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3011A -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3011A
KR20190033011A KR1020180109569A KR20180109569A KR20190033011A KR 20190033011 A KR20190033011 A KR 20190033011A KR 1020180109569 A KR1020180109569 A KR 1020180109569A KR 20180109569 A KR20180109569 A KR 20180109569A KR 20190033011 A KR20190033011 A KR 20190033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inner chamber
vehicle
diffuser
supply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9685B1 (ko
Inventor
오사무 후카와타세
다카미치 고무라
다케하루 스기시마
다카유키 시미즈
미츠오 노가미
유토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033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3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6Soft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002/5808Seat coverings comprising opening zones for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0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the bag being integrated in a multi-ba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0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the individual compartments defin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에 있어서, 사이드 프레임(30)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인플레이터(22); 상기 측부(16A) 내에 수납되고, 상기 인플레이터(22)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받아 탑승자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위를 향하여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된 내측 챔버(64); 상기 측부(16A) 내에 수납되고, 상기 가스의 공급을 받아 상기 내측 챔버(64)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 또한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된 외측 챔버(62); 상기 측부(16A) 내에 수납된 디퓨저(53)를 포함하며, 디퓨저(53)는, 상기 인플레이터(22)가 작동하면 디퓨저(53)의 주벽에 형성된 제 1 공급구(55)로부터 상기 내측 챔버(64) 내에 상기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VEHICLE SEAT EQUIPPED WITH SIDE AIRBAG DEVICE, AND SIDE AIRBAG DEVICE}
본 발명은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9-023494호에는, 인플레이터와 주(主) 에어백과 보조 에어백을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시트백의 외부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인플레이터가, 보조 에어백의 기단(基端)부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보조 에어백의 기단부에는, 주 에어백의 기단부가 결합되어 있고, 당해 결합부에 형성된 연통(連通) 구멍부를 통하여 보조 에어백 내와 주 에어백 내가 상호 연통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보조 에어백이 주 에어백에 선행하여 시트백의 사이드부 내에서 팽창 전개되고, 탑승자를 시트 폭 방향 내측(차량 폭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탑승자와 보디 사이드부 사이의 공간을 차량 폭 방향으로 넓힌다. 이에 의해, 주 에어백이 탑승자와 보디 사이드부 사이에 팽창 전개되기 쉽게 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4-080169호에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이 차량용 시트에서는, 시트백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사이드부 내에 마련된 외부 사이드 프레임이, 측벽부와 후벽부를 갖고 있고, 측벽부의 시트 폭 방향 내측에는, 에어백 모듈이 배치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은, 접힌 사이드 에어백과 인플레이터가 모듈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에어백은, 탑승자와 차체 측부 사이에 팽창 전개되는 전방 전개 에어백과, 시트백 내에서 팽창되는 내방(內方) 팽창 에어백을 구비하고 있다. 내방 팽창 에어백은, 전방 전개 에어백의 후단(後端)부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내부가 전방 전개 에어백 내와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전개 에어백 내에 있어서의 내방 팽창 에어백과의 결합부 부근에 수용된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가, 전방 전개 에어백과 내방 팽창 에어백에 분배되게 되어 있다.
상기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9-023494호에 기재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인플레이터가 외부 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에어백에 있어서의 기단부보다 선단(先端)측의 부위가 외부 사이드 프레임의 전측(前側)으로부터 외부 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돌아 들어가 주름 상자 접기로 되어 있다. 그 결과, 보조 에어백의 기단부로부터 상기 선단측의 부위로의 가스의 공급 경로가 외부 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전방에서 크게(평단면에서 보아 U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 때문에,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가 보조 에어백의 선단측의 부위에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아, 보조 에어백의 팽창 전개가 늦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보조 에어백(내부 백부)에 의한 탑승자의 구속을 조기화하는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한편, 상기 일본 공개특허 특개2014-080169호에 기재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인플레이터가 외부 사이드 프레임의 시트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터로부터 내방 팽창 에어백으로의 가스의 공급 경로가 외부 사이드 프레임에 의해서 구부려지지 않으므로, 내방 팽창 에어백의 팽창 전개가 빨라져, 탑승자를 조기에 구속할 수 있다. 그러나, 인플레이터가 내방 팽창 에어백 내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가스가 내방 팽창 에어백 내에 직접적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고온이 된 내방 팽창 에어백에 접할 가능성이 있어, 이 점에서도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초기 구속 성능의 향상과, 탑승자에 대한 가해성의 저감을 양립할 수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은, 시트백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 내에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인플레이터; 상기 측부 내에 수납되고,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받아 탑승자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위를 향하여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된 내측 챔버; 상기 측부 내에 수납되고, 상기 가스의 공급을 받아 상기 내측 챔버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 또한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된 외측 챔버; 상기 측부 내에 수납되고, 내부 상기 인플레이터를 수용한 디퓨저를 포함하며, 디퓨저는, 상기 인플레이터가 작동하면 디퓨저의 주벽(周壁)에 형성된 제 1 공급구로부터 상기 내측 챔버 내에 상기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를 제공한다.
제 1 태양에 의하면, 예를 들면, 차량이 측면 충돌(이하, 「측돌(側突)」이라고 칭한다.)하면, 디퓨저의 내부에 수용된 인플레이터가 기동되고,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가 내측 챔버 내 및 외측 챔버 내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내측 챔버 및 외측 챔버가 팽창 전개된다. 여기서, 디퓨저의 주벽에는, 제 1 공급구가 형성되어 있고, 인플레이터가 작동하면 이 제 1 공급구로부터 내측 챔버 내에 가스가 공급된다. 즉,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가, 디퓨저에 형성된 제 1 공급구에 의해서 내측 챔버 내로 흐르도록 규제되기 때문에, 내측 챔버 내에 가스가 조기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내측 챔버를 조기에 팽창 전개 완료시킬 수 있다.
