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807B1 - 섬유소 함량을 증가시켜 분산성을 개선한 통두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섬유소 함량을 증가시켜 분산성을 개선한 통두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807B1
KR102086807B1 KR1020190136779A KR20190136779A KR102086807B1 KR 102086807 B1 KR102086807 B1 KR 102086807B1 KR 1020190136779 A KR1020190136779 A KR 1020190136779A KR 20190136779 A KR20190136779 A KR 20190136779A KR 102086807 B1 KR102086807 B1 KR 10208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ybean
particle size
pulverized
less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덕근
Original Assignee
(주)서울에프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울에프엔비 filed Critical (주)서울에프엔비
Priority to KR1020190136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23C11/103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containing only proteins from pulses, oilseeds or nuts, e.g. nut mil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2210/00Physical treatment of dairy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콩의 껍질까지 포함하는 통두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섬유소 함유량이 풍부한 콩껍질 성분을 분리 및 분쇄한 후 혼합함으로써 콩 전체를 이용하여 콩의 온전한 영양학적 성분을 포함하는 통두유를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콩껍질 유래의 기능성 섬유소 성분을 선택적으로 증량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섬유소 함량을 증가시켜 분산성을 개선한 통두유의 제조방법 {Method of manufacturing whole soybean milk incresed fiber content to improve dispersibility}
본 발명은 통두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콩의 껍질성분을 가공하여 이를 포함하는 두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두유는 유당불내증을 가진 아이들에게 영양을 제공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두유의 대표적인 영양성분은 콩 단백질과 이소플라본이며, 특히 콩 단백질은 심장병 발생률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두유에는 쌀이 주식인 한국인에게 부족할 수 있는 라이신이 풍부하며, 트립토판,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글리신 등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다.
불포화지방산인 두유의 지방에는 콜레스테롤이 함유되어 있지 않고, 오히려 불포화지방산이 혈관벽 내에 침착하는 LDL 콜레스테롤을 녹여서 운반,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레시틴이라는 인지질이 함유되어 있어 여분의 콜레스테롤이나 지방을 녹여내는데, 이 성분은 피부가 거칠어지는 것을 막아주고, 노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콩껍질은 두유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로 여겨진다. 콩껍질에는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펙틴질, 단백질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콩껍질에는 다량의 섬유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폴리사카라이드, 바이오 오일 등 기능성 식품으로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으나, 질기고 거친 식감이 있어 선호도가 낮은 실정이다. 특히, 두유 가공에는 껍질을 제거하는 탈피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콩껍질 성분의 장점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콩껍질 성분까지 효과적으로 함유하는 두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2822호(2012.06.28.)는 두유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열수침지 방식으로 열수에 침지하여 대두를 연화시켜 열에 의한 콩취 생성을 최소화하고, 두유액 추출시 생성되는 비지(대두박) 성분을 최대로 제거한 두유액을 원료로 사용하는 두유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5164호(2012.05.04.)