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510B1 - 줌렌즈 경통 - Google Patents

줌렌즈 경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510B1
KR970002510B1 KR1019890007642A KR890007642A KR970002510B1 KR 970002510 B1 KR970002510 B1 KR 970002510B1 KR 1019890007642 A KR1019890007642 A KR 1019890007642A KR 890007642 A KR890007642 A KR 890007642A KR 970002510 B1 KR970002510 B1 KR 970002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cam ring
optical axis
ring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442A (ko
Inventor
히로시 노무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도 도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701988A external-priority patent/JP26915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8359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832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8359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832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8359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8325Y2/ja
Priority claimed from JP835948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4592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8473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5554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8473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4480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8473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832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8473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42424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89557U external-priority patent/JP257280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8955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745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9707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646Y2/ja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도 도오루 filed Critical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1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wo group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 Laser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줌렌즈 경통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매크로부착 줌렌즈 경통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광축으로부터 상반분의 단면도로서, 제1도는 수납상태, 제2도는 광각단상태, 제3도는 망원단 상태, 제4도는 매크로촬영위치를 각각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캠환, 렌즈안내환 및 내측 헬리코이드환의 전개도.
제6도는 캠홈과 이동렌즈의 이동관계의 설명도.
제7도는 종래의 캠홈과 이동렌즈의 관계 설명도.
제8도는 캠환의 회전운동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외측 헬리코리드에 설치한 브러쉬의 설치태양을 도시한 사시도.
제9도는 동브러쉬와 미끄럼 접촉하는 코오드판의 평면도.
제10도는 캠환의 회전운동위치 검출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납상태에 있어서의 줌렌즈 경통의 단면도.
제11도는 동 회전운동위치 검출기구 및 캠환, 렌즈안내환 및 내측 헬리코이드환의 전개도.
제12도는 제1도 내지 제4도의 줌렌즈 경통과, 거리측정 장치의 근거리 보정기구를 조합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13도는 동 정면도.
제14a,14b도는 동 근거리 보정광학소자의 비진출상태 및 진출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제15도는 제1도 내지 제4도의 줌렌즈 경통의 셔터 유니트에 접속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수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제16도는 고정환의 직진 안내홈과, 이에 끼워 맞추는 직진 안내판의 끼워 맞춤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17도는 제1도 내지 제4도의 줌렌즈 경통과 배리어기구를 조합한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18a,18b도는 동 배리어기구를 갖는 줌렌즈 경통의 비리어기구 폐쇄상태 및 배리어 개방상태의 단면도.
제19a,19b도는 동 배리어기구의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의 정면도.
제20도는 제1도 내지 제4도의 줌렌즈 경통의 구동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제21도는 동 구동기구와 캠환, 렌즈 안내환과 내측 헐리코이드를 도시한 전개도.
제22도는 동 구동기구의 주요부의 사시도.
제23도는 동 구동기구의 암수 헬리코이드 환의 분해사시도.
제24도는 동 주요부의 확대사시도.
제25도는 동 전개도.
제26도는 제1도 내지 제4도의 줌렌즈 경통에 플랜지백 조정기구를 조합한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27도는 제26도의 플랜지백조정기구를 조정치구에 의하여 조정하는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정면도.
제28도는 플랜지백조정기구를 갖는 카메라의 사시도.
제29도는 동 플랜지백조정기구를 갖춘 줌렌즈 경통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카메라 몸체 12 : 고정통
13,14 : 레일 15,16 : 이동렌즈
18 : 암 헬리코이드환 18a,20a,69 : 헬리코이드산
19,21,25 : 고정나사 20 : 숫 헬리코이드환
20b : 기어 22,50 : 캠환
24 : 렌즈안내환 26 : 직진안내판
27 : 렌즈안내환가이드홈 29 : 플랜지
30 : 전군렌즈테 31 : 후군렌즈테
32 : 셔터블록 33 : 헬리코이드링
34 : 전군이동테 35,36 : 개드핀
38 : 렌즈커버통 39 : 화장통
41 : 전군캠홈 42 : 후군캠홈
43,44 : 렌즈가이드홈 45 : 차광판
48 : 코오드판 50 : 브러쉬고정용 오목부
51 : 브러쉬 53,54 : 캠핀
61 : 보정광학소자 62 : 트인구멍
63 : 마스크 64 : 피벗축
65 : 회전운동축 67 : 인장스프링
68 : 연동돌기 69a : 잘린부분
72 : 수광부 81 : 플렉시블 기판
81a : 제1접어꺾인부분 81b : 제2접어꺾인부분
81c : 제3접어꺾인부분 140 : 렌즈배리어
140a : 배리어판부분 140b : 구동아암부
141,142 : 핀 143 : 중계링
143a : 홈 145 : 구동링
147 : 개방스프링 148 : 배리어커버
148a : 촬영구멍 254 : 모우터
255 : 피니언(구동기어) 256 : 고정판
257 : 감속기어열 317 : 나사
318 : 판스프링 318a : 잘라세운편
319 : 잠금나사 350 : 플랜지백조정용 공구
411 : 화장판 411a : 구멍
415 : 덮개.
본 발명은 줌렌즈 경통에 관하여, 특히 수납길이를 현저히 단축할 수 있는 줌렌즈 경통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카메라의 소형화의 요구는 극히 강하여, 폭과 높이에 대해서는 필름과 렌즈구경의 크기에 의해 제한되는 한계 가까이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두께에 대해서는 렌즈의 수납길이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었다. 수납길이를 짧게 하려고 하면 할수록 렌즈군의 이동량이 증가하고, 그만큼 긴 캠환을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이 렌즈군의 이동량과 캠환의 길이의 밸런스를 잃으면, 렌즈는 인입되었는데도 캠환은 인입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길이는 짧아지지 않아서, 카메라의 두께는 여전히 얇아지지 않는다는 불편이 생긴다.
본 발명은 특히 렌즈수납시의 두께를 얇게할 수 있고, 더구나 이동정밀도가 높은 매크로 부착 줌렌즈 경통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렌즈 경통에 있어서는 일정위치에서 회전하는 캠환에 의하여 렌즈를 매크로영역 및 줌영역을 포함하는 촬영위치와 수납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시키고 있으며, 이것이 박형화의 장애로 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 문제점을 해결하여 본 발명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고정통에, 회전에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캠환을 지지하고, 이 캠환에 적어도 전후 2군의 이동렌즈군용의 캠홈을 형성하여, 이들의 캠홈에 의하여 이동렌즈군의 이동위치를 결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줌렌즈 경통에 의하면, 캠환이 회전하면서 전진하기 위하여, 이것에 형성한 캠홈에 의한 적어도 전후 2군의 이동렌즈군의 이동길이를 크게 취할 수 있고, 따라서 줌범위로부터 다시 렌즈군을 후퇴시켜서 수납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줌렌즈 경통은 보다 바람직하기는 고정통과, 이 고정통에, 회전에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된 캠환과, 이 캠환과 광축방향으로는 일체로 움직이고, 또한 캠환의 광축방향 이동에 따라 이 캠환에 대하여 상대회전하는 렌즈안내환과, 상기 캠환에 형성한 적어도 전후 2군의 이동렌즈군용의 캠홈과, 이들의 캠홈에 대응시켜서 렌즈안내환에 형성한 레즈가이드홈과, 이 렌즈가이드홈 및 상기 캠홈의 양자에 걸쳐서 삽입관통한 가이드핀을 가지고 적어도 전후 2군의 이동렌즈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캠홈 및 렌즈가이드홈은 캠홈 및 렌즈안내환의 광축방향이동과 상대회전과의 합성운동에 의하여 상기 전후의 이동렌즈군을 소정의 궤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줌렌즈 경통에 의하면, 캠환이 회전하면서 전진하기 때문에, 캠홈의 경사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문에 이동렌즈군을 고정밀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줌렌즈 경통이 줌구간과 한쪽의 줌끝으로부터 다시 이동렌즈군을 매크로 촬영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매크로 이행구간을 가질 때, 이 캠홈의 줌구간과 매크로 이행구간과의 리드각(경사각)을 광축과 평행한 방향에 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즉, 이 구조에 의하면, 상대회전하는 캠환과 렌즈안내환이 이동렌즈를 유지하면서 함께 광축방향으로 전진후퇴운동하며, 또한 양자의 합성운동에 의하여 이동렌즈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통상의 촬영영역에 있어서는 캠환과 렌즈가이환의 광축방향길이가 짧더라도 이동렌즈의 이동거리를 크게 할 수 있는 한편, 캠홈의 줌구간과 매크로 이행구간이 광축과 평행한 방향에 관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리드각을 가지므로, 캠환의 회전운동량에 비하여 이동렌즈의 이동량이 적어져서, 이동렌즈를 고정밀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시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시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적용한 매크로부착 줌렌즈 경통의 실시예로서, 제1,2,3도 및 제4도는 각각 수납위치, 광각단, 망원단 위치 및 매크로 촬영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4개의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의 렌즈 경통의 수납길이가 짧은 것이 일목요연하다.
렌즈셔터식 카메라의 카메라 몸체(11)에는 고정통(12)이 고정되어 있다.
13,14는 카메라 몸체(11)에 형성된 필름 가이드로서의 바깥레일과 안레일이고, 이들 레일(13,14)에 의하여 필름유지면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후 2군의 이동렌즈(15,16)를 필름 유지면에 극히 접근시킨 상태까지 후퇴시켜 수납할 수 있고, 더구나 캠환 등의 환형부재도 짧으므로 수납길이가 짧다.
고정통(12)내에는 안둘레에 헬리코이드산(18a)이 형성된 암헬리코이드환(18)이 고정나사(19)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암헬리코이드환(18)에는 바깥둘레에 헬리코이드산(20a)이 형성된 숫헬리코이드환(20)이 나사결합되고, 숫헬리코이드환(20)에는 캠환(22)이 고정나사(21)(제5도 참조)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숫헬리코이드(20)의 바깥둘레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축과 평행하게 뻗은(광축방향의) 산을 가진 기어(20b)가 헬리코이드산(20a)의 리드각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기어(20a)는 숫헬리코이드환(20)(캠환 22)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경사시켜서 설치되어 있다.
기어(20b)는 피니언에 맞물리고, 이 피니언은 모우터에 의하여 정역으로 회전구동된다.
따라서, 이 캠환(22)은 숫헬리코이드환(20)이 회전구동되면, 헬리코이드산(20a)의 리드에 따라 회전하면서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기어(20b)를 캠환(22)상에 경사시켜서 배치함으로써 회전하면서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캠환(22)에 형성하는 기어(20b)의 설치면적을 작게할 수 있다.
이 캠환(22)의 안둘레에는 렌즈안내환(24)이 광축방향으로는 일체로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 렌즈안내환(24)에는 그 후단부에 고정나사(25)에 의하여 직진안내판(26)이 고정되어 있다.
이 직진안내판(26)은 그 바깥둘레에 돌출설치된 부분이 고정통(12)의 내면에 형성된 렌즈안내환 가이드홈(27)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 렌즈안내환 가이드홈(27)은 본 실시예에서는 광축방향의 직선홈이다.
그리고, 이 직진안내판(26)과 렌즈안내환(24)의 후단과의 사이에 형성된 환상홈(28)에, 캠홈(22)의 후단부에 형성된 안쪽 플랜지(29)가 상대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따라서 렌즈안내환(24)은 렌즈안내환가이드홈(27)에 의하여 회전은 규제되어 있으나, 광축방향으로는 항상 캠환(22)과 일체로 이동하고, 또한 캠환(22)은 이 렌즈안내환(24)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전후 2군의 이동렌즈군(15,16)는 렌즈안내환(24)의 안쪽에 위치하는 전군렌즈테(30)와 후군렌즈테(31)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전군렌즈테(30)는 셔터블록(32)에 고정된 헬리코이드 링(33)에 헬리코이드 결합하고 있다.
셔터블록(32)은 전군이동테(34)에 고정되어 있고, 이 전군이동테(34)의 바깥둘레부에 적어도 3개의 가이드핀(35)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핀(35,36)은 제1도와 제3도에서는 겹쳐져 있다.
셔터블록(32)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거리측정장치로부터의 피사체까지의 거리신호에 따른 각도만큼 구동핀(32a)을 회전운동시켜, 구동핀(32a)에 핀(30a)를 통하여 연동되고 있는 전군렌즈테(30)를 함께 회전운동시켜서 헬리코이드를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초점조절을 행한다.
또, 피사체의 휘도신호에 따라 셔터블레이드(32b)를 동작시킨다.
38은 전군이동테(34)에 일체로 설치된 렌즈커버통, 39는 본체외곽(11a)으로부터 돌출하는 렌즈안내환(24) 및 캠환(22)의 바깥둘레를 덮는 화장통이다.
캠환(22)에는 가이드핀(35,36)이 삽입관통되는 전군캠홈(41)과 후군캠홈(42)이 각각 뚫어설치되어 있다.
