263B1 (ko) 2006-08-22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상승 지지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5160B2 (ja) * 1987-11-26 1997-01-22 三田工業株式会社 トナー濃度制御装置
JP2625017B2 (ja) * 1989-07-06 1997-06-25 富士通株式会社 トナー濃度制御装置の調整方法
US5061192A (en) 1990-12-17 1991-10-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density connector
JP3432087B2 (ja) * 1996-08-29 2003-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2673642Y (zh) * 2002-02-19 2005-01-26 精工爱普生株式会社 连接器、显影墨盒及图像形成装置
JP4194298B2 (ja) * 2002-05-17 2008-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記憶媒体、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96497B2 (ja) * 2004-02-27 2009-07-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003658A (ja) * 2005-06-22 2007-01-1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7017774A (ja) * 2005-07-08 2007-01-25 Ricoh Printing Systems Ltd 画像形成装置
JP2007147684A (ja) * 2005-11-24 2007-06-1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910793B2 (ja) * 2007-03-12 2012-04-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4985030B2 (ja) * 2007-03-29 2012-07-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742717B2 (en) * 2007-09-11 2010-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device, memory unit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441B1 (ko) 1997-08-09 2005-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린터에서 에러 이력 저장 및 수리코드 저장방법
JP2006267528A (ja) 2005-03-24 2006-10-05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KR100765263B1 (ko) 2006-08-22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상승 지지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814A (ko) 2009-10-07
US20090245861A1 (en) 2009-10-01
US20120301173A1 (en) 2012-11-29
US8260168B2 (en) 2012-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336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460801B2 (en) Developing cartridge
USRE46519E1 (en) Developing device, memory unit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162174B2 (en) Process cartridge having light guides and memory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such cartridge is mountable
KR100424992B1 (ko) 메모리 부재, 유닛,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형성 장치
JP2024019525A (ja) ドラム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2018031420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Developing Cartridge is Mountable
CN213023953U (zh) 鼓盒
US10852685B2 (en) Drum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26815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cartridge support member and cartridge including movable detection member
CN112346311A (zh) 图像形成装置
JP7467948B2 (ja) 画像形成装置
CN220509289U (zh) 一种处理盒
JP7447622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863252B1 (ko) 현상기와 그 메모리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JP2001237029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