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7532A - 전두유 제조 방법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두유 제조 방법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7532A
KR20110027532A KR1020100020370A KR20100020370A KR20110027532A KR 20110027532 A KR20110027532 A KR 20110027532A KR 1020100020370 A KR1020100020370 A KR 1020100020370A KR 20100020370 A KR20100020370 A KR 20100020370A KR 20110027532 A KR20110027532 A KR 20110027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mixing
beans
milk
soyb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164B1 (ko
Inventor
종 해 김
김토미와이
Original Assignee
종 해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 해 김 filed Critical 종 해 김
Publication of KR20110027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23C11/103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containing only proteins from pulses, oilseeds or nuts, e.g. nut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30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 A23L11/31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by heating without chemical treatment, e.g. steam treatment,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60Drinks from legumes, e.g. lupine drinks
    • A23L11/65Soy drin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Dairy Product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콩을 콩껍질과 함께 가열챔버(CHAMBER)에서 가열하여 살균하고 콩의 녹말을 수용성 덱스트린(DEXTRIN)으로 변형시킨 후, 초미세 분말로 분쇄하여 전두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콩의 녹말을 덱스트린으로 변하게 하면 소화력이 향상되고, 콩 고유의 비린 맛이나 풀냄새나 이취(STINK)가 제거되어 맛과 풍미가 탁월하며 우유처럼 부드러운 전두유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콩의 껍질까지 모두 사용하므로 기존의 두유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껍질과 비지) 문제를 해소하고 두유의 수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검정콩 껍질에 함유된 양질의 항암성분을 이용하는 검정콩 전두유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두유 제조 방법과 시스템{The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whole soybean milk.}
본 발명은 콩을 껍질체 가열챔버(CHAMBER)에서 전자적으로 가열하거나, 외부가열수단으로 로스팅하거나 또는 고압 가열챔버에서 가열하여 팽화시키는 방법으로 콩을 살균하고 콩의 녹말을 수용성 덱스트린으로 변경시킨후 콩껍질까지 나노급 초미세분말로 분쇄하여 전두유를 제조하는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두유제조방법은 콩을 선별 세척한 후 열수나 상온수에서 수침하여 콩의 껍질을 제거한 후, 불린 생콩을 가열 분쇄하여 압착 착즙하는 방법으로 두유를 제조해 왔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은 콩껍질과 원료대두 중량비 약 3분지 1정도가 부산물인 비지로 폐기되고, 이때 콩에 포함되어 있는 섬유질, 무기질 등의 영양성분이 비지형태로 폐기되어 왔다.
이러한 영양성분의 유실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효소를 이용하여 비지의 고형물을 회수하는 방법(한국특허 공고 제1994-002528호), 복합효소로 비지를 분해처리하는 방법(한국특허 공개 2001-41120호)등이 제시되어 왔으나, 저가의 두유생산에 고가의 효소를 투입하는 것은 비경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고, 비지를 효소처리하더라도 콩의 비린맛과 악취가 소멸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콩을 선별하여 침지시키는 단계에서 콩껍질과 불순물을 제거하고 침지된 콩을 기계적으로 마쇄한 다음 가열하면서 유화제를 혼합하여 초고압으로 균질화 시켜 두유를 제조하는 방법(일본공개 소59-210861)과, 마쇄한 다음 가열하면서 다단계로 초고압 압착하여 비지까지 함께 균질화 시켜 두유를 제조하는 방법(한국특허등록 제10-0822165호)이 제시되었으나, 이 방법은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비지로 인하여 기존 두유에 비하여 소화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며 콩껍질을 제거함으로서 콩껍질에 함유된 양질의 단백질, 지방, 식이섬유 등을 이용하지 못하고 폐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검정콩의 표피인 껍질에서는 글리시테인(GLYCITEIN)이라는 양질의 항암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콩껍질까지 섭취하는 것이 건강증진을 위하여 효과적인 방법이나 기존의 두유제조공정은 이를(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 없으므로) 모두 폐기해 왔다.
또한 생콩을 분쇄하여 콩가루를 만들고 이를 물에 녹여 끓이는 방식의 순두부 제조방법(공개번호 10-2005-0068463)이 제시되었으나 이 방식은 가열시 콩죽이 타거나 여과(필터링)에 어려움이 있었고, 두유상태에서 콩의 녹말 성분으로 인하여 응고되어 두유를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이 생콩을 분쇄하여 가열하면서 착즙하는 기존의 두유 제조방법은 모두 콩과 껍질에 함유된 녹말성분으로 인하여 소화가 잘 되지 않고 모두 콩고유의 비린맛과 풀냄새, 이취등이 소멸되지 아니하여 소비자가 선호하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콩을 정선, 세척 건조한후 가열챔버(CHAMBER)에서 전자적으로 가열하거나 외부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고온으로 살균하고 콩의 녹말을 수용성 덱스트린(DEXTRIN)으로 변형시킨후 콩껍질까지 함께 나노급으로 미세분쇄하여 전두유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로서 전두유의 소화력을 향상시키며 콩고유의 비린맛이나 풀냄새나 이취를 완벽하게 제거하여 고소한 맛을 증가 시킨 전두유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검정콩의 껍질까지 이용하는 두유 제조기술의 개발로 검정콩 껍질에 함유된 항암성분(GLYCITEIN)을 두유에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콩의 입자를 나노급으로 미세분쇄하므로 천연 우유처럼 부드러운 대체 우유를 제조하며 향취와 향미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우유와 이유식이나 아이스크림, 요구르트 등 유가공품의 우유를 전두유로 대치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콩에 대한 정선, 세척과정을 통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가열챔버(CHAMBER)내에서 고열로 콩에 기생하는 세균을 완벽하게 박멸케함으로서 장시간의 침전과정에서 세균이 번식하던 문제를 해소하고 고가의 살균장치가 불필요한 전두유 제조 시스템으로 구성한다.
