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239A - 연결 클램프 - Google Patents

연결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239A
KR20180078239A KR1020187011691A KR20187011691A KR20180078239A KR 20180078239 A KR20180078239 A KR 20180078239A KR 1020187011691 A KR1020187011691 A KR 1020187011691A KR 20187011691 A KR20187011691 A KR 20187011691A KR 20180078239 A KR20180078239 A KR 20180078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spring
bus bar
connection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7068B1 (ko
Inventor
한스-요제프 콜만
Original Assignee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28120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07823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바고 페어발퉁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78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0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3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01R4/481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the spring shape allowing insertion of the conductor end when the spring is unbiased
    • H01R4/4821Single-blad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6Busbar details
    • H01R4/485Single busbar common to multiple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75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wo blocks, e.g. by means of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28Spring-activating arrangements mounted on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housing
    • H01R4/483Pivoting arrangements, e.g. lever pushing on the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6Busbar details
    • H01R4/4852Means for improving the contact with the conductor, e.g. uneven wire-receiving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08Fastening means for mounting on support rail or strip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전기 전도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다음의 특징을 갖고: a) 연결 클램프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도체 삽입 개구를 갖는 절연 하우징을 갖고, b) 제1 및 제2 전도체 삽입 개구는 절연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배열되고, c) 제1 전도체 삽입 개구를 통해 삽입된 제1 전기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제1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 및 제2 전도체 삽입 개구를 통해 삽입된 제2 전기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제2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가 절연 하우징에 배열되고, d) 제1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는 버스 바아를 통해 제2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e) 제1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클램핑 스프링을 포함하고, 제1 클램핑 스프링은 버스 바아의 제1 클램핑 지점에 대해 제1 전기 전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다리부 및 제1 클램핑 스프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다리부를 가지며, f) 제2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클램핑 스프링을 포함하고, 제2 클램핑 스프링은 버스 바아의 제2 클램핑 지점에 대해 제2 전기 전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다리부 및 제2 클램핑 스프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다리부를 가지며, g) 버스 바아는 제1 및 제2 클램핑 지점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갖고, h) 제1 및/또는 제2 클램핑 스프링의 베어링 다리부의 연장된 단부 섹션이 버스 바아의 관통 개구 내로 후크 결합된다.

Description

연결 클램프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전기 전도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단자에 관한 것으로, 이는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a) 연결 단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도체 삽입 개구를 갖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고,
b) 제1 및 제2 전도체 삽입 개구는 절연 하우징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 상에 배열되고,
c) 제1 전도체 삽입 개구를 통해 삽입된 제1 전기 전도체와 전기 접촉을 이루기 위한 제1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 및 제2 전도체 삽입 개구를 통해 삽입된 제2 전기 전도체와의 전기 접촉을 이루기 위한 제2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가 절연 하우징 내에 배열되고,
d) 제1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는 버스 바아에 의해 제2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e) 제1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클램핑 스프링을 포함하고, 제1 클램핑 스프링은 제1 전기 전도체를 버스 바아의 제1 클램핑 지점에 대해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다리부 및 클램핑 스프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다리부를 포함하며,
f) 제2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클램핑 스프링을 포함하고, 제2 클램핑 스프링은 제2 전기 전도체를 버스 바아의 제2 클램핑 지점에 대해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다리부 및 제2 클램핑 스프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다리부를 포함하며,
g) 버스 바아는 제1 및 제2 클램핑 지점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를 갖는다.
예를 들어 이중 연결 단자 또는 양면 연결 단자로도 지칭되는, 하우징의 상호 대향 측면 상에 배열된 전도체 삽입 개구를 갖는 이런 연결 단자는 DE 10 2013 101 830 A1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소형의 연결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제1 및/또는 제2 클램핑 스프링의 베어링 다리부의 연장된 단부 섹션이 버스 바아의 관통 개구 내로 후크 결합되는 전술한 연결 단자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소형인 버스 바아가 제1 및/또는 제2 클램핑 스프링을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시에, 절연 하우징에 작용하는 제1 및/또는 제2 클램핑 스프링의 힘은 수용 가능한 크기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제1 및 제2 클램핑 스프링이 서로 더 근접하게 배열될 수 있고 또한 서로 접촉할 수 있어서 공지된 연결 단자보다 버스 바아를 짧게 설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준다는 것이다. 이는 버스 바아의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단자는 버스 바아의 길이방향으로 짧게 구성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이는 연결 단자가 특히 평탄하게 구성될 수 있게 한다.
