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436A - 차량용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436A
KR20140079436A KR1020147011194A KR20147011194A KR20140079436A KR 20140079436 A KR20140079436 A KR 20140079436A KR 1020147011194 A KR1020147011194 A KR 1020147011194A KR 20147011194 A KR20147011194 A KR 20147011194A KR 20140079436 A KR20140079436 A KR 20140079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cupant
vehicle
collision
sea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5416B1 (ko
Inventor
오사무 후카와타세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40079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transvers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6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 B60R21/08Safety nets, transparent sheets, curtains, or the like, e.g. between occupants and glass automatically movable from an inoperative to an operative position, e.g. in a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1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the inflatable member formed as a belt or harness or combined with a belt or harness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73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automatically movable to an operative position, e.g. in case of collision or impending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B60R2021/132Roll bars for convertible vehicles
    • B60R2021/134Roll bars for convertible vehicles movable from a retracted to a protection position
    • B60R2021/135Roll bars for convertible vehicles movable from a retracted to a protection position automatically during an accid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021/2310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the bag being integrated in a multi-ba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차량 충돌시에 있어서의 탑승자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를 얻는다. 차량용 시트(10)는, 시트백(14)에 대하여 차량 상방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팝업 바(18)와, 작동됨으로써 팝업 바(18)를 시트백(14)에 대하여 차량 상방으로 변위시키는 MGG(22)와, 상단 측이 팝업 바(18)에 접속됨과 함께 하단측이 시트 쿠션(12)의 전단측에 접속된 텐션 크로스(26)와, 차량의 측면 충돌을 검지하거나 또는 예측한 경우에 MGG(22)를 작동시키는 측면 충돌 ECU(30)를 구비하고 있다. 텐션 크로스(26)는, 팝업 바(18)가 팝업 위치로 변위함으로써, 팝업 바(18)와의 접속부와, 시트 쿠션(12)과의 접속부의 사이에 장력이 작용하도록 전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측면 충돌의 예측시에 시트백의 어깨로부터 시트 쿠션의 전단부에 걸쳐 벨트를 당겨, 착좌 탑승자의 차량 측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8194호 공보 참조). 또, 측면 충돌시에 시트백 상단으로부터 시트 쿠션 전단에 걸쳐 당긴 벨트로, 사이드 에어백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9182호 공보 참조).
상기한 각 기술에서는, 벨트 상단의 지지 위치가 시트백의 상단에 제약되기 때문에, 탑승자나 에어백의 이동을 더 효과적으로 규제하는 관점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에 있어서의 탑승자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는, 시트백에 대하여 차량 상방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지지체와, 작동됨으로써, 상기 가동 지지체를 상기 시트백에 대하여 차량 상방으로 변위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단 측이 상기 가동 지지체에 접속됨과 함께 하단측이 시트 쿠션의 전단측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시트 쿠션의 측부로부터 시트백의 측부에 걸쳐 수용되며, 상기 가동 지지체가 상기 시트백에 대하여 차량 상방으로 변위함으로써, 당해 가동 지지체와의 접속부와, 상기 시트 쿠션과의 접속부의 사이에 장력이 작용하도록 전개되는 측방 전개 부재와, 차량의 충돌을 검지하거나 또는 예측한 경우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의 검지 또는 예측시에는 제어 장치에 의해 액츄에이터가 작동된다. 그러면, 가동 지지체가 시트백에 대하여 상방으로 변위되고, 당해 가동 지지체에 상단이 접속된 측방 전개 부재는, 시트백 및 시트 쿠션으로부터 인출되면서, 상하의 접속점 사이에서 전개(팽팽하게 설치)된다. 이 때문에, 측방 전개 부재의 상단 위치가 시트백 상단인 구성과 비교하여, 측방 전개 부재의 상하의 접속점을 연결하는 직선(텐션 라인)이 차량 전측에 위치하게 되어, 착좌 탑승자의 상부를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의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에서는, 차량 충돌시에 있어서의 탑승자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측방 전개 부재는, 차량 후단측이 상기 시트백의 프레임에 접속된 면 형상의 직물재 또는 메시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측방 전개 부재의 상기 텐션 라인 및 당해 텐션 라인보다 후방 부분에서 형성되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루는 부분을 포함하는 넓은 범위로, 착좌 탑승자의 측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에 수용되어, 차량의 충돌을 검지하거나 또는 예측한 경우에 상기 측방 전개 부재와, 착좌 탑승자의 적어도 흉부(胸部) 및 견부(肩部)와의 사이에서 팽창 전개되는 사이드 에어백을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측면 충돌시에 사이드 에어백이 측방 전개 부재와, 착좌 탑승자의 흉부 및 견부와의 사이에서 팽창 전개된다. 사이드 에어백은, 측방 전개 부재로 차폭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또, 사이드 에어백은, 측방 전개 부재를 따라 팽창 전개되기 때문에, 전개 초기의 전개 방향이 안정된다. 또한, 사이드 에어백으로 착좌 탑승자의 견부(어깨 중심)를 구속하기 때문에, 당해 탑승자의 차폭 방향으로의 이동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상기 착좌 탑승자의 헤드부를 구속하는 헤드부 보호 챔버를 가져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헤드부 보호 챔버로 탑승자의 헤드부를 측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보호 챔버는, 상기 시트백으로의 수용 상태에서 상기 가동 지지체에 접속되어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가동 지지체의 시트백에 대한 상방 변위에 따라 헤드부 보호 챔버를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도 시트백으로부터 인출된다. 이 사이드 에어백은 계속하여 전방을 향하여 팽창 전개된다. 이때, 가동 지지체가 헤드부 보호 챔버의 전개 반력을 지지하기 때문에, 헤드부 보호 챔버를 단시간에 안정적으로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상기 시트백의 프레임에 접속된 하부와, 상기 헤드부 보호 챔버에 있어서 상기 가동 지지체에 접속된 부분을 포함하는 상부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접힘과 함께,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의 부분이 차량 상하 방향으로 접혀 있고, 상기 사이드 에어백에 있어서의 상기 차량 상하 방향으로의 접힘 부위에는, 상기 프레임 및 가동 지지체의 적어도 일방을 삽입 통과시키고, 당해 프레임 및 가동 지지체와의 상하 방향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면서 전후 방향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링 형상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사이드 에어백의 지지 부위가 가동 지지체를 포함하는 구성에 있어서, 당해 가동 지지체의 변위에 사이드 에어백을 추종시키면서, 링 형상 부재를 통하여 사이드 에어백을 프레임 또는 가동 지지체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측방 전개 부재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가동 지지체와의 접속부와, 상기 시트 쿠션과의 접속부를 연결하는 직선보다 차량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헤드부 보호 챔버는, 팽창 전개 상태에서 전단측이 되는 부분이 상기 돌출부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측방 전개 부재의 전개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이 시트백으로부터 인출될 때, 돌출부에 접속되어 있는 헤드부 보호 챔버의 전방으로의 인출이 촉진된다. 또, 헤드부 보호 챔버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는, 측방 전개 부재의 돌출부에 있어서도 탑승자의 측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즉, 착좌 탑승자의 측방 이동의 규제 범위가 넓어진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보호 챔버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전단측이 되는 부분과 상기 돌출부는, 당해 헤드부 보호 챔버의 팽창 전개 완료시에 분리되도록 접속되어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헤드부 보호 챔버의 팽창 전개 완료시(완료 직전)에 당해 헤드부 보호 챔버와 측방 전개 부재가 분리된다. 이것에 의해, 측방 전개 부재의 전개 형상이 헤드부 보호 챔버의 팽창 전개 형상에 의해 제약을 받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보호 챔버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전단측이 되는 부분과 상기 돌출부는, 테어 심(tear seam)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헤드부 보호 챔버의 팽창 전개 완료까지의 과정에서 테어 심이 파단되면, 헤드부 보호 챔버와 측방 전개 부재가 분리된다. 이것에 의해, 측방 전개 부재의 전개 형상이 헤드부 보호 챔버의 팽창 전개 형상에 의해 제약을 받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차폭 방향의 양측에 상기 측방 전개 부재 및 사이드 에어백이 설치되어 있고,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착좌 탑승자의 요부를 구속하는 요부 보호 챔버를 가지고,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착좌 탑승자의 복부를 구속하는 복부 보호 챔버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착좌 탑승자의 차폭 방향 외측에서는, 당해 착좌 탑승자는, 사이드 에어백의 본체(흉부 및 견부), 헤드부 보호 챔버, 및 요부 보호 챔버로 충돌로부터 양호하게 보호된다. 한편, 착좌 탑승자의 차폭 방향 내측에서는, 당해 착좌 탑승자는, 사이드 에어백의 본체(흉부 및 견부), 헤드부 보호 챔버, 및 복부 보호 챔버로 옆좌석 탑승자와의 간섭으로부터 양호하게 보호된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요부 보호 챔버 및 상기 복부 보호 챔버의 적어도 일방은, 차폭 방향의 동일한 측에 배치된 상기 측방 전개 부재에 있어서의 차량상하 방향의 하부에 접속되어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측방 전개 부재의 전개에 따라 사이드 에어백이 시트백으로부터 인출될 때, 당해 측방 전개 부재에 접속되어 있는 요부 보호 챔버 및 복부 보호 챔버의 적어도 일방의 전방으로의 인출이 촉진된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작동됨으로써, 상기 착좌 탑승자의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이 억제되도록 당해 착좌 탑승자를 구속하는 구속 장치와, 차량의 미세 랩 충돌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구속 장치, 충돌측의 상기 액츄에이터 및 충돌측의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대하여, 당해 구속 장치, 충돌측의 상기 액츄에이터, 충돌측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순서로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미세 랩 충돌시에는, 제어 장치에 의해, 구속 장치, 충돌측의 액츄에이터 및 충돌측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이 순서로 작동된다. 여기서, 미세 랩 충돌의 초기에는, 착좌 탑승자는 차량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이 구속 장치로 억제된 후, 착좌 탑승자는, 측방 전개 부재 및 사이드 에어백으로 측방(충돌측)으로부터 구속된다. 이것에 의해, 미세 랩 충돌에 대하여 차량용 시트의 착좌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구속(보호)할 수 있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작동됨으로써, 상기 착좌 탑승자의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이 억제되도록 당해 착좌 탑승자를 구속하는 구속 장치와, 차량의 경사 충돌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구속 장치, 충돌측의 상기 액츄에이터 및 충돌측의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대하여, 당해 충돌측의 액츄에이터, 충돌측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상기 구속 장치의 순서로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경사 충돌시에는, 제어 장치에 의해, 충돌측의 액츄에이터, 충돌측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및 구속 장치가 이 순서로 작동된다. 여기서, 경사 충돌의 초기에는, 착좌 탑승자는 충돌측의 차량 측방으로 이동하면서 차량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착좌 탑승자가 측방 전개 부재 및 사이드 에어백으로 구속(측방으로의 이동이 억제)된 후, 착좌 탑승자는, 구속 장치로 전방으로부터 구속된다. 이것에 의해, 경사 충돌에 대하여 차량용 시트의 착좌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구속(보호)할 수 있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구속 장치는, 상기 시트 쿠션 또는 시트백의 옆쪽 가장자리부를 따라 저장되는 저장 위치와, 상기 착좌 탑승자의 복부에 대하여 차량 전측으로 이간하면서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사용 위치를 취할 수 있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에 설치되고, 가스 공급을 받아 상기 착좌 탑승자의 상체와 당해 착좌 탑승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차량 구조물의 사이에서 전면 충돌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와, 상기 가동체에 유지되고, 소정값 이상의 장력을 받은 경우에 상기 가동체로부터 상기 착좌 탑승자의 요부측으로 이탈되는 랩 벨트와, 상기 랩 벨트에 상기 소정값 이상의 장력을 부여하면서 당해 랩 벨트를 끌어들이는 프리 텐셔너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구속 장치를 작동시킬 때, 상기 가동체가 상기 사용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프리 텐셔너 및 상기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에 대하여 당해 프리 텐셔너,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의 순서로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미세 랩 충돌 또는 경사 충돌이 검지된 경우에 있어서의 구속 장치의 작동 타이밍에서, 제어 장치는, 가동체가 사용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조건으로, 프리 텐셔너,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를 이 순서로 작동시킨다. 그러면, 착좌 탑승자는, 충돌에 의한 전방으로의 이동(관성)력에 대하여, 우선 랩 벨트로 요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억제되고, 이어서 전면 충돌 에어백으로 상체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미세 랩 충돌 또는 경사 충돌에 대하여, 차량용 시트의 착좌 탑승자를 더욱 효과적으로 구속(보호)할 수 있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 또는 시트백의 옆쪽 가장자리부를 따라 저장되는 저장 위치와, 상기 착좌 탑승자의 복부에 대하여 차량 전측으로 이간하면서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사용 위치를 취할 수 있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에 설치되고, 가스 공급을 받아 상기 착좌 탑승자의 상체와 당해 착좌 탑승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차량 구조물의 사이에서 전면 충돌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와, 상기 가동체에 유지되어, 소정값 이상의 장력을 받은 경우에 상기 가동체로부터 상기 착좌 탑승자의 요부 측으로 이탈되는 랩 벨트와, 상기 랩 벨트에 상기 소정값 이상의 장력을 부여하면서 당해 랩 벨트를 끌어들이는 프리 텐셔너와, 차량의 미세 랩 충돌 및 경사 충돌의 어느 하나를 예측한 경우에, 상기 프리 텐셔너 및 충돌측의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고, 차량의 미세 랩 충돌 및 경사 충돌의 어느 하나를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 및 충돌측의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미세 랩 충돌 또는 경사 충돌이 예측된 경우, 프리 텐셔너 및 액츄에이터가 작동된다. 이것에 의해, 충돌 전에, 랩 벨트로 착좌 탑승자의 요부가 구속되고, 또한 착좌 탑승자에 대한 충돌 측의 측방에서 측방 전개 부재가 전개된다. 또한, 미세 랩 충돌의 경우에는, 액츄에이터에 대하여 프리 텐셔너가 선행하여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사 충돌의 경우에는 프리 텐셔너에 대하여 액츄에이터가 선행되어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미세 랩 충돌 또는 경사 충돌이 검지된 경우, 제어 장치는,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 및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작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착좌 탑승자의 전방, 충돌측의 측방으로의 이동이 전면 충돌 에어백, 사이드 에어백으로 억제된다. 이들 전면 충돌 에어백,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전에 랩 벨트, 측방 전개 부재에 의한 탑승자의 구속(준비)이 되어 있으므로, 미세 랩 충돌 또는 경사 충돌에 대하여, 차량용 시트의 착좌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구속(보호)할 수 있다. 또한, 미세 랩 충돌의 경우에는, 사이드 에어백에 대하여 전면 충돌 에어백이 선행하여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사 충돌의 경우에는 전면 충돌 에어백에 대하여 사이드 에어백이 선행하여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가동 지지체를 상기 시트백 상에 설치된 헤드레스트의 상단보다 차량 상방으로 변위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측방 전개 부재의 상단 위치가 헤드레스트 즉 착좌 탑승자의 헤드부 위치보다 상방이 되므로, 측방 전개 부재의 상하의 접속점을 연결하는 직선(텐션 라인)이 더욱 차량 전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착좌 탑승자의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가동 지지체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측방 전개 부재와의 접속부를, 상기 시트백 상에 설치된 헤드레스트의 상단보다 차량 상방으로 변위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측방 전개 부재의 가동 지지 부재와의 접속 부위가 헤드레스트 즉 착좌 탑승자의 헤드부 위치보다 상방이 되므로, 측방 전개 부재의 상하의 접속점을 연결하는 직선(텐션 라인)이 더욱 차량 전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착좌 탑승자의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가동 지지체는, 측면에서 보아 차량 후방으로 볼록해지는 원호 형상을 이루는 피(被)안내부를 가지고, 상기 시트백에는, 상기 가동 지지체를 상기 피안내부에 있어서 안내하는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가동 지지체의 상방으로의 변위에 따라, 비스듬하게 상후방으로 직선 형상으로 변위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후방으로의 변위량이 줄어들거나, 또는 전방으로의 변위(성분)가 생긴다. 이것에 의해, 변위 후의 가동 지지체가 착좌 탑승자의 헤드부로부터 멀어지는 것이 억제되어, 착좌 탑승자의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태양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 및 피안내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한 상방으로의 변위 후의 상기 가동 지지체가, 당해 변위 전보다 차량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가동 지지체는 상방으로의 변위에 따라 전방으로도 변위한다. 이것에 의해, 변위 후의 가동 지지체가 착좌 탑승자의 헤드부에 접근하여, 착좌 탑승자의 구속 성능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는, 차량 충돌시에 있어서의 탑승자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의 텐션 크로스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의 통상 상태를 나타내는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의 텐션 크로스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를 구성하는 팝업 바 및 가이드 파이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통상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를 구성하는 팝업 바 및 가이드 파이프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팝업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의 텐션 크로스 및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의 텐션 크로스 및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차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의 텐션 크로스 및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차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의 텐션 크로스 및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의 텐션 크로스 및 사이드 에어백의 상부의 접힌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의 텐션 크로스 및 사이드 에어백의 상부의 접힌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하 방향의 접힘이 풀린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의 텐션 크로스 및 사이드 에어백의 상부의 접힌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하 방향의 접힘이 풀리기 전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의 제어 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의 텐션 크로스 및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차폭 방향 내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의 텐션 크로스 및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차폭 방향 외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의 텐션 크로스 및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에 의한 탑승자 구속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를 구성하는 랩 바로부터 전면 충돌 에어백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인너 바 등의 도시를 생략하여 차내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9a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를 구성하는 랩 디바이스의 장착 과정을, 착좌 탑승자를 제외하고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저장 상태를 나타내는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9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를 구성하는 랩 디바이스의 장착 과정을, 착좌 탑승자를 제외하고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인너 바 및 아우터 바의 사용 위치로의 이행 상태를 나타내는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9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를 구성하는 랩 디바이스의 장착 과정을, 착좌 탑승자를 제외하고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랩 바의 신장 자세로의 이행 상태를 나타내는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9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를 구성하는 랩 디바이스의 장착 과정을, 착좌 탑승자를 제외하고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사용 형태를 나타내는 비스듬히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를 구성하는 랩 디바이스의 인너 바 및 아우터 바가 사용 위치로 이행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를 구성하는 랩 바가 사용 자세로 이행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를 구성하는 각 텅 플레이트의 랩 바에 대한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저장용 자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를 구성하는 각 텅 플레이트의 랩 바에 대한 자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결합 준비 자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를 구성하는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 및 벨트 유지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3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를 구성하는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 및 벨트 유지 구조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의 제어 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의 제어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의 미세 랩 충돌시의 탑승자 거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6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의 경사 충돌시의 탑승자 거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의 제어 계통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의 제어 플로우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10)에 대하여, 도 1∼도 5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적절히 표기하는 화살표 FR, 화살표 UP, 화살표 OUT은, 각각 차량용 시트(10)가 적용된 자동차의 전(前)방향(진행 방향), 상방향, 차폭 방향의 외측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하, 간단히 전후, 상하의 방향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경우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차량 전후 방향의 전후, 차량 상하 방향의 상하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후술하는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1)가 적용된 차량용 시트(10)가 사시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차량용 시트(10)는, 탑승자가 전방을 향하여 착좌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시트(10)는, 착좌부를 이루는 시트 쿠션(12)과, 당해 시트 쿠션(12)의 후단부에 하단부가 접속되어 백 레스트를 이루는 시트백(14)과, 시트백(14)의 상단에 설치된 헤드레스트(16)를 주요부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시트(10)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용으로 되어 있으나, 2열째 이후의 뒷좌석용으로 해도 된다.
