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5980A -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5980A KR20180055980A KR1020160152976A KR20160152976A KR20180055980A KR 20180055980 A KR20180055980 A KR 20180055980A KR 1020160152976 A KR1020160152976 A KR 1020160152976A KR 20160152976 A KR20160152976 A KR 20160152976A KR 20180055980 A KR20180055980 A KR 201800559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shion portion
- cushion
- airbag
- expanded
- brid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8—Shou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운전석과 동승석 사이에 배치되고, 차량의 측면 충돌시 인플레이터에서 가스가 공급됨에 따라 팽창되면서 전개되는 제1 쿠션부와 제2 쿠션부를 구비하는 에어백 쿠션부; 및 제1 쿠션부와 제2 쿠션부가 접힌 상태로 팽창되도록 제1 쿠션부의 제1 자유단부와 제2 쿠션부의 제2 자유단부를 연결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제1 쿠션부와 제2 쿠션부가 팽창되면서 서로 겹쳐짐에 따라 에어백 쿠션부의 팽창 두께가 증가되고, 제1 쿠션부의 제1 자유단부와 제2 쿠션부의 제2 자유단부는 에어백 쿠션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 에어백 쿠션부의 팽창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탑승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에어백이 설치된다. 에어백은 보호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다. 파사이드 에어백은 운전석과 동승석 사이에 배치된다. 차량이 측면 충돌되는 경우, 파사이드 에어백이 팽창되면서 전개됨에 따라 운전자와 그 옆에 착좌한 탑승자가 서로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파사이드 에어백이 운전석과 동승석 사이에서 상측으로 전개되므로, 동승석이 비어있는 경우 파사이드 에어백이 운전자의 하중 내지 충격에 의해 동승석 측으로 꺽이거나 과도하게 밀리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의 머리나 어깨가 동승석이나 센터 콘솔 등의 주위 구조물 등에 충돌되어 운전자가 상해를 입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78416호(2016. 07. 04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시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에어백 쿠션부의 팽창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탑승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운전석과 동승석 사이에 배치되고, 차량의 측면 충돌시 인플레이터에서 가스가 공급됨에 따라 팽창되면서 전개되는 제1 쿠션부와 제2 쿠션부를 구비하는 에어백 쿠션부; 및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가 접힌 상태로 팽창되도록 상기 제1 쿠션부의 제1 자유단부와 상기 제2 쿠션부의 제2 자유단부를 연결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가 팽창되면서 서로 겹쳐짐에 따라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팽창 두께가 증가되고, 상기 제1 쿠션부의 상기 제1 자유단부와 상기 제2 쿠션부의 상기 제2 자유단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가 팽창되면,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의 상기 커넥터부 반대측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를 연통시키는 브릿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쿠션부가 팽창되면서 전개된 후에 상기 브릿지부 및 상기 제2 쿠션부가 순차적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될 수 있다.
상기 제1 쿠션부에는 상기 제1 쿠션부의 팽창 두께를 제한하도록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영역인 제1 인엑티브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쿠션부에는 상기 제2 쿠션부의 팽창 두께를 제한하도록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영역인 제2 인엑티브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부에는 상기 브릿지부의 팽창 두께를 제한하도록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영역인 브릿지 인엑티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쿠션부와 제2 쿠션부가 팽창되면서 서로 겹쳐짐에 따라 에어백 쿠션부의 팽창 두께가 증가되므로, 차량의 측면 충돌시 운전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및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부가 에어백 쿠션부의 자유단부를 연결하므로, 에어백 쿠션부가 팽창되면서 전개되더라도 에어백 쿠션부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운전석과 동승석에서 완전히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전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운전석과 동승석에서 완전히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전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전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운전석과 동승석에서 완전히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전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운전석과 동승석에서 완전히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전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쿠션부(110) 및 커넥터부(120)를 포함한다.
에어백 쿠션부(110)는 운전석(10)과 동승석(미도시) 사이에 배치된다. 에어백 쿠션부(110)는 복수번 지그재그로 폴딩된 상태에서 운전석(10)과 동승석 사이에 배치된다. 폴딩된 에어백 쿠션부(110)는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 패키징되고, 하우징은 운전석(10) 또는 센터 콘솔(20)에 배치된다. 에어백 쿠션부(110)의 둘레부에는 에어백 쿠션부(110)의 내측을 밀봉시키도록 봉제부(110a)가 형성된다.