렌즈안내환(24)에는 이들 각각의 전군캠홈(41) 및 후군캠홈(42)에 각각 대응하여 헨즈가이드홈(43,44)이 뚫어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렌즈가이드홈(43,44)은 모두 광축방향의 직선홈이다. 가이드핀(35)은 전군캠홈(41)과 렌즈가이드홈(43)에 걸쳐 삽입관통되고, 가이드핀(36)은 후군캠홈(42)과 렌즈가이드홈(44)에 걸쳐 삽입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군캠홈(41)과 렌즈가이드홈(43) 및 후군캠홈(42)과 렌즈개드홈(44)의 형상은 각각 숫헬리코이드환(20)의 회전에 따르는 캠환(22)과 렌즈안내환(24)의 광축방향이동 및 캠환(22)과 렌즈안내환(24)의 상대회전에 의하여 이동렌즈(15,16)에 소정의 광축방향의 이동궤적을 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5도에 있어서, 전국캠홈(41)와 후군캠홈(42)의 구간 ℓ1은 통상 촬영 영역인 줌구간, 동 ℓ2는줌구간 ℓ1의 망원단 끝에 계속되는 매크로 이행구간, 동 ℓ3는 줌구간 ℓ1의 광각단 끝에 계속되는 수납구간이다.
매크로 이행구간 ℓ2는 줌구간 ℓ1과의 광축과 평행인 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리드각을 가지고 있다.
환언하면, 줌구간 ℓ1의 리드각을 플러스라고 하면, 매크로 이행구간 ℓ2의 리드각은 마이너스이다.
상기 구성으로 된 본 줌렌즈는 기본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숫헬리코이드환(20)을 정역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이와 맞물리고 있는 암헬리코이드환(18)이 고정통(1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숫헬리코이드환(20)은 회전하면서 헬리코이드산(20a)의 리드에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숫헬리코이드환(20)에 고정된 캠환(22)이 숫헬리코이드환(20)과 일체로 정반대로 회전함과 동시에, 헬리코이드산(20a)의 리드에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캠환(22)의 광축방향이동에 따라, 캠환(22)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광축방향으로는 일체로 이동하도록 부착된 렌즈안내환(24)이 회전하지 않고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캠환(22)과 렌즈안내환(24)과의 상대회전에 따라, 캠홈(41)과 렌즈가이드홈(43) 및 캠홈(42)과 렌즈가이드홈(44)의 관계에 의하여 이동렌즈(15,16)가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상기 캠환(22) 및 렌즈안내환(24)의 이동에 의하여 이동렌즈(15,16)를 제1도의 수납상태로부터 제4도의 매크로 촬영상태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더욱이 수납상태에 있으면서 캠환(22) 및 렌즈안내환(24)이 본체외곽(11a), 렌즈커버통(38)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으므로, 수납길이가 매우 짧다.
즉, 캠환(22)은 회전운동함과 동시에 헬리코이드산(20a)의 리드에 의하여 광축방향으로 전진후퇴한다.
따라서, 캠홈(41,42)의 광축방향 길이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렌즈(15,16)의 광축방향 최장이동 길이(L1)보다도 캠환(22)의 광축방향으로 이동길이(L2)분만큼 짧게할 수 있다.
즉, 캠환(23)의 전체길이는 렌즈 최장이동길이(L1)보다도 캠환(22)의 광축방향으로 이동길이(L2)만큼 짧아도 좋다.
이에 대하여,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캠환(50)은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캠환(50)에 있어서는 캠홈(51,52)의 광축방향 길이가 이동렌즈(캠핀(53,54))의 광축방향 이동길이로 되므로, 필연적으로 캠환(50)의 광축방향 길이는 렌즈의 최장이동길이가 필요하게 된다.
또, 캠홈(41,42)의 리드각을 작게 함으로써 캠홈(41,42)의 작용에 의한 이동량이 감소하여도 헬리코이드산(20a)에 의한 이동량은 변하지 않는다.
즉, 캠홈(41,42)의 리드각을 영으로 하면, 이동렌즈(15,16)의 캠홈(22)에 대한 이동량은 영이 되나, 캠환(22)은 헬리코이드산(20a)의 리드에 따라 이동하므로, 결국 이동렌즈(15,16)는 헬리코이드산(20a)의 리드분만큼 이동한다(제6도 참조).
따라서, 후군캠홈(42)이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캠환(22)의 회전에 따라 이동렌즈(16)를 수납위치에 후퇴시킬 수 있다.
이것은 캠환(22)에 형성하는 후군캠홈(42)과 렌즈가이드홈(44)을 전체적으로 눕힐 수 있는 것(리드각을 작게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후군캠홈(42) 및 렌즈가이드홈(44)의 광축방향 길이를 짧게하여 캠환(22)을 짧게하고, 또한 이동렌즈(15,16)의 이동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이 리드와 캠홈(41,42)의 관계는 후군캠홈(42)의 수납구간(ℓ3)을 참조하면 특히 명백하다.
이 수납기간(ℓ3)은, 캠환(22)상에서는,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행해져 있다.
종래와 같이 가령 캠환(22)이 회전만하고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고 하면, 이동렌즈(15,16)를 후퇴시킬 수 없으나, 캠환(22)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이동렌즈(15,16)를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줌렌즈 경통에 있어서는 망원단 끝으로부터 매크로 촬영영역으로의 이동렌즈(15,16)의 소요이동량은 근소하다.
그래서, 캠환(22)의 회전운동량에 대한 이동렌즈(15,16)의 이동량을 적게하기 위하여, 이동량의 과잉분을 캠홈(41,42)에 의하여 감하도록 하고 있다.
즉, 캠홈(41,42)의 매크로 이행구간(ℓ2)의 리드각을 마이너스로 하고, 리드를 마이너스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매크로 이행구간(ℓ2)에 있어서의 캠환(22)의 광축방향 이동길이(L3)에 대한 후군이동렌즈(16)(가이드핀 36)의 이동길이(L4)가 줌구간(ℓ1)의 경우보다도 짧아진다.
즉, 캠환(22)의 회전운동각에 대한 이동렌즈(15,16)의 이동 길이가 짧아진다(제6도 참조).
이 구성에 의하면 캠환(22)의 회전운동량에 대한 이동렌즈(15,16)의 이동량이 극히 근소하게 되므로, 캠환(22)의 회전 운동각을 충분히 확보하여 고이동정밀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더욱이 매트로 이행구간(ℓ2)의 리드각이 마이너스이므로, 캠환(22)의 전체길이도 짧아진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렌즈안내환 가이드홈(27) 및 렌즈가이드홈(43,44)을 모두 직선홈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들을 직선홈으로 하는 것은 이들의 홈의 가공 및 전군 캠홈(41)과 후군 캠홈(42)의 형상의 설정이 용이하다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렌즈안내환 가이드홈(27) 및 렌즈가이드홈(43,44)을 직선홈 이외의 형상으로 하는 것을 막는 것은 아니다.
요는 캠환(22)의 회전에 의하여 렌즈안내환(24)이 광축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고(이때, 회전을 포함하여도 좋다), 또한 캠환(22)과 렌즈안내환(24)이 상대회전에 의하여 이동렌즈(15,16)가 소정의 궤적을 그리며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들의 렌즈 안내환 가이드홈(27), 전군캠홈(41), 후군캠홈(42) 및 렌즈가이드홈(43,44)의 형상을 정하면 된다.
가이드핀(35,36) 따라서, 캠홈(41,42) 및 렌즈가이드홈(43,44)를 적어도 3개로 한 것은 후군렌즈테(31)와 전군이동테(34)의 렌즈안내환(24)에 대한 끼워맞춤 길이를 길게할 수 없으므로, 이들 광축에 대한 전도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끼워맞춤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는 경우, 또는 가이드 포울에 의하여 렌즈군을 안내하는 구조의 경우등, 전도의 발생 염려가 없을 때에는 가이드핀을 1개 또는 2개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숫헬리코이드환(20)과 캠환(22)을 다른 부재로 구성하고, 이들을 고정나사(21)로 고정하는 구조로 하였으나, 이들은 수지재료에 의한 일체성형이 가능하다.
이상은 본 발명의 줌렌즈 경통이 기본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 것이나, 다음에 이 줌렌즈 경통에 대한 각종의 부가구조 또는 조합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광구조
렌즈 안내환(24)의 후단부에는 차광판(45)이 설치되어있다.
이 차광판(45)은 이동렌즈(16)의 둘레가장자리로부터 경통의 내벽면에 진입하는, 필름면상의 상맺힘에 관여하지 않는 유해광선을 차단하는 것으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직진안내판(26)의 안둘레부를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나오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안끝이 이동렌즈(16)의 둘레가장자리부 대응위치까지 뻗어있다. 경통의 내벽면에 이동렌즈(16)둘레가장자리부로부터 유해광선이 진입하면, 이것이 경통의 내벽면에서 반사하여 렌즈구경(46)으로부터 필름면에 이르러, 그 필름면에 예컨대 화상의 콘트러스트의 저하, 칼라필름의 발색불량이라는 악영향을 준다.
이 현상은 렌즈가 망원단쪽 위치에 있을 때에 생기기 쉽다.
즉, 망원단 위치에서는 이동렌즈(15,16)가 앞쪽으로 최대한 밀려나오므로, 경통의 내부공간이 확장된다.
이 때문에, 이동렌즈(16)의 둘려가장자리부를 통과한 유해광선은 확장된 내부공간의 전체에 퍼져서 경통내벽면을 복잡하게 반사한 후 필름면에 이르러 버린다.
차광판(45)은 이 망원단쪽 위치앞에서의 진입유해광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이 차광판(45)은 직진안내판(26)과는 별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초점거리 정보의 검출기구(Ⅰ)
캠환(22)의 회전운동위치를 검출하여 줌렌즈의 초점거리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구이다.
캠환(22)의 바깥둘레, 즉 내측 헬리코이드(20)에는 제1, 2 및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오드판(48)이 고정나사(21)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코오드판(48)은 헬리코이드산(20a)의 경사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서 설치되어 있다.
또, 외측 헬리코이드(18)의 안둘레의 코오드판(48)과의 대응위치에는 헬리코이드홈(18a)의 경사와 동일각도의 브러쉬 고정용 오목부(50)(제8도 참조)가 형상되고,이 브러쉬 고정용 오목부(50)의 소정위치에 코오드판(48)과 상시 미끄럼 접촉하는 브러쉬(51)의 기초부(5)가 고정되어 있다.
브러쉬(51)는 코오드판(48)의 길이방향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코오드판(48)과 브러쉬(51)는 캠환(22)의 회정운동 위치, 즉 줌렌즈의 초점거리정보 및 렌즈의 수납위치, 광각단 위치 및 망원단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운동위치 검출기구를 구성한다.
코오드판(48)은 예컨대 제9도에 전개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도통랜드(48a)와 비도통랜드(48b)를 갖추고 있다.
또, 브러쉬(51)는 1개의 공통단자(51a)와 3개의 단자(51b)를 갖추고, 이들의 단자(51a,51b)가 코오드판(48)의 도통랜드(48a)에 접촉하고 있을 때에 「0」의 신호를 꺼내고, 비접촉시에 「1」의 신호를 꺼낸다.
그리고, 이들 신호의 조합으로 캠환(22)과 렌즈안내환(24)의 상대회전운동 위치가 검출된다.
이 브러쉬(51)의 기초부(52)는 플렉시블기판(53)을 통하여 제어기판(54)에 접속되어 있다.
회전운동위치 검출기구를 구성하는 코오드판(48)은 상기와 같이 헬리코이드산(20a)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각도로 설치되고, 이 헬리코이드산(20a)과 동일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이것이 렌즈수납길이의 단축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초점거리정보의 검출기구(Ⅱ)
제10, 11도는 초점거리정보의 검출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초점거리 정보검출기구(Ⅰ)는 고정통(18)과 캠환(22)과의 사이에 설치한 것이나, 이 예는 렌즈안내환(24)과 캠환(22)과이 사이에 설치한 예이다.
캠환(22)의 후단부 바깥둘레에는 코오드판(48A)이 고정나사(49A)에 의하여 고정되고, 이 코오드판(48A)위에 위치하는 브러쉬 고정편(55)위에는 코오드판(48A)과 상시 미끄럼 접촉하는 브러쉬(51A)의 기초부(52A)가 고정되어 있다.
브러쉬 고정편(55)은 렌즈안내환(24)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직진안내판(26)의 일부를 광축과 평행으로 절곡하여 형성시키고 있다.
이 코오드판(48A)과 브러쉬(51A)는 캠환(22)의 회전운동위치, 즉 줌렌즈의 초점거리정보 및 렌즈의 수납위치, 광각단 위치 및 망원단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운동위치 검출기구를 구성한다. 코오드판(48A) 및 브러쉬(51A) 자체의 구성은 제9도의 예와 똑같다.