(가동 지지체의 구성)
차량용 시트(10)는,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1)를 구성하는 가동 지지체로서의 팝업 바(18)를 구비하고 있다. 팝업 바(18)는, 시트백(14)에 대하여, 도 2에 나타내는 저장 위치로부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장 위치보다 상방의 위치인 팝업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팝업 바(18)는, 시트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바 본체(18A)와, 바 본체(18A)의 시트 폭 방향 양단으로부터 수하된 좌우 한 쌍의 피안내부로서의 슬라이더(로드)(18B)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이 팝업 바(18)는, 좌우의 슬라이더(18B)에 있어서, 안내부로서의 좌우 한 쌍의 가이드 파이프(20)를 통하여 시트백(14)의 시트백 프레임(14A)(도 3, 도 4 참조)에, 저장 위치로부터 팝업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슬라이더(18B)는, 좌우 대응하는 가이드 파이프(20)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당해 가이드 파이프(20)를 따라 안내되면서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저장 위치로부터 팝업 위치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18B) 및 가이드 파이프(20)는, 측면에서 보아 서로의 축심부의 곡률 반경이 대략 일치됨과 함께, 후방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팝업 바(18), 즉 바 본체(18A)는, 저장 위치로부터 팝업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상방으로 변위하면서 전방으로의 변위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바 본체(18A)는, 저장 위치에서의 전후 위치보다 팝업 위치에서의 전후 위치 쪽이 전측에 위치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팝업 위치에서의 바 본체(18A)[후술하는 텐션 크로스(26) 상단의 접속 위치]의 전후 위치는, 시트백 프레임(14A) 상단의 전후 위치보다 전측으로 되어 있다. 또, 팝업 위치에서의 바 본체(18A)의 상하 위치[후술하는 텐션 크로스(26) 상단의 접속 위치]는, 헤드레스트(16)의 최상부보다 상측으로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팝업 바(18)는, 도 2에 나타내는 저장 위치에서는 바 본체(18A)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즉, 가이드 파이프(20) 및 당해 가이드 파이프(20)에 삽입된 슬라이더(18B)는, 시트백(14)의 표피재(및 쿠션재)에 덮여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내는 팝업 위치에서 바 본체(18A)는, 슬라이더(18B)의 상부와 함께 외부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파이프(20)의 하단에는, 당해 하단을 폐색(閉塞)하도록, 마이크로 가스 제너레이터(이하, 「MGG」라고 한다)(22)가 설치되어 있다. 팝업 바(18)는, MGG(22)의 작동에 의해, 저장 위치로부터 팝업 위치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더(18B)의 하단에는, 가이드 파이프(20)의 내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 파이프(20) 내에 배치된 피스톤(24)이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MGG(22)를 작동시켜 가이드 파이프(20) 내에 가스가 공급되면, 이 가스압을 받은 피스톤(24)에 의해 팝업 바(18)가 저장 위치로부터 팝업 위치로 이동되어, 당해 팝업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적어도 MGG(22)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츄에이터에 상당하고, 당해 액츄에이터가 가이드 파이프(20), 피스톤(2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또한, 바 본체(18A)를 본 발명의 가동 지지체로 생각하고, 슬라이더(18B)를 액츄에이터의 일부로 생각해도 된다.
(측방 전개 부재의 구성)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1)는, 후술하는 측면 충돌시에 차량용 시트(10)의 측방에서 전개되어 측방 전개 부재로서의 텐션 크로스(26)를 구비하고 있다. 텐션 크로스(26)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서의 측면에서 보아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텐션 크로스(26)는, 면 형상의 직물재 또는 메시재(네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용 시트(10)의 좌우 양측에 텐션 크로스(26)가 설치된 예를 나타내지만, 좌우 어느 일방에만 텐션 크로스(26)가 설치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차폭 방향 외측에 설치되는 텐션 크로스(26)는, 주로 측면 충돌 등의 충돌시에 착좌 탑승자(P)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기능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차폭 방향 내측에 설치되는 텐션 크로스(26)는, 주로 측면 충돌 등의 충돌시에 옆좌석의 착좌 탑승자(P)와의 간섭을 억제하는 기능으로 이루어진다.
텐션 크로스(26)는, 각각의 하단(26A)이 시트 쿠션(12)의 전단측에서, 도시 생략한 시트 쿠션 프레임 등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텐션 크로스(26)의 상단(26B)은, 각각 팝업 바(18)의 바 본체(18A)에 있어서의 시트 폭 방향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텐션 크로스(26)의 뒤쪽 가장자리부(26C)는, 각각 시트백 프레임(14A) 또는 가이드 파이프(20)에 접속되어 있다.
각 텐션 크로스(26)는, 팝업 바(18)가 저장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쿠션(12) 및 시트백(14)의 측부에 따른 대략 「L」자 형상으로 접혀, 당해 시트 쿠션(12) 및 시트백(14)의 측부에 수용되어 있다. 시트 쿠션(12) 및 시트백(14)의 측부에는, 텐션 크로스(26)가 돌출하기 위한 절단 눈금(슬릿)(28)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절단 눈금(28)은, 시트 쿠션(12) 및 시트백(14)의 표피에 형성되어도 되고, 커버 부재(시트 쿠션의 사이드 커버나 시트백의 시트백 보드 등)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당해 커버 부재와 표피의 경계에 형성해도 된다.
그리고, 텐션 크로스(26)는, 팝업 바(18)의 저장 위치로부터 팝업 위치로의 이행에 따라, 절단 눈금(28)을 통하여 시트 쿠션(12) 및 시트백(14)으로부터 인출되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전개 상태에서 텐션 크로스(26)는, 시트 쿠션(12)에 접속된 하단(26A)과 바 본체(18A)에 접속된 상단(26B)을 연결하는 직선[텐션 라인(TL)]에 따라 장력이 작용된다. 이 전개 상태의 텐션 크로스(26)에 의해, 착좌 탑승자(P)의 시트 폭 방향 외측(상기한 차폭 방향 내측, 외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의 구성)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MGG(22)는,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1)를 구성하는 제어 장치로서의 측면 충돌 ECU(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측면 충돌 ECU(30)에는 측면 충돌을 검출하는 측면 충돌 센서(3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측면 충돌 ECU(30)는, 측면 충돌 센서(3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측면 충돌(의 불가피)을 검지한 경우에, MGG(22)를 작동시키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1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측면 충돌 센서(3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측면 충돌을 검지한 측면 충돌 ECU(30)는, MGG(22)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MGG(22)로부터의 가스압에 의해 팝업 바(18)가 저장 위치로부터 팝업 위치로 이행한다. 이 이행에 따라, 텐션 크로스(26)가 절단 눈금(28)을 통하여 시트 쿠션(12) 및 시트백(14)으로부터 인출되고,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개된다.
이 전개 상태의 텐션 크로스(26)에 의해, 착좌 탑승자(P)가 관성에 의해 차폭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즉, 착좌 탑승자(P)가 텐션 크로스(26)에 의해 구속된다.
여기서, 차량용 시트(10)에서는, 텐션 크로스(26)의 상단(26B)이 팝업 바(18)의 바 본체(18A)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상단이 시트백(14)의 상단부에 접속된 비교예에 관련된 측방 전개 부재와 비교하여, 전개 상태에서의 텐션 라인 TL이 전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비교예에 관련된 측방 전개 부재에서는, 도 3에 상상선(想像線)으로 나타내어지는 TLc가 텐션 라인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전개 상태의 텐션 크로스(26)의 상단(26B)이 시트백(14)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함으로써, 비교예의 텐션 라인 TLc와 비교하여 텐션 라인 TL이 전측에 위치한다.
게다가, 슬라이더(18B) 및 가이드 파이프(20)가 측면에서 보아 원호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음으로써, 이들 시트백(14) 측부를 따라 뒤로 기울어진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비교예와 비교하여, 팝업 위치에서의 바 본체(18A)가 전측에 위치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팝업 위치에서의 바 본체(18A), 즉 텐션 크로스(26)의 상단(26B)이 저장 위치에서의 전후 위치보다 전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텐션 라인 TL이 더욱 전측에 위치한다. 또한, 팝업 위치에서의 바 본체(18A)에 접속된 텐션 크로스(26)의 상단(26B)이 헤드레스트(16)보다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도 텐션 라인 TL이 더욱 전측에 위치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착좌 탑승자 P의 어깨 중심 Sc(도 3 참조)보다 전측에 텐션 라인 TL을 위치시키는 구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텐션 크로스(26)는, 뒤쪽 가장자부(26C)가 시트백 프레임(14A) 또는 가이드 파이프(20)에 접속된 면 형상 부재이기 때문에, 당해 뒤쪽 가장자리부(26C)와 텐션 라인 TL 사이의 넓은 면으로 착좌 탑승자(P)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상단이 시트백(14) 상단으로 이루어진 텐션 크로스를 구비한 비교예와 비교하여, 텐션 크로스(26)에 의한 착좌 탑승자(P)의 구속에 기여하는 유효 면적이 넓어진다. 또, 바 본체(18A)와 시트 쿠션(12)의 전단을 걸치는 벨트 부재를 전개하는 구성(본 발명에 포함됨)을 구비한 구성과 비교하여, 텐션 크로스(26)에 의한 착좌 탑승자(P)의 구속에 기여하는 유효 면적이 넓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착좌 탑승자(P)의 어깨 중심(Sc)을 포함하는 부분에 텐션 크로스(26)가 접촉하게 되고, 착좌 탑승자(P)를, 그 고강성 부위인 견부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10)에서는, 충돌측의 텐션 크로스(26)에 의해, 차량의 측면 충돌시에 있어서의 탑승자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반(反)충돌측의 텐션 크로스(26)에 의해, 차량의 측면 충돌시에 있어서의 탑승자의 차폭 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옆좌석 탑승자와의 간섭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텐션 크로스(26)의 구속에 기여하는 유효 면적이 전측으로 넓어지기 때문에, 착좌 탑승자(P)를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충돌의 형태가 증가한다. 예를 들면, 착좌 탑승자(P)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수반하는 측방 이동을 발생시키는 경사 돌기 등에 대하여, 상단이 시트백(14)의 상단에 접속된 텐션 크로스를 구비한 비교예와 비교하여, 착좌 탑승자(P)를 효과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충돌 각도가 75°인 경사 측면 충돌에 대해서도 착좌 탑승자(P)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측면 충돌 ECU(30)는 측면 충돌을 예측한 경우에 MGG(22)를 작동시키고, 텐션 크로스(26)를 전개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40)에 대하여, 도 6∼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형태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 도시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40)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40)는, 텐션 크로스(26)에 더하여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10)와는 다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용 시트(40)의 좌우 양측에,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41)를 구성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40)를 구성하는 시트백(14)의 차폭 방향 외측의 측부에는, 니어(near) 사이드 에어백 장치(42)가 설치되어 있고, 시트백(14)의 차폭 방향 내측의 측부에는, 파(far) 사이드 에어백 장치(44)가 설치되어 있다.
(니어 사이드 에어백 장치)
니어 사이드 에어백 장치(42)는, 착좌 탑승자(P)에 대한 차폭 방향 외측에서 팽창 전개되는 니어 사이드 에어백(46)과,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48)를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니어 사이드 에어백 장치(42)는, 니어 사이드 에어백(46) 및 인플레이터(48)를 포함하는 각 부가 모듈화되어 시트백(14) 내에서 시트백 프레임(14A)에 지지되어 있다.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은, 팽창 전개 시에는 절단 눈금(28)으로부터 시트백(14) 밖으로 돌출되고, 텐션 크로스(26)의 내측[착좌 탑승자(P)] 측에서 팽창 전개되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측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은, 중앙 챔버(46A)와, 헤드부 보호 챔버(46B)와, 요부 보호 챔버(46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중앙 챔버(46A)는, 착좌 탑승자(P)의 흉부(B) 및 견부(S)를 구속하기 위한 챔버이다. 헤드부 보호 챔버(46B)는, 착좌 탑승자(P)의 헤드부(H)를 구속하기 위한 챔버이다. 요부 보호 챔버(46C)는 착좌 탑승자(P)의 요부(L)를 구속하기 위한 챔버이다. 또한, 중앙 챔버(46A)[와 헤드부 보호 챔버(46B)의 사이]에 형성된 패임은, 착좌 탑승자(P)의 팔의 릴리스부로 되어 있다. 중앙 챔버(46A) 및 요부 보호 챔버(46C)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51) 및 내장된 인플레이터(48)를 통하여 가이드 파이프(20)[또는 시트백 프레임(14A)]에 지지되어 있다. 또, 헤드부 보호 챔버(46B)는, 팽창 전개 상태에서 후방 상부의 모서리부가 되는 접속부부(46D)에 있어서, 텐션 크로스(26)의 상단(26B)과 함께 바 본체(18A)에 접속되어 있다.
