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9141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9141A
KR20040099141A KR1020040034088A KR20040034088A KR20040099141A KR 20040099141 A KR20040099141 A KR 20040099141A KR 1020040034088 A KR1020040034088 A KR 1020040034088A KR 20040034088 A KR20040034088 A KR 20040034088A KR 20040099141 A KR20040099141 A KR 20040099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hing
detergent
cleaning
dry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5356B1 (ko
Inventor
오오마찌마사노리
모리시게마사까쯔
니또히데유끼
신무라미쯔노리
스즈끼하지메
슈오기요유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9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9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function, including accident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7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washing water, e.g. turbid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4Devices for adding cleaning agents; Devices for dispensing cleaning agents, rinsing aids or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1/00Manual input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information entered by a user
    • A47L2301/02Consumable products information, e.g. information on detergent, rinsing aid or salt; Dispensing device information, e.g. information on the type, e.g. detachable, or status of the device
    • A47L2301/026Nature or type of the consumable product, e.g. information on detergent, e.g. 3-in-1 tablets, rinsing aid or sal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2Consumable products information, e.g. information on detergent, rinsing aid or salt; Dispensing device information, e.g. information on the type, e.g. detachable, or status of the device
    • A47L2401/026Nature or type of the consumable product, e.g. information on detergent, e.g. 3-in-1 tablets, rinsing aid or sal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0Water cloudiness or dirtiness, e.g. turbidity, foaming or level of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30Variation of electrical, magnetical or optical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4Water pressure or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6Water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2Ai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0Spray nozzles or spray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6Indication or alarm to the controlling device or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30Regulation of machine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 e.g. performing an additional rinsing phase, shortening or stopping of the drying phase, washing at decreased noise operation condition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로서는, 저발포성의 전용 세제를 이용하는 데 적합한 운전 코스와 고발포성의 부엌용 세제를 이용하는 데 적합한 운전 코스를 마련한다. 부엌용 세제 코스에서는, 식기 세정을 행하는 세정 행정으로 하여 세제를 용해한 세제수를 단시간만 식기류에 분사하여 그 후에 분사를 잠시 정지하는 제1 불림 세정을 예비적인 세정으로 하여 우선 실행하고, 그 때 건조 풍로 내에 설치한 광 센서에 의해 세정고 내의 거품 발생의 정도를 판별하여 거품 발생이 많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세제수의 배수 시간을 길게 한다. 그리고, 그 배수 시간만큼 세정고 내의 세제수를 배출한 후에 소정 수위까지 수돗물을 급수하여 세제수의 농도를 조정한 후에 본 세정으로 하여 제2 불림 세정을 실행한다. 제1 불림 세정시에 거품 발생이 많을 경우에는 그만큼 세제수가 엷어져, 다음에 제2 불림 세정시에 거품 발생이 매우 많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저렴하면서 입수가 용이한 부엌용 세제를 사용하여 기기 밖으로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양호한 식기 세정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세정고 내에 수용된 식기류에 물을 분사하여 세정을 행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의 일반 식기 세척기는, 식기류를 수용한 세정고에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하여 상기 세정고의 바닥부에 물을 저류하고, 그 물을 세정 펌프에 의해 흡인하여 노즐 아암으로 압송하고, 노즐 아암에 설치한 물 분사구로부터 식기류에 물을 분사함으로써 식기류의 세정 및 헹굼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식기류나 세정고 내벽 닿게 된 물은 세정고의 바닥부로 복귀하고, 필터에 의해 잔채(殘菜)가 제거된 후에 다시 세정 펌프에 의해 흡인된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거품 발생하기 쉬운 성질을 갖는 일반 부엌용 세제(이하, 부엌용 세제라 함)를 사용하면 세정 운전 중에 이상 발포를 일으켜 버리고, 이에 의해 세정 성능이 극단적으로 저하되거나 건조풍의 흡기구나 배기구 등으로부터 거품 누설을 일으키거나 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종래의 식기 세척기로서는 원래 거품 발생을 억제한 성질을 갖는 식기 세척기 전용 세제(이하, 전용 세제라 함)를 사용하는 취지의 지시가 취급 설명서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식기 세척기를 설치하고 있는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전용 세제와 부엌용 세제와의 양방을 용의하고 있으므로, 식기 세척기로서의 식기 세정시에 잘못하여 부엌용 세제를 사용해 버린다는 실수도 당연 일으킬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336175호 공보에 기재와 같은 종래의 식기 세척기로서는, 만일 실수로 부엌용 세제가 사용되어 이상 발포가 발생된 경우에는, 이를 검지하여 운전을 중지하는 동시에 그 취지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세제를 구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어 시간이 걸리거나 유통량이 현격하게 많은 부엌용 세제 쪽이 저렴하다. 또는, 세제를 실수로 사용한 경우에 시간, 세제, 물 및 전기가 불필요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사용자로부터는 부엌용 세제를 사용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가 요구되고 있다.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부엌용 세제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많은 과제가 있다. 주된 과제를 구체적으로 예를 든다.
(1) 종래의 식기 세척기로서 부엌용 세제를 이용한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정고 내에서 거품이 매우 발생되어 버리기 때문에, 이러한 대단한 거품 발생을 검지하는 거품 검지 수단이 필요해진다. 이러한 거품 검지 수단으로서, 종래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47584호 공보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전극간에 거품이 충만하였을 때의 통전을 검지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서는 전극간에 거품이 완전히 충만한 상태가 되지 않으면 거품 검지가 행할 수 없기 때문에, 거품 검지가 지연될 우려가 있는 동시에 경우에 따라서는, 거품이 다량으로 발생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검지되지 않을 우려도 있다. 게다가 또한, 세제수 자체의 도전성이 양호하지 않으면 거품 검지가 행할 수 없기 때문에, 세제 종류에 따라서는 적절하게 거품 검지를 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2) 세정고 내부에서 거품이 다량으로 발생되어 버린 경우, 운전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발생된 거품을 소산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거품을 소산시킨 후에 다시 바로 거품이 이상 발생되어 버리면 운전 효율이 매우 악화되기 때문에, 거품 발생을 가능한 한 억제하는 운전을 행할 필요가 있다.
(3) 세정고 내부에서 거품이 다량으로 발생된 경우라도, 이러한 거품(세제수)이 기기 밖으로 누출될 일이 없는 대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4) 부엌용 세제를 사용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거품은 오염의 박리를 촉진시키거나 식기로의 오염 재부착을 방지하거나 하는 작용을 갖는 것이므로, 거품 발생을 억제하는 운전을 행한 경우에는 충분한 세정 성능을 얻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전용 세제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극단적으로 세정 성능이 열악한 것은 피해야만 하고, 전용 세제 사용시에 친밀한 세정 성능의 확보가 바람직하다.
(5) 부엌용 세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해도, 통상은 전용 세제를 사용하여 높은 세정 성능을 살린 식기 세정을 행하고 싶다는 요구가 많고, 경우에 따라서 양자를 적절하게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세제 종류에 따라서 사용자가 각종의 조작을 행하는 것은 번거롭고,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세제와 실제로 투입된 세제의 종류가 다르다는 경우도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일반 부엌용 세제를 사용하여 충분한 세정 성능이나 헹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식기류를 내부에 수용하는 세정고와, 상기 세정고의 바닥부에 저류된 물을 흡인하여 상기 식기류를 향해 분사하는 세정 수단을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운전 개시 전 또는 그 운전 초기에 세제가 식기 세척기 전용 세제 또는 일반 부엌용 세제 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하여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설정하는 세제 선택 수단과,
상기 세제 선택 수단에 의한 설정에 따라서, 전용 세제에 대응하여 식기류를 세정하는 세정 운전을 실행하는 전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와, 일반 부엌용 세제에 대응하여 식기류를 세정하는 세정 운전을 실행하는 부엌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실행하는 운전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에 따르면, 전용 세제와 부엌용 세제 중 어느 것을 이용해도 식기류를 세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식기 세척기의 성능을 충분히 살려 높은 세정 능력을 발휘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전용 세제를 사용하고, 주위에 전용 세제가 없어져 버린 경우에는 부엌용 세제를 사용한다고 하는 등의 구분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성이 매우 높아진다.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일형태로서,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상기 세정 수단에 의한 물 분사의 평균적인 강도를 전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보다도 부엌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에 있어서 약하게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세정 수단에 의해 세제수가 분사되면 식기류에 세제수를 끼얹어 식기류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이 떨어지게 된다. 이 때, 부엌용 세제가 사용되고 있으면 전용 세제가 사용되어 있는 경우보다도 거품이 상당히 발생되기 쉽지만, 물 분사의 평균적인 강도는 약하기 때문에 거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 물의 순간적인 분사압의 최대치를 지나치게 작게 하면, 식기류의 상방까지 세제수가 널리 퍼지지 않아 세정 얼룩이 발생되기 쉽다.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물 분사 동작을 단시간 실행하고, 그 후 비교적 긴 시간 분사의 중지 기간을 마련한다는 사이클을 반복함으로써, 물 분사의 평균적인 강도를 약하게 하면 좋다. 이에 따르면, 세제수가 분사될 때에는 식기류에 남김없이 세제수를 끼얹고, 그 때에는 큰 거품 발생이 일어나기 쉽지만 계속해서 중지 기간 동안에 거품이 작아져, 종합적으로 거품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식기류에 끼얹은 세제수는 중지 기간 동안에 식기류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에 침투하여 오염은 박리되기 쉬워진다. 그로 인해, 물 분사를 평균적으로 약하게 해도 충분한 세정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부엌용 세제 사용시에 의해 충분한 세정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세제수를 이용한 세정 운전의 총시간을 전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보다도 부엌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에 있어서 길게 하는 구성이라고 하면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부엌용 세제 사용시에 물 분사가 평균적으로 약하게 됨으로써 단위 시간당의 세정 능력이 떨어져도 세정 운전의 총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단위 시간당의 세정 능력의 저하를 커버하여 충분한 세정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세정고의 바닥부에 저류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한 세제수의 가열 온도를 전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보다도 부엌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에 있어서 낮게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세정 운전의 총시간을 길게 한 경우, 그 동안 세제수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하고자 하면 가열 수단에서의 소비 전력이 많아진다. 그래서, 상기 구성에 따르면, 부엌용 세제 사용시에는 가열 수단에 의한 세제수의 가열 온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억제함으로써 전력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여기에서 가열 온도라 함은, 세정 행정이 1회인 경우에는 그 최고 가열 온도이고, 세정 행정이 2회 이상인 경우에는 각각의 최고 가열 온도의 평균을 생각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로서는, 상기 부엌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는 상기 세정 수단에 의한 물 분사의 평균적인 강도를 상대적으로 약하게 하여 세정을 실행하는 제1 세정 행정과, 상기 제1 세정 행정에 사용한 세제수를 일단 배수하여 세정고 내에 새롭게 물을 도입한 후, 잔류된 세제 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세정 행정시보다도 평균적으로 물 분사를 강하게 하여 세정을 실행하는 제2 세정 행정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제1 세정 행정에 있어서 비교적 세제 농도가 높은 세제수를 이용하여 그 세제수가 평균적인 분사의 강도를 약하게 한다. 식기류에 오염이 달라붙어 있는 경우, 식기류에 남김없이 세제수를 끼얹어 세제의 작용에 의해 식기류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을 뜨게 하는 것은 가능해도, 그 오염을 세정하여 떨어뜨리기까지는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라도, 제2 세정 행정에 있어서 제1 세정 행정시보다도 평균적으로 강한 물 분사로 극히 저농도의 세제수가 뿌려지기 때문에, 부상되었던 오염을 남김없이 떨어뜨려 식기류를 깨끗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세정 행정시에는 세제수의 세제 농도는 비교적 높지만 물의 평균적인 분사는 약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거품 발생은 억제된다. 한편, 제2 세정 행정시에는 물 분사는 강해지지만 세제수는 극히 저농도이기 때문에, 큰 거품 발생은 일어나기 어렵다.