다른 이점은 버스 바아를 평탄한 구성요소로 구성할 수 있어서 버스 바아의 재료 및 제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연결 단자의 대체로 평탄한 구조 설계에 유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버스 바아의 관통 개구는 특히 버스 바아의 평면도에서 비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직사각형 또는 선택적으로 둥근 코너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제1 및/또는 제2 클램핑 스프링의 버스 바아에 대한 후크 부착을 향상시킨다.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클램핑 스프링의 베어링 다리부의 각각의 연장된 단부 섹션은 따라서 버스 바아의 하나의 동일한 관통 개구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버스 바아는 복수의 개구를 가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버스 바아의 기계적 약화 및 전기 전도도의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연결 단자는 단극 연결 단자로서 구현되거나, 즉 단지 하나의 버스 바아를 구비하거나, 예를 들면 복수의 개별 연결 단자가 서로 나란히 결속되어 그 버스 바아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극 연결 단자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극 연결 단자는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극수로 맞춤화할 수 있는 분리 가능한 연결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는 제1 조작 레버 및/또는 제2 조작 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되고, 제1 조작 레버는 작동시 제1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다리부에 작용함으로써 제1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 레버는 작동시 제2 클램핑 스프링의 클램핑 다리부에 작용함으로써 제2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제1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 또는 제2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가 추가적인 공구 없이 작동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로써 제안된 레버 작동은 연결 단자를 보다 사용자 친화적이고 조작하기 쉽게 만든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제1 및/또는 제2 클램핑 스프링은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제공되고, 각각의 클램핑 스프링의 연장된 단부 섹션에서, 각각의 베어링 다리부는 버스 바아의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이는 예를 들어 스탬핑되고 구부러진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는 일체로 형성된 클램핑 스프링을 사용하여, 전술한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의 기능 및 클램핑 스프링의 장착이 연결 단자 내에서 실현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제1 클램핑 스프링은 제2 클램핑 스프링과 그 각각의 베어링 다리부의 영역에서 접촉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는 제1 및 제2 클램핑 스프링이 서로를 지지할 수 있는, 즉 하나의 클램핑 스프링이 다른 클램핑 스프링의 가압력을 흡수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이는 연결 단자의 재료 절감 및 소형화된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절연 하우징의 응력은 스프링 힘에 의해 최소화되므로, 절연 하우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제1 클램핑 스프링의 베어링 다리부가 제1 전도체를 절연 하우징 내로 삽입하는 동안 전도체 정지부를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제2 클램핑 스프링의 베어링 다리부가 제2 전도체를 절연 하우징 내로 삽입하는 동안 전도체 정지부를 형성하는 것이 제공된다. 연결 단자의 각 전도체 삽입 영역에서 이는 절연 벽과 같은 전도체 정지부를 생성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하지 않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로써 절연 하우징은 필요한 재료 및 구조의 관점에서 최적화될 수 있다. 전도체 정지부는 특히, 전도체가 연결 단자에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도체가 연결 단자에 충분히 깊숙이 삽입될 때를 쉽게 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 바아를 향하여 구부러진 각각의 클램핑 스프링의 전술한 영역이 전도체 정지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버스 바아의 관통 개구는 부싱(재료 통로)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부싱은 예를 들어, 관통 개구를 둘러싸면서, 관통 개구를 둘러싸는 버스 바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버스 바아의 재료로 만들어진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관통 개구가 간단하고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는 또한 관통 개구에 의해 본질적으로 약화된 영역에서 버스 바아의 기계적 보강을 생성한다. 버스 바아의 전기적 특성 또한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관통 개구 내로 후크 결합된 제1 클램핑 스프링의 베어링 다리부 부분은 제1 클램핑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버스 바아의 측면 상에서 버스 바아의 관통 개구의 후방에 결합되고 그리고/또는 관통 개구 내로 후크 결합된 제2 클램핑 스프링의 베어링 다리부의 부분은 제2 클램핑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버스 바아의 측면 상에서 버스 바아의 관통 개구의 후방에 결합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버스 바아 아래, 즉 각각의 클램핑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측면 상에 위치된 제1 클램핑 스프링 및/또는 제2 클램핑 스프링은 그 안에 후크 결합될 수 있고 버스 바아에 아무런 추가적인 기계적 고정 수단 없이 안전하게 유지된다. 관통 개구 내로 후크 결합되어 있는 각각의 클램핑 스프링의 베어링 다리부의 부분은 예를 들어 부싱의 전술한 벽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제1 클램핑 스프링의 베어링 다리부는 제1 클램핑 지점을 향하는 측면에서 버스 바아에 지지되고 그리고/또는 제2 클램핑 스프링의 베어링 다리부는 제2 클램핑 지점을 향한 측면에서 버스 바아에 지지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램핑 스프링은 관통 개구 후방에서 결합되지 않는 버스 바아의 측면에 있는 버스 바아에 고정될 수 있고 거기에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지지부가 버스 바아에 제공되는 영역에 위치되는 각각의 클램핑 스프링의 베어링 다리부가 관통 개구보다 큰 폭을 갖는다는 점에서 실현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클램핑 스프링은 예를 들어 베어링 다리부가 클램핑 다리부에 연결되는 탄성 아크(resilient arc)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 스프링은, 예를 들어, 대체로 V-형상, 예로서, 일종의 루프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제1 클램핑 스프링 및/또는 제2 클램핑 스프링은 절연 하우징 상에 지지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클램핑 스프링은 또한 절연 하우징, 예를 들어, 베어링 다리부를 클램핑 다리부에 연결하는 클램핑 스프링의 탄성 아크에 접하는 베어링 다리부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는 절연 하우징의 각각의 하우징 측면에 인접하게 배열된 복수의 전도체 삽입 개구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되고, 이들 각각은 전도체 삽입 개구와 연계된 클램핑 스프링과의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를 가지며, 나란히 배열된 클램핑 스프링의 연장된 단부 섹션은 버스 바아의 동일한 관통 개구에 후크 결합된다. 절연 하우징의 하우징 측면에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복수의 전도체 삽입 개구를 갖는 연결 단자는 또한 이중 연결 단자(2개의 인접하게 배열된 전도체 삽입 개구) 또는 다중클램프 단자(더 많은 개수의 인접하게 배열된 전도체 삽입 개구)라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예는 클램핑 스프링을 부착하는 데 필요한 버스 바아의 관통 개구의 수를 최소화하여 버스 바아의 전기적 특성의 약화 및 저하가 또한 최소화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기초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연결 단자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연결 단자의 조작 레버의 2 가지 실시예이다.
