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263B1 - 커버 상승 지지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상승 지지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263B1
KR100765263B1 KR1020060079437A KR20060079437A KR100765263B1 KR 100765263 B1 KR100765263 B1 KR 100765263B1 KR 1020060079437 A KR1020060079437 A KR 1020060079437A KR 20060079437 A KR20060079437 A KR 20060079437A KR 100765263 B1 KR100765263 B1 KR 100765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pin
cover
elevating memb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형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9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9Mounting or support of componen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64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ergonomic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 상승 지지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근접 및 이격 이동하는 커버를 가지며,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베이스와; 승강부재와;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승강부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안내핀과;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승강부재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안내핀을 수용하며,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커버의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시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기립위치 및 상기 커버의 상기 본체 근접 시 절곡되는 절곡위치로, 회동가능 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핀 가이드와; 상기 기립위치의 상기 승강부재가 하향 가압 시 상기 승강부재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승강부재를 절곡 회동시키는 절곡가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합기, 스캔부, 상승 지지, 상승 유지

Description

커버 상승 지지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VER ELEVATION SUPPORTING APPRATUS}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커버 상승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3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3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스캔부 상승 지지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9는 도 3의 화상형성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도 11a 및 도 11b의 승강부재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도 12의 승강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측 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화상형성장치 110 : 스캔부
103 : 힌지 120 : 본체
123 : 적재부 200, 200a : 베이스
210 : 탄성부재 지지부 213 : 지지체
215 : 지지돌기 216 : 단부 고정부
217 : 수직지지 스프링 안착부
300, 300a, 300b : 스캔부 상승 지지장치
310, 310a, 310b : 승강부재
313 : 보강부 315 : 슬라이드면
317, 317a : 승강부재 단부 318 : 안내핀 홀
320 : 탄성부재 321 : 승강부재 회동 스프링
323 : 수직지지 스프링 325, 325a : 수직 지지스프링 연결부재
330 : 안내핀 340, 340a : 안내핀 가이드
341 : 수직홈 343 : 경사면
350 : 절곡가이드 353 : 가이드 경사면
357 : 가이드 수직면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커버 상승 지지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문서 또는 인쇄데이터의 정보를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스캐너, 프린터, 팩시밀리, 그리고 이들 기능이 전부 또는 일부 혼합된 복합기 등이 있다.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와,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커버(11)를 갖는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커버(11)를 본체(12)에 접근시키거나 이격시킨다. 이러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본체(12)로부터 이격된 상태의 커버(11)를 지지하기 위한 커버 상승 지지장치(30)를 갖는다.
커버 상승 지지장치(30)는 본체(12)의 상면에 형성된 수용공간(21)에 수용된다. 그리고, 플레이트(31)의 측면에서 돌출된 핀(33)이 수용공간(21)의 양측 벽면에 형성된 핀홀(34)에 삽입됨으로써 회전 가능한 플레이트(31)와 플레이트(31)를 탄성가압하는 스프링(32)을 갖는다. 스프링(32)의 일단은 수용공간(21)에 고정된 스프링 지지부(23)에 의해서 고정 지지되며, 타단은 플레이트(31)의 슬라이드면(31a)을 따라서 슬라이딩 된다. 사용자가 커버(11)를 들어올리면 스프링(32)에 의해 탄성가압력을 받고 있는 플레이트(31)가 일시에 해방된다. 플레이트(31)는 미도시된 스톱퍼에 의해 기립위치 까지 회동하게 된다. 이 플레이트(31)는 핀(33)이 핀홀(34)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커버(11)의 하중을 지지하여 커버(11)를 상승된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커버(11)를 본체(12)로 하향 접근시킬 때 사용자가 손으로 플레이트(31)를 앞쪽(도 1에서 지면(紙面)에 수직한 방향)으로 당겨서 커버(11)를 가압하여야 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떨어진다. 특히, 커버(11)와 본체(12) 사이의 공간이 좁은 경우 손을 넣기 위해 다시 커버(11)를 들어올려야 하므로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커버를 하향 가압함으로써 커버를 닫을 수 있는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와, 상기 본체에 근접 및 이격 이동하는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베이스와; 승강부재와;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승강부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안내핀과;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승강부재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안내핀을 수용하며,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커버의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시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기립위치 및 상기 커버의 상기 본체 근접 시 절곡되는 절곡위치로 회동가능 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핀 가이드와; 상기 기립위치의 상기 승강부재가 하향 가압 시 상기 승강부재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승강부재를 절곡 회동시키는 절곡가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가이드는 상기 승강부재의 일단과 접촉되어 상기 승강부재를 절곡시키기 위해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커버를 들어올렸을 때 승강부재가 자동으로 기립위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기립위치를 초과하여 과도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퍼와;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기립위치로 회동시키는 회동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간효율 측면에서 상기 스톱퍼와 상기 절곡가이드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커버의 자중이 큰 경우,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수직지지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생산성 및 공간효율성 측면에서 상기 안내핀 가이드와 상기 절곡가이드는 일체로서 상기 베이스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일례로서 플랫 베드(Flat-bed) 방식의 스캐너와 레이저 프린터가 상하에 배치되어 있는 복합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스캔부(110)가 본체(120)로부터 상향 이격된 상태에 있는 복합기(1)의 개략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기(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가 완료되어 배출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적재부(123)를 갖는 본체(120)와, 본체(120)의 상측에 힌지(103) 결합되는 스캔부(110)를 포함한다.
