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224A - 척 및 척 장착 백 - Google Patents

척 및 척 장착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2224A
KR20070092224A KR1020077012800A KR20077012800A KR20070092224A KR 20070092224 A KR20070092224 A KR 20070092224A KR 1020077012800 A KR1020077012800 A KR 1020077012800A KR 20077012800 A KR20077012800 A KR 20077012800A KR 20070092224 A KR20070092224 A KR 20070092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tear
base
chuck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6633B1 (ko
Inventor
요시노리 난바
겐이치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5779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9222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2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5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 B65D33/2508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 B65D33/2516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 B65D33/2533Riveting; Dovetailing; Screwing; using press buttons or slide fasteners using slide fasteners with interlocking members having a substantially uniform section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fastener; Sliders therefor comprising tamper-indicating means, e.g. located within the fastener the slide fastener being located between the product compartment and the tamper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66Inserted or applied tearing-strings or like flexibl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32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having interlocking surface with continuous cross section

Abstract

개봉 후의 재밀봉, 재개봉이 가능해지도록 교합식의 척을 구비한 척 장착 백의 인열 개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척 (2) 을 구성하는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중 적어도 일방의 기부 (21a, 21b) 에, 이 수형 부재 (2a) 의 기부 (21a) 또는 암형 부재 (2b) 의 기부 (21b) 로부터 박리 가능해지도록 인열 유도편 (23) 을 일체로 설치한다.

Description

척 및 척 장착 백{FASTENER AND BAG WITH FASTENER}
본 발명은, 개봉 후의 재밀봉, 재개봉이 가능해지도록 교합식의 척을 구비한 척 장착 백에 있어서, 그 개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척 및 그러한 척을 구비한 척 장착 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료품, 약품, 잡화 등의 많은 분야에 있어서, 교합식의 척 (교합구 (咬合具)) 을 내용물의 출입구에 구비하여, 개봉 후의 재밀봉, 재개봉을 가능하게 한 척 장착 백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3 등).
일반적으로, 이러한 척 장착 백은 테이프상으로 형성된 척을 미리 준비해 두고, 백 소재로서의 기재 필름에 척을 시일하여 제작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44027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355336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76925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이런 종류의 척 장착 백은 일반적으로, 개봉 부위에 있어서의 백 소재를 가위 등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찢음으로써 개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백 소재의 찢김이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개봉 후의 사용의 편리성이 나빠진다.
예를 들어, 개봉시에 백 소재를 지나치게 절취하여 척의 교합을 해제하여, 재개봉시에 잡게 될 부분이 없어지거나, 당해 부분의 크기가 다양하거나 하면, 재개봉하기 어려워진다. 또, 백 소재를 찢을 때에 잘못해서 척까지 찢어버리면, 척에 의한 재밀봉을 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백 소재의 정해진 위치를 찢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종래, 여러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에서는 척 (띠 형상 끼워 맞춤구) 의 테이프부에 특정 조성의 커트 용이성 수지층을 형성하고, 이 커트 용이성 수지층을 따라 개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 에서 제안된 것은, 개봉시에 커트 용이성 수지층이 파단됨으로써 개봉 방향이 일정해지도록 커트 용이성 수지층을 2 종류의 수지의 혼합 조성물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개봉 후의 테이프부의 파단면에 섬유상의 컷팅 스컴(cutting scum)이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컷팅 스컴이 내용물에 혼입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 의 척은 백 소재로서의 기재 필름에 시일할 때에, 커트 용이성 수지층이 기재 필름에 접착되지 않도록, 커트 용이성 수지층에 히트 시일바의 열이 가해지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 1 단락 번호 [0018] 등). 이 때문에, 소정의 시일면을 구비한 히트 시일바를 준비해야 할 뿐만 아니라, 시일시에 엄밀한 위치 맞춤이 요구되는 등, 기재 필름으로의 시일에 번잡한 수고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어, 척 장착 백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데 있어서 개선해야 할 큰 과제를 갖고 있었다.
또 특허 문헌 2 에서는, 1 장의 포재의 측 가장자리끼리를 히트 시일하여 이루어지는 백 형상 용기의 내면에 장착된 수형 패스너 부재와 암형 패스너 부재 사이에 컷 테이프를 고착시키고, 이 컷 테이프에 의해 백 형상 용기의 일부를 절단함으로써 개봉되도록 한 척 장착 백 (패스너 백) 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2 의 패스너 백은 일반적인 자동 충전 포장기에 적용할 수 있어, 장치의 복잡화, 작업의 번잡화를 피할 수 있는데, 그 충전 수단은 척이 장착된 포재의 측 가장자리를 히트 시일하여 통 형상체로 하고, 척의 길이 방향 양단의 일방측의 개구부를 히트 시일한 후에, 타방측의 개구부로부터 내용물을 충전한다는 것이다 (특허 문헌 2 단락 번호 [0023] 참조).
이 때문에, 특허 문헌 2 의 패스너 백의 형상은 평백으로 한정되어, 최근 다용하게 된, 자립 가능하게 제작된 이른바 스탠딩 백에는 적용이 곤란하였다. 또, 척과 컷 테이프는 별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척과 컷 테이프를 따로 따로 장착하지 않으면 안되어 (동 [0020] 참조), 추가적인 제조 효율상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기도 하다.
또, 특허 문헌 3 에서는, 척 (교합구) 의 띠 형상 기부에 개봉 끈을 매설시킨 상태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하고, 이 개봉 끈을 잡아 당김으로써,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개봉 가능해지도록 구성된 척 장착 백 (포장 백) 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 문헌 3 의 척은 특허 문헌 1 이 갖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가 없고, 또, 척과 개봉 끈을 따로 따로 기재 필름에 시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효율 면에서도 매우 뛰어난 것이다.
그러나, 개봉 끈을 잡아 당겨 개봉할 때에, 기재 필름과 함께 띠 형상 기부도 찢지 않으면 안되어 개봉에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힘이 약한 사람에게 있어서는 개봉하기 어렵다고 지적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컷 테이프나 개봉 끈에 의해 백 소재의 정해진 위치를 찢음으로써 백을 개봉할 수 있기 때문에, 개봉 후의 백의 사용의 편리성이 나빠지는 등의 경우는 없지만, 시장의 요구 성능이 높아지는 것에 대응하기에는 아직도 개선의 여지를 남기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척 장착 백의 인열 개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척 및 척 장착 백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은, 서로 교합하는 1 쌍의 수 형상 돌기를 갖는 수형 부재와 암 형상 돌기를 갖는 암형 부재를 구비하고, 백에 장착되어 개봉 후의 상기 백의 재밀봉, 재개봉을 가능하게 하는 척으로서, 상기 수형 부재와 상기 암형 부재의 적어도 일방의 기부에 인열 유도편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인열 유도편이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기부로부터 박리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이 장착된 백은, 인열편을 잡아 당겨 백 소재를 찢음으로써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고, 또 수형 부재 또는 암형 부재의 기부에 대한 인열 유도편의 접합 상태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개봉에 필요한 힘을 최대한 저감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그 개봉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은 상기 백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백의 개봉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형 부재의 기부 및/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기부의 폭 방향 단부에 인열 유도편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단부와 상기 인열 유도편의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계면 박리가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인열 유도편은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계면 박리에 의해 척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척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척의 개구측의 백 소재를 인열하여 백을 개봉할 때의 저항감이 적고, 또 척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백 소재가 인열되도록, 그 인열 방향을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유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백의 개봉이 용이해짐과 함께, 개봉 후에 형성되는 개봉구가 형상 재현성 좋게 형성되고, 개봉 후의 백의 사용의 편리성이 나빠지는 등의 경우가 없다. 또한 인열 유도편은, 척과의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계면 박리에 의해 분리되기 때문에, 그 박리면에는 컷팅 스컴이 발생하는 경우도 없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은, 상기 인열 유도편이 설치된 상기 수형 부재의 기부 및/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기부가, 상기 인열 유도편과의 근접 부위에 길이 방향을 따른 두꺼운 부분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로써, 백 소재가 인열되는 방향이 척측을 향하여도, 교합부 근방까지 척이 인열되어, 척의 교합을 해제하여 재개봉시에 잡게 될 부분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그 인열 방향을 정상적인 방향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은 상기 수형 부재와 상기 암형 부재를 교합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 일방의 기부의 폭 방향의 길이가,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타방의 기부보다, 상기 백의 개봉측으로 돌출하여 길어지도록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 일방의 기부의 상기 연장된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수 형상 돌기 또는 상기 암 형상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에 인열 유도편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인열 유도편이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일방의 기부로부터 박리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인열 유도편은 박리에 의해 척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수형 부재 또는 암형 부재의 일방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척의 개구측의 백 소재를 인열하여 백을 개봉할 때의 저항감이 적고, 또 인열 유도편이 설치되는 부위를 수형 부재 또는 암형 부재의 타방보다 백의 개봉측으로 돌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수형 부재 또는 암형 부재의 타방에 방해받지 않고 척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백 소재가 인열되도록, 그 인열 방향을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유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백의 개봉이 용이해짐과 함께, 개봉 후에 형성되는 개봉구가 형상 재현성 좋게 형성되고, 개봉 후의 백의 사용의 편리성이 나빠지는 등의 경우가 없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은, 상기 인열 유도편은, 상기 인열 유도편이 