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800A -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800A
KR20150039800A KR1020157004980A KR20157004980A KR20150039800A KR 20150039800 A KR20150039800 A KR 20150039800A KR 1020157004980 A KR1020157004980 A KR 1020157004980A KR 20157004980 A KR20157004980 A KR 20157004980A KR 20150039800 A KR20150039800 A KR 20150039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de airbag
airbag
airbags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스케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50039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ther means for limitation of cover motion during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24Inner walls crating separate compartments, e.g. communicating with 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2In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Abstract

사이드 에어백에 의한 탑승원 어깨부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킨다.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20) 이 팽창 전개되면, 그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폭 방향 외측에서 상측 백부 (34) 와 하측 백부 (36) 사이에 걸쳐진 텐션포 (26) 가 상하로 잡아당겨진다. 이것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폭 방향의 팽창 폭이 확대되기 때문에, 소용량의 사이드 에어백 (20) 에 의해 차폭 방향의 충격 흡수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텐션포 (26) 가, 상측 백부 (34) 를 차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반력면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도어 벨트 라인 (49) 의 위치가 낮은 차량에 있어서도, 탑승원 (P) 의 어깨부 (S) 를 조기에 구속할 수 있다. 또, 차량이 횡전된 경우에는, 텐션포 (26) 가 도어 유리 (50) 의 파편 등으로부터 사이드 에어백 (20) 을 보호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VEHICLE SIDE AIR BA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 에 나타낸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 전개시에 탑승원의 흉부의 차폭 방향 외측단보다 차량 후방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측 튜브백부와, 그 후측 튜브백부보다 차량 전방측에서 탑승원의 흉부의 차폭 방향 외측단보다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측 (前側) 튜브백부를 구비하고 있다. 후측 튜브백부의 상부는, 탑승원의 어깨부 측방에 위치하여 어깨부를 구속하는 어깨 구속부로 되어 있고, 전측 튜브백의 상측 가장자리는, 어깨 구속부보다 차량 전방측에서 탑승원의 겨드랑이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며 탑승원의 상완부가 놓이는 아암 서포트부로 되어 있다.
요컨대, 이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높은 탑승원의 어깨부를 어깨 구속부에 의해 구속하는 한편, 탑승원의 상완부를 아암 서포트부에 올려놓음으로써,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낮은 탑승원의 흉부와 에어백 사이에 상완부가 개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32072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사이드 에어백은 용량이 크기 때문에, 팽창 전개 속도가 느려지는 경향이 있어,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특히, 사이드 도어의 도어 벨트 라인이 낮은 차량에서는, 탑승원 어깨부와 차체 측부 (사이드 도어의 도어 유리) 사이의 간극이 넓기 때문에, 당해 간극으로 팽창 전개된 사이드 에어백의 어깨 구속부에 대하여 차체 측부로부터의 반력을 조기에 부여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 결과, 탑승원 어깨부의 구속이 느려지고, 탑승원 흉부에 대한 부하가 증가하는 것이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사이드 에어백에 의한 탑승원 어깨부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작동함으로써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2 개의 백부를 갖고, 내부에 상기 가스가 공급됨으로써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외측의 측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고, 상기 2 개의 백부가 차체 측부를 따라 나열됨과 함께, 상기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탑승원의 적어도 어깨부, 흉부 및 복부를 구속하는 사이드 에어백과, 상기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차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2 개의 백부 사이에 걸쳐져서 상기 2 개의 백부 사이에서 잡아당겨짐과 함께, 당해 잡아당겨지는 방향에 대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차폭 방향의 팽창 폭을 확대시키는 텐션포 (布)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크기는, 예를 들어 국제 통일 측면 충돌 더미 (World Side Impact Dummy : WorldSID) 를 사용하여 설정된다.
제 1 양태에서는, 예를 들어 차량의 측면 충돌 또는 횡전 (橫轉) 이 검지되면, 인플레이터가 작동되어 가스가 발생하고, 당해 가스가 사이드 에어백의 내부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이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외측의 측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고,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탑승원의 적어도 어깨부, 흉부 및 복부가 사이드 에어백에 의해 구속된다.
여기서, 상기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이 구비하는 2 개의 백부가 차체 측부를 따라 나열됨과 함께, 사이드 에어백의 차폭 방향 외측에서 2 개의 백부 사이에 걸쳐진 텐션포가 2 개의 백부 사이에서 잡아당겨진다. 그 결과, 텐션포가 잡아당겨지는 방향에 대한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이 억제되고, 사이드 에어백의 차폭 방향의 팽창 폭이 확대된다. 이것에 의해, 소용량의 사이드 에어백에 의해 차폭 방향의 충격 흡수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충격 흡수 스트로크를 줄이지 않고 사이드 에어백의 용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을 조기에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의 차폭 방향의 팽창 폭이 확대되기 때문에, 탑승원 어깨부와 차체 측부 사이의 간극이 넓은 경우라도, 당해 간극으로 팽창 전개된 사이드 에어백의 어깨 구속부에 대하여 차체 측부로부터의 반력을 조기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사이드 에어백에 의한 탑승원 어깨부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팽창 전개된 사이드 에어백의 차폭 방향 외측에 텐션포가 위치하기 때문에, 차량이 횡전된 경우라도, 사이드 도어의 도어 유리의 파편 등으로부터 사이드 에어백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상기 2 개의 백부가 상하로 나열됨과 함께, 상기 어깨부를 구속하는 상측의 상기 백부에 있어서의 상기 어깨부의 중심보다 상방측의 부분과 하측의 상기 백부 사이에서 상기 텐션포가 잡아당겨진다.
또한, 상기「어깨부의 중심」의 위치는, 예를 들어,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국제 통일 측면 충돌 더미의 어깨부에 형성된 볼트의 중심 (축심) 의 위치가 된다.
제 2 양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 전개되면, 2 개의 백부가 상하로 나열되고, 사이드 에어백의 차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텐션포가, 상측의 백부에 있어서의 어깨부의 중심보다 상방측의 부분과 하측의 백부 사이에서 잡아당겨진다. 그 결과, 텐션포가 탑승원의 어깨부를 구속하는 상측의 백부를 차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반력면으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상측의 백부에 의한 탑승원 어깨부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텐션포가 사이드 에어백의 차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은, 상하의 백부 사이의 구획부가 차폭 방향 내측으로 변위하도록 당해 구획부를 따라 약간 구부러지면서 상하 방향 중간부를 차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시키도록 팽창 전개된다. 이것에 의해, 상측의 백부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내측면이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할수록 상승하도록 경사지거나 또는 만곡된다. 이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과 탑승원이 측면 충돌의 충격에 의해 상대적으로 접근함으로써, 탑승원의 상완부를 상기 경사지거나 또는 만곡된 면과 슬라이딩 접촉시켜 상방측으로 미끄러져 올라가도록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탑승원의 흉부와 사이드 에어백 사이에 상완부가 개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흉부의 부하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상기 차체 측부에 형성된 사이드 도어의 도어 벨트 라인을 상하로 걸쳐 상기 텐션포가 전개된다.
