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702A -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 및 승객 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 및 승객 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702A
KR20200098702A KR1020207022339A KR20207022339A KR20200098702A KR 20200098702 A KR20200098702 A KR 20200098702A KR 1020207022339 A KR1020207022339 A KR 1020207022339A KR 20207022339 A KR20207022339 A KR 20207022339A KR 20200098702 A KR20200098702 A KR 20200098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ign
response
unit
no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1782B1 (ko
Inventor
마사유키 이나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98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6Indicators for guiding passengers to their assigned elevator car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를 할당 호기로 유도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잡한 사인음의 출력 제어를 행하는 일 없이, 복수 지점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인음을 간섭시키지 않고 교차하여 울려서 이용자를 할당 호기로 유도하는 승객 유도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는, 인식 사인음을 나타내는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통지 정보 수신부와, 수신한 통지 정보로 나타내지는 인식 사인음이,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집음된 소리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검지부와, 검지부가 검지 신호를 출력한 후, 검지부가 검지 신호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응답 사인음을 출력하는 응답 사인음 출력부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 및 승객 유도 시스템
이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조작 기기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조작을 한 이용자에 대해 승차할 호기를 할당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이용자를 할당 호기로 유도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이용자에게 복수 대의 엘리베이터 승차 호기 중 어느 것을 할당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시각 장애인을 음성으로 할당 호기로 유도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는, 할당 호기의 장소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을 유도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음성에 의한 안내에서는, 안내 음성의 언어를 이해할 수 없는 외국인을 할당 호기로 유도할 수 없다.
언어에 의존하는 음성이 아니라, 누구라도 직감적으로 알 수 있는 효과음을 이용하여 이용자를 안내하는 것으로서는, 횡단 보도에 있어서의 사인음(sign sound)을 이용한 안내 장치가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횡단 보도의 양단에서 대응하는 사인음을 서로 울림으로써, 횡단 보도를 건너기 시작하는 장소와 건너는 것이 끝나는 장소의 위치를 알게 하는 것으로, 양단의 장소 각각의 스피커로부터 사인음을 교호로 출력시키는 교차 울림(alternating-sounding)을 행하는 것이다. 이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1개의 제어 장치가 복수의 스피커에 의한 사인음의 출력을 제어하고 있어, 각각의 스피커에 교호로 출력 지시를 함으로써 각 스피커로부터의 사인음을 간섭시키지 않고 출력하는 교차 울림을 실현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5-21441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0-123281호 공보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장치는, 교차하여 울리는 2개의 스피커가 고정적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1개의 제어 장치로부터 복수의 스피커로 교호로 사인음을 출력시키는 제어는 간단하지만,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와 같이 할당 호기가 순서대로 변경되는 경우, 복수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사인음이 간섭하지 않도록 교차되어 울리게 하기 위해서는, 할당되는 승차 호기의 대수나 조합에 따라 사인음을 출력하는 스피커의 순서를 순서대로 결정하는 등의 복잡한 제어를 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사인음의 출력 제어를 행하는 일 없이, 복수 지점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인음을 간섭시키지 않고 교차하여 울리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는, 인식 사인음을 나타내는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통지 정보 수신부와, 통지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통지 정보로 나타내지는 인식 사인음의 음신호를 기억하는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와, 응답 사인음의 음신호를 기억하는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와,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에 기억된 음신호에 대응하는 인식 사인음이,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집음(集音)된 소리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검지부와, 검지부가 검지 신호를 출력한 후, 검지부가 검지 신호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에 기억된 음신호에 기초하여 응답 사인음을 출력하는 응답 사인음 출력부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는,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에 기억된 음신호에 대응하는 인식 사인음이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집음된 소리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검지부와, 검지부가 검지 신호를 출력한 후, 검지부가 검지 신호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에 기억된 음신호에 기초하여 응답 사인음을 출력하는 응답 사인음 출력부를 구비하므로,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전달되는 인식 사인음이 중단된 후의 인식 사인음과 간섭하지 않는 기간에 응답 사인음이 출력되기 때문에, 복잡한 사인음의 출력 제어가 없어도 복수 지점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인음을 간섭하지 않고 교차 울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를 적용하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승객 유도 장치를 적용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중앙 제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승객 유도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승객 유도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한 교차 울림의 모습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의한 교차 울림의 모습을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실시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를 적용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층의 엘리베이터 승강장을 나타내는 외관도이다. 엘리베이터 승강장에는,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을 호출하기 위한 승강장 조작 장치(1)가 배치되어 있다. 또, 복수 개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각 호기의 승강장 도어(3)의 상방 곁에는, 각 호기의 위치를 소리로 알리기 위한 호기 알림 장치(2)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장 조작 장치(1), 호기 알림 장치(2)에는, 각각 본 발명의 승객 유도 장치가 내장되어 있고, 이들 승강장 조작 장치(1), 호기 알림 장치(2)로 승객 유도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가동 중, 승강장 조작 장치(1)는 안내 사인음을 반복하여 출력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이용자에게 위치를 알리고 있다.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온 이용자는, 우선 승강장 조작 장치(1)를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칸 호출 조작, 예를 들면 위 또는 아래와 같은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 방향의 지정, 행선층의 지정, 혹은 이용자 정보를 입력함으로 인한 사전 등록된 행선층의 지정을 행한다. 엘리베이터 칸 호출 조작이 행해지면, 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호출 조작을 행한 이용자가 승차하는 호기가 할당된다. 그리고, 이 할당된 호기 곁에 설치된 호기 알림 장치(2)와 승강장 조작 장치(1)가 대응하는 사인음을 교호로 출력하는 교차 울림을 행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할당 호기의 위치를 알리게 하여 이용자를 할당 호기로 유도하는 것이다.
다음에 이 엘리베이터 시스템 중 승객 유도 장치에 관련된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승객 유도 장치를 적용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중앙 제어 장치(4)와, 이 중앙 제어 장치(4)에 의해 운행되며, 권상기, 엘리베이터 칸 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도시 생략)로 구성된다.
