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965A -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3965A
KR20160083965A KR1020167017757A KR20167017757A KR20160083965A KR 20160083965 A KR20160083965 A KR 20160083965A KR 1020167017757 A KR1020167017757 A KR 1020167017757A KR 20167017757 A KR20167017757 A KR 20167017757A KR 20160083965 A KR20160083965 A KR 20160083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packaging member
frame
packag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사오 고이시
도시키 후지노
츠토무 사카구치
마사유키 다케우치
다이지 와타나베
겐고 사카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271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08140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190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013386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3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delicate optical, measuring, calculating or control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4Closures in which a part has to be ruptured to gain access to the cont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가능한 카트리지를 포장하는 포장 부재는, 얇은 수지 재료판으로 성형되고, (ⅰ) 상기 카트리지의 진입부로서의 개구와,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제1 오목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1 규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ⅱ) 상기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덮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 규제부에 의해 위치가 규제되는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제1 규제부로부터 상기 카트리지가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PACKING MEMBER AND CARTRIDGE PACKED IN THE PACKING MEMBER}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가능한 카트리지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 부재에 관한 것이며, 그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예는,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예를 들면, 레이저 빔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 기기, 워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카트리지는, 예를 들면, 상 담지체인 전자 사진 감광체를 포함하거나, 전자 사진 감광체와 전자 사진 감광체에 작용하는 현상 수단을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적으로 조립하여 준비된 카트리지로,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가능하다.
또한, 포장 부재는 카트리지를 운반할 때에 외부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카트리지를 보호하는 데에 이용된다.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한 프린터 등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상 담지체인 전자 사진 감광체를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시키고, 그 후에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의 선택적인 노광에 의해 잠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잠상은 현상제로 현상되어, 현상제 상으로서 가시화된다. 그리고, 상기 현상제 상을 기록재(기록 매체)에 전사한다.
전사된 현상제 상에 열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현상제 상을 기록재에 정착시켜서 화상이 기록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제의 보급 및 각종 프로세스 디바이스의 메인터넌스를 수반하였다.
그러한 현상제 보급 작업 및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전자 사진 감광체, 대전 수단, 현상 수단, 클리닝 수단 등의 전부 혹은 일부를 프레임 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일체적으로 조립한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가능하게 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이 채용된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메인터넌스가 유저 자신에 의한 교환의 형태로 행해지기 때문에, 생산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었다. 이러한 탈착가능한 카트리지에서는, 유저가 카트리지를 교환한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를 꺼내고, 그 후에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환한다.
여기서, 생산 공장에서 출시된 신품의 카트리지는,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카트리지를 보호하기 위한 포장 부재에 포장된다. 그리고, 장치 본체에의 신품의 카트리지를 장착할 때에, 포장 부재를 개봉하고, 그 후에 카트리지의 파지부를 파지해서 카트리지를 포장 부재로부터 꺼낸다. 그 후에, 장치 본체에 카트리지를 장착한다.
카트리지를 포장하고,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카트리지를 보호하는 포장 부재로서는, 일본 특허 제3639834호 및 일본 특허 공개(JP-A) 평4-114173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각종 포장 부재가 있다.
이들 포장 부재 중에서, 일본 특허 공개 평4-114173호의 구성에 따르면, 포장 부재는 카트리지의 외형에 따라 압출 (성형)에 의해 준비된 부재이다. 포장 부재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고, 그 요철에 의해 카트리지가 지지된다. 또한, 포장 부재의 단부의 개구는 카트리지의 외형에 맞춰서 성형된 덮개(커버)로 덮여진다.
그러나, 일본 특허 제3639834호 및 일본 특허 공개 평4-114173의 구성은 이하와 같은 과제를 갖는다.
카트리지를 포장 부재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해서, 카트리지의 전자 사진 감광체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그 감광체의 각 단부에 별도의 부재로서 덮개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축선 방향에 대한 카트리지의 위치 규제를 행한다. 그 때문에, 포장 부재의 구성이 복잡하고, 비용이 상승하였다. 또한, 포장 부재로부터 카트리지를 꺼낼 때, 포장 부재의 측면 개구로부터 포장 부재의 덮개가 축선 방향으로 미끄러져서, 포장 부재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카트리지가 축선 방향으로 미끄러져서, 포장 부재로부터 꺼내어진다. 즉, 유저가 포장 부재로부터 카트리지를 꺼내기 위해서, 복잡한 단계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카트리지를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포장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가능한 카트리지를 포장하는, 얇은 수지 재료판으로 성형된 포장 부재이며, (ⅰ) 상기 카트리지의 진입부로서의 개구와,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제1 오목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1 규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ⅱ) 상기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덮고, 상기 제1 규제부에 의해 위치가 규제되는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제1 규제부로부터 상기 카트리지가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를 포함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포장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르면, 얇은 수지 재료판으로 성형된 포장 부재에 포장된,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가능한 카트리지이며, (ⅰ) 상기 카트리지의 진입부로서의 개구와,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제1 오목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는 제1 규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ⅱ) 상기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덮고, 상기 제1 규제부에 의해 위치가 규제되는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제1 규제부로부터 상기 카트리지가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를 포함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개구를 덮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규제부 및 상기 제2 규제부에 의해 위치가 규제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특징 및 장점과, 기타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아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설명을 고려할 때에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카트리지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카트리지의 포장 부재 내의 포장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4의 (a) 및 (b)는 실시예 1의 카트리지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6은 실시예 1에서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트레이에 대하여 탈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7은 실시예 1의 현상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8의 (a) 및 (b)는 실시예 1의 포장 부재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9의 (a) 및 (b)는 실시예 1에서 카트리지가 포장 부재로부터 탈거가능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10은 실시예 1의 포장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11의 (a) 및 (b)는 실시예 1에서 카트리지가 포장된 포장 부재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2는 실시예 1에서 카트리지가 포장된 포장 부재의 개봉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3의 (a) 및 (b)는 실시예 2의 현상 디바이스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14는 실시예 2에서 현상 디바이스가 장치 본체에 대하여 탈착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5는 실시예 2에서 현상 디바이스가 포장된 포장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6은 실시예 3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7은 실시예 3의 포장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18은 실시예 3에서 카트리지가 포장된 포장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9 및 도 20은 실시예 3의 포장 부재의 개봉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1 및 도 22는 실시예 4의 포장 부재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3은 실시예 4의 포장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4는 실시예 5의 포장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5는 실시예 5의 포장 부재의 개봉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6은 실시예 6의 포장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7은 실시예 6의 포장 부재의 개봉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8은 비교예의 포장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9는 비교예의 포장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서, 4개의 카트리지가 탈착가능한 풀 컬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예시한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개수는 4개에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대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노크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개수는 1개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 프린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복사기, 팩시밀리 기기 및 이들 기기의 기능을 조합하여 갖는 복합기 등의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
우선, 도 2는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한 4색 풀 컬러 레이저 프린터이며, 기록재 S에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이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2)에 탈착가능하게 되고, 기록재 S에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에 관해서, 개폐 도어(3)가 마련된 측(면)을 정면 측(면)이라고 하고, 상기 정면 측(면)과 반대 측(면)을 배면 측(면)이라고 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를 정면에서 보아서 우측을 구동측, 좌측을 비구동측이라고 한다.
장치 본체(2)에는 제1 카트리지 PY, 제2 카트리지 PM, 제3 카트리지 PC 및 제4 카트리지 PK로 구성되는 4개의 카트리지 P가 수평 방향으로 마련되어 정렬된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 각각은 동일한 전자 사진 프로세스 기구를 가지지만, 서로 색이 다른 현상제(토너)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에는 장치 본체(2)의 구동 출력부(도시 생략)로부터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에는 장치 본체(2)로부터 바이어스 전압(대전 바이어스, 현상 바이어스 등)이 공급된다(도시 생략).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 각각은 전자 사진 감광체(이하, 감광체 드럼이라고 칭한다)(4)를 포함하고, 이 감광체 드럼(4)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대전 수단 및 클리닝 수단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을 클리닝 유닛(8)으로 칭한다.
또한,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 각각은 감광체 드럼(4)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인 현상 디바이스(9)를 포함한다.
클리닝 유닛(8)과 현상 디바이스(9)는 서로 결합된다. 대전 수단으로서는 대전 롤러(5)가 사용된다. 클리닝 수단으로서는 클리닝 블레이드(7)가 사용된다. 현상 수단으로서는 현상제 담지체(이하, 현상 롤러라고 칭한다)(6)가 사용된다. 카트리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프로세스 카트리지 PY는 그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9) 내에 옐로우(Y)의 토너를 수용하고, 감광체 드럼(4)의 표면에 옐로우의 토너 상을 형성한다. 제2 프로세스 카트리지 PM은 그 현상 프레임(29) 내에 마젠타(M)의 토너를 수용하고, 감광체 드럼(4)의 표면에 마젠타의 토너 상을 형성한다. 제3 프로세스 카트리지 PC는 그 현상 프레임(29) 내에 시안(C)의 토너를 수용하고, 감광체 드럼(4)의 표면에 시안의 토너 상을 형성한다. 제4 프로세스 카트리지 PK는 그 현상 프레임(29) 내에 블랙(K)의 토너를 수용하고, 감광체 드럼(4)의 표면에 블랙의 토너 상을 형성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프로세스 카트리지 P(PY, PM, PC, PK)의 상방에는 노광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스캐너 유닛 LB가 마련되어져 있다. 이 레이저 스캐너 유닛 LB는 화상 정보에 대응해서 레이저 광 Z를 출력한다. 그리고, 레이저 광 Z는 각 카트리지 P의 노광 윈도우부(10)를 통과해서, 감광체 드럼(4)의 표면이 레이저 광 Z에 주사 노광된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PM, PC, PK)의 하방에는 전사 부재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이 마련되어져 있다. 이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은 구동 롤러(13), 턴 롤러(14) 및 텐션 롤러(15)를 포함하고, 롤러에 의해 펼쳐져서 걸쳐진 전사 벨트(12)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 각각의 감광체 드럼(4)은, 그 하면이 전사 벨트(12)의 상면에 접하고 있다. 그 결과적인 접촉부가 1차 전사부이다. 전사 벨트(12)의 내측에는 관련된 감광체 드럼(4)에 대향하여 1차 전사 롤러(16)가 마련되어 있다. 턴 롤러(14)에 대향해서, 2차 전사 롤러(17)가 전사 벨트(12)와 접촉해서 설치된다. 그 결과로서의 전사 벨트(12)와 2차 전사 롤러(17)의 접촉부가 2차 전사부이다.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의 하방에는 급지 유닛(18)이 마련되어져 있다. 이 급지 유닛(18)은 기록재 S의 용지가 적재된 급지 트레이(19)를 포함하고, 급지 롤러(20) 등을 포함한다.
도 2의 장치 본체(2)의 좌측 상부에는, 정착 유닛(21) 및 배지 유닛(22)이 마련되어져 있다. 장치 본체(2)의 상면에서 배지 트레이(23)가 규정된다.
기록재 S에는 정착 유닛(21)에 마련되어진 정착 수단에 의해 토너 상이 정착되고, 그 후에 기록재 S는 배지 트레이(23)에 배출된다.