또, 인플레이터의 가스가 한번 디퓨저 내에 분출된 후에 제 1 공급구를 통과하여 내측 챔버 내에 공급되기 때문에, 내측 챔버가 고온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내측 챔버와 상기 외측 챔버는, 팽창 전개시에 상기 탑승자와 차실(車室) 측부 사이의 공간을 메우도록 상기 시트백의 표피를 개열(開裂)시켜 차량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내측 챔버와 외측 챔버는, 팽창 전개시에 시트백의 표피를 개열시켜 차량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이에 의해서, 탑승자와 차실 측부 사이의 공간을 내측 챔버와 외측 챔버가 메운다. 따라서, 조기에 팽창 전개 완료하는 내측 챔버에 의해 탑승자의 초기 구속의 조기화를 도모함과 함께, 외측 챔버에 의해서 차실 측부로부터 반력을 얻어 탑승자를 차실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구는, 상기 탑승자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위를 향하여 개구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디퓨저의 제 1 공급구는 탑승자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위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챔버 내로 공급되는 가스는 탑승자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위를 향하여 흐른다. 따라서, 내측 챔버 내의 가스의 정압(靜壓)에 추가하여 제 1 공급구로부터 탑승자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위로 흐르는 가스의 동압(動壓)을 이용하여 탑승자를 구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량이 적은 팽창 전개의 초기 상태에서도, 탑승자를 구속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디퓨저는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디퓨저가 상기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받으면, 상기 제 1 공급구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보다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챔버는, 상기 내측 챔버 내에 공급된 가스는, 상기 내측 챔버의 제 2 공급구를 통과하여 상기 외측 챔버 내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디퓨저는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퓨저가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의 공급을 받으면, 제 1 공급구는 사이드 프레임보다 차량 전방측에 위치함과 함께, 제 1 공급구로부터 내측 챔버 내에 공급된 가스는, 내측 챔버의 제 2 공급구를 통과하여 외측 챔버 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는, 사이드 프레임을 회피하여 내측 챔버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측 챔버를 조기에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또, 내측 챔버는, 외측 챔버보다 조기에 팽창 전개된다. 이들에 의해서, 탑승자의 초기 구속을 앞당길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외측 챔버는, 연통 구멍을 갖는 칸막이부에 의해서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측 챔버와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측 챔버로 구획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제 2 공급구는, 상기 내측 챔버로부터 상기 후측 챔버로 연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외측 챔버는 연통 구멍을 갖는 칸막이부에 의해서 전측 챔버와 후측 챔버로 구획되어 있고, 제 2 공급구는 내측 챔버로부터 후측 챔버로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는, 디퓨저의 제 1 공급구로부터 후측 챔버 내, 제 2 공급구, 후측 챔버, 연통 구멍, 그리고 전측 챔버의 순서로 흐른다. 따라서,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는, 사이드 프레임을 회피하여 내측 챔버 내로 공급된 후에 후측 챔버 내 및 전측 챔버 내로 공급된다. 이 때문에, 내측 챔버를 조기에 팽창 전개시켜 탑승자의 초기 구속을 앞당길 수 있다. 또, 후측 챔버가 전측 챔버보다 조기에 팽창 전개되고, 이어서 후측 챔버가 내측 챔버 및 차실 측부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후측 챔버가 차실 측부로부터 조기에 반력을 취함과 함께, 후측 챔버로부터 내측 챔버로 반력이 전달되므로, 탑승자의 초기 구속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디퓨저는, 상기 후측 챔버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디퓨저는, 후측 챔버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디퓨저의 용적분만큼 후측 챔버 내의 용적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후측 챔버의 팽창 전개를 조기에 완료시킬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디퓨저의 주벽에는, 상기 디퓨저 내와 상기 후측 챔버 내를 연통하는 제 3 공급구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디퓨저의 주벽에는, 후측 챔버 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 3 공급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측 챔버의 팽창 전개를 조기에 완료시킬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 3 공급구의 개구 면적은, 상기 제 1 공급구의 개구 면적보다 작아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3 공급구의 개구 면적은, 제 1 공급구의 개구 면적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디퓨저 내의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는, 내측 챔버 내로 많이 공급된다. 따라서, 내측 챔버의 팽창 전개가 조기에 행해짐으로써, 탑승자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외측 챔버는, 연통 구멍을 갖는 칸막이부에 의해서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측 챔버와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측 챔버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제 2 공급구는, 상기 내측 챔버로부터 상기 후측 챔버로 연통되어 있을 때, 상기 내측 챔버 및 상기 후측 챔버는, 팽창 전개 상태의 상기 내측 챔버와 상기 후측 챔버에 의해서 상기 탑승자와 차실 측부 사이의 공간을 메우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팽창 전개 상태의 내측 챔버와 후측 챔버에 의해서 탑승자와 차실 측부 사이의 공간이 메워져 있다. 여기서, 내측 챔버와 후측 챔버는, 전측 챔버와 비교하여 조기에 팽창 전개되기 때문에, 차실 측부로부터 조기에 반력을 취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초기 구속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외측 챔버는, 단일의 챔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외측 챔버는 단일의 챔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내측 챔버에는, 스트랩의 일단(一端)부가 장착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스트랩의 타단(他端)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내측 챔버에는, 스트랩의 일단부가 장착되어 있고, 이 스트랩의 타단부는, 사이드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랩에 의해서 내측 챔버가 팽창 전개될 때의 내측 챔버의 위치의 변위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챔버를 탑승자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위를 향하여 대략 확실하게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상기 외측 챔버와 상기 내측 챔버의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외측 챔버의 뒷부분과 상기 내측 챔버의 뒷부분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팽창 전개시의 디퓨저는, 외측 챔버의 뒷부분과 내측 챔버의 뒷부분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의 흐름은 사이드 프레임을 회피한다. 따라서, 사이드 프레임에 의해서 가스의 흐름이 저해되는 일 없이 내측 챔버 및 외측 챔버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탑승자를 향하여 내측 챔버를 조기에 팽창 전개시킬 수 있음과 함께, 가스의 공급을 고려하여 사이드 프레임에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진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외측 챔버는, 팽창 전개시에 차량 측면시에 있어서 표준 체격의 탑승자의 견부(肩部)로부터 요부(腰部)를 구속하도록 구성되어도 되고, 상기 내측 챔버는, 팽창 전개시에 차량 측면시에 있어서 상기 표준 체격의 탑승자의 견부로부터 흉부(胸部)의 뒷부분을 구속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차량 측돌시, 외측 챔버에 의해서 표준 체격의 탑승자의 견부로부터 요부의 넓은 범위를 구속할 수 있다. 또, 조기에 팽창 전개되는 내측 챔버에 의해서 표준 체격의 탑승자에 있어서의 상대적으로 내성값이 높은 견부로부터 흉부의 뒷부분을 조기에 또한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체격」이란, AM50(미국인 성인 남성의 50 퍼센타일)을 상정한 것이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구는, 대략 시트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긴 구멍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디퓨저에 마련된 제 1 공급구는, 대략 시트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긴 구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공급구의 개구 면적을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디퓨저 내의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를 내측 챔버 내로 보다 많이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측 챔버의 팽창 전개를 보다 조기에 행할 수 있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외측 챔버는, 연통 구멍을 갖는 칸막이부에 의해서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측 챔버와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측 챔버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제 2 공급구는, 상기 내측 챔버로부터 상기 후측 챔버로 연통되어 있고, 상기 외측 챔버는, 팽창 전개시에 차량 측면시에 있어서 표준 체격의 탑승자의 견부로부터 요부를 구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측 챔버는, 팽창 전개시에 차량 측면시에 있어서 상기 표준 체격의 탑승자의 견부로부터 흉부의 뒷부분을 구속하도록 구성될 때, 상기 후측 챔버의 상부에는, 상기 외측 챔버의 하부에 있어서의 상기 칸막이부에 대하여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된 견부 구속부가 일체로 마련되어도 되고, 상기 제 2 공급구는, 상기 내측 챔버와 상기 후측 챔버가 접속된 부위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에 마련된 상방 공급구와, 상기 상방 공급구에 대하여 차량 하방측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상방 공급구보다 개구 면적이 좁게 설정된 하방 공급구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후측 챔버의 상부에는, 외측 챔버의 하부에 있어서의 칸막이부에 대하여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된 견부 구속부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후측 챔버와 마찬가지로 전측 챔버보다 조기에 팽창 전개되고 또한 차량 전후 방향에서 넓은 범위에 마련된 견부 구속부에 의해서 탑승자의 견부를 보다 확실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 제 2 공급구는, 내측 챔버와 후측 챔버가 접속된 부위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에 마련된 상방 공급구와, 상방 공급구에 대하여 차량 하방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방 공급구보다 개구 면적이 좁게 설정된 하방 공급구를 갖고 있다. 따라서, 하방 공급구보다 상방 공급구로부터 후측 챔버 내로의 가스의 공급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견부 구속부를 포함한 후측 챔버의 차량 상방측이 보다 조기에 팽창 전개되기 때문에, 차실 측부와 비교적 가까운 탑승자의 견부를 보다 적절하게 구속할 수 있다.