각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이 멈추는 각층에는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승강장 조작 장치(1), 복수의 승강장 도어(3), 및 각 승강장 도어(3)에 대응한 호기 알림 장치(2)가 마련되어 있고,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각층의 승강장 조작 장치(1), 호기 알림 장치(2)는 중앙 제어 장치(4)에 접속되어 있다. 덧붙여, 도 1에서 나타낸 2개의 호기 알림 장치(2)의 내부는 같은 구성이며, 도 2에서는 1개만 나타내고 있다.
중앙 제어 장치(4)는 각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운행이나 도어 개폐 등의 운행 제어를 행하는 운행 수단(5), 승강장 조작 장치(1) 및 호기 알림 장치(2)에 교차 울림을 위한 통지 정보를 송신하는 통지 정보 송신 수단(6)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장 조작 장치(1)는 엘리베이터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을 호출하기 위한 행선층 버튼이나 UP 버튼, DOWN 버튼 등을 가지는 조작부(7), 조작부(7)로의 조작을 중앙 제어 장치(4)의 운행 수단(5)에 송신하는 호출 수단(8), 안내 사인음 신호 기억부(201), 및 본 발명의 승객 유도 장치(91)를 구비하고 있다.
또, 호기 알림 장치(2)도 승객 유도 장치(91)와 같은 구성의 승객 유도 장치(92)를 구비하고 있다.
승객 유도 장치(91)는 이하에 설명하는 통지 정보 수신부(101),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111),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121), 검지부(131), 응답 사인음 출력부(141)를 구비한다.
통지 정보 수신부(101)는 인식 사인음과 응답 사인음을 나타내는 통지 정보를 중앙 제어 장치(4)의 통지 정보 송신 수단(6)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이다. 이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인식 사인음과 응답 사인음을 나타내는 통지 정보는, 인식 사인음 및 응답 사인음을 각각 특정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보이다.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111)는 통지 정보 수신부(101)가 수신한 통지 정보로 나타내지는 인식 사인음의 음신호를 기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통지 정보로 특정될 가능성이 있는 복수의 인식 사인음의 음신호, 예를 들면 부호화된 음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로 구성된다.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121)는 통지 정보 수신부(101)가 수신한 통지 정보로 나타내지는 응답 사인음의 음신호를 기억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통지 정보로 특정될 가능성이 있는 복수의 응답 사인음의 음신호, 예를 들면 부호화된 음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로 구성된다.
안내 사인음 신호 기억부(201)는 안내 사인음의 음신호를 기억하는 것이며, 안내 사인음의 음신호, 예를 들면 부호화된 음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로 구성된다.
덧붙여,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111),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121)는 하나의 메모리로 구성해도 되고, 또, 인식 사인음과 응답 사인음의 음신호는 공용해도 된다. 또한 인식 사인음과 응답 사인음의 음신호는 교차 울림에 이용되는데 적절한 시간의 길이를 가진다.
검지부(131)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소리를 집음하는 마이크(151), 마이크(151)가 집음한 소리를 승강장음의 음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승강장음 기억부(161), 승강장음 기억부(161)에 기억된 승강장음 중에서 인식 사인음을 인식하는 사인음 인식부(171)를 구비하고 있다. 사인음 인식부(171)는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111)에 기억된 음신호 중 통지 정보로 특정된 인식 사인음의 음신호를 참조하여, 승강장음 기억부(161)에 기억된 승강장음을 해석함으로써 승강장음 중의 인식 사인음을 인식하는 것이다. 사인음 인식부(171)는 승강장음 중의 인식 사인음을 인식했을 경우, 인식 사인음을 인식한 것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응답 사인음 출력부(141)는 스피커 구동부(181)와 스피커(191)를 구비하고, 스피커 구동부(181)는 검지부(131)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수신한 후, 검지부(131)가 검지 신호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121)에 기억된 음신호 중 통지 정보로 특정된 응답 사인음을 출력하도록 스피커(191)를 제어한다. 덧붙여, 스피커 구동부(181)는 교차 울림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는, 안내 사인음 신호 기억부(201)가 기억하는 안내 사인음을 출력하도록 스피커(191)를 제어한다.
또, 승객 유도 장치(92)는 승객 유도 장치(91)와 같은 구성으로, 통지 정보 수신부(102),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112),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122), 검지부(132), 응답 사인음 출력부(142)를 구비하고, 승객 유도 장치(91)와 같은 명칭의 각부는 같은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는, 승강장 조작 장치(1)를 조작하여 엘리베이터 칸 호출 조작을 행한 이용자에게 적절한 호기를 할당한 후, 이용자를 그 할당 호기로 유도하기 위해서, 승강장 조작 장치(1)의 승객 유도 장치(91)와, 호기 알림 장치(2)의 승객 유도 장치(92)에 의한 교차 울림이 행해진다.
도 3은 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의 중앙 제어 장치(4)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운전을 개시하면, 중앙 제어 장치(4)는 스텝 S1에 있어서, 승강장 조작 장치(1)의 호출 수단(8)에 조작이 행해지는 것을 감시한다.
호출 수단(8)에 조작이 행해지면 스텝 S2로 진행하여, 운행 수단(5)에 의해, 호출 수단(8)을 조작한 이용자에게 적절한 호기를 결정한다. 덧붙여, 이 적절한 호기의 결정에 대해서는 다양한 결정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애인, 노인 등의 특정의 속성을 가지는 이용자가 우선적으로 이용하는 호기가 있는 경우는, 카메라 등에서 취득한 이용자 화상으로부터 판단된 이용자의 속성에 적합한 호기를 할당하거나, 이용자의 목적층이나 이동 방향의 지정과 각 엘리베이터의 위치나 방향의 상태로부터, 엘리베이터 시스템 전체적으로 보다 효율적인 운행이 되는 호기를 할당하거나 등의 결정 방법이 있다.