이 브러쉬(51A)의 기초부(52A)는 플렉시블 기판(53A)을 통하여 제어기판(54A)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캠환(22)과 렌즈안내환(24)의 사이에 캠환(22)의 회전운동위치를 검출하여 초점거리정보를 검출하는 검출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근거리 보정 광학소자의 작동기구
제12도 내지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통(12)은 그 전단부에 광축과 직각을 이루는 경통지지판(12a)을 구비하여, 그 상부에는 축 끝에 피니언(12b)을 구비한 줌모우터(12c)가 도시하지 않은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12b)은 고정통(12)에 형성된 기어창(12d)으로부터 그 톱니면을 고정통(12)내에 나오게 하고 있다.
또, 기어창(12d) 근방의 경통지지판(12a) 상부에는 근거리보정 광학장치(60)를 지지하는 지지오목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통(12)의 위에는 줌모우터(12c)를 끼워서, 거리측정장치(70)가 고정되어 있다.
이 거리측정장치(70)는 피사체 거리를 광전류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이고, 발광부(71)와 수광부(72)를 연결부(73)로 연결한 거리측정 유니트로 되어 있어서, 예컨대 수광소자로서 위치검출소자(예컨대, PSD)를 사용한 3각 거리측정원리에 의거한 타입이 사용된다.
발광부(71)는 예컨대 LED 등의 광원과, 투광렌즈를 갖추고, 수광부(72)는 예컨대 광원에 대하여 소정의 기선길이만큼 떨어진 PSD와 수광렌즈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광원, 투광렌즈 및 수광렌즈는 어느 것이나 유니트내에 내장되고 있으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그리고, 광원을 발광시켜 피사체에서 반사한 반사광을 수광부(72)의 PSD에 입사시키면, 피사체에 의하여 수광면에 피치는 빛의 위치가 다르고, 그 광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생기는 광전류를 측정함으로써 피차체 거리를 알 수 있다.
이 거리측정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의 셔터블록(32)이 동작 신호를 부여함으로써 자동초점조절을 행할 수 있다.
경통지지판(12a)의 지지오목부(12e)에는 근거리보정광학장치(60)가 거리측정장치(70)의 수광부(72)에 대하여 전진후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근거리 보정광학장치(60)는 매크로 촬영시에 한하여 그 보정광학소자(예컨대, 프리즘)(61)를 수광부(72)의 앞면에 진출시키는 것으로서, 피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을 굴절시킴으로써 그 반사광의 매크로 촬영시에 있어서의 수광부(72)에의 입사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매크로 촬영시에 있어서의 거리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 보정광학소자(61)는 매크로 촬영시의 거리측정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면, 그 구조를 불문하나, 도시에는 본 출원인의 출원에 관계되는 특원소 62-42198호(USSN 159,765)에 있어서 제안한 것이다.
보정광학소자(61)는 피사체 쪽의 트인구멍(62)과 수광부(72)쪽의 트인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가지며, 마스크(63)에 의하여 필요한 광로이외의 빛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트인구멍(62)은 수광부(72)의 광축위치로부터 오프셋시켜서 슬릿형상으로 열려 있다.
이 보정광학소자(61)는 지지오목부(12a)에 고정된 피벗축(64)에서 회전운동축(65)에 피벗지지되고, 이 회전운동축(65)에 아암(66)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보정광학소자(61)를 인장스프링(67)이 수광부(72)의 앞면에 진출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 가압하고 있다.
인장스프링(67)은 한쪽끝이 아암(66)에 다른쪽끝이 외측 헬리코이드(18)쪽에 걸려 있다.
또, 회전운동축(65)에는 그 후단하부에 지지오목부(12e)의 창(12f)으로부터 선단이 고정통(12)내에 나와 있는 연동돌기(6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연동돌기(68)는 제1,2도에 개략의 위치를 쇄선으로 그리고 있다.
이 연동돌기(68)는 내측 헬리코이드(20)의 하나의 헬리코이드산(69)과 걸렸다 벗겨졌다하여, 보정광학소자(61)를 전진후퇴 시킨다. 연동 헬리코이드산(69)은 다수의 헬리코이드산(20a)내의 1개를 기어(20b)를 따라 연장형성한 것이다.
이 연동 헬리코이드산(69)은 캠환(22)이 줌렌즈를 망원단으로부터 광각단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있는 회전운동구간에 대응한 길이에 설정되어 있고, 매크로 촬영위치에서는 연동돌기(68)와 걸어맞추지 않는 잘린부분(69a)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보정광학소자(61)는 캠환(22)에 의한 줌렌즈의 통상 촬영위치, 즉 망원단으로부터 광각단까지의 사이는 연동돌기(68)가 연동헬리코이드산(69)에 걸어맞추어져 수광부(72)의 앞면으로부터 퇴피한 위치에 있고(제14a도), 캠환(22)에 의한 줌렌즈의 매크로 촬영위치에서는 연동돌기(68)가 잘린부분(69a)에 들어가서 연동헬리코이드산(69)과의 걸어맞춤이 풀리므로, 수광부(72)의 앞면으로 진출한다(제14b도).
이상의 근거리 보정광학소자의 작동기구에 의하면, 거리측정장치의 수광부 앞면에 대한 보정광학소자(61)의 진출동작을 캠환(22)의 헬리코이드산(69)과 연계시켜서 행하므로, 동작이 확실하게 되고, 또한 진출동작을 위한 특별한 부재를 별도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서, 작동기구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의 가이드구조
셔터블록(32)에 대하여 동작신호를 주기 위한 플렉시블기관(81)의 가이드구조이다.
제어회로(54)로부터 인출된 플렉시블기판(81)은 고정통(12)에 형성된 창으로부터, 고정통(12)과 캠환(22)으로 형성되는 공간내에 유도되고, 이 공간내를 고정통(12)의 내면을 따라 후반으로 유도되어, 직진 안내판(26)의 돌기(26a)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후방으로 도출되고 있다.
플렉시블기판(81)은 직진안내판(26)의 후반으로 도출된 후에, 제1되접어 꺾인부분(81a)에서 앞쪽으로 절곡되어 직진안내판(26)의 바깥쪽을 기어 그 안둘레 가장자리부를 거쳐 다시 앞쪽으로 유도되고 있다.
렌즈안내판(24)의 안둘레면에는 광축방향으로 뻗는, 바닥있는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홈(82)이 형성되어 있다(제15도 참조)}
직진안내판(26)의 안쪽면을 따라 기어올라온 플렉시블기판(81)은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홈(82)내에 삽입되고, 앞쪽으로 유도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렉시블기판(81)은 렌즈안내환(24)의 가이드홈(82)의 전단부근방의 제2되접어 꺾인부분(81b)에서 절곡되어, 플렉시블기판(81)에 겹쳐져서 후방으로 유도되고 있다.
그리고, 셔터유니트(32), 렌즈가이드통(38) 및 전군렌즈테(30)의 후단보다도 후방으로 유도되며, 그 후방공간내에서 제3되접어 꺾인부분(81c)을 통하여 앞쪽으로 절곡된 후, 앞쪽으로 유도되어 셔터블록(3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플렉시블기판(81)은 적어도 직진안내판(26)의 뒤쪽면에 접촉하는 부분(a1),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홈(82)의 바닥부에 접촉하는 부분(a2) 및 그 플렉시블기판(81)에 접촉하는 부분중 제2되접어 꺾인부분(81b)부근(a3)이 각각 접촉하는 부분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 플렉시블기판(81)은 줌동작에 따라 다음과 같이 상태가 변화한다.
본 줌렌즈를 모우터를 가동하여 제1도의 수납상태로부터 제2도의 광각단 상태, 또한 제3도의 망원단 상태로 이행시키면, 캠환(22)이 회전하면서 광축방향으로 전진하며, 렌즈안내환(24)이 회전하지 않고 캠환(22)과 일체로 전진한다. 따라서, 직진안내판(26)의 후방의 공간이 넘어짐과 동시에, 되접어 꺾인부분(1a)의 루프가 커진다.
그러나, 이 되접어 꺾인부분(81a)의 루프는 렌즈안내환(24)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팽창하므로 그 팽창의 정도는 작다.
또, 캠환(22), 렌즈안내환(24) 및 셔터 유니트(32)의 상대회전에 의하여 이동렌즈(15)가, 즉 쳐터 유니트(32)가 렌즈안내환(24)에 대하여 전진하므로, 전군 렌즈테(32)와 직진안내판(26) 사이의 공간이 넓어진다.
동시에 플렉시블 기판(81)은 제3되접어 꺾인부분(81c)이 전진하면서 그 루프직경이 팽창하므로, 그 루프직경의 팽창의 정도는 작다.
따라서, 셔터 유니트(32)의 광축방향 이동에 따르는 이들 되접어 꺾인부분(81a,81c)의 이동 및 변형에 의하여 플렉시블 기판(81)은 다른 부재의 동작, 광학계에 아무런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뻗는다.
제2되접어 꺾인 부분(81b)은 그 근방이 가이드홈(82)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렌즈안내환(24)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일은 없다.
되접어 꺾인부분(81a,81c)의 루프가 가장 커지는 망원단 매크로 위치에서도 되접어 꺾인 부분(81a,81c)의 윗부분이 각각 고정경통(12),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홈(82)에 접착되어 있으므로, 되접어 꺾인부분(81a,81b)이 광축을 향하여 처지는 일도, 광로도중에 침입하는 일도 없고, 다른 부재의 동작을 방해하는 일도 없다.
또 반대로, 망원단 위치로부터 광각단 위치, 수납위치로 복귀시키면, 셔터유니트(32)와 직진안내판(36)사이의 공간 및 직진안내판(26)의 후방공간이 작아지나, 동시에 플렉시블기판(81)은 중복부분의 길이가 길어져서 되접어 꺾인 부분(81a,81c)이 후퇴함과 동시에 그 루프직경이 작아진다.
즉, 셔터유니트(32)의 후퇴에 따라 플렉시블기판(81)은, 중복부분이 증가하고, 또한 되접어 꺾인부분(81a,81c)의 루프 직경이 축소한다.
이 때문에 플렉시블기판(81)이 다른 이동부재에 말려들어가거나, 광로를 방해하거나 하는 일이 없다.
또 반대로, 망원단 위치로부터 광각단 위치, 수납위치로 복귀하면, 셔터유니트(32)와 직진안내판(36)사이의 공간 및 직진안내판(26)의 후방공간이 작아지나, 동시에 플렉시블 기판(81)은 중복부분의 길이가 길어져서 되접어 꺾인 부분(81a,81c)이 후퇴함과 동시에 그 루프직경이 작아진다.
즉, 셔터유니트(32)의 후퇴에 따라 플레시블기판(81)은, 중복부분이 증가하고, 또한 되접어 꺽인 부분(81a,81c)의 루프 직경이 축소한다.
이 때문에 플렉시블기판(81)이 다른 이동부재에 말려 들어가거나, 광로에 방해하거나 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렌즈안내환(24)에 플렉시블기판 가이드홈(82)을 형성하고 있으나, 렌즈안내환(24)과는 렌즈커버통(38)과의 사이에 플렉시블기판(81)을 통하는 간극이 있으면, 가이드홈(82)을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렌즈안내환(24)의 이동방향 가이드기구
렌즈안내환(24)의 후단부에는 고정나사(25)에 의하여 직진 안내환(26)이 고정되어 있고, 이 직진안내판의 직진 가이드홈(26a)는 고정통(12)의 내면에 형성한 가이드홈(27)에 끼어져서 렌즈안내환(24)의 이동방향을 규제하고 있다.
따라서 렌즈안내환(24)이 이동방향을 정확히 규제하려면, 이 가이드돌기(26a)와 가이드홈(27)의 위치 및 칫수를 엄밀히 일치시킬 필요가 있으나, 엄밀해야 일치시키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제16도에 도시한 구조는 가이드돌기(26a)에 둘레방향의 탄성을 주어 가이드홈(27)의 형상 및 위치와, 가이드돌기(26a)의 그들사이에 약간의 어긋남이 있더라도 이것을 흡수하도록 한 구조이다.
이 직진안내판(26A)는 전체적으로 원환판형상을 이루며, 그 바깥둘레에 고정통(12)의 내면에 형성한 광축방향의 직선홈인 렌즈안내환 가이드홈(27)에 끼우는 복수의 직진 가이드돌기(26a)를 갖는다.
이 직진가이드돌기(26a)는 제16도의 예에서 90°의 등각도 간격으로 4배 배치되어 있으나, 복수이면 된다.
그리고, 직진가이드돌기(26a)는 이중 적어도 1개, 제16도의 예에서는 광축을 끼우고 대향하는 2개가 직경방향슬릿(26b)에 의하여 2분되고, 서로 접근하는 방향(둘레방향; 홈폭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1쌍의 탄성가이드(26c)를 구성하고 있다.
이 탄성가이드(26c)는 복수의 직진가이드돌기(26a)와 렌즈안내환가이드홈(27)과의 사이에 생기는 일이 있은 위치 오차를 흡수한다.
즉,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약간 탄성 변형시켜서 그 폭을 좁힌 상태에서 가이드홈(27)에 끼워맞추면, 위치오차가 흡수된다.
