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323A - 개선된 감미료 - Google Patents

개선된 감미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323A
KR20150130323A KR1020157026130A KR20157026130A KR20150130323A KR 20150130323 A KR20150130323 A KR 20150130323A KR 1020157026130 A KR1020157026130 A KR 1020157026130A KR 20157026130 A KR20157026130 A KR 20157026130A KR 20150130323 A KR20150130323 A KR 201501303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eetener
weight
composition
fruit extract
alulul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3010B1 (ko
Inventor
라이언 디. 우디어
제이슨 씨. 코헨
존 알. 브릿지스
마이클 디. 헤리슨
위칭 조우
Original Assignee
테이트 앤드 라일 인그리디언츠 어메리카즈 엘엘씨
테이트 앤드 라일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74705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5013032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테이트 앤드 라일 인그리디언츠 어메리카즈 엘엘씨, 테이트 앤드 라일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테이트 앤드 라일 인그리디언츠 어메리카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50130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236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2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powders or particles to foodstuffs, e.g. for breading; Such apparatus combined with means for pre-moistening or battering
    • A23L1/0047
    • A23L1/212
    • A23L1/29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6Terpene glyc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Seasoning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단맛 상승효과, 역한 맛 감소효과, 바람직한 경시적 프로필을 가진 저칼로리 또는 무칼로리 감미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해당 감미료 조성물은 고칼로리 당류의 대체품으로 이용하기에 적합하다. 해당 감미료 조성물은 식품 및 음료제품, 의약제품, 영양보조식품 및 화장품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감미료{IMPROVED SWEETEN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저칼로리 혹은 "무칼로리" 감미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맛 상승효과, 역한 맛 감소효과, 바람직한 경시적 프로필(temporal profile)을 가진 감미료 조성물에 관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해당 감미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 및 음료제품에 관한다.
대부분의 식품 및 음료제품은 자당(일반적으로 '설탕' 또는 '과립당'으로 불린다), 포도당, 과당, 옥수수시럽, 고과당 옥수수시럽 등의 영양(nutritive) 감미료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 감미료는 식품 및 음료제품에 단맛을 가미하는 것은 물론, 부피, 질감을 비롯하여 갈색화(browning), 촉촉함, 응고점 강하 등의 기능특성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감미료는, 단맛의 질을 높이고 쓴맛과 역한 맛을 제거하며, 경시적 프로필(temporal profile) 및 식감을 원하는 수준으로 향상시키는 등, 감각반응을 고양시킨다.
맛과 기능특성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자당 등 영양 감미료의 과다 섭취는 식습관에 관련된 건강문제, 예를 들어 비만, 심장질환, 대사질환 또는 치아문제 등의 증가와 오랫동안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은 보다 건강한 생활습관을 기르고 식사에서 영양 감미료의 양을 줄이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최근 몇 년, 영양 감미료의 대체재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특히 저칼로리 혹은 무칼로리 감미료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영양 감미료의 이상적인 대체재는, 영양 감미료의 맛과 기능특성을 그대로 가지되 칼로리는 훨씬 낮거나 실질적으로 없는 감미료이다. 이러한 감미료에 대한 요구가 증대함에 따라, 시장에는 종래의 영양 감미료의 대체 후보들이 범람하게 되었다. 그러나 불행히도, 시장에 출시된 대부분의 저칼로리 또는 무칼로리 대체재는 필요한 특성이 하나 이상 모자라기 일쑤이며, 심지어 종종 맛이 쓰거나 이상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후보 감미료들은 영양 감미료의 이상적인 대체재가 되지 못한다.
영양 감미료의 대체재 후보 중 하나는 알룰로오스(또는 D-사이코오스)이다. 알룰로오스는 자연계에는 극소량만 존재하기 때문에 '희소당(rare sugar)'으로 알려져 있다. 알룰로오스는 자당에 비하여 단맛은 약 70% 수준이나, 칼로리는 약 5%에 불과하다(대략 0.2kcal/g). 따라서 알룰로오스는 '무칼로리' 감미료로 적합할 수 있다.
자연계에서의 희소성 때문에, 알룰로오스의 생성은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과당의 에피머화(epimerization)에 달려 있다. 케토오스-3-에피메라아제는 과당과 알룰로오스를 상호 전환시키며, 이러한 전환반응을 일으키는 케토오스-3-에피메라아제로는 이미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다.
미국특허 제 8,030,035호 및 PCT공개특허 WO2011/040708은 D-프럭토오스를 Agrobacterium tumefaciens로부터 유래한 단백질과 반응시키고 사이코오스-3-에피메라아제를 활성화시켜 D-사이코오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 제 2011/0275138호는 리조비움(Rhizobium)속의 미생물로부터 유래한 케토오스-3-에피메라아제를 개시하고 있다. 해당 단백질은 D-케토펜토오스 또는 L-케토펜토오스, 및 D-케토헥소오스 또는 L-케토헥소오스, 특히 D-프럭토오스와 D-사이코오스에 대하여 높은 특이성을 보인다. 해당 문헌은 또한 상기 단백질을 이용한 케토오스 생성 공정도 개시하고 있다.
한국특허 제 100832339호는 과당을 사이코오스(알룰로오스)로 전환하는 시노리조비움(Sinorhizobium)속 YB-58 균주와, 시노리조비움속 YB-58 균주의 균체를 이용하여 사이코오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특허출원 제 1020090098938호는 대장균을 이용하여 사이코오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대장균은 사이코오스-3-에피메라아제 효소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발현한다.
알룰로오스는 정제한 사탕수수 및 사탕무 당밀, 증기처리 커피, 밀 제품, 고과당 옥수수 시럽 등에 존재한다. D-알룰로오스는 D-프럭토오스의 C-3 에피머로, 알룰로오스와 과당 사이의 구조적 차이로 인해 알룰로오스는 인체에서 눈에 뜨이는 범위의 대사 작용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무칼로리"가 된다. 다시 말해 알룰로오스는 무칼로리이면서도 자당과 비슷한 성질 및 단맛을 유지하므로, 영양 감미료의 대체재, 아울러 감미충전제의 후보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과립당(table sugar)의 대체재로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나한과 추출물이다. 나한과는 박과의 식물인 Siraitia grosvenorii에서 얻는 과일로, 동남아시아의 열대지역 및 아열대지역에서 왕성하게 자라는 작은 멜론의 일종이다. 나한과는 사탕수수당보다 대략 200배 이상 달며, 무칼로리 감미료를 제공한다. 나한과의 단맛을 이끌어내는 주된 구성성분은 모그로시드이다. 모그로시드는 트리테르펜 글리코시드류에 속한다. 모그로시드의 단맛은 모그로시드 내에 존재하는 포도당 단위의 수에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나한과에서 발견되는 모그로시드의 예로는 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V, 모그로시드 VI, 옥소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IIE 및 시아메노시드 I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최신 연구에 따르면 일부 모그로시드는 맛이 역하고 경시적 프로필이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한다. 아울러 알룰로오스는, 비용과 소화 내성 등으로 인해 응용에 일부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저칼로리 혹은 무칼로리이며 용도에 제한이 없으되 자당과 유사한 맛 특성을 가지는, 자당 및 기타 영양 감미료의 개선된 대체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자당에 비견되는 맛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칼로리가 낮거나 없는 감미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문제의 해결책을 찾아내었다. 본 발명은 또한, 현재 시판되는 감미료에 비하여 역한 맛 또는 역한 냄새가 덜하며, 경시적 프로필 및 식감을 기대 수준까지 향상시킨 감미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알룰로오스 및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는 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V, 모그로시드 VI, 옥소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IIE 또는 시아메노시드 I 및 이들의 혼합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는 박과 식물의 과일로부터 얻을 수 있다. 해당 식물은 Siraitia grosvenorii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한과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는 박과 식물의 과일로부터 추출한 과일 추출물의 감미료 조성물에 존재하는 것이 좋다. 해당 식물은 Siraitia grosvenorii인 것이 바람직하다.