제 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외측 챔버는, 연통 구멍을 갖는 칸막이부에 의해서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측 챔버와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측 챔버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제 2 공급구는, 상기 내측 챔버로부터 상기 후측 챔버로 연통되어 있을 때, 상기 내측 챔버와 상기 후측 챔버는, 단일의 챔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내측 챔버와 후측 챔버는, 단일의 챔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은,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인플레이터; 상기 인플레이터를 내부에 수용하는 디퓨저; 상기 디퓨저의 주벽에 형성된 제 1 공급구에 의해서 내부가 상기 디퓨저 내와 연통된 내측 챔버; 상기 내측 챔버에 형성된 제 2 공급구에 의해서 내부가 상기 내측 챔버 내와 연통된 외측 챔버를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한다.
제 2 태양에 의하면, 차량 측돌시, 디퓨저의 내부에 수용된 인플레이터가 기동되고,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가 디퓨저 내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디퓨저가 팽창 전개된다. 여기서, 디퓨저의 주벽에는, 제 1 공급구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내측 챔버에는 제 2 공급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가 작동하면 이 제 1 공급구로부터 내측 챔버 내에 가스가 공급된 후, 제 2 공급으로부터 외측 챔버 내에 가스가 공급된다. 즉, 디퓨저에 형성된 제 1 공급구에 의해서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가 내측 챔버 내로 흐르도록 규제되기 때문에, 내측 챔버 내에 가스가 조기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차량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내측 챔버를 조기에 팽창 전개 완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 폭 방향 내측에 착좌하는 탑승자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인플레이터의 가스가 한번 디퓨저 내에 분출된 후에 제 1 공급구를 거쳐 내측 챔버 내에 공급되기 때문에, 내측 챔버가 고온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특징, 이점, 및 기술적 그리고 산업적 중요성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될 것이고, 첨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외측 챔버 및 내측 챔버가 팽창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외측 챔버 및 내측 챔버가 팽창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3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외측 챔버가 팽창 전개함과 함께 내측 챔버가 팽창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한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4는 제 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외측 챔버 및 내측 챔버가 팽창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한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5는 제 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외측 챔버 및 내측 챔버가 팽창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한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Z부를 나타내는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7은 제 5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외측 챔버 및 내측 챔버가 팽창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한 확대 평단면도이다.
도 8은 제 5 실시 형태의 변형례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외측 챔버 및 내측 챔버가 팽창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한 확대 평단면도이다.
(제 1 실시 형태)
이하에, 도 1, 도 2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이하, 차량용 시트(10)라고 약칭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하게 기재하는 화살표 FR, 화살표 UP, 화살표 OUT은, 차량의 앞쪽 방향(진행 방향), 위쪽 방향, 차량 폭 방향의 외측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 간단히 전후, 좌우, 상하의 방향을 이용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차량 전후 방향의 전후, 차량 좌우 방향(차량 폭 방향)의 좌우, 차량 상하 방향의 상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구성)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10)는, 시트 본체(12)와 사이드 에어백 장치(14)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시트 본체(12)의 구성 >
시트 본체(12)는, 탑승자(P)가 착좌하는 시트 쿠션(15)과, 시트 쿠션(15)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탑승자(P)의 등부를 지지하는 시트백(16)과, 시트백(16)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탑승자(P)의 두부(頭部)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18)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본체(12) 및 시트백(16)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차량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폭 방향) 및 상하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또, 도 1, 도 2, 도 5, 도 7 및 도 8에서는, 실제의 탑승자 대신에 충돌 시험용의 더미(P)가 시트 본체(12)에 착좌해 있다. 이 더미(P)는, 예를 들면, 국제 통일 측면 충돌 더미(World Side Impact Dummy: World SID)의 AM50(미국인 성인 남성의 50 퍼센타일)이다. 이하에,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더미(P)를 「탑승자(P)」라고 칭한다.
시트백(16)은, 도 1, 도 2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골격 부재인 금속제의 시트백 프레임(20)과, 시트백 프레임(20)에 장착된 도시하지 않은 시트백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시트백 프레임(20) 및 시트백 스프링은, 시트백(16)의 프레임부(24)를 구성하고 있다. 또, 이 시트백(16)은, 프레임부(24)에 씌워진 시트백 패드(26)(도 2 참조: 도 2 이외에서는 도시 생략)와, 시트백 패드(26)를 덮은 표피로서의 시트 표피(28)(도 2 참조: 도 2 이외에서는 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백 프레임(20)은, 시트백(16)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로서의 사이드부(16A) 내에 마련된 외부 사이드 프레임(30)과, 시트백(16)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의 사이드부 내에 마련된 내부 사이드 프레임(31)(도 2 참조)과, 외부 사이드 프레임(30)과 내부 사이드 프레임(31)과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은 상부 프레임과, 외부 사이드 프레임(30)과 내부 사이드 프레임(31)과의 하단부끼리를 시트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도시하지 않은 하부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은, 본 발명에 관련된 「사이드 프레임」의 일례로 간주해도 된다.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측벽부(30A)와 앞쪽 플랜지부(30B)와 뒤쪽 플랜지부(30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측벽부(30A)는, 시트백(16)의 높이 방향에서 보아 시트백(16)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앞쪽 플랜지부(30B)는, 측벽부(30A)의 전단으로부터 시트 폭 방향 내측 또한 시트 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뒤쪽 플랜지부(30C)는, 측벽부(30A)의 후단으로부터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선단측이 시트 전방측으로 비스듬하게 굴곡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내부 사이드 프레임(31)은, 외부 사이드 프레임(30)과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 이외에는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시트백 패드(26)는, 우레탄 폼 등의 발포체로 이루어지고, 패드 중앙부(26A)와, 좌우 한 쌍의 패드 사이드부(26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패드 중앙부(26A)는, 시트백(16)의 폭 방향 중앙측에 배치되어 있고, 시트백 스프링에 의해서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좌우의 패드 사이드부(26B)는, 횡단면 형상이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 사이드 프레임(30) 및 내부 사이드 프레임(31)을 내측에 수용하고 있다. 이들 패드 사이드부(26B)는, 패드 중앙부(26A)보다 시트 전방측으로 팽출(膨出)되어 있고, 탑승자(P)에 대한 사이드 서포트성을 확보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시트 표피(28)는, 패드 중앙부(26A)를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덮은 프론트 표피(36)와, 패드 사이드부(26B)를 시트 전방측으로부터 덮은 프론트 사이드 표피(38)와, 패드 사이드부(26B)를 시트 폭 방향 외측 및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덮은 사이드 표피(40)와, 패드 중앙부(26A)를 시트 후방측으로부터 덮은 리어 표피(42)를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사이드 표피(38)는, 봉제부(44)에 있어서 프론트 표피(36)와 봉제됨과 함께, 봉제부(46)에 있어서 사이드 표피(40)와 봉제되어 있다. 또, 사이드 표피(40)는, 봉제부(48)에 있어서 리어 표피(42)와 봉제되어 있다. 프론트 사이드 표피(38)와 사이드 표피(40)와의 봉제부(46)는, 사이드부(16A)의 전연(前緣)부(16A1)(소위 사이드 리지(side ridge)부)에 위치해 있다. 이 봉제부(46)는, 후술하는 외측 챔버(62)가 팽창 전개될 때에, 패드 사이드부(26B)와 함께 개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 사이드 에어백 장치(14)의 구성 >
도 1,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는, 사이드 에어백(50)과 인플레이터(22)와 디퓨저(53)를 구비하고 있다. 사이드 에어백(50)은, 인플레이터(22)로부터 가스 공급을 받아 팽창 전개된다(도 1 및 도 2 도시 상태). 이들 사이드 에어백(50)과 디퓨저(53)와 인플레이터(22)는, 통상시에는, 에어백 모듈(54)이 되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사이드부(16A) 내에 접혀 수납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50)에 관하여 기재하는 전후 상하의 방향은, 사이드 에어백(50)이 팽창 전개된 상태에서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며, 시트백(16)의 전후 상하의 방향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인플레이터(22)는, 소위 실린더 타입의 인플레이터이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22)는, 축선 방향이 시트백(16)의 높이 방향을 따른 자세로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의 측벽부(30A)의 시트 폭 방향 외측(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플레이터(22)의 외주부로부터는, 시트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상하 한 쌍의 스터드 볼트(52A)가 돌출되어 있다. 이들 스터드 볼트(52A)는, 측벽부(30A)를 관통하고 있고, 선단측에 너트(56)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인플레이터(22)가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에 장착되어 있다(체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22)의 외주부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한 스터드 볼트가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에 고정된 브래킷 등을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관통하여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구성(소위 배면 조임)으로 해도 된다.
