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144B1 -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144B1
KR102102144B1 KR1020190081543A KR20190081543A KR102102144B1 KR 102102144 B1 KR102102144 B1 KR 102102144B1 KR 1020190081543 A KR1020190081543 A KR 1020190081543A KR 20190081543 A KR20190081543 A KR 20190081543A KR 102102144 B1 KR102102144 B1 KR 102102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oybean
water
added
p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81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30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astes, meal, powders; Products made therefrom, e.g. blocks, flakes, snacks;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Noodle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에 관한 것으로, 콩을 건조하여 분쇄시켜 분말화하고, 47~64중량%로 이루어진 콩분말; 완두콩을 건조하여 분쇄시켜 분말화하고, 10~30중량%로 이루어진 완두콩분말; 및 상기 콩분말과 상기 완두콩분말과 함께 물에 혼합하는 것으로, 25~45중량%로 이루어진 첨가분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콩국수용 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여러가지의 분말 재료 중 완두콩 분말을 첨가함으로 완성된 콩국수용 콩물을 장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고, 콩국수용 콩물을 제조하는데 시간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콩국수용 콩물을 제조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콩국수용 콩물에 잣이나 미숫가루와 같은 다양한 분말(가루)를 추가하므로 맛과 영양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 및 이의 제조방법{SOYBEAN WATER CONTAINING PEAS AND ITS PREPARATION METHODS}
본 발명은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콩국수용 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여러가지 재료의 분말에 완두콩 분말을 첨가함으로 콩국수용 콩물의 맛을 장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재료의 분말과 완두콩 분말을 통해 콩국수용 콩물의 제조가 간편하면서 영양이 풍부할 수 있는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부터 콩국수는 사람들이 즐겨먹던 여름철 음식으로, 콩과 들깨를 갈아 만든 콩국수를 별식으로 먹고 있다.
콩국수는 콩을 씻어 불렸다가 껍질을 벗기고 비린내가 가실 정도로 삶은 후, 믹서에 갈아 체에 걸러 즙을 만들어 차게 해둔 다음, 국수를 삶아 차게 해 둔 콩국에 넣고, 오이채와 지단채를 얹어 얼음을 띄우면 풍미가 훨씬 더 좋아진다.
또한, 콩국수의 주재료인 콩은 저지방 고단백질 식품으로 피로 회복을 돕고 혈관을 튼튼하게 유지시켜 동맥경화와 노화를 방지해 주는 효능이 있어 여름철에 부족하기 쉬운 단백질을 충분히 보충하면서 시원한 입맛까지 만족시킬 수 있는 음식이다.
그러나, 종래의 콩국수는 콩을 씻어 불렸다가 껍질을 벗기고 비린내가 가실 정도로 삶는 등 콩물을 제조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제조하는데 육체적으로 힘들면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발명의 콩국수용 콩물은 콩분말과 첨가분말을 물에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물에 혼합하여 완성된 콩분말의 콩분말 물은 극성이고, 첨가분말의 물은 무극성이라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콩분말의 물과 첨가분말의 물이 섞이지 않는 혼합관계가 분리된다.
혼합관계가 분리되면서 콩분말의 물과 첨가분말의 물이 층으로 구분되는데, 콩분말의 물은 아래층에 위치하고, 첨가분말의 물은 위층에 위치한다.