또한 가열 챔브에서 콩을 160이상 가열하여 녹말을 수용성 덱스트린(DEXTRIN)으로 변형시킴으로서 콩과 콩 껍질의 녹말성분으로 인한 전두유의 소화 장애 문제를 해소하고 콩의 비린맛, 풀냄새, 이취를 완벽하게 제거하여 더욱 고소하고 맛있는 전두유 제조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제조공정에서 액체상태의 콩즙을 끊이거나 급속 냉각시키는 등의 공정은 불필요하게 되어 전두유 제조공정을 단순화 시켜 전두유 제조 설비의 코스트를 획기적으로 절감시킨다.
또한, 비지발생이 없을 뿐만 아니라 콩의 껍질까지 이용하므로 수율이 크게 증가되어 두유제조산업에서 경쟁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콩껍질에 함유된 양질의 식이섬유와 항암성분을 모두 이용하므로 두유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두유의 콩 입자를 우유 입자 수준으로 초미세 분쇄함으로서 우유와 식감이 동일한 대체 우유(DAILY ALTERNATIVES)를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우유를 이용하는 다양한 유가공품에서 우유를 전두유로 대치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콩을 가열챔버(CHAMBER)에서 고온으로 가열하여 콩의 녹말을 수용성 덱스트린(DEXTRIN)으로 변형시킴으로서 콩이나 콩껍질로 인한 소화 장애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온으로 가열하는 단계에서 콩에 기생하는 세균을 완벽하게 박멸하므로 고가의 살균공정이 불필요하고 따라서 제조 설비 시스템을 단순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챔버에서 고온으로 가열한후 상온으로 출토시켜 팽화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콩의 형질이 변형되어 비린맛, 풀냄새, 이취등이 사라지므로 더욱 고소하고 맛있는 두유가 탄생된다.
뿐만 아니라 콩껍질까지 이용하므로 비지등의 폐기물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수율이 기존의 두유 제조 공정에 비하여 40%이상 향상되므로 가격 경쟁력이 있다.
또한 끊이고 냉각시키는 공정이나 비지를 다단계에서 압착하는 초고압 미세균질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전두유 제조 프로세서가 간단하고 전두유 제조 설비의 코스트를 크게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검정콩의 껍질에서만 발견되는 항암물질(Glycitein)을 버리지 않고 취식하며, 콩껍질에 함유된 양질의 식이섬유까지 이용할 수 있게 되어 검정콩 전두유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콩을 나노분체기로 초미세 분쇄하여 정수와 고속 교반하여 균질화시키면 마시는 촉감이 천연 우유와 동일하게 부드러운 두유를 얻게 된다. 이로서 천연 우유에 함유된 젖소의 성장촉진제나 항생제로 인하여 우유나 우유이유식을 기피하는 계층을 위한 식물성 대체 우유를 제공한다.
또한, 콩을 나노 분체기로 초미세 분말로 분쇄하게 되면 식품분자의 향미와 향취를 유지하는 분자결합이 변형되어 콩 고유의 향취와 향미가 사라지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천연과즙이나 기능성 소재의 액기스를 혼합하여 균질화시킬시 콩의 영양성분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새로운 웰빙형 음료가 탄생하여 제3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전두유 생산 공정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 제3의 음료를 제조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전두유 생산 공정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 제3의 음료를 제조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1에 의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콩에서 불순물이나 썩은 콩이나 이물질을 골라내는 정선수단(101)과, 정선된 콩을 물이나 수증기나 공기로 세척하여 건조시키는 세척수단(102)과, 세척된 콩을 가열하여 1차 살균하고 콩과 콩껍질에 함유된 녹말 성분을 수용성 덱스트린(DEXTRIN)으로 형질 변경시키는 가열 챔버(103)와, 가열챔버를 160이상 가열하는 가열수단(104)과, 가열챔버에서 상온으로 출토시킨 콩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미세 분쇄수단(106)과, 미세하게 분체된 콩분말과 살균된 정수를 혼합하는 혼합수단(107)과, 두유상태로 혼합된 콩즙을 균질화 시키는 균질장치(110)와, 균질된 전두유를 2차 살균하는 살균장치(111)와, 살균된 전두유를 포장기(113)에 충진하는 충진수단(112)으로 구성된다.
위의 시스템에서 가열챔버는 로타리식 회전 챔버로 구성함으로서 외부에서 가열하더라도 내용물이 타지 않는 것이고 챔버의 압력과 가열온도를 챔버의 용량과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가열챔버를 밀패된 고압의 챔버로 구성하고 외부 가열수단으로 160이상 가열하여 챔버내의 압력을 고압 상태로 만든 후 상온으로 출토시켜 팽화시키는 팽창부(105)을 구성할 시, 콩의 녹말 형질 변경뿐만 아니라 콩을 다공질로 변형시키고 콩 고유의 비린맛이나 풀냄새, 이취 등이 제거되고, 고소한 맛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챔버를 산업용 전자렌지로 구성하여 전자파로 콩을 160이상 가열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의 구성에서 혼합수단(107)을 고속 교반장치로 구성하고, 콩의 분말과 정수와 함께 다양한 혼합제의 미세분말이나 혼합제의 액즙을 혼합하면 다양한 맛과 효능을 구현하는 복합 음료로 탄생하는 것이다.
