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037B1 - 패키징된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패키징된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037B1
KR101657037B1 KR1020160064789A KR20160064789A KR101657037B1 KR 101657037 B1 KR101657037 B1 KR 101657037B1 KR 1020160064789 A KR1020160064789 A KR 1020160064789A KR 20160064789 A KR20160064789 A KR 20160064789A KR 101657037 B1 KR101657037 B1 KR 101657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frame
frame portion
open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7820A (ko
Inventor
나오키 하야시
이사오 고이시
데츠시 우네메
마사나리 모리오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75Arrangements for shipping or transporting of the developing device to or from the us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Packages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패키징된 카트리지는, (i) 파지부가 설치된 카트리지, (ii)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는 개구 및 오목부를 포함하여 파지부는 개구를 통해 파지될 수 있도록 노출됨-, 및 (iii) 카트리지가 오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개구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개구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프레임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캡부를 포함한다. 카트리지와 프레임부의 내면 사이에 간극이 제공되어, 패키징된 카트리지의 캡부측을 아래로 한 상태에서, 프레임부가 캡부에 대하여 개방 방향으로 이동될 때, 카트리지가 프레임부의 내면과 간섭한다.

Description

패키징된 카트리지{PACKAGED CARTRIDGE}
본 발명은 패키징된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를 포장하는 포장재에 관한 것이고, 포장재에 포장된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서는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예를 들어, 레이저 빔 프린터 또는 LED 프린터 등), 및 팩시밀리 머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는, 예를 들어, 상 담지 부재인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포함하거나, 또는 전자사진 감광 부재와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작용하는 현상 수단을 유닛으로 일체적으로 조립함으로써 준비되는 카트리지이고, 이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또한, 포장재는 카트리지가 수송될 때 외부의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카트리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자사진 프로세스를 사용한 프린터 등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상 담지 부재인 전자사진 감광 부재를 균일하게 대전시킨 후에, 상기 전자사진 감광 부재의 선택적인 노광에 의해 잠상을 형성한다. 그 후, 잠상은 현상제에 의해 현상되어, 현상제 화상으로서 가시화된다. 그 후, 현상제 화상은 기록재(매체)에 전사된다.
전사된 현상제 화상에 열과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현상제 화상이 기록재에 정착되어, 화상이 기록된다.
그러한 종래의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제 보급 및 각종 프로세스 장치의 유지 보수를 수반했다.
이 현상제 보급 작업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전자사진 감광 부재,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클리닝 수단 등의 전부 또는 일부가,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프레임 내에 통합적으로 조립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타입이 채택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타입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유지 보수를 유저 그 자신(그녀 자신)에 의한 교환의 형태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렇게 착탈 가능한 것에 대해, 유저가 카트리지를 교환한다. 이 경우에, 일반적으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카트리지가 취출된 후에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환된다.
여기서, 생산 공장으로부터 출하된 신품의 카트리지는 수송 동안의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카트리지를 보호하기 위해 포장재에 포장된다. 또한, 장치 본체에 신품의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에는, 포장재가 포장개방된 후에, 카트리지의 파지부가 파지되어 포장재로부터 카트리지를 취출한다. 그 후, 카트리지는 장치 본체에 장착된다.
카트리지를 포장하고, 수송 동안의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카트리지를 보호하는 포장재로서는, 일본 특허 제3639834호와 일본 공개 특허 공보(JP-A) 평4-11417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각종 포장재들이 제안되었다.
이 포장재들 중에서, JP-A 평4-114173호의 구성에 따르면, 포장재는 카트리지의 외형을 따라 압출(성형)(extrusion(molding))에 의해 준비되는 부재이다. 포장재에는 다수의 요철이 제공되고, 그 요철에 의해 카트리지가 지지된다. 또한, 포장 부재의 양단부의 개구들이 카트리지의 외형에 맞춰서 성형된 캡(cap)(덮개)으로 덮어진다.
그러나, 일본 특허 제3639834호와 JP-A 평4-114173호의 구성은 하기와 같은 과제를 수반한다.
카트리지를 장치 본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주머니에 담아있는 카트리지를 골판지 상자로부터 취출한 후에, 주머니와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제의 케이스를 제거할 필요가 있었다. 즉, 유저가 포장재로부터 카트리지를 취출하기 위해, 유저가 복잡한 단계들을 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수송 동안의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카트리지를 보호할 수 있고, 포장재로부터 카트리지를 취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패키징된 카트리지로서, (i) 파지부가 설치된 카트리지, (ii)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는 개구 및 오목부를 포함하여 상기 파지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 파지될 수 있도록 노출됨-, 및 (iii)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오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면 사이에 간극이 제공되어, 상기 패키징된 카트리지의 캡부측을 아래로 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캡부에 대하여 개방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프레임부의 내면과 간섭하는, 패키징된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를 포장하는 포장재로서, (i) 개구와, 상기 카트리지에 설치된 파지부가 상기 개구를 통해 파지될 수 있도록 노출되게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수납된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하고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카트리지가 이격하는 것을 규제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ⅱ)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오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캡부를 포함하는 포장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고 포장재에 의해 포장될 수 있는 카트리지로서, (i) 개구와, 상기 카트리지에 설치된 파지부가 상기 개구를 통해 파지될 수 있도록 노출되게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에 수납된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하고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카트리지가 이격하는 것을 규제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ⅱ)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오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캡부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개구를 통해 파지될 수 있도록 노출되는 상기 카트리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오목부에 수납될 때,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오목부로부터 이격하는 것을 규제하는 피결합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과제, 특징, 및 효과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의 설명을 고려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 형태 1의 포장재 내의 카트리지의 포장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의 카트리지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의 카트리지의 예를 각각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의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의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트레이에 착탈되는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의 현상 장치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의 (a) 부분과 (b) 부분은 실시 형태 1의 포장재를 각각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고, (a)는 카트리지가 취출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b)는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실시 형태 1의 포장재의 카트리지 포장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1의 포장재의 캡부측으로부터 카트리지를 취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1의 포장재의 프레임부측으로부터 카트리지를 취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의 포장재로부터 카트리지가 취출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의 (a) 부분과 (b) 부분은 실시 형태 2의 카트리지와 포장재 간의 결합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2의 포장재 내의 카트리지의 포장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2의 포장재의 캡부측으로부터 카트리지를 취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2의 포장재의 프레임부측으로부터 카트리지를 취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실시 형태들에서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서,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풀-컬러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예를 들어 설명된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노크롬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수는 1개이다. 또한, 하기의 실시 형태들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의 일 예로서 프린터가 예시된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복사기, 팩시밀리 머신, 및 이 머신들의 기능들을 조합하여 갖는 복합기 등의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
우선,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4컬러 기반 풀-컬러 레이저 프린터이며, 기록재 S에 컬러 화상 형성을 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타입으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2)에 착탈가능하고, 기록재 S에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에 관해서, 장치 개폐 도어(3)가 제공된 측(표면)을 앞측(표면)이라고 칭하고, 앞측(표면)과 반대측(표면)을 뒤측(표면)이라고 칭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를 앞 표면으로부터 볼 때 우측을 구동측이라고 칭하고, 좌측을 비구동측이라고 칭한다.
