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905B1 - 옥수수 속대를 포함하는 식품 - Google Patents

옥수수 속대를 포함하는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905B1
KR100563905B1 KR1020020060661A KR20020060661A KR100563905B1 KR 100563905 B1 KR100563905 B1 KR 100563905B1 KR 1020020060661 A KR1020020060661 A KR 1020020060661A KR 20020060661 A KR20020060661 A KR 20020060661A KR 100563905 B1 KR100563905 B1 KR 100563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tary fiber
sample
acid
wate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1278A (ko
Inventor
송미란
신동화
Original Assignee
송미란
신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미란, 신동화 filed Critical 송미란
Priority to KR1020020060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905B1/ko
Publication of KR20040031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36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 속대를 포함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옥수수 폐자원을 식이섬유 급원으로 이용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옥수수 속대 또는 옥수수 속대에서 분리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옥수수, 속대, 식이섬유

Description

옥수수 속대를 포함하는 식품{FOOD CONTAINING PITH OF CORN STALK}
도 1은 옥수수 품종별로 속대내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총식이섬유함량을 나타낸 그래이고,
도 4는 광안옥에 물리화학적 처리 후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을 무처리군과 비교한 것이고,
도 5는 찰옥1호에 물리화학적 처리시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광안옥의 물리화학적 처리에 따른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찰옥1호의 물리화학적 처리에 따른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찰옥1호의 수용성 식이섬유의 포도당 흡수지연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찰옥1호의 불용성 식이섬유의 포도당 흡수지연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찰옥1호의 수용성 식이섬유의 담즙산 흡수지연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찰옥1호의 불용성 식이섬유의 담즙산 흡수지연효과를 나타낸 것이 고,
도 12는 옥수수 속대 첨가에 의한 밀가루의 호화특성을 측정한 RVA(rapid visco analyzer) 분석표이고,
도 13은 옥수수 속대를 이용한 빵의 무게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4는 옥수수 속대를 이용한 빵의 부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5는 옥수수 속대를 이용한 빵의 비용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옥수수 속대를 포함하는 식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옥수수 폐자원을 식이섬유 급원으로 이용하여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옥수수 속대 또는 옥수수 속대에서 분리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한국인의 질병구조는 1970년대 이후 악성 신생물, 뇌혈관 질환, 고혈압 등 만성퇴행성 질환들이 주요 사인으로 나타나 미국, 일본등 선진국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Tchai, B.S. and Han, J.H.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 927 (1996)). 특히, 식물성 식품의 소비량이 줄어들면서 1인당 동물성 식품의 소비량은 현저히 늘어나고(보건복지부. '98 국민건강영양조사 심층연계분석 연구 보고서 2000), 외식산업의 발달에 의한 외식기회가 잦아지고, 맞벌이 부부들의 증가 에 의한 가공식품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지질과 염분 등 일부 영양소는 과잉 섭취되고 있으나, 식이섬유는 섭취가 부족하여 이로 인한 영양의 불균형 상태가 유도되고 있다(Kwon, Y.W. and Kang, S.G. Korean J, Diet. Cult. 8(4): 351353 (1993)).
미국의 국립 암 연구소(NCI)와 식품 의약품 관리청(FDA)은 암 발생의 위험과 위장계통 질병의 감소를 위해‘저지방 고섬유’식사를 강조하면서 건강한 성인의 경우 1일 20∼35 g의 식이섬유 섭취를 권장하고 있다(Pilch, SM. Physiological effects and health consequences of dietary fiber: Report for FDA. Contact Number FDA 223-84-2059, 112. Dept. of Health and Human Servic; USA (1987)). 일본의 경우 1980년대 국민 1인당 1일 평균 식이섬유 섭취량을 17∼19 g으로 추정하고 20∼25 g을 권장하고 있으며, 프랑스는 30∼40 g을 권장하고 있다(Bagheri, SM and Debry, G. Ann. Nutr. Metab. 34: 6975 (1990)). WHO는 하루 섭취량을 27∼40 g으로 설정하고 있으며(WHO.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797. Geneva, Switzerland (1990)), 아동들과 청소년 같은 미성년자들에게는 나이에 5∼10 g을 더하여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다(Williams, C.L., Bollella, M; and Wynder, E.L. Pediatrics. 95(5):985-988(1995)). 한편, 우리나라 성인들의 식이섬유 섭취량은 15∼20 g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10-12), 이 등은 국민영양조사와 식품수급표를 기준으로 조정하여 한국인의 평균 식이섬유 섭취량을 1976-80년에 24 g, 1986-90년에 20 g, 1990-93년에 22 g으로(13), 1990년대 초반의 도시, 농촌간 평균 식이섬유 섭취량을 각각 22 g과 21 g으로 보고하였다(Lee, M.G. and Lee, S.R. Korean J. Nutrition 30(7): 848-53(1997)). 그러나 이들은 평균 섭취량으로 극단 섭취량은 이보다 적을 것이라 판단되지만 데이터가 부족한 형편이다.
실제로 1970년대 초반 브르킷 등(Burkitt, D.P.(1971) Cancer 28: 313 ; Burkitt, D.P., Walker, A.R.P., and Painter, N.S.(1974) J. Am. Med. Assoc. 229: 1068-1074)과 트로웰(Trowell, H.(1976) Am. J. Clin. Nutr. 29: 417-425)이 만성퇴행성 질환의 높은 발생률과 식이섬유의 낮은 섭취량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라는‘섬유 가설(fiber hypothesis)’을 제안하였다. 이와같이 최근들어 만성퇴행성 질환들이 증가하면서 국민들은 식이섬유의 유익한 건강효과에 대한 많은 정보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고, 식이섬유의 건강증진을 비롯한 질병예방과 치료효과를 입증하는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Greenwald, P., Lanza, E. and Eddy, G.A. (1987) J. Am. Diet. Assoc. 87 1178-1188; Kestin, M., Moss, R., Clifton, P.M. and Nestel, Pj.(1990) Am. J. Clin. Nutr. 52: 661-666; Mercurio, ICC. and Behm, P.A.(1981) J Food Sci. 46: 1462-66). 이 같은 연구결과에 따라 식이섬유가 기능성 성분으로 인식되면서 음료 및 각종 건강식품, 기능성식품의 소재로 날로 수요가 증가되는 추세이다.
식이섬유는 인체 내에 존재하는 소화효소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는 식물세포의 구조적 잔사인 다당류와 리그닌의 총체로 정의된다(Lanza, K and Butrum, Rj.(1986) J. Am. Diet. Assoc. 86: 732-743). 그러나 오늘날에는 범위가 넓어져 동물성 급원의 난소화성 다당류까지 포함하므로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펙틴 및 검 등의 식물성분 뿐만 아니라 키틴, 키토산, 콘드로이친 설페이트와 같은 동물성분까지 포함하는 정의로 바뀌고 있다(Lee, S.C. and Prosky, L.(1995) J. Assoc. Off. Anal. Chem. hit. 78W: 2236).
식이섬유는 자연계에서 순수한 형태로 발견되기 어려우며(Ravindran, & and Palmer, J.K.(1990) J. Food Sci. 55(1): 137-140), 이를 분리하고 분획하는 과정도 복잡하다. 여러가지 식이섬유 측정방법 중 효소-중량측정법(enzymatic-gravimetric method)은 효소와 알코올을 사용하여 수용성 섬유들을 침전, 여과하는 방법으로 불용성 식이섬유(insoluble dietary fiber, IDF)와 수용성 식이섬유(soluble dietary fiber, SDF), 총식이섬유(total dietary fiber, TDF)를 분리하여 정량할 수 있다(Claye, S.S., Idouraine, A. and Weber, C.W.(1996) Food Chem, 57(2): 305-310 ;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5);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공전, 일반시험법(별책), pp.33-36.(2000)).
불용성 식이섬유로는 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고 있는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이 있으며, 수용성 식이섬유로는 펙틴, 검, 일부 헤미셀룰로오스, 해조다당류(알긴산, 카라기난), 다당류 유도체 등이 있다. 이들은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Braaten, J.T., et al.(1994) Eur. J. Clin. Nutr. 48: 465-474 ; K.ahlon, T.S. and Chow, F.L(1997) Cereal Foods World, 42(2): 86-92), 식후 급격한 혈당상승의 억제(Toma, R.B. and Curtis, D.J.(1986) Food Technol. 2: 118-123; Anderson, J.W. and Akanji, A.O.(1991) Diabetes Care, 14(12): 1126-1131), 위장의 포만감 유발, 배변량 증가 및 장내 통과속도 감소, 무기질의 흡수 및 이용 률 저해 기능, 직장암 예방(Howe, G,R., et al.,(1992) J. Nat Cancer Inst. 84: 1887-1896), 관상심장질환의 억제 기능(Rimm, E.B. et al.(1996) J. Am. Med. Assoc. 275: 447-451)을 갖고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식이섬유를 식품에 적용하는 연구를 보면 불용성 식이섬유는 빵류(Knuckles, B.E., et al.(1997) Cereal Foods World 42(2): 94-99; Newman, R.K., et al.(1995) Cereal Foods World 43(1): 23-25), 시리얼, 스낵류, 국수(Kim, Y.S., et al.(1997) Korean J. Food Sci. Technol. 29W: 90-95) 등에 첨가 또는 연구되고 있으며, 수용성 식이섬유는 섬유강화나 농도증가제로서 음료에 주로 첨가된다(Andon, S.A.(1987) Food Technol. 1: 75-76). 최근에는 수용성 식이섬유로서 폴리덱스트로스를 식품첨가물로 이용하게 되었으며(Craig, S.A.S., et al.(1998) Cereal Foods World 43(5): 370-376), 외국에서는 ‘파이버솔 2’,‘파이버솔 2H’라는 상품명의 옥수수로부터 분리한 85% 수용성 식이섬유와 50% 수용성 식이섬유를 지닌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Baird, B. Archer Daniels Midland to enter soluble dietary fiber market. Food Technol. 54(5): 10 (2000)).
식이섬유의 생리활성 효과 및 이를 확인하기 위한 동물실험이나 인체실험도 이루어지고 있는데, 식이섬유는 다양한 성분들과 결합하는 능력이 알려져 있어, 식품중의 Ca, Zn, Fe과 같은 무기질과 결합하여 일부 체내 흡수율을 감소시킨다(Toma, R.B. and Curtis, D.J.(1986) Food Technol. 46: 111-116 ; Choi, M.(1992) Kor. J. Food Hyg. 7(4): S65-72). 그러나 유해산물인 Cd, Hg 등의 중금속, 조리·가공 중 생성되는 니트로사민, 다환방향족 탄화수소인 벤조피렌, 화학물질로부터 생성되는 2-아미노 안트라센 등의 발암원과 결합하여 인체로부터 제거하는 보호효과가 더 크다(Lee, S.R. and Lee, K.S.(1989) Korean J. Food Sci. Technol. 21(1): 63-67; Kim, M.K. and Yang, Y.J.(1997) Korean J. Nutr. 30(2): 210-219).