<화상 형성 동작>
다음으로,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의 감광체 드럼(4)이 미리 정해진 속도로 (도 3에서의 화살표 D 방향 및 도 2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전사 벨트(12)도 감광체 드럼(4)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도 2에서의 화살표 C 방향)으로 감광체 드럼(4)의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레이저 스캐너 유닛 LB도 구동된다. 레이저 스캐너 유닛 LB의 구동에 동기하여, 각 카트리지 P의 감광체 드럼(4)의 표면은 대전 롤러(5)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극성 및 미리 정해진 전위로 전기적으로 대전된다. 스캐너 유닛 LB는, 관련된 신호에 따라서, 각 감광체 드럼(4)의 표면을 레이저 광 Z로 주사 노광한다. 그 결과, 각 감광체 드럼(4)의 표면에 관련 색의 화상 신호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정전 잠상은 미리 정해진 속도로 (도 3에서의 화살표 E 방향, 또는 도 2에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현상 롤러(6)에 의해 현상된다.
상기와 같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 동작에 의해, 제1 카트리지 PY의 감광체 드럼(4)에는 풀 컬러 화상의 옐로우 성분에 대응하는 옐로우 토너 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토너 상이 전사 벨트(12) 위로 1차 전사된다.
마찬가지로, 제2 카트리지 PM의 감광체 드럼(4)에는 풀 컬러 화상의 마젠타 성분에 대응하는 마젠타 토너 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토너 상이 전사 벨트(12) 위로 이미 전사된 옐로우 토너 상에 중첩되어서 1차 전사된다.
마찬가지로, 제3 카트리지 PC의 감광체 드럼(4)에는 풀 컬러 화상의 시안 성분에 대응하는 시안 토너 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토너 상이 전사 벨트(12) 위에 이미 전사된 옐로우 및 마젠타 토너 상에 중첩되어서 1차 전사된다.
마찬가지로, 제4 카트리지 PK의 감광체 드럼(4)에는 풀 컬러 화상의 블랙 성분에 대응하는 블랙 토너 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토너 상이 전사 벨트(12) 위에 이미 전사된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토너 상에 중첩되어서 1차 전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사 벨트(12) 위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4색 풀 컬러 화상의 미정착 토너 상이 형성된다.
한편, 미리 정해진 제어 타이밍에서, 기록재 S의 용지가 1매씩 분리되어서 급지된다. 그 기록재 S는, 미리 정해진 제어 타이밍에서 2차 전사 롤러(17)와 전사 벨트(12)의 접촉부인 2차 전사부에 도입된다. 그 결과, 기록재 S가 2차 전사부에 반송되는 과정에서, 전사 벨트(12) 상의 중첩된 4색 토너 상이 기록재 S의 표면에 일괄 전사된다.
<카트리지의 구성>
도 4의 (a) 및 (b)는 각각의 카트리지 P(PY, PM, PC, PK)를 다른 각도(방향)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다. 아래의 설명에서, 각각의 카트리지 P(PY 내지 PK)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일괄하여 카트리지 P로 표기한다.
카트리지 P는 감광체 드럼(4)의 회전 축선 a의 방향을 길이 방향(화살표 X 방향)으로 하여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직방체 형상이며, 클리닝 유닛(8), 현상 디바이스(9), 구동측 커버 부재(24) 및 비구동측 커버 부재(25)를 포함한다.
도 4의 (a)는 카트리지 P를 구동 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비구동 측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카트리지 P는, 클리닝 유닛(8)에 고정된 구동측 커버 부재(24) 및 비구동측 커버 부재(25)가 현상 디바이스(9)의 요동 중심(도 4의 (a)에서 일점쇄선에 의해 표시된 축선 a)을 중심으로 현상 디바이스(9)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2 프레임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세 내용은 후술하지만, 현상 디바이스(9)는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소정 방향(도 3에서의 화살표 W1 방향)으로 가압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유닛(드럼 유닛)(8)은 감광체 드럼(4), 대전 롤러(5), 클리닝 블레이드(7)를 포함하는 클리닝 용기(26) 및 파지부(45)에 의해 구성된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4)은 구동측 커버 부재(24) 및 비구동측 커버 부재(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드럼 구동 커플링(4a)으로부터 장치 본체(2)의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력을 얻어서 회전 구동된다(도 3에서의 화살표 D 방향).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전 롤러(5)는 클리닝 용기(26)의 대전 롤러 베어링(27)에 의해 그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감광체 드럼(4)의 표면에 접촉해서 감광체 드럼(4)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 이때, 감광체 드럼(4)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기 위해, 대전 롤러(5)의 단부 각각은 대전 롤러 가압 스프링(28)에 의해 감광체 드럼(4)에 대해 가압된다. 클리닝 블레이드(7)는 클리닝 용기(26)에 고정되고, 그 탄성 고무 단부가 감광체 드럼(4)의 회전 방향(도 3에서의 화살표 D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접촉되어서 배치된다. 화상 형성 시에는, 클리닝 블레이드(7)가 감광체 드럼(4) 위에 잔류하는 전사 잔여 토너를 긁어내어 감광체 드럼(4)의 표면을 클리닝한다. 이때, 전사 잔여 토너를 완전히 긁어내기 위해서 클리닝 블레이드(7)의 단부는 감광체 드럼(4)의 표면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접촉된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7)에 의해 감광체 드럼(4)의 표면으로부터 긁어내어진 전사 잔여 토너는, 폐기(잔여) 토너로서 클리닝 용기(26)의 잔여 토너 수용부(26a)에 수용된다. 그것을 위해, 클리닝 용기(26)에는, 감광체 드럼(4) 또는 클리닝 블레이드(7)와의 틈으로부터 잔여 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잔여 토너 회수 시트 부재(70)가 감광체 드럼(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고정된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7)의 길이 방향 단부 각각에 클리닝 블레이드 단부 시일 부재(도시 생략)가 마련되어져 있다.
파지부(45)는 유저가 카트리지 P를 파지하는 부분이며, 클리닝 용기(26)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또는 별도의 부분으로서 장착된다. 단, 화상 형성 장치(1)의 구성에 따라서는, 후술하는 장치 본체(2)에 대한 카트리지 P의 탈착 자세가 본 실시예와 상이한 경우가 있다. 그 경우, 파지부(45)는 현상 프레임(29)에 설치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 P는 실질적으로 직방체이다. 6개의 면 중에서, 면(58)은, 앞서 서술한 감광체 드럼(4)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으로의 토너 상의 전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노출부(4b)를 포함한다. 면(58)로부터 대향하는 면(59)은 상술한 파지부(45)를 포함한다.
또한, 도 4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P는, 후술하는 포장 부재(46)에 카트리지 P가 포장되었을 때, 포장 부재(46) 내에서의 위치가 규제되는 부분으로서 이하의 부분을 포함한다. 즉, 제1 피규제부(24b, 25b, 24g, 25g)는 포장 부재(46)에 대하여 연직 하방향(Z2 방향) 및 수평 방향(Y1 및 Y2 방향)에 대한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제2 피규제부(26c)는 포장 부재(46)에 대하여 연직 상방향(Z1 방향)에 대한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제3 피규제부(24f, 25f)는 카트리지 P의 길이 방향(즉, 감광체 드럼(4)의 축선 방향, X1 및 X2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한편, 상기의 각 피규제부를 이용한 카트리지 P의 포장 부재(46) 내에서의 위치 규제에 관해서는 후에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카트리지의 탈착 구성>
다음으로,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에 대한 탈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카트리지 트레이(43)가 장치 본체(2)로부터 당겨 내어져서 카트리지 P가 카트리지 트레이(43)에 탈착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카트리지 P가 카트리지 트레이(43)에 대하여 탈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 내에는 카트리지 P가 장착가능한 카트리지 트레이(43)가 마련되어져 있다. 카트리지 트레이(43)는 장치 본체(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인 G1, G2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밀고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카트리지 트레이(43)는 장착 위치에 있을 수도 있으며, 카트리지 트레이(43)가 장착 위치부터 당겨 내어진 풀 아웃 위치(pulled-out position)에 있을 수도 있다.
우선,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에의 장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폐 도어(3)를 열고, 그 후에 카트리지 트레이(43)를 도 5에서의 화살표 G1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풀 아웃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 P는 화살표 H1 방향으로부터 카트리지 트레이(43)에 장착되어서 유지된다. 카트리지 P를 유지하는 카트리지 트레이(43)는 도 5에 도시된 화살표 G2 방향으로 이동되어, 카트리지 트레이(43)는 장착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개폐 도어(3)가 닫힘으로써,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에의 장착 동작이 완료한다.
다음으로,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로부터의 탈거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에의 장착 동작과 마찬가지로, 카트리지 트레이(43)는 풀 아웃 위치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 P가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H2 방향으로 탈거되어,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로부터의 탈거 동작이 완료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카트리지 P는 장치 본체(2)에 탈착가능하다. 한편, 포장 부재(46)로부터 장치 본체(2)에 카트리지 P를 장착하는 과정은 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현상 디바이스의 구성>
도 3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디바이스(9)는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6)가 회전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하는 가로로 긴 형상을 갖는다. 현상 롤러(6) 이외에, 현상 디바이스(9)는 현상 프레임(29), 현상 블레이드(31), 현상 디바이스 단부 시일 부재(34R, 34L), 가요성 시트 부재(35) 및 공급 롤러 축 시일(37R, 37L)에 의해 구성된다(도 7).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프레임(29)은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실(29c)을 포함하고, 토너 수용실(29c)로부터 토너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구(29b)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6) 및 현상제 공급 롤러(33)는 개구(29b)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6)의 축의 단부(코어 재료(6a))는 현상 프레임(29)의 측면에 장착되는 구동측 베어링(38) 및 비구동측 베어링(3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현상 롤러(6)의 코어 재료(6a) 및 현상제 공급 롤러(33)의 코어 재료(33a)의 구동측 단부에는, 현상 롤러 기어(40) 및 공급 롤러 기어(41)가 각각 배치되고, 현상 디바이스 구동 입력 기어(42)에 의해 맞물린다. 현상 디바이스 구동 입력 기어(42)는 현상 디바이스 구동 커플링(42a)을 포함하고 있어, 장치 본체(2) 측의 구동 출력 커플링(도시 생략)과 결합하여 장치 본체(2)의 구동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현상 롤러(6)와 현상제 공급 롤러(33)가 미리 정해진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현상 블레이드(31)는 두께 약 0.1mm의 탄성을 갖는 금속 박판이며, 현상 블레이드(31)의 폭 방향의 자유단은 현상 롤러(6)의 회전 방향(도 3에서의 화살표 E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접촉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디바이스 단부 시일 부재(34R, 34L)는 현상 프레임(29)의 개구의 단부에 배치되어, 현상 블레이드(31) 및 현상 롤러(6) 각각과, 제2 프레임인 현상 프레임(29) 사이의 틈으로부터의 토너 누설을 방지한다. 또한, 가요성 시트 부재(35)는, 상기 시트 부재(35)가 현상 프레임(29)의 개구에서의 현상 블레이드(31)와 대향하는 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현상 롤러(6)와 접촉하여 배치되어, 현상 프레임(29)과 현상 롤러(6) 사이의 틈으로부터의 토너의 누설을 방지한다. 또한, 공급 롤러 축 시일 부재(37R, 37L)는 현상제 공급 롤러(33)의 코어 재료(33a)의 현상 프레임(29)의 외측에 노출된 부분에 장착되어, 현상 프레임(29)에 마련되어진 코어 재료 관통 구멍(29d)과 코어 재료(33a) 사이의 틈으로부터의 토너 누설을 방지한다.