위의 구성에서 미세분쇄수단(106)은 가열로 콩의 녹말성분이 수용성 덱스트린으로 변형된 콩을 두유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나노 입자로 분쇄하는 나노분체장치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에서 전두유(콩과 콩껍질까지 이용하는 콩 100% 두유)를 제조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도2에 의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콩(201)에서 불순물을 골라내고 정선하는 선별기(202)를 거처 콩을 물이나 수증기나 공기로 세척하여 건조시키는 세척단계(203)와, 세척한 콩을 가열챔버(204)에 넣어 외부의 가열수단으로 160이상의 고열로 1차 살균하고 콩의 녹말을 수용성 덱스트린으로 변형시키는 형질 변형단계(205)와, 형질변형된 콩을 1,000나노급이하의 입자로 미세분쇄하는 미세분쇄단계(207)와, 미세하게 분쇄된 콩의 분말에 멸균된 정수를 혼합하여 고속으로 혼합하는 혼합단계(210)와, 혼합단계를 거처 두유상태로 된 콩즙을 균질수단으로 균질화 시키는 균질단계(212)와, 균질화된 두유를 2차 살균(214)하여 포장수단(215)에 충진시키는 충진단계(213)로 구성된다.
위의 단계에서 콩의 형질변형은 가열챔버에서 외부가열수단으로 콩을 160이상의 고온으로 로스팅하거나, 가열챔버를 회전식 고압 가열챔버로 구성하여 콩을 고압으로 가열하여 상온으로 출토시켜 팽화시키는 방법으로 콩을 다공질화 시키거나, 또는 산업용 전자렌지 등의 수단으로 콩을 전자적으로 160이상 가열하여 콩의 녹말을 수용성 덱스트린으로 변형시킨 후 분쇄하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위의 단계에서 참깨, 들깨 다른 곡물을 혼합코저하면 이를 정선하여 세척한후, 건조된 곡물을 가열챔버에 넣어 가열함으로서 멸균효과와 녹말이 수용성 덱스트린으로 변형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고 이를 미세분쇄하여 그 분말을 혼합하면 다양한 전두유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과일향의 전두유를 제조코자 하면 과일을 건조시켜 분쇄한 후 혼합하거나 또는 혼합단계에서 과즙의 농축액을 혼합시킴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과일향 전두유(예컨대 오렌지전두유, 레몬전두유, 체리전두유)를 제조할 수 있다.
브로콜리, 녹차, 인삼, 홍삼, 매실, 키토산 김내마산 등의 기능성 추출물의 액기스나 또는 이를 나노급으로 분쇄한 분말을 혼합한다면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전두유(예컨대 브로콜리전두유, 녹차전두유, 인삼전두유, 홍삼전두유, 매실전두유 등)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냉동 건조한 커피나 초코렛의 분말이나 액형커피나 초코렛을 혼합단계에서 혼합하면, 커피 전두유나 초코렛 전두유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고, 다양한 비타민을 혼합할 시, 비타민 전두유(예컨대, 비타C전두유, 비타D전두유, 멀티비타 전두유등)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로서 타블렛 상태로 섭취하던 기존의 비타민을 두유와 혼합하여 마시는 비타민으로 비타민의 취식 패턴을 다양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직장인을 위한 아침식사대용식 전두유를 제조코자 하면, 1끼 아침식사에 필요한 탄수화물과 비타민을 혼합단계에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도3은 본 발명 시스템으로 과일이나 초코렛이나, 커피나, 곡물이나, 야채나, 인삼, 녹차, 키토산 등의 다양한 기능성 혼합제를 건조하여 40나노이하의 입자로 분쇄한 후 멸균한 정수와 함께 고속으로 혼합시킴으로서 나노급으로 분쇄된 콩 입자와 혼합제의 입자간에 부분적인 분자 결합을 일으켜 제3의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3에 의하는 바와 같이, 먼저 선별수단과 세척수단을 거쳐 건조된 콩(301)을 가열챔버(302)에서 160이상 가열하여 멸균하고 콩의 녹말성분을 수용성 덱스트린으로 변경시킨다.
가열챔버는 전자적으로 가열하는 전자렌지 방식이나, 외부의 고열로 콩을 로스팅 하는 방식이나 또는 콩을 고압챔버에서 가열한 후, 상온으로 출토시켜 팽화시키는 방식 중에서 선택 구성한다.
콩에 대한 가열온도는 가열방식에 따라 상이하나 고압챔버 방식은 225에서, 전자렌지나 로스팅 가열방식은 160이상으로 가열하면 콩의 녹말 성분이 물에 잘 용해되고 점성이 낮은 덱스트린으로 분해된다.
위와 같이 가열하여 녹말의 형질을 변경시키고 풀냄새등 이취를 제거한 콩을 나노급 분체수단(303)으로 40나노급이하의 분말로 분쇄한다.
위의 분말에 혼합할 과실이나 곡물이나 야채나, 인삼, 녹차, 브로콜리 등의 기능성 식물중에서 선택된 혼합제(301)는 건조시킨 후 나노급 분체수단(314)으로 40나노급이하의 입자분말로 분쇄한다.
위와 같이 나노급으로 분쇄된 분말을 제조하고자 하는 음료수의 종류와 맛에 따라 설정된 비율에 따라 콩의 나노입자(304)와 혼합제의 나노입자(314)와 정수(305)를 혼합수단(306)에서 고속교반수단에 의하여 혼합한다.
위와 같이 혼합된 콩입자와 혼합제의 나노급 분말의 입자가 혼합단계에서 일부의 입자간에 부분적으로 분자결합이 생기게 되고, 분자 결합되지 아니한 부분과 합하여 새로운 제3의 맛을 내는 음료가 생성되는 것이다.