제 3 양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 전개되면, 당해 사이드 에어백의 차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텐션포가, 사이드 도어의 도어 벨트 라인을 상하로 걸쳐 전개된다. 그리고, 이 텐션포가, 상측의 백부에 있어서의 어깨부의 중심보다 상방측의 부분과 하측의 백부 사이에서 잡아당겨져 상측 백부의 반력면으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상측의 백부에 있어서 도어 벨트 라인보다 상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하여, 사이드 도어의 도어 트림 등으로부터의 반력을 직접 작용시킬 수 없는 경우라도, 텐션포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상측의 백부를 차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어 벨트 라인의 위치가 낮은 경우라도, 사이드 에어백에 의한 탑승원 어깨부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2 또는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시트는 운전석이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상기 운전석에 착석한 탑승원의 상완부보다 하방측에 있어서, 상기 상완부를 따라 차량 전방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제 4 양태에서는, 탑승원의 상완부는, 차량 전방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져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 상완부의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국제 통일 측면 충돌 더미를 사용한 측면 충돌 시험에 있어서 정해지는 경사 각도로 된다.
제 4 양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구획부가 상기와 같이 연장되기 때문에, 상측의 백부의 차폭 방향 내측면, 즉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할수록 상승하도록 경사지거나 또는 만곡되는 면과 탑승원의 상완부의 길이 방향 중앙부 (상완부의 중심 부근) 를 양호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경사지거나 또는 만곡된 면과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상완부에 작용하는 밀어 올리는 힘을 상완부의 중심 부근에 양호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완부를 효과적으로 밀어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상기 탑승원의 흉부의 측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중앙부를 따라 상기 구획부가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2 개의 백부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나열된다.
제 5 양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 전개되면, 2 개의 백부 사이의 구획부가 탑승원 흉부의 측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중앙부를 따라 상하로 연장되고, 2 개의 백부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나열된다. 그리고, 사이드 에어백의 차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텐션포가 전측의 백부와 후측의 백부 사이에서 잡아당겨진다. 그 결과, 차량 전후 방향에 대한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이 억제되고, 사이드 에어백의 차폭 방향의 팽창 폭이 확대된다. 이 경우, 사이드 에어백은, 전후의 백부 사이의 구획부가 차폭 방향 내측으로 변위하도록 당해 구획부를 따라 약간 구부러지면서 전후 방향 중앙부가 차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팽창 전개된다. 그 결과, 전측의 백부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내측면이 차량 전방측을 향할수록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거나 또는 만곡된다. 이 때문에, 당해 경사지거나 또는 만곡된 면과 탑승원의 흉부의 측면이 측면 충돌의 충격에 의해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탑승원의 상반신을 차량 전방측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높은 탑승원 흉부의 후반부가 전측의 백부에 의해 구속되게 되고,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낮은 탑승원 흉부의 전반부가 사이드 에어백으로부터의 부하를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 제 5 양태에 있어서, 상기 텐션포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을 구성하는 기포 (基布) 와는 별체의 포재 (布材) 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외주부에 형성된 외주 봉제부보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외주 외측에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에 봉제되어 있다.
제 6 양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에 있어서의 외주 봉제부보다 외주 외측에 텐션포가 봉제되어 있기 때문에, 텐션포를 사이드 에어백에 봉제하기 위한 봉제부로부터의 가스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1 ∼ 제 5 양태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일부가 상기 텐션포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7 양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을 구성하는 기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의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제 6 또는 제 7 양태에 있어서, 상기 텐션포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을 구성하는 기포보다 잘 신장되지 않는 포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8 양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텐션포가 잡아당겨지는 방향에 대한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를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고, 사이드 에어백의 차폭 방향의 팽창 폭을 양호하게 확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서는, 사이드 에어백에 의한 탑승원 어깨부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탑재된 차량용 시트의 측면도로서, 사이드 에어백이 팽창 전개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F2-F2 선을 따른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동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동 사이드 에어백에 텐션포를 봉제할 때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동 사이드 에어백을 전단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2 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5 에 대응한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의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은 동 사이드 에어백에 텐션포를 봉제할 때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동 사이드 에어백을 전단측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F10-F10 선을 따른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F12-F12 선을 따른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에 대해서, 도 1 ∼ 도 6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히 기재하는 화살표 (FR), 화살표 (UP), 화살표 (OUT) 는, 차량의 전 (前) 방향 (진행 방향), 상 방향, 차폭 방향의 외측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하, 간단히 전후, 상하의 방향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차량 전후 방향의 전후, 차량 상하 방향의 상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구성)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는, 차량용 시트 (12) (여기서는 운전석) 에 있어서의 시트백 (14) 의 도어측 사이드부 (14A) (도 2 에 나타내는 사이드 도어 (46) 측의 측부) 에 탑재되어 있다. 이 시트백 (14) 은, 시트 쿠션 (16) 의 후단부에 경도 (傾倒)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헤드레스트 (18) 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용 시트 (12) 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은, 차량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또, 도 1 및 도 2 에서는, 차량용 시트 (12) 에는 실제 탑승원 대신에 충돌 시험용 더미 (P) 가 착석하고 있다. 