설치되는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일방의 기부와의 박리 강도보다 강한 접착 강도로, 상기 백을 형성하는 소재에 히트 시일 가능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층을, 상기 백에 장착할 때의 상기 소재와의 대향면에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로써, 개봉시에 인열 유도편과 백 소재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유효하게 회피하여, 인열 유도편과 척의 박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은, 상기 인열 유도편의 박리 강도가 15N/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척으로부터 인열 유도편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을 줄여, 백 소재를 인열하는 힘이 실질적으로 개봉에 필요한 힘이 되기 때문에, 양호한 개봉감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인열 유도편은, 상기 인열 유도편이 설치되는 상기 수형 부재의 기부 및/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기부보다 높은 강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인열 유도편의 인장 탄성률이 상기 기부의 인장 탄성률의 1.3 ∼ 4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인열 유도편이 척으로부터 분리될 때에, 재료 파괴에 의해 파단되거나 하지 않고 박리가 양호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백 소재의 인열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은, 서로 교합하는 1 쌍의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를 구비한 척이 장착되고, 개봉 후의 재밀봉, 재개봉을 가능하게 한 척 장착 백으로서, 상기 척이 구비하는 상기 수형 부재의 기부 및/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기부의 백의 개봉측에 위치하는 폭 방향 단부에, 상기 단부와 상기 인열 유도편의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계면 박리가 가능해지도록 인열 유도편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백을 개봉할 때의 저항감이 적고, 또 척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백 소재가 인열되도록, 인열 유도편이 그 인열 방향을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유도하기 때문에, 백의 개봉이 용이해짐과 함께, 개봉 후에 형성되는 개봉구가 형상 재현성 좋게 형성되어 개봉 후의 백의 사용의 편리성이 나빠지는 등의 경우가 없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다른 척 장착 백은, 서로 교합하는 1 쌍의 수 형상 돌기를 갖는 수형 부재와 암 형상 돌기를 갖는 암형 부재를 구비한 척이 장착되고, 개봉 후의 재밀봉, 재개봉을 가능하게 한 척 장착 백으로서,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일방의 기부의 폭 방향의 길이가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타방의 기부보다 백의 개봉측으로 길어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일방의 기부가 연장된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수 형상 돌기 또는 상기 암 형상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에, 인열 유도편을 박리 가능하게 일체로 설치됨과 함께, 상기 인열 유도편이 백을 형성하는 소재의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타방이 접착되어 있는 면과 동일한 면에 접착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백을 개봉할 때의 저항감이 적고, 또 척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백 소재가 인열되도록, 인열 유도편이 그 인열 방향을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유도하기 때문에, 백의 개봉이 용이해짐과 함께, 개봉 후에 형성되는 개봉구가 형상 재현성 좋게 형성되어 개봉 후의 백의 사용의 편리성이 나빠지는 등의 경우가 없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다른 척 장착 백은,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일방의 기부가 연장된 부위의 단 가장자리를 따른 상기 수 형상 돌기 또는 상기 암 형상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을, 백을 형성하는 소재의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타방이 접착되어 있는 면과 동일한 면에 접착하여 척을 장착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로써, 내용물을 충전할 때에 척의 교합을 해제할 필요가 없고, 척의 교합 부위로의 내용물의 부착을 피할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박리에 의해 분리되도록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의 적어도 일방과 일체로 인열 유도편을 설치함으로써, 인열 유도편을 잡아 당겨 백 소재를 인열하는 것만으로 척이 장착된 백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고, 또 수형 부재 또는 암형 부재의 기부에 대한 인열 유도편의 접합 상태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개봉에 필요한 힘을 최대한 저감 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그 개봉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의 제 1 실시형태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의 제 1 실시형태에 탑 시일을 실시한 후의 상태에 있어서, 도 1 의 A-A 단면에 상당하는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의 제 1 실시형태를 개봉한 후의, 도 1 의 A-A 단면에 상당하는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척 장착 백의 개봉 수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탑 시일을 실시한 후의 상태에 있어서, 도 1 의 A-A 단면에 상당하는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의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개봉한 후의, 도 1 의 A-A 단면에 상당하는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은 척의 장착 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 1 의 A-A 단면에 상당하는 부위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의 개 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B-B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의 제 1 실시형태의 다른 변형예를 개봉한 후의, 도 8 의 B-B 단면에 상당하는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의 제 2 실시형태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의 제 2 실시형태에 탑 시일을 실시한 후의 상태에 있어서, 도 11 의 C-C 단면에 상당하는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의 제 2 실시형태를 개봉한 후의, 도 11 의 C-C 단면에 상당하는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 는 척 장착 백의 개봉 수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 는 척의 장착 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 11 의 C-C 단면에 상당하는 부위의 단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의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백 10a, 10b : 기재 필름
14 : 개봉구 2 : 척
2a : 수형 부재 21a : 기부
2b : 암형 부재 21b : 기부
211 : 연장 부위 23 : 인열 유도편
231 : 기재 232 : 히트 시일층
233 : 간극 24 : 볼록조 (두꺼운 부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의 제 1 실시형태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백 (1) 은, 척 (2) 이 히트 시일된 백 소재로서의 기재 필름 (10a, 10b) 을 제작하여 이루어지고, 보텀 시일 (31) 이 실시된 저부 (3) 를 접음선 (32) 에서 접은 상태에서, 측 가장자리를 따라 사이드 시일 (11) 을 실시함으로써 제조되는, 이른바 스탠딩 봉투이다.
또, 도시하는 예에서는 백 (1) 의 상부 가장자리는 미 (未) 시일부로 되어 있는데, 내용물이 충전된 후에 탑 시일 (13) 이 실시된다.
여기서 도 2 는 탑 시일 (13) 을 실시한 후의 상태에 있어서, 도 1 의 A-A 단면에 상당하는 부위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탑 시일 (13) 은, 백 (1) 의 상방에 장착된 척 (2) 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실시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척 (2)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를 구비하고 있다.
수형 부재 (2a) 는 테이프상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기부 (21a) 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 (21a) 의 일방의 면에는, 헤드부 (221a) 및 헤드부 (221a) 와 기부 (21a) 를 연결하는 연결부 (222a) 로 이루어지는 수 형상 돌기 (22a) 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은 연속적으로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부 (21a) 의 타방의 면이 기재 필름 (10a) 에 히트 시일되어 있다. 암형 부재 (2b) 도 동일하게 테이프상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기부 (21b) 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 (21b) 의 일방의 면에는 1 쌍의 훅부 (221b, 221b) 로 이루어지는 암 형상 돌기부 (22b) 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은 연속적으로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부 (21b) 의 타방의 면이 기재 필름 (10b) 에 히트 시일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척 (2) 은, 수 형상 돌기 (22a) 의 헤드부 (221a) 가 암 형상 돌기 (22b) 의 훅부 (221b, 221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끼워 넣음으로써, 수 형상 돌기 (22a) 와 암 형상 돌기 (22b) 가 서로 교합한다. 이로써, 척 (2) 에 의한 개봉 후의 백 (1) 의 취출구의 밀봉 (재밀봉) 이 가능해진다. 또, 척 (2) 의 교합 (수 형상 돌기 (22a) 와 암 형상 돌기 (22b) 의 교합) 을 해제하면, 백 (1) 의 취출구를 재개봉할 수 있다.
또한, 수 형상 돌기 (22a) 와 암 형상 돌기 (22b) 의 구체적인 형상은, 서로 쌍이 되어 교합하는 형상을 갖고 있으면, 도시하는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수형 부재 (2a) 및 암형 부재 (2b) 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 성 형하거나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의 교합성, 나아가서는 기재 필름 (10a, 10b) 과의 시일 강도나 히트 시일성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수지를 사용한 다층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기재 필름 (10a, 10b) 에는, 척 (2) (수형 부재 (2a) 및 암형 부재 (2b)) 과의 시일 강도나 히트 시일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와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필름 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백으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하여 다층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백 (1) 의 내면이 되는 내층을 척 (2) 에 대한 히트 시일층으로서 상기와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함과 함께, 백 (1) 의 외면이 되는 외층에 2 축 연신 나일론, 2 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을 적층하거나, 중간층으로서 알루미늄박이나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을 적층하거나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척 (2) 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부재 (2a) 의 기부 (21a)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단부 중, 기재 필름 (10a) 에 히트 시일된 상태에 있어서, 백 (1) 에 탑 시일 (13) 이 실시되는 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인열 유도편 (23) 이 연속적으로 일체가 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인열 유도편 (23) 은 직접적으로는 기재 (231) 와 수형 부재 (2a) 의 기부 (21a) 를 그 접합 계면에 있어서 계면 박리가 가능해지도록 접합시킴으로써, 수형 부재 (2a) 와 일체가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인열 유도편 (23) 과 수형 부재 (2a) 의 박리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15N/15㎜ 이하로 설정된다. 이 값을 초과하면, 응집 박리하여 컷팅 스컴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또 박리에 의해 수형 부재 (2a) 로부터 인열 유도편 (23) 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이 커져서, 양호한 개봉감이 얻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개봉시에 수형 부재 (2a) 로부터 인열 유도편 (23) 이 분리되지 않고, 인열 방향이 수형 부재 (2a) 를 향하여, 수형 부재 (2a) 의 기부 (21a) 가 인열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도 발생된다.