이렇게 층이 나뉜 콩국수용 콩물을 젓지 않고 손님에게 배달하게 되면 손님은 물의 위층에 위치한 첨가분말만 먹거나 약간의 콩분말을 먹게 되므로 제대로 된 콩국수용 콩물을 먹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0893224호(발명의 명칭: 콩국수용 국물을 위한 재료와 이를 이용한 콩국수 제조방법, 등록일자: 2009년 04월 06일)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605076호(발명의 명칭: 콩국수를 만드는 방법, 등록일자: 2016년 03월 15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콩국수용 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여러가지 재료의 분말에 완두콩 분말을 첨가함으로 콩국수용 콩물의 맛을 장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재료의 분말과 완두콩 분말을 통해 콩국수용 콩물의 제조가 간편하면서 영양이 풍부할 수 있는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은, 콩을 건조하여 분쇄시켜 분말화하고, 47~64중량%로 이루어진 콩분말; 완두콩을 건조하여 분쇄시켜 분말화하고, 10~30중량%로 이루어진 완두콩분말; 및 상기 콩분말과 상기 완두콩분말과 함께 물에 혼합하는 것으로, 25~45중량%로 이루어진 첨가분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에 있어서, 상기 콩분말은 백태, 서리태, 서목태, 흑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에 있어서, 상기 콩분말은 백태, 서리태, 서목태, 흑태 중 2 이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에 있어서, 상기 물에 혼합하는 상기 콩분말, 상기 완두콩분말, 상기 첨가분말에 분말로 이루어진 잣을 추가하여 혼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에 있어서, 상기 물에 혼합하는 상기 콩분말, 상기 완두콩분말, 상기 첨가분말에 분말로 이루어진 미숫가루를 추가하여 혼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에 있어서, 상기 첨가분말은 유미락, 크리머, 알파옥분, 알파미분, 볶음콩분말, 검정깨, 정제소금, 땅콩분말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의 제조방법은, 콩을 건조하여 분쇄시켜 분말화한 콩분말을 47~64중량%로, 완두콩을 건조하여 분쇄시켜 분말화한 완두콩분말을 10~30중량%로 각각 계량하는 단계; 상기 콩분말과 상기 완두콩분말과 함께 물에 혼합하는 첨가분말 중 정제소금, 알파옥분, 땅콩분말을 1차로 상기 물에 혼합하는 단계; 상기 1차로 물에 혼합하는 단계에 상기 첨가분말 중 유미락, 크리머, 알파미분, 볶음콩분말, 검정깨를 2차로 상기 물에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2차로 물에 혼합하는 단계에서 혼합한 상기 콩분말, 상기 완두콩분말, 상기 첨가분말을 10~20분 동안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1차와 상기 2차로 상기 물에 혼합하는 상기 첨가분말은 25~45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콩분말은 백태, 서리태, 서목태, 흑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2 이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에 혼합하는 상기 콩분말, 상기 완두콩분말, 상기 첨가분말에 분말로 이루어진 잣이나 미숫가루를 추가하여 혼합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콩국수용 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여러가지 재료의 분말에 완두콩 분말을 첨가함으로 콩국수용 콩물의 맛을 장시간동안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재료의 분말과 완두콩 분말을 통해 콩국수용 콩물의 제조가 간편하면서 영양이 풍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콩국수용 콩물에 잣이나 미숫가루와 같은 다양한 분말(가루)를 추가하므로 맛과 영양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콩국수용 콩물에 잣분말을 추가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콩국수용 콩물에 미숫가루를 추가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서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콩국수용 콩물에 잣분말을 추가하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콩국수용 콩물에 미숫가루를 추가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콩분말(110), 완두콩분말(120), 첨가분말(130)을 물(W)에 혼합하면서 교반하여 이루어진다.
콩국수용 콩물에서 콩분말(110)은 콩을 건조하여 분쇄시켜 분말화하고, 47~64중량%로 이루어진다.
콩분말(110)의 콩은 '밭에서 나는 고기'라고 부를 정도로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하고 탄수화물의 양이 적다.
영양적인 면에서 볼 때 콩은 동물성 식품과 가깝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쇠고기보다 단백질이 2배나 되고(쇠고기 단백질은 18% 인데 반해 콩 단백질은 45%), 콩기름은 20%정도 들어 있으며 기타 무기질, 비타민 등 풍부한 영양성분을 가지고 있다.
단백질은 우리 몸에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이 많이 있어 생활에너지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동물성 지방은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포화지방산이 많은 반면 콩기름은 콜레스테롤이 없고, 혈압을 내려줌으로 고혈압, 심근경색 등 혈전성 질환의 예방에 좋다.