스텝 S2에서 할당 호기가 결정되면 스텝 S3으로 진행하여, 운행 수단(5)이 그 할당 호기를 엘리베이터 칸 호출을 행한 이용자가 있는 층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 동시에, 운행 수단(5)으로부터 통지 정보 송신 수단(6)에 할당 호기의 정보가 전해지고, 통지 정보 송신 수단(6)은 할당 호기와 승강장 조작 장치(1)에 보내는 통지 정보를 생성한다. 이 통지 정보에는, 상술한 것 같은 할당 호기와 승강장 조작 장치(1)에 있어서의 인식 사인음 및 응답 사인음을 각각 특정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통지 정보 송신 수단(6)에서는, 우선 교차되어 울리는 2개의 소리의 쌍을 결정하고, 결정된 소리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인식 사인음과 응답 사인음의 식별 정보로 한 승강장 조작 장치(1)의 승객 유도 장치(91)에 보내는 통지 정보를 생성함과 아울러, 이 인식 사인음과 응답 사인음의 식별 번호를 바꿔 넣은 통지 정보를 할당 호기의 승객 유도 장치(92)에 보내는 통지 정보로서 생성한다. 이것에 의해, 승객 유도 장치(91)에 보내지는 응답 사인음의 식별 정보는 승객 유도 장치(92)에 보내지는 인식 사인음의 식별 정보와 같게 되고, 승객 유도 장치(92)에 보내지는 응답 사인음의 식별 정보는 승객 유도 장치(91)에 보내지는 인식 사인음의 식별 정보와 같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생성한 통지 정보를, 승강장 조작 장치(1) 및 할당 호기의 호기 알림 장치(2)에 송신한다.
이러한 통지 정보가 승강장 조작 장치(1) 및 할당 호기의 호기 알림 장치(2)각각의 승객 유도 장치(91, 92)에 의해 수신됨으로써, 후술과 같이 승객 유도 장치(91, 92)에 의해 교차 울림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중앙 제어 장치(4)의 동작으로서는, 그 후 스텝 S1로 돌아가, 새로운 호출 수단(8)의 조작 유무를 감시한다.
스텝 S1에 있어서, 호출 수단(8)으로 조작이 없었을 경우는 스텝 S4로 진행하여, 스텝 S3에서 이동시키고 있던 할당 호기가 이용자가 있는 층에 도착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도착하지 않았으면 스텝 S1로 돌아간다. 이러한 스텝 S1과 스텝 S4의 루프에 의해, 새로운 호출 수단(8)으로 조작과 할당 호기의 도착 유무의 감시가 반복되게 됨과 아울러, 그 동안, 스텝 S3에서 통지 정보 송신 수단(6)으로부터 통지 정보가 보내진 승강장 조작 장치(1) 및 할당 호기의 호기 알림 장치(2) 각각의 승객 유도 장치(91, 92)에 의해 교차 울림 동작이 행해져, 이용자를 할당 호기의 위치로 유도한다.
이 승객 유도 장치(91, 92)에 의한 교차 울림은, 스텝 S3에서 이동시키고 있던 할당 호기의 모두가 이용자가 있는 층에 도착하면 종료해도 된다. 이에, 중앙 제어 장치(4)에 있어서는, 스텝 S4에서 할당 호기가 이용자가 있는 층에 도착했다고 판단되면 스텝 S5로 진행하여, 승객 유도 장치(91, 92)에 의한 교차 울림을 종료하기 위한 동작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5에 있어서, 할당 호기의 승객 유도 장치(92)의 사인음의 출력을 정지시키기 위한 새로운 통지 정보를 통지 정보 송신 수단(6)으로부터 승강장 조작 장치(1)와 호기 알림 장치(2)에 송신한다. 이 사인음의 출력을 정지시키기 위한 통지 정보에서는, 할당 호기의 승객 유도 장치(92)에 대한 응답 사인음과 인식 사인음이 지정되어 있지 않다. 즉,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인식 사인음 및 응답 사인음을 각각 특정하는 식별 정보는 각각 「없음」인 것이 나타내진 정보로 되어 있고, 이것을 수신한 할당 호기의 승객 유도 장치(92)는 응답 사인음의 출력을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승객 유도 장치(91, 92)에 의한 교차 울림 동작은 종료하게 된다.
덧붙여, 복수의 호기가 교차하여 울리고 있고, 그 중의 일부의 호기만이 도착하는 경우는, 도착하는 호기의 승객 유도 장치(92)에만 인식 사인음 및 응답 사인음을 각각 특정하는 식별 정보가 각각 「없음」인 것이 나타내진 정보의 통지 정보를 송신한다. 승객 유도 장치(91)와 아직 도착하지 않은 호기의 승객 유도 장치(92)에는, 새로운 인식 사인음 및 응답 사인음의 통지 정보를 송신하여, 교차 울림을 계속한다.
그 후, 스텝 S1로 돌아가, 새로운 호출 수단(8)으로의 조작이 있으면, 상기와 같은 동작이 행해지고, 엘리베이터 칸 호출에 대해서 할당된 할당 호기에 의한 교차 울림이 행해진다.
이어서, 상기 스텝 S3에서 통지 정보 송신 수단(6)으로부터 승강장 조작 장치(1) 및 할당 호기의 호기 알림 장치(2) 각각의 승객 유도 장치(91, 92)에 통지 정보가 송신되었을 때의, 승객 유도 장치(91, 92)에 의한 교차 울림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승객 유도 장치(91)의 동작, 도 5는 승객 유도 장치(92)의 동작을 각각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며, 승객 유도 장치(91, 92)가 이들 플로우도에 따라서 동작함으로써 서로 작용하면서 교차 울림을 행한다.
우선, 승강장 조작 장치(1)의 승객 유도 장치(91)에서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운전이 개시하면 스텝 S6에서 안내 사인음 신호 기억부(201)에 기억한 안내 사인음을 출력하도록 스피커 구동부(181)가 스피커(192)를 구동한다. 이 안내 사인음에 의해, 이용자는 승강장 조작 장치(1)의 존재 장소를 파악할 수 있다.