에어백 쿠션부(110)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 인플레이터(미도시)에서 가스가 공급됨에 따라 팽창되면서 전개되는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를 구비한다.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팽창되면서 서로 겹쳐짐에 따라 에어백 쿠션부(110)의 팽창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부(110)의 팽창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에어백 쿠션부(110)에 탑승자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탑승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 및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겹쳐진 상태에서 서로 지지되므로, 탑승자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탑승자의 충격에 의해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꺽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부(120)는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접힌 상태로 팽창되도록 제1 쿠션부(111)의 제1 자유단부(111a)와 제2 쿠션부(113)의 제2 자유단부(113a)를 연결한다. 커넥터부(120)가 제1 자유단부(111a)와 제2 자유단부(113a)를 연결하므로,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팽창되면서 전개되더라도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하중이 에어백 쿠션부(110)에 작용하는 경우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서로 지지하므로, 탑승자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운전자의 하중 내지 충격에 의해 꺽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부(120)는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접힌 상태로 팽창되도록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의 자유단부(111a,113a)를 연결하는 외부 테더일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120)는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의 자유단부(111a,113a)를 봉제하는 봉제 부분일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부(120)는 에어백 쿠션부(110)가 완전히 전개되더라도 에어백 쿠션부(110)의 자유단부(111a,113a)를 서로 연결한 상태를 유지한다.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팽창되면,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의 커넥터부(120) 반대측를 연결하고,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를 연통시키는 브릿지부(115)가 형성된다.
제1 쿠션부(111)는 운전석(10)과 동승석 사이에서 상측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된다. 제1 쿠션부(111)는 운전석(10) 측에 배치된다. 제1 쿠션부(111)에는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가스가 주입되도록 주입부(111b)가 형성된다. 제2 쿠션부(113)는 제1 쿠션부(111)와 나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되고, 커넥터부(120)에 의해 제1 쿠션부(111)의 제1 자유단부(111a)와 연결된다. 브릿지부(115)는 제1 쿠션부(111)의 제1 연결부(미도시)와 제2 쿠션부(113)의 제2 연결부(미도시)를 연결하고,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를 연통시킨다.
에어백 쿠션부(110)의 완전 전개시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는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탑승자 상체의 하중이나 충격이 가해질 때에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서로 지지된다.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겹쳐짐에 따라 에어백 쿠션부(110)의 팽창 두께가 증가되므로, 운전석(10)이나 동승석 중 하나에만 탑승자가 착좌된 상태에서 차량의 측면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탑승자가 팽창 두께가 두꺼운 에어백 쿠션부(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이 파킹되거나 정지된 상태에서는 동승석에만 탑승자가 착좌될 수 있고, 차량의 운행중에는 운전석(10)에만 탑승자가 착좌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부(110)의 전개시 브릿지부(115)는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의 하측에 배치되고, 커넥터부(120)는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의 상측에 배치된다. 브릿지부(115)는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와 연통되므로, 에어백 쿠션부(110) 중에서 브릿지부(115)와 그 근처 부분의 팽창압력이 제1 쿠션부(111)의 제1 자유단부(111a)와 제2 쿠션부(113)의 제2 자유단부(113a) 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부(110)의 팽창시 브릿지부(115)와 그 근처 부분이 탑승자의 골반 측을 상대적으로 큰 팽창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하므로, 탑승자의 골반 유동성을 보다 억제시킬 수 있다. 탑승자의 골반 유동성이 억제되므로, 차량의 측면 충돌시 탑승자 상체의 측방향 거동 거리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제1 쿠션부(111)가 팽창되면서 전개된 후에 브릿지부(115) 및 제2 쿠션부(113)가 순차적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된다. 이때, 제1 쿠션부(111)는 폴딩된 상태에서 팽창되면서 상측으로 전개되고, 제1 쿠션부(111)가 상측으로 전개됨에 따라 커넥터부(120)가 제1 쿠션부(111)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된다. 커넥터부(120)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폴딩된 제2 쿠션부(113) 역시 점차적으로 펼쳐진다. 이때, 제2 쿠션부(113)에는 브릿지부(115)를 통해 가스가 조금씩 주입되기 시작한다.