따라서, 거품 발생이 일어나기 쉬운 부엌용 세제를 사용하여 그 거품 발생을 적절하게 억제하면서 식기류를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로서는 상기 세정고 내에서의 거품 발생 상황을 검지하는 거품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상기 세정고 내에 세제수가 저류된 상태에서 상기 세정 수단을 동작시켰을 때에 상기 거품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거품 발생 상황에 따른 운전 시퀀스에 따라서 세정 운전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운전 제어 수단은 거품 발생 상황에 의해 예를 들어 세제 종류나 세제의 투입량 등을 판단하고, 거품 발생이 지나치게 좋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거품 발생을 가능한 한 억제하도록, 예를 들어 세정 수단에 의한 물 분사의 기세가 상대적으로 약한 운전 시퀀스에 따라서 세정 운전을 수행한다. 물론, 물 분사압은 일예이며, 운전 시간이나 세정수의 가열 온도 등, 거품 발생과 세정 성능에 관련하는 각종의 변수를 적절하게 변경 또는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따르면, 거품이 매우 발생되는 사태가 운전 도중에 발생되어도 세정 운전은 사용자가 의도하는 부분까지 완수되고, 게다가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높은 세정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 이 구성에서는 또한,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상기 거품 검지 수단에 의해 거품 이상 발생이 검지된 경우라도 세정 운전을 소정의 최종 행정까지 실행하고, 마지막으로 거품 이상 발생이 있었던 것을 알림 수단에 의해 알리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운전 도중에 거품이 이상 발생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로 인해, 임시로 식기류의 오염 제거가 불충분하였던 경우라도, 자동적인 운전 시퀀스의 선택이나 변경 혹은 세제수의 희석 등의 세정 능력이 저하되는 요인에 의한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어, 다음 번 이후의 식기 세정시 참고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일형태로서, 상기 거품 검지 수단은 상기 세정고 내와 연통하고 또한 상기 세정 수단에 의해 분사되는 물을 직접적으로 끼얹지 않는 위치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광 센서와, 이 광 센서의 수광부에 의한 출력 변화를 기초로 하여 거품 이상 발생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라고 하면 좋다. 이 구성에서는, 세정고 내에 대단한 양의 거품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광 센서의 발광부로부터 출사한 빛은 거의 감쇠하는 일 없이 수광부에 도달한다. 예를 들어 고발포성의 세제(부엌용 세제)가 사용되거나 비교적 저발포성만으로도 지나친 양의 세제가 사용되거나 한 경우에, 세정 수단에 의한 세제수의 분사에 의해 세제수가 교반되면, 대단한 양의 거품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거품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도달하면, 발광부로부터의 출사광이 거품에 의해 차단되어(거품의 막 표면에서의 빛의 산란 등) 수광부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감소된다. 이렇게 하여 수광부에 의한 출력은 저하되므로, 판정 수단은, 예를 들어 통상 상태(거품이 없을 때의 상태)에서의 출력으로부터 소정 비율만큼 출력이 저하되었을 때에 거품 이상 발생이 생긴다고 판단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식기 세척기로서는, 거품에 의한 광 차폐를 이용하여 거품 이상 발생의 유무를 판정하고 있다. 그로 인해,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완전히 거품이 충만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의 양의 거품이 존재하기만 하면 거품 이상 발생을 검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거품 이상 발생을 신속하게 또는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어, 그에 따라 거품 이상 발생시의 대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거품의 도전성 등의 물리적인 성질과는 무관하게 거품의 유무를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어떠한 종류의 세제(중성 합성 세제, 약알칼리성 합성 세제, 비누 등)가 사용된 경우라도 확실하게 거품 이상 발생을 검지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일형태로서, 상기 광 센서는 상기 세정고 내에 건조풍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세정고의 하방으로 접속된 건조 풍로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세정 수단에 의해 세정고 내에 분사된 물은 광 센서에 직접적으로 끼얹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를 가로지르는 일도 없다. 또한, 건조 풍로는 그 단면적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세정고 내에서 거품이 이상 발생된 경우에, 그 하단부의 송풍구로부터 침입한 거품은 빠른 속도로 상승하여 광 센서의 설치 위치에 도달한다. 따라서, 이 구성에 따르면, 세정고 내에서의 거품 이상 발생을 그 발생이 빠른 시점이면서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품 검지 수단에 의해 거품 이상 발생이 검지되었을 때, 그 거품을 소산시키기 위한 거품 제거 처리를 실행하여 운전 계속 가능한 상황으로 복귀시키는 운전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여기에서, 거품 제거 처리라 함은, 그 시점에서 발생하고 있는 거품을 소산시킬 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 계속되는 운전으로 발생하는 거품의 양을 억제 가능한 처리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세정고 내에 저류되어 있는 세제수의 적어도 일부를 배수하고, 그 만큼을 보충하기 위해 새롭게 급수를 행하는 처리로 할 수 있다. 즉, 이에 의해 배수·재급수를 행하기 전보다도 세제수의 세제 농도를 저하시키고, 그에 의해 거품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세정고 내에서 거품이 매우 발생한 경우라도, 거기서 운전을 중지해 버리는 일은 없으며, 예를 들어 상술된 바와 같이 세제수의 세제 농도를 내려 세정 운전을 계속하고, 처음에 설정되어 있는 행정이 종료할 때까지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 수정을 행할 필요 없이 물, 전기, 세제 등과 함께 시간도 불필요하지 않게 종료한다.
또한, 상기 거품 검지 수단에 의해 거품 이상 발생이 검지되었을 때, 그것을 알리는 알림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리는 타이밍으로서는 거품 이상 발생이 검지된 시점이라도 좋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운전을 계속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모든 행정이 종료된 시점이라도 좋다. 특히 알림 수단으로서 부저를 명동시키거나 경고 음성 가이던스를 출력시키거나 하는 경우에는, 운전 계속 중에 경고음이 울리는 것은 번거롭기 때문에, 전체 행정이 종료되어 세정고로부터의 식기의 취출이 가능해진 시점에서 경고 알림을 행하면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거품 이상 발생이 생긴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투입한 세제 종류나 투입량의 실수 등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로서는 상기 광 센서의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를 향하는 빛이 수평면으로부터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는 부착되고, 상기 거품 검지 수단은 상기 세정고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기능을 겸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광 센서에 있어서 발광부로부터 출사한 빛이 수광부에 도달하기 전에 수면에 입사하면, 빛은 수면에서 반사(산란) 혹은 굴절하기 때문에 수광부에 도달하는 광량은 매우 적어진다. 이에 의해, 판정 수단은 광 센서의 수광부의 출력이 저하되었을 때에 세정고 내의 저류수의 수위가 광 센서의 설치 위치의 근방까지 상승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 어느 하나의 시점에 있어서 수광부의 출력 저하가 검지되었을 때에는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의 광로 상에 거품이 존재되는 경우와 수면이 존재되는 경우의 2개를 상정할 수 있다. 그래서, 구체적인 일형태로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수광부에 의한 출력 변화가 생겼을 때 그 변화를 소정 시간 연속적으로 또는 복수회 이산적으로 감시함으로써, 거품 발생과 수위 상승과의 식별을 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거품이 원인인 출력 저하에서는 일단 출력 저하가 발생되면 거품이 소산하지 않는 한 출력 저하 상태가 계속되는 데 반해, 수위 상승이 원인인 출력 저하에서는 또한 수위가 상승되어 발광부로부터 수광부에 이르는 광로 전체가 수중에 가라앉으면, 수면에서의 반사나 굴절이 해소되어 수광부의 출력은 상당히 회복한다. 따라서, 출력의 시간적 변화를 연속적으로 추적하거나 혹은 예를 들어 출력 저하가 생기고 나서 어느 일정 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서 다시 출력 저하가 생기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거품의 존재 또는 수위 상승의 어느 하나가 원인인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거품 검지 수단을 이용하여 광 센서의 설치 위치까지의 수위 상승도 문제없이 검지할 수 있다.
단, 상기 거품 검지 수단을 이용하여 검지 가능한 것은 광 센서 설치 위치(높이) 근방의 하나인 수위만인 데 반해, 식기 세척기로서는 많은 경우 복수의 수위를 검지해야 한다. 그래서, 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세정고 내에 저류되는 물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위 검지 수단의 동작 이상이 있다고 추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거품 검지 수단에 의한 수위 검지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수위가 일정함에도 불구하고 수위 검지 수단의 출력이 크게 변동하고 있는 등, 수위 검지 수단의 동작 이상이 있다고 추정되는 경우에, 광 센서의 수광부의 출력 변화를 기초로 하여 수위 상승이 검지되면 대단한 수위 상승이라 판단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세정 수단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세정고 내의 저류수의 배수 동작을 행함으로써, 적어도 그 이상의 세정고 내의 수위 상승을 저지한다. 따라서, 이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수위 검지 수단이 고장난 경우에 거품 검지 수단에 의한 수위 검지 기능을 이용하여 세정고 내의 저류수 수위의 이상 상승을 검지함으로써, 세정고 내의 수위가 일수 라인을 넘어서 기기 밖으로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구성으로서 상기 세정고 내에 저류되는 물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위 검지 수단에 의해 세정시나 헹굼시 저류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한편, 상기 거품 검지 수단에 의해 이상 수위를 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수위 검지 수단으로서는 하나의 수위만을 검지하면 좋고, 간단한 구조의 수위 스위치 등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별도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 내에 건조풍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세정고의 하방으로 연결된 건조 풍로를 구비하고, 상기 광 센서의 발광부와 수광부라 함은 상기 건조 풍로 내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고, 또한 상기 세정고의 바닥부에 저류된 물을 기기 밖으로 연통하기 위한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일부, 또는 기기 밖으로 급수부를 통해 상기 세정고 내에 공급되는 물의 일부를 상기 광 센서에 끼얹기 때문에, 일단부가 상기 배수관 또는 급수부에 연결되어 타단부가 상기 건조 풍로 내에 개방된 분기관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세정고 내에서 거품이 매우 발생되어 건조 풍로 내에 침입해 오고 광 센서의 부착 위치까지 도달하면, 발광부로부터 출사한 빛이 거품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부에 도달하기 어렵게 되므로, 판정 수단은 수광부에서의 출력 저하에 의해 거품 이상 발생을 검지한다. 광 센서의 수광부와 발광부와의 각각의 대향면이 오염되어 버리면, 거품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수광부에서의 출력이 저하되고, 거품이 있다고 오검지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상기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세정고 내의 저류수를 기기 밖으로 배출할 때마다 그 물의 일부를 분기관을 통해 건조 풍로 내로 복귀시켜, 광 센서의 발광부 및 수광부의 대향면에 끼얹는다. 또는, 세정고 바닥부에 물을 저류하도록 급수부에 의해 급수를 행할 때마다, 그 물의 일부를 분기관을 통해 건조 풍로 내에도 흘러, 광 센서의 발광부 및 수광부의 대향면에 끼얹는다. 그에 따라서, 광 센서의 발광부 및 수광부의 대향면에 임시로 오염이 부착되어 있었던 경우라도, 그 오염이 건조되어 달라붙기 전에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광 센서가 오염되는 데 기인하는 거품의 오검지를 방지할 수있다. 또한, 건조 풍로 내에 흐르게 하는 물에 의해 그 건조 풍로 내에 충만하고 있는 거품을 소산시키거나 세정고 내로 흐르게 한다는 효과도 발휘한다.
또, 분기관의 개방 단부로부터 토출된 물을 광 센서의 발광부 및 수광부의 대향면에 확실하게 끼얹기 위해서는, 상기 건조 풍로 내에 개방된 분기관의 단부로부터 상기 센서의 발광부 및 수광부를 향해 물을 안내하는 물 안내 수단을 상기 건조 풍로의 내부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물 안내 수단은 건조 풍로 내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가능한 한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설치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분기관을 통해 흐르는 물이 소량이라도, 광 센서의 발광부 및 수광부의 대향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을 확실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별도의 형태는 기기 밖으로 상기 세정고 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수단과, 상기 세정고의 바닥부에 저류된 물을 흡인하여 기기 밖으로 연통하는 배수관으로 송출하는 배수 수단과, 상기 세정고 내에 건조풍을 공급하기 위해 일단부가 상기 세정고의 하방으로 연결된 건조 풍로와, 상기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일부 또는 기기 밖으로 상기 급수 수단을 통해 상기 세정고 내에 공급되는 물의 일부를 상기 건조 풍로에 흐르게 하기 위해, 일단부가 배수관 또는 급수 수단에 연결되어 타단부가 상기 건조 풍로 내에 개방된 분기관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세정고 내에 저류된 물을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배수 운전에 있어서 배수 수단이 작동되면, 배수 수단은 세정고의 바닥부로부터 물을 흡인하여 배수관으로 송출한다. 상기 분기관의 일단부가 배수관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배수 수단에 의해 송출된 물의 대부분은 배수관을 통해 기기 밖으로 유출되지만, 일부는 분기관을 통해 건조 풍로 내로 토출된다. 건조 풍로의 송풍구는 세정고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 세정고 내에서 다량의 거품이 발생된 경우, 거품은 송풍구로부터 건조 풍로 내에 침입해 오지만, 분기관의 개방 단부로부터 토출되는 물에 의해 거품은 소산하고, 소산하지 않은 거품도 송풍구로부터 세정고 내로 흐른다. 또한, 상기 분기관의 일단부가 급수 수단, 예를 들어 급수 밸브나 급수관 등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급수 동작이 행해질 때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건조 풍로 내에 물이 흐르게 되고, 이에 의해 거품을 소산시키거나 세정고 내로 흘려 보내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따르면 건조 풍로 내에 거품이 충만하여 체류하는 일이 없어지고, 건조 풍로의 입구 단부인 흡기구나 건조 풍로의 이음매 등으로부터 기기 밖으로 거품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조 풍로 내에 남은 거품이 건조 운전시에 송풍구로부터 취출해 오고 식기류에 부착되는 일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거품 제거의 작용을 확실하게 달성하기 위해, 건조 풍로 내에 개방된 분기관의 개방 단부는 세정고 내에서 거품 이상 발생이 생겼을 때에 건조 풍로 내에 침입해 오는 거품의 최상위면보다도 더 높은 위치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건조 풍로 내에 침입한 거품 전체에 물을 끼얹기 쉽고, 특히 건조 풍로 내의 상부측에 거품이 남아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 배수 수단이나 급수 수단은 예를 들어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이 종료되어 세정고 내의 저류수를 모두 교체할 때에 작동되는 것은 물론이지만,거품 제거로 인해 혹은 세정고 내의 세제수의 일부를 배출하여 새롭게 수돗물을 도입함으로써 세정고 내의 세제수를 엷어지게 하기 위해, 배수 수단 및 급수 수단을 작동시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게다가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별도의 형태는 상기 세정고 내에 건조풍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세정고의 하방으로 연결된 건조 풍로와, 기기 밖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건조 풍로를 통해 세정고 내로 이송하기 위한 팬을 포함하는 송풍 수단과, 세정 행정 또는 헹굼 행정시이며 상기 건조 풍로 내에 거품 이상 발생이 검지되었을 때 또는 그 가능성이 있을 때에 상기 거품을 건조 풍로 내로부터 세정고 내로 되밀리게 하기 위해 상기 팬을 구동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세정 행정이나 헹굼 행정시에 세정고 내에서 거품이 매우 발생되어 송풍구로부터 건조 풍로 내에 거품이 침입해 온 경우, 또는 그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제어 수단의 제어 하에 팬이 작동된다. 팬에 의해 기기 밖의 공기가 흡기구로부터 흡인되어 건조 풍로를 통해 송풍구를 향해 흐르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 공기의 흐름에 의해 건조 풍로 내의 거품은 송풍구로 되밀리게 된다. 따라서, 세정고 내에서 거품이 이상 발생된 경우에 건조 풍로 내에 침입해 온 거품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팬은 건조 운전을 행하기 위해 원래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건조 풍로 내의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기존의 하드웨어(기구나 회로)를 이용하여 제어 프로그램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대응이 가능하다. 그로 인해, 특별한 하드웨어를 부가할 필요가 없어 거품 제거의 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비용의 증가를 아주 조금 억제할 수 있다.
