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881B1 - 쌀 유화 농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쌀 유화 농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881B1
KR100808881B1 KR1020070013597A KR20070013597A KR100808881B1 KR 100808881 B1 KR100808881 B1 KR 100808881B1 KR 1020070013597 A KR1020070013597 A KR 1020070013597A KR 20070013597 A KR20070013597 A KR 20070013597A KR 100808881 B1 KR100808881 B1 KR 100808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eight
mixture
enzyme
concen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육용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에스푸드
(주)티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에스푸드, (주)티오에프 filed Critical (주)아이에스푸드
Priority to KR1020070013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8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1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emulsifi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4Mouthfeel improving agent

Abstract

본 발명은 백미, 현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분쇄, 교반하고 액화, 당화시켜 조성한 쌀 농축액에 미강유를 혼합하고 이를 유화제 또는 유화안정제로 유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전체의 영양소가 쌀에서 기원하는 쌀음료가 제공되며, 특히 종래 쌀음료들이 식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식물성 크림을 배제하고, 오히려 식감 불량을 원인으로 버려지던 쌀 영양소인 미강 성분을 미강유로 바꾼 후, 이를 쌀음료의 식감 개선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쌀음료의 식감을 개선시키면서 버려지던 중요 영양소를 추가시키고, 이에 의해 콜레스테롤 등을 개선시키는 새로운 영양보조식품으로 변환되는 쌀 유화 농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쌀 유화 농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Rice emulsification concentrated food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백미, 현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분쇄, 교반하고 액화, 당화시켜 조성한 쌀 농축액에 미강유를 혼합하고 이를 유화제 또는 유화안정제로 유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음료는 백미 또는 현미의 쌀을 볶음-분쇄-액화-당화-유화시켜 음료수화시킨 것으로서, 이에 관한 선출원으로서 특허 10-1998-0058230, 특허 10-2000-0049258, 등이 있으며, 상기 쌀음료 등의 경우에는 백미 또는 현미에 풍미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볶은 후 분쇄한 다음, 이를 효소분해하여 액화, 당화시키고 이를 여과하여 쌀음료 원료를 얻고, 이에 식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팜유, 콩기름 또는 식물성 크림을 투입하고 이를 유화제 또는 유화안정제로 유화시켜 쌀음료수를 완성시키는 공통 공정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방식에 의하면, 식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투입되는 상기 식물성 크림 등은 쌀과는 무관한 식품에서 기원한 것으로 콩이나 팜, 코코넛 등에서 분리한 크림으로서 비록 그 보형성이나 안정성에 의하여 식품제조 공정상 작업이 간단하나 유크림의 맛이 부족하고 가용성이나 식감이 좋지 못하여 정작 쌀음료 고유의 풍미를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식물성 크림에 유크림(동물성 크림)을 혼합한 컴파운드 크림이 사용되는 것도 있으나, 이 역시 쌀에서 기원한 고유 영양소가 아니어서 가용성이 떨어지므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방식에 의한 쌀음료는 근본적으로 당화한 쌀음료의 추출물(여과후 투명한 액상)에 식물성 크림, 유화제, 당류, PH 안정제를 혼합한 것이어서, 쌀 추출액을 얻기 위한 여과공정에서 쌀의 기타 영양소가 버려지며, 식물성 크림 등 쌀 성분이외의 첨가물이 투입됨에 따라 진정한 쌀음료라기 보다는 쌀의 풍미가 나는 음료수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쌀은 삼국시대부터 한민족의 주식의 하나로 재배되기 시작하여 현재 한국의 식 문화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우리가 쌀이라고 할 때는 주로 벼를 도정한 흰쌀, 즉 백미를 뜻한다. 즉, 벼를 탈곡하여 겉껍질인 왕겨를 벗겨낸 것을 현미라고 하고, 현미를 도정하여 속껍질을 벗겨낸 것을 백미라고 하는데, 미강이란 현미에서 백미로 도정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쌀눈과 쌀겨로 이루어진 속껍질 가루를 말하며 현미의 약 8%나 차지한다.