혼합하고자 하는 재료의 특성에 따라 나노 분체기수단(303, 313)에서 분체비율을 조절하여 최적의 분말입자를 얻게 되는 것이고, 용도와 맛에 따라 분체입자의 크기를(몇 나노급으로 설정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혼합제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다양한 입자로 분쇄한 분자급 혼합제의 입자와 콩분말 입자와 정수를 혼합함으로서 다양한 향취와 영양성분을 함유하는 제3의 음료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위의 공정에서 비타민이나 커피나 초코렛 등의 향미제를 혼합코자 할 시에나, 또는 인삼, 녹차, 키토산 등의 기능성 재료를 혼합코자 할 시 추출한 고형물을 40 나노급이하로 분쇄하여 혼합함으로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4는 콩을 이용하여 제3의 음료를 제조하는 또다른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콩 녹말은 160~170의 고온으로 가열하면 수용성 덱스트린으로 변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도4에 의하는 바와 같이 콩(401)을 가열챔버(402)에서 전자적으로 가열하거나 외부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로스팅 시키거나 또는 가열챔버를 고압 가열챔버로 구성하여 콩을 가열하여 팽화시키면 콩에 기생하는 세균이 고열로 멸균되고 콩의 녹말성분이 수용성 덱스트린으로 변형된다.
위와 같이 변형된 콩을 나노 분체기(403)로 콩 고유의 향취와 향미가 상실될 때까지 초미세 분쇄한다.
모든 식물은 일반적으로 초미세 분쇄할 시 향미와 향기를 유지하는 고분자 복합체(MOLECULARLY IMPRINTED POLYMERS)가 쪼개어 지고 쪼개어진 나노 입자는 무향무취의 입자로 변한다.
관능검사에서 콩의 경우 20나노이하로 쪼개게 되면 향미와 향기가 소멸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므로, 제조하고자 하는 음료에 따라 콩 고유의 향미와 향기를 얼마만큼 유지할 것인지에 따라 콩의 나노 분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초미세 분쇄된 콩 분말에 멸균된 정수(405)를 혼합하여 고속교반수단(409)으로 믹싱하게 되면 무향무취의 전두유즙이 생성된다.
위와 같이 생성된 무향무취의 전두유즙에 제조하고자 하는 음료의 종류에 따라 망고, 바나나, 파인애플, 포도, 체리, 블루베리, 레몬, 오렌지, 파파야, 등의 과일즙(농축액)을 혼합하여 고속 교반수단(409)으로 2차 믹싱하여 균질화 시키는 단계(410)을 거치면 두유 고유의 맛이나 냄새가 전혀 없으면서도 콩 고유의 영양성분을 함유한 제3의 음료(과일주스)가 탄생하는 것이다.
제3의 음료를 제조코자하는 향미와 향취와 영양 설계에 따라 다양한 비율로 혼합한다. 두유의 향취와 향미를 가미코자 하면, 콩을 초미세 분쇄하는 나노분체기(403)에서 분체율을 조절하여 향미와 향취를 상실하지 않도록 쪼개는 방법이나, 또는 2차 혼합단계에서 향취와 향미를 상실하지 아니한 두유를 혼합함으로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위의 방법으로 제조된 무향무취의 두유에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식용 향신료나 식용색소나 기능성 식용소재를 첨가하여 고속 교반할 시 제3 음료의 종류를 다양화 시킬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을 제공한다.
인삼액기스나 녹차 미세 분말이나 녹차 농축액으로 기능성 식용소재를 구성하여 혼합할 시 콩의 다양한 영양 성분을 함유한 제3의 인삼이나 녹차의 드링크가 탄생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전두유를 제조할 시, 전두유의 콩입자가 40나노급 이하의 초미세 입자가 되어 천연 우유처럼 부드러운 전두유가 될 뿐만 아니라 식용 향신료로 향미와 향취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천연 우유를 대치하는 인공우유가 탄생되는 것이고, 이를 이용하는 다양한 이유식이나 아이스크림 등의 빙과류 등의 유가공품을 제조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콩이라 함은 대두, 소두, 완두, 잠두, 녹두, 팥, 검정콩(서리태, 서목태), 리마빈, 이집트빈 등의 소이빈(soybean)을 모두 포함하여 통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콩 뿐만 아니라 다른 곡물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실시예1)
대두를 정선, 건조한 후 고압 가열챔버에 넣고 회전함으로서 외부가열수단 로스팅하여 225내외의 온도를 가하여 1.1MPa압력상태에서 상온으로 출토시키게 되면 팽화하면서 대두가 다공질이 되고 녹말이 덱스트린으로 변형되었다. 위와 같이 변형된 대두를 나노 분쇄기로 40나노급으로 분쇄한 후 멸균된 정수를 고속 교반장치로 혼합한 후, 균질장치로 균질화하여 우유처럼 부드럽고 풀냄새나 이치가 없고 기존의 두유보다 더욱 고소한 맛의 전두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2)
대두를 정선, 건조한 후 회전챔버에 넣고 회전하면서 외부 가열수단으로 160~170로 로스팅한 후 상온으로 출토시킨 후 나노 분쇄기로 30나노급으로 분쇄하였다.
정수와 고속 교반장치로 혼합할 때 두유 고유의 콩맛이나 냄새가 사라진 무취 무향의 두유를 얻을 수 있었고 마시는 촉감이 우유처럼 부드러워 관능적으로 우유와 구별할 수 없는 인조 우유가 탄생되었다.
(실시예3)
위 실시예에서 생산된 두유에 오렌지 농축액을 용량비 25%로 고속 믹서로 혼합하였다. 그 결과 우유와 오렌지주스를 칵테일 한 것과 같이 부드러운 오렌지 두유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4)
위 실시예 1에서 생산된 두유에 40나노급으로 분쇄한 키토산 분말을 중량비 5% 비율로 희석시켜 고속 믹서 장치로 혼합하였다. 두유맛에 전혀 영향이 없는 부드러운 키토산 전두유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5)
위 실시예1에서 생산된 두유에 40나노급으로 분쇄한 녹차 분말을 중량비 3% 비율로 고속믹서 장치로 혼합하였다. 녹차향이 있는 연한 녹색의 두유를 얻을 수 있었고 마시는 촉감은 우유와 비슷하게 부드러웠다.