직경슬릿(26b)은 판부분(26d)에 동심형상으로 형성된 둘레방향슬릿(26e)에 연결된다.
이 둘레방향 슬릿(26e)은 탄성가이드(26c)의 탄성변형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고정통(12)의 가이드홈(27)에 끼워지는 안내판(26A)의 가이드돌기(26a)가 이 가이드홈(27)의 홈폭방향의 탄성을 가지므로, 가이드홈(27)과의 사이에서 생기는 일이 있은 위치오차를 흡수할 수 있어서, 가이드홈에 대한 끼워맞춤 작업성도 높아진다.
배리어 개폐기구
제17도 내지 제19도는 이상의 줌렌즈경통과 조합하기 적합한 배리어 기구의 예이다.
이 배리어기구는 특히 배리어를 갖는 렌즈커버통과 렌즈안내환(24)의 광축방향의 이동력을 이용하여 배리어의 개폐를 행하는 점이 특징이 있다.
렌즈커버통(38)의 선단에는 1쌍의 렌즈배리어(1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렌즈배리어(140)는 상기 수납구간(ℓ3)에 있어서 개폐되고, 수납위치에서 폐쇄되고, 수납위치∼매크로 위치간에 있어서 개방상태가 유지된다.
1쌍의 배리어(140,140)가 렌즈커버통(38)의 앞부분 안둘레에 돌출설치된 플랜지부(38d)의 표면에 광축방향의 핀(141,141)을 통하여 피벗지지되어 있다.
이 배리어(140,140)는 대칭형으로 마주보고 있어서, 광축상에 진출하는 배리어판부분(140a)과, 핀(141)에 관하여 배리어판 부분(140a)과는 반대방향으로 뻗는 구동아암부(140b)를 갖는다.
이 구동아암부(140b)의 끝부분에는 광축방향으로 뻗는 핀(142)이 심어 설치되고, 이 핀(142)은 플랜지부(38a)의 안쪽의 공간을 통하여 후반으로 뻗어 있다.
플랜지부(38a)의 뒤쪽에는 배리어(140)를 개폐시키는 개폐기구로서 중심이 뚫린 원판형상의 중계링(143) 및 구동링(145)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이 중계링(143)의 안둘레에는 핀(142)이 걸어맞추어지는 홈(143a)이 형성되고, 바깥둘레에는 광축과 평행으로 후방으로 뻗는 돌기(143b) 및 중계 걸어맞춤편(142c)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돌기(143b)와 구동력(145)에 심어 설치된 핀(145c)과의 사이에는, 렌즈배리어(140)를 상시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가압하는 폐쇄스프링(144)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링(145)의 바깥둘레에 일부에는 광축방향의 후방으로 뻗는 연동부재의 하나로서 구동아암(14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동아암(145a)은 캠환(22)과 렌즈안내환(24)과의 간극이 후방으로 뻗어있고, 그 선단에는 핀(146)이 심어 설치되어 있다.
이 핀(146)은 렌즈안내환(24)에 형성된 배리어 개폐캠홈(24c)에 끼어넣어져 있다.
또한, 구동링(145)의 바깥둘레의 일부에는, 잘린부분(145b)이 형성되고, 이 잘린부분(145b)에 중계링(143)의 중계 걸어맞춤편(143c)이 걸어맞추어져 있다.
또 구동링(145)은 구동아암(145a)과 렌즈커버통(38)과의 사이에 설치된 개방스프링(147)에 의하여 상시 배리어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링(145)은 개방스프링(147)의 회전운동 가압력에 의하여 핀(146)이 상기 배리어 개폐캠홈(24c)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중계링(143)은 상기 폐쇄스프링(44)의 회전운동 가압력에 의하여 중계 걸어맞춤편(143c)이 구동링(145)의 잘린부분(145b)의 내벽에 맞닿아, 구동링(145)을 따라 움직여 회전운동한다.
렌즈커버통(38)의 선단에는 렌즈배리어(140,140)를 덮는 배리어커버(148)가 끼워부착되어 있다.
배리어커버(148)에는 촬영구멍(14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으로 된 배리어기구는 제18a도의 수납위치에 있어서, 핀(146)이 배리어 개폐캠홈(24c)의 경사부(배리어개폐구동부)(24d)를 타고 올라서 구동링(145)이, 개방스프링(147)의 회전운동 가압력에 대항하여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되고 있다.
따라서, 중계링(143)이 구동링(145)의 폐쇄방향으로 추종 회전 운동하여, 1쌍의 배리어(140,140)를 그 배리어판부분(140a,140a)이 광로를 폐쇄할 때까지 회전운동시키고 있다(제18a도 및 제19b도 참조).
이 상태에서 모우터(27)가 회전하면, 상기와 같이 캠환(22)이 회전운동 및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여, 렌즈안내환(24)에 대하여 전군이동테(34)가 전진한다.
이 전군이동테(34)와 함께 렌즈커버(38), 종동링(143) 및 구동링(145)이 전진하므로, 핀(146)이 배리어 개폐캠홈(24c)의 경사부(24d)로부터 광축 방향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구동링(145)이 개방스프링(147)의 회전운동 가압력에 의하여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중계링(143)을 개방방향으로 종동회전운동하여, 1쌍의 배리어(140)를 각각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다(제18b도 및 제19b도 참조).
이후, 캠환(22)이 줌영역으로부터 매크로 위치까지 회전운동하여도, 핀(146)이 배리어 개폐캠홈(24c)의 광축방향부와 미끄럼 접촉하여, 그 회전운동위치에 유지되므로, 배리어(140)는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배리어(140)와 구동링(145)과의 사이에 중계링(143)을 기재시켜, 중계링(143)과 구동링(145) 사이에, 종동링(143)을 구동링에 대하여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 가압하는 폐쇄스프링(144)을 설치하여, 중계링(143)과 구동링(145)를 연동시키는 중계돌출편(143c)과 잘린부분(145b) 사이에 유극을 두고 있다.
따라서, 구동링(145)이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 중계링(143)은 폐쇄스프링(144)의 회전운동 가압력에 의하여 중계돌출편(143c)이 잘린부분(145b)의 내벽의 한쪽에 맞닿는 상태로 폐쇄방향으로 추종 회전운동하여, 1쌍의 배리어(140)를 각각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다.
그리고, 1쌍의 배리어(140)의 배리어판부분(140a)의 대향 가장자리부가 맞닿아. 배리어(140)의 회전이 멎으면, 중계링(143)의 회전도 멎지만, 구동링(145)은 잘린부분(145b)과 중계돌출편(143) 사이에 유극이 있으므로, 개방스프링(144)을 당겨 늘리면서 다시 폐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따라서, 이 구동링(145)의 과잉회전에 의하여 각각의 부재의 제조오차, 조립오차를 흡수하여, 1쌍의 배리어(140)를 완전히 폐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중계링(143)을 설치하지 않고, 1쌍의 배리어(140)를 각각 개방방향으로 회전운동 가압하는 스프링 부제를 설치하여, 각각의 배리어(140)와 구동링(145)을 연동하는 핀과 잘린부분 사이에 유극을 두어도, 상기와 똑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캠환(22)의 구동기구
숫헬리코이드환(20)의 바깥둘레에는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니줄이 광축과 평행으로 뻗는, 광축방향의 기어(2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어(20b)는 본 실시예에서는 3개분의 숫헬리코이드(20a)의 공간을 이용하여 (삭제하여), 광축과 평행으로 뻗는 기어(홈)를 소정간격으로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기어(20b)는 숫헬리코이드산(20a)의 궤적의 연장을 따라 숫헬리코이드산(20a) 보다도 광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모우터(254) 및 이에 의하여 구동되는 피니언(구동기어)(255)이 이 기어(20b)에 맞물러 있다.
모우터(254)는 고정판(256)에 고정되고, 이 고정판(256)에는 모우터(254)의 출력축의 회전력을 피니언(255)에 전동하는 감속톱니바퀴열(257)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판(256)은 고정통(12)에 고정되고, 고정통(12) 및 암헬리코이드환(18)에는 각각 피니언(255)과 기어(20b)를 맞물리기 위한 잘린부분(257,259)이 형성되고, 이 잘린부분(258,259)에 임하는 기어(20b)에 피니언(255)이 맞물려 있다.
기어(20b)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숫헬리코이드(20a)에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숫헬리코이드환(20)이 회전하면서 숫헬리코이드산(20a)의 리드에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여도, 기어(20b)는 전후의 톱니의 궤적상을 이동하므로, 피니언(255)과의 맞물림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피니언(255)이 회전하면, 기어(20b)(숫헬리코이드 20)은 회전함과 동시에 숫헬리코이드산(20a)의 리드에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숫헬리코이드환(20)은 기어(20b)에 맞물리는 피니언(255) 및 이것을 회전구동하는 모우터(254)를 통하여 정반대로 회전구동되며, 더구나 회전에 따라 숫헬리코이드산(20a)의 리드에 따라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캠환(22)도 숫헬리코이드환(20)도 일체로 회전하면서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기어(20b)는 숫헬리코이드산(20a)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캠환(22)의 이동에 있어서, 항상 피니언(255)에 맞물리는 위치를 통하여 이동한다.
이와 같이, 기어(20b)를 숫헬리코이드산(20a)을 따라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므로, 피니언(255)을 캠환(22)의 광축방향 이동길이에 맞추어 길게 형성할 필요로, 긴 피니언을 수납할 공간을 마련할 필요도 없다.
더욱이, 기어(20b)는 피니언(255)과 맞물림 가능한 폭의 띠 형상으로 형성하면 좋으므로, 숫헬리코이드산(20a)의 일부에 겹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기어(20b)로 덮히지 않는 공간부분을 넓게 잡을 수 있으므로, 그 공간부분에 초점 거리 검출용의 코오드판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모우터(254)를 구동하면 피니언(255) 및 기어(20b)를 통하여 숫헬리코이드환(20) 및 캠환(22)이 회전운동하고, 동시에 숫헬리코이드산(20a)의 리드에 따라 광축방향으로 전진 후퇴한다.
따라서, 피니언(255)과 기어(20b)는 톱니면이 광축방향으로도 서로 마찰하게 된다.
그래서, 제2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255)의 전후단부를 둥글게 하여 톱니면의 접축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어(20b),피니언(255)의 톱니줄을 광축방향으로 형성하였으나, 다른 방향, 예컨대 숫헬리코이드산(200)의 리드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헬리코이드의 맞물림 구조
이상의 줌렌즈경통에서는 암헬리코이드환(18)은 그 일부에 예컨대 캠환(22)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기를 배설하기 위한 잘린 부분(90)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캠환(22)이 회전하여 숫헬리코이드환(20)의 끝면이 이 잘린부분(90)내에 들어가면, 숫헬리코이드환(20)의 일부는 잘린 부분(90)의 한쪽의 단면(90a)과의 나사결합 맞물림을 해제한다.
암헬리코이드환(18)과 숫헬리코이드환(20)은, 예컨대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양자 사이에는 제25도에 과장하여 표시한 소정의 간격(c)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다음에 캠환(22)이 회전방향을 반전하여 양헬리코이드가 다시 맞물릴 때, 숫헬리코이드(20b)의 단면이 잘린부분(90)에 임하는 암헬리코이드(18a)의 단면과 간섭하는 가능성이 있고, 최악의 경우에는 이에 의하여 헬리코이드의 진행(회전)이 멎을 염려가 있다.
제23도 내지 제25도는 이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헬리코이드 톱니면의 형상예를 도시한 것이다.
잘린부분(90)의 단면(91)에는, 서로 이웃하는 헬리코이드산(18a) 사이의 헬리코이드홈(18b)의 홈폭을 잘린부분(90)을 향하여 서서히 여는 경사면(91a)이 붙어있다.
이 경사면(91a)은 잘린부분(90)에 있어서 암헬리코이드환(18a)과의 맞물림을 해제한 숫헬리코이드환(20)의 단면이 회전방향의 반전에 의하여 다시 이 암헬리코이드환(18)과 맞물린다고 할 때, 암헬리코이드환(18)과 숫헬리코이드환(20) 사이에 설정된 간격(c)에 의하여 생길 가능성이 있는 끝면까지의 충돌을 피하고, 숫헬리코이드환(20)의 헬리코이드산(20a)의 끝면을 맞물리는 암헬리코이드환(18)의 헬리코이드홈(18b)에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또, 헬리코이드산(18a)의 끝면에는 암헬리코이드환(18)과 숫헬리코이드환(20)의 직경방향의 끝면까지 충돌을 회피하기 위하여 헬리코이드산(20)의 높이를 잘린부분(90)을 향하여 낮게 한 경사면(91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숫헬리코이드환(20)의 끝면에 똑같은 경사면(20c)을 붙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치면 구조에 의하면, 캠환(22)이 특정 회전운동 위치에 와서, 잘린 부분(90)의 부분에서 암헬리코이드환(18)에 대한 숫헬리코이드환(20)이 나사결합 맞물림이 해제된 후, 회전 방향을 반전하면, 숫헬리코이드환(20)의 끝면이 잘린 부분(90)에 임하는 암헬리코이드환(18)의 끝면(91)과 만나게 되나, 숫헬리코이드환(20)의 헬리코이드산(20a)의 끝면은 경사면(91a)에 의하여 헬리코이드홈(18b)에 유도된다.