현상 디바이스(현상 유닛)(9)는, 도 4에 도시된 요동 중심(축선 a)을 중심으로 하여, 현상 롤러(6)가 감광체 드럼(4)에 접촉하는 방향(도 3에서의 화살표 W1 방향)으로 가압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항상 가압되고 있다. 화상 형성 시에는, 구동에 의해, 현상제 공급 롤러(33) 및 현상 롤러(6)가 회전하여 서로 마찰되어서, 현상 프레임(29) 내의 토너가 현상 롤러(6) 상에 담지된다. 현상 블레이드(31)는 현상 롤러(6)의 주위면에 형성되는 토너층의 두께를 규제함과 동시에, 접촉 압력에 의해 현상 롤러(6)와의 사이에 생성되는 마찰 전하를 토너에 부여한다. 그리고, 현상 롤러(6)와 감광체 드럼(4) 사이의 접촉부에서, 현상 롤러(6) 상의 대전된 토너가 정전 잠상 상에 부착되어, 정전 잠상이 현상된다.
또한, 비 화상 형성 시에는, 현상 롤러(6)가 감광체 드럼(4)으로부터 이격하여, 그 표면의 변형을 막는다. 즉, 현상 디바이스(9)는 클리닝 유닛(8)에 대하여 이동가능해서 현상 롤러(6)를 감광체 드럼(4)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포장 부재의 구성>
포장 부재(46)의 구성에 대해서 도 1,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서의 카트리지 P의 포장 부재(46) 내의 포장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각각 본 실시예의 포장 부재(46)를 다른 각도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각각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 P의 포장 부재(46)로부터 탈거가능한 상태를 다른 각도에서 본 개략 사시도이다. 여기서, 포장 부재(46)의 길이 방향은, 포장 부재(46)에 카트리지 P가 수납되는 때의 카트리지 P의 길이 방향(X1 및 X2 방향)과 동일하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서의 포장 부재(46)의 카트리지 포장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 부재(46)는 프레임부(47), 덮개부(48) 및 힌지부(49)로 구성된다. 프레임부(47) 및 덮개부(48)는, 힌지부(49)의 회전 축(49a)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도 1). 포장 부재(46)를 구성하는 프레임부(47), 덮개부(48) 및 힌지부(49) 각각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수지 재료)의 박판(시트)에 의해 구성된다. 성형 방법으로서, 수지 재료는 진공 성형, 압공 성형, 진공 압공(vacuum air-pressure) 성형, 인발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진공 성형에서는, 가열된 수지 시트가 형에의 흡인에 의해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성형된다. 압공 성형에서는, 가열된 수지 시트가 압축된 공기의 힘의 인가 하에 형에 밀착되어서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성형된다. 진공 압공 성형에서는, 진공 성형과 압공 성형을 병용해서 가열된 수지 시트가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성형된다. 인발 (성형)에서는, 가열된 수지 시트가 암형에 고정되고, 그 후에 수형을 암형에 대하여 밀어서 수지 시트를 압축하여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성형된다. 사출 성형에서는, 암형과 수형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용융된 수지 재료가 사출되어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성형된다. 진공 성형 및 압공 성형은, 인발 (성형) 및 사출 성형과 비교하여, 저비용으로 수지 재료를 성형된 부품으로 성형할 수 있으나, 성형된 제품의 치수 정밀도에서는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진공 압공 성형을 이용함으로써, 진공 성형 및 압공 성형 각각이 단독으로 이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치수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단, 진공 성형을 이용함으로써, 수지 재료가 저비용으로 성형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47)는 제1 개구(47c1)가 배치된 오목 형상의 제1 오목부(47c)를 포함한다. 또한, 덮개부(48)는 제2 개구(48b1)가 배치된 오목 형상의 제2 오목부(48b)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부(47) 및 덮개부(48)에는 제1 오목부(47c) 및 제2 오목부(48b)를 각각 둘러싸도록 플랜지부(47a, 48a)가 형성된다. 프레임부(47) 및 덮개부(48)는 힌지부(49)에서 결합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덮개부(48)는, 덮개부(48)가 프레임부(47)의 제1 개구(47c1)를 덮을 수 있는 폐쇄 위치(도 1, 도 11)와, 제1 개구(47c1)가 개방될 수 있는 개방 위치(도 12)에 위치할 수 있다.
포장 부재(46) 내의 카트리지 P의 장착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트리지 P는, 도 9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 부재(46)의 프레임부(47)에 제1 상태로 지지된다. 이것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제1 상태에서는, 도 9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개구(47c1)를 통해 화살표 Z2 방향으로 포장 부재(46)에 삽입된 카트리지 P가 프레임 부재(46)에 탈착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제1 상태에서는, 카트리지 P가 프레임부(47)에 의해 유지되고, 프레임부(47)는 카트리지 P의 감광체 드럼(4)의 노출부(4b)(도 4의 (b))를 덮는다. 또한, 이러한 제1 상태에서, 감광체 드럼(4)의 노출부(4b)는 프레임부(47)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고, 유저는 카트리지 P의 파지부(45)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a) 및 (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덮개부(48)가 프레임부(47)에 대하여 힌지부(49)의 회전축(49a)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48)의 플랜지부(48a)가 프레임부(47)의 플랜지부(47a)와 접촉한다. 그 후에, 프레임부(47)의 플랜지부(47a)와, 덮개부(48)의 플랜지부(48a)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접합된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47)의 제1 오목부(47c)와 덮개부(48)의 제2 오목부(48b)가 함께 결합부(46a)(도 1, 도 10)를 형성한다. 그리고, 포장 부재(46)의 내부에 수납 공간(46b)이 만들어져서, 포장 부재(46)는 그 수납 공간(46b)에 카트리지 P가 수용될 수 있는 제2 상태(포장 상태)가 된다(도 10). 이러한 제2 상태에서, 덮개부(48)의 제2 오목부(48b)는 실질적으로 직방체인 카트리지 P의 파지부(45)를 수납하도록 카트리지 P의 전체, 또는, 카트리지 P의 일부를 덮는다. 또한, 결합부(46a)는 힌지부(49)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개봉부(46a1)를 포함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유저는 결합부(46a)의 개봉부(46a1)로부터 포장 부재(46)를 푼다(개봉한다). 또한, 프레임부(47)와 덮개부(48)가 개봉부(46a1)에 접합되지 않는 구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포장에 의해, 카트리지 P 전체가 프레임부(47) 및 덮개부(48)로 덮여져서 포장 상태에 놓이게 된다(도 1 및 도 10). 또한, 도 1에서는, 카트리지 P를 수용하기 위하여 프레임부(47)의 플랜지부(47a)와 덮개부(48)의 플랜지부(48a)가 서로 결합되는 결합부(46a)는, 카트리지 P를 길이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높이 c의 대략 1/2의 위치에 형성되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결합부가 카트리지 P의 높이 c의 상부 지점 위에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카트리지 P는 실질적으로 직방체이며, 포장 부재(46)는 유사한 형상인 프레임부(47) 및 덥개부(48)를 포함한다. 그러나, 카트리지 P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고, 카트리지 P의 전체, 혹은, 카트리지 P의 보호되어야 할 일부가 포장 부재(46)로 에워싸져 있으면, 포장 부재도 어떠한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프레임부(47)의 플랜지부(47a)와 덮개부(48)의 플랜지부(48a)의 접합 수단으로서는, (열) 용착 접착 접합, 양면 테이프 접합, 후킹(hooking)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접합 수단은 플랜지부(47a, 48a)가 서로 접합될 수 있을 것만이 요구되고, 상기 수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프레임부(47)와 덮개부(48)가 별개의 부재이며, 플랜지부(47a, 48a)가 서로 접합되는 구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포장 상태에서, 포장 부재(46)에 의한 카트리지 P의 위치 규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트리지 P의 X1 및 X2 방향에 대한 위치 규제를 행하기 위해서, 도 8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47)의 내면의, 카트리지 P의 길이 방향 단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한 쌍의 제3 규제부(47f)가, 도 9의 (a) 및 (b)에 도시되는 카트리지 P의 제3 피규제부(24f, 25f)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P의 X1 및 X2 방향에 대한 위치는, 앞서 설명한 제1 상태로 규제된다. 또한,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카트리지 P의 Y1, Y2 방향 및 Z2 방향에 대한 위치 규제를 행하기 위해서, 포장 부재(46)는 도 8의 (a) 및 (b)에 도시하는 프레임부(47)의 상부 면에 형성된 제1 규제부(47g, 47b)를 포함한다. 여기서, Z2 방향에서, 카트리지 P는 프레임부(47)에 진입한다. 또한, Y1, Y2 방향은 카트리지 P의 길이 방향과 교차(직교)하고, 카트리지 P가 프레임부(47)에 진입하는 Z2 방향과 교차(직교)하는 방향이다.