즉,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은, 그 상단측이 팝업 바(18)의 팝업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은, 도 10 및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혀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은 텐션 크로스(26)[의 시트백(14)에 수용되는 부분]와 함께 접혀 있다. 구체적으로는, 텐션 크로스(26) 및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은, 벨로우즈 접힘(bellows folding) 등으로 전후 방향으로 접힘(도 11a 참조)과 함께, 그 전후로 접힌 중간부가 벨로우즈 접힘 등으로 상하 방향으로 접혀, 상하 접힘부(46E)로 되어 있다(도 11b 참조). 이 상하 접힙부(46E)는, 중앙 챔버(46A)에 있어서의 인플레이터(48)를 통하여 가이드 파이프(20)에 접속된 부분과, 헤드부 보호 챔버(46B)에 있어서의 바 본체(18A)에 접속된 부분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은, 이 상하 접힘부(46E)의 접힘을 해소하면서, 팝업 바(18)의 저장 위치로부터 팝업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하 접힘부(46E)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볼록한 접힘부, 및 상하 접힘부(46E)에 대하여 상하 근방에 위치하는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에는, 링 형상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링 형상 부재(50)는,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을 구성하는 기포(foundation cloth)를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별체의 링 부재를 접속함으로써 설치되고, 내부에 슬라이더(18B) 및 가이드 파이프(20)의 적어도 일방을 삽입 통과시키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링 형상 부재(50)가 상하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링 형상 부재(50)는, 상하 접힘부(46E)의 해소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팝업 바(18)의 팝업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함과 함께, 중앙 챔버(46A) 및 헤드부 보호 챔버(46B)의 일부를 가이드 파이프(20), 슬라이더(18B)에 대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44)는, 착좌 탑승자(P)에 대한 차폭 방향 내측에서 팽창 전개되는 파 사이드 에어백(52)과, 파 사이드 에어백(52)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54)를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44)는, 파 사이드 에어백(52) 및 인플레이터(54)를 포함하는 각 부가 모듈화되어 시트백(14) 내에서 시트백 프레임(14A)에 지지되어 있다. 파 사이드 에어백(52)은, 팽창 전개시에는 절단 눈금(28)으로부터 시트백(14) 내에 돌출되고, 텐션 크로스(26)의 내측[착좌 탑승자(P)] 측에서 팽창 전개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측면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파 사이드 에어백(52)은, 중앙 챔버(52A)와, 헤드부 보호 챔버(52B)와, 복부 보호 챔버(52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중앙 챔버(52A)는, 착좌 탑승자(P)의 흉부(B) 및 견부(S)를 구속하기 위한 챔버이다. 헤드부 보호 챔버(52B)는, 착좌 탑승자(P)의 헤드부(H)를 구속하기 위한 챔버이다. 복부 보호 챔버(52C)는 착좌 탑승자(P)의 복부(A)를 구속하기 위한 챔버이다.
또한, 중앙 챔버(52A)[와 헤드부 보호 챔버(52B)의 사이]에 형성된 패임은, 착좌 탑승자(P)의 팔의 릴리스부로 되어 있다. 중앙 챔버(52A) 및 복부 보호 챔버(52C)는,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51) 및 내장된 인플레이터(54)를 통하여 가이드 파이프(20)[또는 시트백 프레임(14A)]에 지지되어 있다. 또, 헤드부 보호 챔버(52B)는, 팽창 전개 상태에서 후방 상부의 모서리부가 되는 접속부(52D)에 있어서, 텐션 크로스(26)의 상단(26B)과 함께 바 본체(18A)에 접속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부 보호 챔버(52C)는,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의 요부 보호 챔버(46C)에 대하여 상방에서 팽창 전개되도록 되어 있다.
즉, 파 사이드 에어백(52)은, 그 상단측이 팝업 바(18)의 팝업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파 사이드 에어백(52)은, 도 10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혀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파 사이드 에어백(52)은 텐션 크로스(26)[의 시트백(14)에 수용되는 부분]과 함께 접혀 있다. 구체적으로는, 텐션 크로스(26) 및 파 사이드 에어백(52)은, 벨로우즈 접힘 등으로 전후 방향으로 접힘(도 11a 참조)과 함께, 그 전후로 접힌 중간부가 벨로우즈 접힘 등으로 상하 방향으로 접혀, 상하 접힘부(52E)로 되어 있다(도 11b참조). 이 상하 접힘부(52E)는, 중앙 챔버(52A)에 있어서의 인플레이터(54)를 통하여 가이드 파이프(20)가 접속된 부분과, 헤드부 보호 챔버(52B)에 있어서의 바 본체(18A)에 접속된 부분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 사이드 에어백(52)은, 이 상하 접힘부(52E)의 접힘을 해소하면서, 팝업 바(18)의 저장 위치로부터 팝업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하 접힘부(52E)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볼록한 접힘부에는, 링 형상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링 형상 부재(50)는, 파 사이드 에어백(52)을 구성하는 기포를 루프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별체의 링 부재를 접속시킴으로써 설치되고, 내부에 가이드 파이프(20)를 삽입 통과시키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링 형상 부재(50)가 상하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링 형상 부재(50)는, 상하 접힘부(52E)의 해소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팝업 바(18)의 팝업 위치로의 이동을 허용함과 함께, 중앙 챔버(52A) 및 헤드부 보호 챔버(52B)의 일부를 가이드 파이프(20), 슬라이더(18B)에 대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 장치의 구성)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40)의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41)는, MGG(22), 인플레이터(48, 54)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의 측면 충돌 ECU(56)를 구비하고 있다. 측면 충돌 ECU(56)는, MGG(22), 인플레이터(48, 54) 이외에, 측면 충돌을 예측하는 프리 크래시 센서(58) 및 측면 충돌 센서(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측면 충돌 ECU(56)는, 프리 크래시 센서(58)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측면 충돌을 예측한 경우에 MGG(22)를 작동시키고, 측면 충돌 센서(3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측면 충돌을 검지한 경우에 인플레이터(48, 54)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측면 충돌 ECU(56)는, 측면 충돌 발생의 대략 300msec 전에 MGG(22)를 작동시켜 바 본체(18A)를 팝업 위치로 이동시키고, 측면 충돌 개시(검출)로부터 1∼10msec 후에 인플레이터(48, 54)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차량용 시트(40)의 다른 구성은, 도시 생략한 부분을 포함하여, 차량용 시트(10)가 대응하는 부분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차량용 시트(40)에서는, 프리 크래시 센서(58)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측면 충돌을 예측한 측면 충돌 ECU(56)는, MGG(22)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MGG(22)로부터의 가스압에 의해 팝업 바(18)가 저장 위치로부터 팝업 위치로 이행한다. 이 이행에 따라, 텐션 크로스(26)가 절단 눈금(28)을 통하여 시트 쿠션(12) 및 시트백(14)으로부터 인출되어,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전개된다. 또, 접속부(46D, 52D)에 있어서 바 본체(18A)에 접속되어 있는 니어 사이드 에어백(46), 파 사이드 에어백(52)의 적어도 일부가 절단 눈금(28)을 통하여 시트백(14)으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측면 충돌 센서(32)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측면 충돌을 검지한 측면 충돌 ECU(56)는, 인플레이터(48, 54)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좌우의 니어 사이드 에어백(46), 파 사이드 에어백(52)이 팽창 전개된다[도 6은, 텐션 크로스(26), 좌우의 사이드 에어백(46, 52)의 전개 완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사이드 에어백(46, 52)은, 이미 전개되어 있는 텐션 크로스(26)와 착좌 탑승자(P)의 사이에서, 당해 텐션 크로스(26)를 따라 전방을 향하여 팽창, 전개된다. 충돌 측의 좌석의 착좌 탑승자(P)는, 텐션 크로스(26) 및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에 의해 구속되고, 반충돌측의 좌석의 착좌 탑승자(P)는, 텐션 크로스(26) 및 파 사이드 에어백(52)에 의해 구속된다. 충돌 후의 반동 시에는, 각 탑승자(P)는, 충돌시와는 반대의 텐션 크로스(26), 사이드 에어백으로 구속된다.
여기서, 차량용 시트(40)에서는, 텐션 크로스(26)에 의한 착좌 탑승자(P)의 보호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니어 사이드 에어백(46), 파 사이드 에어백(52)은, 전개 완료된 텐션 크로스(26)에 따라 팽창 전개되기 때문에, 착좌 탑승자(P)로부터 시트 폭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의 이동을 규제받아, 전개 방향이 안정된다. 즉, 측면 충돌의 검지(팽창 전개의 개시)로부터 단시간에, 적정하게 팽창 전개가 완료된다. 또한, 중앙 챔버(46A, 52A)에 의해, 착좌 탑승자(P)의 고강성 부위인 견부(S)를 구속하기 때문에, 당해 착좌 탑승자(P)의 헤드부(H)의 차폭 방향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니어 사이드 에어백(46), 파 사이드 에어백(52)에는, 헤드부 보호 챔버(46B, 52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헤드부(H)의 차폭 방향의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 보호 챔버(46B, 52B)가 접속부(46D, 52D)에 있어서 바 본체(18A)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팝업 바(18)의 팝업 위치로의 이동에 따라 니어 사이드 에어백(46), 파 사이드 에어백(52)의 적어도 일부가 인플레이터(48, 54)의 작동에 앞서 시트백(14)으로부터 인출된다. 이것에 의해, 니어 사이드 에어백(46), 파 사이드 에어백(52)은, 측면 충돌의 검지로부터 더욱 단시간에, 니어 사이드 에어백(46), 파 사이드 에어백(52)을 적정하게 팽창 전개시킬 수 있다.
또,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에, 중앙 챔버(46A), 헤드부 보호 챔버(46B), 요부 보호 챔버(46C)를 갖는다. 이 때문에, 차폭 방향의 외측(충돌측)에 있어서, 착좌 탑승자(P)를 헤드부(H)로부터 요부(L)에 걸쳐 구속하고, 당해 탑승자(P)를 측면 충돌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특히, 헤드부 보호 챔버(46B)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사이드 윈도우 글래스를 따라 전개되는 커튼 에어백 등의 헤드부 보호 에어백을 불필요하게 하거나 또는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파 사이드 에어백(52)에, 중앙 챔버(52A), 헤드부 보호 챔버(52B), 복부 보호 챔버(52C)를 갖는다. 이 때문에, 차폭 방향의 내측(반충돌측)에 있어서, 착좌 탑승자(P)를 헤드부(H)로부터 복부(A)에 걸쳐 구속하여, 당해 탑승자(P)를 옆좌석 탑승자와의 간섭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프리 크래시 센서(58)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니어 사이드 에어백 장치(42),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44)의 작동에 앞서 팝업 바(18)를 팝업 위치로 이동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측면 충돌 센서(32)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측면 충돌(의 불가피)을 검지한 측면 충돌 ECU(56)가, 인플레이터(48, 54)에 선행하여 MGG(22)를 작동하도록 해도 된다. 또, 가이드 파이프(20)의 가스 용량은 니어 사이드 에어백(46), 파 사이드 에어백(52)의 가스 용량에 대하여 충분히 작다. 이 때문에, 팝업 바(18)의 팝업 위치로의 이동은, 니어 사이드 에어백(46), 파 사이드 에어백(52)의 팽창 전개보다 충분히 단시간에 완료된다. 이 가스 용량차에 기초하는 시간차로 사이드 에어백(46), 파 사이드 에어백(52)이 팽창 전개에 선행하여 절단 눈금(28)으로부터 인출되는 구성이면, 인플레이터(48, 54)와 MGG(22)를 동시에 작동시켜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60)에 대하여, 도 13 및 도 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2 형태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2 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 도시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3,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60)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60)의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61)는, 텐션 크로스(26) 대신, 측방 전개 부재로서의 텐션 크로스(6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차량용 시트(60)는, 텐션 크로스(62)가 니어 사이드 에어백(46), 파 사이드 에어백(52)에 접속되어 있는 점에서,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40)와는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텐션 크로스(62)는, 그 전개 상태에서, 시트 쿠션(12)에 접속된 하단(62A)과 바 본체(18A)에 접속된 상단(62B)을 연결하는 텐션 라인(TL)보다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2C)를 갖는다. 돌출부(62C)는, 텐션 크로스(62)의 적어도 상부에 설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텐션 크로스(62)는, 측면에서 보아 헤드부 보호 챔버(46B, 52B)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텐션 크로스(62)의 뒤쪽 가장자리부(62D)는, 각각 시트백 프레임(14A) 또는 가이드 파이프(2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텐션 크로스(62)와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은, 헤드부 보호 챔버(46B)와 돌출부(62C)가 봉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부 보호 챔버(46B)와 돌출부(62C)는, 테어 심(64)(파단 예정 실)으로 접속되어 있고, 헤드부 보호 챔버(46B)의 팽창 전개가 완료되면, 테어 심(64)이 파단되어 상기 접속이 해소되도록 되어 있다. 또, 텐션 크로스(62)와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은, 당해 텐션 크로스(62)의 하부와 요부 보호 챔버(46C)가 봉제(66)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 텐션 크로스(62)와 파 사이드 에어백(52)은, 헤드부 보호 챔버(52B)와 돌출부(62C)로 봉제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부 보호 챔버(52B)와 돌출부(62C)는, 테어 심(64)(파단 예정 실)으로 접속되어 있고, 헤드부 보호 챔버(52B)의 팽창 전개가 완료되면, 테어 심(64)이 파단되어 상기 접속이 해소되도록 되어 있다. 또, 텐션 크로스(62)와 파 사이드 에어백(52)은, 당해 텐션 크로스(62)의 하부와 복부 보호 챔버(52C)가 봉제(66) 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차량용 시트(60)의 다른 구성은, 도시 생략한 부분을 포함하여, 차량용 시트(40)가 대응하는 부분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60)에 의해서도, 기본적으로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40)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차량용 시트(60)에서는, 선행하여 전개되는 텐션 크로스(62)의 돌출부(62C)에 헤드부 보호 챔버(46B)가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바 본체(18A)에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팽창 전개에 선행하여 시트백(14)으로부터 인출되는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은, 또한 텐션 크로스(62)의 전개에 따라 전방[텐션 라인(TL)측]으로도 인출되게 된다. 또한, 텐션 크로스(62)와 요부 보호 챔버(46C)가 접속되어 있고,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은, 하부에 있어서도 텐션 크로스(62)의 전개에 따라 크게 전방으로 인출된다. 즉, 가스 공급 전에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의 접힘의 해소가 촉진된다. 이것에 의해,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이 더욱 단시간에 적정하게 팽창 전개시키는 것에 기여한다. 즉,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의 시트백(14)으로부터의 인출(접힘의 해소)이 촉진됨으로써, 당해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이 단시간에 팽창 전개되는 것에 기여한다.
한편, 텐션 크로스(62)의 돌출부(62C)는, 텐션 라인(TL)보다 전방에 위치하지만, 헤드부 보호 챔버(46B)에 접속됨으로써, 당해 텐션 크로스(62)의 팽창 전개 과정에서 착좌 탑승자(P)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텐션 크로스(62)에 의한 탑승자의 구속 범위는, 텐션 크로스(26)와 비교하여, 돌출부(62C)의 분(分)만큼 넓어진다. 이것에 의해, 차량용 시트(60)에서는, 더욱 다양한 충돌 형태에 대하여 착좌 탑승자(P)의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62C)와 헤드부 보호 챔버(46B)는 테어 심(64)으로 봉제되어 있으므로,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의 팽창 전개가 완료되면, 돌출부(62C)와 헤드부 보호 챔버(46B)의 접속 상태(구속)가 해소된다. 이 때문에, 텐션 크로스(62)는, 헤드부 보호 챔버(46B)의 팽창 전개 형상과 비슷하게 만곡하는(물결치는) 것이 억제되어, 텐션 라인(TL)에 따라 거의 곧게 전개된다[텐션 크로스(62)로서의 전개 형상이 유지된다].
