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8319A - 정보 표시장치 및 그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압전소자의 지지 프레임 - Google Patents

정보 표시장치 및 그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압전소자의 지지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8319A
KR20050028319A KR1020040073841A KR20040073841A KR20050028319A KR 20050028319 A KR20050028319 A KR 20050028319A KR 1020040073841 A KR1020040073841 A KR 1020040073841A KR 20040073841 A KR20040073841 A KR 20040073841A KR 20050028319 A KR20050028319 A KR 20050028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ment
information display
touch panel
vibration displacemen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3653B1 (ko
Inventor
다케나카미키오
마루야마시게아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28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복수의 단책상 압전 소자의 양단 부분이, 그들의 진동 변위를 방해하지 않는 비틀림 탄성변형 구조의 홀더를 구비한 지지 프레임으로 지지되어 있는 터치 패널형 정보 표시장치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정보 표시장치(1A)는, 터치 패널(TP)과, 그 터치 패널(TP)의 하부에 배치된 정보 표시 패널(LCD)과, 터치 패널(TP)을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진동 변위를 일으키는 4개의 단책상 압전 소자(E)가 터치 패널(TP)의 외주부에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는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 각 단책상 압전 소자(E)의 양단 부분을 비틀림 탄성 변형 구조의 면상 홀더(112A, 112B), 회동축(113)으로 지지하고, 각 단책상 압전 소자(E)의 진동 변위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보 표시장치 및 그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압전 소자의 지지 프레임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support frame of piezoelectric element of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시각, 촉각의 쌍방을 통하여 조작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고, 예를 들면, FA (공장 자동화) 기기, 자동 판매기, 자동 매표기, 현금 자동 출납기, 가정 전자제품, 의료용의 조작 기기, 정보 기기, 게임기 등과 같은 정보 표시장치 및 그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압전 소자의 지지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면을 이용하여 종래 기술의 정보 표시장치의 일례로서 특개평 11 - 212725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를 채택하여, 그 구성 및 구조를 설명한다.
도 12는 종래 기술의 정보 표시장치의 단면 측면도, 도 13은 종래 기술의 압전 소자의 일지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부호(1)는 종래 기술의 정보 표시장치를 가리킨다. 이 정보 표시장치(1)는, 특개평 11 - 212725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액정 표시 패널(20)상에 조작 패널(10)이 배치되어 있고, 이 조작 패널(10)은 압전 소자(E1 ~ E4)에 의해 지지 되어 있다. 조작 패널(10)의 조작면(11)을 손가락으로 가압하면, 그것에 의하여 압전 소자(E1 ~ E4)의 양단에 전압이 생기고, 그것을 검출하여 연산함으로써 조작력과 조작 위치가 검지(檢知)된다. 소정의 임계치 보다 큰 조작력이 검지되었을 때, 압전 소자(E1 ~ E4)에 고주파가 주어지고, 그것에 의해 조작면(11)이 진동한다. 조작자는 그 진동에 의해 확실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조작면(11)에서의 조작력의 검지와 조작면(11)에서의 진동의 부여를 공통의 압전 소자(E1 ~ E4)에서 행한다. 또한, 부호(30)는 케이스를 가리킨다.
또, 특개 2002 - 259059에는, 조작자의 손가락의 촉각에 역각(力覺)의 기간을 주는 조작 패널의 구조 및 압전 소자를 사용한 정보 표시장치의 입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압전 소자(E1 ~ E4)(대표하여 압전 소자(E)라고 표시한다)의 지지 구조의 일례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책상의 압전 소자(E)(이하, 「단책상 압전 소자」라고 적는다)의 양단부분을 경질로 지지부가 점상(点狀) 또는 선상(線狀)의 돌기 부재(Na, Nb)를 이용하여 선접촉으로 지지하고, 그 양측과 단책상 압전 소자(E)의 아래쪽 면을 접착제와 같은 연질 부재(Ad)로 접합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 지지 구조는 점상 또는 선상의 돌기 부재(Na, Nb)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작자에게 촉각을 전하는 방향의 구속으로서 단책상 압전 소자(E)의 변형을 방해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접착제와 같은 연질 부재(Ad)를 병용 하는 것으로, 단책상 압전 소자(E)와 돌기 부재(Na, Nb)를 접합할 수 있다. 또한, 부호(LCD)는 액정 표시 패널을 가리킨다.