그리고, 도 9의 (a) 및 (b)에 도시하는 제1 피규제부(24g, 25g, 24b, 24a)에 제1 규제부(47g, 47b)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P의 Y(Y1 및 Y2) 방향의 위치는 앞서 설명한 제1 상태로 규제된다. 또한, 도 8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48)에 제2 규제부(48c)가 형성된다. 또한, 도 9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규제부(48c)는 포장 부재(46)의 포장 상태(제2 상태)에서 카트리지 P의 제2 피규제부(20c)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카트리지 P에 대하여, 포장 상태(제2 상태)에서, 제2 피규제부(26c)가 덮개부(48)의 제2 규제부(48c)와 접촉한다. 그 결과, 카트리지 P가 제1 규제부(47b)로부터 이격되는 Z1 방향으로의 카트리지 P의 이동이 규제되어, 카트리지의 위치 규제가 이루어진다. 즉, 도 9의 (a) 및 (b)에 도시하는 제1 상태에서는, 카트리지 P가 중력의 방향에 반대인 Z1 방향에서는 규제되지 않는다. 상술한 포장 상태(제2 상태)에서, 포장 부재(46)는 도 8에 나타내는 규제부(47f, 47b, 48g, 47g) 이외의 부분에서는 카트리지 P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포장 부재(46)는 운반 시에 진동 및 충격이 발생했을 때, 각 규제부 이외의 부분에서 탄성 변형 및 소성 변형이 발생하여, 포장 부재(46)는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포장 부재(46)는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을 감광체 드럼(4) 및 프로세스 수단에 직접 전달하지 않아서, 카트리지 P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감광체 드럼(4)을 보호하는 드럼 셔터를 카트리지 P로부터 없애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포장 부재(46)의 각 규제부는, 카트리지 P의 감광체 드럼(4) 상에 정전 잠상이 형성될 영역 내의 위치가 아니라면, 카트리지 P의 어느 위치에 접촉해도 된다. 예를 들면, 규제 부재가 현상 프레임(29)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제3 피규제부(24b, 25b)의 강성이 클 경우, 운반 시의 충격 등에 의해 카트리지 P가 적게 파손된다. 또한, 제1 상태에서, 이미 카트리지 P는 포장 부재(46)의 프레임부(47)에 의해 X1, X2, Y1, Y2 및 Z1 방향이 위치 규제된다. 즉, 포장 부재(46)에 카트리지 P를 고정하기 위해서, 포장 부재(46)의 상태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변경될 때에, 카트리지 P는 덮개부(48)로 덮여지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규제부(47f, 47b, 48c, 47g)는 포장 부재(46) 내에 형성되지만,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디바이스(9)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리닝 유닛(8)에 고정된 구동측 커버 부재(24) 및 비구동측 커버 부재(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때문에,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디바이스(9)는, 카트리지 P의 운반 시에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가압력에 거슬러서 시계 방향(화살표 W2 방향)으로 회동할 가능성이 있다. 이때, 현상 디바이스(9)가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는 자세로 현상 디바이스(9)가 복귀되는 회동 운동이 현상 디바이스(9)에 발생하여, 현상 디바이스(9)가 클리닝 유닛(8)에 충돌하고, 그 후에 감광체 드럼(4)과 현상 롤러(6) 간의 마찰 메모리가 화상 불량으로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현상 디바이스(9)가 스프링 등의 가압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에 관해서 서술했지만, 현상 디바이스(9)가 가압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에서도, 카트리지 P의 운반 시에, 마찬가지의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 P의 운반 시에 부재(46) 내에서의 현상 디바이스(9)가 클리닝 유닛(8)에 대하여 이동하기 어려운 고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의 (a) 및 (b)는 카트리지 P가 포장 부재(46)에 포장된 포장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현상 디바이스(9)가 클리닝 프레임(유닛)(8)에 대하여 스프링(도시 생략) 등에 의해 반시계 방향(화살표 w1 방향)으로 가압되고, 현상 롤러(6)가 감광체 드럼(4)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 11의 (b)는, 현상 디바이스(9)가 클리닝 프레임(8)에 대하여 가압력을 거슬러서 시계 방향(화살표 w2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현상 디바이스(9)는 제4 피규제부(29d)를 포함한다. 또한, 포장 부재(46)의 덮개부(48)는 그 내에 형성된 제4 규제부(48d)를 포함한다. 즉,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축선 a(도 4의 (a))를 중심으로 한 반시계 방향(화살표 w1 방향)에 대하여, 제4 피규제부의 하류 측에 제4 규제부(48d)가 배치된다. 따라서, 포장 부재(46) 내에 카트리지 P가 포장되었을 때에, 제4 규제부(48d)에 의해 현상 디바이스(9)의 제4 피규제부(29d)가 지지되어, 현상 디바이스(9)의 시계 방향(도 11의 (b)의 화살표 W2 방향)에서의 과도한 회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 같이, 현상 디바이스(9)의 일부로서 제4 피규제부(29d)를 마련하고, 포장 부재(46)의 덮개부(48)의 일부로서 제4 규제부(48d)를 형성함으로써, 현상 디바이스(9)의 시계 방향 방향(도 11의 (b)의 화살표 W2 방향)의 과도한 회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P의 운반 시에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한 현상 디바이스(9)와 클리닝 유닛(8) 간의 충돌의 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현상 롤러(6)와 감광체 드럼(4) 간의 마찰(미끄러짐)에 의한 감광체 드럼(4) 상의 메모리의 정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파지부와 포장 부재의 관계>
카트리지 P의 파지부(45)와 포장 부재(46)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트리지 P는 클리닝 유닛(8)의 일부로서 마련된 파지부(45)를 포함하고, 클리닝 유닛(8), 현상 디바이스(9) 및 힌지부(49)가 이 순서대로 Y1 방향으로 배열되는 자세로 포장된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파지부(45)는 현상 디바이스의 일부로서 마련되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 카트리지 P는 힌지부(49), 클리닝 유닛(8) 및 현상 디바이스(9)가 Y1 방향으로 배열되는 자세로 포장된다.
포장 부재(46)로부터의 카트리지 P의 탈거 동작에 대해서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포장 부재(46)로부터 카트리지 P가 탈거(제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카트리지 P의 취득 동작은, 덮개부(48)의 개봉, 파지부(45)의 파지, 카트리지 P의 탈거 및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에의 장착의 순서로 행하여진다.
도 10에서, 유저는 프레임부(47)와 개방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부(48)의 결합부(46a)를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개봉부(46a1)로부터 분리한다. 즉, 플랜지부(47a)가 배치된 결합부(46a)로부터 플랜지부(48a)가 분리된다. 그리고, 유저는 덮개부(48)를 힌지부(49)의 회전축(49a)을 축으로 하여 도 12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덮개부(48)의 약 180°의 회동에 의해, 카트리지 P가 탈거가능한 상태로 되어(도 12), 덮개부(48)의 개봉 동작이 완료한다. 또한, 카트리지 P가 탈거가능하면, 덮개부(48)는 180° 회동하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유저는, 힌지부(49)가 전방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개봉부(46a1)가 전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포장 부재(46)의 개봉 작업을 용이하게 행한다. 아래에서, 유저에 의한 개봉은 포장 부재(46)의 개봉부(46a1)가 전방에 배치된 상태로 행해진다.
다음으로, 유저는 파지부(45)를 파지한다. 유저에 의한 파지부(45)의 파지는, 유저가 덮개부(48)를 회동시킨 후에 파지부(45)를 파지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파지부(45)는 개봉부(46a1) 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유저는 덮개부(48)가 개봉되었을 때에 파지부(45)를 용이하게 인식하고, 덮개부(48)에 의한 파지 동작을 저해하지 않고서 파지부(45)의 파지를 부드럽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트리지 P의 탈거 이후의 장치 본체(2)에의 장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동작은, 유저가 도 12에서 나타내는 화살표 J 방향으로 카트리지 P를 이동시켜 카트리지 P를 탈거하고, 장치 본체(2)에 카트리지 P를 장착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유저가 장치 본체(2)에 카트리지 P를 장착할 때, 유저는 도 5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트레이(43)를 당겨 내는 방향 G1에 대하여 장치 본체(2)보다 하류 측에 위치한다. 또한, 유저가 카트리지 P를 장치 본체(2)에 장착할 때의 카트리지 P의 자세는, 당겨 내는 방향 G1에 대하여 클리닝 유닛(8)이 현상 디바이스(9)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자세이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P의 장착 방향 H1에서, 하류 측에 감광체 드럼(4)이 존재하고, 상류 측에 파지부(45)가 위치하는 자세이다. 이 자세는 유저가 포장 부재(46)에 수용되어 있는 카트리지 P의 파지부(45)를 파지할 때의 카트리지 P의 자세와 같다. 즉, 유저는, 유저가 포장 부재(46)로부터 카트리지 P를 탈거한 그대로의 자세로 카트리지 P를 장치 본체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카트리지 P를 탈거한 후에 장치 본체(2)에 장착하는 동안에, 카트리지 P를 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바꿔 쥐고, 손목이 비틀리는 등의 불편함이 없어져서, 편의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 부재(46)는, 운반 시에 진동 및 충격이 발생했을 때, 각 규제부 이외의 부분에 탄성 변형 및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게 하여,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포장 부재(46)는 카트리지 P를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카트리지 포장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포장 부재(46)는 박판의 수지 재료 시트를 진공 성형 등의 처리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골판지 및 발포 스티렌 등의 완충 재료를 함께 이용한 포장 방법에 비해, 공간을 절약하면서 카트리지 P를 포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카트리지 P는 감광체 드럼(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클리닝 프레임인 제1 프레임(8)과, 제1 프레임(8)에 의해 지지되어 프로세스 수단을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인 제2 프레임(9)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포장 부재(46)는 제2 프레임(9)의 수납 공간(46b) 내에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4 규제부(48d)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P는, 프로세스 수단이 감광체 드럼(4)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제2 프레임(9)의 회전이 규제되어,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이 억제된다.
또한, 카트리지 P는, 감광체 드럼(4)으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포장 부재로부터 카트리지 P를 탈거하기 위해 파지되는 파지부(45)를 갖는다. 이때, 감광체 드럼(4)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프레임부(47) 측에 감광체 드럼(4)이 배치되고, 덮개부(48) 측에 파지부(45)가 배치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포장 부재(46)로부터의 카트리지 P의 개봉 시에, 편의성을 손상시키지 않고서 포장 부재(46)로부터 카트리지 P를 탈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P가 실질적으로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감광체 드럼(4)의 노출부로부터 대향하는 면에 파지부(45)가 배치되는 구성이 이용되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 P가 포장 부재(46)에 포장될 때, 프레임부(47)의 제1 오목부(47c)에 노출부(4b)가 수용되고, 덮개부(48)의 제2 오목부(48b)에 파지부(45)가 수용되는 것과 같은 구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는 실질적으로 삼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삼각면 이외의 면에 노출부가 마련된다. 이때, 파지부는 노출부 측으로부터 대향하지 않는 면에 배치된다. 이 경우에도, 카트리지가 포장 부재에 포장되었을 때에, 프레임부의 오목부에 노출부가 수용되고, 덮개부의 오목부에 파지부가 수용되는 구성이 이용되기만 하면 된다.
(실시예 2)
도 13 내지 도 15를 이용하여 실시예 2를 설명한다.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에서 클리닝 유닛(8) 및 현상 디바이스(9)로 각각 구성되는 카트리지 P를 대신하여, 현상 디바이스만으로 각각 구성된 카트리지 Q(QY, QM, QC, QK)가 이용된다. 그 때문에, 실시예 1 및 2에 중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
우선, 도 14는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한 4색 풀 컬러 레이저 프린터이며, 기록재 S에 컬러 화상 형성을 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Q를 장치 본체(102)에 탈착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기록재 S에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단,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Q를 장치 본체(102)에 탈착가능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이 이용되지만, 본 발명이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클리닝 유닛(8)이 장치 본체(102)에 탈착가능하게 되는 구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장치 본체(102)의 그 밖의 부품은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기호로 표시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카트리지의 구성>
도 13의 (a) 및 (b)는 각각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 Q를 도시하는 사시도인데, (a)는 구동 측에서 본 카트리지 Q의 개략 사시도이고, (b)는 비구동 측에서 본 카트리지 Q의 개략 사시도이다. 카트리지 Q는 파지부(145)를 포함한다. 파지부(145)는 유저가 파지하는 부분이며,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129) 상에 일체적으로, 또는 별도의 부재로서 장착된다. 또한, 카트리지 Q는 실질적으로 직방체이다. 6개의 면 중에서, 면(158)은 현상 롤러(6) 상의 토너를 이용하여 감광체 드럼(4)에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노출부(6b)를 포함한다. 면(158)으로부터 대향하는 면(159)은 상술한 파지부(145)를 포함한다. 파지부(145)의 위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카트리지 Q는, 카트리지 Q가 후술하는 포장 부재(146)에 포장되었을 때에, 포장 부재(146) 내에서의 위치가 규제되는 부분으로서 제3 피규제부(139f, 144f), 제1 피규제부(139b, 144b, 139g, 144g) 및 제2 피규제부(129c)를 포함한다.
