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428A - 부분적 제한을 동반하는 입자형 발포체 - Google Patents

부분적 제한을 동반하는 입자형 발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428A
KR20180064428A KR1020187011480A KR20187011480A KR20180064428A KR 20180064428 A KR20180064428 A KR 20180064428A KR 1020187011480 A KR1020187011480 A KR 1020187011480A KR 20187011480 A KR20187011480 A KR 20187011480A KR 20180064428 A KR20180064428 A KR 20180064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s
series
midsole
particulate material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1615B1 (ko
Inventor
케빈 더블유. 호퍼
스캇 씨. 홀트
제프리 엘. 존슨
카씨디 알. 레비
니콜라스 알. 롱
매튜 씨. 팔머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83872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06442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80064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7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outsole or external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43B13/127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the midsole being multi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6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tubes or pipes or tubular shaped cushion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5/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ynthetic rubber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powder or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Abstract

신발류 물품이, 갑피, 바닥창, 및 갑피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을 포함한다. 바닥창은, 갑피에 부착되며 그리고 지면-접촉 표면을 구비한다. 중창은,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그리고 중창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구비한다. 일련의 채널들은, 서로로부터 격리되며 그리고 각 채널은, 그 내부에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한다.

Description

부분적 제한을 동반하는 입자형 발포체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그의 개시들이 본 명세서에 그들 전체로서 참조로 통합되는, 2015년 9월 24일 출원된 번호 제62/222,822호, 2015년 9월 24일 출원된 번호 제62/222,873호, 2015년 9월 24일 출원된 번호 제62/222,851호, 2015년 9월 24일 출원된 번호 제62/222,842호, 2015년 9월 24일 출원된 번호 제62/222,832호, 및 2015년 9월 24일 출원된 번호 제62/222,816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개시는, 신발류 물품 내부에서 입자형 발포체의 이주(migration)를 제한하는 요소들과 일체화되는, 입자형 발포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들에 관한 것이다.
본 섹션은, 필수적인 종래기술이 아닌 본 개시에 관련되는, 배경 정보를 제공한다.
신발류 물품들은 통상적으로, 갑피 및 밑창 구조물을 포함한다. 갑피는, 밑창 구조물 상에서 발을 수용하고, 고정하며 그리고 지지하기 위한, 임의의 적당한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갑피는, 발 둘레에서의 갑피의 맞춤을 조절하기 위해, 레이스들, 또는 스트랩들, 또는 다른 잠금구들(fasteners)과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발의 바닥 표면에 인접한, 갑피의 바닥 부분이, 밑창 구조물에 부착된다.
밑창 구조물들은 일반적으로, 지표면과 갑피 사이에서 연장되는 층상 배열체를 포함한다. 밑창 구조물의 하나의 층은, 마모 저항성 및 지표면에 대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바닥창을 포함한다. 바닥창은, 내구성 및 마모-저항성을 부과할 뿐만 아니라, 지표면에 대한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고무 또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물의 다른 층이, 바닥창과 갑피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을 포함한다. 중창은,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하며 그리고 일반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면-반력을 감쇠시킴에 의해 발을 완충하기 위해,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되는, 중합체 발포체 재료로 형성된다. 중창은, 바닥창에 대향하는 일 측부 상의 바닥 표면 및 발의 바닥 표면의 윤곽에 합치하도록 윤곽 형성될 수 있는 반대편 측부 상의 발 받침부(footbed)를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물들은 또한, 갑피의 바닥 부분에 인접한 공동(void)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안락함-향상 안창(comfort-enhancing insole) 또는 깔창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중합체 발포체 재료들을 사용하는 중창들은 일반적으로, 걷기 이동 또는 달리기 이동 도중과 같이,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 탄력적으로 압축되는 단일 판상물(slab)로서 구성된다. 단일 판상물 중합체 발포체들은, 판상물이 점진적인 하중(gradient loads) 하에서 압축될 때의 소프트함 및 응답성에 관련되는 완충 특성을 균형 잡게 하는 것에 관한 강조를 동반하도록 설계된다. 너무 소프트한 완충을 제공하는 중합체 발포체들은, 반복된 압축 이후에, 지면-반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중창의 능력 및 압축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역으로, 너무 단단한 그리고 그에 따라 매우 응답성인 중합체 발포체들은, 소프트함을 희생하며, 그로 인해 안락함의 손실을 초래한다.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의 상이한 영역들이, 전체로서의 판상물의 소프트함 및 응답성을 균형 잡게 하기 위해, 밀도, 경도, 에너지 회수 및 재료 선택에 관해 변할 수 있지만, 소프트형으로부터 응답형으로 점진적인 방식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중합체 발포체의 단일 판상물을 생성하는 것은, 달성하기 어렵다.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가, 갑피, 바닥창, 및 중창을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공한다. 바닥창은, 갑피에 부착되며 그리고 지면-접촉 표면을 구비한다. 중창은, 갑피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그리고 중창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포함한다. 일련의 채널들은, 서로로부터 격리되며 그리고 각각, 그 내부에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도면들은, 선택된 구성들에 대한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는, 각각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구비하는 중창을 도시하는, 도 1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며;
도 3은, 각각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구비하는 중창을 도시하는, 도 1의 3-3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며;
도 5는, 각각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구비하는 중창을 도시하는, 도 4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고;
도 6은, 각각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구비하는 중창을 도시하는, 도 4의 6-6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8은,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구비하는 중창 및, 일련의 채널들 내부에 그리고 중창의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 사이에 상주하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도시하는, 도 7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며;
도 9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구비하는 중창 및, 일련의 채널들 내부에 그리고 중창의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 사이에 상주하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도시하는, 도 7의 9-9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며;
도 11은, 제1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제1 일련의 벽들 및 제2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제2 일련의 벽들을 구비하는 중창을 도시하는 도 10의 11-11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며;
도 13은,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기 위해 발 받침부의 바닥 표면 및 바닥창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일련의 벽들을 포함하는 중창을 도시하는, 도 12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고;
도 14는, 발 받침부의 바닥 표면 및 바닥창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중창의 일련의 채널들의 각각의 하나 내부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를 도시하는, 도 12의 14-14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6은, 바닥창의 내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중창의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의 각각의 하나 내부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를 도시하는, 도 15의 16-16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8은, 발 받침부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중창의 위쪽 일련의 채널들의 각각의 하나 내부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를 도시하는, 도 17의 18-18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0은, 각각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국부적 채널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포함하는 중창을 도시하는, 도 19의 신발류 물품의 분해도이며;
도 21은, 각각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국부적 채널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포함하는 중창을 도시하는, 도 19의 발 받침부의 사시 저면도이고;
도 22는, 각각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국부적 채널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포함하는 중창을 도시하는, 도 19의 22-22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23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4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각각 포함하는 중창 및 안창을 구비하는 밑창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 23의 24-24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25는,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6은,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각각 포함하는 중창 및 안창을 구비하는 밑창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 25의 26-26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27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8은,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각각 포함하는 중창 및 안창을 구비하는 밑창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 27의 28-28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29는,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30은,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각각 포함하는 중창 및 안창을 구비하는 밑창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 29의 30-30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31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32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각각 포함하는 안창 및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을 포함하는 중창을 구비하는 밑창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 31의 32-32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33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34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각각 포함하는 안창 및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을 포함하는 중창을 구비하는 밑창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 33의 34-34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35는,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36은,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각각 포함하는 안창 및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을 포함하는 중창을 구비하는 밑창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 35의 36-36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37은, 본 개시의 원리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38은,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각각 포함하는 안창 및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을 포함하는 중창을 구비하는 밑창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 37의 38-38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39는, 본 개시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40은, 각각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튜브들을 구비하는 중창을 도시하는, 도 39의 40-40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며;
도 41은, 본 개시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42는, 각각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튜브들을 구비하는 중창을 도시하는, 도 41의 42-42 선을 따라 취해진 평단면도이며;
도 43은, 본 개시에 따른 신발류 물품의 상부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44는, 각각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튜브들을 구비하는 중창을 도시하는, 도 43의 44-44 선을 따라 취해진 평단면도이다.
상응하는 참조 부호들이, 도면들 전체에 걸쳐 상응하는 부분들을 지시한다.
예시적 구성들이 지금부터,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 구성들은, 본 개시가 철저하도록, 그리고 본 개시의 범위를 당업자에게 완전하게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은, 본 개시의 구성들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구체적인 구성요소들, 장치들, 및 방법들에 대한 예들로서 기술된다.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사용될 필요가 없다는 것, 그러한 예시적 구성들이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 및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및 예시적인 구성들이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예시적 구성들을 설명할 목적이며 그리고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단수형 관사들 "부정관사" 및 "정관사"는, 문맥이 분명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를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될 수 있을 것이다. 용어들 "포함한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가지는"은, 포괄적이며 그리고 그에 따라 특징들, 단계들, 작동들, 요소들, 및/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구체화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단계들, 작동들, 요소들, 구성요소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 단계들, 프로세스들, 및 작동들은, 실행의 순서로서 구체적으로 식별되지 않는 한, 논의되거나 예시되는 특정 순서에 따른 그들의 실행을 반드시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부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단계들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놓이는, "에 맞물리는", "에 연결되는", "에 부착되는" 또는 "에 결합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요소 또는 층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놓일 수, 에 맞물릴 수, 에 연결될 수, 에 부착될 수 또는 에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개입하는 요소들 또는 층들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대조적으로, 요소가 다른 요소 또는 층 "상에 직접적으로" 놓이는, "에 직접적으로 맞물리는", "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에 직접적으로 부착되는" 또는 "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언급될 때, 개입하는 요소들 또는 층들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단어들은, (예를 들어, "사이에" 대 "직접적으로 사이에", "인접한" 대 "직접적으로 인접한", 등의) 유사한 형태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및/또는"은, 하나 이상의 연관된 열거된 품목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용어들, 제1, 제2, 제3 등은, 다양한 요소들, 구성요소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 구성요소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섹션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1", "제2" 및 다른 수치적 용어들과 같은 용어들은, 문맥에 의해 명백하게 지시되지 않는 한, 순서 또는 순번을 의미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하에 논의되는 제1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은, 예시적인 구성들의 교시로부터 벗어남 없이, 제2 요소, 구성요소,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양태가, 갑피, 바닥창, 및 중창을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공한다. 바닥창은, 갑피에 부착되며 그리고 지면-접촉 표면을 구비한다. 중창은, 갑피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그리고 중창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포함한다. 일련의 채널들은, 서로로부터 격리되며 그리고 각각, 그 내부에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한다.
본 개시의 구현예들은, 뒤따르는 선택적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입자형 소재는,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각 채널의 종방향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입자형 소재는, 벽들에 의해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채널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시나리오에서,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구비할 수 있는 가운데, 다른 시나리오에서,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채널들은 서로 중첩된다.
일부 예에서, 입자형 소재는,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한다. 발포체 구슬들은,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발포체 구슬들은,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구비할 수 있거나, 또는 발포체 구슬들은, 상이한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가, 갑피, 갑피에 부착되며 그리고 지면-접촉 표면을 구비하는 바닥창, 및 갑피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을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을 제공한다. 중창은,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구비한다. 일련의 채널들은,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며 그리고, 각 채널은, 그 내부에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한다.
이러한 양태는, 뒤따르는 선택적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입자형 소재는,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각 채널의 종방향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벽들은, 입자형 소재가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채널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일련의 채널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일련의 채널들 중의 한 쌍과 중첩된다.
일부 예에서, 입자형 소재는,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한다. 발포체 구슬들은,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발포체 구슬들은,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구비할 수 있거나, 또는 발포체 구슬들은, 상이한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서, 신발류 물품이, 갑피, 바닥창, 갑피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발 받침부, 및 갑피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을 포함한다. 바닥창은, 갑피에 부착되며 그리고, 지면-접촉 표면 및, 바닥창의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을 구비한다. 발 받침부는, 갑피에 대향하는 상부 표면 및 바닥창의 내측 표면에 대향하는 바닥 표면을 구비한다. 중창은, 바닥창의 내측 표면과 발 받침부의 바닥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섬유들을 포함한다. 섬유들은, 종방향 축을 따라 그리고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기 위해 협력한다.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가 제1 일련의 채널들 내부에 수용된다.
이러한 양태는, 뒤따르는 선택적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는, 제1 일련의 채널들 중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서, 섬유들 중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공극들을 통해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입자형 소재는,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제1 일련의 채널들의 각각의 종방향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된다. 섬유들은, 입자형 소재가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인접한 채널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들에서,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구비하는 가운데, 다른 예들에서,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구비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채널들은, 서로 중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은,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 사이에 배치되는 벽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들에서, 벽은, 입자형 소재가 그를 통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예에서, 입자형 소재는,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한다. 발포체 구슬들은,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발포체 구슬들은,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구비할 수 있거나, 또는 발포체 구슬들은, 상이한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가,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발 받침부와 바닥창 사이에 캐비티를 제공하는 것 및, 캐비티에, 캐비티 내부에 제1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제1 일련의 벽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일련의 채널들은, 바닥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중첩된다. 방법은 또한,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태는, 뒤따르는 선택적 특징들 중의 하나 이상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일련의 벽들은,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제1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한다. 선택적으로, 제1 일련의 벽들은,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제1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한다. 일부 예에서, 제1 일련의 벽들은, 제1 일련의 채널들을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중첩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한다.
일부 예에서, 제1 일련의 채널들은, 정해진 양의 발포체 구슬들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를 제공한다. 발포체 구슬들은, 일부 시나리오에서,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시나리오에서, 정해진 양의 발포체 구슬들은, 상이한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10)이,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은, 하나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을 것이다. 부분들은, 전족 부분(12), 중족 부분(14), 및 뒤꿈치 부분(16)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전족 부분(12)은, 발가락들 및 중족골들(metatarsal bones)을 발의 지골들(phalanx bones)과 연결하는 관절들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중족 부분(14)은, 발의 아치 영역에 대응할 수 있으며, 그리고 뒤꿈치 부분(16)은, 종골(calcaneus bone)을 포함하는 발의 뒤쪽 부분들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신발류(10)는, 신발류(10)의 반대편 측부들에 대응하며 그리고 부분들(12, 14, 16)을 통해 연장되는, 바깥쪽 측부 및 안쪽 측부(18, 20)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갑피(100)는, 밑창 구조물(200) 상에서의 지지를 위해 발을 수용하고 고정하는 내부 공동(102)을 한정하는, 내부 표면들을 포함한다. 뒤꿈치 부분(16) 내의 발목 개구부(104)가, 내부 공동(102)에 대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발목 개구부(104)는, 공동(102) 내부에 발을 고정하기 위해 발을 수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내부 공동(102)으로부터 그리고 내부 공동(102)으로의 발의 진입 및 진출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예에서, 하나 이상의 잠금구(106)가, 동시에 내부 공간으로부터의 발의 진입 및 진출을 수용하는 가운데, 발 둘레에서의 내부 공동(102)의 맞춤을 조절하기 위해 갑피(100)를 따라 연장된다. 갑피(100)는, 잠금구들(106)을 수용하는, 아일렛들(eyelets)과 같은 구멍들 및/또는 직물 루프 또는 메시 루프(mesh loop)와 같은 다른 상관 특징부들(other engagement features)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잠금구들(106)은, 레이스들, 스트랩들, 코드들, 후크-앤-루프(hook-and-loop), 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유형의 잠금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갑피(100)는, 내부 공동(102)과 잠금구들(106) 사이에서 연장되는, 텅 부분(110)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갑피(100)는, 내부 공동(102)을 형성하기 위해 바느질되거나 또는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들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갑피의 적당한 재료들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직물, 발포체, 가죽, 및 인조 가죽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재료들은, 내구성, 통기성, 마모-저항성, 유연성 및 안락함의 특성들을 부과하도록, 선택되고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밑창 구조물(200)은, 적층된 구성으로 배열되는 바닥창(210), 중창(250), 및 발 받침부(22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바닥창(210)은, 신발류 물품(10)의 사용 도중에 지표면과 접촉하고, 발 받침부(220)는 갑피(100)와 바닥창(210)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중창(250)은, 발 받침부(220)와 바닥창(210) 사이에 배치된다. 일부 예에서, 밑창 구조물(200)은 또한, 신발류(10)의 안락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의 발바닥 표면을 수용하도록 갑피(100)의 내부 공동(102) 내부에 상주할 수 있는, 안창 또는 깔창과 같은 부가적인 층들을 통합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과 발 받침부(220)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중창(250)이, 측벽(230)의 둘레에 의해 그리고 바닥창(210)과 발 받침부(220) 사이에 경계 결정되는, 캐비티(240)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적층된 구성의 바닥창(210), 중창(250), 및 발 받침부(220)는, 전족 부분(12), 중족 부분(14), 및 뒤꿈치 부분(16)을 통해 연장되는 밑창 구조물(200)에 대한 종방향 축(L)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210)은, 지면-접촉 표면(212) 및 반대편 내측 표면(214)을 포함한다. 바닥창(210)은, 갑피(100)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측벽(230)은, 바닥창(210)의 둘레로부터 연장되며 그리고 발 받침부(220) 또는 갑피(100)에 부착된다. 도 1의 예는, 전족 부분(12)의 끝단 근처에서 갑피(100)에 부착되는 바닥창(210)을 도시한다. 바닥창(210)은 일반적으로, 마모-저항성 및 지표면에 대한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바닥창(210)은, 내구성 및 마모-저항성을 부과할 뿐만 아니라, 지표면에 대한 마찰력을 향상시키는, 하나 이상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고무가 바닥창(21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발 받침부(220)는, 바닥 표면(222) 및, 발 받침부(220)의 바닥 표면(222)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상부 표면(224)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표면(224)은, 갑피(100)에 대향할 수 있으며, 그리고 바닥 표면(222)은, 바닥창(210)의 내측 표면(214)에 대향할 수 있을 것이다. 봉제선(226) 또는 접착제가, 발 받침부(220)를 갑피(100)에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표면(224)은, 발의 바닥 표면(예를 들어, 발바닥)의 윤곽에 합치하도록 윤곽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안창 또는 깔창이, 갑피(100)의 내부 공동(102)의 적어도 일부분 내부에서, 발 아래의 상부 표면(224) 상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바닥 표면(222)은, 그들 사이에 중창(250)을 수용하는 캐비티(240)를 한정하기 위해, 바닥창(210)의 내측 표면(214)과 대향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측벽(230)은, 캐비티(240)의 둘레뿐만 아니라, 발 받침부(220)의 바닥 표면(222)과 바닥창(210)의 내측 표면(214) 사이의 분리의 길이에 기초하게 되는 캐비티(240)의 깊이를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 이상의 중합체 발포체 재료가, 지면-반력을 감쇠시키기 위해,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 탄력적 압축성을 제공하도록 측벽(230)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중창(250)은, 캐비티(240) 내부에 상주할 수 있으며, 그리고 바닥 표면(252) 및 상부 표면(254)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표면(254)은, 발 받침부(220)의 바닥 표면(222)에 대향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바닥 표면(252)은, 바닥창(210)의 내측 표면(214)에 대향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표면(224)은, 발의 발바닥 표면의 윤곽에 합치하도록 윤곽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입자형 소재(350)가, 신발류(10)의 사용 도중에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중창(250) 내부에 상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창(250)은, 전족 부분(12), 중족 부분(14), 및 뒤꿈치 부분(16)을 통해 중창(250)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310)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300)을 포함한다. 일련의 벽들(300)은,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채널(310)을 서로로부터 격리하도록, 바닥 표면(252)과 상부 표면(254)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벽들(300)은, 바닥 표면(252) 및 상부 표면(254)을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벽들(300)은, 각 벽(300)의 길이를 따르는 별개의 위치들에서 봉제선 및/또는 접착제를 통해 바닥 표면(252) 및 상부 표면(254)에 고정되며, 또는 대안적으로, 각 벽(300)의 전체 길이를 따라 봉제되고 및/또는 접착제를 통해 고정된다.