이 인플레이터(22)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여기서는 상단부)에는, 인플레이터(22)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가스 분출구(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고, 인플레이터(22)가 기동(작동)하였을 때에는, 복수의 가스 분출구로부터 가스가 방사상으로 분출된다. 이 인플레이터(22)에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된 측돌 ECU(58)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측돌 ECU(58)에는, 측면 충돌을 검지하는 측돌 센서(6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측돌 ECU(58)는, 측돌 센서(6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측면 충돌(의 불가피)을 검지하였을 때에 인플레이터(22)를 기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측돌 ECU(58)에 측면 충돌을 예지(예측)하는 충돌 예지 센서(프리-크래쉬 센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충돌 예지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측돌 ECU(58)가 측면 충돌을 예지하였을 때에 인플레이터(22)가 기동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디퓨저(53)는, 주머니 형상의 포재(布材)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 인플레이터(22)의 상단부가 수용되어 있다. 또, 디퓨저(53)는, 주벽(53A)에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에 스터드 볼트(52A)가 관통하고 있다. 디퓨저(53)는, 스터드 볼트(52A)에 의해서 인플레이터(22)와 함께 조여짐으로써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에 있어서의 측벽부(30A)의 외측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디퓨저(53)는, 인플레이터(22)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받아 팽창 전개된 상태의 앞부분(53F)이 전후 방향에서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의 앞쪽 플랜지부(30B)보다 시트 전방측에 위치한다.
디퓨저(53)의 주벽(53A)에는, 제 1 공급구(55)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공급구(55)는, 대략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긴 구멍으로 되어 있고, 제 1 공급구(55)에 의해서 디퓨저(53) 내는 후술하는 내측 챔버(64) 내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제 1 공급구(55)는, 탑승자(P)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위(즉, 차량 폭 방향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부터 차량 전방으로 경사진 방향)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고, 디퓨저(53)의 팽창 전개시에서는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의 앞쪽 플랜지부(30B)보다 시트 전방측에 위치한다.
사이드 에어백(50)은, 외측 챔버(62)와 내측 챔버(64)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내측 챔버(64)는, 디퓨저(53) 내의 인플레이터(22)로부터의 가스가 디퓨저(53)의 주벽(53A)에 형성된 제 1 공급구(55)를 경유하여 공급되고, 사이드부(16A) 내에서 팽창한다. 또, 외측 챔버(62)는, 내측 챔버(64)와의 접속부에 형성된 제 2 공급구(67)로부터 가스 공급을 받아 사이드부(16A)의 시트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고, 팽창 전개된 외측 챔버(62)는, 탑승자(P)와 차체 측부(여기서는 도 2에 나타난 사이드 도어의 도어 트림(63) 및 B 필러 가니시(65) 중 적어도 일방)와의 사이의 공간에 개재한다.
외측 챔버(62)는, 주머니 형상의 포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팽창 전개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시트백(16)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탑승자(P)의 견부(S), 흉부(C), 복부(B) 및 요부(L)를 구속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챔버(62)는, 내부에 마련된 칸막이부로서의 테더(70)(칸막이포)에 의해서 전측 챔버(72)와 후측 챔버(74)로 칸막이되어 있다. 이 테더(70)는, 외측 챔버(62)와 동일한 포재에 의해서 긴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방의 긴 변 가장자리부가 봉제부(T1)(도 2 참조)에 있어서 외측 챔버(62)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을 구성하는 기포(基布)(66)에 봉제되고, 타방의 긴 변 가장자리부가 봉제부(T2)(도 2 참조)에 있어서 외측 챔버(62)의 차량 폭 방향 내측을 구성하는 기포(68)에 봉제되어 있다.
테더(70)는, 외측 챔버(62)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차량 측면에서 보아 역 L자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더(70)의 하단부는, 외측 챔버(62)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후방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있고, 테더(70)의 상하 방향 중간부는, 시트백(16)의 사이드부(16A)의 전연부(소위 사이드 리지부)를 대략 따르도록 시트백(16)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 테더(70)의 상단부는, 외측 챔버(62)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후방측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있다. 이 테더(70)의 형상에 의해, 후측 챔버(74)의 상부(74U)에는,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된 견부 구속부(75)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테더(70)에는, 연통 구멍으로서의 이너 벤트 홀(7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이너 벤트 홀(76)은, 상측 이너 벤트 홀(76A)과 하측 이너 벤트 홀(76B)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측 이너 벤트 홀(76A)은, 테더(70)의 경사진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측 이너 벤트 홀(76B)은, 테더(7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상측 이너 벤트 홀(76A) 및 하측 이너 벤트 홀(76B)을 통하여 전측 챔버(72) 내와 후측 챔버(74) 내가 상호 연통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후측 챔버(74)는, 내측 챔버(64) 내의 가스가 후술하는 제 2 공급구(67)를 통과하여 내부에 공급됨으로써, 사이드부(16A)에 있어서의 시트 표피(28)의 봉제부(46)를 개열하여 내측 챔버(64)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 외측 또한 시트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전측 챔버(72)는, 후측 챔버(74) 내의 가스가 상측 이너 벤트 홀(76A)과 하측 이너 벤트 홀(76B)을 통과하여 내부에 공급됨으로써, 시트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이 외측 챔버(62)가 팽창 전개된 상태에서는, 외측 챔버(62)의 전측 챔버(72)가 탑승자(P)의 견부(S)로부터 요부(L)까지의 앞부분측을 구속하고, 후측 챔버(74)가 탑승자(P)의 견부(S)로부터 요부(L)까지의 뒷부분측을 구속한다.
