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1598A - 회전축과 관련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작동 레버를 가지는 연결 단자 - Google Patents

회전축과 관련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작동 레버를 가지는 연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1598A
KR20140091598A KR1020147016057A KR20147016057A KR20140091598A KR 20140091598 A KR20140091598 A KR 20140091598A KR 1020147016057 A KR1020147016057 A KR 1020147016057A KR 20147016057 A KR20147016057 A KR 20147016057A KR 20140091598 A KR20140091598 A KR 20140091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section
actuating
spring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6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8119B1 (ko
Inventor
한스-요제프 쾰만
미햐엘 마이어
볼프강 게르버딩
Original Assignee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42979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9159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9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1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65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with integral releas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77Pivoting levers actuating linearly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03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 H01R11/09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necting locations the connecting locations being ident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 단자(1)에 관한 것으로서, 이 연결 단자는 하나 이상의 버스 바 피스(5)와; 이 버스 바 피스(5)의 종속 버스 바 피스 섹션(5a)의 방향으로 경사져서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를 형성하기 위해 클램핑 자유단 및 버스 바 피스 섹션(5a)에 연결될 전도체를 위한 클램핑 지점을 형성하는 클램핑 섹션(6)을 가지며 U자 형상으로 굽혀진 하나 이상의 클램핑 스프링(4)과; 관련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로 통하며 도체 삽입 방향(L)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도체 삽입 개구(7)를 가진 절연재 하우징(2)과; 회전축(D)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 하나 이상의 작동 레버(8)로서, 상기 작동 레버(8)가 피벗되면 관련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의 하나 이상의 클램핑 지점의 개방을 위해 작동 섹션(9)에 의해 하나 이상의 클램핑 스프링(4)과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작동 섹션(9)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 아암(10)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작동 레버를 포함한다. 각각의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의 경우, 서로 상호 대향 배치된 2개의 작동 섹션(9) 각각이 관련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의 클램핑 스프링(4)의 관련 클램핑 섹션(6)을 수납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상호 대향 배치된 작동 섹션들(9) 사이의 공간에 제공된다.

Description

회전축과 관련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작동 레버를 가지는 연결 단자{TERMINAL HAVING AN OPERATING LEVER PIVOTABLY SUPPORTED ABOUT A ROTATIONAL AXIS}
본 발명은
- 하나 이상의 버스 바 피스와,
- 이 버스 바 피스의 종속 버스 바 피스 섹션의 방향으로 경사져서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클램핑 자유단 및 버스 바 피스 섹션에 연결될 전도체를 위한 클램핑 지점을 형성하는 클램핑 섹션을 가지며 U자 형상으로 굽혀진 하나 이상의 클램핑 스프링과,
- 관련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로 통하며 도체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도체 삽입 개구를 가진 절연재 하우징과,
- 회전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 하나 이상의 작동 레버로서, 이 작동 레버는 피벗 시 관련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의 하나 이상의 클램핑 지점의 개방을 위해 작동 섹션에 의해 하나 이상의 클램핑 스프링과 함께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작동 섹션에 연결된 작동 아암을 갖는 작동 레버를 포함하는 연결 단자에 관한 것이다.
DE 299 15 515 U1호에는 버스 바 피스와 상호 작용하는 클램핑 스프링을 포함하는 터미널 클램프를 가지는 절연재 하우징으로 전도체를 연결하기 위한 스프링 단자가 개시되어 있다. 절연재 하우징 안에 편심 레버 형태의 작동 요소가 통합되어 있으며, 이것은 절연재 하우징 안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편심 레버의 회전축은 실질적으로 클램핑 지점 위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을 갖는다.
DE 87 04 494 U1호에는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와 작동 레버를 포함하는 연결 단자가 공지되어 있다. 작동 레버는 자신의 회전축을 이용해 도체 삽입 방향으로 볼 때 클램핑 지점 뒤에 클램핑 스프링 아래에서 피벗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클램핑 레그 자유단에서 작동 탭이 굽혀져 있으며, 이 작동 탭은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의 개방을 위해 작동 레버의 작동 핑거와 상호 작용한다.
이를 전제로,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 및 연결 단자에 대한 작동 레버의 힘 작용과 관련하여 개선된 작동 레버를 포함하는 가능한 한 소형의 개선된 연결 단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는 제1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연결 단자를 통해 해결된다.
전술한 방식의 연결 단자의 경우에 각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를 위해 상호 대향 배치된 2개의 각 작동 섹션들이 관련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의 클램핑 스프링의 관련 클램핑 섹션을 수납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주하는 작동 섹션들 사이에 있는 공간 안에 제공된다.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를 위해 상호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작동 섹션들의 하나 이상의 작동 섹션에 관련 클램핑 스프링의 가압을 위한 윤곽부가 제공되어 있다. 작동 레버의 회전축은 도체 삽입 개구에 의해 정해진 도체 삽입 방향에 대해 가로로 연장되고, 클램핑 지점을 형성하는 버스 바 피스 섹션에 의해 형성된 평면과, 이에 대해 평행한 평면으로서,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에지가 작동 레버의 회전을 통해 완전히 개방되는 클램핑 지점에 위치하게 되는 평면 사이의 공간 내에 놓인다.
작동 레버 및 이의 회전축이 도체 삽입 개구 안에 또는 클램핑 지점 쪽으로 도체 삽입 개구에 일렬로 배치되어 작동 레버의 회전이 클램핑 지점의 영역에서 또는 그 앞에 있는 공간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작동 레버가 매우 공간 절약적으로 절연재 하우징 안에 수납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도체 삽입 채널의 벽으로서 전도체의 안내에 이용된다. 이와 같이, 작동 레버는 도체 삽입 개구의 전도체를 위한 안내벽의 일부를 대체한다.
또한, 클램핑 지점의 영역에 또는 그 앞에 있는 도체 삽입 개구에 정렬되게 회전축을 배치할 때 운동학적 장점은 클램핑 스프링의 작동이 상대적으로 회전축 가까이에서 이루어지고, 이는 절연재 하우징에 대한 레버 힘들을 감소시킨다.
