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872A -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872A
KR20150100872A KR1020157020074A KR20157020074A KR20150100872A KR 20150100872 A KR20150100872 A KR 20150100872A KR 1020157020074 A KR1020157020074 A KR 1020157020074A KR 20157020074 A KR20157020074 A KR 20157020074A KR 20150100872 A KR20150100872 A KR 20150100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ag portion
side airbag
vehicle
inf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0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스케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5010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 B60R2021/23332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using independent bags, one within the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착석 승객의 어깨부부터 허리부까지를 각 부의 하중 내성에 따른 구속력에 의해 적절히 구속한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20) 에 있어서, 내부에 인플레이터 (22) 가 형성된 후측 백부 (26) 가 전측 백부 (24) 보다 조기에 또한 고압으로 팽창 전개된다. 이로써,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높은 어깨부 (S) 와 흉부 (C) 및 복부 (B) 의 후방부를 후측 백부 (26) 에 의해 조기에 구속하면서,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낮은 흉부 (C) 및 복부 (B) 의 전방부를 전측 백부 (24) 에 의해 소프트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 착석 승객 (P) 의 어깨부 (S), 흉부 (C) 및 복부 (B) 와 비교하여 하중 내성이 높은 허리부 (L) 는 하측 백부 (28) 에 의해 구속된다. 이 하측 백부 (28) 의 내압이 상승하면, 역지 밸브 (61) 에 의해 하측 백부 (28) 로부터 후측 백부 (26) 로의 가스의 흐름이 제한된다. 그 결과, 하측 백부 (28) 의 내압이 구속 초기부터 구속 후기까지 높은 상태로 유지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VEHICLE SIDE AIR-BA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에 사이드 에어백에 의해 착석 승객을 구속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 의 도 11 에 나타내어진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이 후측 튜브백부와 전측 튜브백부를 구비하고 있다. 후측 튜브백부와 전측 튜브백부는 좁혀진 연통부에 있어서 서로 연통되어 있다. 또, 후측 튜브백부 내에는 인플레이터가 형성되어 있고, 그 인플레이터로부터 후측 튜브백부 내로 분출되는 가스가 연통부를 통과하여 전측 튜브백부 내에 공급된다. 이로써, 이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 전개되면, 착석 승객의 흉부, 복부 및 허리부의 전방부가 전측 튜브백부에 의해 구속되고, 착석 승객의 어깨부, 흉부, 복부 및 허리부의 후방부가 후측 튜브백부에 의해 구속된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1 의 도 14 에 나타내어진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이 구획벽에 의해 상측 챔버와 하측 챔버로 구획되어 있다. 상측 챔버는, 좁혀진 연통부에 있어서 서로 연통된 후측 튜브백부와 전측 튜브백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후측 튜브백부 내에는 인플레이터의 상단부가 위치하고 있고, 하측 챔버 내에는 인플레이터의 하단부가 위치하고 있다. 이 인플레이터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는 하측 챔버 및 후측 튜브백부에 공급됨과 함께, 연통부를 통과하여 전측 튜브백부에 공급된다. 이로써, 이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 전개되면, 착석 승객의 흉부 및 복부의 전방부가 전측 튜브백부에 의해 구속되고, 착석 승객의 어깨부, 흉부 및 복부의 후방부가 후측 튜브백부에 의해 구속되며, 착석 승객의 허리부가 하측 챔버에 의해 구속된다.
또한, 본원 발명에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에는,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2 ∼ 5 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3207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0117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4080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84595호 국제 공개 제2010/131326호
상기 특허문헌 1 의 도 11 에 나타내어진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와 같이, 후측 튜브백부를 하방으로 연장하여 허리부를 구속하는 구성의 경우, 후측 튜브백부의 내압을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낮은 흉부 및 복부에 맞추어 설정하면,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높은 허리부의 구속이 불충분하게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1 의 도 14 에 나타내어진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을 구획벽에 의해 상하 2 챔버로 구획하는 구성의 경우, 착석 승객의 허리부와 차량 측부 사이에서 측방 하중을 받는 하측 챔버로부터 가스가 상측 챔버로 빠져나가 버려, 구속 후기에 있어서의 허리부의 구속이 불충분하게 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착석 승객의 어깨부부터 허리부까지를 각 부의 하중 내성에 따른 구속력에 의해 적절히 구속할 수 있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 형성되고, 차량의 측면 충돌이 검지 또는 예지된 경우에 작동되어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측부에 형성되고, 전측 백부, 후측 백부 및 하측 백부로 구획됨과 함께, 상기 후측 백부 내에 형성된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상기 각 백부에 분배되어 팽창 전개되어, 상기 전측 백부에 의해 착석 승객의 흉부 및 복부의 전방부를 구속하고, 상기 후측 백부에 의해 착석 승객의 어깨부와 흉부 및 복부의 후방부를 구속하며, 상기 하측 백부에 의해 착석 승객의 허리부를 구속함과 함께, 상기 하측 백부의 내압 상승에 의해 상기 하측 백부로부터 상기 후측 백부로의 가스의 흐름을 제한하는 역지 밸브가 형성된 사이드 에어백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양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이 전측 백부, 후측 백부 및 하측 백부로 구획되어 있다. 후측 백부 내에는 인플레이터가 형성되어 있고, 차량의 측면 충돌이 검지 또는 예지된 경우에 인플레이터가 작동된다. 그러면,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상기 각 백부에 분배되어,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 전개된다. 이로써, 착석 승객의 흉부 및 복부의 전방부가 전측 백부에 의해 구속되고, 착석 승객의 어깨부와 흉부 및 복부의 후방부가 후측 백부에 의해 구속된다. 이 경우, 내부에 인플레이터가 형성된 후측 백부를 전측 백부보다 조기에 또한 고압으로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흉부 및 복부의 전방부보다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높은 어깨부와 흉부 및 복부의 후방부를 후측 백부에 의해 조기에 구속하면서,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낮은 흉부 및 복부의 전방부가 전측 백부로부터 받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양태에서는, 착석 승객의 어깨부, 흉부 및 복부와 비교하여 하중 내성이 높은 허리부가 사이드 에어백의 하측 백부에 의해 구속된다. 그리고, 이 하측 백부의 내압 상승에 의해, 역지 밸브가 하측 백부로부터 후측 백부로의 가스의 흐름을 제한한다 (완전히 차단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 결과, 하측 백부의 내압을 구속 초기부터 구속 후기까지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본 양태에 의하면, 착석 승객의 어깨부부터 허리부까지를 각 부의 하중 내성에 따른 구속력에 의해 적절히 구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후측 백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착석 승객의 어깨부를 구속하는 전연부 (前延部) 가, 상기 팽창 전개 상태에서 상기 시트백의 전방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구획부에 의해 상기 전측 백부와 구획되어 있다.