이 더미 (P) 는, 예를 들어 국제 통일 측면 충돌 더미 (World Side Impact Dummy : WorldSID) 이며, 상완부 (A) 가 차량 전방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경사져 있다. 이 상완부 (A) 의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국제 통일 측면 충돌 더미를 사용한 측면 충돌 시험에서 정해지는 경사 각도가 된다. 이하,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더미 (P) 를「탑승원 (P)」이라고 한다.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는, 사이드 에어백 (20) 과, 그 사이드 에어백 (20) 내에서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22) (가스 발생 수단) 와, 인플레이터 (22) 로부터 발생한 가스를 정류하는 디퓨저 (24) (정류 부재) 와, 사이드 에어백 (20) 에 장착된 텐션포 (26) (장력포 : 연결포) 를 주요부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 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이드 에어백 (20) 은, 텐션포 (26) 와 함께 접혀, 인플레이터 (22) 및 디퓨저 (26) 와 함께 모듈화 (유닛화) 된 상태에서 도어측 사이드부 (14A) 의 내부에 배치 형성 (격납) 되어 있고, 인플레이터 (22) 로부터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탑승원 (P) 과 사이드 도어 (46) 사이로 팽창 전개된다 (도 1 및 도 2 도시 상태). 이 팽창 전개시에는, 도어측 사이드부 (14A) 에 배치 형성된 시트백 패드 및 시트 표피 (모두 도시 생략) 가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압을 받아 파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기재하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전후 상하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사이드 에어백 (20) 이 팽창 전개된 상태에서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며, 시트백 (14) 의 전후 상하의 방향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20) 은, 소위 트윈 챔버 사이드 에어백이며, 예를 들어 나일론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의 포재를 잘라내어 형성된 2 장의 기포 (28, 30) 가 중첩되어 외주 가장자리부를 외주 봉제부 (T1) (시임 : 도 1 에서는 도시 생략) 에 있어서 봉제됨으로써 봉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1 장의 기포가 둘로 접혀져 외주 가장자리부가 봉제됨으로써 사이드 에어백 (20) 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사이드 에어백 (20) 의 제조 방법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직기에 의한 더블 위빙 공법 (소위 OPW 공법) 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도 3 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외주 봉제부 (T1) 를 싱글스티치 시임으로 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외주 봉제부 (T2) 는 더블스티치 시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사이드 에어백 (20) 은, 팽창 전개 상태에서 기포 (28) 가 차폭 방향 내측 (탑승원 (P) 측) 을 향하고, 기포 (30) 가 차폭 방향 외측 (사이드 도어 (46) 측) 을 향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사이드 에어백 (20) 은,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창 전개 상태를 측면에서 본 경우에, 시트백 (14) 의 높이 방향을 따라 장척인 대략 타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탑승원 (P) 의 어깨부 (S), 흉부 (C), 복부 (B) 및 요부 (L) 를 구속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에어백 (20) 의 크기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탑승원 (P) 의 어깨부 (S), 흉부 (C) 및 복부 (B) 를 구속 가능한 것이면 된다.
이 사이드 에어백 (20) 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 있어서의 상부측에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후단 가장자리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구획부 (3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획부 (32)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포 (28, 30) 를 봉제한 봉제부 (T2) (시임)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구획부 (32) 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 (20) 이 상측의 백부 (34) (이하, 상측 백부 (34) 라고 한다) 와 하측의 백부 (36) (이하, 하측 백부 (36) 라고 한다) 로 구획되어 있다. 상측 백부 (34) 의 내부는 상측 챔버 (38) 로 되어 있고, 하측 백부 (36) 의 내부는 하측 챔버 (40) 로 되어 있다. 상측 챔버 (38) 와 하측 챔버 (40) 는 구획부 (32) 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단, 구획부 (32) 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후단 가장자리까지는 도달하지 않고, 사이드 에어백 (20) 의 후부에는, 상측 챔버 (38) 와 하측 챔버 (40) 를 연통시킨 연통구 (42)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사이드 에어백 (20) 이 팽창 전개된 상태에서는, 구획부 (32) 가 탑승원 (P) 의 겨드랑이부의 하방 근방으로부터 시트백 (14) 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측 백부 (34) 와 하측 백부 (36) 가 사이드 도어 (46) (차체 측부) 를 따라 상하로 나열된다. 그리고, 상측 백부 (34) 가 탑승원 (P) 의 어깨부 (S) 와 대향함과 함께, 하측 백부 (36) 가 탑승원의 흉부 (C), 복부 (B) 및 요부 (L) 와 대향한다.
한편,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 (22) 는, 소위 실린더 타입의 인플레이터이며, 원통상으로 형성된 디퓨저 (24) 와 함께 사이드 에어백 (20) 의 내부에 있어서의 후단부측에 수용되어 있다. 이 인플레이터 (22) 는, 디퓨저 (24) 의 내측에 동축적 (同軸的) 으로 수용되어 있고, 디퓨저 (24) 의 일부가 코킹됨으로써 디퓨저 (24) 에 고정되어 있다. 인플레이터 (22) 및 디퓨저 (24)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 방향이 시트백 (14) 의 높이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디퓨저 (24) 의 외주부로부터는, 차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상하 1 쌍의 스터드 볼트 (도시 생략) 가 돌출되어 있다. 이것들 스터드 볼트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기포 (28) 및 시트백 프레임 (15) 의 사이드 프레임 (15A) 을 관통하고 있고, 선단측에 도시되지 않은 너트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디퓨저 (24) 가 사이드 에어백 (20) 과 함께 사이드 프레임 (15A) 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인플레이터 (22) 에는, 차량에 탑재된 ECU (52)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ECU (52) 에는, 차량의 측면 충돌을 검지하는 측돌 (側突) 센서 (54) 와, 차량의 횡전을 검지하는 롤오버 센서 (56)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 ECU (52), 측돌 센서 (54) 및 롤오버 센서 (56) 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의 구성 부재이다.
ECU (52) 는, 측돌 센서 (54) 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 (의 불가피) 을 검지했을 때, 및 롤오버 센서 (56) 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횡전을 검지했을 때에, 인플레이터 (22) 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ECU (52) 에 측면 충돌을 예지 (예측) 하는 프리 크래시 센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리 크래시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ECU (52) 가 측면 충돌을 예지했을 때에 인플레이터 (22) 가 작동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인플레이터 (22) 가 작동하면, 인플레이터 (22) 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형성된 가스 분출구로부터 가스가 분출된다. 분출된 가스는, 디퓨저 (24) 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상방측으로 분출되고, 연통구 (42) 를 통하여 상측 챔버 (38) 에 공급됨과 함께, 디퓨저 (24) 의 하단 개구부로부터 하방측으로 분출되어 하측 챔버 (40) 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 (20) 이 탑승원 (P) 과 사이드 도어 (46) 의 도어 트림 (48) 사이로 팽창 전개된다. 또한, 도 2 에서는 사이드 도어 (46) 를 개략적으로 기재하고 있다.