여기서, 인열 유도편 (23) 과 수형 부재 (2a) 의 박리 강도는, 접합된 상태에 있는 양자를 15㎜ 폭으로 절취하고, 측정 분위기 온도 23℃ 에서, 인장 시험기에 의해 인장 속도 200㎜/min 으로, 그 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양자를 벗겨내 갈 때의 최대 하중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 기재 (231) 의 기재 필름 (10a) 과 대향하는 면에는, 기재 필름 (10a) 에 대하여 히트 시일 가능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층 (232) 이 설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백 (1) 을 개봉할 때에 기재 필름 (10a) 이 인열되는 부분에, 인열 유도편 (23) 이 충분한 접착 강도를 가지고 접착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기재 필름 (10a) 과 인열 유도편 (23) 의 접착 강도는, 인열 유도편 (23) 과 수형 부재 (2a) 의 박리 강도보다 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개봉시에 인열 유도편 (23) 과 기재 필름 (10a) 이 박리되는 것을 유효하게 회피하고, 인열 유도편 (23) 과 수형 부재 (2a) 의 박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열 유도편 (23) 이 설치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척 (2) 은, 특수한 히트 시일바를 사용하지 않고, 종래 공지의 일반적인 척과 동일하게 히트 시일함으로써 백 (1) 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는 예에서는, 히트 시일층 (232) 은 인열 유도편 (23) 과 수형 부재 (2a) 의 박리를 방해하지 않도록, 수형 부재 (2a) 의 기부 (21a) 의 단부로부터 이간시킨 위치에 간극 (233) 이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기재 (231) 가 박리가 가능해지도록 수형 부재 (2a) 에 접합되고, 또한 기재 필름 (10a) 에 수형 부재 (2a) 와의 박리 강도보다 강한 접착 강도로 히트 시일할 수 있는 것이면, 히트 시일층 (232) 은 적절하게 생략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열 유도편 (23) 은, 예를 들어 수형 부재 (2a) 를 압출 성형할 때에, 일방의 폭 방향 단부에 인열 유도편 (23) 을 형성하는 재료를 압출 공급하거나 하여 공압출하도록 하여, 수형 부재 (2a) 의 성형과 동시에, 수형 부재 (2a) 와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기재 (231) 를 형성하는 수지에는, 수형 부재 (2a) 에 사용하는 수지와 상용성이 나쁜 수지를 적절하게 선택하고, 예를 들어 수형 부재 (2a) 에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재 (231) 에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수형 부재 (2a) 에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지에는, 개질제를 적절하게 첨가함으로써 양자가 계면 박리되도록, 양자의 박리 강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 히트 시일층 (232) 을 형성하는 수지에는, 기재 필름 (10a) 및 기재 (231) 에 대하여 충분한 접착 강도가 얻어지고, 백 (1) 을 개봉할 때에 이들 사이에 박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적절하게 선택한다. 예를 들어, 기재 필름 (10a) (또는 기재 필름 (10a) 의 수형 부재 (2a) 에 대한 히트 시일층) 에 폴리에틸렌, 기재 (231) 에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메탈로센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기재 필름 (10a) (또는 기재 필름 (10a) 의 수형 부재 (2a) 에 대한 히트 시일층) 에 폴리프로필렌, 기재 (231) 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등의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인열 유도편 (23) 은, 수형 부재 (2a) 로부터 분리할 때에 재료 파괴에 의해 파단되거나 하지 않고, 수형 부재 (2a) 와의 박리가 양호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기재 필름 (10a) 의 인열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수형 부재 (2a) 의 기부 (21a) 보다 높은 강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장 탄성률이 수형 부재 (2a) 의 기부 (21a) 의 인장 탄성률의 1.3 ∼ 4 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인열 유도편 (23) 의 인장 탄성률은 300 ∼ 250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인열 유도편 (23) 의 굽힘 탄성률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개봉시에 인열 유도편 (23) 이 접혀서 개봉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인열 유도편 (23) 의 굽힘 탄성률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않으면, 인열 유도편 (23) 의 강성이 불충분해져, 수형 부재 (2a) 와의 박리나 기재 필름 (10a) 의 인열에 지장을 초래한다.
또한, 인열 유도편 (23) 이 파단되어 개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기재 필름 (10a) 의 재료나 연신의 정도 등에 따라서는, 인열 유도편 (23) 과 접착되어 있는 부분을 따라 기재 필름 (10a) 이 인열되지 않고, 기재 필름 (10a) 이 인열되는 방향이 수형 부재 (2a) 와 접착되어 있는 부분을 향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기재 필름 (10a) 과 함께 수형 부재 (2a) 가 인열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사태를 회피하기 위하여, 도시하는 예에서는, 수형 부재 (2a) 의 기부 (21a) 에 있어서의 인열 유도편 (23) 과의 근접 부위에, 수형 부재 (2a) 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볼록조 (24) 를 형성하여, 당해 부위를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하고 있다. 이로써, 비록, 기재 필름 (10a) 이 인열되는 방향이 수형 부재 (2a) 와 접착되어 있는 부분을 향하여, 수형 부재 (2a) 의 일부가 인열되었다 하더라도, 볼록조 (24) 에 의해 수형 부재 (2a) 가 그 이상 인열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기재 필름 (10a) 의 인열 방향을 정상적인 방향, 즉 인열 유도편 (23) 과 접착되어 있는 부분을 따른 방향으로 되돌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는 예에서는 1 개의 볼록조 (24) 를 형성하고 있는데, 볼록조 (24) 는 복수 형성할 수도 있다. 인열 유도편 (23) 과의 근접 부위에 두꺼운 부분이 존재함으로써, 기재 필름 (10a) 의 인열 방향으로 어긋남이 발생하였을 때에 척 (2) (수형 부재 (2a)) 이 인열되어 교합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함과 함 께, 기재 필름 (10a) 의 인열 방향을 정상적인 방향으로 수정할 수 있는 것이면, 두꺼운 부분의 구체적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척 (2) 을 구비한 백 (1) 은, 인열 유도편 (23) 을 잡아 당겨 기재 필름 (10a) 의 인열 유도편 (23) 과 접착되어 있는 부분을 인열함으로써 개봉된다. 당해 부분이 인열된 후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물의 취출구가 되는 개봉구 (14) 가 형성되고, 척 (2) 의 교합을 해제함으로써 내용물의 출입이 가능해진다. 또, 척 (2) 을 교합시키면 백 (1) 을 재밀봉할 수 있고, 백 (1) 을 개봉한 후에는 척 (2) 에 의해 취출구를 닫거나 열거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백 (1) 을 개봉함에 있어서, 인열 유도편 (23) (기재 (231)) 은,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계면 박리에 의해 수형 부재 (2a) 로부터 분리되도록, 수형 부재 (2a) 의 기부 (21a) 의 단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개봉시의 저항감이 적고, 또 척 (2)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기재 필름 (10a) 이 인열되도록, 그 인열 방향을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유도할 수 있다.
이로써, 백 (1) 의 개봉이 용이해짐과 함께, 개봉 후에 형성되는 개봉구 (14) 가 형상 재현성 좋게 형성되어, 개봉 후의 백 (1) 의 사용의 편리성이 나빠지는 등의 경우가 없다. 또한, 인열 유도편 (23) 은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계면 박리에 의해 수형 부재 (2a) 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그 박리면에는 전술한 특허 문헌 1 과 같은 컷팅 스컴이 발생하는 경우도 없다.
여기서, 인열 유도편 (23) 에 의해 기재 필름 (10a) 을 인열하여 백 (1) 을 개봉하는 구체적 수단의 일례를 도 4 에 나타낸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인열 유도편 (23) 이 위치하는 사이드 시일 (11) 이 실시된 부분에, 당해 부분을 관통하여 파지편 (12) 이 형성되도록 하프 커트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 때, 파지편 (12) 의 일부를 이루는 기재 필름 (10b) 이 기재 필름 (10b) 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잘려 나감과 함께, 파지편 (12) 의 일부를 이루는 기재 필름 (10a) 이 기재 필름 (10a) 의 개봉시에 인열되는 부분 이외로부터 잘려 나가도록 하고, 잘려 나간 이들 기재 필름 (10a, 10b) 에 의해 인열 유도편 (23) 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파지편 (12) 이 형성되도록 한다.
파지편 (12) 을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편 (12) 을 쥐고 인열 유도편 (23) 을 잡아 당김으로써, 인열 유도편 (23) 에 의해 기재 필름 (10a) 이 인열되어 개봉구 (14) 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 (a) 는 인열 유도편 (23) 에 의해 기재 필름 (10a) 을 인열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4 (b) 는 인열 유도편 (23) 을 잡아 당긴 상태의 요부 확대도이다. 또, 도시하는 예에서는, 수형 부재 (2a) 의 기부 (21a) 및 암형 부재 (2b) 의 기부 (21b) 의 일부가 절취되고, 파지편 (12) 의 하방에 있어서 기재 필름 (10a, 10b) 사이에 끼인 상태가 되어 있는데, 이 절취된 기부 (21a, 21b) 의 일부는 파지편 (12) 의 개봉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계면 박리에 의해 척 (2) 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척 (2) 과 일체로 인열 유도편 (23) 을 설치함으로써, 척 (2) 의 개구측의 백 소재를 인열하여 백 (1) 을 개봉시의 저항감이 적고, 또 인열 유도편 (23) 이, 척 (2)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백 소재가 인열되도록, 그 인열 방향을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유도하도록 기능하기 때문에, 백 (1) 의 개봉이 용이해짐과 함께, 개봉 후에 형성되는 개봉구 (14) 가 형상 재현성 좋게 형성되고, 개봉 후의 백 (1) 의 사용의 편리성이 나빠지는 등의 경우가 없다.