(실시예6)
대두를 정선, 건초한 후 고압 가열챔버에서 225의 온도에서 1.1MPa압력상태에서 상온으로 출토시켜 팽화한 대두를 20나노급 입자로 분쇄하고, 정수와 혼합한 전두유즙을 제조한후 오렌지 농축액을 중량비 25% 혼합하여 고속 교반하였다. 그 결과 두유맛이 상실된 오렌지 향의 새로운 음료가 탄생되었다.
1. 본 발명의 공정으로 제조된 전두유에 응고제(염화염, 황산염, GDL등)를 첨가하여 순두부, 또는 두부를 제조할 수 있고, 이 경우 본발명 고압열처리로 녹말이 덱스트린으로 변형된 것이므로 소화력이 향상된 순두부나 두부가 된다. 특히, 비지까지 이용하므로 폐기물의 발생이 없고 순두부나 두부의 제조코스트가 기존방식에 비하여 40%이상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2. 탄산음료가 어린이 건강에 해롭다는 이유로 학교에서 판매금지된 상태이므로 본 발명의 제조공법으로 다양한 과일향이나 초코렛향의 전두유를 제조할시, 탄산음료를 대치하는 새로운 건강음료산업에 이용할 수 있다.
3. 또한, 현대는 웰빙을 추구하는 시대이므로 젖소에 대한 성장촉진제와 항생제가 우유를 통하여 인체에 흡수된다는 문제점으로 우유에 대한 거부감이 있고, 본 발명의 공정으로 제조한 두유는 촉감이 우유와 같이 부드러우므로 향후 천연 우유나, 우유 이유식 등의 다양한 유제품을 본 발명의 전두유로 대치할 수 있는 기술과 방법을 제공하므로 우유대치산업에 이용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공정으로 비타민 두유를 제조할 시, 매일 먹기 힘든 타블렛 비타민을 마시는 두유비타민으로 대치할 수 있게 되어 비타민 산업에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을 제공한다.
5. 고열로 녹말을 덱스트린으로 변형시킨 대두의 극미세분말에 인삼, 녹차 등 기능성 소재를 건조하여 나노급으로 분쇄하여 고속 교반하므로서 각 재료간의 일부에서 분자결합을 일으켜 식품분자의 향미와 향기를 유지하는 나노플리머 구조가 변형되므로 제3의 기능성 음료를 개발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기능성 웰빙음료 산업에 이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을 제공한다.
6. 본 발명의 공정으로 콩을 초미세분쇄하여 20나노이하에서 정수와 고속 교반하여 전두유를 제조할시 콩 고유의 향미와 향취가 무미 무취 상태가 되므로, 위와 같이 콩 맛이 사라진 전두유에 다양한 과일의 농축액이나 향신료를 혼합할 시, 콩의 영양성분을 함유한 새로운 음료가 탄생하게 되므로 대체 우유등의 새로운 음료산업에 이용할 수 있다.
7. 본 발명의 공정으로 우유를 대치하는 우유맛 두유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한 다양한 이유식이나 아이스크림이나 샤베트나 요쿠르트 등의 유가공산업이나 빙과류산업에 이용할 수 있다.
[도1]
101: 정선수단
102: 세척 및 건조수단
103: 가열챔버(CHAMBER)
104: 가열수단
105: 팽창부
106: 미세분쇄수단
107: 혼합수단
108: 정수공급기
109: 첨가제공급기
110: 균질장치
111: 살균장치
112: 충진수단
113: 포장기
[도2]
201: 콩
202: 선별
203: 세척 및 건조단계
204: 회전식 가열챔버(CHAMBER)
205: 녹말형질변환단계
206: 팽화단계
207: 미세분쇄단계
208: 미세분쇄수단
209: 정수
210: 혼합단계
211: 혼합제
212: 균질화단계
213: 충진단계
214: 살균장치
215: 포장수단
[도3]
301: 콩
302: 가열챔버
303: 나노분체수단
304: 대두 나노입자
305: 정수공급
306: 혼합수단
307: 균질수단
308: 살균수단
309: 충진단계
310: 포장단계
311: 혼합제
312: 건조
313: 나노분체수단
314: 혼합제 나노입자
[도4]
401: 콩
402: 가열챔버
403: 나노 분체단계
404: 콩 나노 입자
405: 정수
406: 1차 혼합단계
407: 전두유즙
408: 과실농축액
409: 2차 혼합단계
410: 균질화단계
412: 충진단계
413: 포장단계
414: 살균단계

Claims (14)

  1. 콩과 콩 껍질까지 100%의 콩을 이용하는 전두유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콩을 정선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세척 건조하는 단계와,
    (2) 세척 건조한 콩을 가열챔버에서 전자적으로 가열하거나 외부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콩을 1차 살균하고 콩에 함유된 녹말을 덱스트린으로 변형시키는 단계와,
    (3) 녹말의 형질이 덱스트린으로 변형된 콩을 나노분체기로 초미세 분쇄하는 단계와,
    (4) 초미세 분쇄된 콩의 분말에 멸균상태의 정수를 고속 교반장치에 의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5) 혼합된 위 액형 전두유의 즙을 균질수단으로 균질화 하는 단계와,
    (6) 균질화된 전두유를 2차 살균하여 포장수단에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두유 제조 방법
  2. 청구항1에 있어서,
    가열챔버를 회전식 고압챔버로 구성하여 콩을 고압챔버에서 160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와, 고압챔버에서 가열된 콩을 상온으로 출토시켜 팽화시키는 단계로 콩의 형질을 다공질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두유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과일이나, 커피나 코코아 등의 향신제나, 인삼 녹차 등의 기능성 식용소재나, 참깨 들깨 보리 등의 곡물 중에서 선택된 재료를 건조시켜 나노분체기로 초미세 분쇄한 후 혼합단계에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두유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망고, 파파야, 바나나, 파인애플, 포도, 레몬, 오렌지 등의 과일중에서 선택된 과일의 농축액을 혼합단계에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두유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비타민, 식이섬유, 불포화지방산, 김네마산, 키토산, 칼슘, 타우린, 레시틴, 알킨산 등의 기능성 소재나 향신료 중에서 선택된 소재의 나노급 초미세 분말이나 액기스를 혼합제로 하여 혼합단계에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두유 제조 방법
  6. 콩과 콩껍질까지 100%의 콩을 사용하여 전두유를 생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1) 콩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정선된 콩을 물이나 증기나 공기로 세척하여 건조시키는 세척수단과,