본체(120)는 급지부(400), 화상형성부(500), 정착부(600), 및 배지부(700)를 수용한다. 스프링(41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녹업플레이트(430)에 적재된 인쇄매체가 픽업 및 이송롤러(420, 430)에 의해 화상형성부(500)로 급지된다. 대전롤러(530)에 의해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520)가 광주사장치(510)에 의해 노광되어 표면에 국부적인 전위차로 형성된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520) 표면의 정전잠상에는 현상 및 공급롤러(530)를 통해 전달된 현상제가 도포된다. 감광체(520) 표면에 도포된 현상제는 다시 전사롤러(540)에 의해 급지부(400)에서 급지된 인쇄매체로 전사된다. 전사된 현상제는 정착부(600)에 의해 열과 압력에 의해 인쇄매체에 정착되며, 최종 화상이 형성된 인쇄매체는 배지부(700)를 통해 적재부(123)로(화살표 방향) 배출된다.
적재부(123)에는 인쇄된 인쇄매체가 적재된다. 적재부(123)와 스캔부(110) 사이의 공간은 배출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공간이다. 사용자가 적재공간이 많이 필요한 경우, 스캔부(110)를 본체(120)로부터 상향 이격(도 2의 B)시킴으로써 하향된 상태(도 2의 A)보다 더 많은 양의 배지된 인쇄매체를 적재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할 스캔부 상승 지지장치(300)의 승강부재(310)의 본체(120) 상면에서 돌출된 높이에 따라서 최대 적재공간이 정해진다. 또한, 적재부(123)의 상측의 본체(120) 상부에는 스캔부 상승 지지장치(300)를 수용하기 위해 함몰된 형상의 수용공간(도 4 및 도 5의 127)이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달리, 본체(120)의 상면이 아니라 커버(110)의 하면에 수용공간(127)이 마련될 수 도 있다.
스캔부(110)는 본체(120)에 힌지(103)로 결합되어 본체(120)에 근접 및 이격 회동 가능하다. 스캔부(110)가 본체(120)로부터 이격 회동 시 적재부(123)에 보다 많은 양의 인쇄매체를 적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스캔부(110)는 스캐닝을 요하는 문서가 수용되는 문서수용 글래스(미도시)와 수용된 문서를 독취하는 이미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스캔부(110)는 본원 명세서에서 일종의 커버로 간주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기(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공간을 늘리기 위해 스캔부(110)를 상승시켰을 때, 상승된 스캔부(110)를 지지하는 스캔부 상승 지지장치(300)와, 스캔부 상승 지지장치(300)를 본체(120)에 고정하는 베이스(200)를 더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7은 스캔부 상승 지지장치(300)의 승강부재(310)가 이격 상승된 스캔부(110)를 지지하는 기립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스캔부 상승 지지장치(300)를 보다 명확히 도시하기 위해 스캔부(110)의 절단면을 생략하였다.
베이스(2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부 상승 지지장치(300)를 수용하기 위해 본체(120) 상면에 함몰된 형상의 수용공간(127)을 형성한다. 필요에 따라서, 스캔부(110)의 하면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수용공간(127) 대신에 돌출된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베이스(2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310)를 회동시키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회동스프링(321) 및 수직 지지 스프링(323)을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부(210)를 포함한다.