내측 챔버(64)는, 외측 챔버(62)와 동일한 포재에 의해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내측 챔버(64)는, 외측 챔버(62)에 비하여 상하 방향 치수 및 전후 방향 치수가 충분히 작게 설정되어 있어, 외측 챔버(62)보다 충분히 소용량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내측 챔버(64)는, 디퓨저(53)의 앞부분(53F)으로부터 앞쪽 플랜지부(30B)의 시트 전방을 통과하여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의 시트 폭 방향 내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내측 챔버(64)의 뒷부분(64R)에 있어서의 측벽부(30A)의 시트 폭 방향 내측에 대응한 부위에는,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에 스터드 볼트(52A)가 관통하고 있고, 인플레이터(22)의 체결시에 함께 조여짐으로써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에 있어서의 측벽부(30A)의 내측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내측 챔버(64)에 있어서의 외측 챔버(62)의 후측 챔버(74)와 접속된 부위에는, 제 2 공급구(6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공급구(67)에 의해서 내측 챔버(64) 내는 후측 챔버(74) 내와 연통되어 있다. 제 2 공급구(67)는, 내측 챔버(64)와 후측 챔버(74)가 접속된 부위의 상측에 마련된 상방 공급구(67A)와, 상방 공급구(67A)에 대하여 차량 하방측에 마련된 하방 공급구(67B)를 갖고 있다(도 1 참조). 하방 공급구(67B)는, 상방 공급구(67A)에 대하여 개구 면적이 좁게 설정되어 있다.
내측 챔버(64)는, 도 1에 나타난 시트 측면시에 있어서, 탑승자(P)의 견부(S)로부터 흉부(C)의 뒷부분까지의 뒷부분측에 대하여 시트 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내측 챔버(64)는, 시트 측면시에 있어서, 사이드부(16A)의 차폭 방향 내측면 근방에 전개된다. 상기 구성의 내측 챔버(64)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퓨저(53) 내에 있어서의 인플레이터(22)로부터의 가스가, 제 1 공급구(55)를 통과하여 내부에 공급되고, 사이드부(16A)의 시트 표피(28)의 봉제부(46)를 개열하여 팽창된다. 팽창된 내측 챔버(64)는,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의 앞쪽 플랜지부(30B)로부터 반력을 받아 시트 폭 방향 내측(탑승자(P)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위)을 향하여 팽창 전개된다. 이에 의해, 탑승자(P)의 견부(S)로부터 흉부(C)의 뒷부분측이, 내측 챔버(64)에 구속되는 구성이 되어 있다. 그리고, 팽창 전개시의 디퓨저(53)는, 외측 챔버(62)의 뒷부분(62R)과 내측 챔버(64)의 뒷부분(64R)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챔버(64)는, 적어도 흉부(C)의 뒷부분측(늑골의 뒷부분측)을 구속 가능한 것이면 된다.
다음으로, 인플레이터(22)가 기동하였을 때의 사이드 에어백(50) 내에서의 가스가 흐르는 방식에 대하여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에서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디퓨저(53), 내측 챔버(64) 및 외측 챔버(62)가 팽창 전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4)에서는, 인플레이터(22)의 상단부가 디퓨저(53)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플레이터(22)가 기동하면, 먼저 디퓨저(53) 내에 가스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디퓨저(53)가 팽창된다.
이어서, 디퓨저(53) 내에 공급된 가스의 일부가, 제 1 공급구(55)를 통과하여 내측 챔버(64) 내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내측 챔버(64)가 팽창된다.
이어서, 내측 챔버(64) 내에 공급된 가스의 일부가, 제 2 공급구(67)를 통과하여 외측 챔버(62)의 후측 챔버(74) 내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후측 챔버(74)가 팽창된다.
이어서, 후측 챔버(74) 내에 공급된 가스의 일부가, 상측 이너 벤트 홀(76A) 및 하측 이너 벤트 홀(76B)을 통과하여 전측 챔버(72) 내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전측 챔버(72)가 팽창된다. 이상의 가스의 흐름에 의해서, 내측 챔버(64)의 내압이 가장 높고, 이어서 후측 챔버(74), 전측 챔버(72)의 순서로 내압이 낮아진다.
(제 1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차량이 측돌하면, 디퓨저(53)의 내부에 수용된 인플레이터(22)가 기동되고, 인플레이터(22)로부터의 가스가 내측 챔버(64) 내 및 외측 챔버(62) 내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내측 챔버(64) 및 외측 챔버(62)가 팽창 전개된다. 여기서, 디퓨저(53)의 주벽(53A)에는, 제 1 공급구(55)가 형성되어 있고, 인플레이터(22)가 작동하면 이 제 1 공급구(55)로부터 내측 챔버(64) 내에 가스가 공급된다. 즉, 인플레이터(22)로부터의 가스가, 디퓨저(53)에 형성된 제 1 공급구(55)에 의해서 내측 챔버(64) 내로 흐르도록 규제되기 때문에, 내측 챔버(64) 내에 가스가 조기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내측 챔버(64)를 조기에 팽창 전개 완료시킬 수 있다.
또, 인플레이터(22)의 가스가 한번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디퓨저(53) 내에 분출된 후에, 제 1 공급구(55)를 통과하여 내측 챔버(64) 내에 공급되기 때문에, 내측 챔버(64)가 고온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는, 탑승자(P)의 초기 구속 성능의 향상과, 탑승자(P)에 대한 가해성의 저감을 양립할 수 있다.
또, 내측 챔버(64)와 외측 챔버(62)는, 팽창 전개시에 시트백(16)에 있어서의 시트 표피(28)의 봉제부(46)를 개열시켜 차량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이에 의해서, 탑승자(P)와 차실 측부로서의 도어 트림(63) 및 B 필러 가니시(65) 중 적어도 일방과의 사이의 공간을 내측 챔버(64)와 외측 챔버(62)가 메운다. 따라서, 조기에 팽창 전개 완료하는 내측 챔버(64)에 의해 탑승자(P)의 초기 구속의 조기화를 도모함과 함께, 외측 챔버(62)에 의해서 도어 트림(63) 및 B 필러 가니시(65) 중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반력을 얻어 탑승자(P)를 차실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탑승자(P)와 도어 트림(63) 사이의 공간을 내측 챔버(64)와 외측 챔버(62)가 메우는 구성으로는 이루어져 있지 않지만, 차량용 시트(10)를 전후로 슬라이드시키거나, 리클라이닝시킴으로써, 내측 챔버(64)와 외측 챔버(62)가 탑승자(P)와 도어 트림(63)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디퓨저(53)의 제 1 공급구(55)는 탑승자(P)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위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챔버(64) 내로 공급되는 가스는 탑승자(P)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위를 향하여 흐른다. 따라서, 내측 챔버(64) 내의 가스의 정압에 추가하여 제 1 공급구(55)로부터 탑승자(P)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위로 흐르는 가스의 동압을 이용하여 탑승자(P)를 구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플레이터(22)로부터의 가스량이 적은 팽창 전개의 초기 상태에서도, 탑승자(P)를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디퓨저(53)가 인플레이터(22)로부터 가스의 공급을 받으면, 제 1 공급구(55)는 외부 사이드 프레임(30)보다 차량 전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제 1 공급구(55)로부터 내측 챔버(64) 내에 공급된 가스는, 내측 챔버(64)의 제 2 공급구(67)를 통과하여 외측 챔버(62) 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인플레이터(22)로부터의 가스는,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을 회피하여 내측 챔버(64) 내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내측 챔버(64)를 조기에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또, 내측 챔버(64)는, 외측 챔버(62)보다 조기에 팽창 전개된다. 이들에 의해서, 탑승자(P)의 초기 구속을 앞당길 수 있다.