는 전두유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콩껍질을 포함하여 전두유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콩 전체를 이용하여 콩의 온전한 영양학적 성분을 포함하는 통두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발명은 콩껍질 특유의 거친 식감이 개선된 통두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점제 또는 유화제의 첨가 없이도 고형분의 침전현상을 예방하여 분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통두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콩을 140~230℃ 조건으로 로스팅하고, 배유와 껍질로 분리한 후, 배유와 껍질을 각각 분쇄하여 배유 분쇄물 및 껍질 분쇄물을 각각 수득하고, 이를 혼합하여 통두유를 제조하되, 상기 배유 분쇄물은, 상기에서 분리된 배유를 85~105℃ 조건으로 증자한 뒤, 입자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조분쇄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에서 조분쇄된 배유를 입자 크기가 80㎛ 이하가 되도록 1차 미분쇄하는 단계 (b); 및 상기 단계 (b)에서 1차 미분쇄된 배유를 입자 크기가 50㎛ 이하가 되도록 2차 미분쇄하는 단계 (c);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수득하고, 상기 껍질 분쇄물은, 상기에서 분리된 껍질을 85~105℃ 조건으로 증자한 뒤, 입자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조분쇄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에서 조분쇄된 껍질을 입자 크기가 80㎛ 이하가 되도록 1차 미분쇄하는 단계 (b'); 및 상기 단계 (b')에서 1차 미분쇄된 껍질을 입자 크기가 50㎛ 이하가 되도록 2차 미분쇄하는 단계 (c');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수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두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콩은, 바람직하게는 대두, 검은콩, 렌틸콩, 쥐눈이콩, 완두콩 및 강낭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두유는, 바람직하게는 입자가 균일한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두유는, 바람직하게는 콩껍질 유래 섬유소를 10~20 중량%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껍질 분쇄물과 배유 분쇄물은, 바람직하게는 껍질 분쇄물 5~20 중량% 및 배유 분쇄물 80~95 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콩 전체 (콩껍질과 콩 배유)를 이용하여 콩의 온전한 영양학적 성분을 포함하는 통두유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콩껍질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섬유소 성분을 함유하며 콩 고유의 영양성분을 강화시킨 통두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즉 콩껍질과 콩 배유를 모두 갖고 있는 콩을 별도의 분리 공정 없이 그대로 갈아서 만들 경우 입자 크기의 균일도가 떨어져 제품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할 경우 입도가 균일한 통두유를 얻을 수 있어 품질이 균일한 제품을 얻을 수 있고, 특히 증점제 또는 유화제 등의 첨가물 혼합 없이도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고형분의 침전현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여, 궁극적으로 우수한 상품성을 지닌 통두유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콩껍질 성분의 입자 크기를 최소화함에 따라 식감이 개선되어 관능적으로 바람직하며, 기존의 통두유에 비해 콩껍질 함량을 선택적으로 증량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기능성 섬유소 성분을 더욱 효과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대두 배유와 대두 껍질을 분리하여 통두유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비탈피 통두유의 입도 측정 결과이다.
도 3은 대두 배유만을 이용하여 제조한 두유의 입도 측정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대두 배유와 대두 껍질을 분리하여 제조한 통두유의 입도 측정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대두 배유와 대두 껍질을 분리하여 제조한 통두유의 분산성이 개선되어 침전 형성이 억제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콩을 배유와 껍질로 분리하여 각각 분쇄한 뒤 혼합하는 통두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콩을 140~230℃ 조건으로 5~10분간 로스팅하고, 배유와 껍질로 분리한 후, 배유와 껍질을 각각 분쇄하여 배유 분쇄물 및 껍질 분쇄물을 각각 수득하고, 이를 혼합하여 통두유를 제조하되, 상기 배유 분쇄물은, 상기에서 분리된 배유를 85~105℃ 조건으로 증자한 뒤, 조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조분쇄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에서 조분쇄된 배유를 콜로이드밀 1차 미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가 80㎛ 이하가 되도록 1차 미분쇄하는 단계 (b); 및 상기 단계 (b)에서 1차 미분쇄된 배유를 콜로이드밀 2차 미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가 50㎛ 이하가 되도록 2차 미분쇄하는 단계 (c);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수득하고, 상기 껍질 분쇄물은, 상기에서 분리된 껍질을 85~105℃ 조건으로 증자한 뒤, 조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조분쇄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에서 조분쇄된 껍질을 콜로이드밀 1차 미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가 80㎛ 이하가 되도록 1차 미분쇄하는 단계 (b'); 및 상기 단계 (b')에서 1차 미분쇄된 껍질을 콜로이드밀 2차 미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가 50㎛ 이하가 되도록 2차 미분쇄하는 단계 (c');을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수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두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두유는 콩껍질을 제외하고 제조된다. 