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5548B1 -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5548B1
KR101715548B1 KR1020157036790A KR20157036790A KR101715548B1 KR 101715548 B1 KR101715548 B1 KR 101715548B1 KR 1020157036790 A KR1020157036790 A KR 1020157036790A KR 20157036790 A KR20157036790 A KR 20157036790A KR 101715548 B1 KR101715548 B1 KR 101715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side airbag
bag
vehicl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4022A (ko
Inventor
유스케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60014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0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the individual compartments defin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021/2609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characterised by fluid flow controll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전백부와 후백부가 전후 칸막이부에 의해 구획된 사이드 에어백의 승객 구속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전후 칸막이부 (40) 와 후백부 (26) 의 후단부 사이에 건너질러진 텐션포 (56) 가 신장됨으로써, 후백부 (26) 의 차량 전후 방향의 팽창이 억제된다. 이로써, 전후 칸막이부 (40) 의 차량 전후 방향의 위치를 크게 변동시키지 않고, 후백부 (26) 의 차량 폭 방향의 팽창 폭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에어백 (20) 의 평면 전개 상태에서는, 후백부 (26) 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둘로 접힌 전후 칸막이부 (40) 와 후백부 (26) 의 후단부 사이에 텐션포 (56) 가 건너질러진다. 이로써, 평면 전개 상태의 후백부 (26) 에 여장이 생기지 않도록 각 부의 치수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20) 을 콤팩트하게 절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이 적정 위치의 승객의 늑골부 위치에 형성된 격벽 (전후 칸막이부) 에 의해 제 1 팽창부 (후 (後) 백부) 와 제 2 팽창부 (전 (前) 백부) 로 구획되어 있다. 제 1 팽창부 내에는 인플레이터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인플레이터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전후 칸막이부에 형성된 연통구를 지나 전백부 내에 공급된다. 이로써, 후백부를 전백부보다 고압으로 함으로써, 적정 위치의 승객에 대한 초기 구속 성능을 확보함과 함께, 만일 비적정 위치 (out of position) 에 승객이 위치하고 있었다고 해도 그 승객에게 주는 영향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에는,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2 ∼ 6 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251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24080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0117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0117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3109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031051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사이드 에어백에서는, 전후 칸막이부의 차량 전후 방향의 위치는, 후백부의 차량 전후 방향의 팽창 폭에 의해 결정된다. 또, 후백부의 차량 전후 방향의 팽창 폭은, 후백부의 차량 폭 방향의 팽창 폭에 의해 변동된다. 요컨대, 후백부 내에 가스가 공급되었을 때에는, 후백부의 내면에 가스의 압력이 균일하게 가해지기 때문에, 후백부의 차량 폭 방향의 팽창 폭을 변경하면, 후백부의 차량 전후 방향의 팽창 폭도 변경되어 버려, 전후 칸막이부의 차량 전후 방향의 위치가 변동되어 버린다.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후백부의 차량 폭 방향의 팽창 폭의 설정 자유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의 승객 구속 성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전백부와 후백부가 전후 칸막이부에 의해 구획된 사이드 에어백의 승객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차량용 시트에 형성되고, 작동함으로써 팽창 전개용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 장치와, 시트상의 전후 칸막이부에 의해 전백부와 후백부로 구획되고,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의 측부 내에 수용됨과 함께, 상기 팽창 전개용의 가스가 상기 각 백부 내에 공급되어 상기 측부의 차량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는 사이드 에어백을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평면 전개 상태에서는 상기 전후 칸막이부가 폭 방향 중앙부의 접은 자국을 따라 상기 후백부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둘로 접힘과 함께, 당해 전후 칸막이부와 상기 후백부의 후단부 사이에 신장 부재가 건너질러져 있고,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상기 신장 부재가 신장되어 상기 후백부의 차량 전후 방향의 팽창이 억제된다.
제 1 양태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차량의 측면 충돌이 검지 또는 예지된 경우에, 가스 발생 장치가 작동된다. 그러면,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의 가스가 사이드 에어백 전후의 백부 내에 공급되고,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 전개된다. 이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의 전후 칸막이부와 후백부의 후단부 사이에 건너질러진 신장 부재가 신장된다. 이로써, 후백부의 차량 전후 방향의 팽창이 억제되므로, 전후 칸막이부의 차량 전후 방향의 위치를 크게 변동시키지 않고, 후백부의 차량 폭 방향의 팽창 폭을 확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사이드 에어백의 승객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평면 전개 상태에서는, 후백부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둘로 접힌 전후 칸막이부와 후백부의 후단부 사이에 신장 부재가 건너질러진다. 이로써, 평면 전개 상태의 후백부에 여장 (余長) (늘어짐) 이 생기지 않도록 사이드 에어백의 각 부의 치수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의 부피를 크게 하지 않고서 콤팩트하게 절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신장 부재는, 상기 전후 칸막이부의 폭 방향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양태에서는, 신장 부재가 신장되었을 때에는, 전후 칸막이부의 폭 방향 중앙부가 후백부의 후단부측으로 인장된다. 이로써, 후백부를 차량 폭 방향으로 양호한 밸런스로 팽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또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신장 부재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팽창 전개용의 가스를 정류 (整流) 하는 정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3 양태에서는, 신장 부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정류 부재로서 공용되기 때문에, 부품 점수가 삭감된다. 이 때문에, 부품 점수가 삭감된 만큼, 사이드 에어백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상하 칸막이부에 의해 상기 전백부 및 상기 후백부와 구획된 하백부를 갖고 있고, 상기 신장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정류 부재에 의해 상기 팽창 전개용의 가스가 상기 하백부 내로 안내된다.
제 4 양태에서는, 신장 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정류 부재가, 하백부 내에 팽창 전개용의 가스를 안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하백부를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4 양태에 있어서, 상기 후백부 내에 형성된 상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의 가스가 상기 하백부 내에 공급됨과 함께, 상기 사이드 에어백에는, 상기 하백부 내로부터 상기 후백부 내로의 가스의 흐름을 제한하는 역지 밸브가 형성되어 있다.
제 5 양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이 상기와 같은 역지 밸브를 갖고 있기 때문에, 하백부의 내압이 높은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승객의 신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높은 허리부를 하백부에 의해 효과적으로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 제 5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칸막이부에는, 상기 신장 부재를 사이에 둔 양측 또는 편측의 상하 2 개 지점에, 상기 전백부 내와 상기 후백부 내를 서로 연통시키는 1 쌍의 연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백부 내에 형성된 상기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의 가스가 상기 1 쌍의 연통구를 지나 상기 전백부 내에 공급된다.
제 6 양태에서는, 전후 칸막이부에 상기와 같은 1 쌍의 연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후 칸막이부와 후백부의 후단부 사이에 신장 부재가 건너질러진 구성이라 하더라도, 후백부 내의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전백부 내에 양호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신장 부재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상하 방향에서 보아 두 갈래로 분기된 전단부가 상기 전후 칸막이부에 연결되어 있다.
제 7 양태에서는, 전후 칸막이부에 연결된 신장 부재의 전단부가, 사이드 에어백의 상하 방향에서 보아 두 갈래로 분기되어 있기 때문에, 신장 부재의 신장시에 전후 칸막이부에 입력되는 인장력이 전후 칸막이부의 1 개 지점에 집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신장 부재의 신장시 (즉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 에 있어서의 전후 칸막이부의 부주의한 절곡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7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칸막이부에는, 상기 신장 부재에 있어서의 두 갈래로 분기된 전단부 사이에, 상기 전백부 내와 상기 후백부 내를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제 8 양태에서는, 전후 칸막이부에 상기와 같은 연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후 칸막이부와 후백부의 후단부 사이에, 전단부가 두 갈래 형상인 신장 부재가 건너질러진 구성이라 하더라도, 후백부 내의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전백부 내의 폭 방향 중앙부에 공급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거동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 제 8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칸막이부의 상부에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상기 시트백의 전방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칸막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백부의 상부에 형성된 전연부 (前延部) 가 상기 상칸막이부에 의해 상기 전백부와 구획되어 있다.