그 후, 스텝 S7에서 통지 정보 수신부(101)가 통지 정보를 수신했는지를 감시하여, 통지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6, 스텝 S7을 반복하여, 승강장 조작 장치(1)의 장소를 알리기 위한 반복 안내 사인음을 계속 출력한다.
스텝 S7에서 통지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는 스텝 S8로 진행하여, 안내 사인음의 출력을 정지하고 스텝 S9로 진행하여, 이후의 승객 유도 장치(91)에 의한 교차 울림을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우선 스텝 S9에 있어서, 통지 정보 수신부(101)가 수신한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인식 사인음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111)에 기억되고, 응답 사인음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121)에 기억된다.
덧붙여, 이 통지 정보를 수신한 것으로, 호출 조작을 행한 이용자가 들어야 할 2개의 소리, 즉 이 승강장 조작 장치(1)와 할당 호기에서 교차되어 울리는 소리를 알 수 있으므로, 이 시점에서 승강장 조작 장치(1) 부근에 있는 이용자에게 이들 소리를 통지하면 이용자가 어느 소리를 의지하여 할당 호기로 향하면 되는지를 인식하기 쉽다. 그 때, 할당 호기를 고유하게 특정하기 위한 할당 호기의 정보, 예를 들면 할당 호기의 위치나, 명칭을 알려, 이용자에게 어느 호기가 할당되었는지를 통지해도 되고, 그것에 의해 이용자는 할당 호기를 확실히 인식할 수 있다.
스텝 S9 후, 스텝 S10에서, 스텝 S9에서 기억한 응답 사인음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로 특정된 음신호를 응답 사인음의 음신호로서 스피커 구동부(181)가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121)로부터 읽어내어, 스피커(191)에 출력시킨다. 이 응답음의 출력이 교차 울림의 처음 출력음이 되고, 이 이후 교차 울림이 행해진다.
응답 사인음은 교차 울림에 이용되는데 적절한 시간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 하여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121)에 기억되어 있고, 응답 사인음은 이 시간만큼 출력된 후에 멈춘다. 덧붙여, 이 응답 사인음의 출력 시간은,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121)에 기억된 음신호의 길이에 의존하지 않고,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121)에는 짧은 음의 패턴을 기억해 두고, 응답 사인음을 출력할 때에는 이 패턴을 반복하여 적절한 시간만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 승강장 조작 장치(1)와 호기 알림 장치(2)에서 교차되어 울리는 소리, 즉 쌍방에서 출력되는 응답 사인음은 관련지어진 소리로 하면, 처음 사인소리를 들은 이용자라도 직감적으로 사인음이 쌍인 것을 이해하기 쉽다. 이 소리의 쌍은, 예를 들면, 같은 음색으로 소리의 높이가 상이한 「폰(저음)」과「폰(고음)」과 같은 소리의 쌍, 혹은 소리의 높이가 같고 상이한 음색 「폰(440Hz)」과「포폰(440Hz)」과 같은 소리의 쌍 등으로 한다.
이 스텝 S10에 있어서의 응답 사인음의 출력은, 교차 울림 상대인 호기 알림 장치(2)에 대한 응답음이 된다. 이 응답음은 호기 알림 장치(2)의 승객 유도 장치(92)의 마이크(152)에 의해 주변 소리와 함께 집음되어, 승객 유도 장치(92)에 있어서의 인식음으로서 인식되게 된다. 승객 유도 장치(91)로부터 응답 사인음이 적절한 시간만큼 출력되고 중단되면, 후술과 같이, 이것을 인식한 승객 유도 장치(92)가 응답음을 출력하게 된다.
그 후, 스텝 S11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소리를 집음하는 마이크(151)가 집음한 소리를, 승강장음의 음 데이터로서 승강장음 기억부(161)가 기억하는 기억 동작을 개시한다. 이 기억 동작은 계속해서 행해진다.
다음에, 스텝 S12에서 사인음 인식부(171)는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111)에 기억된 음신호 중, 스텝 S9에서 기억한 인식 사인음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로 특정된 음신호를 인식 사인음의 음신호로서 참조하여, 승강장음 기억부(161)에 기억된 승강장음을 해석함으로써 승강장음 중에 있어서의 인식 사인음을 인식하는 인식 동작을 개시한다. 이 스텝 S12에 있어서의 인식 동작에 있어서 사인음 인식부(171)는, 승강장음 기억부(161)에 기억된 승강장음 중에 인식 사인음을 인식했을 경우는 인식 사인음을 인식한 것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로서 「1」을, 인식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인식 사인음을 인식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로서 「0」을 스피커 구동부(181)로 출력한다.
이 사인음 인식부(171)에 의한 스텝 S12의 인식 동작은 순서대로 행해지고 있고, 스피커 구동부(181)는, 스텝 S13에 있어서 사인음 인식부(171)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순서대로 감시하여, 검지 신호 「1」을 수신한 후, 검지 신호 「0」을 수신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이것은, 바꾸어 말하면, 사인음 인식부(171)가 인식 사인음을 인식한 것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 「1」을 출력한 후, 인식 사인음을 인식하고 싶은 것을 나타내는 검지 신호 「1」을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있는 것이다. 이 확인 동작에 의해, 교차 울림 상대인 호기 알림 장치(2)의 승객 유도 장치(92)의 스피커(192)로부터 출력된 소리, 즉 승객 유도 장치(92)에 있어서의 응답음이며 승객 유도 장치(91)에 있어서의 인식음이, 승강장음 중에 나타난 후에 사라졌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스텝 S13의 확인 동작은, 검지 신호 「1」을 수신한 후에, 검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게 된 것을 확인할 때까지, 즉 스텝 S13에서 「YES」가 될 때까지 반복된다.