제1 쿠션부(111)에는 제1 쿠션부(111)의 팽창 두께를 제한하도록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영역인 제1 인엑티브부(117)가 형성된다. 제1 인엑티브부(117)는 제1 쿠션부(111)에서 2겹으로 겹쳐진 쿠션피복(미도시)을 봉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인엑티브부(117)는 제1 쿠션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1 인엑티브부(117)는 제1 쿠션부(111)의 팽창시 부피가 거의 팽창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쿠션부(111)의 팽창 두께를 제한한다. 제1 인엑티브부(117)의 개수 및 형태는 제1 쿠션부(111)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2 쿠션부(113)에는 제2 쿠션부(113)의 팽창 두께를 제한하도록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영역인 제2 인엑티브부(118)가 형성된다. 제2 인엑티브부(118)는 제2 쿠션부(113)에서 2겹으로 겹쳐진 쿠션피복(미도시)을 봉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2 인엑티브부(118)는 제2 쿠션부(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2 인엑티브부(118)는 제2 쿠션부(113)의 팽창시 부피가 거의 팽창되지 않기 때문에 제2 쿠션부(113)의 팽창 두께를 제한한다. 제2 인넥티브부(113)의 개수 및 형태는 제2 쿠션부(113)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브릿지부(115)에는 브릿지부(115)의 팽창 두께를 제한하도록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영역인 브릿지 인엑티브부(119)가 형성된다. 브릿지 인엑티브부(119)는 브릿지부(115)에서 2겹으로 겹쳐진 쿠션피복(미도시)을 봉제하여 형성할 수 있다. 브릿지 인엑티브부(119)는 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브릿지 인엑티브부(119)는 브릿지부(115)의 팽창시 부피가 거의 팽창되지 않기 때문에 브릿지부(115)의 팽창 두께를 제한한다. 브릿지 인엑티브부(119)의 개수 및 형태는 브릿지부(115)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의 측면 충돌시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가스가 에어백 쿠션부(110)의 제1 쿠션부(111)에 주입된다. 이때, 제1 쿠션부(111)는 상측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된다.
제1 쿠션부(111)의 제1 자유단부(111a) 측이 먼저 상측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되고, 제1 쿠션부(111)의 하측에 폴딩된 부분이 점차적으로 풀리게 된다. 이때, 제1 쿠션부(111)의 제1 자유단부(111a)와 제2 쿠션부(113)의 제2 자유단부(113a)가 커넥터부(120)에 의해 연결되므로, 제1 쿠션부(111)의 제1 자유단부(111a)가 상승됨에 따라 제2 쿠션부(113)의 폴딩된 부분도 제1 쿠션부(111)의 팽창과 함께 풀리게 된다. 즉, 제1 쿠션부(111)가 팽창되면서 전개될 때에 제1 쿠션부(111)의 폴딩된 부분과 제2 쿠션부(113)의 폴딩된 부분이 함께 풀리게 된다. 이때, 제1 쿠션부(111)에 가스가 주입되므로, 제1 쿠션부(111)는 가스의 주입에 의해 팽창되는 반면, 제2 쿠션부(113)는 가스가 미량 주입되므로 거의 팽창되지 않는다.
제1 쿠션부(111)가 상측으로 더욱 팽창되면서 전개됨에 따라 제2 쿠션부(113)의 제2 자유단부(113a)도 상승되고, 제2 쿠션부(113)가 제1 쿠션부(111)와 함께 풀리면서 상승됨에 따라 브릿지부(115)를 통해 제2 쿠션부(113)에 주입되는 가스량이 점차적으로 증가된다.
제1 쿠션부(111)가 상측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된 후에는 브릿지부(115)가 팽창되면서 전개된다. 브릿지부(115)가 팽창되면서 전개된 후에 제2 쿠션부(113)가 상측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된다.
제1 쿠션부(111), 브릿지부(115) 및 제2 쿠션부(113)가 순차적으로 전개됨에 따라 대략 "∪" 형태의 에어백 쿠션부(110)가 형성된다. 이때, 브릿지부(115)는 에어백 쿠션부(110)의 하측에 배치되고, 커넥터부(120)는 에어백 쿠션부(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전개된 에어백 쿠션부(110)는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에어백 쿠션부(110)의 팽창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석(10)과 동승석 중 하나에만 탑승자가 착좌한 상태이더라도 상체의 하중에 의해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과도하게 밀리거나 꺽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전방측에 탑승자가 혼자서 탑승한 상태에서도 차량의 측방향으로 탑승자의 거동을 제한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운전석과 동승석에서 완전히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접힌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전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는 에어백 쿠션부(110) 및 커넥터부(12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는 일 실시예에 비해 커넥터부(120)와 에어백 쿠션부(110)의 브릿지부(115)의 위치가 반대로 변경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아래에서는 다른 실시예의 특징부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에어백 쿠션부(110)는 제1 쿠션부(111), 제2 쿠션부(113) 및 브릿지부(115)를 포함한다.