[특허 문헌 1]특개평 11-212725( 제1페이지, 도 3)
[특허 문헌 2]특개 2002-259059( 제1페이지 및 제7페이지, 도 4)
그러나, 이 지지 구조의 경우, 미리, 단책상 압전 소자(E)에 돌기 부재(Na, Nb)를 접착, 고정할 필요가 있고, 조립성이 매우 나쁘고, 또한 조립에 기인하는 진동 변위의 불규칙함이 크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것이며, 촉각을 전달하는 방향의 구속으로서 단책상 압전 소자의 변형을 방해하지 않도록 비틀림 탄성 변형 구조를 이용하고, 게다가 단책상 압전 소자와 그 지지 부재와의 접합 면적을 충분히 넓게 취하는 지지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조립이 용이한 정보 표시장치 및 그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단책상 압전 소자의 지지 프레임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정보 표시장치는, 터치 패널과 그 터치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정보 표시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을 가압하는 가압력 보다 진동 변위를 일으키는 복수개의 단책상 압전 소자가 상기 터치 패널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는 정보 표시장치에 대하여, 상기 각 단책상 압전 소자가, 그 양단 부분을 상기 단책상 압전 소자의 진동 변위를 방해하지 않는 비틀림 탄성 변형 구조의 홀더를 구비한 지지 프레임으로 지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압전 소자의 지지 프레임은, 직사각형의 구멍의 양단부측에 단책상 압전 소자의 진동 변위를 방해하지 않는 비틀림 탄성 변형 구조가 형성된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전 소자의 적어도 일단부를 면에서 고정하여도, 압전 소자의 진동 변위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막고, 또한 조립의 불규칙함을 최소한으로 막는다고 하는 목적을 최소한의 부품 점수로 조작 입출력 장치의 두께를 손상시키지 않고 실현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정보 표시장치 및 그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압전 소자의 지지 프레임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정보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정보 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정보 표시장치의 A-A선상에 있어서의 일부 확대 단면 측면도,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정보 표시장치의 B-B선상에 있어서의 일부 확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부호(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정보 표시장치를 가리킨다. 이 정보 표시장치(1A)는, 사변형의 지지 프레임(100)에 지지되어, 4개의 단책상 압전 소자(E)(후기)를 이용하여 정보 표시 패널(LCD)과 터치 패널(TP)이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00)은 수지제(樹脂製)로, 수지로 일체 성형 된 성형품이며, 도 4에 그 전체를 평면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각변의 프레임(110, 120, 130, 140)으로 평행 사변형을 형성하고, 서로 대향 하는 프레임(110 및 130)에는 직사각형의 구멍(111A, 111B)과 직사각형의 구멍(131A, 13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직사각형의 구멍(111A, 111B, 131A, 131B)은 모두 동일한 형상, 치수이며, 직사각형의 구멍(111A와 111B) 및 직사각형의 구멍(131A와 131B)은 그러한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이하, 직사각형의 구멍(111A)을 도 5에 대표로 채택하여 확대해서 도시하였다. 또한, 동 도 b는 동 도 a의 B-B선상에 있어서의 단면 측면도이다.
이 프레임(110)의 도 5에 나타낸 부분의 구성, 구조를 설명하는데, 직사각형의 구멍(111A)의 양단 부분측에 각각 압전 소자의 진동 변위를 대부분 방해하지 않는 비틀림 탄성 변형 구조의 직사각형의 면상 홀더(112A, 112B)(프레임 130에는 면상 홀더 132A, 132B)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면상 홀더(112A, 112B)는 각각의 양 긴변의 중앙부에서 프레임(110)에 연결된 회동축(113)으로 지지되어 있고, 이 회동축(113)을 중심으로 하여 면상 홀더(112A, 112B)는 시소와 같이 요동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양 면상 홀더(112A, 112B)의 표면은 동일한 높이 레벨에 있다. 그리고 한편의 면상 홀더(112B)의 외단부에는 충합부(衝合部)(115)(프레임 130에는 충합부 13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양 면상 홀더(112A, 112B)의 중앙부에, 이들 양 면상 홀더(112A, 112B)의 상기 표면 보다 약간 낮은 높이 레벨에 단책상 압전소자(E)의 중앙부의 진동 변위의 하한을 제한하는 스토퍼(114)(프레임 130에는 스토퍼 134)가 형성되어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있다.
일례로서 각부의 치수를 적으면, 직사각형의 구멍(111A)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프레임(110)의 두께는 0.7mm이고, 직사각형의 구멍(111A) 길이는 35mm, 폭은 3.4mm이다. 그리고 면상 홀더(112A, 112B)의 치수는, 두께가 0.4mm, 길이가 6mm, 폭이 3.4mm이며, 충합부(115)의 높이는 0.5mm이다. 또한, 회동축(113)의 폭은 1.5mm이다. 더욱 또, 스토퍼(114)는, 길이가 6mm, 폭이 3.4mm이고, 그 표면의 높이는 면상 홀더(112A, 112B)의 표면 보다 0.1mm 낮은 높이 레벨에 있다. 프레임(130)측의 각 요소의 치수도 동일하다.