또한 인열 유도편 (23) 은 척 (2) 과의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계면 박리에 의해 분리되기 때문에, 그 박리면에는 컷팅 스컴이 발생하는 경우도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고, 다음과 같은 변경 실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인열 유도편 (23) 에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부재 (2a) 의 기부 (21a) 와 접합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부재 (25) 를 설치해도 된다.
이 때, 인열 유도편 (23) 이, 수형 부재 (2a) 의 기부 (21a) 에 대한 것과 동일한 접합 상태에서, 즉 접합 계면에 있어서 계면 박리가 가능해지도록, 바람직하게는 15N/15㎜ 이하의 박리 강도로, 가이드 부재 (25) 와 연속적으로 일체가 되도록 한다. 또, 인열 유도편 (23) 이 히트 시일층 (232) 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히트 시일층 (232) 과 가이드 부재 (25) 사이에는 동일한 간극 (233) 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 가이드 부재 (25) 는 수형 부재 (2a) 와 동일한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인열 유도편 (23) 과 함께 공압출하도록 하여 수형 부재 (2a) 의 성형과 동시에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 (25) 에 사용하는 수지 재료는 수형 부재 (2a) 와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인열 유도편 (23) 이 척 (2) 과 거의 평행하게 기재 필름 (10a) 을 인열하는 것이 방해받지 않도록, 가이드 부재 (25) 를 인열 유도편 (23) 에 접합시킬 수 있으면, 가이드 부재 (25) 에 사용하는 수지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 (25) 를 형성함으로써, 인열 유도편 (23) 을 잡아 당겨 기재 필름 (10a) 을 인열할 때에, 기재 필름 (10a) 이 인열되는 방향이 탑 시일 (13) 측을 향하는 것을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특히, 도 5 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인열 유도편 (23) 이 히트 시일층 (232) 을 구비하고, 그 폭 방향 양단에 간극 (233) 이 형성되도록 하였을 경우에는, 이 간극 (233) 을 따라 기재 필름 (10a) 이 인열되도록, 기재 필름 (10a) 의 인열 방향을 기재 필름 (10a) 이 인열 유도편 (23) 과 접착되어 있는 부분을 따른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 5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수형 부재 (2a) 의 기부 (21a) 에 인열 유도편 (23) 과 함께 가이드 부재 (25) 를 설치함에 있어서, 암형 부재 (2b) 의 기부 (21b) 의 폭 방향의 길이를 탑 시일 (13) 측으로 연장하고, 그 탑 시일 (13) 측의 단 가장자리 부분이, 인열 유도편 (23) 과 시일 부재 (25) 와 겹쳐지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인열 유도편 (23) (또는 인열 유도편 (23) 의 기재 (231)) 이 반대측의 기재 필름 (10b) 에 접촉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당해 연장 부분은 적어도 인열 유도편 (23) 과 겹쳐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인열 유도편 (23) 에 의해 백 (1) 의 기재 필름 (10a) 을 용이하게 인열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가능하게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즉, 통상, 척 (2) 의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를 각각 백 (1) 의 기재 필름 (10a, 10b) 과 강고하게 히트 시일시키기 위하여, 척 (2)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과 백 (1) (기재 필름 (10a, 10b)) 은 화학적으로 동종의 재료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기재 필름 (10a, 10b) (또는 기재 필름 (10a, 10b) 에 적층되는 도시하지 않은 히트 시일층) 으로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메탈로센계 촉매로 중합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척 (2) 의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인열 유도편 (23) 의 기재 (231) 로서 폴리프로필렌을 각각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합으로 수지 재료를 선택하였을 경우에, 인열 유도편 (23) 의 기재 (231) 가 반대측의 기재 필름 (10b) 에 접촉한 상태에 있으면, 백 (1) 의 사이드 시일 (11) 의 근방에서, 인열 유도편 (23) 의 기재 (231) 가 반대측의 기재 필름 (10b) (또는 기재 필름 (10a, 10b) 에 적층되는 도시하지 않은 히트 시일층) 과 강고하게 접착된다. 이로써, 인열 유도편 (23) 에 의한 기재 필름 (10a) 의 인열이 곤란해지고, 현저한 경우에는 백 (1) 을 개봉할 수 없게 되는데, 인열 유도편 (23) 의 기재 (231) 가 반대측의 기재 필름 (10b) 에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도 5 는, 이러한 예에 있어서 도 2 와 동일하게, 탑 시일 (13) 을 실시한 후의 상태에 있어서, 도 1 의 A-A 단면에 상당하는 부위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 은 기재 필름 (10a) 의 인열 유도편 (23) 과 접착되어 있는 부분을 인열하여 백 (1) 을 개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열 유도편 (23) 은 수형 부재 (2a) 측에 설치되어 있는데, 인열 유도편 (23) 은 암형 부재 (2b) 측에 설치해도 된다. 또,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의 양방에 인열 유도편 (23) 을 설치하고 백 (1) 의 표면측 (기재 필름 (10a) 측) 과 이면측 (기재 필름 (10b) 측) 의 어느 쪽으로부터도 개봉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도 2 에 나타내는 예와는 반대로 해도 되고, 이 경우에는 인열 유도편 (23) 은 암형 부재 (2b) 측에 설치하게 된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척 (2) 의 수형 부재 (2a) 를 기재 필름 (10a) 에, 암형 부재 (2b) 를 기재 필름 (10b) 에 각각 시일함으로써 백 (1) 에 척 (2) 이 장착되도록 하고 있는데, 척 (2) 의 장착 수단은 이러한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장착 수단을 채용할 수도 있다.
즉, 기재 필름 (10a) 에 수형 부재 (2a) 를 히트 시일함과 함께, 이보다 기재 필름 (10a) 의 백 (1) 의 상부 가장자리측에 상당하는 위치에, 연장된 암형 부재 (2b) 의 기부 (21b) 에 있어서의 암 형상 돌기부 (22b) 가 설치된 측의 면의 단 가장자리측을 히트 시일함으로써 장착해도 된다.
이러한 장착 수단에 의하면, 암형 부재 (2b) 와 기재 필름 (10b) 사이로부터 내용물을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백 (1) 에 내용물을 충전할 때에 척 (2) 의 교합 을 해제할 필요가 없고, 척 (2) 의 교합 부위로의 내용물의 부착을 피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착 수단은, 내용물의 충전구가 한정되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스탠딩 백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7 은 도 2 와 동일하게, 탑 시일 (13) 을 실시한 후의 상태에 있어서, 도 1 의 A-A 단면에 상당하는 부위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이 예에서는, 암형 부재 (2b) 와 기재 필름 (10b) 사이로부터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탑 시일 (13) 이 실시된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도 7 에 나타내는 예와는 반대로 해도 된다. 또한 도 5 에 나타낸 예와 같이, 가이드 부재 (25) 를, 인열 유도편 (23) 의 히트 시일층 (232) 과의 사이에 공극 (233) 이 형성되도록 하여, 인열 유도편 (23) 과 일체로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보다 똑바로 백 (1) 을 개봉하기 쉬워진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의 형상은 스탠딩 백에 한정하지 않고,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평봉투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백 (1) 은, 백 (1) 의 상부 가장자리에 탑 시일 (13) 이 실시됨과 함께 측 가장자리를 따라 사이드 시일 (11) 이 실시되어 있고, 백 (1) 의 하부 가장자리의 미 시일부로부터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백 (1) 의 하부 가장자리가 시일된다.
또한, 도 9 는 도 8 의 B-B 단면도이며,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의 양쪽 모두에 인열 유도편 (23) 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예에 있어서도, 인열 유도편 (23) 은 수형 부재 (2a) 또는 암형 부재 (2b) 의 일방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 다. 또한,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도, 도 9 에 나타내는 예와 반대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 에 나타내는 2 개의 인열 유도편 (23) 의 각각에 대하여, 도 5 에 나타낸 예와 같이, 가이드 부재 (25) 를, 인열 유도편 (23) 의 히트 시일층 (232) 과의 사이에 공극 (233) 이 형성되도록 하고, 인열 유도편 (23) 과 일체로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보다 똑바로 백 (1) 을 개봉하기 쉬워진다.
또, 백 (1) 의 개봉 수단도 상기의 실시형태의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1) 의 측 가장자리의 상방에 좌우 1 쌍의 노치 (12) 를 설치함과 함께, 이 1 쌍의 노치 (12) 를 연결하는 선을, 인열 유도편 (23) 의 박리 부위와 일치시킴으로써, 노치 (12) 를 이용하여 백 (1) 의 기재 필름 (10a, 10b) 의 인열이 개시되도록 하고, 척 (2)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기재 필름 (10a, 10b) 이 인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 참조).
이러한 개봉 수단을 채용하는 경우에도, 인열 유도편 (23) 은 수형 부재 (2a) 또는 암형 부재 (2b) 의 일방에 설치하도록 할 수 있고, 또 노치 (12) 는 인열 유도편 (23) 의 박리 부위와 동일선 상에 있으면, 백 (1) 의 측 가장자리의 좌우 중 일방만으로 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1 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을 나 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백 (1) 은, 척 (2) 이 히트 시일된 백 소재로서의 기재 필름 (10a, 10b) 을 백으로 제작하여 이루어지고, 보텀 시일 (31) 이 실시된 저부 (3) 를 접음선 (32) 에서 접은 상태에서, 측 가장자리를 따라 사이드 시일 (11) 을 실시함으로써 제조되는 이른바 스탠딩 백이다.