감미료 조성물은 알룰로오스와, 박과 식물의 과일로부터 추출한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일 추출물은,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모그로시드 조성물의 함유량이 적어도 약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과일 추출물은,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모그로시드 조성물의 함유량이 약 50~약 9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그로시드 조성물은, 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V, 모그로시드 VI, 옥소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IIE 또는 시아메노시드 I 및 이들의 혼합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일 추출물은,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40~약 65중량%의 모그로시드 V 및, 약 0~약 30중량%의 모그로시드 IV, 모그로시드 VI, 옥소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IIE, 시아메노시드 I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과일 추출물은,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48~약 52중량%의 모그로시드 V 및, 약 25~약 30중량%의 모그로시드 IV, 옥소모그로시드 V, 및 시아메노시드 I를 포함한다.
과일 추출물은,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50~약 60중량%의 모그로시드 V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약 97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05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7~약 99.95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05~약 3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8~약 99.9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1~약 2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9.5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5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8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2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9.94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06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9.83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17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7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3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8.5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1.5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9.6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4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은, 단맛증진첨가제, 충전제, 향미제 및/또는 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해도 좋다.
나한과 추출물은 Tate & Lyle사의 시판제품인 PureFruitTM Select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한과 추출물은 Tate & Lyle사의 시판 제품인 PureFruitT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양태는,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음료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품 또는 음료제품에서, 식품 또는 음료제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 함유량은 약 1~약 12중량%이 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품 또는 음료제품에서, 식품 또는 음료제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 함유량은 약 1~약 5중량%이 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품 또는 음료제품에서, 식품 또는 음료제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 함유량은 약 4~약 10중량%이 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품 또는 음료제품에서, 식품 또는 음료제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 함유량은 약 6~약 12중량%이 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품 또는 음료제품은 식품이며, 상기 감미료 조성물로 상기 식품의 표면을 코팅하거나 당의를 입힌 것이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품 또는 음료제품은 탄산음료 또는 비탄산음료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탁용 감미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탁용 감미료는 건조형 식탁용 감미료이다. 해당 감미료는 예를 들어, 정제, 과립 또는 분말 형태여도 좋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탁용 감미료의 감미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7.5~약 99.2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8~약 2.5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탁용 감미료의 감미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8.7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1.3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탁용 감미료의 감미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8.87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1.13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탁용 감미료의 감미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7.68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2.32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탁용 감미료는 1종 이상의 영양 감미료를 추가로 포함한다. 해당 영양 감미료는 자당, 포도당, 포도당 시럽, 이소글루코오스, 과당, 포도당-과당 시럽, 말토오스, 락토오스, 옥수수 시럽, 고과당 옥수수 시럽, 전화당, 당밀, 봉밀 및 용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어도 좋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해당 영양 감미료는 자당이다. 식탁용 감미료가 영양 감미료를 포함할 경우, 상기 영양 감미료는 식탁용 감미료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약 30중량% 존재한다. 예를 들어, 영양 감미료는 식탁용 감미료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약 26중량% 존재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탁용 감미료는 고밀도 감미료와 당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공통 감미료를 추가로 포함한다. 1종 이상의 공통 감미료는 스테비아 추출물이어도 좋다. 1종 이상의 공통 감미료는 수크랄로오스, 아스파탐 및 아세설팜 칼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어도 좋다. 1종 이상의 공통 감미료는 말티톨, 자일리톨 및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충전제,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제,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제품,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영양보조식품,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스포츠영양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의, 식품, 음료제품, 의약제품, 영양보조식품, 스포츠 영양식, 또는 화장품에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의, 충전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의, 코팅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알룰로오스 및 PureFruitTM Select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SEV 레벨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알룰로오스만의 단맛 경시적 프로필, PureFruitTM Select만의 단맛 경시적 프로필, 알룰로오스 및 PureFruitTM Select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단맛 경시적 프로필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알룰로오스만의 단맛 경시적 프로필, PureFruitTM Select만의 단맛 경시적 프로필, 알룰로오스 및 PureFruitTM Select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단맛 경시적 프로필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조성물에 존재하는 알룰로오스 및 1종 이상의 모그로시드의 조합이 단맛 상승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들의 혼합물이 본래 성분의 단맛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달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다..
나아가, 알룰로오스 및 1종 이상의 모그로시드스의 혼합물은 개별 성분에 관련된 문제, 특히 일부 모그로시드와 연관성이 있을 수 있는 역한 냄새 및/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경시적 프로필과 같은 문제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아울러, 무칼로리 감미료가 존재하기 때문에, 감미료 조성물은 저칼로리 또는 "무칼로리"가 된다. 또한, 조성물이 나타내는 단맛 상승효과로 인해, 일정 수준의 단맛을 내기 위해 첨가해야 하는 조성물의 양은 상승효과가 없을 경우의 기대량보다 적으므로, 칼로리가 더욱 저감하는 효과를 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감미료는, 단맛을 증진하고, 쓴맛 또는 역한 냄새를 저감하여 맛의 균형을 개선하며, 보다 바람직한 경시적 프로필을 제공하는 한편, 종래의 영양 감미료의 단맛 당량에 비하여 칼로리를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을 사용하면, 개별 성분을 따로 사용할 때에 비하여 식품 또는 음료제품에 강화된 단맛을 가미할 수 있다. 단맛이 증진한 만큼 이들 제품에서 감미료를 보다 적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한편, 자당과 거의 일치하는 경시적 및 미적(taste) 프로필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알룰로오스 및 1종 이상의 모그로시드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에 관한다.
본 명세서의 "알룰로오스"는 하기의 식 I에서 피셔 투영식으로 나타나는 구조의 단당류를 가리킨다. "D-사이코오스"라고도 한다.
식 (I)
Figure pct00001
본 명세서의 "모그로시드"는 나한과와 같은 과일에서 발견되는 화합물류를 가리킨다. 모그로시드는 커쿠비탄(cucurbitane) 유도체의 글리코시드이다.
모그로시드 V(또는 에스고시드[esgoside])는 다음의 식으로 나타난다.
Figure pct00002
모그로시드 IV는 다음의 식으로 나타난다.
Figure pct00003
11-옥소모그로시드 V는 다음의 식으로 나타난다.
Figure pct00004
시아메노시드 I은 다음의 식으로 나타난다.
Figure pct00005
모그로시드 VI는 다음의 식으로 나타난다.
Figure pct00006
모그로시드 IIIE는 다음의 식으로 나타난다.
Figure pct00007
본 명세서의 "과일 추출물"은 박과 식물의 과일로부터 얻은 과일 추출물 또는 샘플로,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를 포함하는 물질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의 "나한과 추출물"은 나한과, 즉 Siraitia grosvenorii로부터 온 과일 추출물 또는 샘플로,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를 포함하는 물질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의 "모그로시드 조성물"은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조성물, 당 혹은 감미료의 "경시적 프로필"이란, 상기 조성물, 당 혹은 감미료의 지각 가능한 단맛 밀도를 시간에 따라 관찰한 결과이다. 바람직한 경시적 프로필은, 단맛이 빠르게 관측되고 자당과 유사하게 잔존시기가 짧은 것이다.