또, 송풍구의 설치 위치에 따라서는 세정 운전이나 헹굼 운전시에 세정고 바닥부에 저류된 물에 의해 송풍구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폐색되어 버릴 수 있다. 그렇게 되면, 건조 풍로 내로부터 세정고 내로 공기가 빠지기 어렵기 때문에, 팬을 작동시켰다고 해도 건조 풍로 내에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기 어렵다. 그래서, 이러한 구조인 경우에는 상기 건조 풍로의 가능한 한 낮은 위치로 또는 통상의 저류 수위면보다도 위가 되는 위치로 건조 풍로 내와 세정고 내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임시로 송풍구 전체가 물로 폐색되어 버린 경우라도, 연통부를 통해 세정고 내와 건조 풍로 내 사이에서 공기가 유통되므로, 팬의 작동에 의해 건조 풍로 내에 기기 밖으로 세정고 내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된다. 이에 의해, 건조 풍로를 거슬러 올라오는 거품을 세정고 내로 확실하게 되밀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별도의 형태는, 상기 세정고의 전방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부엌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 중 1 내지 복수의 특정한 행정 중 또는 그 특정한 행정에 있어서의 소정 기간 동안에는 상기 세정고 내에서의 거품 이상 발생이 있는 것이라 간주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을 행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알림 수단으로서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음발생 수단 또는 경고 표시를 행하는 표시 수단으로 할 수 있어 양자를 병용해도 좋다. 게다가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의 별도의 형태는 상기 세정고의 전방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부엌 세제대응 운전 시퀀스 중 1 내지 복수의 특정한 행정 중 또는 그 특정한 행정에 있어서의 소정 기간 동안에는 상기 세정고 내에서의 거품 이상 발생이 있는 것이라 간주하여 사용자에 의한 상기 도어의 개방을 저지하는 도어 개방 저지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부엌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에서는 고발포성의 부엌용 세제가 사용되기 위해, 세정고 내에서 다량의 거품이 발생되기 쉽다. 특히 거품이 발생되기 쉬운 것은 부엌용 세제가 혼입된 물이 식기류에 분사됨으로써 세정이 행해지는 세정 행정이지만, 그에 이어지는 헹굼 행정에서도 세정고 내의 저류수에 부엌용 세제의 성분이 잔류되어 있어 거품 발생이 많아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상기 특정한 행정이라 함은, 전형적으로는 세제수를 이용한 세정 행정이지만, 그에 이어지는 헹굼 행정 등을 포함해도 좋다. 또한, 소정 기간이라 함은, 예를 들어 세정 행정 중이라도 특히 세정 수단에 의한 물 분사의 기세가 강한, 거품이 특히 발생하기 쉬운 상황인 기간 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구성에서는 모두, 실제로 세정고 내에 대단한 거품이 발생되어 있는지 여부와는 무관하게, 세정고 내에서 거품이 매우 발생되고 있는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고 추정될 때에, 도어 개방 금지(주의)의 경고 알림이나 도어의 개방 저지 동작이 행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거품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고 해도, 그 거품 검지 정밀도가 그다지 양호하지 않은 경우나 거품 검지 수단이 고장난 경우라도 거품의 기기 밖으로의 유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식기 세척기의 외관 정면도.
도2는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측면 종단면도.
도3은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우측면 내측에 배치되는 건조 풍로의 구조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측면 개략 투시도.
도4는 도3의 일부인 광 센서 부근의 확대도.
도5는 도4의 부분의 정면 종단면도.
도6은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주요부의 전기계 구성도.
도7은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의 펌프 모터의 제어계의 상세도.
도8은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전용 세제를 사용한 표준적인 행정의 흐름을 표시하는 흐름도.
도9는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부엌용 세제를 사용한 부엌용 세제 코스의 행정 흐름을 표시하는 흐름도.
도10은 전용 세제의 사용을 전제로 한 운전 코스에 있어서의 세정 행정시의 제어 흐름도.
도11은 부엌용 세제 코스에 있어서의 제1 세정 행정시의 제어 흐름도.
도12는 부엌용 세제 코스에 있어서의 제2 세정 행정시의 제어 흐름도.
도13은 전용 세제의 사용을 전제로 한 운전 코스의 행정 진행에 수반하는 수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14는 부엌용 세제 코스의 행정 진행에 수반하는 수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15는 광 센서에 의한 검지 동작의 모식도.
도16은 전용 세제를 사용한 세정 행정시의 거품 검지 처리의 흐름도.
도17은 도어 개방 금지 표시 처리의 흐름도.
도18은 다른 도어 개방 금지 표시 처리의 흐름도.
도19는 세제 식별 기능을 사용한 세정 운전시 처리의 흐름도.
도20은 광 센서의 검출 출력을 거품 검지와 이상 수위 검지로 겸용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도.
도21은 광 센서 검출 출력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22는 광 센서의 검출 출력을 거품 검지와 이상 수위 검지로 겸용하는 경우의 다른 예에 의한 처리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세정고
3 : 상부 도어
4 : 하부 도어
5a : 적재 선반
5 : 식기 바구니
6 : 노즐 아암
7 : 물 분사구
8 : 저수조
9 : 순환구
10 : 배수구
12 : 세정겸 배수 펌프
13 : 흡입구
14 : 토출구
15 : 통수로
16 : 히터
19 : 수위 센서
20 : 배기구
21 : 배수 호스
23 : 건조 풍로
24 : 고외 흡기 커버 부재
26 : 고내 흡기 커버 부재
27 : 송풍구
30 : 제어부
31 : 부하 구동 회로
33 : 온도 센서
34 : 급수 밸브
181 : 전원 스위치
182 : 스타트 키
183 : 코스 선택 키
184 : 건조 키
185 : 부엌용 세제 코스 키
191 : 에어 트랩
192 : 압력 센서
193 : 에어 호스
281 : 발광부
282 : 수광부
283 : 부착 케이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정면도, 도2는 측면 종단면도이다. 이 식기 세척기는, 예를 들어 부엌 싱크의 측방의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안 길이가 작은 박형 구조의 식기 세척기이다.
하우징(1)의 내부에는 건조실을 겸용하는 세정고(2)가 배치되고, 세정고(2)의 전방면 개구에는 그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각각 피봇 지지되는 상부 도어(3) 및 하부 도어(4)가 상하 방향으로 좌우 여닫이 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하부 도어(4)의 상단부 중앙부에는 손잡이(17)가 마련되어 있고, 사용자가 이 손잡이(17)를 쥐고 하부 도어(4)를 전방으로 당겨 개방하면, 이에 연동하여 상부 도어(3)가 상방으로 개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부 도어(4)의 하방에는 조작 패널(18)이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 패널(18)에는 조작부(18a)로서 전원 스위치(181), 스타트 키(182), 코스 선택 키(183), 건조 키(184), 부엌용 세제 코스 키(185) 등이 배치되어 있다. 코스 선택 키(183)는, 기본적으로 전용 세제를 사용하여 식기를 세정하는 복수의 운전 코스로부터 원하는 운전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키이며, 건조 키(184)는 식기의 건조만을 행할 때에 조작하는 키이다. 부엌용 세제 코스 키(185)는 전용 세제가 아닌 일반적인 부엌용 세제를 사용하여 식기 세정을 행할 때에 조작하는 키이다. 또한, 조작 패널(18)에는 표시부(18b)로서, 코스 선택 키(183)로 선택된 운전 코스를 표시하는 코스 표시부(186)나, 건조 시간, 급탕 설정의 유무 등을 표시하는 조건 표시부(187)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도어(3, 4)를 개방한 상태에서, 식기 바구니(5)는 세정고(2)내에 출납된다. 식기 바구니(5)의 일부(이 예로서는 후방부측)는 하측이 소직경 접시나 밥 공기 등을 수용하는 바구니로 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컵 종류(컵이나 찻잔 밥 공기 등)(G)를 적재하기 위한 컵 적재 선반(5a)이 회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세정고(2)의 바닥부에는 세정 수단의 일부로서, 상면에 복수의 물 분사구(7)가 형성된 회전 가능한 노즐 아암(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식기 세척기로서는 세정고(2)의 폭이 안 길이보다도 크기 때문에, 1개의 노즐 아암에서만은 세정고(2) 내의 양측방부까지 물이 널리 퍼지지 않는다. 그래서, 회전시에 도시한 노즐 아암(6)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병행하여, 도시하지 않은 다른 노즐 아암이 설치되어 있다.
세정고(2)의 바닥부에는 일단 낮게 오목하여 저수조(8)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에는 식기류로부터 흘러내린 잔채를 수집하기 위한 잔채 필터(1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세정고(2)의 측방에는 도시하지 않은 것이지만 급수 밸브를 구비한 급수구가 배치되어 있고, 이 급수 밸브가 개방되면 외부의 수도꼭지 등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급수구를 통해 세정고(2) 내에 흘러 들어가, 저수조(8)를 포함하는 세정고(2)의 바닥부에 저류된다.
세정고 내에 저류된 물의 수위는 수위 검지 수단인 수위 센서(19)에 의해 검지된다. 이 수위 센서(19)는 저수조(8)에 연통하는 에어 트랩(191)과, 세정고(2)의 배면 하부에 배치된 압력 센서(192)와, 에어 트랩(191)과 압력 센서(192)를 연결하는 에어 호스(193)로 이루어진다. 세정고(2) 내의 수위가 변화되면, 그에 수반하여 에어 트랩(191) 내의 공기압이 변화된다. 이를 압력 센서(192)에서 검지함으로써, 세정이나 헹굼을 행하기 위한 규정 수위 라인(NR)이나 지나친 물이 저류되어 있는 경우의 이상 수위의 검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세정고(2)의 바닥부[규정 수위 라인(NR)보다도 낮은 위치]에는, 세정고(2) 내에 저류된 물을 따뜻하게 하는 동시에 건조시에는 세정고(2) 내의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루프형의 히터(16)가 가열 수단으로서 배치되어 있다.
세정고(2)의 바닥벽면 하방으로는, 세정 수단의 일부 및 배수 수단의 일부로서 세정겸 배수 펌프(12)가 배치되어 있다. 세정겸 배수 펌프(12)는 그 내부에 격벽으로 구획된 세정 펌프실과 배수 펌프실을 갖고 있고, 세정 펌프실 내 및 배수 펌프실 내에는 펌프 모터(12a)의 동축에 부착된 세정용 임펠러 및 배수용 임펠러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 펌프실의 흡입구(13)는 저수조(8)의 후방벽에 설치된 순환구(9)에 접속되고, 토출구(14)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 통수로(15)를 통해 노즐 아암(6) 및 도시하지 않은 다른 노즐 아암의 수로에 연통하고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지만 배수 펌프실의 흡입구는 저수조(8)의 측벽에 설치된 배수구(10)에 접속되고, 배수 펌프실의 토출구는 배수 호스(21)를 통해 기기 밖으로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세정고(2)의 바닥부에 물이 저류된 상태에서 세정겸 배수 펌프(12)의 펌프 모터(12a)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세정겸 배수 펌프(12)는 세정 펌프로서 기능한다. 즉, 회전하는 세정용 임펠러의 작용에 의해, 순환구(9)를 통해 저수조(8)로부터 흡입한 물을 통수로(15)를 통해 노즐 아암(6)으로 압송한다. 그렇게 하면, 노즐 아암(6)의 상면에 설치된 물 분사구(7)로부터 물이 뿜어 오르고, 그 수세에 의해 노즐 아암(6)은 대략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물 분사구(7)로부터 분사된 물은 세정고(2) 내에 수용되어 있는 식기류에 닿거나, 식기류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을 떨어뜨리거나 세제수를 흘리거나 한다. 한편, 펌프 모터(12a)가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세정겸 배수 펌프(12)는 배수 펌프로서 기능한다. 즉, 회전하는 배수용 임펠러의 작용에 의해 배수구(10)를 통과하여 저수조(8)로부터 흡인한 물을 배수 호스(21)를 통해 기기 밖으로 배출한다.
도3은 본 식기 세척기의 우측면 내측에 배치되는 건조 풍로(23)의 구조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측면 개략 투시도, 도4는 그 일부인 광 센서 부근의 확대도. 도5는 그 부분의 정면 종단면도이다.