장치 본체(2)에는, 제1 카트리지 PY, 제2 카트리지 PM, 제3 카트리지 PC, 및 제4 카트리지 PK로 구성된 4개의 카트리지 P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PY 내지 PK)는 마찬가지의 전자사진 프로세스 기구를 갖지만, 서로 컬러가 상이한 현상제(토너)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에는, 장치 본체(2)의 구동 출력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에는, 장치 본체(2)로부터 바이어스 전압(대전 바이어스 및 현상 바이어스 등)이 공급된다(도시되지 않음).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 각각은, 전자사진 감광 부재(4)(이하, 감광 드럼이라고 칭함)를 포함하고, 감광 드럼(4)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대전 수단 및 클리닝 수단을 포함하는 클리닝 유닛(8)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 각각은 감광 드럼(4)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을 포함하는 현상 장치(9)를 포함한다.
클리닝 유닛(8)과 현상 장치(9)는 서로 연결된다. 대전 수단으로서 대전 롤러(5)가 사용된다. 클리닝 수단으로서 클리닝 블레이드(7)가 사용된다. 현상 수단으로서 현상제 담지 부재(6)(이하, 현상 롤러라고 칭함)가 사용된다. 카트리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카트리지 PY는 그의 현상 (장치)프레임(29) 내에 옐로우(Y)의 토너를 수용하고, 감광 드럼(4)의 표면에 옐로우의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제2 카트리지 PM은 그의 현상 프레임(29) 내에 마젠타(M)의 토너를 수용하고, 감광 드럼(4)의 표면에 마젠타의 화상을 형성한다.
제3 카트리지 PC는 그의 현상 프레임(29) 내에 시안(C)의 토너를 수용하고, 감광 드럼(4)의 표면에 시안의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제4 카트리지 PK는 그의 현상 프레임(29) 내에 블랙(K)의 토너를 수용하고, 감광 드럼(4)의 표면에 블랙의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PM, PC, PK)의 상방에는, 노광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스캐너 유닛 LB가 설치된다. 이 레이저 스캐너 유닛 LB는 화상 정보에 대응해서 레이저광 Z를 출력한다. 그리고, 레이저광 Z는 각각의 카트리지 P의 노광 창부(10)를 통과해서, 감광 드럼(4)의 표면이 레이저광 Z에 주사 노광된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PM, PC, PK)의 하방에는, 전사 부재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이 설치된다. 이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은 구동 롤러(13), 턴 롤러(14), 및 텐션 롤러(15)를 포함하고, 롤러들에 의해 연장되고 스트레칭되는 전사 벨트(12)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 각각의 감광 드럼(4)은 그 하면에서 전사 벨트(12)의 상면과 접촉된다. 그 결과의 접촉부가 1차 전사부이다. 전사 벨트(12)의 내부에는, 연관된 감광 드럼(4)에 대향시켜서 1차 전사 롤러(16)가 설치된다.
턴 롤러(14)에 대향하여, 2차 전사 롤러(17)가 전사 벨트(12)와 접촉하게 설치된다. 전사 벨트(12)와 2차 전사 롤러(17) 간의 결과적인 접촉부가 2차 전사부이다.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의 하방에는, 급지 유닛(18)이 설치된다. 이 급지 유닛(18)은 기록재 S가 적재되는 급지 트레이(19)를 포함하고, 급지 롤러(20) 등을 포함한다.
도 2에 있어서의 장치 본체(2) 내의 좌측 상방에는 정착 유닛(21)과 배지 유닛(22)이 설치된다. 장치 본체(2)의 상면에는 배지 트레이(23)가 정의된다.
기록재 S상에는, 정착 유닛(21)에 설치된 정착 수단에 의해 토너 화상이 정착되고, 그 후 기록재 S가 배출 트레이(23)에 배출된다.
<화상 형성 동작>
이어서, 풀-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의 감광 드럼(4)이 소정의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도 3 화살표 D 방향으로, 그리고 도 2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전사 벨트(12)도 감광 드럼(4)(그들의 접촉부들에서)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도 2의 화살표 C 방향)으로 감광 드럼(4)의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레이저 스캐너 유닛 LB도 구동된다. 레이저 스캐너 유닛 LB의 구동에 동기하여, 각 카트리지에 있어서의 감광 드럼(4)의 표면이 대전 롤러(5)에 의해 소정의 극성 및 소정의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된다. 스캐너 유닛 LB는 각 감광 드럼(4)의 표면을 연관된 컬러의 화상 신호에 따라 레이저광 Z로 주사 노광한다.