그런데, 현미의 거친 성질을 나타내는 미강은 도정과정 중 부산물로서 연간 약 40만t이나 생산되지만 밥의 식감을 떨어뜨리고 필요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사료 제조 등에 사용되는 등 폐기되고 있었으나, 근래 많은 연구에서 도정과정에서 버려지는 미강의 영양소 및 유효성분 등에 대한 효능이 규명되고 산업적인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생각되어 미강에 대한 재고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강을 정제한 미강유도 그러한 산업적 이용가치를 개척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나 지금까지 그 활용예가 보편적인지는 못하여 현재 미강 및 미강유에 대한 관심은 그 높은 영양소를 어떻게 이용할 것이냐에 대한 고민에 의해 산업계에서는 약품, 화장품 등으로의 활용분야 개척이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쌀의 고유 영양소가 모두 포함된 쌀음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식감을 저하시키는 이유로 쌀에서 강제로 벗겨져 버려지던 영양소인 쌀의 미강 성분을 오히려 식감 개선제로 사용함으로써, 잊혀진 쌀의 영양 성분을 모두 섭취할 수 있는 쌀음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쌀의 고유 영양소가 모두 포함된 쌀음료를 식음료만이 아닌 우유나 두유, 일반가공 음식물에 첨가하여 사용될 수 있는 첨가식품으로서의 쌀 유화 농축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백미, 현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분쇄, 교반하고 액화, 당화시켜 조성한 쌀 농축액에 미강유를 혼합하고 이를 유화제 또는 유화안정제로 유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여기서 상기 백미, 현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는 분쇄 전, 볶아서 풍미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상기 쌀 유화 농축식품은 쌀 농축액에 미강유를 혼합하여 유화시킨 것을 미세분쇄시켜, 잔존하는 쌀성분을 고르게 섞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상기 쌀 유화 농축식품은 미세분쇄한 결과물을 건조기로 건조하여 분말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상기 쌀 유화 농축식품은 백미와 현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볶아서 풍미를 가하고, 이를 분쇄, 교반하여 1차 효소분해 과정을 통하여 액화시키고 2차 효소분해 과정을 통하여 당화시킨 농축식품 75 ~ 80 중량%에; 유화제 2 ~ 4 중량%, PH 안정제 2 ~ 4 중량%, 다당류 3 ~ 6 중량%, 미강유 13 ~ 15 중량%을 가하여 40 ~ 80℃에서 1000~4000rpm 으로 10분 이상 예비 유화시킨 후, 이를 100~ 250바(bar)의 균질압력에서 1 ~ 5회 반복하여 미세입자로 분쇄하여 균질 유화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한편 본 발명은 1. 백미, 현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정선하는 단계와; 2. 상기 제1단계에서 얻어진 백미, 현미 또는 백미와 현미의 혼합물을 10 ~ 100 메쉬 정도로 분쇄하여 총제조량의 5 ~ 50% 평량후 1 ~ 10배의 물을 가하고 100℃로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단계와; 3. 상기 제2단계에서 얻어진 원료를 85 ~ 98 ℃로 냉각시켜 액화효소를, 상기 2단계에서 얻어진 원료의 0.01 ~ 0.5 중량% 만큼 첨가하여 1 ~ 10 시간 정도 1차 효소분해하여 액화시키는 단계와; 4. 상기 제3단계에서 얻어진 내용물을 40 ~ 70 ℃로 냉각하여 상기 3단계에서 얻어진 내용물의 중량에 대비하여, 당화효소를 0.01 ~ 0.5 중량%, 단백분해효소를 0.01 ~ 0.5중량%, 셀루로스분해효소를 0.01 ~0.5중량% 정도 첨가하여 1 ~ 10 시간 정도 2차 효소분해하여 당화시키는 단계와; 5. 상기 제4단계의 액을 80 ~ 100℃에서 5 ~ 30분간 가열하여 효소반응을 정지시키고 고형분 함량을 증가시키는 농축 단계와; 6, 상기 제5단계의 농축식품 농축식품 75 ~ 80 중량%에; 유화제 2 ~ 4 중량%, PH 안정제 2 ~ 4 중량%, 다당류 3 ~ 6 중량%, 미강유 13 ~ 15 중량%을 가하여 40 ~ 80℃에서 1000~4000rpm 으로 10분 이상 예비 유화시키는 단계와; 7. 