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3687A - 천연색상을 구현한 두부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색상을 구현한 두부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3687A
KR20020003687A KR1020000035457A KR20000035457A KR20020003687A KR 20020003687 A KR20020003687 A KR 20020003687A KR 1020000035457 A KR1020000035457 A KR 1020000035457A KR 20000035457 A KR20000035457 A KR 20000035457A KR 20020003687 A KR20020003687 A KR 20020003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fu
juice
soy milk
color
p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좌순
Original Assignee
홍남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남표 filed Critical 홍남표
Priority to KR1020000035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3687A/ko
Publication of KR20020003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368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40Pulse curds
    • A23L11/45Soy bean curds, e.g. tofu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1Retaining or modifying natural colour by use of additives, e.g. optical brigh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4Colou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색상을 구현한 두부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용가능한 식물체의 생즙을 이용하여 천연색상을 구현한 두부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의 절차에 따라 순수두유를 제조한 후, 인간이 식용가능한 특정의 식물체로 부터 생즙을 추출하고, 이들을 부피비율로서 상기의 순수두유 : 상기의 생즙 추출물 = 8 : 1∼6 정도로 혼합시키고, 여기에 통상의 간수를 계속 넣으면서 통상의 절차에 따라 천연색상이 구현된 두부를 얻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간이 식용가능한 식물체 중에서 특정한 식물체를 선택하고, 그 식물체로부터 생즙을 채취한 다음, 상기의 생즙을 사용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두부의 제조방법은 여태껏 어느 누구도 시도하지 못했던 두부의 착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천연색이 구현된 두부는 그 색상이 주는 미감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식욕을 돋구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두부의 소비가 기대된다. 본 발명은 인간이 식용가능한 식물체의 생즙을 순수하게 그대로 이용하고 있으므로, 화학색소에 의한 부작용을 염려할 필요가 전혀 없다.

Description

천연색상을 구현한 두부와 그 제조방법 {A natural colored bean-curd and a method of making thereof}
본 발명은 천연색상을 구현한 두부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용가능한 식물체의 생즙을 이용하여 천연색상을 구현한 두부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두부는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순수 민속 전래식품으로서, 대두 속에 함유된단백질 성분을 추출한 영양식품이고 또한 그 담백한 맛과 고단위의 영양분 때문에 오늘날에도 남녀노소가 즐겨찾는 영양식품이다. 이러한 두부는 순식물성 고단백식품으로서 콜레스테롤을 제거하여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고혈압, 심장병, 당뇨병 등의 성인병 예방에 특히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옛부터 전해져 내려온 두부의 제조방법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 콩을 잘 선별하고 이것을 물에 장시간 불린 다음, 멧돌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불린 콩을 갈아서 액상 두유혼합물을 만들고, 이것을 다시 100℃ 정도의 고온에 넣어 데쳐준다. 그 후, 다시 살짝 데쳐진 액상의 두유혼합물을 미세한 기공이 있는 여과포 자루에 넣고 콩비지와 두유성분으로 분리한다. 이때, 상기의 두유성분에 다시 적정비율의 간수를 넣어 혼합시키면 소정의 순두부가 생성되고, 이것을 다시 미세기공의 여과포(보자기 등)에 넣어 적정 압력으로 가압시키면, 우리들이 통상적으로 접하게 되는 소망하는 두부가 제조되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두부는 일반 가정 등에서 매우 선호하는 보편적인 식물성 고단백 식품이므로, 옛부터 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그 제조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고, 그로 인하여 여러가지 종류의 두부가 개발되어 왔다.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9-73251호(두유를 주원료로 하는 푸딩형 두부의 제조방법), 동 제1999-73284호(토마토 성분을 함유한 두부의 제조방법), 동 제2000-12168호(김치가 첨가된 두부의 제조방법), 동 제2000-68823호(육고기 두부의 제조방법), 동 제2000-20641호(두부 제조용 응고제 및 이를 이용한 두부의 제조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부의 제조방법들 중 어느 것도 통상적이고 보편적으로 식용되고 있는 두부에 천연의 색상을 부여하고자 의도한 것은 발견되지 않았다.