스텝 S13에 있어서 「YES」가 되었을 경우는 스텝 S14로 진행하여, 스텝 S9에서 기억한 응답 사인음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로 특정된 음신호를 응답 사인음의 음신호로서 스피커 구동부(181)가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121)로부터 읽어내어, 스피커(191)에 출력시킨다. 이것에 의해, 교차 울림 상대인 호기 알림 장치(2)의 승객 유도 장치(92)의 스피커(192)로부터 출력된 소리가 승강장음 중에 나타난 후에 사라진 기간에, 응답 사인음이 출력된다.
승객 유도 장치(91)에서는 스텝 S14에서 응답 사인음을 출력한 후, 스텝 S15에서 스텝 S7의 통지 정보의 수신으로부터 상기 스텝 S14까지의 동안에 새로운 통지 정보를 수신했는지를 판단하여, 수신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2로 돌아가, 다시 스텝 S12 내지 스텝 S14에 의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승객 유도 장치(92)로부터 출력되는 음의 인식, 응답음의 출력을 반복한다. 이 스텝 S12로부터 스텝 S14의 반복에 의해, 호기 알림 장치(2)와의 교차 울림이 반복된다.
또, 스텝 S15에서 새로운 통지 정보를 수신했다고 판단했을 경우는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 새로운 통지 정보가 수신된다고 하는 것은, 교차 울림을 행하는 호기 알림 장치를 변경하는 지시이거나, 현재 행하고 있는 교차 울림을 종료하는 지시인 것을 나타낸다.
교차 울림을 행하는 호기 알림 장치를 변경하는 경우는, 중앙 제어 장치(4)의 동작인 도 3의 스텝 S3에 있어서, 새롭게 교차 울림을 행하는 호기 알림 장치와의 사이에서 이용하는 응답 사인음과 인식 사인음이 지정된 통지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이다. 이 통지 정보가 수신되었을 경우, 스텝 S16에 있어서 인식 사인음과 응답 사인음의 지정이 양쪽 모두 있다고 판단되어, 스텝 S9로 돌아간다. 그리고, 이후의 상술한 동작에 의해, 인식 사인음과 응답 사인음의 갱신, 새로운 인식 사인음의 인식과 새로운 응답 사인음의 출력에 의해, 새로운 교차 울림 상대와의 교차 울림이 행해진다.
한편, 현재 행하고 있는 교차 울림을 종료하는 경우란, 모든 할당 호기가 목적층에 도착하여, 중앙 제어 장치(4)의 동작인 도 3의 스텝 S5에 있어서, 교차 울림을 종료하기 위한 「인식/응답 사인음 없음」의 통지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이다. 이 통지 정보가 송신되면, 스텝 S16에 있어서 인식 사인음과 응답 사인음의 양쪽 모두 지정되어 있다고 판단되지 않는, 즉 NO라고 판단되어 스텝 S6으로 돌아가, 그때까지 출력하고 있던 응답 사인음 대신에 안내 사인음을 출력하고, 다음의 통지 정보를 감시하는 처리로 돌아간다.
이어서, 호기 알림 장치(2)의 승객 유도 장치(92)의 동작을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의 승강장 조작 장치(1)의 승객 유도 장치(91)에서는 처음에 안내 사인음을 출력하고 있었지만, 호기 알림 장치(2)의 승객 유도 장치(92)에서는 안내 사인음을 출력할 필요는 없고, 중앙 제어 장치(4)로부터 교차 울림의 지시를 기다리면 된다. 우선, 스텝 S17에서, 통지 정보 수신부(102)가 통지 정보를 수신했는지를 감시하여, 통지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 스텝 S18로 진행한다.
스텝 S18에서는, 통지 정보 수신부(102)가 수신한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인식 사인음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112)에 기억되고, 응답 사인음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가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122)에 기억된다. 여기서, 상술한 것처럼 승강장 조작 장치(1)의 승객 유도 장치(91)에 보내지는 통지 정보와, 호기 알림 장치(2)의 승객 유도 장치(92)에 보내지는 통지 정보에서는, 인식 사인음 및 응답 사인음을 각각 특정하는 식별 정보는, 바뀌어 있다. 즉, 승객 유도 장치(91)에 보내지는 통지 정보에서는, 인식 사인음의 식별 정보가 사인음 A라고 하는 소리를 나타내고, 응답 사인음의 식별 정보가 사인음 B라고 하는 소리를 나타내는 경우, 승객 유도 장치(92)에 보내지는 통지 정보에서는 인식 사인음의 식별 정보가 사인음 B라고 하는 소리를 나타내고, 응답 사인음의 식별 정보가 사인음 A라고 하는 소리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따라서, 승객 유도 장치(91)에서는 스텝 S9에서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111)에 사인음 A와 같은 식별 정보가 기억되고,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121)에 사인음 B와 같은 식별 정보가 기억되었을 때, 승객 유도 장치(92)에서는 스텝 S18에서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112)에 사인음 B와 같은 식별 정보가 기억되어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122)에 사인음 A와 같은 식별 정보가 기억된다.
그리고 스텝 22에 있어서, 스텝 S18에서 기억한 응답 사인음 A로 특정된 음신호를 스피커 구동부(181)가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121)로부터 읽어내어, 스피커(192)에 일정한 시간, 출력시킨다.
이후의 스텝 S19 내지 스텝 S24는, 상술한 승강장 조작 장치(1)의 승객 유도 장치(91)의 동작인 도 4의 스텝 S11 내지 스텝 S16과 같다.
스텝 S20에 있어서 승객 유도 장치(92)는 인식 사인음 B의 인식 처리를 개시한다. 승객 유도 장치(91)가 도 4의 스텝 S10에서 처음 응답 사인음 B를 일정시간 출력하면, 승객 유도 장치(92)에서는 이 응답 사인음 B가 출력되어 종료된 것을 스텝 21에 있어서 인식하고, 스텝 S22에서 승객 유도 장치(92)의 스피커(192)로부터 응답 사인음 A를 출력한다. 이러한 스텝 S20으로부터 스텝 S23까지의 동작이, 다음의 통지 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반복되어 교차 울림이 행해진다. 스텝 S23에서 다음 통지 정보를 수신했다고 판단했을 경우는 스텝 S24로 진행하여, 통지 정보에 인식 사인음과 응답 사인음의 양쪽 모두 지정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S18에서 새로운 인식 사인음과 응답 사인음을 이용한 교차 울림 동작이 행해지고, 통지 정보에 인식 사인음과 응답 사인음의 양쪽 모두 지정되어 있다고 할 수 없는 경우는 스텝 S17로 돌아가, 더 이상 응답 사인음을 출력하는 일 없이 교차 울림을 종료하고, 다음 통지 정보를 기다린다.