제3 피규제부(139f, 144f)는, 카트리지 Q의 현상 롤러(6)의 축선 방향인 길이 방향(도 10의 X(X1, X2) 방향)에 대한 후술하는 포장 부재(146) 내에서의 위치 규제에 이용된다. 제1 피규제부(139b, 144b) 및 제2 피규제부(129c)는 X1, X2 방향과의 직교 방향(교차하는 방향)인 Y1, Y2와, 연직 하방향인 Z2 방향에 대한 카트리지 Q의 위치 규제에 이용된다. 상기 각각의 피규제부를 이용한 카트리지 Q의 포장 부재(146) 내에서의 위치 규제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타의 구성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현상 디바이스(9)의 구성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카트리지의 탈착 구성>
다음으로, 카트리지 Q의 장치 본체(102)에의 탈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카트리지 트레이(43)가 장치 본체(102)로부터 당겨 내어져서, 카트리지 Q가 카트리지 트레이(43)에 탈착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며, 카트리지 Q가 카트리지 트레이(43)에 대하여 탈착되는 동작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장치 본체(102) 내에는, 카트리지 Q가 장착가능한 카트리지 트레이(43)가 마련되어져 있다. 또한, 카트리지 트레이(43)에는 클리닝 유닛(8)이 미리 장착된다. 카트리지 트레이(43)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인 G1, G2 방향으로 직선 이동가능하게(밀고 당길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카트리지 트레이(43)는 장치 본체(102) 내의 장착 위치와, 장착 위치부터 카트리지 트레이(43)가 당겨 내어진, 풀 아웃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우선, 카트리지 Q를 장치 본체(102)에 장착하는 장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폐 도어(3)를 열고, 카트리지 트레이(43)를 도 14의 화살표 G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풀 아웃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 Q는 도 14의 화살표 H1 방향으로부터 카트리지 트레이(43)에 장착되어, 현상 롤러(6)의 노출부(6b)(도 13)가 감광체 드럼(4)의 대향부에 위치 결정된다. 다음으로, 카트리지 트레이(43)를 도 14의 화살표 G2 방향으로 이동시켜, 카트리지 트레이(43)가 장치 본체(102) 내의 장착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개폐 도어(3)가 닫겨져서, 카트리지 Q의 장치 본체(102)에의 장착 동작이 완료한다.
한편, 카트리지 Q의 장치 본체(102)로부터의 탈거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카트리지 트레이(43)를 도 14의 화살표 G1 방향으로 이동시켜, 풀 아웃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 Q가 도 14의 화살표 H2 방향으로 탈거되어, 카트리지 Q의 장치 본체(102)로부터의 탈거 동작이 완료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카트리지 Q는 장치 본체(102)에 대하여 탈착가능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 트레이(43)에 미리 클리닝 유닛(8)이 장착되어 있지만,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장치 본체(102) 내에 미리 클리닝 유닛(8)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장 부재(146)로부터 카트리지 Q를 탈거하고, 카트리지 Q를 장치 본체(102)에 장착할 때까지의 과정은 후술한다.
<포장 부재의 구성>
포장 부재(146)의 구성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과 유사한 포장 부재(146)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본 실시예의 포장 부재(146)의 카트리지 Q의 포장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포장 부재(146)는 프레임부(147), 덮개부(148) 및 힌지부(149)로 구성된다. 프레임부(147)와 덮개부(148)는, 힌지부(149)의 회전축(149a)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가능하다. 포장 부재(146)를 구성하는 프레임부(147), 덮개부(148), 힌지부(149) 각각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수지 재료)의 박판(시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에 의해 구성된다. 형성 방법으로서는, 수지 재료는 진공 성형, 압공 성형, 진공 압공 성형, 인발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또한, 포장 부재(146)는 포장 부재(146)를 개봉하기 위한 결합부(146a)를 포함한다. 결합부(146a)는 포장 부재(146)의 포장 상태에서 힌지부(149)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프레임부(147)는 제1 개구(147c1)가 마련된 오목 형상인 제1 오목부(147c)를 포함한다. 또한, 덮개부(148)는 제2 개구(148b1)가 마련된 오목 형상인 제2 오목부(148b)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부(147) 및 덮개부(148)에는, 제1 오목부(147c) 및 제2 오목부(148b)를 각각 둘러싸도록 플랜지부(147a, 148a)가 형성된다. 프레임부(147)와 덮개부(148)는 힌지부(149)에서 결합되어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덮개부(148)는, 덮개부(148)가 프레임부(147)의 제1 개구(147c1)를 덮을 수 있는 폐쇄 위치(도 1, 도 11)와, 제1 개구(147c1)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포장 부재(146) 내의 카트리지 Q의 고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트리지 Q는 포장 부재(146)의 프레임부(147)에서 제1 상태로 지지된다. 이것의 상세에 대해서 후술한다. 제1 상태는, 제1 개구(147c1)를 통해서 포장 부재(146)에 삽입된 카트리지 Q가 포장 부재(146)에 탈거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제1 상태에서, 카트리지 Q가 프레임부(147)에 의해 유지되고, 프레임부(147)가 카트리지 Q의 현상 롤러(6)의 노출부(6b)를 덮고 있다. 또한, 이 제1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6)의 노출부(6b)가 프레임부(147)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고, 프레임부(147)에 대하여 덮개부(148)를 힌지부(149)의 회전축(149a)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유저가 카트리지 Q의 파지부(145)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포장 상태(도시 생략)로부터, 프레임부(147)에 대하여 덮개부(148)를 힌지부(149)의 회전축(149a)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47)의 플랜지부(147a)와 덮개부(148)의 플랜지부(148a)가 접촉한다. 그 후, 서로 대향하는 프레임부(147)의 플랜지부(147a)와, 덮개부(148)의 플랜지부(148a)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접합시킨다. 이에 의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47)의 제1 오목부(147c)와 덮개부(148)의 제2 오목부(148b)가 함께 결합부(146a)를 형성하여, 포장 부재(146)의 내부에 수납 공간(146b)을 만들어서, 그 수납 공간(146b)에 포장 부재(146)가 수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덮개부(148)의 제2 오목부(148b)는 실질적으로 직방체인 카트리지 Q의 파지부(145)를 수납하도록 카트리지 Q의 전체, 또는, 카트리지 Q의 일부를 덮는다. 이상의 포장에 의해, 카트리지 Q 전체가 프레임부(147)와 덮개부(148)로 덮여져서, 포장 상태(제2 상태)에 놓이게 된다(도 15).
다음으로, 포장 상태에서의, 포장 부재(146)에 의한 카트리지 Q의 위치 규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트리지 Q의 X(X1, X2) 방향의 위치의 규제를 행하기 위해서, 프레임부(147)의 내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3 규제부(도시 생략)가 도 13의 (a) 및 (b)에 도시하는 카트리지 Q의 제3 피규제부(139f, 144f)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Q의 X1, X2 방향의 위치는 앞서 설명한 제1 상태로 규제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Q의 Y1, Y2 방향, 및 Z2 방향의 위치 규제를 행한다. 그를 위하여, 포장 부재(146)의 프레임부(147)의 내면에 형성된 제1 규제부(147g, 147b)가 도 13의 (a) 및 (b)에 도시하는 제1 피규제부(144g, 144b)에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Q의 Y1, Y2 방향 및 Z2 방향의 위치는 앞서 설명한 제1 상태로 규제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148)에는 제2 규제부(148c)가 형성된다. 또한, 제2 규제부(148c)는 포장 부재(146)의 포장 상태(제2 상태)에서 카트리지 Q의 제2 피규제부(129c)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카트리지 Q는, 포장 상태(제2 상태)에서, 제2 피규제부(129c)가 덮개부(148)의 제2 규제부(148c)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Q의 Z1 방향의 위치 규제가 이루어진다. 즉, 제1 상태에서는, 카트리지 Q가 중력 방향에 반대인 Z1 방향에 대해서는 규제되지 않는다. 전술한 포장 상태(제2 상태)에서, 포장 부재(146)는, 도 15에 나타내는 규제부(144f, 147b, 148c, 147g)의 이외의 위치에서는, 카트리지 Q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포장 부재(146)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이 발생했을 때, 각 규제부 이외의 부분에서 탄성 변형 및 소성변형을 발생시켜서, 포장 부재(146)는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포장 부재(146)는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을 현상 롤러(6) 및 그 밖의 프로세스 수단에 직접 전하지 않아서, 카트리지 Q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포장 부재(146)의 각 규제부는, 카트리지 Q의 현상 롤러(6)를 이용하여 현상이 이루어지는 영역 내의 위치가 아니라면, 카트리지 Q의 어느 위치에서 접촉해도 된다. 단, 제3 피규제부(139b, 144b)의 강성이 높은 경우, 운반 시의 충격 등으로 카트리지 Q가 파손하는 것이 적어진다. 또한, 제1 상태에서, 카트리지 Q는 이미 포장 부재(146)의 프레임부(147)에 의해 길이 방향 Y1, Y2 방향과 Z2 방향으로 위치 규제된다. 즉, 포장 부재(146)에 카트리지 Q를 고정하기 위해서, 포장 부재(146)의 상태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할 때에, 카트리지 Q는 덮개부(148)로 덮이기만 하면 되어서, 조립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규제부(144f, 147b, 148c, 147g)는 포장 부재(146)의 프레임부(147)와 덮개부(148)에 형성되지만,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파지부와 포장 부재의 관계>
카트리지 Q의 파지부(145)와 포장 부재(146)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Y 방향에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149)에 가장 가까운 카트리지 Q의 에지선이 제1 에지선(109a), 힌지부(149)로부터 가장 먼 카트리지 Q의 에지선이 제2 에지선(109b)이다. 또한, 제1 에지선(109a)과 제2 에지선(109b) 사이의 중간의 선이 중심선 m이다. 이러한 경우에, 파지부(145)는 도 15에서 중심선 m의 우측(Y 방향 상류측)에 배치된다. 또한, 이때, 카트리지 Q는, 카트리지 Q가 포장 부재(146)에 포장되었을 때, 파지부(145)가 중심선 m에 대하여 힌지부(149) 측으로부터 반대 측에 배치되는 자세가 된다. 또한, 포장 부재(146)로부터의 카트리지 Q의 탈거 동작은, 실시예 1에서 카트리지 P가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Q로 대체된 경우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실시예 3을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
우선, 도 16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201)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한 4색 풀 컬러 레이저 프린터이며, 기록재 S에 컬러 화상 형성을 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20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치 본체(202)에 탈거가능하게 장착하고, 기록재 S에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장치 본체(202)에는 제1 카트리지(200PY), 제2 카트리지(200PM), 제3 카트리지(200PC) 및 제4 카트리지(200PK)로 이루어지는 4개의 카트리지(200P)가 수평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히 기울어서 배치된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200P) 각각은 동일한 전자 사진 프로세스 기구를 가지지만, 서로 색이 다른 현상제(토너)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200P)에는 장치 본체(202)의 구동 출력부(도시 생략)로부터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200P)에는 장치 본체(202)로부터 바이어스 전압(대전 바이어스, 현상 바이어스 등)이 공급된다(도시 생략).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200P) 각각은 감광체 드럼(204)을 포함하고, 이 감광체 드럼(204)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대전 수단 및 클리닝 수단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을 클리닝 유닛(208)이라고 한다.