한편, 또다른 두부의 제조방법이 일찌기 개발되어 왔는 바, 이들은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85-1889호(비열처리 두부의 제조방법)와 동 제89-1574호(비열처리 두부의 제조방법) 및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84-1172호(복합 두부의 제조방법)가 여기에 속한다. 이들 중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85-1889호는 대두를 장시간 물에 팽윤시킨 후 마쇄하여 두유를 얻고, 그 두유에 동물성 단백질의 일종인 젤라틴 용액을 첨가하여 응고시킴으로써, 두부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제조방법은 두유혼합물을 끓는 물에 넣어 데치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가열과정에서 파괴되는 대두 속의 각종 무기물질과 비타민 등을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두부를 얻는데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 제조방법에 의할 경우, 필연적으로 대두(콩)가 간직하고 있는 비린내를 피할 수 없으므로,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소량의 식물성 기름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이 제조방법에서는 대두 속의 각종 미네랄과 비타민 등의 성분을 그대로 보존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그 주성분이 되는 대두의 영양성분을 보강해주기 위하여 야채성분의 생즙을 첨가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제조방법에 의할 경우, 대두를 가열처리하지 않으므로 대두(콩) 특유의 비린내를 면할 수 없고, 또한 야채성분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사용하므로 두유 자체가 응고되기 어려우며, 반드시 응고제로서 젤라틴 성분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단점이 있었다. 더구나, 이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두부에 천연색상을 구현시키는 방법에 관해서는 전혀 언급된 바가 없다.
한편, 상기의 특허공고 제89-1574호에서는 대두(콩) 특유의 비린내를 제거하기 위하여 팽윤된 생대두를 끓는 물에서 단시간 데친 다음 급냉하고, 이를 마쇄하여 두유를 얻고, 그 두유에 젤라틴을 첨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제조방법에 의할 경우에도 두유혼합물을 끓는 물에 익히는 것이 아니라, 물에 의해 팽윤된 생대두를 아주 짧은 시간 동안에 살짝 데치는 것이기 때문에, 대두 자체의 고유한 비린내를 피할 수 없으며, 젤라틴을 필수적으로 첨가해야 하는 반면, 두부에 천연색상을 구현시키는 방법에 관해서는 전혀 언급된 바가 없다.
또 한편, 상기의 특허출원 제84-1172호에서는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두유에 무작위로 선정한 과일이나 야채의 생즙 또는 약차류로 부터 추출한 유효성분을 혼합하고, 이들이 서로 응고되어지도록 응고제로서 동물성 단백질의 일종인 젤라틴을 첨가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할 경우에는 무작위적으로 선택한 과일의 생즙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두유와 생즙의 혼합물이 그 자체적으로 응고되지 않으며, 반드시 응고제로서 젤라틴을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해서도 두부에 천연색상을 구현시키는 방법에 관해서는 전혀 언급된 바가 없다.
통상적으로 음식물에 특정의 색상을 가미하기 위해서는 식용가능한 식용색소를 소량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식용색소는 인체에 무해할 것을 요건으로 하지만, 그것이 화학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인공색소의 일종이기 때문에, 그 한계량을 초과하거나 그 성분이 인체내에 계속적으로 축적될 경우에도 인체에 무해하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이에 비하여, 식물체의 엽록소 또는 액포에 저장된 천연색소는 그 식물체가 식용가능한 것인 한 인체에 전혀 해롭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그 추출과정에서 함께 수득된 다종ㆍ다량의 미네랄 성분을 함께 섭취할 수 있는 잇점을 주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식물체의 천연색소는 모든 음식물에 대하여 항상 천연색상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며, 특정 음식물과의 결합성 내지 결착성을 가지는 경우에만 그 음식물에 천연색상을 부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이 모든 음식물에 천연색상을 구현할 수 없는 실제적인 이유이다.