제 9 양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상칸막이부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후백부의 용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후백부의 상부 즉 전연부에 의해 승객의 어깨부를 양호하게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예를 들어, 측면 충돌의 형태가 이른바 비스듬한 측면 충돌로, 승객이 차량 비스듬한 전방으로 관성 이동한 경우에도, 승객의 어깨부가 전연부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측면 충돌의 형태에 상관없이, 승객의 어깨부를 사이드 에어백에 의해 양호하게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팽창 전개된 전백부의 차량 폭 방향 내측면은, 상하 방향 중앙부보다 상방측이 상방으로 향할수록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하도록 만곡된다. 이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과 승객이 측면 충돌의 충격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상기 만곡된 면과 승객의 상완부가 슬라이딩 접촉하여, 상완부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힘이 발생한다. 그 결과, 상완부가 전백부의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전연부에 의해 구속된다. 이로써, 승객의 흉부와 사이드 에어백 사이에 상완부가 개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흉부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 제 9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후 칸막이부는, 상기 전백부 또는 상기 후백부의 기포 (基布) 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10 양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백부 또는 후백부의 기포와는 별체의 재료에 의해 전후 칸막이부가 구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사이드 에어백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 제 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백부 내에 형성됨과 함께, 내측에 상기 가스 발생 장치를 수용한 정류 부재를 갖고, 당해 정류 부재의 상하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팽창 전개용의 가스가 상기 후백부 내에 공급된다.
제 11 양태에서는, 정류 부재의 상하의 개구부로부터 후백부 내에 공급되는 팽창 전개용의 가스에 의해, 후백부의 상부 및 하부를 조기에 또한 고압으로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 제 11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평면 전개 상태에서는, 상기 전후 칸막이부, 상기 후백부의 기포, 및 상기 신장 부재의 어느 것에도 여장이 생기지 않도록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각 부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제 12 양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의 부피를 크게 하지 않고서 콤팩트하게 절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제 13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5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역지 밸브는, 상기 후백부의 기포에 의해 구성됨과 함께 상기 하백부 내로 돌출되어 있다.
제 13 양태에서는, 후백부의 기포에 의해 구성되고 하백부 내로 돌출된 역지 밸브는, 하백부의 내압 상승에 의해 찌부러뜨려진다. 이로써, 하백부 내로부터 후백부 내로의 가스의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역지 밸브가 후백부의 기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4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는, 상하에 개구부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외측 정류 부재 및 내측 정류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외측 정류 부재는, 상기 신장 부재의 일부를 구성함과 함께 하부측이 상기 역지 밸브 내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내측 정류 부재는, 내측에 상기 가스 발생 장치를 수용함과 함께 하부측이 상기 외측 정류 부재 내에 삽입되어 있다.
제 14 양태에서는, 가스 발생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가스가 내측 정류 부재 및 외측 정류 부재에 의해 정류되어 후백부 내 및 하백부 내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내측 정류 부재 및 외측 정류 부재의 치수 등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후백부 내 및 하백부 내로의 가스의 분배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전백부와 후백부가 전후 칸막이부에 의해 구획된 사이드 에어백의 승객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적용되어 구성된 차량용 시트의 측면도로,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동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F3-F3 선을 따른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F4-F4 선을 따른 절단면을 축소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동 사이드 에어백의 평면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 3 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6a 는, 제 1 비교예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6b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2 비교예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의 평면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 5 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구성 부재인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 3 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구성 부재인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 3 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10 은, 동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 에 대응한 측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구성 부재인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 에 대응한 측면도이다.
도 12 는, 동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 3 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구성 부재인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도 3 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3 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에 대해 도 1 ∼ 도 7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히 기재하는 화살표 FR, 화살표 UP, 화살표 OUT 는, 차량의 전방향 (진행 방향), 상방향, 폭 방향의 외측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하, 단순히 전후, 상하의 방향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차량 전후 방향의 전후, 차량 상하 방향의 상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구성)
도 1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는, 차량용 시트 (12) 에 있어서의 시트백 (14) 의 도어측 사이드부 (14A)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측부 : 도시되지 않은 사이드 도어측의 측부) 에 탑재되어 있다. 이 시트백 (14) 은, 시트 쿠션 (16) 의 후단부에 경도 (傾倒)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헤드레스트 (18) 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용 시트 (12) 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차량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또, 도 1 에서는, 차량용 시트 (12) 에는 실제 승객 대신에 충돌 시험용의 더미 (P) 가 착석하고 있다. 이 더미 (P) 는, 예를 들어 WorldSID (국제 통일 측면 충돌 더미 : World Side Impact Dummy) 의 AM50 (미국인 성인 남성의 50 % 를 커버하는 모델) 이다. 이하,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더미 (P) 를 「승객 (P)」으로 칭한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는, 사이드 에어백 (20) 과, 그 사이드 에어백 (20) 내에서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22) (가스 발생 장치) 를 주요부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 에어백 (20) 은, 절첩되어 인플레이터 (22) 등과 함께 유닛화 (모듈화) 된 상태에서 도어측 사이드부 (14A) 의 내부에 배치 형성 (격납) 되어 있고, 인플레이터 (22) 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승객 (P) 과 도시되지 않은 사이드 도어 사이에 팽창 전개된다 (도 1 도시 상태). 이 팽창 전개시에는, 도어측 사이드부 (14A) 에 배치 형성된 시트백 패드 및 시트 표피 (모두 도시 생략) 가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압을 받아 파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기재하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전후 상하의 방향은,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사이드 에어백 (20) 이 팽창 전개된 상태에서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시트백 (14) 의 전후 상하의 방향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도 1 ∼ 도 5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20) 은, 내부가 전후로 구획된 이른바 트윈 챔버 사이드 에어백으로, 전백부 (24) 와 후백부 (26) 가 일체적으로 봉제되어 구성되어 있다. 후백부 (26) 는, 예를 들어 나일론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의 포재 (布材) 를 잘라내어 형성된 2 장의 기포 (28, 30) 가 중첩되어 봉제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들 기포 (28, 30) 는, 봉제부 (T1) 에 있어서 전단 가장자리부가 봉제됨과 함께, 사이드 에어백 (20) 의 외주부에 설정된 외주 봉제부 (T2) 에 있어서 상단 가장자리부, 하단 가장자리부 및 후단 가장자리부가 봉제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 있어서는, 상기 봉제부 (T1, T2) 및 후술하는 봉제부 (T3 ∼ T5)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전백부 (24) 는, 기포 (28, 30) 와 동일한 포재로 이루어지는 2 장의 기포 (32, 34) 가 중첩되어 봉제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들 기포 (32, 34) 는, 외주 봉제부 (T2) 에 있어서 상단 가장자리부, 전단 가장자리부 및 하단 가장자리부가 봉제되어 있고, 이들 기포 (32, 34) 의 후단 가장자리부 사이에는 후백부 (26) 의 전방부가 끼워져 있다. 기포 (32, 34) 의 후단 가장자리부는, 봉제부 (T3, T4) 에 있어서 기포 (28, 30) 의 전방부에 봉제되어 있다.
이 사이드 에어백 (20) 은,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팽창 전개 상태를 측면에서 본 경우에, 시트백 (14) 의 상하 방향을 따라 장척인 대략 타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승객 (P) 의 어깨부 (S), 흉부 (C), 복부 (B) 및 허리부 (L) 를 구속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이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전백부 (24) 가 후백부 (26) 의 차량 전방측에 배치된다. 전백부 (24) 의 내부는 전 (前) 챔버 (36) 로 되어 있고, 후백부 (26) 의 내부는 후 (後) 챔버 (38) 로 되어 있다.