제1 쿠션부(111)는 운전석(10)과 동승석(미도시) 사이에서 상측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된다. 제1 쿠션부(111)는 운전석(10) 측에 배치된다. 제1 쿠션부(111)에는 인플레이터(미도시)에서 발생된 가스가 주입되도록 주입부(111b)가 형성된다. 제2 쿠션부(113)는 제1 쿠션부(111)와 나란하도록 상측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되고, 커넥터부(120)에 의해 제1 쿠션부(111)의 제1 자유단부(111a)와 연결된다. 브릿지부(115)는 제1 쿠션부(111)의 제1 연결부(미도시)와 제2 쿠션부(113)의 제2 연결부(미도시)를 연결하고,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를 연통시킨다.
에어백 쿠션부(110)의 완전 전개시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는 나란하게 겹쳐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에어백 쿠션부(110)의 팽창 두께가 증가된다.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서로 지지되므로, 운전석(10)이나 동승석 중 하나에만 탑승자가 착좌된 상태에서 차량의 측면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탑승자의 하중 내지 충격이 에어백 쿠션부(110)에 가해지더라도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과도하게 밀리거나 꺽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이 파킹되거나 정지된 상태에서는 동승석에만 탑승자가 착좌될 수 있고, 차량의 운행중에는 운전석(10)에만 탑승자가 착좌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부(110)의 전개시 브릿지부(115)는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의 상측에 배치되고, 커넥터부(120)는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의 하측에 배치된다. 브릿지부(115)는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와 연통되므로, 에어백 쿠션부(110) 중에서 브릿지부(115)와 그 근처 부분의 팽창압력이 제1 쿠션부(111)의 제1 자유단부(111a)와 제2 쿠션부(113)의 제2 자유단부(113a) 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부(110)의 팽창시 브릿지부(115)와 그 근처 부분이 탑승자의 어깨 측을 상대적으로 큰 팽창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하므로, 일 실시예에 비하여 탑승자 상체의 유동성을 보다 억제시킬 수 있다. 탑승자 어깨의 유동성이 억제되므로, 차량의 측면 충돌시 탑승자 상체의 측방향 거동 거리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제1 쿠션부(111)가 팽창되면서 전개된 후에 브릿지부(115) 및 제2 쿠션부(113)가 순차적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된다. 이때, 제1 쿠션부(111)의 폴딩된 부분이 풀리면서 상측으로 전개되고, 커넥터부(120)가 제1 쿠션부(111)의 하측에 위치되므로, 제2 쿠션부(113)는 제1 쿠션부(111)와 브릿지부(115)의 폴딩된 부분이 풀릴 때 까지는 폴딩된 상태를 거의 그대로 유지한다.