그 결과, 각 감광 드럼(4)의 표면에는 연관된 컬러의 화상 신호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정전 잠상은 소정의 속도로 회전 구동(도 3 화살표 E 방향으로, 그리고 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되는 현상 롤러(6)에 의해 현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 동작에 의해, 제1 카트리지 PY의 감광 드럼(4)에는 풀-컬러 화상의 옐로우 성분에 대응하는 옐로우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그 후, 토너 화상은 전사 벨트(12)상에 1차 전사된다.
마찬가지로, 제2 카트리지 PM의 감광 드럼(4)에는 풀-컬러 화상의 마젠타 성분에 대응하는 마젠타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그 후, 토너 화상은 전사 벨트(12)상에 이미 전사되어 있는 옐로우 토너 화상에 중첩되어 1차 전사된다.
마찬가지로, 제3 카트리지 PC의 감광 드럼(4)에는 풀-컬러 화상의 시안 성분에 대응하는 시안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그 후, 토너 화상은 전사 벨트(12)상에 이미 전사되어 있는 옐로우와 마젠타 토너 화상에 중첩되어 1차 전사된다.
마찬가지로, 제4 카트리지 PK의 감광 드럼(4)에는 풀-컬러 화상의 블랙 성분에 대응하는 블랙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그 후, 토너 화상은 전사 벨트(12)상에 이미 전사되어 있는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 컬러의 토너 화상에 중첩되어 1차 전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전사 벨트(12)상에 4컬러 기반 풀-컬러 화상에 대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미정착 토너 화상이 형성된다.
한편, 소정의 제어 타이밍에서, 기록재 S의 시트들이 1매씩 분리되어 급송된다. 기록재 S는 소정의 제어 타이밍에 2차 전사 롤러(17)와 전사 벨트(12) 간의 접촉부인 2차 전사부에 도입된다. 그 결과, 기록재 S가 2차 전사부에 반송되는 과정에서, 전사 벨트(12)상에 중첩된 4컬러 토너 화상이 기록재 S의 표면에 일괄적으로 전사된다.
<카트리지의 구성>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P(PY, PM, PC, PK)는 감광 드럼(4)의 회전 축 a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고, 클리닝 유닛(8), 현상 장치(9), 구동측 커버 부재(24), 및 비구동측 커버 부재(25)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 유닛(8)은 감광 드럼(4), 대전 롤러(5), 클리닝 블레이드(7)를 포함하는 클리닝 용기(26), 및 파지부(45)에 의해 구성된다. 감광 드럼(4)은 구동측 커버 부재(24) 및 비구동측 커버 부재(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드럼 구동 커플링(4a)으로부터 장치 본체(2)의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구동력을 얻어서 회전 구동된다(화살표 D 방향으로).
대전 롤러(5)는 클리닝 용기(26)의 대전 롤러 베어링(27)에 의해 그의 양단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감광 드럼(4)의 표면과 접촉해서 감광 드럼(4)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 이때, 감광 드럼(4)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기 위해서, 대전 롤러(5)가 그의 양단부에서 가압 스프링(28)에 의해 감광 드럼(4)에 대해 가압된다.
클리닝 블레이드(7)는 클리닝 용기(26)에 고정되고, 그의 탄성 고무 선단부가 감광 드럼(4)과 회전 방향(도 3의 화살표 D 방향)에 대하여 카운터방향으로 접촉하여 배치된다. 화상 형성 동안에, 클리닝 블레이드(7)는 감광 드럼(4)상에 잔류된 전사 잔류 토너를 긁어내서 감광 드럼(4)의 표면을 클리닝한다. 이때, 전사 잔류 토너를 긁어내기 위해 클리닝 블레이드(7)의 선단은 감광 드럼(4)의 표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된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7)에 의해 감광 드럼(4)의 표면으로부터 긁어내진 전사 잔류 토너는 폐(잔류) 토너로서 클리닝 용기(26)의 잔류 토너 수용부(26a)에 수용된다. 그러한 목적으로, 클리닝 용기(26)에는, 감광 드럼(4) 또는 클리닝 블레이드(7)와 클리닝 용기 자체 간의 간극으로부터의 잔류 토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잔류 토너 회수 시트 부재(44)가 감광 드럼(4)의 길이 방향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7)의 길이 방향 양단부 각각에는 클리닝 블레이드 단부 시일 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카트리지 P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이다. 6면체 중 면(58)은 전술한 감광 드럼(4)으로부터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에 전사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노출부(4b)를 포함한다. 면(58)에 대향하는 면(59)은 전술한 파지부(45)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카트리지로서, 감광 드럼(4)은, 대전 수단인 대전 롤러(5), 클리닝 수단인 클리닝 블레이드(7), 및 잔류 토너 수용부(26a)를 포함한, 감광 드럼(4)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과 일체화되지만, 카트리지는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현상 수단, 대전 수단, 및 클리닝 수단 중 적어도 1개 이상과 감광 드럼(4)은 장치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되도록 카트리지로 조립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의 착탈 구성>
이어서, 카트리지 P(PY, PM, PC, PK)의 장치 본체(2)에의 착탈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카트리지 트레이(43)가 장치 본체(2)로부터 인출되어, 카트리지 P가 카트리지 트레이(43)에 착탈 가능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카트리지 P가 카트리지 트레이(43)에의 착탈 동작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장치 본체(2) 내부에는, 카트리지 P가 장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 트레이(43)가 설치된다. 카트리지 트레이(4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인 G1 및 G2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가능(압입 가능/인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카트리지 트레이(43)는 장착 위치와, 장착 위치로부터 카트리지 트레이(43)가 인출되는 인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우선, 카트리지 P(PY, PM, PC, PK)를 장치 본체(2)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치 개폐 도어(3)가 개방되고 나서, 카트리지 트레이(43)가 도 5의 화살표로 나타낸 G1 방향으로 이동되어 인출 위치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 P는 화살표 H1 방향으로부터 카트리지 트레이(43)에 장착되어 유지된다. 카트리지 P를 유지하는 카트리지 트레이(43)는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G2 방향으로 이동되어, 카트리지 트레이(43)는 장착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장치 개폐 도어(3)가 폐쇄됨으로써,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에의 장착 동작이 완료된다.