제 2 양태에서는, 후측 백부의 상부에 형성된 전연부는,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시트백의 전방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구획부에 의해 전측 백부와 구획되어 있다. 요컨대, 시트백의 전후 방향에 대해 전방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구획부가 설정됨으로써, 후측 백부의 상부가 전측 백부의 상방측으로 연장되어 착석 승객의 어깨부를 구속한다. 이와 같이 상구획부가 설정됨으로써, 후측 백부의 용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후측 백부의 상부 즉 전연부를 착석 승객의 어깨부에 양호하게 대향시킬 수 있다.
또,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있어서, 상구획부 부근은 팽창이 억제되기 때문에, 전측 백부의 차량 폭 방향 내측면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중앙부보다 상방측이 차 폭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상승하도록 (상방을 향할수록 차량 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만곡된다. 이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과 착석 승객이 측면 충돌의 충격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상기 만곡된 면과 착석 승객의 상완부가 슬라이딩 접촉하고, 상완부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힘이 발생한다. 그 결과, 상완부가 전측 백부의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전연부에 의해 구속된다. 이로써, 착석 승객의 흉부와 사이드 에어백 사이에 상완부가 개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흉부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또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에는, 상기 전측 백부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벤트홀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벤트홀은, 상기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도어 트림에 형성된 아암 레스트부의 상면보다 상방측에 위치한다.
제 3 양태에서는, 전측 백부 내에 공급된 가스가 벤트홀로부터 사이드 에어백의 외부로 배기되므로, 구속 후기에는 전측 백부의 내압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로써, 내압이 저하되는 전측 백부에 의해,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낮은 흉부 및 복부의 전방부를 소프트하게 구속할 수 있음과 함께, 전측 백부에 미붕괴부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충격 흡수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벤트홀은,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도어 트림에 형성된 아암 레스트부의 상면보다 상방측에 위치한다. 이로써, 벤트홀이 아암 레스트부와 착석 승객 사이에 끼워져 갑자기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측 백부와 상기 후측 백부를 구획하는 구획부에는, 상기 전측 백부와 상기 후측 백부를 서로 연통시킨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상기 연통공과 상기 벤트홀이 상하로 오프셋된다.
제 4 양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의 후측 백부 내에 형성된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전측 백부와 후측 백부를 구획하는 구획부에 형성된 연통공을 통하여 전측 백부에 공급 (분배) 된다. 전측 백부에 공급된 가스는 벤트홀로부터 사이드 에어백의 외부로 배기된다. 이 벤트홀과 상기 연통공은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상하로 오프셋되므로 (어긋나므로), 연통공을 통하여 전측 백부 내에 공급되는 가스가 벤트홀로부터 다이렉트로 (직선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로써, 구속 초기에 있어서의 전측 백부의 전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 제 4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후측 백부 내에는,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후측 백부 내의 상부 및 상기 하측 백부 내에 분배하는 정류포 (整流布) 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백부 내로 돌출된 상기 정류포의 하단부가 상기 역지 밸브로서 기능한다.
제 5 양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의 후측 백부 내에 형성된 정류포가,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후측 백부 내의 상부 및 하측 백부 내에 분배한다. 이로써, 후측 백부의 상부 및 하측 백부를 조기에 팽창 전개시켜, 착석 승객의 어깨부 및 허리부와 차체 측부 사이의 좁은 간극에, 후측 백부의 상부 및 하측 백부를 조기에 개재시킬 수 있다. 또한, 하측 백부 내에 돌출된 정류포의 하단부가 역지 밸브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역지 밸브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의 전후 방향에 대한 상기 상구획부의 경사 각도는 30 도 ∼ 60 도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 제 6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팽창 전개 상태의 상기 하측 백부는, 착석 승객의 허리부보다 차량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길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착석 승객의 어깨부부터 허리부까지를 각 부의 하중 내성에 따른 구속력에 의해 적절히 구속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동 사이드 에어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F3-F3 선을 따른 절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F4-F4 선을 따른 절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의 F5-F5 선을 따른 절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에 대해 도 1 ∼ 도 5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히 기재하는 화살표 FR, 화살표 UP, 화살표 OUT 는, 차량의 전방향 (진행 방향), 상방향, 차량 폭 방향의 외측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하, 간단히 전후, 상하의 방향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차량 전후 방향의 전후, 차량 상하 방향의 상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구성)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는, 차량용 시트 (12) 에 있어서의 시트백 (14) 의 도어측 사이드부 (14A)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 : 도 4 에 나타내는 사이드 도어 (56) 측의 측부) 에 탑재되어 있다. 이 시트백 (14) 은, 시트 쿠션 (16) 의 후단부에 경도 (傾倒)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헤드 레스트 (18) 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용 시트 (12) 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차량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또, 도 1 에서는, 차량용 시트 (12) 에는 실제 승객 대신에 충돌 시험용 더미 (P) 가 착석하고 있다. 이 더미 (P) 는, 예를 들어 WorldSID (국제 통일 측면 충돌 더미 : World Side Impact Dummy) 의 AM50 (미국인 성인 남성의 50 % 를 커버하는 모델) 이다. 이하, 설명을 알기 쉽게하기 위하여, 더미 (P) 를 「착석 승객 (P)」으로 칭한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는, 사이드 에어백 (20) 과, 그 사이드 에어백 (20) 내에서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가스 발생 장치) (22) 를 주요부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에어백 (20) 은 접혀져서 인플레이터 (22) 등과 함께 유닛화 (모듈화) 된 상태에서 도어측 사이드부 (14A) 의 내부에 배치 형성 (격납) 되어 있고, 인플레이터 (22) 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착석 승객 (P) 과 사이드 도어 (56) (도 4 참조) 사이에 팽창 전개된다 (도 1 도시 상태). 