상기 제6단계의 농축식품을 100 ~ 250바(BAR)의 균질압력하에서 1 ~ 5회 반복하여 효소분해되지 못한 쌀 성분입자를 미세분쇄시킴으로써 식감을 개선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상승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 제조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여기서 상기 제1단계는 백미, 현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정선한 후 각각 170 ~ 210℃에서 10분 내지 20분 사이에 볶아서 맛과 향의 풍미를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 제조방법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상기 쌀 유화 농축식품 제조방법은 상기 제7단계의 결과물을 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 제조방법을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쌀 유화 농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의 실시흐름도이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형분 농도를 가지는 쌀 유화 농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물에 희석시켜 식사대용으로 사용하거나 미음, 이유식 등으로 활용하는 식품이다.
특히, 본 발명은 쌀의 농축액에 미강유를 혼합하여 유화제 또는 유화안정제로 유화시킴으로써, 발명의 결과물이 전부 쌀 성분으로 구성되어 쌀이 가진 고유의 영양소를 제거하거나 파괴하는 일 없으며, 균질 유화에 의해 식감을 개선시킨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은 백미와 현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볶아서 풍미를 가하고, 이를 분쇄, 교반하고 액화, 당화시켜 조성한 쌀 농축액에 유화제 또는 유화안정제로 미강유를 유화시킨 후 이를 미세분쇄하여 형성시킨다.
상기의 분쇄, 교반하고 액화, 당화과정은 곡물을 음료수로 만드는 일반적인 과정에 해당되며, 통상 음료화시 풍미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분쇄 전, 볶음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곡물의 음료화 일반과정은 희망하는 수준에 따라 선택적으로 취하면 되는 과정이며, 본 발명은 쌀로 대표되는 곡물 음료에 미강유 성분을 유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곡물을 음료로 변환시키는 일반적인 과정에 의하여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쌀로 대표되는 곡물의 섭취방법을 다양화시키기 위한 것이어서, 백미나 현미를 대표적으로 기재하여 기술의 내용을 설명하나, 영양소를 다양화시키기 위하여 이에 보리나 밀 등의 기타 곡물이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쌀 농축액은 미강유의 유화 후에 쌀 농축식품에 잔존하는 쌀 성분과 함께 미세분쇄하여 쌀의 영양소가 모두 포함된 농축액상의 쌀 유화 농축식품으로 제조하며, 더 나아가 이를 건조기로 건조하여 분말식품으로 제조함으로써, 물 또는 우유에 타 먹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이러한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쌀은 백미 또는 현미를 각각 사용하거나 이들의 혼합물을 희망하는 바에 따라 그 비율을 선택하여 사용하며, 선택적으로 음식물 고유의 풍미를 조성하기 위하여 후 각각 170 ~ 210℃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20분 사이에 볶는다.
쌀을 쌀음료로 제조하는 일반적인 과정은 볶음-분쇄-물에 교반-액화-당화의 과정인데.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쌀음료의 기초조성물이 형성되며, 본 발명에서도 이러한 과정은 동일하다 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단계에서 볶아진 백미, 현미 또는 백미와 현미의 혼합물을 10 ~ 100 메쉬 정도의 가루로 분쇄하여 총제조량의 5 ~ 50% 평량후 1 ~ 10배의 물을 가하고 100℃로 교반하여 가열한다.