유리하게는 도체 삽입 방향으로 도체 삽입 개구 안으로 삽입되는 전도체를 관련 클램핑 지점 쪽으로 안내하기 위해 작동 레버가 양측에서 측면 경계벽을 제공한다. 각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작동 섹션들을 통해 U자 형상 작동 레버가 제공되며, 이 작동 레버는 회전 불가능하며 절연재 하우징 내에서 우수한 회전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클램핑 스프링은 U자 형상으로 굽혀진 클램핑 스프링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자유 클램핑 섹션은 관련 버스 바 피스의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U자 형상으로 굽혀진 클램핑 스프링에 의해 전도체의 직접적인 고정이 클램핑 스프링 및 관련 작동 레버의 사전 개방 없이도 가능하다. 이는 디렉트 플러그인 기술로 공지되어 있다.
클램핑 지점을 형성하는 영역에서 버스 바는 접촉 에지를 위한 약간의 융기부와 무관하게 제1의 평면을 정하며, 제2의 가상 평면이 제1의 평면에 펼쳐진다. 이 제2의 평면은 버스 바 피스의 평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개방된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에지가 상기 평면과 접촉한다. 이들 평면 간 중간 공간은 작동 레버의 회전축이 있어야 하는 바람직한 공간을 형성하므로, 매우 콤팩트하게 형성되는, 기계적으로 안정된 연결 단자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작동 레버는 버스 바 피스의, 관련 버스 바 피스의 클램핑 섹션에 인접하게 제공된 섹션 안에 삽입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런 경우 작동 레버는 작동 섹션을 이용하여, 관련 클램핑 스프링의 폭에 걸처 볼 때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섹션 옆에 배치된 작동 탭을 가압함으로써 클램핑 스프링을 개방할 수 있다. 버스 바 피스의 측면 에지에 있는 영역에 의해 작동 레버가 공간 절약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버스 바 피스 및 관련 클램핑 스프링의 폭에 걸처 볼 때,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섹션에서 상기 영역 아래에 작동 탭이 놓이고, 그 후 상기 작동 탭이 작동 레버의 회전 시 작동 레버의 작동 섹션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클램핑 스프링이 개방된다. 그 후, 전도체의 전기 접촉은 버스 바 피스의 영역과 접촉하여 또는 폭에 걸처 볼 때 작동 탭에 접촉하여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섹션 및 버스 바 피스의 바람직한 것으로 소개된 접촉 에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작동 탭은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스프링에 의해 릴리즈되는, 예컨대 천공 또는 절단을 통해 릴리즈되고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섹션으로부터 경사져 돌출한다.
하나 이상의 작동 레버는 바람직하게는 작동 아암을 가지며, 작동 아암은 관련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의 폐쇄 상태에서 도체 삽입 방향으로 연장해 있다. 이와 같이 작동 아암의 자유단이 도체 삽입 개구의 맞은편에서 연결 단자의 후방측의 영역에서 종료한다. 이로써 연결 단자의 매우 콤팩트한 구조가 가능하다.
그러나 또 생각해 볼 수 있는 점은 하나 이상의 작동 레버가 작동 아암을 가지며, 이 작동 아암은 연결 단자의 하측 또는 상측에서 도체 삽입 방향으로 또는 이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연장해 있다. 연결 단자를 가능한 한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는 변형예를 위해, 작동 레버의 작동 아암들이 교대로 도체 삽입 방향으로 그리고 그 반대로 연장해 있거나 또는 교대로 하측과 상측에서 같은 방향으로 또는 교대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특수한 조합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런 실시예들은 특히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들 및 이들 간 공간적 위치의 구체적 조합에 의존한다.
이와 관련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연결 단자는 이 연결 단자의 상호 대향 배치된 전방측과 후방측에서 서로 합류되는 도체 삽입 개구들을 가진, 상호 대향 배치된 한 쌍 이상의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를 포함한다. 그럼으로써 이 실시예에서 전도체는 연결 단자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부터 상반된 도체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어 관련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와 접촉한다. 상호 대향 배치된, 경우에 따라서는 오프셋된 도체 삽입 개구들을 포함하는 상기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 쌍의 각각의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는 각각 작동 아암을 구비한 작동 레버를 가지며, 이들 작동 아암은 서로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이때, 작동 아암들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단자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도체 삽입 개구의 위 또는 아래에 2개의 도체 삽입 개구들 사이에 있는 공간 안에서 절연재 하우징의 관련 홈들 안에 수납되어 있다.
이런 실시예에서 특히 한 쌍의 작동 레버의 작동 아암들이 연결 단자의 같은 쪽에 또는 대안으로서 맞은 편에 배치되면 유리하다.
하기에서, 실시예들 및 첨부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도 1은 소켓 단자로서 다열 연결 단자의 부분 사시도-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결 단자용 작동 레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작동 레버의 후방측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와 도 3의 작동 레버를 밑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폐쇄 위치에서 작동 레버가 뒤로 향해 있는 소켓 단자로서 다열 연결 단자의 다른 일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작동 레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5의 연결 단자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연결 단자의 작동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작동 레버의 하측에 관한 도이다.
도 1에는 소켓 단자로서 다열 연결 단자(1)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연결 단자(1)는 복수의, 나란한 그리고 전기 전도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를 가지며, 이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들 중 좌측의 것이 보인다. 클램핑 스프링(4)이 버스 바 피스(5) 안에 설치되어 있다. 클램핑 스프링(4)은 U자 형상으로 휘어져 있으므로, 클램핑 에지를 포함하는 클램핑 섹션(6)이 자유단에서 클램핑 지점을 형성하도록 버스 바 피스 섹션(5a) 쪽으로 돌출해 있다. 전도체가 클램핑되어 있지 않은 무부하 상태에서 클램핑 에지는 버스 바 피스 섹션(5a)에 접촉해 있다.
각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는 클램핑 스프링의 가동형 자유단에 형성된 클램핑 섹션(6)을 통해 그리고 특히 클램핑 스프링(4)의 자유단에 있는 그리고 클램핑 섹션(6)과 마주하는 버스 바 피스 섹션(5a)에 있는 클램핑 에지를 통해 클램핑 지점을 제공한다. 이 클램핑 지점으로 전도체를 삽입하기 위해, 각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를 위해 관련 도체 삽입 개구(7)가 절연재 하우징 안에 제공되어 있다. 도체 삽입 개구(7)는 전도체의 절연 커버를 포함하는 최대 가능 허용 단면적에 적합한 직경을 갖는다.