또 마찬가지로, 선행하여 전개되는 텐션 크로스(62)의 돌출부(62C)에 헤드부 보호 챔버(52B)가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바 본체(18A)에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팽창 전개에 선행하여 시트백(14)으로부터 인출되는 파 사이드 에어백(52)은, 더욱 텐션 크로스(62)의 전개에 따라 전방[텐션 라인(TL)측]으로도 인출되게 된다. 또한, 텐션 크로스(62)와 복부 보호 챔버(52C)가 접속되어 있고, 파 사이드 에어백(52)은, 하부에 있어서도 텐션 크로스(62)의 전개에 따라 크게 전방으로 인출된다. 즉, 가스 공급 전에 파 사이드 에어백(52)의 접힘의 해소가 촉진된다. 이것에 의해, 파 사이드 에어백(52)이 더욱 단시간에 적정하게 팽창 전개시키는 것에 기여한다. 즉, 파 사이드 에어백(52)의 시트 쿠션(12), 시트백(14)으로부터의 인출(접힘의 해소)이 촉진됨으로써, 당해 파 사이드 에어백(52)의 시트 쿠션(12), 시트백(14)이 단시간에 팽창 전개되는 것에 기여한다.
한편, 텐션 크로스(62)의 돌출부(62C)는, 텐션 라인(TL)보다 전방에 위치하지만, 헤드부 보호 챔버(52B)에 접속됨으로써, 당해 텐션 크로스(62)의 팽창 전개 과정에서 착좌 탑승자(P)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텐션 크로스(62)에 의한 탑승자의 구속 범위는, 텐션 크로스(26)와 비교하여, 돌출부(62C)의 분만큼 넓어진다. 이것에 의해, 차량용 시트(60)에서는, 더욱 다양한 충돌 형태에 대하여 착좌 탑승자(P)의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62C)와 헤드부 보호 챔버(52B)는 테어 심(64)으로 봉제되어 있으므로, 파 사이드 에어백(52)의 팽창 전개가 완료되면, 돌출부(62C)와 헤드부 보호 챔버(52B)의 접속 상태(구속)가 해소된다. 이 때문에, 텐션 크로스(62)는, 헤드부 보호 챔버(52B)의 팽창 전개 형상과 비슷하게 만곡되는(물결치는) 것이 억제되어, 텐션 라인(TL)을 따라 거의 곧게 전개된다[텐션 크로스(62)로서의 전개 형상이 유지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텐션 크로스(62)의 돌출부(62C)와 헤드부 보호 챔버(46B), 헤드부 보호 챔버(52B)가 테어 심(64)으로 접속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부(62C)와, 헤드부 보호 챔버(46B) 및 헤드부 보호 챔버(52B)의 어느 일방은, 팽창 전개 후에도 접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접속되어도 된다. 보충하면,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의 헤드부 보호 챔버(46B)는, 파 사이드 에어백(52)의 헤드부 보호 챔버(52B)와 비교하여 팽창 전개 형상이 두껍워(도 9 참조), 팽창 전개 형상이 텐션 크로스(62)의 전개 형상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 때문에, 니어 사이드 에어백(46)의 헤드부 보호 챔버(46B)는, 텐션 크로스(62)의 돌출부(62C)에 대하여 테어 심(64)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텐션 크로스(62)의 하부와 요부 보호 챔버(46C), 복부 보호 챔버(52C)가 봉제(66)로 접속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텐션 크로스(62)의 하부와 요부 보호 챔버(46C) 및 복부보호 챔버(52C)의 적어도 일방과는, 접속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테어 심(64)으로 접합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100)에 대해서, 도 15∼도 2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제3 형태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제3 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 도시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 15에는, 제4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100)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100)의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는, 측면 충돌에 대한 탑승자 구속 장치(11, 41, 61)에 더하여, 전면 충돌에 대한 탑승자 구속 장치를 구비하는 점에서, 상기 각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도시예의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는, 탑승자 구속 장치(61)에 더하여 전면 충돌용의 탑승자 구속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 중 전면 충돌에 대한 탑승자 구속 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6∼도 23에 있어서는, 팝업 바(18)를 포함하는 측면 충돌용의 탑승자 구속 장치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16에는,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가 적용된 차량용 시트(100)를 포함하는 차실 내부가 평면도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차량용 시트(100)는, 운전석으로 되어 있고, 차체에 있어서의 차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된 센터 콘솔(118)에 대하여 당해 차폭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조수석인 차량용 시트(100)에 대하여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가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지지 구조체의 구성)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는, 후술하는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146) 및 시트 벨트 장치(155)를 착좌 탑승자(P)의 보호 가능한 위치에서 지지하는 지지 구조체, 가동체로서의 랩 디바이스(120)를 구비하고 있다. 랩 디바이스(120)는, 제1 지지 부재로서의 아우터 바(122)와, 제2 지지 부재로서의 랩 바(124)와, 제3 지지 부재로서의 인너 바(126)를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아우터 바(122)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고, 후단측에 있어서 시트 쿠션(12)의 후단부에 시트 폭 방향에 따른 축(122A)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회전에 의해 아우터 바(122)는, 도 19a에 나타내는 저장 위치와, 도 19b∼도 19d에 나타내는 사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저장 위치에서 아우터 바(122)는, 시트 쿠션(12)의 차폭 방향 외측의 옆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외측의 옆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저장 오목부(128) 내에 저장되어 있다. 사용 위치에서 아우터 바(122)는, 그 전단이 후단[축(122A)]에 대하여 상방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로 되어 있다. 이처럼, 아우터 바(122)는, 축(122A) 주변으로 회전함으로써, 시트 쿠션(12)의 옆쪽 가장자리부를 따른 저장 위치와, 상기 경사 자세의 사용 위치를 취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인너 바(126)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고, 후단측에 있어서 시트 쿠션(12)의 후단부에 시트 폭 방향을 따른 축(126A) 주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회전에 의해 인너 바(126)는, 도 19a에 나타내는 저장 위치와, 도 19b∼도 19d에 나타내는 사용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저장 위치에서 인너 바(126)는, 시트 쿠션(12)의 차폭 방향 내측의 옆쪽 가장자리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의 옆쪽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저장 오목부(130) 내에 저장되어 있다. 사용 위치에서 인너 바(126)는, 그 전단이 후단[축 (126A)]에 대하여 상방으로 위치하는 경사 자세로 되어 있다. 이처럼, 인너 바(126)는, 축(126A) 주변으로 회전함으로써, 시트 쿠션(12)의 옆쪽 가장자리부를 따른 저장 위치와, 상기 경사 자세의 사용 위치를 취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축(122A)과 축(126A)은 도시 생략한 연동 기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아우터 바(122) 및 인너 바(126)의 어느 일방을 저장 위치와 사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시키면, 타방이 추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아우터 바(122)와 인너 바(126)는, 각각의 저장 위치, 사용 위치에 있어서, 측면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오버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아우터 바(122)와 인너 바(126)는, 착좌 탑승자(P)에 대한 좌우 대칭성을 유지하도록 동작하게 되어 있다.
랩 바(124)는, 아우터 바(122)에 연결되어 있고, 아우터 바(122)와 함께 저장 오목부(128)에 저장되는 저장 자세(도 19A 참조)와, 아우터 바(122)와 인너 바(126)를 걸치는 사용 자세(도 19D 참조)를 취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0은, 아우터 바(122) 및 인너 바(126)가 사용 위치에 위치하고, 랩 바(124)가 저장 자세를 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상태로부터 랩 바(124)가 사용 자세로 이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터 바(122)는, 축(122A)에 의한 지지측인 베이스부(132)과, 베이스부(132)에 있어서의 축(122A)과는 반대측에 설치된 가이드부(134)를 갖는다.
베이스부(132)는, 직사각형 통 형상을 이루는 부츠 구조로 되어 있고, 후술하는 랩 벨트(156)가 삽입 통과(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부(134)는, 저장 자세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으로 보아 시트 폭 방향 중앙 방향으로 개구하는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134A)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벽(134B)을 주요부로 한다. 가이드부(134)의 각 측벽(134A)에는, 각각 아우터 바(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릿(134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랩 바(124)의 길이 방향 일단부에는, 각 슬릿(134C)에 빠짐 방지 상태에서 인입된 쌍의 연결핀(124A)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랩 바(124)는, 아우터 바(122)에 대하여, 연결핀(124A) 주변으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슬릿(134C)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랩 바(124)는, 도 20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길이 방향(도 20의 화살표 T 참조)으로 인출되면, 도 21에 상상선으로 나타내어지는 신장 자세가 되고, 연결핀(124A) 주변으로 화살표 U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도 21에 실선으로 나타낸 사용 자세가 되는 구성이다. 랩 바(124)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는, 피결합부로서의 바측 텅 플레이트(136)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바측 텅 플레이트(136)가 인너 바(126)의 전단측에 설치된 바측 버클(138)로 이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결합 상태에서는, 도 16 및 도 19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터 바(122)와 랩 바(124)와 인너 바(126)가 평면에서 볼 때 후방으로 개구함과 함께, 정면에서 보아 하향으로 개구하는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게 되어 있다. 이 형태가, 랩 디바이스(120)의 사용 형태[착좌 탑승자(P)의 입장에서 유사 장착 상태. 이하, 간단히 장착 상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가 된다. 이 사용 형태로 랩 디바이스(120)는, 착좌 탑승자(P)의 복부를 3방으로부터 둘러싸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아우터 바(122) 및 인너 바(126)에는, 착좌 탑승자(P)의 복부에 대하여 랩 바(124)를 접착 분리시킬 수 있는 장착 위치 조정 구조로서의 조정기(140)를 구비하고 있다. 아우터 바(122)측의 조정기(140)는, 베이스부(132)에 설치되어 각 슬릿(134C)에 인입된 한 쌍의 조정핀(140A)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인너 바(126) 측의 조정기(140)는, 베이스부(142)와, 베이스부(14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된 버클 유지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너 바(12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부(142)에 형성된 한 쌍의 슬릿(142A)에는, 버클 유지부(144)에 설치된 조정핀(144A)이 각각 인입되어 있다.
조정핀(140A)이 슬릿(134C) 내를 슬라이드함과 함께, 조정핀(144A)이 슬릿(142A) 내를 슬라이드 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착좌 탑승자(P)의 복부에 대하여 랩 바(124)를 접착 분리시킬 수 있는 조정기(14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 생략한 록 기구 또는 마찰 스토퍼 구조 등에 의해, 랩 바(124)를 임의의 조정 위치(무단계여도 되고 유한 단계여도 된다)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전면 충돌 에어백의 구성)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상 설명한 랩 디바이스(120)의 랩 바(124)에는, 전면 충돌에 대한 착좌 탑승자(P)의 구속(보호)용의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146)가 배설(配設)되어 있다. 이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146)는, 랩 바(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146)의 배설 범위에서 랩 바(124)는 중공 구조로 되어 있고, 당해 랩 바(124)의 내부 공간인 에어백 수용부(148) 내에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146)가 배치되어 있다.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146)는, 작동에 의해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공급 수단으로서의 인플레이터(150)와, 인플레이터(150)로부터의 가스 공급을 받아서 팽창, 전개되는 에어백으로서의 전면 충돌 에어백(152)을 주요부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인플레이터(150)는, 랩 바(124)의 폭 방향 중앙부에서, 당해 랩 바(124)의 에어백 수용부(148)를 둘러싸는 벽 중 착좌 탑승자(P) 측을 향하는 저벽(148A)에 고정되어 있다. 전면 충돌 에어백(152)은, 그 내측에 인플레이터(150)가 수용된 상태에서, 당해 인플레이터(150)를 통하여 저벽(148A)에 고정되어 있다. 이 전면 충돌 에어백(152)은, 인플레이터(150)에 대한 전후 양측에서 롤 접힘과 함께, 도시 생략한 보호천으로 덮혀 접힘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이 보호천은, 백 팽창 압을 받으면, 도시 생략한 천공 형상의 컷팅에 있어서 파단되어, 전면 충돌 에어백(152)의 전개를 허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면 충돌 에어백(152)은, 도 15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후단측이 좌우로 분할된 것과 같은 트윈 챔버 타입의 에어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백 용량의 저감, 착좌 탑승자(P)와의 접촉 면적 증가, 착좌 탑승자(P)의 양 어깨의 적정 지지 등이 얻어진다.
또, 랩 바(124)에 있어서의 저벽(148A)과 대향하는 천정벽(148B)에는, 전면 충돌 에어백(152)의 팽창 전개압에 의해 파단되어 개구하는 에어백 도어(15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관련된 에어백 도어(154)는, 천정벽(148B)에 형성한 홈 형상의 테어 라인(113)(도 23a 참조)에 있어서 개열됨으로써, 측벽(148C)과의 모서리부를 힌지로 하여 전개되어, 천정벽(148B)에 개구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개구를 통하여,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 충돌 에어백(152)의 랩 바(124) 밖으로의 팽창 전개가 허용되는 구성이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 충돌 에어백(152)은, 착좌 탑승자(P)의 전방에 위치하는 차량 구조물과 착좌 탑승자(P)의 상체의 사이에서 전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운전석에 적용된 도 17, 도 18의 예에서는, 차량 구조물로서의 스티어링 휠(SW)과 착좌 탑승자(P)의 상체의 사이에서, 전면 충돌 에어백(152)이 전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8에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전면 충돌 에어백(152)(부호 152P)은, 조수석용 에어백의 전개 형상예이며, 이 예에서는 차량 구조물로서의 인스트러먼트 패널(IP)과 착좌 탑승자(P)의 상체의 사이에서, 전면 충돌 에어백(152)이 전개되게 된다.