상기 원료를 85 ~ 98 ℃로 냉각시켜 액화효소를 0.01 ~ 0.5 중량% 정도 첨가하여 1 ~ 10 시간 정도 1차 효소분해하여 액화시키고, 상기 단계에서 얻어진 내용물을 40 ~ 70 ℃로 냉각하여 당화 효소를 0.01 ~ 0.5 중량%, 단백분해효소를 0.01~ 0.5중량%, 셀루로스 분해효소를 0.01 ~ 0.5중량% 정도 더 첨가하여 1 ~ 10 시간 정도 2차 효소분해하여 당화시켜 쌀음료액을 조성시킨다.
이후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계에서 조성된 쌀음료 액을 80 ~ 100℃에서 5 ~ 30분간 가열하여 효소반응을 정지시키고 희망하는 고형분 함량까지 농축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쌀음료에 고형분 농도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고형분 농도가 형성된 쌀음료에 본 발명에서는 미강유를 투입하고 이를 유화제 또는 유화안정제로 쌀음료와 유화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쌀이라고 할 때는 주로 벼를 도정한 흰쌀, 즉 백미를 뜻하며, 벼를 탈곡하여 겉껍질인 왕겨를 벗겨낸 것을 현미라고 하고, 현미를 도정하여 속껍질을 벗겨낸 것을 백미라고 하는데, 미강이란 현미에서 백미로 도정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쌀눈과 쌀겨로 이루어진 속껍질 가루를 말하며 현미의 약 8%나 차지한다. 현미의 거친 성질을 나타내는 미강은 도정과정 중 부산물로서 연간 약 40만t이나 생산되지만 밥의 식감을 떨어뜨리고 필요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소량만이 미강유나 사료 제조 등에 사용되고 나머지는 폐기되고 있었으나, 근래 많은 연구에서 도정과정에서 버려지는 미강의 영양소 및 유효성분 등에 대한 효능이 규명되고 산업적인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생각되어 미강에 대한 재고찰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미강은 지방, 단백질, 식이섬유가 영양소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비타민 A와 티아민, 피리독신, 니아신 등의 비타민 B군 및 칼슘, 아연, 철분 등의 미네랄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으며, 곡류에 부족한 필수 아미노산인 리신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구성 지방산의 70% 이상이 올레인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등의 불포화지방산으로 영양적인 가치가 뛰어나다.
특히 리놀레산과 리놀렌산은 각각 오메가-6 및 오메가-3계의 다가불포화지방산(PUFA)으로 체내에서 합성이 안되는 필수지방산에 속하여 영양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섭취는 혈중 콜레스테롤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여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여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DHA(도코사헥사엔산) EPA(에이코사펜타엔산)와 함께 대표적인 오메가-3 지방산의 하나인 리놀렌산은 고지방식으로 인한 면역력의 저하를 막아주고, 유선암의 증식에 억제효과를 보인 것으로 최근 연구에서 밝혀져 암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미강을 미강유로 정제하는 과정에서 오리자놀, 토코페롤, 레시틴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부산물로서 발생되며, 이중 오리자놀은 페룰산과 스테롤류와 알코올류가 결합된 화합물로 갱년기 장애 및 자율신경 실조증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토코페롤, 레시틴과 함께 항산화 활성이 높아 활성산소로 인한 세포의 손상을 막아주어 암의 발생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미강에는 9.5 ~ 14.5%로 다량 함유되어 있는 피틴산은 암세포의 이상 증식을 억제시켜 항암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헤미셀루로스 등의 식이섬유와 함께 미강의 다당성분인 아라비녹실란은 아라비노스와 자일로스로 구성된 복합 다당체로 항알레르기, 면역활성 및 항암에 관련된 생리활성 물질인데 최근 다양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대식세포, 자연살해세포와 TNF-a 등 암의 제거에 관련되는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의 발생을 억제시키고 치료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결과들이 나오고 있으며 면역세포 활성화는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히스타민의 생성을 억제시켜 항알레르기 효과가 있다는 보고들도 발표되고 있다.
