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6891A - 용지편향장치, 용지처리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 Google Patents

용지편향장치, 용지처리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6891A
KR20030026891A KR1020020058047A KR20020058047A KR20030026891A KR 20030026891 A KR20030026891 A KR 20030026891A KR 1020020058047 A KR1020020058047 A KR 1020020058047A KR 20020058047 A KR20020058047 A KR 20020058047A KR 20030026891 A KR20030026891 A KR 20030026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nveying
path
process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1136B1 (ko
Inventor
야마다켄지
수즈끼노부요시
타무라마사히로
사이토히로모토
나가사꼬슈우야
오까다히로끼
이이다준이찌
안도아끼히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90600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82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352031A external-priority patent/JP38507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9253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5075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30026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 B42C1/12Machines for both collating or gathering and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the sheets or sign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27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the nip between moving belt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81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acting on edge of the pile for moving it along a surface, e.g. by pus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10Selective handling processes
    • B65H2301/16Selective handling processes of discharge in bins, stacking, collating or gathering
    • B65H2301/164Folded or non folded stacking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6Delivering, advancing piles
    • B65H2301/42262Delivering, advancing piles by acting on surface of outermost articles of the pile, e.g. in nip between pair of belt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6Delivering, advancing piles
    • B65H2301/42266Delivering, advancing piles by acting on edge of the pile for moving it along a surface, e.g. p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1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 B65H2404/612Longitudinally-extending strips, tubes, plates, or wires and shaped for curvilinear transport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3Oscillating, pivoting around an axis parallel to face of material, e.g. dive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9Other means designated for special purpose
    • B65H2404/693Retractable guiding means, i.e. between guiding and non guid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10Ensuring correct operation
    • B65H2601/11Clearing faulty handling, e.g. jams
    • B65H2601/111Clearing uncorrect discharge of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Pile Receivers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저비용으로, 생산성이 높고, 공간절약이 우수한 용지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반입된 용지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용지처리장치에서, 용지묶음에 대해 정합·스테이플처리를 행하는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와,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서 정합 및 스테이플처리가 수행된 용지묶음을 그대로 배출하는 반송로(C)와, 용지묶음을 중앙접지처리하는 접지플레이트(74)측으로 반송하는 상하측 묶음반송 가이드(92,91)과, 반송로(C)와 상하측 묶음반송 가이드(92, 91)로 용지묶음의 반송로를 전환시키는 분기가이드판(54) 및 가동가이드판(55)를 구비하고, 상기 분기가이드판(54) 및 가동가이드판(55)는 상하측 묶음반송 가이드(92, 91)로 전환했을 때,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의 최하류측에 위치하는 방출롤러(56)의 외주를 따라 용지묶음을 편향시켜, 상하측 묶음반송 가이드(92, 91)에 용지묶음을 인도한다.

Description

용지편향장치, 용지처리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SHEET DRIVING APPARATUS,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인쇄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일체 또는 별도로 설치되고, 화상형성이 끝난 용지(기록매체)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행해 배지하는 용지처리장치 및 이 용지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용지편향장치, 상기 용지처리장치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이루어진 화상형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인쇄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일체 또는 별개로 설치되고, 화상형성이 끝난 용지(기록매체)에 대해 스테이플, 천공, 정돈, 접지 등 소정의 처리를 가하여 배지하는 용지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인쇄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일체 또는 별개로 설치되고, 화상형성이 끝난 용지(기록매체)에 대해 소정의 처리, 이를테면 분류, 스택, 스테이플, 중철제본을 수행해 배지하는 용지처리장치 및 이 용지처리장치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이루어진 화상형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프린터 등의 화상출력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출력되는 기록지(용지-기록매체)에 스테이플, 천공 등의 후처리를 행하는 후처리장치는 널리 알려져 있다. 요즘 그 기능은 다기능화되고, 종래의 단면철에 덧붙여 중철처리나 중앙접지처리도 가능케 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그들 다수는 기계가 크거나, 또는 복합화한 까닭에 기능에 제약이 생긴다.
이를테면, 특개평07-48062호 공보나 특개2000-153947호 공보에는, 장치입구부에서 경로를 전환하고, 단면철기능과 중철기능을 완전 독립시켜 구성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는 확실히 유닛화가 쉽고, 리스옵션대응이 용이하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그러나 엇비슷한 기능을 중복보유하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불리하다. 또한, 중철시에 용지 정합과 스테이플처리를 행하고, 바로 접지를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중철부에는 이전 작업의 접지가 완전히 종료될 때까지 다음 작업의 용지를 받아들일 수 없어,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없었다.
또한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를테면 특개2000-118861 공보나 특개평7-187479호 공보에는, 하류측이 높고 기울어진 처리트레이내에서 단면철과 중철시 정합처리와 스테이플처리를 행하고, 스테이플처리후, 처리트레이보다 아래쪽에 배치된 다른 스테이션으로 스위치백 반송하고(단면철 배출과는 역방향으로 반송), 접지처리를 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확실히 이들 공지기술에서는, 접지기구를 별도로 배치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기구중복에 의한 비용상승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에는 접지처리부를 충분히 길게 배치할 필요가 있으며, 스테이플처리 트레이를 위쪽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2개의 트레이는 W자형이 되고, 기계가 대형화해, 공간절약이 요구되는 오늘날의 설치상황에 부응할 수 없다.
그래서, 기계 대형화를 억제하기 위해, 특개2000-63031공보에는, 용지묶음이 스테이플처리 트레이에 걸쳐진 형태로 접지처리를 수행하는 발명이 제안되어 있는데, 그것으로는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특개평11-286368호 공보나 특개2000-86067공보에는, 처리트레이의 공통화, 또는 반송로의 단축화를 꾀할 목적으로, 스테이플처리 트레이의 중간부보다 약간 위쪽에 접지롤러를 배치하고, 직접 접지처리를 수행해 기계 밖으로 배출하는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 이것들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생산성 향상을 바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하류측이 높게 기울어진 처리트레이의 위쪽에 접지롤러가 배치되므로 실제로는 기계가 상당히 커지게 된다.
또한, 특개평9-183558에 나타난 바와 같은 단일기능(중철전용)의 것으로는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함은 물론이다.
한편, 복사기, 프린터 등의 화상형성(출력)장치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출력되는 기록지에 스테이플 등 후처리를 행하는 장치는 널리 알려져 있으나, 오늘날 그 기능으 다기능화되어, 종래의 단면철에 덧붙여 중철처리도 가능케 한 것이 고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 종류의 용지(시트)처리장치로는, 일본특허공개공보 특개2001-19269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접지수단으로 롤러쌍을 쓰고, 상기 롤러쌍 사이에 용지묶음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중철부분에서 용지묶음의 반접지(중앙접지)를 수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테이플처리를 가하는 경우는, 장치내에 설치된 용지정합트레이에서 정합처리를 수행하고 스테이플수단에 의해 정합이 끝난 용지묶음을 스테이플 한 후, 장치 최하류부에 위치하는 배지트레이상에 배출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으며, 중철처리를 행하는 경우는, 용지묶음을 스테이플한 후에 접지처리를 가하는 접지부로 반송되어 접지된 후, 최종적으로 장치 최하류부에 위치하는 배지트레이상에 배출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장치에서는, 모드별로 복수의 반송경로를 가지며, 선택된 모드에 따라 반송경로가 전환되도록 경로변경수단이 배치되어 있어, 그 경로변경수단은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따라 전환되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종래예에 관련된 발명에서는,
① 엇비슷한 기능을 중복보유하기 때문에 비용면에서 불리하고,
② 중철부에 이전 작업의 접지가 완전히 종료할 때까지 다음 작업의 용지를 받아들일 수 없어, 생산성 향상을 바랄 수 없으며,
③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접지처리부를 충분히 길게 배치하면, 기계가 대형화해, 공간절약을 꾀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접지처리를 행하는 장치에서는, 이 반접지를 수행하는 접지처리부까지 용지묶음을 반송시킬 경우, 스테이플을 가한 용지묶음으로는 반송가능한 속도라고 해도, 스테이플하기 전의 용지묶음으로는 묶음이 물리적으로 정돈이 안 되어 있으므로, 반송속도가 빠를 경우 용지가 흩뜨러지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흩뜨러지면, 용지가 정돈된 상태에서 스테이플할 수 없는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반송속도를 낮추면 다음 묶음(작업)의 용지를 받아들일 수 없는 상태가 되어, CPM이 저하해, 화상형성장치측의 생산성을 낮출 수밖에 없었다. 즉, 화상형성장치측에서 아무리 고속처리기능을 갖추었다고 해도, 용지처리장치측의 능력 때문에 생산능력이 규정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또한, 원고에서 소정 부수의 복사를 하거나, 프린터로서 복수 책자를 형성하는 작업을 개시했을 때 상술한 바와 같이 경로변경수단을 전환하면, 예컨대, 중철처리를 수행하는 중철모드인 경우에, 스테이플트레이 하류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경로와 아래쪽으로 반송하는 경로의 변경수단이 아래쪽으로 반송하는 경로로 전환되어 있으면, 용지가 스테이플트레이 진입시에 경로변경수단에 걸려, 용지잼, 용지에 대한 손상 혹은 주름 발생의 원인이 된다. 또한, 용지묶음 반송시에 분기부에서 잼이 생겼을 때 경로변경수단이 아래쪽으로 반송하는 경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용지를 꺼내는 잼처리가 곤란해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표지나 간지가 삽입된 용지묶음에서는 표지나 간지와 다른 용지와의 용지종류 차이에 따라 크기가 다르므로, 경로변경수단에 설치된 롤러나 돌기에 용지가 걸려 롤러흔적이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이것은, 용지가 정착부를 통과하면 종이의 흡습상태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저비용, 고생산성, 공간절약이 우수한 용지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다른 목적은, 저비용, 고생산성, 공간절약이 우수한 용지처리장치를 실현할 수 있는 용지편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저비용, 고생산성, 공간절약이 우수한 용지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저비용, 고생산성, 공간절약이 우수한 용지묶음 반송장치를 갖춘 용지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작 중인 잼, 손상, 주름의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만일 잼이 발생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잼처리를 행할 수 있는 사용하기 간편한 용지후처리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를 주로 나타낸 용지처리장치와 화상형성장치로 이루어진 화상처리시스템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시프트기구를 상세히 나타낸 요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시프트트레이승강기구의 요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실시형테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시프트트레이에 대한 배지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스테이플처리 트레이를 용지반소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6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스테이플처리 트레이와 그 구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용지묶음의 방출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단면철 스테이플러를 이동기구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면철 스테이플러의 경사회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용지묶음 편향기구의 동작설명도로,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시프트트레이에 배지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용지묶음 편향기구의 동작설명도로, 도10의 상태로부터 분기가이드판이 방출롤러측으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용지묶음 편향기구의 동작설명도로, 도 11의 상태로부터 가동가이드가 분기가이드판측으로 회동하고, 중앙접지처리 트레이측에 용지묶음을 편향시키는 경로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용지묶음 편향기구의 동작설명도로,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시프트트레이에 배지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용지묶음 편향기구의 동작설명도로, 도 13의 상태로부터 가동가이드가 분기가이드판측으로 회동하고, 중앙접지처리 트레이측에 용지묶음을 편향시키는 경로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용지묶음 편향기구의 동작설명도로, 도 14의 상태로부터 가동가이드가 분기가이드판측으로 회동하고, 중앙접지처리 트레이측에 용지묶음을 편향시키는 경로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6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용지묶음 편향기구의 동작설명도로, 도 15의 상태로부터 캠이 더 회동하여 묶음분기가이드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7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접지플레이트의 이동기구의 동작설명도로, 중앙접지동작에 들어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8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접지플레이트의 이동기구의 동작설명도로, 중앙접지 후 초기위치에 복귀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9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스테이플처리 트레이와 중앙접지처리 트레이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20은 도15에 나타낸 스테이플처리 트레이와 중앙접지처리 트레이로부터 유닛을 일체로 지지하는 지지기구와, 그 유닛을 일체로 꺼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1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화상형성시스템의 제어계 구성, 특히 용지 후처리장치의 제어구성을 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2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에서 논스테이플모드A의 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23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에서 논스테이플모드B의 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24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에서 소트, 스택 모드의 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25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에서 스테이플모드의 처리수순을나타낸 플로차트.