클램핑 스프링(4)을 개방하기 위해, 각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a, 3b)는 작동 섹션(9) 및 이것에 인접한, 종방향으로 연장한 작동 아암(10)을 포함하는 작동 레버(8) 갖는다.
작동 레버(8)는 클램핑 지점의 폐쇄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작동 레버(8)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약 90°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신의 작동 섹션들(9)과 특히 각 작동 레버(8)가 연결 단자의 절연재 하우징(2) 내에서 피벗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D)을 포함하는 작동 레버(8)가 관련 도체 삽입 개구(7)의 공간에 또는 도체 삽입 개구(7)의 연속하는 연장부 내 클램핑 지점을 향한 도체 삽입 방향(L)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클램핑 스프링(4)의 폭의 방향으로 볼 때 클램핑 섹션(6) 옆에 있는 각각의 작동 탭(11)이 릴리즈되며 클램핑 섹션(6)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해 있다. 관련 작동 레버(8)의 작동 섹션(9)의 적응된 윤곽부는 작동 레버(8)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할 때 이러한 운동 동안 작동 탭(1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클램핑 스프링(4)을 개방하기 위해, 클램핑 스프링(4)의 클램핑 섹션(6)은 클램핑 지점을 형성하는 인접 버스 바 피스 섹션(5a)으로부터 이동된다.
이런 실시예에서 클램핑 스프링(4)은 클램핑 섹션(6)의 양측에서 작동 탭(11)을 가질 수 있다.
분명하게는 클램핑 지점을 형성하는 버스 바 피스 섹션(5a)은 자신의 자유단에서 클램핑 돌출부(18)를 가지며, 전도체를 위해 자신의 면적과 관련해 감소된 일정한 접촉면이 이 클램핑 돌출부를 통해 제공된다. 그런 경우, 클램핑 스프링(4)의 클램핑 힘은 전도체에 의해 클램핑 돌출부(18)를 통해 정해진 클램핑 표면에 집중되므로, 표면 압력이 평면의 지지면에 비해 향상된다. 또 분명한 점은 클램핑 지점을 형성하는 버스 바 피스 섹션(5a)의 자유단이 위를 향해 경사지게 꺽여 있으므로, 클램핑 에지(18) 쪽으로 전도체가 안내될 수 있다.
클램핑 지점을 형성하는 버스 바 피스 섹션(5a)은 경우에 따라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클램핑 에지(18) 측면에 접하여 꺼진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작동 레버(8)의 작동 섹션(9)이 그 안에 삽입된다. 그 후, 클램핑 스프링(4)의 폭에 의해 영역(19) 아래에서 작동 탭(11)이 클램핑 스프링(4)의 클램핑 섹션(6)에 의해 릴리즈되며 도체 삽입 방향(L)의 방향으로 연장해 있다.
분명한 점은 클램핑 지점 쪽으로 삽입되는 전도체를 위해 작동 레버(8)의 작동 섹션(9)의 측벽들이 측면 경계벽을 형성하며, 이것은 전도체를 클램핑 지점 쪽으로 안내하는 데 이용된다.
시야 방향으로 우측 뒤를 향해 경사져 나란히 배치된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들(3)의 버스 바 피스들(5)이 도통 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경우에 나란히 있는 2개의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들(3)이 도통 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도통 가능하게 연결된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들(3)의 2쌍 또는 3쌍이 제공되어 있는 연결 단자(1)의 일 실시예 역시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 단상의 전원 전압 단자를 위한 2개의 도체가 연결부들(L(상), N(중성선) 및 PE(접지))과 각각 서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연결 단자가 형성된다.
분명한 점은 작동 레버(8)가 각각의 경우에 클램핑 지점 옆, 즉 버스 바 피스 섹션(5a)과 클램핑 섹션(6) 옆에 절연재 하우징(2) 안에 형성된 도체 삽입 개구(7)의 단부 바로 뒤에 배치되어 있다. 작동 레버(8)의 작동 섹션들(9)은 각 도체 삽입 개구(7)의 벽의 연장부를 형성하므로, 클램핑 지점 쪽으로 전도체가 안내될 수 있다. 각 작동 섹션(9)은 클램핑 스프링(4)의 관련 작동 탭(11)과 상호 작용한다. 작동 레버(8)의 회전축은 클램핑 지점의 영역에서 버스 바 피스 섹션(5) 아래에 있다. 회전축은 도체 삽입 방향에 대해 가로로 연장되며, 이 도체 삽입 방향은 도체 삽입 개구(7)의 연장 방향을 통해 설정된다.
또, 분명한 점은 작동 아암(10)은 도체 삽입 방향(L)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연재 하우징(2)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작동 아암(10)의 자유단들은 전방측의 영역에 있다. 작동 아암(10)의 자유단들이 도체 삽입 개구(7)의 경계벽들 또는 절연재 하우징(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이들이 손에 의해 잡혀 회전될 수 있다.
또, 작동 아암(10)의 일부를 수납하기 위해 작동 레버(8)가 절연재 하우징(2)의 홈들 안에 수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작동 아암(10)은 폐쇄 위치에서 도체 삽입 방향(L)과 반대로 절연재 하우징(2)의 해당 도체 삽입 개구(7)의 각 전방측 쪽으로 연장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작동 아암(10)이 180°만큼 회전되어 폐쇄 위치에서 도체 삽입 방향(L)을 가리키는 실시예 역시 생각해 볼 수 있다.
도 1에서 특히 중앙에 도시된 도체 삽입 개구들(7) 및 이것에 연결된 작동 레버(8)를 이용할 때 분명한 점은 하나의 작동 레버(8)가 이런 실시예에서 각각의 경우에 서로 나란히 있는 2개의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들(3)의 개방을 위해 제공되어 있다. 대안으로서, 클램핑 지점마다 작동 레버(8)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전방측에서 바라본 작동 레버(8)의 사시도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때 분명한 점은 가운데 중앙 영역에 하나의 개구(24)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안에 절연재 하우징의 안내벽이 삽입되므로, 작동 레버(8)가 절연재 하우징(2) 안에서 틸팅되지 않게 안내될 수 있다. 개구(24)는 상측 영역에서 환형 칼라(25)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이 칼라는 작동 레버(8)의 보강 및 강화에 이용된다.