또, 외측 챔버(62)는 이너 벤트 홀(76)을 갖는 테더(70)에 의해서 전측 챔버(72)와 후측 챔버(74)로 구획되어 있고, 제 2 공급구(67)는 내측 챔버(64)로부터 후측 챔버(74)로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인플레이터(22)로부터의 가스는, 디퓨저(53)의 제 1 공급구(55)로부터 내측 챔버(64) 내, 제 2 공급구(67), 후측 챔버(74), 이너 벤트 홀(76), 그리고 전측 챔버(72)의 순서로 흐른다. 따라서, 인플레이터(22)로부터의 가스는,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을 회피하여 내측 챔버(64) 내로 공급된 후에 후측 챔버(74) 내 및 전측 챔버(72) 내로 공급된다. 이 때문에, 내측 챔버(64)를 조기에 팽창 전개시켜 탑승자(P)의 초기 구속을 앞당길 수 있다. 또, 후측 챔버(74)가 전측 챔버(72)보다 조기에 팽창 전개되고, 이어서 후측 챔버(74)가 내측 챔버(64)와, 도어 트림(63) 및 B 필러 가니시(65) 중 적어도 일방과 접촉한다. 이에 의해, 후측 챔버(74)가 도어 트림(63) 및 B 필러 가니시(65) 중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조기에 반력을 취함과 함께, 후측 챔버(74)로부터 내측 챔버(64)로 반력이 전달되므로, 탑승자(P)의 초기 구속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팽창 전개 상태의 내측 챔버(64)와 후측 챔버(74)에 의해서 탑승자(P)와 도어 트림(63) 및 B 필러 가니시(65) 중 적어도 일방으로부터와의 사이의 공간이 메워져 있다. 여기서, 내측 챔버(64)와 후측 챔버(74)는, 전측 챔버(72)와 비교하여 조기에 팽창 전개되기 때문에, 도어 트림(63) 및 B 필러 가니시(65) 중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조기에 반력을 취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P)의 초기 구속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팽창 전개시의 디퓨저(53)는, 외측 챔버(62)의 뒷부분(62R)과 내측 챔버(64)의 뒷부분(64R)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의 흐름은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을 회피한다. 따라서,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에 의해서 가스의 흐름이 저해받는 일 없이 내측 챔버(64) 및 외측 챔버(62)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탑승자(P)를 향하여 내측 챔버(64)를 조기에 팽창 전개시킬 수 있음과 함께, 가스의 공급을 고려하여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에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차량 측돌시, 외측 챔버(62)에 의해서 탑승자(P)의 견부(S)로부터 요부(L)의 넓은 범위를 구속할 수 있다. 또, 조기에 팽창 전개되는 내측 챔버(64)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내성값이 높은 견부(S)로부터 흉부(C)의 뒷부분을 조기에 또한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디퓨저(53)에 마련된 제 1 공급구(55)는, 대략 시트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긴 구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공급구의 개구 면적을 비교적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디퓨저(53) 내의 인플레이터(22)로부터의 가스를 내측 챔버(64) 내로 보다 많이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측 챔버(64)의 팽창 전개를 보다 조기에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측 챔버(74)의 상부(74U)에는, 외측 챔버(62)의 하부에 있어서의 테더(70)에 대하여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된 견부 구속부(75)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후측 챔버(74)와 마찬가지로 전측 챔버(72)보다 조기에 팽창 전개되고 또한 차량 전후 방향에서 넓은 범위에 마련된 견부 구속부(75)에 의해서 탑승자(P)의 견부(S)를 보다 확실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 제 2 공급구(67)는, 내측 챔버(64)와 후측 챔버(74)가 접속된 부위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에 마련된 상방 공급구(67A)와, 상방 공급구(67A)에 대하여 차량 하방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방 공급구(67A)보다 개구 면적이 좁게 설정된 하방 공급구(67B)를 갖고 있다. 따라서, 하방 공급구(67B)보다 상방 공급구(67A)로부터의 후측 챔버(74) 내로의 가스의 공급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견부 구속부(75)를 포함한 후측 챔버(74)의 차량 상방측이 보다 조기에 팽창 전개되기 때문에, 차실 측부와 비교적 가까운 탑승자(P)의 견부(S)를 보다 적절하게 구속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80)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82)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80)는,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가 되고, 외측 챔버(84)는 단일의 챔버로 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외측 챔버(84)는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팽창 전개 상태를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시트백(16)의 높이 방향 을 따라서 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탑승자(P)의 견부(S), 흉부(C), 복부(B) 및 요부(L)를 구속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 단일의 챔버로 되어 있다.
(제 2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에 의해서도, 외측 챔버(84)는 단일의 챔버로 되어 있는 점 이외에는 제 1 실시 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외측 챔버(84)는, 단일의 챔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86)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제 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88)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86)는,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가 되고, 제 1 실시 형태의 내측 챔버(64)와 후측 챔버(74)에 대응하는 챔버가 단일의 챔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사이드 에어백(90)은, 내측 챔버(92)와 전측 챔버(94)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내측 챔버(92)는, 디퓨저(53) 내의 인플레이터(22)로부터의 가스가 디퓨저(53)의 주벽(53A)에 형성된 제 1 공급구(55)를 경유하여 공급되고, 사이드부(16A)에 있어서의 시트 표피(28)의 봉제부(46)를 개열하여 시트 외방측으로 팽창 전개되고, 탑승자(P)(도 2 참조)와 도어 트림(63) 및 B 필러 가니시(65) 중 적어도 일방과의 사이의 공간에 개재한다. 즉, 내측 챔버(92)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챔버(64)와 후측 챔버(74)에 대응하는 챔버로 되어 있다.
전측 챔버(94)는, 내측 챔버(92)와의 경계부에 형성된 이너 벤트 홀(96)로부터 가스 공급을 받아 사이드부(16A)의 시트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고, 탑승자(P)와 사이드 도어의 도어 트림(63) 및 B 필러 가니시(65)와의 사이의 공간에 개재한다.
(제 3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에 의해서도, 제 1 실시 형태의 내측 챔버(64)와 후측 챔버(74)에 대응하는 챔버가 내측 챔버(92)에 의해 단일로 구성되어 있는 점 이외에는 제 1 실시 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제 1 실시 형태의 내측 챔버(64)와 후측 챔버(74)에 대응하는 챔버가 내측 챔버(92)에 의해 단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제 4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5,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98)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제 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100)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98)는,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가 되고, 내측 챔버(64)에 스트랩(102)가 장착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측 챔버(64)의 뒷부분(64R)에는,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스트랩(102)의 일단부(104)가 장착되어 있다. 이 스트랩(102)의 타단부(106)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에 스터드 볼트(52A)가 관통하고 있고, 인플레이터(22)의 체결시 함께 조여짐으로써 스트랩(102)의 타단부(106)는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에 있어서의 측벽부(30A)의 내측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트랩(102)을 개재하여 내측 챔버(64)는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에 있어서의 측벽부(30A)의 내측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제 4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에 의해서도, 내측 챔버(64)에 스트랩(102)이 장착되어 있는 점 이외에는 제 1 실시 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내측 챔버(64)에는, 스트랩(102)의 일단부(104)가 장착되어 있고, 이 스트랩(102)의 타단부(106)는,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챔버(64)가 팽창 전개될 때의 내측 챔버(64)의 위치의 변위를 스트랩(102)에 의해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챔버(64)를 탑승자(P)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위를 향하여 대략 확실하게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도 5 참조).