이 팽창 전개시에는, 도어측 사이드부 (14A) 에 배치 형성된 시트백 패드 및 시트 표피 (모두 도시 생략) 가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압을 받아 파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기재하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전후 상하의 방향은,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사이드 에어백 (20) 이 팽창 전개된 상태에서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며, 시트백 (14) 의 전후 상하의 방향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도 1 ∼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20) 은 이른바 3 챔버 사이드 에어백으로, 후측 백부 (26) 와 전측 백부 (24) 와 하측 백부 (28) 가 일체적으로 봉제되어 구성되어 있다. 후측 백부 (26) 는, 예를 들어 나일론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의 포재 (布材) 를 잘라내어 형성된 1 장의 기포 (基布) (30) 가 봉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기포 (30) 는, 절선 (折線) (K) 을 따라 반으로 접히고, 절선 (K) 을 개재한 일측 부분 (30A) 과 타측 부분 (30B) 이 봉제부 (T1) 에 있어서 전단 가장자리부가 봉제됨과 함께, 사이드 에어백 (20) 의 외주부에 설정된 외주 봉제부 (T2) 에 있어서 상단 가장자리부가 봉제되어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는, 상기 봉제부 (T1, T2) 및 후술하는 봉제부 (T3, T4, T6 ∼ T11)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전측 백부 (24) 는, 기포 (30) 와 동일한 포재로 이루어지는 2 장의 기포 (32, 34) 가 봉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기포 (32, 34) 는, 외주 봉제부 (T2) 에 있어서 전단 가장자리부가 봉제되어 있고, 이들 기포 (32, 34) 의 후단 가장자리부 사이에는 후측 백부 (26) 의 전단부가 끼워져 있다. 기포 (32, 34) 의 후단 가장자리부는, 봉제부 (T3, T4) 에 있어서 후측 백부 (26) 의 전단부에 봉제되어 있다.
하측 백부 (28) 는, 기포 (30) 와 동일한 포재로 이루어지는 2 장의 기포 (36, 38) 가 봉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기포 (36, 38) 는, 봉제부 (T6) (도 4 참조) 에 있어서 상단 가장자리부가 봉제됨과 함께, 외주 봉제부 (T2) 에 있어서 하단 가장자리부가 봉제되어 있다. 또, 하측 백부 (28) 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전방부측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백부 (24) 의 기포 (32, 34) 의 하단 가장자리부 사이에 끼워져 있고, 봉제부 (T7, T8) 에 있어서 이들 기포 (32, 34) 와 봉제되어 있다. 또한, 하측 백부 (28) 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후방부측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 백부 (26) 를 구성하는 기포 (30) 의 일측 부분 (30A) 과 타측 부분 (30B) 사이에 끼워져 있고, 봉제부 (T7, T8) 에 있어서 일측 부분 (30A), 타측 부분 (30B) 과 봉제되어 있다.
이 사이드 에어백 (20) 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창 전개 상태를 측면에서 본 경우에, 시트백 (14) 의 상하 방향을 따라 장척의 대략 타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착석 승객 (P) 의 어깨부 (S), 흉부 (C), 복부 (B) 및 허리부 (L) 를 구속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이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전측 백부 (24) 와 후측 백부 (26) 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고, 하측 백부 (28) 가 전측 백부 (24) 및 후측 백부 (26) 의 하측에 배치된다.
전측 백부 (24) 와 후측 백부 (26) 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내부에 배치된 기포 (30) 의 일부 (후측 백부 (26) 의 전단부) 에 의해 형성된 구획부 (40) (테더부)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 구획부 (40) 는, 시트백 (14) 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구획부 (40A) 와, 이 세로 구획부 (40A) 의 상단으로부터 시트백 (14) 의 전방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구획부 (40B) (경사 구획부)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전측 백부 (24) 및 후측 백부 (26) 와 하측 백부 (28) 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내부에 배치된 기포 (36, 38) 의 일부 (하측 백부 (28) 의 상단부) 에 의해 형성된 하구획부 (42) (테더부)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전측 백부 (24) 의 내부는 전측 챔버 (46) 로 되고, 후측 백부 (26) 의 내부는 후측 챔버 (48) 로 되며, 하측 백부 (28) 의 내부는 하측 챔버 (50) 로 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에어백 (20) 의 제조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장의 기포를 반으로 접어 외주 가장자리부를 봉제함으로써 백체를 형성함과 함께, 당해 백체를, 상구획부, 세로 구획부 및 하구획부에 상당하는 봉제부 (심) 에 의해 전측 백부, 후측 백부 및 하측 백부로 구획함으로써 사이드 에어백을 제조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세로 구획부 및 하구획부를 테더에 의해 구성하고, 상구획부를 심 (봉제부) 에 의해 구성해도 되고, 구획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챔버 (46) 와 후측 챔버 (48) 는, 상구획부 (40B) 에 형성된 연통공 (52) 을 개재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다. 또, 전측 백부 (24) 의 전단 가장자리부에는 벤트홀 (54) 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벤트홀 (54) 을 개재하여 전측 챔버 (46) 와 사이드 에어백 (20) 의 외부가 서로 연통되어 있다. 이 벤트홀 (54) 은,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사이드 도어 (56) (도 4 참조) 의 도어 트림 (58) 에 형성된 아암 레스트부 (58A) 의 상면 (58A1) 보다 상방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 에 있어서는, 아암 레스트부 (58A) 의 상면 (58A1) 을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후측 챔버 (48) 에는 정류포 (6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정류포 (60) 는, 기포 (30) 등과 동일한 포재로 이루어지는 기포 (63) (도 3 및 도 5 참조) 가 봉제부 (T9) (도 3 참조) 에 있어서 봉제됨으로써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정류포 (60) 는, 축선 방향이 시트백 (14) 의 상하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후측 챔버 (48) 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정류포 (60) 의 하단측에서는 전술한 봉제부 (T6) (도 4 참조) 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 정류포 (60) 의 하단측은 기포 (36, 38) 사이로부터 하측 챔버 (50) 에 삽입되어 있고, 봉제부 (T10, T11) 에 있어서 기포 (36, 38) 와 봉제되어 있다. 이 정류포 (60) 에 있어서, 봉제부 (T10, T11) 보다 하측의 부분 (하단부) 은 역지 밸브 (61) 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후측 챔버 (48) 에는 인플레이터 (22) 가 수용되어 있다. 인플레이터 (22) 는 이른바 실린더 타입의 인플레이터로,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 (22) 는, 축선 방향이 시트백 (14) 의 상하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후측 챔버 (48) 에 배치 형성되어 있고, 정류포 (60) 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인플레이터 (22) 의 외주부로부터는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상하 1 쌍의 스터드 볼트 (도시 생략) 가 돌출되어 있다. 이들 스터드 볼트는 기포 (63, 30) 를 관통함과 함께, 시트백 프레임 (15) 의 사이드 프레임 (15A) 에 고정된 평단면이 L 자 형상의 브래킷 (도시 생략) 을 관통하고 있고, 선단측에 도시되지 않은 너트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인플레이터 (22) 가 사이드 에어백 (20) 과 함께 사이드 프레임 (15A) 에 체결 고정 (이른바 배면 조임) 되어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 (22) 의 외주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스터드 볼트가 기포 (63, 30) 및 사이드 프레임 (15A) 을 관통하여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구성 (이른바 측면 조임) 으로 해도 된다.