콩껍질에는 섬유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나, 콩껍질 특유의 거친 식감 때문에 이를 제거하고 두유를 제조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콩은 사람에게 필요한 모든 영양분을 가지고 있는 완전식품이며, 이에 본 발명은 콩의 온전한 영양학적 성분을 포함하는 두유인 통두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의 통두유는 콩의 껍질까지 포함하여 콩껍질에 가장 많이 함유된 섬유소를 두유에 포함할 수 있고, 콩의 껍질과 배유를 각각 분쇄한 뒤 혼합하여 균일한 입도의 두유를 제조하였으며, 콩껍질 특유의 거친 식감을 완화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통두유는 콩껍질 유래의 미분쇄된 섬유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섬유소의 부유능을 이용하여 본 발명 통두유의 분산성이 개선되어 침전예방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콜로이드밀 2차 미분쇄기는 상기 콜로이드밀 1차 미분쇄기보다 블레이드(blade) 간격이 좁게 구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통두유는 콩껍질과 콩의 배유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콩껍질과 콩 배유 성분이 0.5:9.5 ~ 2:8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콩의 껍질은 콩 전체의 약 10 중량%를 차지하는데, 본 발명은 섬유소가 함유된 콩껍질의 함량을 20 중량%까지 증량시킬 수 있으며, 콩껍질의 함량이 증가되었음에도, 거친 식감이나 거친 목넘김의 관능이 낮아 입 안에서의 관능이 우수하며, 감칠맛이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콩은 바람직하게 대두, 검은콩, 렌틸콩, 쥐눈이콩, 완두콩 및 강낭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두유는 2차 미분쇄된 배유와 2차 미분쇄된 껍질을 혼합한 후에는 입자 크기가 40㎛ 이하가 되도록 250~300 bar로 1차 균질화 하고, 감압 탈취과정을 거친 뒤, 입자 크기가 30㎛ 이하가 되도록 250~300 bar로 2차 균질화하는 것이 좋다. 이후 135~150℃에서 2~35초간 살균과정을 거친 뒤 25℃로 냉각하고 포장용기에 무균(aseptic) 충진하여 통두유를 제품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두유는 1차 균질화 후 입자가 작아진 상태에서 감압 탈취과정을 거치는데, 1차 균질화 전 탈취과정을 거치거나, 2차 균질화 후 탈취과정을 거쳤을 때보다 효과적인 탈취 효과를 보였다.
또한, 본 발명의 통두유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분쇄된 껍질에 포함된 섬유소, 다당류, 리그닌을 분해시키기 위해 셀룰라아제, 펙티나아제, 리그나아제 등의 가수분해효소로 분해시키는 공정을 추가하여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콩껍질 입자를 더욱 분쇄할 수 있으며, 콩껍질에 다량 함유된 기능성 성분을 더욱 효과적으로 증량시킬 수 있다.
한편, 동일한 조건으로 가공하였을 경우, 비탈피 통두유(탈피과정을 거치지 않고 콩껍질까지 이용하여 제조한 두유)의 평균 입도가 261.49㎛로 측정되었으며, 입자의 20% 이상이 500㎛ 이상의 입도 분포를 보였으나, 본 발명의 통두유는 평균 입도가 51.21㎛로 측정되었으며, 입자 대부분이 150㎛ 이내의 입도 크기를 보였다. 탈피 두유(탈피 과정을 거친 후 배유만을 이용하여 제조한 두유)가 50.24㎛의 입자 크기를 보인 점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통두유는 콩껍질 성분을 함유하였음에도 입자 크기가 매우 작고 균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콩의 껍질과 배유 성분을 분리하여 분쇄하였기 때문에 분쇄 효율성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발명의 통두유는 탈피 두유(탈피 과정을 거친 후 배유만을 이용하여 제조한 두유)에 비해 콩껍질 유래의 섬유소 함량을 20%까지 증가시켜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통두유와 비탈피 통두유(탈피과정을 거치지 않고 콩껍질까지 이용하여 제조한 두유)의 분산성을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통두유는 다량 함유된 섬유소의 부력으로 분산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되어 침전 현상이 완화되고, 제형 안정성이 비교적 오래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통두유는 콩껍질까지 포함하였음에도 거친 식감이나 목넘김이 없어 관능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감칠맛이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았다. 또한, 침전 현상이 완화되어 외관에서 제형 분리를 보이지 않아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 배유와 대두 껍질을 분리하여 통두유의 제조]
대두 10kg을 정선하여 180℃에서 10 분간 로스팅하고 탈피 과정을 거쳐 대두 배유와 대두 껍질로 분리하였다.