식이섬유의 급원은 대개 쥬스나 두유, 밀가루, 기름을 얻어낸 뒤 부산물로 얻게 되는 제품들이다. 특히, 미강, 두유박, 감귤쥬스나 사과쥬스 제조후의 부산물인 사과박, 감귤 과피, 멍게껍질, 밀 속겨, 옥수수 껍질, 옥수수 잎, 차전자, 땅콩 껍질, 해바라기 외피, 감자 껍질, 오렌지 껍질, 망고 껍질, 사탕무 과육 및 파인애플 껍질 등의 곡류와 과채류 등이 식이섬유의 급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옥수수는 세계 3대 곡물에 해당될 만큼 생산량이 많은 작물로 열매를 수확하고 나면 나머지 부위는 전체가 목초(silage)로 가공되어 사료로 이용되는 게 일반적인 경향이다.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식이섬유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급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옥수수의 성장시기별 옥수수 속대내의 식이섬유 함량변화를 확인하여 최적의 식이섬유 추출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옥수수 속대를 재활용하여 이를 식품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수수 속대 또는 옥수수 속대에서 분리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폐자원으로만 취급되었던 옥수수 속대의 식이섬유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식품에 적용하였다.
옥수수 속대는 식물체의 줄기에서 관상으로 배열된 관다발에 둘러싸인 중심에서 볼 수 있는 유조직으로, 부드러운 흰색의 미세부위이다.
옥수수 속대의 벌크밀도(겉보기 밀도)는 0.06 내지 0.13g/cm3이고, 압축밀도는 0.20 내지 0.37g/cm3이며, 보수력은 6 내지 11g/g, 보유력은 6 내지 9g/g를 가진다.
옥수수 속대를 이루는 조성물로는 건조물기준으로 수분 6.7 내지 14.9 %, 조단백 4.3 내지 12.9 %, 조지방 0.5 내지 1.4 % 및 조회분 4.9 내지 13.0 %이며, 총식이섬유는 27 내지 54 %를 포함한다.
상기 총식이섬유는 수용성 식이섬유 및 불용성 식이섬유의 합으로, 옥수수 속대 내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약 0.1 내지 2.4 %이고,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약 27 내지 51 % 이다. 옥수수 속대 내 식이섬유 함량은 옥수수의 품종 및 재배시기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옥수수가 미숙한 시기에는 수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이 많으나, 성숙해가면서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옥수수 속대로부터 수용성 식이섬유를 추출할 경우 파종 후 40일 내지 60일 성장시킨 옥수수를 재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불용성 식이섬유는 70일 내지 100일 성장시킨 옥수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총식이섬유는 파종후 70일 내지 110일 성장시킨 옥수수 속대에서 가장 최대의 양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옥수수의 품종별로 식이섬유 함량을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 확인하였을 때 수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은 수원19호가 2.4%로 높고, 불용성 식이섬유와 총식이섬유는 찰옥1호가 51%, 54%로 높다. 불용성 식이섬유에 포함하는 리그닌은 8 내지 16%로 성숙할수록 증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옥수수 속대는 공지된 방법(Lee, Y.H. and Moon, T.W. Korean J. Food Sci. Technol. 26(3): 288-294 ; Ning, Lit, Villota, B. and Artz, W.E. Cereal Chem. 68(6): 632-636 (1991))으로 물리적 처리 또는 화학적 처리를 실시하여 식이섬유의 함량, 보수력 또는 보유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물리적 처리방법의 예로는 열처리를 주로 이용하며, 상압가열, 고압가열 및 건열가열법이 있다. 상압가열처리는 100 ℃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고압가열은 121 ℃, 1.2 atm에서 실시할 수 있으며, 건열가열은 드라이 오븐에서 130 ℃로 가열하여 실시할 수 있다.
화학적 처리방법은 산 또는 염기를 단독 처리하거나, 병행처리한 후 중화하는 것으로, 산으로는 6N HCl을, 염기로는 6N NaOH를 처리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일례로, 광안옥과 찰옥1호를 선택하여 물리적인 처리한 경우, 보수력은 7 내지 15g/g, 보유력은 6 내지 17g/g으로 무처리군보다 증가하였으며, 물리적 처리중 건열가열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화학적 처리시 보수력은 7 내지 16g/g, 보유 력은 5 내지 11g/g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산-염기 또는 염기-산의 병행처리시, 1시간보다는 4시간 처리시에 보수력과 보유력의 증가폭이 높았다.
또한 물리적 처리 또는 화학적 처리시 옥수수 속대의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증가한다. 가장 효과적인 처리방법은 건열가열법 또는 산-알카리 병행처리법으로, 수용성 식이섬유는 무처리군에 비하여 4 내지 5배까지 증가된다.
본 발명의 옥수수 속대에서 추출한 식이섬유 중 수용성 식이섬유는 2,000 kDa 내지 500 kDa의 총당을 12% 내지 19%, 500 kDa 내지 70 kDa의 총당을 10% 내지 13%, 70 kDa 내지 10 kDa의 당을 55% 내지 61% 그리고 10 kDa 이하의 총당을 13% 내지 15%를 포함한다.
또한 500 kDa 내지 70 kDa의 중성당을 11% 내지 17%, 70 kDa 내지 10 kDa의 당을 65% 내지 77% 그리고 10 kDa 이하의 중성당을 11% 내지 17%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옥수수 속대 또는 옥수수 속대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식이섬유는 총식이섬유, 수용성 식이섬유 또는 불용성 식이섬유일 수 있다. 상기 불용성 식이섬유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보유하여 소화관 내의 체류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변의 양을 증가시키고 대장운동을 원활히 하여 배변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수용성 식이섬유는 혈액중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저하시키며, 포도당과 담즙산의 흡수를 지연시켜 영양소의 소화 및 흡수를 느리게 만든다. 따라서 옥수수 속대로부터 추출한 불용성 식이섬유를 빵, 패스트푸드, 라면, 스낵류, 국수 등에 첨가할 수 있으며 수용성 식이섬유는 음료나 젤리, 아이스크림 등의 제조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어린이나 청소년들의 영양불균형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성인의 비만, 당뇨와 고지혈증, 담석증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구체적인 예로는 빵, 시리얼, 라면, 스낵류, 음료, 젤리 또는 면류일 수 있으며, 상기 식품은 옥수수 속대 또는 식이섬유를 0.01 내지 6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나, 식품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달리 적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므로, 상기 수치에 한정되진 않는다. 다만,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효과적인 식이섬유 섭취가 어려우며, 6 중량%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식품 고유의 미감을 해칠 수 있으며 기호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옥수수 속대는 식품으로 사용하여 식이섬유 부족으로 인한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특히 옥수수 속대 내에 포함된 수용성 식이섬유는 포도당 흡수 저해효과 및 담즙산 흡수 저해효과를 지녀, 성인병 예방 및 건강향상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옥수수 속대의 성분 정량
1-1. 실험재료
1-1-1. 시료의 재배 및 수확
본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전년에 수확된 종자용 옥수수 4품종(사료용 2품종 - 광안옥, 수원19호, 식용 2품종 - 찰옥1호, 찰옥2호)을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으로부터 2000년 2월에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재배지인 전북대학교 농학 실습장에 4 월 17일 로터리로 밭을 갈고 퇴비(새미슬)를 밑거름으로 주었으며 다시 2차 밭갈기를 하고 나서 4월 22일 파종하였다. 재배관련 문헌(Jung, S.G., et al. (1999) Corn, Technology of Cultivation and Utilisation, Nongmin-sinmun, Co., Seoul, Korea; Choi, B.H. Corn, What Kind of Crops, pp. 77109. Hanrim journalsa, Seoul, Korea (1998))을 바탕으로 잎이 7 내지 8엽 생성되었을 무렵 웃거름을 주고 풀매기를 하였으며, 발아시기와 떡잎기에는 매일 저녁 해진 뒤 한번씩 수분을 공급하고, 건조한 날이 지속되면 땅이 흠뻑 적시도록 수분을 공급하며 재배하였다.
수확시기는 헤이딘 등(Heidin, P.A., et al.(1998) J. Agric. Food Chem. 46: 4754-58)의 성숙도에 따른 옥수수 수확기를 참고로 한달 간격으로 1차, 2차, 3차 시기로 나누어 수확하였다. 수확시기, 최고로 성장하였을 때의 키, 평균 마디 수와 속대의 전체 대에 대한 수거 비율은 표 1과 같다.
시료 파종후 시일(d) 키(cm) 마디수 속대내 속 함량(%)
1차 채취시료 54 194 4∼8 75
2차 채취시료 84 280 8∼10 50
3차 채취시료 114 330 10∼12 45
1-1-2. 시료의 전처리
4품종의 옥수수를 3단계의 성장시기별로 수확한 후 잎을 제거하고 대를 얻은 뒤, 손질하기 쉽게 20 cm 내외의 크기로 자르고 칼로 겉껍질을 벗켜 부드럽고 하얀 속대층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속대는 다시 1 cm 크기의 입방체로 썰어 3 일간의 동결건조를 실시하고, 150 메쉬(0.104 mm)의 입자 크기로 분쇄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성장시기별 4품종, 총 12종의 분쇄시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봉지 에 담아 여러겹 포장하고, -20℃의 냉동고에 보관하면서 필요할 때마다 꺼내어 사용하였다.
1-2. 일반성분의 정량
옥수수의 줄기는 수수, 사탕수수, 해바라기의 줄기들과 마찬가지로 관다발을 구성하는 속 세포(pith cell)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둘러싸고 있는 밀도가 큰 섬유층의 외피를 지닌다. 그래서 이 농산식물들의 줄기는 이용하기 쉬운 식이섬유와 헤미셀룰로즈를 함유하고 있다. 식이섬유는 체내 장기능에 관계하여 대장암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고, 헤미셀룰로즈는 발암 또는 알러지를 유발하는 인공감미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자일로즈와 같은 천연 감미료의 생산에 중요하다. 속은 식물의 줄기를 채우는 부드러운 하얀색의 미세부위로, 식물에 20 내지 50%(w/w)로 포함되며, 부피로는 더 높은 양이 함유되어 있다.
본 실험에 쓰인 옥수수의 속대내 속 함량은 무게비로 1차 채취시료에 75%, 2차 채취시료에는 50%, 그리고 3차 채취시료에는 45%이다(표 1).
한편, 분쇄된 옥수수 속대의 일반성분은 AOAC법(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973.18,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pp. 7-9)에 의하여 정량하였다. 즉, 수분은 105℃ 건조법, 조단백질은 micro-Kjeldahl법, 조회분은 전기로 회화법, 그리고 조지방은 속렛(Soxhlet) 추출법으로 분석하였다.