도 26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에서 중철제본모드의 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27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에서 중철제본모드의 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28 및 29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에서 중철제본모드의 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30은 용지묶음반송시의 분기가이드판과 가동가이드와 용지묶음선단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1은 중철제본모드에서 스테이플처리 트레이에 스택된 용지묶음의 상태를 나타낸 동작설명도.
도 32는 중철제본모드에서 스테이플처리 트레이에서 스택되고, 중철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동작설명도.
도 33은 중철제본모드에서 스테이플처리 트레이에서 중철된 용지묶음을 용지묶음편향기구에 의해 편향시키는 초기상태를 나타낸 동작설명도.
도 3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철제본모드에 있어서 스테이플처리 트레이에서 중철된 용지묶음을 용지묶음 편향기구에 의해 편향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설명도.
도 35는 중철제본모드에서 스테이플처리 트레이에서 중철된 용지묶음을 용지묶음편향기구에 의해 편향시켜, 중앙접지처리 트레이로 보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동작설명도.
도 36은 중철제본모드에서 중앙접지처리 트레이에서 용지묶음을 중앙접지위치에 위치시켰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동작설명도.
도 37은 중철제본모드에서 중앙접지처리 트레이에서 중앙접지플레이트를 작동시켜 용지묶음의 중앙접지동작을 개시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설명도.
도 38은 중철제본모드에서 중앙접지처리 트레이로부터 용지묶음을 중앙접지롤러로 중앙접지하여 배지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동작설명도.
도 39는 용지묶음 편향기구에서 분기가이드판과 가동가이드로 이루어진 묶음분기가이드의 이니셜처리의 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40은 용지묶음 편향기구에서 방출벨트에 의한 이송과, 분기가이드판 및 가동가이드에 의한 편향동작의 제어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4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가이드의 이니셜처리의 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4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플매수의 판정처리의 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4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크기의 판정처리의 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44는 분기가이드판의 가압롤러부에서 잼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5는 분기가이드판과 가동가이드와 방출롤러로 형성되는 중앙접지처리 트레이측으로 안내하는 경로에서 잼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6은 용지묶음의 표지의 선단부가 분기가이드판 선단부의 가압롤러에 걸려 잼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7은 용지묶음의 표지의 선단부가 분기가이드판에 설치된 지지리브 등의 돌기에 걸려 잼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8은 잼 처리시의 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6: 시프트배지롤러52: 방출벨트
52a: 방출턱53: 종이치우개 펜스
54: 분기가이드판55: 가동가이드
56: 방출롤러57: 가압롤러
58,59: 스프링60: 링크암
61: 캠62: 방출벨트 구동풀리
65: 방출축(구동축)66: 지지레일
73: 가동 후단펜스74: 접지플레이트
75: 접지플레이트 구동캠76: 링크암
81: 제1 접지롤러82: 제2 접지롤러
83: 하측 반송롤러91: 상측 묶음반송 가이드판
92: 묶음반송 가이드판 하157: 방출모터
158: 종이치우개 모터161: 묶음분기 구동모터
166: 접지플레이트 구동모터202: 시프트트레이
203: 하측 트레이A,B,C,D,H,M: 반송로
E: 용지수용부F: 스테이플처리 트레이
G: 중앙접지처리 트레이PD: 용지 후처리장치
PR: 화상형성장치S1: 단면철 스테이플러
S2: 중철스테이플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라 하기와 같은 수단들이 제공된다.
제1 수단은, 복수의 반송경로의 분기부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경로를 전환하는 용지편향장치에 있어서,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반송롤러 표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해당 표면을 따라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 안내부재와, 상기 제1 안내부재를 제1 반송로로 안내하는 제1 위치 및 제2 반송로로 안내하는 제2 위치에 위치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수단은, 제1 수단에서, 상기 제1 안내부재가 상기 반송롤러와 동축상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수단은, 제1 수단에서, 상기 제1 안내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 안내부재의 용지반송방향 상류측의 상기 반송롤러 표면과의 틈새에 상기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안내하고, 제1 위치에 위치했을 때 제1 반송로측의 경로를 개방하는 제2 안내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수단은, 제3 수단에서, 상기 제1 안내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2 안내부재는 제1 반송로측의 경로를 폐쇄하여 상기 제1 안내부재와의 사이에서 상기 반송롤러표면을 따라 1개의 안내경로를 형성하고, 제2 반송로에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수단은, 제3 수단에서, 상기 제2 반송로에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안내할 때, 상기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상기 반송롤러측에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상기 제2 안내부재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수단은, 제3 내지 제5 수단에서, 상기 제1 안내부재의 제1 위치와 제2 취이간의 요동구동, 및 상기 제2 안내부재의 제1 반송로측의 경로의 개방, 폐쇄동작은, 1개의 캠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수단은, 반입된 용지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가하는 용지처리장치에서, 상기 용지를 일시 수납하여, 배출하는 제1 처리트레이와, 상기 제1 처리트레이의 용지반송방향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차리트레이 하류단부보다 위쪽에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제1 반송로 및 상기 제1 처리트레이 하류단부보다더 아래쪽에 반송하는 제2 반송로와, 상기 제1 반송로와 제2 반송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수단은, 제7 수단에서, 상기 제1 처리트레이에는 제1 처리수단이, 상기 제2 반송로에는 제2 처리를 수행하는 제2 처리수단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 수단은, 반입된 용지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가하는 용지처리장치에서, 용지묶음에 대해 제1 처리를 수행하는 제1 처리수단이 설치된 제1 처리트레이와, 상기 제1 처리수단에서 제1 처리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처리트레이로부터 배출된 용지묶음을 그대로 배지하는 제1 반송로와, 상기 용지묶음에 대해 제2 처리를 수행하는 제2 처리수단측에 상기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제2 반송로와, 상기 제1 반송로와 상기 제2 반송로로 용지묶음의 반송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 수단은, 제7 또는 제9 수단에서, 상기 전환수단은 제2 반송로로 전환했을 때, 상기 제1 처리트레이의 최하류측에 위치하는 반송롤러의 외주를 따라 상기 용지묶음을 편향시켜, 제2 반송로에 용지묶음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수단은, 제7.제9 또는 제10 수단에서, 상기 전환수단은 제2 반송로로 전환했을 때, 용지묶음의 두께방향을 규제하여 제2 반송로에 용지묶음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수단은, 제11 수단에서, 상기 두께방향의 규제는 반송로의 용지두께방향의 경로폭의 축소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3 수단은, 제9 수단에서, 상기 제1 반송로는 상기 제1 처리트레이의 하류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용지묶음을 반송하고, 상기 제2 반송로는 상기 제1 처리트레이의 하류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4 수단은, 제7, 제9, 제10 또는 제11 수단에서, 상기 전환수단은 제2 반송로측에 용지묶음을 안내할 때, 용지묶음을 아래쪽으로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5 수단은, 제7, 제9, 제10, 제11 또는 제14 수단에서, 상기 전환수단은 제2 반송로측에 용지묶음을 안내할 때, 적어도 90도 이상 용지묶음의 반송방향을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6 수단은, 제7 또는 제9 수단에서, 상기 제1 처리수단은 용지묶음에 대해 정합처리를 수행하는 정합기구 및/또는 스테이플처리를 수행하는 스테이플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7 수단은, 제7 또는 제9 수단에서, 상기 제2 처리수단은 용지묶음에 대해 중앙접지처리를 수행하는 접지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8 수단은, 제7 또는 제9 수단에서, 상기 제1 처리트레이는 용지반송방향 상류측이 아래로, 하류측이 위로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9 수단은, 제7 또는 제9 수단에서, 상기 제2 반송로의 용지의 두께방향의 경로폭은 상기 제1 반송로의 상기 경로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0 수단은, 제7 또는 제9 수단에서, 상기 제1 처리트레이에 수납된 용지또는 용지묶음을 상기 제1 또는 제2 반송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1 수단은, 제10 수단에서, 상기 제1 처리트레이에 수납된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상기 제1 또는 제2 반송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반송롤러와 상기 이동수단을 공통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2 수단은, 제21 수단에서, 상기 이동수단이 풀리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된 벨트와, 이 벨트에 돌출설치되고, 용지 또는 용지묶음의 후단부를 밀어올리는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송롤러와 구동측의 상기 풀리과 동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롤러의 주속이 상기 풀리의 주속보다 빨라지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3 수단은, 제7 또는 제9 수단에서, 상기 제1 반송로와 상기 제2 반송로의 하류측에는,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배지하는 배지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4 수단은, 제7 또는 제9 수단에서, 상기 전환수단이 상기 제1 내지 제6의 어느 한 용지편향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5 수단은, 입력된 화상정보를 바탕응로 용지에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배지되고, 도입된 용지를 처리하는 제7 내지 제24의 어느 한 수단에 관련된 용지처리장치로부터 화상형성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 수단에 따르면,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반송롤러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해당 표면을 따라 제1 안내부재를 요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다른 2개의 위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제1 반송로와 제2 반송로의 전환이 용이해진다. 그 때, 반송롤러 표면을 따라 안내하므로, 제1 안내부재의 원주방향의 길이에 따라서 편향각을 180도 정도까지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그때, 반송롤러에 의해 반송방향으로 안내되므로, 편향하는 곡률이 큰 경우에도 원활하게 편향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공간절약을 꾀할 수 있다.
제2 수단에 따르면, 제1 안내부재가 상기 반송롤러와 동축상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1 안내부재의 지지기구를 최소한의 공간으로 배치할 수 있고, 또한 반송롤러 표면과 제1 안내부재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3 수단에 따르면, 제2 안내부재는, 제1 안내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했을 때, 제1 안내부재의 용지반송방향 상류측의 반송롤러 표면과의 틈새에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안내하므로, 확실히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제2 반송로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2 안내부재는, 제1 위치에 위치했을 때는 제1 반송로측의 경로를 개방하므로, 제1 반송로에 용지묶음을 안내할 때 장애가 되는 일은 없다.