한편, 텐션포 (26) 는, 사이드 에어백 (20) 을 구성하는 기포 (28, 30) 와는 별체의 포재에 의해 장척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텐션포 (26) 의 재료인 포재는, 기포 (28, 30) 보다 잘 신장되지 않는 포재로 되어 있다. 이 텐션포 (26) 는, 길이 방향이 구획부 (32) 의 연장 방향과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고 또한 구획부 (32) 를 걸친 상태에서, 기포 (30) 를 개재하여 기포 (28) 와는 반대측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이 텐션포 (26) 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그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텐션포 (26) 의 길이 방향 일단부 (전단부) 는, 봉제부 (T3) (시임) 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 (20) 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봉제되어 있다. 또, 텐션포 (26) 의 길이 방향 타단부 (후단부) 는, 봉제부 (T4) 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 (20) 의 하단 가장자리부에 봉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텐션포 (26) 가 상측 백부 (34) 의 상단부와 하측 백부 (36) 의 하단부 사이에 걸쳐져 있고, 당해 텐션포 (26) 에 의해 상측 백부 (34) 의 상단부와 하측 백부 (36) 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텐션포 (26) 의 폭 치수 (일방의 장변 가장자리부로부터 타방의 장변 가장자리부까지의 치수) 는, 평면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에어백 (20) 의 전후 방향의 치수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또, 이 텐션포 (26) 의 길이 치수 (일방의 단변 가장자리부로부터 타방의 단변 가장자리부까지의 치수) 는, 평면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에어백 (20) 의 상하 방향의 치수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텐션포 (26) 가 사이드 에어백 (20) 과 봉제될 때에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20) 의 상하 방향 중간부의 일부가 사이드 에어백 (20) 의 전후 방향을 따른 1 쌍의 접힘선 (L1, L2) 을 따라 접힘과 함께, 당해 접힌 사이드 에어백 (20) 에 텐션포 (26) 가 중첩되어 봉제부 (T3, T4) 가 봉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사이드 에어백 (20) 에 봉제된 텐션포 (26) 는, 통상은 사이드 에어백 (20) 과 함께 접혀 도어측 사이드부 (14A) 내에 수용되어 있고, 사이드 에어백 (20) 이 인플레이터 (22) 로부터의 가스의 공급을 받아 팽창 전개될 때에,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 전개된다. 이 텐션포 (26) 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에어백 (20) 의 상하 방향의 치수보다 길이 치수가 짧게 설정됨과 함께, 상측 백부 (34) 의 상단부와 하측 백부 (36) 의 하단부 사이에 걸쳐져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20) 이 팽창 전개되면, 텐션포 (26) 가 상측 백부 (34) 의 상단부와 하측 백부 (36) 의 하단부 사이에서 잡아당겨진다. 이것에 의해, 텐션포 (26) 가 잡아당겨지는 방향 (도 5 의 화살표 (T) 방향) 에 대한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이 억제된다. 그 결과,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폭 방향의 팽창 폭 (W) 이 확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요컨대, 도 2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텐션포 (26) 가 잡아당겨져 팽팽해짐으로써 (신장된다), 사이드 에어백 (20) 이 상하로 팽창할 수 없게 되고, 사이드 에어백 (20) 이 구획부 (32) 를 차폭 방향 내측으로 변위시키도록 하여 구획부 (32) 를 따라 약간 구부러진다. 이것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 (20) 의 상하 방향 중간부가 차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고, 사이드 에어백 (20) 의 상하 방향 중간부와 텐션포 (26) 사이에 차량 전후 방향에서 보아 대략 삼각형상의 간극 (58) 이 형성된다.
이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를 구획부 (32) 가 연장되는 방향 (여기서는 시트백 (14) 의 전후 방향) 에서 보면,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폭 방향 내측면 (기포 (28)) 이 차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볼록을 이루는 궁형으로 휘는 한편, 텐션포 (26) 가 직선상으로 신장됨으로써, 기포 (28) 와 텐션포 (26) 에 의해 대략 D 자형의 외주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측 백부 (34) 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내측면이,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할수록 상승하도록 만곡된 상완부 밀어 올림면 (60) 이 된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전개 상태를 차폭 방향 외측에서 보면, 텐션포 (26) 가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폭 방향 외측에 있어서 대략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탑승원 (P) 의 어깨부 (S), 흉부 (C), 복부 (B) 및 요부 (L) 를 개재하여 사이드 에어백 (20) 과는 반대측에 텐션포 (26) 가 배치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도어 (46) 의 도어 벨트 라인 (49) 이, 탑승원 (P) 의 어깨부 (S) 의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팽창 전개된 사이드 에어백 (20) 의 구획부 (32) 가, 도어 벨트 라인 (49)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팽창 전개된 상측 백부 (34) 가 도어 벨트 라인 (49) 보다 상방측으로 돌출되어 탑승원 (P) 의 어깨부 (S) 와 사이드 도어 (46) 의 도어 유리 (50)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이 상측 백부 (34) 의 상단부 (어깨부 (S) 의 중심보다 상방측의 부분) 와 하측 백부 (36) 의 하단부 사이에 걸쳐진 텐션포 (26) 가 도어 벨트 라인 (49) 을 상하로 걸쳐 전개되고, 상측 백부 (34) 및 하측 백부 (36) 와 사이드 도어 (46) 사이에 개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깨부 (S) 의 중심의 위치는, 차량용 시트 (12) 에 착석한 더미 (P) 의 어깨부 (S) 에 형성된 볼트 (62) 의 축심의 위치가 된다.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본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10) 에서는, ECU (52) 가 측돌 센서 (54) 또는 롤오버 센서 (56) 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 또는 횡전을 검지하면, 당해 ECU (52) 에 의해 인플레이터 (22) 가 작동된다. 그러면, 인플레이터 (22) 로부터 분출되는 가스가 사이드 에어백 (20) 내에 공급되고, 사이드 에어백 (20) 이 탑승원 (P) 과 사이드 도어 (46) 사이로 팽창 전개된다. 이것에 의해, 탑승원 (P) 의 어깨부 (S), 흉부 (C), 복부 (B) 및 요부 (L) 가 사이드 에어백 (20) 에 의해 구속된다.