전백부 (24) 와 후백부 (26) 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내부에 배치된 기포 (28, 30) 의 일부 (후백부 (26) 의 전방부) 에 의해 구성된 시트상의 전후 칸막이부 (40) (전후 분할 테더부)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 전후 칸막이부 (40) 는, 시트백 (14) 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 칸막이부 (40A) 와, 이 세로 칸막이부 (40A) 의 상단으로부터 시트백 (14) 의 전방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칸막이부 (40B) (경사 칸막이부)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에어백 (20) 의 제조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 장의 기포를 둘로 접어 외주 가장자리부를 봉제함으로써 봉지체를 형성함과 함께, 당해 봉지체의 기포와는 별체의 테더 (칸막이포) 에 의해 전후 칸막이부를 구성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세로 칸막이부를 상기별체의 테더 (칸막이포) 에 의해 구성하는 한편, 상기 봉지체의 기포를 봉제하는 심 (봉제부) 에 의해 상칸막이부를 구성해도 되고, 전후 칸막이부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요컨대, 전후 칸막이부는, 적어도 세로 칸막이부가 시트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후백부 (26) 내에는, 정류 부재로서의 정류포 (4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정류포 (42) 는, 기포 (28, 30) 등과 동일한 포재로 이루어지는 기포 (46) (도 3 참조) 가 봉제부 (T5) (도 1 및 도 2 에서는 도시 생략) 에 있어서 봉제됨으로써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정류포 (42) 는, 축선 방향이 시트백 (14) 의 상하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후백부 (26) 내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후백부 (26) 내에는 인플레이터 (22) 가 수용되어 있다. 인플레이터 (22) 는, 이른바 실린더 타입의 인플레이터로, 원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 (22) 는, 축선 방향이 시트백 (14) 의 상하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후백부 (26) 내에 배치 형성되어 있고, 정류포 (42) 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
인플레이터 (22) 의 외주부로부터는, 차량 폭 방향 내측 (시트 폭 방향 내측) 을 향하여 상하 1 쌍의 스터드 볼트 (48) 가 돌출되어 있다. 이들 스터드 볼트 (48) 는, 기포 (46, 28) 를 관통함과 함께, 시트백 프레임 (15) 의 사이드 프레임 (15A) 을 관통하고 있고, 선단측에 너트 (50) 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로써, 인플레이터 (22) 가 사이드 에어백 (20) 과 함께 사이드 프레임 (15A) 에 체결 고정 (이른바 측면 조임) 되어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 (22) 의 외주부로부터 차량 후방측으로 돌출된 스터드 볼트가 기포 (46, 28) 및 사이드 프레임 (15A) 에 고정된 평단면 L 자 형상의 브래킷 (반력판) 을 관통하여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구성 (이른바 배면 조임) 으로 해도 된다.
이 인플레이터 (22) 에는, 도 1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량에 탑재된 측돌 (側突) ECU (52)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측돌 ECU (52) 에는, 측면 충돌을 검지하는 측돌 센서 (54)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측돌 ECU (52) 는, 측돌 센서 (54) 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측면 충돌 (의 불가피) 을 검지하였을 때에 인플레이터 (22) 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측돌 ECU (52) 에 측면 충돌을 예지 (예측) 하는 프리크래시 센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리크래시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측돌 ECU (52) 가 측면 충돌을 예지하였을 때에 인플레이터 (22) 가 작동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백부 (26) 의 내부에는, 신장 부재로서의 텐션포 (56) (신장포 : 두께 규제 테더부)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텐션포 (56) 는, 기포 (28, 30) 등과 동일한 포재에 의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단 가장자리부가 봉제부 (T1) 에 있어서 전후 칸막이부 (40) 의 폭 방향 중앙부에 봉제됨과 함께, 후단 가장자리부가 외주 봉제부 (T2) 에 있어서 후백부 (26) 의 후단 가장자리부에 봉제되어 있다. 요컨대, 이 텐션포 (56) 는, 후백부 (26) 의 전후 양 단부 사이에 건너질러져 있고,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두께 방향이 차량 폭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후백부 (26) 내의 상하 방향 중앙부 부근에 위치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텐션포 (56) 의 일부는, 기포 (28) 와 정류포 (42) 사이에 끼워져 있고, 당해 텐션포 (56) 를 인플레이터 (22) 의 상하의 스터드 볼트 (48) 가 관통하고 있다. 또, 전후 칸막이부 (40) 에는, 도 3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텐션포 (56) 를 개재한 좌우 양측 (폭 방향 양측) 에 각각 연통구 (58, 60) (도 1 및 도 2 에서는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1 쌍의 연통구 (58, 60) 를 통하여 전백부 (24) 내와 후백부 (26) 내가 서로 연통되어 있다. 또한, 전후 칸막이부 (40) 에 있어서, 텐션포 (56) 의 좌우 편측 (폭 방향 일측) 의 상하 2 개 지점에, 전백부 (24) 내와 후백부 (26) 내를 서로 연통시키는 1 쌍의 연통구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연통구의 수나 전후 칸막이부 (40) 에 있어서의 형성 부위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에서는, 인플레이터 (22) 가 작동하면, 인플레이터 (22) 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형성된 가스 분출구로부터 가스가 방사상으로 분출된다. 가스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는, 정류포 (42) 의 상하의 개구부로부터 후백부 (26) 내에 공급된다 (도 2 의 화살표 G1, G2 참조). 후백부 (26) 내에 공급된 가스의 일부는, 연통구 (58, 60) 를 지나 전백부 (24) 내에 공급된다 (도 2 의 화살표 G3 참조). 이로써, 사이드 에어백 (20) 이 승객 (P) 과 차실 측부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은 사이드 도어의 도어 트림) 사이에 팽창 전개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20) 이 팽창 전개된 상태에서는, 전백부 (24) 와 후백부 (26) 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전백부 (24) 가 승객 (P) 의 흉부 (C), 복부 (B) 및 허리부 (L) 의 전방부 (전반부) 의 측방으로 팽창 전개되고, 전백부 (24) 의 상단 가자장자리 (상칸막이부 (40B)) 의 후단이 승객 (P) 의 겨드랑이부 (U) 의 하방 근방에 배치된다. 한편, 후백부 (26) 는, 승객 (P) 의 흉부 (C), 복부 (B) 및 허리부 (L) 의 후방부 (후반부) 의 측방으로 팽창 전개되고, 전연부 (26A) 가 승객 (P) 의 어깨부 (S) 의 측방으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전백부 (24) 의 상방에 배치된다. 이하, 팽창 전개 상태의 사이드 에어백 (20) 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사이드 에어백 (20) 에서는, 후백부 (26) 가 팽창 전개되면, 전단부가 후백부 (26) 의 전단부 (전후 칸막이부 (40)) 에 봉제 (연결) 되고, 후단부가 후백부 (26) 의 후단부에 봉제 (연결) 된 텐션포 (56) 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신장된다. 이로써, 전후 칸막이부 (40) (세로 칸막이부 (40A)) 의 차량 전후 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이 텐션포 (56) 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의 차량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텐션포 (56) 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경우의 후백부 (26) 에 있어서의 차량 전후 방향의 팽창 폭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텐션포 (56) 가 후백부 (26) 의 전후 양단부 사이에 건너질러진 본 실시형태에서는, 텐션포 (56) 가 신장됨으로써, 후백부 (26) 의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팽창이 억제되는 한편, 후백부 (26) 의 차량 폭 방향의 팽창 폭이 확대되도록 (증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길이 치수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시에 있어서의 후백부 (26) 의 차량 전후 방향의 팽창을 억제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되고, 후술하는 길이 치수 (b) (도 3 참조) 와 일치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전후 칸막이부 (40) 의 차량 전후 방향의 위치가 규제됨으로써, 전후 칸막이부 (40) 가 승객 (P) 의 흉부 (C) 의 전후 방향 중앙부 (전후 방향 중앙 또는 전후 방향 중앙 부근 :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가장 장출 (張出) 된 부분) 와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전백부 (24) 가 승객 (P) 의 흉부 (C), 복부 (B) 및 허리부 (L) 의 전방부의 측방에 배치되고, 후백부 (26) 가 승객 (P) 의 흉부 (C), 복부 (B) 및 허리부 (L) 의 후방부의 측방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사이드 에어백 (20) 에서는, 전연부 (26A) 보다 하측의 전방부측 (전백부 (24)) 의 팽창 폭 (차량 폭 방향의 치수. 이하 동일) 이 전연부 (26A) 보다 하측의 후방부측 (후백부 (26) 의 본체부) 의 팽창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 이 사이드 에어백 (20) 에서는, 전연부 (26A) 의 팽창 폭은 전백부 (24) 의 팽창 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전연부 (26A) 의 팽창 폭이 전백부 (24) 의 팽창 폭보다 작게 설정됨으로써, 도 4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전백부 (24) 의 상부에 있어서의 차량 폭 방향 내측면이 차량 폭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상승하도록 (상방으로 향할수록 차량 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만곡된 상완부 압상 (押上) 면 (62) 으로 된다. 