제4 수단에 따르면, 제1 안내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했을 때, 제2 안내부재는 제1 반송로측의 경로를 폐쇄하여 제1 안내부재와의 사이에서 반송롤러 표면을 따라 1개의 안내경로를 형성하므로, 확실히 제2 반송로로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안내할 수 있다.
제5 수단에 따르면, 제2 반송로로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안내할 때,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반송롤러측에 가압하는 가압롤러가 제2 안내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반송롤러와 가압롤러로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소정 압력으로 협지하여 확실히 반송할 수 있다.
제6 수단에 따르면, 제1 안내부재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요동구동, 및 제2 안내부재의 제1 반송로측의 경로의 개방, 폐쇄동작은, 1개의 캠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구동타이밍이 엇갈리는 일도 없고, 저비용으로 확실히 상기 구동, 또는 상기 개방, 폐쇄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7 수단에 따르면, 용지를 일시 수납하고, 배출하는 제1 처리트레이와, 제1 처리트레이의 용지반송방향 하류측에 설치되고, 제1 처리트레이 하류단부보다 위쪽에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제1 반송로 및 제1 처리트레이 하류단부보다도 아래쪽으로 반송하는 제2 반송로와, 제1 반송로와 제2 반송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용지묶음의 반송방향을 제1 처리트레이보다 위쪽과 아래쪽으로 전환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제8 수단에 따르면, 제1 처리트레이에는 제1 처리수단이, 제21 반송로에는 제2 처리를 행하는 제2 처리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처리수단에서 처리한 용지묶음에 대해서는, 그대로 제1 반송로로 반송하고, 제2 처리가 필요하면 제1처리수단으로 처리한 후에, 연속하여 제2 반송로에 반송하여 처리할 수 있어, 효율적인 처리가 선택적으로 가능하다.
제9 수단에 따르면, 용지묶음에 대해 제1 처리를 가하는 제1 처리수단이 설치된 제1 처리트레이와, 제1 처리수단으로 제1 처리가 가해지고, 제1 처리트레이료부터 배출된 용지묶음을 그대로 배지하는 제1 반송로와, 용지묶음에 대해 제2 처리를 행하는 제2 처리수단측에 상기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제2 반송로와, 제1 반송로와 제2 반송로로 용지묶음의 반송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 처리트레이에서 제1 처리가 가해진 용지묶음을 다른 처리를 가하지 않고 그대로 배지할지, 제2 처리를 행하는 제2 수단측으로 반송할지를 제1 및 제2 반송로의 전환으로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제10 수단에 따르면, 전환수단은 제2 반송로에 전환했을 때, 제1 처리트레이의 최하류측에 위치하는 반송롤러의 외주를 따라 상기 용지묶음을 편향시키므로 편향각이 큰 경우에도 용지묶음을 확실히 제2 반송로로 안내할 수 있다.
제11 수단에 따르면, 용지묶음의 반송방향 선단부는, 용지묶음이 복수의 용지를 적층하여 형성되고, 또한 선단측에 스테이플처리 등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엮이지 않아 따로 떨어진 형태인 경우가 많은데, 용지묶음의 선단부의 두께방향을 규제하고, 따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제2 반송로로 안내할 수 있어, 이로 인해 용지 잼(jam)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12 수단에 따르면, 두게방향의 규제는 반송로의 용지두께방향의 경로폭을 축소하고, 경로형상에 의해 행하도록 했으므로, 규제를 위한 부재나 수단을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제13 수단에 따르면, 제1 처리가 가해지고, 다른 처리가 불필요한 용지묶음은 위쪽의 제1 반송로로 반송하고, 제1 처리가 가해져, 다시 제2 처리가 필요한 용지묶음은 아래쪽 제2 반송로로 방향을 달리해 반송하므로, 처리 종류를 반송방향의 전환에 의해 선택가능하다.
제14 수단에 따르면, 전환수단은 제2 반송로측에 용지묶음을 안내할 때, 용지묶음을 아래쪽으로 편향시켜, 그대로 제2 반송로에 용지묶음을 안내할 수 있다.
제15 수단에 따르면, 전환수단은 제2 반송로측에 용지묶음을 안내하는 경우, 적어도 90도 이상 용지묶음의 반송방향을 편향시키므로, 제2 반송로나 제2 처리수단을 장치내에 설치할 때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제16 수단에 따르면, 제1 처리수단은 용지묶음에 대해 정합처리를 행하는 정합기구 및/또는 스테이플처리를 행하는 스테이플러로 이루어지므로, 다음 처리 유무에 따라 정합된 용지에 대해, 이를테면 단면철이나 중철을 행할 수 있다.
제17 수단에 따르면, 제2 처리수단은 용지묶음에 대해 중앙접지처리를 행하는 접지기구로 이루어지므로, 이를테면 제1 처리수단에서 중철된 용지묶음에 대해 중앙접지하고, 간이제본을 행할 수 있다.
제18 수단에 따르면, 제1 처리트레이는 용지반송방향 상류측이 아래쪽으로, 하류측이 위쪽으로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처리트레이에서 처리된 용지묶음은 위쪽에 위치하는 제1 처리트레이의 하류측으로부터 그대로 위쪽으로 반송하여 배지하고, 또는 위쪽에 위치하는 제1 처리트레이의 하류측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반송하여 제1 처리트레이와 간섭하지 않는 제1 처리트레이의 아래쪽에 설치된 제2 처리수단으로 제2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제19 수단에 따르면, 제2 처리를 가하는 제2 반송로의 용지의 두께방향의 경로폭은 상기 제1 반송로의 상기 경로폭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그대로 배지하는 제1 반송로에서는, 크게 형성된 반송로의 내벽과 용지묶음의 간섭 또는 마찰을 억제하고, 작게 형성된 제2 반송로에서는, 용지묶음의 반송성이 향상되고, 용지묶음은 제2 처리를 가할 때 흩어지지 않고, 엮여져서 처리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
제20 수단에 따르면, 제1 처리트레이에 수납된 용지 도는 용지묶음을 제1 또는 제2 반송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므로, 용지묶음을 확실히 제1 또는 제2 반송로로 보내넣을 수가 있다.
제21 수단에 따르면, 제1 처리트레이에 수납된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제1 또는 제2 반송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반송롤러와 이동수단을 공통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므로, 용지묶음을 확실히 제1 또는 제2 반송로로 보낼 수 있는 동시에, 제2 반송로로 보낼 때는, 반송롤러와 이동수단을 공통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함으로써, 간단한 기구로 확실히 동기를 맞출 수 있다.
제22 수단에 따르면, 이동수단이 풀리 사이에 팽팽히 설치된 벨트와, 이 벨트에 돌출설치되고, 용지 또는 용지묶음의 후단부를 밀어올리는 돌기로부터 이루어지고, 용지 또는 용지묶음은, 벨트에 의해 밀어올려져, 이어서 벨트와 동기하여 회전하는 반송롤러에 의해 벨트의 반송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반송되므로, 제2 반송로측에 벨트의 돌기와 간섭하는 일 없이 용지를 보낼 수 있다.
제23 수단에 따르면, 제1 반송로와 제2 반송로 하류측에는,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배지하는 배지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처리가 다른 것이 섞이지 않도록 집적하는 일이 가능해진다.또한, 중앙접지처리(간이제본처리)를 가한 제2 반송로부터의 배지구, 즉 아래쪽에 위치하는 배지루로부터 배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빈도가 낮은 쪽을 아래로, 사용빈도가 높은 쪽을 위로 배치함으로써, 사용성이 우수한 용지처리장치로 할 수 있다.
제24 수단에 따르면, 전환수단이 상기 제1 내지 제6의 어느 한 수단에 관련된 용지편향장치로 이루어지므로, 제1 내지 제6 수단에 관련된 상기 용지편향장치에 의해 생겨나는 효과를 갖는 용지처리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제25 수단에 따르면, 입력된 화상정보를 바탕으로 용지에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배지되고, 도입된 용지를 처리하는 제7 내지 제24의 어느 한 수단에 관련된 용지처리장치로부터 화상형성시스템을 구성했으므로, 제7 내지 제24의 용지처리장치에 의해 생겨나는 효과를 갖는 화상처리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하기와 같은 수단들이 제공된다.
제26 수단은, 용지 또는 용지묶음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가하는 처리수단과, 복수의 반송로의 분기부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또는 처리되지 않은 용지 또는 용지묶음의 반송방향을 제1 반송로 또는 제2 반송로 중 하나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갖는 용지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을 상기 제1 반송로로 용지를 반송하기 위한 제1 위치와, 상기 제2 반송송로로 용지를 반송하기 위한 제2 위치와,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중간인 제3의 위치 중 하나에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6 수단에 의하면, 전환수단에 의해 제1 또는 제2 위치라는 상이한 2 위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제1 반송로와 제2 반송로의 전환이 용이해진다. 또한, 반송하는 용지묶음의 두께에 따라 제3 위치를 설정하고, 편향하는 곡률이 큰 경우에도 원활하게 편향시킬 수 있게 되어, 편향하는 각도가 급한 경우에도 편향하는 곡률을 크게 설정하여 반송할 수 있어, 공간절약을 꾀할 수 있다.
제27 수단은, 제26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을,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반송롤러의 표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해당 표면을 따라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 안내부재와, 상기 제1 안내부재를 상기 제1 반송로로 안내하는 제1 위치 및 제2 반송로로 안내하는 제2 위치에 위치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제1 안내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 안내부재의 용지반송방향 상류측의 상기 반송롤러 표면과의 틈새에 상기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안내하고, 제1 위치에 위치했을 때 제1 반송로측의 경로를 개방하는 제2 안내부재와, 상기 제2 안내부재에 설치되고, 제2 반송로로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안내할 때, 상기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상기 반송롤러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제3 위치에 설정될 때 상기 가압롤러를 상기 반송롤러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7 수단에 의하면, 전환수단을 제1 및 제2 안내부로 구성하고,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반송롤러의 표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해당 표면을 따라 제1 안내부재를 요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이한 2 위치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제1 반송로와 제2 반송로의 전환이 용이해진다. 그 때, 반송롤러의 표면을 따라 안내하므로, 제1 안내부재의 원주방향의 길이에 따라 편향각을 180°정도까지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안내부재에 상기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상기 반송롤러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설치하고, 제2 반송로에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안내하는 경우, 전환수단을 상기 제3 위치에 설정할 때에는, 상기 가압롤러를 상기 반송롤러부터 소정 거리 이간시키므로, 용지묶음 선단을 가압롤러와 반송롤로 사이에 확실히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제28 수단은, 제27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제2 반송로측으로 용지묶음을 반송할 때, 상기 제3 위치에서 용지묶음의 선단부를 받아들이고, 상기 용지묶음의 선단부가 상기 가압롤러와 상기 반송롤러의 닙을 통과한 후, 상기 제2 위치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8 수단에 의하면, 용지묶음을 받아들일 때만 제3 위치에 위치하고, 용지묶음의 선단부가 가압롤러와 반송롤러와의 닙을 통과한 후, 제1 안내부재를 제2 위치에 위치시켜, 가압롤러에 의해 용지묶음을 반송롤러측으로 가압한다. 이로써, 용지묶음에 대해 반송롤러에 의한 반송력이 부여된다.