여기서, 상기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상측 백부 (34) 와 하측 백부 (36) 가 상하로 나열됨과 함께,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폭 방향 외측에서 상측 백부 (34) 와 하측 백부 (36) 사이에 걸쳐진 텐션포 (26) 가, 상측 백부 (34) 와 하측 백부 (36) 사이에서 잡아당겨진다. 그 결과, 텐션포 (26) 가 잡아당겨지는 방향에 대한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이 억제되고,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폭 방향의 팽창 폭 (W) 이 확대된다. 이것에 의해, 소용량의 사이드 에어백 (20) 에 의해 차폭 방향의 충격 흡수 스트로크를 확보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충격 흡수 스트로크를 줄이지 않고 사이드 에어백 (20) 의 용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인플레이터 (22) 의 출력을 증가시키지 않아도, 사이드 에어백 (20) 을 조기에 팽창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폭 방향의 팽창 폭 (W) 이 확대되기 때문에, 탑승원 (P) 의 어깨부 (S) 와 사이드 도어 (46) 의 도어 유리 (50) 사이의 간극이 넓은 경우라도, 당해 간극으로 팽창 전개된 상측 백부 (34) 에 대하여 사이드 도어 (46) 로부터의 반력을 조기에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사이드 에어백 (20) 에 의한 어깨부 (S) 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흉부 (C) 에 대한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고, 사이드 에어백 (20) 에 의한 탑승원 구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팽창 전개된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폭 방향 외측에 텐션포 (26) 가 위치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차량이 횡전된 경우라도, 사이드 도어 (46) 의 도어 유리 (50) 의 파편 등으로부터 사이드 에어백 (20) 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20) 이 팽창 전개되면,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텐션포 (26) 가, 사이드 도어 (46) 의 도어 벨트 라인 (49) 을 상하로 걸쳐 전개된다. 그리고, 이 텐션포 (26) 가, 어깨부 (S) 의 중심 (62) 보다 상방측에 위치하는 상측 백부 (34) 의 상단부와 하측 백부 (36) 사이에서 잡아당겨진다. 그 결과, 텐션포 (26) 가, 어깨부 (S) 를 구속하는 상측 백부 (34) 를 차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반력면으로서 기능한다. 이것에 의해, 상측 백부 (34) 에 있어서 도어 벨트 라인 (49) 보다 상방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대하여, 사이드 도어 (46) 의 도어 트림 (48) 으로부터의 반력을 직접 작용시킬 수 없는 경우라도, 텐션포 (26) 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상측 백부 (34) 를 차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도어 벨트 라인 (49) 이 어깨부 (S) 의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설정된 차량에 있어서도, 상측 백부 (34) 에 의한 어깨부 (S) 의 초기 구속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텐션포 (26) 가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20) 은, 구획부 (32) 가 차폭 방향 내측으로 변위하도록 당해 구획부 (32) 를 따라 약간 구부러지면서 상하 방향 중간부를 차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시키도록 팽창 전개된다. 이것에 의해, 상측 백부 (34) 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내측면이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할수록 상승하도록 만곡된 상완부 밀어 올림면 (60) 이 된다. 이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20) 과 탑승원 (P) 이 측면 충돌의 충격에 의해 상대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상완부 밀어 올림면 (60) 과 탑승원 (P) 의 상완부 (A) 가 슬라이딩 접촉하고, 상완부 (A) 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힘 (F) 이 발생한다. 그 결과, 상완부 (A) 가 상방측으로 밀어 올려지고 (미끄러져 올라가고), 상측 백부 (34) 에 의해 구속된다. 이것에 의해, 탑승원 (P) 의 흉부 (C) 와 사이드 에어백 (20) 사이에 상완부 (A) 가 개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흉부 (C) 의 부하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20) 에 있어서의 외주 봉제부 (T1) 보다 외주 외측에 설정된 봉제부 (T3, T4) 에 있어서, 텐션포 (26) 가 사이드 에어백 (20) 에 봉제되어 있기 때문에, 봉제부 (T3, T4) 로부터의 가스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텐션포 (26) 와 사이드 에어백 (20) 의 봉제부로부터의 가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 (보강포의 추가 등) 이 불필요해져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텐션포 (26) 가, 기포 (28, 30) 보다 잘 신장되지 않는 포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텐션포 (26) 가 잡아당겨지는 방향에 대한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고, 사이드 에어백 (20) 의 차폭 방향의 팽창 폭을 양호하게 확대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20) 의 구획부 (32) 가 봉제부 (T2) 에 의해 구성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6 에 나타내는 제 1 변형예에 있어서의 사이드 에어백 (20') 과 같이, 구획부 (32) 가 구획포 (테더) (64) 에 의해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획포 (64) 는, 봉제부 (T5, T6) 에 있어서 기포 (28, 30) 와 봉제되어 있다. 또, 이 구획포 (64) 가 기포 (28, 30) 중 일방과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획포 (64) 에 의해 구획부 (32) 가 형성됨으로써, 사이드 에어백 (20') 의 팽창 폭을 양호하게 확대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텐션포 (26) 가 사이드 에어백 (20) 의 외주부에 봉제된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7 및 도 8 에 나타나는 제 2 변형예와 같이, 텐션포 (26') 가 봉제부 (T7) 에 있어서 상측 백부 (34) 의 상하 방향 중간부와 봉제됨과 함께, 봉제부 (T8) 에 있어서 하측 백부 (36) 의 상하 방향 중간부와 봉제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제 2 변형예에서는, 텐션포 (26') 의 길이 치수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텐션포 (26) 의 길이 치수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텐션포 (26') 는, 기포 (28) 와 기포 (30) 를 외주 봉제부 (T1) 에 있어서 봉제하기 전에 기포 (30) 에 봉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20) 과 텐션포 (26) 를 별개의 구성 요소로 간주했지만, 텐션포 (26) 를 사이드 에어백의 일부로 간주할 수도 있다. 요컨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20) 을 에어백 봉지체로 간주함과 함께, 당해 에어백 봉지체에 텐션포 (26) 가 봉제된 것이 사이드 에어백이라고 간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보충 설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작용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이하의 실시형태에 기재하는 사이드 에어백 (70, 80, 90) 의 전후 상하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사이드 에어백 (70, 80, 90) 이 팽창 전개된 상태에서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며, 시트백 (14) 의 전후 상하의 방향과 대략 일치하고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9 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구성 부재인 사이드 에어백 (70) 의 팽창 전개 상태가 차폭 방향 외측에서 본 측면도에 의해 나타나 있다. 또, 도 10 에는, 도 9 의 F10-F10 선을 따른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이 사이드 에어백 (70) 에서는, 구획부 (32') 의 설정 방향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이 구획부 (32')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구획부 (32) 와 동일하게 봉제부 (T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데, 사이드 에어백 (70) 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탑승원 (P) 의 상완부 (A) 보다 하방측에 있어서, 상완부 (A) 를 따라 차량 전방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텐션포 (72) 의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텐션포 (26) 와는 상이하다. 이 텐션포 (72) 는, 텐션포 (26) 와 동일한 포재에 의해 장척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이 구획부 (32') 의 연장 방향과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고 또한 구획부 (32') 를 걸친 상태에서, 기포 (30) 를 개재하여 기포 (28) 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텐션포 (72) 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봉제부 (T9) 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 (70) 의 전단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상부로부터 상하 방향 중간부에 걸쳐 봉제되어 있다. 또, 이 텐션포 (72) 의 길이 방향 타단부는, 봉제부 (T10) 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 (70) 의 하단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후부측으로부터 사이드 에어백 (70) 의 후단 가장자리부의 하부측에 걸쳐 봉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텐션포 (72) 가 상측 백부 (34) 의 상단부와 하측 백부 (36) 의 하단부 사이에 걸쳐져 있고, 당해 텐션포 (72) 에 의해 상측 백부 (34) 의 전단부와 하측 백부 (36) 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후부측이 연결되어 있다.