세정고(2)의 바닥부의 세정겸 배수 펌프(12)의 가로로는 송풍 장치(2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송풍 장치(22)는, 도시하지 않은 것이지만 팬 케이싱 내에 수용된 송풍팬과, 그 송풍팬을 회전 구동하는 팬 모터로 이루어진다. 팬 케이싱으로부터는 세정고(2)의 우측벽면에 부착되는 고외 흡기 커버 부재(24)와 그 세정고(2) 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건조 풍로(23)가 경사 후방측으로 연장된 후에 상방으로 연장되고, 역 U자형으로 굴곡[굴곡부(23a)]되어 하방으로 연장된 후에 경사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고외 흡기 커버 부재(24)의 하단부는 세정고(2)의 측벽면에 개구된 공기 취입구(25)에 접속되어 있고, 건조 풍로(23)는 고내 흡기 커버 부재(26)를 지나서 세정고(2) 내에 개구된 송풍구(27)에 연통하고 있다. 상기 송풍팬이 회전되면, 하우징(1)의 바닥면에 형성된 흡기구로부터 흡인된 외기가 상기 건조풍로(23)를 통해 송풍구(27)로부터 세정고(2) 내로 도입된다. 한편, 세정고(2) 내의 습기를 포함하는 공기는 전방면측의 배기구(20)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건조 풍로(23)의 굴곡부(23a)보다도 하류측의 풍로 내부에 있어서, 규정 수위 라인(NR)보다도 높고 또한 세정고(2)의 전방면 개구의 하단부 위치인 일수 라인(OF)보다도 낮은 위치, 즉 일수 라인(OF)보다도 약간 낮은 거품 검지 라인(SH) 부근에는 세정고(2) 내의 발생을 검지하기 위해 광 센서(28)가 배치되어 있다. 이 광 센서(28)는 건조 풍로(23)를 사이에 끼워 전후의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된 발광부(281) 및 수광부(282)로 이루어지고, 발광부(281)는 수광부(282)보다 다소 높은 위치, 즉 발광부(281)와 수광부(282) 사이의 광선의 축(AX)이 수평으로부터 약간 기울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281)로서는 발광 다이오드를 수광부(282)로서는 포토 다이오드를 이용하고, 이들은 모두 투명한 부착 케이스(283)에 수용되어 기밀성 및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밀봉 부재(284)를 통해 고외 흡기 커버 부재(24)에 부착된다.
도15는 이 광 센서(28)에 의한 검지 동작을 모식적으로 그린 도면이다. 발광부(281)로부터 출사한 빛은 수광부(282)에 도달하여 검출되지만, 도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고(2) 내에서 매우 발생된 거품이 송풍구(27)로부터 건조 풍로(23) 내를 올라와 거품 검지 라인(SH)을 넘으면, 이 거품에 의해 발광부(281)로부터의 출사광이 차단되어 수광부(282)에 도달하는 광량이 감소된다. 이에 의해, 수광부(282)에 의한 신호 강도는 저하하므로, 거품 검지 라인(SH)까지 거품 발생이 발생된 것, 결국은 거품 이상 발생이 생긴 것이 검지된다.
한편, 이 광 센서(28)를 이상 수위 검지용에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도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고(2) 내의 저류수가 수위가 상승되어 와 거품 검지 라인(SH)을 상회하면, 발광부(281)로부터의 출사광은 수광부(282)에 도달하기 전에 큰 입사각으로 수면에 닿는다. 그로 인해, 상당한 비율의 빛이 수면에서 반사(산란)되어 수광부(282)에 도달하는 광량이 감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단한 거품 발생이 일어난 경우에는, 통상 거품이 거품 검지 라인(SH)에 도달한 후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거품 제거 처리를 행하지 않는 한, 곧 거품이 사라지는 일은 없으므로 수광부(282)에서의 수광 광량은 감소한 상태이다. 이에 대해, 세정고(2) 내의 수위가 거품 검지 라인(SH)까지 상승하는 데 따라서 수광부(282)의 광량이 감소된 경우에는, 또한 수위가 상승되어 수면의 높이가 발광부(281)의 위치를 넘어 버리면, 발광부(281)로부터의 출사광은 수중을 통해 수광부(282)에 도달하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만큼은 없지만 수광부(282)에서의 수광 광량은 상당히 회복한다. 따라서, 동일한 광 센서(28)를 이용해도 수광부(282)에서의 수광 광량의 변화의 시간 경과를 어느 정도 감시함으로써, 거품 이상 발생과 수위의 이상 증가를 구별하여 검지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이 광 센서(28)의 발광부(281) 및 수광부(282)의 대향면에 오염이 부착되면 , 그에 따라 수광 광량이 떨어져 상술한 바와 같은 거품 검지 및 수위 검지를 정확하게 행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발광부(281) 및 수광부(282)의 대향면을 세정하기 위해, 하우징(1)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배수 호스(21)를 분기시킨 분기 호스(29)를 분기관으로 설치하고, 그 분기 호스(29)의 단부를 건조 풍로(23)의 굴곡부(23a)의 근방에 삽입하고 있다. 또한, 고외 흡기 커버 부재(24)의 내측에는 거의 직선형으로 비스듬히 연신하는 제1 리브(241)와, 대략 역 V자형인 제2 리브(242)로 이루어지는 물 안내 수단을 마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정겸 배수 펌프(12)가 배수 펌프로서 구동되어 배수 호스(21)로부터 배수가 개시되면, 그 물의 일부는 분기 호스(29)를 통해 건조 풍로(23) 내로 토출된다. 그 토출수는 제1 리브(241)를 타고 흐르고, 또한 제2 리브(242)에 의해 2개로 분기되어 각각 발광부(281)와 수광부(282)의 대향면에 끼얹는다. 그에 의해, 이 면에 먼지 등의 오염이 부착되어 있어도 이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송풍구(27) 근방의 고내 흡기 커버 부재(26)의 상면이며, 규정 수위 라인(NR)보다도 높은 위치에는 세정고(2) 내부와 건조 풍로(23) 내부를 연통하는 통기공(261)이 천공되어 있다. 이 통기공(26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정이나 헹굼시에 송풍구(27)가 물로 막혀 있는 상태에서 송풍팬을 구동하였을 때에, 공기가 송풍구(27)를 통하는 일 없이 건조 풍로(23)로부터 세정고(2)로 빠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6은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의 주요부의 전기계 구성도이다. 제어부(30)(본 발명의 제어 수단 또는 운전 제어 수단에 상당)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부하 구동 회로(31)를 통해 펌프 모터(12a), 급수 밸브(34), 히터(16) 및 팬 모터(22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30)에는 조작부(18a), 표시부(18b), 도어 스위치(32), 온도 센서(33), 수위 센서(19), 광 센서(28) 등도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30)는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을 구비하여 있고, CPU가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각종의 운전 제어를 수행한다.
도7은 펌프 모터(12a)의 제어계의 상세도이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식기 세척기로서는 펌프 모터(12a)의 회전 방향을 바꿈으로써, 세정겸 배수 펌프(12)를 세정 펌프 또는 배수 펌프 중 어느 하나로서 기능시킨다. 펌프 모터(12a)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2개의 단자(b, c)는 전자 릴레이(44)의 2개의 선택 단자에 접속되고, 그 전자 릴레이(44)의 공통 단자는 상용 교류 전원(41)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 릴레이(44)의 코일에 공급하는 제어 전류(CT3)를 온ㆍ오프함으로써, 펌프 모터(12a)의 회전 방향을 절환한다.
펌프 모터(12a)의 다른 단자(a)와 상용 교류 전원(41)의 타단부 사이에는, 펌프 모터(12a)의 회전 속도를 절환하기 위해 병렬로 접속된 쌍방향성 3단자 사이리스터(트라이액)(42, 43)가 개재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트라이액(42, 43)의 제어 신호 입력(CT1, CT2)을 상보적으로 온ㆍ오프함으로써, 펌프 모터(12a)의 회전 속도를 절환한다. 여기에서는, 펌프 모터(12a)의 회전 속도는 상용 교류 전류의 주파수 50 ㎐에 있어서 강 운전에서 2700 rpm, 약 운전에서는 강 운전시의 약 85 %인 2300 rpm으로 설정된다.
강 운전에서는, 세정겸 배수 펌프(12)로부터의 수압(토출압)이 높아져 노즐 아암(6)으로부터의 물 분사압도 높아지기 때문에, 식기류를 강하게 세정할 수 있다. 그 반면, 그만큼 세정고(2) 내의 저류수는 강하게 교반되기 때문에, 부엌용 세제가 사용된 경우에는 거품 발생이 일어나기 쉽다. 한편, 약 운전에서는 세정겸 배수 펌프(12)로부터의 수압(토출압)이 낮아져 노즐 아암(6)으로부터의 물 분사압도 낮아지기 때문에, 식기류를 세정하는 힘은 조금 약해지지만, 그 만큼만 부엌용 세제가 사용된 경우라도 거품 이상 발생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또한, 식기류나 세정고(2)의 내벽에의 충격음이 작아져 정음화에도 유효하다.
도8은 본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전용 세제를 사용한 경우의 표준 행정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즉, 사용자는 식기 바구니(5)에 식기류를 수용하고, 도어(3, 4)를 개방하여 식기 바구니(5)를 세정고(2) 내에 수납한다. 그리고, 적절한 양의 전용 세제를 세정고(2) 내에 투입하여 도어(3, 4)를 폐쇄한 후, 조작부(18a)의 코스 선택 키(183)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운전 코스를 선택한 후에 스타트 키(182)를 누른다. 제어부(30)는 이 조작을 받아 운전을 개시한다.
운전 개시 후, 우선 전용 세제가 물에 용해된 세제수를 이용한 세정 행정을 실행하고(스텝 S1), 그 후 식기류에 부착된 세제수를 세정하기 위해, 3회의 헹굼 행정을 행한다(스텝 S2 내지 S4). 그리고, 제균을 행하는 동시에 식기류를 따뜻하게 함으로써 다음 건조시의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온의 온수를 이용한 가열 헹굼 행정을 실행한다(스텝 S5). 마지막으로, 세정고(2) 내에 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 행정을 실행하고(스텝 S6), 소정의 건조 운전 시간이 종료되면 모든 행정을 종료한다.
본 식기 세척기는 상기와 같은 전용 세제를 사용한 각종 운전 코스 이외에,부엌용 세제를 사용한 운전 코스인 부엌용 세제 코스를 구비한다. 도9는 부엌용 세제 코스의 행정 전체의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식기류를 세정고(2) 내에 수납한 후, 전용 세제가 아니라 일반 부엌용 세제를 세정고(2) 내에 투입하여 도어(3, 4)를 폐쇄한 후, 조작부(18a)에서 부엌용 세제 코스 키(185)를 누른 후에 스타트 키(182)를 누른다. 제어부(30)는 이 조작을 받아 부엌용 세제 코스의 세정 운전을 개시한다.
부엌용 세제 코스와 전용 세제를 이용한 다른 코스와의 가장 큰 차이는, 세정 행정을 2회 반복하는 일이다. 제1 세정 행정(스텝 S1A)에서는, 부엌용 세제가 용해된 세제수를 이용하여 세정 운전을 행한다. 이 때에는, 식기류에 단시간 세제수를 뿌리고, 이 뿌리는 시간보다도 긴 시간만큼 세제수를 분사하는 일 없이 방치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불림 세정을 실행한다. 다음에, 세정고(2) 내의 물을 교체하여 제1 세정 행정의 배수 후에 약간 남은 세제분이 혼입된 매우 저농도의 세제수를 이용하여 제2 세정 행정을 실행한다(스텝 S1B). 이 2회의 세정 행정 후는 전용 세제를 사용한 운전 코스와 같이, 3회의 헹굼 행정, 가열 헹굼 행정 및 건조 행정을 차례로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용 세제의 사용을 전제로 한 운전 코스와 부엌용 세제 코스와의 큰 차이는 세정 행정이므로, 다음에 이 세정 행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부엌용 세제 코스에 있어서의 제1 세정 행정 및 제2 세정 행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1은 제1 세정 행정(상기 스텝 SlA)의 상세한 흐름도, 도12는 제2 세정 행정(상기 스텝 S1B)의 상세한 흐름도, 도14는 이들 행정의 진행에 수반하는 개략적인 수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제1 세정 행정이 시작되면, 제어부(30)는 급수 밸브(34)를 개방하여 세정고(2) 내에 급수를 행하고, 수위 센서(19)에 의해 규정 수위 라인(NR)에 도달한 것이 검지되면 급수 밸브(34)를 폐쇄하여 급수를 정지한다(스텝 S11). 그리고, 펌프 모터(12a)를 세정 펌프 모터로서 작동시키고, 거의 동시에 히터(16)에 통전을 개시하여 초기 운전을 개시한다(스텝 S12). 이에 의해, 세정고(2) 내에 저류되어 있는 세제수는 가열되고, 이 가열된 물이 노즐 아암(6)으로 압송되고 물 분사구(7)로부터 분사되어 식기류에 뿌리게 된다. 이 초기 운전은 식기류를 불림 세정하는 동시에, 세정고(2) 내의 거품 발생 상태(식기의 오염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운전이다.
이 초기 운전에서는, 불림 세정을 행하기 위해「불림 세정(1)」의 동작을 최대 12회 반복하도록 펌프 모터(12a)를 제어한다. 이「불림 세정(1)」의 동작이라 함은, 0.2초 온 1초 오프를 5회 반복하는 강 운전에서의 간헐 운전 동작을 행한 후에 30초간 운전 정지를 행한다는 것이다.
간헐적인 강 운전에 의해, 식기류에는 단시간만 세제수를 끼얹어 식기류에 부착된 오염이 떨어진다. 부엌용 세제는 거품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이 때 단시간의 운전만이라도 어느 정도 거품 발생이 일어나지만, 발생된 거품은 이어지는 30초간의 운전 정지 기간 동안에 작아진다.
부엌용 세제의 투입량이 일정한 경우, 세정고(2) 내의 거품 발생의 정도는 식기류의 오염에 기인하는 세제수의 오염 정도에 의존한다. 즉, 식기류의 오염이지독한 경우에는 거품 발생은 상대적으로 적어져 식기류의 오염이 경도인 경우에는 거품 발생이 많아진다. 이로 인해, 식기류의 오염이 중간 정도나 경도인 경우에는, 상기「불림 세정(1)」의 동작을 반복하는 동안에 거품 발생이 많아진다.