또한, 상완부 압상면 (62) 이 차량 폭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상승하도록 경사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세로 칸막이부 (40A) 는, 승객 (P) 의 흉부 (C) 및 복부 (B) 의 전후 방향 중앙부를 따라 시트백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세로 칸막이부 (40A) 부근에서는, 도 3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량 폭 방향 내측면이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패여 오목부 (64) 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 (64) 는, 세로 칸막이부 (40A) 를 따라 시트백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오목부 (64) 가 흉부 (C) 및 복부 (B) 의 전후 방향 중앙부 (즉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가장 장출된 부분) 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칸막이부 (40B) 는, 세로 칸막이부 (40A) 의 상단으로부터 시트백 (14) 의 전방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이 상칸막이부 (40B) 는, 시트백 (14) 의 전후 방향 즉 시트 측면에서 보아 시트백 (14) 의 상하 방향 (도 2 의 일점 쇄선 Y 를 따른 방향) 과 직교하는 방향 (도 2 의 일점 쇄선 X 를 따른 방향) 에 대해, 시트백 (14) 의 전방측을 향할수록 상승하도록 경사진다. 또한, 시트백 (14) 의 상하 방향이란, 시트 측면에서 보아 시트백 프레임 (15) 의 상단부의 전후 방향 중앙과 리클라이닝 로드 (65) 의 축심을 잇는 방향이다. 또, 시트백 (14) 의 전후 방향에 대한 상칸막이부 (40B) 의 경사 각도 (θ) 는 30 ∼ 60 도의 범위 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 ∼ 50 도의 범위 내로 설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상칸막이부 (40B) 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에서 본 경우에, 승객 (P) 의 어깨부 (S) 의 중심 (여기서는 더미 (P) 의 어깨부 (S) 에 형성된 볼트 (66) 의 축심) 과 상완부 (A) 의 길이 방향 중앙부 (상완부 (A) 의 무게 중심 (AG) 의 위치 또는 무게 중심 (AG) 근방의 위치) 사이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상칸막이부 (40B) 가 설정됨으로써, 후백부 (26) 의 상부에는 전백부 (24) 와 구획된 전연부 (26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연부 (26A) 는, 전백부 (24) 의 상방측으로 팽창 전개되고, 승객 (P) 의 어깨부 (S) 를 구속한다. 또, 상칸막이부 (40B) 부근에서는, 도 4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량 폭 방향 내측면이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패여 오목부 (68) 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 (68) 는, 상칸막이부 (40B) 를 따라 시트백 (14) 의 전방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연장된다.
상기 구성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에서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20) 이 절첩되어 인플레이터 (22) 등과 함께 모듈화된 상태에서 도어측 사이드부 (14A) 의 내부에 배치 형성된다. 이 사이드 에어백 (20) 의 절첩시에는, 먼저 사이드 에어백 (20) 이 도 5 에 나타내어지는 평면 전개 상태로 되고, 그 후에 소정의 절첩 방법 (롤 접음, 벨로우즈 접음 등) 으로 사이드 에어백 (20) 이 절첩된다. 또한 도 5 에서는, 인플레이터 (22) 및 정류포 (42)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 에 나타내어지 사이드 에어백 (20) 의 평면 전개 상태, 즉, 사이드 에어백 (20) 을 평평하게 펼친 상태에서는, 전후 칸막이부 (40) (세로 칸막이부 (40A) 및 상칸막이부 (40B)) 가 폭 방향 중앙부의 접은 자국을 따라 후백부 (26) 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둘로 접힌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전후 칸막이부 (40), 후백부 (26) 의 기포 (28, 30), 및 텐션포 (56) 의 어느 것에도 여장이 생기지 않도록 사이드 에어백 (20) 의 각 부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에 나타내어지는 평단면도에 있어서, 세로 칸막이부 (40A) 의 폭 치수를 2a 로 하고, 사이드 에어백 (20) 의 전후 방향을 따른 텐션포 (56) 의 길이 치수를 b 로 하며, 후백부 (26) 의 원주로부터 상기 2a 를 뺀 치수를 2c 로 한 경우에, a + b = c 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본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에서는, 측돌 ECU (52) 가 측돌 센서 (54) 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측면 충돌을 검지하면, 당해 측돌 ECU (52) 에 의해 인플레이터 (22) 가 작동된다. 그러면, 인플레이터 (22) 의 가스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가스가 사이드 에어백 (20) 의 전백부 (24) 내 및 후백부 (26) 내에 공급되고, 사이드 에어백 (20) 이 팽창 전개된다. 이로써, 승객 (P) 의 흉부 (C), 복부 (B) 및 허리부 (L) 의 전방부가 전백부 (24) 에 의해 구속되고, 승객 (P) 의 흉부 (C), 복부 (B) 및 허리부 (L) 의 후방부가 후백부 (26) 에 의해 구속된다. 이 경우, 내부에 인플레이터 (22) 가 형성된 후백부 (26) 를 전백부 (24) 보다 조기에 또한 고압으로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 에어백 (20) 의 승객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하와 같이 하는 것이 유효하다. 요컨대, 전백부 (24) 와 후백부 (26) 사이에 설정된 전후 칸막이부 (40) 를 흉부 (C) 및 복부 (B) 의 측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중앙부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가장 장출된 부분) 와 대향시킨다. 그로 인해, 흉부 (C) 및 복부 (B) 의 전방부에 대한 부하를 저감시킨다. 한편, 후백부 (26) 의 차량 폭 방향의 팽창 폭을 확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높은 흉부 (C) 및 복부 (B) 의 후방부 (등측 부분) 를 조기에 구속한다.
이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20) 이 팽창 전개되면, 후백부 (26) 내에 형성된 텐션포 (56) 가 신장되어 후백부 (26) 의 차량 전후 방향의 팽창이 억제된다. 이로써, 전후 칸막이부 (40) 가 승객 (P) 의 흉부 (C) 및 복부 (B) 의 측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중앙부와 대향함과 함께, 후백부 (26) 의 차량 폭 방향의 팽창 폭이 확대된다. 그 결과, 흉부 (C) 및 복부 (B) 의 전방부에 대한 부하를 저감시키면서, 후백부 (26) 를 조기에 흉부 (C) 및 복부 (B) 의 후방부와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사이드 에어백 (20) 의 승객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요컨대,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높은 흉부 (C) 및 복부 (B) 의 후방부를 후백부 (26) 에 의해 조기에 구속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낮은 흉부 (C) 및 복부 (B) 의 전방부에 전백부 (24) 로부터 입력되는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중 내성의 고저에 따라 승객 (P) 의 신체 (상체) 를 적절히 구속함으로써, 사이드 에어백 (20) 의 승객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백부 (26) 내에 텐션포 (56) 를 설정할 뿐인 약간의 변경으로 대책 가능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6a 에 나타내어지는 사이드 에어백 (200) (제 1 비교예)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텐션포 (56) 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후백부 (26) 의 차량 폭 방향의 팽창 폭을 W 로부터 W' 로 확대하면, 후백부 (26) 의 차량 전후 방향의 팽창 폭도 L 로부터 L' 로 확대되어 버려, 전후 칸막이부 (40) 의 차량 전후 방향의 위치가 크게 변동해 버린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후백부 (26) 의 차량 폭 방향의 팽창 폭의 설정 자유도가 낮아진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b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전후 칸막이부 (40) 의 차량 전후 방향의 위치를 크게 변동시키지 않고, 후백부 (26) 의 차량 폭 방향의 팽창 폭을 W 로부터 W' 로 확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사이드 에어백 (20) 의 승객 구속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a 및 도 6b 에 있어서, R 은 전후 칸막이부 (40) 의 폭 치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평면 전개 상태에서는, 전후 칸막이부 (40) 가 후백부 (26) 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둘로 접힌다. 이로써, 평면 전개 상태의 후백부 (26) 의 기포 (28, 30) 에 여장 (늘어짐) 이 생기지 않도록 사이드 에어백 (20) 의 각 부의 치수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20) 의 부피를 크게 하지 않고서 콤팩트하게 절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요컨대, 도 7 에 나타내어지는 사이드 에어백 (300) (제 2 비교예) 과 같이, 전후 칸막이부 (40) 가 전백부 (24) 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둘로 접히는 구성에서는, 후백부 (26) 의 기포 (28, 30) 에 여장 (302) 이 생기도록 사이드 에어백 (300) 의 각 부의 치수를 설정하지 않으면, 후백부 (26) 의 차량 폭 방향의 팽창 폭을 확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절첩시의 사이드 에어백의 부피 커짐이 문제가 됨과 함께, 양산성이나 품질의 확보가 곤란해지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평면 전개 상태에 있어서, 전후 칸막이부 (40), 후백부 (26) 의 기포 (28, 30), 텐션포 (56) 의 어느 것에도 여장이 생기지 않도록 사이드 에어백 (20) 의 각 부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사이드 에어백 (20) 을 콤팩트하게 절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에 한층 기여한다.