또, 도시하는 예에서는, 백 (1) 의 상부 가장자리는 미 시일부로 되어 있는데, 내용물이 충전된 후에 탑 시일 (13) 이 실시된다.
여기서, 도 12 는 탑 시일 (13) 을 실시한 후의 상태에 있어서, 도 11 의 C-C 단면에 상당하는 부위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암형 부재 (2b) 와 기재 필름 (10b) 사이로부터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탑 시일 (13) 이 실시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척 (2) 은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를 구비하고 있다.
수형 부재 (2a) 는 테이프상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기부 (21a) 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 (21a) 의 일방의 면에는, 헤드부 (221a) 및 헤드부 (221a) 와 기부 (21a) 를 연결하는 연결부 (222a) 로 이루어지는 수 형상 돌기 (22a) 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연속적으로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암형 부재 (2b) 도 동일하게, 테이프상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기부 (21b)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기부 (21b) 의 일방의 면에는, 1 쌍의 훅부 (221b, 221b) 로 이루어지는 암 형상 돌기 (22b) 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도 연속적으로 일체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척 (2) 은, 수 형상 돌기 (22a) 의 헤드부 (221a) 를 암 형상 돌기 (22b) 의 훅부 (221b, 221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끼워 넣음으로써, 수 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가 서로 교합된다. 이로써, 척 (2) 에 의한 개봉 후의 백 (1) 의 취출구의 밀봉 (재밀봉) 이 가능해진다. 또, 척 (2) 의 교합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의 교합) 을 해제하면, 백 (1) 의 취출구를 재개봉할 수 있다.
또한, 수 형상 돌기 (22a) 와 암 형상 돌기 (22b) 의 구체적인 형상은, 서로 쌍이 되어 교합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도시하는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척 (2) 은,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를 교합시켜 백 (1) 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부재 (2b) 의 기부 (21b) 의 폭 방향의 길이가, 수형 부재 (2a) 의 기부 (21a) 보다, 백 (1) 에 탑 시일 (13) 이 실시되는 측으로 돌출하여 길어지도록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장 부위 (211) 에 있어서의 암 형상 돌기 (22b) 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에는, 암형 부재 (2b) 에 대하여 박리 가능한 인열 유도편 (23) 이 암형 부재 (2b)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가 되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시하는 예에서는, 인열 유도편 (23) 은, 암형 부재 (2b) 의 기부 (21b) 의 연장 부위 (211) 측의 단 가장자리로부터 이간되어 설치되어 있고, 암형 부재 (2b) 의 기부 (21b) 의 연장 부위 (211) 측의 단 가장자리를 따라 기재 필름 (10a) 과의 히트 시일면이 확보되어 있다.
인열 유도편 (23) 을 암형 부재 (2b) 의 기부 (21b) 에 설치함에 있어서, 인열 유도편 (23) 과 기부 (21b) 의 박리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15N/15㎜ 이하로 설정된다. 이 값을 초과하면, 박리에 의해 기부 (21b) 로부터 인열 유도편 (23) 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이 커져서, 양호한 개봉감이 얻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연장 부위 (211) 도 인열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도 발생한다.
또, 인열 유도편 (23) 의 박리는 계면 박리, 응집 박리 중 어느 쪽이어도 되지만 전자가 바람직하고, 계면 박리에 의하면, 인열 유도편 (23) 을 기부 (21b) 로부터 분리한 후의 박리면에 박리 컷팅 스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인열 유도편 (23) 과 기부 (21b) 의 박리 강도는, 접합된 상태에 있는 양자를 15㎜ 폭으로 절취하고, 측정 분위기 온도 23℃ 에서, 인장 시험기에 의해 인장 속도 200㎜/min 으로, 그 폭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양자를 벗겨내 갈 때의 최대 하중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 도시하는 예에 있어서, 인열 유도편 (23) 은, 암형 부재 (2b) 의 기부 (21b) 와의 접합면과는 반대측의 면, 즉 기재 필름 (10a) 과의 대향면에, 기재 필름 (10a) 에 대하여 히트 시일 가능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층 (232) 을 구비하고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백 (1) 을 개봉할 때에 기재 필름 (10a) 이 인열되는 부분에, 인열 유도편 (23) 이 충분한 접착 강도로 접착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기재 필름 (10a) 과 인열 유도편 (23) 의 접착 강도는, 인열 유도편 (23) 과 암형 부재 (2b) 의 박리 강도보다 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개봉시에 인열 유도편 (23) 과 기재 필름 (10a) 이 박리되는 것을 유효하게 회피하고, 인열 유도편 (23) 과 기부 (21b) 의 박리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열 유도편 (23) 이 설치된 척 (2) 은, 수형 부재 (2a) 의 기부 (21a) 의 수 형상 돌기 (22a) 가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과, 암형 부재 (2b) 의 기부 (21b) 의 연장 부위 (211) 의 단 가장자리를 따른 암 형상 돌기 (22b) 가 형성된 측의 면이, 기재 필름 (10a) 의 동일한 면에 히트 시일됨으로써 백 (1) 에 장착되고, 이 때 인열 유도편 (23) 도 동일하게 기재 필름 (10a) 에 히트 시일된다.
이와 같이 하여 척 (2) 을 백 (1) 에 장착하면, 암형 부재 (2b) 와 기재 필름 (10b) 사이로부터 내용물을 충전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백 (1) 에 내용물을 충전할 때에 척 (2) 의 교합을 해제할 필요가 없고, 척 (2) 의 교합 부위로의 내용물의 부착을 피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착 수단은, 내용물의 충전구가 한정되는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스탠딩 백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인열 유도편 (23) 이, 박리 가능하게 기부 (21b) 에 접합되고, 또한 기재 필름 (10a) 에 암형 부재 (2b) 와의 박리 강도보다 강한 접착 강도로 히트 시일할 수 있는 것이면, 히트 시일층 (232) 은 적절하게 생략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형 부재 (2a) 및 암형 부재 (2b) 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 성형하거나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의 교합성, 나아가서는 기재 필름 (10a, 10b) 과의 시일 강도나 히트 시일성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수지를 사용한 다층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기재 필름 (10a, 10b) 에는, 척 (2) (수형 부재 (2a) 및 암형 부재 (2b)) 과의 시일 강도나 히트 시일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와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를 필름 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백으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하여 다층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백 (1) 의 내면이 되는 내층을 척 (2) 에 대한 히트 시일층으로서 상기와 동일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함과 함께, 백 (1) 의 외면이 되는 외층에 2 축 연신 나일론, 2 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을 적층하거나, 중간층으로서 알루미늄박이나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을 적층하거나 할 수 있다.
또, 인열 유도편 (23) 이나 히트 시일층 (232) 은, 예를 들어 암형 부재 (2b) 를 압출 성형할 때에, 이들을 형성하는 재료를 압출 공급하거나 하여 공압출하도록 하여, 암형 부재 (2b) 의 성형과 동시에 암형 부재 (2b) 와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인열 유도편 (23) 을 형성하는 수지에는, 암형 부재 (2b) 에 사용하는 수지와 상용성이 나쁜 수지를 적절하게 선택하고, 예를 들어 암형 부재 (2b) 에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암형 부재 (2b) 에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수지에는, 개질제를 적절하게 첨가함으로써 양자의 박리 강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 히트 시일층 (232) 을 형성하는 수지에는, 기재 필름 (10a) 및 인열 유도편 (23) 에 대하여 충분한 접착 강도가 얻어지고, 백 (1) 을 개봉할 때에 이들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적절하게 선택한다. 예를 들어, 기재 필름 (10a) (또는 척 (2) 에 대한 히트 시일층) 에 폴리에틸렌, 인열 유도편 (23) 에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메탈로센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기재 필름 (10a) (또는 척 (2) 에 대한 히트 시일층) 에 폴리프로필렌, 인열 유도편 (23) 에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등의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그것을 함유하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인열 유도편 (23) 은, 암형 부재 (2b) 로부터 분리할 때에 재료 파괴에 의해 파단되거나 하지 않고, 암형 부재 (2b) 와의 박리가 양호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기재 필름 (10a) 의 인열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암형 부재 (2b) 의 기부 (21b) 보다 높은 강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장 탄성률이 수형 부재 (2a) 의 기부 (21a) 의 인장 탄성률의 1.3 ∼ 4 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인열 유도편 (23) 의 인장 탄성률은 300 ∼ 250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인열 유도편 (23) 의 인장 탄성률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개봉시에 인열 유도편 (23) 이 접혀서, 개봉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인열 유도편 (23) 의 인장 탄성률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지 않으면, 인열 유도편 (23) 의 강성이 불충분해져 수형 부재 (2a) 와의 박리나 기재 필름 (10a) 의 인열에 지장을 초래한다.
또한 인열 유도편 (23) 이 파단되어 개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 가 발생한다.