제어부(30)는 이 초기 운전 동안, 소정 시간 간격으로 광 센서(28)에 의한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거품 검지 라인(SH)까지 거품이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3). 그리고, 거품 검지 라인(SH)까지 거품이 도달한 것이 검지되면, 펌프 모터(12a)의 동작 및 히터(16)에의 통전을 정지하여 초기 운전을 종료한다(스텝 S14). 그 후, 초기 운전에 있어서「불림 세정(1)」의 동작 회수가 5회 이내인지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15) 5회 이내이면, 세정고(2) 내의 거품 발생이 많거나 혹은 식기류의 오염이 적다고 판단한다(스텝 S16). 또한,「불림 세정(1)」의 동작 회수가 5회를 넘어서 있으면, 세정고(2) 내의 거품 발생이 중간 정도이거나 혹은 식기류의 오염이 중간 정도라고 판단한다(스텝 S17).
한편, 스텝 S13에서 거품 검지 라인(SH)에 거품이 도달한 것이 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불림 세정(1)」의 동작이 12회 반복되면(스텝 S18에서「예」), 제어부(30)는 상기 스텝 S와 같이 초기 운전을 종료하고(스텝 S19), 세정고(2) 내의 거품 발생이 적거나 혹은 식기류의 오염이 많다고 판단한다(스텝 S20).
다음에, 본 운전으로 이행하지만, 그것에 앞서서 제어부(30)는 본 운전에 있어서 거품 발생을 억제하면서 식기류의 오염 상태에 적합한 세정 운전을 행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 세제수를 희석하여 세제 농도를 내린다. 즉, 우선 판정한 거품 발생 상태(또는 식기류의 오염 상태)에 따라서, 세정고(2) 내의 물의 교체량, 구체적으로는 교체량을 결정하기 위한 배수 시간을 결정한다(스텝 S21). 예를 들어, 거품 발생이 많은(오염이 경도임) 경우에는 배수 시간을 60초로 하고, 거품 발생이 중간 정도(오염이 중간 정도임) 경우에는 배수 시간을 30초로 하고, 거품 발생이 적은(오염이 많음) 경우에는 배수 시간을 0초(즉 배수 없음)로 한다.
제어부(30)는 이렇게 하여 결정한 배수 시간만큼 펌프 모터(12a)를 배수 펌프 모터로서 동작시켜 배수 호스(21)를 통해 세정고(2) 내의 세제수의 일부를 기기 밖으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그 후에 급수 밸브(34)를 개방하고, 다시 규정 수위 라인(NR)이 될 때까지 급수를 행한다(스텝 S22). 본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배수 시간이 60초인 경우에는 세정고(2) 내의 세제수는 그 대부분이 기기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다음에 규정 수위 라인(NR)까지 저류된 물 속에는 배수 후에 약간 세정고(2) 내에 잔류한 세제분이 존재하는 것만이며, 원래의 세제수의 세제 농도에 비해 각별히 농도가 저하되게 된다. 배수 시간이 30초인 경우에는, 세정고(2) 내에 저류되어 있던 세제수의 절반 정도가 기기 밖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다음에 규정 수위 라인(NR)까지 저류된 물의 세제 농도는, 원래의 세제수의 세제 농도에 비해 절반 정도가 된다. 물론, 거품 발생이 적은 경우에는 배수 시간이 O초이므로, 배수 및 급수와 함께 행해지지 않는다.
또, 상기 스텝 S22에서 배수 동작이 행해지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되는 물의 일부는 분기 호스(29)를 통해 건조 풍로(23) 내로 토출되고, 건조 풍로(23) 내에 올라오고 있는 거품을 제거하는 동시에, 광 센서(28)의 발광부(281) 및 수광부(282)의 대향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을 세정한다. 또한, 배수 동작과동시에, 제어부(30)는 팬 모터(221)를 소정의 회전 속도로 구동함으로써 송풍팬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흡기구로부터 흡인된 공기가 건조 풍로(23)를 통해, 송풍구(27)로부터 상승해 오는 거품을 위로부터 억제하도록 흐른다. 세정고(2) 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에 의해 송풍구(27)의 전부 또는 그 대부분이 막혀 있었다고 해도, 통기공(261)을 통해 세정고(2) 내의 공간과 건조 풍로(23) 내와는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이 통기공(261)을 통해 건조 풍로(23)로부터 세정고(2) 내로 공기가 빠진다. 이와 같이, 건조 풍로(23) 내에 흐르게 하는 물과 공기의 흐름과의 2개의 작용에 의해, 건조 풍로(23) 내에 존재하는 거품을 효과적으로 소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운전에서 사용되는 세정수의 농도가 조정된 후 본 운전이 실행된다. 이 본 운전에서는 불림 세정을 행하기 위해,「불림 세정(2)」의 동작을 거품 발생 상태에 따른 동작 회수만큼 반복하도록 펌프 모터(12a)를 제어한다. 이「불림 세정(2)」의 동작이라 함은, 0.2초 온 - 1초 오프를 5회 반복하는 강 운전에서의 간헐 운전 동작을 행한 후에 4.5초 온의 약 운전에서의 연속 운전을 행하고, 그 후에 30초간 운전 정지를 행한다는 것이다.
제어부(30)는 먼저 판정한 거품 발생 상태(식기류의 오염 상태)에 따라서「불림 세정(2)」의 동작 회수를 결정한다(스텝 S23). 예를 들어, 거품 발생이 많은(오염이 경도임) 경우에는 동작 회수를 5회로 하고, 거품 발생이 중간 정도(오염이 중간 정도임) 경우에는 동작 회수를 10회로 하고, 거품 발생이 적은(오염이 많음) 경우에는 동작 회수를 15회로 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펌프 모터(12a)를 세정 펌프 모터로서 동작시켜, 거의 동시에 히터(16)에의 통전을 개시함으로써본 운전을 개시한다(스텝 S24).
강 운전에서의 간헐 운전과 그에 이어지는 약 운전에서의 연속 운전에 의해, 식기류에는 초기 운전보다도 긴 시간에 걸쳐 세제수를 끼얹는다. 그로 인해, 식기류에 남김없이 세제수를 끼얹어 식기류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은 남김없이 떨어진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오염 상태에 따라서 세제수는 희석되어 있지만, 간헐 운전 및 연속 운전에 의해 어느 정도 거품이 발생된다. 그러나, 그 거품 발생의 정도는 앞서 초기 운전시와 같이 격심하지는 않고, 또한 어느 정도 거품이 발생되어도 이어지는 30초간의 운전 정지 기간 동안에 작아진다.
이러한「불림 세정(2)」이 앞서 결정된 동작 회수만큼 반복되면(스텝 S25에서「예」), 제어부(30)는 펌프 모터(12a)의 동작 및 히터(16)에의 통전을 정지하여 본 운전을 종료한다(스텝 S26).
이와 같이 본 운전에서는, 거품 발생 상태에 따라 거품 발생이 많을수록 세제 농도가 낮아지도록 세제수를 희석한 것,「불림 세정(2)」의 동작을 행하도록 세정겸 배수 펌프(12)의 동작을 제어한 것, 거품 발생 상태에 따라 거품 발생이 많을수록 세정겸 배수 펌프(12)의 세정 펌프로서의 동작 시간을 짧게 함으로써[엄밀하게는「불림 세정(2)」의 동작 회수를 감함으로써 총동작 시간을 짧게 한], 세정고(2) 내에서의 거품 대단한 발생을 억제하면서 식기류의 오염 정도에 따른 세정을 행할 수 있다.
또, 거품 발생 상태에 따라서, 세정겸 배수 펌프(12)의 동작 회수를 변경하는 것은 아니라,「불림 세정(2)」의 동작에 있어서의 간헐 운전의 온 시간이나 연속 운전의 온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세정겸 배수 펌프(12)의 동작 시간을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세정겸 배수 펌프(12)의 동작 시간이 아니라, 세정겸 배수 펌프(12)의 송출압, 즉 펌프 모터(12a)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또는, 본 운전 중에 거품 검지 라인(SH)에 거품이 도달한 것을 검지하였으면, 운전을 중단하여 세제수를 더 희석하거나, 세정겸 배수 펌프(12)의 펌프, 모터(12a)의 회전 속도를 한층 떨어뜨리거나 한다는 등의 거품 발생을 억제하는 처리를 해도 좋다.
이렇게 하여 본 운전을 종료하면, 제어부(30)는 펌프 모터(12a)를 배수 펌프 모터로서 동작시켜, 세정고(2) 내의 저류수를 배수 호스(21)를 통해 기기 밖으로 배출한다(스텝 S27). 이에 의해 제1 세정 행정의 모두가 종료된다. 이 배수 동작시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되는 물의 일부가 분기 호스(29)를 통해 건조 풍로(23) 내로 토출되고, 또한 동시에 송풍팬이 회전 구동된다. 그에 의해, 건조 풍로(23) 내에 존재하는 거품을 확실히 소산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세정 행정시에 식기류로부터 떨어진 오염이 발광부(281)나 수광부(282)의 대향면에 부착되어 있던 경우라도, 이러한 오염을 세정할 수 있어 광 센서(28)의 오염에 의한 거품의 오검지를 회피할 수 있다.
이 제1 세정 행정에 있어서는, 가열되는 세제수의 상한 온도(제1 상한 온도)를 설정하고 있다. 이 제1 상한 온도는, 많은 단백질의 열 응고 온도인 52 ℃보다도 낮은 범위에서 적절하게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에서는 50 ℃로 하고 있다. 초기 운전 및 본 운전 중, 온도 센서(33)에 의해 세제수의 온도가 검지되어있고, 제어부(30)는 세제수의 온도가 상한 온도인 50 ℃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이 온도 부근을 유지하도록 히터(16)를 온ㆍ오프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단백질 오염을 거의 열 응고시키는 일 없이 제거하여 비교적 높은 수온으로 유지 오염도 제거할 수 있다.
제2 세정 행정이 시작되면, 제어부(30)는 급수 밸브(34)를 개방하여 규정 수위 라인(NR)까지 세정고(2) 내로 급수를 행한다(스텝 S31). 급수 후에는 제1 세정 행정의 배수 후에 약간 남은 세제분이 혼입된 세제 농도가 매우 낮은 세제수가 세정고(2) 내에 저류되게 된다.
계속해서, 제어부(30)는 펌프 모터(12a)를 세정 펌프 모터로서 동작시켜, 저수조(8)로부터 흡인한 세제수를 노즐 아암(6)으로 압송하여 물 분사구(7)로부터 식기류를 향해 분사시킨다. 이 때, 펌프 모터(12a)의 회전 속도는 약 운전인 2300 rpm으로 설정한다. 또한, 거의 동시에 히터(16)에의 통전을 개시하고, 세정고(2)내에 저류되어 있는 세제수를 가열하기 시작한다(스텝 S32).
제어부(30)는 온도 센서(33)에 의해 세정고(2) 내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온도를 검지하고, 수온이 40 ℃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반복하여 판정한다(스텝 S33). 수온이 40 ℃에 도달하면, 제어부(30)는 펌프 모터(12a)의 회전 속도를 약 운전으로부터 강 운전인 2700 rpm으로 변경한다(스텝 S34). 그리고, 강 운전을 1분간 유지하여(스텝 S35), 1분 경과 후에 강 운전으로부터 약 운전으로 변경한다(스텝 S36). 1분간의 강 운전의 기간 동안도 히터(16)에 의한 물의 가열은 계속되기 때문에 수온은 서서히 상승해 간다. 1분간의 강 운전의 기간, 펌프 모터(12a)의 회전 속도가 상승한 만큼만 물 분사구(7)로부터 취출되는 물의 수세는 상대적으로 증대한다. 그로 인해, 제1 세정 행정 후에 단백질계의 오염이 남아 있어도, 여기에서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30)는 온도 센서(33)에 의한 검지 온도가 제2 상한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반복하여 판정한다(스텝 S37). 여기에서는 제2 상한 온도는 제1 상한 온도와 동일 50 ℃로 하고 있다. 원래, 세정 성능만을 생각한 경우에는 제2 상한 온도는 보다 높은 온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지만, 후술하는 이유에 따라서 여기에서는 50 ℃로 설정하고 있다.
스텝 S37에서 수온이 50 ℃에 도달하면, 제어부(30)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히터(16)의 온ㆍ오프 제어를 행하고(스텝 S38), 펌프 모터(12a)의 회전 속도를 다시 약 운전으로부터 강 운전으로 변경한다(스텝 S39). 그리고, 강 운전을 1분간 유지하여(스텝 S 40), 1분 경과 후에 강 운전으로부터 약 운전으로 변경한다(스텝 S41). 또한, 약 운전을 3분간 유지하여(스텝 S42), 3분 경과 후에 약 운전으로부터 강 운전으로 변경하고(스텝 S43), 또한 강 운전을 1분간 유지한다(스텝 S44). 50 ℃의 온수를 강한 수세에 의해 각 식기류에 분사함으로써, 식기류에 남아 있던 전분계나 유지계의 오염을 식기류로부터 박리시켜 세정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텝 S44에서 1분 경과 후에, 펌프 모터(12a)를 정지하는 동시에 히터(16)에 의한 가열을 정지한다(스텝 S45). 그 후, 이번은 펌프 모터(12a)를 배수 펌프 모터로서 작동시켜 세정고(2)에 저류되어 있는 세제수를 배수 호스(21)를 통해 기기 밖으로 배출한다(스텝 S46). 물론, 이 때에도 일부의 물은 분기 호스(29)를 통해 건조 풍로(23)로 환류되어 광 센서(28)에 끼얹음으로써 광 센서(28)는 세정된다.