사료용 옥수수 2품종(광안옥:Gu, 수원19호:Su)과 식용 옥수수 2품종(찰옥2호:Ch2, 찰옥1호:Ch1)을 재배하면서 성장단계별로 따른 1차, 2차, 3차의 세 시기로 나누어 속대를 수거하였다. 이를 동결건조후 분쇄한 시료에 대하여 AOAC법에 의하여 일반성분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품종 성분함량(%) 총식이섬유(%)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1차 채취시료 Gu 13.30±0.24 11.62±0.38 1.42±0.04 12.48±0.30 37.38±0.14
Su 13.17±0.09 12.79±0.52 1.38±0.03 13.01±1.60 39.76±0.94
Ch2 14.88±0.65 12.36±0.57 1.19±0.03 11.05±0.93 40.61±0.11
Ch1 11.42±0.01 12.87±0.14 1.37±0.01 12.32±0.35 47.05±0.60
2차 채취시료 Gu 12.39±0.13 6.51±0.20 0.86±0.04 8.42±0.62 39.22±0.25
Su 10.56±0.41 6.76±0.18 0.54±0.01 6.16±0.43 44.01±1.21
Ch2 8.76±0.22 5.69±0.12 0.72±0.02 8.99±1.01 42.65±0.83
Ch1 8.76±0.17 7.21±0.28 0.78±0.01 9.59±0.47 53.52±0.69
3차 채취시료 Gu 9.99±0.26 4.28±0.60 0.63±0.03 6.25±0.75 32.17±0.90
Su 10.18±0.15 4.57±0.38 0.48±0.01 5.50±0.33 26.94±0.33
Ch2 9.27±0.05 5.79±0.26 0.61±0.02 4.93±0.86 33.21±1.02
Ch1 6.68±0.08 6.98±0.14 0.75±0.02 5.19±0.60 44.70±0.42
표 2에서, 건조물 기준으로 수분은 6.7 내지 14.9%, 조단백은 4.3 내지 12.9%, 조지방은 0.5 내지 1.4%, 조회분은 4.9 내지 13.0%를 함유하고 있었다. 대체로 조단백, 조지방과 조회분은 1차 채취시료(파종후 54일)에 비하여 성장할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4 품종 간의 성분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수분도 성장할수록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식용인 찰옥1호와 찰옥2호가 사료용에 비하여 2차 및 3차 채취 시료중의 수분함량은 다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1-3. 리그닌 정량
식물의 리그닌은 조섬유의 한 성분으로 식물조직의 세포벽에 셀룰로즈나 헤미셀룰로즈와 함께 존재하여 목질화(lignification)를 일으키는 성분이며, 실제로 식물의 목질화를 유도하는 세포벽에 그 함량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적인 리그닌의 측정은 어렵기 때문에 72% H2SO4에 의하여 가수분해된 후에 남는 잔사의 무게를 측정하는 칼슨 리그닌법을 이용하는 게 일반적이다(Nollet, L.M.L. Handbook of Food Analysis, Dietary Fiber, pp. 10511088. Marcel Dekker, New York, USA (1996)).
시료 0.5 g을 72% H2SO4 10 ㎖에 넣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분해시킨 뒤 증류수 110 ㎖를 첨가하여 1 M의 H2SO4액으로 희석하였다. 다시 100℃에서 2 시간 30 분 동안 가열하여 2차 가수분해를 시킨 뒤 유리필터(glass filter, IG3)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한 불용성 부분을 90℃의 온수 500 ㎖로 산이 남지 않도록 철저히 세척하였다. 이것을 105℃ 건조법에 의하여 함량을 구하여 칼슨 리그닌으로 기록하였다.
측정결과, 리그닌의 함량은 광안옥이 8 내지 10%, 수원19호가 11 내지 15%, 찰옥2호가 10 내지 16% 그리고 찰옥1호는 11 내지 16%의 함량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박 등(Park Y.K., et al.(1988) Quality Research 1: 49-63)이 35일만에 수확한 옥수수 줄기 중의 리그닌 함량으로 보고한 5.3 내지 8.5%에 비하면 2배에 가까운 양으로, 본 실험에서는 54 내지 114일만에 수확하였으므로 식물이 성숙할수록 목질화되는 옥수수대의 경향에 의하여 리그닌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시웰트 등(Sewalt, VJ.H., et al.(1996) J. Agric. Food Chem. 44: 3136-3142)은 열매가 맺히지 않은 말라 비틀린 옥수수 줄기중 윗대에 13.4%, 아랫대에 13.8%의 리그닌이 함유되어 있었다고 하며 이는 우리의 결과와 일치하는 함량이었다.
1-4. 밀도 측정
첸 등(Chen, H., et al.(1988) Cereal Chem. 66(3):244-247)의 방법에 따라 무게를 측정한 눈금있는 실린더에 시료를 채우고 5번 위, 아래로 흔들고 무게와 부피를 측정하여 벌크밀도(bulk density, loose density, g/cm3)를 계산하였으며, 한쪽 끝을 막은 주사기의 실린더에 시료를 충진시킨 후 실린지로 압축하여 더 이상 감소하지 않을 때의 부피를 압축밀도(packed density, g/cm3)로 측정하였다.
벌크밀도는 같은 부피당 시료의 무게로 나타내는 밀도로 표 3(p<0.05)에, 압축밀도는 표 4에 나타낸다.
시료 벌크밀도(평군 ± S.D. g/㎤)
광안옥 수원 19호 찰옥 2호 찰옥 1호
1차 채취시료 0.08±0.00 0.12±0.01 0.12±0.01 0.11±0.00
2차 채취시료 0.08±0.00 0.09±0.01 0.07±0.01 0.06±0.00
3차 채취시료 0.13±0.00 0.11±0.01 0.12±0.00 0.12±0.00
시료 압축밀도(평군 ± S.D. g/㎤)
광안옥 수원 19호 찰옥 2호 찰옥 1호
1차 채취시료 0.37±0.01 0.37±0.02 0.35±0.03 0.28±0.00
2차 채취시료 0.32±0.00 0.31±0.02 0.31±0.01 0.20±0.00
3차 채취시료 0.35±0.01 0.33±0.01 0.35±0.01 0.32±0.00
표 3 및 4에서, 벌크 밀도는 0.06 내지 0.13으로서 찰옥 1호가 2차시기에 가장 가벼웠으나 유의차가 발견되지는 않았으며, 압축밀도는 0.20 내지 0.37로 역시 찰옥1호가 2차시기에 가장 가벼웠으나 유의차가 발견되지는 않았다. 2차시기에 가벼운 것으로 보아 어릴 때보다 성숙하면서 조직의 치밀도가 작아지는 것으로 보인 다. 또한 압축밀도는 벌크밀도는 3배정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1-5. 보수력과 보유력 측정
보수력이란 불용성 식이섬유와 일부의 수용성 식이섬유가 일정량의 수분을 흡수하여 보유하는 성질로 비소화성 식이섬유의 체적 증가현상 및 팽윤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첸 등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50 ㎖ 폴리에틸렌 원심분리관에 1 g의 시료와 증류수 50 ㎖를 넣고, 혼합기(vortex mixer, Maxi MixⅡ M37615, Branstead, USA)로 1 분간 고속 혼합한 후 1 시간 동안 상온에 방치하였다. 12,000×g로 30 분간 원심분리(J221, Beckman Centrifuge, Germany)하여 상징액을 제거하고, 원심분리관을 거름종이에 15 분간 거꾸로 세워 수분을 충분히 제거한 후 침전물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이것을 60℃에서 1 시간 동안 예비건조한 후 60℃ 건조기(VS-1202d2n, Vision Science Co., Korea)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젖은 침전물 무게와의 비율로 보수력(water holding capacity, WHC)을 구하였다.
보유력(oil holding capacity, OHC)도 증류수 대신 콩기름을 사용하여 WHC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하기 표 5는 보수력을, 하기 표 6은 보유력을 나타낸 것이다.
시료 보수력(H2Og/g)
광안옥 수원 19호 찰옥 2호 찰옥 1호
1차 채취시료 8.63±0.58aC 6.86±0.25bC2) 8.14±0.74bBC 10.32±0.82aA
2차 채취시료 9.39±0.30aAB 8.01±0.01aD 9.71±0.30aB 10.69±0.07aA
3차 채취시료 6.86±0.31bA 5.84±0.25cA 6.85±0.22bA 6.93±1.15bA
시료 보유력(오일 g/g)
광안옥 수원 19호 찰옥 2호 찰옥 1호
1차 채취시료 6.25±0.45aA 5.04±0.47aB 4.60±0.24bB 6.48±0.21bA
2차 채취시료 6.95±0.40aB 6.59±0.45aB 7.10±0.42aB 8.57±0.09aA
3차 채취시료 5.72±0.92aAB 5.69±0.59aAB 5.19±0.31bB 6.95±0.35bA
표 5에서, 보수력은 광안옥 6.9 내지 9.4, 수원 19호 5.8 내지 8.0, 찰옥2호 6.9 내지 9.7, 그리고 찰옥1호 6.9 내지 10.7이며, 찰옥1호의 보수력이 다른 품종보다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시기별로는, 1차시기 6.9 내지 10.3, 2차시기 8.0 내지 10.7, 그리고 3차시기는 5.8 내지 6.9로 2차시기의 보수력이 1차시기와 3차시기에 비하여 높았으며, 3차시기에는 품종별로 보수력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보유력은 광안옥이 5.7 내지 7.0, 수원19호는 5.0 내지 6.6, 찰옥2호는 4.6 내지 7.1, 찰옥1호는 6.5 내지 11.6이며, 광안옥과 수원19호는 시기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기별로는 찰옥1호의 보유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차시기에 4.6 내지 6.5, 2차시기에 6.6 내지 8.6, 그리고 3차시기에는 5.2 내지 7.0로 2차시기에 보유력이 큰 것오로 나타나, 보유력도 보수력과 마찬가지로 2차시기가 1차시기와 3차시기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보수력에 비하면 낮은 값이었다. 일반적으로 보유력은 보수력에 비하여 낮게 나타나며, 그 범위는 30 내지 80% 정도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도 보수력과 보유력의 비율은 20 내지 40%의 차이가 나타났다.
1-6. 색도 측정
성숙시기별로 준비된 시료의 색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스펙트로포토미터(CM-3500d, Minolta Inc., Japan)를 사용하여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를 측정하 였으며, 그 결과는 표 7 내지 9에 나타낸다.
시료 명도(Hunter's L value)
1차 채취시료 2차 채취시료 3차 채취시료
광안옥 81.39 81.30 75.05
수원 19호 81.74 75.96 74.69
찰옥 2호 83.58 81.37 72.54
찰옥 1호 83.18 78.31 74.58
시료 적색도(Hunter's a value)
1차 채취시료 2차 채취시료 3차 채취시료
광안옥 2.99 4.10 4.80
수원 19호 2.92 3.69 5.35
찰옥 2호 0.63 1.71 6.93
찰옥 1호 -0.71 3.47 5.46
시료 황색도(Hunter's b value)
1차 채취시료 2차 채취시료 3차 채취시료
광안옥 22.34 24.30 26.59
수원 19호 22.31 24.04 24.72
찰옥 2호 22.06 24.27 24.86
찰옥 1호 21.07 23.10 23.37
표 7에서, 옥수수 속대가 성장할수록 명도는 감소되어 어릴 때는 밝다가 성장할수록 어두워지고 진해지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찰옥1호만을 제외한 나머지 3품종은 각 시기별로 명도값의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표 8 및 9에서 적색도와 황색도는 성장할수록 증가되어 어릴 때보다 성장할수록 적색과 황색이 진해지는 경향이었으며 1, 2, 3차 시기별 적색도 및 황색도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었다.