한편,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로부터의 취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에의 장착 동작과 마찬가지로, 카트리지 트레이(43)가 인출 위치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카트리지 P는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H2 방향으로 취출되어,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로부터의 취출 동작이 완료된다. 전술한 동작에 의해, 카트리지 P는 장치 본체(2)에 착탈 가능하게 된다.
<현상 장치의 구성>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장치(9)는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6)가 회전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긴 형상을 갖는다. 현상 롤러(6) 이외에도, 현상 장치(9)는 현상 프레임(29), 현상 블레이드(31), 현상 장치 단부 시일 부재(34R, 34L), 가요성 시트 부재(35), 및 공급 롤러 샤프트 시일(37R, 37L)에 의해 구성된다.
현상 프레임(29)은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실(29c)을 포함하고, 토너 수용실(29c)로부터 토너의 배출을 허용하기 위한 개구(29b)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6) 및 현상제 공급 롤러(33)는 개구(29b)에 가까이 설치되고, 현상 롤러(6)의 샤프트의 양단부는 현상 프레임(29)의 양측면에 설치된 구동측 베어링(38)과 비구동측 베어링(3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현상 롤러(6)의 코어재(6a)와 (도 3에서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동되는) 현상제 공급 롤러(33)의 코어재(33a)의 구동측 단부들에는, 각각 구동 기어(40)와 공급 롤러 기어(41)가 설치되고, 현상 장치 구동 입력 기어(42)와 맞물려 결합된다. 현상 장치 구동 입력 기어(42)는 현상 장치 구동 커플링(42a)을 포함하고, 이것은 장치 본체(2)측의 구동 출력 커플링(도시되지 않음)과 결합해서, 장치 본체(2)의 구동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현상 롤러(6)와 현상제 공급 롤러(33)가 소정의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현상 블레이드(31)는 두께 0.1mm 정도의 탄성 금속 박판이며, 현상 블레이드(31)의 폭 방향의 자유단은 현상 롤러(6)에 회전 방향(도 3에 있어서의 화살표 E 방향)에 대하여 카운터방향으로 접촉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장치 단부 시일 부재(34R, 34L)는 현상 프레임(29)의 개구의 양단에 설치되어, 현상 블레이드(31) 및 현상 롤러(6) 각각과, 현상 프레임(29) 간의 간극으로부터의 토너 누출이 방지된다.
또한, 가요성 시트 부재(35)는, 현상 프레임(29)의 개구에 있어서의 현상 블레이드(31)에 시트 부재(35)가 대향하는 측의 길이 방향 측면에서 현상 롤러(6)와 접촉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현상 프레임(29)과 현상 롤러(6) 간의 간극으로부터의 토너 누출을 방지한다. 또한, 공급 롤러 샤프트 시일 부재(37R, 37L)는 현상제 공급 롤러(33)의 코어재(33a)에 있어서의 현상 프레임(29)의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에 장착됨으로써, 현상 프레임(29)에 설치된 코어재 관통 구멍과 코어재(33a) 간의 간극으로부터의 토너 누출을 방지한다.
현상 장치(9)는, 도 4에 도시된 요동 중심(축 b)을 중심으로 하여 현상 롤러(6)가 감광 드럼(4)과 접촉되는 방향(도 3의 화살표 W1 방향)으로, 가압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항상 가압된다.
화상 형성 동안에는, 구동에 의해, 현상제 공급 롤러(33)와 현상 롤러(6)가 회전되어 서로 마찰됨으로써, 현상 프레임(29) 내의 토너가 현상 롤러(6)상에 담지된다. 현상 블레이드(31)는 현상 롤러(6)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토너층의 두께를 규제함과 동시에, 접촉 압력에 의해 현상 롤러(6)와 현상 블레이드 자체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 대전에 의한 전하(triboelectric charges)를 토너에 부여한다.
그 후, 현상 롤러(6)와 감광 드럼(4) 간의 접촉부에서 현상 롤러(6)상의 대전된 토너가 정전 잠상에 부착되어, 정전 잠상이 현상된다.