이와 같은 프레임(110, 130)에 장착하는 단책상 압전 소자(E)의 일례를 도 6에 나타냈다. 동 도 a는 평면도, 동 도 b는 동 도 a의 화살표 B로부터 본 단면도, 동 도 c는 동 도 a의 측면도, 동 도 d는 동 도 c의 화살표 D로 가리킨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 단책상 압전 소자(E)는, 바이모르프(bimorph)형 압전 소자이며, 예를 들면, 두께 0.1mm의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심(CIM)(Es)을 사이에 두고, 한쪽 편 5층의 전체의 두께가 0.25mm의 압전 세라믹층(Eb)으로 이루어지며, 그들 표면에 코팅제(예를 들면, 다무라 화학 연구소 제품 USR-2G, 도 6 d)(Ec)로 피복하여, 전체의 두께를 약 0.85mm로 한 것이다. 동 도 c에 있어서, 부호(S)는 땜납이며, 단책상 압전 소자(E)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두께 약 0.3mm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F)이 접속된다. 도면에 나타낸 것은 단책상 압전 소자(E)의 일단부에 접속된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서 양단부에 플렉시블 배선 기판(F)이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단책상 압전 소자(E)는, 도 1및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그 일단부를 면상 홀더(112B)의 충합부(115)에 맞대어 위치를 결정하고, 그 후, 그 일단부를 면상 홀더(112B)에 접착하고, 다음에, 단책상 압전 소자(E)의 타단부를 면상 홀더(112A)에 접착한다. 이와 같은 요령으로 다른 3매의 단책상 압전 소자(E)를 면상 홀더(112A, 112B) 및 프레임(130)측의 한 쌍의 면상 홀더(132A, 132B)에 장착한다.
이와 같은 구성, 구조의 지지 프레임(100)을 정보 표시 패널(LCD)의 윗쪽에 설치하고, 그 위에 터치 패널(TP)을 장착하면,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정보 표시장치(1A)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이 정보 표시장치(1A)의 동작을,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정보 표시장치(1A)가 작동했을 경우의 제 1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100)에 장착되어 있는 단책상 압전 소자(E)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원리도이다. 동 도 a는 터치 패널(TP)이 가압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단책상 압전 소자(E)의 모드를 나타내고, 동 도 b 및 동 도 c는 터치 패널(TP)이 가압되는 경우의 단책상 압전 소자(E)의 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자가 터치 패널(TP)을 가압한 경우, 도 7b 및 도 7c에 나타낸 것처럼, 각 면상 홀더(112A, 112B)의 회동축(113) 및 면상 홀더(132A, 132B)의 회동축(133)이 비틀림 탄성 변형 구조로 되어, 각 단책상 압전 소자(E)의 휨에 따라 비틀어지고, 각 단책상 압전 소자(E)의 진동 변위를 대부분 방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조작자가 터치 패널(TP)을 가압하면, 그 가압점의 좌표축에 대응하여 4개의 단책상 압전 소자(E)가 휘어지고, 각각 소정의 전압을 발생하여, 정보 표시장치(1A)의 그 좌표축에 정확하게 대응하고, 그 대응한 개소(箇所)의 표시가 변한다.
[실시예 2]
다음에,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200)의 구성, 구조를 설명한다.
도 8은 단책상 압전 소자를 장착한 상태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고, 동 도 a는 그 일부 평면도, 동 도 b는 동 도 a의 B-B선상에 있어서의 단면 측면도, 동 도 c는 동 도 a의 C-C선상에 있어서의 단면 측면도, 동 도 d는 동 도 c의 일부 확대 단면 측면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정보 표시장치가 작동한 경우의 도 8에 나타낸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단책상 압전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원리도이다.
이 실시 예의 지지 프레임(200)에는, 프레임(210)(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이 프레임(210)에 대향하는 프레임에도)에 플렉시블 배선 기판(F)을 접착, 고정하는 홀더(211)와 단책상 압전 소자(E)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F)이 도출되어 있는 측의 단부의 이면(裏面)을 접촉하여 지지하는 돌기 부재(212)와, 단책상 압전 소자(E)의 다른 단부를 지지하는 면상 홀더(213)와, 돌기 부재(212)와 면상 홀더(213)와의 사이에 설치된 스토퍼(214)가 형성되어 있다. 면상 홀더(213)의 단부에는 충합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부분(216A, 216B, 216C, 216D)은 구멍으로 이루어 진다. 또, 구멍(216C, 216D)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면상 홀더(213)는 회동축(217)으로 프레임(210)에 축지(軸支)되어 있다.
프레임(210)은 이상과 같은 구성,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210)에 단책상 압전 소자(E)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먼저, 단책상 압전 소자(E)의 선단부를 충합부(215)에 맞대고 위치 결정하여, 면상 홀더(213)에 접착, 고정한다. 단책상 압전 소자(E)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F)이 접속되어 있는 측의 단부 부근은, 그 이면에서 돌기 부재(212)에 의해 지지되고, 그리고 그 플렉시블 배선 기판(F)의 일부가 홀더(211)에 접착,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양면 접착제에 의해, 터치 패널(TP)(도시하지 않음)을 접착, 고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단책상 압전 소자(E)를 프레임(210)에 장착함으로써, 조작자가 터치 패널(TP)을 가압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책상 압전 소자(E)가 휘면서 진동한다. 이 때, 면상 홀더(213)는 회동축(217)을 중심으로, 돌기 부재(212)는 그 자체가 비틀어지고, 또, 단책상 압전 소자(E)에 접속되어 홀더(211)에 고정되어 있는 부분의 사이에 존재하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F)의 일부분(Fa)도 비틀어지고, 이들이 비틀림 탄성 변형 구조축이 되어, 각 단책상 압전 소자(E)의 휨에 따라 비틀림, 단책상 압전 소자(E)의 진동 변위를 대부분 방해하지 않는다.