일부 예에서, 각각의 채널(310)은,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밑창 구조물(200)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들(310)은 각각, 동일한 단면 형상을 구비할 수 있지만, 밑창 구조물(200)의 길이를 따르는 채널(310)의 위치에 의존하여 상이한 크기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족 부분(1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채널들(310)은, 뒤꿈치 부분(16)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채널들(310)보다 더 작을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되지 않지만, 채널들(310) 중의 일부는, 각각의 부분(12, 14, 16) 내부에서 크기에 관해 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중족 부분(14)은, 전족 부분(12) 내에 현재 도시되는 채널들(310)의 크기를 갖는 채널들(310)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고 추가로, 더 작은 채널들(310)을 수용하기 위해 중족 부분(14) 내에 현재 도시되는 것들보다 더 큰 채널들(310)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성에서, 각 채널(310)은, 그 내부에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하고, 그로 인해 일련의 채널들(310)이, 신발류(10)의 사용 도중에 중창(250) 내부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의 이주를 제한, 방지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제어하기 위해, 서로 소통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한다. 일련의 채널들(310)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300)은,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로 형성되는 통상적인 중창이 제공하는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리고 완충 특성들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내부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와 협력한다. 예를 들어, 에틸-비닐-아세테이트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 발포체 재료가, 지면-반력을 감쇠시키기 위해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 탄력적 압축성을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벽들(300)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입자형 소재(350)는,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 압축 시 소프트형 완충(soft-type cushioning)을 제공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을 갖는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입자형 소재(350)는,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입자형 소재(350)는, 상이한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한다.
발 받침부(220)는, 발 받침부(220)가 채널들(310) 내부에 배치되는 입자형 소재(350)에 합치하는 것을 허용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캐비티(240) 내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가, 밑창 구조물(200)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발의 바닥 표면의 윤곽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발 받침부(220)는, 입자형 소재(350)가 입자형 소재(350)의 하중 작용 도중에 발의 형상에 대략 합치하는 것을 허용하는, 가요성 판상물로서 작용한다.
도 2는, 각각 대응하는 양의 입자형 소재(350)(예를 들어, 발포체 구슬들)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310)을 한정하는 중창(250)의 일련의 벽들(300)을 도시하는, 신발류 물품(10)의 분해도를 제공한다. 각 채널(310)은,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중창(250)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축(Lc)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 구성은, 한 쌍의 인접한 벽(300)과 바닥 표면(252) 또는 상부 표면(254) 중의 하나에 의해 한정되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갖는 각각의 채널(310)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각 쌍의 인접한 채널들(310)은, 대응하는 쌍의 인접한 벽(300)과 바닥 표면(252) 또는 상부 표면(254) 중의 하나 사이에 한정되는 상응하는 제1 채널(310), 및 대응하는 쌍의 인접한 벽(300)과 바닥 표면(252) 또는 상부 표면(254) 중의 다른 하나 사이에 한정되는 상응하는 제2 채널(310)을 포함한다. 종방향 축(L)을 따라 연장되는 각 채널(310)의 길이의 일부분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채널들(310)의 길이의 일부분과 중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3-3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가, 각각 대응하는 양의 입자형 소재(350)(예를 들어, 발포체 구슬들)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310)을 한정하는 중창(250)의 일련의 벽들(300)을 도시한다. 도 3은, 대응하는 베이스부(312, 314) 및 대응하는 말단부(322, 324)를 구비하는, 삼각형 단면을 갖는 채널들(310)을 도시한다. 중창(250)의 길이를 따르는 채널들(310)의 배열은, 벽들(300)이 바닥 표면(252)으로부터 상부 표면(254)에서의 말단부(324)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감소하는 단면적을 갖는 채널들(310)을 한정하는 벽들(300)과, 벽들(300)이 상부 표면(254)으로부터 바닥 표면(252)에서의 말단부(322)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감소하는 단면적을 갖는 채널들(310)을 한정하는 벽들(300) 사이에서, 교대로 반복된다.
벽들(300)은, 각 채널(310)의 말단부(324)에서 중창(250)의 상부 표면(254)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각 채널(310)의 말단부(324)는, 신발류(10)의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에서 채널 종방향 축(Lc)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상부 표면(254)에 봉제될 수 있을 것이다. 봉제선은, 상부 표면(254)을 완전히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으며, 또는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의 별개의 위치들에 위치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벽들(300)은, 각 채널(310)의 말단부(322)에서 중창(250)의 바닥 표면(252)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각 채널(310)의 말단부(322)는, 신발류(10)의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에서 채널 종방향 축(Lc)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바닥 표면(252)에 봉제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표면(254)에서와 같이, 봉제선은, 바닥 표면(252)을 완전히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으며, 또는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의 별개의 위치들에 위치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의 예가 모두 균일한 형상(예를 들어, 삼각형 단면)을 갖는 채널들(310)을 한정하는 벽들(300)을 도시하는 가운데, 다른 구성들은, 다른 채널들(310)과 상이한 형상을 한정하는, 채널들(310) 중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각 부분(12, 14, 16)은, 다른 부분들(12, 14, 16)의 채널들(310)에 대해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 채널들(310)을 구비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부분들(12, 14, 16) 중의 하나가, 다른 부분들(12, 14, 16)의 채널들(310)에 대해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는, 채널들(310)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부분들(12, 14, 16) 중의 적어도 하나는, 특정 부분(12, 14, 16) 내부에 상이한 형상을 갖는 채널들(310)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중족 부분(14)은,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 채널들(310)과 혼합되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채널들(310)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하고 에워싸는 공동들을 한정하는, 채널들(310)을 도시한다. 일부 예에서, 벽들(300)은, 입자형 소재(350)가 채널들(310) 사이에서 중창(250)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각각의 채널(310)을 서로로부터 격리한다. 이러한 예들에서, 소정량들의 입자형 소재(350)가, 밑창 구조물(200)이 반복적으로 압축될 때 중창(250)의 다른 영역들로의 이동 또는 이주 없이, 대응하는 채널들(310)에 내포되어 유지된다. 선택적으로, 벽들(300)은, 입자형 소재(350)가,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중창(250)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각 채널(310)의 종방향 축(Lc)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입자형 소재(350)의 이동 및 이주를 제어하는 것에 부가하여, 채널들(310)의 좁아지고 감소하는 단면적은 또한, 완충이,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12, 14, 16)에서, 얼마나 응답형인지에 영향을 미치도록, 벽들(300)의 압축성을 제어한다. 그에 따라, 발 받침부(220)의 바닥 표면(222)은, 밑창 구조물(200)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바닥창(210)을 향해 병진이동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벽들(300) 및 입자형 소재(350)가, 압축되며 그리고 소프트형으로부터 응답형까지 완충을 제공하는 것을 야기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중창(250)의 응답성은, 벽들(300)의 재료 및 두께 양자 모두를 제어함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벽들(300)은,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발포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적으로, 직물과 같은 직조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벽들(300)을 직물 재료로 형성하는 것은, 중창(250)의 응답성을 감소시키며 그리고 중창(250)이 완충을 위해 주로 입자형 소재(350)에 의존하도록 야기한다. 역으로, 벽들(300)을 비교적 두꺼운 발포체 재료로 형성하는 것은, 벽들(300)이 중창(250)에 어느 정도의 강성을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로 인해 중창(250)의 응답성을 증가시키도록 그리고 완충을 위해 입자형 소재(350)에 적게 의존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10a)이,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a)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a)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a)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바닥창(210a), 중창(250a), 및 발 받침부(220a)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a)과 발 받침부(220a)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a)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중창(250a)이, 바닥창(210a)과 발 받침부(220a) 사이의 캐비티(240a)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210a)은, 바닥창(210a)의 지면-접촉 표면(212)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214a)을 포함한다. 발 받침부(220a)는, 발 받침부(220a)의 상부 표면(224a)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바닥 표면(222a)을 포함한다. 중창(250a)은, 중창(250a)이 캐비티(240a) 내부에 배치될 때 바닥창(210a)의 내측 표면(214a)에 의해 지지되는, 바닥 표면(252a)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물(200a)은, 갑피(100)의 내부 공동(102)의 적어도 일부분 내부에서 발 받침부(220a)의 상부 표면(224a) 상에 배치되는, 안창(228)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내측 표면(214a)에 대향하는 바닥 표면(222a)은, 캐비티(240a)를 한정하며, 그리고 측벽(230)은, 캐비티(240a)의 깊이를 한정하기 위해 바닥 표면(222a)과 내측 표면(214a)을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창(250a)은, 중창(250a)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310a)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300a)을 포함한다. 도 5는, 그들 사이에 일련의 채널들(310a)을 한정하기 위해 중창(250a)의 바닥 표면(252a)으로부터 대향하는 상부 표면(254a)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벽들(300a)을 도시하는, 신발류 물품(10a)의 분해도를 제공한다. 일부 예에서, 일련의 벽들(300a)은, 다각형 형상 채널들(310a)을 한정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그리고 중창(250a)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일련의 벽들(300a) 및 채널들(310a)은, 신발류(10a)의 사용 도중에,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채널(310a) 내부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의 이주를 제어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발 받침부(220a)는,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발 받침부(220a)를 제공하도록 도 1 내지 도 3의 발 받침부(220)를 형성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채널들(310a) 내부에 배치되는 입자형 소재(350)가, 밑창 구조물(200a)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발의 바닥 표면의 윤곽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벽들(300a)은, 밑창 구조물(200a)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지면-반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탄력적 압축성을 제공하도록, 도 1 내지 도 3의 일련의 벽들(300)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 발포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성에서, 각 채널(310a)은, 육각형 단면을 갖는다. 다른 구성에서, 채널들(310a)은, 원형 형상 단면, 또는 삼각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 단면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채널들(310a)은 서로로부터 격리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그들의 대응하는 채널들(310a) 내부에 소정량들의 입자형 소재(350)를 구속하도록 한다. 각 채널(310a) 내부에 상주하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으며, 또는 채널들(310a)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상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바닥 표면(252a)은 생략되며, 그리고 벽들(300a)은, 일련의 채널들(310a)을 한정하기 위해 바닥창(210a)의 내측 표면(214a)으로부터 연장된다.
도 6은, 일련의 채널들(310a)을 한정하기 위해 중창(250a)의 바닥 표면(252a)으로부터 중창(250a)의 상부 표면(254a)으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벽들(300a)을 도시하는, 도 4의 6-6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일부 구성에서, 중창(250a)은, 일련의 벽들(300)에 의해 바닥 표면(252a)으로부터 분리되며 그리고 각각의 채널(310a) 내부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를 에워싸는, 상부 표면(254a)을 구비한다. 각 채널(310a)을 에워싸는 상부 표면(254a)은, 볼록형일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 구성들에서,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각각의 채널(310a)을 실질적으로 채운다. 각 채널(310a) 내에 상주하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중창(250a)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그리고 또한 개별적으로 상부 표면(254a) 및 바닥 표면(252a)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각 채널(310a)의 종방향 축(Lc)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역으로, 벽들(300a)은, 채널들(310a) 내에 상주하는 소정량들의 입자형 소재(350)가, 중창(250a)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채널들(310a)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일련의 채널들(310a) 중의 하나 이상의 채널의 크기 및 용적이, 소프트형으로부터 응답형까지 상이한 레벨들의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상이하다. 그에 따라, 일련의 채널들(310a)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300a)은, 밑창 구조물(200a)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개별적으로,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12, 14, 16)의 각각에, 소프트형 완충 및 응답형 완충(responsive-type cushioning)의 조합을 제공하기 위해, 그 내부에 상주하는 소정량들의 입자형 소재(350)와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10b)이,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b)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b)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b)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바닥창(210b), 중창(250b), 및 발 받침부(220b)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b)과 발 받침부(220b)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b)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중창(250b)이, 바닥창(210b)과 발 받침부(220b) 사이의 캐비티(240b)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210b)은, 바닥창(210b)의 지면-접촉 표면(212)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214b)을 포함한다. 발 받침부(220b)는, 발 받침부(220b)의 상부 표면(224b)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바닥 표면(222b)을 포함한다. 중창(250b)은, 중창(250b)이 캐비티(240b) 내부에 배치될 때 바닥창(210b)의 내측 표면(214b)에 의해 지지되는, 바닥 표면(252b) 또는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중창(250b)은 또한, 바닥 표면(252b)에 대향하는 상부 표면(254b) 또는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중창(250b)의 상부 표면(254b)은 또한, 발 받침부(220b)의 바닥 표면(222b)에 대향하며 그리고 그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물(200b)은, 갑피(100)의 내부 공동(102)의 적어도 일부분 내부에서 발 받침부(220b)의 상부 표면(224b) 상에 배치되는, 안창(228)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내측 표면(214b)에 대향하는 바닥 표면(222b)은, 캐비티(240b)를 한정하며, 그리고 측벽(230)은, 캐비티(240b)의 깊이를 한정하기 위해 바닥 표면(222b)과 내측 표면(214b)을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창(250b)은, 중창(250b)의 전체 길이를 따라 그리고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310b)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300b)을 포함한다.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가, 중창(250b)의 일련의 채널들(310b) 내부에 그리고 개별적으로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252b, 254b) 사이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일련의 채널들(310b)을 한정하기 위해 중창(250b)의 바닥 표면(252b)과 상부 표면(254b) 사이에서 연장되는 일련의 벽들(300b)을 도시하는, 신발류 물품(10b)의 분해도를 제공한다. 일부 예에서, 일련의 벽들(300b)은, 중창(250b)의 바닥 표면(252b)에 부착되는 제1 단부들 및 상부 표면(254b)에 부착되는 제2 단부들을 포함한다. 다른 예들에서, 각 벽(300b)은, 바닥 표면(252b)에 부착되는 루프의 제1 부분(예를 들어, 정점들) 및 상부 표면(254b)에 부착되는 루프의 대향하는 제2 단부(예를 들어, 정점들)를 갖는 루프를 형성하기 위한 폐쇄 단부들을 구비한다. 일부 구성에서, 개별적으로 상부 표면과 바닥 표면(254b, 252b)은 생략되며, 그리고 섬유들이, 바닥창(210b)의 내측 표면(214b)과 발 받침부(220b)의 바닥 표면(222b) 사이에서 연장된다. 발 받침부(220b)는,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발 받침부(220b)를 제공하도록 도 1 내지 도 3의 발 받침부(220)를 형성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채널들(310b) 내부에 배치되는 입자형 소재(350)가, 밑창 구조물(200b)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발의 바닥 표면의 윤곽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각 벽(300b)은, 장력 하에서 섬유들로 형성되는 직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바닥 표면(252a)에 부착되는 제1 단부/부분을 상부 표면(254b)에 부착되는 제2 단부/부분으로부터 분리하는 거리가, 각 벽(300b)을 형성하는 섬유들이 장력 하에 놓이도록 야기한다. 장력 하에 놓이는 동안에, 섬유들은, 각각의 벽(300b)을 관통하는 공극들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일련의 벽들(300b)은, 일련의 채널들(310b)을 한정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그리고 중창(250b)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일련의 벽들(300b) 및 채널들(310b)은, 신발류(10b)의 사용 도중에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입자형 소재(35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그 내부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와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각 벽(300b)은, 일련의 채널들(310b) 중의 하나 이상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성에서, 각 채널(310b)은,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갖는다. 다른 구성에서, 각 채널(310b)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도 9는, 일련의 채널들(310b)을 한정하기 위해 중창(250b)의 바닥 표면(252b)과 상부 표면(254b) 사이에서 연장되는 일련의 벽들(300b)을 도시하는, 도 7의 9-9 선을 따라 취해진 개략적 단면도를 도시한다. 중창(250b) 내부에 상주하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개별적으로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252b, 254b) 사이의 공간의 용적을 실질적으로 채울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 언급된 바와 같이, 벽들(300b)을 형성하는 장력 하의 섬유들은, 벽들(300b)을 관통하는 공극들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일련의 채널들(310b) 중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서, 섬유들 중의 인접한 것들 사이의 공극들을 통해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역으로, 다른 예들에서, 공극들은, 입자형 소재(350)의 통과를 허용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크지 않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입자형 소재(350)가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인접한 채널들(310b)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벽들(300b)을 형성하는 섬유들이,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부가적으로, 각 채널(310b)은, 중창(250b)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종방향 축(Lc)을 한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각각의 일련의 채널(310b)의 종방향 축(Lc)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10c)이,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c)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c)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c)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바닥창(210c), 중창(250c), 및 발 받침부(220c)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c)과 발 받침부(220c)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c)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중창(250c)이, 바닥창(210c)과 발 받침부(220c) 사이의 캐비티(240c)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210c)은, 바닥창(210c)의 지면-접촉 표면(212)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214c)을 포함한다. 발 받침부(220c)는, 발 받침부(220c)의 상부 표면(224c)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바닥 표면(222c)을 포함한다. 중창(250c)은, 중창(250c)이 캐비티(240c) 내부에 배치될 때 바닥창(210c)의 내측 표면(214c)에 의해 지지되는, 바닥 표면(252c)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중창(250c)은 또한, 바닥 표면(252c)에 대향하는 상부 표면(254c)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중창(250c)의 상부 표면(254c)은 또한, 발 받침부(220c)의 바닥 표면(222c)에 대향하며 그리고 그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물(200c)은, 갑피(100)의 내부 공동(102)의 적어도 일부분 내부에서 발 받침부(220c)의 상부 표면(224c) 상에 배치되는, 안창(228)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내측 표면(214c)에 대향하는 바닥 표면(222c)은, 캐비티(240c)를 한정하며, 그리고 측벽(230)은, 캐비티(240c)의 깊이를 한정하기 위해 바닥 표면(222c)과 내측 표면(214c)을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창(250c)은, 중창(250c)의 전체 길이를 따라 그리고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일련의 채널들(310b)을 한정하는, 제1 일련의 벽들(300c) 및 제2 일련의 채널들(320)을 한정하는, 제2 일련의 벽들(302)을 포함한다. 제1 일련의 벽들(300c) 및 제1 일련의 채널들(310c)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상에 설명된 일련의 벽들(300b) 및 채널들(310b)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그리고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1은, 개별적으로 제1 일련의 채널들(310c) 및 제2 일련의 채널들(320)을 한정하기 위해 중창(250c)의 바닥 표면(252c)과 상부 표면(254c)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일련의 벽들(300c) 및 제2 일련의 벽들(302)을 도시하는, 도 10의 11-11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를 도시한다. 일부 구성에서, 제2 일련의 벽들(302)은 각각, 중창(250c)의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중창(250c)의 전체 길이를 따라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인접한 벽들(302)은,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연장되는 그리고 또한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12, 14, 16)을 통해 중창(250c)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일련의 채널들(320)을 한정하는 쌍들을 형성한다. 제2 일련의 벽들(302)은, 입자형 소재(350)의 임의의 통과를 제한하는 직물과 같은, 직조된 섬유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제2 일련의 벽들(302)은, 인접한 채널들(320) 사이에서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의 입자형 소재(350)의 임의의 통과를 마찬가지로 제한하는, 발포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제2 일련의 채널들(320) 중의 각각 하나가 제1 일련의 벽들(300c) 중의 3개를 둘러싸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각각의 제2 일련의 벽(302) 사이의 간격은, 더 많은 개수의 벽들(300c)을 둘러싸기 위해 증가하거나, 또는 더 적은 개수의 벽들(300c)을 둘러싸기 위해 감소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일련의 채널들(320)은 각각,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발 받침부(220c)는,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발 받침부(220c)를 제공하도록 도 1 내지 도 3의 발 받침부(220)를 형성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채널들(310c) 내부에 그리고 제2 일련의 벽들(302) 사이에 배치되는 입자형 소재(350)가, 밑창 구조물(200c)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발의 바닥 표면의 윤곽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11을 계속 참조하면, 중창(250c)은, 캐비티(240c)를 아래쪽 캐비티 부분(392) 및 위쪽 캐비티 부분(394)으로 분할하는 제3 벽(39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제3 벽(390)은, 개별적으로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12, 14, 16)을 통해 그리고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중창(250c)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일부 예에서, 제3 벽(390)은, 중창(250c)의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되며 그리고 제2 일련의 벽들(302) 중의 하나에서 종결된다. 아래쪽 캐비티 부분(392)은, 중창(250c)의 바닥 표면(252c)과 제3 벽(390)에 의해 한정되는 가운데, 위쪽 캐비티 부분(394)은, 제3 벽(390)과 중창(250c)의 상부 표면(254c)에 의해 한정된다. 입자형 소재(350)는, 개별적으로 아래쪽 캐비티 부분(392) 및 위쪽 캐비티 부분(394) 양자 모두의 내부에, 동일한 양 또는 상이한 양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10d)이,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d)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d)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d)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바닥창(210d), 중창(250d)(도 14), 및 발 받침부(220d)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d)과 발 받침부(220d)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d)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중창(250d)이, 바닥창(210d)과 발 받침부(220d) 사이의 캐비티(240d)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210d)은, 바닥창(210d)의 지면-접촉 표면(212)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214d)을 포함한다. 발 받침부(220d)는, 발 받침부(220d)의 상부 표면(224d)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바닥 표면(222d)을 포함한다.