또 분명한 점은 작동 레버(8)가 자신의 양 측면 외측 단부에서 베어링으로서 이용되는 회전 핀(22)을 갖는다. 이 회전 핀(22)은 절연재 하우징(2) 내 대응 개구들 안에 수납되어 있다.
또, 각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를 위해 각각 상호 대향 배치된 2개의 작동 섹션(9)이 제공되므로, 전도체가 측면에서 환상으로 제한된 도체 삽입 개구(7)에서 클램핑 지점 쪽으로 도체 삽입 개구(7)로부터 나온 후, 전도체가 양측 작동 섹션(9)에서 클램핑 지점 쪽으로 안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호 대향 배치된 작동 섹션들(9)은 도체 삽입 개구(7)의 연장부로서 이용된다.
작동 아암들(10)의 상호 대향 배치된 측면 에지들에서 작동 레버(8)는 로킹 홈(26) 또는 돌출 로킹 핀을 가질 수 있으므로, 작동 레버가 폐쇄 상태에서 절연재 하우징(2)과 결합되어 적은 힘에 의한 작동 레버(8)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이 억제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도 2의 작동 레버의 후방측 모습을 볼 수 있다. 분명한 점은 슬롯으로서 실시된 개구(24)가 작동 레버(8)의 중앙에 있다.
작동 아암(10)의 상측에서 환상 칼라(25) 역시 볼 수 있으며, 이 칼라는 작동 섹션들 사이에 있는 개구(24)(슬롯)를 포함해서 작동 섹션들(9)을 형성하는 벽들로 넘어간다.
도 4에서 도 2와 도 3의 작동 레버의 하측의 사시도를 볼 수 있다. 이때, 분명한 점은 개구(24)가 하측 영역에서 다시 폐쇄되어 있다. 작동 섹션들(9)을 형성하는 벽들은 작동 아암(10)의 하측에 있는 웨브(27)를 통해 작동 아암으로 넘어가므로, 작동 아암(10)이 강화되고 작동 섹션들(9)과 관련해서 반동이 억제될 수 있다. 작동 섹션들(9)은 회전축(D)에 맞는 윤곽부를 가지므로, 개방된 작동 레버(8)가 상사점 위치에 자가 고정된다.
또한, 회전 핀(22)에 추가로 가운데 영역에 지지를 위한 안내면(22a)이 제공된다.
도 5에서 시야 방향으로 전후에 배치된 다수의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들(3) 및 관련 작동 레버(8)를 포함하는 연결 단자(1)의 그외 실시예를 볼 수 있다. 이 도면에서 작동 레버(8)는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의 클램핑 스프링(4)이 폐쇄되어 있는 폐쇄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가 개방되어 있는 상동의 작동 레버(8)가 도시되어 있다.
분명한 점은 작동 레버(8)가 자신의 작동 섹션들(9)과 함께 도체 삽입 개구(7) 바로 뒤에 다시 버스 바 피스(5) 또는 클램핑 지점을 형성하는 버스 바 피스 섹션(5a) 옆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 회전축(D)은 도체 삽입 개구(7)에서 또는 바로 그 뒤에 그리고 도체 삽입 방향(L)으로 볼 때 클램핑 지점 바로 앞에 및 이 클램핑 지점을 형성하는 버스 바 피스 섹션(5a) 아래에 있다. 작동 레버(8)의 작동 아암(10)은 도체 삽입 방향(L)으로 도체 삽입 개구(7)로부터 연결 단자(1)의 후방측 방향을 향해 있다. 이와 같이, 연결 단자(1)의 매우 콤팩트한 구조가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가 단순하고 신뢰적일 때 가능해진다.
또한, 하측 영역에서 절연재 하우징(2)의 전방측에 검사 개구(28)가 제공되어 클램핑 스프링(4) 쪽으로 개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에 인가되는 전압 전위는 검사 개구(28) 안으로 삽입되는 검사핀을 이용해 측정될 수 있다.
도 7에는 도 5 및 도 6의 연결 단자(1)의 작동 레버(8)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분명한 점은 작동 아암(10)이 작동 섹션들(9)로부터 우선 좌측으로 경사져 그 다음에 도체 삽입 방향(L)으로 연장해 있다. 작동 아암(10)의 하측 자유단에서 크로스 피스(10c) 역시 볼 수 있다.
회전축(D)의 위치에 따른 작동 섹션의 적합한 윤곽부의 협력을 통해, 상사점 위치에서의 개방된 작동 레버(8)의 자가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동 섹션들(9)은 예컨대 노즈(30)를 가지며, 노즈는 개방된 작동 레버(8)가 상사점 위치에서 자가 고정되도록 회전축의 위치에 매칭된다.
도 8에서는 도 11의 작동 아암을 밑에서 보고 있다. 이때, 2개의 아암 영역(10a, 10b) 및 이 아암 영역(10a, 10b)을 자유단에서 연결하는 크로스 피스(10c)를 포함하는 작동 아암(10)의 구조가 분명하다.
작동 섹션들(9)의 외측 측면으부터 회전핀(22)이 돌출해 있고, 이 회전핀은 연결 단자(1)의 절연재 하우징(2)의 대응 홈들에 지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작동 섹션(9)의 상호 대향 배치된 내측들은 자유단 쪽으로 경사져서 에지의 간섭 없이 전도체의 안내를 위한 삽입 베벨(29)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시된 소켓 단자 대신에 그외 변형예들도 생각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연결 단자의 길이에 걸처 볼 때 2개의 전후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가 제공되는 연결 단자의 변형예에도 적용된다. 설치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작동 레버(8)가 교대로 그 폭에 걸처 볼 때 상측과 하측으로부터 돌출하면 유리하다.
이런 경우 생각해 볼 수 있는 변형예에서는 작동 아암들(10)이 교대로 한편으로 도체 삽입 방향으로 그리고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가 그 옆에 있는 경우 도체 삽입 방향(L)의 반대 방향으로 후방측 또는 전방측에서 돌출한다.