1-7. 식이섬유의 측정
가장 최근에 정립된 식이섬유 정량법인 이 등(Lee, S.C., et al.(1992) J. AOACI 75:395-400)과 1999년 식품공전에 준하여 수용성 식이섬유, 불용성 식이섬유 및 총식이섬유를 측정하였으며, 효소제제는 전체 식이섬유키트(TDF-100A, Sigma Co., U.S.A.)를 이용하였다.
1-7-1. 시험용액의 조제
분쇄시료 1.0±0.005 g 2개를 비이커에 취하고 MES-TRIS 완충액 40 ㎖를 가하여 교반기(PC-320, Corning, USA)를 이용하여 충분히 분산시켰다. 이후 내열성 α-아밀레이즈 용액 50 ㎕를 가하여 혼합한 후 알루미늄 호일로 덮고 95-100℃의 수조에서 5 분 간격으로 흔들면서 15 분간 항온처리 하였다. 반응이 끝나면 수조에서 꺼내어 60℃로 식히고, 뚜껑을 열어 비커의 벽이나 바닥에 부착된 내용물을 스파튤라로 긁어 분산시킨 후 증류수 10 ㎖로 기벽과 스파튤라를 세척하였다. 비이커에 프로테이즈 용액 100 ㎕를 가하고, 알루미늄 호일로 덮은 다음 60±1℃에서 5 분 간격으로 계속 교반하면서 30 분간 항온하였다. 뚜껑을 제거하고 0.561 N HCl 용액 5 ㎖를 가하여 60℃에서 pH를 4.0 내지 4.7로 조정하였다. 다시 아밀로글루코시데이즈 용액 300 ㎕를 넣고 흔들어 섞은 후 알루미늄 호일로 뚜껑을 한 후 60℃에서 30 분간 교반을 유지하며 항온시켜 시험용액으로 하였다.
1-7-2. 불용성 식이섬유의 분석
미리 셀리트(celite)로 항량으로 만든 40 내지 60 ㎛ 기공크기와 60 ㎖의 용량을 지닌 유리필터(2G2, Iwakii, Japan)에 증류수 3 ㎖를 가하여 분산시킨 후 흡인여과하여 셀리트층을 고르게 하였다. 이에 시험용액을 여과하고 잔사는 70℃의 온수 10 ㎖로 2회 세척하였다. 이때 여액과 세척액은 합하여 600 ㎖ 비이커에 모 아 수용성 식이섬유 정량용으로 준비하며, 잔사는 78% 에탄올, 95% 에탄올 및 아세톤 순으로 각 15 ㎖씩 2회 세척하였다. 이렇게 세척된 잔사는 105℃ 건조기에서 하룻밤 건조시키고, 건조기에서 1 시간 방냉하여 항량을 구한 후 유리필터와 셀리트의 무게를 제외시켰다. 하나의 잔사는 단백질 함량을 구하고, 다른 하나의 잔사는 525℃에서 5 시간 회화시킨 후 회분량을 구하여 공시험 결과와 함께 계산시 건조된 잔사무게로부터 제외시켜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을 구하였다.
1-7-3. 수용성 식이섬유의 분석
앞에서 준비해 둔 여액과 세척액의 혼합액에 60℃의 95% 에탄올을 4배 가하여(또는 혼합액을 증류수로 80 g이 되게 한 후 60℃의 95% 에탄올을 320 ㎖를 가하고) 2 시간 방치하여 침전물을 형성시켰다. 셀리트를 넣어 미리 항량으로 만든 유리필터에 78% 에탄올 15 ㎖를 가하여 분산시킨 후 흡인 여과하여 셀리트층이 고르게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에 준비된 용액을 여과하고 비이커에 묻은 잔사는 78% 에탄올 10 ㎖로 세척하여 함께 여과하였다. 이후부터는 불용성 식이섬유의 정량과 같이 잔사를 세척, 건조하고 질소와 회분함량을 구하여 제외시킨 후 하기 계산식 1에 따라 수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을 구하였다.
(계산식 1)
Figure 112002032673603-pat00001
P=단백질량(mg), A=회분량(mg), B=공시험값(mg)
도 1은 옥수수 품종별로 속대내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총식이섬유함량을 나타낸 그래이다.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의 합으로 나타낸 총식이섬유의 함량은, 광안옥, 수원19호, 찰옥2호와 찰옥1호가 각각 32 내지 39%, 27 내지 44%, 33 내지 43%, 45 내지 54%로 확인되어 찰옥1호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성장단계 별로는 찰옥1호가 2차시기에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고 1차시기와 3차시기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나머지 3품종인 광안옥, 수원19호와 찰옥2호는 1차시기와 2차시기에는 유의적인 함량의 차이가 없으나 3차시기에 들어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불용성 식이섬유도 각 품종별로 32 내지 38%, 27 내지 42%, 33 내지 42%, 43 내지 51%로 각각 함유되어 있었으며 역시 2차시기에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고 찰옥1호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수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은 0.5 내지 1.6%, 0.1 내지 2.4%, 0.7 내지 2.0%, 1.6 내지 2.2%로 찰옥1호는 2차시기에, 나머지 세 시료는 1차시기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식용 옥수수인 찰옥1호는 불용성 식이섬유와 수용성 식이섬유 모두 함량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총식이섬유 함량 또한 가장 높았다. 또한 시기별로는 불용성 식이섬유가 2차시기에, 수용성 식이섬유는 1차시기에 대체로 높게 나타나 미숙할 때는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많다가 성숙해가면서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옥수수 속대의 식이섬유는 불용성 식이섬유가 주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1-8.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시료의 변형
식이섬유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물리화학적 처리를 실시하였다. 닝 등(Ning, Lit, Villota, B. and Artz, W.E.(1991) Cereal Chem. 68(6): 632-636)과 이 등(Lee, Y.H. and Moon, T.W.(1994) Korean J. Food Sci. Technol. 26(3): 288-294)이 옥수수섬유에 대하여 사용한 방법에 따라 표 10의 물리적 처리 및 표 11의 화학적 처리를 실시하였다.
물리적 처리 조건 시간(hr)
100℃ 1
자동멸균 121℃, 1.2 atm 1
굽기 130℃(dry oven) 1
화학적 처리 조건(90 ℃) 시간(hr)
무처리
pH 2 with 6 N HCl 1
염기 pH 11 with 6 N NaOH 1
산-염기 pH 2 with 6 N HCl & pH 11 with 6 N NaOH 1
산-염기 pH 2 with 6 N HCl & pH 11 with 6 N NaOH 4
염기-산 pH 11 with 6 N NaOH & pH 2 with 6 N HCl 1
염기-산 pH 11 with 6 N NaOH & pH 2 with 6 N HCl 4
시료가 분쇄된 가루이므로 시료와 증류수를 1:10의 비율로 섞은 후 표 10 및 11과 같은 조건에서 처리를 하고, 중화한 다음 60℃ 건조오븐에서 하룻밤 건조시켰다. 덩어리 진 시료를 다시 분쇄하여 체로 친 다음 냉동고에 보관하며 수용성 식이섬유, 불용성 식이섬유, 보수력 및 보유력을 분석하였다.
1-8-1. 물리적 처리에 의한 보수력 및 보유력 변화
하기 표 12는 물리적 처리후 광안옥과 찰옥1호의 보수력 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표 13은 보유력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시료 물리적 처리 1차 채취시료 2차 채취시료 3차 채취시료
광안옥 천연 9.39±0.58 8.63±0.30 6.86±0.31
10.40±0.47 10.15±0.47 7.63±0.09
자동멸균 9.60±0.09 9.38±0.35 7.67±0.00
굽기 11.84±0.17 11.04±0.23 9.50±0.42
찰옥 1호 천연 10.32±0.82 10.69±0.07 6.93±0.82
9.60±0.00 11.50±0.00 7.92±0.21
자동멸균 11.88±0.31 13.62±0.16 8.55±0.78
굽기 12.25±0.02 15.40±0.28 8.70±0.66
시료 물리적 처리 1차 채취시료 2차 채취시료 3차 채취시료
광안옥 천연 6.25±0.45) 6.95±0.40 5.72±0.92
7.63±0.75 8.28±0.59 5.75±0.35
자동멸균 6.53±0.61 6.82±0.07 7.57±0.14
굽기 8.92±0.92 10.05±0.07 10.18±0.59
찰옥 1호 천연 6.48±0.21 11.57±0.09 6.95±0.35
8.93±0.24 10.27±0.75 6.85±0.45
자동멸균 8.78±0.26 13.40±0.99 8.68±0.16
굽기 10.43±0.38 16.97±1.18 10.63±0.71
1-8-2. 화학적 처리에 의한 보수력과 보유력의 변화
각종 화학적 처리를 실시한 후 광안옥에 대하여 보수력과 보유력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표 14 및 15에, 찰옥 1호에 대한 결과는 표 16 및 17에 나타낸다.