일부 구성에서, 일련의 벽들(300d)이, 중창(250d)(도 14)을 한정하기 위해 발 받침부(220d)의 바닥 표면(222d) 및 바닥창(210d)의 내측 표면(214d)으로부터, 캐비티(240d) 내로 돌출한다. 일련의 벽들(300d)은, 개별적으로,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12, 14, 16) 사이에서 중창(250d)의 전체 길이를 따라 밑창 구조물(200d)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310d)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가, 일련의 채널들(310d)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일부 예에서,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채널들(310d)(예를 들어, 공동들)을 실질적으로 채운다. 일부 예에서, 일련의 벽들(300d)은, 신발류(10d)의 사용 도중에,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채널들(310d) 내부에 상주하는 소정량들의 입자형 소재(350)의 이주를 방지하기 위해, 캐비티(240d) 내로 연장된다. 벽들(300d)(예를 들어, 돌기들) 및 캐비티(240d) 내에 상주하는 채널들(310d)은, 채널들(310d) 내에 상주하는 소정량들의 입자형 소재(350)(예를 들어, 발포체 구슬들)와 함께, 통상적인 중창이 제공하는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리고 완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에틸-비닐-아세테이트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 발포체 재료가, 밑창 구조물(200d)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하에서 지면-반력을 감쇠시키기 위해 탄력적 압축성을 제공하기 위한, 벽들(300d)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입자형 소재(350)는, 압축 하에 놓일 때 소프트형 완충을 제공하기 위한,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발 받침부(220d)는,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발 받침부(220d)를 제공하도록 도 1 내지 도 3의 발 받침부(220)를 형성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채널들(310d) 내부에 배치되는 입자형 소재(350)가, 밑창 구조물(200d)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발의 바닥 표면의 윤곽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일련의 채널들(310d)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300d)은,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을 한정하는 위쪽 일련의 벽들(302d) 및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을 한정하는 아래쪽 일련의 벽들(304d)을 포함한다. 도 13은, 발 받침부(220d)의 바닥 표면(222d)으로부터 바닥창(210d)의 내측 표면(214d)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을 한정하는 위쪽 일련의 벽들(302d), 및 바닥창(210d)의 내측 표면(214d)으로부터 발 받침부(220d)의 바닥 표면(222d)을 향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을 한정하는 아래쪽 일련의 벽들(304d)을 도시하는, 도 12의 신발류 물품(10d)의 분해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예를 들어, 발포체 구슬들)는, 각각의 위쪽 채널들(320d) 및 아래쪽 채널들(340d) 내부에 상주하며, 그리고 각각의 채널들(320d, 340d)은, 중창(250d)의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그리고 또한 중창(250d)의 전체 길이를 따라, 서로로부터 균등하게 이격된다. 일부 예에서, 위쪽 벽들(302d) 및 아래쪽 벽들(304d)은, 중창(250d)의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그리고 또한 중창(250d)의 전체 길이를 따라, 바닥 표면(222d) 및 내측 표면(214d) 중의 개별적인 것들을 따라 반복되는 열들로 배열된다. 다른 예들에서, 위쪽 벽들(302d) 및 아래쪽 벽들(304d)은, 번갈아 반복되는 열로 배열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2의 14-14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가, 발 받침부(220d)의 바닥 표면(222d)으로부터 바닥창(210d)의 내측 표면(214d)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쪽 일련의 벽들(302d) 및 채널들(320d), 그리고 바닥창(210d)의 내측 표면(214d)으로부터 발 받침부(220d)의 바닥 표면(222d)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래쪽 일련의 벽들(304d) 및 채널들(340d)을 도시한다. 각 채널(320d, 340d)은, 개별적인 벽들(302d, 304d)에 의해 대응하는 채널(320d, 340d) 밖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내포한다. 도 14의 예에서, 화살표(1404)는, 바닥창(210d)으로부터 발 받침부(220d)를 향한 방향을 지시하며, 그리고 화살표(1402)는, 발 받침부(220d)로부터 바닥창(210d)을 향한 반대 방향을 지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벽들(302d, 304d)은, 벽들(302d)의 정점들이 벽들(304d)의 계곡들 내부에 수용되며 그리고 벽들(304d)의 정점들이 벽들(302d)의 계곡들 내부에 수용되도록, 서로 중첩된다.
화살표들(1402, 1404)에 의해 지시되는 방향들은, 밑창 구조물(200d)(예를 들어, 중창(250d), 바닥창(210d), 및 발 받침부(220d))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각각의 채널들(310d)(예를 들어, 위쪽 채널들(320d) 및 아래쪽 채널들(340d))은, 중창(250d)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그리고 방향 화살표들(1402, 1404)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종방향 축(Lc)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각각의 채널(310d) 내에 상주하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채널 종방향 축(Lc)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된다. 그러나, 각각의 채널(310d) 내부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는, 벽들(300d)에 의해, 중창(250d)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채널들(310d)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10e)이,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e)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e)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e)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바닥창(210e), 중창(250e), 및 발 받침부(220e)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e)과 발 받침부(220e)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e)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중창(250e)이, 바닥창(210e)과 발 받침부(220e) 사이의 캐비티(240e)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210e)은, 바닥창(210e)의 지면-접촉 표면(212)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214e)을 포함한다. 발 받침부(220e)는, 발 받침부(220e)의 상부 표면(224e)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바닥 표면(222e)을 포함한다.
일부 구성에서, 일련의 벽들(300e)이, 중창(250e)을 한정하기 위해 발 받침부(220e)의 바닥 표면(222e) 및 바닥창(210e)의 내측 표면(214e)으로부터, 캐비티(240e) 내로 돌출한다. 일련의 벽들(300e)은,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12, 14, 16) 사이에서 중창(250e)의 전체 길이를 따라 중창(250e)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310e)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가, 일련의 채널들(310e)의 일부분(예를 들어, 수용 부분)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가운데, 일련의 채널들(310e)의 나머지 부분(예를 들어, 비-수용 부분)은, 어떤 입자형 소재도 수용하지 않는다.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채널들(310e)(예를 들어, 공동들)의 수용 부분을 실질적으로 채운다. 일부 예에서, 일련의 벽들(300e)은, 신발류(10e)의 사용 도중에,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채널들(310d)의 수용 부분 내부에 상주하는 소정량들의 입자형 소재(350)의 이주를 방지하기 위해, 캐비티(240e) 내로 연장된다. 벽들(300e)(예를 들어, 돌기들) 및 캐비티(240e) 내에 상주하는 채널들(310e)은, 채널들(310e)의 수용 부분 내에 상주하는 소정량들의 입자형 소재(350)(예를 들어, 발포체 구슬들)와 함께, 통상적인 중창이 제공하는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리고 완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에틸-비닐-아세테이트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 발포체 재료가, 밑창 구조물(200e)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지면-반력을 감쇠시키기 위해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 탄력적 압축성을 제공하기 위한, 벽들(300e)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입자형 소재(350)는, 압축 하에 놓일 때 소프트형 완충을 제공하기 위한,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발 받침부(220e)는,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발 받침부(220e)를 제공하도록 도 1 내지 도 3의 발 받침부(220)를 형성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채널들(310e) 내부에 배치되는 입자형 소재(350)가, 벽들(300e)을 통해 밑창 구조물(200e)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발의 바닥 표면의 윤곽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일련의 채널들(310e)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300e)은, 신발류 물품(10d)에 대해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은 유사한 방식으로 서로 중첩되는,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e)을 한정하는 위쪽 일련의 벽들(302e) 및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e)을 한정하는 아래쪽 일련의 벽들(304e)을 포함한다. 도 16은, 발 받침부(220e)의 바닥 표면(222e)으로부터 바닥창(210e)의 내측 표면(214e)을 향한 화살표(140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쪽 일련의 벽들(302e) 및 채널들(320e)을 도시하는, 도 15의 16-16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를 제공한다. 이 도면은 또한, 바닥창(210e)의 내측 표면(214e)으로부터 발 받침부(220e)의 바닥 표면(222e)을 향한 화살표(1404)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래쪽 일련의 벽들(304e) 및 채널들(340e)을 도시한다.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e)은, 각각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하는 채널들(310e)의 수용 부분을 지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6의 예에서의 아래쪽 일련의 벽들(304e) 및 채널들(340e)은, 도 12 내지 도 14의 예에서 이상에 설명되는 아래쪽 일련의 벽들(304d) 및 채널들(340d)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각각의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e) 내에 상주하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채널 종방향 축(Lc)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될 수 있는 가운데, 동시에 입자형 소재(350)는, 아래쪽 일련의 벽들(304e)에 의해, 채널들(340e) 사이에서 중창(250e)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e)은,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하지 않는 채널들(310e)의 비-수용 부분을 지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의 예에서 이상에 설명되는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과 대조적으로, 도 15 및 도 16의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e)은, 입자형 소재(350)가 없는 공동들을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 채널들(320e)은, 발포체 재료로 실질적으로 채워지며, 그리고 그에 따라,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e)과 중첩되는 실질적으로 단일 발포체 몸체를 형성하도록 서로 협력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10f)이,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f)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f)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f)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바닥창(210f), 중창(250f), 및 발 받침부(220f)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f)과 발 받침부(220f)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f)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중창(250f)이, 바닥창(210f)과 발 받침부(220f) 사이의 캐비티(240f)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210f)은, 바닥창(210f)의 지면-접촉 표면(212)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214f)을 포함한다. 발 받침부(220f)는, 발 받침부(220f)의 상부 표면(224f)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바닥 표면(222f)을 포함한다.
일부 구성에서, 일련의 벽들(300f)이, 중창(250f)을 한정하기 위해 발 받침부(220f)의 바닥 표면(222f) 및 바닥창(210f)의 내측 표면(214f)으로부터, 캐비티(240f) 내로 돌출한다. 일련의 벽들(300f)은,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12, 14, 16) 사이에서 중창(250f)의 전체 길이를 따라 중창(250f)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310f)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가, 일련의 채널들(310f)의 일부분(예를 들어, 수용 부분)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가운데, 일련의 채널들(310f)의 나머지 부분(예를 들어, 비-수용 부분)은, 어떤 입자형 소재(350)도 수용하지 않는다.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채널들(310f)(예를 들어, 공동들)의 수용 부분을 실질적으로 채운다. 일부 예에서, 캐비티(240f) 내로 연장되는 일련의 벽들(300f)은, 신발류(10f)의 사용 도중에,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채널들(310f)의 수용 부분 내부에 상주하는 소정량들의 입자형 소재(350)의 이주를 방지한다. 발 받침부(220f)는,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발 받침부(220f)를 제공하도록 도 1 내지 도 3의 발 받침부(220)를 형성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채널들(310f) 내부에 배치되는 입자형 소재(350)가, 밑창 구조물(200f)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발의 바닥 표면의 윤곽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벽들(300f)(예를 들어, 돌기들) 및 캐비티(240f) 내에 상주하는 채널들(310f)은, 채널들(310f)의 수용 부분 내에 상주하는 소정량들의 입자형 소재(350)(예를 들어, 발포체 구슬들)와 함께, 통상적인 중창이 제공하는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리고 완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에틸-비닐-아세테이트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 발포체 재료가, 밑창 구조물(200f)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지면-반력을 감쇠시키기 위해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 탄력적 압축성을 제공하기 위한, 벽들(300f)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입자형 소재(350)는, 압축 하에 놓일 때 소프트형 완충을 제공하기 위한,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일련의 채널들(310f)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300f)은, 신발류 물품(10f)에 대해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은 유사한 방식으로 서로 중첩되는,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f)을 한정하는 위쪽 일련의 벽들(302f) 및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f)을 한정하는 아래쪽 일련의 벽들(304f)을 포함한다. 도 18은, 발 받침부(220f)의 바닥 표면(222f)으로부터 바닥창(210f)의 내측 표면(214f)을 향한 화살표(1402)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쪽 일련의 벽들(302f) 및 채널들(320f), 그리고 바닥창(210f)의 내측 표면(214f)으로부터 발 받침부(220f)의 바닥 표면(222f)을 향한 화살표(1404)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래쪽 일련의 벽들(304f) 및 채널들(340f)을 도시하는, 도 17의 18-18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를 제공한다. 도 15 및 도 16의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e)과 대조적으로, 도 18의 예시적 신발류(10f)는, 각각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하는 채널들(310f)의 수용 부분을 나타내는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f)을 도시한다. 그에 따라, 도 18의 예에서의 위쪽 일련의 벽들(302f) 및 채널들(320f)은, 도 12 내지 도 14의 예에서 이상에 설명되는 위쪽 일련의 벽들(302d) 및 채널들(320d)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각각의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f) 내에 상주하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채널 종방향 축(Lc)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될 수 있는 가운데, 동시에 입자형 소재(350)는, 위쪽 일련의 벽들(302f)에 의해, 채널들(340f) 사이에서 중창(250f)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더불어, 도 12 내지 도 14의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 그리고 도 15 및 도 16의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e)과 대조적으로, 도 18의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f)은, 채널들(310e)의 비-수용 부분을 지시하며, 그리고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하지 않는다. 대신에, 아래쪽 채널들(340f)은, 발포체 재료로 실질적으로 채워지며, 그리고 그에 따라,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f)과 중첩되는 실질적으로 단일 발포체 몸체를 형성하도록 서로 협력한다.
도 12 내지 도 18의 예시적 구성들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밑창 구조물(200d-f)이 조립될 때,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을 한정하는 위쪽 일련의 벽들(302d-f) 및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을 한정하는 아래쪽 일련의 벽들(304d-f)은, 개별적으로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 및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이 밑창 구조물(200d-f)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바닥 표면(222d-f) 및 내측 표면(214d-f) 중의 개별적인 것들 상에 배열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일련의 채널들(310d-f) 중의 적어도 하나는, 일련의 채널들(310d-f) 중의 한 쌍과 중첩된다. 예를 들어, 바닥 표면(222d-f)으로부터 캐비티(240d-f) 내로 연장되는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 중의 적어도 하나는, 내측 표면(214d-f)으로부터 캐비티(240d-f) 내로 연장되는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의 중의 대응하는 쌍과 중첩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내측 표면(214d-f)으로부터 캐비티(240d-f) 내로 연장되는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 중의 적어도 하나는, 바닥 표면(222d-f)으로부터 캐비티(240d-f) 내로 연장되는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의 중의 대응하는 쌍과 중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4, 도 16 및 도 18의 예시적 단면도들은, 캐비티(240d-f) 내로 연장되며 그리고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의 대응하는 쌍들 사이에 배치되는, 각각의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을 도시한다. 유사하게, 각각의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은, 캐비티(240d-f) 내로 연장되는 것으로 그리고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의 대응하는 쌍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따라서, 위쪽 일련의 벽들(302d-f) 및 아래쪽 일련의 벽들(304d-f)은,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 및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이, 밑창 구조물(200d-f)이 조립될 때, 중창(250d-f)을 한정하기 위해 상호잠금되도록 또는 중첩되도록,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4, 도 16 및 도 18을 계속 참조하면, 각각의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은, 대응하는 베이스부(312d-f) 및 대응하는 말단부(322d-f)를 구비하며, 그리고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은, 대응하는 베이스부(314d-f) 및 대응하는 라운드형 말단부(324d-f)를 구비한다.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의 각 채널은, 채널들(320d-f)이 베이스부(312d-f)로부터 말단부(322d-f)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감소하는 단면적을 구비한다(예를 들어, 채널들(320d-f)의 단면적이 화살표(1402)의 방향으로 감소).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의 각 채널은, 채널들(340d-f)이 베이스부(314d-f)로부터 말단부(324d-f)를 향해 연장됨에 따라 감소하는 단면적을 구비한다(예를 들어, 채널들(340d-f)의 단면적이 화살표(1404)의 방향으로 감소). 일부 예에서,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 및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은, 인접한 채널들(320d-f, 340d-f) 사이에 정점들 및 계곡들을 한정하도록 베이스부들(312d-f, 322d-f)과 말단부들(322d-f, 324d-f) 사이에서 연장되는, 일정하게 좁아지는 외측 표면을 구비한다. 예시적 구성들에서,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을 한정하는 각각의 위쪽 일련의 벽들(302d-f)의 좁아지는 외측 표면은, 바닥창(210d-f)의 내측 표면(214d-f)에서 종결되며 그리고 2개의 인접한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에 의해 한정되는 계곡 사이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을 한정하는 각각의 아래쪽 일련의 벽들(304d-f)의 좁아지는 외측 표면은, 발 받침부(220d-f)의 바닥 표면(222d-f)에서 종결되며 그리고 2개의 인접한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에 의해 한정되는 계곡 사이에 배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바닥창(210d-f)의 내측 표면(214d-f)과 말단부들(324d-f) 사이의 거리가,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의 높이를 한정한다. 마찬가지로, 발 받침부(220d-f)의 바닥 표면(222d-f)과 말단부들(322d-f) 사이의 거리가,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의 높이를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의 높이는, 말단부들(324d-f)과 대응하는 베이스부들(314d-f)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으며, 그리고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의 높이는, 말단부들(322d-f)과 대응하는 베이스부들(312d-f)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성에서,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 및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 중의 적어도 하나의 높이는, 상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4, 도 16 및 도 18의 예들은, 전족 부분(12)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되는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 및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의 높이들보다 더 높은 높이들을 갖는, 중창(250d-f)의 뒤꿈치 부분(16)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되는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 및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을 도시한다. 채널들(320d-f, 340d-f)의 높이(및 좁아짐)는, 입자형 소재(350)를 내포하거나 저장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뒤꿈치 부분(16)은, 전족 부분(12)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되는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 및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과 비교하여 더 높은 높이들을 갖는, 뒤꿈치 부분(16)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되는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f) 및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f)로 인해, 전족 부분(12) 내에서 보다 더 많은 양의 입자형 소재(350)를 허용한다.