따라서, 숫헬리코이드환(20)은 암헬리코이드환(18)에 정상의 상태로 맞물려, 캠환(22)을 광축방향으로 원활히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잘린부분(90)이 있더라도, 맞물림 이상은 생기지 않는다.
플랜지백 조정기구
플랜지백 조정은 필름 면에 바르게 핀트를 맺도록 렌즈군 전체를 이동시켜 행하는 조정이고, 줌조정(줌을 행하여도 핀트이동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조정)후에 행하여진다.
이 플랜지백 조정은 예컨대 캠환을 지지하는 부재와 카메라 몸체 사이에 적당한 두께의 워셔를 삽입하여 행하여지고 있었으나, 본 발명은 간단히 이 플랜지백 조정을 행할 수 있는 장치를 다시 제안한다.
제26도 내지 제29도는 그실시예이다
이 실시예는 암헬리코이드환(18A)을 고정통(12)에 대하여 회전운동 조절가능하게 지지하고, 이 암헬리코이드(18A)를 회전운동 시켜, 회전운동이 규제된 상태의 숫헬리코이드환(20)즉, 캠환 22)와의 상대 회전운동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렌즈군, 전체를 이동시켜서 플랜지백 조정을 행하도록 한 것이다.
고정통(12)은 그 전단 부에,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 위를 바깥쪽으로 뻗는 고정플랜지(12a)를 갖는다.
이 고정통(12)내에는 안 둘레에 헬리코이드산(20a)이 형성된 숫헬리코이드환(외측환)(20)의 후단부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그리고, 암헬리코이드환(18A)이 바깥둘레에는 광축과 직교하는 평면위를 바깥쪽으로 뻗는 플랜지(18b)가 형성되고 있어서, 이 플랜지(18d)가 고정통(12)의 고정 플랜지(12a)에 맞닿아서, 암헬리코이드환(18A)의 광축방향 위치 및 광축에 대한 경사가 규제되고 있다.
이 암헬리코이드환(18A)은 나사(317)를 통하여 고정플랜지(12a)에 고정된 C자형상의 판 스프링(318)에 의하면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판 스프링(318)은 탄성적인 잘라세운편(318a)을 복수개 가지며 이 잘라세운편(318a)이 플랜지(18d)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플랜지(18d)와 고정플랜지(12a) 및 판 스프링(318)과의 마찰에 의하여 암헬리코이드환(18A)의 회전운동이 규제되고 있으나, 마찰에 이기는 힘을 주면, 암헬리코이드환(18A)을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랜지(18d)의 바깥둘레 가장자리의 일부에는 섹터기어(18e)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플랜지(12a)에는 섹터기어(18e)의 근방위치에 섹터기어(18e)와 맞물리는 피니언(조정기어)(351)을 갖춘 플랜지백 조정용 공구(350)의 축(352)이 끼워 넣어지는 축받이 구멍(12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축받이구멍(12g)의 근방위치에는 잠금 나사(319)가 세워져 있다.
이 잠금나사(319)의 머리부(319a)의 아래면은 플랜지(18d)에 맞닿을 수 있고, 이 잠금 나사(319)를 회전운동시켜서, 전진 후퇴시킴으로써, 머리부(319a)와 고정플랜지(12a)로 플랜지(18d)를 끼워 눌러서 암헬리코이드환(18A)의 회전운동을 저지하거나, 또는 머리부(319a)가 플랜지(18d)로부터 이격하여 암헬리코이드환(18A)의 회전을 허용하는 것이다.
축받이구멍(12g)과 대향하는 카메라몸체(410)의 화장판(411)에는 조정용공구(350) 삽입용의 구멍(411a)이 형성되며, 이 구멍(411a)에는 붙이고 떼기 가능한 덮개(415)가 끼워져 있다.(제28,29도 참조)
그 밖의 구성은 상기의 줌랜즈경통과 동일하고, 암헬리코이드환(18A)에는 숫헬리코이드환(내측환)(20)이 헬리코이드 결합되며, 그 숫헬리코이드환(20)에는 캠환(22)이 고정되어 있다.
이 플랜지백 조정기구는 조정에 있어서 촬영가능 위치, 예컨대 광각단 위치에 캠환(22)을 회전운동시켜, 덮개(415를 벗기고, 잠금 나사(319)를 늦추어 조정용 공구(350)의 기어(351)를 섹터기어(18e)에 맞물리게 한다(제27도 참조).
그리고, 이 광각단 위치에 있어서, 촛점위치를 보면서 이론상의 촛점위치(필름면상의 위치)에 실제의 촛점위치가 오도록 조정용 공구(350)를 회전운동 시킨다.
그러면, 숫헬리코이드환(20)은 기어(20b)에 맞물려 있은 피니언 및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규제되고 있으므로, 암헬리코이드환(18A)만이 회전운동한다.
따라서, 암헬리코이드환(18A)과 숫헬리코이드환(20)이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하며, 숫헬리코이드환(20)이 리드산(20a)을 따라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동렌즈(L1,L2)가 서로의 간격을 변경하지 않고 함께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촛점위치 즉, 플랜지백이 조정된다.
플랜지백의 조정이 끝나면 잠금 나사(319)를 죄어서 암헬리코이드환(18A)을 잠그고, 조정용 공구(350)를 빼내어, 덮개(415)를 구멍(411a)에 끼워 붙여서, 조정을 끝낸다.
이와같이, 카메라 조립후에 있어서, 용이하게 플랜지백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에서는 조정용 공구(350)에 피니언기어(351)를 설치하고 있으나, 고정플랜지(12a)에 섹터기어(18e)와 맞물리는 기어를 부착하여, 이 기어에 드라이버 등을 끼워맞추기 위한 「+」자형등의 끼워맞춤구멍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것은 제27도의 피니언(351)을 고정플랜지(12a)의 축받이구멍(12g)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하고, 피니언(351)의 축부분에 회전공구용의 구멍을 설치한 경우에 상당한다.
섹터기어(18e), 축받이구멍(12g)을 설치하는 위치는 임의이고, 예컨대, 카메라몸체(410)의 왼쪽 혹은 아래쪽에 설치하여도 좋다.

Claims (33)

  1. 카메라의 광축을 따라 고정되어 있으면 캠환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구동되기 적합하며, 캠환의 회전과 공동으로 전군 및 후군이동렌즈의 줌작동중에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상기 고정통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전군 및 후군이동렌즈를 수용하기 적합한 적어도 2개의 캠홈을 포함하고 있는 회전운동 캠환과 고정통으로 구성되어 있는, 광축을 갖는 카메라에 부착되기 적합한 줌렌즈경통에 있어서, 상기 이동렌즈군의 축방향위치는 상기 캠홈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됨, 상기 줌렌즈경통은 상기 캠환과 상기 고정통을 연결시키기 위한 헬리코이드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경통.
  2. 카메라의 광축을 따라 고정되어 있으며 캠환을 구동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구동되기 적합하며, 캠환이 회전과 공동으로 전군 및 후군이동렌즈의 줌작동중에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상기 고정통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전군 및 후군이동랜즈를 수용하기 적합한 적어도 2개의 캠홈을 포함하고 있는 회전운동 캠환과 고정통으로 구성되어 있는, 광축을 갖는 카메라에 부착되기 적합한 줌렌즈 경통에 있어서, 상기 이동렌즈군의 축방향위치는 상기 캠홈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되며, 각각의 상기 캠홈은 상기 이동렌즈군의 소정의 트랙을 따라 이동하기 적합한 줌구간과 상기 이동렌즈군이 한쪽의 줌끝위치로부터 매크로 촬영영역으로 이동하기 적합한 매크로 이행구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줌구간과 상기 매크로 이행구간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서로 대향으로 배치된 리드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경통.
  3. 광축을 갖는 카메라에 부착되기 적합한 줌렌즈 경통 조립체에 있어서, (a) 고정통, (b) 상기 캠환의 회전에 따라 전군 및 후군이동렌즈의 줌작동중에 상기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고정통에 의해 지지되기 적합한 회전운동 캠환, 및 광축을 따라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캠환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 (c) 상기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렌즈안내환, 상기 캠환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 서로에 대해 상대회전하기 적합한 상기 렌즈안내환 및 상기 캠환, (d) 적어도 하나는 상기 캠환상에 위치하는, 상기 전군 및 후군이동렌즈를 수용하기 적합한 적어도 2개의 캠홈, (e) 상기 렌즈안내환상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 가이드홈, 및 (f) 상기 캠환 및 상기 렌즈안내환의 상대회전 및 축방향 운동에 따라 소정의 궤적으로 상기 이동랜즈군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상기 캠홈과 상기 렌즈 가이드홈중 하나의 캠홈과 렌즈 가이드홈을 관통하기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핀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축을 갖는 카메라에 부착되기 적합한 줌렌즈 경통 조립체.
  4. 복수의 가이드 홈안으로 끼워맞춤되기 적합한 가이드 돌기를 갖는 렌즈안내환을 수용하기 위한 상기 가이드 홈을 갖는 내부표면을 가지고 있는 고정통을 구비하고 있으며, 광축을 갖는 카메라에 사용되기 적합한 줌렌즈 경통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경통 가이드홈의 폭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며, 회전운동 캠환은 상기 캠환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광축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통에 의해 지지되기 적합하며, 상기 렌즈안내환은 상기 광축으로 상기 캠환과 함께 이동하기 적합하며, 상기 렌즈안내환과 상기 캠환은 적어도 전군 및 후군이동렌드를 수용하기 위한 홈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이동렌즈군은 상기 캠환홈 및 상시 렌즈안내환 홈을 관통하는 가이드 핀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홈은 상시 캠환 및 상기 렌즈안내환의 축방향 운동과 상대 회전에 따라 소정의 궤적으로 상기 렌즈군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도록 형상지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경통.
  5. (a) 광축을 가지고 있는 카메라 몸체에 고정되기 적합하며, 암헬리코이드를 포함하고 있는 고정통, (b) 상기 암헬리코이드에 의해 맞물리기 적합한 숫헬리코이드를 가지고 있는 캠환, (c) 상기 캠환의 숫헬리코이드산을 따라 뻗어 있는 캠환기어, (d) 상기 캠환기어에 의해 맞물리기 적합한 구동기어를 가지고 있는 캠환 구동기구, (e) 렌즈안내환 및 캠환이 상기 캠환의 축방향 운동과 공동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기 적합한,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캠환과 함께 이동하기 적합한 상기 렌즈안내환, 및 (f) 상기 캠환 및 상기 렌즈안내환의 소정의 궤적을 따른 축방향 운동 및 상대회전과 공동으로 상기 광축을 따라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캠환 및 상기 렌즈안내환에 의해 지지되기 적합하며 그에 따라 상기 줌렌즈의 촛점거리를 변경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2개의 이동렌즈군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의 구동기구.
  6. 암헬리코이드를 가지고 있는 고정통과 상기 암헬리코이드에 의해 맞물리기 적합한 숫헬리코이드를 가지고 있는 회전운동 경통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암헬리코이드는 상시 회전운동 경통의 소정각도 위치에서 상시 숫헬리코이드 및 암헬리코이드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는 잘린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시 암헬리코이드 및 숫헬리코이드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잘린부분에 인접한 산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인접한 산은 상기 인접한 산에 의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후군이동렌즈홈의 폭을 점차 증가시키는 테이퍼진 표면을 갖는 끝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경통.