도 3은 연결 단자의 클램핑 스프링과 버스 바아 사이의 연결 지점의 상세도이다.
도 4는 관통 개구의 영역에서 연결 단자의 버스 바아의 상세도이다.
도 5는 이중 연결 단자로 구성된 실시예의 전도체 삽입 측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이중 연결 단자용 조작 레버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이중 연결 단자의, 도 5에 도시된 단면 평면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5 및 도 7에 따른 이중 연결 단자의 접촉 인서트의 다양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이중 연결 단자의 상부 하우징 부분의 하측의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B-B 단면에 따른 이중 연결 단자의 상부 하우징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연결 단자(9)는 수직 대칭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구성된다. 이는 제1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1) 및 제2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2)를 각각의 경우에 수직 대칭축의 좌측 및 우측에 구비한다. 제1 및 제2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1, 2)는 연결 단자(9)의 절연 하우징(4, 5) 내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절연 하우징(4, 5)은 상부 하우징 부분(4) 및 상부 하우징 부분(4)에 잠금 요소(50)에 의해 연결된 저부 부분(5)과 같은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1)는 다수의 굴곡부를 갖는 루프 형상의 제1 클램핑 스프링(11)을 구비한다. 제1 클램핑 스프링(11)은 제1 전도체 삽입 개구(10)를 통해 삽입된 전기 전도체를 버스 바아(3)의 제1 클램핑 지점(31)에 대해 클램핑하는 역할을 하는 클램핑 다리부(12)를 일 단부에 갖는다. 클램핑 다리부(12)의 영역에는 제1 클램핑 스프링(11)의 로딩 영역(13)이 제공되고, 여기서, 제1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1)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조작 레버(19)를 통해 클램핑 다리부(12)가 조작될 수 있다.
탄성 아크(14)가 제1 클램핑 스프링(11)의 클램핑 다리부(12)에 연결되고, 그곳에 그후 제1 클램핑 스프링(11)의 베어링 다리부(15)가 연결된다. 베어링 다리부(15)는 절연 하우징(4, 5)의 내부 벽 부분(41)에 놓이고, 클램핑 다리부(12)에 의해 포착된 힘에 맞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된다. 제1 클램핑 스프링(11)은 베어링 다리부(15)의 영역에서 연장된 단부 섹션(16)으로 계속 연장되며, 여기서 제1 클램핑 스프링(11)의 재료가 버스 바아(3)의 방향으로 수직 부분(17)에서 궁극적으로 구부러진다. 베어링 다리부(15)의 단부 섹션(16)은 버스 바아(3)의 관통 개구(30)를 통해 수직 섹션(17)을 넘어서 더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그후, 예를 들어, 단부 부분(16)의 단부편(18)을 추가로 굽힘으로써 버스 바아(3)의 관통 개구(30) 내로 후크 결합되며, 이 단부편은 따라서 특히, 소켓의 형상으로 관통 개구(30)를 둘러싸는 부싱(33)으로 형성된 버스 바아(3)의 영역에서 버스 바아(3) 뒤쪽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2 클램핑 스프링(21)은 제1 클램핑 스프링(11)과 같은 형상일 수도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제2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2)는 루프 형상의 다중 각도의 제2 클램핑 스프링(21)을 구비하는 것이 제공된다. 제2 클램핑 스프링(21)은 제2 전도체 삽입 개구(20)를 통해 삽입된 전기 전도체를 버스 바아(3)의 제2 클램핑 지점(32)에 대해 클램핑하는 역할을 하는 클램핑 다리부(22)를 일 단부에 갖는다. 클램핑 다리부(22) 영역에는 제2 클램핑 스프링(21)의 로딩 영역(23)이 제공되고, 여기서, 제2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2)를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조작 레버(29)를 통해 클램핑 다리부(22)가 조작될 수 있다.
탄성 아크(24)는 제2 클램핑 스프링(21)의 클램핑 다리부(22)에 연결되고, 그 곳에 제2 클램핑 스프링(21)의 베어링 다리부(25)가 연결된다. 베어링 다리부(25)는 절연 하우징(4, 5)의 내부 벽 부분(42) 상에 놓이고, 클램핑 다리부(22)에 의해 포획된 힘에 맞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위에 지지된다. 제2 클램핑 스프링(21)은 베어링 다리부(25)의 영역에서 제2 클램핑 스프링(21)의 재료가 버스 바아(3)의 방향으로 수직 부분(27)에서 후속하여 굴곡되는 연장된 단부 섹션(26)내로 추가로 연장된다.
베어링 다리부(25)의 단부 섹션(26)은 버스 바아(3)의 관통 개구(30)를 통해 수직 부분(27)을 넘어 추가로 하향 연장되고, 결국, 예를 들어 추가로 굴곡되어 특히 부싱(33)으로서 형성된 버스 바아(3)의 영역에서 버스 바아(3) 뒤쪽에 결합되는 단부 섹션(26)의 단부편(28)으로 버스 바아(3)의 관통 개구(30) 내로 후크 결합된다.
도 1은 가능하게는 이전에 그곳에 클램핑된 전기 전도체가 제거될 수 있도록 제1 클램핑 지점(31)이 클램핑 다리부(12)에 접촉되지 않는 방식으로, 열려진 제1 조작 레버(19)를 갖는 제1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1)를 도시한다. 제1 클램핑 스프링(11)의 클램핑 다리부(12)가 그후 제1 클램핑 지점(31)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제2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2)는 폐쇄 상태, 즉 제2 조작 레버(29)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클램핑 스프링(21)의 클램핑 다리부(22)는 버스 바아(3)의 제2 클램핑 지점(32)의 단부에 접촉한다.