도 14, 도 16 및 도 18의 예시적 구성들은, 각각의,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 및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도 14),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e)(도 16), 및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f)(도 18) 내에 상주하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도시한다. 캐비티(240d-f) 내로 연장되는 채널들(320d, 320f, 340d, 340e)의 배열 및 기하 형상(예를 들어, 높이, 좁아짐, 단면적)은, 채널들(320d, 320f, 340d, 340e)의 종방향 축(Lc)을 따르는 입자형 소재(350)의 약간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가운데, 벽들(302d, 302f, 304d, 304e)은, 채널들(320d, 320f, 340d, 340e) 사이에서의 중창(250d-f)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의 입자형 소재(350)의 이주 또는 이동을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입자형 소재(350)의 이주를 제어하는 것에 부가하여, 위쪽 일련의 벽들(302d-f) 및 아래쪽 일련의 벽들(304d-f)의 배열 및 기하 형상(예를 들어, 높이, 좁아짐, 단면적)은 또한, 밑창 구조물(200d-f)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완충이,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12, 14, 16)에서, 얼마나 응답형인지에 영향을 미치도록, 벽들(302d-f, 304d-f)의 압축성을 제어한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10g)이,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g)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g)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g)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바닥창(210g), 중창(250g), 및 발 받침부(220g)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g)과 발 받침부(220g)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g)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중창(250g)이, 바닥창(210g)과 발 받침부(220g) 사이의 캐비티(240g)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210g)은, 바닥창(210g)의 지면-접촉 표면(212)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214g)을 포함한다. 발 받침부(220g)는, 발 받침부(220g)의 상부 표면(224g)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바닥 표면(222g)을 포함한다.
일부 구성에서, 일련의 벽들(300g)이, 중창(250g)의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12, 14, 16) 사이에서 그리고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국부적 부분을 따라 중창(250g)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국부적 채널(310g)을 한정하도록 발 받침부(220g)의 바닥 표면(222g)으로부터 캐비티(240g) 내로 돌출한다. 캐비티(240g) 내로 연장되는 각 국부적 채널(310g)은,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할 수 있는 공동을 한정하며, 그리고 일부 예에서,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각 국부적 채널(310g)의 공동을 실질적으로 채운다. 따라서, 일련의 벽들(300g)은, 가요성일 수 있으며 그리고,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하고 저장하는 가방형 구조 또는 주머지 구조를 나타내는, 국부적 채널들(310g)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통상적인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1900)이, 밑창 구조물(200g)이 조립될 때, 입자형 소재(350)를 내포하는 하나 이상의 국부적 채널(310g)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캐비티(240g) 내부의 모든 빈 공간을 점유하도록 크기 결정되고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 받침부(220g)와 바닥창(210g) 사이의 캐비티(240g) 내부에 상주하는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1900) 및 하나 이상의 국부적 채널(310g)은, 중창(250g)을 한정한다. 일부 예에서, 캐비티(240d) 내로 연장되며 그리고 입자형 소재(350)를 내포하는 하나 이상의 국부적 채널(310g)은, 신발류(10g)의 사용 도중에,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국부적 채널(310g) 내부에 상주하는 소정량들의 입자형 소재(350)의 이주를 방지하기 제한한다. 각 국부적 채널(310g) 내에 상주하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예를 들어, 발포체 구슬들)는,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1900)과 함께, 통상적인 중창이 제공하는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리고 완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1900)은, 밑창 구조물(200g)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지면-반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탄력적 압축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입자형 소재(350)는, 다른 한편, 압축 하에 놓일 때, 중창(250g)의 하나 이상의 국부적 영역에 소프트형 완충을 제공하기 위한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발 받침부(220g)는,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발 받침부(220g)를 제공하도록 도 1 내지 도 3의 발 받침부(220)를 형성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국부적 채널들(310g) 내부에 배치되는 입자형 소재(350)가, 밑창 구조물(200g)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발의 바닥 표면의 윤곽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일련의 국부적 채널들(310g)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300g)은, 발가락 채널(320g)을 한정하는 제1 일련의 벽들(302g), 바깥쪽-전족 채널(340g)을 한정하는 제2 일련의 벽들(304g), 및 안쪽-전족 채널(330g)을 한정하는 제3 일련의 벽들(306g)을 포함한다. 도 20은, 발가락 채널(320g)을 한정하는 제1 일련의 벽들(302g)및 바깥쪽-전족 채널(340g)을 한정하는 제2 일련의 벽들(304g)을 도시하는, 도 19의 신발류 물품(10g)의 분해도를 제공한다. 도 21은, 발가락 채널(320g) 및 바깥쪽-전족 채널(340g)에 부가하여, 안쪽-전족 채널(330g)을 한정하는 제3 일련의 벽들(306g)을 또한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10g)을 도시하는, 도 20의 발 받침부(220g)의 사시 저면도를 제공한다. 도 21은 또한,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1900)을 수용하기 위한 영역을 한정하는 은선들(hidden lines)을 도시한다.
국부적 채널들(320g, 330g, 340g)은, 발 받침부(220g)의 바닥 표면(222g)으로부터 연장되며, 그리고 각각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한다. 국부적 채널들(320g, 340g, 330g)을 한정하는 벽들(302g, 304g, 306g)은, 소정량들의 입자형 소재(350)가 국부적 채널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바닥창(210g)은, 밑창 구조물(200g)이 조립될 때, 발 받침부(220g)로부터 캐비티(240g) 내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발가락 채널(320g), 바깥쪽-전족 채널(340g), 및 안쪽-전족 채널(330g)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크기 결정되고, 성형되며 그리고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함몰부(2010)를 구비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도 19의 22-22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가, 중창(250g)을 한정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1900)과 함께 캐비티(240g) 내로 연장되는, 국부적 발가락 채널(320g) 및 바깥쪽-전족 채널(340g)을 도시한다.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1900) 및 하나 이상의 입자형 소재-내포 국부적 채널들(320g, 340g, 330g)은, 밑창 구조물(200g)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응답형 완충 및 소프트형 완충의 조합을 제공하기 위해 협력한다. 예를 들어,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1900)은, 응답형 완충을 제공하며, 그리고 국부적 채널들(320g, 330g, 340g) 내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는, 소프트형 완충을 제공한다. 예들은, 발의 발가락들에 대응하는 전족 부분(12)의 영역을 점유하는 발가락 채널(320g)을 보여준다. 바깥쪽-전족 채널(340g)은, 바깥쪽 측부(18)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되는 전족 부분(12)의 영역을 점유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하중이 전족 부분(12)의 바깥쪽 측부(18) 근처에 부과될 때, 소프트형 완충의 레벨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안쪽-전족 채널(330g)은, 안쪽 측부(20)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되는 전족 부분(12)의 영역을 점유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하중이 전족 부분(12)의 안쪽 측부(20) 근처에 부과될 때, 소프트형 완충의 레벨이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예시적 구성들은, 요구되는 완충 특성들을 달성하기 위해 국부적 채널들(320g, 330g, 340g)의 임의의 조합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구성들이, 뒤꿈치 부분(16)과 같은 캐비티의 다른 영역들에 위치하게 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국부적 채널(310g)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10h)이,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h)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h)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h)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바닥창(210h), 발 받침부(220h), 및 도 1 내지 도 3의 중창(250)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h)과 발 받침부(220h)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h)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중창(250)이, 바닥창(210h)과 발 받침부(220h) 사이의 캐비티(240h)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210h)은, 바닥창(210h)의 지면-접촉 표면(212)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214h)을 포함한다. 발 받침부(220h)는, 발 받침부(220h)의 상부 표면(224h)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바닥 표면(222h)을 포함한다. 밑창 구조물(200h)은 또한, 갑피(100)의 내부 공동(102)의 적어도 일부분 내부에서 발 받침부(220h)의 상부 표면(224h) 상에 배치되는, 안창(228h)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안창(228h)은, 바닥 표면(232h) 및 반대편 상부 표면(234h)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 표면(232h)은, 발 받침부(220h)의 상부 표면(224h) 상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바닥창(210h), 중창(250), 발 받침부(220h), 및 안창(228h)은, 밑창 구조물(200h)의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12, 14, 16)에서 연장되는 그리고 또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층된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입자형 소재(350)가, 신발류(10h)의 사용 도중에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안창(228h) 내부에 상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안창(228h)은, 전족 부분(12), 중족 부분(14), 및 뒤꿈치 부분(16)을 통해 안창(228h)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410)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400)을 포함한다. 안창(228h)의 각 채널(410)은,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중창(250)은, 각각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310)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300)을 포함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도 23의 24-24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가, 각각 대응하는 양의 입자형 소재(350)(예를 들어, 발포체 구슬들)를 수용하는, 안창(228h)의 일련의 채널들(410)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400) 및 중창(250)의 일련의 채널들(310)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300)을 도시한다. 일련의 벽들(400)은, 각각의 채널(410)을 서로로부터 격리하도록, 바닥 표면(232h) 및 상부 표면(234h)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중창 채널들(310)과 유사하게, 각각의 안창 채널(410)은,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밑창 구조물(200h)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성에서, 각 채널(410)은, 그 내부에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하고, 그로 인해 일련의 채널들(410)이, 신발류(10h)의 사용 도중에 안창(228h) 내부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의 이주를 제한, 방지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제어하기 위해, 서로 소통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한다.
일련의 채널들(410)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400)은, 통상적인 안창이 제공하는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리고 완충 특성들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내부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와 협력한다. 예를 들어, 에틸-비닐-아세테이트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 발포체 재료가, 지면-반력을 감쇠시키기 위해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 탄력적 압축성을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벽들(400)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입자형 소재(350)는, 밑창 구조물(200h)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의 압축 시 소프트형 완충을 제공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을 갖는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입자형 소재(350)는,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입자형 소재(350)는, 상이한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한다.
예시적 구성에서, 각 안창 채널(41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이상의 예들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은, 중창 채널들(310)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예를 들어, 각 채널(410)은, 밑창 구조물(200h)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축(Lc)을 한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각 채널(410)은, 인접한 벽들(400)의 쌍 및 바닥 표면(232h) 또는 상부 표면(234h) 중의 하나에 의해 한정되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안창(228h)의 바닥 표면(232h)으로부터 연장되는 각 채널(410)은, 안창(228h)의 상부 표면(234h)으로부터 연장되는 인접한 채널들(410)의 대응하는 쌍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안창(228h)의 상부 표면(234h)으로부터 연장되는 각 채널(410)은, 안창(228h)의 바닥 표면(232h)으로부터 연장되는 인접한 채널들(410)의 대응하는 쌍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각각 입자형 소재(350)를 내포하는 안창(228h) 및 중창(250)은, 밑창 구조물(200h)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응답형 완충 및 소프트형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발 받침부(220h) 및 안창(228h)은,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발 받침부(220h) 및 안창(228h)을 제공하도록 도 1 내지 도 3의 발 받침부(220)를 형성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채널들(310, 410) 내부에 배치되는 입자형 소재(350)가, 밑창 구조물(200h)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발의 바닥 표면의 윤곽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10i)이,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i)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i)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i)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바닥창(210i), 발 받침부(220i), 및 도 4 내지 도 6의 중창(250a)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i)과 발 받침부(220i)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i)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중창(250a)이, 바닥창(210i)과 발 받침부(220i) 사이의 캐비티(240i)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210i)은, 바닥창(210i)의 지면-접촉 표면(212)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214i)을 포함한다. 발 받침부(220i)는, 발 받침부(220i)의 상부 표면(224i)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바닥 표면(222i)을 포함한다. 밑창 구조물(200i)은 또한, 갑피(100)의 내부 공동(102)의 적어도 일부분 내부에서 발 아래의 발 받침부(220i)의 상부 표면(224i) 상에 배치되는, 안창(228i)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안창(228i)은, 바닥 표면(232i) 및 반대편 상부 표면(234i)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 표면(232i)은, 발 받침부(220i)의 상부 표면(224i) 상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바닥창(210i), 중창(250a), 발 받침부(220i), 및 안창(228i)은, 밑창 구조물(200i)의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12, 14, 16)에서 연장되는 그리고 또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층된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입자형 소재(350)가, 신발류(10i)의 사용 도중에 발을 위한 소프트형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안창(228i) 내부에 상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안창(228i)은, 전족 부분(12), 중족 부분(14), 및 뒤꿈치 부분(16)을 통해 안창(228i)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410i)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400i)을 포함한다. 안창(228i)의 각 채널(410i)은,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중창(250a)은, 도 4 내지 도 6의 예들에 관해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310a)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300a)을 포함한다.
도 26을 참조하면, 도 25의 26-26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가, 각각 대응하는 양의 입자형 소재(350)(예를 들어, 발포체 구슬들)를 수용하는, 안창(228i) 내부에 일련의 채널들(410i)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400i) 및 중창(250a)의 일련의 채널들(310a)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300a)을 도시한다. 일련의 벽들(400i)은, 각각의 채널(410i)을 서로로부터 격리하도록, 바닥 표면(232i) 및 상부 표면(234i)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중창 벽들(300a)과 유사하게, 각각의 안창 벽들(400i)은, 안창(228i)의 전체 길이를 따라 다각형 형상 채널들(410i)을 한정하기 위해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밑창 구조물(200i)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성에서, 각 채널(410i)은, 그 내부에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하고, 그로 인해 일련의 채널들(410i)이, 신발류(10i)의 사용 도중에 안창(228i) 내부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의 이주를 제한, 방지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제어하기 위해, 서로 소통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한다.
채널들(410i)은 서로로부터 격리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그들의 대응하는 채널들(410i) 내부에 소정량들의 입자형 소재(350)를 구속하도록 한다. 각 채널(410i) 내부에 상주하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실질적으로 일정할 수 있으며, 또는 채널들(410i)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상이할 수 있을 것이다. 일련의 채널들(410i)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400i)은, 통상적인 안창이 제공하는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리고 완충 특성들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내부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와 협력한다. 예를 들어, 에틸-비닐-아세테이트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 발포체 재료가, 밑창 구조물(200i)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지면-반력을 감쇠시키기 위해 탄력적 압축성을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벽들(400i)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입자형 소재(350)는,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의 압축 시 소프트형 완충을 제공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을 갖는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 구성에서, 각 안창 채널(410i)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는 이상의 예들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은, 중창 채널들(310a)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예를 들어, 각 채널(410i)은, 밑창 구조물(200i)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축(Lc)을 한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각 채널(410i)은, 인접한 벽들(400i)의 쌍에 의해 그리고 바닥 표면(232i) 및 상부 표면(234i) 사이에 한정되는, 실질적으로 육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다른 구성에서, 각 채널(410i)은, 원형 형상 단면, 또는 삼각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 단면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상부 표면(234i)은, 각각의 채널들(410i) 내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를 에워쌀 수 있으며, 그리고 입자형 소재(350)는, 각각의 채널들(410i)을 실질적으로 채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부 표면(234i)은, 둘러싸이는 각 채널(410i)에서 볼록하다. 각 채널(410i) 내에 상주하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채널 종방향 축(Lc)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역으로, 벽들(400i)은, 채널들(410i) 내에 상주하는 소정량들의 입자형 소재(350)가, 중창(250a)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채널들(410i)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을 것이다. 각각 그들의 대응하는 채널들(410i, 310a) 내부에 입자형 소재(350)를 내포하는 안창(228i) 및 중창(250a)은, 밑창 구조물(200i)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응답형 완충 및 소프트형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발 받침부(220i) 및 안창(228i)은,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발 받침부(220i) 및 안창(228i)을 제공하도록 도 1 내지 도 3의 발 받침부(220)를 형성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채널들(310a, 410i) 내부에 배치되는 입자형 소재(350)가, 밑창 구조물(200i)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발의 바닥 표면의 윤곽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10j)이,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j)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j)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j)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바닥창(210j), 발 받침부(220j), 및 도 7 내지 도 9의 중창(250b)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j)과 발 받침부(220j)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j)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중창(250b)이, 바닥창(210j)과 발 받침부(220j) 사이의 캐비티(240j)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210j)은, 바닥창(210j)의 지면-접촉 표면(212)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214j)을 포함한다. 발 받침부(220j)는, 발 받침부(220j)의 상부 표면(224j)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바닥 표면(222j)을 포함한다. 밑창 구조물(200j)은 또한, 갑피(100)의 내부 공동(102)의 적어도 일부분 내부에서 발 아래의 발 받침부(220j)의 상부 표면(224j) 상에 배치되는, 안창(228j)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안창(228j)은, 바닥 표면(232j) 및 반대편 상부 표면(234j)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 표면(232j)은, 발 받침부(220j)의 상부 표면(224j) 상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바닥창(210j), 중창(250b), 발 받침부(220j), 및 안창(228j)은, 밑창 구조물(200j)의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12, 14, 16)에서 연장되는 그리고 또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층된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입자형 소재(350)가, 신발류(10j)의 사용 도중에 발을 위한 소프트형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안창(228j) 내부에 상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안창(228j)은, 전족 부분(12), 중족 부분(14), 및 뒤꿈치 부분(16)을 통해 안창(228j)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410j)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400j)을 포함한다.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가, 안창(228j)의 일련의 채널들(410j) 내부에 그리고 개별적으로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232j, 234j) 사이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가, 도 7 내지 도 9의 예들에 관해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중창(250b)의 일련의 채널들(310b) 내부에 그리고 개별적으로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252b, 254b) 사이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도 27의 28-28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가, 안창(228j)의 일련의 채널들(410j)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400j) 및 중창(250b)의 일련의 채널들(310b)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300b)을 도시한다. 일련의 벽들(400j)은, 각각의 채널들(410j)을 한정하기 위해 안창(228j)의 바닥 표면(232j)과 상부 표면(234j)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중창 벽들(300b)과 유사하게, 각 벽(400j)은, 각각의 벽들(400j)을 관통하는 공극들을 한정하는, 장력 하의 섬유들로 형성되는 직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각 벽(400j)은, 바닥 표면(232j)에 부착되는 제1 단부 또는 부분 및 상부 표면(234j)에 부착되는 제2 단부 또는 부분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232j, 234j)을 분리하는 거리가, 각 벽(400j)을 형성하는 섬유들이 장력 하에 놓이도록 야기한다. 도 28은, 각각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갖는 일련의 채널들(410j) 중의 2개를 형성하는 각 벽(400j)을 도시한다. 다른 구성에서, 각 채널(410j)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 구성에서, 각 안창 채널(410j)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는 이상의 예들에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은, 중창 채널들(310b)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예를 들어, 안창(228j) 내에 상주하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개별적으로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232j, 234j) 사이의 공간의 용적을 실질적으로 채울 수 있을 것이며, 그리고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섬유들 중의 인접한 것들 사이의 공극들을 통해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일련의 채널들(410j) 중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역으로, 일부 예들에서, 공극들은, 입자형 소재(350)의 통과를 허용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크지 않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벽들(400j)을 형성하는 섬유들이, 입자형 소재(350)가 인접한 채널들(410j)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허용한다. 