탄성부재 지지부(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돌기(215)가 형성된 지지체(213)와, 단부 고정부(216), 수직지지스프링 안착부(217)를 갖는다. 지지체(213)는 수용공간(127)의 하측에 마련되며, 안내핀(330)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돌기(215)를 갖는다. 지지돌기(215)는 회동스프링(321)의 원형감김부(321a)의 내부공간에 삽입된다. 단부 고정부(216)는 회동스프링(321)의 절곡된 일 단부(321b)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일 단부(321b)를 베이스(200)에 고정시킨다. 수직지지스프링 안착부(217)는 베이스(200)의 안내가이드(340)가 형성된 양측 벽면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 마련되어 수직지지스프링(217)을 고정시킨다.
스캔부 상승 지지장치(3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310)와; 승강부재(31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320)와; 승강부재(310)에 마련된 안내핀(330)과; 승강부재(310)를 소정의 기립위치와 절곡위치 사이를 안내하는 안내핀 가이드(340)와; 기립위치의 승강부재(310)가 하향 가압될 때 승강부재(310)를 절곡시키는 절곡가이드(350)를 갖는다.
승강부재(310)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의 플레이트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시된 것과 달리 바(bar) 나 로드(rod)와 같이 폭이 좁은 부재로서 마련될 수도 있다. 후술할 기립위치 및 절곡위치를 회동하면서 스캔부(110)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그 형상 및 재질로 어떤 것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승강부재(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313), 슬라이드면(315), 승강부재 단부(317), 및 안내핀 홀(318)을 포함한다. 보강부(313)는 스캔부(110)의 자중이 큰 경우 좌굴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른 부위보다 두께가 두껍다. 슬라이드 면(315)은 보강부(313) 사이의 표면으로서 회동스프링(321)의 일 단부(도 6의 321c)가 슬라이딩된다.
승강부재 단부(31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3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끝단으로서 승강부재(310)의 하향 가압 시 절곡가이드(350)와 접촉되어 승강부재(310)를 절곡시키는 역할을 한다. 승강부재 단부(317)는 하나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310)가 비대칭적으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할 가이드 경사면(353)을 따라서 원활하게 절곡되게 하기 위해 승강부재 단부(317)는, 도 6 및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안내핀홀(318)은 승강부재(310)의 가로방향으로 관통되어 안내핀(330)이 삽입되는 홀(hole)이다.
탄성부재(32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핀(330)을 중심으로 승강부재(310)가 회동하도록 승강부재(310)에 탄성력을 가하는 회동 스프링(321)과, 승강부재(310)를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 지지 스프링(323)을 갖는다. 수직 지지 스프링(323)은 스캔부(110)가 이격된 상태에서 회동 스프링(321)만의 탄성력으로 지지될 수 있는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회동스프링(32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종의 토선코일 스프링으로서, 원형감김부(321a)와 절곡된 양 단부(321b, 321c)를 갖는다. 원형감김부(321a)는 지지돌기(215)에 삽입되고, 일 단부(321b)는 베이스(200)의 단부 고정부(216)에 고정된다. 다른 일 단부(321c)는 승강부재(310)의 슬라이드면(315)을 따라 슬라이 딩 가능하게 승강부재(310)에 연결된다. 회동스프링(321)은 스캐닝부(110)이 본체(120)에 근접하여 승강부재(310)가 수용공간(127)에서 절곡된 절곡위치(도 8d 참조)에 있을 때, 승강부재(310)에 가하는 회동스프링(321)의 탄성력이 스캐닝부(110)를 임의로 상향 이격시키지 않도록 적절한 탄성계수를 갖도록 한다. 탄성계수가 큰 경우에는 승강부재(310)의 임의 회동을 저지할 수 있는 스톱퍼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지지 스프링(323)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수직지지 스프링 연결부재(325) 및 안착부(217) 사이에 설치되어 승강부재(310)를 탄성 지지한다. 승강부재(310)가 기립위치에 있을 때 스캔부(110)의 자중을 지탱하도록 적절한 탄성계수를 갖는다. 스캔부(110)의 자중을 지탱하도록 승강부재(310)에 탄성력을 가할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코일스프링 대신에 판 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의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수직지지 스프링(32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지지 스프링 연결부재(325)와 안내핀(330a)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수직지지 스프링 연결부재(325)의 상단이 안내핀(330a)에 형성된 삽입공(333)에 삽입됨으로써 수직지지스프링 연결부재(325)가 안내핀(330a)을 탄성지지 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승강부재(310)의 회동과정에서 수직지지스프링 연결부재(325)의 상단이 삽입공(33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수직지지 스프링 연결부재(325)의 상단이 삽입공(333)에서 적절한 길이로 돌출되도록 한다.