  7. (a) 광축을 갖는 카메라 몸체에 고정되기 적합한 고정통, (b) 상기 캠환의 회전과 공동으로 카메라의 광축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상기 고정통에 의하여 지지되는 캠환, (c) 상기 캠환 및 렌즈안내환이 상기 캠환의 축방향 운동과 공동으로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기 적합한,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캠환과 함께 이동하기 적합한 상기 렌즈안내환, (d) 상기 캠환 및 상기 렌즈안내환의 소정의 궤적을 따른 축방향운동 및 상대회전과 공동으로 사이 광축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상기 캠환 및 상기 렌즈안내환에 의해 지지되기 적합하며 상기 줌렌즈의 촛점거리를 변경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는 적어도 2개의 이동렌즈군, 및 (e) 상기 경통과 상시 캠환사이에서 상기 고정통에 부착되기 적합하며 회전조정이 가능한 바깥환을 포함하고 있는 플랜지백 조정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8.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줌렌즈에 있어서, 캠환,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상기 광축방향으로 선형운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하며, 여기에서 상기 캠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캠환을 구동하는 수단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캠환은 바깥둘레부를 가지고 있으며, 캠환기어는 상기 바깥둘레부 주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캠환기어는 상기 캠환 바깥둘레부 주위에 나선형으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9.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줌렌즈에 있어서, 캠환,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상기 광축방향으로 선형운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하며, 여기에서 상기 캠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캠환을 구동하는 수단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캠환은 바깥둘레부를 가지고 있으며, 캠환기어는 상기 바깥둘레부 주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캠환기어는 상기 단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10.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줌렌즈에 있어서, 캠환,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상기 광축방향으로 선형운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하며, 여기에서 상기 캠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캠환을 구동하는 수단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캠환은 바깥둘레부를 가지고 있으며, 캠환기어는 상기 바깥둘레부 주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줌렌즈는 상기 구동수단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캠환기어는 기어열에 의해 회전운동가능하게 구동되며, 상기 기어열은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11.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줌렌즈에 있어서, 캠환,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상기 광축방향으로 선형운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하며, 여기에서 상기 캠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캠환을 구동하는 수단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줌렌즈는 고정통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상기 고정통내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광축에 대하여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홈구간을 가지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캠환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환홈은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캠환이 회전할 때 상기 캠환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또한 상기 캠환이 직진할 때 상기 캠환이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캠환홈 물림핀이 셔터블록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셔터블록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12.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줌렌즈에 있어서, 캠환,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상기 광축방향으로 선형운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하며, 여기에서 상기 캠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캠환을 구동하는 수단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줌렌즈는 고정통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상기 고정통내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광축에 대하여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홈구간을 가지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캠환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환홈은 상기 광축을 딸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캠환이 회전할 때 상기 캠환이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또한 상기 캠환이 직진할 때 상기 캠환이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여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제1 및 제2렌즈군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각각의 렌즈군은 상기 테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핀을 갖는 상기 테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각각의 캠환홈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핀에 의하여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13.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줌렌즈에 있어서, 캠환,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상기 광축방향으로 선형운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하며, 여기에서 상기 캠환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캠환을 구동하는 수단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줌렌즈는 고정통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상기 고정통내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광축에 대하여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홈구간을 가지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캠환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환홈은 상기 광축을 딸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캠환이 회전할 때 상기 캠환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상기 광축을 딸라 이동시키도록, 또한 상기 캠환이 직진할 때 상기 캠환이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캠환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3개의 구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3개의 구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소정의 궤적을 따라 시동시키는 줌구간, 줌끝 위치로부터 매크로 촬영위치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매크로 이행구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비작동 퇴피위치로 이동하는 렌즈수납구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14.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줌렌즈에 있어서, 캠환,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상기 광축방향으로 선형운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하며, 여기에서 상기 캠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캠환을 구동하는 수단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줌렌즈는 고정통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상시 고정통내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광축에 대하여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홈구간을 가지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캠환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환홈은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여 서기 캠환이 회전할 때 상기 캠환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상기 광축을 딸라 이동시키도록, 또한 상기 캠환이 직진할 때 상기 캠환이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캠환은 내부에 동심으로 위치하는 렌즈안내환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렌즈안내환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운동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안내환 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15.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줌렌즈에 있어서 캠환,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상기 광축방향으로 선형운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하며, 여기에서 상기 캠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캠환을 구동하는 수단의 작동에 웅다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줌렌즈는 고정통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상기 고정통내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광축에 대하여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홈구간을 가지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캐환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캠환홈은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캠환이 회전할 때 상기 캠환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또한 상기 캠환이 직진할 때 상기 캠환이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캠환은 복수의 홈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제1 및 제2렌즈군을 포함하고 있으며, 직진 렌즈안내환은 상기 캠환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복수의 렌즈안내환 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16.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줌렌즈에 있어서, 캠환,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캐환은 상기 광축방향으로 선형운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하며, 여기에서 상기 캠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랜즈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캠환을 구동하는 수단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회전운동 캠환은 상기 캠환에 대해 회전운동가능한 인접한 동심환과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17.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줌렌즈에 있어서, 캠환,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상기 광축방향으로 선형운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하며, 여기에서 상기 캠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캠환을 구동하는 수단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회전운동 캠환은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갖는 직진환에 대해 동심으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18.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줌렌즈에 있어서, 캠환,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캐환은 상기 광축방향으로 선형운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하며, 여기에서 상기 캠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캠환을 구동하는 수단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전군 및 후군렌즈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후군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으로 직진하는 부재내의 적어도 하나의 홈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19.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줌렌즈에 있어서, 캠환,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상기 광축방향으로 선형운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하며, 여기에서 상기 캠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과 상기 캠환을 구동하는 수단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광축을 딸라 상기 렌즈를 유지시키기 위한 상기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는 전군 및 후군렌즈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적어도 상기 후군렌즈를 안내하기 적합한 직진 및 비회전운동 환에 대해 동심으로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20.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준렌즈에 있어서, 캠환,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줌렌즈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상기 캠환에 연결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캠환은 둘레표면, 적어도 하나의 캠홈 및 상기 둘레표면 주위에 위치하는 캠환기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캠환은 대체로 원형단면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이며, 상기 기어는 상기 단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21.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줌렌즈 장치에 있어서, 전군 및 후군이동렌즈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렌즈군들은 고정통내에 둘러싸여져 있으며, 상기 이동렌즈군의 줌운동중에 상기 광축을 따른 환조립체의 직진 및 회전운동에 응답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환조립체의 상기 직진운동은 상기 환조립체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상기 환조립체는 상기 광축을 따라 고정되어 있는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며, 여기에서 상기 환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운동환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핀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에 의해 맞물림 가능하며, 여기에서 상기 환조립체는 상기 광축만을 따라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직진환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직진환은 상기 핀을 또한 맞물림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환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군의 이동궤적을 함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장치.
  22.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줌렌즈 장치에 있어서, 전군 및 후군 이동렌즈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렌즈군들은 고정통내에 둘러싸여져 있으며, 상기 이동렌즈군의 즙운동둥에 상기 광축을 따른 환조립체의 직진 및 회전운동에 응답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환조립체의 상기 직진운동은 상기 환조립체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상기 환조립체는 상기 광축을 따라 고정되어 있는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환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캠환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운동환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광축 및 상기 캠환의 둘레부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전군 및 후군렌즈 양자는 상기 렌즈군에 부착된 핀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핀은 각각의 캠환홈에 의해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레즈 장치.
  23.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줌렌즈 장치에 있어서, 전군 및 후군이동렌즈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렌즈군들은 고정통매에 둘러싸여져 있으며, 상기 이동렌즈군의 줌운동중에 상기 광축을 따른 환조립체의 직진 및 회전운동에 응답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환조립체의 상기 직진운동은 상기 환조립체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상기 환조립체는 상기 광축을 따라 고정되어 있는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환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캠환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운동환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광축 및 상기 캠환의 둘레부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캠환은 캠환기어가 부착된 외부표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캠환기어는 상기 캠환둘레부에 대하여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레즈 장치.
  24.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하기 적합한 줌렌즈 장치에 있어서, 전군 및 후군이동렌즈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렌즈군들은 고정통내에 둘러싸여져 있으며, 상기 이동렌즈군의 줌운동중에 상기 광축을 따른 환조립체의 직진 및 회전운동에 응답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환조립체의 상기 직진운동은 상기 환조립체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상기 환조립체는 상기 광축을 따라 고정되어 있는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환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갖는 대채로 원통형인 캠환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운동환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광축 및 상기 캠환의 둘레부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상기 경사진 홈은 상기 광축에 대하여 한쪽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제1구간과 상기 광축에 대하여 대체로 대향인 제2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제2구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느 줌렌즈 장치.
  25. 줌렌즈 카메라에 사용되기 적합한 암헬리코이드환에 있어서, (a) 대체로 원통형인 몸체, (b) 상기 몸체의 내부둘레 표면상에 있는 복수의 대체로 나선형이며 평행한 나사, 및 (c) 상기 내부표면의 오목부, (d)상기 오목부에 부착된 기초부와 복수의 플랙시볼 단자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헬리코이드환.
  26. 광축 및 줌렌즈를 갖는 카메라에 사용되기 적합한 렌즈경통에 있어서, 렌즈이동 안내용 부재를 수납하기 적합한 복수의 가이드홈을 갖는 내부표면을 가지고 있는 고정통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기 적합한 복수의 가이드 돌기를 가지고 있는 안내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홈내에서의 상기 돌기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탄성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경통.
  27. 광축을 갖는 카메라에 사용되기 적합한 줌렌즈용 구동기구에 있어서, (a) 상기 경통의 내부표면에 부착된 복수의 헬리코이드 나사를 가지고 있는 고정 경통, (b) 상기 고정통 헬리코이드 나사에 의해 맞물리기 적합한 복수의 헬리코이드 나사를 갖는 외부표면을 가지고 있는 캠환, (c) 상기 캠환나사의 방향으로 뻗어 있는 캠환기어, 및 (d) 상기 캠환기어를 맞물기 적합한 구동기어를 가지고 있는 캠환 구동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기구.
  28. 2개의 회전운동 원통현 부재중 한 부재의 회전상태에서 서로 맞물리기 적합한 각각의 숫 및 암헬리코이드 나사를 가지고 있는 상기 2개의 회전운동 원통형 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부재중 하나는 상기 부재의 소정각도 위치에서 상기 숫 및 암나사의 맞물림을 헤제하기 위한 잘린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하나의 부재는 상기 잘린부분에 인접한 나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인접나사는 상기 잘린부분을 향한 방향으로 인접나사들 사이에 형성된 홈의 폭을 증가시키고 상기 인접나사의 폭을 점차 감소시키는 테이퍼진 표면을 갖는 끝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줌렌즈 경통.
  29. (a)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되기 적합한 고정통, (b) 상기 광축을 따른 이동을 위해 상기 고정통에 의하여 지지되는 캠환,(c)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하기 적합한 렌즈안내환, (d)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캠환과 상기 렌즈안내환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기 적합하며 그에 따라 상기 줌렌즈의 촛점거리를 변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적어도 2개의 이동렌즈군, 및 (e) 상기 고정통과 상기 캠환 사이에서 상기 고정통에 부착되기 적합하고 회전운동이 조정가능한 외부환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외부환을 조정가능하게 회전운동시키도록 상기 외부환을 나사식으로 맞물기 위한 플랜지백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는 플랜지백 조정기구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30. 이동렌즈군이 회전운동 캠환과 비회전운동 렌즈안내환에 의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양자의 환이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숫 및 암헬리코이드이 상기 고정통과 상기 캠환 사이에 동심으로 위치하며, 상기 캠환이 상기 캠환의 외부상에 있는 환 플랜지를 포함하고 있는, 고정통을 갖는 줌렌즈와 광축을 가지고 있는 카메라내의 필름평면에 대하여 일군의 렌즈이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캠환을 회전시키도록 조정기어의 적어도 일부분을 맞물고 있는 공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환 플랜지상의 기어섹터와 맞물려져 있는 상기 조정기어를 회전시키는 방법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군의 랜즈의 위치조정방법.
  31. 광축을 갖는 카메라에 부착되기 적합한 줌렌즈 경통에 있어서, 회전운동 캠환 구동용 수당에 의하여 구동되기 적합한 상기 회전운동 캠환과 고정통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카메라의 광축을 따라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캠환은 전군 및 후군이동레즈의 줌작동중에 상기 캠환의 회전운동과 공동으로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고정통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전군 및 후군이동렌즈를 수납하기 적합한 적어도 2개의 캠홈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이동렌즈군의 축방향위치 는 상기 캠홈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되어,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캠환 구동용 모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모터는 상기 캠환의 외부둘레 표면을 맞물기 적합한 기어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줌렌즈 경통.
  32.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되기 적합한 줌렌즈 장치에 있어서, 전군이동렌와 후군이동렌즈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렌즈군들은 고정통내에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이동렌즈군들의 줌운동중에 상기 광축을 따른 환조립체의 직진 및 회전운동에 응답하여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환조립체의 상기 직진운동은 상기 환조립체의 회전운동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상기 환조립체는 상기 광축을 따라 고정되어 있는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환조립체 구동용 모우터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환조립체내의 환 외부둘레 표면을 맞물기 적합한 기어를 구동시키는 상기 모우터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장치.
  33. 광축을 갖는 카메라와 함께 사용되기 적합한 줌렌즈에 있어서,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캠환, 상기 줌렌즈의 줌작동중에 상기 줌렌즈의 춧점거리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광축을 따른 상기 캠환 상기 캠환의 이동과 공동으로 상기 광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렌즈, 상기 광축을 따라 고정되어 있는 상기 캠환의 구동용 수단,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가능하게 유지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캠환은 상기 캠환이 광축을 따라 이동하는 거리보다 더 먼 거리에 걸쳐 상기 광축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캠환 구동용 모우터를 포함하고 잇으며, 상기 줌렌즈는 상기 모우터와 조합하여 사용되며, 상기 모우터는 상기 캠환의 외부둘레 표면을 맞물기 적합한 기어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렌즈.