[실시예 3]
다음에,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300)의 구성, 구조를 설명한다.
도 10은 단책상 압전 소자를 장착한 상태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고, 동 도 a는 그 일부 평면도, 동 도 b는 화살표 B로부터 본 측면도, 동 도 c는 화살표 C로부터 본 측면도, 동 도 d는 D-D선상에 있어서의 단면 측면도, 동 도 e는 동 도 d의 일부 확대 단면 측면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정보 표시장치가 작동한 경우의 도 10에 나타낸 제 3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단책상 압전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원리도이다.
이 지지 프레임(300)의 한 변의 프레임(310)에는, 긴 구멍(3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단부 부근에 단책상 압전 소자(E)의 이면을 접촉, 지지하는 한 쌍의 돌기 부재(312, 313)가, 그리고 그러한 돌기 부재(312, 313)의 중앙부에, 또한 그러한 지지면보다 낮은 높이 레벨에, 스토퍼(314)가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311)의 양단부의 외측에는 각각 고정부(315, 316)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315)의 표면에는 수직으로 계합 돌기(317)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단책상 압전 소자(E)는, 그 양단에 플렉시블 배선 기판(F)이 접속된 것을 이용한다. 한 쪽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F)에는 상기 계합 돌기(317)에 계합 시키기 위한 구멍이 열려져 있다. 또한, 단책상 압전 소자(E)의 중앙부에는 터치 패널(TP)을 접착, 고정하기 위한 양면 접착제가 접착된다.
이와 같은 단책상 압전 소자(E)를 상기의 지지 프레임(300)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단책상 압전 소자(E)의 일단 측에 접속되어 있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F)을 고정부(315)의 계합 돌기(317)에 계합하여, 접착, 고정한다. 단책상 압전 소자(E)의 다른 한단에 접속되어 있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F)은 고정부(316)에 접착, 고정한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 구조의 지지 프레임(300)상에 있어서의 단책상 압전 소자(E)의 동작을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예의 경우, 단책상 압전 소자(E)의 한 끝과 고정부(315)와의 사이의 긴 구멍(311) 부분에 놓여지고 있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Fa)과 단책상 압전소자(E)의 다른 한단과 고정부(316)와의 사이의 긴 구멍(311) 부분에 놓여지고 있는 플렉시블 배선 기판(Fb)(도 10)이 비틀림 탄성 변형 구조의 지지 부재가 된다. 따라서, 각 단책상 압전 소자(E)가 진동 변위를 일으키면, 플렉시블 배선 기판(F)의 단책상 압전 소자(E)의 양 접속부 부근의 플렉시블 배선 기판(Fa, Fb)이 비틀림 탄성 변형을 일으켜, 단책상 압전 소자(E)는 대부분 자유롭게 진동 변위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1. 터치 패널의 모든 자세(姿勢)에 있어서, 압전 소자를 양단부의 면에서 지지, 고정하면서도, 압전 소자가 발생하는 진동 변위의 고정에 의한 손실을 최소한으로 막을 수 있고
2. 조립은, 압전 소자를 홀더에 맞대고, 혹은 결합시켜 위치 결정 하여, 양단부를, 예를 들면, 양면 테이프로 고정하는 것만으로도 좋고 , 종래의 구조에 비해 큰폭으로 조립하기 쉽게 된다.
3. 또, 홀더에 대한 단책상 압전 소자의 위치와 양단에서의 면 지지 위치가 안정되므로, 조립에 기인하는 진동 변위의 불규칙함을 큰폭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등, 수많은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의 지지 프레임(100, 200, 300)은 정보 표시 패널(LCD)의 외주부 표면에 설치하였지만, 본 발명의 정보 표시장치(1A)에 대해서는, 이와 같은 구조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정보 표시 패널(LCD)외에 설치된 고정 부분에 지지 프레임(100, 200, 300)을 설치한 구조를 취해도 좋은 것을 부언해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정보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정보 표시장치의 A-A선상에 있어서의 일부 확대 단면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정보 표시장치의 B-B선상에 있어서의 일부 확대 단면 측면도이다.
도 4는 4개의 압전 소자를 지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지지 프레임 일부분을 나타내고 있고, 동 도 a는 그 한 변의 프레임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 동 도 b는 도 4에 나타낸 지지 프레임의 A-A선상에 있어서의 일부 확대 단면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정보 표시장치에 이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단책상의 압전 소자를 나타내고 있고, 동 도 a는 그 평면도, 동 도 b는 그 측면도, 동 도 d는 동 도 c의 화살표 D로 나타낸 부분의 확대 단면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정보 표시장치가 작동한 경우의 제 1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단책상 압전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원리도이다.