이와 같이 제2 세정 행정에서는, 제1 세정 행정시와 같이 간헐적인 운전이 아니라, 물 분사의 평균적인 강도는 제1 세정 행정시보다도 각별히 강해지고, 그에 의해 제1 세정 행정시에는 떨어지기 어려운 전분계나 유지계의 오염을 이 제2 세정 행정으로 충분히 떨어뜨릴 수 있다. 또, 이 제2 세정 행정에서는 세제수의 농도는 매우 낮아져 있으므로, 제1 세정 행정과 같이 불림 세정을 행하지 않아도 거품 이상 발생의 우려는 없다.
다음에, 전용 세제를 사용한 경우의 표준 세정 행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0은 이 세정 행정(상기 스텝 S1)의 상세한 흐름도, 도13은 이 행정의 진행에 따르는 개략적인 수온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세정 행정의 제어 순서는 부엌용 세제 코스의 제2 세정 행정의 제어 순서(도12 참조)와 매우 같고, 동일 처리에 대해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다른 점은, 도13의 수온 변화를 보면 명백한 바와 같이, 세제수의 가열상한 온도를 50 ℃가 아니라, 보다 고온의 58 ℃로 설정하고 있고, 스텝 S34 내지 S37과 마찬가지의 스텝 S34B 내지 S37B의 처리에 의해 수온이 50 ℃에 도달하고 나서 58 ℃에 도달하기까지의 동안에 1분간의 강 운전과 그 이후의 약 운전을 실행하는 것이다.
알 등의 식품에 포함되는 단백질의 대부분은 열 응고 온도가 52 ℃ 이상이다. 또한, 식기 세척기 전용 세제에 포함되는 단백질 분해 효소는 약 50 ℃에서 가장 활성화하여 그 성능이 충분히 발휘된다. 따라서, 50 ℃의 수온으로 강한 수세에 의해 세정을 행함으로써(스텝 S34B), 아직 열 응고하지 않은 대부분의 단백질에 대해 단백질 분해 효소를 충분히 작용시키고, 그 이전의 강 운전 시간(스텝 S34)에는 제거할 수 없는 단백질계의 오염을 확실하게 떨어뜨릴 수 있다. 한편, 동물성 유지는 상온에서는 거의 고화하고 있지만, 헤드의 융점은 35 내지 55 ℃ 정도, 라드의 융점은 28 내지 48 ℃ 정도이므로, 50 ℃ 부근에서는 이러한 동물성 유지의 대부분이 액화되어 떨어지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수온이 50 ℃에 도달하였을 때에 강 운전으로 절환함으로써 이러한 동물성 유지계의 오염을 떨어뜨리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또한, 전용 세제에는 단백질 분해 효소 이외에, 통상 전분 분해 효소도 포함되어 있고, 이 전분 분해 효소는 단백질 분해 효소보다도 높은 약 58 ℃에서 가장 활성화하여 그 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전용 세제의 많게는 분말형이며, 분말형 세제는 수온이 높을수록 용해가 진행되므로, 58 ℃ 부근에서는 세제가 충분히 물에 용해되어 있고, 효소 이외의 세정 성분에 의한 효과도 충분히 발휘된다. 그로 인해, 58 ℃의 수온으로 강한 수세에 의해 물을 각 식기류로 분사함으로써, 식기류에 남아 있던 전분계나 유지계의 오염을 식기류로부터 박리시켜 세정할 수 있다.
전용 세제의 사용을 전제로 한 운전 코스에서는 통상(즉 세제 투입량이 적절한 양이면), 물을 강하게 분사해도 다량의 거품 발생의 우려가 없다. 그로 인해,세정 행정(부엌용 세제 코스에서는 제1 및 제2 세정 행정)시를 통과시킨 평균적인 물 분사 강도, 즉 펌프 모터(12a)의 회전 속도를 부엌용 세제 코스보다도 강하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높은 세정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부엌용 세제 코스에서는 세정 행정시를 통과시킨 평균적인 물 분사 강도를 전용 세제 사용의 운전 코스보다도 약하게 함으로써, 다량의 거품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한편, 평균적인 물 분사 강도가 약한 데 따른 세정 성능의 저하를 보충하도록, 부엌용 세제 코스에서는 전용 세제 사용의 운전 코스보다도 세정 행정의 총소요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즉, 식기류가 세제수로 누설된(또는 세제수가 뿌려짐) 시간이 길어지고 있고, 그에 따라 세제 성분이 오염에 유효하게 작용하고 오염의 박리를 촉진하여 충분한 세정 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세정 행정의 총시간이 길어지면, 그만큼 물을 가열해 두어야만 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히터(16)에서의 소비 전력이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엌용 세제 코스에 있어서의 제2 상한 온도를 58 ℃가 아니라 50 ℃로 억제함으로써, 히터(16)에서의 소비 전력을 억제하고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로서는 전용 세제를 사용하는 경우의 운전 코스와 부엌용 세제를 사용하는 경우의 운전 코스가 별도 용의되어 있고, 사용자가 조작부(18a)에서의 키 조작에 의해 미리 선택한다. 즉, 사용자가 수동으로 전용 세제 전 시퀀스와 부엌용 세제 전 시퀀스를 선택하는 것이다. 단, 선택된 운전 코스와 세제 종류가 적합하면 상기와 같은 의도한 대로의 운전이 행해지지만, 선택된 운전 코스와 세제 종류가 맞지 않은 경우에는 문제가 생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사용자가 통상의(즉 부엌용 세제 코스가 아님) 운전 코스를 선택함에도 불구하고 부엌용 세제를 투입해 버린 경우, 세정 행정에서 물 분사가 개시되자마자 바로, 세정고(2) 내에서는 거품이 매우 발생되기 시작한다. 그래서, 전용 세제의 사용을 전제로 한 통상의 운전 코스에 있어서도 세정 행정시에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거품 검지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즉, 세정 행정에 있어서 펌프 모터(12a)를 세정 펌프 모터로서 작동시키고 나서, 제어부(30)는 광 센서(28)에 의한 검출 출력의 저하가 소정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51), 소정치 이상의 검출 출력의 저하가 없는 경우에는 거품 이상 발생이 없는(엄밀하게는「아직 없음」) 것이라 판단하고, 그대로의 운전을 계속한다(스텝 S52). 한편, 스텝 S51에서 소정치 이상의 검출 출력의 저하가 있는 경우에는 거품이 이상 발생되어 있는 것이라 판단하고, 운전을 일시적으로 중단하여 거품 제거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53, S54).
여기에서는, 거품 제거 처리로서 2개의 방법을 병용한다. 그 하나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세정겸 배수 펌프(12)를 배수 펌프로서 동작시켜 세정고(2) 내로부터 소정량의 세제수를 기기 밖으로 배출하고, 그 후에 급수 밸브(34)를 개방하여 규정 수위 라인(NR)까지의 물을 도입하고, 그에 따라 세정고(2) 내에 저류되는 세제수의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다. 배수시에 배수 호스(21)로 흐르게 한 물의 일부가 건조 풍로(23)로 복귀되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지만, 그 때에 건조 풍로(23) 내에 올라온 거품에 물을 끼얹으므로, 거품을 세정고(2) 내로 되밀리게한다. 그에 따라, 건조 풍로(23) 내에 올라와 충만한 거품을 소산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제어부(30)는 팬 모터(221)를 소정의 회전 속도로 구동함으로써 송풍팬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흡기구로부터 흡인된 공기가 건조 풍로(23)를 통해, 송풍구(27)로부터 상승해 오는 거품을 위로부터 압박하도록 흐른다. 이 때, 세정고(2) 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에 의해 송풍구(27)의 전부 또는 그 대부분이 폐색되어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통기공(261)을 통해 세정고(2) 내의 공간과 건조 풍로(23) 내는 연통되어 있으므로, 임시로 송풍구(27)로부터 공기가 나갈 수 없어도, 통기공(261)을 통해 건조 풍로(23)로부터 세정고(2) 내로 공기가 빠진다. 이에 의해, 건조 풍로(23) 내에는 확실하게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고, 상승해 오는 거품을 송풍구(27)의 방향으로 되밀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거품 제거 처리를 실행한 후 혹은 실행하면서, 광 센서(28)에 의한 검출 출력을 다시 체크하고, 거품이 소산됨으로써 검출 출력의 저하가 회복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5). 그리고, 검출 출력의 저하가 회복된 경우에는, 거품이 억제되고 또한 세제수의 농도도 충분히 낮아졌다고 판단하여 운전을 재개, 즉 세정겸 배수 펌프(12)를 세정 펌프로서 동작시켜 물 분사구(7)로부터 분사시킨 세제수를 식기류에 끼얹어 세정을 행한다(스텝 S56). 이 경우에는, 거품 이상 발생이 생긴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예를 들어 경고 표시를 행하거나 경고 부저를 명동시킨다(스텝 S57).
이와 같이, 본 식기 세척기로서는 세정 운전의 도중에서 거품이 이상 발생된 경우라도, 이미 발생되어 있는 거품을 제거하는 동시에 세제수의 농도를 내림으로써 이후의 세정 운전에서의 거품의 재발생을 억제하고, 미리 결정할 수 있던 운전을 최후까지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거품 이상 발생의 알림이 표시나 소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투입한 세제 종류가 적절하지 않았거나 혹은 전용 세제라도 그 양이 매우 지나치게 많던 것을 알 수 있다.
또, 세정 행정 후의 제1 헹굼 행정에서는 세정 행정의 배수의 후에 세정고(2) 내에 남아 있는 세제분의 작용에 의해, 거품 이상 발생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처리를 세정 행정뿐만 아니라 헹굼 행정(특히 제1 헹굼 행정)으로 행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식기 세척기로서는, 예를 들어 세정이나 헹굼 운전 중이라도 손잡이(17)를 파지하여 래치를 해제하여 도어(3, 4)를 개방할 수 있고, 그 경우에는 세정겸 배수 펌프(12)의 동작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물 분사구(7)로부터 분사된 물이 전방면 개구로부터 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세정고(2) 내에서 거품이 매우 발생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도어(3, 4)가 개방되면, 거품이 전방면 개구로부터 일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세정 행정의 개시로부터 가열 헹굼 행정의 종료까지의 기간 동안, 도17의 제어 흐름도에 표시하는 표시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하고 있다.
즉, 제어부(30)는 광 센서(28)에 의한 검출 출력이 소정치 이상, 저하되어 있는지 여부를 반복하여 판정한다(스텝 S61). 이 때의 소정치는 예를 들어 도1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거품 제거 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의 저하를 판단할 때 비교치와 동일해도 좋지만, 반드시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검출출력이 소정치 이상, 저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상태에서 도어(3, 4)가 개방되면 거품이 기기 밖으로 유출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하고, 표시부(18b)에 있어서 도어 개방 금지 표시를 행한다(스텝 S62). 물론, 표시 대신에 부저음 등에 의한 알림으로도 좋지만, 빈번하게 부저가 명동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표시 쪽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도어 개방 금지 표시가 행해진 경우라도, 광 센서(28)에 의한 검출 출력이 회복되면, 도어(3, 4)가 개방되어도 거품이 기기 밖으로 유출될 우려가 없어졌다고 판단하고, 표시부(18b)에 있어서 도어 개방 금지 표시를 정지한다(스텝 S63). 물론, 이 도어 개방 금지는 거품의 기기 밖으로의 유출 가능성을 기초로 한 것이므로, 다른 요소, 예를 들어 물 분사구(7)로부터 분사된 물의 기기 밖으로의 튀어나옴 등을 기초로 하는 판단 결과를 맞추어 도어 개방 금지 표시를 행하는 것은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예로서는, 거품이 매우 발생되고 있을 때에 도어 개방 금지 알림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실제로 거품이 매우 발생되고 있는지 여부와는 무관하게, 거품 이상 발생 가능성이 높은 기간 동안에 도어 개방 금지 알림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예의 제어 흐름도를 도18에 도시한다.
즉, 제1 세정 행정의 불림 세정 운전이 개시되면(스텝 S71), 제어부(30)는 타이머에 의한 계시를 개시하고(스텝 S72), 2분이 경과되었으면 표시부(18b)에 있어서 도어 개방 금지 표시를 행한다(스텝 S73, S74). 2분이 경과된 후에 처음으로 도어 개방 금지 표시를 행하는 것은 운전 최초의 2분 정도 동안에는 수온이 낮은 경우도 있어 비교적 거품이 발생되기 어려운 것과, 운전 개시 초기에는 식기류의추가 등을 행하기 위해 도어(3, 4)를 개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많다는 등에 의한다. 그리고, 운전 개시로부터 2분이 경과되어 도어 개방 금지 표시를 행한 후에는 제1 세정 행정의 운전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반복하여 판정하고, 그 운전이 종료되었으면 도어(3, 4)가 개방되어도 거품이 기기 밖으로 유출될 우려가 없어졌다고 판단하고, 표시부(18b)에 있어서 도어 개방 금지 표시를 정지한다(스텝 S75, S76).