이밖에도 미강 중에는 혈압상승 촉진과 관련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의 활성을 저해하는 단백질이 포함되어있는데, 연구에 따르면 미강 단백질로부터 분리한 효소저해물질(ACE inhibitor)을 고혈압 쥐에게 섭취시킨 결과 혈압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효과가 관찰되어, 미강 추출물의 섭취는 고혈압의 치료 및 예방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강은 이와 같이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가지고 있으며, 암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효과가 기대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도정과정 중에서 버려지는 부산물로만 인식되어 그 산업적인 이용분야를 개척할 가치가 높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식감이 불량하여 쌀에서 버려지는 영양소인 이러한 미강의 성분을 미강유로 변환시키고 이를 쌀음료에 유화시킴으로써 식감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쌀음료에 쌀고유의 모든 영양소가 다 포함되게 하는 특징으로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강유 (rice bran oil)에 존재하는 비타민 E의 한 형태가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춰준다는 사실이 보고되었으며(미국 로체스터대학 (University of Rochester)의 연구에 의하면, 식이에 미강유로부터 분리된 토코트리에놀 분획 (tocotrienol rich fraction, TRF)을 보충해주는 경우 실험대상이 되었던 쥐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42%, LDL 콜레스테롤 농도가 62%까지 감소되는 사실이 관찰되었고,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에는 통해 미강유가 사람의 LDL 콜레스테롤 농도를 7%까지 감소시킨다는 사실이 보고됨) 미강유에 포함된 토코트리에놀은 토코페롤에 비해 그 생리활성이 활발하게 연구가 되어 있지 못하나 토코트리에놀의 유효 작용이 충분히 입증이 되어 있으며, 미강유에 있어서는 토코페롤보다 더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으며, 사람을 대상으로 TRF를 캡슐의 형태로 4주 동안 8 IU kg/day으로 공급한 결과 콜레스테롤 농도가 10%, LDL 콜레스테롤 농도가 26% 감소되는 사실이 예비실험 결과 확인하였으나, 어떠한 부작용도 발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미강유를 쌀음료에 유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형분 농도가 형성된 쌀음료 75 ~ 80 중량%에; 유화제 2 ~ 4 중량%, PH 안정제 2 ~ 4 중량%, 다당류 3 ~ 6 중량%, 미강유 13 ~ 15 중량%을 가하여 40 ~ 80℃에서 1000~ 4000rpm 으로 10분 이상 예비 유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강유를 유화시킨 후, 쌀 유화 농축식품에 남아있는 건더기 성분(미쳐 효소분해되지 못한 쌀 성분으로 주로 식이섬유성분임)을 쌀 유화 농축액에 섞어주어 식감을 더욱 개선시키고 버려지는 쌀 영양소가 없도록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쌀 농축식품 100 ~ 250바(BAR)의 균질압력하에서 1 ~ 5회 반복하여 균질분쇄하여, 효소분해되지 못한 쌀 성분 입자를 미세입자화하여 미강유에 유화된 입자와 고르게 섞어 줌으로써, 식감을 개선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상승시킨다.
상기, 균질 분쇄된 결과물은 건조기로 건조하여 분말제품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쌀 유화 농축식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1. 백미와 현미를 정선한 후 각각 170 ~ 210℃에서 10분 내지 20분 사이에 볶아서 맛과 향의 풍미를 형성시킨다.
2. 상기 제1단계에서 얻어진 백미, 현미 또는 백미와 현미의 혼합물을 10 ~ 100 메쉬로 분쇄하여 총제조량의 5 ~ 50% 평량후 1 ~ 10배의 물을 가하고 100℃로 교반하여 가열한다.
3. 상기 제2단계에서 얻어진 원료를 85 ~ 98 ℃로 냉각시켜 액화효소를 0.01 ~ 0.5 중량% 정도 첨가하여 1 ~ 10 시간 정도 1차 효소분해하여 액화시킨다.