이러한 척 (2) 을 구비한 백 (1) 은, 인열 유도편 (23) 을 잡아 당겨, 기재 필름 (10a) 의 인열 유도편 (23) 과 접착되어 있는 부분을 인열함으로써 개봉된다. 당해 부분이 인열된 후에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물의 취출구가 되는 개봉구 (14) 가 형성되고, 척 (2) 의 교합을 해제함으로써 내용물의 출입이 가능해진다. 또, 척 (2) 을 교합시키면 백 (1) 을 재밀봉할 수 있고, 백 (1) 을 개봉한 후에는, 척 (2) 에 의해 취출구를 닫거나 열거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백 (1) 을 개봉함에 있어서, 인열 유도편 (23) 은, 박리에 의해 암형 부재 (2b) 로부터 분리되도록, 암형 부재 (2b) 의 기부 (21b) 연장 부위 (211) 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일체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개봉시의 저항감이 적고, 또 수형 부재 (2a) 에 방해받지 않고, 척 (2)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기재 필름 (10a) 이 인열되도록, 그 인열 방향을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유도할 수 있다.
이로써, 백 (1) 의 개봉이 용이해짐과 함께, 개봉 후에 형성되는 개봉구 (14) 가 형상 재현성 좋게 형성되고, 개봉 후의 백 (1) 의 사용의 편리성이 나빠지는 등의 경우가 없다.
여기서, 인열 유도편 (23) 에 의해 기재 필름 (10a) 을 인열하여 백 (1) 을 개봉하는 구체적 수단의 일례를 도 14 에 나타낸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인열 유도편 (23) 이 위치하는 사이드 시일 (11) 이 실시된 부분에, 당해 부분을 관통하여 파지편 (12) 이 형성되도록 하프 커트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이 때, 파지편 (12) 의 일부를 이루는 기재 필름 (10b) 이 기재 필름 (10b) 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잘려 나감과 함께, 파지편 (12) 의 일부를 이루는 기재 필름 (10a) 이 기재 필름 (10a) 의 개봉시에 인열되는 부분 이외로부터 잘려 나가도록 하고, 잘려 나간 이들 기재 필름 (10a, 10b) 에 의해 인열 유도편 (23) 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파지편 (12) 이 형성되도록 한다.
파지편 (12) 을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지편 (12) 을 쥐고 인열 유도편 (23) 을 잡아 당김으로써, 인열 유도편 (23) 에 의해 기재 필름 (10a) 이 인열되어 개봉구 (14) 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는 예에서는, 암형 부재 (2b) 의 기부 (21b) 의 일부가 절취되고, 인열 유도편 (23) 과 함께 기재 필름 (10a, 10b) 에 끼인 상태가 되어 있는데, 이 절취된 기부 (21b) 의 일부는 파지편 (12) 의 개봉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박리에 의해 분리되도록 수형 부재 (2a) 또는 암형 부재 (2b) 의 일방과 일체로 인열 유도편 (23) 을 설치함으로써, 척 (2) 의 개구측의 백 소재를 인열하여 백 (1) 을 개봉시의 저항감을 줄일 수 있다. 또, 인열 유도편 (23) 을 설치하는 부위를, 수형 부재 (2a) 또는 암형 부재 (2b) 의 타방보다 백 (1) 의 개봉측으로 돌출시키고 있기 때문에, 수형 부재 (2a) 또는 암형 부재 (2b) 의 타방에 방해받지 않고, 인열 유도편 (23) 이, 척 (2) 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백 소재가 인열되도록, 그 인열 방향을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유도하도록 기능한다.
이 때문에, 백 (1) 의 개봉이 용이해짐과 함께, 개봉 후에 형성되는 개봉구 (14) 가 형상 재현성 좋게 형성되고, 개봉 후의 백 (1) 의 사용의 편리성이 나빠지는 등의 경우가 없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고, 다음과 같은 변경 실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열 유도편 (23) 은 암형 부재 (2b) 측에 설치되어 있는데, 인열 유도편 (23) 을 수형 부재 (2a) 측에 설치하고, 암형 부재 (2b) 와 수형 부재 (2a) 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예와는 반대로 해도 된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를 기재 필름 (10a) 에 히트 시일함으로써 백 (1) 에 척 (2) 이 장착되도록 하고 있는데, 척 (2) 의 장착 수단은 이러한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부재 (2a) 를 기재 필름 (10a) 에, 암형 부재 (2b) 를 기재 필름 (10b) 에 각각 시일함으로써, 백 (1) 에 척 (2) 을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도 15 는 도 12 와 동일하게, 탑 시일 (13) 을 실시한 후의 상태에 있어서, 도 11 의 C-C 단면에 상당하는 부위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탑 시일 (13) 은, 백 (1) 의 상방에 장착된 척 (2) 과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실시된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도 15 에 나타내는 예와는 반대로 해도 된 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척 장착 백의 형상은 스탠딩 백으로 한정하지 않고,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평봉투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도 16 에 나타내는 백 (1) 은, 백 (1) 의 상부 가장자리에 탑 시일 (13) 이 실시됨과 함께 측 가장자리를 따라 사이드 시일 (11) 이 실시되어 있고, 백 (1) 의 하부 가장자리의 미 시일부로부터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백 (1) 의 하부 가장자리가 시일된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밀도 926㎏/㎥, MFR 1.5g/10min 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융점 110℃) 을 용융 압출하여 수형 부재를 압출 성형하면서, 기재에 밀도 900㎏/㎥, MFR 7.0g/10min 의 랜덤 폴리프로필렌 (융점 134℃), 히트 시일층에 밀도 900㎏/㎥, MFR 4.0g/10min 의 메탈로센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고, 이들을 백의 개봉측이 되는 수형 부재의 일방의 폭 방향 단부에 압출하여 공급하고, 수형 부재의 성형과 동시에 인열 유도편을 수형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인열 유도편을 구비한 수형 부재를 얻었다. 이 때, 인열 유도편의 히트 시일층은, 수형 부재의 기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도록 0.6㎜ 이간시켜 형성하였다.
동일하게 하여 인열 유도편을 구비한 암형 부재를 성형하고, 1 쌍의 수형 부재와 암형 부재를 구비한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척 테이프를 얻었다.
또한, 수형 부재 및 암형 부재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인열 유도편과 수형 부재 또는 암형 부재의 기부와의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는 4N/15㎜ 이며, 인열 유도편의 인장 탄성률은 813㎫ 이었다. 또, 수형 부재 및 암형 부재의 기부는 모두 인장 탄성률이 237㎫ 이었다.
상기 척 테이프와 2 축 연신 나일론 필름 (15㎛) 과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50㎛) 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하여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을 사용하여, 상기 척 테이프의 인열 유도편이 설치된 측이 개봉측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기재 필름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측이 내면이 되도록 하여, 척 장착 3 방 제대기 (制袋機) 로 제작함과 함께, 척 테이프와 인열 유도편의 접합 부위와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백의 측 가장자리에 새김눈 (노치) 을 형성하고, 도 8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척 장착 백을 얻었다.
또한, 기재 필름과 인열 유도편의 접착 강도는 30N/15㎜ 이었다.
[실시예 2]
수형 부재에만 인열 유도편을 형성하고, 개봉 수단으로서 도 4 에 나타내는 것을 채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척 장착 백을 얻었다.
[비교예 1]
특허 문헌 1 의 실시예 1 에 따라 척 테이프를 얻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척 장착 백을 얻었다.
또한, 백의 측 가장자리에 형성하는 새김눈의 위치는, 커트 용이성 수지층의 폭 방향 중앙으로 하였다.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에서 얻어진 척 장착 백을, 백의 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새김눈으로부터 표리 양면의 기재 필름을 인열함으로써 개봉하고, 그 때의 인열 저항에 대한 관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 개봉 후의 척 테이프의 노출면을 관찰하여, 컷팅 스컴의 유무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2 에서 얻어진 척 장착 백에 관해서는, 파지편을 쥐고 인열 유도편을 잡아 당김으로써, 인열 유도편이 접착된 기재 필름을 인열하여, 개봉하였을 때의 인열 저항, 컷팅 스컴의 유무에 대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이하와 같다.
인열 저항 컷팅 스컴 종합 평가
실시예1
실시예 2
비교예 1 × ×
[평가 기준]
(1) 인열 저항
○ : 저항감 없이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어, 개봉감이 양호하였다.
× : 저항감이 있어 개봉감이 나빴다.
(2) 컷팅 스컴(cutting scum)
○ : 컷팅 스컴이 관찰되지 않았다.
× : 컷팅 스컴이 관찰되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형 부재 (2a) 와 암형 부재 (2b) 의 적어도 일방의 기부 (21a, 21b) 에 인열 유도편 (23) 이 일체로 설치되고, 인열 유도편 (23) 이 수형 부재 (2a) 또는 암형 부재 (2b) 의 기부 (21a, 21b) 로부터 박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그리고, 이러한 척 (2) 이 장착된 백 (1) 은, 인열편 (23) 을 잡아 당겨 백 소재를 인열함으로써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고, 또, 수형 부재 (2a) 또는 암형 부재 (2b) 의 기부 (21a, 21b) 에 대한 인열 유도편 (23) 의 접합 상태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개봉에 필요한 힘을 최대한 저감시키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그 개봉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의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척 (2) 을 백 (1) 에 장착함에 있어서, 백 소재로서의 기재 필름 (10a, 10b) 에 척 (2) 을 히트 시일 하도록 하고 있는데, 척 (2) 및 인열 유도편 (23) 의 백 소재와의 접착면에 접착제를 도공하여 백 소재에 접착하도록 해도 된다. 척 (2) 을 접착제에 의해 백 소재에 접착되도록 하면, 히트 시일성이 없는 종이 등도 백 소재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인열 유도편 (23) 에 히트 시일층 (232) 을 형성할 필요는 특별히 없다.