또한, 버스 바아(3)는 그 제1 및 제2 클램핑 지점(31, 32)의 영역에 오목부를 가지며, 이를 통해 버스 바아(3)의 재료는 상부를 향하여, 즉 각각의 클램핑 다리부(12, 22)의 방향으로 미소하게 돌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된 전기 전도체의 클램핑이 개선된다.
버스 바아(3)는 평탄한 짧은 버스 바아 단편으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부싱(33)으로 관통 개구(30)를 구성함으로써, 버스 바아(3)는 이 영역에서 기계적으로 안정화되고 또한 전기 전도의 관점에서 최적화된다.
연결 단자(9)의 조립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ㆍ 클램핑 스프링(11, 21)이 버스 바아(3) 상에 장착되고; 클램핑 스프링(11, 21)은 맨드릴로 편향될 수 있고;
ㆍ 조작 레버(19, 29)는 베어링 다리부(15, 25)를 통해 폐쇄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버스 바아(3)로 이동될 수 있으며;
ㆍ 클램핑 스프링(11, 21)은 조작 레버(19, 29)를 피봇시킴으로써 (완전) 개방 위치로 이동되고;
ㆍ 임의의 사용된 맨드릴이 철회되고;
ㆍ 이제 (개방 위치에서) 버스 바아(3), 클램핑 스프링(11, 21) 및 조작 레버(19, 29)를 갖는 미리 조립된 유닛이 저부 부분(5) 상에 배치되고;
ㆍ 상부 하우징 부분(4)이 그 위로 미끄러지며;
ㆍ 조작 레버(19, 29)는 폐쇄 위치로 피봇된다.
클램핑 스프링(11, 21)은 초기에, 즉, 이들이 버스 바아(3)에 고정되기 전에,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각각의 단부 섹션(18, 28)이 아직 외향 굴곡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들은 처음에는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할 수 있다. 버스 바아(3)의 관통 개구(30) 내에 클램핑 스프링(11, 21)을 조립한 후에, 단부편(18, 28)이 바깥쪽으로, 즉 각각의 전도체 삽입 개구(10, 20)의 방향으로 굴곡되고, 그후, 부싱(33) 후방에 결합되는 추가 제조 단계가 수행된다.
제1 클램핑 스프링(11)은 그에 의해 제2 클램핑 스프링(21)의 수직 부분(27)의 수직 부분(17)에 지지되고, 즉, 클램핑 스프링(11, 21)은 그 수직 부분(17, 27)의 영역에서 상호 지지된다. 수직 부분(17)은 또한 제1 전도체를 절연 하우징에 삽입하는 동안 전도체 정지부를 형성한다. 수직 부분(27)은 또한 제2 전도체가 절연 하우징에 삽입되는 동안 전도체 정지부를 형성한다.
연결 단자(9)는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전도체 삽입 개구(10, 20)가 각각의 측면 상에 존재하는 단순한 연결 단자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중 연결 단자 또는 다중클램프 단자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2개 이상의 제1 전도체 삽입 개구(10)와 2개 이상의 제2 전도체 삽입 개구(20)는 각각의 측면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그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조작 레버(19, 29)의 상이한 구성이 유리할 수 있다.
그 하부 영역에서, 도 2는 제1 또는 제2 조작 레버(19, 29)로서 사용될 수 있는, 즉, 연결 단자는 각 측면에 단지 하나의 전도체 삽입 개구(10, 20)를 갖는 경우의 조작 레버(6)의 유리한 실시예를 먼저 도시한다. 조작 레버(6)는 수동 조작 섹션(60)(손잡이 부분)을 가지며, 이를 사용하여 조작 레버(6)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조작 레버(6)는 또한 절연 하우징(4, 5)이 이를 통해 보관될 수 있는 베어링 샤프트(61)를 갖는다. 조작 레버(6)는 베어링 샤프트(61)의 영역에서 포크 형상이고 중앙에 오목 영역(65)을 가지며, 조작 레버(6)가 중간 클램핑 스프링 위로 당겨질 수 있다. 클램핑 스프링은 이때 조작 레버(6)의 작동 영역(62)을 통해 클램핑 스프링이 작용할 수 있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로딩 영역(13 및 23)을 갖는다. 조작 레버(6)의 후방 윤곽은 조작 레버가 그를 통해 절연 하우징 및/또는 버스 바아(3) 상에 중첩되는 2개의 경사지게 배열된 베어링 부분(63, 64)을 갖는다. 폐쇄 작동 위치에서, 조작 레버(6)는 베어링 부분(63)에 의해 지지되고; 개방 위치에서, 베어링 부분(64)에 의해 지지된다. 베어링 샤프트(61)는 상부 하우징 부분(4)에 배열된 홈(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수용되고, 이 홈은 조작 레버(19, 29)의 피봇 이동 중에 발생하는 편향을 수용하기 위해 버스 바아(3)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며, 이 피봇 이동은 조작 레버(19, 29)의 피봇 이동 중에 버스 바아(3) 상에서 활주되는 베어링 부분(63, 64)에 의해 유발된다.
그 상부 영역에서, 도 2는 연결 단자에 적응된 조작 레버(6)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2개의 병치된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가 하우징의 각 측면 상에 존재한다. 따라서, 전체 조작 레버(6)는 보다 넓고 각각의 클램핑 스프링이 통과할 수 있는 2개의 인접한 오목 부분(65)을 갖는다. 따라서, 3개의 로딩 영역(62)이 제공된다. 여기서, 중앙 로딩 영역(62)은 연결 단자(9)의 일측상의 2개의 인접한 클램핑 스프링에 동시에 작용한다.