도 8은 단책상 압전 소자를 장착한 상태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고, 동 도 a는 그 일부 평면도, 동 도 b는 동 도 a의 B-B선상에 있어서의 단면 측면도, 동 도 c는 동 도 a의 C-C선상에 있어서의 단면 측면도, 동 도 d는 동 도 c의 일부 확대 단면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정보 표시장치가 작동한 경우의 도 8에 나타낸 제 2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단책상 압전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원리도이다.
도 10은 단책상 압전 소자를 장착한 상태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고, 동 도 a는 그 일부 평면도, 동 도 b는 화살표 B에서 본 측면도, 동 도 c는 화살표 C에서 본 측면도, 동 도 d는 D-D선상에 있어서의 단면 측면도, 동 도 e는 동 도 d의 일부 확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정보 표시장치가 작동한 경우의 도 10에 나타낸 제 3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단책상 압전 소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원리도이다.
도 12는 종래 기술의 정보 표시장치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13은 종래 기술의 압전 소자의 일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부호의 설명
 1A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의 정보 표시장치
100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
 200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
 300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지지 프레임
 110, 120, 130, 140, 210, 310 …프레임
 111A, 111B, 131A, 131B …직사각형의 구멍
 112A, 112B, 132A, 132B, 213 …면상 홀더
 113, 133, 217 … 회동축 114, 214 314 …스토퍼
 115, 215 …충합부 212, 213, 312, 313 …돌기 부재
 216a, 216b, 216c, 216d …구멍 311 …긴 구멍
 315, 316 …고정부 317 …계합 돌기
 E …단책상 압전 소자 TP …터치 패널
 F …플렉시블 배선 기판  Fa, Fb …플렉시블 배선 기판 F의 일부분

Claims (9)

  1. 터치 패널과, 그 터치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정보 표시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을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진동 변위를 일으키는 복수개의 단책상(短冊狀) 압전 소자가 상기 터치 패널의 외주부에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는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단책상 압전 소자는, 그 양단 부분을 상기 단책상 압전 소자의 진동 변위를 방해하지 않는 비틀림 탄성 변형 구조의 부재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
  2. 터치 패널과, 그 터치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정보 표시 패널과 상기 패널을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진동 변위를 일으키는 복수개의 단책상 압전 소자가 상기 터치 패널의 외주부에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는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단책상 압전 소자는, 그 양단 부분을 상기 단책상 압전 소자의 진동 변위를 방해하지 않는 비틀림 탄성 변형 구조의 면상 홀더를 구비한 지지 프레임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
  3. 직사각형의 구멍의 양단부 측에 단책상 압전 소자의 진동 변위를 방해하지 않는 비틀림 탄성 변형 구조의 한 쌍의 면상 홀더가, 그리고 그 면상 홀더의 지지면보다 약간 낮은 레벨의 면에 상기 단책상 압전 소자의 중앙부의 진동 변위의 하한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압전 소자의 지지 프레임.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홀더가 복수 그룹, 서로 대향하는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압전 소자의 지지 프레임.
  5.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홀더의 외부단에 막다른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압전 소자의 지지 프레임.
  6. 터치 패널과, 그 터치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 정보 표시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을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진동 변위를 일으키는 복수개의 단책상 압전 소자가 상기 터치 패널의 외주부에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는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단책상 압전 소자가 플렉시블 배선 기판상에 고정되어, 그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양단 부분이 도출되어 있고, 상기 각 단책상 압전 소자를, 그 아래쪽 면에 적어도 한 곳에서 진동 변위를 자유롭게 일으킬 수 있도록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 부재로 지지하고, 상기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상기 양 도출부가 비틀림 탄성 변형을 일으키도록 소정의 길이를 설치하여, 상기 비틀림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부분의 외부의 상기 도출부를 상기 프레임의 고정부에 고정되어 지지 프레임으로 지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
  7. 직사각형의 구멍의 소정의 위치에 단책상 압전 소자의 진동 변위를 방해하지 않는 지지 부재가, 그리고 이 지지 부재의 표면보다 낮은 레벨의 면에 상기 단책상 압전 소자의 중앙부의 진동 변위의 하한을 제한 하는 스토퍼가, 또한 상기 직사각형의 구멍의 양단부의 한편에는 고정부가, 다른 편에는 위치 결정부가 설치된 고정부가 상기 지지 부재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 레벨면으로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압전 소자의 지지 프레임.