(제 5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8)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 제 5 실시 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110)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8)는, 기본적인 구성은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가 되고, 외측 챔버(62)에 있어서의 후측 챔버(74) 내에 디퓨저(53)가 들어가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외측 챔버(62)에 있어서의 후측 챔버(74) 내에는, 디퓨저(53)가 들어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측 챔버(62)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을 구성하는 기포(66)의 후단(66A)은, 디퓨저(53)의 뒷부분(53R)에 봉제되어 있고, 이에 의해서, 디퓨저(53)는, 후측 챔버(74) 내의 뒷부분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 5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구성에 의해서도, 외측 챔버(62)에 있어서의 후측 챔버(74) 내에 디퓨저(53)가 들어가 있는 점 이외에는 제 1 실시 형태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디퓨저(53)가 후측 챔버(74)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디퓨저(53)의 용적분만큼 후측 챔버(74) 내의 용적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후측 챔버(74)의 팽창 전개를 조기에 완료시킬 수 있다.
(변형례)
제 5 실시 형태에서는, 디퓨저(53) 내의 인플레이터(22)로부터의 가스는, 제 1 공급구(55)를 통과하여 내측 챔버(64) 내에 공급되고, 이어서 내측 챔버(64) 내의 가스가 제 2 공급구(67)를 통과하여 후측 챔버(74) 내에 공급된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일례로서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퓨저(53)의 주벽(53A)에 디퓨저(53) 내와 후측 챔버(74) 내를 연통하는 제 3 공급구(112)가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후측 챔버의 팽창 전개를 조기에 완료시킬 수 있다. 또, 이 제 3 공급구(112)는, 제 1 공급구(55)보다 개구 면적이 작게 설정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디퓨저(53) 내의 인플레이터(22)로부터의 가스는 내측 챔버(64) 내로 많이 공급된다. 따라서, 내측 챔버(64)의 팽창 전개가 조기에 행해짐으로써, 탑승자(P)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 1 공급구(55)의 개구 면적과 제 3 공급구(112)의 개구 면적의 크기를 각각 조정함으로써, 가스의 흐름량을 조정하여 초기 구속 성능을 튜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챔버(62)에 있어서의 후측 챔버(74) 내에 디퓨저(53)가 들어가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내측 챔버(64) 내에 디퓨저(53)를 마련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술한 제 1∼제 5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 챔버(62, 84) 및 내측 챔버(64, 92)가 시트백(16)에 있어서의 시트 표피(28)의 봉제부(46)를 개열시켜 차량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시트 표피(28)의 봉제부(46) 이외를 개열시켜 팽창 전개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내측 챔버(64, 92)가 시트백(16)의 사이드부(16A) 내에서 팽창 전개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디퓨저(53)의 제 1 공급구(55)는, 탑승자(P)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위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기타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어도 된다.
또, 디퓨저(53)의 제 1 공급구(55)는, 디퓨저(53)의 팽창 전개시에 외부 사이드 프레임(30)보다 차량 전방측에 배치되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외부 사이드 프레임(30)의 앞쪽 플랜지부(30B)와 시트 전후 방향에서 대략 동일한 위치 등, 기타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디퓨저(53)의 제 1 공급구(55)는, 대략 시트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긴 구멍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대략 원 형상으로 해도 되고, 복수 마련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외측 챔버(84) 및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챔버(92)는, 디퓨저(53)와 인접하여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외측 챔버(84) 및 내측 챔버(92)의 내부에 디퓨저(53)가 마련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디퓨저(53)의 제 1 공급구(55)는, 탑승자(P)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위를 향하여 개구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가스가 탑승자(P)를 향하여 흐르는 구성이면, 정류부를 마련하는 등 기타의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형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의 형태예 이외에도, 그 주된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9)

  1.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에 있어서,
    시트백(16)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16A) 내에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30)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인플레이터(22);
    상기 측부(16A) 내에 수납되고, 상기 인플레이터(22)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받아 탑승자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위를 향하여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된 내측 챔버(64);
    상기 측부(16A) 내에 수납되고, 상기 가스의 공급을 받아 상기 내측 챔버(64)에 대하여 차량 폭 방향 외측 또한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된 외측 챔버(62);
    상기 측부(16A) 내에 수납되고, 내부 상기 인플레이터(22)를 수용한 디퓨저(53) ― 디퓨저(53)는, 상기 인플레이터(22)가 작동하면 디퓨저(53)의 주벽에 형성된 제 1 공급구(55)로부터 상기 내측 챔버(64) 내에 상기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됨 ― 를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챔버(64)와 상기 외측 챔버(62)는, 팽창 전개시에 상기 탑승자(P)와 차실 측부 사이의 공간을 메우도록 상기 시트백(16)의 표피를 개열시켜 차량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구(55)는, 상기 탑승자(P)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부위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53)는 접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디퓨저(53)가 상기 인플레이터(22)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받으면, 상기 제 1 공급구(55)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30)보다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챔버(64)는, 상기 내측 챔버(64) 내에 공급된 가스는, 상기 내측 챔버(64)의 제 2 공급구(67)를 통과하여 상기 외측 챔버(62) 내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챔버(62)는, 연통 구멍(76)을 갖는 칸막이부(70)에 의해서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는 전측 챔버(72)와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는 후측 챔버(74)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제 2 공급구(67)는, 상기 내측 챔버(64)로부터 상기 후측 챔버(74)로 연통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53)는, 상기 후측 챔버(74)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53)의 주벽에는, 상기 디퓨저(53) 내와 상기 후측 챔버(74) 내를 연통하는 제 3 공급구(112)가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공급구(112)의 개구 면적은, 상기 제 1 공급구(55)의 개구 면적보다 작은,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챔버(64) 및 상기 후측 챔버(74)는, 팽창 전개 상태의 상기 내측 챔버(64)와 상기 후측 챔버(74)에 의해서 상기 탑승자(P)와 차실 측부 사이의 공간을 메우도록 구성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챔버(62)는, 단일의 챔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챔버(64)에는, 스트랩(102)의 일단부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트랩(102)의 타단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30)에 장착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53)는, 상기 외측 챔버(62)와 상기 내측 챔버(64)의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외측 챔버(62)의 뒷부분과 상기 내측 챔버(64)의 뒷부분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챔버(62)는, 팽창 전개시에 차량 측면시에 있어서 표준 체격의 탑승자의 견부로부터 요부를 구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측 챔버(64)는, 팽창 전개시에 차량 측면시에 있어서 상기 표준 체격의 탑승자의 견부로부터 흉부의 뒷부분을 구속하도록 구성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구(55)는, 대략 시트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긴 구멍으로 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챔버(62)는, 팽창 전개시에 차량 측면시에 있어서 표준 체격의 탑승자의 견부로부터 요부를 구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측 챔버(64)는, 팽창 전개시에 차량 측면시에 있어서 상기 표준 체격의 탑승자의 견부로부터 흉부의 뒷부분을 구속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후측 챔버(74)의 상부에는, 상기 외측 챔버(62)의 하부에 있어서의 상기 칸막이부(70)에 대하여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 돌출된 견부 구속부(75)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2 공급구(67)는, 상기 내측 챔버(64)와 상기 후측 챔버(74)가 접속된 부위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에 마련된 상방 공급구(67A)와, 상기 상방 공급구(67A)에 대하여 차량 하방측에 마련되고 또한 상기 상방 공급구(67A)보다 개구 면적이 좁게 설정된 하방 공급구(67B)를 갖고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16.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챔버(64)와 상기 후측 챔버(74)는, 단일의 챔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17.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챔버(64)에는, 스트랩(102)의 일단부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트랩(102)의 타단부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30)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내측 챔버(64)와 상기 후측 챔버(74)는, 단일의 챔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18.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급구(55)는, 대략 시트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긴 구멍으로 되어 있고,
    상기 내측 챔버(64)와 상기 후측 챔버(74)는, 단일의 챔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10).