수직지지 스프링 연결부재(32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안내핀(330)에, 그리고 하측으로 수직 지지 스프링(323)에 연결된다. 이로써, 수직 지지 스프링(323)이 안내핀(330) 및 안내핀(330)이 관통된 승강부재(310)를 탄성지지하게 된다.
한편, 안내핀(3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310)의 안내핀홀(318)에 삽입됨으로써 안내핀(330)과 승강부재(310)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안내핀(330)의 양단은 안내핀 가이드(340)에 수용되어 안내핀 가이드(340)의 형상에 따라 안내핀(330)의 이동범위가 제한된다.
안내핀 가이드(3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0)의 양 측벽의 상부에 형성된 슬롯(Slot)이다. 슬롯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탄성부재(320)의 배치, 탄성력의 크기, 승강부재(310)의 형상 및 회동방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된다. 일례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3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의 슬롯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절곡가이드(35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0)의 수용공간(127)의 안내핀 가이드(340)가 형성된 측면의 바닥면에 마련된다. 절곡가이드(350)에는 승강부재(310)의 단부(317)와 접촉되면 승강부재(310)를 슬라이딩 시켜 절곡되게 하는 가이드 경사면(353)과 승강부재(310)와 대향하는 가이드 수직면(357)이 마련된다.
가이드 경사면(353)은 스캔부(110)를 사용자가 누르면 그에 따라 승강부재(310)와 일체로 이동하는 안내핀(330)이 안내핀 가이드(340)를 따라 하향하면서 승강부재 단부(317)가 가이드 경사면(353)과 접촉하면서 승강부재(310)가 절곡되게 된다. 도 7에서는 승강부재(310)가 반시계방향으로 절곡되게 된다. 가이드 경사 면(353)은 경사 기울기 및 경사면의 방향은 탄성부재(320)의 가압방향, 안내핀 가이드(340)의 형상, 수용공간(127)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된다.
한편, 가이드 수직면(357)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경사면(353)에서 연장된 수직인 면이다. 가이드 수직면(357)의 모서리는 승강부재(310)의 절곡시 간섭을 피하기 위해 라운드 처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스캔부(110)를 들어올려 본체(120)로부터 이격시키면, 수용공간(127)에 절곡 수용되어 있던 승강부재(310)가 회동스프링(321)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게 된다. 이때, 기립위치를 벗어나서 과도하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가 필요하다. 가이드 수직면(357)은 이러한 승강부재의 과 회동을 방지하는 스톱퍼 역할을 한다. 절곡가이드(350)에는 경사면만을 형성하고, 절곡가이드(350)와는 별도의 스톱퍼를 마련하여도 무방하다. 스톱퍼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 단부(317)측에 접촉하여 과회동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도 있으나, 스캔부(110)의 상측에 돌기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기립위치에 있는 스캔부 상승 지지장치(300)의 확대단면도로서, 승강부재(310)가 기립위치에서부터 절곡위치로 회동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d에서는 승강부재(310)의 회동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기로 한다.
도 8a는 승강부재(310)가 기립하여 스캔부(110)를 지지하고 있는 기립상태를 나타낸다. 아직 사용자가 스캔부(110)를 하향 가압하지 않은 상태이다. 스캔부(110)의 자중은 주로 수직 지지 스프링(323)에 의해 지지된다.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스캔부(110)를 아래로 누르게 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310)가 하향하게 되고 그와 일체로 하향 이동하는 안내핀(330)이 안내핀 가이드(340)를 따라서 하향 하게 된다. 안내핀(330)이 더 하향하여 승강부재 단부(317)가 절곡가이드(350)의 가이드 경사면(353)에 접촉하게 되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353)을 따라 승강부재(310)가 반시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번 기울어진 승강부재(310)는 스캔부(110)의 자중에 의해 계속 반시계방향으로 절곡되면서 마침내 수용공간(도 7의 127참조)에 수용되게 된다. 이때, 안내핀(330)이 승강부재(310)의 안내핀홀(318)을 관통함으로써 안내핀(330)과 승강부재(310)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하향하던 안내핀(330)은 승강부재(310)가 반시계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승강부재(310)를 통해 전달되는 스캔부(110)의 자중이 점차 줄어 들게 된다. 