또, 상기한 어느 예에 있어서도, 척 (2) 은 도시한 바와 같은 1 쌍의 수 형상 돌기 (22a) 와 암 형상 돌기 (22b) 를 구비한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수 형상 돌기 (22a) 와 암 형상 돌기 (22b) 의 쌍을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 쌍의 수 형상 돌기 (22a) 와 암 형상 돌기 (22b) 는 각각 동일한 기부 (21a, 21b) 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인열 유도편 (23) 을 설치한 척 (2) 과는 별도로, 인열 유도편 (23) 이 설치되지 않은 척을 준비하고, 인열 유도편 (23) 을 설치한 척 (2) 이 백 (1) 의 개봉측에 위치하도록 이들을 백 (1) 에 병설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합식의 척을 내용물의 출입구에 구비함으로써,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게 한 척 장착 백에 널리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서로 교합하는 1 쌍의 수 형상 돌기를 갖는 수형 부재와 암 형상 돌기를 갖는 암형 부재를 구비하고, 백에 장착되어 개봉 후의 상기 백의 재밀봉, 재개봉을 가능하게 하는 척으로서,
    상기 수형 부재와 상기 암형 부재의 적어도 일방의 기부에 인열 유도편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인열 유도편이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기부로부터 박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백의 개봉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형 부재의 기부 및/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기부의 폭 방향 단부에 인열 유도편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단부와 상기 인열 유도편의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계면 박리가 가능한 척.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유도편이, 상기 인열 유도편이 설치되는 상기 수형 부재의 기부 및/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기부와의 박리 강도보다 강한 접착 강도로, 상기 백을 형성하는 소재에 히트 시일 가능한 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열 유도편이 설치되는 상기 수형 부재의 기부 및/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기부와 이간하여 설치되어 있는 히트 시일층을, 상기 백에 장착할 때의 상기 소재와의 대향면에 구비하고 있는 척.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유도편이 설치된 상기 수형 부재의 기부 및/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기부가, 상기 인열 유도편과의 근접 부위에 길이 방향을 따른 두꺼운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척.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와 상기 암형 부재를 교합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일방의 기부의 폭 방향의 길이가,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타방의 기부보다 상기 백의 개봉측으로 돌출하여 길어지도록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일방의 기부의 상기 연장된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수 형상 돌기 또는 상기 암 형상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에 인열 유도편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인열 유도편이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일방의 기부로부터 박리 가능한 척.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유도편이, 상기 인열 유도편이 설치되는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일방의 기부와의 박리 강도보다 강한 접착 강도로, 상기 백을 형성하는 소재에 히트 시일 가능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층을, 상기 백에 장착할 때의 상기 소재와의 대향면에 구비하고 있는 척.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유도편의 박리 강도가 15N/15㎜ 이하인 척.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유도편이, 상기 인열 유도편이 설치되는 상기 수형 부재의 기부 및/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기부보다 높은 강성을 구비하고 있는 척.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열 유도편의 인장 탄성률이, 상기 인열 유도편이 설치되는 상기 수형 부재의 기부 및/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기부의 인장 탄성률의 1.3 ∼ 4 배인 척.
  10. 서로 교합하는 1 쌍의 수 형상 돌기를 갖는 수형 부재와 암 형상 돌기를 갖는 암형 부재를 구비한 척이 장착되고, 개봉 후의 재밀봉, 재개봉을 가능하게 한 척 장착 백으로서,
    상기 척이 구비하는 상기 수형 부재의 기부 및/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기부의 백의 개봉측에 위치하는 폭 방향 단부에, 상기 단부와 상기 인열 유도편의 접합 계면에 있어서의 계면 박리가 가능해지도록 인열 유도편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장착 백.
  11. 서로 교합하는 1 쌍의 수 형상 돌기를 갖는 수형 부재와 암 형상 돌기를 갖는 암형 부재를 구비한 척이 장착되어 개봉 후의 재밀봉, 재개봉을 가능하게 한 척 장착 백으로서,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일방의 기부의 폭 방향의 길이가,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타방의 기부보다 백의 개봉측으로 길어지도록 연장되고,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일방의 기부가 연장된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수 형상 돌기 또는 상기 암 형상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에, 인열 유도편을 박리 가능하게 일체로 설치함과 함께,
    상기 인열 유도편이, 백을 형성하는 소재의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타방이 접착되어 있는 면과 동일한 면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 장착 백.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일방의 기부가 연장된 부위의 단 가장자리를 따른 상기 수 형상 돌기 또는 상기 암 형상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을, 백을 형성하는 소재의 상기 수형 부재 또는 상기 암형 부재의 타방이 접착되어 있는 면과 동일한 면에 접착하여 척을 장착한 척 장착 백.
KR1020077012800A 2004-12-07 2005-12-07 척 및 척 장착 백 KR101266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54560 2004-12-07
JP2004354560 2004-12-07
JPJP-P-2004-00379276 2004-12-28
JP2004379276 2004-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224A true KR20070092224A (ko) 2007-09-12
KR101266633B1 KR101266633B1 (ko) 2013-05-22

Family

ID=36577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800A KR101266633B1 (ko) 2004-12-07 2005-12-07 척 및 척 장착 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9227774B2 (ko)
EP (4) EP3375726B1 (ko)
JP (1) JP4908228B2 (ko)
KR (1) KR101266633B1 (ko)
CN (1) CN101072715B (ko)
WO (1) WO20060621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905B1 (ko) * 2002-10-04 2006-03-23 송미란 옥수수 속대를 포함하는 식품
CN101072715B (zh) 2004-12-07 2011-03-23 出光统一科技株式会社 卡扣以及带有卡扣的袋
WO2006090693A1 (ja) * 2005-02-22 2006-08-31 Idemitsu Unitech Co., Ltd. 咬合具付きテープ
US8011831B2 (en) * 2006-01-27 2011-09-06 Idemitsu Unitech Co., Ltd. Zipper tape, packing bag with zipper tape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acking bag with zipper tape
JP4874742B2 (ja) * 2006-08-21 2012-02-15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カットテープ付きチャックテープ、その製造方法、および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
EP2103541A4 (en) * 2006-09-22 2014-01-08 Idemitsu Unitech Co Ltd EASILY TAPPED FASTENING TIE, FIXING STRIP MANUFACTURING METHOD, PACKAGING BAG WITH EASILY TAPPED FASTENING STRIP, AND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ACKAGING BAG
US8459870B2 (en) * 2007-10-22 2013-06-11 Idemitsu Unitech Co., Ltd. Interlocking device and packaging bag with interlocking device
JP5450956B2 (ja) * 2007-12-27 2014-03-26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包装袋、その製造装置、および包装袋の製造方法
US7681732B2 (en) 2008-01-11 2010-03-23 Cryovac, Inc. Laminated lidstock
US20090297071A1 (en) * 2008-05-28 2009-12-03 Illinois Tool Works Inc. Flexible bag with vent for pressure release
JP5638278B2 (ja) * 2009-10-19 2014-12-10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裂き性ジッパーテープ、及び、易裂き性ジッパーテープ付き包装袋
JP2011206231A (ja) * 2010-03-30 2011-10-20 C I Kasei Co Ltd 嵌合具および嵌合具付き袋体
WO2013044437A1 (en) * 2011-09-26 2013-04-04 Shun Shing Polyethylene Printing Co., Ltd. Packaging
US9260214B2 (en) * 2012-02-13 2016-02-16 Cryovac, Inc. Easy open and reclosable package with panel section with die-cut, and reclosure mechanism
JP6126457B2 (ja) * 2013-05-22 2017-05-10 株式会社細川洋行 チャック成型品
CN104670656A (zh) * 2013-12-02 2015-06-03 大连竹菱包装工业有限公司 易撕拉链及其包装袋
JP5651851B1 (ja) * 2013-12-26 2015-01-14 日本竹菱株式会社 カットテープ付きチャックテープ、及びカットテープ付きチャックテープを具備した包装袋
JP5651850B1 (ja) * 2013-12-26 2015-01-14 日本竹菱株式会社 カットテープ付きチャックテープ、及びカットテープ付きチャックテープを具備した包装袋
CN104118631B (zh) * 2014-06-27 2016-08-17 广德县七彩斑马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易撕包装袋
JP6847571B2 (ja) * 2015-03-26 2021-03-24 タキロンシーアイ株式会社 嵌合具及び嵌合具付き袋体
JPWO2016163349A1 (ja) * 2015-04-06 2018-02-01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ジッパーテープ付袋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6367146B2 (ja) * 2015-05-19 2018-08-01 ウツオ化工株式会社 ファスナ及び収納体並びに収納体用連続シート
CN117549605A (zh) * 2015-09-14 2024-02-13 出光统一科技株式会社 带有卡扣带的袋体、袋体、袋体的制造方法及袋体的制造装置
KR20180100383A (ko) * 2016-01-07 2018-09-10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지퍼 테이프, 주머니체 및 주머니체의 제조 방법
JP2017197247A (ja) * 2016-04-28 2017-11-02 凸版印刷株式会社 チャック付きパウチ
JP6113339B1 (ja) 2016-08-01 2017-04-12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テープ及び袋体
JP6894753B2 (ja) * 2017-05-08 2021-06-30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袋体、フィルム体、及び袋体の製造方法
JP2019001475A (ja) * 2017-06-12 2019-01-10 リードケミカル株式会社 包装袋
DE202018106868U1 (de) * 2018-12-03 2019-01-07 Bischof + Klein Se & Co. Kg Sack und Folienschlauch zur Herstellung eines derartigen Sackes
FR3090594B1 (fr) * 2018-12-24 2021-02-12 S2F Flexico Sachet avec ouverture facile pour un adulte
JP6773877B1 (ja) * 2019-12-11 2020-10-21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ジッパー付き容器およびジッパー付き容器の製造方法
CN114980775A (zh) * 2020-01-24 2022-08-30 出光统一科技株式会社 夹链带、具有夹链带的袋以及具有夹链带的袋的制造方法
JP2020073120A (ja) * 2020-02-10 2020-05-14 タキロンシーアイ株式会社 嵌合具及び嵌合具付き袋体
WO2023080078A1 (ja) * 2021-11-05 2023-05-11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ジッパーテープおよびジッパーテープ付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5409A (en) * 1967-01-17 1970-10-20 Tower Products Method of making sheet material with film tear line
US3368740A (en) * 1967-01-17 1968-02-13 Tower Packaging Company Sheet material with film tear line
US3827472A (en) * 1969-12-05 1974-08-06 Seisan Nipponsha Kk Reclosable bag
CA1268650C (en) * 1985-08-30 1990-05-08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MATERIALS FOR BAGS
AU606168B2 (en) * 1987-05-20 1991-01-31 Toyo Seikan Kaisha Ltd. Easily openable sealed container
JP2749886B2 (ja) * 1989-07-21 1998-05-13 ▲しょう▼ 小原 ファスナーバッグ及びその製造方法
US5157811A (en) * 1990-05-09 1992-10-27 Package Machinery Company Bodolay/Pratt Division Reclosable strip fastener with self opener
US5036643A (en) 1990-05-09 1991-08-06 Package Machinery Company, Bodolay/Pratt Division Form, fill, seal and separate packaging machine for reclosable containers including means for applying zipper to web
US5100246A (en) * 1990-10-09 1992-03-31 Illinois Tool Works Inc. Pull bead and guide rails for easy open flexible containers
US5215380A (en) * 1990-10-19 1993-06-01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Reclosable package with tear strip
US5186543A (en) * 1991-03-04 1993-02-16 Illinois Tool Works Inc. Tear-open bag having guide strips
AU644288B2 (en) * 1991-05-31 1993-12-02 Kraft General Foods, Inc. Reclosable pouch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filling and sealing
CA2070937C (en) * 1991-08-09 1998-09-15 Paul Tilman Reclosable plastic bags and method of making same utilizing discontinuous zipper profile disposed along a continuous carrier strip
FR2688200B1 (fr) 1992-03-03 1994-05-27 Chaygneaud Dupuy Francois Boite pliable a enveloppe souple interne a bec verseur refermable.