<포장재의 구성>
포장재(46)의 구성에 대해서 도 1, 도 8의 (a) 및 (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장재(46) 내의 카트리지 P의 포장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의 (a) 부분은 본 발명의 포장재(46)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의 (b) 부분은 포장재(46)로부터 카트리지 P의 취출가능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포장재(46)의 카트리지 포장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포장재(46)는 프레임부(47), 캡부(48), 및 힌지부(49)에 의해 구성된다. 힌지부(49)는 프레임부(47)과 캡부(48)의 회전 지지점으로서 기능하고, 힌지부(49)의 중심에서 프레임부(47)과 캡부(48)가 서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부(47)의 개구(47c1)를 개방하는 캡부(48)의 위치가 개방 위치이다. 포장재(46)를 구성하는 프레임부(47), 캡부(48), 및 힌지부(49) 각각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수지 재료)의 박판(시트)에 의해 구성되고, 이 부분들은, 예를 들어, 진공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이 부분들은 골판지 등의 종이 재료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부(47)는 제1 오목부(47c)를 포함하는 오목 형상을 갖고, 캡부(48)는 제2 오목부(48b)를 포함하는 오목 형상을 갖는다. 또한, 프레임부(47)와 캡부(48)에는 제1 오목부(47c)와 제2 오목부(48b)의 외주를 각각 둘러싸도록 플랜지부(47a, 48a)가 형성된다. 프레임부(47)와 캡부(48)는 힌지부(49)에서 연결됨으로써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단, 프레임부(47)와 캡부(48)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레임부(47)의 제1 오목부(47c)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인 카트리지 P의 감광 드럼(4)의 노출부(4c)가 제1 오목부(47c)의 저부(47c2)에 대향하도록 카트리지 P의 일부를 덮는다. 캡부(48)의 제2 오목부(48b)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인 카트리지 P의 파지부(45)에 대향하도록 카트리지 P의 일부를 덮는다. 또한, 프레임부(47)의 플랜지부(47a)와 캡부(48)의 플랜지부(48a)가 서로 대향하고 서로 접합된다. 즉, 제1 오목부(47c)와 제2 오목부(48b)가 서로 대향하여 수납 공간을 만들고, 그 수납 공간에 카트리지 P가 수납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P 전체가 프레임부(47)과 캡부(48)에 의해 덮임으로써, 포장 상태로 놓인다(도 1 및 도 9). 도 9에 도시된 프레임부(47)의 개구(47c1)를 폐쇄하는 캡부(48)의 위치가 폐쇄 위치이다. 즉, 캡부(48)는 이 폐쇄 위치와, 전술한 개방 위치(도 8 참조)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카트리지 P를 수용하기 위해 프레임부(47)의 플랜지부(47a)와 캡부(48)의 플랜지부(48a)가 서로 접합되는 접합 위치는, 카트리지 P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볼 때의 높이 c의 실질적으로 1/2인 위치에 형성되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 P의 대각선 등에 플랜지부(47a, 48a)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카트리지 P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이고, 포장재(46)는 유사한 형태인 프레임부(47)와 캡부(48)를 포함한다. 그러나, 카트리지 P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카트리지 P의 전체 또는 카트리지 P의 보호되어야 할 일부가 포장재로 덮어지면, 포장재도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부(47)의 플랜지부(47a)와 캡부(48)의 플랜지부(48a) 간의 접합 방법은 (열) 용착, 접착제, 양면 테이프, 또는 훅킹(hooking) 등이다.
프레임부(47)에는 유지부(47b)가 형성된다(도 8의 (a)). 유지부(47b)는 카트리지 P가 수납된 상태에서, 감광 드럼(4)의 축 방향 a의 양단부 각각에 형성된다. 또한, 구동측 커버 부재(24)의 피지지부(56)와 비구동측 커버 부재(25)의 피지지부(57)를 지지함으로써, 카트리지 P가 특정한 자세로 유지된다.
여기에서, 특정한 자세는, 포장재(46)로부터 카트리지 P가 취출 가능한 상태에 있어서, 포장재(46)의 프레임부(47)에 의해 카트리지 P가 유지되고, 카트리지 P의 감광 드럼(4)의 노출부(4b)가 포장재(46)에 의해 덮어진 상태이다. 즉, 제1 오목부(47c)는 감광 드럼(4)을 노출하지 않도록 카트리지 P를 수납한다. 또한, 제1 오목부(47c)는 감광 드럼(4)의 노출부(4b)가 포장재(46)의 프레임부(47)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카트리지 P의 파지부(45)를 개구(47c1)로부터 노출시켜 파지부(45)가 파지될 수 있는 자세로 파지부(45)를 있게 한다.
캡부(48)에는 누름부(48c)가 형성된다(도 8의 (a)). 누름부(48c)는 포장재(46)의 포장 상태에 있어서, 누름부(48c)가 카트리지 P의 현상 프레임(29)과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된다(도 1). 또한, 포장재(46)의 포장 상태에 있어서, 카트리지 P는 유지부(47b)와 누름부(48c)에 의해 지지되고, 포장재(46) 내에 고정된다.