    (2) 세척 건조된 콩을 가열하여 1차 살균하고 콩에 함유된 녹말성분을 수용성 덱스트린으로 변형시키는 가열챔버와,
    (3) 녹말이 덱스트린으로 바뀐 콩을 초미세입자로 분쇄하는 나노분체기수단과,
    (4) 분쇄된 콩 분말과 살균된 정수를 고속으로 혼합하는 고속 교반수단과,
    (5) 혼합된 전두유즙을 균질화 시키는 균질수단과,
    (6) 균질화 된 전두유를 2차 살균하여 포장기에 충진하는 충진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두유 제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가열챔버를 회전식 로타리 고압챔버(CHAMBER)로 구성하고 외부 가열수단으로 가열된 콩을 상온으로 출토시켜 팽화시키는 방법으로 콩을 다공질화 시키고 콩의 녹말성분을 수용성 덱스트린(DEXTRIN)으로 변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두유 제조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가열챔버를 전자식 렌지로 구성하여 전자파로 가열하여 콩의 녹말을 덱스트린으로 변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두유 제조 시스템
  9. 콩을 이용하여 제3의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정선하여 세척, 건조시킨 콩을 가열챔버에서 전자적으로 가열하거나, 외부의 가열수단으로 로스팅하거나, 또는 고압 가열 챔버에서 가열하여 팽화시키는 등의 방법에서 선택된 방법으로 콩을 고열로 살균하고 콩의 녹말을 수용성 덱스트린으로 변형시키는 형질변경단계와,
    (2) 살균되고 형질 변경된 콩을 40 나노급 이하 입자로 초미세 분쇄하는 단계와,
    (3) 과일이나 야채나 곡물이나 약재 등에서 선택된 혼합제를 건조시켜 40나노급 이하의 입자로 초미세 분쇄하는 단계와,
    (4) 40나노급 이하의 입자로 초미세 분쇄된 콩 분말입자와 혼합제의 분말입자와 살균된 정수를 고속 교반수단으로 혼합하는 혼합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40나노급이하의 분말 입자간의 분자결합으로 제3의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콩분말입자와 정수를 1차 혼합한후 과일이나 야채등에서 선택된 농축즙을 첨가한후 2차 혼합하여 균질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의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1. 콩을 이용하여 제3의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정선하여 세척, 건조시킨 콩을 가열챔버에서 전자적으로 가열하거나 외부 가열수단으로 로스팅하거나 또는 고압 가열챔버에서 가열하여 팽화시키는 방법에서 선택된 방법으로 콩을 1차 살균하고 콩의 녹말성분을 수용성 덱스트린으로 변형시키는 단계와,
    (2) 형질변경된 콩을 콩 고유의 향미와 향취를 상실할 때까지 나노분체기 수단으로 초미세 분쇄하는 단계와,
    (3) 초미세 분쇄된 콩 분말과 멸균한 정수를 고속 교반수단으로 1차 믹싱하여 무향 무취한 전두유즙을 제조하는 단계와,
    (4) 무향 무취한 전두유즙에 과일이나 야채 등에서 선택된 재료의 농축액을 고속 교반수단으로 2차 혼합하는 단계와,
    (5) 믹싱된 혼합물을 균질수단으로 균질화 시키고 2차 살균하여 충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3의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과일이나 야채나 기능성 소재 중에서 선택된 혼합제를 액화시켜 2차 혼합단계에서 혼합하는 방법으로 제3의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콩의 나노 분말 입자와 정수로 1차 혼합한 다음, 유화제나 효소나 향신료나 식용색소나 약재의 액기스 중에서 선택된 소재를 2차 혼합하여 균질화 시키는 방법으로 제3의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14. 청구항11에 있어서,
    콩의 나노입자와 정수로 1차 혼합한 다음 우유맛 향신료를 첨가하여 2차 혼합하여 균질화 시키는 방법으로 우유를 대치하는 제3의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00020370A 2009-09-09 2010-03-08 전두유 제조 방법과 시스템 KR101145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114 2009-09-09
KR20090085114 2009-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532A true KR20110027532A (ko) 2011-03-16
KR101145164B1 KR101145164B1 (ko) 2012-05-11

Family

ID=4373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370A KR101145164B1 (ko) 2009-09-09 2010-03-08 전두유 제조 방법과 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518464B2 (ko)
EP (1) EP2471374A4 (ko)
JP (1) JP5686383B2 (ko)
KR (1) KR101145164B1 (ko)
CN (1) CN102655758B (ko)
AU (1) AU2010293308A1 (ko)
BR (1) BR112012005021A2 (ko)
CA (1) CA2774017A1 (ko)
EA (1) EA201290129A1 (ko)
IN (1) IN2012DN02478A (ko)
MX (1) MX2012002837A (ko)
MY (1) MY156994A (ko)
WO (1) WO2011030988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962B1 (ko) * 2012-08-23 2014-06-10 농업회사법인(주)장수채 나노 땅콩나물 분말을 포함하는 유제품의 제조방법
KR101576093B1 (ko) * 2015-06-09 2015-12-21 (주)다정 체내흡수율을 극대화한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입자
KR20170031270A (ko) * 2015-09-10 2017-03-21 (주)자로커피 검은 콩의 영양 성분 및 기능성 성분 추출 방법
WO2018012804A1 (ko) * 2016-07-11 2018-01-18 김종해 식물성 대체우유 제조 방법과 시스템
KR20180043423A (ko) * 2016-10-19 2018-04-30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전주 풍산태의 로스팅 공법을 이용한 이소플라본 및 항산화 활성의 기능성이 증진된 두유제품 개발