4. 상기 제3단계에서 얻어진 내용물을 40 ~ 70 ℃로 냉각하여 당화효소를 0.01 ~ 0.5 중량%, 단백분해효소를 0.01 ~ 0.5중량%, 셀루로스분해효소를 0.01 ~0.5중량% 첨가하여 1 ~ 10 시간 2차 효소분해하여 당화시킨다.
5. 상기 제4단계의 액을 80 ~ 100℃에서 5 ~ 30분간 가열하여 효소반응을 정지시키고 고형분 함량이 증가하도록 농축시킨다.
6, 상기 제5단계의 농축액 75 ~ 80 중량%에; 유화제 2 ~ 4 중량%, PH 안정제 2 ~ 4 중량%, 다당류 3 ~ 6 중량%, 미강유 13 ~ 15 중량%을 가하여 40 ~ 80℃에서 1000~ 4000rpm 으로 10분 이상 예비 유화시킨다.이 단계에서 미강유는 상기 유화제에 의하여 상기 제 5단계의 농축액에 유화되어진다.
7. 상기 제6단계의 농축액을 100 ~ 250바(BAR)의 균질압력하에서 1 ~ 5회 반복하여 균질분쇄하여, 미처 효소분해되지 못한 쌀 성분 입자를 미세분쇄하여 미강유에 유화된 입자에 골고루 섞어주어 식감을 개선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상승시킨다.
8. 상기 제7단계의 농축액을 선택적으로 건조기로 건조하여 분말화시키는 과정이 추가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하여 일정 고형분 농도를 가지는 쌀 농축식품으로 제조되며, 종래의 쌀음료와 달리 농축식품 전체의 영양소가 쌀에서 기원하는 쌀음료가 되며, 특히 종래 쌀음료들이 식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식물성 크림을 배제하고, 오히려 식감 불량을 원인으로 버려지던 쌀 영양소인 미강 성분을 미강유로 바꾼 후, 이를 쌀음료의 식감 개선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쌀음료의 식감을 개선시키고, 쌀음료에 버려지던 영양소를 추가시키고, 콜레스테롤을 개선시키는 새로운 영양보조식품으로 변환시키는 쌀 유화 농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곡물 음료에 적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쌀의 고유 영양소가 모두 포함된 쌀음료가 제공되며, 특히, 식감을 저하시키는 이유로 쌀에서 강제로 벗겨져 버려지던 영양소인 쌀의 미강 성분을 오히려 식감 개선제로 사용함으로써, 잊혀진 쌀의 영양 성분을 모두 섭취할 수 있는 쌀 농축식품및 그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쌀의 고유 영양소가 모두 포함된 쌀음료를 식음료만이 아닌 우유나 두유, 일반가공 음식물에 첨가하여 사용될 수 있는 첨가식품으로서의 쌀 농축식품및 그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쌀 유화 농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의 실시흐름도

Claims (9)

  1. 백미, 현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분쇄, 교반하고 액화, 당화시켜 조성한 쌀 농축액에 미강유를 혼합하고 이를 유화제 또는 유화안정제로 유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미, 현미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는
    분쇄 전, 볶아서 풍미를 가해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쌀 유화 농축식품은
    상기 쌀 농축액에 미강유를 유화시킨 것을 미세분쇄시켜, 잔존하는 쌀성분 찌꺼기도 미세입자화되어 고르게 섞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쌀 유화 농축식품은
    건조기로 건조하여 분말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쌀 유화 농축식품은
    백미와 현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볶아서 풍미를 가하고, 이를 분쇄, 교반하여 1차 효소분해 과정을 통하여 액화시키고 2차 효소분해 과정을 통하여 당화시킨 농축식품 75 ~ 80 중량%에;
    유화제 2 ~ 4 중량%, PH 안정제 2 ~ 4 중량%, 다당류 3 ~ 6 중량%, 미강유 13 ~ 15 중량%을 가하여 40 ~ 80℃에서 1000~4000rpm 으로 10분 이상 예비 유화시킨 후,
    이를 100~ 250바(bar)의 균질압력에서 1 ~ 5회 반복하여 미세입자로 분쇄하여 균질 유화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
  7. 1. 백미, 현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정선하는 단계와;
    2. 상기 제1단계에서 얻어진 백미, 현미 또는 백미와 현미의 혼합물을 10 ~ 100 메쉬 정도로 분쇄하여 총제조량의 5 ~ 50% 평량후 1 ~ 10배의 물을 가하고 100℃로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단계와;