제29 수단은, 제28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설정변경타이밍을, 용지묶음의 크기와 상관없이 동일한 타이밍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9 수단에 의하면, 용지크기별로 반송조건이 달라지나, 그 때, 가압롤러에 의해 가압하는 타아밍이 동일타이밍이 되도록, 바꿔말하면 용지크기와 상관없이 가압롤러와 반송롤러의 닙의 진입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용지선단부터 동일 위치에서 가압롤러에 의한 가압이 개시되도록 한다. 이로써, 용지크기의 대소와 상관없이 닙진입시의 용지반송조건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제30 수단은, 제27 수단에 있어서, 스테이플처리되는 용지 스테이플매수에 따라서 상기 소정 거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0 수단에 의하면, 용지묶음의 두께에 따라서 가압롤러와 반송롤러 간 거리를 설정하므로, 용지묶음의 두께에 부합하는 반송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제31 수단은, 제30 수단에 있어서, 스테이플매수가 적을수록 상기 소정 거리를 작은 거리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1 수단에 의하면, 스테이플매수가 적을수록 상기 소정 거리를 작은 거리로 설정하므로, 용지묶음이 두꺼운 경우와 얇은 경우에 따라서 가압롤러와 반송롤러의 닙 사이로 진입할 때의 부하를 동등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안정된 반송이 가능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하기와 같은 수단들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32 수단은, 화상형성후의 용지에 대해 소정 처리를 가하는 처리수단을 갖는 용지처리장치에 있어서, 용지를 스택하는 스택수단과, 상기 스택수단에 스택된 용지묶음에 대해 스테이플처리를 행하는 스테이플수단과, 상기 용지묶음 또는 상기 용지에 접지처리를 가하는 접지수단과, 상기 스택수단에 스택된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상기 접지수단측 또는 장치외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접지수단측으로 안내하는 제1 경로와, 상기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접지하지 않고 장치외로 안내하는 제2 경로 중 하나의 경로로상기 반송수단의 반송방향을 전환하는 경로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로변경수단은, 상기 반송수단의 반송방향을 제1 경로측으로 전환하여 반송하고 있을 때에, 잼이 생기면, 상기 경로변경수단에 의한 상기 용지묶음 또는 용지에 대한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반송하기 위해 롤러로 압박하여 반송력을 부여하거나,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반송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편향시키는 등의 경로변경수단에 의한 용지묶음 또는 용지에 대한 구속력이 해방되고, 잼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제33 수단은, 화상형성후의 용지에 대해 소정 처리를 가하는 처리수단을 갖는 용지처리장치에 있어서, 용지를 스택하는 스택수단과, 상기 스택수단에 스택된 용지묶음에 대해 스테이플처리를 행하는 스테이플수단과, 상기 용지묶음 또는 상기 용지에 접지처리를 가하는 접지수단과, 상기 스택수단에 스택된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상기 접지수단측 또는 장치외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접지수단측으로 안내하는 제1 경로와, 상기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접지하지 않고 장치외로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제2 경로 중 하나의 경로로 상기 반송수단의 반송방향을 전환하는 경로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로변경수단은, 반송수단의 반송방향을 제1 경로측으로 전환하여 반송하고 있을 때, 잼이 발생하면, 제2 경로측으로 반송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강제적으로 편향시켜 접지수단측으로 안내하는 제1 경로측이 개방되어, 잼처리가 용이해진다.
제34 수단은, 제32 또는 제33 수단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이, 제2 경로측으로 전환되었을 때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장치외로 배출하기 위한 롤러와, 이 롤러에 용지를 밀어올리는 반송벨트와, 제1 경로측으로 전환되었을 때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상기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접지롤러측으로 편향시키는 가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상기 롤러와 반송벨트에 의한 반송력을 이용하여 장치외로 배출하는 것도 접지수단측으로 반송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제35 수단은, 제34 수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가, 상기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상기 롤러표면에 압박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제1 경로측으로 전환되었을 때, 상기 가압롤러를 상기 롤러표면에 압박하는 가이드판과, 상기 롤러표면과의 사이에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반송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이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한 구동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모터를 사용한 구동기구에 의해 제1 경로측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므로, 소형(공간절약)으로 구동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제36 수단은, 제33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측으로의 전환은, 잼 발생후 바로 이루어지고, 제1 경로측으로의 규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잼 발생후, 반드시 제1 경로측은 개방되고, 제2 경로측에서 잼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37 수단은, 제32 내지 제36 수단에 관련된 용지처리장치와,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일체 또는 별개로 배치하여 화상형성시스템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시스템을 구성하면, 잼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중앙접지기능을 갖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반송롤러는 방출롤러(56)에, 제1 안내부재는 가동가이드(55)에, 제1 반송로는 반송로(C)에, 제2 반송로는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를 구성하는 하측 묶음반송 가이드판(91) 및 상측 묶음반송 가이드판(92)에, 구동수단은 스프링(58, 59), 링크암(60), 캠(61) 및 묶음분기 구동모터(161)에, 반송롤러와 동축인 축은 방출벨트 구동풀리(62)의 구동축(방출축)(65)에, 제2 안내부재는 분기가이드판(54)에, 가압롤러는 가압롤러(57)에, 캠수단은 캠(61)에, 제1 처리트레이는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 전환수단은 가동가이드(55) 및 분기가이드판(54)에, 제1 처리수단은 단면철 스테이플러(S1), 중철스테이플러(S2) 및 자거(jogger) 펜스 또는 종이치우개 펜스(53)에, 제2 처리수단은 접지기구에, 접지기구는 접지플레이트(74) 및 그 구동기구인 접지플레이트 구동캠(75), 링크암(76) 및 접지플레이트구동모터(166)에, 이동수단은 방출턱(52a), 방출벨트(52) 및 방출모터(157)에, 구동원은 방출모터(157) 및 구동축(방출축)(65)에, 풀리 사이에 팽팽히 설치된 벨트는 방출벨트(52)에, 용지 또는 용지묶음의 후단부를 밀어올리는 돌기는 방출턱(52a)에, 배지구는 시프트배지롤러(6) 또는 하측 배지롤러(83)으로부터의 배출부에 각기 대응한다.
또한, 제어수단은 제어장치(350)에 대응하며, 스택수단은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 스테이플수단은 단면철스테이플러(S1) 또는 중철스테이플러(S2)에, 접지수단은 접지플레이트(74) 및 접지롤러(81,82)에, 제어수단은 CPU(360)에, 제1 경로는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에 용지묶음 도는 용지를 안내하는 경로에, 제2 경로는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시프트트레이(202)(반송로C)로 안내하는 경로에, 경로변경수단은, 분기가이드판(54), 가동가이드(55), 방출롤러(57), 가압롤러(57) 및 묶음분기구동모터(161)에, 가이드판은 분기가이드판(54)에, 가이드부재는 가동가이드(55)에, 모터는 묶음분기구동모터(161)에 각각 대응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처리장치로서의 용지 후처리장치와 화상형성장치로 이루어진 화상형성시스템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면에서는, 용지 후처리장치의 전체와 화상형성장치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용지 후처리장치(PD)는, 화상형성장치(PR)의 측부에 설치되어, 화상형성장치(PR)의 배지구(95)로부터 배출된 기록매체, 여기서는 용지는 용지 후처리장치(PD)의 용지반입구(18)로 안내된다. 상기 용지는, 1장의 용지에 후처리를 가하는 후처리수단{본 실시형태에서는 천공수단으로서 펀치유닛(100)}을 갖는 반송로(A)를 지나, 상부 트레이(201)로 안내하는 반송로(B), 시프트트레이(202)로 안내하는 반송로(C), 정합 및 스테이플철 등을 행하는 처리트레이(F)(이하 스테이플처리 트레이라고도 함)으로 안내하는 반송로(D)로, 각각 분기턱(15) 및 분기턱(16)에 의해 할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반송로(A) 및 반송로(D)를 거쳐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로 안내되고, 스테이플처리 트레이에서 정합 및 스테이플 등이 이루어진 용지는, 편향수단인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에 의해, 시프트트레이(202)로 안내하는 반송로(C), 접지 등을 가하는 처리트레이(G)(이하, 중앙접지트레이라고도 함)로 할당되도록 구성되고,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에서 접지 등이 이루어진 용지는 반송로(H)를 지나 하부 트레이(203)으로 안내된다. 또한 반송로(D)내에는 분기턱(17)이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저하중용수철에 의해 도면과 같은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용지 후단이 이것을 통과한 후, 반송롤러(9, 10), 스테이플 배지롤러(11) 중의 적어도 반송롤러(9)와 프레스-택 롤러(8)를 역전시킴으로써 용지 후단을 용지수용부(E)로 안내해 체류시켜, 다음 용지와 겹쳐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2장 이상의 용지를 겹쳐 반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송로(B), 반송로(C), 및 반송로(D)의 상류에서 각각에 대해 공통되는 반송로(A)에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받아들이는 용지를 검출하는 입구센서(301), 그 하류에 입구롤러(1), 펀치유닛(100), 펀치쓰레기호퍼(101), 반송롤러(2), 분기턱(15) 및 분기턱(16)이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분기턱(15), 분기턱(16)은 도시하지 않은 용수철에 의해 도 1의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를 ON으로 함으로써, 분기턱(15)는 위쪽으로, 분기턱(16)는 아래쪽으로, 각각 회동함으로써, 반송로(B), 반송로(C), 반송로(D)로 용지를 할당한다.
반송로(B)로 용지를 안내하는 경우는, 분기턱(15)는 도 1의 상태로 상기 솔레노이드는 OFF, 반송로(C)로 용지를 안내하는 경우는, 도 1의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를 ON으로 함으로써, 분기턱(15)는 위쪽으로, 분기턱(16)은 아래쪽으로 각각회동한 상태가 되고, 반송로(D)로 용지를 안내하는 경우는, 분기턱(16)은 도 1의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OFF, 분기턱(15)는 도 1의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를 ON으로 함으로써, 위쪽으로 회동한 상태가 된다.