또한,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200P) 각각은 감광체 드럼(204)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인 현상 디바이스(209)를 포함한다.
클리닝 유닛(208)과 현상 디바이스(209)는 서로 결합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전 수단으로서는 대전 롤러(205)가 이용된다. 클리닝 수단으로서는 클리닝 블레이드(207)가 이용된다. 현상 수단으로서는 현상제 담지체(이하, 현상 롤러라고 칭한다)(206)가 이용된다. 카트리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프로세스 카트리지(200PY)는 옐로우(Y)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고, 감광체 드럼(204)의 표면에 옐로우의 토너 상을 형성한다. 제2 프로세스 카트리지(200PM)는 마젠타(M)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고, 감광체 드럼(204)의 표면에 마젠타의 상을 형성한다. 제3 프로세스 카트리지(200PC)는 시안(C)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고, 감광체 드럼(204)의 표면에 시안의 토너 상을 형성한다. 제4 프로세스 카트리지(200PK)는 블랙(K)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고, 감광체 드럼(204)의 표면에 블랙의 토너 상을 형성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200P)의 하방에는 노광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스캐너 유닛 LB가 마련되어져 있다. 이 레이저 스캐너 유닛 LB는 화상 정보에 대응해서 레이저 광 Z를 출력한다. 그리고, 레이저 광 Z는 감광체 드럼(204)의 표면을 주사 노광한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200P)의 상방에는 전사 부재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 유닛(211)이 마련되어 있다. 이 중간 전사 벨트 유닛(211)은 구동 롤러(213), 턴 롤러(214) 및 텐션 롤러(215)를 포함하고, 롤러에 의해서 펼쳐져서 걸쳐진 전사 벨트(212)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200P)의 각각의 감광체 드럼(204)은 그 상면이 전사 벨트(212)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다. 그 접촉부가 1차 전사부이다. 전사 벨트(212)의 내측에는, 대응하는 감광체 드럼(204)에 대향시켜서 1차 전사 롤러(216)가 마련된다. 턴 롤러(214)에 대향하여, 전사 벨트(212)와 접촉하여 2차 전사 롤러(217)가 마련된다. 전사 벨트(212)와 2차 전사 롤러(217)의 접촉부가 2차 전사부이다.
레이저 스캐너 유닛 LB의 하방에는 급지 유닛(218)이 마련되어 있다. 이 급지 유닛(218)은 기록재 S의 시트가 적재되는 급지 트레이(219)를 포함하고, 급지 롤러(220) 등을 포함한다.
도 16에서의 장치 본체(202)의 좌측 상부에는 정착 유닛(221)이 제공된다. 장치 본체(202)의 상부 표면에는 배지 트레이(223)가 마련되어져 있다.
기록재 S에는 상기 정착 유닛(221)에 마련되어진 정착 수단에 의해 토너 상이 정착되고, 그 후에 기록재 S가 배지 트레이(223)에 배출된다.
<화상 형성 동작>
우선,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201)의 개략 단면도를 도 16에 나타낸다.
다음으로,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200P)(200PY 내지 200PK)의 감광체 드럼(204)이 미리 정해진 속도로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감광체 드럼(204)의 연직 상방에 마련되어진 전사 벨트(212)도 감광체 드럼(204)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감광체 드럼(204)의 속도에 대응한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레이저 스캐너 유닛 LB도 구동된다. 레이저 스캐너 유닛 LB의 구동에 동기하여, 각 카트리지(200P)의 감광체 드럼(204)의 표면이 대전 롤러(205)에 의해 미리 정해진 극성 및 미리 정해진 전위로 대전된다. 스캐너 유닛 LB는 대응하는 신호에 따라서 각 감광체 드럼(204)의 표면을 레이저 광 Z로 주사 노광한다. 이에 의해, 각 감광체 드럼(204)의 표면에는 대응하는 색의 화상 신호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정전 잠상은 미리 정해진 속도로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현상 롤러(206)에 의해 현상된다.
상기와 같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 동작에 의해, 제1 카트리지(200PY)의 감광체 드럼(204)에는 풀 컬러 화상의 옐로우 성분에 대응하는 옐로우 토너 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토너 상이 전사 벨트(212) 상에 1차 전사된다.
마찬가지로, 제2 카트리지(200PM)의 감광체 드럼(204)에는 풀 컬러 화상의 마젠타 성분에 대응하는 마젠타 토너 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토너 상이 전사 벨트(212) 위로 이미 전사되어 있는 옐로우 토너 상에 중첩되어서 1차 전사된다.
마찬가지로, 제3 카트리지(200PC)의 감광체 드럼(204)에는 풀 컬러 화상의 시안 성분에 대응하는 시안 토너 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토너 상이 전사 벨트(212) 상에 이미 전사되어 있는 옐로우 및 마젠타 토너 상에 중첩되어서 1차 전사된다.
마찬가지로, 제4 카트리지(200PK)의 감광체 드럼(204)에는 풀 컬러 화상의 블랙 성분에 대응하는 블랙 토너 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토너 상이 전사 벨트(212) 상에 이미 전사되어 있는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토너 상에 중첩되어서 1차 전사된다.
이렇게 하여, 전사 벨트(212) 상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4색 풀 컬러의 미정착 토너 상이 형성된다.
한편, 미리 정해진 제어 타이밍에서 기록재 S의 용지가 1매씩 분리되어서 급지된다. 그 기록재 S는 미리 정해진 제어 타이밍에서 2차 전사 롤러(217)와 전사 벨트(212)의 접촉부인 2차 전사부에 도입된다. 이에 의해, 기록재 S가 상기 2차 전사부에 반송되는 과정에서, 전사 벨트(212) 상의 4색 토너 상이 기록재 S의 면에 일괄 전사된다.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201)가 실시예 1, 2의 화상 형성 장치와 크게 상이한 것은 이하의 2가지 점이다. 첫 번째는, 카트리지(200P)가 감광체 드럼(20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치 본체(202) 내에 개별적으로 장착된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중간 전사 유닛(211)이 카트리지(200P) 상에 연직 방향에 대해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카트리지(200P)는 표면이 상방에 노출한 상태로 장치 본체(202)에 장착되게 된다.
<포장 부재의 구성>
포장 부재(246)의 구성에 대해서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과 유사한 구성 요소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은 본 실시예의 포장 부재(246)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실시예의 포장 부재(246) 내의 카트리지(200P)의 포장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카트리지(200P)가 포장되는 포장 부재(246)의 덮개부(248)의 개방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포장 부재(246)는 프레임부(247), 덮개부(248) 및 힌지부(249)로 구성된다. 프레임부(247)와 덮개부(248)는 힌지부(249)를 개재해서 서로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회동가능하다). 포장 부재(246)를 구성하는 프레임부(247), 덮개부(248) 및 힌지부(249)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수지 재료)의 박판(시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에 의해 구성된다. 성형 방법으로서는, 진공 성형, 압공 성형, 진공 압공 성형, 인발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수지 재료가 성형될 수 있다.
또한, 포장 부재(246)는 포장 부재(246)를 개봉하기 위한 결합부(246a)를 포함한다. 결합부(246a)는, 포장 부재(246)의 포장 상태에서, 힌지부(249)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한다. 결합부(246a)는 프레임부(247)의 플랜지부(247a)와 덮개부(248)의 플랜지부(248a)를 용착 등에 의해 서로 접합해서 형성된다. 덮개부(248)를 개봉할 때는, 결합부(246a)에서 플랜지부(247a)로부터 플랜지부(248a)를 분리함으로써 덮개부(248)를 개봉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247)는 제1 개구(247c1)가 마련된 오목 형상인 제1 오목부(247c)를 포함한다. 또한, 덮개부(248)는 제2 개구(248b1)가 마련된 오목 형상인 제2 오목부(248b)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부(247) 및 덮개부(248)에는, 제1 오목부(247c) 및 제2 오목부(248b)를 각각 둘러싸도록 플랜지부(247a, 248a)가 형성된다. 프레임부(247)와 덮개부(248)가 힌지부(249)에서 결합되어 일체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부(248)는 프레임부(247)의 제1 개구(247c1)를 덮을 수 있는 폐쇄 위치(도 18)와, 제1 개구(247c1)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도 19, 도 20)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포장 부재(246) 내의 카트리지(200P)의 고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트리지(200P)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 부재(246)의 프레임부(247)에 제1 상태로 지지된다. 이것은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제1 상태에서는, 제1 개구(247c1)를 통해서 포장 부재(246)로 삽입된 카트리지(200P)가 포장 부재(246)로부터 탈거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제1 상태에서는, 카트리지(200P)가 프레임부(247)에 의해 유지되며, 프레임부(247)에서는, 카트리지(200P)의 감광체 드럼(204)의 표면이 연직 상방을 향해서 노출된다. 또한, 이 제1 상태에서는, 포장 부재(246)에 대하여 카트리지(200P)를 탈착하기 위해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유닛(208)과 현상 디바이스(209)가 파지될 수 있다. 즉, 카트리지(200P)와 포장 부재(246)의 사이에는, 유저의 손이 진입할 수 있는 간극(247h1, 247h2)이 마련되어져 있다. 이 간극(247h1, 247h2)은, 길이 방향에서 (후술하는) 2개의 제1 규제부(247g1)의 사이와, (후술하는) 2개의 제1 규제부(247g2)의 사이에 각각 제1 규제부(247g1, 247g2)로부터 오목한 상태로 마련되어져 있다. 이 간극(247h1, 247h2)에 의해, 유저가 카트리지(200P)를 깊게 파지해도, 유저의 손이 포장 부재(246)와 간섭하지 않아서, 포장 부재(246)에 대한 카트리지(200P)의 탈착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9에 도시된 포장 상태로부터, 프레임부(247)를 향하여 덮개부(248)가 힌지부(249)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247)의 플랜지부(247a)와 덮개부(248)의 플랜지부(248a)가 접촉한다. 그 후, 프레임부(247)의 플랜지부(247a)와 덮개부(248)의 플랜지부(248a)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접합시킨다. 이에 의해,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247)의 제1 오목부(247c)와, 덮개부(248)의 제2 오목부(248b)가 조합하여 결합부(246a)를 형성하여, 포장 부재(246)의 내부에 수납 공간(246b)을 만들어서, 그 수납 공간(246b)에 카트리지(200P)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제2 상태에서, 덮개부(248)의 제2 오목부(248b)는 감광체 드럼(204)의 표면을 보호함과 함께, 카트리지(200P)의 상방 부분을 덮고 있다. 이상의 포장에 의해, 카트리지(200P) 전체가 프레임부(247) 및 덮개부(248)로 덮여져서, 포장 상태(제2 상태)가 된다(도 18).