도 6은 이상과 같은 중앙 제어 장치(4), 승강장 조작 장치(1), 호기 알림 장치(2)의 동작에 의해, 교차 울림이 행해지는 모습을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우선,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운전을 개시하면, 이용자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될 때까지, 승강장 조작 장치(1)는 스텝 S6에 의해 반복 안내 사인음을 출력한다.
엘리베이터 칸 호출이 이루어지면 중앙 제어 장치(4)가 스텝 S2에 의해 이용자에게 적절한 할당 호기를 결정하여, 스텝 S3에서 할당 호기를 이동시킴과 아울러, 승강장 조작 장치(1)와 할당 호기의 호기 알림 장치(2)에서 교차하여 울리는 인식 사인음과 응답 사인음을 나타내는 통지 정보를 송신한다. 이 도 6의 예에서는, 승강장 조작 장치(1)에 보내는 통지 정보에는 「인식 사인음이 사인음 A, 응답 사인음이 사인음 B」, 호기 알림 장치(2)에 보내는 통지 정보에는 「인식 사인음이 사인음 B, 응답 사인음이 사인음 A」와 같은 식별 정보가 각각 포함되어 있다.
통지 정보를 받은 승강장 조작 장치(1)는, 스텝 10에서 응답 사인음 B를 출력한다. 이 응답 사인음 B를 호기 알림 장치(2)가 인식하고, 스텝 S21에서 응답 사인음 A의 종료를 검지하면, 호기 알림 장치(2)는 스텝 S22에서 응답 사인음 A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 응답 사인음 A의 종료를 승강장 조작 장치(1)가 스텝 S13에서 인식하여, 스텝 S14에서 응답 사인음 B를 출력하는 것 같은 동작이 반복되어, 교차 울림이 행해진다.
이 교차 울림 동작 중, 할당 호기가 도착하면(스텝 S4에서 YES), 중앙 제어 장치(4)가 스텝 S5에서 할당 호기의 승객 유도 장치(92)의 사인음의 출력을 정지시키기 위한 통지 정보, 즉 인식 사인음, 응답 사인음 모두 「없음」의 통지 정보를 승강장 조작 장치(1)와 호기 알림 장치(2)에 송신한다. 이 통지 정보를 받은 승강장 조작 장치(1)는, 스텝 S16에서 인식 사인음과 응답 사인음의 2개 모두 지정이 없다고 판단하여, 스텝 S6로 돌아가 안내 사인음을 출력한다. 또, 통지 정보를 받은 호기 알림 장치(2)는 스텝 S24와 같은 판단에 의해 스텝 S17로 돌아간다. 이것에 의해, 교차 울림은 종료된다.
이상의 도 6의 설명에서는, 승강장 조작 장치(1)와 교차하여 울리는 호기 알림 장치(2)가 1대였지만,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호기 알림 장치(2)는 복수 대 있으므로, 교차 울림을 하고 있는 호기가 도착하기 전에 다른 호기가 호출되면, 복수의 호기가 승강장 조작 장치(1)와 교차하여 울리게 된다. 이 복수의 호기와 승강장 조작 장치(1)가 교차하여 울리는 모습을 도 7의 시퀀스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도 7에서 나타낸 시퀀스는, 우선, 호기 알림 장치(2a)에 대응하는 호기가 호출되어 할당 호기가 되어 승강장 조작 장치(1)와의 교차 울림을 개시하고, 계속하여 다른 호기 알림 장치(2b)가 호출되어 할당 호기가 되어 승강장 조작 장치(1)와의 교차 울림을 개시하고, 그 후, 호기 알림 장치(2a)에 대응하는 호기가 도착하여 교차 울림을 종료하고, 추가로 호기 알림 장치(2b)에 대응하는 호기도 도착하여 교차 울림을 종료한다고 하는 천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호기 알림 장치(2a)에 대응하는 호기가 할당 호기가 되어, 호기 알림 장치(2a)가 사인음 A를, 승강장 조작 장치(1)가 사인음 B를 출력하여 교차 울림을 행할 때까지는 도 6과 같은 동작이 행해지고 있다.
이 승강장 조작 장치(1)가 호기 알림 장치(2a)와 교차 울림을 행하고 있는 도중에, 다른 이용자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조작이 행해져, 중앙 제어 장치(4)가 호기 알림 장치(2b)에 대응하는 호기를 할당 호기로 하면, 중앙 제어 장치(4)가 스텝 S3에서 통지 정보를 승강장 조작 장치(1), 호기 알림 장치(2a), 호기 알림 장치(2b) 각각에 송신한다.
이 때, 승강장 조작 장치(1)에 보내는 통지 정보에는 「인식 사인음이 사인음 C, 응답 사인음이 사인음 B」, 호기 알림 장치(2a)에 보내는 통지 정보에는 「인식 사인음이 사인음 B, 응답 사인음이 사인음 A」, 호기 알림 장치(2b)에 보내는 통지 정보에는 「인식 사인음이 사인음 A, 응답 사인음이 사인음 C」와 같은 식별 정보가 포함한다.
승강장 조작 장치(1)는 통지 정보를 수취하면 스텝 S10에서 사인음 B의 출력을 개시하고, 호기 알림 장치(2a)는 통지 정보를 수취하면 사인음 B의 인식 동작을 개시하고, 호기 알림 장치(2b)는 통지 정보를 수취하면 사인음 A의 인식 동작을 개시한다.