콩은 비교적 많은 섬유소가 함유되어 비만을 예방하고, 변비에 효과가 있어 대장암을 예방할 수 있다.
콩은 생리활성물질이라고 할 수 있는 식이섬유, 인지질, 이소플라본, 사포닌, 트립신저해제, 피트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이들이 동맥경화, 심장병, 당뇨병, 노인성 치매, 항산화 효과, 항암 효과(유방암, 대장암, 폐암 등), 골다공증 억제 등 성인병 예방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가 끊임없이 발표되고 있다.
콩국수용 콩물에 혼합되는 콩분말(110)은 47~64중량%로 이루어지는게 적정함량으로 적합하다.
이는 콩분말(110) 즉, 콩에 트립신 저해제가 들어있기 때문에 소화불량이 올 수 있으므로 47~64중량%로 이루어지는게 바람직하다.
콩분말(110)은 백태, 서리태, 서목태, 흑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즉, 백태, 서리태, 서목태, 흑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콩분말(110)은 하나의 콩으로만 이루어져 콩국수를 섭취하는 사람마다 기호에 맞게 선택된다.
백태로 이루어지는 콩분말(110)은 흔히들 노란콩으로 알고 있으며, 서리태, 서목태, 흑태는 검은콩으로 소위 블랙푸드(Black food)가 인기를 끌면서 검은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검은콩는 검정콩이나 흑대두(黑大豆) 또는 흑두(黑豆)라고도 하며, 국내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품종으로는 서리태가 있다.
이러한 검은콩에는 글리시데인과 안토시아닌 및 이소플라본과 같은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이중 글리시데인은 항암작용이 있고, 안토시아닌은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면서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으며, 이소플라본은 부족한 여성호르몬을 보충하여 여성다운 몸매를 유지하게 하고, 체온과 자율신경을 안정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검은콩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 기능이 일반콩보다 무려 4배 이상 높기 때문에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피부속 콜라겐의 기능을 향상시켜 피부의 탄력을 강화시켜 주고, 피부에 생기를 주며, 피부 세포를 재생 및 치유하는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검은콩 속에 포함된 각종 기능성 성분들이 피부속 콜라겐의 기능을 향상시켜 피부의 탄력을 강화시켜 주고, 피부 미백효과와 함께 피부 세포를 재생 및 치유해 주는 효과가 있다.
콩분말(110)은 백태, 서리태, 서목태, 흑태 중 2 이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즉, 백태, 서리태, 서목태, 흑태 중 2 이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콩분말(110)은 2 이상의 콩으로 이루어져 콩국수를 섭취하는 사람마다 기호에 맞게 선택이 가능하여 다양하게 콩국수를 즐길 수 있다.
콩분말(110)의 콩과 완두콩분말(120)의 완두콩은 극저온 초미세 분쇄법(Cryogenic Micro Grinding Technology: CMGT)을 이용하여 분쇄하여 분말화하였을 때 영양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여 영양성분 함량을 그대로 유지시키고, 섭취시 체내 소화율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콩분말(110)의 콩과 완두콩분말(120)의 완두콩은 -180 내지 -65℃ 의 극저온에서 2 내지 45㎛의 초미세 크기로 분쇄한다.
완두콩분말(120)은 완두콩을 건조하여 분쇄시켜 분말화하고, 10~30중량%로 이루어진다.
완두콩분말(120)의 완두콩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등과 다량의 비타민,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고, 다른 콩들과 달리 단백질 함량은 낮으며,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콩이다.
완두콩분말(120)의 완두콩은 콩 중에서 풍부하게 함유된 식이섬유소가 장의 활동을 원활하게 하여 변비 예방에 좋고, 몸에 좋지 않은 LLD 콜레스테롤을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완두콩분말(120)은 콩분말(110)과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첨가분말(130)이 물(W)에 혼합될 경우에 콩분말(110)과 첨가분말(130)의 분리되는 상태를 억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물(W)에 혼합되는 콩분말(110)은 극성이고, 역시 물(W)에 혼합되는 첨가분말(130)은 무극성으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콩분말(110)의 물과 첨가분말(130)의 물이 섞이지 않는 즉, 2개의 층으로 나뉘게 된다.