또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제조시에는, 승객과 차실 측부의 간극, 승객과 B 필러의 랩량, 및 비적정 위치 (out of position) 의 승객에 대한 영향 등에 따라, 차량마다 전용의 사이드 에어백을 설정하고 있다. 이 점, 본 실시형태와 같이, 후백부 (26) 내에 텐션포 (56) 를 형성하는 구성에서는, 텐션포 (56) 의 치수를 차량마다 설정 변경하면 되기 때문에, 차량마다의 대응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 차량용 시트 내에 있어서의 탑재 스페이스 확보의 관점에서 절첩시의 사이드 에어백의 부피 커짐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당해 요구에도 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텐션포 (56) 의 전단부가 전후 칸막이부 (40) 의 폭 방향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텐션포 (56) 가 신장되었을 때에는, 전후 칸막이부 (40) 의 폭 방향 중앙부가 후백부 (26) 의 후단부측으로 인장된다. 이로써, 후백부 (26) 를 차량 폭 방향으로 양호한 밸런스로 팽창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백부 (26) 의 상부에는, 승객 (P) 의 어깨부 (S) 를 구속하는 전연부 (26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연부 (26A) 가 조기에 팽창 전개됨으로써, 승객 (P) 의 어깨부 (S) 를 조기에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이 전연부 (26A) 는, 세로 칸막이부 (40A) 의 상단으로부터 시트백 (14) 의 전방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칸막이부 (40B) 에 의해 전백부 (24) 와 구획되어 있고, 전백부 (24) 의 상방측으로 팽창 전개된다. 요컨대, 시트백 (14) 의 전후 방향에 대해 전방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칸막이부 (40B) 가 설정됨으로써, 후백부 (26) 의 상부 (전연부 (26A)) 가 전백부 (24) 의 상방측으로 연장되어 승객 (P) 의 어깨부 (S) 를 구속한다. 이와 같이 상칸막이부 (40B) 가 설정됨으로써, 후백부 (26) 의 용량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후백부 (26) 의 상부 (전연부 (26A)) 를 승객 (P) 의 어깨부 (S) 에 양호에 대향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흉부 (C), 복부 (B) 및 허리부 (L) 의 후방부 그리고 어깨부 (S) 를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20) 에 의한 승객 (P) 의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팽창 전개된 전백부 (24) 의 차량 폭 방향 내측면은, 상하 방향 중앙부보다 상방측이 차량 폭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상승하도록 만곡된다 (도 4 에 나타내어지는 상완부 압상면 (62) 참조). 이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20) 과 승객 (P) 이 측면 충돌의 충격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상완부 압상면 (62) 과 승객 (P) 의 상완부 (A) 가 슬라이딩 접촉하고, 상완부 (A) 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힘 (F) 이 발생한다. 그 결과, 상완부 (A) 가 전백부 (24) 의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전연부 (26A) 에 의해 구속된다. 이로써, 승객 (P) 의 흉부 (C) 와 사이드 에어백 (20) 사이에 상완부 (A) 가 개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흉부 (C) 의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칸막이부 (40B) 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승객 (P) 의 어깨부 (S) 의 중심과 상완부 (A) 의 길이 방향 중앙부 (상완부 (A) 의 무게 중심 (AG) 부근) 사이의 중앙 부근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상완부 (A) 의 무게 중심 (AG) 부근에 상칸막이부 (40B) 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전백부 (24) 에 의한 상완부 (A) 의 밀어 올리는 힘 (F) 을 상완부 (A) 의 무게 중심 (AG) 부근에 양호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완부 (A) 를 효과적으로 밀어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요컨대, 예를 들어, 도 2 의 X 선을 따라 상칸막이부 (40B) 를 설정하면, 상칸막이부 (40B) 가 상완부 (A) 의 무게 중심 (AG) 부근을 지나게 된다. 이 상칸막이부 (40B) 부근에서는, 도 4 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량 폭 방향 내측면이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패여 오목부 (골짜기) (68) 가 형성되기 때문에, 당해 오목부 (68) 가 상완부 (A) 의 무게 중심 (AG) 부근과 맞닿는다. 이 오목부 (68) 는, 상완부 압상면 (62) 의 상단부 (상측의 종점) 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완부 (A) 의 무게 중심 (AG) 부근이 상완부 압상면 (62) 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거리 및 시간이 짧아져, 상완부 (A) 의 무게 중심 (AG) 부근에 충분히 밀어 올리는 힘 (F) 을 작용시킬 수 없게 된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완부 (A) 가 상완부 압상면 (62) 과 슬라이딩 접촉하기 시작할 때에는, 무게 중심 (AG) 이 오목부 (68) (상칸막이부 (40B)) 로부터 하방측으로 충분히 이간되어 있기 때문에, 상완부 압상면 (62) 으로부터의 밀어 올리는 힘 (F) 을 상완부 (A) 의 무게 중심 (AG) 부근에 양호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완부 (A) 를 효과적으로 밀어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전연부 (26A) 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객 (P) 의 어깨부 (S) 의 측방으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전백부 (24) 의 상방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측면 충돌의 형태가 이른바 비스듬한 측면 충돌로, 승객 (P) 이 차량 비스듬한 전방으로 관성 이동한 경우에도, 승객 (P) 의 어깨부 (S) 가 전연부 (26A) 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측면 충돌의 형태에 상관없이, 승객 (P) 의 어깨부 (S) 를 사이드 에어백 (20) 에 의해 양호하게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져, 어깨부 (S) 의 구속을 충돌 후반까지 지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에 있어서, 승객 (P) 의 어깨부 (S) 의 중심 (볼트 (66)) 과 상완부 (A) 의 무게 중심 (AG) 을 잇는 선을 따라 사이드 에어백 (20) 을 절단한 경우, 어깨부 (S) 의 중심과 상완부 (A) 의 무게 중심 (AG) 사이에 오목부 (68) 가 형성된다. 이 오목부 (68) 는, 상칸막이부 (40B) 를 따라 시트백 (14) 의 전방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전연부 (26A) 의 전단측에는, 시트백 (14) 의 전방 비스듬한 하방을 향할수록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향하도록 만곡된 만곡면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팽창 전개된 사이드 에어백 (20) 과 승객 (P) 이 측면 충돌의 충격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접근할 때에는, 앞서 서술한 상완부 (A) 의 밀어 올리는 작용에 더하여, 승객 (P) 의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어깨부 (S) 가, 전연부 (26A) 의 전단측에 형성되는 상기 만곡면을 따라 상칸막이부 (40B) 측 (차량 전방측) 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어깨부 (S) 가 차량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승객 (P) 의 상체가 대략 수직인 축 둘레로 회전하고, 승객 (P) 의 등이 사이드 에어백 (20) 측을 향하게 된다. 이로써,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높은 등측을 사이드 에어백 (20) 에 의해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또, 흉부 (C) 가 사이드 에어백 (20) 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 (회전) 됨으로써, 흉부 (C) 에 대한 부하를 더욱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어깨부 (S) 가 차량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오목부 (68) 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어깨부 (S) 가 어깨 구속부인 전연부 (26A) 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비스듬한 충돌시에 있어서도 어깨부 (S) 를 양호하게 계속 구속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칸막이부 (40A) 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를 차량 폭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승객 (P) 의 히프 포인트 (HP) 와 겹치는 위치로부터 어깨부 (S) 의 중심을 향하여 겨드랑이부 (U) 의 하측까지 연장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백부 (24) 와 후백부 (26) 에 의해, 승객 (P) 의 흉부 (C) 및 복부 (B) 의 측면을 그 만곡을 따라 전후로부터 덮도록 구속할 수 있다. 