호기 알림 장치(2a)는 스텝 S21에서 승강장 조작 장치(1)로부터 일정시간 출력되는 사인음 B를 인식한 후에 정지한 것을 검지하면, 스텝 S22에서 응답 사인음 A를 출력한다. 추가로 호기 알림 장치(2b)는 스텝 S21에서, 이 호기 알림 장치(2a)로부터 일정시간 출력되는 응답 사인음 A를 인식한 후에 정지한 것을 검지하면, 스텝 S22에서 응답 사인음 C를 출력한다. 그리고, 이 사인음 C를 승강장 조작 장치(1)가 인식하여, 재차 응답 사인음 B를 출력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이 반복되어, 승강장 조작 장치(1), 호기 알림 장치(2a), 호기 알림 장치(2b), 승강장 조작 장치(1)···의 순으로 응답음을 출력하는 교차 울림이 행해진다.
이 교차 울림 동작 중에 호기 알림 장치(2a)에 대응하는 호기가 도착하면(스텝 S4에서 YES), 중앙 제어 장치(4)가 스텝 S5에서 통지 정보를 송신한다.
이 때 승강장 조작 장치(1)에 보내는 통지 정보에는 「인식 사인음이 사인음 C, 응답 사인음이 사인음 B」, 호기 알림 장치(2a)에 보내는 통지 정보에는 「인식 사인음 없음, 응답 사인음 없음」, 호기 알림 장치(2b)에 보내는 통지 정보에는 「인식 사인음이 사인음 B, 응답 사인음이 사인음 C」와 같은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통지 정보가 송신되면, 호기 알림 장치(2a)가 응답 사인음 A를 출력하지 않게 됨으로써 호기 알림 장치(2a)에 의한 교차 울림이 종료되고, 승강장 조작 장치(1)와 호기 알림 장치(2b)의 사이에서는 사인음 B와 사인음 C를 이용한 교차 울림이 계속해서 행해진다.
그 후, 호기 알림 장치(2b)에 대응하는 호기가 도착하면(스텝 S4에서 YES), 중앙 제어 장치(4)가 스텝 S5에서 통지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에서는, 승강장 조작 장치(1)에 보내는 통지 정보에는 「인식 사인음 없음, 응답 사인음 없음」, 호기 알림 장치(2b)에 보내는 통지 정보에는 「인식 사인음 없음, 응답 사인음 없음」과 같은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통지 정보를 수취한 호기 알림 장치(2b)가 사인음 C를 출력하지 않게 됨과 아울러, 승강장 조작 장치(1)가 스텝 S6에서 안내 사인음을 출력하는 상태로 돌아감으로써, 승강장 조작 장치(1)와 호기 알림 장치(2b)가 교차 울림을 종료한다.
덧붙여,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호기 할당이 행해질 때마다, 인식 사인음과 응답 사인음을 결정하여 승강장 조작 장치(1)와 호기 알림 장치(2)에 통지하고 있었지만, 미리 승강장 조작 장치(1)와 각 호기 알림 장치(2)에 각각 상이한 응답 사인음을 할당해 두면, 호기의 할당이 행해질 때마다 응답 사인음을 통지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경우, 통지 정보에는 인식 사인음의 식별 정보만을 포함하고, 이것을 수취한 호기 알림 장치(2)는, 통지 정보에 포함되는 인식 사인음의 식별 정보로 나타내지는 사인음의 인식과 종료를 확인함으로써, 미리 할당된 응답 사인음을 출력한다. 승강장 조작 장치(1)가 교차 울림을 행하는 호기 알림 장치(2)가 1개인 경우는, 호기 알림 장치(2)에 통지되는 인식 사인음은 승강장 조작 장치(1)의 응답 사인음, 승강장 조작 장치(1)에 통지되는 인식 사인음은 호기 알림 장치(2)의 응답 사인음이 된다. 또, 승강장 조작 장치(1)가 교차 울림을 행하는 호기 알림 장치(2)가 복수인 경우는, 각 호기 알림 장치(2)에 통지되는 인식 사인음은 복수의 호기 알림 장치(2) 중 응답 사인음을 출력하는 순서가 1개 전의 호기 알림 장치(2)에 할당된 응답 사인음, 호기 알림 장치(2)에 통지되는 인식 사인음은 응답 사인음을 출력하는 순서가 마지막 호기 알림 장치(2)에 할당된 응답 사인음이 된다.
1: 승강장 조작 장치
2: 호기 알림 장치
3: 승강장 도어
4: 중앙 제어 장치
5: 운행 수단
6: 통지 정보 송신 수단
7: 조작부
8; 호출 수단
91, 92: 승객 유도 장치
101, 102: 통지 정보 수신부
111, 112: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
121, 122: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
131, 132: 검지부
141, 142: 응답 사인음 출력부
151, 152: 마이크
161, 162: 승강장음 기억부
171, 172: 사인음 인식부
181, 182: 스피커 구동부
191, 192: 스피커
201: 안내 사인음 신호 기억부

Claims (4)

  1. 인식 사인음을 나타내는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통지 정보 수신부와,
    상기 통지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통지 정보로 나타내지는 상기 인식 사인음의 음신호를 기억하는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와,
    응답 사인음의 음신호를 기억하는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와,
    상기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에 기억된 음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인식 사인음이,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집음된 소리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부가 상기 검지 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검지부가 상기 검지 신호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상기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에 기억된 음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사인음을 출력하는 응답 사인음 출력부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정보 수신부는 상기 인식 사인음과 함께 상기 응답 사인음을 나타내는 상기 통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는 상기 통지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통지 정보로 나타내지는 상기 응답 사인음의 음신호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소리를 집음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가 집음한 소리를 승강장음의 음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승강장음 기억부와, 상기 승강장음 기억부에 기억된 승강장음 중에서 상기 인식 사인음을 인식하면 상기 인식 사인음을 인식한 것을 나타내는 상기 검지 신호를 출력하는 사인음 인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
  4. 엘리베이터 승강장에 마련되어,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을 호출하는 호출 수단, 상기 호출 수단으로 호출되는 엘리베이터 칸으로 승객을 유도하는 승객 유도 장치를 가지는 승강장 조작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각 호기의 승강장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장 조작 장치가 가지는 상기 승객 유도 장치와 교차 울림을 행하는 승객 유도 장치를 가지는 호기 알림 장치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시스템으로서,
    상기 승강장 조작 장치가 가지는 승객 유도 장치, 및 상기 호기 알림 장치가 가지는 승객 유도 장치는
    인식 사인음을 나타내는 통지 정보를 수신하는 통지 정보 수신부와, 상기 통지 정보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통지 정보로 나타내지는 상기 인식 사인음의 음신호를 기억하는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와, 응답 사인음의 음신호를 기억하는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와, 상기 인식 사인음 신호 기억부에 기억된 음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인식 사인음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에서 집음된 소리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검지 신호를 출력시키는 검지부와, 상기 검지부가 상기 검지 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검지부가 상기 검지 신호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기간에 상기 응답 사인음 신호 기억부에 기억된 음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사인음을 출력하는 응답 사인음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시스템.