따라서, 안내핀(330)은 수직 지지 스프링(323)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도 8a와 대략 같은 위치로 상향하게 된다. 도 8d에서는 승강부재(310)가 수용공간(도 7의 127참조)에 스캔부(110)의 하면에 대해서 경사각을 가지면서 수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용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스캔부(110)의 하면과 도 8d의 절곡위치에 있는 승강부재(310)의 상면이 서로 면접하게 함으로써 스캔부(110)의 하면과 평행하게 수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승강부재(310)의 동작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스캔부(110)를 누르기만 하면 스캔부(110)를 본체(120)에 근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부 상승 지지 장치(300a)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에서 안내핀 가이드(340)가 베이스(200)에 형성된 것과 달리, 안내핀 가이드(340)가 승강부재(310a)에 마련된다. 그리고, 안내핀(330b)은, 도 10에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0)의 양 측벽에 돌출되어 베이스(200)와 일체로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안내핀(330b)을 승강부재(310)에 형성된 안내핀 가이드(340)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베이스(200)와 안내핀(330b)을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베이스(200)에 안내핀홀을 형성하여 안내핀(330b)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다. 수직지지 스프링 연결부재(325a)는 승강부재(310)의 힌지홀(319)에 삽입되는 힌지축을 더 포함한다. 승강부재(310a)는 제1실시예에서의 안내핀홀(318) 대신에 슬롯 형상의 안내핀 가이드(340) 및 수직지지 스프링 연결부재(325a)의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홀(319)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스캔부 상승 지지장치(300a)로도 스캔부(110)를 아래로 누르기만 하면 스캔부(110)를 본체(120)에 근접 회동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탄성부재 지지부(210) 없이 수용공간(127)을 형성하는 베이스(200a)와, 스캔부 상승 지지 장치(300b)를 포함한다.
스캔부 상승 지지장치(300b)는 승강부재(310b), 탄성부재(320), 안내핀(330) 및 안내가이드(340a)를 포함한다.
승강부재(310b)는, 도 11a 내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승 강부재(310)와 비교하여 슬라이드면(315) 및 안내핀홀(318)이 없어지고, 수직지지 스프링 연결부재(325a)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홀(319)을 더 포함한다. 또한, 절곡가이드(350)의 가이드 경사면(353)이 승강부재 단부(317a)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승강부재(310b)의 길이를 제1실시예의 승강부재(310)에 비해 짧게 해도 무방하다. 또한, 승강부재 단부(317a)는, 도 11a 및 도 11b에는 곡면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곡면 처리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탄성부재(320)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스프링(328) 및 수직지지 스프링(323)을 포함한다. 회동스프링(328)은 제1실시예에서 회동스프링(321)으로 사용된 토션 코일 스프링 대신에 인장 코일 스프링이 사용된다.
회동스프링(328)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핀 가이드(340a) 내부에 수용되어 안내핀(330b)의 상측 단부와 안내핀 가이드(340a)의 상부면을 연결한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스캔부(110)를 들어올렸을 때 승강부재(310b)는 회동스프링(32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기립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제1실시예에서의 가이드 수직면(357)과 같은 승강부재의 초과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스캔부(110)의 자중이 작은 경우 수직지지스프링(323) 및 수직지지 스프링 연결부재(325a)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캔부(110)가 본체(120)에 근접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승강부재(110b)가 절곡 위치(도 11b)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승강부재(310b)가 회동스프링(328)의 탄성력에 의해 기립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스톱퍼가 필요할 수도 있다.
수직지지 스프링 연결부재(325a)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310b)의 힌지홀(319)에 삽입되는 힌지축을 갖는다.