이 용지 후처리장치에서는, 용지에 대해, 천공(펀치유닛(100)), 용지정돈+단부철{종이치우개 펜스(53), 단면철 스테이플러(S1)}, 용지정돈+중철{종이치우개 펜스(53), 중철스테이플러(S2)}, 용지분류{시프트트레이(202)}, 중앙접지{접지플레이트(74), 접지롤러(81, 82)} 등의 각 처리를 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PR)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된 화상데이터를 바탕으로 감광체드럼 등의 화상형성매체에 광학 기입을 행하여 감광체드럼 표면에 잠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잠상을 토너현상하여 용지 등의 기록매체로 전사하고, 정착하여 배지하는 소위 전자사진프로세스를 사용한 화상형성장치로, 전자사진프로세스를 사용한 화상형성장치 자체는 공지이므로, 여기서 자세한 구성의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사진프로세스를 사용한 화상형성장치를 예시하고 있으나, 그밖에, 잉크젯이나 인쇄기 등 공지의 화상형성장치 및 인쇄기(프린터)를 사용한 시스템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2. 시프트트레이부
이 용지 후처리장치(PD)의 최하류부에 위치하는 시프트트레이배지부(1)은, 시프트배지롤러(6)와, 복귀롤러(13)과, 지면검지센서(330)와, 시프트트레이(202)와, 도 2에 나타낸 시프트기구(J)와, 도 3에 나타낸 시프트트레이승강기구(K)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2는 시프트기구(J)를 상세히 나타낸 요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시프트트레이승강기구(K)의 요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에서, 부호(13)은 시프트배지롤러(6)으로부터 배출된 용지와 접해 상기 용지의 후단을 도 2에 나타낸 엔드펜스(32)에 접촉시켜 정돈하기 위한 스폰지로 만든 롤러를 나타낸다. 이 복귀롤러(13)은, 시프트배지롤러(6)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복귀롤러(13)의 근방에는 트레이상승 리미트스위치(333)이 설치되어, 시프트트레이(202)가 상승하여 복귀롤러(13)을 밀어올리면, 상기 트레이상승리미트스위치(333)이 온되어 트레이승강모터(168)이 정지한다. 이로써 시프트트레이(202)의 오버런(overrun)이 방지된다. 또한, 복귀롤러(13)의 근방에는, 도 1과 같이, 시프트트레이(202) 상에 배지된 용지 또는 용지묶음의 지면위치를 검지하는 지면위치검지수단으로서 지면검지센서(33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면검지센서(330)은, 도 3에 나타낸 지면검지레버(30)와, 지면검지센서(스테이플용)(330a)와 지면검지센서(논스테이플용)(330b)로 구성되어 있다. 지면검지레버(30)은, 레버의 축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시프트트레이(202)에 적재된 용지의 후단 상면에 접촉하는 접촉부(30a)와 부채꼴 모양의 차폐부(30b)를 구비하고 있다. 위쪽에 위치하는 지면검지센서(스테이플용)(330a)는 주로 스테이플배지제어에 쓰이고, 지면검지센서(논스테이플용)(330b)는 주로 시프트배지제어에 쓰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면검지센서(스테이플용)(330a) 및 지면검지센서(논스테이플용)(330b)는, 차폐부(30b)에 의해 차단되었을 때 온되도록 만들어져 있다.따라서, 시프트트레이(202)가 상승하여 지면검지레버(30)의 접촉부(30a)가 위쪽으로 회동하면, 지면검지센서(스테이플용)(330b)가 오프하고, 더욱 회동하면 지면검지센서(논스테이플용)(330b)가 온된다. 용지의 적재량이 소정의 높이로 달한 것이 지면검지센서(스테이플용)(330a)와 지면검지센서(논스테이플용)(330b)에 의해 검지되면, 시프트트레이(202)는 트레이승강모터(168)의 구동에 의해 소정량 하강한다. 이로써, 시프트트레이(202)의 지면위치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2.1 시프트트레이의 승강기구
시프트트레이(202)의 승강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시프트트레이(202)는, 구동유닛(L)에 의해 구동축(21)이 구동됨으로써 승강한다. 구동축(21)과 종동축(22) 사이에는 타이밍벨트(23)이 타이밍풀리를 거쳐 텐션을 가지고 걸쳐지고, 이 타이밍벨트(23)에 시프트트레이(202)를 지지하는 측판(24)가 고정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시프트트레이(202)를 포함한 유닛이 승강가능하게 타이밍벨트(23)에 매달리게 된다.
구동유닛(L)은, 트레이승강모터(168)와 웜기어(25)로 구성되고, 구동원으로서 정역전가능한 트레이승강모터(168)에서 발생한 동력이, 웜기어(25)를 거쳐 구동축(21)에 고정된 기어열의 최종기어로 전달되고, 시프트트레이(20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동력전달계통이 웜기어(25)를 거치므로, 시프트트레이(202)를 일정 위치에 유지할 수 있고, 이 기어구성에 의해, 시프트트레이(202)의 불의의 낙하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시프트트레이(202)의 측판(24)에는, 차폐판(24a)가 일체로 형성되고, 아래쪽으로는 적재용지가 꽉 찬 것을 검지하는 만재검지센서(334)와 하한위치를 검출하는 하한센서(335)가 배치되고, 차폐판(24a)에 의해 만재검지센서(334)와 하한센서 (335)가 온/오프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만재검지센서(334)와 하한센서(335)는 포토센서로, 차폐판(24a)에 의해 차단되었을 때 온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3에서, 시프트배지롤러(6)은 생략한다.
시프트트레이(202)의 요동(시프트)기구는 도 2와 같이, 시프트모터(169)와 시프트캠(31)로 이루어지고, 시프트모터(169)를 구동원으로서 시프트캠(31)을 회전시킴으로써, 시프트트레이(202)는 용지배지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시프트캠(31)에는 회전축 중심으로부터 일정량 떨어진 위치에 핀(31a)가 세워지고, 그 핀(31a)의 다른 단부가 엔드펜스(32)의 연결부재(32a)의 장공부(32b)에 헐겁게 끼워져 있다. 연결부재(32a)는 엔드펜스(32)의 배면(시프트트레이(202)가 위치하지 않은 쪽 면)에 고정되고, 상기 시프트캠(31)의 핀(31a)의 회동위치에 따라서, 용지배지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고, 이에 따라서 시프트트레이(202)도 용지배지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시프트트레이 (202)는 도 1에서 앞쪽과 안쪽의 2 위치에서 정지하고{도 2의 시프트캠(31)의 확대도에 대응}, 그 정지제어는 시프트캠(31)의 단차를 시프트센서(336)에 의해 검출하여, 이 검출신호를 근거로 시프트모터(169)를 온, 오프 제어함으로써 수행된다.
엔드펜스(32)의 전면측에는, 상기 시프트트레이(202)의 안내용 돌기(32c)가 설치되고, 시프트트레이(202)의 후단부가 상기 돌기(32c)에 상하이동이 자유롭게 헐겁게 끼워져, 이로써, 시프트트레이(202)는 상하운동가능하면서도 용지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가능하도록 엔드펜스(32)에 지지된다. 그리고 엔드펜스(32)는 시프트트레이(202) 상의 적재지의 후단을 안내하고, 후단을 정돈하는 기능을 갖는다.
2.2 배지부
도 4는 시프트트레이(202)에 대한 배지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4에서, 시프트배지롤러(6)은, 구동롤러(6a)와 종동롤러(6b)를 가지며, 종동롤러(6b)는 용지배출방향 상류측이 지지되고,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개폐가이드판(33)의 자유로운 단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종동롤러(6b)는 자중 또는 탄력에 의해 구동롤러(6a)에 접촉하고, 용지는 두 롤러(6a, 6b) 사이에 협지되어 배출된다. 스테이플처리된 용지묶음이 배출될 때는, 개폐가이드판(33)이 위쪽으로 끌어올려져, 소정의 타이밍으로 복귀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 타이밍은 시프트배지센서(303)의 검지신호를 바탕으로 결정된다. 그 정지위치는 배지가이드판 개폐센서(331)의 검지신호를 바탕으로 결정되고, 배지가이드판 개폐모터(167)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배지가이드판 개폐모터(167)은 배지가이드판 개폐리미트스위치(332)의 온오프에 의해 구동제어된다.
3. 스테이플처리 트레이
3.1 스테이플처리 트레이의 전체구성
스테이플처리를 가하는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이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를 용지반송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평면도, 도 6은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와 그 구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용지묶음의 방출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우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플 배지롤러(11)에 의해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로 안내된 용지는,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상에 차례로 적재된다. 이 경우, 용지마다 두드림롤러(12)로 세로방향(용지반송방향)의 정합이 이루어지고, 종이치우개 펜스(53)에 의해 가로방향(용지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용지폭방향이라고도 함)의 정합이 이루어진다. 작업의 중지, 즉, 용지묶음의 최종 용지로부터 다음 용지묶음 선두지까지 사이에, 제어장치(350)(도 21 참조)로부터 보낸 스테이플신호에 의해 단면철 스테이플러(S1)이 구동되고, 스테이플러처리가 이루어진다. 스테이플처리가 이루어진 용지묶음은, 즉시 방출턱(52a)가 돌출설치된 방출벨트(52)에 의해 시프트배지롤러(6)로 보내어져, 받침위치에 설치된 시프트트레이(202)에 배출된다.
3.2 용지방출기구
방출턱(52a)는, 도 7과 같이, 방출벨트(HP) 센서(311)에 의해 그 원위치 또는 홈-포지션(home position)이 검지되도록 이루어지며, 이 방출벨트(HP)센서(311)은 방출벨트(52)에 설치된 방출턱(52a)에 의핸 온/오프한다. 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진 이 방출벨트(52)의 외주상에는 대향하는 위치에 2개의 방출턱(52a)가 배치되어,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 수용된 용지묶음을 번갈아 이동반송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방출벨트(52)를 역회전하고, 이로부터 용지묶음을 이동시키기 위해 대기중인 방출턱(52a)와 대향측의 방출턱(52a')의 이면에서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 수용된 용지묶음의 반송방향 선단을 가지런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방출턱(52a)는 용지묶음의 용지반송방향의 정돈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또한, 도 5와 같이, 방출모터(157)에 의해 구동되는 방출벨트(52)의 구동축인 방출축(65)에는, 용지폭방향의 정합 중심에 방출벨트(52)와 그 구동풀리(62)가 배치되고, 구동풀리(62)에 대해 대칭으로 방출롤러(56)이 배치,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방출롤러(56)의 원주속도는 방출벨트(52)의 원주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되어 있다.
방출벨트(52)는 방출모터(157)의 구동력을 타이밍벨트, 타이밍풀리(62)를 거쳐 전달한다. 여기서는 타이밍풀리(구동측 풀리)(62)와 방출롤러(56)은 동일축{방출축(65)}에 배치하여 구성된다. 방출롤러(56)와 방출벨트의 속도관계를 변경할 경우 등에는 방출롤러(56)을 상기 방출축(65)상에 공전 가능하게 하여, 방출롤러(56)에 대해 방출모터(157)로부터 분할된 구동력을 전달하여 감속비 설정에 자유도를 갖게 해도 된다.