이렇게 2개의 층으로 나뉘게 되는 즉, 분리되는 상태를 계면활성 역할을 수행하는 완두콩분말(120)은 콩분말(110)과 첨가분말(130)이 혼합한 물(W)에 혼합하여 콩분말(110)의 물과 첨가분말(130)의 물이 분리되는 상태를 최대한 억제시킨다.
계면활성(界面活性)은 계면장력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유화, 성질, 세척, 침투 등의 작용을 일으키는 성질을 가리키는 것으로, 극성의 콩분말(110)의 물과 무극성의 첨가분말(130)의 물을 잘 섞이게 하는 힘 즉, 유화력이 완두콩분말(120)에 있다.
본 발명은 유화력이 있는 완두콩분말(120)이 콩국수용 콩물에 첨가함으로 장시간동안 콩국수용 콩물의 상태를 유지가 가능하여 맛과 영양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콩국수용 콩물에 혼합되는 완두콩분말(120)은 10~30중량%로 이루어지는게 적정함량으로 적합하다.
이는 완두콩분말(120)의 완두콩에 소량의 청산이 함유되어 과하게 섭취하면 설사나 복통을 유발하므로 10~30중량%로 이루어지는게 바람직하다.
첨가분말(130)은 콩분말(110)과 완두콩분말(120)과 함께 물(W)에 혼합하는 것으로, 25~45중량%로 이루어진다.
첨가분말(130)은 콩분말(110)로 이루어진 콩국수용 콩물의 풍미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첨가분말(130)은 유미락, 크리머, 알파옥분, 알파미분, 볶음콩분말, 검정깨, 정제소금, 땅콩분말로 구성된다.
콩국수용 콩물에 혼합되는 첨가분말(130)은 25~45중량%로 이루어지는게 적정함량으로 적합하다.
이는 첨가분말(130)에 유미락, 크리머, 알파옥분, 알파미분, 볶음콩분말, 검정깨, 정제소금, 땅콩분말로 구성되어 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져 동맥경화를 일으킬 수 있는 LDL 수치를 높일 수 있고, 소화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소화불량이 올 수 있으므로 25~45중량%로 이루어지는게 바람직하다.
잣분말(140)은 잣이 분말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물(W)에 혼합하는 콩분말(110), 완두콩분말(120), 첨가분말(130)에 추가하여 혼합한다.
잣분말(140)은 고명으로 오이와 참깨를 약간 얹어 드시면 식물성 지방과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하게 함유된 영양식품으로 잣의 향과 맛을 더욱 느낄 수 있어 노약자와 환자는 물론 남여노소 모두 영양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건강식품으로 제조될수 있는 것이다.
미숫가루(150)는 현미, 보리, 찹쌀, 콩, 율무 등의 곡물로 분말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물(W)에 혼합하는 콩분말(110), 완두콩분말(120), 첨가분말(130)에 추가하여 혼합한다.
미숫가루(150)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현미, 보리, 찹쌀, 콩, 율무 등의 다양한 곡물을 볶아 만들었기 때문에 식사대용으로 든든하면서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미숫가루(150)는 무기질과 비타민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면서 열량이 적어 여성분들의 최대 관심사인 다이어트에 매우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 1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W)은 콩분말(110) 52중량%와 완두콩분말(120) 15%와 첨가분말(130) 33중량%를 물에 넣은 후 15분 동안 혼합하여 교반하여 만들어진다.
위의 콩분말, 완두콩분말, 첨가분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결과를 하기에서 그림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림 1-
Figure 112019069288333-pat00001
그림 1을 살펴보면,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도면은 본 발명이고, 우측도면은 완두콩분말(120)이 혼합되지 않은 종래 발명이다.