화학적 처리 광안옥의 보수력(WHC, H2O g/g))
1차 채취시료 2차 채취시료 3차 채취시료
천연 9.39±0.58 8.63±0.30 6.86±0.31
9.54±1.27 8.50±0.94 7.10±0.75
염기 9.97±0.24 10.03±0.71 8.63±0.90
산-염기(1h) 10.33±0.21 11.16±0.20 8.57±0.18
산-염기(4h) 15.91±0.01 12.29±0.04 14.82±0.34
염기-산(1h) 10.97±0.21 11.04±0.06 8.88±0.20
염기-산(4h) 13.66±0.27 12.33±0.16 10.25±0.24
화학적 처리 광안옥의 보유력(OHC, oil g/g)
1차 채취시료 2차 채취시료 3차 채취시료
천연 6.25±0.45 6.95±0.40 5.72±0.92
6.95±0.21 6.42±0.22 5.73±0.09
염기 5.78±0.21 6.80±0.42 6.48±0.35
산-염기(1h) 6.44±0.03 6.21±0.16 6.60±0.21
산-염기(4h) 7.86±0.06 6.74±0.06 7.41±0.01
염기-산(1h) 6.82±0.25 5.73±0.02 6.38±0.03
염기-산(4h) 7.66±0.37 7.47±0.24 7.07±0.01
화학적 처리 찰옥 1호의 보수력(WHC, H2O g/g))
1차 채취시료 2차 채취시료 3차 채취시료
천연 10.32±0.82 10.69±0.07 6.93±1.15
10.38±1.15 10.87±0.42 6.93±0.47
염기 10.70±0.66 12.32±0.40 7.07±0.05
산-염기(1h) 11.81±0.21 13.78±0.92 8.91±0.01
산-염기(4h) 13.62±0.65 15.48±0.06 11.37±0.47
염기-산(1h) 12.00±0.40 13.24±0.31 9.14±0.20
염기-산(4h) 12.90±0.28 14.45±0.07 11.32±0.06
화학적 처리 찰옥 1호의 보유력(OHC, oil g/g)
1차 채취시료 2차 채취시료 3차 채취시료
천연 6.48±0.21 8.57±0.09 6.95±0.35
8.22±0.45 8.03±0.80 6.93±0.14
염기 7.30±0.05 9.28±0.16 6.37±0.19
산-염기(1h) 5.88±0.96 7.49±0.78 4.74±1.61
산-염기(4h) 7.56±0.03 6.93±0.04 7.18±0.03
염기-산(1h) 6.65±0.07 8.78±0.11 6.20±0.03
염기-산(4h) 9.11±0.10 11.01±0.13 7.81±0.01
다양한 화학적 처리군의 보수력을 비처리 시료의 보수력과 비교하면, 광안옥과 찰옥1호 두 품종 모두 산, 염기의 단독처리시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산-염기의 병행처리시에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같은 산-염기의 병행처리라도 1h 처리군과 4시간 처리군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어 4시간 처리군의 보수력이 높은 경향이었으나, 보유력의 경우엔 차이가 확실하지 않았다. 그중에서도 산-염기 4시간 병행처리군의 보수력과 보유력이 두 품종 모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염기 병행처리군과 염기-산 병행처리군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이처럼 산이나 염기 처리한 옥수수 식이섬유에서 비처리 시료의 식이섬유보다 보수력과 보유력의 유의적인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는 옥수수 섬유의 주성분들이 가수분해에 의하여 수용화되기 때문이며, 높은 정도의 다공성(porosity)을 지닌 좀더 열린 구조를 지니게 되어 증가된 표면의 기공들이 섬유기질 내부로 수분의 흡수와 침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91). 이처럼 식이섬유 구조상의 팽윤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은 산이나 염기의 흡수정도, 산이나 염기의 농도, 온도, 섬유의 구조, 팽윤매체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실험에서도 산-염기 병행처리가 식물조직과 수분 사이의 상호작용을 촉매하며, 상승된 온도에서 섬유조직의 수용화를 촉진시키는 인자로 작용하여 보수력과 보유력이 증가된 것으로 보인다.
1-8-3. 수용성 식이섬유의 변화
광안옥과 찰옥1호에 물리화학적 처리를 실시한 후 수용성 식이섬유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4는 광안옥에 물리화학적 처리 후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을 무처리군과 비교한 것으로, NA는 무처리군이고, HE는 열처리군이고, AU는 자동멸균처리군이고, TO는 구은 군이고, ACT1은 1hr간 산처리한 군이고, ALT1은 1hr간 염기처리한 군이고, ACALT4은 4hr간 산-염기병행처리한 군이고, ALACT4는 4hr간 염기-산병행처리한 군이다.
도 4에서, 광안옥의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1차 채취시료의 무처리군은 1.6%였으나 물리화학적 처리후 1.6 내지 6.8%로, 2차 채취시료는 0.8%에서 1.1 내지 5.4%로, 3차 채취시료는 0.5에서 0.3 내지 2.8%로 증가되었다. 특히, 1차 채취시료의 수용성 식이섬유 증가율이 높게 확인되었으며, 자동멸균 효과가 가장 작고, 염기-산 병행처리가 함량증가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각 처리별 수용성 식이섬유 증가율을 보면 물리적 처리효과는 굽기>열>자동멸균의 순으로, 화학적 처리의 효과는 염기-산>산-염기>염기>산 처리군 순으로 함량이 증가되었다.
도 5는 찰옥1호에 물리화학적 처리시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 1차 채취시료의 무처리군은 1.9%였으나, 물리화학적후 1.9 내지 6.5%로, 2차 채취시료는 2.2%에서 2.5 내지 7.7%로, 3차 채취시료는 1.6%에서 1.7 내지 6.0%로 약 3배 증가되었다. 그러나 광안옥과 달리 무처리군은 2차 채취시료에서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높게 측정되어 2차 채취시료에서의 물리화학적 처리효과가 가장 우수하였고, 특히 염기-산 병행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1-8-4. 불용성 식이섬유의 변화
광안옥과 찰옥1호에 물리화학적 처리를 실시하고,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6은 광안옥의 물리화학적 처리에 따른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변화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찰옥1호의 물리화학적 처리에 따른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광안옥 1차 채취시료는 무처리군의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36%이고, 물리화 학적 처리후 31 내지 36%로, 2차 채취시료는 38%에서 34 내지 40%로, 3차 채취시료는 32%에서 28 내지 34%로 변화되었다. 자동멸균처리한 경우, 불용성 식이섬유의 함량이 증가된 것처럼 보이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며, 이는 수용성 식이섬유의 증가폭이 적은 것에 의한 것이다.
찰옥1호 1차 채취시료는 무처리군의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45%이고, 물리화학적 처리후 39 내지 47%로 변화였고, 2차 채취시료는 51%에서 45 내지 52%로, 3차 채취시료는 43%에서 37 내지 43%로 광안옥에 비할 때 약간 감소되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1차 채취시료는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높고, 2차 채취시료는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높아 총식이섬유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다.
1-9. 수용성 식이섬유의 특성 조사
1-9-1. 수용성 식이섬유의 추출 및 정제
효소처리 후 여과한 수용액에 60℃의 95% 에탄올을 4 부피배 가하여 하룻밤 방치하여 수용성 식이섬유를 침전시켰다. 이를 6,500×g로 원심분리하여 부유층의 수용액은 제거하고, 형성된 펠렛은 78% 에탄올, 95% 에탄올, 아세톤으로 세척하여 건조시켰다. 건조된 수용성 식이섬유는 증류수를 첨가하여 2% 수용액으로 만들고 여과(No. 6 filter paper)하여, 생성된 여액을 동결건조 시켜두고 사용하였다.
1-9-2.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옥수수 속대의 수용성 식이섬유는 세파로즈 CL-6B가 충진된 컬럼(Pharmacia 26 K, 2.6×100 cm)상에서 분획하여 분자량 분포도를 조사하였다(Nyman, E.M.G-L., Svanberg, S.J. and Asp, N.G.L.(1994) J. Sci. Food Agric. 66: 83-91).
덱스트란(2000,000 Da) 0.005 g, 덱스트란(500,000 Da) 0.005 g, 덱스트란(70,000 Da) 0.005 g, 덱스트란(10,000 Da) 0.005 g, 포도당 0.005 g을 0.1 M 소듐 포스페이트 완충액(pH 6.0) 10 ㎖에 녹이고, 2 ㎖(0.005 g/2 ㎖)을 취하여 컬럼에 주입하여 완충액이 0.4 ㎖/min로 흘러내리도록 평균유속을 조절하였다. 그 분획물을 5 ㎖씩 받아 각각 총당, 중성당, 우론산의 분자량 분포도를 조사하였다.
1-9-3. 총당 측정
각 분획 1 ㎖에 5% 페놀용액 1 ㎖를 혼합하고, C-H2SO4 5 ㎖를 직접 액면에 가하여 강하게 발열시킨 뒤, 실온에 25 분간 방치하고 최대흡수파장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페놀-황산법(Chaplin, M.F. and Kennedy, J.F. Monosaccharides, pp. 2-10. IRL Press, Washington, DC, USA (1986))으로 분자량 분포를 확인하였다.
표 18은 옥수수 속대의 수용성 심이섬유의 총당 분자량 분포를 나타낸다.
분획 분자량 총당(%)
1차 채취시료 2차 채취시료 3차 채취시료
31∼52 2,000,000∼500,000 12.26 15.11 18.98
53∼60 500,000∼70,000 13.84 10.20 10.28
61∼79 70,000∼10,000 61.01 61.07 55.33
80∼96 10,000 이하 12.89 13.62 15.41
총당은 주로 분획 31 ∼ 96번 사이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특히 61 ∼79번 분획에 7만∼1만 정도의 당들이 현저하게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당의 함량은 1차 채취시료에 61%, 2차 채취시료에 61% 그리고 3차 채취시료에 55%가 분포되어 있었 으며, 이는 고분자도 저분자도 아닌 중간크기 정도의 분자량을 지닌 당들로서 이를 분해하여 단당으로 만들 경우 고분자의 당들로 분포되어 있는 것보다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 시기별로는 어릴 때 50만∼1만의 분자량을 지닌 중간 크기의 당들이 많다가 점차 성숙하면서 50만 이상의 고분자 당들과 1만 이하의 저분자 당들이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총당은 중성당과 우론산의 합으로 볼 수 있으며, 분획 31∼52번 사이에는 총당이 존재하나 중성당과 우론산은 없는 것으로 보아 셀룰로즈와 같은 고분자의 다당류가 존재할 것으로 생각된다.
1-9-4. 중성당 측정
표준물질로 아라비노스, 람노스, 포도당, 만노스, 갈락토스, 프룩토즈를 사용하였고, 오르시놀(Orcinol,ToIler, M.T. and Robin, J.P.(1979) Ann. Technol. Agric. 28: 115)법으로 분석하였다.
시료액 1 ㎖에 70% H2SO4에 녹인 오르시놀 용액 1 ㎖를 첨가하여 잘 혼합하고, 95% H2SO4 5 ㎖를 첨가한 다음 98℃ 물수조에서 25 분간 가열, 냉각하였다. 최대흡수파장인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작성된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분자량 분포를 확인하였다(표 19).
분획 분자량 중성당(%)
1차 채취시료 2차 채취시료 3차 채취시료
31∼52 2,000,000∼500,000 0 0 0
53∼60 500,000∼70,000 11.97 10.93 17.49
61∼79 70,000∼10,000 76.66 73.88 65.26
80∼96 10,000 이하 11.37 15.19 17.25
중성당 역시 총당과 유사하게, 중간 크기의 당들은 어릴 때 많다가 성장하면서 1만이하의 저분자와 50만 이상의 고분자 당들이 증가하였다. 한편, 50만∼7만의 분자량을 지닌 중성당은 53∼96번 분획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2백만∼50만의 고분자량을 지닌 당들은 발견할 수 없었다.
1-9-5. 우론산 측정
표준물질로 글루쿠론산과 갈락투론산을 이용하여 m-하이드록시디페놀법(Thibault, J.F. Automatisation du dosage des substances pectiques patla meta-hydroxydiphenyl. Lebensm. Wiss. Technol. 12: 247-251(1979))으로 분석하였다.
시료액 0.4 ㎖에 4 M 설파믹산-포타슘 설파메이트(pH 1.6) 40 ㎕와 75 mM 소듐 테트라 보레이트 2.4 ㎖를 첨가하여 잘 혼합하고, 100℃ 수조에서 20분간 가열한 다음, 얼음조에서 빠르게 냉각시켰다. 다시 0.15% m-하이드록시디페닐 용액 80 ㎕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최대흡수파장인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곡선과 비교함으로써 분자량 분포를 확인하였다(표 20).