이 인플레이터 (22) 의 하단부에는 가스 분출부 (22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스 분출부 (22A) 에는 인플레이터 (22) 의 둘레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가스 분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인플레이터 (22) 가 작동하였을 때에는 복수의 가스 분출구로부터 방사상으로 가스가 분출된다.
이 인플레이터 (22) 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된 측돌 (側突) ECU (90)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측돌 ECU (90) 에는, 측면 충돌을 검지하는 측돌 센서 (92)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측돌 ECU (90) 는, 측돌 센서 (92) 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측면 충돌 (의 불가피) 을 검지하였을 때에 인플레이터 (22) 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측돌 ECU (90) 에 측면 충돌을 예지 (예측) 하는 프리크래시 센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리크래시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측돌 ECU (90) 가 측면 충돌을 예지하였을 때에 인플레이터 (22) 가 작동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인플레이터 (22) 의 하단부는, 원통상으로 형성된 디플렉터 (62) 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다. 이 디플렉터 (62) 는, 예를 들어 코킹 등의 수단에 의해 인플레이터 (22) 에 고정되어 있고, 인플레이터 (22) 의 가스 분출부 (22A) 를 덮고 있다.
상기 구성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에서는, 인플레이터 (22) 가 작동되면, 인플레이터 (22) 의 가스 분출부 (22A) 로부터 분출되는 가스가 디플렉터 (62) 의 상단 개구 (62A) 및 하단 개구 (62B) 로부터 상하로 분출된다. 이 때의 가스의 상하로의 분배량은, 인플레이터 (22) 에 대한 디플렉터 (62) 의 고정 위치를 상하로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디플렉터 (62) 의 상단 개구 (62A) 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는, 정류포 (60) 의 상단 개구 (60A) 로부터 후측 챔버 (48) 의 상부를 향하여 분출 (분배) 된다 (도 2 의 화살표 G1 참조). 또, 디플렉터 (62) 의 하단 개구 (62B) 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는, 정류포 (60) 의 하단 개구 (60B) 로부터 하측 챔버 (50) 에 분출 (분배) 된다 (도 2 의 화살표 G2 참조). 또한, 후측 챔버 (48) 의 상부를 향하여 분출된 가스는, 연통공 (52) 을 통과하여 전측 챔버 (46) 의 상부에 분배된다 (도 2 의 화살표 G3 참조).
이로써, 전측 백부 (24), 후측 백부 (26) 및 하측 백부 (28) (즉 사이드 에어백 (20)) 가 착석 승객 (P) 과 사이드 도어 (56) 의 도어 트림 (58) (차체 측부) 사이에 팽창 전개된다. 그리고, 전측 백부 (24) 에 의해 착석 승객 (P) 의 흉부 (C) 및 복부 (B) 의 전방부 (전반부 : 전측) 가 구속되고, 후측 백부 (26) 에 의해 착석 승객 (P) 의 어깨부 (S) 와 흉부 (C) 및 복부 (B) 의 후방부 (후반부 : 후측) 가 구속되며, 하측 백부 (28) 에 의해 착석 승객 (P) 의 허리부 (L) 가 구속된다. 이하,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세로 구획부 (40A) 는, 착석 승객 (P) 의 흉부 (C) 및 복부 (B) 의 전후 방향 중앙부를 따라 시트백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세로 구획부 (40A) 부근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량 폭 방향 내측면이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패여 오목부 (64) 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 (64) 는, 세로 구획부 (40A) 를 따라 시트백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오목부 (64) 가 흉부 (C) 및 복부 (B) 의 전후 방향 중앙부 (즉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가장 장출 (張出) 된 부분) 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구획부 (40B) 는, 세로 구획부 (40A) 의 상단으로부터 시트백 (14) 의 전방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이 상구획부 (40B) 는, 시트백 (14) 의 전후 방향 즉 시트 측면에서 보아 시트백 (14) 의 상하 방향 (도 2 의 일점쇄선 Y 를 따른 방향) 과 직교하는 방향 (도 2 의 일점쇄선 X 를 따른 방향) 에 대해, 시트백 (14) 의 전방측을 향할수록 상승하도록 경사진다. 또한, 시트백 (14) 의 상하 방향이란, 시트 측면에서 보아 시트백 프레임 (15) 의 상단부의 전후 방향 중앙과 리클라이닝 로드 (66) 의 축심을 잇는 방향이다. 또, 시트백 (14) 의 전후 방향에 대한 상구획부 (40B) 의 경사 각도 (θ) 는 30 ∼ 60 도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50 도의 범위 내이다.
이 상구획부 (40B) 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에서 본 경우에, 착석 승객 (P) 의 어깨부 (S) 의 중심 (O) 과 상완부 (A) 의 길이 방향 중앙부 (상완부 (A) 의 무게 중심 (AG) 의 위치 또는 무게 중심 (AG) 근방의 위치) 사이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상구획부 (40B) 가 설정됨으로써, 후측 백부 (26) 의 상부에는 전측 백부 (24) 와 구획된 전연부 (26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연부 (26A) 는, 전측 백부 (24) 의 상방측으로 팽창 전개되어, 착석 승객 (P) 의 어깨부 (S) 를 구속한다.