본 발명의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100)은 콩분말(110) 52중량%와 완두콩분말(120) 15%와 첨가분말(130) 33중량%를 물(W)에 넣은 후 15분 동안 혼합하여 교반하여 만들어진다.
종래 발명의 콩국수용 콩물은 콩분말(110) 52중량%와 첨가분말(130) 33중량%를 물에 넣은 후 15분 동안 혼합하여 교반하여 만들어진다.
본 발명과 종래 발명은 도면에 빨간색으로 표현된 부분에서 알 수 있듯이, 콩분말(110)의 물층과 첨가분말(130)의 물층이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렇게 층이 분리되지 않은 본 발명과 종래 발명을 손님이 먹게 되면 맛있는 콩국수용 콩물을 먹게 되는 것이다.
-그림 2-
Figure 112019069288333-pat00002
그림 2를 살펴보면, 1시간 경과 후이다.
도면에 빨간색으로 표현된 부분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과 종래 발명 모두 콩분말의 물층과 첨가분말의 물층이 분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콩분말(110)의 물층과 첨가분말(130)의 물층 분리된 간격이 종래 발명의 콩분말의 물층과 첨가분말의 물층 분리된 간격이 확연하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3-
Figure 112019069288333-pat00003
그림 3을 살펴보면, 2시간 경과 후이다.
도면에 빨간색으로 표현된 부분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콩분말(110)의 물층과 첨가분말(130)의 물층 분리된 간격이 종래 발명의 콩분말의 물층과 첨가분말의 물층 분리된 간격이 확연하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종래 발명의 콩분말 물층과 첨가분말의 물층 분리된 간격은 위의 1시간 경과 후보다 약 2배 정도 차이가 있음을 역시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콩분말(110)의 물층과 첨가분말(130)의 물층 분리된 간격은 위의 1시간 경과 후보다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림 4-
Figure 112019069288333-pat00004
그림 4를 살펴보면, 3시간 경과 후이다.
도면에 빨간색으로 표현된 부분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콩분말(110)의 물층과 첨가분말(130)의 물층 분리된 간격이 종래 발명의 콩분말의 물층과 첨가분말의 물층 분리된 간격이 역시 확연하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종래 발명의 콩분말 물층과 첨가분말의 물층 분리된 간격이 위의 2시간 경과 후보다 약 0.5배 정도 차이가 있음을 역시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콩분말(110)의 물층과 첨가분말(130)의 물층 분리된 간격은 위의 1시간 경과 후보다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림 5-
Figure 112019069288333-pat00005
그림 5를 살펴보면, 4시간 경과 후이다.
도면에 빨간색으로 표현된 부분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콩분말(110)의 물층과 첨가분말(130)의 물층 분리된 간격이 종래 발명의 콩분말의 물층과 첨가분말의 물층 분리된 간격이 역시 확연하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종래 발명의 콩분말 물층과 첨가분말의 물층 분리된 간격이 위의 3시간 경과 후보다 약 0.5배 정도 차이가 있음을 역시 알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콩분말(110)의 물층과 첨가분말(130)의 물층 분리된 간격은 위의 1시간 경과 후보다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위의 실시예 1을 보았듯이, 본 발명의 완두콩분말(120)이 혼합(포함)된 콩국수용 콩물(100)과 완두콩분말(120)이 혼합(포함)되지 않은 종래 발명의 콩국수용 콩물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차이로 인해 맛 또한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의 제조방법(S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콩을 건조하여 분쇄시켜 분말화한 콩분말을 47~64중량%로, 완두콩을 건조하여 분쇄시켜 분말화한 완두콩분말을 10~30중량%로 각각 계량하는 단계(S110), 상기 콩분말과 상기 완두콩분말과 함께 물에 혼합하는 첨가분말 중 정제소금, 알파옥분, 땅콩분말을 1차로 상기 물에 혼합하는 단계(S120), 상기 1차로 물에 혼합하는 단계에 상기 첨가분말 중 유미락, 크리머, 알파미분, 볶음콩분말, 검정깨를 2차로 상기 물에 혼합하는 단계(S130) 및 상기 2차로 물에 혼합하는 단계에서 혼합한 상기 콩분말, 상기 완두콩분말, 상기 첨가분말을 10~20분 동안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계량단계(S110)는 콩을 건조하여 분쇄시켜 분말화한 콩분말(110)을 47~64중량%로, 완두콩을 건조하여 분쇄시켜 분말화한 완두콩분말(120)을 10~30중량%로 각각 계량하는 단계이다.