본 발명자는 두부의 직접 생산자로서, 두부에 각종의 색상을 부여할 경우 그 미감이 우수하고 그로 인한 식욕증진의 효과가 기대될 것으로 예상하여, 본 발명의 개발에 착수하였다. 먼저, 본 발명자는 각종의 식용색소를 각종의 방법에 의하여 사용하여 보았으나, 식용색소를 사용할 경우 어떠한 방법에 의할지라도 최종제품인 두부에서 상기의 식용색소가 분리되어 빠져나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없었으므로 인공착색에 실패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통상의 두부 제조공정에 있어서 특정한 식용식물체를 엄격하게 선택한 다음, 그 특정 식물체의 생즙을 특정의 제조공정에 사용할 경우, 두부에 천연색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는 놀라운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용가능한 식물체의 생즙을 이용하여 천연색상을 구현한 천연색 두부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천연색 두부의 디지털 카메라 사진,
도 2는 [실시예 2]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천연색 두부의 디지털 카메라 사진,
도 3은 [실시예 3]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천연색 두부의 디지털 카메라 사진,
도 4는 [실시예 4]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천연색 두부의 디지털 카메라 사진이다.
본 발명은 통상의 절차에 따라 순수두유를 제조한 후, 인간이 식용가능한 특정의 식물체로 부터 생즙을 추출하고, 이들을 부피비율로서 상기의 순수두유 : 상기의 생즙 추출물 = 8 : 1∼6 정도로 혼합시키고, 여기에 통상의 간수를 계속 넣으면서 통상의 절차에 따라 천연색상이 구현된 두부를 얻게 된다. 따라서,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간이 식용가능한 식물체 중에서 특정한 식물체를 선택하고, 그 식물체로부터 생즙을 채취한 다음, 상기의 생즙을 사용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통상의 절차에 따라 순수두유를 제조한다. 먼저, 콩알이 굵고 고른 대두를 선별하여 깨끗한 물로 수세한 다음, 상기의 대두를 물에 충분히 침지시켜 팽윤시킨다. 침지시간은 보통 7∼8시간 행하고 있으나, 이 시간에 특별히 구애받을 필요는 없다. 대두가 충분히 팽윤되면, 그 팽윤된 대두를 마쇄기에 넣어 미세한 대두가루가 혼합된 생두유 혼합물을 만든다. 마쇄기는 수작업의 경우 전통 맷돌을 사용할 수 있으나, 오늘날 다양한 형태의 마쇄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의 생두유 혼합물을 100℃ 정도의 고온수에 넣고 저으면서 증숙된 두유혼합물을 제조한다. 생두유 혼합물이 고온수에 의해 증숙되어지면, 통상의 방법에 따라 냉각시키고, 두부 생산에 적합한 통상적인 농도의 두유혼합물을 얻으며, 다시 상기의 두유혼합물을 미세한 기공이 있는 여과수단(여과포)에 의해 콩비지와 순수한 두유성분으로 분리함으로써, 순수두유를 얻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간이 식용가능한 식물체 중에서 특정한 식물체를 선택하고, 그 식물체로부터 생즙을 채취한 다음, 상기의 생즙을 사용한다. 인간이 식용가능한 식물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예컨대, 식물체의 과일의 형태(사과, 배, 포도, 바나나, 토마토, 귤, 오렌지....), 식물체의 열매의 형태(대추, 고추,피망, 호두, 잣...), 식물체의 잎사귀의 형태(솔잎, 설록차 등과 같은 차류...), 식물체의 뿌리의 형태(감자, 고구마, 땅콩, 당근....), 식물체로서의 야채의 형태(무우, 배추, 상치, 전구지...) 등등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식물체는 인간의 육안에 의해 구별될 수 있는 천연색소성분을 함유한 것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의 식물체 중에서 사과, 배, 호두, 잣, 감자, 고구마, 땅콩, 무우 등과 같은 경우에는 제외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의 식물체가 그 자체 성분 중에 당분을 함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 역시 제외되어진다. 이러한 것으로는 식물체의 과일에 다수 존재하는데, 예를 들면 사과, 배, 포도, 바나나, 수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포도,수박 등을 사용할 경우 그 자체로서는 선명한 색상을 가지고 있지만, 두유에 혼합시킬 경우에 제대로 응고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토마토의 경우에 있어서는 그 자체에 과다한 당분을 함유한 것으로 여겨지지 않지만, 이 역시 순수두유에 혼합시킬 경우 제대로 응고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두부가 흐물흐물해지게 되므로 최종제품인 천연색상의 두부를 제조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자는 다수의 시행착오를 거쳐 위와 같은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는 바, 이러한 현상은 아마도 과일 중의 당분이나 토마토의 특정성분이 순수두유(콩단백질)에 대하여 식물성 색소가 결합(결착)되는 것을 방해하거나, 순수두유의 콩단백질 자체를 용해시켜 버리는 것 때문이 아닌가하고 추정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식용식물체는 상기의 조건에 합당한 것들에 한정되어지게 된다. 