또한, 유지부(47b)와 누름부(48c) 이외의 부분들은 카트리지 P와 접촉하지 않고, 수송 동안의 진동 및 충격을 감광 드럼(4) 및 프로세스 수단에 직접 전달하지 않음으로써, 카트리지 P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누름부(48c)는 현상 프레임과 접촉하지만, 클리닝 용기(26), 구동측 커버 부재(24), 및 비구동측 커버 부재 등 카트리지 P의 전자사진 감광 부재에 잠상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들과 접촉할 수도 있다. 또한, 누름부(48c)는 캡부(48)에서 성형되지만, 프레임부(47)에서 성형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카트리지 P의 포장재(46)의 포장개방 동작에 대해서 도 1,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포장재(46)의 캡부(48)측으로부터 카트리지 P가 취출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포장재(46)의 프레임부(47)측으로부터 카트리지 P가 취출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우선, 제1 오목부에 대하여 캡부(48)가 이동되는 경우에 대해서 도 1 및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즉, 이 경우에, 제1 오목부에 카트리지 P가 수납된 상태에서 캡부(48)가 이동된다. 캡부(48)로부터의 포장개방 동작은 캡부(48)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플랜지부(47a, 48b) 간의 접합을 해제한 후에, 힌지부를 회전 지지점(49a)으로 하여 캡부(48)를 도 10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즉, 캡부(48)는 폐쇄 위치(도 9)로부터 개방 위치(도 8)로 회전된다. 이때, 캡부(48)의 플랜지부(48a)와 제2 오목부(48b)를 연결하는 내벽면(48d) 중, 힌지부(49)에 가장 가까운 점(48e)의 회전 궤적 Q에 카트리지 P가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캡부(48)는 프레임부(47)에 대하여 힌지부(49)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P의 파지부(45)는, 파지부(45)가 개구(47c1)로부터 노출된 상태에 있게 되어, 카트리지 P가 제1 오목부(47c)로부터 용이하게 취출가능한 상태에 놓인다. 그 후, 카트리지 P의 파지부(45)가 파지되어, 포장재(46)로부터 카트리지 P를 화살표 J 방향으로 취출함으로써, 카트리지 P가 장치 본체(2)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캡부(48)에 대하여 프레임부(47)를 개방해서 포장개방되는 경우에 대해서 도 1 및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즉, 이 경우에, 캡부(48)에 의해 카트리지 P가 지지된 상태에서 프레임부(47)가 이동되고, 도 10에 도시된 포장재(46)의 상태에 대하여, 포장재(46)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46)가 거꾸로 뒤집힌 상태에 있다. 포장재(46)가 프레임부(47)측으로부터 포장개방되는 경우에, 캡부(48)측으로부터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캡부(48)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플랜지부(47a, 48b) 간의 접합이 해제된 후에, 프레임부(47)가 힌지부(49)를 회전 지지점(49a)으로 하여 도 11의 화살표 V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캡부(48)와 프레임부(47)는 동일한 회전 지지점(49a)을 갖는다.
프레임부(47)의 플랜지부(47a)와 제1 오목부(47c)를 연결하는 내벽면(47d) 중, 힌지부(49)에 가장 가까운 점(47e)의 회전 궤적 U에 클리닝 용기(26)가 위치된다. 즉, 카트리지 P는 (간섭될)간섭부인 간섭 영역(65)을 포함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47)측으로부터의 포장개방 동안에는, 프레임부(47)의 내벽면(47d)과 클리닝 용기(26)가 서로 간섭한다. 그 결과, 유저가 포장재(46)를 프레임부(47)로부터 포장개방하고자 하는 경우에, 포장재(46)가 포장개방되기 어렵다는 것을 유저에게 감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유저에 제1 오목부(47c)에 대하여 캡부(48)를 이동시키는 포장개방 동작을 행하도록 선택시킬 수 있고, 따라서 이용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캡부(48)에 대하여 프레임부(47)를 개방하는 포장개방 동작을 행하지 않음으로써, 유저가 부주의하게 감광 드럼(4)을 터치하여, 화상 불량을 유발할 우려가 저하된다. 또한, 전술한 구성을 채택함에 의해, 포장재(46)가 포장개방될 수 있는 캡부(48)측에 파지부(45), 및 포장재(46)를 포장개방하기 곤란한 프레임부(47)측에 감광 드럼(4)의 노출부(4b) 등 특히 보호될 필요가 있는 부품들이 배치된다. 그 결과, 유저가 포장재(46)의 포장개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서, 유저가 화상 형성 장치(1)에 지장없이 용이하게 카트리지 P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캡부(48)가 이동된 후에, 카트리지 P가 포장재(46)의 프레임부(47)로부터 취출될 때에는, 프레임부(47)의 제1 오목부(47c)로부터 수직으로 취출됨으로써, 카트리지 P는 프레임부(47)와 간섭 없이 프레임부(47)로부터 취출될 수 있다.
(실시 형태 2)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47)를 이동해서 포장재(46)가 포장개방되는 경우에, 프레임부(47)의 회전 궤적 U에 카트리지 P의 일부가 위치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구성에 의존하지 않고 프레임부(47)로부터의 포장재(46)의 포장개방을 방지하는 구성에 대해서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포장재로부터 카트리지가 취출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의 (a) 부분과 (b) 부분은 본 실시 형태의 포장재와 카트리지 간의 결합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의 포장재 내의 카트리지의 포장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의 포장재의 캡부측으로부터 카트리지를 취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의 포장재의 프레임부측으로부터 카트리지를 취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재(50)의 프레임부(51)에는 돌기부인 결합부(51d)가 설치되고, 구동측 커버 부재(도시되지 않음)와 비구동측 커버 부재(125) 각각에는 피결합부(55)가 설치된다.
또한, 카트리지 T가 포장재(50)에 포장될 때, 결합부(51d)와 피결합부(55)가 서로 결합된다(도 13의 (b)). 즉, 카트리지 T가 프레임부(51)로부터 J 방향으로 취출될 때 카트리지 T와 간섭하는 간섭 영역(165)이 제공된다. 또한, 구동측 커버 부재와 프레임부(51)의 결합부(51d) 간의 결합 상태는 비구동측 커버 부재(125)에 대한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생략한다.
또한, 카트리지 T는 유지부(51b)와 프레임부(51)의 결합부(51d)에 의해 유지되고 포장재(50) 내에 고정됨으로써, 제1 오목부(51c)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프레임부(51)의 접합면(51a)과 캡부(52)의 접합면(52a)을 서로 접합함으로써 포장 상태가 생성된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제1 오목부(51c)의 개구(51c1)를 개폐하는 캡부(52)의 제2 오목부(52b)와 파지부(145)가 서로 대향하고, 프레임부(51)의 제1 오목부(51c)의 바닥부(51c2)와 감광 드럼(114)의 노출부(114b)가 서로 대향한다(도 14).