콩분말(110)의 콩은 '밭에서 나는 고기'라고 할 정도로 단백질과 지방이 풍부하고 탄수화물의 양이 적다.
영양적인 면에서 볼 때 콩은 동물성 식품과 가깝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쇠고기보다 단백질이 2배나 되고(쇠고기 단백질은 18%, 콩 단백질은 45%), 콩기름은 20%정도 들어 있으며 기타 무기질, 비타민 등 풍부한 영양성분을 가지고 있다.
단백질은 우리 몸에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이 많이 있어 생활에너지로 사용된다.
콩국수용 콩물에 혼합되는 콩분말(110)은 47~64중량%로 이루어지는게 적정함량으로 적합하다.
이는 콩분말(110) 즉, 콩에 트립신 저해제가 들어있기 때문에 소화불량이 올 수 있으므로 47~64중량%로 이루어지는게 바람직하다.
콩분말(110)은 백태, 서리태, 서목태, 흑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2 이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즉, 백태, 서리태, 서목태, 흑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콩분말(110)은 하나의 콩으로만 이루어지거나 2 이상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콩분말(110)은 2 이상의 콩으로 이루어져 콩국수를 섭취하는 사람마다 기호에 맞게 선택이 가능하여 다양하게 콩국수를 즐길 수 있다.
물(W)에 혼합하는 콩분말(110), 완두콩분말(120), 첨가분말(130)에 분말로 이루어진 잣(140)이나 미숫가루(150)를 추가하여 혼합한다.
잣분말(140)은 고명으로 오이와 참깨를 약간 얹어 드시면 식물성 지방과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하게 함유된 영양식품으로 잣의 향과 맛을 더욱 느낄 수 있어 노약자와 환자는 물론 남여노소 모두 영양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건강식품으로 제조될수 있는 것이다.
미숫가루(150)는 현미, 보리, 찹쌀, 콩, 율무 등의 곡물로 분말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현미, 보리, 찹쌀, 콩, 율무 등의 다양한 곡물을 볶아 만들었기 때문에 식사대용으로 든든하면서 고소한 맛이 특징이면서 무기질과 비타민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면서 열량이 적어 여성분들의 최대 관심사인 다이어트에 매우 효과적이다.
완두콩분말(120)의 완두콩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등과 다량의 비타민, 무기질을 함유하고 있고, 다른 콩들과 달리 단백질 함량은 낮으며,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콩이다.
완두콩분말(120)의 완두콩은 콩 중에서 풍부하게 함유된 식이섬유소가 장의 활동을 원활하게 해 변비 예방에 좋고, 몸에 좋지 않은 LLD 콜레스테롤을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완두콩분말(120)은 콩분말(110)과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첨가분말(130)이 물(W)에 희석될 경우에 콩분말(110)과 첨가분말(130)의 분리되는 상태를 억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물(W)에 혼합되는 콩분말(110)은 극성이고, 역시 물(W)에 혼합되는 첨가분말(130)은 무극성으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콩분말(110)의 물과 첨가분말(130)의 물이 섞이지 않는 즉, 2개의 층으로 나뉘게 된다.
이렇게 2개의 층으로 나뉘게 되는 즉, 분리되는 상태를 계면활성 역할을 수행하는 완두콩분말(120)은 콩분말(110)과 첨가분말(130)이 혼합한 물(W)에 혼합하여 콩분말(110)의 물과 첨가분말(130)의 물이 분리되는 상태를 최대한 억제시킨다.