본 명세서의 "자당 당량(sucrose equivalent value)" 또는 "SEV"는 자당의 단맛에 대한 감미료의 단맛의 당량값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감미료의 SEV값이 5일 경우, 자당의 5중량% 용액과 유사한 정도의 단맛이라는 의미가 된다.
본 명세서의 "무칼로리"는, 통상섭취기준량(RACC)과 기재제공량(labeled serving) 당 칼로리가 5 미만인 감미료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의 "저칼로리"는 통상섭취기준량과 기재제공량 당 칼로리가 40 이하인 감미료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중량% 단위의 양은, 별도의 기재가 없는 한 건조고형분(ds)을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성분이 순품(pure form) 외의 다른 형태일 경우, 건조고형분 기준의 요구량이 되도록 첨가량을 조절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알룰로오스가 시럽 형태일 경우, 건조고형분 기준의 알룰로오스 요구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시럽의 양을 조절해야 한다.
본 발명은 알룰로오스 및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그로시드는 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V, 모그로시드 VI, 옥소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IIE 또는 시아메노시드 I 및 이들의 혼합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에는 적어도 4종의 모그로시드, 즉 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V, 11-옥소모그로시드 V 및 시아메노시드 I이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는 모그로시드 V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는 박과 식물의 과일로부터 얻는다. 박과 식물은, 나한과로도 알려져 있는 Siraitia grosvenorii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에 존재하는 모그로시드는 박과 식물의 과일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의 형태여도 좋다. 과일 추출물은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를 포함한다. 해당 과일은 나한과, 즉 Siraitia grosvenorii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과일 추출물, 또는 나한과 추출물을 다음과 같이 조제해도 좋다. 과일을 으깨어서 즙을 짜낸다. 으깬 과일을 뜨거운 물에 침출시켜 비타민, 항산화제 및 단맛 성분을 추출한다. 침출액을 일련의 필터에 통과시켜 순수한 과일 농축액을 얻는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은 알룰로오스와, 박과 식물의 과일로부터 추출한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과일 추출물은 나한과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과일 추출물은,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모그로시드 조성물의 함유량이 적어도 약 50중량%이 된다. 과일 추출물은,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모그로시드 조성물의 함유량이 약 50~약 9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그로시드 조성물은, 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V, 모그로시드 VI, 옥소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IIE 또는 시아메노시드 I 및 이들의 혼합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를 포함한다. 모그로시드 조성물에는 적어도 4종의 모그로시드, 즉 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V, 11-옥소모그로시드 V 및 시아메노시드 I이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과일 추출물은,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40~약 65중량%의 모그로시드 V 및, 약 0~약 30중량%의 모그로시드 IV, 모그로시드 VI, 옥소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IIE, 시아메노시드 I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과일 추출물은,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50~약 60중량%의 모그로시드 V 및, 약 0~약 30중량%의 모그로시드 IV, 모그로시드 VI, 옥소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IIE, 시아메노시드 I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과일 추출물은, 중량백분율로 약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또는 60%의 모그로시드 V를 포함한다. 나아가, 과일 추출물은, 중량백분율로 약 0%,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또는 30%의 모그로시드 IV, 모그로시드 VI, 옥소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IIE 또는 시아메노시드 I, 혹은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적합한 과일 추출물 또는 모그로시드 조성물은 미국특허 제 5,411,755호 및 미국공개특허 제 2006/0003053호에 기재된 추출물 제조방법을 따라 얻을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약 97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05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7~약 99.95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05~약 3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8~약 99.9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1~약 2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혹은 감미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9.5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5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8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2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9.94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06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9.83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17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7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3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8.5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1.5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감미료 조성물은,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9.6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4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중량백분율로 97%, 97.1%, 97.2%, 97.3%, 97.4%, 97.5%, 97.6%, 97.7%, 97.8%, 97.9%, 98%, 98.1%, 98.2%, 98.3%, 98.4%, 98.5%, 98.6%, 98.7%, 98.8%, 99%, 99.1%, 99.2%, 99.3%, 99.4%, 99.5%, 99.6%, 99.7%, 99.8% 또는 99.9%의 알룰로오스와 약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 2.1%, 2.2%, 2.3%, 2.4%, 2.5%, 2.6%, 2.7%, 2.8%, 2.9% 또는 3%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감미료 조성물은 상대 당량(SEV)의 관점에서, 백분율로 나타냈을 때 첨가 감미료에서 70/30~30/70, 바람직하게는 50/50의 비율이 되는 양으로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나한과 추출물은 Tate & Lyle사의 시판제품인 PureFruitTM 또는 PureFruitTM Select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식품의 예로는, 과자제품(젤리캔디, 하드 캔디, 껌 등), 요거트(전지, 저지방 및 무지방 유제품 요거트, 비유제품 요거트, 무젖당 요거트, 혹은 상기 제품의 냉동제품 등) 등의 디저트 제품, 냉동 디저트(아이스크림[일반 아이스크림, 소프트 아이스크림, 그 외 종류의 아이스크림을 포함] 등의 냉동 유제품 디저트, 비유제품 아이스크림, 셔벗 등의 냉동 비유제품 디저트 등), 스위트 베이커리 제품(비스킷, 케이크, 롤, 파이, 페스츄리, 쿠키 등), 스위트 베이커리용 믹스, 파이 속(과일 파이속, 및 호두파이속 등의 견과류 파이속), 아침식사용 시리얼 등의 시리얼 제품(압착[kix형] 아침식사용 시리얼, 플레이크 시리얼, 퍼프 시리얼), 시리얼 코팅 조성물, 빵을 포함하는 제과제품(발효빵, 비발효빵, 효모빵, 소다빵[soda bread] 등의 무효모빵, 밀가루로 구운 빵, 밀가루 외의 감자 전분/쌀가루/호밀가루 등으로 구운 빵, 글루텐프리 빵 등), 제빵용 믹스, 냉동 유제품, 육류, 유제품, 조미료(condiment), 스낵바(시리얼, 견과류, 씨 및/또는 과일바), 수프, 드레싱, 믹스, 조리식품, 이유식, 다이어트 식품, 시럽, 코팅, 건과, 소스, 그레이비, 스프레드(잼/젤리 버터 및 기타 스프레드형 잼, 설탕절임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식품 중 상기에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1종 이상의 영양 감미료를 함유하는 식품, 특히 저설탕 제품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식품은 동물용 사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감미료 조성물을 코팅 또는 당의의 형태로 식품 표면에 입힌 것이어도 좋다. 코팅은 식품의 향미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저장수명도 늘려준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음료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음료제품의 예로는, 탄산음료(탄산청량음료 등), 비탄산음료(향첨가 생수[flavored water], 감차 또는 커피류 음료 등의 비탄산청량음료 등), 과일맛 음료, 과일주스, 차, 우유, 커피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저설탕 제품이 포함된다. 그 외의 음료제품 중 상기에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1종 이상의 영양 감미료를 함유하는 음료제품, 특히 저설탕 제품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탁용 감미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탁용 감미료는 건조형 식탁용 감미료이다. 해당 감미료는 예를 들어, 정제, 과립 또는 분말 형태여도 좋다. 액체형 식탁용 감미료 역시 가능하며, 이 경우 통상적으로 성분의 수용액 형태를 취하게 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탁용 감미료의 감미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7.5~약 99.2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8~약 2.5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탁용 감미료의 감미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8.7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1.3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탁용 감미료의 감미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8.87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1.13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탁용 감미료의 감미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7.68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2.32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탁용 감미료는 1종 이상의 영양 감미료를 추가로 포함한다. 해당 영양 감미료는 자당, 포도당, 포도당 시럽, 이소글루코오스, 과당, 포도당-과당 시럽, 말토오스, 락토오스, 옥수수 시럽, 고과당 옥수수 시럽, 전화당, 당밀, 봉밀 및 용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어도 좋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해당 영양 감미료는 자당이다. 식탁용 감미료가 영양 감미료를 포함할 경우, 상기 영양 감미료는 식탁용 감미료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약 30중량% 존재한다. 예를 들어, 영양 감미료는 식탁용 감미료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약 26중량% 존재할 수 있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탁용 감미료는 고밀도 감미료와 당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공통 감미료를 추가로 포함한다.