부가적으로, 각 채널(410j)은, 안창(228j)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축(Lc)을 한정할 수 있으며, 그리고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각각의 일련의 채널들(410j)의 종방향 축(Lc)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신발류(10j)의 사용 도중에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입자형 소재(35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일련의 벽들(300b) 및 채널들(310b)은, 중창(250b)의, 개별적으로,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252b, 254b) 사이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와 협력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일련의 벽들(400j) 및 채널들(410j)은, 안창(228j)의, 개별적으로,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232j, 234j) 사이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와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발 받침부(220j) 및 안창(228j)(예를 들어, 상부 표면(234j) 및 바닥 표면(232j))은,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발 받침부(220j) 및 안창(228j)을 제공하도록 도 1 내지 도 3의 발 받침부(220)를 형성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채널들(310b, 410j) 내부에 배치되는 입자형 소재(350)가, 밑창 구조물(200j)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발의 바닥 표면의 윤곽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10k)이,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k)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k)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k)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바닥창(210k), 발 받침부(220k), 및 도 12 내지 도 14의 중창(250d)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k)과 발 받침부(220k)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k)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중창(250d)이, 바닥창(210k)과 발 받침부(220k) 사이의 캐비티(240k)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210k)은, 바닥창(210k)의 지면-접촉 표면(212)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214k)을 포함한다. 발 받침부(220k)는, 발 받침부(220k)의 상부 표면(224k)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바닥 표면(222k)을 포함한다. 밑창 구조물(200k)은 또한, 갑피(100)의 내부 공동(102)의 적어도 일부분 내부에서 발 받침부(220k)의 상부 표면(224k) 상에 배치되는, 안창(228k)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안창(228k)은, 바닥 표면(232k) 및 반대편 상부 표면(234k)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 표면(232k)은, 발 받침부(220k)의 상부 표면(224k) 상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바닥창(210k), 중창(250d), 발 받침부(220k), 및 안창(228k)은, 밑창 구조물(200k)의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12, 14, 16)에서 연장되는 그리고 또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층된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입자형 소재(350)가, 신발류(10k)의 사용 도중에 발을 위한 소프트형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안창(228k) 내부에 상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안창(228k)은, 전족 부분(12), 중족 부분(14), 및 뒤꿈치 부분(16)을 통해 안창(228k)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410j)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400k)을 포함한다.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가, 안창(228k)의 일련의 채널들(410k) 내부에 그리고 개별적으로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232k, 234k) 사이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부가적으로, 중창(250d)은, 도 12 내지 도 14의 예들에 관해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을 한정하는 위쪽 일련의 벽들(302d) 및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을 한정하는 아래쪽 일련의 벽들(304d)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가, 각각의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 및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 내부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른 구성에서,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는,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예를 들어, 도 18의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f)) 또는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예를 들어, 도 16의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e)) 중의 하나 내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도 29의 30-30 선을 따라 취해진 개략적 단면도가, 안창(228k)의 일련의 채널들(410k)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400k) 및 중창(250d)의 일련의 채널들(310d)(예를 들어, 개별적으로 위쪽 일련의 채널들(320d) 및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340d))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300d)(예를 들어, 개별적으로 위쪽 및 아래쪽 일련의 벽들(302d, 304d))을 도시한다. 도 11의 중창(250c)의 제2 일련의 채널들(320)을 한정하는 제2 일련의 벽들(302)과 유사하게, 일련의 벽들(400k)은, 각각의 일련의 채널들(410k)을 한정하도록 안창(228k)의 바닥 표면(232k)과 상부 표면(234k)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련의 벽들(400k)은 각각, 안창(228k)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그리고 안창(228k)의 전체 길이를 따라 서로로부터 이격될 수 있을 것이다. 인접한 벽들(400k)은,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연장되는 그리고 또한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12, 14, 16)을 통해 안창(228k)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410k) 중의 대응하는 것들을 한정하는 쌍들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입자형 소재(350)의 임의의 통과를 제한하는 섬유들이, 각각의 벽들(400k)을 형성한다. 발 받침부(220k) 및 안창(228k)(예를 들어, 상부 표면(234k) 및 바닥 표면(232k))은,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발 받침부(220k) 및 안창(228k)을 제공하도록 도 1 내지 도 3의 발 받침부(220)를 형성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채널들(310d, 410k) 내부에 배치되는 입자형 소재(350)가, 밑창 구조물(200k)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발의 바닥 표면의 윤곽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시적 구성에서, 각각의 일련의 채널들(410k)은, 안창(228k)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종방향 축(Lc)을 한정하며, 그리고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각각의 일련의 채널들(410k)의 종방향 축(Lc)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일련의 벽들(400k)은,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가, 일련의 채널들(410k) 중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서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그에 따라, 각각의 일련의 채널들(410k)은, 이웃하는 채널들(410k)로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는, 대응하는 양의 입자형 소재(350)를 내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10l)이,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l)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l)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l)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바닥창(210l), 발 받침부(220l), 및 중창(250l)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l)과 발 받침부(220l)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l)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중창(250l)이, 바닥창(210l)과 발 받침부(220l) 사이의 캐비티(240l)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210l)은, 바닥창(210l)의 지면-접촉 표면(212)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214l)을 포함한다. 발 받침부(220l)는, 발 받침부(220l)의 상부 표면(224l)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바닥 표면(222l)을 포함한다. 밑창 구조물(200l)은 또한, 갑피(100)의 내부 공동(102)의 적어도 일부분 내부에서 발 아래의 발 받침부(220l)의 상부 표면(224l) 상에 배치되는, 안창(228l)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창(250l)은, 캐비티(240l) 내부에 배치되며 그리고 캐비티(240l)를 실질적으로 채우는, 통상적인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중창(250l)은, 지면-반력을 감쇠시키기 위한 응답형 완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안창(228l)은, 바닥 표면(232l) 및 반대편 상부 표면(234l)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 표면(232l)은, 발 받침부(220l)의 상부 표면(224l) 상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바닥창(210l), 중창(250l), 발 받침부(220l), 및 안창(228l)은, 밑창 구조물(200l)의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12, 14, 16)에서 연장되는 그리고 또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층된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성에서, 일련의 벽들(400l)이,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12, 14, 16) 사이에서 안창(228l)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410l)을 한정하도록, 안창(228l)의 바닥 표면(232l) 및 상부 표면(234l)으로부터 돌출한다.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가, 일련의 채널들(410l)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일부 예에서,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채널들(410l)(예를 들어, 공동들)을 실질적으로 채운다. 일부 예에서, 바닥 표면(232l)과 상부 표면(234l) 사이에서 연장되는 일련의 벽들(400l)은, 신발류(10l)의 사용 도중에,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채널들(410l) 내부에 상주하는 소정량들의 입자형 소재(350)의 이주를 방지한다. 벽들(400l)(예를 들어, 돌기들) 및 채널들(410l)은, 채널들(410l) 내에 상주하는 소정량들의 입자형 소재(350)(예를 들어, 발포체 구슬들)와 함께, 통상적인 안창이 제공하는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리고 완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에틸-비닐-아세테이트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하나 이상의 중합체 발포체 재료가, 밑창 구조물(200l)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지면-반력을 감쇠시키기 위해 가해지는 하중 하에서 탄력적 압축성을 제공하기 위한, 벽들(400l)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입자형 소재(350)는, 압축 하에 놓일 때 소프트형 완충을 제공하기 위한,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안창(228l)(예를 들어, 상부 표면(234l) 및 바닥 표면(232l))은,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안창(228l)을 제공하도록 도 1 내지 도 3의 발 받침부(220)를 형성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채널들(410l) 내부에 배치되는 입자형 소재(350)가, 밑창 구조물(200l)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발의 바닥 표면의 윤곽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일련의 채널들(410l)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400l)은, 위쪽 일련의 채널들(420)을 한정하는 위쪽 일련의 벽들(402) 및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440)을 한정하는 아래쪽 일련의 벽들(404)을 포함한다. 도 32는, 안창(228l)의 바닥 표면(232l)으로부터 상부 표면(234l)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440)을 한정하는 아래쪽 일련의 벽들(404), 안창(228l)의 상부 표면(234l)으로부터 바닥 표면(232l)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쪽 일련의 채널들(420)을 한정하는 위쪽 일련의 벽들(402), 및 발 받침부(220l)와 바닥창(210l) 사이에 상주하는 중창(250l)을 도시하는, 도 31의 32-32 선을 따라 취해진 개략적 단면도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각각의 위쪽 및 아래쪽 벽들(402, 404) 그리고 각각의 채널들(420, 440)은, 안창(228l)의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그리고 또한 안창(228l)의 전체 길이를 따라, 서로로부터 동등하게 이격된다. 일부 예에서, 위쪽 벽들(402) 및 아래쪽 벽들(404)은, 안창(228l)의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그리고 또한 안창(228l)의 전체 길이를 따라, 상부 표면(234l) 및 바닥 표면(232l) 중의 개별적인 것들을 따라 반복되는 열들로 배열된다. 다른 예들에서, 위쪽 벽들(402) 및 아래쪽 벽들(404)은, 번갈아 반복되는 열로 배열된다.
예시적 구성에서, 각 채널(420, 440)은, 개별적인 벽들(402, 404)에 의해 대응하는 채널(420, 440) 밖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내포한다. 더불어, 각각의 채널들(410l)(예를 들어, 위쪽 채널들(420) 및 아래쪽 채널들(440))은, 안창(228l)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축(Lc)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각각의 채널(310d) 내에 상주하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는, 채널 종방향 축(Lc)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된다. 그러나, 각각의 채널들(410l) 내부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는, 벽들(400l)에 의해, 안창(228l)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채널들(410l)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일부 예에서,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가 단지, 위쪽 일련의 채널들(420) 또는 아래쪽 일련의 채널들(440) 내에만 상주한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10m)이,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m)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m)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m)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도 31 및 도 32의 바닥창(210l), 발 받침부(220l), 및 중창(250l)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l)과 발 받침부(220l)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l)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중창(250l)이, 바닥창(210l)과 발 받침부(220l) 사이의 캐비티(240l)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물(200m)은 또한, 갑피(100)의 내부 공동(102)의 적어도 일부분 내부에서 발 받침부(220l)의 상부 표면(224l) 상에 배치되는, 도 25 및 도 26의 안창(228i)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안창(228i)은, 도 25 및 도 26의 예들에 관해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410i)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400i)을 포함한다. 따라서, 바닥창(210l), 발 받침부(220l), 중창(250l), 및 안창(228i)은, 밑창 구조물(200m)을 한정하기 위해 적층된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도 33의 34-34 선을 따라 취해진 개략적 단면도가, 대응하는 양의 입자형 소재(350)(예를 들어, 발포체 구슬들)를 수용하는 안창(228i) 내부의 일련의 채널들(410i)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400i) 및 발 받침부(220l)와 바닥창(210l) 사이에 상주하는 중창(250l)을 도시한다. 각각의 채널들(410i) 내부에 입자형 소재(350)를 내포하는 안창(228i)은, 밑창 구조물(200m)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소프트형부터 응답형까지의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을 포함하는 중창(250l)과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10n)이,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n)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n)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n)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도 31 및 도 32의 바닥창(210l), 발 받침부(220l), 및 중창(250l)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l)과 발 받침부(220l)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l)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중창(250l)이, 바닥창(210l)과 발 받침부(220l) 사이의 캐비티(240l)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물(200n)은 또한, 갑피(100)의 내부 공동(102)의 적어도 일부분 내부에서 발 받침부(220l)의 상부 표면(224l) 상에 배치되는, 도 27 및 도 28의 안창(228j)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안창(228j)은, 장력 하에 놓일 때, 일련의 채널들(410j)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400j)을 포함한다,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가, 도 27 및 도 28의 예들에 관해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안창(228j)의 일련의 채널들(410j) 내부에 그리고 개별적으로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232j, 234j) 사이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6을 참조하면, 도 35의 36-36 선을 따라 취해진 개략적 단면도가, 안창(228j) 내부의 일련의 채널들(410j)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400j) 및 발 받침부(220l)와 바닥창(210l) 사이에 상주하는 중창(250l)을 도시한다. 예시적 구성은, 안창(228j)의 일련의 채널들(410j) 내부에 그리고 개별적으로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232j, 234j) 사이에 상주하는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도시한다. 따라서, 입자형 소재(350)를 내포하는 안창(228j)은, 밑창 구조물(200n)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소프트형부터 응답형까지의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을 포함하는 중창(250l)과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신발류 물품(10p)이,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p)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p)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p)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도 31 및 도 32의 바닥창(210l), 발 받침부(220l), 및 중창(250l)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l)과 발 받침부(220l)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l)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중창(250l)이, 바닥창(210l)과 발 받침부(220l) 사이의 캐비티(240l)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밑창 구조물(200p)은 또한, 갑피(100)의 내부 공동(102)의 적어도 일부분 내부에서 발 받침부(220l)의 상부 표면(224l) 상에 배치되는, 도 29 및 도 30의 안창(228k)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안창(228k)은, 도 29 및 도 30의 예들에 관해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 소정량의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410k)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400k)을 포함한다. 따라서, 바닥창(210l), 발 받침부(220l), 중창(250l), 및 안창(228k)은, 밑창 구조물(200p)을 한정하기 위해 적층된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도 37의 38-38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가, 각각 대응하는 양의 입자형 소재(350)(예를 들어, 발포체 구슬들)를 수용하는 안창(228k) 내부의 일련의 채널들(410k)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400k) 및 발 받침부(220l)와 바닥창(210l) 사이에 상주하는 중창(250l)을 도시한다. 각각의 채널들(410k) 내부에 입자형 소재(350)를 내포하는 안창(228k)은, 밑창 구조물(200p)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소프트형부터 응답형까지의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중합체 발포체의 판상물을 포함하는 중창(250l)과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3 내지 도 28은, 안창들 및 중창 구성요소들의 상이한 조합들이 밑창 구조물들의 하중 작용 도중에 요구되는 완충 특성을 부과하기 위해 사용되는, 복수의 예시적 밑창 구조물 구성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도 23 내지 도 28의 예시적 밑창 구조물 구성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로 인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안창 및 중창 구성요소들의 상이한 조합들이, 본 개시의 예시적 도면들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는 다양한 다른 밑창 구조물 구성들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q)이, 제공되며 그리고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q)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q)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q)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바닥창(210q), 중창(250q), 및 발 받침부(220q)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q)과 발 받침부(220q)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q)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그로 인해 중창(250q)이, 바닥창(210q)과 발 받침부(220q) 사이의 캐비티(240q)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210q)은, 바닥창(210q)의 지면-접촉 표면(212)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214q)을 포함한다. 발 받침부(220q)는, 발 받침부(220q)의 상부 표면(224q)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바닥 표면(222q)을 포함한다.
중창(250q)은, 캐비티(240q) 내부에 상주할 수 있으며, 그리고 바닥 표면(252q) 및 상부 표면(254q)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표면(254q)은, 발 받침부(220q)의 바닥 표면(222q)에 대향하는 기재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바닥 표면(252q)은, 바닥창(210q)의 내측 표면(214q)에 대향하는 기재 상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표면(254q)은, 발의 발바닥 표면의 윤곽에 합치하도록 윤곽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예를 들어 직물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입자형 소재(350)가, 신발류(10q)의 사용 도중에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중창(250q) 내부에 상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창(250q)은, 바깥쪽 측부(18)와 안쪽 측부(20) 사이에서 그리고 전족 부분(12), 중족 부분(14), 및 뒤꿈치 부분(16)을 통해 중창(250q)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382)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 또는 튜브들(380)을 포함한다. 일련의 튜브들(380)은,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채널(382)을 서로로부터 격리하도록, 바닥 표면(252q)과 상부 표면(254q)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튜브들(380)은, 서로의 상부에 적층되며 그리고, 서로에 부착되거나 또는 부착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튜브들(380)은 바닥 표면(252q) 및 상부 표면(254q)을 한정하는 기재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튜브들(380)은 대안적으로, 튜브들(380)이 발 받침부(220q)의 바닥 표면(222q)과 바닥창(210q)의 내측 표면(214q) 사이에서 연장되며 그리고 발 받침부(220q)의 바닥 표면(222q) 및 바닥창(210q)의 내측 표면(214q)과 접촉 상태에 놓이도록, 중창(250q)의 깊이를 한정할 수 있다.
도 40은, 각각 대응하는 양의 입자형 소재(350)(예를 들어, 발포체 구슬들)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382)을 한정하는 중창(250q)의 일련의 벽들 또는 튜브들(380)을 도시하는, 도 39의 40-40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를 제공한다. 각 채널(382)은,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중창(250q)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축(Lc)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 구성은, 대응하는 튜브(380)의 내부 벽들에 의해 한정되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것으로서, 각각의 채널(382)을 도시한다. 튜브들(380)은, 적층된 구성으로 배열되며 그리고 함께 봉제되거나 또는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튜브들(380)은,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튜브들(380)이 지면-반력에 응답하여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한다. 각 튜브(380)는, 밑창 구조물(200q)의 상이한 영역들에 요구되는 완충 특성들을 부과하기 위해, 동일한 또는 상이한 단면적을 갖는 채널(382)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0은, 튜브들(380)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전족 부분(12) 근처의 중창(250q)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공극들(213)을 도시한다. 이러한 공극들(213)은, 지면 접촉 표면(212)이 뒤꿈치 부분(16)으로부터 전족 부분(12)으로의 맞물림을 위해 구를 때 유동적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튜브들(380)이 밑창 구조물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가볍게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중창(250q)은, 어떠한 공극들(213)도 내포하지 않으며, 그리고 (인접한 튜브들(380) 사이의 간극 공간들에 의해 한정되는 공극들을 제외하고) 튜브들(380)에 의해 전체적으로 채워진다.
도 41 및 도 42를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r)이, 제공되며 그리고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r)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r)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r)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바닥창(210r), 중창(250r), 및 발 받침부(220r)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r)과 발 받침부(220r)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r)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그로 인해 중창(250r)이, 바닥창(210r)과 발 받침부(220r) 사이의 캐비티(240r)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210r)은, 바닥창(210r)의 지면-접촉 표면(212)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214r)을 포함한다. 발 받침부(220r)는, 발 받침부(220r)의 상부 표면(224r)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바닥 표면(222r)을 포함한다.
중창(250r)은, 캐비티(240r) 내부에 상주할 수 있으며 그리고, 도 39 및 도 40의 바닥 표면 및 상부 표면(252q, 254q)에 대해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개별적인 기재들과 연관되는 바닥 표면 및 상부 표면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입자형 소재(350)가, 신발류(10r)의 사용 도중에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중창(250r) 내부에 상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창(250r)은, 전족 부분(12), 중족 부분(14), 및 뒤꿈치 부분(16)을 통해 중창(250r)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382r)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 또는 튜브들(380r)을 포함한다. 일련의 튜브들(380r)은, 종방향 축(L)에 대해 가로질러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채널(382r)을 서로로부터 격리하도록, 중창(250r)의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달리 표현하면, 각 튜브(380r)는,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종방향 축(L)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지향된다. 역으로, 도 39 및 도 40의 튜브들(380)은,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요컨대, 중창(250r)은, 튜브들(380r)의 방향을 제외하고, 중창(250q)과 동일하다.
도 42는, 각각 대응하는 양의 입자형 소재(350)(예를 들어, 발포체 구슬들)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382r)을 한정하는 중창(250r)의 일련의 벽들 또는 튜브들(380r)을 도시하는, 도 41의 42-42 선을 따라 취해진 평단면도를 제공한다. 각 채널(382r)은,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중창(250r)의 종방향 축(L)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축(Lc)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적 구성에서, 각각의 채널(382r)은, 튜브들(380)에 대해 이상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대응하는 튜브(380r)의 내부 벽들에 의해 한정되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튜브들(380r)은, 적층된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함께 봉제되거나 또는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튜브들(380r)은,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튜브들(380r)이 지면-반력에 응답하여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한다. 각 튜브(380r)는, 밑창 구조물(200r)의 상이한 영역들에 요구되는 완충 특성들을 부과하기 위해, 동일한 또는 상이한 단면적을 갖는 채널(382r)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3 및 도 44를 참조하면, 신발류 물품(10s)이, 제공되며 그리고 갑피(100) 및 갑피(100)에 부착되는 밑창 구조물(200s)을 포함한다. 신발류 물품(10s)에 대한 신발류 물품(10)과 연관되는 구성요소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한 실질적인 유사성의 관점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들이,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하에서 그리고 도면에서, 문자 확장자를 포함하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수정된 그러한 구성요소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사용된다.