이때 또 생각할 수 있는 변형예는 작동 아암(10)의 방향이 교대로 변할뿐만 아니라 작동 레벌의 방향 역시 교대로 변하므로, 이들이 상측으로부터 그리고 인접하여 절연재 하우징(2)의 하측으로부터 돌출하거나 또는 상측에 그리고 교대로 하측에 있는 홈들 안에 수납되어 있다.

Claims (8)

  1. 연결 단자(1)이며,
    - 하나 이상의 버스 바 피스(5)와,
    - 버스 바 피스(5)의 종속 버스 바 피스 섹션(5a)의 방향으로 경사져서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를 형성하기 위해 클램핑 자유단 및 버스 바 피스 섹션(5a)에 연결될 전도체를 위한 클램핑 지점을 형성하는 클램핑 섹션(6)을 가지며 U자 형상으로 굽혀진 하나 이상의 클램핑 스프링(4)과,
    - 관련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로 통하며 도체 삽입 방향(L)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도체 삽입 개구(7)를 가진 절연재 하우징(2)과,
    - 회전축(D)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 하나 이상의 작동 레버(8)로서, 상기 작동 레버(8)는 피벗 시 관련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의 하나 이상의 클램핑 지점의 개방을 위해 작동 섹션(9)에 의해 하나 이상의 클램핑 스프링(4)과 상호 작용하도록 형성되고, 작동 섹션(9)에 연결된 작동 아암(10)을 갖는 하나 이상의 작동 레버(8)를 포함하는 연결 단자에 있어서,
    - 각각의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의 경우, 서로 상호 대향 배치된 2개의 각 작동 섹션(9) 각각이 관련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의 클램핑 스프링(4)의 관련 클램핑 섹션(6)을 수납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상호 대향 배치된 작동 섹션들(9) 사이의 공간에 제공되며,
    -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를 위해 서로 상호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작동 섹션(9)의 하나 이상의 작동 섹션(9)에 관련 클램핑 스프링(4)의 가압을 위한 윤곽부가 제공되며,
    - 작동 레버(8)의 회전축(D)은 도체 삽입 개구(7)에 의해 정해진 도체 삽입 방향(L)에 대해 가로로 연장되고, 클램핑 지점을 형성하는 버스 바 피스 섹션(5a)에 의해 형성된 평면과, 이에 대해 평행한 평면으로서, 클램핑 스프링(4)의 클램핑 에지가 작동 레버(8)의 회전을 통해 완전히 개방되는 클램핑 지점에 위치하게 되는 평면 사이의 공간 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1).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작동 레버(8)는 버스 바 피스(5)의, 관련 버스 바 피스(5a)의 클램핑 섹션에 인접하게 제공된 섹션(19) 안에 삽입되고, 작동 섹션(9)의 윤곽부를 이용하여 클램핑 스프링(4)의 개방을 위해 관련 클램핑 스프링(4)의 폭에 걸처 볼 때 클램핑 스프링(4)의 클램핑 섹션(6) 옆에 배치된 작동 탭(11)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관련 클램핑 스프링(4)의 폭에 걸처 볼 때 클램핑 스프링(4)의 클램핑 섹션(6) 옆에 배치된 작동 탭(11)이 클램핑 스프링(4)의 개방을 위해 제공되며, 이 작동 탭(11)은 클램핑 스프링(4)에 의해 릴리즈되고 클램핑 스프링(4)의 클램핑 섹션(6)으로부터 경사져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작동 레버(8)는 작동 아암(10)을 가지며, 이 작동 아암은 관련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의 폐쇄 상태에서 도체 삽입 방향(L)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작동 레버(8)는 작동 아암(10)을 가지며, 이 작동 아암은 연결 단자(1)의 하측 또는 상측에서 도체 삽입 방향(L)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단자(1)는 이 연결 단자(1)의 상호 대향 배치된 전방측과 후방측에서 서로 합류되는 도체 삽입 개구들(7)을 가진, 상호 대향 배치된 한 쌍 이상의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를 포함하며, 한 쌍의 스프링력 클램핑 연결부(3) 각각은 작동 아암을 가진 각각의 작동 레버에 할당되며, 이들 작동 아암은 서로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1).
  7. 제6항에 있어서, 한 쌍의 작동 레버들(8)의 작동 아암들(10)은 연결 단자(1)의 같은 쪽에 또는 서로 마주보는 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섹션(9)의 돌출 윤곽부는, 개방된 작동 레버(8)가 상사점 위치에서 자가 고정되도록, 회전축(D)의 위치와 클램핑 스프링(4)에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1).