분획 분자량 우론산(%)
1차 채취시료 2차 채취시료 3차 채취시료
31∼52 2,000,000∼500,000 0 0 0
53∼60 500,000∼70,000 9.74 12.41 15.54
61∼79 70,000∼10,000 74.78 77.37 75.34
80∼96 10,000 이하 15.49 10.22 9.12
우론산은 어릴 때는 저분자량의 당들이 많다가 성숙하면 고분자량의 당들로 변화되었으며, 7만∼1만의 중간 크기의 당들은 시기에 관계없이 74∼77%로 높게 유 지되었다. 한편, 50만∼7만의 분자량을 지닌 우론산은 53∼96번 분획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2백만∼50만의 고분자량을 지닌 당들은 발견할 수 없었다. 낮은 분획에서 추출되는 당일수록 분자량과 점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Sclmeeman, B.O.(1987) Food Technol 41(2): 81-82).
1-9-6. 포도당 흡수 지연효과 분석
넓이 3.3 cm2, 길이 10 cm의 투석막(Sigma D7884 : cut-off < 1200)을 0.1% 소듐 아자드 용액에 하룻밤 담근후 사용하였다(Adiotomre, J., et al(1990) Am. J. Clin. Nutr. 52: 128-134). 투석막에 옥수수 속대로부터 추출한 수용성 식이섬유 0.2 g과 포도당 36 mg을 용해시킨 0.1% 소듐 아자드 용액 6 ㎖를 넣은 뒤 뚜껑 달린 150 ㎖의 용기에 넣고 14 시간 동안 수화시켰다. 수화가 끝나면 용기에 0.1% 소듐아자드 용액 100 ㎖를 가하고 37℃ 수조에 용기가 잠기게 하여 100 rpm으로 24 시간 동안 진탕한 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1 ㎖씩 취하여 디나이트로살리실산(Dinitrosalicylic acid: DNS)법(Miller, G.L., et al.(1960) Anal. Biochem. 2: 127-132)에 따라 포도당 함량을 분석하였다.
0.1% 소듐 아자드용액에 용해시킨 시료 및 표준 포도당 용액 1 ㎖에 DNS 시약 3 ㎖를 첨가하여 100℃ 수조에서 5 분간 중탕하고 찬물로 냉각하였다. 시료대신 물 1 ㎖를 이용한 공시험을 실시하고, 54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읽어 표준곡선과 비교한 당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포도당 흡수 억제지수는 하기 계산식 2에 따라 계산하였다.
(계산식 2)
Figure 112002032673603-pat00002
유리상태의 포도당은 투석막을 그대로 통과하지만 고분자 물질인 식이섬유에 흡착된 포도당은 투석막을 통과하지 못하는 원리에 의하여 투석외액에 빠져나온 포도당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이는 식이섬유의 위장관 통과시 영양소 흡수와의 관련성 즉, 소화관내의 생리적인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된다.
도 8은 찰옥1호의 수용성 식이섬유의 포도당 흡수지연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찰옥1호의 불용성 식이섬유의 포도당 흡수지연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투석시간은 30분에서 24시간에 이르기까지 6단계로 나누어 측정하였는데, 8시간까지는 대조구와 유의차를 보이므로써 흡수지연 효과가 좋았으나, 24시간에는 대조구와 차이나지 않았다. 포도당 흡수 억제지수는 투석 30분에 45∼53%로 계산되었으며, 이는 수용성 식이섬유로 시판되고 있는 표준품인 구아검(guar gum), 잔탄검(xanthan gum), CMC(carboxymethyl cellulose)나 펙틴등을 대상으로 투석을 실시하여 30분에 조사한 아디오토머 등(Adiotomre, 3., Eastwood, M.A., Edwards, C.A. and Brydon, W.G. Dietary fiber, in vitro methods that anticipate nutrition and metabolic activity in humans. Am. J. Clin. Nutr. 52: 128-134 (1990))의 40 내지 46% 보다도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포도당 흡수지연 효과는 3단계의 시기별로 추출한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인 흡수 지연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등(Lee, K. S. and Lee, S. R.(1996) Korean J. Nutr. 29(7):738-746)은 포도당이 4시간 경과시 85%, 8시간 경과시 100% 통과하였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본 실험에서는 4시간 경과시 55%내외, 8시간 경과시 80%내외 통과되었으며, 24시간이 경과하여도 88 내지 94% 정도 통과하므로써 옥수수 속대 분쇄분의 흡수 지연 효과가 대단히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포도당 흡수지연 효과는 식이섬유 급원에 따라 차이가 크다고 하나, 본 실험의 결과로 볼 때 옥수수 속대는 식이섬유 함량이 높을 뿐만 아니라 생리활성 효과도 우수하다고 판단된다.
브라운(Brown, I.L., Macnamara, S., Power, L.J., Hazzard, K. and McNaught, K.J. Food Australia 52: s2226 (2000))과 툴리센(Thulesen, 3., harymann, B., Nielsen, C., HoIst, 3.3. and Poulsen, S.S. Gut 45: 672678 (1999))은 식이섬유는 글루카곤의 혈장수준과 소장 상부의 기능을 향상시키므로서 혈청중 포도당 수준을 감소시킨다고 하였다. 또한 슈니만(Sclmeeman, B.O. Food TechnoL 41(2): 8182 (1987))은 식이섬유는 구조내에 포도당을 붙잡아 가두는 엔트래핑 효과(entrapping effect)를 지니므로 포도당 흡수지연 효과가 나타난다고 하였다. 특히, 점성이 높은 수용성 식이섬유의 경우 그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물과 함께 점성이 높은 gel 구조를 형성하여 물성변화와 더불어 포도당을 가두는 능력이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하지만 본 실험에서는 수용성과 불용성 식이섬유간의 포도당 흡수지연 효과가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오우(Ou, S., Kwok, K.C. Li, Y. and Fu, L. J. Agric. Food chem. 49: 10261029 (2001)은 소장내에서 일어난는 흡수는 능동적인 과정이므로 식이섬유와 점성과의 관계로서 실험결과를 이해하려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투석 초기에는 흡착기전에 의하여 투과력이 증가하고, 흡착력이 포화상태에 이르면 그 이후에는 점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하였다. 본 실험에서도 8시간까지는 불용성 식이섬유가 투과력에서 수용성 식이섬유와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것도 옥수수 속대의 불용성 식이섬유가 지닌 큰 흡착력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1-9-7. 담즙산 흡수 지연효과 분석
포도당과 마찬가지로 투석을 이용하였다(Adiotomre, J., et al.(1990) Am. J. Clin. Nutr. 52: 128-134).
투석막 내부에 옥수수 속대로부터 제조된 식이섬유 0.2 g을 넣고 0.1% 소듐아자드 용액으로 조제한 0.05 M 인산 완충액(pH 7.0)에 15 mM 타우로콜린산(taurocholic acid)/L을 녹인 용액 6 ㎖를 넣고 투석막의 양끝을 봉한 다음 포도당과 같은 조건에서 수화시켰다. 수화가 끝나면 용기에 0.05 M 인산 완충액(pH 7.0) 100 ㎖를 첨가한 후 37℃ 수조에서 100 rpm으로 72 시간 동안 진탕하고 1 ㎖씩의 투석외액을 취하여 Boyd 등의 방법(Boyd, G.S., Eastwood, M.A., Maclean, N. (1966) J. Lipid Research 7: 83-94)에 따라 담즙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담즙산 1 ㎖에 70% H2SO4용액 5 ㎖와 5 분 후0.25% 프르푸럴(furfural) 1 ㎖를 첨가하여 60분간 방치하고, 분홍색이 최대로 발색된 후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담즙산 흡수 억제지수는 계산식 2의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본 실험은 유리상태의 담즙산 역시 투석막을 그대로 통과하지만 고분자 물질인 식이섬유에 흡착된 담즙산은 투석막을 통과하지 못하는 원리에 의하여 투석외액에 빠져나온 담즙산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식이섬유의 위장관 통과시 콜레스테롤 관련 지질대사와의 관련성 즉, 소화관내의 생리적인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된다.
도 10은 찰옥1호의 수용성 식이섬유의 담즙산 흡수지연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찰옥1호의 불용성 식이섬유의 담즙산 흡수지연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담즙산의 흡수지연 효과는 48시간에 걸친 측정 기간 중 2, 4시간에는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8시간 이후부터는 대조구에 비하여 투과율이 유의적으로 달라지기 사작하였다. 또한 담즙산의 투과율은 포도당에 비하여 시간경과에 따라 서서히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담즙산의 분자량(538)이 포도당(180)보다 크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이 등의 경우 24시간에 60 내지 70%의 담즙산이 투과되었으나 본 실험에서는 50 내지 60% 투과되었고 48시간 경과 후에 60 내지 70% 통과되어 이 후에도 담즙산 흡수지연 효과가 계속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때 불용성 식이섬유의 담즙산 투과 억제지수가 투석 48h에 걸쳐 12 내지 28%로 유지되었는데 이는 불용성 식이섬유 구성분인 셀룰로즈, 헤미셀룰로즈 및 리그닌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리그닌은 담즙염등의 유기물질과 결합해서 소장에서 영양소 흡수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Van Soest, P.3. and McQueen, R.W. The chemistry and estimation of fiber. Proc. Nutr. Soc. 32(3): 123129 (1973)).
한편, 담즙산은 식이섬유에 흡착되어 배설되므로 담즙산의 분해대사 및 체내 이용률이 감소한다. 글로리 등(Glore, S.R., Van Treeck, D., Knehans, A.W. and Guild, M. J. Am. Diet. Assoc. 94: 425436 (1994))은 77개의 연구보고서를 조사하여 수용성 식이섬유의 혈청내 지질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중 68개의 보고서에서 혈청내 총 콜레스테롤치가 수용성 식이섬유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을 고찰하였다. 특히, 식이섬유의 담즙산 흡수억제 지수가 클수록 혈청내 콜레스테롤 감소효과가 크다고 하는데, 3차시기의 수용성 식이섬유가 흡수억제 지수가 가장 크므로 콜레스테롤 감소효과도 클 것이라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옥수수 속대로부터 추출한 수용성, 불용성 식이섬유 모두 포도당과 담즙산 흡수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실시예 2: 제빵적용 시험
옥수수 속대에 함유된 식이섬유를 식품에 적용하기 위하여 강력분 밀가루에 속대 분쇄분을 첨가하여 식빵의 개발을 시도하고, 이에 따른 빵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폐자원의 재활용이라는 차원에서 3차시기의 찰옥1호를 선택하고 밀가루 함량의 0%, 2%, 4%와 6%를 대체하여 첨가하고 제빵하여 완성된 빵과 반죽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2-1. 반죽의 유동성(Farinogram)의 측정
AACC법에 따라 브라벤더 파리노그래프(Brabender Farinograph 810106, Brabender OHG Dudisburg, Germany)를 사용하여 반죽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강력분 300g(본 실험에서는 밀가루의 수분함량 13.38%를 고려하여 297.84 g) 을 기준으로 시료 0%, 2%(5.96 g), 4%(11.91 g)와 6%(17.87 g)를 재어 준비하였다. 예비가열로 믹싱볼 내의 온도가 30±0.2℃를 유지하도록 조절하고, 밀가루와 시료를 넣고 1분동안 63rpm으로 공회전시켜 재료가 고루 섞이도록 하였다. 뷰렛으로부터 30℃로 예열된 증류수를 약 25초에 걸쳐 재료에 넣으면서 반죽 점도(dough consistency)를 의미하는 그래프의 피트 중앙선이 500FU(Farinograph Unit)에 이르도록 물량을 조절하면서 반죽하였다(이때 500FU를 가리키는 중앙선으로부터 눈금 한칸이 벗어나면 20 unit의 변화 즉, 물 0.5%의 가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음). 이때부터 반죽의 굳기가 약화될 때까지의 수분흡수율, 반죽형성 시간, 반죽의 안정도, 저항도를 측정하였다.