제1 쿠션부(111)에는 제1 쿠션부(111)의 팽창 두께를 제한하도록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영역인 제1 인엑티브부(117)가 형성된다. 제1 인엑티브부(117)는 제1 쿠션부(111)에서 2겹으로 겹쳐진 쿠션피복(미도시)을 봉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1 인엑티브부(117)는 제1 쿠션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1 인엑티브부(117)는 제1 쿠션부(111)의 팽창시 부피가 거의 팽창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쿠션부(111)의 팽창 두께를 제한한다. 제1 인엑티브부(111)의 개수 및 형태는 제1 쿠션부(111)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제2 쿠션부(113)에는 제2 쿠션부(113)의 팽창 두께를 제한하도록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영역인 제2 인엑티브부(118)가 형성된다. 제2 인엑티브부(118)는 제2 쿠션부(113)에서 2겹으로 겹쳐진 쿠션피복(미도시)을 봉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제2 인엑티브부(118)는 제2 쿠션부(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2 인엑티브부(118)는 제2 쿠션부(113)의 팽창시 부피가 거의 팽창되지 않기 때문에 제2 쿠션부(113)의 팽창 두께를 제한한다. 제2 인엑티브부(113)의 개수 및 형태는 제2 쿠션부(113)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브릿지부(115)에는 브릿지부(115)의 팽창 두께를 제한하도록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영역인 브릿지 인엑티브부(119)가 형성된다. 브릿지 인엑티브부(119)는 브릿지부(115)에서 2겹으로 겹쳐진 쿠션피복을 봉제하여 형성할 수 있다. 브릿지 인엑티브부(119)는 사각 형태로 형성된다. 브릿지 인엑티브부(119)는 브릿지부(115)의 팽창시 부피가 거의 팽창되지 않기 때문에 브릿지부(115)의 팽창 두께를 제한한다. 브릿지부 인엑티브부(119)의 개수 및 형태는 브릿지부(115)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의 측면 충돌시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가스가 에어백 쿠션부(110)의 제1 쿠션부(111)에 주입된다. 이때, 제1 쿠션부(111)는 상측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되고, 제1 쿠션부(111)의 제1 자유단부(111a)는 제1 쿠션부(111)가 팽창되는 방향과 반대측(하측)에 위치된다.
제1 쿠션부(111)가 먼저 상측으로 팽창되면서 상측으로 전개되고, 제1 쿠션부(111)의 폴딩된 부분이 점차적으로 풀리게 된다. 이때, 제1 쿠션부(111)의 제1 자유단부(111a)는 제2 쿠션부(113)의 폴딩된 부분과 커넥터부(120)에 의해 연결되므로, 제2 쿠션부(113)는 브릿지부(115)가 풀리기 이전까지는 풀리지 않게 된다.
제1 쿠션부(111)가 상측으로 더욱 팽창되면서 전개됨에 따라 브릿지부(115)가 제1 쿠션부(111)와 함께 상승되면서 풀리게 된다. 브릿지부(115)가 풀리면서 상승됨에 따라 제2 쿠션부(113)도 풀리면서 상승된다.
제1 쿠션부(111)가 상측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된 후에는 브릿지부(115)가 팽창되면서 전개된다. 브릿지부(115)가 팽창되면서 전개된 후에 제2 쿠션부(113)가 하측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된다.
제1 쿠션부(111), 브릿지부(115) 및 제2 쿠션부(113)가 순차적으로 전개됨에 따라 대략 "∩" 형태(reversal U shape)의 에어백 쿠션부(110)가 형성된다. 이때, 브릿지부(115)는 에어백 쿠션부(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커넥터부(120)는 에어백 쿠션부(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전개된 에어백 쿠션부(110)는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에어백 쿠션부(110)의 팽창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석(10)과 동승석 중 하나에만 탑승자가 착좌한 상태더라도 상체의 하중에 의해 제1 쿠션부(111)와 제2 쿠션부(113)가 과도하게 밀리거나 꺽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전방측에 탑승자가 혼자서 탑승한 상태에서도 차량의 측방향으로 탑승자의 거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운전석
20: 센터 콘솔
110: 에어백 쿠션부 111: 제1 쿠션부
111a: 제1 자유단부 111b: 주입부
113: 제2 쿠션부 113a: 제2 자유단부
115: 브릿지부 117: 제1 인엑티브부
118: 제2 인엑티브부 119: 브릿지 인엑티브부
120: 커넥터부
110: 에어백 쿠션부 111: 제1 쿠션부
111a: 제1 자유단부 111b: 주입부
113: 제2 쿠션부 113a: 제2 자유단부
115: 브릿지부 117: 제1 인엑티브부
118: 제2 인엑티브부 119: 브릿지 인엑티브부
120: 커넥터부
Claims (6)
- 운전석과 동승석 사이에 배치되고, 차량의 측면 충돌시 인플레이터에서 가스가 공급됨에 따라 팽창되면서 전개되는 제1 쿠션부와 제2 쿠션부를 구비하는 에어백 쿠션부; 및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가 접힌 상태로 팽창되도록 상기 제1 쿠션부의 제1 자유단부와 상기 제2 쿠션부의 제2 자유단부를 연결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가 팽창되면서 서로 겹쳐짐에 따라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팽창 두께가 증가되고,
상기 제1 쿠션부의 상기 제1 자유단부와 상기 제2 쿠션부의 상기 제2 자유단부는 상기 에어백 쿠션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가 팽창되면,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의 상기 커넥터부 반대측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쿠션부와 상기 제2 쿠션부를 연통시키는 브릿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부가 팽창되면서 전개된 후에 상기 브릿지부 및 상기 제2 쿠션부가 순차적으로 팽창되면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부에는 상기 제1 쿠션부의 팽창 두께를 제한하도록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영역인 제1 인엑티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쿠션부에는 상기 제2 쿠션부의 팽창 두께를 제한하도록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영역인 제2 인엑티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부에는 상기 브릿지부의 팽창 두께를 제한하도록 가스가 유입되지 않는 영역인 브릿지 인엑티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2976A KR102593658B1 (ko) | 2016-11-16 | 2016-11-16 |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2976A KR102593658B1 (ko) | 2016-11-16 | 2016-11-16 |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5980A true KR20180055980A (ko) | 2018-05-28 |