또, 사용자에 따라서는 이러한 각종 이상 알림을 그다지 신경쓰지 않고 도어(3, 4)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보다 확실하게 거품의 기기 밖으로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3, 4)의 개방을 저지하는[즉 도어(3, 4)의 래치의 해제를 금지함] 도어 록 기구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즉, 운전 중에는 즉석에 도어(3, 4)가 개방되어 버릴 경우가 없도록 도어 록을 걸고, 통상 일시 정지 등의 조작이 행해지면 도어 록을 해제하여 도어(3, 4)의 개방을 허가한다. 이에 대해, 상기한 바와 같이 세정고(2) 내에서의 거품 이상 발생이 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일시 정지 등의 조작을 행한 것만으로는 도어 록이 해제되지 않고, 특수한 키 조작(예를 들어 통상에서는 행해지지 않는 복수의 조작 키의 동시 누름 등) 등을 행하지 않는 한 도어 록이 해제되지 않고, 이에 의해 거품이 기기 밖으로 누출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안이하게 도어(3, 4)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설명에서는 전용 세제 또는 부엌용 세제 중 어느 하나의 사용을 전제로 한 운전 코스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택하였지만, 세제 자동 판별 기능을 가함으로써, 가령 수동으로 선택된 운전 코스와 세제 종류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라도, 세제 종류에 따른 운전 코스에 자동적으로 변경하여 거품 발생 상태나 식기의 오염 상태 등에 따른 적절한 세정을 행할 수 있다.
도19는 세제 자동 판별 기능을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주요부의 제어 흐름도이다. 전용 세제의 사용을 전제로 한 운전 시퀀스를 기초로 하여, 세정 운전을 개시하도록 세정겸 배수 펌프(12)를 세정 펌프로서 작동한 후(스텝 S81), 제어부(30)는 타이머에 의한 계시를 개시한다(스텝 S82). 그로부터, 제어부(30)는 광 센서(28)에 의한 검출 출력이 소정치 이상, 저하되어 있는지 여부 즉 거품 검지 라인(SH)까지 거품이 올라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83).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의 저하가 없는 경우에는 계시 개시로부터 규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정하여(스텝 S84), 규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는 스텝 S83으로 복귀한다.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의 저하가 없는 상태에서 규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전용 세제가 규정량 이하 투입된 것이라 판단하여, 통상 운전을 실행한다(스텝 S85).
규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의 저하가 생긴 경우, 그 시점에 계시를 정지한다(스텝 S86). 세정고(2)에 투입된 세제의 발포성이 높을 수록, 세정 펌프의 동작 개시로부터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의 저하까지의 시간은 짧아진다. 그래서, 제어부(30)는 상기 정지한 타이머의 계시가 소정 시간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87), 소정 시간 이하인 경우에는 거품이 발생되기 쉬워 부엌용 세제가 투입된 것이라 판단하고, 한 편 소정 시간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거품이 발생되기 어려워 전용 세제가 투입된 것이라 판단한다(스텝 S88, S89). 또, 후자의 경우 통상, 적절한 양의 전용 세제이면 거의 거품 발생이 없으므로, 전용 세제이기는 하지만 투입량이 적절한 양보다도 지나치게 많은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스텝 S88, S89 중 어디 하나에 있어도 이미 거품이 건조 풍로(23) 내의 거품 검지 라인(SH) 이상에 상승하고 있으므로, 이 거품을 제거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거품 제거 처리를 실행하여 건조 풍로(23) 내의 거품을 해소한다(스텝 S90). 그 후에, 제어부(30)는 판별한 세제 종류(전용 세제 또는 부엌용 세제)에 따라서 필요하다면 운전 시퀀스를 변경한다(스텝 S91). 부엌용 세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부엌용 세제 코스에 대응한 운전 시퀀스로 변경하면 좋다. 또한, 전용 세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운전 시퀀스를 변경하지 않거나 혹은 약간의 배수 및 재급수를 실행하여 세제수의 농도를 약간 내린 후에 그 이전의 운전시 시퀀스(전용 세제에 대응한 운전 시퀀스)를 그대로 실행하면 좋다.
그리고, 제어부(30)는 변경된(또는 이전대로의) 운전 시퀀스를 기초로 하여 운전을 재개한다(스텝 S92). 스텝 S91에서 운전 시퀀스를 변경하거나 세제수의 세제 농도를 내리거나 함으로써, 운전 재개 후에 다시 거품이 매우 발생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대로 운전을 계속하여, 실행해야 할 전체 행정이 종료되면(스텝 S93에서 예), 표시부(18b)나 부저에 의한 거품 이상 발생 알림을 실행한다(스텝 S94).
즉, 상기 처리에 따르면, 전용 세제를 투입해야 할 부분 부엌용 세제를 투입해 버리거나, 전용 세제의 양을 매우 많이 투입해 버리거나 한 경우에, 그 때의 거품 발생 상황에 따라서 세제를 판별하여 거품 발생이 발생되기 어렵도록 운전 시퀀스가 적절하게 변경되어 운전은 최후까지 완수되고, 또한 거품 이상 발생이 있었던 경우에는 운전 종료 후에 처음으로 그것이 알린다. 그로 인해, 대단한 거품 발생이 발생된 경우라도 운전이 도중에 멈춘 상태가 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또한, 거품 이상 발생이 알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스로가 투입된 세제 종류나 양이 적절하지 않던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19의 예로서는 세제의 판별을 행한 후에 거품 제거 처리와 운전 시퀀스의 변경 처리를 실행하고 있지만, 운전 시퀀스를 변경하는 일 없이, 단순히 세정고(2) 내의 소정량의 세제수를 일단, 기기 밖으로 배출된 후에 규정 수위 라인(NR)까지 재급수를 행하여 세제수의 농도를 내리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그 세제 종류에 따라서 배수 시간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세정고(2)에 저류되는 세제수의 농도를 조절하면 좋다. 게다가 또한, 타이머의 계시 시간을 보다 미세하게 판정함으로써, 부엌용 세제의 투입량이나 식기류의 오염 상태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배수 시간을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의 광 센서(28)는 거품 검지 기능 이외에 수위 검지 기능을 갖는다. 거품 검지 라인(SH)은 일수 라인(OF)보다도 약간 낮은 위치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광 센서(28)에서 검지 가능한 수위는 세정고(2)의 전방면 개구로부터 넘치기 시작하기 직전의 극히 매우 높은 수위이다. 이 식기 세척기 회로는 수위 센서(19)가 설치되어 있고, 이 수위 센서(19)에 의해 세정고(2) 내의 저류수가 일수 라인(OF)보다도 낮은 위치로 설치된 이상 수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따라서, 광 센서(28)에서 수위가 검지되는 상황이라고 하는 것은 수위 센서(19)가 기능하지 않은, 즉 수위 센서(19)가 고장난 가능성이 높다고 상정할 수 있어, 그러한 상황이라도 일수를 방지할 수 있다.
단,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은 거품 검지와 수위 검지로 겸용하고 있으므로, 어느 쪽의 이상 상태인 것인가를 식별해야 한다. 그래서,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의 저하가 발생된 경우에,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순서로 이상 상태의 식별 처리를 한 후에 매우 대응한 처리를 행한다.
즉, 제어부(30)가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이 소정치 이하로 저하되었다고 판정하면(스텝 S1O1에서 예), 다음에 그 시점에서 세정 운전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2). 세정 운전 중이 아닌 경우에는, 세제수의 교반에 의한 거품 발생인 가능성은 없으므로, 이상 수위라고 판단하여 운전을 중지한다(스텝 S110, S111). 그리고, 세정겸 배수 펌프(12)를 배수 펌프로서 동작시킴으로써, 세정고(2) 내로 저류되어 있는 물의 배수를 행하고, 또한 부저를 명동시키는 등에 의해 이상 수위를 알린다(스텝 S112, S113). 이에 의해, 세정고(2)의 전방면 개구의 도어(4)의 간극 등으로부터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텝 S102에서 세정 운전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거품과 수위 상승과의 양쪽이 원인으로서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30)는 타이머의 계시를 개시하여 세정 운전을 계속하고(스텝 S103, S104), 광 센서(28)에 의한 검출 출력의 저하가 회복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5). 검출 출력의 저하가 회복되지 않은 경우에는 타이머의 계시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예를 들어 수초 정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06),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으면 스텝 S104로 복귀한다.
도21은 시간 경과에 수반하는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의 변화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단한 거품 발생이 원인으로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이 저하된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되어도 그 검출 출력의 저하는 더 악화되는 일은 있어도 회복되는 일은 거의 없다. 이에 대해, 수면의 상승이 원인으로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이 저하된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되고 또한 수면이 상승되면, 발광부(281)로부터의 출사광이 수중을 통해 수광부(282)에 도달하므로,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은 급속하게 회복한다.
따라서,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이 소정치 이상 내려간 시점(도21에서 t0)으로부터 소정 시간(t1 - t0)이 경과될 때까지에 그 검출 출력이 회복된 경우에는 스텝 S105 내지 S110으로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이 소정치 이상 내려가고 나서 소정 시간(t1 - t0)이 경과되기까지에 그 검출 출력이 회복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스텝 S106으로부터 S107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소정 시간(t1 - t0)을 길게 하면 거품과 수위와의 식별이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지만, 그 반면 수위가 일수 라인(OF)에 근접하거나 또는 그것을 넘어 버려 일수의 우려가 높아진다. 따라서, 수위 상승의 속도를 미리 상정하여 소정 시간(t1 - t0)을 적절하게 정해 두면 좋다.
스텝 S107에 있어서 거품이 매우 발생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거품 제거 처리를 실행한 후에 운전을 계속하면 좋다(스텝 S108, S109).한편, 스텝 S110을 향한 경우에는 상술한 스텝 S110 내지 S113의 처리를 실행하면 좋다. 이에 의해, 1개의 광 센서(28)[발광부(281)와 수광부(282)와의 세트]의 검출 출력을 이용하여, 거품 이상 발생과 수위의 이상 상승과의 양방의 이상 상태의 검지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세정 운전 중에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 저하가 나타난 경우에, 그 검출 출력의 시간적 변화를 기초로 하여, 그 검출 출력 저하가 거품에 의한 것인가 수위 상승에 의한 것인가를 식별하였지만, 이와는 다른 식별 방법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도22는 이 때의 제어 흐름도이다.
제어부(30)는 수위 센서(19)로부터의 출력의 변동량을 검출한다(스텝 S121). 수위 센서(19)가 고장난 경우, 그 출력이 크게 흔들거려 안정되지 않는 것이 많다. 그래서, 상기 출력의 변동량이 소정치 이상인 경우에는(스텝 S122에서 예), 수위 센서(19)가 고장난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수위 센서 이상 검지 예비 상태 플러그(F1)를 세트한다(스텝 S125). 또, 이 스텝 S121, S122, S125의 처리는 예를 들어 본 식기 세척기의 전원 투입시나 전원 투입 후의 비운전시 등의 적절한 시점에 행해두도록 해도 좋다.
세정 운전 중이나 세정 운전 이외일 때에 제어부(30)는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이 소정치 이상 저하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23), 검출 출력의 저하가 없는 경우에는 통상의 운전을 계속한다(스텝 S124). 한편,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이 저하되어 있다고 판정하면, 다음에 수위 센서 이상 검지 예비 상태 플러그(F1)가 세트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스텝 S126), 플러그(F1)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광 센서(28)의 출력 저하의 원인이 이상 수위라고 판단하는 동시에, 수위 센서(19)가 고장났다고 판단한다(스텝 S127, S128).