또한, 방출롤러(56)의 원주면은 고무 등의 고마찰부재로 형성되고, 종동롤러인 가압롤러(57)의 자중 또는 탄력으로, 양자간에 협지된 용지 또는 용지묶음에 대해 반송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3.3 처리기구
도 6과 같이, 두드림롤러(12)는 받침점(12a)를 중심으로 움직이고 SOL(솔레노이드)(170)에 의해 진자운동이 부여되며,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 보내어진 용지에 간헐적으로 작용하여 용지를 후단펜스(51)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두드림롤러(1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종이치우개 펜스(53)은, 정역전가능한 종이치우개 모터(158)에 의해 타이밍벨트를 거쳐 구동되며, 용지폭방향으로 왕복이동한다.
단면철 스테이플러(S1)은, 도 8의 스테이플러(S1)을 이동기구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에서 알 수 있듯이, 정역전가능한 스테이플러 이동모터(159)에 의해 타이밍벨트를 거쳐 구동되며, 용지단부의 소정 위치를 철하기 위해 용지폭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이동범위의 한쪽 끝에는, 단면철스테이플로(S1)의 홈-포지션을 검출하는 스테이플러이동(HP)센서(312)가 설치되며, 용지폭방향의 철위치는, 상기 홈-포지션으로부터 단면철 스테이플러(S1) 이동량에 의해 제어된다. 단면철 스테이플러(S1)은, 도 9의 사시도와 같이 타침각도를 용지단부와 평행 또는 비스듬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나아가 상기 홈-포지션위치에서 스테이플러(S1)의 철기구부만을 소정 각도 기울여 회전시켜, 스테이플침 교환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플러(S1)은 경사모터(16))에 의해 비스듬히 회전하고, 침교환위치센서(313)에 의해 소정 기울기의 각도로, 또는 상기 침 교환위치까지 이른 것이 검축되면, 경사모터(160)은 정지한다. 경사타침이 종료하고, 또는 침교환이 종료하면, 원위치까지 회전하여 다음 스테이플을 준비한다.
중철스테이플러(S2)는 도 1 및 도 5와 같이, 후단펜스(51)로부터 중철스테이플러(S2)의 타침위치까지의 거리가, 중철가능한 최대용지사이즈의 반송방향 길이의 반에 상당하는 거리 이상이 되도록 배치되면서, 또한 용지폭방향의 정합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2개 배치되어, 스테이(63)에 고정된다. 중철스테이플러(S2) 자체는 공지의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중철을 수행할 경우, 종이치우개 펜스(53)에서 용지의 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 정합되고, 후단펜스(51)와 두드림롤러(5)로 용지의 반송방향이 정합된 후, 방출벨트(52)를 구동하여 방출턱(52)에서 용지묶음의 후단부를 들어올려, 중철스테이플러(S2)의 스테이플위치에 용지묶음의 반송방향의 중앙부가 위치하도록 하고, 이 위치에서 정지해, 스테이플동작을 실행시킨다. 그리고, 스테이플처리된 용지묶음은,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측으로 반송되어, 중앙접지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그리고, 도면 중 부호 64a는 전측판, 64b는 후측판이며, 부호 310은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상의 용지 유무를 검출하는 종이유무센서이다.
4. 용지묶음 편향기구
상기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서 중철이 이루어진 용지묶음은 용지 중앙부에서 중앙접지된다. 이 중앙접지는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에서 이루어진다. 그러기 위해서는, 철한 용지묶음을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로 반송할 필요가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의 반송방향 최하류측에, 용지묶음 편향수단이 설치되고,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측에 용지묶음을 반송한다.
용지묶음 편향기구는, 도 1 및 도 19의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와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 부분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로부터 이루어진다.
분기가이드판(54)는 도 10 내지 도 12의 동작설명도와 같이 받침점(54a)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그 하류측에 회전이 자유로운가압롤러(57)이 설치되고, 스프링(58)에 의해 방출롤러(56)측으로 가압된다. 또한 분기가이드판(54)의 위치는, 묶음분기 구동모터(161)에 의해 구동력을 얻어 회전하는 캠(61)의 캠면(61a)와의 접촉위치에 의해 규정된다.
가동가이드(55)는 방출롤러(56)의 회전축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가동가이드(55)의 일단(분기가이드판(54)와는 반대쪽의 단부)에는 연결부(60a)로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링크암(60)이 설치되어 있다. 링크암(60)은 도 5에 나타난 전측판(64a)에 고정된 축과 장공부(60b)로 이루어지며, 이로써 가동가이드(55)의 요동범위는 규제된다. 또한, 스프링(59)에 의해 아래쪽에 탄력이 가해짐으로써 도 10의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묶음분기 구동모터(161)로부터 구동을 얻어 회전하는 캠(61)의 캠면(61b)에 의해 링크암(60)이 눌리면, 연결된 가동가이드(55)는 위쪽으로 회동한다. 묶음분기가이드(HP)센서(315)는 캠(61)의 차폐부(61c)를 검지하여 캠(61)의 홈-포지션을 검지한다. 이로써, 캠(61)은 그 홈-포지션을 기준으로 묶음분기 구동모터(161)의 구동펄스를 카운트함으로써, 정지위치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0은, 캠(61)이 홈-포지션에 위치했을 때의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동작설명도이다. 가동가이드(55)의 가이드면(55a)는 방출롤러(56)의 표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진 곡면형상으로 형성되고, 분기가이드판(55)의 가압롤러(57) 설치부로부터 용지반송방향 아래쪽은 방출롤러(56) 표면의 곡률에 준한 곡면으로 형성되나, 상류측은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시프트배지롤러(6)에 대한 경로에서, 용지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상태는, 용지묶음을반송로(C)로 보낼 때의 상태로, 가동가이드(55)는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로부터 반송로(C)로 용지묶음이 보내어지는 경로에서 충분히 후퇴하고, 또한 분기가이드판(54)도 방출롤러(56)의 표면에서 충분히 후퇴하여,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로부터 반송로(C)로 용지묶음을 보내는 경로를 충분히 개방해 두고 있다. 이 개방폭은, 일반적으로 단면철 스테이플러(S1)의 스테이플 능력에 의해 결정되나, 통상의 두께의 복사용지 50장 이하가 일반적이다.
상기 가동가이드(55)의 가이드면(55a)는, 상기 분기가이드판(54)에 의해 용지 선단 방향이 변경된 용지 선단을 받아, 소경(R)에 의한 헤어핀턴(hair-pin turn)이 가능하다. 또한, 이 가동가이드(55)는 상기 캠(61)에 의해 구동되나, 캠(61)의 홈-포지션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접촉판에 부딪쳐, 가압스프링(59)에 의해 CCW방향으로 유지된다.
도 11은, 캠(61)이 회전함으로써, 분기가이드판(54)가 받침점(54a)를 중심으로 하여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아래쪽)로 회동하고, 가압롤러(57)이 방출롤러(56)측으로 접촉하여 가압하는 상태를 나타낸 동작설명도이다. 캠(61)이 CW방향으로 회전하면 우선 분기가이드판(54)가 캠면(61a)을 따라서 개방상태로부터 가압상태로 변이한다(도 11). 또한 더욱 회전하면 캠면(61b)가 링크암(60)을 밀어올린다. 이로써 가동가이드(55)도 회동하게 된다.(도 11)
도 12는, 캠(61)이 더욱 회전함으로써, 가동가이드(55)가 도면에서 시계방향(위쪽)으로 회동하고,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로부터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로 안내하는 경로를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로 형성한 상태를나타낸 동작설명도이다. 또한, 도 5에는 깊이 방향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10이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서 정합 및 스테이플철 등이 이루어진 용지를 시프트트레이(202)로 안내하는 반송로(C)로 보내는 위치에서, 도 12가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로 보내는 반송로로 용지를 보낼 수 있는 위치가 된다. 또한, 가동가이드(55)가 회동하는 공간을 가동가이드(1) 측면(55a)에 의해 막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로써 가동가이드(55)가 회동하는 틈새를 막을 수 있어, 용지를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로 안내할 때, 원활하게 보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의 동작에 순서를 부여함으로써 서로 오버랩하는 것이 가능해져 원활한 반송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분기가이드판(54)의 개방상태에 비해 용지묶음의 반송방향에 대해 비스듬한 방향에서 방출롤러(56)의 표면에 압박되고, 용지묶음의 선단부는 말하자면 쐐기모양으로 규제되어 가압롤러(57) 위치로 안내된다. 용지묶음은,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측으로 반송될 때에는, 용지묶음의 중앙부가 스테이플되고, 용지묶음의 선단부는 자유로운 상태이나, 상술한 것과 같이 규제되고, 게다가 가압롤러(57)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가동가이드(55)와 방출롤러(66)의 틈새에 도입된다. 이로써, 용지묶음의 선단부는 흩어지지 않고 가동가이드(55)와 방출롤러(66)의 틈새로 들어가, 가동가이드(55)에 의해 턴(turn)(편향)하여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측으로 반송된다. 따라서, 반송각도는, 가동가이드(55)의 각도 θ, 바꿔말하면 가동가이드(55)의 원주방향의 길이 사이즈에 따라서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다른 기구와의 관계상 180°정도가 한계이다.
그리고, 반송경로의 변경은, 이를테면 도 1에 나타낸 분기턱(15, 16) 등에 의해 가능하긴 하나 분기턱으로는 스스로 반송력을 갖지 않으므로, 여러 장에서 수십 장의 용지묶음을 큰 각도로 변경시키면, 외주측과 내주측의 마찰력 차이에 의해 잼(jam)이 자주 발생하여, 90°이상의 큰 각도의 편향에는 분기턱이 부적절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는 1개의 구동모터에 의해 동작하나, 별개로 구동모터를 설치하고, 용지크기나 스테이플 매수에 따라서, 이동타이밍이나 정지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6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묶음 편향기구의 동작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의 용지묶음 편향기구는 도 10 내지 도 12의 실시예와 그 구성이 유사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며, 이하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가동가이드(55)는 방출롤러(56)의 회전축에 상기 가동가이드(55)와 일체로 요동하는 종동측풀리(60)롸 함께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가동가이드 구동모터(171)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측풀리(171a)와의 사이에 걸쳐진 타이밍벨트(59)에 의해 구동되고, 또한 그 정지위치가 규정된다. 가동가이드(55)는, 그 차폐부(55b)를 가동가이드 홈-포지션 센서(337)에 의해 검지함으로써, 홈-포지션을 검지할 수 있으며, 검출된 홈-포지션을 기준으로 가동가이드 구동모터(171)의 구동펄스에 의해 정지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묶음분기가이드(HP) 센서(315)는 캠(61)의 차폐부(61c)를 검지하여 캠(61)의 홈-포지션을 검지한다. 이로써, 캠(61)은 그 홈-포지션을 기준으로 묶음분기구동모터(161)의 구동펄스를 카운트함으로써 정지위치 제어를 수행한다. 캠(61)의 정지위치에 따라 분기가이드판(54)의 개폐량이 결정된다. 즉, 묶음분기 구동모터(161)의 구동펄스에 따라서 상기 개폐량이 설정되고, 그 설정치에 따라서 방출롤러(56)과 가압롤러(57) 사이의 간격을 자유로이 설정할 수가 있다. 이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도 13의 가동가이드(55)의 위치가 제26 수단의 제1 위치에 해당한다.