도 3은 버스 바아(3) 상의 클램핑 스프링의 부착을 확대하여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예로서, 2개의 베어링 다리부와 나란히 연장되는 클램핑 다리부를 갖고, 따라서, 하우징의 각 측면 상에 2개의 인접하게 배열된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가 제공된 연결 단자를 위해 구성되는 이중 클램핑 스프링이 도시되어 있다. 클램핑 스프링의 각 수직 부분(27)의 섹션이 여기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은 그후 조합되어 공통 장착 부분(271)을 형성하고, 이는 관통 개구(30)를 통해 안내되는 단부편(28)을 통해 버스 바아(3)의 부싱(33) 상에 최종적으로 고정된다.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단부편(28)은 이미 굴곡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우측 단부편(28)은 아직 굴곡되지 않은 상태이다.
버스 바아(3)의 상부, 즉 각각의 클램핑 지점(31, 32)을 향하는 버스 바아(3)의 측면의 상부에서, 클램핑 스프링은 버스 바아(3) 상의 베어링 표면(270)에 놓여진다.
도 4는 관통 개구(30)의 영역에서 버스 바아(3)의 가능한 형상의 확대된 상세한 표현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관통 개구(30)는 원형일 필요는 없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에지를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부싱(33)의 벽 부분은 이 관통 개구(30)에 접경한다.
도 5 내지 도 9에 따른 이중 연결 단자(9)는 그 본질적 구조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전술한 연결 단자(9)에 대응한다. 따라서, 주로 아래에서 차이점이 설명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연결 단자(9)의 각각의 전도체 삽입 측면은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인접한 전도체 삽입 개구(10, 20)를 갖는다. 폐쇄 위치에서, 예를 들어, 클램핑 다리부(22)는 전도체 삽입 개구(20) 내로 볼 때 가시적이다. 도 6은 도 2의 상부 도면에 도시된 것과 비슷하게 형성된 조작 레버(6)를 도시한다. 도 6에 따른 조작 레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작 레버(19, 29)로서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전술한 이중 연결 단자(9)의 버스 바아(3)는 또한 관통 개구(30)를 갖는데, 그러나, 이는 여기서 부싱(33) 없이 형성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클램핑 스프링(11, 21)의 단부 섹션(16, 26)의 수직 부분(17, 27)은 관통 개구(30)를 통해 돌출한다. 그러나, 수직 부분(17, 27)은 처음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그러한 것 같이 추가로 경사진 단부편(18, 28)에서 종결되지 않는다. 대신에, 이들은 직선 단부 섹션(71, 72)에서 수직 방향으로 계속 진행한다. 버스 바아(3)의 개구(30) 내에 클램핑 스프링(11, 21)을 고정하기 위해, 단부편(71, 72)은 래칭 탭 또는 미늘 형태로 돌출하는 각각의 재료 영역(73, 74)을 갖는다. 재료 영역(73, 74)은 탄성적으로 편향되어, 클램핑 스프링(11, 21)이 도시된 백투백 구성으로 버스 바아(3)의 개구(30)를 통해 단부편(71, 72)과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삽입 중에, 재료 영역(73, 74)은 초기에 편향된다. 이 플러그-인 작업이 수행되고 나면, 재료 영역(73, 74)이 반동되어 버스 바아(3) 후방에 결합되어, 클램핑 스프링(11, 21)을 버스 바아(3)에 고정시킨다.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이는 베어링 다리부(15, 25)가 절연 하우징(4, 5)의 벽 영역 상에 놓이거나 지지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대신에, 클램핑 스프링(11, 21)은 자립식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각각의 클램핑 스프링(11)은 돌출 재료 영역(73, 74)을 갖는 개별 단부편(71, 72)를 가질 수 있다. 단극 연결 단자에서, 역시 이것이 필요하다. 현재 개시된 이중 연결 단자(9)에서, 이는 또한 클램핑 스프링이 그 위에 배치된 돌출 재료 영역(73, 74)을 갖는 그 소유의 단부편(71, 72)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또한 실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나란하게 위치한 인접한 클램핑 스프링은 또한 각각 돌출 재료 영역(73 또는 74)을 갖는 공통 단부편(71 또는 72)을 통해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 부분(17, 27)은 각각 이들이 하나의 클램핑 스프링으로부터 인접하게 배열된 다른 클램핑 스프링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또한 이를 예시하며, 여기서 버스 바아(3) 및 클램핑 스프링(11, 21)에 의해 형성된 접촉 인서트가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경우에 2개의 병치된 클램핑 스프링(11 또는 21)은 폭이 연속적이고 버스 바아(3) 상에 오버헤드 상태로 장착된 공통 수직 부분(17 또는 27)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각각의 수직 부분(17, 27)은 예를 들어 중앙 위치에, 부착의 목적을 위해 기능하는 노출된 재료 영역(73, 74)을 포함하는, 버스 바아(3)의 관통 개구(30)를 통해 삽입되는 단부편(71 또는 72)을 가진다.