다음으로, 포장 상태에서의, 포장 부재(246)에 의한 카트리지(200P)의 위치 규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트리지(200P)의 X1, X2 방향의 위치 규제를 행하기 위해서, 프레임부(247)의 내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3 규제부(247f1, 247f2)가, 도 19에 나타내는 카트리지(200P)의 제3 피규제부(208f1, 208f2)에 접촉된다. 따라서, 카트리지(200P)의 X1, X2 방향의 위치는, 앞서 설명한 제1 상태로 규제된다. 또한, 카트리지(200P)의 Z2 방향의 위치 규제를 행하기 위해서, 포장 부재(246)의 프레임부(247)의 내면에 형성된 제1 규제부(247b1, 247b2)가 카트리지(200P)의 제1 피규제부(208a, 209a)에 접촉된다. 또한, 간극이 조금 생겼지만, 프레임부(247)의 내면에 마련된 제1 규제부(247g1, 247g2)는 제1 피규제부(208c, 209c)와 접촉함으로써 Y1, Y2 방향의 위치 규제를 행하는 데에 이용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248)에는 제2 규제부(248c)가 형성된다. 또한, 제2 규제부(248c)는 포장 부재(246)의 포장 상태(제2 상태)에서 카트리지(200P)의 제2 피규제부(208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카트리지(200P)는, 포장 상태(제2 상태)에서, 제2 피규제부(208b)가 덮개부(248)의 제2 규제부(248c)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200P)의 Z1 방향의 위치 규제가 이루어진다. 즉, 제1 상태에서는, 카트리지(200P)가 중력 방향의 반대인 Z1 방향에서는 규제되지 않는다. 여기서, 카트리지(200P)의 제2 피규제부(208b)는 감광체 드럼(20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도시 생략)를 덮는 사이드 커버의 일부이며, 카트리지(200P)의 길이 방향의 단부 각각에 마련되어져 있다.
전술한 포장 상태(제2 상태)에서, 포장 부재(246)는 도 18, 도 19에 나타내는 규제부의 이외의 부분에서는, 카트리지(200P)에 접하지 않고 있다. 그 때문에, 포장 부재(246)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이 발생했을 때, 각 규제부 이외의 부분에서 탄성 변형 및 소성 변형이 발생하여, 포장 부재(246)는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포장 부재(246)는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을 감광체 드럼(204) 및 프로세스 수단에 직접적으로 전하지 않으며, 따라서 카트리지(200P)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포장 부재(246)의 각 규제부는 카트리지(200P)의 감광체 드럼(204)을 제외한 어떠한 위치에서도 카트리지(200P)에 접촉할 수 있다. 단, 제3 피규제부(208f1, 208f2)가 강성이 높을 경우, 운반 시의 충격 등으로 카트리지(200P)가 파손될 확률이 적어진다. 또한, 제1 상태에서, 카트리지(200P)는 이미 포장 부재(246)의 프레임부(247)에 의해 길이 방향과, Y1, Y2 방향 및 Z2 방향으로 위치가 규제된다. 즉, 포장 부재(246)에 카트리지(200P)를 고정하기 위해서, 포장 부재(46)의 상태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변화할 때에, 카트리지(200P)는 덮개부(248)를 씌우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포장 부재의 구성>
실시예 4의 포장 부재(346)의 구성에 대해서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의 포장 부재(46)와 마찬가지인 본 실시예의 포장 부재(346)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은 본 실시예의 포장 부재(346)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2는 복수의 포장 부재(346)가 중첩되어 적재된 상태(적층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3은 적층 상태의 V자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포장 부재(346)는 프레임부(347), 덮개부(348) 및 힌지부(349)로 구성된다. 프레임부(347)와 덮개부(348)는 힌지부(349)를 통해서 서로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회동가능하다). 포장 부재(346)를 구성하는 프레임부(347), 덮개부(348) 및 힌지부(349) 각각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수지 재료)의 박판,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다. 성형 방법으로서, 수지 재료가 진공 성형, 압공 성형, 진공 압공 성형, 인발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과 마찬가지로, 프레임부(347)는 제1 개구(347c1)(도 23)가 마련된 오목 형상의 제1 오목부(347c)를 포함한다. 또한, 덮개부(348)는 제2 개구(348b1)(도 23)가 마련된 오목 형상의 제2 오목부(348b)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부(347) 및 덮개부(348)에는 제1 오목부(347c) 및 제2 오목부(348b)를 각각 둘러싸도록 플랜지부(347a, 348a)가 형성된다. 프레임부(347)와 덮개부(348)는 힌지부(349)에서 결합되어,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카트리지(도시 생략)가 포장 부재(346) 내에 포장될 때에는, 프레임부(347)의 플랜지부(347a)와 덮개부(348)의 플랜지부(348a)가 용착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덮개부(348)는, 덮개부(348)가 제1 개구(347c1)를 덮는 폐쇄 위치에 배치된다. 덮개부(348)를 개봉한 상태에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347a)와 플랜지부(348a)를 분리함으로써, 덮개부(348)가 프레임부(347)에 대하여 개방 상태로 된다.
실시예 1 내지 3과 마찬가지로, 제1 오목부(347c)에서는, 카트리지(도시 생략)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제1 규제부(347b)가, 제1 오목부(347c)의 저면(347c3)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과 마찬가지로, 제2 오목부(348b)에서는, 카트리지(도시 생략)가 제1 규제부(347b)로부터 이격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2 규제부(348c)가, 제2 오목부(348b)의 저면(348b3)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제2 오목부(348b)에서는, 카트리지의 현상 프레임(도시 생략)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4 규제부(348d)가 제2 오목부(348b)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그리고, 도 22,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348)를 개방한 상태에서, 동일한 구성을 갖는 복수의 포장 부재(346)가 적층된다. 그를 위하여, 포장 부재(346)의 제1 오목부(347c)의 측면부(347c1, 347c2) 및 제2 오목부(348b)의 측면부(348b1, 348b2)는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1 규제부(347b)의 측면부(347b1), 제2 규제부(348c)의 측면부(348c1, 348c2), 제4 규제부(348d)의 측면부(348d1, 348d2)도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들 경사진 표면에 의해, 포장 부재(346)와 같은 구성의 다른 포장 부재의 외형부가, 제1 오목부(347c) 및 제2 오목부(348b)에 진입하게 되어 적층되어 수용되어서, 복수의 포장 부재가 적층 상태 ST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가 포장되지 않은 복수의 포장 부재(346)가 운반되거나 보관되는 경우에, 포장 부재(346)는 제1 오목부(347c) 및 제2 오목부(348b)에 진입되게 하여 중첩하여 적재될 수 있으므로, 적층 상태가 공간 절약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덮개부(348)에 제2 오목부(348b)가 마련되어져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포장 부재(346)는, 덮개부에는 오목부가 마련되지 않고, 프레임부에만 마련되어진 오목부에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구성을 가져도 된다.
(실시예 5)
다음으로, 실시예 5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술한 실시예에서,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647)의 제1 플랜지부(647a)와 덮개부(648)의 제2 플랜지부(648a) 사이의 결합이 용착부(646a1, 646a2)에서의 용착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포장 부재(646)의 덮개부(648)가 개방되면,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648)가 용착부(646a1, 646a2) 각각에서 프레임부(647)로부터 분리된다. 즉, 용착부(646a1, 646a2)는 결합부(646a12) 및 피결합부(646a11)와, 결합부(646a22) 및 피결합부(646a21)로 분리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포장 부재(646) 내에 포장될 카트리지는 설명을 생략한다.
포장 부재(646)는, 덮개부(648)가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각각의 용착부(646a1, 646a2)의 결합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용착에 의한 결합의 경우에, 제조 조건 등에 따른 진동이 크기 때문에, 몇몇 경우에, 유저가 덮개부(648)를 개방할 때의 힘이 커진다.
따라서, 실시예 5에서, 카트리지를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신뢰할 수 있게 보호할 수 있고, 덮개부의 개방(개봉)력을 용이하게 제어하여 덮개부의 개방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포장 부재가 마련된다.
<포장 부재의 구성>
실시예 5의 포장 부재(446)의 구성에 대하여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의 포장 부재(46)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포장 부재(446)에 포장될 카트리지 또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부재(446)는 프레임부(447) 및 덮개부(448)에 의해 카트리지(도시 생략)를 수용하고, 프레임부(447) 및 덮개부(448)는 용착부(446a1)에 의해서 서로 결합된다. 용착부(446a1)는 프레임부(447)의 제1 개부(447c)의 주위에 제공된 제1 플랜지(447a) 및 덮개부(448)의 제2 개구(448c)의 주위에 제공된 제2 플랜지(448a) 각각에 형성된다. 포장 부재(446)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용착부(446a1)로부터 대향하여 마련되는 다른 용착부(446a2)는 용착부(446a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도 24에서, 용착부(446a1)를 포함하는 접속부(448h)가 구멍인 절단부(460a)를 통해서 제2 플랜지(448a)에 접속된다. 그리고, 포장 부재(446)의 덮개부(448)가 개방되는 경우,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48h)가 절단부(460a)에 의해서 제2 플랜지(448a)로부터 분리되고, 제1 플랜지(447a)에 남는다. 마찬가지로, 포장 부재(446)의 길이 방향에서 결합부(448h)로부터 대향하여 제공된 결합부(448k)에 대해서도, 도 24에서, 결합부(448k)가 구멍인 절단부(460b)를 통해서 제2 플랜지(448a)에 결합된다. 그런 다음, 덮개부(448)가 개방된 경우,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48k)가 절단부(460b)에 의해 제2 플랜지(448a)로부터 분리되고, 제1 플랜지(447a) 상에 남는다. 크기, 절단부(460a, 460b)의 간극, 즉 슬릿 면 및 슬릿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결합부(448h, 448k) 각각을 덮개부(448)로부터 분리하는 힘을 제어하기 쉬워진다. 즉, 덮개부(448)가 개방되었을 때에 힘을 조정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포장 부재(646)의 덮개부(648)가 개방된 때의 힘과 비교하여, 포장 부재(446)의 덮개부(448)가 개방될 때에 그 힘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힘을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에 의해 덮개부(448)가 개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결합력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덮개부(448)를 개방하는 힘이 측정되면, 힘 게이지가 제2 플랜지(448a)에 길이 방향 중심부에 장착되고, 덮개부(448)가 당겨져서, 힘을 측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덮개부(448)에 마련된 결합부(448h, 448k)는 절단부(460a, 460b)에 의해서 덮개부(448)로부터 분리되는 구성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프레임부(447)의 제1 플랜지(447a)에 절단부가 마련되고, 덮개부(448)가 개방되는 때에, 프레임부의 일부인 결합부가 제1 플랜지(447a)로부터 분리되는 구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 결합부는 용착에 의해 형성되었다. 그러나, 결합부는 접착제, 양면 테이프, 후킹, 스테이플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위치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결합부의 형상, 치수 및 위치는 전술한 효과가 얻어지기만 한다면 임의로 선택될 수도 있다.