  8. 터치 패널과, 그 터치 패널의 아래 쪽에 배치된 정보 표시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을 가압하는 가압력에 의해 진동 변위를 일으키는 복수개의 단책상 압전 소자가 상기 터치 패널의 바깥쪽에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는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단책상 압전 소자가 플렉시블 배선 기판상에 고정되어, 그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양단 부분이 도출되어 있고, 상기 각 단책상 압전 소자를, 그 아래쪽 면의 두 곳에서 진동 변위를 자유롭게 일으킬 수 있도록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 부재로 지지하고, 상기 플렉시블 배선 기판의 상기 양 도출부가 비틀림 탄성변형을 일으키도록 소정의 길이를 설치하고, 상기 비틀림 탄성변형을 일으키는 부분의 바깥쪽의 상기 도출부를 상기 프레임의 돌기부에서 위치 결정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표면과 동일한 레벨면의 고정부에 고정하고, 상기 비틀림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다른 단 부분의 바깥쪽의 상기 도출부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지지 부재의 표면과 동일한 레벨면의 고정부에 고정되어 지지 프레임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장치.
  9. 직사각형의 구멍의 소정의 간격 위치에 단책상 압전 소자의 진동 변위를 방해하지 않는 한 쌍의 지지 부재가, 그리고 그 한 쌍의 지지 부재의 표면보다 낮은 레벨의 면에 상기 단책상 압전 소자의 중앙부의 진동변위의 하한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욱이 상기 직사각형의 구멍의 양단부의 한편에는 고정부가, 다른 편에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를 구비한 고정부가 상기 지지 부재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 레벨면으로 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압전 소자의 지지 프레임.
KR1020040073841A 2003-09-17 2004-09-15 정보 표시장치 및 그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압전소자의 지지 프레임 KR101103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25327A JP4359757B2 (ja) 2003-09-17 2003-09-17 情報表示装置
JPJP-P-2003-00325327 2003-09-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772A Division KR101200065B1 (ko) 2003-09-17 2011-04-18 정보 표시장치 및 그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압전 소자의 지지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319A true KR20050028319A (ko) 2005-03-22
KR101103653B1 KR101103653B1 (ko) 2012-01-11

Family

ID=3427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841A KR101103653B1 (ko) 2003-09-17 2004-09-15 정보 표시장치 및 그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압전소자의 지지 프레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10402B2 (ko)
JP (1) JP4359757B2 (ko)
KR (1) KR101103653B1 (ko)
CN (1) CN100409154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1231B2 (en) 2006-08-03 2013-05-28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6852B2 (ja) * 2005-02-04 2010-08-04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7086990A (ja) * 2005-09-21 2007-04-05 Smk Corp タッチパネル
US8780053B2 (en) * 2007-03-21 2014-07-15 Northwestern University Vibrating substrate for haptic interface
US8525778B2 (en) 2007-03-21 2013-09-03 Northwestern University Haptic device with controlled traction forces
US8405618B2 (en) 2006-03-24 2013-03-26 Northwestern University Haptic device with indirect haptic feedback
JP4285504B2 (ja) * 2006-05-24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を有する表示装置
JP2008033739A (ja) * 2006-07-31 2008-02-14 Sony Corp 力覚フィードバックおよび圧力測定に基づくタッチスクリーンインターラクション方法および装置
EP1956466B1 (fr) * 2007-02-12 2013-08-07 Universite Des Sciences Et Technologies De Lille Interface tactile vibrante
JP2009116189A (ja) * 2007-11-08 2009-05-28 Funai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TWI444707B (zh) * 2008-05-30 2014-07-11 Au Optronics Corp 光電裝置及顯示模組
US20100117809A1 (en) * 2008-11-11 2010-05-13 Motorola Inc. Display module with piezoelectric haptics
KR101054942B1 (ko) * 2009-06-15 2011-08-05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입력식 전자기기
KR101084936B1 (ko) * 2009-08-07 2011-11-17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JP2011048671A (ja) * 2009-08-27 2011-03-10 Kyocera Corp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KR20110023031A (ko) * 2009-08-28 2011-03-08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장치
CN102483665B (zh) * 2009-08-31 2014-12-10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带有振动功能的触摸面板的安装结构
JP5473535B2 (ja) 2009-10-28 2014-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光源装置
WO2011117681A1 (en) * 2010-03-25 2011-09-29 Nokia Corporation Contortion of an electronic apparatus
RU2563165C9 (ru) 2010-05-21 2015-12-10 Нокиа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компьютерная програм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ыводом информации на дисплей устройства
JPWO2012090998A1 (ja) 2010-12-28 2014-06-05 京セラ株式会社 表示装置
JP5496373B2 (ja) * 2011-02-18 2014-05-2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5606954B2 (ja) * 2011-02-18 2014-10-1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10108288B2 (en) 2011-05-10 2018-10-23 Northwestern University Touch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controllable shear forces to a human appendage
EP2742410B1 (en) 2011-05-10 2019-08-14 North Western University A touch interface device having an electrostatic multitouch su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vice
EP2754008A4 (en) 2011-06-21 2015-04-22 Univ Northwestern TOUCHING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USING CROSS-HOLLOWS ON HUMAN LIMBS
JP5962907B2 (ja) 2011-07-06 2016-08-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US9823707B2 (en) 2012-01-25 2017-11-21 Nokia Technologies Oy Contortion of an electronic apparatus
US9046972B2 (en) 2012-03-23 2015-06-02 Nokia Technologies Oy Structure for a tactile display
CH706271B1 (de) * 2012-03-27 2016-04-29 Enz Electronic Ag Eingabeeinheit für die Eingabe von Befehlen mit einem Finger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Eingabeeinheit.