KR1020207022339A 2018-02-09 2018-02-09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 및 승객 유도 시스템 KR1024317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04562 WO2019155597A1 (ja) 2018-02-09 2018-02-09 エレベーターの乗客誘導装置および乗客誘導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702A true KR20200098702A (ko) 2020-08-20
KR102431782B1 KR102431782B1 (ko) 2022-08-11

Family

ID=6754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339A KR102431782B1 (ko) 2018-02-09 2018-02-09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 및 승객 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010310B2 (ko)
KR (1) KR102431782B1 (ko)
CN (1) CN111683889B (ko)
DE (1) DE112018007042T5 (ko)
WO (1) WO20191555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6537B1 (ja) 2022-07-04 2023-07-11 フジテック株式会社 音出力制御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3281A (ja) 1998-10-13 2000-04-28 Koito Ind Ltd 音響式視覚障害者用交通信号付加装置
JP2015214416A (ja) 2014-05-13 2015-12-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群管理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380A (ja) * 1983-07-05 1985-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遠隔監視装置
JPH0859107A (ja) * 1994-08-24 1996-03-05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かご内案内装置
JPH08198536A (ja) * 1995-01-26 1996-08-06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誤り乗車警告装置
JPH0930749A (ja) * 1995-07-12 1997-02-04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のピット内機器の異常検出装置
JPH1087197A (ja) * 1996-09-18 1998-04-0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通過案内方法
JPH11335012A (ja) * 1998-05-22 1999-12-07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案内装置
JP2001139238A (ja) 1999-11-18 2001-05-2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への視覚障害者誘導装置
JP2002348055A (ja) * 2001-05-23 2002-12-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利用客誘導装置
JP2003335467A (ja) * 2002-05-17 2003-11-2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2004224539A (ja) * 2003-01-24 2004-08-12 Toshiba Elevator Co Ltd 多段速度対応乗客コンベアの運転操作方法
JP4602408B2 (ja) 2004-05-19 2010-12-22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行き先階にサービスを提供するエレベータと音との相関関係
JP2006044893A (ja) * 2004-08-05 2006-02-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2006256843A (ja) * 2005-03-18 2006-09-2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音声放送システム
JP2007119101A (ja) * 2005-10-25 2007-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音声誘導装置
JP4731338B2 (ja) 2006-02-02 2011-07-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誘導装置
JP4974606B2 (ja) 2006-08-03 2012-07-11 三菱電機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音響信号機
JP2008087949A (ja) * 2006-10-04 2008-04-1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音声案内装置
CN102844261B (zh) * 2010-04-20 2015-05-0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呼梯登记装置
JP2012056653A (ja) * 2010-09-06 2012-03-22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442067B2 (ja) * 2012-06-08 2014-03-1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JP5848422B1 (ja) * 2014-09-22 2016-01-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操作装置、及び車両
JP6381810B2 (ja) * 2015-08-10 2018-08-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報知タイミング制御方法
JP2018002457A (ja) * 2016-07-07 2018-0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3281A (ja) 1998-10-13 2000-04-28 Koito Ind Ltd 音響式視覚障害者用交通信号付加装置
JP2015214416A (ja) 2014-05-13 2015-12-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群管理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83889B (zh) 2021-05-25
JPWO2019155597A1 (ja) 2021-01-07
JP7010310B2 (ja) 2022-01-26
DE112018007042T5 (de) 2020-12-17
WO2019155597A1 (ja) 2019-08-15
CN111683889A (zh) 2020-09-18
KR102431782B1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842B1 (ko) 엘리베이터의 음성 인식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18144943A (ja) エレベーター装置、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および、自律ロボットの制御方法
KR101597958B1 (ko) 이용자에게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러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JP2008303071A (ja) エレベータ設備への音響命令入力用の入力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6229820B1 (ja) 案内装置、案内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
JP5397536B2 (ja) エレベータの案内装置
JP2005298125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2016159992A (ja) エレベータ装置
JP6607334B1 (ja) エレベーター乗場誘導装置
JP6194061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KR20200098702A (ko) 엘리베이터의 승객 유도 장치 및 승객 유도 시스템
KR100554918B1 (ko) 엘리베이터용 목적층 예약장치 및 그 방법
JP6117404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8062396A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JP2017081746A (ja) 行先階登録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WO2019106756A1 (ja) エレベータの利用者検知装置
JP5208386B2 (ja) エレベータ管理システム
KR102346441B1 (ko)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안내 장치
JP2019206443A (ja) 情報取得部および行先階登録装置
JP2010064886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7327560B1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2003032732A (ja) 案内システム及び案内方法
CN112292342B (zh) 报知控制装置
JPH02147577A (ja) エレベータ呼び登録装置
JPWO2018154781A1 (ja) 表示システム、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