각종 천연 고밀도 감미료를 본 발명의 1종 이상의 공통 감미료로 사용할 수 있다. 예로는 특히 스테비아 추출물을 들 수 있으나, 추출물로부터 단리한 감미화합물이어도 좋다(화합물의 합성등가물을 포함한다). 스테비아, 또는 stevia rebaudiana는 잎사귀에 감미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이들 화합물을 추출하여 스테비아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스테비아 추출물의 단맛은 주로 '스테비올 글리코시드'로 알려진 화합물류에 의한 것으로, 해당 화합물에는 레바우디오시드(즉 레바우디오시드 A~F, M, N, X), 루부소시드, 스테비오시드, 둘코시드가 포함된다. 스테비아 추출물 또는 1종 이상의 스테비올 글리코시드를 포함하는 감미료는, 본 발명의 1종 이상의 공통 감미료로 쓰일 수 있다. 레바우디오시드 A(Reb A)를 포함하는 추출물 또는 감미료가 특히 바람직하다.
각종 합성 고효력 감미료를 본 발명의 1종 이상의 공통 감미료로 사용해도 좋다. 예로는 특히 수크랄로오스, 아스파탐 및 아세설팜 칼륨(Ace K)을 들 수 있다.
각종 당알코올을 본 발명의 1종 이상의 공통 감미료로 사용해도 좋다. 예로는 특히 말리톨, 자일리톨 및 에리스리톨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탁용 감미료는 단맛의 음료, 특히 차 및 커피와 같은 뜨거운 음료에 통상적으로 쓰일 수 있다. 해당 식탁용 제품이 내는 맛은 자당이 내는 맛과 유사하며, 기존의 식탁용 감미료보다 뛰어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충전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영양보조식품 또는 스포츠영양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식품, 음료제품, 의약제품, 영양보조식품, 스포츠영양식 또는 화장품이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감미료 조성물의 양은, 감미료 조성물에 존재하는 감미료의 종류 및 양, 아울러 식품 또는 음료제품에 요구되는 단맛의 정도에 좌우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품 또는 음료제품에서, 식품 또는 음료제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 함유량은 약 1~약 12중량%이 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품 또는 음료제품에서, 식품 또는 음료제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 함유량은 약 1~약 5중량%이 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품 또는 음료제품에서, 식품 또는 음료제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 함유량은 약 4~약 10중량%이 된다.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식품 또는 음료제품에서, 식품 또는 음료제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 함유량은 약 6~약 12중량%이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의, 식품, 음료제품, 의약제품, 영양보조식품, 스포츠 영양식, 또는 화장품에서의, 충전제 또는 코팅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감미료 조성물은, 섭취 가능 형태(예: 시럽), 분말 형태, 정제 형태(예: 과립), 용액 형태, 혹은 식품 또는 음료제품을 포함하는 기타 적합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에서도 밝혀져 있듯이,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은 개별 성분에 근거하여 예측한 것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자당 당량값(SEV)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은 단맛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셈이 된다.
하기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어떤 식으로도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의 지각특성의 평가
재료 및 방법
참가자들과 원탁식 평가법(round table evaluation)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알룰로오스와 PureFruitTM Select, 아울러 알룰로오스 및 PureFruitTM Select의 동비혼합물(50/50)을 각각 중성수에 넣어 동일하게 10 SEV의 값을 가지는 용액을 준비하였다. PureFruitTM Select는 Tate & Lyle사의 시판제품이다. 감미료용의 비들러 혼합공식(Beidler mixture equation)을 사용하여 혼합 조성을 산출하였다. 감미료용 비들러 혼합공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8
혼합물에서의 각 성분의 농도(ppm)을 SEV(c/R)로 나누고 농도(c.)에 대하여 플로팅하였다. 선형회귀의 경사는 최대 SEV(Rmax)에 해당한다. Rmax를 곱한 선형회귀의 y절편은 단맛 농도의 최대반값(half-maximal) 1/K에 해당한다. Rmax와 1/K는 비들러 식에 사용되는 매개변수이다.
참가자들에게, 기준샘플에 대해 등몰(equal-molar) 혼합물을 평가하여 SEV값을 판정하도록 요청했다. 기준샘플은 중성수에 자당 4%, 6%, 8%, 10%, 12%, 14%를 첨가하여 조제하였다.
시험용 샘플을 실온에서 세 자리 숫자코드로 라벨링한 2온스(약 60ml)들이 수플레용 컵에 담아 참가자들에게 제공하였다. 한 샘플을 섭취한 후 다음 샘플을 섭취할 때까지 의무적으로 2분 간격을 두었다. 중성수와 무염 크래커를 제공하여 시험 이전 및 도중에 입안에 남은 맛을 씻어낼 수 있도록 했다. EyeQuestion을 투표 및 결과 기록에 사용하였다.
EyeQuestion으로 수집한 결과로, 각 시험 샘플의 대략적인 SEV 값을 구하였다. 표준편차 0.07로 z검정을 실시하여 50/50 SEV 혼합물 예측치와의 현저한 차이를 판정하였다.
시험 대상 감미료
알룰로오스 10% 알룰로오스 10% PureFruit Select SEV 10 PureFruit Select SEV 10 알룰로오스/PureFruit Select 혼합물 알룰로오스/PureFruit Select 혼합물
성분 % GRAMS % GRAMS % GRAMS
알룰로오스 89% DS 시럽 17.02 40.848 0 0 8.51 20.424
PureFruit Select 0 0 0.0725 0.3480 0.03625 0.087
중성수 82.98 199.152 99.9275 479.652 91.45375 219.489
TOTAL 100 240 100 480 100 240
결과
도 1은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에서 얻은 SEV값이다. 이 값을 각 개별성분의 SEV 예측값(각 그래프의 그림자선)과 비교하였다. 놀랍게도 알룰로오스 및 PureFruitTM Select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맛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조성물의 SEV는 9.85로, z검정의 p값에 따르면, 90% 초과의 신뢰구간에서 혼합물의 50/50 SEV 예측값을 웃도는 값이다
결론
본 발명의 감미료 조성물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단맛 상승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감미료 조성물의 경시적 프로필 판정
본 발명의 조성물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단맛 상승효과를 나타냈으므로, 해당 조성물의 경시적 프로필을 판정하였다. 알룰로오스와 PureFruitTM Select가 감미료 조성물의 혼합물에 존재할 경우, 알룰로오스가 PureFruitTM Select의 경시적 프로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판정하고자 실험을 실시했다.