이 텐션포 (72) 의 길이 치수 (일방의 단변 가장자리부로부터 타방의 단변 가장자리부까지의 치수) 는, 사이드 에어백 (70) 의 평면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측 백부 (34) 의 전단부와 하측 백부 (36) 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후부측 사이의 거리 (길이 치수) 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70) 이 팽창 전개된 상태에서는, 텐션포 (72) 가 상측 백부 (34) 의 전단부와 하측 백부 (36) 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후부측 사이에서 잡아당겨진다. 이것에 의해, 텐션포 (76) 가 잡아당겨지는 방향 (도 10 의 화살표 (T) 방향) 에 대한 사이드 에어백 (70) 의 팽창이 억제된다. 그 결과, 사이드 에어백 (70) 의 차폭 방향의 팽창 폭이 확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이외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게다가, 이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70) 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구획부 (32') 가, 탑승원 (P) 의 상완부 (A) 보다 하방측에서 상완부 (A) 를 따라 차량 전방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상측 백부 (34) 의 차폭 방향 내측면 (상완부 밀어 올림면 (60)) 과 탑승원 (P) 의 상완부 (A) 의 길이 방향 중앙부 (상완부의 중심 (AG) 부근) 를 양호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완부 밀어 올림면 (60) 과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해 상완부 (A) 에 작용하는 밀어 올리는 힘 (F) 을, 상완부 (A) 의 중심 (AG) 부근에 양호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완부 (A) 를 효과적으로 밀어 올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 실시형태>
도 11 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구성 부재인 사이드 에어백 (80) 의 팽창 전개 상태가 차폭 방향 외측에서 본 측면도에 의해 나타나 있다. 또, 도 12 에는, 도 11 의 F12-F12 선을 따른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이 사이드 에어백 (80) 에서는, 구획부 (32) 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와 동일하게 구획포 (64)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사이드 에어백 (80) 에서는, 기포 (30') 의 상하 방향의 길이 치수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포 (30) 의 상하 방향의 길이 치수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고, 기포 (28) 의 하부가 기포 (30') 의 하단보다 하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텐션포 (82) 가, 하측 백부 (36) 의 일부를 구성하는 백 구성부 (82A) 와, 당해 백 구성부 (82A) 로부터 상방측으로 연장되는 텐션 부여부 (82B) 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대략 역 T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백 구성부 (82A) 는, 상단부가 봉제부 (T11) 에 있어서 기포 (30') 의 하단부와 봉제되어 있고, 전후 양단부 및 하단부가 외주 봉제부 (T1) 에 있어서 기포 (28) 의 하부와 봉제되어 있다. 또, 텐션 부여부 (82B) 는, 상단부가 봉제부 (T12) 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 (80) 의 상단부와 봉제되어 있다. 이 텐션 부여부 (82B) 의 상하 방향의 길이 치수는, 사이드 에어백 (80) 의 상단부로부터 봉제부 (T11) 까지의 길이 치수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고, 텐션 부여부 (82B) 의 상단부가 봉제부 (T12) 에 있어서 사이드 에어백 (80) 의 상단부와 봉제될 때에는, 사이드 에어백 (80) 에 있어서의 상단부로부터 봉제부 (T11) 까지의 사이의 부위가 사이드 에어백 (80) 의 전후 방향을 따른 적어도 1 쌍의 접힘선을 따라 접어 겹쳐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이외의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80) 이 팽창 전개되면, 텐션포 (82) 의 텐션 부여부 (82B) 가 봉제부 (T11, T12) 사이에서 잡아당겨짐으로써, 사이드 에어백 (80) 의 상하 방향의 팽창이 억제된다. 그 결과, 사이드 에어백 (80) 은, 구획부 (32) 가 차폭 방향 내측으로 변위하도록 당해 구획부 (32) 를 따라 약간 구부러지면서 상하 방향 중간부를 차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시키도록 팽창 전개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게다가, 사이드 에어백 (80) 의 하측 백부 (36) 의 일부가 텐션포 (82) 의 일부 (백 구성부 (82A)) 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에어백 (80) 을 구성하는 기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기포 (30') 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경량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사이드 에어백 (80) 의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봉제부 (T11) 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적절히 설정 변경함으로써, 구획부 (32) 를 따른 사이드 에어백 (80) 이 구부러지는 정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3 에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구성 부재인 사이드 에어백 (90) 의 팽창 전개 상태가 평단면도에 의해 나타나 있다. 이 사이드 에어백 (90)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20) 과 동일하게, 기포 (28, 30) 가 외주 봉제부 (T1) 에 있어서 봉제됨으로써 봉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사이드 에어백 (90) 의 내부에는, 사이드 에어백 (90) 의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 시트백 (14) 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획부 (9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획부 (92) 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획포 (94) (테더)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구획포 (94) 는, 장척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방의 장변 가장자리부가 봉제부 (T13) 에 있어서 기포 (28) 와 봉제됨과 함께, 타방의 장변 가장자리부가 봉제부 (T14) 에 있어서 기포 (30) 와 봉제되어 있다. 이 구획부 (92) 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 (90) 이 전측의 백부 (96) (이하, 전측 백부 (96) 라고 한다) 와 후측의 백부 (98) (이하, 후측 백부 (98) 라고 한다) 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구획부 (92) 를 봉제부 (시임) 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전측 백부 (96) 의 내부는 전측 챔버 (100) 로 되어 있고, 후측 백부 (98) 의 내부는 후측 챔버 (102) 로 되어 있다. 전측 챔버 (100) 와 후측 챔버 (102) 는, 구획부 (92) 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연통구를 개재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고, 후측 챔버 (102) 에 형성된 인플레이터 (22) (도 13 에서는 도시 생략) 로부터의 가스가 상기 연통구를 통하여 전측 챔버 (100) 에 공급된다. 그것에 의해, 후측 백부 (98) 의 내압이 전측 백부 (96) 의 내압보다 높은 상태에서 사이드 에어백 (90) 이 탑승원 (P) 과 사이드 도어 (46) (도 13 에서는 도시 생략) 사이로 팽창 전개된다. 이 사이드 에어백 (90) 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사이드 에어백 (20) 과 동일하게, 탑승원 (P) 의 어깨부 (S), 흉부 (C), 복부 (B) 및 요부 (L) 를 구속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사이드 에어백 (90) 에는 텐션포 (104) 가 장착되어 있다. 이 텐션포 (104)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텐션포 (26) 와 동일한 포재에 의해 장척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이 구획부 (92) 의 연장 방향과 직교 또는 대략 직교하고 또한 구획부 (92) 를 걸친 상태에서, 기포 (30) 를 개재하여 기포 (28) 와는 반대측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이 텐션포 (104) 는, 사이드 에어백 (90) 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그 사이드 에어백 (90) 의 차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이 텐션포 (104) 는, 길이 방향 일단부가 봉제부 (T15) 에 있어서 전측 백부 (96) 의 전단부에 봉제됨과 함께, 길이 방향 타단부가 봉제부 (T16) 에 있어서 후측 백부 (98) 의 후단부에 봉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텐션포 (104) 가 전측 백부 (96) 의 전단부와 후측 백부 (98) 의 후단부 사이에 걸쳐져 있고, 당해 텐션포 (104) 에 의해 전측 백부 (96) 의 전단부와 후측 백부 (98) 의 후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 텐션포 (26) 의 길이 치수는, 평면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사이드 에어백 (90) 의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90) 이 팽창 전개되면, 텐션포 (104) 가 전측 백부 (96) 의 전단부와 후측 백부 (98) 의 후단부 사이에서 잡아당겨진다. 이것에 의해, 텐션포 (104) 가 잡아당겨지는 방향 (여기서는 차량 전후 방향) 에 대한 사이드 에어백 (90) 의 팽창이 억제되고, 사이드 에어백 (90) 의 차폭 방향의 팽창 폭이 확대된다. 이것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 (90) 에 의한 어깨부 (S) 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에어백 (90) 이 팽창 전개되면, 탑승원 (P) 의 흉부 (C) 의 측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중앙부 (전후 방향 중앙 및 전후 방향 중앙 부근) 를 따라 구획부 (92) 가 상하로 연장되고, 전측 백부 (96) 와 후측 백부 (98) 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차량 전후 방향에 대한 팽창이 억제된 사이드 에어백 (90) 은,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획부 (92) 가 차폭 방향 내측으로 변위하도록 당해 구획부 (92) 를 따라 약간 구부러지면서 전후 방향 중앙부가 차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팽창 전개된다. 그 결과, 전측 백부 (96) 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내측면이 차량 전방측을 향할수록 차폭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만곡된 만곡면 (106) 이 된다.