밑창 구조물(200s)은, 적층 구성으로 배열되는 바닥창(210s), 중창(250s), 및 발 받침부(220s)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측벽(230)은, 바닥창(210s)과 발 받침부(220s)를 그들 사이에 캐비티(240s)를 한정하도록 분리하여, 그로 인해 중창(250s)이, 바닥창(210s)과 발 받침부(220s) 사이의 캐비티(240s) 내부에 상주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바닥창(210s)은, 바닥창(210s)의 지면-접촉 표면(212)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214s)을 포함한다. 발 받침부(220s)는, 발 받침부(220s)의 상부 표면(224s)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바닥 표면(222s)을 포함한다.
중창(250s)은, 캐비티(240s) 내부에 상주할 수 있으며 그리고, 도 39 및 도 40의 바닥 표면 및 상부 표면(252q, 254q)에 대해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기재와 연관되는 바닥 표면 및 상부 표면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입자형 소재(350)가, 신발류(10s)의 사용 도중에 발을 위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중창(250s) 내부에 상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중창(250s)은, 전족 부분(12), 중족 부분(14), 및 뒤꿈치 부분(16)을 통해 중창(250s)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382s)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 또는 튜브들(380s)을 포함한다. 일련의 튜브들(380s)은, 종방향 축(L)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채널(382s)을 서로로부터 격리하도록, 중창(250s)의 바닥 표면과 상부 표면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달리 표현하면, 각 튜브(380s)는,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그리고 그 내부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가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역으로, 도 39 및 도 40의 튜브들(380)은, 종방향 축(L)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로 인해 각 튜브 내부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가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한다. 요컨대, 중창(250s)은, 튜브들(380s)의 방향을 제외하고, 중창(250q)과 동일하다. 말하자면, 튜브들(380s)은, 튜브들(380)에 대해 구십도(90°)로 지향된다.
도 44는, 각각 대응하는 양의 입자형 소재(350)(예를 들어, 발포체 구슬들)를 수용하는 일련의 채널들(382s)을 한정하는 중창(250s)의 일련의 벽들 또는 튜브들(380s)을 도시하는, 도 43의 44-44 선을 따라 취해진 평단면도를 제공한다. 각 채널(382s)은, 중창(250s)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바깥쪽 측부와 안쪽 측부(18, 20)를 따라 연장되는, 종방향 축(Lc)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각 튜브(380s) 내부에 상주하는 입자형 소재(350)는, 중창(250s)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대응하는 채널(382s)의 종방향 축(Lc)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자유롭다. 예시적 구성에서, 각각의 채널(382s)은, 튜브들(380)에 대해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대응하는 튜브(380s)의 내부 벽들에 의해 한정되는,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튜브들(380s)은, 적층된 구성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그리고 함께 봉제되거나 또는 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예에서, 튜브들(380s)은,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튜브들(380s)이 지면-반력에 응답하여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한다. 각 튜브(380s)는, 밑창 구조물(200s)의 상이한 영역들에 요구되는 완충 특성들을 부과하기 위해, 동일한 또는 상이한 단면적을 갖는 채널(382s)을 한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0, 도 42, 및 도 44를 참조하면, 채널들(382, 382r, 382s)은, 입자형 소재(350)를 수용하고 에워싸는 공동들을 한정한다. 일부 예에서, 튜브들(380, 380r, 380s)은, 입자형 소재(350)가 인접한 채널들(382, 382r, 382s)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각 대응하는 채널(382, 382r, 382s)을 서로로부터 격리한다. 예를 들어, 도 40의 각 튜브(380)는, 입자형 소재(350)가 인접한 채널들(382) 사이에서 중창(250q)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대조적으로, 도 44의 각 튜브(380s)는, 입자형 소재(350)가 인접한 채널들(382s) 사이에서 중창(250s)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러한 예들에서, 소정량들의 입자형 소재(350)가, 밑창 구조물(200q, 200s)이 반복적으로 압축될 때 중창(250q, 250s)의 다른 영역들로의 이동 또는 이주 없이, 대응하는 채널들(382, 382s)에 내포되어 유지된다. 도 42에 도시된 구성은, 입자형 소재(350)가 각 튜브(380r)에 의해 한정되는 종방향 축(Lc)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그리고 그에 따라, 종방향 축(L)에 대해 경사진 입자형 소재(350)의 이동을 허용한다. 요컨대, 튜브들(380, 380r, 380s)은, 입자형 소재(350)가, 중창(250q)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도 40), 중창(250r)의 종방향 축(L)에 대해 가로지르는 방향(도 42), 또는 중창(250s)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도 44)일 수 있는, 각 채널(382, 382r, 382s)에 의해 한정되는 종방향 축(Lc)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입자형 소재(350)의 이동 및 이주를 제어하는 것에 부가하여, 튜브들(380, 380r, 380s)이 (함께 체결될 때) 일제히 이동하는 것 또는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은, 완충이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전족 부분, 중족 부분, 및 뒤꿈치 부분(12, 14, 16)에서 얼마나 응답형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에 따라, 발 받침부(220q, 220r, 220s)는, 밑창 구조물(200q, 200r, 200s)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바닥창(210q, 210r, 210s)을 향해 병진이동할 수 있고, 그로 인해 튜브들(380, 380r, 380s) 및 입자형 소재(350)가 압축되도록 그리고 소프트형부터 응답형까지 완충을 제공하도록 야기한다. 발 받침부(220q, 220r, 220s)는,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발 받침부(220q, 220r, 220s)를 제공하도록 도 1 내지 도 3의 발 받침부(220)를 형성하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채널들(382, 382r, 382s) 내부에 배치되는 입자형 소재(350)가, 밑창 구조물(200q, 200r, 200s)의 점진적인 하중 작용 도중에 발의 바닥 표면의 윤곽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한다.
중창(250q, 250r, 250s)의 응답성은, 튜브들(380, 380r, 380s)의 재료 및 두께 양자 모두를 제어함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튜브들(380, 380r, 380s)은, 도 1 내지 도 4의 벽들(300)에 대해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발포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대안적으로, 직물과 같은 직조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튜브들(380, 380r, 380s)을 직물 재료로 형성하는 것은, 중창(250q, 250r, 250s)의 응답성을 감소시키며 그리고 중창(250q, 250r, 250s)이 완충을 위해 주로 입자형 소재(350)에 의존하도록 야기한다. 역으로, 튜브들(380, 380r, 380s)을 비교적 두꺼운 발포체 재료로 형성하는 것은, 튜브들(380, 380r, 380s)이 중창(250q, 250r, 250s)에 어느 정도의 강성을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고, 그로 인해 중창(250q, 250r, 250s)의 응답성을 증가시키도록 그리고 완충을 위해 입자형 소재(350)에 적게 의존하도록 한다.
일부 구성에서, 중창(250q, 250r, 250s)은, 튜브들(380, 380r, 380s) 중의 적어도 2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중창(250q)의 종방향 축(L)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튜브들(380)(도 40)이, 하부 층으로 배열될 수 있는 가운데, 튜브들(380s)이 튜브들(380) 상에 배치되는 상부 층으로서 배열된다.
뒤따르는 항목들은, 이상에 설명된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물에 대한 예시적 구성을 제공한다.
항목 1: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에 부착되며 그리고 지면-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창; 및
갑피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으로서,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그리고 중창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포함하며, 일련의 채널들은, 서로로부터 격리되며 그리고 각각 그 내부에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것인, 중창
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 항목 1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각 채널의 종방향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3: 항목 1 또는 항목 2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벽들에 의해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채널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4: 항목 1 내지 항목 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5: 항목 1 내지 항목 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6: 항목 1 내지 항목 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채널들은 서로 중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7: 항목 1 내지 항목 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8: 항목 7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9: 항목 7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10: 항목 7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상이한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11: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에 부착되며 그리고 지면-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창; 및
갑피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으로서,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포함하며, 일련의 채널들은,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며 그리고 각각 그 내부에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것인, 중창
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12: 항목 11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각 채널의 종방향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13: 항목 11 또는 항목 12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벽들에 의해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채널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14: 항목 11 내지 항목 1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15: 항목 11 내지 항목 1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일련의 채널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일련의 채널들 중의 한 쌍과 중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16: 항목 15에 있어서, 일련의 채널들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는, 일련의 채널들 중의 상기 한 쌍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17: 항목 11 내지 항목 1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18: 항목 17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19: 항목 17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0: 항목 17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상이한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1: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에 부착되는 바닥창으로서, 지면-접촉 표면 및, 바닥창의 지면-접촉 표면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을 구비하는 것인, 바닥창;
갑피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갑피와 대향하는 상부 표면 및 바닥창의 내측 표면과 대향하는 바닥 표면을 구비하는 발 받침부;
갑피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바닥창의 내측 표면과 발 받침부의 바닥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섬유들을 포함하는 중창으로서, 섬유들은, 종방향 축을 따라 그리고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기 위해 협력하는 것인, 중창; 및
제1 일련의 채널들 내부에 수용되는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
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2: 항목 21에 있어서,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는, 제1 일련의 채널들 중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서, 섬유들 중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공극들을 통해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3: 항목 21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제1 일련의 채널들의 각각의 종방향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4: 항목 21 내지 항목 23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섬유들에 의해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인접한 채널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5: 항목 21 내지 항목 24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6: 항목 21 내지 항목 25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7: 항목 21 내지 항목 26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채널들은 서로 중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8: 항목 21 내지 항목 27 중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29: 항목 28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30: 항목 28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31: 항목 28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상이한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32: 항목 21에 있어서, 제1 일련의 채널들 중의 하나의 채널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을 더 포함하고, 벽은, 입자형 소재가 그를 통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항목 33: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발 받침부와 바닥창 사이에 캐비티를 제공하는 것;
캐비티에, 캐비티 내부에 제1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제1 일련의 벽들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1 일련의 채널들은, 바닥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것인, 제1 일련의 벽들을 제공하는 것; 및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를 제공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제조 방법.
항목 34: 항목 33에 있어서, 제1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것은,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제조 방법.
항목 35: 항목 33에 있어서, 제1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것은,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제조 방법.
항목 36: 항목 33 내지 항목 35 중의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것은,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제1 일련의 채널들을 중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제조 방법.
항목 37: 항목 33 내지 항목 36 중의 어느 한 항목에 있어서,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를 제공하는 것은, 정해진 양의 발포체 구슬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제조 방법.
항목 38: 항목 37에 있어서,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를 제공하는 것은,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을 갖는 정해진 양의 발포체 구슬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제조 방법.
항목 39: 항목 37에 있어서,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를 제공하는 것은,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상이한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정해진 양의 발포체 구슬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제조 방법.
이상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이는, 총망라하거나 또는 본 개시를 제한할 의도가 아니다. 특정 구성의 개별적인 요소들 및 특징부들은 일반적으로, 그러한 특정 구성을 제한하지 않는 대신, 적용 가능한 경우, 상호교체 가능하며, 그리고 구체적으로 도시되거나 또는 설명되지 않는 경우에도, 선택된 구성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동일한 것이 또한 많은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변동은, 본 개시로부터 벗어난 것으로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그리고 모든 그러한 수정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39)

  1.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에 부착되며 그리고 지면-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창; 및
    갑피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으로서,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그리고 중창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포함하며, 일련의 채널들은, 서로로부터 격리되며 그리고 각각 그 내부에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것인, 중창
    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 제 1항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각 채널의 종방향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벽들에 의해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채널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널들은 서로 중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8. 제 7항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9. 제 7항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0. 제 7항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상이한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1.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에 부착되며 그리고 지면-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바닥창; 및
    갑피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으로서,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일련의 벽들을 포함하며, 일련의 채널들은,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며 그리고 각각 그 내부에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를 수용하는 것인, 중창
    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2. 제 11항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각 채널의 종방향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벽들에 의해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채널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4. 제 1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5. 제 1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련의 채널들 중의 적어도 하나는, 일련의 채널들 중의 한 쌍과 중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6. 제 15항에 있어서,
    일련의 채널들 중의 상기 적어도 하나는, 일련의 채널들 중의 상기 한 쌍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7. 제 1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8. 제 17항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19. 제 17항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0. 제 17항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상이한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1. 신발류 물품으로서:
    갑피;
    갑피에 부착되는 바닥창으로서, 지면-접촉 표면 및, 바닥창의 지면-접촉 표면 반대편 측부 상에 배치되는 내측 표면을 구비하는 것인, 바닥창;
    갑피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갑피와 대향하는 상부 표면 및 바닥창의 내측 표면과 대향하는 바닥 표면을 구비하는 발 받침부;
    갑피와 바닥창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바닥창의 내측 표면과 발 받침부의 바닥 표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섬유들을 포함하는 중창으로서, 섬유들은, 종방향 축을 따라 그리고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기 위해 협력하는 것인, 중창; 및
    제1 일련의 채널들 내부에 수용되는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
    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2. 제 21항에 있어서,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는, 제1 일련의 채널들 중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서, 섬유들 중의 인접한 것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공극들을 통해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인, 신발류 물품.
  23. 제 21항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제1 일련의 채널들의 각각의 종방향 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4. 제 2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섬유들에 의해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인접한 채널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5. 제 21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6. 제 21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널들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7. 제 21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채널들은 서로 중첩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8. 제 21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자형 소재는, 발포체 구슬들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29. 제 28항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30. 제 28항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대략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31. 제 28항에 있어서,
    발포체 구슬들은, 상이한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32. 제 21항에 있어서,
    제1 일련의 채널들 중의 하나의 채널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중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벽을 더 포함하고, 벽은, 입자형 소재가 그를 통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33. 신발류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발 받침부와 바닥창 사이에 캐비티를 제공하는 것;
    캐비티에, 캐비티 내부에 제1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제1 일련의 벽들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1 일련의 채널들은, 바닥창의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는 것인, 제1 일련의 벽들을 제공하는 것; 및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를 제공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제조 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제1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것은,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제조 방법.
  35. 제 33항에 있어서,
    제1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것은,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실질적으로 삼각형 단면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제조 방법.
  36. 제 33항 내지 제 3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일련의 채널들을 한정하는 것은, 종방향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제1 일련의 채널들을 중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제조 방법.
  37. 제 33항 내지 제 3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를 제공하는 것은, 정해진 양의 발포체 구슬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제조 방법.
  38. 제 37항에 있어서,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를 제공하는 것은,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실질적으로 구형 형상을 갖는 정해진 양의 발포체 구슬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제조 방법.
  39. 제 37항에 있어서,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정해진 양의 입자형 소재를 제공하는 것은, 제1 일련의 채널들에 상이한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정해진 양의 발포체 구슬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 제조 방법.
KR1020187011480A 2015-09-24 2016-09-23 부분적 제한을 동반하는 입자형 발포체 KR102171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22832P 2015-09-24 2015-09-24
US201562222882P 2015-09-24 2015-09-24
US201562222816P 2015-09-24 2015-09-24
US201562222873P 2015-09-24 2015-09-24
US201562222842P 2015-09-24 2015-09-24
US201562222851P 2015-09-24 2015-09-24
US62/222,873 2015-09-24
US62/222,882 2015-09-24
US62/222,851 2015-09-24
US62/222,842 2015-09-24
US62/222,816 2015-09-24
US62/222,832 2015-09-24
PCT/US2016/053265 WO2017053674A1 (en) 2015-09-24 2016-09-23 Particulate foam with partial restri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428A true KR20180064428A (ko) 2018-06-14
KR102171615B1 KR102171615B1 (ko) 2020-10-29

Family

ID=58387277

Famil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423A KR102209947B1 (ko) 2015-09-24 2016-09-23 부분적 제한을 동반하는 입자형 발포체
KR1020197036063A KR102209948B1 (ko) 2015-09-24 2016-09-23 가요성 케이스를 동반하는 입자형 발포체
KR1020207011285A KR102214239B1 (ko) 2015-09-24 2016-09-23 코팅된 유지체 내의 입자형 발포체
KR1020187011477A KR102128847B1 (ko) 2015-09-24 2016-09-23 입자형 발포체 적층된 케이스
KR1020187011481A KR102104571B1 (ko) 2015-09-24 2016-09-23 코팅된 유지체 내의 입자형 발포체
KR1020207026748A KR102258429B1 (ko) 2015-09-24 2016-09-23 다른 완충을 동반하는 입자형 발포체
KR1020187011479A KR102160043B1 (ko) 2015-09-24 2016-09-23 다른 완충을 동반하는 입자형 발포체
KR1020187011476A KR102077262B1 (ko) 2015-09-24 2016-09-23 부분적 제한을 동반하는 입자형 발포체
KR1020187011478A KR102055165B1 (ko) 2015-09-24 2016-09-23 가요성 케이스를 동반하는 입자형 발포체
KR1020187011480A KR102171615B1 (ko) 2015-09-24 2016-09-23 부분적 제한을 동반하는 입자형 발포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423A KR102209947B1 (ko) 2015-09-24 2016-09-23 부분적 제한을 동반하는 입자형 발포체
KR1020197036063A KR102209948B1 (ko) 2015-09-24 2016-09-23 가요성 케이스를 동반하는 입자형 발포체
KR1020207011285A KR102214239B1 (ko) 2015-09-24 2016-09-23 코팅된 유지체 내의 입자형 발포체
KR1020187011477A KR102128847B1 (ko) 2015-09-24 2016-09-23 입자형 발포체 적층된 케이스
KR1020187011481A KR102104571B1 (ko) 2015-09-24 2016-09-23 코팅된 유지체 내의 입자형 발포체
KR1020207026748A KR102258429B1 (ko) 2015-09-24 2016-09-23 다른 완충을 동반하는 입자형 발포체
KR1020187011479A KR102160043B1 (ko) 2015-09-24 2016-09-23 다른 완충을 동반하는 입자형 발포체
KR1020187011476A KR102077262B1 (ko) 2015-09-24 2016-09-23 부분적 제한을 동반하는 입자형 발포체
KR1020187011478A KR102055165B1 (ko) 2015-09-24 2016-09-23 가요성 케이스를 동반하는 입자형 발포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2) US11304475B2 (ko)
EP (9) EP4032426A1 (ko)
JP (10) JP7085987B2 (ko)
KR (10) KR102209947B1 (ko)
CN (9) CN114698896A (ko)
TW (2) TWI692322B (ko)
WO (6) WO2017053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11682S1 (en) 2017-09-14 2021-03-02 Puma SE Shoe
USD910290S1 (en) 2017-09-14 2021-02-16 Puma SE Shoe
USD911683S1 (en) 2017-09-14 2021-03-02 Puma SE Shoe
USD855953S1 (en) 2017-09-14 2019-08-13 Puma SE Shoe sole element
USD953709S1 (en) 1985-08-29 2022-06-07 Puma SE Shoe
US11666113B2 (en) 2013-04-19 2023-06-06 Adidas Ag Shoe with knitted outer sole
DE102013207156A1 (de) 2013-04-19 2014-10-23 Adidas Ag Schuh, insbesondere ein Sportschuh
DE102014220087B4 (de) 2014-10-02 2016-05-12 Adidas Ag Flachgestricktes Schuhoberteil für Sportschuhe
DE102015212099B4 (de) 2015-06-29 2022-01-27 Adidas Ag Sohlen für Sportschuhe
EP4032426A1 (en) * 2015-09-24 2022-07-27 Nike Innovate C.V. Particulate foam with other cushioning
GB2544984B (en) * 2015-12-01 2020-02-05 Fitflop Ltd An item of footwear
KR102419348B1 (ko) * 2015-12-07 2022-07-08 푸마 에스이 신발, 특히 스포츠 신발
USD840136S1 (en) * 2016-08-03 2019-02-12 Adidas Ag Shoe midsole
USD840137S1 (en) * 2016-08-03 2019-02-12 Adidas Ag Shoe midsole
USD852475S1 (en) * 2016-08-17 2019-07-02 Adidas Ag Shoe
JP1582717S (ko) * 2016-09-02 2017-07-31
USD852476S1 (en) 2016-12-16 2019-07-02 Puma SE Shoe sole element
JP2020505196A (ja) * 2017-01-13 2020-02-20 ラーゲ,アナ パウラ ペレイラ インソールに適用される微小粒子の動的構成、及びシューソールに適用されるでこぼこな配置を備えた生理学的フットウェア
USD850766S1 (en) * 2017-01-17 2019-06-11 Puma SE Shoe sole element
WO2018169537A1 (en) * 2017-03-16 2018-09-20 Nike Innovate C.V. Cushioning member for article of footwear
US10575588B2 (en) * 2017-03-27 2020-03-03 Adidas Ag Footwear midsole with warped lattic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10573038B (zh) * 2017-04-21 2021-10-01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本体感受元件的鞋底结构及鞋底结构的制造方法
CN110662452B (zh) 2017-05-18 2022-05-2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带有拉伸部件的铰接缓冲垫及制造缓冲垫的方法
EP4140350A1 (en) 2017-05-18 2023-03-01 Nike Innovate C.V. Cushioning article with tensile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hioning article
GB2562750A (en) * 2017-05-23 2018-11-28 Michael Duffy Francis Aequal Foot Technology
US11058173B2 (en) * 2017-05-25 2021-07-1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uxetic sole structure that includes aggregate
EP3576563B1 (en) 2017-06-01 2020-12-23 NIKE Innovate C.V. Methods of manufacturing articles utilizing foam particles
KR101980092B1 (ko) * 2017-08-01 2019-05-20 최시현 다중경도 힐 쿠션을 구비한 신발용 인솔
IT201700089835A1 (it) * 2017-08-03 2019-02-03 Base Prot S R L Sistema attivo a geometria variabile con funzioni di ammortizzazione, dissipazione di energia e stabilizzazione, integrabile nelle suole delle calzature
ES2884263T3 (es) 2017-08-11 2021-12-10 Puma SE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zapato
USD975417S1 (en) 2017-09-14 2023-01-17 Puma SE Shoe
JP1617832S (ko) 2017-09-21 2018-11-12
USD899061S1 (en) 2017-10-05 2020-10-20 Adidas Ag Shoe
JP1618202S (ko) * 2017-12-12 2018-11-19
USD877465S1 (en) * 2018-02-23 2020-03-10 Puma SE Shoe
USD874801S1 (en) 2018-02-23 2020-02-11 Puma SE Shoe
USD870433S1 (en) * 2018-03-09 2019-12-24 Puma SE Shoe
USD869833S1 (en) 2018-03-09 2019-12-17 Puma SE Shoe sole
USD887112S1 (en) 2018-04-04 2020-06-16 Puma SE Shoe
WO2019206435A1 (de) 2018-04-27 2019-10-31 Puma SE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IT201800005056A1 (it) * 2018-05-03 2019-11-03 Stefano Francesco Di Intersuola mobile, che facilita il movimento in avanti sul piano sagittale e ammortizza l’impatto con il suolo,con cuscinetti ad aria e a liquido idraulico.