상기 가동가이드(55)의 방출롤러(56)과 대항하는 쪽의 가이드면(55a)는, 상기 분기가이드판(54)에 의해 용지선단의 방향을 변경시킨 용지선단을 받아들여, 소경(R)에 의한 헤어핀턴을 가능케 한다.
도 14는, 가동가이드 구동모터(171)이 회전하고, 가동가이드(55)가 용지묶음을 중앙접지처리트레이(G)측으로 반송하는 위치로 왔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동작설명도이다. 이 상태에서는, 분기가이드판(54)는 아직 홈-포지션에 있으며, 회동을 개시하지는 않고 있다.
도 15는, 묶음분기구동모터(161)이 홈-포지션으로부터 소정 펄스구동분 회전하고, 캠(61)을 소정량 회전시켜 분기가이드판(54)가 도시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가압롤러(57)이 방출롤러(56)의 표면에 대해 미소거리 이간된 상태를 나타낸 동작설명도이다. 이 위치가 제26 수단에서 말하는 제3 위치이며, 용지묶음은 가압롤러(57)과 방출롤러(56) 사이에서 가동가이드(55)와 방출롤러(56) 사이로 안내되고,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로부터 중앙접지처리트레이(G)측으로 용지묶음은 반송된다. 즉, 분기가이드판(54) 및 가동가이드(55)와 방출롤러(56) 사이에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로부터 중앙접지처리트레이(G)측으로 용지묶음을 안내하는 반송로가 형성된다.
도 16은, 캠(61)이 더 회전함으로써, 분기가이드판(54)가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하고, 가압롤러(57)이 방출롤러(56)에 대해 가압상태5가 된 상태를 나타낸 동작설명도로, 가압력은 스프링(58)의 탄성력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도 5는 깊이 방향의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13이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서 정합 및 스테이플철 등이 이루어진 용지를 시프트트레이(202)로 안내하는 반송로(C)로 보내는 위치에서, 도 15 및 16이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로 보내는 반송로로 용지를 보낼 수 있는 위치가 된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위치에서는 가동가이드(55)가 회동하는 공간을 가동가이드(1) 측면(55a)에 의해 막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로써 가동가이드(55)가 회동하는 틈새를 막을 수 있어, 용지를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로 안내할 때, 원활하게 보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의 동작에 순서를 부여함으로써 서로 오버랩하는 것이 가능해져 원활한 반송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도 15와 같이 가압롤러(57)과 방출롤러(56)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용지묶음이 소정량 통과한 후, 가압롤러(57)에 의해 용지묶음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틈새로 진입할 때의 부하를 적게 할 수 있어, 용지묶음 선단을 흩뜨러트리지 않고 편향시킬 수 있게 되어, 용지묶음의 편향시에 일어나는 잼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는 별개의 구동모터에 의해 동작하지만, 이를테면 회동가이드(55)에 대해서도 캠이나 링크 등의 구동력 전달기구를 사용하고, 1개의 구동모터에 의해 분기가이드(54)와 가동가이드(55)를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5. 중앙접지처리 트레이
5.1 각부구성
도 17 및 도 18는 중앙접지를 수행하기 위한 접지플레이트(74)의 이동기구의 동작설명도이다.
접지플레이트(74)는 전후측판(64a, 64b)에 세워진 각 2개의 축(64c)에 장공부(74a)를 헐겁게 끼움으로써 지지되고, 또한 접지플레이트(74)로부터 세워서 설치된 축부(74b)가 링크암(76)의 장공부(76b)에 헐겁게 끼워져, 링크암(76)이 받침점(76a)를 중심으로 요동함으로써, 접지플레이트(74)는 도 17 및 도 18에서 좌우로 왕복이동한다. 즉, 링크암(76)의 장공부(76c)에 접지플레이트 구동캠(75)의 축부(75b)는 헐겁게 끼워져 있어, 접지플레이트 구동캠(75)의 회전운동에 의해 링크암(76)은 요동하고, 이에 따라, 도 19에서, 접지플레이트(74)는 하측 묶음반송 가이드판(91), 상측 묶음반송 가이드판(92)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접지플레이트 구동캠(75)는 접지플레이트구동모터(166)에 의해 도 17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정지위치는 반월형상의 차폐부(75a) 양단부를 접지플레이트(HP)센서(325)에 의해 검지함으로써 결정된다.
도 17은, 처리트레이(G)의 용지묶음수용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물러선 홈-포지션위치를 나타낸다. 접지플레이트 구동캠(75)를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접지플레이트(74)는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고, 처리트레이(G)의 용지묶음수용영역에 돌출한다. 도 18는, 처리트레이(G)의 용지묶음 중앙을 접지롤러(81)의 닙으로 밀어넣는 위치를 나타낸다. 접지플레이트 구동캠(75)를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접지플레이트(74)는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고, 처리트레이(G)의 용지묶음 수용영역으로부터 물러선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중앙접지에 대해서는 용지묶음을 접지하는 것을 전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1장의 용지를 접을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1장 뿐이어서 중철이 불필요하므로, 1장 배지된 시점에서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측으로 보내어, 접지플레이트(74)와 접지롤러에 의해 접지처리를 실행하여 하부 트레이로 배지하도록 한다.
5.2 배치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와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를 일체적으로 꺼내어 잼처리, 부품 유지보수, 또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지지기구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와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는 방출롤러(56) 표면의 원호를 굴곡부로 하여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측이 수직으로,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측이 급한 각도로 경사한 상태로 배치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도 20에서는, 단면밖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깊이방향으로 적어도 도 5에 나타낸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의 폭만큼의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와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가 수납된다.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의 경사각은 작은 편이 수직투영며적이 작고, 나아가 점유너비면적이 작아지므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접지기구, 즉, 접지플레이트(74), 링크암(76), 접지플레이트 구동캠(75) 및 접지플레이트구동모터(166)를,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하측 묶음반송 가이드판(91), 상측 묶음반송 가이드판(92)}과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 사이의 공간에 설치한다. 그 때, 이들 접지기구를, 단면철 스테이플러(S1)과 중철스테이플러(S2)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접지기구의 구성부품과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의 구성부품 어느 것도 간섭하지 않는 최소 각도로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의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에 대한 경사각을 설정한다. 이렇게 하여 비스듬히 설치한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의 아래쪽에 접지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최소 수직투영면적내에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와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와 접지수단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중앙접지할 경우에는, 동작 항에서 후술하겠으나, 접지플레이트에 의해 접지할 위치에 용지묶음의 중앙부를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묶음반송 가이드판(91)에 가동 후단펜스(73)을 마련하고, 이 가동 후단펜스(73)에 용지묶음의 후단(접지처리후 후단, 반송시에는 선단이 됨)을 접촉시켜, 이 접촉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접지위치에 용지묶음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이 가동 후단펜스(73)은, 구동풀리(73a)와 종동풀리(73b) 사이에 팽팽히 설치된 구동벨트(73c)에 고정되어, 도시하지 않은 후단펜스이동모터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구동된다. 이들 가동 후단펜스(73)의 구동기구는, 상술한 접지기구와 동일하게,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와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수직투영면적이 증가하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이러한 상대관계로 설정한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와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로 이루어진 유닛(U)은, 용지 후처리장치(PD)의 개구부(67)로부터 깊이방향으로 설치한 2개의 지지레일(66)에 도 20에서 앞방향으로 꺼낼 수 있도록 지지시킨다. 또한, 하측 묶음반송 가이드판(91), 상측 묶음반송 가이드판(92)은, 상기 유닛(U)의 안쪽에서 도시하지 않은 힌지를 거쳐 앞쪽을 개방단으로 하여 설치한다. 또한, 개방단의 잠금장치로서 이를테면 마그넷을 사용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용지잼이 생긴 경우, 상기 유닛(U)을 꺼내어 잼처리를 행할 수 있다 그 때,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측에서 용지잼이 생긴 경우에는, 상기 유닛(U)을 반 정도 꺼내면, 하측 묶음반송 가이드판(91), 상측 묶음반송 가이드판(92)은 잼처리를 행하는 데 충분한 만큼 개방되므로, 단시간에 잼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잼처리가 종료되면, 상기 유닛(U)를 밀어넣으면, 하측 묶음반송 가이드판(91), 상측 묶음반송 가이드판(92)이 개구부(67)의 테두리부에 접촉하여 자동적으로 폐쇄되어, 마그넷에 의해 자동적으로 잠궈지므로, 하측 묶음반송 가이드판(91), 상측 묶음반송 가이드판(92)을 잠그는 것을 잊어 다음 공정을 진행할 수 없는 사태가 생기는 일이 없다.
그리고, 도 20의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레일(66)은 개구부(66)의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측에 2개 설치되어 있으나, 상부에 2개 설치해도, 기타 부위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적절한 배치설계 위치는, 상기 유닛(U)의 각 부의 배치설계위치에 따라 적절히 설정가능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를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와 접지기구의 관계상 경사각을 크게, 반대로 말하면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를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과 이루는 각도를 가능한 작게 설정하고, 비스듬하게 배치한다. 이렇게 비스듬히 배치하면, 공간의 이용효율에 비추어,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의 하측은 상술과 같이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가 배치되므로,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 상축의 공간 이용이 문제가 된다. 그래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반송로(D)와 용지수용부(E)를 각각 상기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 대해 평행하도록 설치하고, 또한 도 1에서 우측상부에 해당하는 공간에 펀치쓰레기유닛(101)의 쓰레기받이(101a)를 비스듬히 늘여서 설치하여, 효율적인 공간이용을 꾀하고 있다.
이로써, 용지수용부(E)에서 반전된 용지는, 용지크기가 크면 용지반전부(E)로부터 용지의 반송방향 후단부가 돌출한 상태로 다음 용지의 도착을 기다리나, 용지수용부(E)가 용지 후처리장치(PD)의 우측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하측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용지잼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또한,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에서 접지기구가 단면철 스테이플러(S1)과 중철스테이플러(S2)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용지크기가 크더라도 접지플레이트(74) 하측에 충분한 공간을 얻을 수 있어, 하측 및 상측 묶음반송 가이드판(91, 92)에 의해 수직으로 반송해도 용지 선단부의 하측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6. 제어장치
제어장치(350)은, 도 21과 같이, CPU(360), I/O인터페이스(370) 등을 갖는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지고, 화상형성장치(PR) 본체의 컨트롤패널의 각 스위치 등, 및 입구센서(301), 상부배지센서(302), 시프트배지센서(303), 프레스-택(press tack) 센서(304), 스테이플 배지센서(305), 종이유무 센서(310), 방출벨트 홈-포지션 센서(311), 스테이플이동 홈-포지션 센서(312), 스테이플러경사 홈-포지션 센서(313), 종이치우개 펜스 홈-포지션 센서(314), 묶음분기가이드 홈-포지션 센서(315), 묶음도달 센서(321), 가동 후단펜스 홈-포지션 센서(322), 접지부통과 센서(323), 하부배지센서(324), 접지플레이트 홈-포지션 센서(325), 지면검지센서(330, 330a, 330b), 배지가이드판 개폐센서(331) 등 각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I/O인터페이스(370)을 거쳐 CPU(360)으로 입력된다.