대두 배유와 대두 껍질을 각각 97℃에서 20 분간 증자한 뒤, 조분쇄기로 각각 입자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조분쇄된 대두 배유와 대두 껍질을 각각 콜로이드밀(colloid mill) 1차 미분쇄기로 입자 크기가 80㎛ 이하가 되도록 1차 미분쇄하고, 1차 미분쇄된 대두 배유와 대두 껍질을 콜로이드밀 2차 미분쇄기로 입자 크기가 50㎛ 이하가 되도록 2차 미분쇄하였다. 2차 미분쇄된 대두 배유는 통두유 원액의 형태이며, 75℃의 통두유 원액에 2차 미분쇄된 대두 껍질을 혼합하였다. 이때, 2차 미분쇄된 대두 배유와 대두 껍질은 80:20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통두유 원액 및 대두 껍질 혼합물의 입자 크기가 40㎛ 이하가 되도록 275 bar로 1차 균질화 하고, 감압 탈취 과정을 거친 뒤, 입자 크기가 30㎛ 이하가 되도록 275 bar로 2차 균질화하였다.
그 후, 140℃에서 15초간 살균과정을 거친 뒤 25℃로 냉각하고 포장용기에 무균(aseptic) 충진하여 통두유를 최종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탈피를 별도로 하지 않은 대두를 이용하여 통두유의 제조]
대두 10kg을 정선하여 180℃에서 15 분간 로스팅하고, 탈피 과정을 거치지 않고 97℃에서 20 분간 증자한 뒤, 조분쇄기로 입자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조분쇄물을 콜로이드밀(colloid mill) 1차 분쇄기로 입자 크기가 80㎛ 이하가 되도록 1차 미분쇄한 뒤, 콜로이드밀 2차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가 50㎛ 이하가 되도록 2차 미분쇄하였다. 미분쇄물은 비탈피 통두유 원액이며, 이를 75℃로 맞추었다.
비탈피 통두유 원액의 입자 크기가 40㎛ 이하가 되도록 275 bar로 1차 균질화 하고, 감압 탈취 과정을 거친 뒤, 입자 크기가 30㎛ 이하가 되도록 275 bar로 2차 균질화하였다. 그 후, 140℃에서 15초간 살균과정을 거친 뒤 25℃로 냉각하고 포장용기에 무균(aseptic) 충진하여 비탈피 통두유를 최종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대두 껍질을 탈피한 뒤 대두 배유만을 이용하여 두유의 제조]
대두 10kg을 정선하여 180℃에서 15 분간 로스팅하고 탈피 과정을 거쳐 대두 배유와 대두 껍질로 분리하였다.
이중, 대두 배유만을 97℃에서 20 분간 증자한 뒤, 조분쇄기로 입자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조분쇄된 대두 배유를 콜로이드밀(colloid mill) 1차 미분쇄기로 입자 크기가 80㎛ 이하가 되도록 1차 미분쇄한 뒤, 콜로이드밀(colloid mill) 2차 미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가 50㎛ 이하가 되도록 2차 미분쇄하였다. 미분쇄물은 탈피 두유 원액이며, 이를 75℃로 맞추었다.
탈피 두유 원액의 입자 크기가 40㎛ 이하가 되도록 275 bar로 1차 균질화 하고, 감압 탈취 과정을 거친 뒤, 입자 크기가 30㎛ 이하가 되도록 275 bar로 2차 균질화하였다. 그 후, 140℃에서 15초간 살균과정을 거친 뒤 25℃로 냉각하고 포장용기에 무균(aseptic) 충진하여 탈피 두유를 최종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통두유의 입도 분석]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통두유(실시예1)와 상기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한 두유의 입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상기 비교예 1 및 2의 2차 미분쇄물의 입도를 입도분석기(Horiba LA-35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비교예 1 탈피과정을 거치지 않은 통두유는 평균 입도가 261.49㎛로 나타났으며, 500㎛ 이상의 입도를 가진 입자도 약 20% 이상 분포하고 있었다(도 2). 비교예 2의 대두 배유만을 이용한 두유의 경우 평균 입도가 50.24㎛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150㎛ 이내의 입도 분포를 보였다(도 3).