한편, 안내핀(330b)은, 도 11a 내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형상의 아랫면을 갖는다. 그리고, 승강부재(310b)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승강부재(310b)와 일체로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조립공수를 절감하기 위해서 승강부재(310b)와 안내핀(330b)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핀(330c)은 승강부재(310c)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안내핀 가이드(340a)는 안내핀(330b)의 단부를 수용하며, 베이스(200a)의 양측 벽면에 형성된다. 안내핀 가이드(340a)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부(110)가 하향 가압되었을 때 승강부재(310b)가 하향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부재(310b)를 안내하는 수직방향의 수직홈(341)과, 수직홈(341)에서 연장되어 안내핀(330)과 접촉되어 승강부재(310b)를 절곡시키는 경사면(343)을 포함한다. 즉, 안내핀 가이드(340a)는 제1실시예에서의 안내핀 가이드(340)와 절곡가이드(350)의 가이드 경사면(353)이 일체로 형성된 홈(slot)이다. 안내핀 가이드(340a)의 형상은,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승강부재(310b)의 회동방향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스캔부 상승지지장치(300b)는 스캔부(110)가 하향 가압되면 승강부재(310b)와 일체로 회동하는 안내핀(330b)이 안내핀 가이드(340a)의 경 사면(343)을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부재(310b)도 시계방향으로 절곡되어 수용공간(127)의 절곡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스캔부(110)의 자중이 회동스프링(328)의 탄성 복원력보다 큰 경우 스캔부(110)를 들어올리기 전 까지는 승강부재(310b)는 절곡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본체(120)에서 이격 상승된 스캔부(110)를 누르기만 하면 스캔부(110)를 본체(120)에 하향 접근시킬 수 있고, 스캔부(110)를 들어올리기만하면 스캔부(110)를 본체(12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스캔부(110)를 상승 지지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스캔부(110)에 국한되지 않고 본체에서 이격 회동하는 커버 등과 같은 부재의 상승지지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체로부터 이격 상승된 커버를 누르기만 하면 별도의 동작 없이도 커버를 본체로 하향 접근 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근접 및 이격 이동하는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베이스와;
    승강부재와;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승강부재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안내핀과;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승강부재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안내핀을 수용하며,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커버의 상기 본체로부터 이격시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기립위치 및 상기 커버의 상기 본체 근접 시 절곡되는 절곡위치로, 회동가능 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핀 가이드와;
    상기 기립위치의 상기 승강부재가 하향 가압 시 상기 승강부재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승강부재를 절곡 회동시키는 절곡가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가이드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기립위치를 초과하여 과도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 톱퍼와;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기립위치로 회동시키는 회동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이 있어서,
    상기 스톱퍼와 상기 절곡가이드는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수직지지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핀 가이드와 상기 절곡가이드는 일체로서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60079437A 2006-08-22 2006-08-22 커버 상승 지지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0765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437A KR100765263B1 (ko) 2006-08-22 2006-08-22 커버 상승 지지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437A KR100765263B1 (ko) 2006-08-22 2006-08-22 커버 상승 지지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263B1 true KR100765263B1 (ko) 2007-10-09

Family

ID=3941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437A KR100765263B1 (ko) 2006-08-22 2006-08-22 커버 상승 지지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2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814A (ko) * 2008-04-01 200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2078521A (ja) * 2010-09-30 2012-04-19 Kyocera Mita Corp 画像読取部支持機構及びこの画像読取部支持機構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1608A (ja) 1999-06-17 2001-01-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240351A (ja) 2003-02-10 2004-08-26 Murata Mach Ltd 画像読取装置
JP2005301181A (ja) 2004-04-16 2005-10-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085191A (ja) 2005-11-07 2006-03-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208490A (ja) 2004-11-12 2006-08-1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1608A (ja) 1999-06-17 2001-01-09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4240351A (ja) 2003-02-10 2004-08-26 Murata Mach Ltd 画像読取装置
JP2005301181A (ja) 2004-04-16 2005-10-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208490A (ja) 2004-11-12 2006-08-1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085191A (ja) 2005-11-07 2006-03-3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814A (ko) * 2008-04-01 200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90336B1 (ko) 2008-04-01 201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2078521A (ja) * 2010-09-30 2012-04-19 Kyocera Mita Corp 画像読取部支持機構及びこの画像読取部支持機構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8180B2 (en) Covering device, and image read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covering device
KR101351096B1 (ko) 급지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US674182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724181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799968B (zh) 馈纸器和形成馈纸器的方法
KR100609059B1 (ko) 스톱퍼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EP0974876A1 (en) Photoreceptor belt control apparatus for printer
US7552922B2 (en) Image-forming apparatus
KR101061297B1 (ko) 시트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0744049B1 (ko) 힌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040101084A (ko) 롤지 홀더 및 이를 내장하는 화상 형성 장치
US20110234733A1 (en) Multifunctional Peripheral
US701987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65263B1 (ko) 커버 상승 지지장치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2001097561A (ja) 給紙カセット
KR101821616B1 (ko) 화상형성장치
KR20150026597A (ko) 인쇄매체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0388996B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카세트
KR100259764B1 (ko) 화상형성장치용 급지장치
JP2001072303A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69517B2 (ja) 画像形成装置
US7085513B2 (en) Multi-function office apparatus
AU2010224467A1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JP3589973B2 (ja) 排紙トレイ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213202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