재료 및 방법
훈련을 받은 참가자들로 경시적 프로필을 측정했다. 참가자들이 절차와 시험 샘플에 익숙해지도록 시험 샘플로 여러 번 학습하였다. 완비형블록계획법(complete block design)으로 3회 반복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시험은 이틀간 진행되었다(한 세트당 하루). 제시 순서는 계속 바꾸었다. 용액을 실온에서 세 자리 숫자코드로 라벨링한 2온스(56g)들이 수플레용 컵에 담아 참가자들에게 제공하였다. 참가자들에게는 각 샘플이 20ml씩 주어졌으며, 샘플 전체를 사용하도록 지시를 내렸다. 참가자들에게 입에 샘플을 머금고 삼키거나 혹은 즉시 뱉으면서, 동시에 EyeQuestion으로 단맛의 강도에 점수를 매기도록 요청하였다. 2분간 강도 평가 결과를 수집하였다. 한 샘플을 섭취한 후 다음 샘플을 섭취할 때까지 의무적으로 2분 간격을 두고, 반복시험 사이에 최소한 10분간 휴식하도록 하였다. 물과 무염 크래커를 제공하여 시험 이전 및 도중에 입안에 남은 맛을 씻어낼 수 있도록 했다.
전체 경시적 프로필에 대해서 각 샘플에 각 참가자가 매긴 최대강도를 판정하고, 최대값의 정규화를 이용해 %로 샘플의 전체 경시적 프로필 데이터를 산출한다(이를테면, 최대값은 100%이며, 최대강도값으로 나눈 값을 기준으로 강도값을 %로 나타낸다). 각 참가자에 대하여 정규화 데이터를 산출하고, 참가자간의 평균적 반응을 구하였다. 정규화값에 근거하여 최대값의 정규화를 이용해 %로 평균 정규화 % 경시적 프로필을 구한 다음(이를테면, 최대값은 100%이며, 최대강도값으로 나눈 값을 기준으로 강도값을 %로 나타낸다), 각 샘플에 대해 플로팅했다.
시험 대상 감미료
알룰로오스 SEV 7.67 알룰로오스 SEV 7.67 PureFruit Select SEV 7.67 PureFruit Select SEV 7.67 알룰로오스/PureFruit Select 혼합물 알룰로오스/PureFruit Select 혼합물
성분 % GRAMS % GRAMS % GRAMS
알룰로오스 68% DS 시럽 16.35 245.25 0 0 8.175 122.625
PureFruit Select 0 0 0.0400 0.6000 0.02 0.3
중성수 83.65 1254.75 99.96 1499.4 91.805 1377.075
TOTAL 100 1500 100 1500 100 1500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의 단맛 경시적 프로필을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2는 단맛의 발현을 도시하며, 0~140초 동안의 각 샘플에 대한 정규화 최대강도값을 보여준다. 도 3은 단맛의 잔존을 도시하며, 0~20초 동안의 각 샘플에 대한 정규화 최대강도값을 보여준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의 PureFruit SelectTM보다 개선된 경시적 프로필을 나타낸다. 알룰로오스 및 PureFruit Select TM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시는 빠르되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잔존은 짧다. 경시적 프로필은 알룰로오스, 혹은 자당과 흡사하였다. 자당의 경시적 프로필을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결론
PureFruitTM Select를 알룰로오스와 혼합함으로써 PureFruitTM Select의 경시적 프로필의 개시 및 잔존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실시예 3
식탁용 감미료
알룰로오스와 나한과 추출물을 세 가지 방식으로 조합하였다. 첫 번째는 알룰로오스와 나한과 추출물(PureFruitTM Select)만을 혼합한 조합, 두 번째는 스테비아 추출물(TastevaTM)과 레바우디오시드 A(Reb A)를 추가로 혼합한 조합, 세 번째는 자당을 추가로 혼합한 조합이었다.
샘플 식탁용 감미료 조성물 200mL 커피에 넣은 각 식탁용 감미료 샘플의 총 건조중량
1 98.7% 알룰로오스 + 1.3% PureFruitTM Select 3.53 gram
2 97.24% 알룰로오스 + 1% TastevaTM +1.11% PureFruitTM Select+0.65% Reb A 1.66 gram
3 72.28% 알룰로오스 + 1.72% PureFruitTM Select + 26% 자당 2.4 gram
TruviaTM (비교) 3.5 gram
  Sucrose (대조군) 8.4 gram
각 조합을 뜨거운 커피에 용해시켰다. 커피 200ml에 탄 각 조합의 단맛이 같은 양의 커피에 자당 8~10그램을 탔을 때와 유사하도록 총중량을 조절하였다. 커피는 StarbucksTM Blounde Veranda Blend 그라운드 커피 91.9g을 약 1600mL의 물에 타서 준비하였다. 각 조합의 칼로리 함유량은 커피 200mL 당 5kcal 미만이 되도록 하였다. 다섯 명의 참가자에게 각 조합의 단맛 및 맛(taste) 프로필을 역시 뜨거운 커피에 넣은 대조군 자당 및 TruviaTM(시판되는 스테비아계 감미료)와 비교하여 1~5까지의 점수를 매기도록 요청하였다.
샘플 1 샘플 2 샘플 3 Truvia TM
평균 점수 2.4 2.2 2.2 1.2
알룰로오스로 설탕(자당)과 흡사한 맛을 내는 저칼로리 식탁용 감미료를 제조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알룰로오스계의 저칼로리 또는 무칼로리 식탁용 감미료의 맛은 에리스리톨계 식탁용 제품보다 현저하게 우수하였다.

Claims (49)

  1. 감미료 조성물에 있어서,
    알룰로오스(Allulose) 및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Mogroside)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는 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V, 모그로시드 VI, 옥소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IIE 또는 시아메노시드 I 및 이들의 혼합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감미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는 박과(Cucurbitaceae family) 식물의 과일로부터 얻는, 감미료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는 박과 식물의 과일로부터 추출하는, 감미료 조성물.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Siraitia grosvenorii인, 감미료 조성물.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 추출물은,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모그로시드 조성물의 함유량이 적어도 약 50중량%인, 감미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 추출물은, 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V, 모그로시드 VI, 옥소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IIE 또는 시아메노시드 I 및 이들의 혼합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상기 적어도 1종의 모그로시드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9. 제 4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 추출물은, 약 40~약 65중량%의 모그로시드 V 및, 약 0~약 30중량%의 모그로시드 IV, 모그로시드 VI, 옥소모그로시드 V, 모그로시드 IIIE, 시아메노시드 I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10. 제 4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 추출물은, 약 48~약 52중량%의 모그로시드 V 및, 약 25~약 30중량%의 모그로시드 IV, 옥소모그로시드 V 또는 시아메노시드 I을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11. 제 4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 추출물은,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50~약 60중량%의 모그로시드 V를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12. 제 4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약 97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05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13. 제 4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7~약 99.95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05~약 3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14. 제 4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8~약 99.9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1~약 2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9.5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5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16. 제 4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8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2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17. 제 4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9.94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06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18. 제 4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9.83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17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19. 제 4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7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3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20. 제 4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8.5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1.5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21. 제 4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9.6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4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22. 제 1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맛증진첨가제, 충전제(bulking agent), 향미제(flavoring agent) 및/또는 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감미료 조성물.
  23. 제 1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일 추출물은 PureFruitTM 또는 PureFruitTM Select인, 감미료 조성물.