    3. 상기 제2단계에서 얻어진 원료를 85 ~ 98 ℃로 냉각시켜 액화효소를, 상기 2단계에서 얻어진 원료의 0.01 ~ 0.5 중량% 만큼 첨가하여 1 ~ 10 시간 정도 1차 효소분해하여 액화시키는 단계와;
    4. 상기 제3단계에서 얻어진 내용물을 40 ~ 70 ℃로 냉각하여 상기 3단계에서 얻어진 내용물의 중량에 대비하여, 당화효소를 0.01 ~ 0.5 중량%, 단백분해효소를 0.01 ~ 0.5중량%, 셀루로스분해효소를 0.01 ~0.5중량% 정도 첨가하여 1 ~ 10 시간 정도 2차 효소분해하여 당화시키는 단계와;
    5. 상기 제4단계의 액을 80 ~ 100℃에서 5 ~ 30분간 가열하여 효소반응을 정지시키고 고형분 함량을 증가시키는 농축 단계와;
    6, 상기 제5단계의 농축식품 농축식품 75 ~ 80 중량%에;
    유화제 2 ~ 4 중량%, PH 안정제 2 ~ 4 중량%, 다당류 3 ~ 6 중량%, 미강유 13 ~ 15 중량%을 가하여 40 ~ 80℃에서 1000~4000rpm 으로 10분 이상 예비 유화시키는 단계와;
    7. 상기 제6단계의 농축식품을 100 ~ 250바(BAR)의 균질압력하에서 1 ~ 5회 반복하여 효소분해되지 못한 쌀 성분입자를 미세분쇄시킴으로써 식감을 개선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상승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쌀 유화 농축식품 제조방법의 제1단계는
    백미, 현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정선한 후 각각 170 ~ 210℃에서 10분 내지 20분 사이에 볶아서 맛과 향의 풍미를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쌀 유화 농축식품 제조방법은
    상기 제7단계의 결과물을 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 유화 농축식품 제조방법.
KR1020070013597A 2007-02-09 2007-02-09 쌀 유화 농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08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597A KR100808881B1 (ko) 2007-02-09 2007-02-09 쌀 유화 농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597A KR100808881B1 (ko) 2007-02-09 2007-02-09 쌀 유화 농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881B1 true KR100808881B1 (ko) 2008-03-03

Family

ID=3939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597A KR100808881B1 (ko) 2007-02-09 2007-02-09 쌀 유화 농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8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869B1 (ko) * 2007-10-26 2009-12-02 (주)아이에스푸드 구수한 맛을 향상시키는 현미추출제품의 제조방법
KR101045100B1 (ko) 2008-09-26 2011-06-29 주식회사 엠에스씨 쌀을 이용한 음료 조제물의 제조방법
KR101421154B1 (ko) 2010-04-19 2014-08-13 박승호 쌀을 이용한 조미액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추출되는 조미액
KR20170036986A (ko) 2015-09-25 2017-04-04 주식회사 이롬 쌀을 이용한 곡물 가공 음료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850A (ko) * 1994-05-31 1995-12-18 이중덕 쌀밥의 식미 개선용 조성물
KR19980023071A (ko) * 1996-09-25 1998-07-06 이광종 쌀눈 음료의 제조방법
KR19990064918A (ko) * 1999-05-21 1999-08-05 조용호 곡류분말이 함유된 우유 제조방법
KR19990084119A (ko) * 1999-09-15 1999-12-06 천경호 층분리가 없는 콜로이드성 쌀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06601A (ko) * 1998-12-24 2000-02-07 이해문 쌀음료 제조방법
KR20020016109A (ko) * 2000-08-24 2002-03-04 김 부 곤 쌀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5261407A (ja) * 2004-03-16 2005-09-29 Teruko Konno 米糠発酵飲料、及び米糠発酵食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850A (ko) * 1994-05-31 1995-12-18 이중덕 쌀밥의 식미 개선용 조성물