인플레이터(150)의 랩 바(124)로의 고정 구조에 대하여 보충하면, 인플레이터(150)에 고정되어 저벽(148A)을 관통한 스터드 볼트(151A)에 너트(151B)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인플레이터(150)는, 랩 바(124)의 저벽(148A)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또, 이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벨트 홀더(162)가, 스터드 볼트(151A)에 너트(151B)에 의한 조임으로 저벽(148A)의 외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시트 벨트 장치의 구성)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좌 탑승자(P)의 요부를 구속하기 위한 시트 벨트 장치(155)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 벨트 장치(155)는, 착좌 탑승자(P)의 요부에 장착되는 랩 벨트(156)와, 랩 벨트(156)의 길이 방향의 일단 측을 지지하는 리트랙터(15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관련된 시트 벨트 장치(155)는, 통상은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랩 벨트(156)가 랩 디바이스(120)[아우터 바(122) 및 랩 바(124)]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전면 충돌시에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랩 벨트(156)가 착좌 탑승자(P)의 요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랩 벨트(156)는, 도 20 및 도 2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츠 구조의 베이스부(132)에 삽입 통과되어 아우터 바(122)에 유지됨과 함께, 벨트 유지 수단으로서의 벨트 홀더(162)를 통하여 랩 바(124)에 이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도 2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홀더(162)는, 랩 바(124)의 저벽(148A)에 고정되는 기판부(162A)와, 기판부(162A)의 폭 방향 양측에 있어서 당해 기판부(162A)의 길이 방향으로 이간된 복수의 유지 클로(162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부(162A)와 각 유지 클로(162B)는, 연결벽(162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벨트 홀더(162)는, 유지 클로(162B)의 형성 부위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으로 보아 편평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벨트 홀더(162)는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유지 클로(162B)는 기판부(162A)에 대하여 접착 분리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휨)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벨트 홀더(162)는, 그 기판부(162A)가 상기한 인플레이터(150)와 함께, 스터드 볼트(151A)에 너트(151B)에 의해, 랩 바(124)의 저벽(148A)에 조임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랩 벨트(156)는, 기판부(162A)와 각 유지 클로(162B)의 사이에 폭 방향의 양단측이 인입되어 있다. 각 유지 클로(162B)는, 랩 벨트(156)에 대하여 랩 바(124) 측과 반대측[착좌 탑승자(P)측]으로부터 대향하여 당해 랩 벨트(156)의 착좌 탑승자(P) 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랩 벨트(156)는, 랩 바(124)에 대한 두께 방향의 이동이 벨트 홀더(162)에 의해 규제되고, 당해 벨트 홀더(162)를 통하여 랩 바(124)에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랩 벨트(156)는, 상기한 부츠 구조의 베이스부(132)에 삽입 통과되어 있고, 당해 베이스부(132)와 축(122A)의 사이에 설치된 리트랙터(158)에 일단 측이 인출 가능하게 권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아우터 바(122)에 대한 랩 바(124)의 신장 자세로의 변위나 조정기(140)에 의한 랩 바(124)의 위치 조정시에 랩 벨트(156)가 늘어지지 않고 출납되도록 되어 있다. 이 리트랙터(158)에는, 작동에 의해 랩 벨트(156)를 강제적으로 권취하는 장력 부여 수단, 프리 텐셔너로서의 프리 텐셔너 기구(158A)가 설치되어 있다. 프리 텐셔너 기구(158A)는, 일반적인 리트랙터에 설치되어 있는 것(예를 들면, 가스 제너레이터로부터의 가스에 의해 권취축을 강제 회전시키는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랩 벨트(156)의 타단부에는, 벨트 결합 수단을 구성하는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가 설치되어 있다.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는, 당해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가 바측 버클(138)과 인접하여 인너 바(126)에 설치된 벨트측 버클(163)에 이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측 버클(163)에는, 인너측의 랩 벨트(164)의 일단 측이 연결되어 있고, 랩 벨트(164)의 타단 측은, 인너 바(126)의 베이스부(142)와 축(126A)의 사이에 설치된 리트랙터(166)에 인출 가능하게 권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조정기(140)에 의한 랩 바(124)의 위치 조정시에 인너측의 랩 벨트(164)가 늘어지지 않고 출납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 생략하였으나, 리트랙터(166)에는, 리트랙터(158)의 것과 동일한 프리 텐셔너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벨트측 버클(163)은, 바측 버클(138)에 대하여, 소요(所要)의 외력을 받으면 이탈되도록 유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트랙터(158) 및 리트랙터(166)의 프리 텐셔너 기구(158A) 등이 작동하면, 벨트측 버클(163)은, 바측 버클(138)로부터 탈락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벨트측 버클(163)은, 랩 벨트(156, 164),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와 함께 착좌 탑승자(P)의 요부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 관련된 시트 벨트 장치(155)는,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 및 벨트측 버클(163)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랩 벨트(156, 164)가 랩 디바이스(120)로부터 이탈되어 착좌 탑승자(P)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랩 벨트(156)의 이탈 구조에 대하여 보충한다. 랩 벨트(156)는, 장력을 받으면서 단축하려고 함으로써 벨트 홀더(162)의 각 유지 클로(162B)를 착좌 탑승자(P) 측에 탄성 변형시켜, 당해 각 유지 클로(162B)에 의한 유지로부터 해방되어, 벨트 홀더(162) 즉 랩 바(124)로부터 이탈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력에 의한 이탈 가능한 바측 버클(138)에 대한 벨트측 버클(163)의 유지 구조로서는, 각종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 상기의 외력에 의해 파단이나 변형하여 유지를 해제하는 걸어맞춤 구조, 자력이나 면 형상 파스너에 의한 유지 구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버클 구조)
바측 텅 플레이트(136)와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는, 공통의 결합 동작(원 액션)으로 바측 버클(138), 벨트측 버클(163)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바측 버클(138)에 유지되어 있는 벨트측 버클(163)에 대하여, 바측 텅 플레이트(136)에 유지된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가, 공통의 동작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 바측 텅 플레이트(136) 및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는, 랩 바(124)가 저장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 랩 바(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의 바측 텅 플레이트(136) 및 벨트 측 텅 플레이트(160)는, 랩 바(124)가 사용 자세로 이행함에 따라, 바측 버클(138), 벨트측 버클(163) 측을 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바측 텅 플레이트(136)는, 도 2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랩 바(124)에 대하여 축(136A) 주변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는, 플레이트 홀더(168)를 통하여 바측 텅 플레이트(136)에 이탈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는, 통상은 바측 텅 플레이트(136)와 함께 축(136A) 주변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레이트 홀더(168)는, 유지편(168A)에 의해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리트랙터(158) 및 리트랙터(166)의 프리 텐셔너가 작동하면, 유지편(168A)이 탄성 변형 또는 소성 변형함으로써, 플레이트 홀더(168)가 바측 텅 플레이트(136)로부터 이탈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바측 텅 플레이트(136)는, 랩 바(124)의 저장 자세에 있어서는 도 2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랩 바(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저장용 자세로 유지되어 있다. 한편, 랩 바(124)를 신장 자세로 하면, 랩 벨트(156)가 인출되어 리트랙터(158)(의 권취 스프링)의 권취력이 증대되므로,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에 작용하는 리트랙터(158)의 권취력이 증대된다. 이 때문에, 도 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측 텅 플레이트(136) 및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가, 리트랙터(158)의 권취력에 의해 화살표 V측으로 젖혀지는 결합 준비 자세로 이행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랩 바(124)가 저장 자세로부터 사용 자세로 이행함에 따라, 바측 텅 플레이트(136) 및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가 바측 버클(138) 및 벨트측 버클(163)을 향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랩 바(124)를 사용 자세로부터 저장 자세로 되돌아갈 때에는, 착좌 탑승자(P)에 의한 수동으로 또는 도시 생략한 리턴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바측 텅 플레이트(136) 및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가 저장용 자세로 복귀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리턴 스프링을 사용하는 구성에서는, 그 가압력은 랩 바(124)의 저장 자세에서의 리트랙터(158)의 권취력보다 강하게, 랩 바(124) 신장 자세에서의 리트랙터(158)의 권취력보다 약하게 설정된다. 또, 바측 텅 플레이트(136) 및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는, 수동으로 저장용 자세로 복귀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마찰력 등으로 랩 바(124)의 저장 자세에서의 리트랙터(158)의 권취력에 저항하여 저장용 자세로 유지된다.
(탑승자 보호 ECU의 구성)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하지만,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는, 제어 장치로서의 탑승자 보호 ECU(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탑승자 보호 ECU는,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146)의 인플레이터(150), 리트랙터(158)의 프리 텐셔너 기구(158A), 및 리트랙터(166)의 프리 텐셔너 기구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탑승자 보호 ECU는,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가 적용된 자동차의 전면 충돌을 검지하는 전면 충돌 검지 센서, 바측 텅 플레이트(136)와 바측 버클(138)의 결합을 검지하는 버클 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버클 센서는,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와 벨트측 버클(163)의 결합을 검출하는 것이어도 된다. 탑승자 보호(ECU)는, 전면 충돌 검지 센서로부터 충돌 검지 신호가 입력되면,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146)의 인플레이터(150), 리트랙터(158, 166)의 각 프리 텐셔너 기구(158A) 등을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전면 충돌을 검지한 경우에, 인플레이터(150) 및 각 프리 텐셔너 기구(158A) 등을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작용의 설명에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면 충돌 에어백(152) 및 랩 벨트(156, 164)에 의해 착좌 탑승자(P)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4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주로 상기한 제1∼제3 실시 형태의 작용과는 다른 부분을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101은, 측면 충돌용의 탑승자 구속 장치[탑승자 구속 장치(61) (11, 41)] 및 전면 충돌용의 탑승자 구속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0)는, 전(全)방향 안전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100)에서는, 탑승자의 승강 시에는, 랩 디바이스(120)가 저장 위치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아우터 바(122) 및 랩 바(124)가 시트 쿠션(12)의 차폭 방향 외측의 저장 오목부(128)에 저장되고, 인너 바(126)가 시트 쿠션(12)의 차폭 방향 내측의 저장 오목부(130)에 저장된다. 이 때문에, 랩 디바이스(120)가 착좌 탑승자(P)의 승강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승차하여 차량용 시트(100)에 착좌한 탑승자는, 저장 위치에 있는 아우터 바(122)[및 랩 바(124)], 또는 인너 바(126)를 사용 위치까지 끌어올린다. 그러면, 연동 기구에 의해, 아우터 바(122) 및 인너 바(126)의 비조작측의 바도 함께 사용 위치로 이행한다. 이어서, 착좌 탑승자(P)는, 랩 바(124)를 아우터 바(122)에 대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드해 신장 자세로 하고, 또한 연결핀(124A) 주변으로 화살표 U 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 자세로 한다. 이 동작에 따라, 바측 텅 플레이트(136) 및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는, 저장용 자세(도 22a 참조)로부터 결합 준비 자세(도 22b 참조)로 이행한다. 이들 바측 텅 플레이트(136) 및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를 바측 버클(138) 및 벨트측 버클(163)에 결합시키면, 착좌 탑승자(P)는, 복부가 랩 디바이스(120)에서 전방측의 3방으로부터 둘러싸인 상태가 된다.
또한, 착좌 탑승자(P)는, 기호에 따라 랩 바(124)의 전후 위치를 조정한다. 랩 디바이스(120)에 의한 압박감을 피하는 경우에는, 당해 랩 바(124)와 복부의 사이에 간극을 유지해 두게 된다. 한편, 장착감(밀착감), 구속감(안심감)을 우선하는 경우에는, 랩 바(124)를 복부에 가까이하여, 필요에 따라 복부에 접촉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측 텅 플레이트(136)가 바측 버클(138)에 결합되면, 탑승자 보호 ECU는, 랩 디바이스(120)가 사용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인식한다.
이 상태로부터 탑승자 보호 ECU는, 전면 충돌 검지 센서로부터 신호에 기초하여 전면 충돌을 검지하면,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146)의 인플레이터(150) 및 리트랙터(158, 166)의 각 프리 텐셔너 기구(158A) 등을 작동시킨다. 그러면, 랩 벨트(156) 및 랩 벨트(164)는, 리트랙터(158, 166)에 의해 소정값 이상의 장력으로 인입된다. 이것에 의해, 벨트측 버클(163)이 바측 버클(138)로부터 이탈됨과 함께, 랩 벨트(156)가 벨트 홀더(162)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와 벨트측 버클(163)로 연결된 랩 벨트(156, 164)가 착좌 탑승자(P)의 요부에 장착된다. 전방으로의 관성력이 작용하는 착좌 탑승자(P)는, 랩 벨트(156, 164)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차량용 시트(100)에 구속된다].
또, 전면 충돌 에어백(152)이, 그 팽창 전개압으로 보호천을 파단함과 함께 테어 라인(113)을 개열시켜 에어백 도어(154)를 전개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면 충돌 에어백(152)은, 랩 바(124)의 외측에서 팽창된다. 전면 충돌 에어백(152)은, 인플레이터(150)[랩 디바이스(120)]로 반력을 지지받으면서, 스티어링 휠(SW)[인스트러먼트 패널(IP)]과 착좌 탑승자(P)의 상체의 사이에서 전개된다. 이것에 의해, 착좌 탑승자(P)의 상체의 전방 이동이 전개된 전면 충돌 에어백(152)으로 구속된다.
한편, 자동차의 충돌에 이르지 않고, 착좌 탑승자(P)가 하차하는 경우에는, 도시 생략한 해제 버튼의 조작에 의해 바측 텅 플레이트(136),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를 바측 버클(138), 벨트측 버클(163)로부터 이탈시킨다. 공통의 동작으로 상기 2개의 결합을 해제 가능하게 하는 바와 같이, 해제 버튼이 공통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해제 후에는, 장착시와는 반대로, 랩 바(124)를 사용 자세로부터 신장 자세를 거쳐, 저장 자세로 복귀시키면 된다. 저장 자세로의 복귀에 따라, 바측 텅 플레이트(136) 및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는, 랩 바(124)의 길이 방향에 따른 자세로 복귀하거나 또는 복귀된다. 이 상태로부터 아우터 바(122) 또는 인너 바(126)를 저장 위치로 이동하면, 좌우의 바는 연동하여 저장 위치에 이른다. 따라서, 랩 디바이스(120)를 구성하는 아우터 바(122), 랩 바(124)가 저장 오목부(128)에 저장됨과 함께, 인너 바(126)가 저장 오목부(130)에 저장된다. 착좌 탑승자(P)는, 승강구측에 위치하는 랩 바(124) 등에 방해되지 않고, 원활하게 하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에서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아우터 바(122) 및 랩 바(124)가 시트 쿠션(12)의 옆쪽 가장자리부를 따른 저장 오목부(128)에 저장됨과 함께, 인너 바(126)가 시트 쿠션(12)의 옆쪽 가장자리부를 따른 저장 오목부(130)에 저장된다. 이 때문에, 랩 디바이스(120)는 콤팩트하게 격납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 에어백을 유지하는 랩 디바이스(120)의 저장 스페이스가 작게 억제된다.
특히, 랩 디바이스(120)는, 랩 바(124)가 아우터 바(122) 및 인너 바(126)를 통하여 시트 쿠션(12)으로 지지되는 양단 지지 구조이다. 이 때문에, 캔틸레버 구조의 가동체를 채용하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랩 바(124)에 요구되는 강성, 강도가 작다. 또한, 랩 바(124)가 유지하는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146)의 전면 충돌 에어백(152)은, 스티어링 휠(SW)[인스트러먼트 패널(IP)]로 반력이 지지된다. 이 때문에, 랩 바(124)에는 전면 충돌 에어백(152)의 반력을 지지하는 강도, 강성이 요구되지 않는다. 또, 랩 벨트(156)는, 전면 충돌시에는 착좌 탑승자(P)에게 직접적으로 장착되어, 랩 바(124)에 탑승자 구속 하중을 지지시킬 필요가 없다. 이것에 의해, 상기 비교예와 비교하여 랩 바(124)를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랩 바(124)에는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146) 및 랩 벨트(156)가 유지되어 있으므로, 전후 양측으로 전개하는 2개의 에어백 장치를 유지하는 가동체를 채용하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랩 바(124)를 더욱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콤팩트하게 구성되는 랩 바(124)는, 당해 랩 바(124)를 포함하는 랩 디바이스(120)의 저장 스페이스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한다.
또 여기서,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은, 착좌 탑승자(P)의 요부를 구속하기 위한 랩 벨트(156)가, 랩 디바이스(120)의 랩 바(124)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통상시에 랩 디바이스(120), 랩 벨트(156)가 착좌 탑승자(P)에 대하여 직접적(육체적)인 압박(구속)감을 주지 않는다. 또, 랩 디바이스(120)는, 조정기(140)에 의해, 착좌 탑승자(P)의 복부에 대한 랩 바(124)의 위치(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착좌 탑승자(P)는, 기호에 따라, 랩 디바이스(120)에 의한 압박감의 회피를 우선하여 랩 바(124)를 비접촉으로 하거나, 랩 디바이스(120)에 의한 장착감이나 구속감을 우선하여 랩 바(124)를 복부에 접촉시키는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바측 텅 플레이트(136) 및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는, 저장 자세의 랩 바(124)에 대하여 당해 랩 바(124)의 길이 방향에 따라 위치한다. 이 때문에, 일직선의 저장 오목부(128)에 랩 바(124) 및 아우터 바(122)를 콤팩트하게 저장할 수 있다. 또, 랩 바(124)의 저장 자세로부터 사용 자세로의 이행에 따라 바측 텅 플레이트(136) 및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가 결합 준비 자세에 이르기 때문에, 랩 바(124)의 인너 바(126)로의 결합 동작이 용이하다.
또한, 통상의 3점식 시트 벨트 장치 버클에 상당하는 인너 바(126)가, 당해 버클과 마찬가지로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착좌 탑승자(P)는 위화감 없이 랩 바(124) 등을 조작하여 당해 랩 바(124)를 인너 바(126)에 장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너 바(126)에 대하여 대형 부품인 랩 바(124)를 아우터 바(122)와 함께 저장 오목부(128) 내에 컴팩트하게 저장하는 구성에 의해, 다시 말하면, 랩 바(124)가 승강을 방해하지 않는 구성에 의해, 상기 인너 바(126)의 배치가 얻어졌다.