IT201800005052A1 (it) * 2018-05-03 2019-11-03 Stefano Francesco Di Intersuola mobile, che facilita il movimento in avanti sul piano sagittale e ammortizza l’impatto con il suolo, con cuscinetti ad aria.
JP7114743B2 (ja) 2018-05-08 2022-08-08 プーマ エス イー 靴、とりわけ運動靴のソール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N112423616B (zh) 2018-05-08 2022-03-08 彪马欧洲股份公司 鞋尤其运动鞋的鞋底
US11044964B2 (en) 2018-05-30 2021-06-29 Nike, Inc. Footwear sole structure with bladder
USD877471S1 (en) * 2018-07-13 2020-03-10 Allbirds, Inc. Footwear
USD907903S1 (en) 2018-08-23 2021-01-19 Puma SE Shoe
USD882222S1 (en) 2018-08-23 2020-04-28 Puma SE Shoe
USD883620S1 (en) 2018-08-24 2020-05-12 Puma SE Shoe
USD893855S1 (en) 2018-08-24 2020-08-25 Puma SE Shoe
JP2020044267A (ja) * 2018-09-21 2020-03-26 美津濃株式会社 ソール構造
WO2020117469A1 (en) 2018-12-06 2020-06-11 Nike Innovate C.V. Cushioning element utilizing foam particles
USD891053S1 (en) 2019-01-25 2020-07-28 Puma SE Shoe
USD891054S1 (en) 2019-01-25 2020-07-28 Puma SE Shoe
EP4218475A1 (en) * 2019-01-31 2023-08-02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fluid-filled bladder elements
USD890496S1 (en) 2019-02-14 2020-07-21 Puma SE Shoe
USD885722S1 (en) 2019-02-14 2020-06-02 Puma SE Shoe
USD893838S1 (en) 2019-02-14 2020-08-25 Puma SE Shoe
USD875360S1 (en) * 2019-02-21 2020-02-18 Puma SE Shoe
USD890497S1 (en) 2019-02-21 2020-07-21 Puma SE Shoe
USD875358S1 (en) * 2019-02-21 2020-02-18 Puma SE Shoe
USD889798S1 (en) 2019-02-22 2020-07-14 Puma SE Shoe
USD890488S1 (en) 2019-02-22 2020-07-21 Puma SE Shoe
US10874169B2 (en) 2019-02-28 2020-12-29 Nike, Inc. Footwear and sole structure assemblies with adhesive-free mechanical attachments between insoles and midsoles
USD875366S1 (en) * 2019-03-15 2020-02-18 Nike, Inc. Shoe
USD928479S1 (en) * 2019-03-19 2021-08-24 Adidas Ag Footwear midsole
USD879430S1 (en) * 2019-03-22 2020-03-31 Nike, Inc. Shoe
USD876063S1 (en) * 2019-04-12 2020-02-25 Nike, Inc. Shoe
USD876776S1 (en) * 2019-04-12 2020-03-03 Nike, Inc. Shoe
USD876777S1 (en) * 2019-04-12 2020-03-03 Nike, Inc. Shoe
JP1652801S (ko) 2019-05-14 2020-02-17
EP3975786A1 (en) * 2019-05-30 2022-04-06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D985255S1 (en) 2019-06-18 2023-05-09 Nike, Inc. Shoe
KR102184494B1 (ko) * 2019-07-15 2020-11-30 신용기 신발용 보조깔창
WO2021016166A1 (en) * 2019-07-25 2021-01-28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EP4003082B1 (en) * 2019-07-25 2023-10-04 NIKE Innovate C.V. Cushioning member for article of footwear
WO2021043584A1 (en) 2019-09-05 2021-03-11 Buccolini Paola Anatomically designed footwear sole and footwear comprising said sole
US20210085020A1 (en) * 2019-09-20 2021-03-25 R. G. Barry Corporation Footwear article including cushion management system
USD959101S1 (en) * 2019-09-24 2022-08-02 Adidas Ag Shoe
US11559106B2 (en) 2019-10-24 2023-01-2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EP4061173A1 (en) * 2019-11-19 2022-09-28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1617413B2 (en) 2019-11-19 2023-04-04 Nike, Inc. Methods of manufacturing articles having foam particles
JP7128231B2 (ja) * 2020-06-01 2022-08-30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および靴
USD909031S1 (en) * 2020-01-16 2021-02-02 Nike, Inc. Shoe
USD909030S1 (en) * 2020-01-16 2021-02-02 Nike, Inc. Shoe
USD907905S1 (en) * 2020-01-16 2021-01-19 Nike, Inc. Shoe
DE102020200558A1 (de) * 2020-01-17 2021-07-22 Adidas Ag Sohle und Schuh mit haptischem Feedback
WO2021170553A1 (en) * 2020-02-28 2021-09-02 Buccolini Paola Anatomically shaped insole with massaging effect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D934539S1 (en) * 2020-03-10 2021-11-02 Paloïse Sas Sole for footwear
EP4125483A1 (en) * 2020-03-26 2023-02-08 NIKE Innovate C.V. Encased strobel with cushioning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CN115397277A (zh) 2020-04-13 2022-11-25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带有具有用于侧向稳定性的周边壁的分离式鞋底夹层的鞋类和鞋底结构组件
USD944504S1 (en) 2020-04-27 2022-03-01 Puma SE Shoe
CN115843222A (zh) 2020-05-29 2023-03-2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鞋类物品的鞋底结构
WO2021247337A1 (en) * 2020-05-31 2021-12-09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EP3928970A1 (en) * 2020-06-26 2021-12-29 Ecco Sko A/S An article of footwear
USD974708S1 (en) * 2020-09-29 2023-01-10 Salomon S.A.S. Footwear article
USD979891S1 (en) * 2020-09-29 2023-03-07 Salomon S.A.S. Footwear article
USD1022425S1 (en) 2020-10-07 2024-04-16 Adidas Ag Shoe
US11786008B2 (en) 2020-10-07 2023-10-17 Adidas Ag Footwear with 3-D printed midsole
USD980594S1 (en) 2020-10-13 2023-03-14 Adidas Ag Shoe
US11589647B2 (en) 2020-10-13 2023-02-28 Adidas Ag Footwear midsole with anisotropic mesh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D980595S1 (en) 2020-10-13 2023-03-14 Adidas Ag Shoe
USD1014911S1 (en) * 2021-05-06 2024-02-20 Veja Fair Trade Sarl Footwear
US11957205B2 (en) * 2021-10-20 2024-04-16 SR Holdings, LLC Footwear with traction sole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0702U (ko) * 1979-11-28 1981-06-30
US20060130363A1 (en) * 2004-12-17 2006-06-22 Michael Hottinger Shoe sole with a loose fill comfort support system
US20090313853A1 (en) * 2008-06-19 2009-12-24 Tadin Tony G Method to capture and support a 3-D contour
JP2015513354A (ja) * 2012-03-23 2015-05-11 アムフィット、インク.Amfit, Inc. 履物用ダイナミックサポ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9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501A (en) * 1897-04-13 Boot or shoe
DE444625C (de) 1927-05-25 Johann Schlagenhauf Vorrichtung zum Bremsen eines Anhaengers von dem Fuehrersitz des Zugwagens aus unter Verwendung eines Seils,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1240153A (en) * 1916-01-07 1917-09-11 Keene Shock Absorber Company Pneumatic cushion for shoes.
FR996111A (fr) * 1949-08-08 1951-12-13 Perfectionnement aux semelles de chaussures
CH283034A (de) 1949-09-20 1952-05-31 Fretz & Co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uben und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r Schuh.
FR1018215A (fr) 1950-05-19 1952-12-30 Semelle pour chaussure
US2930149A (en) * 1959-01-28 1960-03-29 Ripple Sole Corp Resilient shoe sole and wedge construction
US3087262A (en) 1961-04-24 1963-04-30 Forward Slant Sole Company Resilient shoe sole
US3469576A (en) 1966-10-05 1969-09-30 Henry M Smith Footwear
US3552044A (en) 1968-12-30 1971-01-05 Sports Technology Conformable pad filled with elastomeric particles
DE6912773U (de) 1969-03-29 1969-10-02 Ind Lemm & Co Gmbh Schuh mit angeformter sohle
US3608215A (en) 1969-06-14 1971-09-28 Tatsuo Fukuoka Footwear
US3971839A (en) 1971-12-06 1976-07-27 Taylor Don A Particle filled self-conformable cush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765422A (en) 1971-12-27 1973-10-16 H Smith Fluid cushion podiatric insole
GB1433481A (en) * 1972-03-25 1976-04-28 British United Shoe Machinery Materials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shoes
US3906570A (en) 1973-03-20 1975-09-23 Usm Corp Method of making an insole
US4016662A (en) * 1976-08-03 1977-04-12 Charles Thompson Shoe construction
US4183156A (en) * 1977-01-14 1980-01-15 Robert C. Bogert Insole construction for articles of footwear
JPS54500089A (ko) 1977-10-14 1979-12-13
US4170078A (en) 1978-03-30 1979-10-09 Ronald Moss Cushioned foot sole
US4219945B1 (en) * 1978-06-26 1993-10-19 Robert C. Bogert Footwear
DE2907506A1 (de) 1979-02-26 1980-09-04 Johann Weil Einlegesohle
GB2066049A (en) 1979-12-14 1981-07-08 Manjushri Inst Insoles for shoes
US4345387A (en) 1980-03-31 1982-08-24 Daswick Alexander C Resilient inner sole for a shoe
CA1139902A (en) 1980-06-03 1983-01-25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ce Of Her Majesty's Canadian Government Protective helmets
US4307200A (en) 1981-01-26 1981-12-22 Seymour Lichter Composite foamed material
DE3231971A1 (de) 1982-08-27 1984-03-15 Helmut 6780 Pirmasens Schaefer Brandsohle fuer schuh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JPS6014805A (ja) 1983-07-01 1985-01-25 ウルヴリン・ワ−ルド・ワイド・インコ−ポレイテツド 予形成構造体を有する運動靴用靴底
DE3406504A1 (de) 1984-02-23 1985-08-29 Claus 2860 Osterholz-Scharmbeck Tietjen Schuh
US4658515A (en) * 1985-02-05 1987-04-21 Oatman Donald S Heat insulating insert for footwear
US4686781A (en) 1985-05-06 1987-08-18 Bury Joseph R Hollowshoe footwear
US4823799A (en) 1986-07-31 1989-04-25 Robbins Stevens E Biofeedback interface for sensory enhancement of the plantar surface of the foot
DE3723549A1 (de) 1986-07-31 1988-02-11 Steven E Robbins Biofeedback-einlage
DE3627538A1 (de) 1986-08-13 1988-02-18 Alfred Fleischmann Innensohle fuer schuhe, insbesondere einlegesohle
US4724627A (en) 1986-12-03 1988-02-16 Sff, Inc. Sports boot for skiers and the like
US5199191A (en) * 1987-05-29 1993-04-06 Armenak Moumdjian Athletic shoe with inflatable mobile inner sole
US4779359A (en) * 1987-07-30 1988-10-25 Famolare, Inc. Shoe construction with air cushioning
IT1229593B (it) 1987-11-09 1991-09-04 Luciano Geri Supporto plantare per effettuare correzioni individuali variabili e autoadattabili a fini ortopedici e di prevenzione
TR23830A (tr) * 1987-12-17 1990-09-25 Adidas Sportschuhe Spor ayakkabilari icin dis tabanlar
DE3802607A1 (de) 1987-12-17 1989-06-29 Adidas Sportschuhe Laufsohle fuer sportschuhe
DE3802035A1 (de) 1988-01-25 1989-08-10 Reichenecker Hans Storopack Daempfungs- oder polsterkoerper zum einsatz in schuhen
EP0359699B1 (en) 1988-09-16 1994-05-04 Autry Industries, Inc Shoe having transparent window for viewing cushion elements
US4905320A (en) * 1988-11-10 1990-03-06 Squyers Jr Thomas L Protective body support
DE3839747A1 (de) 1988-11-25 1990-05-31 Heinrich Kehlbeck Schuheinlegesohle
FR2642941B1 (fr) 1989-02-14 1992-07-31 Mozayan Gaspard Semelage a cavite interne contenant des billes souples pour chaussures diverses permettant de masser le pied
DE3905989A1 (de) 1989-02-25 1990-08-30 Hilmar Bertram Unterlage zur massage der reflexzonen von hautpartien
JPH084521B2 (ja) 1989-03-28 1996-01-24 ニッポンスリッパ株式会社 スリッパ底
US4914836A (en) * 1989-05-11 1990-04-10 Zvi Horovitz Cushioning and impact absorptive structure
IT1226514B (it) * 1989-05-24 1991-01-24 Fila Sport Calzatura sportiva incorporante, nel tallone, un inserto elastico.