한편, 본 발명의 통두유(실시예 1)은 도 4에서 보듯이, 평균 입도가 51.21㎛이며, 대부분 150㎛ 이내의 입도 분포를 보여 비교예 2의 배유만을 이용한 두유와 입자 크기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통두유는 대두 배유와 대두 껍질이 효과적으로 분쇄되었으며 혼합물의 입도 분포가 균일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통두유의 섬유소 함량 측정]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통두유(실시예 1)와 상기 비교예 2의 탈피 두유의 섬유소 함량을 측정하고자 하였는데, 본 발명의 통두유는 탈피 두유에 비해 섬유소가 20% 이상 많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 통두유의 분산성 평가]
본 실험에서는 본 발명의 통두유(실시예 1)와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비탈피 통두유의 분산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통두유와 상기 비교예 1의 통두유를 투명한 용기에 담고 냉장조건에서 10일 후 육안으로 침전의 정도를 비교한 결과, 도 5에서 보듯이, 비교예 1의 비탈피 통두유는 점도가 낮고 침전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통두유는 다량 함유된 섬유소의 부력으로 분산성이 효과적으로 개선되어 침전 현상이 완화되고 제형 안정성이 비교적 오래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 배유와 대두 껍질을 분리하여 제조한 통두유의 관능평가]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통두유의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판용 두유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피 통두유 제품(A 사)을 사용하였다. 관능평가원은 (주)서울에프엔비 연구소 및 직원 중 두유 음용경험이 풍부한 25~40대 15명을 선발하였으며, 향미, 감칠맛, 입안에서의 느낌, 전체적인 기호도 및 외관에 대하여 7점 척도법(1:매우 나쁘다, 7:매우 좋다)을 사용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향미 감칠맛 입안에서의
느낌
외관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4.5±0.8 5.4±0.9 5.9±0.8 6.1±1.1 5.8±1.0
대조군 4.6±0.6 4.9±1.1 4.5±0.7 3.8±0.6 4.3±0.9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통두유(실시예 1)은 대두 껍질을 함유하여 섬유소 함유량을 높인 결과, 감칠맛, 입안에서의 느낌, 외관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특히, 분산성이 개선되어 침전 형성 정도가 감소한 점에 있어서 외관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Claims (5)

  1. 콩을 140~230℃ 조건으로 로스팅하고, 배유와 껍질로 분리한 후, 배유와 껍질을 각각 분쇄하여 배유 분쇄물 및 껍질 분쇄물을 각각 수득하고, 이를 혼합하여 통두유를 제조하되,
    상기 배유 분쇄물은,
    상기에서 분리된 배유를 85~105℃ 조건으로 증자한 뒤, 입자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조분쇄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에서 조분쇄된 배유를 입자 크기가 80㎛ 이하가 되도록 1차 미분쇄하는 단계 (b); 및
    상기 단계 (b)에서 1차 미분쇄된 배유를 입자 크기가 50㎛ 이하가 되도록 2차 미분쇄하는 단계 (c);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수득하고,
    상기 껍질 분쇄물은,
    상기에서 분리된 껍질을 85~105℃ 조건으로 증자한 뒤, 입자 크기가 1mm 이하가 되도록 조분쇄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에서 조분쇄된 껍질을 입자 크기가 80㎛ 이하가 되도록 1차 미분쇄하는 단계 (b'); 및
    상기 단계 (b')에서 1차 미분쇄된 껍질을 입자 크기가 50㎛ 이하가 되도록 2차 미분쇄하는 단계 (c');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수득하고,
    상기 통두유는,
    입자가 균일하며, 콩껍질 유래 섬유소를 10~20 중량% 포함하며, 분산성이 개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두유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은,
    대두, 검은콩, 렌틸콩, 쥐눈이콩, 완두콩 및 강낭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두유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껍질 분쇄물과 배유 분쇄물은,
    껍질 분쇄물 5~20 중량% 및 배유 분쇄물 80~95 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두유의 제조방법.