또한 여기서,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에서는, 리트랙터(158, 166)의 작동에 의해 착좌 탑승자(P)의 요부에 장착되는 랩 벨트(156)로, 당해 착좌 탑승자(P)의 요부를 구속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랩 바(124)로부터 요부를 향하여 전개되는 에어백으로 착좌 탑승자(P)의 요부를 구속하는 비교예와 비교하여, 전면 충돌의 검지로부터 단시간에 탑승자로의 장착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에서는, 통상시에 착좌 탑승자(P)에게 주는 압박감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에 있어서, 전면 충돌시의 초기 구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전면 충돌 에어백(152)은, 랩 바(124)로부터 스티어링 휠(SW)[인스트러먼트 패널(IP)]과 탑승자(P)의 사이에 전개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윈드 쉴드 유리로 반력이 지지되는 구성으로 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전면 충돌 에어백(152)의 용량을 소용량화할 수 있다. 특히, 상하 방향으로 편평하게 한 박형(薄型)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을 채용하는 자동차의 경우, 당해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전면 충돌용 에어백을 배설하는 구성에서는, 통상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을 채용하는 자동차의 경우와 비교하여, 당해 에어백의 용량이 커진다.
이에 대하여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면 충돌 에어백(152)에는 윈드 쉴드 유리에 의한 반력의 지지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박형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을 채용한 구성에 있어서도, 전면 충돌 에어백(152)의 용량이 작게 억제된다. 또, 전면 충돌시에 있어서의 착좌 탑승자(P)의 이동 방향과 전면 충돌 에어백(152)의 전개 방향이 모두 차량 전방이기 때문에, 전면 충돌 에어백(152)에 의한 착좌 탑승자(P)에게로의 부하가 작다.
또,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에서는, 랩 벨트(156)를 소정값 이상의 장력으로 끌어들임으로써, 랩 벨트(156)가 벨트 홀더(162)로부터 이탈됨과 함께 벨트측 버클(163)이 바측 버클(138)로부터 이탈된다. 즉, 시트 벨트 장치(155)가 랩 디바이스(120)로부터 이탈되어 랩 벨트(156, 164)가 착좌 탑승자(P)의 요부에 직접적으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랩 바(124)가 승강측에 배치된 아우터 바(122)와 함께 저장 오목부(128)에 저장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랩 바(124)가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 인너 바(126)와 함께 저장 오목부(130)에 저장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랩 벨트(164), 리트랙터(166)가 인너 바(126) 측에 설치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일단에 벨트측 버클(163)이 연결됨과 함께 타단이 앵커에 의해 시트 쿠션(12)에 고정된 가요성(可僥性)의 스테이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리트랙터(158)의 프리 텐셔너 기구(158A)로부터의 장력에 의해, 벨트측 버클(163)이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로부터 이탈하면, 상기 스테이가 랩 벨트(156)와 함께 착좌 탑승자(P)의 요부에 장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벨트 홀더(162)가 랩 벨트(156)를 이탈 가능하도록 랩 바(124)에 유지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벨트 유지 수단은, 랩 벨트(156)를 이탈 가능하게 랩 바(124)에 유지하는 것이면 충분하고, 예를 들면, 마그넷이나 면 형상 파스너 등의 다른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마그넷이나 면 형상 파스너 등을 채용함으로써, 충돌 예측 후에 충돌에 이르지 않은 케이스에 있어서, 랩 벨트(156)를 랩 바(124)로 재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바측 텅 플레이트(136) 및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가 리트랙터(158)의 권취력으로 저장용 자세로부터 결합 준비 자세로 이행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이드부(134)에 대한 랩 바(124)의 자세 변화(회전이나 슬라이드)에 연동하는 링크 기구 등에 의해 바측 텅 플레이트(136) 및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가 저장용 자세로부터 결합 준비 자세로 이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액츄에이터의 동력으로 바측 텅 플레이트(136) 및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가 저장용 자세로부터 결합 준비 자세로 이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바측 텅 플레이트(136) 및 벨트측 텅 플레이트(160)를 저장용 자세로부터 결합 준비 자세로 이행시키는 구조를 가지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상기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가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적용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 열의 시트를 가지는 차량의 2열째 이후의 시트에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를 적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저장 위치에 있는 아우터 바(122)[및 랩 바(124)] 또는 인너 바(126)를 탑승자에 의해 사용 위치까지 끌어올리는 예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탑승자의 착좌를 검출하여 전기 모터를 작동시켜, 아우터 바(122) 및 인너 바(126)를 저장 위치로부터 사용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제5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200)에 대하여, 도 24∼도 2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4 형태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4 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 도시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차량용 시트(200)는, 메카니즘적으로는 차량용 시트(10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차량용 시트(200)를 구성하는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101)는, 측면 충돌에 대한 탑승자 구속 장치(41, 61)의 어느 하나에 더하여, 전면 충돌에 대한 탑승자 구속 장치인 구속 장치(20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속 장치(202)는, 랩 디바이스(120),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146), 시트 벨트 장치(155)를 주요부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200)는, 제어 장치로서의 탑승자 보호 ECU(204)를 구비하고 있다. 탑승자 보호 ECU(204)는, 복수의 충돌 센서(가속도 센서)(20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복수의 충돌 센서(206)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적용된 자동차에 대한 미세 랩 충돌, 경사 충돌, 전면 충돌을 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미세 랩 충돌이란, 자동차(500)의 전면 충돌 중, 예를 들면 IIHS로 규정되는 충돌 상대방(502)(도 26A 참조)과의 차폭 방향의 랩 양이 25% 이하의 충돌이 된다. 예를 들면,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대한 차폭 방향 외측으로의 충돌이 미세 랩 충돌에 해당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상대 속도 64km/hr에서의 미세 랩 충돌이 상정되어 있다. 또, 경사 충돌이란, 예를 들면 NHSTA로 규정되는 경사 전방[일례로서, 충돌 상대방(502)과의 상대각 15°, 차폭 방향의 랩 양 35% 정도의 충돌]이 된다(도 26b 참조).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상대 속도 90km/hr에서의 경사 충돌이 상정되어 있다. 전면 충돌은, 풀(full) 랩 전면 충돌, 및 상대방 차량(배리어) 또는 벽에 대한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충돌 범위가 소정 범위 이상인 오프셋 충돌(OBD)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전면 충돌의 태양의 일례로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대 속도 55km/hr에서의 풀 랩 전면 충돌이 상정되어 있다.
또,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승자 보호 ECU(204)는, MGG(22), 인플레이터(48, 54), 프리 텐셔너로서의 프리 텐셔너 기구(158A), 및 인플레이터(150)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탑승자 보호 ECU(204)는, 복수의 충돌 센서(206)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는 충돌 형태의 검지 결과에 따라, 피(被)제어 요소의 작동 타이밍(작동 순서)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피제어 요소는, MGG(22), 인플레이터(48, 54), 프리 텐셔너로서의 프리 텐셔너 기구(158A), 및 인플레이터(150)로 되어 있다.
이 탑승자 보호 ECU(204)에 의한 제어에 대해서, 도 25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제5 실시 형태의 작용과 더불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량용 시트(200)의 착좌 탑승자(P)에 대하여 랩 디바이스(120)가 사용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 구성의 차량용 시트(200)에서는, 탑승자 보호 ECU(204)는, 각 충돌 센서(206)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단계 S10에서, 적용된 자동차(500)의 전방으로부터의 충돌(측면 충돌 등을 제외하는 형태의 충돌)의 유무를 판단한다. 부정 판단의 경우에는, 원래로 돌아간다. 한편, 단계 S10에서 긍정 판단의 경우, 단계 S12로 진행하여, 각 충돌 센서(206)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충돌 형태가 미세 랩 충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긍정 판단의 경우에는 단계 S14로 진행하고, 부정 판단의 경우에는 단계 S22로 진행된다.
단계 S14∼단계 S20에서는, 후술한 바와 같은 미세 랩 충돌에 대응한 제어가 행하여진다. 또, 단계 S22에서 탑승자 보호 ECU(204)는, 각 충돌 센서(206)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충돌 형태가 경사 충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긍정 판단의 경우에는 단계 S24로 진행하고, 부정 판단의 경우에는 단계 S32로 진행된다. 단계 S24∼단계 S30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경사 충돌에 대응한 제어가 행하여진다. 또, 단계 S32, S34에서는, 후술한 바와 같은 전면 충돌에 대응한 제어가 행하여진다.
[미세 랩 충돌]
단계 S14에서 탑승자 보호 ECU(204)는, 프리 텐셔너 기구(158A)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랩 벨트(156, 164)가 착좌 탑승자(P)의 요부에 장착되어, 당해 착좌 탑승자(P)는, 랩 벨트(156, 164)에 의해 차량용 시트(200)에 구속된다. 이어서, 탑승자 보호 ECU(204)는, 단계 S16으로 진행하여, 인플레이터(15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랩 바(124)에 수용되어 있던 전면 충돌 에어백(152)이 스티어링 휠(SW)[(인스트러먼트 패널(IP)]과 착좌 탑승자(P)의 상체의 사이에서 전개된다.
이어서, 탑승자 보호 ECU(204)는, 단계 S18로 진행하여, MGG(22)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팝업 바(18)가 저장 위치로부터 팝업 위치로 이행하고, 텐션 크로스(26)가 착좌 탑승자(P)의 측방에서 전개된다. 또한, 탑승자 보호 ECU(204)는, 단계 S20으로 진행하여, 인플레이터(48, 54)를 작동시킨다. 또한, 인플레이터(48, 54) 중,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미세 랩 충돌이 생긴 측(우측 또는 좌측)의 인플레이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도 된다. 이 인플레이터의 작동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46, 52) 중 적어도 미세 랩 충돌이 생긴 측의 사이드 에어백이 착좌 탑승자(P)의 측방에서 팽창 전개된다. 이 경우, 반(反)충돌측의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필요 여부, 전개 타이밍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그 외의 충돌 형태의 설명을 포함한다)에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경우, 충돌측인지의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인플레이터(48, 54)라고 한다.
여기서, 도 26a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 랩 충돌시의 착좌 탑승자(P)의 거동은, 충돌 초기에는 주로 차량 전방으로 이동하고, 중기 이후에 주로 차폭 방향의 충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차량용 시트(200)에서는, 착좌 탑승자(P)의 거동에 맞추어, 충돌 초기의 착좌 탑승자(P)의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어를 행한다. 즉, 탑승자 보호 ECU(204)는, 텐션 크로스(26) 및 인플레이터(48, 54)에 선행하여, 프리 텐셔너 기구(158A), 인플레이터(150)를 작동시킨다.
더 구체적으로는, 우선 프리 텐셔너 기구(158A)를 작동시켜, 랩 벨트(156, 164)에 의해 착좌 탑승자(P)의 요부의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을 억제한다. 이어서, 인플레이터(150)로부터의 가스 공급으로 전면 충돌 에어백(152)을 팽창 전개시켜, 착좌 탑승자(P)의 상체의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을 억제한다.
그리고, 충돌 중기에 MGG(22)를 작동시켜 텐션 크로스(26)를 전개시킨 후, 인플레이터(48, 54)를 작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충돌측의 사이드 에어백이 텐션 크로스(26)를 따라 팽창 전개되어, 미세 랩 충돌 중기 이후의 착좌 탑승자(P)의 차폭 방향의 충돌측으로의 이동이 사이드 에어백(46, 52) 및 텐션 크로스(26)에서 억제된다.
[경사 충돌]
단계 S24에서 탑승자 보호 ECU(204)는, MGG(22)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팝업 바(18)가 저장 위치로부터 팝업 위치로 이행하여, 텐션 크로스(26)가 착좌 탑승자(P)의 측방에서 전개된다. 또한, 탑승자 보호 ECU(204)는, 단계 S26으로 진행하여, 인플레이터(48, 54)를 작동시킨다. 이 인플레이터(48, 54)의 작동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46, 52)이 착좌 탑승자(P)의 측방에서 팽창 전개된다.
이어서 탑승자 보호 ECU(204)는, 단계 S28로 진행하여, 프리 텐셔너 기구(158A)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랩 벨트(156, 164)가 착좌 탑승자(P)의 요부에 장착되고, 당해 착좌 탑승자(P)는, 랩 벨트(156, 164)에 의해 차량용 시트(100)에 구속된다. 이어서, 탑승자 보호 ECU(204)는, 단계 S30으로 진행하여, 인플레이터(15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랩 바(124)에 수용되어 있던 전면 충돌 에어백(152)이 스티어링 휠(SW)[인스트러먼트 패널(IP)]과 착좌 탑승자(P)의 상체의 사이에서 전개된다.
여기서, 도 2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 충돌시의 착좌 탑승자(P)의 거동은, 충돌 초기부터, 차량 전방이고 또한 차폭 방향의 충돌측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차량용 시트(200)에서는, 착좌 탑승자(P)의 거동에 맞추어, 충돌 초기에 착좌 탑승자(P)가 전면 충돌 에어백(152)에 대하여 차폭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제어를 행한다. 즉, 탑승자 보호 ECU(204)는, 프리 텐셔너 기구(158A), 인플레이터(150)에 선행하여, 텐션 크로스(26) 및 인플레이터(48, 54)를 작동시킨다.
더 구체적으로는, 우선 MGG(22)를 작동하여 텐션 크로스(26)를 전개시킨 후, 인플레이터(48, 54)를 작동하여 텐션 크로스(26)를 따라 충돌측의 사이드 에어백(46, 52)을 팽창 전개시킨다. 이것에 의해, 착좌 탑승자(P)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충돌측으로 이동이 억제된다. 특히, 자동차(500)의 차폭 방향 중심에 대하여 충돌 측에 위치하는 차량용 시트(200)의 착좌 탑승자(P)에 대해서는, 측방(사이드 도어까지)의 스페이스가 작기 때문에, 텐션 크로스(26) 및 차폭 방향 외측의 사이드 에어백(46)의 선행 전개가 유효하다.
그 후, 프리 텐셔너 기구(158A), 인플레이터(150)를 이 순서로 작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착좌 탑승자(P)는,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충돌측으로의 억제된 적절한 위치에서, 랩 벨트(156, 164)에 의해 요부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충돌측으로의 이동이 억제됨과 함께, 전면 충돌 에어백(152)에 의해 상체의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전면 충돌]
단계 S32에서 탑승자 보호 ECU(204)는, 프리 텐셔너 기구(158A)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랩 벨트(156, 164)가 착좌 탑승자(P)의 요부에 장착되고, 당해 착좌탑승자(P)는, 랩 벨트(156, 164)에 의해 차량용 시트(200)에 구속된다. 이어서, 탑승자 보호 ECU(204)는, 단계 S34로 진행하여, 인플레이터(15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랩 바(124)에 수용되어 있던 전면 충돌 에어백(152)이 스티어링 휠(SW)[(인스트러먼트 패널(IP)]과 착좌 탑승자(P)의 상체의 사이에서 전개된다.
이와 같이, 착좌 탑승자(P)의 거동이 주로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되는 전면 충돌시에는, MGG(22) 및 사이드 에어백용의 인플레이터(48, 54)를 작동시키지 않고, 구속 장치(202)로 착좌 탑승자(P)의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정리]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200)에서는, 적용된 자동차(500)의 충돌 형태에 따라, MGG(22), 인플레이터(48, 54), 프리 텐셔너 기구(158A), 및 인플레이터(150)의 작동 타이밍(작동 순서)이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착좌 탑승자(P)를 각종 형태의 충돌에 대하여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시트(300)에 대해서, 도 27∼도 2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5 형태의 구성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 도시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차량용 시트(300)는, 차량용 시트(200)와 마찬가지로, 메카니즘적으로는 차량용 시트(10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용 시트(300)는, 제어 장치로서의 탑승자 보호 ECU(304)를 구비하고 있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탑승자 보호 ECU(304)는, 복수의 충돌 센서(가속도 센서)(20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복수의 충돌 센서(206)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적용된 자동차(500)에 대한 미세 랩 충돌, 경사 충돌, 전면 충돌을 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ECU(304)는, 1개 또는 복수의 프리 크래시 센서(30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당해 프리 크래시 센서(302)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적용된 자동차(500)에 대한 미세 랩 충돌, 경사 충돌, 전면 충돌을 예측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탑승자 보호 ECU(304)에 의한 제어에 대해서, 도 28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제6 실시 형태의 작용과 더불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량용 시트(300)의 착좌 탑승자(P)에 대하여 랩 디바이스(120)가 사용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 구성의 차량용 시트(300)에서는, 탑승자 보호 ECU(304)는, 프리 크래시 센서(30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단계 S50에서, 적용된 자동차(500)의 전방으로부터의 충돌(측면 충돌 등을 제외하는 형태의 충돌)이 예측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부정 판단의 경우에는, 원래로 돌아간다. 한편, 단계 S50에서 긍정 판단의 경우, 단계 S52로 진행하여, 프리 크래시 센서(30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충돌 형태가 미세 랩 충돌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긍정 판단의 경우에는 단계 S54로 진행하고, 부정 판단의 경우에는 단계 S64로 진행한다.