US5632057A (en) * 1989-09-20 1997-05-27 Lyden; Robert M. Method of making light cure component for articles of footwear
CN1053884A (zh) 1990-02-09 1991-08-21 海·克雷默 带有改进中底的鞋类物品
US5097607A (en) * 1990-05-07 1992-03-24 Wolverine World Wide, Inc. Fluid forefoot footware
FI914076A (fi) 1991-08-29 1993-03-01 Harju Monica Stoetdaempande kompositstruktur
JP2554829Y2 (ja) 1991-10-29 1997-11-19 株式会社卑弥呼 靴の中底または靴底
DE4202159A1 (de) 1992-01-27 1993-07-29 Naima Bouzahar Einlegesohle bzw. innensohle fuer schuhe aus sandfuellung
US5231776A (en) 1992-07-23 1993-08-03 Paul S. Orloff Integrally weighted athletic shoe
US5392534A (en) 1992-10-23 1995-02-28 Grim; Tracy E. Vacuum formed conformable shoe
US5383290A (en) 1992-10-23 1995-01-24 Grim; Tracy E. Conformable shoe with vacuum formed sole
US5617650A (en) 1992-10-23 1997-04-08 Grim; Tracy E. Vacuum formed conformable shoe
US5378223A (en) 1992-10-23 1995-01-03 Royce Medical Company Orthopedic support pad and method for providing semi-permanent relief zones
TW234081B (ko) 1993-02-04 1994-11-11 Converse Inc
US5421874A (en) 1993-06-22 1995-06-06 Genesis Composites, L.C. Composite microsphere and lubricant mixture
JPH0723804A (ja) * 1993-07-13 1995-01-27 Yamaha Corp スポーツシューズ
JPH0739404A (ja) 1993-07-30 1995-02-10 Yamaha Corp スポーツシューズ
DE4446252A1 (de) 1994-01-18 1995-06-22 Klaus Peter Jaehnke Anpassungs-Einlegesohle
DE4401282A1 (de) 1994-01-18 1994-12-15 Jaehnke Klaus Peter Die Anpassungs-Einlegesohle besteht aus einem fußförmigen Beutel (1), der schrotartigen Kügelchen, Granulat (2) oder leichten bewegungsfreudigen, waschbaren Materialien aufgefüllt ist
US5517770A (en) 1994-03-23 1996-05-21 Libertyville Saddle Shop, Inc. Shoe insole
US5595004A (en) * 1994-03-30 1997-01-21 Nike, Inc. Shoe sole including a peripherally-disposed cushioning bladder
US5718064A (en) 1994-04-04 1998-02-17 Nine West Group Inc. Multi-layer sole construction for walking shoes
US5753357A (en) 1994-06-02 1998-05-19 C. Filipitsch & Co. Keg Moisture absorbent material and articles incorporating such material
TW286269B (ko) 1994-11-28 1996-09-21 Marion Frank Rudy
US5665285A (en) 1995-01-24 1997-09-09 Mitsubishi Yuka Badische Co., Ltd. Method for producing a molded foam article with an integral skin
HU214608B (hu) 1996-03-26 1998-04-28 László Novák Lábbelitalp vagy talpbetét
JP3034798B2 (ja) 1996-05-23 2000-04-17 株式会社ミヤタ トレーニングシューズ
IT1286411B1 (it) 1996-11-27 1998-07-08 Fila Sport Calzatura con sottopiede o intersuola adattabile alla conformazione del piede dell'utente
DE19708622A1 (de) 1997-03-03 1997-09-04 Philip Thieme Dynamische, flexible Einlege-/Innensohle
JP3042853U (ja) 1997-04-25 1997-11-04 水 木 王 空気クッション性を有する靴底装置
IT1292147B1 (it) 1997-06-12 1999-01-25 Global Sports Tech Inc Calzatura sportiva incorporante una pluralita' di inserti aventi differenti risposte elastiche alla sollecitazione del piede
US6635203B2 (en) 1997-06-25 2003-10-21 Roberto Monaci Composite polymeric material having high resistance to impact energy
JPH1132806A (ja) 1997-07-08 1999-02-09 Donhon Paku 靴 底
US6061928A (en) 1997-12-09 2000-05-16 K-Swiss Inc. Shoe having independent packed cushioning elements
KR100248539B1 (ko) 1998-02-13 2000-06-01 정성수 신발의 쿠션완충장치
DK9800096U3 (da) * 1998-03-17 1998-04-24 Sirus Farzan Indlægssål til skotøj
US5920915A (en) 1998-09-22 1999-07-13 Brock Usa, Llc Protective padding for sports gear
US6032300A (en) 1998-09-22 2000-03-07 Brock Usa, Llc Protective padding for sports gear
TW385636U (en) 1999-01-22 2000-03-21 Tsai Wan Jen Improved inner sloe for weighted shoes
US6502331B2 (en) * 1999-04-09 2003-01-07 William J. Hines Athletic training shoe inserts and method of fabrication
JP3011408B1 (ja) 1999-05-10 2000-02-21 貴朗 藤井
US6532689B1 (en) 1999-07-22 2003-03-18 Leslie O. Jones, Jr. Slipper
WO2001010924A1 (fr) 1999-08-09 2001-02-15 Kao Corporation Procede de production de mousse en polyurethanne
DE19938609C2 (de) 1999-08-14 2002-11-14 Erhard Weber Kugelgel-Flächenlager
US6266896B1 (en) 2000-03-20 2001-07-31 Ding Sheug Industry Co., Ltd. Shoe sole of lightweight
CA2431712A1 (en) * 2000-12-16 2002-06-20 Matthias Hahn Shoe with a foot-massaging effect
US7037571B2 (en) 2000-12-28 2006-05-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osable shoe liner
USD460852S1 (en) 2001-04-12 2002-07-30 Candie's, Inc. Bean bag shoe lower
JP2002306280A (ja) * 2001-04-19 2002-10-22 Apas:Kk 圧力分散体
FR2824884A1 (fr) * 2001-05-15 2002-11-22 Michel Gustave Louis Delauney Ensemble modulaire amortisseur et repartiteur de pression, notamment pour chaussures, ordinaire, de competition et orthopedique
DE10138426C1 (de) 2001-08-06 2002-12-12 Matthias Hahn Einlegesohle für einen Schuh mit einem Schaft und Schuh mit einem Schaft und einer Einlegesohle
US6782640B2 (en) 2001-09-12 2004-08-31 Craig D. Westin Custom conformable device
DE10161164A1 (de) * 2001-12-13 2003-06-18 Al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uhes und danach herstellbarer Schuh
US6759443B2 (en) 2001-12-21 2004-07-06 Basf Corporation Polyurethane foam composition and additive useful in shoe sole applica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6971193B1 (en) * 2002-03-06 2005-12-06 Nike, Inc. Bladder with high pressure replenishment reservoir
US7152342B2 (en) 2003-02-14 2006-12-26 Roland Wilfried Sommer Reversed kinetic system for shoe sole
CN2620493Y (zh) 2003-03-17 2004-06-16 林丽环 具舒适软垫面的透气鞋底构造
US20050022424A1 (en) 2003-07-28 2005-02-03 Held Jerry Martin Shoes - a new design
US7168104B2 (en) 2003-10-23 2007-01-30 Ed Tobergte Associates Company Football shoulder pads
US20050150132A1 (en) 2004-01-14 2005-07-14 Gail Iannacone Footwear with expanded thermoplastic beads in the footbed
US7484318B2 (en) 2004-06-15 2009-02-03 Kenneth Cole Productions (Lic), Inc. Therapeutic shoe sole design,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oducts constructed therefrom
US20060026863A1 (en) 2004-08-05 2006-02-09 Dong-Long Liu Shoe sho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374026Y1 (ko) 2004-10-30 2005-01-28 남시호 신발
US7669251B2 (en) 2005-03-21 2010-03-02 Honda Motor Co., Ltd. Impact and/or vibration absorbent material and protective articles making use thereof
US7904971B2 (en) 2005-05-19 2011-03-15 Mine Safety Appliances Company Protective padding and protective padding systems
WO2007023090A1 (de) 2005-08-23 2007-03-01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chaumstoffplatten
US20070051018A1 (en) 2005-09-06 2007-03-08 Columbia Insurance Company Bladder with improved construction
CN2888936Y (zh) 2005-10-13 2007-04-18 李锡宏 一种空心透气鞋底
CN2847915Y (zh) * 2005-11-24 2006-12-20 新百丽鞋业(深圳)有限公司 减震鞋
EP1979401B1 (de) 2006-01-18 2010-09-29 Basf Se Schaumstoffe auf basis thermoplastischer polyurethane
US7555851B2 (en) 2006-01-24 2009-07-0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chamber with flexion zones
US7665229B2 (en) * 2006-03-31 2010-02-23 Converse Inc. Foot-supporting structure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other foot-receiving devices
ITBO20060288A1 (it) 2006-04-14 2007-10-15 Ideaslab Snc Calzatura e relativo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US20100011618A1 (en) 2006-07-24 2010-01-21 Armand Bitton Adaptable orthopedic insoles
US7594344B2 (en) 2006-09-21 2009-09-29 Hagay Mizrahi Aromatherapy footwear
US20080148599A1 (en) * 2006-12-21 2008-06-26 Collins Jason H Footwear inserts, including midsoles, sockliners, footbeds and/or upper components using granular ethyl vinyl acetate (EVA) and method of manufacture
DK2109637T3 (en) 2007-01-16 2018-11-12 Frank Prissok HYBRID SYSTEMS OF FOAMED THERMOPLASTIC ELASTOMERS AND POLYURETHANES
US7810255B2 (en) * 2007-02-06 2010-10-12 Nike, Inc. Interlocking fluid-filled chambers for an article of footwear
JP5248823B2 (ja) 2007-08-30 2013-07-31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用の緩衝パーツ並びにこのものを具えた靴
US9572402B2 (en) 2007-10-23 2017-02-21 Nike, Inc.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rticles
US8178022B2 (en) 2007-12-17 2012-05-15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with a fluid-filled chamber
GB2462100A (en) * 2008-07-24 2010-01-27 Foot & Ankle Clinic Ltd Footwear sole containing pellet-filled air-tight bladder
EP2156762A1 (de) * 2008-08-21 2010-02-24 Masai Marketing & Trading AG Schuhboden mit Luftventilation
EP2326485A1 (en) 2008-09-22 2011-06-0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Post-cure of molded polyurethane foam products
WO2010042924A1 (en) 2008-10-10 2010-04-15 Nike International, Ltd. Article of footwear with a midsole structure
US8943709B2 (en) * 2008-11-06 2015-02-0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support columns having fluid-filled bladders
US8479413B2 (en) 2008-12-22 2013-07-09 Msd Consumer Care, Inc. Footwear insole for alleviating arthritis pain
US20110016747A1 (en) 2009-01-22 2011-01-27 Armand Bitton Adaptable orthopedic insoles
KR101318696B1 (ko) 2009-01-22 2013-10-16 주식회사 풋바란스 공기순환 및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US8091254B2 (en) 2009-02-05 2012-01-10 Jet Crown International Co., Ltd. Biomechanics medical corrective shoe pad with far infrared ray energy fibers
DE102009009589A1 (de) 2009-02-19 2010-09-02 Deichmann Se Schuh mit luftdurchlässiger Sohle
US8424221B2 (en) 2009-04-01 2013-04-23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Training footwear
US8650775B2 (en) * 2009-06-25 2014-02-1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perimeter and central elements
NL2003367C2 (en) * 2009-08-20 2011-02-22 Sara Lee De Nv Cushioning element, footwear, insole, deformable filling, and envelope.
US8455063B2 (en) * 2009-10-07 2013-06-04 Sungyull Lee Artificial turf infill and artificial turf including the same
KR20110050017A (ko) * 2009-11-06 2011-05-13 이재부 지압 깔창
US9521877B2 (en) 2013-02-21 2016-12-2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outsole bonded to cushioning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US20110283560A1 (en) * 2010-05-18 2011-11-24 Montrail Corporation Multiple response property footwear
DE102010046278A1 (de) 2010-06-28 2011-02-24 Stuart Wolfe Schuh mit einem Schuh-Oberteil und einer Sohle
US20120036698A1 (en) 2010-08-16 2012-02-16 Chris Guertin Sports safety padding
US20120073163A1 (en) 2010-09-29 2012-03-29 Lam Kei Tse Boot
KR101216763B1 (ko) 2010-09-30 2012-12-28 장명계 건강 신발
TWM408259U (en) * 2010-12-23 2011-08-01 Zong-Yi Wen Improved structure of shoe sole
US8671591B2 (en) 2011-02-21 2014-03-18 Brownmed, Inc. Massaging footwear
CN202051034U (zh) 2011-05-20 2011-11-30 傅孙剑 一种防滑吸震鞋底
US9009991B2 (en) 2011-06-23 2015-04-2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cavity viewing system
US20130008050A1 (en) 2011-07-07 2013-01-10 Michel Marc Shoe Insole
CN202145956U (zh) 2011-07-19 2012-02-22 郭修彬 一种新型缓震透气鞋底
DE102011108744B4 (de) 2011-07-28 2014-03-13 Puma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hle oder eines Sohlenteils eines Schuhs
US9204680B2 (en) 2011-11-18 2015-12-08 Nike, Inc. Footwear having corresponding outsole and midsole shapes
US9078493B2 (en) 2011-12-09 2015-07-14 Body Fort, LLC Footwear assembly
CN202375165U (zh) * 2011-12-22 2012-08-15 尹琳剑 固特艺工艺橡木塑型保健鞋
US9609913B2 (en) * 2011-12-29 2017-04-04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d assemby
US10034517B2 (en) 2011-12-29 2018-07-31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d assembly
US9609912B2 (en) 2012-03-23 2017-04-0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luid-filled chamber
CN202536247U (zh) * 2012-03-29 2012-11-21 温州市瓯海制革皮件厂
DE102012206094B4 (de) 2012-04-13 2019-12-05 Adidas Ag Sohlen für Sportschuhe, Schuh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uhsohle
JP2014033742A (ja) 2012-08-07 2014-02-24 Aikyo:Kk 靴底、それに用いる加飾用の弾性部材及びこれらを用いた靴
US10849387B2 (en) * 2012-09-20 2020-12-01 Nike, Inc.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KR101380100B1 (ko) 2012-10-11 2014-04-04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신발 밑창
US9144956B2 (en) 2013-02-12 2015-09-29 Nike, Inc. Bead foam compression molding method with in situ steam generation for low density product
DE102013202291B4 (de) 2013-02-13 2020-06-18 Adidas Ag Dämpfungselement für Sportbekleidung und Schuh mit einem solchen Dämpfungselement
US9930928B2 (en) * 2013-02-13 2018-04-03 Adidas Ag Sole for a shoe
US9610746B2 (en) * 2013-02-13 2017-04-04 Adidas Ag Methods for manufacturing cushioning elements for sports apparel
US10178891B2 (en) 2013-03-22 2019-01-15 Reebok International Limited Sole and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pod assembly
US9427043B2 (en) 2013-10-31 2016-08-30 Nike, Inc. Fluid-filled chamber with stitched tensile member
US9498019B2 (en) * 2014-01-14 2016-11-22 Christopher L. Westmoreland Impact absorbing shoe
US10463106B2 (en) * 2014-02-13 2019-11-05 Nike, Inc. Sole assembly with textile sh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TWM480281U (zh) * 2014-03-04 2014-06-21 Mao Yi Shoes Co Ltd 鞋底緩衝之改良結構
US9516919B2 (en) 2014-09-16 2016-12-13 Nike, Inc. Sole structure with bladder for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16049401A1 (en) * 2014-09-25 2016-03-31 Kessman Marc D Telemetry for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and the like
CN107072349B (zh) * 2014-10-31 2020-06-3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包含周界囊状元件的鞋类物品、用于其的制造方法
US20160168774A1 (en) * 2014-12-16 2016-06-16 Nike, Inc. Nonwoven Material, Method Of Making Same, And Articles Incorporating The Nonwoven Material
CN104490008B (zh) 2015-01-07 2017-02-01 福建登泰科技有限公司 一种eva减震元件及具有该减震元件的鞋底
JP6679363B2 (ja) 2015-03-23 2020-04-15 アディダス アーゲー ソールおよびシューズ
EP4032426A1 (en) * 2015-09-24 2022-07-27 Nike Innovate C.V. Particulate foam with other cushioning
KR102419348B1 (ko) 2015-12-07 2022-07-08 푸마 에스이 신발, 특히 스포츠 신발
US20170298548A1 (en) * 2016-01-05 2017-10-19 The North Face Apparel Corp. Bulk fill material
DE202016104626U1 (de) 2016-08-24 2016-10-06 Lavrenty Nikolaevich Lim Schuhsohle
US20190269200A1 (en) * 2016-09-15 2019-09-05 Yi-Chen Tseng Mat structure and sole structure
US10952498B2 (en) 2016-11-11 2021-03-23 Nike, Inc. Plate with foam for footwear
KR102192437B1 (ko) 2017-03-16 2020-12-17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류 물품을 위한 완충 부재 및 제조 방법
US11284671B2 (en) 2017-03-24 2022-03-29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particulate matter
ES2884263T3 (es) * 2017-08-11 2021-12-10 Puma SE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zapato
US11330863B2 (en) 2018-05-14 2022-05-17 Twisted X, Inc. Cushioning for shoe sole
WO2020125963A1 (de) 2018-12-18 2020-06-25 Puma SE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0702U (ko) * 1979-11-28 1981-06-30
US20060130363A1 (en) * 2004-12-17 2006-06-22 Michael Hottinger Shoe sole with a loose fill comfort support system
US20090313853A1 (en) * 2008-06-19 2009-12-24 Tadin Tony G Method to capture and support a 3-D contour
JP2015513354A (ja) * 2012-03-23 2015-05-11 アムフィット、インク.Amfit, Inc. 履物用ダイナミックサポ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2615B8 (en) 2020-11-18
JP6700383B2 (ja) 2020-05-27
JP2018528030A (ja) 2018-09-27
WO2017053658A1 (en) 2017-03-30
EP3352608A1 (en) 2018-08-01
CN114698896A (zh) 2022-07-05
US20220240621A1 (en) 2022-08-04
KR20180061254A (ko) 2018-06-07
EP3597068A1 (en) 2020-01-22
EP3352610B1 (en) 2023-11-08
EP3352607B1 (en) 2023-04-12
TWI752453B (zh) 2022-01-11
US20180289108A1 (en) 2018-10-11
US11490681B2 (en) 2022-11-08
CN113142742B (zh) 2022-08-26
CN108135320A (zh) 2018-06-08
US11317675B2 (en) 2022-05-03
KR20180061257A (ko) 2018-06-07
JP6977117B2 (ja) 2021-12-08
CN108348036A (zh) 2018-07-31
EP3352607A1 (en) 2018-08-01
US20220240622A1 (en) 2022-08-04
JP6657389B2 (ja) 2020-03-04
CN113142742A (zh) 2021-07-23
JP2018528029A (ja) 2018-09-27
WO2017053650A1 (en) 2017-03-30
KR102209948B1 (ko) 2021-02-01
KR20200110477A (ko) 2020-09-23
CN108348034A (zh) 2018-07-31
US10098411B2 (en) 2018-10-16
US11096444B2 (en) 2021-08-24
EP4032426A1 (en) 2022-07-27
EP3643193B1 (en) 2021-08-18
CN108348041B (zh) 2022-08-26
KR20200015844A (ko) 2020-02-12
TW202031167A (zh) 2020-09-01
US20180092432A1 (en) 2018-04-05
JP7030862B2 (ja) 2022-03-07
EP3352615B1 (en) 2019-12-25
KR102055165B1 (ko) 2019-12-12
TW201724981A (zh) 2017-07-16
EP3352612B1 (en) 2020-11-11
EP3352610A1 (en) 2018-08-01
US20200253329A1 (en) 2020-08-13
CN108135320B (zh) 2021-05-07
CN108271343A (zh) 2018-07-10
KR20180061255A (ko) 2018-06-07
EP3352615A1 (en) 2018-08-01
KR102258429B1 (ko) 2021-06-01
KR20190138707A (ko) 2019-12-13
JP7118101B2 (ja) 2022-08-15
KR102160043B1 (ko) 2020-09-28
KR102209947B1 (ko) 2021-02-01
US20190223539A1 (en) 2019-07-25
US20190223551A1 (en) 2019-07-25
JP2018528033A (ja) 2018-09-27
KR102104571B1 (ko) 2020-04-27
EP3352608B1 (en) 2020-03-11
JP7005681B2 (ja) 2022-01-21
KR20180061256A (ko) 2018-06-07
US10674788B2 (en) 2020-06-09
JP2018528028A (ja) 2018-09-27
KR20200043540A (ko) 2020-04-27
JP2020099700A (ja) 2020-07-02
JP2020114534A (ja) 2020-07-30
CN108289529B (zh) 2021-06-04
KR102128847B1 (ko) 2020-07-02
WO2017053665A1 (en) 2017-03-30
US20190216167A1 (en) 2019-07-18
KR102214239B1 (ko) 2021-02-09
WO2017053674A1 (en) 2017-03-30
EP3352611A1 (en) 2018-08-01
JP2020096872A (ja) 2020-06-25
WO2017053654A1 (en) 2017-03-30
US11229260B2 (en) 2022-01-25
EP3352612A1 (en) 2018-08-01
US20180077997A1 (en) 2018-03-22
JP6842604B2 (ja) 2021-03-17
US20190216168A1 (en) 2019-07-18
JP2018528032A (ja) 2018-09-27
KR102171615B1 (ko) 2020-10-29
EP3597068B1 (en) 2021-05-05
CN115413857A (zh) 2022-12-02
JP2020179262A (ja) 2020-11-05
TWI692322B (zh) 2020-05-01
WO2017053669A1 (en) 2017-03-30
CN108348041A (zh) 2018-07-31
JP7085987B2 (ja) 2022-06-17
US20190223550A1 (en) 2019-07-25
JP2018528031A (ja) 2018-09-27
CN108271343B (zh) 2022-03-22
US10098412B2 (en) 2018-10-16
US11304475B2 (en) 2022-04-19
KR20180061253A (ko) 2018-06-07
US11324281B2 (en) 2022-05-10
EP3643193A1 (en) 2020-04-29
CN108289529A (zh) 2018-07-17
JP6657388B2 (ja) 2020-03-04
CN108348034B (zh) 2021-09-14
US20230096885A1 (en) 2023-03-30
EP3352611B1 (en) 2022-03-23
KR102077262B1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05681B2 (ja) 部分的制限のある粒子状発泡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