계면활성(界面活性)은 계면장력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유화, 성질, 세척, 침투 등의 작용을 일으키는 성질을 가리키는 것으로, 극성의 콩분말(110)의 물과 무극성의 첨가분말(130)의 물을 잘 섞이게 하는 힘 즉, 유화력이 완두콩분말(120)에 있다.
본 발명은 유화력이 있는 완두콩분말(120)이 콩국수용 콩물에 첨가함으로 장시간동안 콩국수용 콩물의 상태를 유지가 가능하여 맛과 영양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콩국수용 콩물에 혼합되는 완두콩분말(120)은 10~30중량%로 이루어지는게 적정함량으로 적합하다.
이는 완두콩분말(120)의 완두콩에 소량의 청산이 함유되어 과하게 섭취하면 설사나 복통을 유발하므로 10~30중량%로 이루어지는게 바람직하다.
1차 혼합단계(S120)는 콩분말(110)과 완두콩분말(120)과 함께 물(W)에 혼합하는 첨가분말(130) 중 정제소금, 알파옥분, 땅콩분말을 1차로 물(W)에 혼합하는 단계이다.
첨가분말(130)은 콩분말(110)로 이루어진 콩국수용 콩물의 풍미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2차 혼합단계(S130)는 1차로 물(W)에 혼합하는 단계(S120)에 첨가분말(130) 중 유미락, 크리머, 알파미분, 볶음콩분말, 검정깨를 2차로 물(W)에 혼합하는 단계이다.
1차 혼합단계(S120)와 2차 혼합단계(S130)로 물(W)에 혼합하는 첨가분말(130)은 25~45중량%로 이루어진다.
이는 첨가분말(130)에 유미락, 크리머, 알파옥분, 알파미분, 볶음콩분말, 검정깨, 정제소금, 땅콩분말로 구성되어 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져 동맥경화를 일으킬 수 있는 LDL 수치를 높일 수 있고, 소화력이 약한 사람들에게 소화불량이 올 수 있으므로 25~45중량%로 이루어지는게 적정함량으로 적합하다.
1차 혼합단계(S120)와 2차 혼합단계(S130)에서 첨가분말(130)을 나누어서 혼합하는 이유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달리 혼합한 것이다.
교반단계(S140)는 2차로 물(W)에 혼합하는 단계에서 혼합한 콩분말(110), 완두콩분말(120), 첨가분말(130)을 10~20분 동안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이다.
10~20분 동안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S140)를 거친 후 완성된 콩국수용 콩물(100)은 일정한 여과기에 통과하여 입자들을 걸러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
110 : 콩분말
120 : 완두콩분말
130 : 첨가분말
140 : 잣분말
150 : 미숫가루
W : 물
S100 :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의 제조방법
S110 : 계량단계
S120 : 1차 혼합단계
S130 : 2차 혼합단계
S140 : 교반단계

Claims (10)

  1. 콩을 건조하여 분쇄시켜 분말화하고, 47~64중량%로 이루어진 콩분말;
    완두콩을 건조하여 분쇄시켜 분말화하고, 10~30중량%로 이루어진 완두콩분말; 및
    상기 콩분말과 상기 완두콩분말과 함께 물에 혼합하는 것으로, 25~45중량%로 이루어진 첨가분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콩분말은 백태, 서리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상기 물에 혼합하는 상기 콩분말, 상기 완두콩분말, 상기 첨가분말에 분말로 이루어진 잣을 추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물에 혼합하는 상기 콩분말, 상기 완두콩분말, 상기 첨가분말에 분말로 이루어진 미숫가루를 추가하여 혼합하며,
    상기 첨가분말은 유미락, 크리머, 알파옥분, 알파미분, 볶음콩분말, 검정깨, 정제소금, 땅콩분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콩을 건조하여 분쇄시켜 분말화한 콩분말을 47~64중량%로, 완두콩을 건조하여 분쇄시켜 분말화한 완두콩분말을 10~30중량%로 각각 계량하는 단계;
    상기 콩분말과 상기 완두콩분말과 함께 물에 혼합하는 첨가분말 중 정제소금, 알파옥분, 땅콩분말을 1차로 상기 물에 혼합하는 단계;