단계 S54∼단계 S62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미세 랩 충돌에 대응한 제어가 행하여진다. 또, 단계 S64에서 탑승자 보호 ECU(304)는, 프리 크래시 센서(302)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충돌 형태가 경사 충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긍정 판단의 경우에는 단계 S66으로 진행하고, 부정 판단의 경우에는 단계 S76으로 진행한다. 단계 S66∼단계 S74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경사 충돌에 대응한 제어가 행하여진다. 또, 단계 S76∼단계 S80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전면 충돌에 대응한 제어가 행하여진다.
[미세 랩 충돌]
단계 S54에서 탑승자 보호 ECU(304)는, 프리 텐셔너 기구(158A)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랩 벨트(156, 164)가 착좌 탑승자(P)의 요부에 장착되어, 당해 착좌 탑승자(P)는, 랩 벨트(156, 164)에 의해 차량용 시트(300)에 구속된다. 이어서 탑승자 보호 ECU(304)는, 단계 S56으로 진행하여, MGG(22)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팝업 바(18)가 저장 위치로부터 팝업 위치로 이행하여, 텐션 크로스(26)가 착좌 탑승자(P)의 측방에서 전개된다.
이어서 탑승자 보호 ECU(304)는, 단계 S58로 진행하여, 각 충돌 센서(206)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미세 랩 충돌이 생긴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부정 판단의 경우는 원래로 돌아가고, 긍정 판단의 경우에는 단계 S60으로 진행된다. 또한, 단계 S52에서의 미세 랩 충돌의 예측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해도 단계 S58이 긍정 판단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충돌이 회피되었다고 하여 제어를 종료(다른 제어로 이행)해도 된다.
단계 S60에서 탑승자 보호 ECU(304)는 인플레이터(15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랩 바(124)에 수용되어 있던 전면 충돌 에어백(152)이 스티어링 휠(SW)[인스트러먼트 패널(IP)]과 착좌 탑승자(P)의 상체의 사이에서 전개된다. 이어서 탑승자보호 ECU(304)는, 단계 S62로 진행하여, 인플레이터(48, 54)를 작동시킨다. 또한, 인플레이터(48, 54) 중,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미세 랩 충돌이 생긴 측(우측 또는 좌측)의 인플레이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도 된다. 이 경우, 반충돌측의 사이드 에어백의 전개 필요 여부, 전개 타이밍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인플레이터의 작동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46, 52) 중 적어도 미세 랩 충돌이 생긴 측의 사이드 에어백이 착좌 탑승자(P)의 측방에서 팽창 전개된다. 이하의 설명(그 외의 충돌 형태의 설명을 포함한다)에서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경우, 충돌측인지의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인플레이터(48, 54)라고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차량용 시트(300)에서는, 미세 랩 충돌의 발생에 앞서, 랩 벨트(156, 164)를 착좌 탑승자에 장착시킴과 함께, 텐션 크로스(26)를 착좌 탑승자(P)의 측방에서 전개시킨다. 그리고, 미세 랩 충돌의 검지 후, 당해 미세 랩 충돌시의 착좌 탑승자(P)의 거동에 맞추어, 충돌 초기의 착좌 탑승자(P)의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을 전면 충돌 에어백(152)으로 억제한다. 또한, 충돌 중기에 인플레이터(48, 54)를 작동시킨다. 이 결과, 착좌 탑승자(P)의 차폭 방향의 충돌측으로의 이동이 사이드 에어백(46, 52) 및 텐션 크로스(26)로 억제된다.
[경사 충돌]
단계 S66에서 탑승자 보호 ECU(304)는, MGG(22)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팝업 바(18)가 저장 위치로부터 팝업 위치로 이행하여, 텐션 크로스(26)가 착좌 탑승자(P)의 측방에서 전개된다. 이어서 탑승자 보호 ECU(304)는, 단계 S68로 진행하여, 프리 텐셔너 기구(158A)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랩 벨트(156, 164)가 착좌 탑승자(P)의 요부에 장착되고, 당해 착좌 탑승자(P)는, 랩 벨트(156, 164)에 의해 차량용 시트(300)에 구속된다.
이어서 탑승자 보호 ECU(304)는, 단계 S70으로 진행하여, 각 충돌 센서(206)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경사 충돌이 생긴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부정 판단의 경우는 원래로 돌아가고, 긍정 판단의 경우에는 단계 S72로 진행한다. 또한, 단계 S64에서의 경사 충돌의 예측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해도 단계 S70이 긍정 판단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충돌이 회피되었다고 하여 제어를 종료(다른 제어로 이행)해도 된다.
단계 S72에서 탑승자 보호 ECU(304)는 인플레이터(48, 54)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사이드 에어백(46, 52)이 착좌 탑승자(P)의 측방에서 팽창 전개된다. 이어서 탑승자 보호 ECU(304)는 단계 S74로 진행하여, 인플레이터(15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랩 바(124)에 수용되어 있던 전면 충돌 에어백(152)이 스티어링휠(SW)[인스트러먼트 패널(IP)]와 착좌 탑승자(P)의 상체의 사이에서 전개된다.
본 차량용 시트(300)에서는, 경사 충돌의 발생에 앞서, 텐션 크로스(26)를 착좌 탑승자(P)의 측방에서 전개시킴과 함께, 랩 벨트(156, 164)를 착좌 탑승자에 장착시킨다. 그리고, 경사 충돌의 검지 후, 당해 경사 충돌시의 착좌 탑승자(P)의 거동에 맞추어, 텐션 크로스(26)를 따라 충돌측의 사이드 에어백(46, 52)을 팽창 전개시켜, 착좌 탑승자(P)의 차폭 방향에 있어서의 충돌측으로 이동을 억제한다. 그 후, 전측 에어백(152)을 팽창 전개시켜, 사이드 에어백(46, 52)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차폭 방향의 적정 위치에 구속된 착좌 탑승자(P)를, 전측 에어백(15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구속한다.
[전면 충돌]
단계 S80에서 탑승자 보호 ECU(304)는, 인플레이터(150)를 작동시켜 전면 충돌 에어백(152)을 스티어링 휠(SW)[인스트러먼트 패널(IP)]과 착좌 탑승자(P)의 상체의 사이에서 전개시킨다. 이 결과, 착좌 탑승자(P)의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정리]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용 시트(300)에서는, 적용된 자동차(500)의 충돌 형태에 따라, MGG(22), 인플레이터(48, 54), 프리 텐셔너 기구(158A), 및 인플레이터(150)의 작동 타이밍(작동 순서)이 제어된다. 이것에 의해, 착좌 탑승자(P)를 각종 형태의 충돌에 대하여 적절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제5, 제6 실시 형태에서는, 탑승자 보호 ECU(204, 304)가 피제어 요소 MGG(22), 인플레이터(48, 54), 프리 텐셔너 기구(158A), 및 인플레이터(150)의 작동 개시 타이밍의 전후를 제어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텐션 크로스(26), 사이드 에어백(46, 52), 랩 벨트(156, 164), 전면 충돌 에어백(152)의 전개, 장착 등에 요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각 피제어 요소의 작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즉, 탑승자 보호 ECU(204)가, 미세 랩 충돌 및 경사 충돌의 경우의 텐션 크로스(26)의 전개, 사이드 에어백(46, 54)의 전개, 랩 벨트(156, 164)의 장착, 전면 충돌 에어백(152)의 전개의 완료 순서를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미세 랩 충돌에 대해서는, 랩 벨트(156, 164)의 장착, 전면 충돌 에어백(152)의 전개, 텐션 크로스(26)의 전개, 사이드 에어백(46, 54)의 전개의 순서로 완료되는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 경사 충돌에 대해서는, 텐션 크로스(26)의 전개, 사이드 에어백(46, 54)의 전개, 랩 벨트(156, 164)의 장착, 전면 충돌 에어백(152)의 전개의 순서로 완료되는 제어를 행해도 된다. 또, 탑승자 보호 ECU(204, 304)는, 적용된 자동차(500)의 다른 탑승자 구속 장치(에어백 장치 등)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탑승자 보호 ECU(204, 304)는, 상기 각 피제어 요소의 충돌 형태에 따른 작동 순서가 유지되어 있으면 되고, 다른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타이밍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제5, 제6 실시 형태에서는, 탑승자 보호 ECU(204, 304)가, 미세 랩 충돌, 경사 충돌, 전면 충돌의 각 경우에 따른 제어를 행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탑승자 보호 ECU(204, 304)는, 미세 랩 충돌 및 경사 충돌의 적어도 일방에 따른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면 된다.
또, 제5, 제6 실시 형태에서는, 구속 장치(202)가, 차량용 시트(200, 300)에 설치된 랩 디바이스(120),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146), 시트 벨트 장치(155)를 주요부로 하여 구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속 장치(202)가, 일반적인 3점식의 시트 벨트 장치인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인스트러먼트 패널(IP)이나 스티어링 휠(SW)에 설치된 전면 충돌용 에어백 장치와, 3점식 안전벨트 장치의 프리 텐셔너를, 제5, 제6 실시 형태의 타이밍으로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러한 제어 장치와,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와, 3점식 시트 벨트 장치와, 차량용 시트(10, 40, 60)로, 탑승자 보호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용 시트(10, 40, 60, 100, 200, 300)가 좌우의 텐션 크로스(26, 62)를 구비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텐션 크로스(26, 62)가 차폭 방향 외측[니어(near)측]에만 설치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 예를 들면, 텐션 크로스(26, 62)가 차폭 방향 내측[파(Far) 측]에만 설치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차폭 방향 외측에 텐션 크로스(26, 62)가 설치되지 않는 구성에서는, 니어 사이드 에어백 장치(42), 또는 차체나 도어에 설치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나 커튼 에어백 장치 등으로 착좌 탑승자(P)를 측면 충돌로부터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제2, 제3(및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용 시트[40, 60(100, 200, 300)]가 니어 사이드 에어백 장치(42),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44)를 모두 구비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니어 사이드 에어백 장치(42),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44)의 어느 일방만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니어 사이드 에어백 장치(42)를 갖지 않는 구성에서는, 차체나 도어에 설치된 사이드 에어백 장치나 커튼 에어백 장치 등으로 착좌 탑승자(P)를 측면 충돌로부터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 예로서, 텐션 크로스(26, 62)를 구비하지 않고, 헤드부 보호 챔버(46B)가 바 본체(18A)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니어 사이드 에어백 장치(42)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마찬가지로, 텐션 크로스(26, 62)를 구비하지 않고, 헤드부 보호 챔버(52B)가 바 본체(18A)에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44)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이들의 구성에 의해서도, 사이드 에어백(46, 52)의 팽창 전개 전에 팝업 바(18)의 팝업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사이드 에어백(46, 52)을 시트백(14)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어, 단시간으로의 적정 전개에 기여한다.
그 외,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변경하여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차량용 시트 11: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
12: 시트 쿠션 14: 시트백
14A: 시트백 프레임 16: 헤드레스트
18: 팝업 바(가동 지지 부재) 18B: 슬라이더(피안내부)
20: 가이드 파이프(안내부) 22: MGG(액츄에이터)
26: 텐션 크로스(측방 전개 부재) 30: 측면 충돌 ECU(제어 장치)
40·60·100·200·300: 차량용 시트
41·61·101: 차량용 탑승자 구속 장치
42: 니어 사이드 에어백 장치(사이드 에어백 장치)
44: 파 사이드 에어백 장치(사이드 에어백 장치)
46: 니어 사이드 에어백 46B: 헤드부 보호 챔버
46C: 요부 보호 챔버 50: 링 형상 부재
52: 파 사이드 에어백 52B: 헤드부 보호 챔버
52C: 복부 보호 챔버 56: 측면 충돌 ECU(제어 장치)
62: 텐션 크로스(측방 전개 부재) 62C: 돌출부
64: 테어 심 120: 랩 디바이스(구속 장치)
146: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구속 장치)
155: 시트 벨트 장치(구속 장치) 156, 164: 랩 벨트
158A: 프리 텐셔너 기구(프리 텐셔너)
202: 구속 장치
204, 304: 탑승자 보호 ECU(제어 장치)

Claims (19)

  1. 시트백에 대하여 차량 상방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지지체와,
    작동됨으로써, 상기 가동 지지체를 상기 시트백에 대하여 차량 상방으로 변위시키는 액츄에이터와,
    상단측이 상기 가동 지지체에 접속됨과 함께 하단측이 시트 쿠션의 전단측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시트 쿠션의 측부로부터 시트백의 측부에 걸쳐 수용되며, 상기 가동 지지체가 상기 시트백에 대하여 차량 상방으로 변위함으로써, 당해 가동 지지체와의 접속부와 상기 시트 쿠션과의 접속부의 사이에 장력이 작용하도록 전개되는 측방 전개 부재와,
    차량의 충돌을 검지하거나 또는 예측한 경우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전개 부재는, 차량 후단측이 상기 시트백의 프레임에 접속된 면 형상의 직물재 또는 메시재로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에 수용되며, 차량의 충돌을 검지하거나 또는 예측한 경우에 상기 측방 전개 부재와 착좌 탑승자의 적어도 흉부 및 견부와의 사이에서 팽창 전개되는 사이드 에어백을 포함하는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더 구비한 차량용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상기 착좌 탑승자의 헤드부를 구속하는 헤드부 보호 챔버를 가지는 차량용 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보호 챔버는, 상기 시트백으로의 수용 상태에서 상기 가동 지지체에 접속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상기 시트백의 프레임에 접속된 하부와, 상기 헤드부보호 챔버에 있어서 상기 가동 지지체에 접속된 부분을 포함하는 상부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접힘과 함께,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의 부분이 차량 상하 방향으로 접혀 있고,
    상기 사이드 에어백에 있어서의 상기 차량 상하 방향으로의 접힘 부위에는, 상기 프레임 및 가동 지지체의 적어도 일방을 삽입 통과시켜, 당해 프레임 및 가동지지체와의 상하 방향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면서 전후 방향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링 형상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 전개 부재는, 전개 상태에서 상기 가동 지지체와의 접속부와, 상기 시트 쿠션과의 접속부를 연결하는 직선보다 차량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헤드부 보호 챔버는, 팽창 전개 상태에서 전단측이 되는 부분이 상기 돌출부에 접속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보호 챔버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전단측이 되는 부분과 상기 돌출부는, 당해 헤드부 보호 챔버의 팽창 전개 완료시에 분리되도록 접속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보호 챔버의 팽창 전개 상태에서 전단측이 되는 부분과 상기 돌출부는, 테어 심으로 접속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10.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폭 방향의 양측에 상기 측방 전개 부재 및 사이드 에어백이 설치되어 있고,
    차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착좌 탑승자의 요부를 구속하는 요부 보호 챔버를 가지고,
    차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착좌 탑승자의 복부를 구속하는 복부 보호 챔버를 가지는 차량용 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 보호 챔버 및 상기 복부 보호 챔버의 적어도 일방은, 차폭 방향의 동일한 측에 배치된 상기 측방 전개 부재에 있어서의 차량 상하 방향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12.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됨으로써, 상기 착좌 탑승자의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이 억제 되도록 당해 착좌 탑승자를 구속하는 구속 장치와,
    차량의 미세 랩 충돌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구속 장치, 충돌측의 상기 액츄에이터 및 충돌측의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대하여, 당해 구속 장치, 충돌측의 상기 액츄에이터, 충돌측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의 순서로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한 차량용 시트.