  24. 제 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또는 음료제품.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또는 음료제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 함유량이 약 1~약 12중량%인 식품 또는 음료제품.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또는 음료제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 함유량이 약 1~약 5중량%인 식품 또는 음료제품.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또는 음료제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 함유량이 약 4~약 10중량%인 식품 또는 음료제품.
  28.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또는 음료제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 함유량이 약 6~약 12중량%인 식품 또는 음료제품.
  29. 제 24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식품이며, 상기 감미료 조성물로 상기 식품의 표면을 코팅하거나 당의를 입힌 것인, 식품 또는 음료제품.
  30. 제 24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탄산음료 또는 비탄산음료인, 식품 또는 음료제품.
  31. 제 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의 감미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탁용(table-top) 감미료.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식탁용 감미료는 건조형 식탁용 감미료인, 식탁용 감미료.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식탁용 감미료는 정제, 과립 또는 분말 형태인, 식탁용 감미료.
  34. 제 31항 내지 제 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7.5~약 99.2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0.8~약 2.5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탁용 감미료.
  35. 제 31항 내지 제 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8.7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1.3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탁용 감미료.
  36. 제 31항 내지 제 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8.87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1.13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탁용 감미료.
  37. 제 31항 내지 제 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미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 내의 알룰로오스 및 과일 추출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97.68중량%의 알룰로오스와 약 2.32중량%의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탁용 감미료.
  38. 제 31항 내지 제 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탁용 감미료는 1종 이상의 영양 감미료(nutritive sweetener)를 추가로 포함하는, 식탁용 감미료.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감미료는, 자당, 포도당, 포도당 시럽, 이소글루코오스, 과당, 포도당-과당 시럽, 말토오스, 락토오스, 옥수수 시럽, 고과당 옥수수 시럽, 전화당, 당밀, 봉밀 및 용설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탁용 감미료.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 감미료는 자당인, 식탁용 감미료.
  41. 제 38항 내지 제 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탁용 감미료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30중량%의 영양 감미료를 포함하는, 식탁용 감미료.
  42. 상기 식탁용 감미료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약 26중량%의 영양 감미료를 포함하는, 식탁용 감미료.
  43. 제 31항 내지 제 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탁용 감미료는 고밀도 감미료와 당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공통 감미료(co-sweetener)를 추가로 포함하는, 식탁용 감미료.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공통 감미료는 스테비아 추출물인, 식탁용 감미료.
  45. 제 43항 또는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공통 감미료는 수크랄로오스(sucralose), 아스파탐(aspartame) 및 아세설팜 칼륨(acesulfame potassi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탁용 감미료.
  46. 제 43항 내지 제 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공통 감미료는 말티톨, 자일리톨 및 에리스리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탁용 감미료.
  47. 식품, 음료제품, 의약제품, 영양보조식품, 스포츠 영양식(sport products) 또는 화장품에서의, 제 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의 감미료 조성물의 용도.
  48. 충전제로서의, 제 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의 감미료 조성물의 용도.
  49. 코팅제로서의, 제 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의 감미료 조성물의 용도.
KR1020157026130A 2013-03-15 2014-03-14 개선된 감미료 KR102213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93707P 2013-03-15 2013-03-15
US61/793,707 2013-03-15
PCT/GB2014/050814 WO2014140634A1 (en) 2013-03-15 2014-03-14 Improved sweete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323A true KR20150130323A (ko) 2015-11-23
KR102213010B1 KR102213010B1 (ko) 2021-02-08

Family

ID=4874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6130A KR102213010B1 (ko) 2013-03-15 2014-03-14 개선된 감미료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3) US9854827B2 (ko)
EP (2) EP3427600B1 (ko)
JP (1) JP6457955B2 (ko)
KR (1) KR102213010B1 (ko)
CN (1) CN105307513B (ko)
AR (1) AR095477A1 (ko)
AU (1) AU2014229725B2 (ko)
BR (1) BR112015022976B1 (ko)
CA (1) CA2906899C (ko)
GB (1) GB201309077D0 (ko)
IL (1) IL241630B (ko)
MX (1) MX365431B (ko)
PL (2) PL3427600T3 (ko)
TW (1) TWI646103B (ko)
WO (1) WO2014140634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261A1 (ko) * 2016-03-09 2017-09-14 씨제이제일제당(주) 알룰로스 함유 시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WO2018043935A1 (ko) * 2016-09-01 2018-03-08 씨제이제일제당(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과일 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5413A (ko) * 2016-09-29 2018-04-06 주식회사 삼양사 알룰로스 시럽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093737A1 (ko) * 2017-11-10 2019-05-16 씨제이제일제당 (주) 알룰로스를 함유한 미질 개선 조성물
WO2019117506A1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삼양사 저칼로리 음료
WO2020005021A1 (ko) * 2018-06-28 2020-01-02 주식회사 삼양사 감미료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18231A (ko) *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 삼양사 감미료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9469A1 (en) * 2016-11-08 2018-05-17 Purecircle Usa Inc. Novel mogrosides and use thereof
US9101162B2 (en) * 2010-09-03 2015-08-11 Purecircle Sdn Bhd High-purity mogrosides and process for their purification
GB2583417B (en) 2012-09-27 2021-03-31 Tate & Lyle Ingredients Americas Llc A protein
GB201309077D0 (en) * 2013-03-15 2013-07-03 Tate & Lyle Ingredients Improved sweetener
GB2526383B (en) * 2014-05-20 2018-01-31 Tate & Lyle Ingredients Americas Llc Improved sweetener
CA2977617C (en) * 2015-02-24 2021-05-04 Tate & Lyle Ingredients Americas Llc Allulose syrups
CA3003163A1 (en) * 2015-10-29 2017-05-04 Senomyx, Inc. High intensity sweeteners
SG11201804996TA (en) * 2015-11-12 2018-07-30 Petiva Private Ltd Food and beverage products comprising low calorie, low glycemic index (gi), and sustained energy release sugar composition
CN105919016A (zh) * 2016-04-29 2016-09-07 清流县冠裕食品有限公司 罐头食品甜味剂配方
CN106418426A (zh) * 2016-06-21 2017-02-22 厦门华高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高甜度、零热量液态甜味剂及制备方法
JP7108601B2 (ja) 2016-08-12 2022-07-28 サヴァンナ・イングレディエンツ・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液体アルロース組成物
JP2019528761A (ja) * 2016-10-07 2019-10-17 シージェイ チェイルジェダン コーポレーションCj Cheiljedang Corporation アルロースを用いた、アルコール性飲料のアルコール感の改善方法
MX2019012940A (es) 2017-05-03 2019-12-16 Firmenich Incorporated Metodos para producir edulcorantes de alta intensidad.