이로써, 흉부 (C) 및 복부 (B) 와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량 전후 방향의 위치 관계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세로 칸막이부 (40A) 부근에 형성되는 오목부 (64) 에는, 흉부 (C) 의 측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중간부 (즉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가장 장출된 부분) 가 끼워 넣어진다. 이로써, 흉부 (C) (늑골 등) 에 대한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상칸막이부 (40B) 부근에 형성되는 오목부 (68) 에는, 전백부 (24) 와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밀어 올려진 상완부 (A) 가 끼워 넣어진다. 이로써, 상완부 (A) 를 밀어 올려진 위치에 양호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칸막이부 (40A) 및 상칸막이부 (40B) 가 기포 (28, 30) 의 일부 (전후 분할 테더부) 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테더부의 폭 치수분 만큼 전백부 (24) 및 후백부 (26) 의 차량 폭 방향의 팽창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전백부 (24) 및 후백부 (26) 의 충격 흡수 스트로크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칸막이부 (40A) 에는, 텐션포 (56) 를 사이에 둔 양측에, 전백부 (24) 내와 후백부 (26) 내를 서로 연통시키는 1 쌍의 연통구 (58, 60)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백부 (26) 내에 형성된 인플레이터 (22) 로부터의 가스가 1 쌍의 연통구 (58, 60) 를 지나 전백부 (24) 내에 공급된다. 이로써, 세로 칸막이부 (40A) 와 후백부 (26) 의 후단부 사이에 텐션포 (56) 가 건너질러진 구성이라 하더라도, 후백부 (26) 내의 인플레이터 (22) 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전백부 (24) 내에 양호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칸막이부 (40) 가 후백부 (26) 의 기포 (28, 30) 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백부 (24) 나 후백부 (26) 의 기포 (28, 30, 32, 34) 와는 별체의 재료에 의해 전후 칸막이부 (40) 가 구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사이드 에어백 (20) 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 (22) 로부터 분출되는 가스가, 정류포 (42) 의 상하의 개구부로부터 후백부 (26) 내에 공급되기 때문에, 후백부 (26) 의 상부 및 하부를 조기에 또한 고압으로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높은 승객의 어깨부 (S) 및 허리부 (L) 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칸막이부 (40B) 를 심 (봉제부) 에 의해 구성한 경우, 상완부 압상면 (62) 의 만곡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완부 (A) 에 작용하는 밀어 올리는 힘 (F) 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점은, 상칸막이부 (40B) 를, 세로 칸막이부 (40A) 보다 좁은 폭인 테더부에 의해 구성한 경우에도 동일하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칸막이부 (40A) 에 1 쌍의 연통구 (58, 60) 가 형성되고, 상칸막이부 (40B) 에는 연통구가 형성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요컨대, 세로 칸막이부 (40A) 와 상칸막이부 (40B) 에 각각 1 개 또는 복수의 연통구가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백부 (24) 및 후백부 (26) 의 적어도 일방에 벤트홀을 형성하고, 당해 적어도 일방의 내부에 공급된 가스를 상기 벤트홀을 통해 사이드 에어백 (20) 의 외부로 배기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적어도 일방에 미붕괴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신장 부재인 텐션포 (56) 가 기포 (28, 30, 32, 34) 와 별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요컨대, 신장 부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전백부 또는 후백부의 기포와 일체로 형성된 구성 즉, 전백부 또는 후백부의 기포의 일부에 의해 신장 부재의 전부 또는 일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작용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8 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구성 부재인 사이드 에어백 (70) 의 팽창 전개 상태가 도 3 에 대응한 단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텐션포 (56) 의 후단 가장자리부가 봉제부 (T5) 에 있어서 정류포 (42) 에 봉제되어 있고, 텐션포 (56) 와 정류포 (42) 에 의해 신장 부재 (72) 가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이 실시형태에서는, 신장 부재 (72) 의 일부가 정류포 (42) (정류 부재)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사이드 에어백 (70) 의 평면 전개 상태에서는, 전후 칸막이부 (40) 가 폭 방향 중앙부의 접은 자국을 따라 후백부 (26) 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둘로 접힌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전후 칸막이부 (40), 후백부 (26) 의 기포 (28, 30), 및 신장 부재 (72) 의 어느 것에도 여장이 생기지 않도록 사이드 에어백 (70) 의 각 부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로 칸막이부 (40A) 의 폭 치수를 2a 로 하고, 사이드 에어백 (20) 의 전후 방향을 따른 텐션포 (56) 의 길이 치수를 b 로 하며, 정류포 (42) 의 원주를 2d 로 하고, 후백부 (26) 의 원주로부터 상기 2a 를 뺀 치수를 2c 로 한 경우에, a + b + d = c 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신장 부재 (72) 의 일부가 정류 부재로서 부품 공용되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70) 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9 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구성 부재인 사이드 에어백 (80) 의 팽창 전개 상태가 도 3 에 대응한 단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10 에는, 이 사이드 에어백 (80) 의 팽창 전개 상태가 도 2 에 대응한 측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텐션포 (56) 가 생략되어 있고, 정류포 (42) (정류 부재) 에 의해 신장 부재 (82) 의 전부가 구성되어 있다. 이 정류포 (42) (신장 부재 (82)) 에서는, 봉제부 (T5) 가 생략되어 있고, 세로 칸막이부 (40A) 까지 연장된 기포 (46) 의 전단부가 봉제부 (T1) 에 있어서 세로 칸막이부 (40A) 의 폭 방향 중앙부에 봉제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사이드 에어백 (80) 의 평면 전개 상태에서는, 전후 칸막이부 (40) 가 폭 방향 중앙부의 접은 자국을 따라 후백부 (26) 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반으로 접힌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전후 칸막이부 (40), 후백부 (26) 의 기포 (28, 30), 및 신장 부재 (82) 의 어느 것에도 여장이 생기지 않도록 사이드 에어백 (80) 의 각 부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로 칸막이부 (40A) 의 폭 치수를 2a 로 하고, 신장 부재 (82) (정류포 (42)) 의 원주를 2d 로 하며, 후백부 (26) 의 원주로부터 상기 2a 를 뺀 치수를 2c 로 한 경우에, a + d = c 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신장 부재 (82) 의 전부가 정류포 (42) (정류 부재) 로서 부품 공용되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80) 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1 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구성 부재인 사이드 에어백 (90) 의 팽창 전개 상태가 도 2 에 대응한 측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12 에는, 이 사이드 에어백 (90) 의 팽창 전개 상태가 도 3 에 대응한 단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사이드 에어백 (90) 은, 상하 칸막이부 (92) 에 의해 전백부 (24) 및 후백부 (26) 로 구획된 하백부 (94) 를 갖고 있다. 이 하백부 (94) 의 내부는, 전챔버 (36) 및 후챔버 (38) 와는 구획된 하챔버 (95) 로 되어 있다.
이 하백부 (94) 는, 도 11 에 나타내어지는 기포 (96) 및 당해 기포 (96) 의 이측 (裏側) (도 11 에서는 지면 (紙面) 에 수직인 방향의 안측) 에 중첩된 기포 (98) 가 봉제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기포 (96, 98) 는, 외주 봉제부 (T2) 에 있어서 전단 가장자리부, 하단 가장자리부 및 후단 가장자리부가 봉제되어 있다. 이들 기포 (96, 98) 의 상단 가장자리부 사이에는, 전백부 (24) 및 후백부 (26) 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있고, 봉제부 (T6) 및 도시되지 않은 봉제부에 있어서, 하백부 (94) 와 전백부 (24) 및 후백부 (26) 가 봉제되어 있다. 전백부 (24) 및 후백부 (26) 의 하단부는 봉제부 (T7) 에 있어서 봉제되어 있고, 전백부 (24) 및 후백부 (26) 의 하단부에 의해 상하 칸막이부 (92) 가 구성되어 있다.