  19. 사이드 에어백 장치(14)에 있어서,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인플레이터(22);
    상기 인플레이터(22)를 내부에 수용하는 디퓨저(53);
    상기 디퓨저(53)의 주벽에 형성된 제 1 공급구(55)에 의해서 내부가 상기 디퓨저(53) 내와 연통된 내측 챔버(64);
    상기 내측 챔버(64)에 형성된 제 2 공급구(67)에 의해서 내부가 상기 내측 챔버 내와 연통된 외측 챔버(62)를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14).
KR1020180109569A 2017-09-20 2018-09-13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109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80670A JP6856482B2 (ja) 2017-09-20 2017-09-20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JP-P-2017-180670 2017-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3011A true KR20190033011A (ko) 2019-03-28
KR102109685B1 KR102109685B1 (ko) 2020-05-12

Family

ID=6329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569A KR102109685B1 (ko) 2017-09-20 2018-09-13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77815B2 (ko)
EP (1) EP3459793B1 (ko)
JP (1) JP6856482B2 (ko)
KR (1) KR102109685B1 (ko)
CN (1) CN109532750B (ko)
BR (1) BR102018067908B1 (ko)
RU (1) RU2699713C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6644A (zh) * 2019-05-21 2020-11-24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64517B2 (en) * 2015-07-11 2019-11-05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EP3466770B1 (en) * 2016-06-01 2021-03-17 Autoliv Development AB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6633555B2 (ja) * 2017-01-10 2020-0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後席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658585B2 (ja) * 2017-02-03 2020-03-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KR102257441B1 (ko) * 2017-03-30 2021-05-3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승객 보호 장치
KR102387636B1 (ko) * 2017-08-01 2022-04-1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승차인 보호 장치
JP6848762B2 (ja) * 2017-08-09 2021-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3738840B1 (en) * 2018-01-11 2022-07-13 Autoliv Development AB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EP3584122B1 (en) * 2018-01-26 2021-11-17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KR102535016B1 (ko) * 2018-06-19 2023-05-23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
EP3643566B1 (en) * 2018-10-24 2021-06-09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US11833990B2 (en) 2018-12-21 2023-12-05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vehicle seat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vice
EP3922517A4 (en) * 2019-02-09 2022-12-14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US11007971B2 (en) * 2019-02-15 2021-05-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including spacer chamber
JP7180456B2 (ja) * 2019-03-06 2022-1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シート構造
CN113597270A (zh) 2019-03-22 2021-11-02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香烟商品管理系统以及香烟商品管理方法
JP7419766B2 (ja) 2019-11-22 2024-01-23 Joyson Safety Systems Japan合同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1161473B2 (en) * 2020-01-22 2021-1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ide airbag assembly
JP2023070409A (ja) * 2021-11-09 2023-05-19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316A1 (ja) * 2010-04-23 2011-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30063630A (ko) * 2011-12-07 2013-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듀얼 챔버 사이드에어백 장치
JP2014080169A (ja) * 2012-10-18 2014-05-08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05143U1 (de) * 1994-03-25 1994-05-19 Hs Tech & Design Airbagvorrichtung
JPH1067289A (ja) * 1996-08-29 1998-03-10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EP1273486A3 (en) 2001-07-03 2005-04-06 Delphi Automotive Systems Sungwoo Co., Ltd. Side airbag for automobile and method of folding the same
GB2397048A (en) * 2003-01-10 2004-07-14 Autoliv Dev Vehicle seat comprising airbag
US7549672B2 (en) * 2004-05-27 2009-06-23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device
KR100716855B1 (ko) * 2005-12-15 2007-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의 쿠션.
JP4952422B2 (ja) * 2007-07-19 2012-06-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7669888B2 (en) * 2007-07-19 2010-03-02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apparatus
JP5485990B2 (ja) 2008-07-15 2014-05-07 タカタ・ペトリ アーゲー 自動車用の車両シート装置及び車両乗員保護方法
US8567817B2 (en) * 2009-05-11 2013-10-2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KR101080728B1 (ko) 2009-07-31 2011-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장치
JP5304535B2 (ja) 2009-07-31 2013-10-02 ケイディケイ株式会社 往復葉書の製造方法
EP2319734B1 (en) * 2009-11-04 2014-10-22 Autoliv Development AB A Safety Arrangement
KR101620110B1 (ko) 2010-08-06 2016-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리크래쉬 사이드에어백 장치
JP5252000B2 (ja) * 2011-02-04 2013-07-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1283698B1 (ko) * 2011-03-29 2013-07-0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US9039037B2 (en) 2012-04-17 2015-05-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EP2876002B1 (en) * 2012-07-19 2016-05-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JP5664607B2 (ja) * 2012-08-02 2015-0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754436B2 (ja) * 2012-12-03 2015-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拘束システム
JP2014133462A (ja) * 2013-01-09 2014-07-24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696748B2 (ja) 2013-07-31 2015-04-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JP6236286B2 (ja) * 2013-10-30 2017-11-22 マツダ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052266B2 (ja) 2014-10-27 2016-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US10464517B2 (en) 2015-07-11 2019-11-05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10259420B2 (en) * 2015-12-07 2019-04-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hambered side impact airbag
JP6428666B2 (ja) * 2016-02-10 2018-11-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JP6640590B2 (ja) 2016-02-12 2020-02-05 Kyb株式会社 車両制振装置
JP6614047B2 (ja) * 2016-06-24 2019-12-04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729435B2 (ja) * 2017-02-06 2020-07-22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EP3584122B1 (en) * 2018-01-26 2021-11-17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KR102565349B1 (ko) * 2018-03-19 202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316A1 (ja) * 2010-04-23 2011-10-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130063630A (ko) * 2011-12-07 2013-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듀얼 챔버 사이드에어백 장치
JP2014080169A (ja) * 2012-10-18 2014-05-08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6644A (zh) * 2019-05-21 2020-11-24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装置
CN111976644B (zh) * 2019-05-21 2022-10-14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8067908A2 (pt) 2019-05-28
JP6856482B2 (ja) 2021-04-07
BR102018067908B1 (pt) 2023-10-03
CN109532750A (zh) 2019-03-29
CN109532750B (zh) 2021-08-27
JP2019055660A (ja) 2019-04-11
KR102109685B1 (ko) 2020-05-12
RU2699713C1 (ru) 2019-09-09
EP3459793B1 (en) 2020-04-15
US11077815B2 (en) 2021-08-03
US20190084516A1 (en) 2019-03-21
EP3459793A1 (en)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3011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1691959B1 (ko)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6561942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US9296357B2 (en) Vehicle far-side airbag apparatus
JP5831634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085280B2 (en) Vehicle side airbag device
KR20180090749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탑재한 차량용 시트
JP6414157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JP6149840B2 (ja)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783149B2 (en) Side airbag device
CN111615473B (zh) 乘员保护装置
JP2014133462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9085047A (ja) 後席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12292290B (zh) 侧面安全气囊装置以及具备该侧面安全气囊装置的车辆用座椅
JP5915549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11845613B (zh) 侧气囊装置
US11358555B2 (en) Vehicle seat
US11691588B2 (en) Vehicle side airbag device and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5549577B2 (ja) 後席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CN109795440B (zh) 车辆用侧气囊装置
JP2018012474A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JP2022110956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22068732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乗員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