또, 상구획부 (40B) 부근에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량 폭 방향 내측면이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패여 오목부 (68) 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 (68) 는, 상구획부 (40B) 를 따라 시트백 (14) 의 전방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연장된다. 또, 전측 백부 (24) 의 차량 폭 방향 내측면은, 상하 방향 중앙부보다 상방측이 차량 폭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상승하도록 (상방을 향할수록 차량 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만곡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하구획부 (42) 는, 착석 승객 (P) 의 복부 (B) 와 허리부 (L) 사이의 높이에 있어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하구획부 (42) 에 의해 전측 백부 (24) 및 후측 백부 (26) 와 구획된 하측 백부 (28) 는, 착석 승객 (P) 의 허리부 (L) 보다 차량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길게 설정되어 있어, 허리부 (L) 를 차량 전후 방향의 넓은 범위에서 구속한다. 이 하구획부 (42) 는, 시트백 (14) 의 전후 방향에 대해 전방 비스듬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요컨대, 이 하구획부 (42) 는, 시트 측면에서 보아 시트백 (14) 의 상하 방향 (도 2 의 일점쇄선 Y 를 따른 방향) 과 직교하는 방향 (도 2 의 일점쇄선 X 를 따른 방향) 에 대해, 시트백 (14) 의 전방측을 향할수록 하강되도록 경사진다. 그리고, 하측 백부 (28) 는,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전방부측이 후방부측보다 상하 방향 치수 (용적) 가 작아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류포 (60) 의 상단 개구 (60A) 로부터 후측 백부 (26) 의 상부로 분출된 가스가, 상구획부 (40B) 의 연통공 (52) 을 통과하여 전측 백부 (24) 에 공급된다. 그리고, 전측 백부 (24) 에 공급된 가스가 벤트홀 (54) 로부터 사이드 에어백 (20) 의 외부로 배기된다. 이 때문에, 전측 백부 (24) 의 내압 (P1) 이 후측 백부 (26) 의 내압 (P2) 보다 낮아지도록 되어 있다 (P1 < P2).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류포 (60) 의 하단 개구 (60B) 로부터 하측 백부 (28) 내로 가스가 분출됨으로써 하측 백부 (28) 의 내압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 되면, 정류포 (60) 의 하단부에 의해 구성된 역지 밸브 (61) 가 하측 백부 (28) 의 내압에 의해 폐색되도록 (눌려 찌부러지도록) 되어 있다 (도 5 의 이점쇄선 참조). 이로써, 하측 백부 (28) 내로부터 후측 백부 (26) 내로의 가스의 흐름이 제한된다. 그 결과, 착석 승객 (P) 의 구속 초기부터 구속 후기에 걸쳐, 하측 백부 (28) 의 내압 (P3) 이 후측 백부 (26) 의 내압 (P2) 보다 높은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P2 < P3).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본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에서는, 측돌 ECU (90) 가 측돌 센서 (92) 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측면 충돌을 검지하면, 당해 측돌 ECU (90) 에 의해 인플레이터 (22) 가 작동된다. 그러면, 인플레이터 (22) 로부터 분출되는 가스가 사이드 에어백 (20) 의 전측 백부 (24), 후측 백부 (26) 및 하측 백부 (28) 에 분배되어, 사이드 에어백 (20) 이 팽창 전개된다. 이로써, 착석 승객 (P) 의 흉부 (C) 및 복부 (B) 의 전방부가 전측 백부 (24) 에 의해 구속되고, 착석 승객 (P) 의 어깨부 (S) 와 흉부 (C) 및 복부 (B) 의 후방부가 후측 백부 (26) 에 의해 구속된다. 이 경우, 내부에 인플레이터 (22) 가 형성된 후측 백부 (26) 를 전측 백부 (24) 보다 조기에 또한 고압으로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흉부 (C) 및 복부 (B) 의 전방부보다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높은 어깨부 (S) 와 흉부 (C) 및 복부 (B) 의 후방부를 후측 백부 (26) 에 의해 조기에 구속하면서,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낮은 흉부 (C) 및 복부 (B) 의 전방부가 전측 백부 (24) 로부터 받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착석 승객 (P) 의 어깨부 (S), 흉부 (C) 및 복부 (B) 와 비교하여 하중 내성이 높은 허리부 (L) 가 사이드 에어백 (20) 의 하측 백부 (28) 에 의해 구속된다. 그리고, 이 하측 백부 (28) 의 내압 상승에 의해, 역지 밸브 (61) 가 하측 백부 (28) 로부터 후측 백부 (26) 로의 가스의 흐름을 제한한다. 그 결과, 하측 백부 (28) 의 내압을 구속 초기부터 구속 후기까지 높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착석 승객 (P) 의 어깨부 (S) 부터 허리부 (L) 까지를 각 부의 하중 내성에 따른 구속력에 의해 적절히 구속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측 백부 (26) 의 상부에는, 착석 승객 (P) 의 어깨부 (S) 를 구속하는 전연부 (26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연부 (26A) 가 조기에 팽창 전개됨으로써, 착석 승객 (P) 의 어깨부 (S) 를 조기에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연부 (26A) 는, 세로 구획부 (40A) 의 상단으로부터 시트백 (14) 의 전방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구획부 (40B) 에 의해 전측 백부 (24) 와 구획되어 있고, 전측 백부 (24) 의 상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요컨대, 시트백 (14) 의 전후 방향에 대해 전방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구획부 (40B) 가 설정됨으로써, 후측 백부 (26) 의 상부 (전연부 (26A)) 가 전측 백부 (24) 의 상방측으로 연장되어 착석 승객 (P) 의 어깨부 (S) 를 구속한다. 이와 같이 상구획부 (40B) 가 설정됨으로써, 후측 백부 (26) 의 용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후측 백부 (26) 의 상부 (전연부 (26A)) 를 착석 승객 (P) 의 어깨부 (S) 에 양호하게 대향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흉부 (C) 및 복부 (B) 의 후방부 그리고 어깨부 (S) 를 조기에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20) 에 의한 착석 승객 (P) 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창 전개된 전측 백부 (24) 의 차량 폭 방향 내측면은, 상하 방향 중앙부보다 상방측이 차량 폭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상승하도록 만곡된다. 이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20) 과 착석 승객 (P) 이 측면 충돌의 충격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상기 만곡된 면과 착석 승객 (P) 의 상완부 (A) 가 슬라이딩 접촉하고, 상완부 (A) 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힘 (F) 이 발생한다. 그 결과, 상완부 (A) 가 전측 백부 (24) 의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전연부 (26A) 에 의해 구속된다. 