병치된 클램핑 스프링(11 또는 21)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고, 즉, 이들은 각각 공통 수직 부분(17 또는 27)을 넘어서 다른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단자 또는 이중 연결 단자(9)는 또한 2개보다 많은, 예를 들어 3개, 4개, 5개 또는 그 이상의, 병치된 클램핑 지점이 각 전도체 삽입 측면 상에 존재하는 다중클램프 단자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통 관통 개구는 버스 바아에 대한 그 부착을 위해 모든 클램핑 스프링에 또는 클램핑 스프링의 그룹을 위해 각 경우에 버스 바아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이중 연결 단자(9)의 상부 하우징 부분(4)의 하측, 즉 하부 하우징 부분이 장착되는 측면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이중 연결 단자의 B-B 단면 평면에 따른 상부 하우징 부분(4)을 도시한다. 특히, 조작 레버(19, 29)를 수용하고 유지하기 위해 측벽에 배열된 홈(41, 42)을 인지할 수 있으며, 조작 레버는 각 경우에 그 베어링 샤프트(61)가 각각의 홈(41, 42)의 상부 단부에 지지 및 보유되도록 저부로부터 홈(41, 4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각각의 홈(41, 42)은 상부 하우징 부분(4)의 하측으로부터 각각의 전도체 삽입 개구(10, 20) 위의 위치까지 연장된다.

Claims (11)

  1. 적어도 2개의 전기 전도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단자(9)이며,
    a) 연결 단자(9)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전도체 삽입 개구(10, 20)를 갖는 절연 하우징(4, 5)을 포함하고,
    b) 제1 및 제2 전도체 삽입 개구(10, 20)는 절연 하우징(4, 5)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배열되고,
    c) 제1 전도체 삽입 개구(10)를 통해 삽입된 제1 전기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제1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1) 및 제2 전도체 삽입 개구(20)를 통해 삽입된 제2 전기 전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제2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2)가 절연 하우징(4, 5)에 배열되고,
    d) 제1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1)는 버스 바아(3)에 의해 제2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e) 제1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1)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클램핑 스프링(11)을 포함하고, 제1 클램핑 스프링은 버스 바아(3)의 제1 클램핑 지점(31)에 대해 제1 전기 전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다리부(12) 및 제1 클램핑 스프링(11)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다리부(15)를 가지며,
    f) 제2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2)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클램핑 스프링(21)을 포함하고, 제2 클램핑 스프링은 버스 바아(3)의 제2 클램핑 지점(32)에 대해 제2 전기 전도체를 클램핑하기 위한 클램핑 다리부(22) 및 제2 클램핑 스프링(21)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다리부(25)를 가지며,
    g) 버스 바아(3)는 제1 및 제2 클램핑 지점(31, 32) 사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 개구(30)를 갖는, 연결 단자에 있어서,
    h) 제1 및/또는 제2 클램핑 스프링(11, 21)의 베어링 다리부(15, 25)의 연장된 단부 섹션(16, 26)이 버스 바아(3)의 관통 개구(30) 내로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버스 바아(3)는 평탄한 버스 바아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결 단자(9)는 제1 조작 레버(19) 및/또는 제2 조작 레버(29)를 포함하며, 제1 조작 레버는 제1 조작 레버(19)가 작동될 때 제1 클램핑 스프링(11)의 클램핑 다리부(12)를 로딩함으로써 제1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1)를 개방 및 폐쇄하고, 제2 조작 레버는 제2 조작 레버(29)가 작동될 때 제2 클램핑 스프링(21)의 클램핑 다리부(22)를 로딩함으로써 제2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2)를 개방 및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 클램핑 스프링(11, 21)은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베어링 다리부(15, 25)는 각각의 클램핑 스프링(11, 21)의 연장된 단부 섹션(16, 26)과 함께 버스 바아(3)의 방향으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클램핑 스프링(11)은 각각의 베어링 다리부(15, 25) 영역에서 제2 클램핑 스프링(21)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클램핑 스프링(11)의 베어링 다리부(15)는 제1 전도체를 절연 하우징(4, 5)에 삽입하는 동안 전도체 정지부를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제2 클램핑 스프링(21)의 베어링 다리부(25)는 절연 하우징(4, 5) 내로 삽입될 때 제2 전도체의 전도체 정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스 바아(3)의 관통 개구(30)는 부싱(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통 개구(30) 내로 후크 결합되는 제1 클램핑 스프링(11)의 베어링 다리부(15)의 부분(18)은 제1 클램핑 지점(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버스 바아(3)의 측면 상에서 버스 바아(3)의 관통 개구(30) 후방에 결합되고 그리고/또는 관통 개구(30) 내로 후크 결합되는 제2 클램핑 스프링(21)의 베어링 다리부(25)의 부분(28)은 제2 클램핑 지점(3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버스 바아(3)의 측면 상에서 버스 바아(3)의 관통 개구(30) 후방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클램핑 스프링(11)의 베어링 다리부(15)는 제1 클램핑 지점(31)과 대면하는 버스 바아(3)의 측면 상에 지지되고 그리고/또는 제2 클램핑 스프링(21)의 베어링 다리부(25)는 제2 클램핑 지점(32)과 대면하는 버스 바아(3)의 측면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클램핑 스프링(11) 및/또는 제2 클램핑 스프링(21)은 절연 하우징(4, 5)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단자(9)는 절연 하우징(4, 5)의 각각의 하우징 측면에, 복수의 인접하여 배열된 전도체 삽입 개구(10, 20)를 포함하고, 전도체 삽입 개구 각각은 전도체 삽입 개구(10, 20)와 연관된 클램핑 스프링(11, 21)을 각각 갖는 스프링-힘 클램핑 연결부(1, 2)를 갖고, 나란히 배열된 클램핑 스프링(11, 21)의 연장된 단부 섹션(17, 27)은 버스 바아(3)의 동일한 관통 개구(30)에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단자.