KR1019890007642A 1988-06-03 1989-06-03 줌렌즈 경통 KR970002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701988A JP2691562B2 (ja) 1988-06-03 1988-06-03 レンズ鏡筒
JP63-137019 1988-06-03
JP??63-137019 1988-06-03
JP63-83595 1988-06-24
JP63-83594 1988-06-24
JP????63-83593 1988-06-24
JP63-83593 1988-06-24
JP????63-83592 1988-06-24
JP1988083592U JPH0618324Y2 (ja) 1988-06-24 1988-06-24 マクロ付きズームレンズ鏡筒
JP????63-83594 1988-06-24
JP????63-83595 1988-06-24
JP8359488U JPH0645923Y2 (ja) 1988-06-24 1988-06-24 レンズシャッタ式ズームレンズカメラの近距離補正光学素子の作動機構
JP63-83592 1988-06-24
JP1988083593U JPH0618325Y2 (ja) 1988-06-24 1988-06-24 ズームレンズ鏡筒
JP1988083595U JPH0618326Y2 (ja) 1988-06-24 1988-06-24 ズームレンズ鏡筒
JP????63-84734 1988-06-27
JP1988084734U JPH0755546Y2 (ja) 1988-06-27 1988-06-27 バリヤ装置付ズームレンズ
JP63-84733 1988-06-27
JP1988084736U JPH0544806Y2 (ko) 1988-06-27 1988-06-27
JP1988084733U JPH0618327Y2 (ja) 1988-06-27 1988-06-27 レンズ鏡筒
JP????63-84735 1988-06-27
JP63-84736 1988-06-27
JP63-84734 1988-06-27
JP1988084735U JPH0542424Y2 (ko) 1988-06-27 1988-06-27
JP63-84735 1988-06-27
JP????63-84736 1988-06-27
JP????63-84733 1988-06-27
JP63-89557 1988-07-06
JP????63-89557 1988-07-06
JP63-89558 1988-07-06
JP????63-89558 1988-07-06
JP1988089557U JP2572803Y2 (ja) 1988-07-06 1988-07-06 ズームレンズの駆動機構
JP1988089558U JPH0727451Y2 (ja) 1988-07-06 1988-07-06 ズームレンズ鏡筒
JP1988097075U JPH082646Y2 (ja) 1988-07-22 1988-07-22 ズームレンズ鏡筒
JP????63-97075 1988-07-22
JP63-97075 1988-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442A KR910001442A (ko) 1991-01-30
KR970002510B1 true KR970002510B1 (ko) 1997-03-05

Family

ID=2758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642A KR970002510B1 (ko) 1988-06-03 1989-06-03 줌렌즈 경통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5144493A (ko)
EP (5) EP0344806B1 (ko)
KR (1) KR970002510B1 (ko)
AT (5) ATE188554T1 (ko)
AU (4) AU631796B2 (ko)
CA (1) CA1331429C (ko)
DE (3) DE68929078T2 (ko)
HK (5) HK10015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4686A (ja) * 1995-04-28 1996-11-22 Nikon Corp レンズ駆動装置
ATE141693T1 (de) 1986-05-12 1996-09-15 Asahi Optical Co Ltd Zwischenlinsenverschlusscamera mit zoomobjektiv
US5231449A (en) * 1988-06-03 1993-07-2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lens barrel and camera incorporating such barrel
CA1331429C (en) * 1988-06-03 1994-08-16 Hiroshi Nomura Zoom lens barrel and camera incorporating such barrel
GB2229016B (en) * 1989-03-09 1993-07-07 Asahi Optical Co Ltd Cam ring of lens barr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GB2230354B (en) * 1989-03-31 1993-09-15 Asahi Optical Co Ltd Zoom lens assembly
FR2653902B1 (ko) * 1989-10-27 1994-03-11 Asahi Kogaku Kogyo Kk
US5587754A (en) * 1989-11-06 1996-12-24 Nikon Corporation Camera with guiding of rectilinear lens movement
US5172149A (en) * 1990-05-23 1992-12-15 Victor Company Of Japan, Ltd. Drive apparatus and drive control apparatus for optical system of camera
JPH04125607A (ja) * 1990-09-18 1992-04-27 Canon Inc 光学機器
US5576893A (en) * 1990-11-20 1996-11-19 Canon Kabushiki Kaisha Zoom lens barrel
EP0671643B1 (en) * 1991-07-08 2001-10-04 Chinon Kabushiki Kaisha Camera and viewfinder assembly
JP3201418B2 (ja) * 1991-07-30 2001-08-20 株式会社ニコン 焦点可変装置
JP3199796B2 (ja) * 1991-09-17 2001-08-20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測光レンズ部の構成
US5386740A (en) * 1991-09-30 1995-02-0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Rotary feed mechanism
US5381272A (en) * 1992-01-27 1995-01-10 Nikon Corporation Lens barrel with improved drum arrangement
JP3255447B2 (ja) * 1992-04-17 2002-02-12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調整装置
DE4312490B4 (de) * 1992-04-17 2005-09-08 Pentax Corp. Tubus für ein Varioobjektiv mit Brennweitenerfassung
GB2266157B (en) * 1992-04-17 1996-01-03 Asahi Optical Co Ltd Electrically driven zoom lens camera
GB2266162B (en) * 1992-04-17 1996-02-07 Asahi Optical Co Ltd Zoom lens barrel with focal length detector
JPH0584908U (ja) * 1992-04-17 1993-11-16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遊び除去装置
JPH05346527A (ja) * 1992-06-12 1993-12-27 Nikon Corp レンズ鏡筒
JP2596881Y2 (ja) * 1992-06-23 1999-06-21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のフレキシブル基板の装着構造
JP2584208Y2 (ja) * 1992-07-13 1998-10-30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ピント調整装置
JP3276171B2 (ja) * 1992-08-17 2002-04-22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
US5689375A (en) * 1992-10-19 1997-11-18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US5446593A (en) * 1992-11-05 1995-08-29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Lens advancing mechanism
JP3340483B2 (ja) * 1992-12-07 2002-11-0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のレンズ中心調整装置
DE4342637B4 (de) * 1992-12-14 2006-04-13 Pentax Corp. Kamera mit einer Vorrichtung zum Einstellen der Bildschnittweite
JP2575125Y2 (ja) * 1992-12-14 1998-06-2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の駆動力伝達装置
DE4342638B4 (de) * 1992-12-25 2005-09-22 Pentax Corp. Linearführungsmechanismus für einen Zoomobjektivtubus
JP3248968B2 (ja) * 1993-01-13 2002-01-21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
JP3367166B2 (ja) * 1993-10-25 2003-01-14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位置調整機構
JP3240758B2 (ja) * 1993-07-15 2001-12-25 ミノルタ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装置及びカメラ
GB2281407B (en) * 1993-08-27 1997-05-07 Asahi Optical Co Ltd Zoom lens barrel
US5537262A (en) * 1993-10-19 1996-07-1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Rotational torque setting apparatus for screw mechanism
US5614973A (en) * 1993-11-30 1997-03-25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Lens barrier mechanism
US5604638A (en) * 1993-12-01 1997-02-18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Anti-reflection structure for zoom lens barrel
JP3368022B2 (ja) * 1993-12-01 2003-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
JP3249002B2 (ja) * 1993-12-03 2002-01-21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駆動装置
JPH07159828A (ja) * 1993-12-06 1995-06-23 Asahi Optical Co Ltd カメラのレンズ繰出装置
JP2597356Y2 (ja) * 1993-12-06 1999-07-0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直進案内装置
US5543971A (en) * 1993-12-06 1996-08-0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Backlash removing device for stowed lens barrel
US5689379A (en) * 1993-12-20 1997-11-18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Inner gear, cylindrical product with inner gear, mold for inner gear, mold for cylindrical product with inner gear, method of manufacturing inner g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ylindrical product with inner gear
US5788911A (en) * 1993-12-20 1998-08-04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nufacturing inner g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ylindrical product
US5581412A (en) * 1993-12-27 1996-12-03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supporting structure of lens barrel
JPH085894A (ja) * 1994-06-22 1996-01-12 Nikon Corp レンズ鏡筒
JPH085893A (ja) * 1994-06-22 1996-01-12 Nikon Corp レンズ鏡筒
US5636064A (en) * 1994-07-05 1997-06-03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lens barrel with flat faced helicoid threading
JP3582022B2 (ja) * 1994-09-29 2004-10-27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胴
JP3401335B2 (ja) * 1994-09-29 2003-04-2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筒状成形体
JP3435585B2 (ja) * 1994-10-06 2003-08-11 コニカ株式会社 カメラ
JPH08114738A (ja) * 1994-10-13 1996-05-07 Asahi Optical Co Ltd 回転繰出機構
US6002530A (en) * 1994-12-22 1999-12-14 Canon Kabushiki Kaisha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US6002531A (en) * 1994-12-22 1999-12-14 Canon Kabushiki Kaisha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JPH08211277A (ja) * 1995-02-06 1996-08-20 Nikon Corp ズームレンズ鏡筒、及びズームレンズ鏡筒のフランジバックの調整方法
JPH08211435A (ja) * 1995-02-08 1996-08-20 Nikon Corp ズーム式レンズ鏡筒を備えた沈胴式カメラ
CN1069974C (zh) * 1995-02-08 2001-08-22 佳能株式会社 透镜筒
JPH08220411A (ja) * 1995-02-08 1996-08-30 Nikon Corp レンズ鏡筒
JPH08321984A (ja) * 1995-03-22 1996-12-03 Sony Corp 自動追尾撮像装置
JP3462614B2 (ja) * 1995-04-25 2003-11-05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
JP3586315B2 (ja) * 1995-06-30 2004-11-10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鏡筒
GB2309533B (en) * 1996-01-26 2000-08-09 Asahi Optical Co Ltd Zoom compact camera
US5842057A (en) * 1996-01-26 1998-11-24 Asahi Kogaki Kogo Kabushiki Kaisha Camera with lens barrier apparatus
US5884105A (en) * 1996-01-26 1999-03-16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compact camera
KR100322207B1 (ko) * 1996-01-26 2002-06-26 마츠모토 도루 텔레스코프식 줌 렌즈
US5999748A (en) * 1996-01-26 1999-12-0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Camera with lens barrier apparatus
US5809348A (en) * 1996-01-26 1998-09-15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compact camera
US5812325A (en) * 1996-01-26 1998-09-22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Telescoping-type of zoom lens
JP3411764B2 (ja) * 1996-02-21 2003-06-03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ヘリコイドを有する合成樹脂製レンズ鏡筒の成形金型の製造方法
US5790903A (en) * 1996-08-20 1998-08-04 Fuji Photo Film Co., Ltd. Zoom lens device
US5926322A (en) * 1997-08-04 1999-07-20 Fuji Photo Film Co., Ltd. Zoom lens device with zooming position detector
JPH1178029A (ja) * 1997-09-04 1999-03-23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
US5958034A (en) * 1997-09-22 1999-09-28 Compaq Computer Corporation Inductive impedance modulation of transmission lines with stub loads
JP3811281B2 (ja) * 1997-12-10 2006-08-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
JP2000221377A (ja) * 1999-01-28 2000-08-11 Konica Corp ズームレンズ鏡胴及びカメラ
US6724428B1 (en) * 1999-08-31 2004-04-20 Nucam Corporation Shutter and lens apparatus of a digital camera with a stepless focusing function
JP3495663B2 (ja) * 1999-10-27 2004-02-09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
JP3548471B2 (ja) * 1999-11-15 2004-07-2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漏光防止装置
JP2001215391A (ja) * 2000-02-01 2001-08-10 Asahi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鏡筒の可動フード機構
JP2001281735A (ja) 2000-03-31 2001-10-10 Fuji Photo Optical Co Ltd バリア開閉装置
JP2001281517A (ja) * 2000-03-31 2001-10-10 Fuji Photo Optical Co Ltd レンズ鏡胴
US6529338B2 (en) * 2001-01-31 2003-03-04 Ping-Yim Cheung Zoom lens assembly with focus adjustment mechanism
JP3679724B2 (ja) * 2001-03-22 2005-08-03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
JP3742562B2 (ja) 2001-03-22 2006-02-0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のストッパ構造
US6522481B2 (en) 2001-03-22 2003-02-18 Pentax Corporation Cam structure for zoom lens barrel assembly
JP3762653B2 (ja) 2001-03-22 2006-04-05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多段繰出し式レンズ鏡筒
US6522482B2 (en) 2001-03-22 2003-02-18 Pentax Corporation Zoom lens barrel assembly