KR1020147016057A 2011-12-14 2012-12-11 회전축과 관련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작동 레버를 가지는 연결 단자 KR101558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56410.1 2011-12-14
DE102011056410A DE102011056410B4 (de) 2011-12-14 2011-12-14 Anschlussklemme
PCT/EP2012/075069 WO2013087619A1 (de) 2011-12-14 2012-12-11 Anschlussklemme mit einem um eine drehachse schwenkbar gelagerten betätigungsheb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1598A true KR20140091598A (ko) 2014-07-21
KR101558119B1 KR101558119B1 (ko) 2015-10-06

Family

ID=4742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6057A KR101558119B1 (ko) 2011-12-14 2012-12-11 회전축과 관련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작동 레버를 가지는 연결 단자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9124034B2 (ko)
EP (3) EP2792024B1 (ko)
JP (3) JP6184089B2 (ko)
KR (1) KR101558119B1 (ko)
CN (3) CN103999290B (ko)
BR (1) BR112014014271B1 (ko)
DE (1) DE102011056410B4 (ko)
DK (3) DK2792024T3 (ko)
ES (3) ES2569727T3 (ko)
PL (3) PL2792024T3 (ko)
PT (2) PT3125372T (ko)
RU (1) RU2572567C1 (ko)
WO (1) WO20130876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528A (ko) * 2016-08-23 2019-04-12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스프링 부하형 클램핑 연결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10895B4 (de) * 2012-11-13 2015-03-2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DE102013101410A1 (de) * 2013-02-13 2014-08-1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klemmanschluss und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3101406B4 (de) * 2013-02-13 2018-07-1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3101408B4 (de) * 2013-02-13 2021-01-1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klemmelement und Verbindungsklemme
DE202013100635U1 (de) 2013-02-13 2013-03-0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lemmkontakt und Verbindungsklemme für elektrische Leiter
DE102013101411B4 (de) 2013-02-13 2018-03-2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klemmanschluss und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3101409B4 (de) * 2013-02-13 2022-01-2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3004666A1 (de) * 2013-03-19 2014-09-2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lemmenblockanordnung
DE202013101582U1 (de) 2013-04-15 2014-07-16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Federkraftklemmelement mit Schwenkhebel
USD745459S1 (en) * 2013-06-17 2015-12-1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ctrical plug-in connector
DE102013110475A1 (de) * 2013-09-23 2015-03-2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klemme
DE102013110476A1 (de) * 2013-09-23 2015-03-2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abelschuheinrichtung mit Strombalken sowie Anschlussklemme
DE102013110477B4 (de) * 2013-09-23 2021-11-0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Durchführungsklemme und elektrische Baueinrichtung
DE102013110789B3 (de) * 2013-09-30 2014-12-04 Klaus Bruchmann Gmbh Adapter zum Kontaktieren von Sammelschienen
DE102013111574B4 (de) * 2013-10-21 2017-01-1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klemmanschluss und Steckverbinder
DE102014102517B4 (de) * 2014-02-26 2021-06-1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Verbindungsklemme und Federkraftklemmkontakt hierzu
JP6406049B2 (ja) 2014-03-26 2018-10-17 株式会社デンソー 正極材料,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9397416B2 (en) * 2014-08-22 2016-07-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oke-in wire contacts
DE102014114026B4 (de) 2014-09-26 2023-03-3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und Verfahren zu deren Montage
TWM502983U (zh) * 2014-12-04 2015-06-11 Switchlab Inc 軌道型電聯接端子之導電接線結構
DE102014119030A1 (de) * 2014-12-18 2016-06-2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klemme
DE102014119421B4 (de) * 2014-12-22 2017-02-0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Verbindungsklemme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Verbindungsklemme
DE102015100257A1 (de) * 2014-12-22 2016-06-23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zum Anklemmen wenigstens eines elektrischen Leiters
DE102014119420B3 (de) * 2014-12-22 2016-05-1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DE102015100823B4 (de) * 2015-01-21 2021-12-0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klemme
CN104638455A (zh) * 2015-02-06 2015-05-20 胡和萍 一种燃气热水炉控制电路连接器
WO2016164219A1 (en) 2015-04-08 2016-10-13 Phoenix Cont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Inc. Terminal block
CN104767045B (zh) * 2015-04-11 2017-03-29 江门市创艺电器有限公司 一种接线端子连接器
CN204558667U (zh) * 2015-04-11 2015-08-12 江门市创艺电器有限公司 一种接线端子连接器
KR102476138B1 (ko) * 2015-08-19 2022-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광원모듈 및 이를 이용한 광원모듈 어레이
DE102015115612A1 (de) * 2015-09-16 2017-03-1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klemme zum Anschließen eines elektrischen Leiters
DE202015105022U1 (de) * 2015-09-22 2016-12-23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ssvorrichtung für Leiter
JP2017073284A (ja) * 2015-10-07 2017-04-13 Smk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DE102015118032B4 (de) * 2015-10-22 2017-11-1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5119247A1 (de) * 2015-11-09 2017-05-1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Verbindungsklemme
DE102015122143B4 (de) * 2015-12-17 2019-02-1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JP6571517B2 (ja) * 2015-12-24 2019-09-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端子着脱装置
CN105490038B (zh) * 2016-01-08 2017-12-05 林家鹳 一种接线端子
CN107104303B (zh) * 2016-02-19 2020-05-12 进联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电联接端子结构
US9466897B1 (en) * 2016-03-01 2016-10-11 Dinkle Enterprises Co., Ltd. Double-wire terminal block structure
JP2017183023A (ja) * 2016-03-29 2017-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端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配線器具
LU93033B1 (de) * 2016-04-20 2017-11-3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Intellectual Property Licenses & Standards Elektrische Anschlussklemme und Verfahren
US10658766B2 (en) * 2016-05-30 2020-05-19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Spring terminal for a conductor
AT15515U1 (de) * 2016-06-13 2017-11-15 Benedict Gmbh Federkraftklemme
DE102016111627A1 (de) 2016-06-24 2017-12-2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EP3479441A1 (en) * 2016-06-30 2019-05-08 TP Elektrik Malzeme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Terminal block for plug or socket comprising wire spring contacts activated by levers
LU93148B1 (de) * 2016-07-13 2018-01-2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Intellectual Property Licenses & Standards Anschlussklemme
DE102016115490B4 (de) * 2016-08-22 2018-06-07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Anschlusselement
LU93183B1 (de) 2016-08-25 2018-03-2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Intellectual Property Licenses & Standards Anschlussklemme
DE102016116510A1 (de) * 2016-09-02 2018-03-0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CN110050392B (zh) * 2016-12-06 2021-07-09 雷斯昂公司 连接器移除工具