JP7285788B2 (ja) * 2017-05-19 2023-06-02 ザ コカ・コーラ カンパニー シアメノシドi甘味料入り組成物及びその使用
CA3064334A1 (en) * 2017-06-02 2018-12-06 Givaudan Sa Compositions
WO2019088653A2 (ko) * 2017-10-31 2019-05-09 씨제이제일제당 (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팝콘 코팅용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094772A (zh) * 2017-12-08 2018-06-01 桂林莱茵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罗汉果果汁及其制备方法
US20190216119A1 (en) * 2018-01-18 2019-07-18 Merisant US, Inc. Liquid Sweetener Compositions
IL297384A (en) * 2020-04-20 2022-12-01 Coca Cola Co Beverages containing siamanoside i with improved taste
WO2021232750A1 (en) * 2020-05-19 2021-11-25 Epc Natural Products Co., Ltd. Sweetener and flavor compositions
CN112042917B (zh) * 2020-09-21 2023-08-25 湖南华诚生物资源股份有限公司 一种减糖甜味剂产品及其制备方法与应用
US20220267817A1 (en) * 2021-02-20 2022-08-25 Loren Miles Natural Sweetener Compositions
CN113289025B (zh) * 2021-03-11 2022-08-26 湖南华诚生物资源股份有限公司 一种改善罗汉果甜苷滋味口感的高倍甜味剂及其制备方法
KR102578244B1 (ko) * 2023-03-30 2023-09-14 인테이크 주식회사 나한과 추출물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가 포함된 감미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3560B2 (ja) * 1993-02-16 2004-01-06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甘味飲料及び甘味組成物
WO2006101118A1 (ja) * 2005-03-23 2006-09-28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agawa University D-プシコースの血糖値日内異常上昇抑制の用途
KR20060123705A (ko) * 2003-08-25 2006-12-04 카아길, 인코포레이팃드 모나틴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077072A (ko) * 2006-11-10 2009-07-14 마쓰다니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D-사이코스 함유 감미료 및 그것을 사용하여 얻어진 식품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0029A (en) 1985-03-04 1986-02-11 Uop Inc. Process for separating isoprene
US4692514A (en) 1985-12-20 1987-09-08 Uop Inc. Process for separating ketoses from alkaline- or pyridine-catalyzed isomerization products
US4880920A (en) 1985-12-20 1989-11-14 Uop Process for separating ketoses from alkaline-or pyridine-catalyzed isomerization products
CA1292988C (en) 1987-08-11 1991-12-10 Chin-Hsiung Chang Process for separating psicose from another ketose
AU8922191A (en) 1990-12-21 1992-04-15 Wm. Wrigley Jr. Company Chewing gum with improved taste perception employing invert sugar humectant
JP3333969B2 (ja) 1992-10-08 2002-10-15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D−ケトヘキソース・3−エピメラーゼ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US5411755A (en) 1993-02-16 1995-05-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and composition for sweet juice from cucurbitaceae fruit
AU1924899A (en) 1997-12-17 1999-07-05 Nutrasweet Company, The Tabletop sweetener compositions comprising sweetener with extremely high potency
US7186431B1 (en) 1998-08-27 2007-03-06 Barnard Stewart Silver Sweetening compositions and foodstuffs comprised thereof
US6051236A (en) 1998-11-12 2000-04-18 Pacifichealth Laboratories, Inc. Composition for optimizing muscle performance during exercise
JP4473980B2 (ja) 1999-06-24 2010-06-02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糖質複合体結晶とその製造方法
CN1116250C (zh) 2000-03-17 2003-07-30 四川省阆中市兴光水肥研究所 全元植物营养素流体及其生产方法
JP4627841B2 (ja) 2000-06-08 2011-02-09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プシコースの分離方法
US20020197352A1 (en) 2001-04-02 2002-12-26 Pacifichealth Laboratories, Inc. Sports drink composition for enhancing glucose uptake into the muscle and extending endurance during physical exercise
TW572878B (en) 2001-05-11 2004-01-21 Fushimi Pharmaceutical Co Ltd Method for production of sugar alcohol
EP3175858B1 (en) 2002-05-22 2019-08-21 Matsutani Chemical Industry Co., Ltd. Therapeutic use of d-allose for the treatment of liver cancer or skin cancer
US20050013915A1 (en) 2003-07-14 2005-01-20 Riha William E. Mixtures with a sweetness and taste profile of high fructose corn syrup (HFCS) 55 comprising HFCS 42 and acesulfame K
US20050037121A1 (en) 2003-08-11 2005-02-17 Susanne Rathjen Mixtures of high fructose corn syrup (HFCS) 42 or HFCS 55 and high-intensity sweeteners with a taste profile of pure sucrose
AU2011203233A1 (en) 2003-08-25 2011-07-21 Cargill, Incorporated Beverage compositions comprising monatin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50095271A1 (en) 2003-10-23 2005-05-05 Crank Sports, Inc. Electrolyte Energy Gel
JP5421512B2 (ja) 2004-01-30 2014-02-19 帝國製薬株式会社 D−プシコースの血糖上昇抑制効果の利用
JP4761424B2 (ja) 2004-03-17 2011-08-31 株式会社希少糖生産技術研究所 L−プシコース結晶、その製造方法および、糖試薬キット
JP4724824B2 (ja) 2004-03-19 2011-07-13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希少糖のtリンパ球の増殖抑制への使用
EP1757297B1 (en) 2004-05-26 2013-11-13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agawa University COMPOSITION FOR treating ARTERIOSCLEROSIS IN DIABETIC PATIENTS
US8449933B2 (en) 2004-06-30 2013-05-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extracting juice from plant material containing terpene glycoside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WO2006093292A1 (ja) 2005-03-04 2006-09-08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agawa University D-プシコースとd-アロースの複合体結晶性糖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70020358A1 (en) 2005-03-18 2007-01-25 Mower Thomas E Sports drink concentrate
KR100744479B1 (ko) 2005-06-01 2007-08-01 씨제이 주식회사 사이코스 에피머화 효소에 의한 사이코스의 생산 방법
JP5240810B2 (ja) 2005-07-20 2013-07-17 帝國製薬株式会社 D−プシコースの血中d−フラクトース濃度上昇抑制への使用
JP5116071B2 (ja) 2005-07-20 2013-01-09 帝國製薬株式会社 D−アロースおよびd−プシコースの抗神経因性疼痛効果の利用
JP5645183B2 (ja) 2005-07-20 2014-12-24 帝國製薬株式会社 D−プシコー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肥満状態改善剤
KR101339443B1 (ko) 2005-11-15 2013-12-06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케토오스 3-에피머라아제와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US20070116823A1 (en) 2005-11-23 2007-05-24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for hydration and sweetened hydration composition
JP4822272B2 (ja) 2006-08-25 2011-11-24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食品または医薬品の芳香を改善する方法
WO2008056453A1 (fr) 2006-11-10 2008-05-15 Matsutani Chemical Industry Co., Ltd. Matériau non carieux et agent anti-caries contenant un sucre rare
EP2111865B1 (en) 2006-11-17 2019-10-02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agawa University Utilization of the function of rare sugar as promoter for the migration of glucokinase from nucleus to cytoplasm
KR100832339B1 (ko) 2006-12-11 2008-05-26 솔젠트 (주) 과당을 사이코스로 전환하는 신규한 시노리조비움 속균주와 이를 이용한 사이코스 생산법
GB0703525D0 (en) * 2007-02-23 2007-04-04 Cadbury Schweppes Plc Method of making sweetner compositions
GB0703524D0 (en) 2007-02-23 2007-04-04 Cadbury Schweppes Plc Improved sweetener compositions