예컨대, 붉은색의 색소로서는 고추, 당근, 마른 대추 등이 바람직하고, 초록색의 색소로서는 솔잎, 쑥, 푸른 야채 등이 바람직하며, 노랑색 색소로서는 오렌지, 귤, 유자 등을 들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검정콩이나 인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색소는 각각의 색상별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언급한 엄격한 조건을 충족시킨 식용식물체 중에서 이들을 선정한 후, 선정된 식용식물체로부터 생즙을 채취한다. 생즙의 채취방법은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시중에서 시판 중인 녹즙기를 이용하거나, 쥬서기를 이용하여 분쇄한 다음 여과포로 여과하여 생즙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미리 준비된 순수 두유성분에 상기의 생즙을 적정량 넣고 저으면서 적정량의 간수를 계속적으로 혼합시켜 천연색상이 구현된 순두부를 얻게 된다. 이때, 혼합비율은 부피비율로 순수 두유성분 : 생즙 = 8 : 1 ∼ 6 정도이다. 만약, 혼합비율이 순수 두유성분 : 생즙 = 8 : 1 이하이면, 최종제품인 두부에 천연색상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여 바람직스럽지 못하고, 순수 두유성분 : 생즙 = 8 : 6 이상이면 보다 선명하고 진한 색상을 얻을 수 있으나 생즙자체가 배출하는 진한 냄새로 인하여 바람직스럽지 못하기 때문이다. 순수두유가 생즙과의 혼합에 의하여 천연색상을 띠는 이유는 아마도 생즙 속에 함유된 엽록소 내지 카로틴 또는 세포질 내의 액포에 저장된 각종의 천연색소가 상기의 두유성분속에 안전하고 확고하게 결착(결합)되기 때문일 것이라고 여겨진다. 한편, 상기의 간수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을 사용하면 족하다. 이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순수두유와 생즙의 혼합물을 응고시키고 가압시켜, 천연색상이 구현된 두부를 제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전문가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붉은색 천연두부의 제조.
굵고 고른 대두 3되를 8시간 동안 물에 불린 후, 맷돌에 갈아 생두유 혼합물을 얻고, 이 생두유 혼합물을 펄펄 끓는 물에 넣고 계속 가열하면서 저어 주었다. 이것을 가열솥에서 꺼내어 냉각시키고, 여과포를 이용하여 콩비지와 순수두유로 분리하였더니, 약 1말 정도의 순수두유가 얻어졌다. 한편, 식용식물체로서 당근 10개와 빨간 햇고추 1Kg을 선택하고, 이것을 믹서기에 넣어 약간의 물을 가하면서 마쇄시키고, 이것을 다시 세마포로 여과시켰더니, 약 3되 정도의 당근 및 햇고추의 혼합 생즙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순수두유(1 말)에 생즙(3 되)을 첨가하고 계속적으로 저어주면서 이들이 서로 완전하고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였다. 이들이 육안에 의하여 균일하게 혼합된 시점에서, 통상의 간수(맥주컵으로 2컵)를 천천히 부어주면서 계속 저어주었더니, 조금씩 조금씩 응고되기 시작하여 은은하게 분홍색을 띤 순두부를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것을 다시 여과포(두부자루)에 넣어서 눌러주고, 약 10분 정도 지나서 짠 후 빼내었더니, 여태껏 한번도 접해보지 못했던 아주 선명한 분홍색의 두부와, 맑은 물이 서로 분리되어 있었다. 이 분홍색 두부는 매우 감칠맛이 느껴질 정도로 아름다운 색상이었으며, 약간 매콤한 맛을 느낄 수 있었다. [도1]의 사진은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천연색 두부를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것으로서, 칼라 해상도 200 JPG 이었다. 다만, [도1]의칼라사진은 실제의 두부색상에 비하여 선명한 느낌이 많이 감쇄된 것으로 보이고, 약간 어두운 분홍색으로 표현(촬영ㆍ인화)된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2〉 초록색 천연두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솔잎과 쑥을 선택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최종 두부는 옅은 녹색을 띤 천연색 두부가 생성되었으며, 두부로부터 솔잎향이 은은하게 풍겨왔다. [도2]의 사진은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천연색 두부이다. (동일 조건임.)