이 때문에, 상기 만곡면 (106) 과 탑승원 (P) 의 흉부 (C) 의 측면이 측면 충돌의 충격에 의해 슬라이딩 접촉함으로써, 탑승원 (P) 의 상반신을 차량 전방측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원 (P) 의 상반신이 약간 차폭 방향 내측을 향하도록 수직 축 둘레로 회전하고,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높은 흉부 (C) 의 후반부가 전측 백부 (96) 에 의해 구속된다. 이것에 의해,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낮은 흉부 (C) 의 전반부가 사이드 에어백 (90) 으로부터의 부하를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음과 함께, 구속 후반도 상대적으로 하중 내성이 높은 흉부 (C) 의 후반부를 계속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실시형태에서는, 텐션포 (104) 의 길이 방향 일단부가 전측 백부 (96) 의 전단부와 봉제되고, 텐션포 (104) 의 길이 방향 타단부가 후측 백부 (98) 의 후단부와 봉제된 구성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텐션포 (104) 의 길이 방향 일단부를 전측 백부 (96) 의 전후 방향 중간부와 봉제함과 함께, 텐션포 (104) 의 길이 방향 타단부를 후측 백부 (98) 의 전후 방향 중간부와 봉제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후측 백부 (98) 의 일부를 텐션포 (104) 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이상, 몇 개의 실시형태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8)

  1. 작동함으로써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2 개의 백부를 갖고, 내부에 상기 가스가 공급됨으로써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 외측의 측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팽창 전개되고, 상기 2 개의 백부가 차체 측부를 따라 나열됨과 함께, 상기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탑승원의 적어도 어깨부, 흉부 및 복부를 구속하는 사이드 에어백과,
    상기 팽창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차폭 방향 외측에서 상기 2 개의 백부 사이에 걸쳐져서 상기 2 개의 백부 사이에서 잡아당겨짐과 함께, 당해 잡아당겨지는 방향에 대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차폭 방향의 팽창 폭을 확대시키는 텐션포를 구비한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상기 2 개의 백부가 상하로 나열됨과 함께, 상기 어깨부를 구속하는 상측의 상기 백부에 있어서의 상기 어깨부의 중심보다 상방측의 부분과 하측의 상기 백부 사이에서 상기 텐션포가 잡아당겨지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상기 차체 측부에 형성된 사이드 도어의 도어 벨트 라인을 상하로 걸쳐 상기 텐션포가 전개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시트는 운전석이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상기 운전석에 착석한 탑승원의 상완부보다 하방측에 있어서, 상기 상완부를 따라 차량 전방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상기 차량용 시트에 착석한 탑승원의 흉부의 측면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중앙부를 따라 상기 구획부가 상하로 연장되고, 상기 2 개의 백부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포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을 구성하는 기포와는 별체의 포재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외주부에 형성된 외주 봉제부보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외주 외측에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에 봉제되어 있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의 일부가 상기 텐션포의 일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포는, 상기 사이드 에어백을 구성하는 기포보다 잘 신장되지 않는 포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0157004980A 2012-08-27 2012-08-27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201500398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71618 WO2014033820A1 (ja) 2012-08-27 2012-08-27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800A true KR20150039800A (ko) 2015-04-13

Family

ID=5018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980A KR20150039800A (ko) 2012-08-27 2012-08-27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27590B2 (ko)
EP (1) EP2889189B1 (ko)
JP (1) JP5817933B2 (ko)
KR (1) KR20150039800A (ko)
CN (1) CN104602972B (ko)
WO (1) WO201403382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980A (ko) * 2016-11-16 2018-05-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KR20210152876A (ko) * 2020-06-09 2021-12-1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3284A1 (de) * 2012-07-27 2014-02-13 Takata AG Gassackanordnung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DE102013015141B4 (de) * 2013-09-13 2017-08-10 Trw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Schützen eines Fahrzeuginsassen sowie Gassack
US20150321637A1 (en) * 2014-03-14 2015-11-12 Vernon John Lowe Reinforcement Strip for Use in Airbag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EP2942242B1 (de) * 2014-05-08 2016-11-23 Automotive Safety Technologies GmbH Kopfairbagsystem für ein Fahrzeug und Fahrzeug mit einem Kopfairbagsystem
TWI562914B (en) * 2014-05-30 2016-12-21 Jamesyuming Pan Airbag with multiple layers of cushioning effect
JP6179469B2 (ja) * 2014-06-23 2017-08-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5198739A1 (ja) * 2014-06-24 2015-12-3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398430B2 (ja) * 2014-07-30 2018-10-03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JP6191574B2 (ja) * 2014-10-10 2017-09-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97777B2 (ja) * 2014-10-10 2017-09-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428141B2 (ja) * 2014-10-17 2018-11-2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580926B2 (ja) * 2015-09-29 2019-09-25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1836601B1 (ko) * 2016-03-04 2018-03-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 에어백
JP6332308B2 (ja) * 2016-03-10 2018-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6696268B2 (ja) * 2016-03-31 2020-05-20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WO2017199850A1 (ja) * 2016-05-20 2017-11-2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1776506B1 (ko) * 2016-06-08 2017-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에어백
US9969346B2 (en) * 2016-08-24 2018-05-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restraint system