KR1020187011691A 2015-11-09 2016-11-08 연결 클램프 KR102607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119247.0 2015-11-09
DE102015119247.0A DE102015119247A1 (de) 2015-11-09 2015-11-09 Verbindungsklemme
PCT/EP2016/076973 WO2017081001A1 (de) 2015-11-09 2016-11-08 Verbindungsklem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239A true KR20180078239A (ko) 2018-07-09
KR102607068B1 KR102607068B1 (ko) 2023-11-29

Family

ID=57281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691A KR102607068B1 (ko) 2015-11-09 2016-11-08 연결 클램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164349B2 (ko)
EP (2) EP3627625B1 (ko)
JP (1) JP6808167B2 (ko)
KR (1) KR102607068B1 (ko)
CN (2) CN110854555B (ko)
DE (1) DE102015119247A1 (ko)
ES (1) ES2780698T3 (ko)
PL (2) PL3627625T3 (ko)
RU (1) RU2715558C1 (ko)
WO (1) WO2017081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11627A1 (de) * 2016-06-24 2017-12-2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6115490B4 (de) * 2016-08-22 2018-06-07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Anschlusselement
DE102016116966A1 (de) 2016-09-09 2018-03-1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Federkraftklemmanschluss sowie Leiteranschlussklemme
CN113422227A (zh) 2017-01-06 2021-09-21 哈勃股份有限公司 电插座、电源线连接器、电源线插头和电气布线装置
CN108075252B (zh) * 2017-07-12 2023-08-01 安波福中央电气(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
BE1025389B1 (de) * 2017-07-14 2019-02-12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EINRICHTUNG ZUM ANSCHLIEßEN EINER ELEKTRISCHEN LEITUNG
DE202017105467U1 (de) 2017-09-08 2018-12-1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102017130389A1 (de) * 2017-12-18 2019-06-19 KL UG (haftungsbeschränkt)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
DE102019108023A1 (de) 2018-03-28 2019-10-0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Klemmfeder einer Leiteranschlussklemme sowie Reihenklemme
DE202018101731U1 (de) * 2018-03-28 2019-07-0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Klemmfeder einer Leiteranschlussklemme sowie Reihenklemme
DE202018101732U1 (de) * 2018-03-28 2019-07-0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Klemmfeder einer Leiteranschlussklemme sowie Reihenklemme
DE202018101727U1 (de) 2018-03-28 2019-07-0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Klemmfeder einer Leiteranschlussklemme sowie Reihenklemme
DE202018101734U1 (de) * 2018-03-28 2019-07-01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Klemmfeder einer Leiteranschlussklemme sowie Reihenklemme
DE202018102026U1 (de) * 2018-04-13 2019-07-17 Weidmüller Interface GmbH & Co. KG Anschlussklemme und Potentialverteilerstecker
USD914613S1 (en) * 2018-04-19 2021-03-30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ctric terminal
DE102018117508B4 (de) * 2018-07-19 2024-01-1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CN109149152B (zh) * 2018-09-11 2020-09-01 余姚市信亿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导线连接器
DE102018124623B4 (de) * 2018-10-05 2022-07-07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Kontakteinsatz einer Leiteranschlussklemme sowie damit gebildete Leiteranschlussklemme
DE202018004944U1 (de) * 2018-10-25 2020-01-28 Electro Terminal Gmbh & Co Kg Reihensteckklemme
US10418727B1 (en) * 2018-11-15 2019-09-17 Dinkle Enterprise Co., Ltd. Rotate-to-open clamping unit and connection device having the same
DE202018106896U1 (de) * 2018-12-04 2020-03-0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Federanschlussklemme
US10511108B1 (en) * 2019-01-07 2019-12-17 Dinkle Enterprise Co., Ltd. Dual-wire connector
US11495895B2 (en) * 2019-05-01 2022-11-08 Hubbell Incorporated Terminations for electrical wiring devices
DE202019103271U1 (de) 2019-06-11 2020-09-1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Sortiment aus wenigstens einem Basismodul und unterschiedlich ausgebildeten Leiteranschlussmodulen einer Leiteranschlussklemme und Leiteranschlussklemmenblock
DE102019117302A1 (de) * 2019-06-27 2020-12-3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klemmenanordnung zum Anschließen mindestens eines elektrischen Leiters
DE102019117301A1 (de) * 2019-06-27 2020-12-3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klemme
DE102019132007A1 (de) * 2019-11-26 2021-05-2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klemme sowie elektronisches Gerät
DE102020100218A1 (de) 2020-01-08 2021-07-0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Leiteranschlussklemme
DE202020100089U1 (de) * 2020-01-09 2021-04-1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202020100088U1 (de) * 2020-01-09 2021-04-1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102020104077A1 (de) * 2020-02-17 2021-08-1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Federkraftklemmanschluss
DE102020104080C5 (de) 2020-02-17 2022-05-0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Leiteranschlussklemme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Leiteranschlussklemme
JP7399570B2 (ja) * 2020-03-19 2023-12-18 日東工業株式会社 端子構造
AU2021292753B2 (en) * 2020-06-18 2023-12-21 Ideal Industries, Inc. Conductor terminal
DE102020120151A1 (de) * 2020-07-30 2022-02-03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bindungsklemme zum Verbinden elektrischer Leiter