(실시예 6)
다음으로,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여 실시예 6을 설명한다.
실시예 5에서, 덮개부(448)의 제2 플랜지(448a)의 일부에 절단부가 마련된 구성이 설명되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548)에 마련된 절단부(560a, 560b)가 덮개부(548)의 제2 플랜지(548a) 및 덮개부(548)의 오목부(548b)를 따라 배치된다. 또한, 덮개부(548)는 용착부(546a1 내지 546a3, 546b1 내지 546b3)에서 프레임부(547)에 결합된다. 즉, 덮개부(548)가 개방되었을 때에, 덮개부(548)의 오목부(548b)의 일부를 포함하면서 제1 결합부(548h) 및 제2 결합부(548k)가 프레임 위치(547)에 남는 구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제1 결합부(548h) 및 제2 결합부(548k)는, 카트리지가 포장 부재(546)로부터 탈거되는 때에 카트리지를 방해하지 않는 크기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효과는 실시예 5에서와 동일하므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 5 및 6에서, 접합 수단으로서 용착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접합 수단은 접착제, 양면 테이프 후킹, 스테이플 등일 수도 있다. 또한, 결합 수단의 형상, 치수, 수치 및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더라도 기능에 있어서는 문제가 없다.

Claims (10)

  1.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한 카트리지를 포장하는, 얇은 수지 재료판으로 성형된 포장 부재이며,
    (ⅰ) 상기 카트리지의 진입부로서의 제1 개구와,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제1 오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ⅱ) 상기 제1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덮는 덮개부로서,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덮개부가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결합부가 상기 덮개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프레임부에 남을 수 있게 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포장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 개구의 주위에 제공되고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피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 플랜지를 포함하는, 포장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진입부로서의 제2 개구와, 상기 제1 오목부와 함께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제2 오목부와, 상기 제2 개구의 주위에 제공되고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절단부를 포함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포장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용착, 접착 접합 또는 스테이플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되는, 포장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절단부 각각은 복수의 위치에 제공되는, 포장 부재.
  6.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한 카트리지를 포장하는, 얇은 수지 재료판으로 성형된 포장 부재이며,
    (ⅰ) 상기 카트리지의 진입부로서의 제1 개구와,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제1 오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ⅱ) 상기 제1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덮고, 상기 프레임부 상에 제공된 피결합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덮개부가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피결합부가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덮개부에 남을 수 있게 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포장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 개구의 주위에 제공되고, 상기 피결합부 및 상기 절단부를 포함하는 제1 플랜지를 포함하는, 포장 부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진입부로서의 제2 개구와, 상기 제1 오목부와 함께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제2 오목부와, 상기 제2 개구의 주위에 제공되고 상기 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포장 부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용착, 접착 접합 또는 스테이플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와 결합되는, 포장 부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절단부 각각은 복수의 위치에 제공되는, 포장 부재.
KR1020167017757A 2012-06-08 2013-06-07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KR201600839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31296 2012-06-08
JP2012131296 2012-06-08
JPJP-P-2012-227189 2012-10-12
JP2012227189A JP2014081404A (ja) 2012-10-12 2012-10-12 梱包部材、梱包部材に梱包されたカートリッジ
JPJP-P-2013-119094 2013-06-05
JP2013119094A JP2014013386A (ja) 2012-06-08 2013-06-05 梱包部材、梱包部材に梱包されたカートリッジ
PCT/JP2013/066411 WO2013183794A1 (en) 2012-06-08 2013-06-07 Packing member and cartridge packed in the packing memb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6924A Division KR101919185B1 (ko) 2012-06-08 2013-06-07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965A true KR20160083965A (ko) 2016-07-12

Family

ID=505503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757A KR20160083965A (ko) 2012-06-08 2013-06-07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KR1020147036924A KR101919185B1 (ko) 2012-06-08 2013-06-07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6924A KR101919185B1 (ko) 2012-06-08 2013-06-07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9708116B2 (ko)
EP (1) EP2858917B1 (ko)
KR (2) KR20160083965A (ko)
CN (2) CN106742724B (ko)
TW (2) TWI631056B (ko)
WO (1) WO2013183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2783B2 (ja) * 2012-06-08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体
WO2013183794A1 (en) * 2012-06-08 2013-12-12 Canon Kabushiki Kaisha Packing member and cartridge packed in the packing member
JP6432374B2 (ja) * 2015-02-06 2018-12-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作像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855284B2 (ja) 2017-03-03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SG10202111783UA (en) 2017-06-15 2021-12-30 Canon Kk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7243251B2 (ja) * 2019-02-12 2023-03-2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CA3141699A1 (en) 2019-06-12 2020-12-17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ttachment, and mounting kit
WO2022022611A1 (zh) * 2020-07-29 2022-02-03 珠海艾派克微电子有限公司 耗材包装组件、包装件及测试头
CN115605812A (zh) 2020-12-07 2023-01-13 佳能株式会社(Jp) 调色剂容器和图像形成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6050A (ja) 1983-09-07 1985-04-01 Tanaka Kikinzoku Kogyo Kk 摺動接点装置
JPH01206376A (ja) 1988-02-13 1989-08-18 Fujitsu Ltd 現像ユニット
JPH01244489A (ja) 1988-03-25 1989-09-28 Minolta Camera Co Ltd 感光体ドラムの梱包容器
JPH03126878U (ko) 1990-04-04 1991-12-20
JPH04114173A (ja) 1990-09-04 1992-04-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梱包材
JPH05232752A (ja) 1992-02-20 1993-09-1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DE69320738T2 (de) 1992-09-04 1999-02-18 Canon Kk Arbeitseinheit und Bilderzeugungsgerät
US6408142B1 (en) 1992-09-04 2002-06-18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5307117A (en) 1992-12-08 1994-04-26 Xerox Corporation Protective shipping cover for CRU
JPH06186895A (ja) 1992-12-16 1994-07-08 Ricoh Co Ltd 梱包箱
JP3530644B2 (ja) * 1995-07-31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フレー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0771736A1 (en) * 1995-10-30 1997-05-07 Plastofilm Industries, Inc. Tamper evident thermoformed package
JPH1029616A (ja) 1996-07-15 1998-02-03 Saidetsuku Kk 物品の搬送用容器
JPH11242371A (ja) 1997-10-31 1999-09-07 Canon Inc コネクタ及び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223014B1 (en) 1998-02-03 2001-04-24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regulating member, development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process for producing developer-regulating member
JPH11249533A (ja) 1998-03-04 1999-09-17 Ricoh Co Ltd プロセスユニットの梱包装置
JPH11288155A (ja) 1998-04-03 1999-10-19 Ricoh Co Ltd トナーカートリッジ梱包ユニット
JP3507377B2 (ja) 1998-11-04 2004-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の梱包形態
JP3398084B2 (ja) 1999-04-28 2003-04-21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ー貯蔵部を有するユニットの梱包装置および方法
JP3858517B2 (ja) * 1999-05-20 2006-12-13 株式会社カネカ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予備発泡粒子、およびその予備発泡粒子と型内発泡成形体の製造法
JP2001199477A (ja) * 2000-01-13 2001-07-24 Ricoh Co Ltd 梱包用箱
US6321911B1 (en) * 2000-01-31 2001-11-27 Display Pack, Inc. Fragility package
JP2003005390A (ja) 2001-06-27 2003-01-08 Kyocera Mita Corp 包装容器
JP3761427B2 (ja) 2001-06-27 2006-03-29 京セラミタ株式会社 包装容器
JP4092191B2 (ja) 2002-12-25 2008-05-28 株式会社リコー 袋材、梱包材及び画像形成ユニット荷物
JP2004299713A (ja) 2003-03-31 2004-10-28 Seiko Epson Corp 現像カートリッジの梱包用緩衝装置及び該梱包用緩衝装置を備えた梱包資材
JP3639834B2 (ja) 2003-05-19 2005-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部材、及び、梱包部材を用いた梱包方法、及び、梱包部材の製造方法
JP2005153981A (ja) 2003-11-28 2005-06-16 Sekisui Plastics Co Ltd 食品容器及び包装食品
KR100716164B1 (ko) * 2004-08-27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 포장 용기
JP4856974B2 (ja) 2005-02-22 201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A2558048A1 (en) * 2005-08-31 2007-02-28 Bars Innovations, Inc. Tamper evident thermoformed containers
JP5076622B2 (ja) 2007-05-08 2012-11-21 凸版印刷株式会社 紙製包装容器
KR101431178B1 (ko) 2007-09-13 2014-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제 저장체 포장 유닛, 현상제 저장체의 포장 용기, 및현상제 저장체의 포장방법
JP5130149B2 (ja) 2008-08-22 2013-0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保護部材付き感光体ドラム、感光体ドラムの梱包方法、及び感光体ドラム用保護部材
JP2010102006A (ja) 2008-10-22 2010-05-0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051190B2 (ja) 2009-07-16 2012-10-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の梱包構造およびカバー部材
JP2011121594A (ja) 2009-12-08 2011-06-23 Ricoh Elemex Corp 梱包装置
JP5076249B2 (ja) 2010-02-15 2012-11-2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収納ケース
US20120005994A1 (en) * 2010-07-09 2012-01-12 Display Pack, Inc. Thermoformed package with tamper evident seal
KR101615652B1 (ko) * 2011-01-06 2016-04-2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JP6112783B2 (ja) 2012-06-08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体
WO2013183794A1 (en) * 2012-06-08 2013-12-12 Canon Kabushiki Kaisha Packing member and cartridge packed in the packing member
JP6108728B2 (ja) * 2012-08-31 2017-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材及びカートリッジ
JP6218493B2 (ja) 2012-09-06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ユニット、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製造方法
JP6160122B2 (ja) * 2013-02-28 2017-07-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20663B2 (ja) * 2013-04-25 2017-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4237472A (ja) 2013-06-07 2014-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部材、梱包部材に梱包された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13807A (en) 2016-04-16
US20170267445A1 (en) 2017-09-21
WO2013183794A1 (en) 2013-12-12
EP2858917A1 (en) 2015-04-15
US9708116B2 (en) 2017-07-18
CN106742724A (zh) 2017-05-31
US20160221747A1 (en) 2016-08-04
EP2858917B1 (en) 2019-01-16
KR20150016386A (ko) 2015-02-11
TW201406621A (zh) 2014-02-16
US10427867B2 (en) 2019-10-01
TWI574892B (zh) 2017-03-21
US20150153708A1 (en) 2015-06-04
TWI631056B (zh) 2018-08-01
CN104349992A (zh) 2015-02-11
CN106742724B (zh) 2019-03-08
KR101919185B1 (ko) 2018-11-15
US20160091822A1 (en) 201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185B1 (ko)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KR101657037B1 (ko) 패키징된 카트리지
JP6112783B2 (ja) 梱包体
US9733612B2 (en) Cartridge package and packageable process cartridge
JP2014013386A (ja) 梱包部材、梱包部材に梱包されたカートリッジ
JP2014081404A (ja) 梱包部材、梱包部材に梱包されたカートリッジ
JP6297187B2 (ja) 梱包材及び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