캡부(52)가 이동되어 포장재(50)를 포장개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캡부(52)로부터의 포장재(50)의 포장개방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플랜지부(51a, 52a) 간의 접합을 해제한 후에 캡부(52)를 힌지부(53)의 회전 지지점(53a)을 중심으로 도 15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때, 캡부(52)의 플랜지부(52a)와 제2 오목부(52b)를 연결하는 내벽면(52d) 중, 힌지부(53)에 가장 가까운 점(54)의 회전 궤적 Q에 카트리지 T가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캡부(52)는 프레임부(51)에 대하여 힌지부(5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파지부(145)가 파지될 수 있는 상태에 파지부(145)가 있게 된 후에, 유저가 카트리지 T의 파지부(145)를 파지하여 포장재(50)로부터 카트리지 T를 취출하여, 장치 본체(2)에 카트리지 T가 장착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프레임부(51)가 이동되어 포장재(50)를 포장개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도 16). 프레임부(51)측으로부터의 포장개방 방법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플랜지부(51a, 52a) 간의 접합을 해제한 후에, 힌지부(53)를 회전 지지점(53a)으로 하여 프레임부(51)를 도 16의 화살표 V 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때, 카트리지 T는 프레임부(51)의 결합부(51d)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카트리지 T도 프레임부(51)와 함께 화살표 V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유저는 카트리지 T의 중량을 느낌으로써, 포장재(50)가 프레임부(51)로부터의 포장개방되기 어렵다는 것을 느낀다. 따라서, 유저는 캡부(52)를 이동하여 포장재(50)를 포장개방한 후에, 파지부(145)를 원활하게 파지한다. 그 후, 유저는 한 손으로 카트리지 T의 파지부(145)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포장재(50)의 프레임부(51)를 유지한 후에, 유저는 결합부(51d)를 변형시키면서 카트리지 T를 화살표 J 방향으로 취출한다. 그 결과, 결합부(51d)와 피결합부(55)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어서, 이용도가 손상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에 대하여 캡부를 이동함으로써 포장재가 포장개방되는 경우에, 캡부와 카트리지 간에 간섭 영역이 없고, 캡부에 대하여 프레임부를 이동함으로써 포장재가 포장개방되는 경우에, 프레임부와 카트리지는 간섭 영역을 갖는다. 그러한 포장재가 본 발명에 있어서 제공된다. 따라서, 프레임부측으로부터 포장재가 포장개방될 때, 포장재가 포장개방되기 어렵다는 것을 유저에게 감각적으로 알림으로써, 이용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송 동안의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카트리지를 보호하기 위한 포장재로부터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상세한 사항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출원은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 또는 개량의 목적 내에 들어올 수 있는 변경 또는 변화를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P: 카트리지
46: 포장재
47: 프레임부
48: 캡부
49: 힌지부

Claims (5)

  1.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한 패키징된 카트리지로서,
    (i) 파지부가 설치된 카트리지,
    (ii)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는 개구 및 오목부를 포함하여, 상기 파지부는 상기 개구를 통해 파지될 수 있도록 노출됨-, 및
    (iii)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오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와 상기 개구가 폐쇄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부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캡부는 힌지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프레임부의 내면 사이에 간극이 제공되어, 상기 프레임부가 상기 캡부에 대하여 개방 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내면과 간섭하는, 패키징된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개구가 폐쇄될 때, 상기 오목부와 함께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패키징된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는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일체적으로 성형(molding)되는, 패키징된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카트리지에 설치된 감광 드럼이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카트리지를 수납할 수 있는, 패키징된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된 카트리지의 캡부측을 아래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가 개방 방향으로 상기 캡부에 대하여 이동될 때, 상기 프레임부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간섭부를 더 포함하는, 패키징된 카트리지.
KR1020160064789A 2012-08-31 2016-05-26 패키징된 카트리지 KR101657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91428A JP6108728B2 (ja) 2012-08-31 2012-08-31 梱包材及びカートリッジ
JPJP-P-2012-191428 2012-08-31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779A Division KR101656921B1 (ko) 2012-08-31 2013-08-30 패키징된 카트리지, 포장재 및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820A KR20160067820A (ko) 2016-06-14
KR101657037B1 true KR101657037B1 (ko) 2016-09-12

Family

ID=490289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779A KR101656921B1 (ko) 2012-08-31 2013-08-30 패키징된 카트리지, 포장재 및 카트리지
KR1020160064789A KR101657037B1 (ko) 2012-08-31 2016-05-26 패키징된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779A KR101656921B1 (ko) 2012-08-31 2013-08-30 패키징된 카트리지, 포장재 및 카트리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01031B2 (ko)
EP (1) EP2713224B1 (ko)
JP (1) JP6108728B2 (ko)
KR (2) KR101656921B1 (ko)
CN (2) CN103676594B (ko)
TW (1) TWI5473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368B1 (ko) 2011-12-06 2017-06-1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감광체 드럼용 구동 전달 장치의 조립 방법
CN106742724B (zh) * 2012-06-08 2019-03-08 佳能株式会社 包装构件和包装在包装构件中的盒
JP6112783B2 (ja) * 2012-06-08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体
JP6218493B2 (ja) 2012-09-06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ユニット、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製造方法
JP5980064B2 (ja) 2012-09-13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の製造方法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415198B2 (ja) 2013-09-12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6274892B2 (ja) 2014-02-04 2018-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器、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376782B2 (ja) 2014-03-10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406928B2 (ja) 2014-08-29 2018-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622451B2 (ja) * 2014-09-30 2019-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部材
JP6855284B2 (ja) 2017-03-03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TWI720790B (zh) 2017-06-15 2021-03-01 日商佳能股份有限公司 卡匣及電子照片畫像形成裝置
WO2019077968A1 (en) * 2017-10-18 2019-04-25 Canon Kabushiki Kaisha PACKAGING CONTAINER AND PACKAGE
JP2019073322A (ja) * 2017-10-18 2019-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包装容器
JP2019073323A (ja) * 2017-10-18 2019-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包装容器
JP7080678B2 (ja) 2018-03-13 202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7366599B2 (ja) 2018-06-25 2023-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MX2021015277A (es) 2019-06-12 2022-01-18 Canon Kk Cartucho, accesorio y equipo de montaje.