CN110431716B (zh) 2017-01-06 2021-08-06 哈勃股份有限公司 具有免螺丝连接端子的电气布线装置
JP6801516B2 (ja) * 2017-02-28 2020-12-16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台
DE102017109694B4 (de) * 2017-05-05 2022-10-0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CN207559093U (zh) * 2017-05-05 2018-06-29 陈斌斌 一种接线端子
DE202017107800U1 (de) * 2017-05-12 2018-08-17 Electro Terminal Gmbh & Co Kg Klemme
CN107181074A (zh) * 2017-06-13 2017-09-19 广州高权电器灯饰有限公司 一种接线端子
DE102017115137A1 (de) * 2017-07-06 2019-01-10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ontaktschieneneinrichtung für ein wenigstens teilweise elektrisch angetriebenes Fahrzeug
TWI691132B (zh) * 2017-07-06 2020-04-11 進聯工業股份有限公司 導線聯接端子之導電組件結構
CN108075252B (zh) * 2017-07-12 2023-08-01 安波福中央电气(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
BE1025389B1 (de) * 2017-07-14 2019-02-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EINRICHTUNG ZUM ANSCHLIEßEN EINER ELEKTRISCHEN LEITUNG
US10916906B2 (en) 2017-08-16 2021-02-09 Molex, Ll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DE202017105467U1 (de) 2017-09-08 2018-12-1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202017107208U1 (de) * 2017-11-28 2019-03-04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ssvorrichtung zum Anschluss eines Leiterendes
DE202018101729U1 (de) * 2018-03-28 2019-07-0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Klemmfeder einer Leiteranschlussklemme sowie Reihenklemme
DE202018101731U1 (de) * 2018-03-28 2019-07-0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Klemmfeder einer Leiteranschlussklemme sowie Reihenklemme
DE202018101726U1 (de) * 2018-03-28 2019-07-0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Klemmfeder einer Leiteranschlussklemme sowie Reihenklemme
USD914613S1 (en) * 2018-04-19 2021-03-3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ctric terminal
CN110416749B (zh) * 2018-04-27 2021-02-05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端子台
TR201809553A2 (tr) * 2018-07-04 2018-07-23 Eae Elektrik Asansoer Enduestrisi Insaat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Busbar i̇çi̇n bi̇r ek bağlanti modülü
DE102018117508B4 (de) 2018-07-19 2024-01-1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CN109038035B (zh) * 2018-07-20 2020-01-07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采用滑块快速锁线的连接器
JP7095489B2 (ja) * 2018-08-27 2022-07-05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式スクリューレス端子台
CN109149152B (zh) * 2018-09-11 2020-09-01 余姚市信亿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导线连接器
DE102018124623B4 (de) * 2018-10-05 2022-07-0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Kontakteinsatz einer Leiteranschlussklemme sowie damit gebildete Leiteranschlussklemme
US10418727B1 (en) * 2018-11-15 2019-09-17 Dinkle Enterprise Co., Ltd. Rotate-to-open clamping unit and connection device having the same
DE202018106896U1 (de) 2018-12-04 2020-03-0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Federanschlussklemme
CN109510007B (zh) * 2018-12-05 2023-09-29 天立电机(宁波)有限公司 插拔式接线端子
DE102018131794B4 (de) 2018-12-11 2023-06-0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US10511108B1 (en) * 2019-01-07 2019-12-17 Dinkle Enterprise Co., Ltd. Dual-wire connector
DE102019104704A1 (de) * 2019-02-25 2020-08-27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Anschlusseinrichtung für elektrische Leiter
CN110112585B (zh) * 2019-05-20 2024-04-19 安费诺商用电子产品(成都)有限公司 一种快速锁线机构
DE202019105009U1 (de) 2019-09-11 2020-12-1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LU101419B1 (de) * 2019-09-27 2021-03-31 Phoenix Contact Gmbh & Co Verriegelbares Anschlussmodul
DE202020100089U1 (de) * 2020-01-09 2021-04-1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102020104077A1 (de) * 2020-02-17 2021-08-1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Federkraftklemmanschluss
DE102021108316A1 (de) * 2020-04-03 2021-10-0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klemme und elektronisches Gerät
US11095053B1 (en) * 2020-06-10 2021-08-17 Dinkle Enterprise Co., Ltd. Tool-less terminal block
EP4184721A1 (en) * 2020-07-17 2023-05-24 Idec Corporation Connecting device
DE202020105715U1 (de) * 2020-10-06 2022-01-10 Electro Terminal GmbH & Co. KG Klemme mit Lösehebel
US11791573B2 (en) 2021-04-15 2023-10-17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Wire terminals and method of uses
US11670878B2 (en) * 2021-05-18 2023-06-06 Dinkle Enterprise Co., Ltd. Terminal block structure
DE202021103878U1 (de) 2021-07-21 2022-11-04 Electro Terminal GmbH & Co. KG Klemme mit Lösehebel
EP4123839A1 (de) * 2021-07-21 2023-01-25 Electro Terminal GmbH & Co KG Elektrischer klemme mit lösehebel
WO2023095687A1 (ja) * 2021-11-29 2023-06-01 Idec株式会社 接続機器および電子機器
DE102022100132A1 (de) 2022-01-04 2023-07-06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vorrichtung
WO2024005776A1 (en) * 2022-06-27 2024-01-04 Ideal Industries, Inc. Lever connector for electrical conductors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98970U (de) * 1964-06-08 1964-08-20 Wago Klemmenwerk G M B H Federdruck-klemme.
DE1975279U (de) 1967-07-15 1967-12-21 Berker Geb Im sockel eines installationsgeraetes angeordnete anschlussklemme fuer elektrische leiter.
DE1975278U (de) * 1967-07-15 1967-12-21 Berker Geb Im sockel eines installationsgeraetes angeordnete anschlussklemme fuer elektrische leiter.
DE1984159U (de) 1967-12-07 1968-04-25 Friedrich Merk Telefonbau G M Klemmvorrichtung fuer den anschluss elektrischer leitungen.
CH619324A5 (en) 1977-08-10 1980-09-15 Feller Ag Screwless electrical connecting terminal
AT376524B (de) 1978-06-05 1984-11-26 Siemens Ag Oesterreich Reihenklemme zur loesbaren elektrisch leitenden verbindung
DE8424056U1 (de) 1984-08-14 1984-11-15 Gira Elektrotechnische Industrie Gustav Giersiepen, 5608 Radevormwald Schraubenlose Anschlußklemme für elektrische Geräte, insbesondere für Installationsgeräte
DE8704494U1 (ko) 1987-03-26 1987-06-11 Popp + Co Gmbh, 8582 Bad Berneck, De
DE3743410A1 (de) * 1987-12-21 1989-06-29 Electro Terminal Gmbh Schraubenlose verbindungsklemme
JP2594190Y2 (ja) * 1992-08-07 1999-04-19 株式会社白山製作所 差し込み形接続端子
DE4233446C1 (de) * 1992-10-05 1993-10-21 Wieland Elektrische Industrie Schraubenlose Federklemme
JP3395540B2 (ja) * 1996-05-28 2003-04-14 松下電工株式会社 電線接続端子
IT1283503B1 (it) 1996-07-25 1998-04-21 Claber Spa Morsetto a leva per connettori elettrici
US6146187A (en) * 1998-11-25 2000-11-14 Supplie & Co. Import/Export, Inc. Screwless terminal block
JP2000260501A (ja) * 1999-03-11 2000-09-22 Nitto Electric Works Ltd 端子装置
DE29915515U1 (de) 1999-09-03 2001-02-01 Weidmueller Interface Federklemme zum Anschließen elektricher Leiter
JP2003249283A (ja) * 2002-02-21 2003-09-05 Kawamura Electric Inc 速結端子
DE10261536B4 (de) 2002-12-23 2009-12-1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 und Verbindungsklemme für elektrische Leiter
JP4052171B2 (ja) * 2003-04-18 2008-02-27 松下電工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JP4046102B2 (ja) * 2004-05-26 2008-02-13 松下電工株式会社 端子装置
ES2247929B1 (es) 2004-06-10 2007-04-01 Simon, S.A. Mecanismo de embornado y desembornado rapido par dispositivos electricos.