KR20240000669A (ko) 2022-06-23 2024-01-03 와이큐 주식회사 서리태 두유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0359A (zh) * 2012-09-10 2013-01-09 广东省农业科学院农业生物技术研究所 一种黑色谷物乳及其稳态化制备方法
KR101409967B1 (ko) * 2012-09-19 2014-06-20 한미메디케어(주) 보관 안정성이 개선된 전두유의 제조방법
CN103109936B (zh) * 2013-01-18 2014-03-12 祖名豆制品股份有限公司 香蕉豆乳及其加工工艺
JP6325795B2 (ja) * 2013-02-15 2018-05-16 ポッカサッポロフード&ビバレッジ株式会社 容器詰紅茶飲料
US9615595B2 (en) 2013-03-05 2017-04-11 Mera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asteless homogenized soybean beverage production
AU2014302735B2 (en) 2013-06-27 2016-12-15 Starbucks Corporation D/B/A Starbucks Coffee Company Biopreservation methods for beverages and other foods
KR101529902B1 (ko) * 2013-07-08 2015-06-18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녹두로부터의 비텍신(vitexin) 및 이소비텍신(isovitexin) 추출방법
KR101651633B1 (ko) * 2013-11-25 2016-08-29 농업회사법인 제주콩산업(주) 나물용 콩을 이용한 두유 제조방법
CN103815044A (zh) * 2014-02-12 2014-05-28 合肥康龄养生科技有限公司 一种松花粉保健豆浆及其制备方法
KR101571963B1 (ko) 2014-02-28 2015-11-26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척1호콩을 포함하는 검은콩 전두유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66136A (ko) 2014-12-02 2016-06-10 주식회사 이롬 비탈피의 대두를 사용한 전두유의 제조방법
JP6122172B1 (ja) * 2016-03-23 2017-04-26 キッコーマンソイフーズ株式会社 青臭みが抑制された豆乳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90175680A1 (en) * 2016-09-07 2019-06-13 Nanosmart Fruit, Llc Compositions comprising nanoparticles derived from whole fruit
CN106578786A (zh) * 2016-10-27 2017-04-26 贵州省贝真食业有限公司 一种植物功能性养生调理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615497A (zh) * 2016-12-05 2017-05-10 张洪霞 咖啡豆奶饮料及其制备方法
WO2020127358A1 (en) * 2018-12-20 2020-06-25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Vegan food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KR102086807B1 (ko) 2019-10-30 2020-03-09 (주)서울에프엔비 섬유소 함량을 증가시켜 분산성을 개선한 통두유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9107B2 (ja) * 1977-03-19 1984-09-20 雪印乳業株式会社 豆乳の製造法
JPS59210861A (ja) 1983-05-17 1984-11-29 World Food Kk 豆腐類または豆乳利用食品用全粒豆乳の製造方法
JPS6078552A (ja) * 1983-10-04 1985-05-04 Kaneshiro Tsusho Kk 無臭豆乳の製造法
JPS60141247A (ja) * 1983-12-27 1985-07-26 Asahi Denka Kogyo Kk 全粒豆乳の製造方法
JPS62166859A (ja) * 1986-01-17 1987-07-23 Seikenshiya:Kk 乳状または粉状の無臭加糖煉豆乳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S6324868A (ja) * 1986-07-17 1988-02-02 Asahi Chem Ind Co Ltd 濃厚豆乳の製造法
CN1019733B (zh) * 1990-10-12 1992-12-30 长春市粮食科学研究设计所 速溶绿豆晶的制造方法
KR940002528B1 (ko) 1991-08-13 1994-03-25 주식회사 정·식품 두유 또는 두부 비지로부터 두유를 제조하는 방법
EP0582782B1 (en) 1992-07-21 1995-11-22 Smc Kabushiki Kaisha Rodless cylinder
KR0182829B1 (ko) 1996-03-04 1999-03-20 이진우 전지활성 생대두미세분말의 제조방법
KR970064422U (ko) * 1996-05-01 1997-12-11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플립 힌지장치
US6582739B1 (en) 1998-02-20 2003-06-24 Sawa Industrial Co., Ltd. Processes for producing functional okara milks and functional tofus
JP2000102357A (ja) * 1998-09-29 2000-04-11 Jiinasu:Kk 全粒大豆を用いた大豆加工食品およびその製法
KR20000031285A (ko) 1998-11-03 2000-06-05 황경진 전지활성 생콩 미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455452B1 (ko) 2001-07-04 2004-11-09 소이젠주식회사 생대두를 원적외선 전자파 건조방법을 이용한 고순도의기능성 전지활성 생대두 미세분말의 제조방법
JP4723160B2 (ja) * 2002-06-17 2011-07-13 株式会社ポッカコーポレーション 豆乳様飲料または食品の製造方法
JP3752200B2 (ja) * 2002-07-03 2006-03-08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大豆の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CN1442070A (zh) * 2003-01-08 2003-09-17 (株)引特抒宜杰 高功能性全脂活性生大豆微细粉末的制造设备
KR100550276B1 (ko) 2003-12-30 2006-02-08 주식회사농심 콩가루를 이용한 순두부의 제조 방법
JP2005270066A (ja) * 2004-03-26 2005-10-06 Oubiken:Kk 豆乳及びその加工食品
EP1588711A1 (en) * 2004-04-21 2005-10-26 AOL Corporation Composition trapping radicals in organism