〈실시예 3〉 노랑색 천연두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굵고 윤기있는 제주산 감귤 30개를 선택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의 감귤은 깨끗이 씻어 사용하였고, 그 껍질은 벗기지 아니하였다. 최종 두부는 약간 진한 노랑색을 띤 천연색 두부가 생성되었으며, 두부로부터 귤향이 은은하게 풍겨왔다. 노랑색을 띤 상기의 천연 두부를 칼(knife)로 약 2㎝ ×2㎝ ×2㎝ 정도의 직육면체로 절단하였더니, 마치 계란의 노른자위를 풀어헤쳐 요리한 계란요리로 느낄 정도이었다. [도3]의 사진은 상기 실시예 3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천연색 두부이다. (동일 조건임. 이 역시 실물과 비교할 때 칼라사진의 한계를 느낄 수 있었음.)
〈비교예 1〉 무색 두부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식물체를 선택하지 아니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따라서, 종래에 행해지던 방법대로 두부를 제조하였으며, 최종 두부는 흰색을 띤 무색 두부가 생성되었다. [도4]의 사진은 비교예 1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무색 두부이다.(동일 조건임.)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두부의 제조방법은 여태껏 어느 누구도 시도하지 못했던 두부의 착색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인공색소를 사용할 경우 순두부가 응고되지 않을 뿐만아니라 착색된 두부로 부터 인공색소가 쉽게 분리되어지므로 두부의 착색 자체가 불가능하여, 오늘날까지 색상이 있는 두부가 출현하지 못했는던 점에 비추어 볼때, 매우 획기적인 두부의 착색방법이라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천연색이 구현된 두부는 그 색상이 주는 미감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식욕을 돋구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많은 두부의 소비가 기대된다. 이로 인하여 일반 국민들은 그 만큼 식물성 고단백질을 다량 섭취하게 될 것이므로, 본 발명은 국민보건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색상을 내기 위하여 화학 색소를 전혀 사용하지 아니하고, 인간이 식용가능한 식물체의 생즙을 순수하게 그대로 이용하고 있으므로, 화학색소에 의한 부작용을 염려할 필요가 전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두유에 식물체의 생즙을 혼합한 후 다시 가열하지 아니하고 천연색상의 두부를 제조하므로, 식물체의 생즙에 함유된 엽록소, 카로틴, 비타민 복합체, 미네랄 등을 전혀 파괴시키지 아니하고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거둘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천연색상을 구현한 두부 및 그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방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선별된 콩을 세척하고 장시간 물에 불리는 팽윤공정, 팽윤된 콩을 마쇄한 후 고온수에 넣어 증숙하는 가열처리공정, 증숙된 두유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여과수단에 의해 콩비지와 순수두유를 분리하는 분리공정, 상기의 순수두유에 적정량의 간수를 넣어 응고시키고 가압시켜 두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간이 식용가능하고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당분이 낮은 식물체로 부터 생즙을 채취한 다음, 상기의 순수두유에 상기의 생즙을 혼합시키되 부피비율로 순수두유 : 생즙 = 8 : 1∼6 으로 행하며, 이어서 통상의 절차에 따라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색상을 구현한 두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생즙은 고추, 당근, 마른 대추, 솔잎, 쑥, 푸른 야채, 오렌지, 귤, 유자, 검정콩, 인삼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의하여 제조되는 천연색을 구현한 두부.