JP6540647B2 (ja) * 2016-10-07 2019-07-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10220808B2 (en) * 2016-10-24 2019-03-0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of a button bridge installed with a curtain side airbag
JP6658585B2 (ja) * 2017-02-03 2020-03-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JP6880954B2 (ja) * 2017-04-07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407017B2 (en) 2017-06-09 2019-09-10 Honda Motor Co., Ltd. Vehicle side airbag system,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KR102293583B1 (ko) * 2017-06-30 2021-08-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530685B1 (ko) 2017-08-18 2023-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KR102452472B1 (ko) * 2017-08-18 2022-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탑승자의 발목 보호 장치
KR102452467B1 (ko) 2017-08-24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KR102399622B1 (ko) 2017-08-24 2022-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2408575B1 (ko) 2017-09-19 2022-06-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조방법
DE102017217499A1 (de) * 2017-09-29 2019-04-04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sack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JP7004146B2 (ja) * 2017-11-17 2022-01-21 株式会社アイシン 車両用シート装置
DE102017220590B3 (de) 2017-11-17 2019-05-09 Takata AG Seitenairbag für ein Kraftfahrzeug
CN108177627B (zh) * 2017-12-26 2021-03-02 锦州锦恒汽车安全系统股份有限公司 包卷式汽车安全气囊结构
KR102565349B1 (ko) 2018-03-19 202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WO2019193987A1 (ja) * 2018-04-05 2019-10-1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20017281A1 (ja) * 2018-07-19 2020-01-2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拘束装置
WO2020110586A1 (ja) * 2018-11-30 2020-06-0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0696261B2 (en) * 2018-12-03 2020-06-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at assembly including airbags integrated into a tulip armchair
US11059442B2 (en) * 2019-03-26 2021-07-1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daptive side airbag for protecting occupants in a vehicle
US10843654B2 (en) * 2019-04-26 2020-11-24 Autoliv Asp, Inc. Side airbag assembly
US11208068B2 (en) * 2019-10-07 2021-12-28 ZF Passive Safety Systems US Inc. Curved side airbag
JP7277067B2 (ja) * 2019-10-10 2023-05-1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US11285905B2 (en) * 2019-11-26 2022-03-29 Honda Motor Co., Ltd. Airbag assembly and method
KR20220026786A (ko) * 2020-08-26 2022-03-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590920B2 (en) * 2020-09-23 2023-02-28 Autoliv Asp, Inc. Seat-centric airbag system with pelvis restraint chamber
KR20230104911A (ko) * 2020-11-10 2023-07-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팽창가능 에어백
CN113002472B (zh) * 2021-03-17 2022-10-11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车辆座椅远端气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0464A (en) 1995-08-11 1998-03-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with tether
DE19538657A1 (de) * 1995-10-17 1997-04-24 Trw Repa Gmbh Gassack-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JPH09136595A (ja) * 1995-11-15 1997-05-27 Tokai Rika Co Ltd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H10297409A (ja) * 1997-02-27 1998-11-10 Toyoda Gosei Co Ltd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JP3474799B2 (ja) * 1999-04-13 2003-12-08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
US6231072B1 (en) * 1999-10-15 2001-05-15 Delphi Technologies, Inc. Headliner based supplemental restraint assembly
JP4529930B2 (ja) 2000-07-07 2010-08-25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6942245B2 (en) 2000-07-07 2005-09-13 Toyoda Gosei, Co., Ltd. Air bag device for knee protection
EP1577172B1 (en) 2004-03-17 2012-11-14 Takata AG Airbag device
US7549672B2 (en) * 2004-05-27 2009-06-23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device
DE102005028702A1 (de) * 2004-06-28 2006-03-16 Mazda Motor Corp. Airbag-Vorrichtung
CN101767567A (zh) * 2004-11-12 2010-07-07 高田-彼得里公开股份有限公司 气囊装置
JP2008189132A (ja) * 2007-02-05 2008-08-21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9137536A (ja) * 2007-12-10 2009-06-25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0132072A (ja) 2008-12-03 2010-06-17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0131326A1 (ja) * 2009-05-11 2010-11-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1020502A (ja) 2009-07-14 2011-02-03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445595B2 (ja) * 2010-01-12 2014-03-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
US8322747B2 (en) * 2010-07-14 2012-12-04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assemblies with arm-manipulating side airbags
US8360469B2 (en) 2010-08-27 2013-01-29 Tk Holdings Inc. Airbag system
JP5401495B2 (ja) * 2011-03-17 2014-01-29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乗員保護装置及び乗員保護方法
JP5754436B2 (ja) * 2012-12-03 2015-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拘束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980A (ko) * 2016-11-16 2018-05-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KR20210152876A (ko) * 2020-06-09 2021-12-1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3820A1 (ja) 2014-03-06
JP5817933B2 (ja) 2015-11-18
CN104602972B (zh) 2017-09-22
EP2889189A1 (en) 2015-07-01
CN104602972A (zh) 2015-05-06
JPWO2014033820A1 (ja) 2016-08-08
EP2889189B1 (en) 2018-07-18
US9227590B2 (en) 2016-01-05
US20150217714A1 (en) 2015-08-06
EP2889189A4 (en)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9800A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1774718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차량용 시트
JP5776733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754436B2 (ja) 車両用乗員拘束システム
KR101680491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5804214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JP5761231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803948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949712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JP5895872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998978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4184852A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915549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