JP2013207601A (ja) 2012-03-28 2013-10-07 Kyocera Corp 電子機器
JP5855508B2 (ja) 2012-03-29 2016-02-0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5968018B2 (ja) 2012-04-10 2016-08-1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5812926B2 (ja) 2012-04-12 2015-11-1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5986417B2 (ja) 2012-04-12 2016-09-0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5973218B2 (ja) * 2012-04-26 2016-08-23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9823696B2 (en) 2012-04-27 2017-11-21 Nokia Technologies Oy Limiting movement
JP5968061B2 (ja) 2012-05-01 2016-08-1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WO2013183191A1 (ja) * 2012-06-05 2016-01-2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9158332B2 (en) 2012-10-22 2015-10-13 Nokia Technologies Oy Limiting movement
US9158334B2 (en) 2012-10-22 2015-10-13 Nokia Technologies Oy Electronic device controlled by flexing
JP5849061B2 (ja) * 2013-03-28 2016-01-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表示入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102091030B1 (ko) 2013-10-18 2020-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3559835B (zh) * 2013-10-28 2016-08-17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TWI554986B (zh) * 2014-06-20 2016-10-21 Ming-Chang Hou Advertising canvas lamps
KR102281845B1 (ko) * 2014-11-11 2021-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지지 장치
WO2018123661A1 (ja) * 2016-12-27 2018-07-05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触覚フィードバック装置及び該触覚フィードバック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US10635248B2 (en) 2018-01-05 2020-04-28 Amtel Corporation Force sensor mount and related housings and systems that incorporate the same
JP6940698B2 (ja) * 2018-05-18 2021-09-29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入力装置
CN213582123U (zh) * 2020-10-30 2021-06-29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63215A (en) * 1973-01-04 1974-08-14 Mullard Ltd Mechanical-electrical transducer
GB2080552B (en) * 1980-07-12 1984-11-21 Rubery Owen Group Services Ltd Measuring loads
US4355202A (en) * 1980-12-08 1982-10-19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Mounting arrangement for a position locating system
US4340777A (en) * 1980-12-08 1982-07-20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Dynamic position locating system
JPS5940660Y2 (ja) * 1981-10-20 1984-11-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タツチ式座標入力装置
US4479385A (en) * 1982-09-23 1984-10-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Energy Double resonator cantilever accelerometer
US4511760A (en) * 1983-05-23 1985-04-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orce sensing data input device responding to the release of pressure force
JPS59225439A (ja) * 1983-06-06 1984-12-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座標入力装置
GB2141231B (en) * 1983-06-07 1986-08-06 Gen Electric Co Plc Force sensors
JPS6066882A (ja) * 1983-09-22 1985-04-17 Murata Mfg Co Ltd 圧電変位素子およびその分極方法
US4764244A (en) * 1985-06-11 1988-08-16 The Foxboro Company Resonant sens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775765A (en) * 1985-11-28 1988-10-04 Hitachi, Ltd. Coordinate input apparatus
US4949799A (en) * 1986-02-03 1990-08-21 Wernimont T August Electronic weighing structure
FR2605735B1 (fr) * 1986-10-24 1988-12-09 Labo Electronique Physique Dispositif d'entree de coordonnees de reperage de la zone d'appui d'une force
US4887245A (en) * 1987-04-06 1989-12-12 Canon Kabushiki Kaisha Coordinates input apparatus
US5014555A (en) * 1987-10-05 1991-05-14 British Aerospace Public Limited Company Roll rate sensor
FR2640045B1 (fr) * 1988-12-02 1991-03-08 Sagem Transducteur force-frequence a poutres vibrantes et accelerometre pendulaire en comportant application
JPH0467013A (ja) * 1990-07-05 1992-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US5421213A (en) * 1990-10-12 1995-06-06 Okada; Kazuhiro Multi-dimensional force detector
FR2671873A1 (fr) * 1991-01-22 1992-07-24 Philips Electronique Lab Detecteur de forces et ecran tactile.