반죽의 흡수율, 반죽형성시간, 안정도 및 저항도를 측정한 페리노그람 변화는 표 21에 나타낸다.
속대함량 흡수율(%) 반죽형성시간(min) 반죽 안정도(min) 저항도(B.U.)
대조구 62.0±0.02 3.5±0.5 16.5±0.5 30± 5
2% 63.0±0.10 3.3±0.1 14.5±0.5 55±10
4% 64.0±0.05 3.2±0.1 11.0±1.0 70±10
6% 64.3±0.10 3.0±0.1 10.0±2.0 90±15
반죽이 일정한 굳기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수분함량은 대조구의 경우 62%였으나 속대분을 첨가함에 따라 다소 증가하였다. 밀가루의 흡수율은 주로 단백질 함량, 손상된 전분의 영향을 받는다고 하나, 본 실험에서는 옥수수 속대가 지닌 높은 보수력이 흡수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밀가루가 물을 흡수하여 반죽의 굳기가 최고점에 도달하는 반죽 형성시간(Dough development time)은 대조구 3.5분 에 비하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짧아졌다. 옥수수 속대 식이섬유가 증가될수록 반죽에 첨가되는 밀가루의 양이 적어지므로 글루텐 형성에 걸리는 반죽시간이 짧아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반죽형성 시간은 단백질의 질을 반영하는 지표로 삼는데, 강력분은 박력분보다 장시간이 요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형성된 반죽의 안정도는 밀가루의 질을 표시하는 일차적인 지표로 생각하는데, 2% 첨가구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4% 이상의 첨가구는 섬유소의 함량증가에 의한 높은 수화와 글루텐의 희석효과로 반죽의 발달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또한 반죽의 저항도를 의미하는 MTI의 증가를 예측하게 하는 결과로서 일반적으로 안정도가 좋은 밀가루는 MTI(mechanical tolerance index)값이 낮고 안정도가 약한 밀가루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즉, 섬유소 첨가량의 증가로 인한 글루텐 형성력의 감소가 반죽의 약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로 보면 2% 첨가구를 함유한 빵의 제빵적성이 가장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2. 점도 측정
시료의 첨가에 의한 밀가루의 호화특성을 측정하였다(Rapid Visco Analyser(3D, Newport Scientific Pty. Ltd., Australia).
밀가루 3.5 g에 시료 0%, 2%, 4%와 6%를 첨가한 후 25 ㎖의 증류수를 가한 현탁액을 50℃에서 95℃까지는 분당 6℃씩 증가하도록 가열하고, 95℃에서 4분간 유지시킨 다음, 다시 분당 6℃씩 50℃까지 냉각시키면서 총 13분간 관찰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시료계산법에 따라 수분함량을 고려하여 밀가루 3.47 g과 증류수 25.3 ㎖가 요구되므로 시료는 0%, 2%(0.07 g), 4%(0.14 g)와 6%(0.21 g) 첨가되었다. RVA로부터 호화개시온도, 최고점도, 최고점도에 도달하는 시간, 최저점도, 최종점도(냉각점도)와 역수(setback: 냉각점도/냉각시작 직전의 점도)를 구하였다.
측정된 RVA(rapid visco analyzer) 분석표는 도 12에 나타내었고, 호화개시온도, 최고점도, 최고점도에 도달하는 시간, 최저점도, 최종점도(냉각점도)와 역수(setback: 냉각점도/냉각시작 직전의 점도)는 표 22에 나타낸다.
속대함량
대조구 2% 4% 6%
호화개시온도(℃) 67.80±0.05 67.68±0.56 67.22±0.42 66.95±0.80
최고점도(RVU) 192.42±0.58 187.10±1.07 176.56±1.22 168.06±0.75
최고점도 도달시간(min) 6.20±0.04 6.19±0.08 6.13±0.07 6.07±0.00
최저점도(RVU) 115.53±2.29 110.40±1.93 102.00±0.98 94.44±0.57
최종점도(RVU) 226.64±1.28 216.19±1.22 202.36±0.97 190.22±0.86
역수 111.11±1.23 105.79±1.62 100.36±1.91 95.78±0.46
밀가루와 속대의 혼합에 의한 반죽의 호화 개시온도는 대조구의 67.8℃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최고점도는 옥수수 속대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반죽의 최고점도는 전분입자의 팽창과 관련된다고 하는데 천마분말을 빵에 첨가한 김 등(Kim, ILK and Kim, S.K Wheat and milling industry, p. 184. Korea Wheat and Flour Industrial Association, Seoul, Korea)의 연구에서도 반죽에 천마의 주성분인 전분의 추가로 최고점도가 증가하는 점으로 미루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옥수수 속대는 주성분이 식이섬유로 오히려 밀가루의 호화적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첨가구가 증가할수록 최고점도와 최고점도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감소된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3: 식빵의 제조 및 품질특성
3-1 식빵의 제조방법
식빵은 AACC 방법에 따라 3차시기의 찰옥1호 분쇄분을 0%, 2%, 4%와 6% 첨가하고 밀가루는 대체된 속대 비율만큼 감소된 100%, 98%, 96%, 94%를 첨가하여 표 23의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조성물 함량(%) 대조구(g) 2%(g) 4%(g) 6%(g)
강력분 100∼94 230.00 226.28 221.66 217.04
옥수수 속대 분말 0∼6 0 4.40 8.79 12.86
효모 식품 2 4.60 4.53 4.43 4.34
효모 1.25 2.88 2.83 2.77 2.71
탈지유 분말 3 6.90 6.79 6.65 6.51
설탕 6 13.80 13.58 13.30 13.02
소금 2 4.60 4.53 4.43 4.34
버터 4 9.20 9.05 8.87 8.68
62 140.60 140.29 137.43 134.56
켄우드 테이블 믹서(Major, Kenwood Inc., England)로 27℃에서 3 분정도 혼합하여 반죽을 얻고, 상대습도 75%의 대양 발효 캐비넷(Daeyung Machinary Co., Korea)에서 20 분간의 1차발효, 50 분간의 2차발효를 마친 후 성형하여 윗불 185℃/아랫불 200℃의 제빵용 스팀오븐(Daeyung Machinary Co., Korea)에서 25 분간 구웠다.
3-2. 식빵의 무게 및 부피
식빵의 부피는 구워낸 후 1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한 후 종자치환법(Pyler, E.J. &iking Science & Technology. 3rd ed. Vol. 2, pp. 854-857. Sosland Publishing Company, Metrian Kansas, USA (1988)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무게도 측정하였다. 식빵의 무게, 부피 및 비용적을 측정하여 각각 도 13 내지 15에 나타낸다.
식이섬유원으로 옥수수 속대를 대체법에 의하여 2%, 4% 및 6%로 첨가한 식빵의 무게는 각각 281 g, 286 g 및 290 g으로 대조군의 278 g에 비하여 각각 1.1%, 2.9% 및 4.3%로 증가하였다. 식빵의 부피는 대조구 809 mL에 비하여 각각 1.9%, 5.3% 및 13.7%로 감소하였다. 또한 식빵의 부피를 무게로 나눈 비용적은 대조구 2.9 cm3/g에 비하여 각각 2.8 cm3/g, 2.7 cm3/g 및 2.4 cm3 /g으로 3.4%, 6.9% 및 17.2%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복합분으로 제조된 빵은 밀가루로 만든 빵보다 품질이 떨어지고 빵의 용적이 감소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되고 있는데 이는 높은 겨 함량이 글루텐을 희석하고 반죽의 가스보유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라이 등(Lai, C.S., Davis, AS. and Hoseney, P.C. Cereal Chem. 66: 224-227(1989))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3가지 방법으로 글루타티온을 산화시키는 리폭시게나제(lipoxygenase)를 첨가하거나 수분흡수량을 최대한 증가시키거나 반죽강화를 위하여 소금을 디소듐 포스페이트나 소듐 사이트레이트로 대체하므로써 통밀빵의 부피를 개선할 수 있다.
3-3. 식빵의 색도
제빵 24 시간 후 식빵의 껍질부위와 속부위의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를 측정하였고(CM-3500d, Minolta Inc., Japan), 그 결과는 하기 표 24 및 25에 나타내었다.
식빵 식빵 껍질부위의 색상도(Hunter's color value)
명도 적색도 황색도
대조구 81.03±0.66 -0.36±0.11 11.44±0.50
2% 77.17±0.64 1.14±0.23 13.75±0.56
4% 74.12±0.41 1.40±0.61 14.07±0.44
6% 70.17±0.68d 2.26±0.24 14.96±0.33
식빵 식빵 속부위의 색상도(Hunter's color value)
명도 적색도 황색도
대조구 78.93±0.57 2.20±0.74 14.38±0.47
2% 68.54±1.34 5.21±0.69 15.58±0.50
4% 63.52±0.32 6.68±0.30 15.82±0.34
6% 60.49±0.59 7.90±1.22 16.40±1.50
표 24 및 25에서, 식빵의 껍질부위 및 속부위 모두 식이섬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점 어두워지는 특성을 나타냈으며, 적색과 황색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특히, 2% 첨가구에서도 대조구와는 구별되는 색상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박 등(Park, H., Seib, P.A. and Chung, O.K Cereal Chem. 74(3): 207211 (1997))은 5%의 밀 속겨(wheat bran)를 첨가한 빵의 속부위 색상이 진해진 것은 폴리페놀 옥시데이즈에 의한 갈변반응이 촉진되었기 때문으로 보았으며, 이 색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포메란즈등(Pomeranz, Y. Carbohydrate, Starch. Functional properties of food components.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A Series of Monograph. Schweigart, B.S., Hawthon, J. and Stewart, G.E Academic Press, New York USA(1985))은 SSL(sodium stearoyl 2-lactylate)의 첨가가 속부위 색상의 향상에 효과적이었다고 보고하였다.
3-4. 식빵의 텍스처 측정
식빵의 텍스처는 텍스터 분석기(TX XT2, Stable Micro Systems, Eng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제빵 후 1 시간 방냉한 식빵은 15 조각으로 자르고 1 조각씩 플랫폼에 올려놓고 직경 25 mm의 원형 프로브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측정조건은 표 26과 같다.