JP4289230B2 (ja) * 2004-06-25 2009-07-0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FR2873859B1 (fr) * 2004-07-30 2006-12-08 Legrand Sa Appareil electrique comportant une borne a connexion automatique
FR2875944B1 (fr) * 2004-09-27 2006-12-15 Legrand Sa Appareil comportant un bloc de raccordement
DE102006001812A1 (de) 2005-12-05 2007-06-06 Km Europa Metal Ag Kokille zum Stranggießen von Metall
DE202006020822U1 (de) 2006-04-19 2010-08-0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Federkraftklemme
DE102006047254B3 (de) * 2006-10-06 2008-05-21 Abb Ag Installationsschaltgerät
DE102007051900B4 (de) * 2007-10-29 2009-09-1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anschluss
FR2935201B1 (fr) * 2008-08-20 2010-09-24 Legrand France Borne de connexion electrique automatique
CN102132460B (zh) * 2008-08-27 2013-09-18 菲尼克斯电气公司 电接线端子
DE102008062137B4 (de) * 2008-12-16 2011-06-0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202009002040U1 (de) * 2009-01-23 2009-08-06 Wischemann, Heinrich Halterung für ein Solarmodul
DE202009002240U1 (de) 2009-02-17 2010-07-2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klemme
JP5491837B2 (ja) 2009-12-04 2014-05-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速結端子装置
ITTO20100677A1 (it) * 2010-08-04 2012-02-05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rl Connettore elettrico atto a realizzare un contatto diretto fra un conduttore elettrico ed una rispettiva controparte
US8113858B1 (en) * 2011-08-20 2012-02-14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ble connector having switching function
US20140113502A1 (en) * 2012-09-28 2014-04-24 Phoenix Contact Development & Manufacturing, Inc. Connector Block with Spring-Loaded Electrical Terminal Assembl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528A (ko) * 2016-08-23 2019-04-12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스프링 부하형 클램핑 연결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2605335T (pt) 2016-12-15
JP6184089B2 (ja) 2017-08-23
ES2662899T3 (es) 2018-04-10
DK2605335T3 (da) 2017-01-02
EP2605335A3 (de) 2014-04-16
JP2017216250A (ja) 2017-12-07
JP2013125749A (ja) 2013-06-24
EP2792024A1 (de) 2014-10-22
BR112014014271B1 (pt) 2020-12-15
CN107257037A (zh) 2017-10-17
JP5833774B2 (ja) 2015-12-16
DE102011056410B4 (de) 2013-06-27
ES2606362T5 (es) 2022-11-28
PL3125372T3 (pl) 2018-07-31
ES2569727T3 (es) 2016-05-12
BR112014014271A2 (pt) 2017-06-13
US9124034B2 (en) 2015-09-01
CN103999290A (zh) 2014-08-20
DK2792024T3 (da) 2016-06-06
KR101558119B1 (ko) 2015-10-06
DE102011056410A1 (de) 2013-06-20
JP2015505129A (ja) 2015-02-16
DK2605335T4 (da) 2023-01-23
EP3125372B2 (de) 2024-05-01
PL2605335T3 (pl) 2017-03-31
PL2605335T5 (pl) 2023-02-27
ES2606362T3 (es) 2017-03-23
EP2605335A2 (de) 2013-06-19
CN103199350B (zh) 2017-08-29
PL2792024T3 (pl) 2016-08-31
EP2792024B1 (de) 2016-03-09
US8794994B2 (en) 2014-08-05
JP6626477B2 (ja) 2019-12-25
US20130157520A1 (en) 2013-06-20
EP3125372B1 (de) 2018-01-17
PT3125372T (pt) 2018-03-20
DK3125372T3 (en) 2018-04-23
CN103199350A (zh) 2013-07-10
CN103999290B (zh) 2016-11-02
WO2013087619A1 (de) 2013-06-20
EP2605335B1 (de) 2016-09-21
EP2605335B2 (de) 2022-10-19
RU2572567C1 (ru) 2016-01-20
US20140370740A1 (en) 2014-12-18
EP3125372A1 (de)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119B1 (ko) 회전축과 관련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작동 레버를 가지는 연결 단자
RU2740638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лемма для провода
US9466895B2 (en) Conductor terminal
CN109314324B (zh) 用于导体的弹簧力端子
KR102145876B1 (ko) 전기 전도체를 위한 스프링 클램프 접촉부 및 연결 단자
US10033119B2 (en) Connecting terminal and method for fitting a connecting terminal
RU2676265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зажим и пружинный зажимной контакт для него
JP5806584B2 (ja) 電気コネクタ
TWI746658B (zh) 用於接觸電導線的彈簧緊接觸件、接線端子和用於製造彈簧夾緊接觸件的方法
US8581131B2 (en) Modular terminal, particularly an isolating terminal
CN107636901B (zh) 接线夹
KR20180078239A (ko) 연결 클램프
US7561018B2 (en) Fuse strip with lateral outgoing contacts and a lateral adapter module
KR20070034440A (ko) 스프링식 플러그 단자
JP2017220456A (ja) 導体路用ばね負荷端子
TW201712954A (zh) 導線接線端子
JP4813956B2 (ja) 回路遮断器の端子構造
JP4466984B2 (ja) プラグイン式配線用遮断器
JP4322387B2 (ja) 電気開閉装置ユニットのための接続組立体
CN1352816A (zh) 采用绝缘切割连接技术的接线端子
JP2003031102A (ja) 回路遮断器及び分電盤
CN117424028A (zh) 插接接头、插接连接器和插接连接器构成的排列
JP5489347B2 (ja) 回路遮断器
TWM393073U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