이로써, 착석 승객 (P) 의 흉부 (C) 와 사이드 에어백 (20) 사이에 상완부 (A) 가 개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흉부 (C) 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백부 (24) 내에 공급된 가스가 벤트홀 (54) 로부터 사이드 에어백 (20) 의 외부로 배기되므로, 구속 후기에는 전측 백부 (24) 의 내압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로써, 내압이 저하되는 전측 백부 (24) 에 의해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낮은 흉부 (C) 및 복부 (B) 의 전방부를 소프트하게 구속할 수 있음과 함께, 전측 백부 (24) 에 미붕괴부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충격 흡수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벤트홀 (54) 은,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사이드 도어 (56) 의 도어 트림 (58) 에 형성된 아암 레스트부 (58A) 의 상면 (58A1) 보다 상방측에 위치한다. 이로써, 벤트홀 (54) 이 아암 레스트부 (58A) 와 착석 승객 (P) 사이에 끼워져 갑자기 폐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후측 백부 (26) 내에 형성된 인플레이터 (22) 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전측 백부 (24) 와 후측 백부 (26) 를 구획하는 상구획부 (40B) 에 형성된 연통공 (52) 을 통하여 전측 백부 (24) 에 공급된다. 전측 백부 (24) 에 공급된 가스는 벤트홀 (54) 로부터 사이드 에어백 (20) 의 외부로 배기된다. 이 벤트홀 (54) 과 상기 연통공 (52) 은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상하로 오프셋되므로, 연통공 (52) 을 통하여 전측 백부 (24) 내에 공급되는 가스가 벤트홀 (54) 로부터 다이렉트로 (직선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로써, 구속 초기에 있어서의 전측 백부 (24) 의 전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후측 백부 (26) 내에 형성된 정류포 (60) 가, 인플레이터 (22) 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후측 백부 (26) 내의 상부 및 하측 백부 (28) 내에 분배한다. 이로써, 후측 백부 (26) 의 상부 및 하측 백부 (28) 를 조기에 팽창 전개시켜, 착석 승객 (P) 의 어깨부 (S) 및 허리부 (L) 와 차체 측부 사이의 좁은 간극에, 후측 백부 (26) 의 상부 및 하측 백부 (28) 를 조기에 개재시킬 수 있다. 또한, 하측 백부 (28) 내로 돌출된 정류포의 하단부가 역지 밸브 (61) 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역지 밸브 (61) 를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구획부 (40B) 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에서 본 경우에, 착석 승객 (P) 의 어깨부 (S) 의 중심과 상완부 (A) 의 길이 방향 중앙부 (상완부 (A) 의 무게 중심 (AG) 부근) 사이의 중앙 부근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상완부 (A) 의 무게 중심 (AG) 부근에 상구획부 (40B) 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측 백부 (24) 에 의한 상완부 (A) 의 밀어 올리는 힘 (F) 을 상완부 (A) 의 무게 중심 (AG) 부근에 양호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완부 (A) 를 효과적으로 밀어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구획부 (40A) 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에서 본 경우에, 착석 승객 (P) 의 흉부 (C) 및 복부 (B) 의 전후 방향 중앙부를 따라 시트백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측 백부 (24) 와 후측 백부 (26) 에 의해 착석 승객 (P) 의 흉부 (C) 및 복부 (B) 의 측면을 그 만곡을 따라 전후로부터 덮도록 구속할 수 있다. 이로써, 흉부 (C) 및 복부 (B) 와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량 전후 방향의 위치 관계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20) 이 팽창 전개되면, 세로 구획부 (40A) 및 상구획부 (40B) 부근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량 폭 방향 내측면이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패인다. 세로 구획부 (40A) 부근에 형성되는 오목부 (64) 에는, 흉부 (C) 의 측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중앙부 (즉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가장 장출된 부분) 가 끼워 넣어진다. 이로써, 흉부 (C) (늑골 등) 에 대한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상구획부 (40B) 부근에 형성되는 오목부 (68) 에는, 전측 백부 (24) 와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밀어 올려진 상완부 (A) 가 끼워 넣어진다. 이로써, 상완부 (A) 를 밀어 올려진 위치에 양호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백부 (24) 와 후측 백부 (26) 가, 기포 (30) 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 구획부 (40) (테더부) 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전측 백부 (24) 및 후측 백부 (26) 와 하측 백부 (28) 가, 기포 (36, 38) 의 일부에 의해 형성된 하구획부 (42) (테더부)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각 테더부의 폭 치수의 분만큼 전측 백부 (24), 후측 백부 (26) 및 하측 백부 (28) 의 팽창 두께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의 치수) 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전측 백부 (24), 후측 백부 (26) 및 하측 백부 (28) 의 충격 흡수 스트로크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하구획부 (42) 가 시트백 (14) 의 전후 방향에 대해 전방 비스듬한 하방으로 연장되고, 하측 백부 (28) 의 전방부측이 후방부측보다 용적이 작아진다. 이로써, 예를 들어 착석 승객 (P) 이 도어측 사이드부 (14A) 전방의 비정규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사이드 에어백 (20) 이 팽창 전개된 경우에도, 가장 고압이 되는 하측 백부 (28) 의 전방부측의 용적이 작은 것에 의해, 착석 승객 (P) 에 대한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작용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6 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70) 에 있어서의 사이드 에어백 (72) 의 팽창 전개 상태가 측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사이드 에어백 (72) 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통공 (52) 대신에, 세로 구획부 (40A) 의 상단부에 연통공 (74)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통공 (74) 을 개재하여 전측 챔버 (46) 와 후측 챔버 (48) 가 서로 연통되어 있다. 이 연통공 (74) 은, 사이드 에어백 (72) 의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 벤트홀 (54) 에 대해 상방측으로 오프셋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사이드 에어백 (72) 에서는, 하측 백부 (28) 의 전단부에 벤트홀 (76) 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벤트홀 (76) 을 개재하여 하측 챔버 (50) 가 사이드 에어백 (72) 의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후측 챔버 (48) 에 공급된 가스가, 세로 구획부 (40A) 의 상단부에 형성된 연통공 (74) 을 통하여 전측 챔버 (46) 의 상부에 공급되기 때문에, 전측 백부 (24) 의 상부의 팽창 전개를 촉진시킬 수 있고, 전측 백부 (24) 에 의한 상완부 (A) 가 밀어 올려지는 효과를 조장할 수 있다.