    상기 1차로 물에 혼합하는 단계에 상기 첨가분말 중 유미락, 크리머, 알파미분, 볶음콩분말, 검정깨를 2차로 상기 물에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2차로 물에 혼합하는 단계에서 혼합한 상기 콩분말, 상기 완두콩분말, 상기 첨가분말을 10~20분 동안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콩분말은 백태, 서리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상기 1차와 상기 2차로 상기 물에 혼합하는 상기 첨가분말은 25~45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물에 혼합하는 상기 콩분말, 상기 완두콩분말, 상기 첨가분말에 분말로 이루어진 잣이나 미숫가루를 추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의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81543A 2019-07-05 2019-07-05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2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543A KR102102144B1 (ko) 2019-07-05 2019-07-05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543A KR102102144B1 (ko) 2019-07-05 2019-07-05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144B1 true KR102102144B1 (ko) 2020-04-20

Family

ID=70467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543A KR102102144B1 (ko) 2019-07-05 2019-07-05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037B1 (ko) 2021-01-21 2022-02-24 김용하 새싹보리를 이용한 메밀검정콩국수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2110A (ko) * 2006-06-24 2007-12-28 박선교 콩국수용 국물을 위한 재료와 이를 이용한 콩국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2110A (ko) * 2006-06-24 2007-12-28 박선교 콩국수용 국물을 위한 재료와 이를 이용한 콩국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coolcat1009/3017378767(2013. 8. 12.)* *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skagorjsdjan/221333144667(2018. 8. 5.)* *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sm3296/220758455105(2016.7.1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037B1 (ko) 2021-01-21 2022-02-24 김용하 새싹보리를 이용한 메밀검정콩국수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333B1 (ko) 한끼 식사용 밀웜 쉐이크와 그 제조방법
KR20030005086A (ko) 생식 및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다이어트 조성물
CN112167417A (zh) 一种减脂高蛋白营养代餐棒及其制备方法
KR20090132229A (ko) 고령자용 기능성 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71757A (ko) 기능성 웰빙 피자도우와 그 제조방법 및 피자
KR102102144B1 (ko)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78001A (ko) 콩 이취감이 없고 올리고당을 함유한 두부 바바로와 또는두유 푸딩 및 그 제조방법
KR100545529B1 (ko) 미강을 이용한 장류의 제조방법
KR20180093462A (ko) 장어뼈가 포함된 개암 죽의 제조방법
KR20180018075A (ko) 라이스 고로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라이스 고로케
KR102023684B1 (ko) 쌀눈 찹쌀떡의 제조방법
KR20210014871A (ko) 건어물을 포함하는 씨리얼바 제조방법
KR20050111460A (ko) 견과류가 함유된 호떡반죽물 및 그호떡반죽물을 이용한호떡 제조방법
KR100773412B1 (ko) 현미묵의 제조방법
KR102406938B1 (ko) 천연 산야초를 이용한 수제비와 그의 제조방법
KR102597104B1 (ko) 타이거너츠를 포함하는 글루텐 및 견과류 프리 식물성 버터
KR102464983B1 (ko) 다이어트용 면 및 그 제조방법
KR102404281B1 (ko) 고령자용 기능성 면 및 그 제조방법
KR102599185B1 (ko) 두부를 이용한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1936A (ko) 바 형태의 씹어 먹는 다이어트용 건강보조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7277A (ko) 미꾸라지 어묵
KR101538277B1 (ko) 곡물고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72475A (ko) 콩을 이용한 한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74574A (ko) 다슬기(알갱이)와 고추씨를 혼합한 면의 특징 및 그제조방법
CN116326750A (zh) 一种复方黑芝麻丸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