KR1020190136779A 2019-10-30 2019-10-30 섬유소 함량을 증가시켜 분산성을 개선한 통두유의 제조방법 KR102086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779A KR102086807B1 (ko) 2019-10-30 2019-10-30 섬유소 함량을 증가시켜 분산성을 개선한 통두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779A KR102086807B1 (ko) 2019-10-30 2019-10-30 섬유소 함량을 증가시켜 분산성을 개선한 통두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807B1 true KR102086807B1 (ko) 2020-03-09

Family

ID=6980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779A KR102086807B1 (ko) 2019-10-30 2019-10-30 섬유소 함량을 증가시켜 분산성을 개선한 통두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835A (ko) * 2020-10-13 2022-04-20 (주)서울에프엔비 열수에 부유하는 증자대두를 이송시킬 수 있는 증자기와 이를 이용하는 두유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4535A1 (en) * 2000-12-20 2005-04-07 Dulebohn Joel I. Soy milk juice beverage
KR101145164B1 (ko) 2009-09-09 2012-05-11 한상효 전두유 제조 방법과 시스템
KR101162822B1 (ko) 2009-08-13 2012-07-05 남양유업 주식회사 두유 제조방법
KR20160066136A (ko) * 2014-12-02 2016-06-10 주식회사 이롬 비탈피의 대두를 사용한 전두유의 제조방법
KR20200002046A (ko) * 2018-06-28 2020-01-08 주식회사 유웰바이오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로니아 발효 전두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4535A1 (en) * 2000-12-20 2005-04-07 Dulebohn Joel I. Soy milk juice beverage
KR101162822B1 (ko) 2009-08-13 2012-07-05 남양유업 주식회사 두유 제조방법
KR101145164B1 (ko) 2009-09-09 2012-05-11 한상효 전두유 제조 방법과 시스템
EP2471374A1 (en) * 2009-09-09 2012-07-04 Kim, JongHae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whole soy milk
JP2013514759A (ja) * 2009-09-09 2013-05-02 キム,ジョンヘ 全豆乳製造方法とシステム[methodandsystemformanufacturingwholesoymilk]
KR20160066136A (ko) * 2014-12-02 2016-06-10 주식회사 이롬 비탈피의 대두를 사용한 전두유의 제조방법
KR20200002046A (ko) * 2018-06-28 2020-01-08 주식회사 유웰바이오 아로니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로니아 발효 전두유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835A (ko) * 2020-10-13 2022-04-20 (주)서울에프엔비 열수에 부유하는 증자대두를 이송시킬 수 있는 증자기와 이를 이용하는 두유제조방법
KR102549588B1 (ko) * 2020-10-13 2023-06-30 (주)서울에프엔비 열수에 부유하는 증자대두를 이송시킬 수 있는 증자기와 이를 이용하는 두유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54612B (en) Soy milk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KR101409967B1 (ko) 보관 안정성이 개선된 전두유의 제조방법
US20080268098A1 (en) High-Fiber Soybean Product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20130126540A (ko) 두유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두유
KR101589250B1 (ko) 노루궁뎅이버섯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524411A (zh) 一种大豆核桃乳及其制备方法
KR101252154B1 (ko) 탈지 잣 박을 이용한 즉석 잣 죽의 제조방법
KR101045100B1 (ko) 쌀을 이용한 음료 조제물의 제조방법
KR102086807B1 (ko) 섬유소 함량을 증가시켜 분산성을 개선한 통두유의 제조방법
KR20160066136A (ko) 비탈피의 대두를 사용한 전두유의 제조방법
EP4226773A1 (en) Plant-based soup base and method for producing plant-based soup base
KR102044750B1 (ko) 견과류를 활용한 화학적 첨가물이 없는 대체우유 제조방법
KR20100067416A (ko) 초미세 대두분말을 이용한 전두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40609B1 (ko) 대두 미세분말을 이용한 무첨가 분말 두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첨가 분말 두유
KR100808881B1 (ko) 쌀 유화 농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96336A (ko) 식혜형 쌀두유의 제조방법
KR101771432B1 (ko) 식이 섬유가 증가된 저당도 두유 및 그 제조방법
KR102102144B1 (ko)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02339A (ko) 개척1호콩을 포함하는 검은콩 전두유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51633B1 (ko) 나물용 콩을 이용한 두유 제조방법
CN1784149A (zh) 大豆面粉及其制作方法
JP3967366B1 (ja) 食品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1917860B1 (en) Complete whole soya natural drink, for human consumption,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160066852A (ko) 분리대두단백을 이용하는 무지방 두유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25181A (ko) 미분쇄 복합공정을 이용한 깨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깨 페이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