또, 연통공 (74) 과 벤트홀 (54) 이 사이드 에어백 (72) 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상하로 오프셋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연통공 (74) 을 통하여 전측 챔버 (46) 에 공급되는 가스가 벤트홀 (54) 로부터 다이렉트로 (직선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챔버 (50) 에 공급된 가스가 하측 백부 (28) 의 전단부에 형성된 벤트홀 (76) 로부터 사이드 에어백 (72) 밖으로 배기되기 때문에, 하측 백부 (28) 에 미붕괴부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충격 흡수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7 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80) 에 있어서의 사이드 에어백 (82) 의 팽창 전개 상태가 측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사이드 에어백 (82) 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연통공 (52) 대신에, 세로 구획부 (40A) 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연통공 (84) 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연통공 (84) 을 개재하여 전측 챔버 (46) 와 후측 챔버 (48) 가 서로 연통되어 있다. 또, 이 사이드 에어백 (82) 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벤트홀 (54) 대신에, 전측 백부 (24) 의 상단부에 벤트홀 (86) 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벤트홀 (86) 을 개재하여 전측 챔버 (46) 가 사이드 에어백 (82) 의 외부와 연통되어 있다. 이 벤트홀 (86) 은, 사이드 에어백 (72) 의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 연통공 (84) 에 대해 상방측으로 오프셋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사이드 에어백 (82) 에서는, 하측 백부 (28) 의 후단부에 벤트홀 (88) 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벤트홀 (88) 을 개재하여 하측 챔버 (50) 가 사이드 에어백 (72) 의 외부 (여기서는, 시트백 (14) 의 내부) 와 연통되어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연통공 (84) 과 벤트홀 (86) 이 사이드 에어백 (72) 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상하로 오프셋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연통공 (84) 을 통하여 전측 챔버 (46) 에 공급되는 가스가 벤트홀 (86) 로부터 다이렉트로 (직선적으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하측 챔버 (50) 에 공급된 가스가, 하측 백부 (28) 의 후단부에 형성된 벤트홀 (88) 로부터 사이드 에어백 (72) 밖으로 배기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측 백부 (28) 에 미붕괴부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충격 흡수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챔버 (50) 내의 가스가 벤트홀 (88) 로부터 시트백 (14) 내로 배기되기 때문에, 벤트홀 (88) 로부터 배기되는 가스의 영향을 착석 승객 (P) 이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연통공 (52, 74, 84) 및 벤트홀 (54, 76, 86, 88) 에 관하여 몇 가지 예를 나타내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연통공 및 벤트홀의 수나 배치 형성 위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 (20) 의 세로 구획부 (40A) 에,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통공 (74) 또는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연통공 (84) 이 형성 (추가) 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정류포 (60) 의 하단부가 역지 밸브 (61) 로 된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역지 밸브가 정류포와는 별도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후측 백부 (26) 의 상부에 전연부 (26A) 가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연부 (26A) 가 생략된 구성, 요컨대 전연부 (26A) 부분까지 전측 백부 (24) 가 연장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후측 백부 (26) 내에 공급된 가스가 연통공 (52, 74, 84) 을 통하여 전측 백부 (24) 내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정류포 (60) 로부터 연장된 분기로를 전측 백부 (24) 에 접속시키고, 당해 분기로로부터 직접 전측 백부 (24) 내로 가스를 분배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단 그 경우에도, 후측 백부가 전측 백부보다 조기에 또한 고압으로 팽창 전개되도록, 분기로의 굵기 등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본 출원인 특허출원 2013-10337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 중에 받아들여진다. 또,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것이, 구체적 또한 개별적으로 기재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그 밖에,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7)

  1.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 형성되고, 차량의 측면 충돌이 검지 또는 예지된 경우에 작동되어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측부에 형성되고, 전측 백부, 후측 백부 및 하측 백부로 구획됨과 함께, 상기 후측 백부 내에 형성된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상기 각 백부에 분배되어 팽창 전개되어, 상기 전측 백부에 의해 착석 승객의 흉부 및 복부의 전방부를 구속하고, 상기 후측 백부에 의해 착석 승객의 어깨부와 흉부 및 복부의 후방부를 구속하며, 상기 하측 백부에 의해 착석 승객의 허리부를 구속함과 함께, 상기 하측 백부의 내압 상승에 의해 상기 하측 백부로부터 상기 후측 백부로의 가스의 흐름을 제한하는 역지 밸브가 형성된 사이드 에어백을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백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착석 승객의 어깨부를 구속하는 전연부가, 상기 팽창 전개 상태에서 상기 시트백의 전방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구획부에 의해 상기 전측 백부와 구획되어 있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에는, 상기 전측 백부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는 벤트홀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벤트홀은, 상기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도어 트림에 형성된 아암 레스트부의 상면보다 상방측에 위치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백부와 상기 후측 백부를 구획하는 구획부에는, 상기 전측 백부와 상기 후측 백부를 서로 연통시킨 연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상기 연통공과 상기 벤트홀이 상하로 오프셋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백부 내에는,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후측 백부 내의 상부 및 상기 하측 백부 내에 분배하는 정류포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 백부 내로 돌출된 상기 정류포의 하단부가 상기 역지 밸브로서 기능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의 전후 방향에 대한 상기 상구획부의 경사 각도는 30 도 ∼ 60 도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전개 상태의 상기 하측 백부는, 착석 승객의 허리부보다 차량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길게 설정되어 있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0157020074A 2013-01-23 2013-06-13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201501008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10337A JP5803948B2 (ja) 2013-01-23 2013-01-23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JP-P-2013-010337 2013-01-23
PCT/JP2013/066399 WO2014115351A1 (ja) 2013-01-23 2013-06-13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872A true KR20150100872A (ko) 2015-09-02

Family

ID=5122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074A KR20150100872A (ko) 2013-01-23 2013-06-13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50367806A1 (ko)
EP (1) EP2949519A4 (ko)
JP (1) JP5803948B2 (ko)
KR (1) KR20150100872A (ko)
CN (1) CN104955681A (ko)
BR (1) BR112015017552A2 (ko)
CA (1) CA2899230A1 (ko)
RU (1) RU2015130238A (ko)
WO (1) WO20141153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9037B2 (en) * 2012-04-17 2015-05-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EP2955066B1 (en) * 2013-02-07 2018-06-13 Autoliv Development AB Vehicular side airbag device
JP5776733B2 (ja) * 2013-07-03 2015-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032148B2 (ja) * 2013-07-18 2016-11-24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5039965A (ja) * 2013-08-22 2015-03-02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949712B2 (ja) 2013-09-18 2016-07-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CN104736396A (zh) 2013-09-27 2015-06-2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侧面安全气囊装置以及车辆用座椅
JP6236286B2 (ja) * 2013-10-30 2017-11-22 マツダ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60552B2 (ja) * 2014-04-30 2017-07-12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