KR102593658B1 KR102593658B1 (ko) | 2023-10-26 |
Family
ID=6245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2976A KR102593658B1 (ko) | 2016-11-16 | 2016-11-16 |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365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527588A (ja) * | 2018-06-26 | 2021-10-14 |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 |
US20230347845A1 (en) * | 2020-06-02 | 2023-11-02 | Yuto Kobayashi | Vehicle airba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8647A (en) * | 1975-07-09 | 1977-01-22 | Hitachi Ltd | Water purifier of multiple-faucet type |
KR20120051279A (ko) * | 2010-11-12 | 2012-05-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센터 에어백모듈 |
KR101460723B1 (ko) * | 2013-11-26 | 2014-11-1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의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
KR20150039800A (ko) * | 2012-08-27 | 2015-04-13 | 도요타 지도샤(주) |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
-
2016
- 2016-11-16 KR KR1020160152976A patent/KR1025936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8647A (en) * | 1975-07-09 | 1977-01-22 | Hitachi Ltd | Water purifier of multiple-faucet type |
KR20120051279A (ko) * | 2010-11-12 | 2012-05-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센터 에어백모듈 |
KR20150039800A (ko) * | 2012-08-27 | 2015-04-13 | 도요타 지도샤(주) |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
KR101460723B1 (ko) * | 2013-11-26 | 2014-11-1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차량의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1527588A (ja) * | 2018-06-26 | 2021-10-14 |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 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 |
US20230347845A1 (en) * | 2020-06-02 | 2023-11-02 | Yuto Kobayashi | Vehicle airba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US12005851B2 (en) * | 2020-06-02 | 2024-06-11 | Autoliv Development Ab | Vehicle airba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93658B1 (ko) | 2023-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93269B2 (en) | Passenger protecting device for vehicle | |
KR100576751B1 (ko) | 차량용 탑승자 무릎 보호시스템 및 팽창 및 전개 방법 | |
US7798523B2 (en) | Side impact airbag apparatus | |
KR102387636B1 (ko) | 승차인 보호 장치 | |
KR20120033743A (ko) | 차량용 루프 에어백장치 | |
JP2014151676A (ja) |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及び乗員保護装置 | |
JP2015013553A (ja) | 乗員頭部拘束エアバッグ装置 | |
KR20200003413A (ko) | 사이드 에어백 장치 | |
KR20180055980A (ko) | 차량용 파사이드 에어백 장치 | |
JP6233198B2 (ja) |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 |
KR102396754B1 (ko) | 자동차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 |
KR101936859B1 (ko) | 에어백 쿠션의 폴딩 방법 | |
CN112867641B (zh) | 乘员约束装置 | |
KR101684993B1 (ko) | 에어백 모듈 | |
KR102543716B1 (ko) |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 |
WO2023282018A1 (ja) | 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 | |
KR20100136236A (ko) | 무릎에어백의 폴딩방법 | |
KR20090065957A (ko) | 무릎 에어백 | |
JP4909556B2 (ja) | エアバッグ | |
CN115702096A (zh) | 步行者用安全气囊装置 | |
KR102064848B1 (ko) | 자동차의 무릎 에어백 장치 및 폴딩 방법 | |
WO2020174892A1 (ja) | エアバッグ装置 | |
KR100557325B1 (ko) | 에어백장치 | |
US12103486B1 (en) | Airbag cushion and side airbag device having the same | |
WO2023282022A1 (ja) | エアバッグ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