그 경우에는, 운전을 중지하여 세정겸 배수 펌프(12)를 배수 펌프로서 동작시킴으로써, 세정고(2) 내로 저류되어 있는 물의 배수를 행한다(스텝 S129, S130). 또한 부저를 명동시키는 등에 의해 이상 수위를 알리는 동시에, 표시부(18b)에 있어서의 표시 등에 의해 수위 센서(19)의 고장을 알린다(스텝 S131, S132). 이에 의해, 세정고(2)의 전방면 개구 도어(4)의 간극 등으로부터 일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수위 센서(19)의 이상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한편, 스텝 S126에 있어서 수위 센서 이상 검지 예비 상태 플러그(F1)가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수위 센서(19)는 정상으로 기능하고 있고,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의 저하는 수위 상승이 원인이 아닌 것이라 판단한다. 그래서, 또 하나의 요인인 거품의 이상 발생이라고 판단하고(스텝 S133), 상술한 바와 같은 거품 제거 처리로 이행한다(스텝 S134). 이와 같이 하여,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을 이용하여 수위 센서(19) 자체의 이상 검지와 그 때의 이상 수위의 검지를 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로서는, 세정고(2) 내의 이상 수위를 검지하기 위해 복수의 수위를 검지 가능한 압력 검지식의 수위 센서(19)와 광 센서(28)와의 양방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상 수위의 검지는 광 센서(28)의 검출 출력을 이용한 것만 행하고, 통상의 세정 운전시의 규정 수위 라인(NR)을 검지하기 위해서는 간단한 구성의 수위 스위치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간단한 구성의 수위 스위치는 상기 수위 센서(19)보다도 많은 경우 비용을 저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로서는 건조 풍로(23) 내에 물을 흐르게 하기 위한 분기 호스(29)를 배수 호스(21)로부터 분기시키고 있었지만, 급수 수단의 일부인 급수 밸브(34)를 예를 들어 2연 밸브로서, 또는 급수 밸브(34)와 세정고(2) 사이를 연결하는 급수관으로부터 분기시켜 분기 호스(29)를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세정고(2) 내에 급수를 행할 때에 급수 밸브(34)를 개방할 때마다 그 물의 일부가 분기 호스(29)를 통해 건조 풍로(23) 내에 흐르고,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 풍로(23) 내에 존재하고 있는 거품을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광 센서(28)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을 세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간단한 일예이므로, 상기 기재 이외의 점에 있어서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형, 수정 또는 추가 등을 행해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일반 부엌용 세제를 사용하여 충분한 세정 성능이나 헹굼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20)

  1. 식기류를 내부에 수용하는 세정고와, 상기 세정고의 바닥부에 저류된 물을 흡인하여 상기 식기류를 향해 분사하는 세정 수단을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운전 개시 전 또는 그 운전 초기에 세제가 식기 세척기용 세제 또는 일반 부엌용 세제 중 어느 것인지를 판정하여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설정하는 세제 선택 수단과,
    상기 세제 선택 수단에 의한 설정에 따라서, 전용 세제에 대응하여 식기류를 세정하는 세정 운전을 실행하는 전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와, 일반 부엌용 세제에 대응하여 식기류를 세정하는 세정 운전을 실행하는 부엌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실행하는 운전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상기 세정 수단에 의한 물 분사의 평균적인 강도를 전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보다도 부엌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에 있어서 약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세제수를 이용한 세정 운전의 총시간을 전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보다도 부엌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에 있어서길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의 바닥부에 저류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한 세제수의 가열 온도를 전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보다도 부엌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에 있어서 낮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엌용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는 상기 세정 수단에 의한 물 분사의 평균적인 강도를 상대적으로 약하게 하여 세정을 실행하는 제1 세정 행정과, 상기 제1 세정 행정에 사용한 세제수를 일단 배수하여 세정고 내에 새롭게 물을 도입한 후, 잔류한 세제 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세정 행정시보다도 평균적으로 물 분사를 강하게 하여 세정을 실행하는 제2 세정 행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 내에서의 거품 발생 상황을 검지하는 거품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상기 세정고 내에 세제수가 저류된 상태에서 상기 세정 수단을 동작시켰을 때에 상기 거품 검지 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거품 발생 상황에 따른 운전 시퀀스에 따라서 세정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제어 수단은 상기 거품 검지 수단에 의해 거품 이상 발생이 검지된 경우라도 세정 운전을 소정의 최종 행정까지 실행하고, 마지막으로 거품 이상 발생이 있었던 것을 알림 수단에 의해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검지 수단은 상기 세정고 내와 연통하고 또한 상기 세정 수단에 의해 분사되는 물을 직접적으로 끼얹지 않는 위치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지는 광 센서와, 이 광 센서의 수광부에 의한 출력 변화를 기초로 하여 거품 이상 발생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센서는 상기 세정고 내에 건조풍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세정고의 하방으로 접속된 건조 풍로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센서의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를 향하는 빛이 수평면으로부터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는 부착되고, 상기 거품 검지 수단은 상기 세정고 내의 수위를 검지하는 기능을 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수광부에 의한 출력 변화가 생겼을 때, 그 변화를 소정 시간 연속적이거나 또는 복수회 이산적으로 감시함으로써, 거품 발생과 수위 상승과의 식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 내에 저류되는 물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위 검지 수단의 동작 이상이 있다고 추정되는 경우에만 상기 거품 검지 수단에 의한 수위 검지 기능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 내에 저류되는 물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위 검지 수단에 의해 세정시나 헹굼시 저류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한편, 상기 거품 검지 수단에 의해 이상 수위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 내에 건조풍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세정고의 하방으로 연결된 건조 풍로를 구비하고, 상기 광 센서의 발광부와 수광부는 상기 건조 풍로 내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고, 또한 상기 세정고의 바닥부에 저류된 물을 기기 밖으로 연통하기 위한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일부 또는 기기 밖으로부터 급수부를 통해 상기 세정고 내에 공급되는 물의 일부를 상기 광 센서에 끼얹기 때문에, 일단부가 상기 배수관 또는 급수부에 연결되어 타단부가 상기 건조풍로 내에 개방된 분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풍로 내에 개방된 분기관의 단부로부터 상기 광 센서의 발광부 및 수광부를 향해 물을 안내하는 물 안내 수단을 상기 건조 풍로의 내부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6. 제1항에 있어서, 기기 밖으로 상기 세정고 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수단과, 상기 세정고의 바닥부에 저류된 물을 흡인하여 기기 밖으로 연통하는 배수관으로 송출하는 배수 수단과, 상기 세정고 내에 건조풍을 공급하기 위해 일단부가 상기 세정고의 하방으로 연결된 건조 풍로와, 상기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일부 또는 기기 밖으로부터 상기 급수 수단을 통해 상기 세정고 내에 공급되는 물의 일부를 상기 건조 풍로에 흐르게 하기 위해, 일단부가 배수관 또는 급수 수단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건조 풍로 내에 개방된 분기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 내에 건조풍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세정고의 하방으로 연결된 건조 풍로와, 기기 밖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건조 풍로를 통해 세정고 내로 이송하기 위한 팬을 포함하는 송풍 수단과, 세정 행정시 또는 헹굼 행정시이며 상기 건조 풍로 내에 거품 이상 발생이 검지되었을 때 또는 그 가능성이 있을 때에, 상기 거품을 건조 풍로 내로부터 세정고 내로 되밀리게 하기 위해 상기팬을 구동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풍로가 가능한 한 낮은 위치로 또한 통상의 저류 수위면보다도 위가 되는 위치로 상기 건조 풍로 내와 상기 세정고 내를 연통시키는 연통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의 전방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부엌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 중 1 내지 복수의 특정한 행정 중 또는 그 특정한 행정에 있어서의 소정 기간 동안에는, 상기 세정고 내에서의 거품 이상 발생이 있는 것이라 간주하여 상기 도어의 개방을 행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고의 전방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부엌 세제 대응 운전 시퀀스 중 1 내지 복수의 특정한 행정 중 또는 그 특정한 행정에 있어서의 소정 기간 동안에는, 상기 세정고 내에서의 거품 이상 발생이 있는 것이라 간주하여 사용자에 의한 상기 도어의 개방을 저지하는 도어 개방 저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040034088A 2003-05-16 2004-05-14 식기 세척기 KR100585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38907A JP2004337429A (ja) 2003-05-16 2003-05-16 食器洗い機
JPJP-P-2003-00138907 2003-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141A true KR20040099141A (ko) 2004-11-26
KR100585356B1 KR100585356B1 (ko) 2006-06-01

Family

ID=3344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088A KR100585356B1 (ko) 2003-05-16 2004-05-14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51584A1 (ko)
JP (1) JP2004337429A (ko)
KR (1) KR100585356B1 (ko)
CN (1) CN100486511C (ko)
WO (1) WO20041007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035B1 (ko) * 2005-05-31 2008-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4642B2 (ja) * 2005-04-11 2010-07-28 シャープ株式会社 食器洗い機及び食器洗浄方法
DE112007001116B4 (de) * 2006-06-12 2013-11-14 Lg Electronics Inc. Bekleidungstrockner und Verfahren zum Steuern desselben
CA2599353C (en) * 2006-09-06 2011-05-24 Lg Electronics Inc. Dryer with clogging detecting function
EP1925250A1 (en) * 2006-11-23 2008-05-28 Electrolux Home Products N.V. Dishwasher with an alarm device
JP4941012B2 (ja) * 2007-03-08 2012-05-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5085410B2 (ja) * 2008-04-28 2012-11-28 株式会社東芝 食器洗い機
US8201569B2 (en) 2009-01-29 2012-06-19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Fluid inlet for a dishwasher
WO2010088618A1 (en) * 2009-01-30 2010-08-05 Metcraft, Inc. Silverware/flatware or parts washer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10000511A1 (en) * 2009-07-01 2011-01-06 General Electric Company Deep clean cycle
JP2011092316A (ja) * 2009-10-28 2011-05-12 Panasonic Corp 食器洗い機
US8246755B2 (en) * 2009-11-05 2012-08-21 Lam Research Corporation In situ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foam for a proximity head
DE102010028445B4 (de) * 2010-04-30 2023-08-31 BSH Hausgeräte GmbH Wasserführendes Hausgerät mit einer Dosiereinrichtung und mehreren Dosierpumpen
US8337628B2 (en) * 2010-11-23 2012-12-25 Whirlpool Corporation Non-integrated bulk dispenser and method of operating a dishwasher having same
US8556439B2 (en) * 2011-03-09 2013-10-15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Household appliance including information light device
DE102011075020A1 (de) * 2011-04-29 2012-10-3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Geschirrspülmaschine
KR101882182B1 (ko) * 2011-11-22 2018-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ITTO20111246A1 (it) * 2011-12-30 2013-07-01 Indesit Co Spa Lavastoviglie e metodo per la rilevazione di schiuma all'interno di detta lavastoviglie
ITTO20111247A1 (it) * 2011-12-30 2013-07-01 Indesit Co Spa Lavastoviglie e metodo per la rilevazione di uno o più recipienti posizionati con concavità rivolte verso l'alto all'interno di detta lavastoviglie
JP6229168B2 (ja) * 2012-09-28 2017-1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浄機
JP2014090946A (ja) * 2012-11-06 2014-05-19 Panasonic Corp 食器洗い機
KR20140103608A (ko) * 2013-02-18 2014-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6142287B2 (ja) * 2013-04-16 2017-06-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PL3068278T3 (pl) 2013-11-12 2022-05-02 Illinois Tool Works Inc. Czujnik obecności/mętności cieczy przy zastosowaniu pojedynczego kanału optycznego
CN105640325A (zh) * 2016-03-04 2016-06-08 遵义师范学院 一种基于单片机控制的智能语音饮水机
CN105640346A (zh) * 2016-03-11 2016-06-08 遵义师范学院 一种智能告警饮水机控制系统
CN106644910A (zh) * 2016-12-15 2017-05-10 莱茵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餐厨具表面性能测试的装置
JP7009816B2 (ja) * 2017-07-27 2022-02-10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靴洗浄装置
CN107928577A (zh) * 2017-11-24 2018-04-2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水槽洗碗机及其清洗控制方法
CN108577726B (zh) * 2018-02-06 2019-11-05 宁波美高厨具有限公司 水槽洗碗机用垃圾破碎器的控制方法
US11751748B2 (en) 2018-08-29 2023-09-12 Jiangsu Leili Motor Co., Ltd. Detergent dispensing device and dish washer
CN110946540B (zh) * 2018-09-27 2023-05-26 合肥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鞋机及其控制方法
JP6800193B2 (ja) * 2018-09-28 2020-12-16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検体分析装置、検体分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R201819062A1 (tr) * 2018-12-11 2020-06-22 Arcelik As Ki̇r sensörüne sahi̇p bi̇r bulaşik maki̇nesi̇
CN110031058B (zh) * 2019-03-28 2020-12-11 佛山市百斯特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故障检测的方法及洗碗机
CN112315399A (zh) * 2019-08-05 2021-02-05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洗碗机
US11484184B2 (en) * 2019-12-11 2022-11-01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13069056B (zh) * 2020-01-06 2022-05-10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洗涤泵的性能区分及洗涤控制方法、系统、设备和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2934U (ja) * 1984-07-31 1986-02-27 株式会社リコー 液面検出装置
JPS63139527A (ja) * 1986-12-02 1988-06-11 シャープ株式会社 食器洗い機
IT221382Z2 (it) * 1989-12-01 1994-03-16 Zanussi A Spa Industrie Dispositivo di condensazione del vapore per macchine asciugabiancheriao macchine combinate per il lavaggio e l'asciugatura della biancheria
JPH0641661U (ja) * 1992-11-13 1994-06-03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食器洗浄機
US5411042A (en) * 1993-08-20 1995-05-02 Sanyo Electric Co., Ltd. Dish washing machine
JP3385706B2 (ja) * 1994-03-15 2003-03-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の運転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食器洗浄機
JPH0975290A (ja) * 1995-09-14 1997-03-25 Sharp Corp 食器洗い機
JPH10323318A (ja) * 1997-05-26 1998-12-08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2000014622A (ja) * 1998-06-30 2000-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乾燥機
JP2000070208A (ja) * 1998-08-27 2000-03-07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JP2000083886A (ja) * 1998-09-09 2000-03-28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2001074537A (ja) * 1999-09-07 2001-03-23 Musashino Kiki Kk 超音波検出器
JP2001204676A (ja) * 2000-01-28 2001-07-31 Toto Ltd 食器洗い機
JP3488169B2 (ja) * 2000-03-08 2004-01-19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4538996B2 (ja) * 2001-08-07 2010-09-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2003061893A (ja) * 2001-08-24 2003-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JP2003079560A (ja) * 2001-09-13 2003-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浄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9035B1 (ko) * 2005-05-31 2008-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86511C (zh) 2009-05-13
US20070151584A1 (en) 2007-07-05
CN1550200A (zh) 2004-12-01
WO2004100757A1 (ja) 2004-11-25
JP2004337429A (ja) 2004-12-02
KR100585356B1 (ko)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356B1 (ko) 식기 세척기
KR100748907B1 (ko) 식기 세척기
JP4171366B2 (ja) 食器洗い機
JP2006230498A (ja) 食器洗い機
JPH10165913A (ja) 噴射式洗浄機
KR20120022427A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EP2611351B1 (en) Control method for a dishwasher
US9055850B2 (en) Dishwasher with an optimized filling sequence
KR100552885B1 (ko) 식기 세척기
JP2004129742A (ja) 食器洗い機
JP4538996B2 (ja) 食器洗い機
KR100859035B1 (ko)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JP2006075192A (ja) 食器洗い機
JP2000083886A (ja) 食器洗浄機
JP4347232B2 (ja) 食器洗浄機
JP2003047584A (ja) 食器洗い機
JPH0938602A (ja) 洗浄機
JP2003220009A (ja) 食器洗い機
JPH10323318A (ja) 食器洗浄機
JP2005329068A (ja) 食器洗い機
JP2004049535A (ja) 食器洗浄機
KR100462190B1 (ko) 식기 세척기의 운전 제어방법
JP2006230499A (ja) 食器洗い機
JP5909647B2 (ja) 食器洗い機
JP2004229808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