US11217913B1 (en) * 2020-08-18 2022-01-04 Dinkle Enterprise Co., Ltd. Terminal block with handle
CN112736500B (zh) * 2020-12-25 2022-04-19 宁波速普电子有限公司 一种设有分级释放手柄的接线端子
CN114976687A (zh) * 2021-02-20 2022-08-30 金笔电子(东莞)有限公司 导线连接装置
DE202021101354U1 (de) 2021-03-17 2022-06-2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und elektrischer Steckverbinder
EP4089857A1 (en) * 2021-05-13 2022-11-16 Heavy Power Co., Ltd. Cam-type wire connector
US11670878B2 (en) * 2021-05-18 2023-06-06 Dinkle Enterprise Co., Ltd. Terminal block structure
DE102022109238A1 (de) 2022-04-14 2023-10-19 Harting Electric Stiftung & Co. Kg Kontaktträger, Steckverbindereinsatz und Steckverbind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05335A2 (de) * 2011-12-14 2013-06-1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6229A (en) * 1969-04-28 1971-07-27 Wago Kontakttechnik Gmbh Electrical connector
JPH09147931A (ja) * 1995-11-17 1997-06-06 Tec Corp 電線接続装置
DE10134417C1 (de) * 2001-07-19 2003-01-23 Phoenix Contact Gmbh & Co Elektrische Anschluß- oder Verbindungseinrichtung
DE10315668B4 (de) 2002-08-28 2007-06-06 Conrad Stanztechnik Gmbh Anschlußklemme
DE10355195B4 (de) 2003-11-26 2007-03-15 Wieland Electric Gmbh Leiteranschluss
RU2253929C1 (ru) * 2003-12-08 2005-06-10 Деревенко Андре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Соединитель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оводов
DE102006019150B4 (de) * 2006-04-21 2011-06-0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ische Verbindungsklemme
DE112007003439A5 (de) * 2007-02-07 2010-01-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s Gerät und Geräteanordnung
DE102007050683B4 (de) * 2007-10-22 2009-09-03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lemme
DE102007051697B4 (de) * 2007-10-26 2021-10-28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klemme mit Öffnungseinrichtung
RU2375794C1 (ru) * 2008-02-18 2009-12-10 Деревенко Андре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Соединитель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оводов (варианты)
ITMI20080673A1 (it) * 2008-04-15 2009-10-16 Morsettitalia Spa Elemento elastico per la trattenuta di fili elettrici e morsetto comprendente tale elemento elastico
US7976330B2 (en) * 2009-08-28 2011-07-12 K.S. Terminals Inc. Securely latched power connector assembly
RU2421854C1 (ru) * 2010-03-29 2011-06-20 Андрей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Деревенко Соединитель электрических проводов
DE102010048698B4 (de) 2010-10-19 2014-12-1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ische Verbindungsklemme
CN202308345U (zh) * 2011-10-28 2012-07-04 江门市创艺电器有限公司 一种新型接线端子
DE102012011794A1 (de) 2012-06-15 2013-12-1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Anschlussklemme
DE102013101830B4 (de) 2013-01-08 2017-12-2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Elektrische Anschlussklemme und Verfahren zu dessen Montage
DE102013000713A1 (de) * 2013-01-17 2014-07-1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schlussklemme
DE102014119421B4 (de) * 2014-12-22 2017-02-02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Verbindungsklemme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Verbindungsklem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05335A2 (de) * 2011-12-14 2013-06-1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Anschlussklemme
US8794994B2 (en) * 2011-12-14 2014-08-05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Connec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64349B2 (en) 2018-12-25
EP3627625A1 (de) 2020-03-25
WO2017081001A1 (de) 2017-05-18
PL3375045T3 (pl) 2020-07-27
EP3375045A1 (de) 2018-09-19
CN108352627A (zh) 2018-07-31
CN110854555B (zh) 2021-04-27
US20180254568A1 (en) 2018-09-06
JP2018533185A (ja) 2018-11-08
PL3627625T3 (pl) 2021-12-20
EP3375045B1 (de) 2020-02-26
JP6808167B2 (ja) 2021-01-06
CN110854555A (zh) 2020-02-28
RU2715558C1 (ru) 2020-03-02
KR102607068B1 (ko) 2023-11-29
ES2780698T3 (es) 2020-08-26
DE102015119247A1 (de) 2017-05-11
CN108352627B (zh) 2019-12-03
EP3627625B1 (de)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8239A (ko) 연결 클램프
US10033119B2 (en) Connecting terminal and method for fitting a connecting terminal
TWI746658B (zh) 用於接觸電導線的彈簧緊接觸件、接線端子和用於製造彈簧夾緊接觸件的方法
US8192226B2 (en) One-piece conductive clip for push-in wire connector
CN101064383B (zh) 电气连接器
CN111937245B (zh) 电的插接器,模块式系统和用于提供插接器的方法
US20120034810A1 (en) Electric connector
CN107465005B (zh) 用于导体的弹簧加载端子
KR102514999B1 (ko) 전도체 단자
JP2011222509A (ja) 電気接続端子用操作装置
CN108352629B (zh) 电连接夹具
KR20150116846A (ko) 스프링-부하형 클램핑 연결부 및 전도체 단자
JP2016507145A (ja) ばね力締付要素および結合端子
JP2016529678A (ja) ばね力接続端子
CN107548528B (zh) 接线夹
CN108075254B (zh) 电连接器
CN116667019A (zh) 弹簧接线端子
US20150349476A1 (en) Multiport terminal with current bars
CN110098524B (zh) 电插接连接装置
KR102592416B1 (ko) 플러그 커넥터 부분
US20220344852A1 (en)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JP2005302730A (ja) 端子ピン、特に扁平ピン端子、と電気的に導通接続するための雌端子
CN118613970A (zh) 具有模块化构造的接线端子和模块化系统
US20240322458A1 (en) Lead terminal having a modular design, and modular system
US20240097355A1 (en) Plug connector and insulating housing for a plug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