TW524318U (en) * 2002-01-18 2003-03-11 Nucam Cororation Zoom lens control mechanism
DE10215140B4 (de) * 2002-04-05 2012-12-06 Carl Zeiss Objektiv für eine Filmkamera
JP3875913B2 (ja) * 2002-05-10 2007-01-31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光学的位置決め調整機構を持つ光学ユニット
KR20030089359A (ko) * 2002-05-17 2003-11-21 삼성전기주식회사 줌 기능을 갖는 촬상소자 모듈
US7215374B2 (en) * 2003-01-03 2007-05-08 Micron Technology, Inc. Camera module having geared lens barrel
US6963455B2 (en) * 2003-02-05 2005-11-08 Pentax Corporation Lens barrel
US7307798B2 (en) * 2003-07-29 2007-12-11 The Brunton Company Multi-step locking eye cup twist up device
JP4280649B2 (ja) * 2004-01-28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保持装置
JP4474201B2 (ja) * 2004-05-26 2010-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カメラ
NZ534091A (en) * 2004-07-13 2007-06-29 Fisher & Paykel Appliances Ltd Horizontal cooking surface with rotation causing vertical motion via slots and ball slides
JP4722435B2 (ja) * 2004-08-31 2011-07-13 Hoya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筒のカム機構
US20080211955A1 (en) * 2004-09-29 2008-09-04 Alon Avital Camera Modules With Lens Drive Device
GB0506358D0 (en) * 2004-09-29 2005-05-04 Nanomotion Ltd Assembly
JP4208811B2 (ja) * 2004-10-06 2009-01-14 株式会社タムロン ロック機構付きレンズ鏡筒
JP4701131B2 (ja) * 2006-06-23 2011-06-15 Hoya株式会社 レンズ位置検出装置
JP5380783B2 (ja) * 2007-04-04 2014-01-08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鏡胴,カメラ,デジタルカメラ,携帯型情報端末装置および画像入力装置
US8098446B2 (en) 2007-05-29 2012-01-17 Nikon Corporation Lens barrel and camera
JP5493851B2 (ja) * 2009-12-30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TWI431392B (zh) * 2011-01-20 2014-03-21 Asia Optical Co Inc The camera's focus drive
JP6098942B2 (ja) * 2012-07-17 2017-03-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ンズ鏡筒
WO2015003195A2 (en) * 2013-06-27 2015-01-08 Leonard Henry Friedland Military projector
US10025164B2 (en) 2015-04-15 2018-07-17 Fluke Corporation Bayonet force booster for add-on lens
WO2017117066A1 (en) * 2015-12-31 2017-07-06 Werjefelt Bertil R L Hand-held emergency vision apparatus and system
JP6743081B2 (ja) * 2018-04-09 2020-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光学機器
KR20220040310A (ko) 2020-09-23 2022-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9202A (en) * 1970-06-11 1971-11-09 Polaroid Corp Variable frame viewfinder for photographic camera
CA1000547A (en) * 1972-10-11 1976-11-30 Israel Nesson Photographic exposure control mechanism
FR2220800A1 (ko) * 1973-03-06 1974-10-04 Canon Kk
US4043642A (en) * 1973-03-06 1977-08-23 Canon Kabushiki Kaisha Zoom lens system having electrical control of moving elements
US3928859A (en) * 1974-03-22 1975-12-23 Honeywell Inc Shutter-iris for automatic camera
JPS5525018A (en) * 1978-08-10 1980-02-22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Cam device of zoom lens
JPS5751366Y2 (ko) * 1978-08-21 1982-11-09
JPS6020089Y2 (ja) * 1978-11-17 1985-06-17 ミノルタ株式会社 ズ−ムレンズ鏡胴
JPS55106409A (en) * 1979-02-08 1980-08-15 Canon Inc Lens barrel of zoom lens capable of taking close-up
JPS55133006A (en) * 1979-04-04 1980-10-16 Asahi Optical Co Ltd Close-up photographing changeover device of zoom lens barrel
JPS565108U (ko) * 1979-06-25 1981-01-17
JPS5680010A (en) * 1979-12-04 1981-07-01 Asahi Optical Co Ltd Cam groove for displacement lens
JPS614889Y2 (ko) * 1980-01-09 1986-02-15
DE3205313C2 (de) * 1981-02-24 1985-05-23 Asahi Kogaku Kogyo K.K., Tokio/Tokyo Kameraobjektiv
JPS57188004A (en) * 1981-05-14 1982-11-18 Olympus Optical Co Ltd Automatic focusing zoom lens
JPS5864172A (ja) * 1981-10-14 1983-04-16 株式会社安西製作所 穀粒の選別方法
JPS58103004U (ja) * 1981-12-29 1983-07-13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ムレンズの近距離合焦切換装置
JPS58120227A (ja) * 1982-01-12 1983-07-18 Asahi Optical Co Ltd オ−トフオ−カスカメラ
JPS58188614U (ja) * 1982-06-07 1983-12-1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レンズ繰り出し機構
JPS5923309A (ja) * 1982-07-30 1984-02-06 Sony Corp レンズの移動機構
US4596454A (en) * 1982-09-21 1986-06-24 Canon Kabushiki Kaisha Photographic lens barrel assembly
JPS5951309U (ja) * 1982-09-27 1984-04-0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フロ−テイングレンズの繰り出し機構
JPS5964816A (ja) * 1982-10-05 1984-04-12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鏡筒
US4585313A (en) * 1982-12-14 1986-04-29 West Electric Company Ltd. Lens drive device and optical lens assembly utilizing the same
JPS59151467A (ja) * 1983-02-17 1984-08-29 Nissan Motor Co Ltd 縦型mosfet
JPS59214836A (ja) * 1983-05-23 1984-12-04 Mamiya Koki Kk シフトレンズ用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S6042726A (ja) * 1983-08-18 1985-03-07 Canon Inc レンズ鏡胴
JPS60153015A (ja) * 1984-01-20 1985-08-12 Nippon Kogaku Kk <Nikon> ズ−ムレンズ鏡筒
JPS60162216A (ja) * 1984-02-02 1985-08-24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ズ−ムレンズ鏡胴
JPH067218B2 (ja) * 1984-05-21 1994-01-2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オ−トフオ−カス装置
DE8428377U1 (de) * 1984-09-27 1984-12-13 Fa. Carl Zeiss, 7920 Heidenheim Zoomobjektivfassung
US5099263A (en) * 1984-11-10 1992-03-24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Variable focal length camera
US4771303A (en) * 1984-11-10 1988-09-13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Variable focal length camera
JPS61148434A (ja) * 1984-12-22 1986-07-07 Fuji Photo Film Co Ltd 近接合焦機能を有する自動焦点装置
JP2540502B2 (ja) * 1985-05-25 1996-10-02 株式会社ニコン 光学系保護部材を備えたカメラ
US4865433A (en) * 1985-06-27 1989-09-12 Canon Kabushiki Kaisha Zoom lens incorporating diaphragm
FR2584190B1 (fr) * 1985-06-28 1987-09-18 Ecole Nale Super Arts Metiers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rmination en volume de la teneur en composant magnetique d'un materiau
JPS6279432A (ja) * 1985-10-03 1987-04-11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カメラの遮光装置
JPS62127513A (ja) * 1985-11-26 1987-06-09 Nippon Seiko Kk スピンドル
JPH07119872B2 (ja) * 1985-12-02 1995-12-20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ムレンズ鏡筒
US5016032A (en) * 1986-05-12 1991-05-14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US5214462A (en) * 1986-05-12 1993-05-25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and barrier mechanisms
US4944030B1 (en) * 1986-05-12 1993-05-25 Asahi Optical Co Ltd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ATE141693T1 (de) * 1986-05-12 1996-09-15 Asahi Optical Co Ltd Zwischenlinsenverschlusscamera mit zoomobjektiv
JPS6326832A (ja) * 1986-07-21 1988-02-04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デイスク装置
JPS6349740A (ja) * 1986-08-20 1988-03-02 Canon Inc 可変焦点カメラの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実装構造
JPH07123121B2 (ja) * 1986-09-24 1995-12-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ズマ処理装置
JPS6395426A (ja) * 1986-10-11 1988-04-26 Minolta Camera Co Ltd カメラ
JPS63148213A (ja) * 1986-12-12 1988-06-21 Nikon Corp レンズ直進繰出し装置
US4804331A (en) * 1986-12-27 1989-02-14 Canon Kabushiki Kaisha Device for installing printed circuit board
US4848884A (en) * 1987-02-05 1989-07-18 Ricoh Company, Ltd. Variable focusing lens barrel
JPS63201613A (ja) * 1987-02-18 1988-08-19 Olympus Optical Co Ltd 電装内蔵レンズ
JPH0782143B2 (ja) * 1987-02-25 1995-09-06 旭光学工業株式会社 自動焦点カメラのマクロ撮影時のピント補正装置
JPS63160520U (ko) * 1987-04-06 1988-10-20
JP2630395B2 (ja) * 1987-04-30 1997-07-16 京セラ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付沈胴式カメラ
US4864348A (en) * 1987-09-03 1989-09-05 Canon Kabushiki Kaisha Structure for install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H01140136A (ja) * 1987-11-27 1989-06-01 Canon Inc レンズ鏡筒
US4974949B1 (en) * 1987-12-21 1996-06-04 Asahi Optical Co Ltd Zoom lens barrel
JP2709932B2 (ja) * 1988-02-03 1998-02-0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駆動装置
JPH0453627Y2 (ko) * 1988-03-11 1992-12-16
JP2524455Y2 (ja) * 1988-06-01 1997-01-29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のカム構造
CA1331429C (en) * 1988-06-03 1994-08-16 Hiroshi Nomura Zoom lens barrel and camera incorporating such barrel
US5029991A (en) * 1989-04-13 1991-07-09 Canon Kabushiki Kaisha Lens barrel
JPH0753052Y2 (ja) * 1989-05-22 1995-12-06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レンズのフレキシブル基板取付構造
JP2508107Y2 (ja) * 1990-06-01 1996-08-21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レンズ鏡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09912B1 (en) 2000-01-05
AU647986B2 (en) 1994-03-31
ATE184996T1 (de) 1999-10-15
AU3404693A (en) 1993-05-13
ATE188781T1 (de) 2000-01-15
AU646196B2 (en) 1994-02-10
US5164757A (en) 1992-11-17
CA1331429C (en) 1994-08-16
ATE188554T1 (de) 2000-01-15
HK1004867A1 (en) 1998-12-11
HK1004864A1 (en) 1998-12-11
HK1001572A1 (en) 1998-06-26
EP0609910B1 (en) 2000-01-12
EP0609912A3 (en) 1994-09-21
AU645926B2 (en) 1994-01-27
EP0609910A2 (en) 1994-08-10
EP0609912A2 (en) 1994-08-10
DE68918756D1 (de) 1994-11-17
EP0609911A3 (en) 1994-09-21
EP0344806B1 (en) 1994-10-12
US5144493A (en) 1992-09-01
US5270868A (en) 1993-12-14
DE68928864D1 (de) 1999-01-07
DE68918756T2 (de) 1995-04-27
AU631796B2 (en) 1992-12-10
AU3404493A (en) 1993-05-13
EP0609911A2 (en) 1994-08-10
EP0609913B1 (en) 1998-11-25
DE68928864T2 (de) 1999-05-27
AU3404393A (en) 1993-05-13
EP0344806A2 (en) 1989-12-06
EP0609911B1 (en) 1999-09-22
ATE173838T1 (de) 1998-12-15
DE68929078T2 (de) 2000-02-03
AU3602389A (en) 1989-12-07
KR910001442A (ko) 1991-01-30
AU3404593A (en) 1993-05-13
HK1004866A1 (en) 1998-12-11
EP0609913A2 (en) 1994-08-10
AU650384B2 (en) 1994-06-16
EP0609913A3 (en) 1994-09-21
ATE112862T1 (de) 1994-10-15
HK1004865A1 (en) 1998-12-11
DE68929078D1 (de) 1999-10-28
EP0344806A3 (en) 1990-09-19
EP0609910A3 (en) 1994-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510B1 (ko) 줌렌즈 경통
US5231449A (en) Zoom lens barrel and camera incorporating such barrel
US5262898A (en) Zoom lens barrel and camera incorporating such barrel
EP0569051B1 (en)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a zoom lens system
JP3276171B2 (ja) ズームレンズ鏡筒
US7753598B2 (en) Lens barrel
JPH0453627Y2 (ko)
JP2524455Y2 (ja) ズームレンズのカム構造
US5394210A (en) Linear guiding mechanism of a zoom lens barrel of a photographing optical system
US5689738A (en) Camera having back focus adjusting apparatus
US5950019A (en) Zoom lens camera
CN102053335A (zh) 透镜镜筒及包括该透镜镜筒的数码相机
CA1336656C (en) Zoom lens camera incorporating correcting optical element
JP3028558B2 (ja) ズームレンズ鏡胴
CA1335477C (en) Zoom lens camera incorporating helicoid ring assembly
CA1337465C (en) Zoom lens camera incorporating lens cover barriers
JPH01306808A (ja) レンズ鏡筒
CA1337464C (en) Zoom lens camera incorporat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3297032B2 (ja) ズームレンズのズームエンコーダ装置
JPH0618327Y2 (ja) レンズ鏡筒
CA1335478C (en) Zoom lens camera incorporating flange back adjustment
JPH0618325Y2 (ja) ズームレンズ鏡筒
JPH0753056Y2 (ja) ズームレンズ鏡筒
US5410379A (en) Camera using variable magnification photographic optical system unit
CA1337712C (en) Lens shutter camera including zoom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