  13.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됨으로써, 상기 착좌 탑승자의 차량 전방으로의 이동이 억제되도록 당해 착좌 탑승자를 구속하는 구속 장치와,
    차량의 경사 충돌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구속 장치, 충돌측의 상기 액츄에이터 및 충돌측의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에 대하여, 당해 충돌측의 액츄에이터, 충돌측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상기 구속 장치의 순서로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한 차량용 시트.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장치는,
    상기 시트 쿠션 또는 시트백의 옆쪽 가장자리부를 따라 저장되는 저장 위치와, 상기 착좌 탑승자의 복부에 대하여 차량 전측으로 이간되면서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사용 위치를 취할 수 있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에 설치되고, 가스 공급을 받아 상기 착좌 탑승자의 상체와 당해 착좌 탑승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차량 구조물의 사이에서 전면 충돌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와,
    상기 가동체에 유지되고, 소정값 이상의 장력을 받은 경우에 상기 가동체로부터 상기 착좌 탑승자의 요부 측으로 이탈되는 랩 벨트와,
    상기 랩 벨트에 상기 소정값 이상의 장력을 부여하면서 당해 랩 벨트를 끌어 들이는 프리 텐셔너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구속 장치를 작동시킬 때, 상기 가동체가 상기 사용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프리 텐셔너 및 상기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에 대하여 당해 프리 텐셔너,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의 순서로 작동시키는 차량용 시트.
  15.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 또는 시트백의 옆쪽 가장자리부를 따라 저장되는 저장 위치와, 상기 착좌 탑승자의 복부에 대하여 차량 전측으로 이간되면서 차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사용 위치를 취할 수 있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에 설치되고, 가스 공급을 받아 상기 착좌 탑승자의 상체와 당해 착좌 탑승자의 전방에 위치하는 차량 구조물의 사이에서 전면 충돌 에어백을 전개시키는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와,
    상기 가동체에 유지되고, 소정값 이상의 장력을 받은 경우에 상기 가동체로부터 상기 착좌 탑승자의 요부측으로 이탈되는 랩 벨트와,
    상기 랩 벨트에 상기 소정값 이상의 장력을 부여하면서 당해 랩 벨트를 끌어 들이는 프리 텐셔너와,
    차량의 미세 랩 충돌 및 경사 충돌의 어느 것을 예측한 경우에, 상기 프리 텐셔너 및 충돌측의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차량의 미세 랩 충돌 및 경사 충돌의 어느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전면 충돌 에어백 장치 및 충돌 측의 상기 사이드 에어백 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한 차량용 시트.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가동 지지체를 상기 시트백 상에 설치된 헤드레스트의 상단보다 차량 상방으로 변위시키는 차량용 시트.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가동 지지체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측방 전개 부재와의 접속부를, 상기 시트백 상에 설치된 헤드레스트의 상단보다 차량 상방으로 변위시키는 차량용 시트.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지지체는, 측면에서 보아 차량 후방으로 볼록해지는 원호 형상을 이루는 피안내부를 가지고,
    상기 시트백에는, 상기 가동 지지체를 상기 피안내부에 있어서 안내하는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 및 피안내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한 상방으로의 변위 후의 상기 가동 지지체가, 당해 변위전보다 차량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차량용 시트.
KR1020147011194A 2011-12-28 2012-12-25 차량용 시트 KR101595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90099 2011-12-28
JP2011290099 2011-12-28
PCT/JP2012/083535 WO2013099888A1 (ja) 2011-12-28 2012-12-25 車両用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436A true KR20140079436A (ko) 2014-06-26
KR101595416B1 KR101595416B1 (ko) 2016-02-18

Family

ID=48697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194A KR101595416B1 (ko) 2011-12-28 2012-12-25 차량용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38425B2 (ko)
EP (1) EP2799291B1 (ko)
JP (1) JP5664800B2 (ko)
KR (1) KR101595416B1 (ko)
CN (1) CN104039603B (ko)
WO (1) WO2013099888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014A (ko) * 2014-09-08 2017-03-31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승차인 구속 장치
KR20200001121A (ko) * 2018-06-27 2020-01-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
KR20210018064A (ko) * 2019-08-07 2021-02-1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장치
KR20210119763A (ko) * 2020-03-25 2021-10-0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US11338759B2 (en) * 2019-08-09 2022-05-24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941A1 (en) * 2012-02-28 2013-09-06 Ag-Tech Industries Limited A flexible impact protection
JP5594327B2 (ja) 2012-07-10 2014-09-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999061B2 (ja) * 2013-10-01 2016-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座席搭載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JP6007213B2 (ja) * 2014-08-06 2016-10-1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6191574B2 (ja) * 2014-10-10 2017-09-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333931B1 (en) * 2015-01-28 2016-05-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enger protection system
JP6278006B2 (ja) * 2015-07-13 2018-0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EP3329472B1 (en) 2015-07-29 2021-09-15 Assa Abloy Ab Based on motion of device, perform or limit features
CN105235625B (zh) * 2015-08-24 2018-05-15 泉州永春双石机械有限公司 一种含有v型伞的汽车副驾驶装置
JP6380340B2 (ja) * 2015-11-12 2018-08-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6309552B2 (ja) * 2016-01-07 2018-04-1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6631369B2 (ja) 2016-04-04 2020-0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6565776B2 (ja) * 2016-04-13 2019-08-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6455483B2 (ja) * 2016-05-19 2019-01-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6561942B2 (ja) * 2016-08-22 2019-08-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CN107489730B (zh) * 2016-08-23 2020-03-24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碰撞吸能盒、车辆及调节碰撞吸能盒刚度的方法
JP6493354B2 (ja) * 2016-10-13 2019-04-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乗員拘束装置
US10023146B2 (en) 2016-11-10 2018-07-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ssembly including airbag
DE102017115095B4 (de) * 2017-07-06 2019-07-04 Autoliv Development Ab Kraftfahrzeug und Gassackmodul
US10336278B2 (en) * 2017-07-14 2019-07-02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harness assemblies
US10625704B2 (en) * 2017-09-01 2020-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ncluding inflatable assembly supported by seat
DE102017218338A1 (de) * 2017-10-13 2019-04-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irbag-anordnung für einen fahrzeugsitz eines kraftfahrzeugs
WO2019107073A1 (ja) * 2017-11-30 2019-06-06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拘束装置
EP3718834B1 (en) * 2017-11-30 2022-04-13 Autoliv Development AB Passenger restraint device
CN108216108A (zh) * 2018-02-02 2018-06-29 锦州锦恒汽车安全系统股份有限公司 远端乘员保护安全气囊装置及安装结构
JP6762328B2 (ja) * 2018-02-14 2020-09-30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乗員拘束装置
US20190275974A1 (en) * 2018-03-12 2019-09-12 Lear Corporation Occupant protection systems for a vehicle seat
US10926733B2 (en) * 2018-03-12 2021-02-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including inflatable assembly supported by seat
JP6750643B2 (ja) * 2018-03-22 2020-09-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構造
US10710539B2 (en) * 2018-03-23 2020-07-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ack-mounted restraint system
JP6670510B2 (ja) * 2018-03-30 2020-03-25 株式会社Subaru 車両の乗員保護装置
KR102064844B1 (ko) * 2018-06-07 2020-01-10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US10632952B2 (en) 2018-06-08 2020-04-28 Honda Motor Co., Ltd. Semi-rigid deployable shoulder and pelvis restraint system
KR102556814B1 (ko) * 2018-07-19 2023-07-1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승차인 구속 장치
CN110843718A (zh) 2018-07-30 2020-02-28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
DE102018123209A1 (de) * 2018-09-20 2020-03-26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Sicherheitsgurtanordnungen für ein Kraftfahrzeug
US11091113B2 (en) * 2018-09-24 2021-08-17 Zoox, Inc. Vehicle side airbag
JP7115183B2 (ja) * 2018-09-26 2022-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乗員保護構造
WO2020075625A1 (ja) * 2018-10-09 2020-04-16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JP7099933B2 (ja) * 2018-11-01 2022-07-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7103166B2 (ja) * 2018-11-02 2022-07-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US10807551B2 (en) * 2018-11-13 2020-10-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with deployable panel
JP7138591B2 (ja) * 2019-03-12 2022-09-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7165095B2 (ja) 2019-03-29 2022-11-02 株式会社Subaru 乗員保護装置
JP7283943B2 (ja) * 2019-03-29 2023-05-30 株式会社Subaru 乗員保護装置
KR102596501B1 (ko) 2019-04-24 2023-11-0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장치
DE102019206439B4 (de) * 2019-05-06 2021-11-11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DE102019115150A1 (de) * 2019-06-05 2020-12-10 Trw Automotive Gmbh Seitengassack,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mit einem sitzintegrierten Gassackmodul sowie Fahrzeugsitz mit einem sitzintegrierten Gassackmodul
DE102019118032B4 (de) * 2019-07-04 2023-10-0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itz und Luftfahrzeug
JP7050723B2 (ja) * 2019-07-10 2022-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1312325B2 (en) * 2019-07-11 2022-04-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supported airbag
WO2021059766A1 (ja) * 2019-09-23 2021-04-0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US11027683B1 (en) * 2019-12-04 2021-06-08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related methods
JP2021130377A (ja) * 2020-02-19 2021-09-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S2855149A1 (es) * 2020-03-23 2021-09-23 Esparza Mikel Azcona Dispositivo vertical y envolvente para la retencion del pasajero
KR20220000255A (ko) * 2020-06-25 2022-0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백 지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33105A (ko) * 2020-09-09 2022-03-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위블 시트의 에어백 지지 장치
JP7445572B2 (ja) 2020-09-25 2024-03-07 株式会社Subaru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2022108526A (ja) * 2021-01-13 2022-07-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22110958A (ja) * 2021-01-19 2022-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11383667B1 (en) * 2021-05-25 2022-07-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assembly
KR20230021311A (ko) * 2021-08-05 2023-02-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모빌리티의 에어백 장치
CN113733997A (zh) * 2021-08-17 2021-12-03 盐城同环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具备防冲击功能的汽车座椅
JP2023068526A (ja) * 2021-11-02 2023-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JP2023068527A (ja) * 2021-11-02 2023-05-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US11975643B2 (en) * 2022-04-21 2024-05-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at upper arm supports
US11975670B1 (en) * 2023-03-30 2024-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armrest with translatable and pivotable bar and airbag
US11975671B1 (en) * 2023-04-27 2024-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bag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1271B2 (ja) * 1996-07-12 1999-10-12 ダイムラー−ベンツ・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座席付き自動車における衝撃防護装置
JP2008174082A (ja) * 2007-01-18 2008-07-31 Toyota Motor Corp 後突用乗員頭部保護装置
KR20100089661A (ko) * 2009-02-04 2010-08-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레스트의 자동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2702A (en) * 1963-01-24 1965-03-09 Rose Mfg Company Safety head rest
US4592523A (en) * 1984-09-28 1986-06-03 The Boeing Company Ejection seat restraint system for limbs and head
US5415366A (en) * 1994-02-28 1995-05-16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Arm restraint
SE9402877L (sv) * 1994-08-30 1996-05-15 Autosafe Automobile I Stockhol Anordning för att motverka pisksnärtskador
US5474329A (en) * 1994-09-13 1995-12-12 Wade; Wanda E. Pet retainer
US6315245B1 (en) * 2000-03-14 2001-11-13 Martin-Baker Aircraft Company, Limited Ejection seat with blast protection system
JP2003220921A (ja) 2002-01-30 2003-08-05 Honda Motor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3950356B2 (ja) * 2002-03-29 2007-08-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206291B2 (ja) * 2002-07-08 2009-01-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DE10258245A1 (de) * 2002-12-13 2004-06-24 Volkswagen Ag Sicherheitseinrichtung, insbesondere zum Schutz von Kindern in einem Kraftfahrzeug
US20040245813A1 (en) * 2003-06-05 2004-12-09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pparatus with actuatable tether for resisting rearward pivotal movement of a backrest portion of a seat
CN100368232C (zh) * 2004-09-07 2008-02-13 廖光华 汽车乘员保护装置
US7240915B2 (en) * 2004-12-03 2007-07-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ing system with airbag-based occupant reaction surface
JP4810822B2 (ja) * 2004-12-09 2011-11-0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JP2007008194A (ja) * 2005-06-28 2007-01-18 Nissan Motor Co Ltd 乗員保護装置、自動車および乗員保護方法
US20070018442A1 (en) * 2005-07-22 2007-01-25 Kwok Ming Y Vehicle driver and passenger restraining device
JP2008126857A (ja) * 2006-11-21 2008-06-05 Toyota Motor Corp 車両用乗員保護装置
US8016350B2 (en) * 2007-04-19 2011-09-13 Dellanno Ronald P Vehicle seat for reducing the risk of spinal and head injuries of personnel in combat vehicles
JP2008302804A (ja) * 2007-06-07 2008-12-18 Takata Corp 乗員拘束装置
JP5109517B2 (ja) * 2007-07-24 2012-12-2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4894803B2 (ja) 2008-03-28 2012-03-14 豊田合成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2009280089A (ja) 2008-05-22 2009-12-03 Autoliv Development Ab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座席
JP2010137762A (ja) 2008-12-12 2010-06-24 Toyota Motor Corp 車両用乗員保護装置
CN102470818B (zh) 2009-08-03 2014-03-12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侧面安全气囊装置
ITVR20100042A1 (it) * 2010-03-09 2011-09-10 Dainese Spa Assieme di copertura per un sedile e sedile adatto per una protezione di un utilizzatore.
JP5594327B2 (ja) * 2012-07-10 2014-09-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5776648B2 (ja) * 2012-08-10 2015-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5594340B2 (ja) * 2012-09-05 2014-09-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安全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1271B2 (ja) * 1996-07-12 1999-10-12 ダイムラー−ベンツ・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座席付き自動車における衝撃防護装置
JP2008174082A (ja) * 2007-01-18 2008-07-31 Toyota Motor Corp 後突用乗員頭部保護装置
KR20100089661A (ko) * 2009-02-04 2010-08-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레스트의 자동조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014A (ko) * 2014-09-08 2017-03-31 오토리브 디벨로프먼트 에이비 승차인 구속 장치
KR20200001121A (ko) * 2018-06-27 2020-01-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율주행차량용 보호장치
KR20210018064A (ko) * 2019-08-07 2021-02-1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장치
US11338759B2 (en) * 2019-08-09 2022-05-24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 device
KR20210119763A (ko) * 2020-03-25 2021-10-0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3099888A1 (ja) 2015-05-07
WO2013099888A1 (ja) 2013-07-04
KR101595416B1 (ko) 2016-02-18
EP2799291A4 (en) 2015-06-03
US20140300088A1 (en) 2014-10-09
EP2799291B1 (en) 2016-11-02
EP2799291A1 (en) 2014-11-05
JP5664800B2 (ja) 2015-02-04
CN104039603B (zh) 2017-02-15
CN104039603A (zh) 2014-09-10
US9238425B2 (en) 201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416B1 (ko) 차량용 시트
JP5799841B2 (ja) 車両用シート
US9919673B2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8899619B2 (en) Vehicle seat
JP5776648B2 (ja) 乗員保護装置
US9132798B2 (en) Seat-mounted airbag apparatus and vehicle seat
EP1987991B1 (en) Air belt device for vehicle
JP6426553B2 (ja) 乗員保護装置
JP5796552B2 (ja) 車両用シート
JP5664585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8161966A (ja) 乗員保護装置
JP6517662B2 (ja) 乗員保護装置
JP5776519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JP2010143422A (ja) 側面衝突用頭部拘束装置
JP6964569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22068737A (ja) 車両用側突エアバッグシステム
EP3838689B1 (en) Side airbag device
JP5672222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JP7294298B2 (ja) 乗員保護装置
CN114454842B (zh) 车辆用侧面碰撞安全气囊系统
JP5742769B2 (ja) 車両用シート
JP2018161967A (ja) 乗員保護装置
JP5692058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JP6426554B2 (ja) 乗員保護装置
JP2023010442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