KR1020000035457A 2000-06-26 2000-06-26 천연색상을 구현한 두부와 그 제조방법 KR200200036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457A KR20020003687A (ko) 2000-06-26 2000-06-26 천연색상을 구현한 두부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457A KR20020003687A (ko) 2000-06-26 2000-06-26 천연색상을 구현한 두부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3687A true KR20020003687A (ko) 2002-01-15

Family

ID=1967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457A KR20020003687A (ko) 2000-06-26 2000-06-26 천연색상을 구현한 두부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368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294A (ko) * 2002-03-09 2002-03-29 안정오 금 또는 은을 함유시킨 두부제조방법 및 그 두부
KR20020037012A (ko) * 2002-04-29 2002-05-17 정휘열 비타민 시를 첨가한 두부 제조 방법
KR20030074909A (ko) * 2002-03-14 2003-09-22 박연례 향두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향두부
CN100542410C (zh) * 2006-12-04 2009-09-23 陈宏达 一种彩色豆腐
KR101012224B1 (ko) * 2008-07-22 2011-02-08 권태억 다색 두부의 제조방법 및 그의 조성물
KR101598764B1 (ko) * 2015-11-11 2016-02-29 김석원 두부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294A (ko) * 2002-03-09 2002-03-29 안정오 금 또는 은을 함유시킨 두부제조방법 및 그 두부
KR20030074909A (ko) * 2002-03-14 2003-09-22 박연례 향두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향두부
KR20020037012A (ko) * 2002-04-29 2002-05-17 정휘열 비타민 시를 첨가한 두부 제조 방법
CN100542410C (zh) * 2006-12-04 2009-09-23 陈宏达 一种彩色豆腐
KR101012224B1 (ko) * 2008-07-22 2011-02-08 권태억 다색 두부의 제조방법 및 그의 조성물
KR101598764B1 (ko) * 2015-11-11 2016-02-29 김석원 두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01628B (zh) 一种胡萝卜五香豆腐干的制作方法
CN102038040A (zh) 一种含有中草药的香干的制作工艺
CN102090462A (zh) 一种含有中草药的水豆腐的制作工艺
KR101589250B1 (ko) 노루궁뎅이버섯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431966A (zh) 一种香辣海鲜黄豆酱及其制备方法
KR101874891B1 (ko) 시래기 소내장탕 제조방법
KR20060109795A (ko) 기능성 두부,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901155B1 (ko) 장어탕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장어탕
KR101267959B1 (ko) 구아바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003687A (ko) 천연색상을 구현한 두부와 그 제조방법
KR20150078709A (ko) 단호박 및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김치 조성물
KR102462072B1 (ko) 돼지갈비용 소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10793A (ko) 모시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2344B1 (ko) 아로니아 및 녹차 추출액을 이용한 육류 숙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육류 숙성 방법
KR102249179B1 (ko) 천연발효식초와 천일염을 응고제로 이용하여 제조된 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100921411B1 (ko) 기능성 두부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두부
KR102354570B1 (ko) 감미 증진 부석태 한식 간장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658948B1 (ko) 영양함량을 높인 묵의 제조방법
KR20110111879A (ko) 산야초효소 오색 전두부 제조방법
KR20010057345A (ko) 색상을 갖는 기능성 두부의 제조방법
KR101729975B1 (ko) 다시마두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시마두부
KR102462074B1 (ko) 소불고기용 소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8434B1 (ko) 천연발효식초와 해양심층수를 응고제로 이용하여 제조된 두부 및 그 제조방법
JP2002101859A (ja) ヤーコン豆乳飲料
KR101645358B1 (ko) 매실청을 이용한 간장낙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