CN115836253A (zh) 2020-06-08 2023-03-21 佳能株式会社 调色剂容器和成像系统
JP2022050266A (ja) 2020-09-17 2022-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3043462A (ja) 2021-09-16 2023-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保護組立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5793A (ja) 2002-12-25 2004-07-22 Ricoh Co Ltd 荷物用緩衝材、袋材、梱包材及び画像形成ユニット荷物
JP2012150302A (ja) 2011-01-20 2012-08-09 Brother Ind Ltd 感光体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4173A (ja) 1990-09-04 1992-04-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梱包材
JPH07334066A (ja) 1994-06-08 1995-12-22 Ricoh Co Ltd トナー貯蔵部を有するユニットの梱包装置
JPH1029616A (ja) * 1996-07-15 1998-02-03 Saidetsuku Kk 物品の搬送用容器
JPH11268755A (ja) * 1998-03-20 1999-10-05 Ricoh Elemex Corp 製品の包装用箱
JP2001199477A (ja) * 2000-01-13 2001-07-24 Ricoh Co Ltd 梱包用箱
US6321911B1 (en) * 2000-01-31 2001-11-27 Display Pack, Inc. Fragility package
US6714746B2 (en) 2001-01-23 2004-03-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rotationally driving image bearing member and contact electrifying member of process cartridge and process cartridge comprising image bearing member and contact electrifying member
JP2002258551A (ja) 2001-02-28 2002-09-11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3307931A (ja) 2002-04-17 2003-10-3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307992A (ja) 2002-04-17 2003-10-3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307993A (ja) 2002-04-17 2003-10-31 Canon Inc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18517B2 (ja) 2002-11-29 2007-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部品
JP2004177835A (ja) 2002-11-29 2004-06-24 Canon Inc 部品及び部品の供給方法
JP3639834B2 (ja) 2003-05-19 2005-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部材、及び、梱包部材を用いた梱包方法、及び、梱包部材の製造方法
JP2005077743A (ja) 2003-08-29 2005-03-24 Canon Inc 現像フレー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5148445A (ja) 2003-11-17 2005-06-09 Canon Inc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端部規制部材
JP3885062B2 (ja) 2004-03-30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30615B2 (ja) 2004-03-30 2011-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
JP4110128B2 (ja) 2004-04-26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軸受部材
US7158749B2 (en) 2004-04-26 2007-01-02 Canon Kabushiki Kaisha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cleaning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840232B2 (ja) 2004-05-0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508835B2 (ja) 2004-11-10 2010-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の包装材
JP4403986B2 (ja) * 2005-02-28 2010-01-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使用済み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梱包方法および梱包体
JP4948382B2 (ja) 2006-12-22 2012-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感光ドラム取り付け用カップリング部材
JP4498407B2 (ja)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4280772B2 (ja) 2006-12-28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856192B2 (en) 2006-12-28 2010-12-2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5311854B2 (ja)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JP5094186B2 (ja) * 2007-04-10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010983B2 (ja) * 2007-05-30 2012-08-29 株式会社リコー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梱包体
KR101431178B1 (ko) 2007-09-13 2014-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제 저장체 포장 유닛, 현상제 저장체의 포장 용기, 및현상제 저장체의 포장방법
JP5328230B2 (ja) 2008-06-10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283986B2 (ja) 2008-06-20 201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288900B2 (ja) 2008-06-20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419584B2 (ja) 2008-09-01 2014-02-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751779B2 (ja) 2009-10-30 2015-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430349B2 (ja) 2009-10-30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
JP6128823B2 (ja) 2011-12-21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容器、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る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55679B2 (ja) 2011-12-27 2013-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901327B2 (ja) 2012-02-09 2016-04-0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112783B2 (ja) 2012-06-08 2017-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5793A (ja) 2002-12-25 2004-07-22 Ricoh Co Ltd 荷物用緩衝材、袋材、梱包材及び画像形成ユニット荷物
JP2012150302A (ja) 2011-01-20 2012-08-09 Brother Ind Ltd 感光体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76594B (zh) 2017-04-12
JP2014048468A (ja) 2014-03-17
EP2713224A3 (en) 2017-12-27
US9501031B2 (en) 2016-11-22
CN103676594A (zh) 2014-03-26
EP2713224B1 (en) 2021-12-08
CN106873339B (zh) 2021-08-10
TWI547383B (zh) 2016-09-01
EP2713224A2 (en) 2014-04-02
KR20160067820A (ko) 2016-06-14
JP6108728B2 (ja) 2017-04-05
TW201408505A (zh) 2014-03-01
KR101656921B1 (ko) 2016-09-12
CN106873339A (zh) 2017-06-20
KR20140029320A (ko) 2014-03-10
US20140064784A1 (en) 2014-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037B1 (ko) 패키징된 카트리지
US10427867B2 (en) Packing member and cartridge packed in the packing member
EP2858916B1 (en) Packing member and cartridge packed in the packing member
TWI525024B (zh) 匣包裝及可包裝式處理匣
CN107077094B (zh) 包装部件
JP2014013386A (ja) 梱包部材、梱包部材に梱包されたカートリッジ
JP6297187B2 (ja) 梱包材及びカートリッジ
JP2014081404A (ja) 梱包部材、梱包部材に梱包された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