JPH04355509A (ja) * 1991-05-31 1992-12-09 Toyo Commun Equip Co Ltd 圧電振動子の支持構造
JP3189304B2 (ja) * 1991-07-25 2001-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ディスプレイ
JPH05121487A (ja) * 1991-10-26 1993-05-18 Rohm Co Ltd 半導体装置の実装構造および実装方法
EP0540094A1 (fr) * 1991-10-30 1993-05-05 Laboratoires D'electronique Philips S.A.S. Dispositif de commandes multidirectionnelles
JP2631614B2 (ja) * 1993-03-17 1997-07-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画面入力装置
JPH07160423A (ja) * 1993-12-03 1995-06-23 Ricoh Co Ltd 表示入力装置
JP3230552B2 (ja) * 1993-12-03 2001-11-19 キヤノン株式会社 圧電センサ及びそれを使用した座標入力装置
US5708460A (en) * 1995-06-02 1998-01-13 Avi Systems, Inc. Touch screen
DE19526653A1 (de) * 1995-07-21 1997-01-23 Carmen Diessner Kraftmeßeinrichtung
JP3844802B2 (ja) * 1995-10-23 2006-11-15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タッチスイッチ式液晶パネルの取り付け構造
JPH09130199A (ja) * 1995-10-27 1997-05-16 Mitsubishi Electric Corp 圧電薄膜素子およびその製法
US5854625A (en) * 1996-11-06 1998-12-29 Synaptics, Incorporated Force sensing touchpad
JP3790808B2 (ja) 1997-05-08 2006-06-28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二次非線形光学材料
US5781646A (en) * 1997-05-09 1998-07-14 Face; Samuel A. Multi-segmented high deformation piezoelectric array
US6107726A (en) * 1997-07-25 2000-08-22 Materials Systems, Inc. Serpentine cross-section piezoelectric linear actuator
JPH11196492A (ja) * 1997-12-26 1999-07-21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圧電発音器
JP3987182B2 (ja) * 1998-01-26 2007-10-03 Idec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および操作入力装置
US6429846B2 (en) * 1998-06-23 2002-08-0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feedback for touchpads and other touch controls
JP4024933B2 (ja) * 1998-08-18 2007-12-19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2000269563A (ja) * 1999-03-15 2000-09-29 Sumitomo Heavy Ind Ltd 圧電素子のパネルへの取付構造
US6822635B2 (en) * 2000-01-19 2004-11-23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interface for laptop computers and other portable devices
US6555235B1 (en) * 2000-07-06 2003-04-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Touch screen system
US6627918B2 (en) * 2000-09-22 2003-09-30 Donnelly Corporation Spacer elements for interactive information devic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02259059A (ja) 2001-03-05 2002-09-13 Sony Corp 入力装置
US7183948B2 (en) * 2001-04-13 2007-02-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angential force control in a touch location device
US20020149571A1 (en) * 2001-04-13 2002-10-17 Roberts Jerry B. Method and apparatus for force-based touch input
JP2002333952A (ja) * 2001-05-09 2002-11-22 Fuji Xerox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JP2003015814A (ja) * 2001-06-29 2003-01-17 Oki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US20040233174A1 (en) * 2003-05-19 2004-11-25 Robrecht Michael J. Vibration sensing touch input device
US6854625B2 (en) * 2003-05-22 2005-02-15 Nancy Kathryn Tedeschi Apparatus for fastening jewelry clasps
JP4198527B2 (ja) * 2003-05-26 2008-12-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US6936985B2 (en) * 2003-07-21 2005-08-30 Agc America, Inc. Sensing device for determining a rain rate
JP4784041B2 (ja) * 2003-11-07 2011-09-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を用いた入力装置
JP2010250971A (ja) 2009-04-10 2010-11-04 Citizen Electronics Co Ltd 表示装置
JP2010256702A (ja) 2009-04-27 2010-11-11 Casio Computer Co Ltd 表示装置
JP5218262B2 (ja) 2009-05-11 2013-06-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とそれを用いる表示モジュ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1231B2 (en) 2006-08-03 2013-05-28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59757B2 (ja) 2009-11-04
CN1598870A (zh) 2005-03-23
US7710402B2 (en) 2010-05-04
JP2005092537A (ja) 2005-04-07
KR101103653B1 (ko) 2012-01-11
US20050057527A1 (en) 2005-03-17
CN100409154C (zh)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28319A (ko) 정보 표시장치 및 그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압전소자의 지지 프레임
JP4056528B2 (ja) 電子機器
US9117994B2 (en) Electronic device
JP5904174B2 (ja) タッチパネルの支持構造
US7663604B2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input device
EP2325733B1 (en) Holding structure for a touch panel
JP2004531716A (ja) 力を利用したタッチ入力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6227712A (ja) 電子機器
WO2012053202A1 (ja) タッチパネル装置
JP2012181771A (ja) 電子機器
WO2022036550A1 (zh) 压力检测模组及电子设备
JP2012039848A (ja) 駆動装置
JP2019101562A (ja) タッチパッドモジュール
JPH0713144A (ja) 液晶表示装置
WO2015146116A1 (ja) 振動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101200065B1 (ko) 정보 표시장치 및 그 정보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압전 소자의 지지 프레임
WO2019059101A1 (ja) 振動ユニット
JP2002175155A (ja) 携帯端末装置
JP2007265113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付液晶モジュール
JP2003140116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47820A (ja) 透明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584309Y2 (ja) 入力装置
JPH0667164A (ja) 液晶表示素子
CN117631889A (zh) 浮动触觉屏及电子设备
JPS61133978A (ja) 液晶表示ユニツ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