조건 조건
Option T.P.A Post-test speed 2 mm/sec
Force unit g Distance 10 mm
Distance format format Time 5 sec
Pre-test speed 2 mm/sec Trigger type auto
Test speed 1 mm/sec Trigger force 2 g
Maximum force 2∼3 kg Probe P25 25mm DIA cylinder Al
측정시 실험오차를 최소로 줄이기 위해 식빵 15 조각중 같은 위치에서 꺼낸 6 조각에 대하여 조각마다 4번씩 총 24번을 측정하여 얻은 데이터중 평균치와 오차가 큰 4∼5개의 값을 버리고 19∼20개의 데이터로 평균치를 얻었다.
밀가루에 찰옥1호의 속대 분쇄분을 0%, 2%, 4%, 6%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을 20℃에서 2일간 보관하면서 견고성(hardness),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 뭉치는 성질(gumminess)과 씹히는 성질(chewiness)등 5가지 특성을 측정하였고, 각 결과는 표 27 내지 31에 나타내었다.
견고성
0 일 1 일 2 일
대조구 402.20± 2.73 750.30± 3.78 1151.70±12.29
2% 455.10± 7.63 891.10±14.55 1653.60± 9.98
4% 1167.10±23.01 1652.40±17.13 1742.01±47.45
6% 1465.10±46.26 2320.60±36.80 2906.01±55.58
탄력성
0 일 1 일 2 일
대조구 0.80±0.04 0.74±0.04 0.70±0.10
2% 0.78±0.02 0.73±0.04 0.68±0.03
4% 0.73±0.08 0.70±0.06 0.67±0.09
6% 0.72±0.05 0.68±0.06 0.63±0.07
응집성
0 일 1 일 2 일
대조구 0.58±0.02 0.52±0.05 0.46±0.05
2% 0.57±0.10 0.51±0.10 0.41±0.01
4% 0.50±0.06 0.41±0.09 0.35±0.03
6% 0.45±0.09 0.40±0.08 0.34±0.17
뭉침성
0 일 1 일 2 일
대조구 294.16±12.74 750.30± 9.34 1151.70±10.03
2% 325.08±33.48 891.10±18.06 1653.60±14.50
4% 503.25± 3.99 1652.40±17.46 1742.01± 7.32
6% 679.53±25.04 2320.60±36.22 2906.01±39.48
씹힘성
0 일 1 일 2 일
대조구 240.69±3.45 294.17±5.64 442.52±4.35
2% 255.77±4.27 391.22±5.71 481.70±5.89
4% 442.55±5.53 633.46±1.20 720.26±1.77
6% 465.73±6.68 661.79±2.66 961.31±5.40
식이섬유의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견고성은 증가되었으나 2%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 또한 제조당일의 대조구와 2%는 부드럽지만 2일째 6% 첨가구는 견고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탄력성과 응집성은 2% 첨가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시일경과에 따라 다소 감소하지만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여 탄력성과 응집성이 크게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뭉침성은 당일과 1일 경과후에 2% 첨가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 나 시간이 갈수록, 그리고 옥수수 속대의 참가 비율이 클수록 뭉치는 성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씹힘성은 대조구와 2% 사이에는 제조일로부터 2일이 경과해도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아 씹는 감촉은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4%와 6% 첨가구는 유의차가 나타나 대조구와는 다른 특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3-5. 관능검사
식빵의 관능검사는 20명의 대학원생 이상의 훈련된 패널들을 대상으로 9점척도법을 사용하여 색, 향, 맛, 조직과 전체적인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구운 빵은 1 시간 방냉한 후 껍질을 제거하고 2.5×3 cm의 균일한 크기로 절단하여 평가지와 함께 패널들에게 제시하였으며, 색, 향, 맛, 조직, 전반적인 기호도를 매우 좋다(9점), 보통이다(5점), 매우 싫다(1점)까지의 점수로 평가하게 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하기 표 32에 나타낸다.
조직 기호성
대조구 7.55±1.25 6.75±0.95 6.90±1.00 7.00±2.83 7.10±1.83
2 % 6.40±1.71 5.80±1.91 6.70±1.83 6.15±1.91 6.40±1.64
4 % 5.20±2.58 5.60±1.29 5.95±0.95 6.30±2.22 5.80±1.15
6 % 3.95±1.15 4.60±2.22 5.60±1.15 5.40±1.71 4.65±0.63
표 32에서, 6% 첨가구의 향미와 색상을 제외하고 2, 4, 6% 첨가구 모두 5점이상의 점수를 얻어 받아들일 만한 관능적 특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색상면에서는 하얀색의 대조구가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나 연한 미갈색의 2% 첨가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4%와 6% 첨가구는 대조구와 뚜렷한 색상차가 인식되었다. 향미도 처리구간에 유의차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맛은 2%와 4% 첨가구는 대조구와 큰 차이없이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감은 관능평가 상으로는 4%까지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일반적으로 높은 식이섬유 함량을 지니면서 입에 맞는 제품을 생산하기는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령, 빵을 구울 때 식이섬유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밀 속겨를 첨가하는 경우, 완성품의 조직, 내부구조와 부피 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미국 위생성(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은 일반적으로 빵에 식이섬유를 첨가할 때는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가 1:4정도가 바람직하다고 권장하며, 빵에 1일 6g 이상의 수용성 식이섬유를 첨가하여 혈청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옥수수 속대 또는 옥수수 속대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식품으로 이용하여 현대인에게 부족한 식이섬유를 쉽고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옥수수 폐자원을 활용하여 옥수수 재배농가의 소득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옥수수 속대를 동결건조하여 분쇄하여 전처리하고,
    상기 전처리된 옥수수 속대를 건열가열처리, 산처리, 염기처리, 산-염기 병행 처리 및 염기-산 병행처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방법으로 제조된 옥수수 속대를 포함하는 식품으로서,
    상기 건열가열처리는 상기 전처리된 옥수수 속대를 건조 오븐에서 130 ℃로 굽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산처리는 상기 전처리된 옥수수 속대를 HCl을 가하여 pH2로 적정한 후 염기물질로 중화,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염기처리는 상기 전처리된 옥수수 속대를 NaOH를 가하여 pH11로 적정한 후 산물질로 중화,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및
    상기 산-염기 병행 처리는 상기 전처리된 옥수수 속대에 HCl을 가하여 pH2로 적정하는 단계, 이에 NaOH를 가하여 pH11로 적정하는 단계, 산물질로 중화하는 단계 및 건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염기-산 병행 처리는 상기 전처리된 옥수수 속대에 NaOH를 가하여 pH11로 적정하는 단계, 이에 HCl을 가하여 pH2로 적정하는 단계, 염기물질로 중화하는 단계 및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식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옥수수 속대는 0.01 내지 6 중량%로 식품에 포함된 것인 식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빵, 시리얼, 라면, 스낵류, 음료, 젤리 또는 면류인 것인 식품.
  4. 삭제
KR1020020060661A 2002-10-04 2002-10-04 옥수수 속대를 포함하는 식품 KR100563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661A KR100563905B1 (ko) 2002-10-04 2002-10-04 옥수수 속대를 포함하는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661A KR100563905B1 (ko) 2002-10-04 2002-10-04 옥수수 속대를 포함하는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278A KR20040031278A (ko) 2004-04-13
KR100563905B1 true KR100563905B1 (ko) 2006-03-23

Family

ID=37331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661A KR100563905B1 (ko) 2002-10-04 2002-10-04 옥수수 속대를 포함하는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9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589B1 (ko) * 2013-05-13 2013-12-02 (주)세전 옥피 유래 가수분해물이 첨가된 당 함유 식품 조성물
KR102112494B1 (ko) * 2019-03-18 2020-05-19 김범안 모링가를 이용한 과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과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98A (ja) * 1992-03-06 1994-01-18 Ichitaro Shiomi とうもろこしの栄養液製造方法及び栄養物製造方法
CN1266633A (zh) * 1999-12-16 2000-09-20 合肥联合大学 酶法制备功能性低聚木糖的生产工艺
KR101090980B1 (ko) * 2010-05-25 2011-12-08 주식회사 인팩 자동차용 케이블을 연결해주는 이음장치
KR101170518B1 (ko) * 2011-12-30 2012-08-01 석원산업 주식회사 수차 발전기 트러스트 칼라 레벨 측정 장치
KR101210696B1 (ko) * 2007-11-26 2012-12-10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원심팬
KR101266633B1 (ko) * 2004-12-07 2013-05-22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척 및 척 장착 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98A (ja) * 1992-03-06 1994-01-18 Ichitaro Shiomi とうもろこしの栄養液製造方法及び栄養物製造方法
CN1266633A (zh) * 1999-12-16 2000-09-20 合肥联合大学 酶法制备功能性低聚木糖的生产工艺
KR101266633B1 (ko) * 2004-12-07 2013-05-22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척 및 척 장착 백
KR101210696B1 (ko) * 2007-11-26 2012-12-10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원심팬
KR101090980B1 (ko) * 2010-05-25 2011-12-08 주식회사 인팩 자동차용 케이블을 연결해주는 이음장치
KR101170518B1 (ko) * 2011-12-30 2012-08-01 석원산업 주식회사 수차 발전기 트러스트 칼라 레벨 측정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973.07) *
논문(1993.1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278A (ko) 2004-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assesco et al. Carob bean (Ceratonia siliqua L.): A new perspective for functional food
Pathania et al. Utilization of fruits and vegetable by-products for isolation of dietary fibres and its potential application as functional ingredients
Dhingra et al. Dietary fibre in foods: a review
Baah et al. Nutritional and biochemical composition of D. alata (Dioscorea spp.) tubers
Sáenz Cladodes: a source of dietary fiber
Mrabet et al. Date palm fruits as a potential source of functional dietary fiber: A review
Hettiaratchi et al. Nutritional assessment of a jackfruit (Artocarpus heterophyllus) meal
Valdez-Morales et al. Effect of maize genotype, developmental stage, and cooking process on the nutraceutical potential of huitlacoche (Ustilago maydis)
Barkhatova et al. Obtaining and identification of inulin from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tubers
AU2005239788A1 (en) Flaxseeds for body weight management
Repo-Carrasco-Valencia Andean indigenous food crops: nutritional value and bioactive compounds
KR102404589B1 (ko) 천년초 액상액을 이용한 누룽지의 제조 방법
Dubey et al. Utilization of watermelon rind (Citrullus lanatus) in various food preparations: A review
Singh et al. A review on dietary fiber in cereals and its characterization
KR100652479B1 (ko) 항산화활성이 높은 증숙건조돼지감자의 제조방법
Lim et al. Colocasia esculenta
Joshi et al. A review on banana starch
CN112369563A (zh) 一种大麦苗粉青团及其制备方法
Adeniji et al. Nutritional composition of five new Nigerian Musa hybrid cultivars: implications for adoption in human nutrition
KR20150053524A (ko) 돼지감자와 당조고추를 이용한 소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63905B1 (ko) 옥수수 속대를 포함하는 식품
Mälkki Oat fiber: Production, compositi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physiological effects, safety, and food applications
AU2008249175A1 (en) Dietary Fibre from Plant Material
García-Rojas et al. Effect of Pleurotus agaves mushroom addition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blue maize tortillas produced with traditional and ecological nixtamalization
Pasha et al. Biochemical, Nutritional and End Use Perspectives of Wheat Grass as Potential Dietary Supp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