KR19980023071A (ko) * 1996-09-25 1998-07-06 이광종 쌀눈 음료의 제조방법
KR20000006601A (ko) * 1998-12-24 2000-02-07 이해문 쌀음료 제조방법
KR19990064918A (ko) * 1999-05-21 1999-08-05 조용호 곡류분말이 함유된 우유 제조방법
KR19990084119A (ko) * 1999-09-15 1999-12-06 천경호 층분리가 없는 콜로이드성 쌀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16109A (ko) * 2000-08-24 2002-03-04 김 부 곤 쌀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5261407A (ja) * 2004-03-16 2005-09-29 Teruko Konno 米糠発酵飲料、及び米糠発酵食材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869B1 (ko) * 2007-10-26 2009-12-02 (주)아이에스푸드 구수한 맛을 향상시키는 현미추출제품의 제조방법
KR101045100B1 (ko) 2008-09-26 2011-06-29 주식회사 엠에스씨 쌀을 이용한 음료 조제물의 제조방법
KR101421154B1 (ko) 2010-04-19 2014-08-13 박승호 쌀을 이용한 조미액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추출되는 조미액
KR20170036986A (ko) 2015-09-25 2017-04-04 주식회사 이롬 쌀을 이용한 곡물 가공 음료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unders Rice bran: Composition and potential food uses
KR101542667B1 (ko) 미강과 쌀눈과 아마씨를 이용한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CN101156679B (zh) 米糠营养原液及其制作方法
CN1291664C (zh) 豆奶组合物和生产方法
CN1617670A (zh) 用于改善血清脂类分布和预防动脉粥样硬化的含水解蛋白质和植物甾醇的组合物
Gupta et al. Oilseed as potential functional food Ingredient
CN1592584A (zh) 豆奶组合物及制备方法
KR100808881B1 (ko) 쌀 유화 농축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04648A (ko) 높은 단백질 함량을 갖는 미유의 제조방법
CN111011526A (zh) 一种全组分豆类、坚果、谷物酸奶的生产方法及其产品
KR101798855B1 (ko) 쌀을 이용한 곡물 가공 음료의 제조방법
KR101045100B1 (ko) 쌀을 이용한 음료 조제물의 제조방법
KR101252154B1 (ko) 탈지 잣 박을 이용한 즉석 잣 죽의 제조방법
Pali Rice bran oil-unique gift of nature: a review
US20090191308A1 (en) Method of preparing emulsified cereal bran derivatives
US20100316744A1 (en) Plant sprout-based emulsions, process for preparing them and use thereof
CN113331325A (zh) 一种米糠饮料的制备方法
KR102044750B1 (ko) 견과류를 활용한 화학적 첨가물이 없는 대체우유 제조방법
JP4759349B2 (ja) 液体麹を用いた醤油の製造方法
KR101457333B1 (ko) 생대두 미세분말을 이용한 무첨가 무조정 두유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무첨가 두유
Goswami et al. Optimization of enzymatic hydrolysis of Pleurotus ostreatus derived proteins through RSM and evaluati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qualities of mushroom protein hydrolysates
Akinsola et al. Nutritional evaluation of maize-millet based complementary foods fortified with soybean.
KR102086807B1 (ko) 섬유소 함량을 증가시켜 분산성을 개선한 통두유의 제조방법
KR20160121807A (ko) 곡물도정 부산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조성물과 발효식품의 제조방법
Triratanasirichai et al. Value‐Added By‐Products from Rice Processing Indust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