이 상하 칸막이부 (92) 의 후단부에 있어서는 봉제부 (T7) 가 생략되어 있고, 후백부 (26) 의 기포 (28, 30) 에 의해 구성된 역지 밸브 (10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역지 밸브 (100) 는, 하백부 (94) 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당해 역지 밸브 (100) 를 개재하여 후백부 (26) 내와 하백부 (94) 내가 연통되어 있다. 이 역지 밸브 (100) 내에는, 후백부 (26) 내에 형성된 허리부 정류포 (102) (외측 정류 부재) 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이 허리부 정류포 (102) 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류포 (42) 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봉제부 (T5) 에 있어서 텐션포 (56) 의 후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요컨대,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허리부 정류포 (102) 와 텐션포 (56) 에 의해 신장 부재 (104) 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후백부 (26) 내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류포 (42) 와 동일한 정류포 (42) (내측 정류 부재)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정류포 (42) 는, 하부측이 허리부 정류포 (102) 의 상단 개구로부터 허리부 정류포 (102)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 정류포 (42) 내에는, 인플레이터 (22) 가 수용되어 있고, 인플레이터 (22) 의 스터드 볼트 (48) 가 정류포 (42), 허리부 정류포 (102), 기포 (28) 및 사이드 프레임 (15A) 을 관통하여 너트 (50) 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사이드 에어백 (90) 의 평면 전개 상태에서는, 전후 칸막이부 (40) 가 폭 방향 중앙부의 접은 자국을 따라 후백부 (26) 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둘로 접힌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전후 칸막이부 (40), 후백부 (26) 의 기포 (28, 30), 및 신장 부재 (104) 의 어느 것에도 여장이 생기지 않도록 사이드 에어백 (90) 의 각 부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로 칸막이부 (40A) 의 폭 치수를 2a 로 하고, 사이드 에어백 (20) 의 전후 방향을 따른 텐션포 (56) 의 길이 치수를 b 로 하며, 정류포 (42) 의 원주를 2d 로 하고, 후백부 (26) 의 원주로부터 상기 2a 를 뺀 치수를 2c 로 한 경우에, a + b + d = c 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 2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 (22) 가 작동하였을 때에는, 신장 부재 (104) 의 일부인 허리부 정류포 (102) 에 의해 하백부 (94) 내에 팽창 전개용의 가스가 안내되므로, 하백부 (94) 를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 (90) 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인플레이터 (22) 로부터 분출되는 가스가 정류포 (42) 및 허리부 정류포 (102) 에 의해 정류되어 후백부 (26) 내 및 하백부 (94) 내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정류포 (42) 및 허리부 정류포 (102) 의 치수 등을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후백부 (26) 내 및 하백부 (94) 내에 대한 가스의 분배 비율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정류포 (42) 및 허리부 정류포 (102) 가 모두 포제 (布製) 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금속제의 디퓨저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사이드 에어백 (90) 을 콤팩트하게 절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허리부 정류포 (102) 가 텐션포 (56) 를 개재하여 세로 칸막이부 (40A) 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90) 의 팽창 전개시에는, 텐션포 (56) 의 텐션에 의해 허리부 정류포 (102) 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하백부 (94) 의 내압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역지 밸브 (100) 가 찌부러뜨려짐으로써, 하백부 (94) 내로부터 후백부 (26) 내로의 가스의 흐름이 제한된다 (완전하게 차단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로 인해, 하백부 (94) 의 내압이 높은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객 (P) 의 신체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높은 허리부 (L) 를 하백부 (94) 에 의해 효과적으로 구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역지 밸브 (100) 가 후백부 (26) 의 기포 (28, 30) 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백부 (26) 의 기포 (28, 30) 와는 별체의 재료에 의해 역지 밸브 (100) 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사이드 에어백 (20) 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13 에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구성 부재인 사이드 에어백 (110) 의 팽창 전개 상태가 도 3 에 대응한 단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신장 부재 (112) 의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이 신장 부재 (112) 에서는, 텐션포 (56) 의 전단부에는, 좌우 1 쌍의 포변 (布邊) (114, 116) 이 봉제부 (T8) 에 있어서 봉제되어 있고, 신장 부재 (112) 의 전단부가 사이드 에어백 (110) 의 상하 방향에서 보아 두 갈래로 분기되어 있다. 그리고, 이 두 갈래로 분기된 신장 부재 (112) 의 전단부가, 봉제부 (T9, T10) 에 있어서 세로 칸막이부 (40A) 에 봉제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칸막이부 (40A) 에는, 신장 부재 (112) 에 있어서의 두 갈래로 분기된 전단부 사이에, 전백부 (24) 내와 후백부 (26) 내를 서로 연통시키는 1 또는 복수의 연통구 (118)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 에서는, 인플레이터 (22) 및 정류포 (42) 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사이드 에어백 (110) 의 평면 전개 상태에서는, 전후 칸막이부 (40) 가 폭 방향 중앙부의 접은 자국을 따라 후백부 (26) 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둘로 접힌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전후 칸막이부 (40), 후백부 (26) 의 기포 (28, 30), 및 신장 부재 (112) 의 어느 것에도 여장이 생기지 않도록 사이드 에어백 (110) 의 각 부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텐션포 (56) 의 길이 치수를 b 로 하고, 포변 (114, 116) 에 있어서의 텐션포 (56) 로부터 세로 칸막이부 (40A) 까지의 길이 치수를 e 로 하며, 세로 칸막이부 (40A) 에 있어서의 포변 (114, 116) 보다 폭 방향 외측 부분의 길이 치수를 f 로 하고, 후백부 (26) 의 원주로부터 세로 칸막이부 (40A) 의 폭 치수를 뺀 치수를 2c 로 한 경우에, b + e + f = c 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세로 칸막이부 (40A) 에 연결된 신장 부재 (112) 의 전단부가, 사이드 에어백 (110) 의 상하 방향에서 보아 두 갈래로 분기되어 있기 때문에, 신장 부재 (112) 의 신장시에 세로 칸막이부 (40A) 에 입력되는 인장력이 세로 칸막이부 (40A) 의 1 개 지점에 집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신장 부재 (112) 의 신장시 (즉 사이드 에어백 (110) 의 팽창 전개시) 에 있어서의 세로 칸막이부 (40A) 의 부주의한 절곡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칸막이부 (40A) 에 전술한 바와 같은 연통구 (118)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로 칸막이부 (40A) 와 후백부 (26) 의 후단부 사이에, 전단부가 두 갈래 형상인 신장 부재 (112) 가 건너질러진 구성이라 하더라도, 후백부 (26) 내의 인플레이터 (22) 로부터 발생하는 가스를 전백부 (24) 내의 폭 방향 중앙부에 공급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사이드 에어백 (110) 의 전개 거동을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후백부 (26) 가 전연부 (26A) 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연부 (26A) 가 생략된 구성, 즉 전연부 (26A) 부분이 전백부 (24) 에 의해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칸막이부 (40) 가 후백부 (26) 의 기포 (28, 30) 의 일부 (후백부 (26) 의 전방부) 에 의해 구성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요컨대, 도 14 에 나타내어지는 변형예와 같이, 전백부 (24) 의 기포 (32, 34) 의 일부 (전백부 (24) 의 후방부) 에 의해 전후 칸막이부 (40) 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 외,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 일본 출원인 일본 특허출원 2013-139720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 중에 받아들여진다. 또,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 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것이, 구체적 또한 개별적으로 기재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Claims (14)

  1. 차량용 시트 (12) 에 형성되고, 작동함으로써 팽창 전개용의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 장치 (22) 와,
    시트상의 전후 칸막이부 (40) 에 의해 전백부 (24) 와 후백부 (26) 로 구획되고,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용 시트 (12) 의 시트백 (14) 의 측부 내에 수용됨과 함께, 상기 팽창 전개용의 가스가 상기 각 백부 내에 공급되어 상기 측부의 차량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는 사이드 에어백을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평면 전개 상태에서는 상기 전후 칸막이부 (40) 가 폭 방향 중앙부의 접은 자국을 따라 상기 후백부 (26) 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둘로 접힘과 함께, 당해 전후 칸막이부 (40) 와 상기 후백부 (26) 의 후단부 사이에 신장 부재 (56) 가 건너질러져 있고,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상기 신장 부재 (56) 가 신장되어 상기 후백부 (26) 의 차량 전후 방향의 팽창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부재 (56) 는, 상기 전후 칸막이부 (40) 의 폭 방향 중앙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부재 (56) 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팽창 전개용의 가스를 정류하는 정류 부재 (4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상하 칸막이부 (92) 에 의해 상기 전백부 (24) 및 상기 후백부 (26) 와 구획된 하백부 (94) 를 갖고 있고, 상기 신장 부재 (56) 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기 정류 부재 (42) 에 의해 상기 팽창 전개용의 가스가 상기 하백부 (94) 내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백부 (26) 내에 형성된 상기 가스 발생 장치 (22) 로부터의 가스가 상기 하백부 (94) 내에 공급됨과 함께, 상기 사이드 에어백에는, 상기 하백부 (94) 내로부터 상기 후백부 (26) 내로의 가스의 흐름을 제한하는 역지 밸브 (100)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칸막이부 (40) 에는, 상기 신장 부재 (56) 를 사이에 둔 양측 또는 편측의 상하 2 개 지점에, 상기 전백부 (24) 내와 상기 후백부 (26) 내를 서로 연통시키는 1 쌍의 연통구 (58, 60)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백부 (26) 내에 형성된 상기 가스 발생 장치 (22) 로부터의 가스가 상기 1 쌍의 연통구 (58, 60) 를 지나 상기 전백부 (24) 내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부재 (56) 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상하 방향에서 보아 두 갈래로 분기된 전단부가 상기 전후 칸막이부 (40) 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칸막이부 (40) 에는, 상기 신장 부재 (56) 에 있어서의 두 갈래로 분기된 전단부 사이에, 상기 전백부 (24) 내와 상기 후백부 (26) 내를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구 (118)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칸막이부 (40) 의 상부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상기 시트백 (14) 의 전방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칸막이부로 되어 있고, 상기 후백부 (26) 의 상부에 형성된 전연부가 상기 상칸막이부에 의해 상기 전백부 (24) 와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칸막이부 (40) 는, 상기 전백부 (24) 또는 상기 후백부 (26) 의 기포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백부 (26) 내에 형성됨과 함께, 내측에 상기 가스 발생 장치 (22) 를 수용한 정류 부재 (102) 를 갖고, 당해 정류 부재 (102) 의 상하의 개구부로부터 상기 팽창 전개용의 가스가 상기 후백부 내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전개 상태에서는, 상기 전후 칸막이부 (40), 상기 후백부 (26) 의 기포, 및 상기 신장 부재 (56) 의 어느 것에도 여장이 생기지 않도록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각 부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역지 밸브 (100) 는, 상기 후백부 (26) 의 기포에 의해 구성됨과 함께 상기 하백부 (94) 내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부재 (42) 는, 상하에 개구부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외측 정류 부재 및 내측 정류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외측 정류 부재는, 상기 신장 부재 (56) 의 일부를 구성함과 함께 하부측이 상기 역지 밸브 (100) 내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내측 정류 부재는, 내측에 상기 가스 발생 장치 (22) 를 수용함과 함께 하부측이 상기 외측 정류 부재 내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0157036790A 2013-07-03 2014-06-06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1715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39720 2013-07-03
JP2013139720A JP5776733B2 (ja) 2013-07-03 2013-07-03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PCT/JP2014/065160 WO2015001912A1 (ja) 2013-07-03 2014-06-06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022A KR20160014022A (ko) 2016-02-05
KR101715548B1 true KR101715548B1 (ko) 2017-03-13

Family

ID=5214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790A KR101715548B1 (ko) 2013-07-03 2014-06-06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849857B2 (ko)
EP (1) EP3018012B1 (ko)
JP (1) JP5776733B2 (ko)
KR (1) KR101715548B1 (ko)
CN (1) CN105377638B (ko)
BR (1) BR112015032596B1 (ko)
CA (1) CA2917119C (ko)
RU (1) RU2612342C1 (ko)
WO (1) WO20150019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6748B2 (ja) 2013-07-31 2015-04-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WO2015111425A1 (ja) * 2014-01-27 2015-07-3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7057073A1 (ja) * 2015-09-29 2017-04-0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432547B2 (ja) * 2016-03-02 2018-1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2098372B1 (ko) * 2016-05-20 2020-04-07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9682681B1 (en) * 2016-05-31 2017-06-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daptive side torso airbag
US11225218B2 (en) * 2016-09-07 2022-01-18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bag device
JP6460070B2 (ja) 2016-09-14 2019-0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WO2018123427A1 (ja) * 2016-12-26 2018-07-0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658585B2 (ja) 2017-02-03 2020-03-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JP6729435B2 (ja) * 2017-02-06 2020-07-22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11214225B2 (en) * 2017-08-01 2022-01-04 Autoliv Development Ab Passenger protection apparatus
JP6922677B2 (ja) 2017-11-13 2021-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9146382A1 (ja) * 2018-01-26 2019-08-0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US11059442B2 (en) * 2019-03-26 2021-07-1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daptive side airbag for protecting occupants in a vehicle
JP7368146B2 (ja) * 2019-08-30 2023-10-24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
KR20210037252A (ko) * 2019-09-27 2021-04-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폴딩 방법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
US11383670B2 (en) * 2019-09-30 2022-07-12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apparatus
JP7419751B2 (ja) 2019-11-05 2024-01-23 Joyson Safety Systems Japan合同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210097450A (ko) * 2020-01-30 2021-08-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및 그 작동방법
JP2022064181A (ja) * 2020-10-13 2022-04-25 マツダ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7184A (ja) * 2003-01-17 2004-08-05 Toyoda Gosei Co Ltd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GB2403457A (en) * 2003-06-30 2005-01-05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JP4720753B2 (ja) * 2007-02-16 2011-07-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8201172A (ja) 2007-02-16 2008-09-04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125490B2 (ja) * 2007-12-26 2013-01-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101540075B1 (ko) * 2008-11-21 2015-07-2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측면 에어백 모듈
JP5419477B2 (ja) * 2009-01-19 2014-02-19 ティーケー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サイドエアバッグ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892572B2 (ja) * 2009-02-12 2012-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DE102009031615A1 (de) * 2009-07-03 2011-0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Luftsackanordnung sowie Verfahren zur Fertigung der Luftsackanordnung
JP2011194935A (ja) * 2010-03-17 2011-10-06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611664B2 (ja) 2010-05-18 2014-10-22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自動車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473812B2 (ja) * 2010-07-20 2014-04-16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2412585B1 (en) * 2010-07-28 2015-09-09 Toyoda Gosei Co., Ltd. Airbag apparatus
JP5605266B2 (ja) * 2010-07-28 2014-10-15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615097B2 (ja) * 2010-08-26 2014-10-2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JP5252000B2 (ja) * 2011-02-04 2013-07-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861456B2 (ja) 2011-12-28 2016-02-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回転式圧縮機
JP5783145B2 (ja) 2012-08-01 2015-09-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の展開方法及び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664607B2 (ja) 2012-08-02 2015-0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803948B2 (ja) * 2013-01-23 2015-11-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236286B2 (ja) * 2013-10-30 2017-11-22 マツダ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949737B2 (ja) * 2013-12-06 2016-07-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07749B2 (ja) * 2014-06-23 2017-04-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432547B2 (ja) * 2016-03-02 2018-1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1912A1 (ja) 2015-01-08
CA2917119A1 (en) 2015-01-08
JP5776733B2 (ja) 2015-09-09
EP3018012A4 (en) 2016-06-22
CA2917119C (en) 2017-11-07
KR20160014022A (ko) 2016-02-05
US20160368449A1 (en) 2016-12-22
US9849857B2 (en) 2017-12-26
JP2015013500A (ja) 2015-01-22
BR112015032596A2 (pt) 2017-07-25
CN105377638A (zh) 2016-03-02
BR112015032596B1 (pt) 2021-02-02
RU2612342C1 (ru) 2017-03-07
EP3018012B1 (en) 2017-04-12
EP3018012A1 (en) 2016-05-11
CN105377638B (zh)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548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1680491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1774718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차량용 시트
JP5761231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803948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804214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JP5664607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949712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KR20150039800A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2019018593A (ja) エアバッグ装置
WO2013157082A1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126561B2 (en) Side airbag device for vehicle
JP5895872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6078768A (ja)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4133462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3252773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915549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380064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9241687A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