KR100822165B1 (ko) 2004-12-17 2008-04-16 한미에프티 주식회사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방법
WO2006109991A1 (en) 2005-04-12 2006-10-19 Daesang Fnf Corporation A manufacturing method of whole soybean milk and soybean curd
KR20060108091A (ko) * 2005-04-12 2006-10-17 주식회사 두산 전두유 및 두부의 제조방법
KR20070019265A (ko) * 2005-08-12 2007-02-15 한미에프티 주식회사 대두피 및 비지성분을 함유하는 고섬유질 대두식품 및 이의제조방법
KR100577768B1 (ko) 2005-10-28 2006-05-10 주식회사 부성분체 전지활성 생콩 미세분말의 제조시스템 및 방법과 생콩 미세분말을 이용한 전두부의 제조시스템 및 그 방법
TW200740376A (en) * 2006-04-26 2007-11-01 Brasfanta Ind E Com Ltda A processing method of bean
KR100941224B1 (ko) * 2007-12-13 2010-02-10 경기도 파주시 콩 분말이 함유된 콩차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224026A (zh) * 2008-01-03 2008-07-23 温书太 一种车前子饮料的制备方法
KR20080097963A (ko) 2008-06-27 2008-11-06 문경화 생콩의 미세분말을 이용한 전두유 및 전두부 제조시스템 및제조방법
KR101026470B1 (ko) 2008-07-17 2011-04-01 이인숙 연근(蓮根) 가공식품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962B1 (ko) * 2012-08-23 2014-06-10 농업회사법인(주)장수채 나노 땅콩나물 분말을 포함하는 유제품의 제조방법
KR101576093B1 (ko) * 2015-06-09 2015-12-21 (주)다정 체내흡수율을 극대화한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입자
KR20170031270A (ko) * 2015-09-10 2017-03-21 (주)자로커피 검은 콩의 영양 성분 및 기능성 성분 추출 방법
WO2018012804A1 (ko) * 2016-07-11 2018-01-18 김종해 식물성 대체우유 제조 방법과 시스템
KR20180043423A (ko) * 2016-10-19 2018-04-30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전주 풍산태의 로스팅 공법을 이용한 이소플라본 및 항산화 활성의 기능성이 증진된 두유제품 개발
KR20240000669A (ko) 2022-06-23 2024-01-03 와이큐 주식회사 서리태 두유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686383B2 (ja) 2015-03-18
CN102655758A (zh) 2012-09-05
CA2774017A1 (en) 2011-03-17
BR112012005021A2 (pt) 2020-06-09
US20120183645A1 (en) 2012-07-19
KR101145164B1 (ko) 2012-05-11
US8518464B2 (en) 2013-08-27
MY156994A (en) 2016-04-15
AU2010293308A1 (en) 2012-03-29
EA201290129A1 (ru) 2013-01-30
WO2011030988A1 (ko) 2011-03-17
EP2471374A1 (en) 2012-07-04
CN102655758B (zh) 2014-11-19
IN2012DN02478A (ko) 2015-08-21
EP2471374A4 (en) 2015-04-01
JP2013514759A (ja) 2013-05-02
MX2012002837A (es)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164B1 (ko) 전두유 제조 방법과 시스템
JP2009514522A (ja) 高繊維大豆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23778A (ko) 대두의 다단계 초고압 균질화를 통한 전성분 두유 및두부의 제조방법
JP2019527035A (ja) 植物性代替牛乳製造の方法とシステム(System & method for making vegetable alternative milk)
JP2009273412A (ja) 紅色の機能性豆乳ヨーグルト
CN101904361A (zh) 豆腐的液化、以液化豆腐为基料的饮料食品及制备方法
KR101589250B1 (ko) 노루궁뎅이버섯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41427A (ko) 커피원두 100%를 이용하는 그린커피제조방법과 관련 시스템
CN110959688A (zh) 一种蛋白纤维奶昔粉及其制备方法
RU240739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елково-углеводных продуктов
KR101267959B1 (ko) 구아바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JPS6211068A (ja) 豆乳,豆腐その他豆乳利用食品の製造法
KR101457333B1 (ko) 생대두 미세분말을 이용한 무첨가 무조정 두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첨가 두유
KR101440609B1 (ko) 대두 미세분말을 이용한 무첨가 분말 두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첨가 분말 두유
KR20130010793A (ko) 모시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71432B1 (ko) 식이 섬유가 증가된 저당도 두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6336A (ko) 식혜형 쌀두유의 제조방법
KR101160149B1 (ko) 대두의 초고압 미세화를 통한 전성분 두유 및 두부의 제조 방법
JP3991225B2 (ja) 大豆発酵食品およびその製造法
JP7370615B2 (ja) 植物性タンパク質含有液状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03687A (ko) 천연색상을 구현한 두부와 그 제조방법
KR20120108468A (ko) 커피믹스 제조방법과 시스템
CN108272083A (zh) 一种具有代餐作用的营养餐包
WO2005099481A1 (ja) 加工大豆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127539B1 (en) Method for obtaining a soy and algae-based liquid food product and liquid food product obtain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