US5461845A (en) 1992-10-26 1995-10-31 Yeager; James W. Zippered film and bag
JP3410142B2 (ja) 1993-03-30 2003-05-26 株式会社平野屋物産 開封容易とした自立可能な合成樹脂製袋
US5513915A (en) * 1994-04-11 1996-05-07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Closure arrangement having a breakaway seal
US5470156A (en) 1994-04-11 1995-11-28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Closure arrangement having a peelable seal
US5486051A (en) * 1994-04-11 1996-01-23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Closure arrangement having a breakaway seal
US5468051A (en) 1994-08-23 1995-11-21 Lu Kuang Incorporation Adjustable highchair
JPH08268442A (ja) * 1995-03-30 1996-10-15 Toshiichi Yamada 易開封性包装袋及び開封誘導フィルム付きジッパー
GB9524185D0 (en) 1995-11-27 1996-01-31 Leo Pharm Prod Ltd Substituted diols
US5660479A (en) * 1996-02-16 1997-08-26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Easy open package header
JPH09301383A (ja) * 1996-05-16 1997-11-25 Totani Giken Kogyo Kk プラスチック袋
US5672009A (en) * 1996-05-21 1997-09-30 Illinois Tool Works Inc. Reclosable pouch and zipper therefor
JPH1059384A (ja) 1996-08-12 1998-03-03 Heisei Polymer Co Ltd 引裂き開封袋
US5954433A (en) 1997-12-05 1999-09-21 Innoflex Incorporated Reclosable bag with improved opening feature
US6991375B2 (en) * 1998-11-06 2006-01-31 Velcro Industries B.V. Reclosable packaging
JP3759683B2 (ja) * 1999-03-12 2006-03-29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ファスナーバッグ
JP3761745B2 (ja) 1999-06-14 2006-03-29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ファスナーバッグ
JP2001139038A (ja) * 1999-11-11 2001-05-22 Hosokawa Yoko Co Ltd 引き裂き案内手段、袋体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7476030B1 (en) 2000-09-18 2009-01-13 Kabushiki Kaisha Hosokawa Yoko Fastener bag and fastener device
JP2002104440A (ja) * 2000-10-02 2002-04-10 Hosokawa Yoko Co Ltd ファスナーバッグ
WO2002074645A2 (en) * 2001-03-15 2002-09-26 Velcro Industries B.V. Reclosable bag with expansion gusset
WO2003051729A1 (fr) 2001-12-18 2003-06-26 Idemitsu Unitech Co., Ltd. Sac hermetiquement ferme comportant une bande d'ouverture
GB0217946D0 (en) * 2002-08-02 2002-09-11 Supreme Plastics Holdings Ltd Improvements in reclosable bags and like containers
JP4145677B2 (ja) 2003-02-10 2008-09-03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易カット性嵌合具及び嵌合具付袋体
JP2004276925A (ja) * 2003-03-13 2004-10-07 Idemitsu Unitech Co Ltd 咬合具及び包装袋
WO2004083065A1 (ja) 2003-03-17 2004-09-30 Hosokawa Yoko Co., Ltd. ファスナーバッグ
JP4526884B2 (ja) * 2004-06-28 2010-08-18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チャックテープ付き袋
JP4689233B2 (ja) * 2004-10-27 2011-05-25 株式会社細川洋行 液体充填容器
CN101072715B (zh) 2004-12-07 2011-03-23 出光统一科技株式会社 卡扣以及带有卡扣的袋
JP4787833B2 (ja) * 2005-04-18 2011-10-05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チャックテープ付き袋の製造装置、製造方法
DE102005000135A1 (de) 2005-10-10 2007-04-12 Hilti Ag Akkupack mit Ladezustandsanzeige
JP4874742B2 (ja) * 2006-08-21 2012-02-15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カットテープ付きチャックテープ、その製造方法、および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
JP5032945B2 (ja) 2007-11-08 2012-09-26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カットテープおよびカットテープ付き包装袋
JP6203636B2 (ja) * 2011-09-30 2017-09-27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形状保持テープ、ジッパーテープ、包装袋、形状保持テープの製造方法、及びジッパーテープの製造方法
WO2014101399A1 (zh) 2012-12-27 2014-07-03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墨盒的发光控制方法及装置
JP5651850B1 (ja) * 2013-12-26 2015-01-14 日本竹菱株式会社 カットテープ付きチャックテープ、及びカットテープ付きチャックテープを具備した包装袋
CN104803106A (zh) 2014-01-24 2015-07-29 大连竹菱包装工业有限公司 可预装食品的微波炉蒸煮袋
JP6847571B2 (ja) * 2015-03-26 2021-03-24 タキロンシーアイ株式会社 嵌合具及び嵌合具付き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2828B1 (en) 2018-05-16
US20210188486A1 (en) 2021-06-24
EP3072828A1 (en) 2016-09-28
US20150375902A1 (en) 2015-12-31
EP3375726A1 (en) 2018-09-19
US9550617B2 (en) 2017-01-24
US20170073118A1 (en) 2017-03-16
EP2851312A1 (en) 2015-03-25
US20090238500A1 (en) 2009-09-24
CN101072715B (zh) 2011-03-23
EP1820744A1 (en) 2007-08-22
EP3375726B1 (en) 2019-10-23
EP2851312B1 (en) 2016-06-29
KR101266633B1 (ko) 2013-05-22
WO2006062136A1 (ja) 2006-06-15
JP4908228B2 (ja) 2012-04-04
EP1820744B1 (en) 2015-02-25
JPWO2006062136A1 (ja) 2008-06-12
US10940978B2 (en) 2021-03-09
US9227774B2 (en) 2016-01-05
EP1820744A4 (en) 2013-01-23
CN101072715A (zh) 200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633B1 (ko) 척 및 척 장착 백
US8540428B2 (en) Easily tearable fastener tape, method of producing the fastener tape, packaging bag with easily tearable fastener tape, and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packaging bag
JP5087219B2 (ja) 咬合具、これを用いた袋およびこれらの製造方法
EP2055643B1 (en) Chuck tape with cut tap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packaging bag with chuck tape
KR101286914B1 (ko) 척 테이프 및 척 테이프 부착 포장 백
JP4805742B2 (ja) 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袋
TWI518008B (zh) Easy to tear the folder chain, and with easy to tear the folder with the bag
EP2077236A1 (en) Easily openable fastener tape, packaging bag with easily openable fastener ta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asily openable fastener tape
TWI742121B (zh) 帶及袋體
WO2023002925A1 (ja) 容器、容器の製造方法、容器の製造装置、シールバーおよびフィルム組立体
JP2022031066A (ja) チャック付き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