JP6102880B2 (ja) 2014-10-07 2017-03-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31927B2 (ja) 2014-10-09 2017-05-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JP6191574B2 (ja) 2014-10-10 2017-09-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225877B2 (ja) 2014-10-22 2017-1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49849B2 (ja) * 2014-11-25 2017-06-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380064B2 (ja) * 2014-12-08 2018-08-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DE112015005790T5 (de) * 2014-12-24 2017-09-28 Tk Holdings Inc. Seitenaufprall-Airbagmodul
JP6304020B2 (ja) * 2014-12-24 2018-04-04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422911B2 (ja) * 2015-04-14 2018-11-1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237727B2 (ja) 2015-07-30 2017-1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6575757B2 (ja) * 2015-10-14 2019-09-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278025B2 (ja) 2015-10-26 2018-0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JP6432547B2 (ja) 2016-03-02 2018-1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7199850A1 (ja) * 2016-05-20 2017-11-2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1225218B2 (en) 2016-09-07 2022-01-18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JP6610493B2 (ja) 2016-10-03 2019-1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US10023146B2 (en) * 2016-11-10 2018-07-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ssembly including airbag
JP6729435B2 (ja) * 2017-02-06 2020-07-22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102017217499A1 (de) * 2017-09-29 2019-04-04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sack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JP6866826B2 (ja) * 2017-11-09 2021-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後席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922677B2 (ja) 2017-11-13 2021-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7061978B2 (ja) 2019-03-12 2022-05-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エアバッグシステム
US11059442B2 (en) * 2019-03-26 2021-07-1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daptive side airbag for protecting occupants in a vehicle
JP7200376B2 (ja) * 2019-06-20 2023-01-06 芦森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1383670B2 (en) * 2019-09-30 2022-07-12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apparatus
JP7419751B2 (ja) 2019-11-05 2024-01-23 Joyson Safety Systems Japan合同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7419766B2 (ja) 2019-11-22 2024-01-23 Joyson Safety Systems Japan合同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7298585B2 (ja) * 2020-10-22 2023-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乗員保護装置
KR20220104401A (ko) * 2021-01-18 2022-07-2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KR20240015417A (ko) * 2022-07-27 2024-02-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시트 에어백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0038A (en) * 1993-11-01 1995-01-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Offset inflatable restraint system
DE29517372U1 (de) * 1995-11-02 1996-02-01 Trw Repa Gmbh Gassack-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JP3374648B2 (ja) * 1996-04-08 2003-02-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US6302431B1 (en) * 1997-09-19 2001-10-16 Nissan Motor Co., Ltd. Air bag device
US20030168836A1 (en) * 2002-03-11 2003-09-11 Eiji Sato Side airbag apparatus
JP4285167B2 (ja) * 2003-01-30 2009-06-24 タカタ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4285633B2 (ja) * 2003-01-31 2009-06-24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192050B2 (en) * 2003-07-09 2007-03-20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JP2008201172A (ja) 2007-02-16 2008-09-04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600472B2 (ja) * 2007-12-20 2010-12-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003631B2 (ja) * 2008-08-08 2012-08-15 豊田合成株式会社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0132072A (ja) 2008-12-03 2010-06-17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892572B2 (ja) 2009-02-12 2012-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CN102341277B (zh) * 2009-05-11 2013-11-2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侧面安全气囊装置
EP2517933B1 (en) * 2009-12-21 2014-10-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de airbag device and method of sewing side airbag
JP2011162012A (ja) * 2010-02-08 2011-08-25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611664B2 (ja) 2010-05-18 2014-10-22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自動車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473812B2 (ja) * 2010-07-20 2014-04-16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3010337A (ja) 2011-06-28 2013-01-17 Masayuki Kajiwara アルミ蒸着層挟み込みフィルムシート素材と吸湿発熱繊維素材とのラミネート加工による防寒製品における効果的な保温発熱構造
JP5655799B2 (ja) * 2012-02-08 2015-01-21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55681A (zh) 2015-09-30
JP2014141159A (ja) 2014-08-07
RU2015130238A (ru) 2017-03-02
JP5803948B2 (ja) 2015-11-04
US20150367806A1 (en) 2015-12-24
EP2949519A4 (en) 2016-01-27
BR112015017552A2 (pt) 2017-07-11
WO2014115351A1 (ja) 2014-07-31
CA2899230A1 (en) 2014-07-31
EP2949519A1 (en)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0872A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1715548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5949712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KR101680491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8783712B2 (en)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KR101774718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차량용 시트
JP5804214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JP5831634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49840B2 (ja)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90033011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20140151984A1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WO2013157082A1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998978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50039800A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2014184852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4133462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3252773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783145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の展開方法及び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915549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225877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6168964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6107887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3154785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