US20080260925A1 (en) 2007-04-23 2008-10-23 Galen Paul Zink Means for replacing common sugars if foods for enhanced nutrition
EP2156751B8 (en) 2007-05-18 2018-11-14 Matsutani Chemical Industry Co., Ltd. Novel sweetener having sugar-like taste and production method and use of the same
US20080292765A1 (en) 2007-05-22 2008-11-27 The Coca-Cola Company Sweetness Enhancers, Sweetness Enhanced Sweetener Compositions, Methods for Their Formulation, and Uses
JP4386937B2 (ja) 2007-10-22 2009-12-16 合同会社希少糖生産技術研究所 食品のゲル形成性を改善する方法
KR101523701B1 (ko) 2008-03-12 2015-06-0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통신기기의 함체장치
JP5535456B2 (ja) 2008-07-09 2014-07-02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食物繊維と希少糖を含む生体機能改善組成物。
JP5876205B2 (ja) 2009-02-06 2016-03-02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D−ソルボースからなる甘味料におけるd−ソルボースの甘味の不足や、甘味の持続を改良する方法
JP5715046B2 (ja) 2009-03-30 2015-05-07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目的とするヘキソースを所定量含む原料糖とは異なる糖組成の糖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された糖組成物の用途
KR20110035805A (ko) 2009-09-30 2011-04-06 씨제이제일제당 (주) 사이코스-에피머화 효소의 고정화 및 이를 이용한 사이코스의 제조방법
KR101106253B1 (ko) 2009-10-16 2012-01-18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사이코스 3-에피머라제 효소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대장균 및 그를 이용하여 사이코스를 생산하는 방법
US9012520B2 (en) * 2009-12-28 2015-04-21 The Coca-Cola Company Sweetness enhancers, compositions thereof, and methods for use
KR101189640B1 (ko) 2010-03-26 2012-10-12 씨제이제일제당 (주) D-사이코스 결정을 제조하는 방법
JP2011205913A (ja) 2010-03-29 2011-10-20 Kishoto Seisan Gijutsu Kenkyusho:Kk 機能性異性化糖の複合体結晶糖質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923491B2 (ja) 2010-05-03 2016-05-24 カーギ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リスリトールおよび充填剤を含む食品製品用の低カロリーおよび無糖の被覆剤
JP5764308B2 (ja) 2010-09-16 2015-08-19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酒類およびビール風味飲料の味質の改善方法
JP5731784B2 (ja) 2010-09-29 2015-06-10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食感食味の優れたベーカリー製品及びその製造法
JP5859191B2 (ja) 2010-09-29 2016-02-10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高甘味度甘味料に対する呈味改良組成物およびその応用
JP6216493B2 (ja) 2011-06-24 2017-10-18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寿命延長剤
EP2739863B1 (en) 2011-08-01 2016-09-07 Pem Management, Inc. Miniature tack pins
WO2013036768A1 (en) 2011-09-09 2013-03-14 The Coca-Cola Company Improved sweetener blend compositions
US20140342074A1 (en) 2011-09-15 2014-11-20 Cj Cheiljedang Corporation Sweetener composition for alleviating diabetes, containing slowly digestible ingredient
KR101307947B1 (ko) 2011-11-30 2013-09-12 씨제이제일제당 (주) 싸이코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에쿠올 농도 상승제
JP6099870B2 (ja) 2012-01-06 2017-03-22 松谷化学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スとd−プシコースを含む新規甘味料
GB201217700D0 (en) * 2012-08-01 2012-11-14 Tate & Lyle Ingredients Swee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rebaudioside B
WO2014025235A1 (ko) 2012-08-10 2014-02-13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사이코스 에피머화 효소 및 이를 이용한 사이코스로 전환용 조성물
CN102876817B (zh) 2012-09-24 2015-04-01 厦门世达膜科技有限公司 一种分离果葡糖浆中的葡萄糖和阿洛酮糖的方法
US20140087049A1 (en) * 2012-09-26 2014-03-27 International Food Network Inc Shelf Stable Liquid Sweetener and Flavor Additive
JP5314207B1 (ja) 2013-03-14 2013-10-16 株式会社 伊藤園 ミネラル含有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ミネラル含有飲料の塩味抑制方法
US20140272068A1 (en) * 2013-03-14 2014-09-18 Indra Prakash Beverages containing rare sugars
JP5308585B1 (ja) 2013-03-14 2013-10-09 株式会社 伊藤園 果汁含有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果汁含有飲料の爽快感向上方法及び後味感改善方法
GB201309077D0 (en) * 2013-03-15 2013-07-03 Tate & Lyle Ingredients Improved sweete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3560B2 (ja) * 1993-02-16 2004-01-06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甘味飲料及び甘味組成物
KR20060123705A (ko) * 2003-08-25 2006-12-04 카아길, 인코포레이팃드 모나틴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06101118A1 (ja) * 2005-03-23 2006-09-28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Kagawa University D-プシコースの血糖値日内異常上昇抑制の用途
KR20090077072A (ko) * 2006-11-10 2009-07-14 마쓰다니가가꾸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D-사이코스 함유 감미료 및 그것을 사용하여 얻어진 식품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5261A1 (ko) * 2016-03-09 2017-09-14 씨제이제일제당(주) 알룰로스 함유 시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US10912322B2 (en) 2016-03-09 2021-02-09 Cj Cheiljedang Corporation Allulose-containing syrup composition and food containing same
WO2018043935A1 (ko) * 2016-09-01 2018-03-08 씨제이제일제당(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과일 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25807A (ko) * 2016-09-01 2018-03-09 씨제이제일제당 (주)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과일 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5413A (ko) * 2016-09-29 2018-04-06 주식회사 삼양사 알룰로스 시럽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093737A1 (ko) * 2017-11-10 2019-05-16 씨제이제일제당 (주) 알룰로스를 함유한 미질 개선 조성물
KR20190053790A (ko) * 2017-11-10 2019-05-20 씨제이제일제당 (주) 알룰로스를 함유한 미질 개선 조성물
WO2019117506A1 (ko) * 2017-12-12 2019-06-20 주식회사 삼양사 저칼로리 음료
US11779035B2 (en) 2017-12-12 2023-10-10 Samyang Corporation Low-caloric beverage
WO2020005021A1 (ko) * 2018-06-28 2020-01-02 주식회사 삼양사 감미료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18231A (ko) * 2018-08-10 2020-02-19 주식회사 삼양사 감미료 분말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27600A1 (en) 2019-01-16
AU2014229725B2 (en) 2017-04-13
US20210051991A1 (en) 2021-02-25
IL241630B (en) 2019-06-30
US9854827B2 (en) 2018-01-02
GB201309077D0 (en) 2013-07-03
CA2906899A1 (en) 2014-09-18
CN105307513A (zh) 2016-02-03
MX365431B (es) 2019-06-03
PL2983511T3 (pl) 2019-04-30
CN105307513B (zh) 2019-04-12
BR112015022976A2 (pt) 2017-07-18
JP6457955B2 (ja) 2019-01-23
WO2014140634A1 (en) 2014-09-18
TW201441244A (zh) 2014-11-01
JP2016509858A (ja) 2016-04-04
CA2906899C (en) 2021-05-18
US20140271748A1 (en) 2014-09-18
EP2983511B1 (en) 2018-08-29
EP3427600B1 (en) 2020-05-13
EP2983511A1 (en) 2016-02-17
BR112015022976B1 (pt) 2022-01-11
MX2015013037A (es) 2016-10-03
AR095477A1 (es) 2015-10-21
KR102213010B1 (ko) 2021-02-08
PL3427600T3 (pl) 2021-02-22
AU2014229725A1 (en) 2015-10-29
BR112015022976A8 (pt) 2021-03-16
US20160029678A1 (en) 2016-02-04
TWI646103B (zh) 201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3010B1 (ko) 개선된 감미료
KR102333022B1 (ko) 개선된 감미료
JP6728066B2 (ja) 改善された甘味料
JP2019122391A (ja) レバウジオシドbを含有する甘味料組成物
KR20150130324A (ko) 개선된 감미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