CPU(360)은, 입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시프트트레이(202)용 트레이승강모터(168), 개폐가이드판을 개폐하는 배지가이드판 개폐모터(167), 시프트트레이(202)를 이동하는 시프트모터(169), 두드림롤러(12)를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두드림롤러모터, 두드림SOL(170) 등의 각 솔레노이드, 각 반송롤러를 구동하는 반송모터, 각 배지롤러를 구동하는 배지모터, 방출벨트(52)를 구동시키는 방출모터(157), 단면철 스테이플러(S1)를 이동시키는 스테이플러 이동모터(159), 단면철 스테이플러(S1)을 비스듬히 회전시키는 경사모터(160), 종이치우개 펜스(53)을 이동시키는 종이치우개 모터(158), 분기가이드판(54) 및 가동가이드(55)를 회동시키는 묶음분기 구동모터(161), 그 묶음을 반송하는 반송롤러를 구동하는 도시하지않은 묶음반송모터, 가동 후단펜스(73)을 이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후단펜스이동모터, 접지플레이트(74)를 이동시키는 접지플레이트구동모터(166), 접지롤러(81)을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접지롤러구동모터 등의 구동을 제어한다. 스테이플 배지롤러를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테이플 반송모터의 펄스신호는 CPU(360)에 입력되어 카운트되고, 이 카운트에 따라서 두드림SOL(170) 및 종이치우개 모터(158)이 제어된다. 그리고, 접지롤러 구동모터는 스테핑모터로 이루어지고, CPU(360)로부터 모터드라이머를 거쳐 직접적으로, 또는 I/O(370)과 모터드라이버를 거쳐 간접적으로 제어된다.
또한, 펀치유닛(100)도 클래치나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CPU(360)의 지시에 따라서 천공을 실행한다.
또한, 용지후 처리장치(PD)의 제어는 상기 CPU(360)이 도시하지 않은 ROM에 기입된 프로그램을, 도시하지 않은 RAM을 워크에리어로서 사용하면서 실행하여 이루어진다.
7. 동작
이하, 상기 CPU(360)에 의해 실행되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7.1 처리모드에 따른 동작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처리모드에 따라서 하기의 배출형태를 갖는다.
① 논스테이플모드A:
이 모드는, 반송로(A)로부터 반송로(B)를 지나, 상부트레이(201)로 용지를 철하지 않고 배출하는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는, 분기턱(15)이 도 1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반송로(B)측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때의 처리수순을 도 22의 플로차트에 나타낸다.
이 모드에서는, 동작이 개시되고, 용지가 화상형성장치(PR)측으로부터 반입되는 상태가 되면, 용지 후처리장치(PD)의 반송로(A)의 입구롤러(1) 및 반송롤러(2), 반송로(B)의 반송롤러(3) 및 상부배지롤러(4)가 각각 회전을 개시한다(S101). 그리고, 입구센서(301)의 온, 오프(S102, S103)과 상부배지센서(302)의 온, 오프를 체크하여(S104, S105), 용지의 통과를 확인하고, 최종 용지가 통과하여(S107), 소정 시간 경과하면, 상긱 각 롤러, 즉, 입구롤러(1), 반송롤러(2), 반송롤러(3) 및 상부배지롤러(4)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로써,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반입되어 온 용지를 모두 상부트레이(201)에 철하지 않고 배지하여 적재한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펀치유닛(100)이 입구롤러(1)과 반송롤러(2)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사이에 펀치유닛(100)에 의해 천공할 수도 있다.
② 논스테이플모드B:
이 모드는, 용지를 철하지 않고 반송로(A)로부터 반송로(C)를 거쳐, 시프트트레이(202)로 배출하는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는, 분기턱(15)가 반시계방향, 분기턱(16)이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동하고, 반송로(C)가 개방된 상태로 된다. 이 때의 처리수순을 도 23의 플로차트에 나타낸다.
이 모드에서는, 동작이 개시되고, 용지가 화상형성장치(PR)측으로부터 반입되는 상태가 되면, 용지 후처리장치(PD)의 반송로(A)의 입구롤러(1) 및 반송롤러(2), 반송로(C)의 반송롤러(5) 및 시프트배지롤러(6)이 각각 회전을 개시한다(S201). 그리고 분기턱(15) 및 분기턱(16)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온으로 하여(S202) 분기턱(15)를 반시계방향, 분기턱(16)을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동시킨다. 이어서, 입구센서(301)의 온, 오프(S203, S204)와 시프트배지센서(303)의 온, 오프(S205,S206)을 체크하여, 반입되어 온 용지의 통과를 확인한다.
그리고, 최종 용지가 통과하고(S207), 소정 시간 경과하면, 상기 각 롤러, 즉, 입구롤러(1), 반송롤러(2), 반송롤러(5) 및 시프트배지롤러(6)의 회전을 정지시키고(S208), 분기턱(15, 16)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오프로 한다(S209). 이로써, 화상형성장치(PR)로부터 반입되어 온 용지를 모두 시프트트레이(202)에 철하지 않고 배지하여, 적재한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펀치유닛(100)이 입구롤러(1)과 반송롤러(2)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사이에 펀치유닛(100)에 의해 천공할 수도 있다.
③ 소트, 스택모드
이 모드는, 용지를 반송로(A)로부터 반송로(C)를 거쳐 시프트트레이(202)로 배출하는 모드이나, 그 때, 시프트트레이(202)를 부(部)의 구분마다 배지방향과 직교방향으로 요동시켜, 시프트트레이(202)상에 배출되는 용지를 분류하는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는, 논스테이프로드(B)와 마찬가지로, 분기턱(15)가 반시계방향, 분기턱(16)가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동하고, 반송로(C)가 개방된 상태로 된다. 이 때의처리수순을 도 24의 플로차트에 나타낸다.
이 모드에서는, 동작이 개시되고, 용지가 화상형성장치(PR)측으로부터 반입되는 상태가 되면, 용지 후처리장치(PD)의 반송로(A)의 입구롤러(1) 및 반송롤러(2), 반송로(C)의 반송롤러(5) 및 시프트배지롤러(6)이 각각 회전을 개시한다(S301). 그리고, 분기턱(15) 및 분기턱(16)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온으로 하여(S302) 분기턱(15)를 반시계방향, 분기턱(16)을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동시킨다. 그리고, 입구센서(301)의 온, 오프(S303, S304)와 시프트배지센서(303)의 온(S305)를 체크한다.
이 체크에 의해, 시프트배지센서(303)을 통과한 용지가 부 선두의 용지라면(S306-Y), 시프트모터(169)를 온하고(S307), 시프트센서(336)가 시프트트레이(202)를 검출하기까지 시프트트레이(202)를 용지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309). 그리고, 용지를 시프트트레이(202)에 배지하고, 시프트배지센서(303)이 오프가 되어, 용지가 시프트배지센서(303)의 통과가 확인되면(S310), 그 용지가 최종 용지인지 어떤지 체크한다(S311). 최종 용지가 아니라면, 이 경우, 선두 용지이므로, 부가 1장이 아니면, 스텝(S303)으로 돌아가서 이후 처리를 반복하거나 입구센서(301)에서 다음 용지의 진입을 확인하고, 동일한 동작을 반복한다. 부가 1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스텝(S312)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스텝(S306)에서 시프트배지센서(303)을 통과한 용지가 부의 선두지가 아니라면, 이미 시프트트레이(202)는 이동하고 있으므로, 그대로 배지하고(S310), 그 배지한 용지가 최종 용지인지 어떤지를 체크한다(S311). 최종 용지가 아니면,다음 용지에 대해 스텝(S303)부터 처리를 다시 하고, 최종 용지라면(S311-Y), 최종 용지가 통과하여 소정 시간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각 롤러, 즉, 입구롤러(1), 반송롤러(2), 반송롤러(5) 및 시프트배지롤러(6)의 회전을 정지시키고(S312), 분기턱(15, 16)을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오프시킨다(S313). 이로써,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반입되어 온 용지를 모두 시프트트레이(202)에 철함이 없이 배지하고, 분류하여 적재한다. 그리고, 이 경우도 펀치유닛(100)에 의해 천공한 용지의 소트나 스택이 가능하다.
④ 스테이플모드:
이 모드는, 용지를 반송로(A)와 반송로(D)를 거쳐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 반송하고,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서 정합 및 스테이플처리를 수행한 후, 반송로(C)를 통해 시프트트레이(202)로 배출하는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는, 분기턱(15)와 분기턱(16)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반송로(A)부터 반송로(D)이 이르는 경로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때의 처리수순을 도 25에 나타낸다.
이 모드에서는, 동작이 개시되고, 용지가 화상형성장치측(PR)로부터 반입되는 상태가 되면, 용지 후처리장치(PD)의 반송로(A)의 입구롤러(1) 및 반송롤러(2), 반송로(D)의 반송롤러(7,9,10) 및 스테이플 배지롤러(11),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의 두드림롤러(12)가 각각 회전을 개시한다(S401). 그리고, 분기턱(15)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온으로 하여(S402) 분기턱(1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어서, 단면철 스테이플러(S1)을 스테이플러이동(HP)센서(312)로 검지하고,홈-포지션을 확인한 후, 스테이플러 이동모터(159)를 구동하여 단면철 스테이플러(S1)을 스테이플위치로 이동시킨다(S403). 또한, 방출벨트(52)의 홈-포지션도 방출벨트(HP)센서(311)로 검지하고, 그 위치를 확인한 후, 방출모터(157)을 구동하여 대기위치에 방출벨트(52)를 이동시킨다(S404). 또한 종이치우개 펜스(53)도 종이치우개 펜스(HP)센서로 홈-포지션위치를 검출한 후, 대기위치로 이동시킨다(S405). 또한,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를 홈-포지션으로 이동시킨다(S405).
그리고, 입구센서(301)의 온, 오프(S407, S408), 스테이플 배지센서(305)가 온(S409), 시프트배지센서(303)이 오프(S410)이면,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 용지가 배지되어, 용지가 존재하고 있으므로, 두드림솔레노이드(170)을 소정 시간 온으로 하여, 두드림솔레노이드(12)를 용지에 접촉시켜, 후단펜스(51)측에 압박하여, 용지후단을 가지런히 한다(S411). 이어서, 종이치우개 모터(158)을 구동함으로써 종이치우개 펜스(53)을 소정량 내측으로 이동시켜 용지의 폭방향(용지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정돈동작을 수행한 후, 대기위치로 복귀시킨다(S412). 이로써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 보내어진 용지의 종횡(반송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맞추어진다. 이들 스텝(S407)에서 스텝(S413)까지의 동작을 1장마다 반복하여, 부의 최종 용지에 이르면(S413-Y), 종이치우개 펜스(53)을 소정량 내측으로 이동시켜 용지단면이 미끄러지지 않는 상태로 하여(S414), 이 상태로 단면철 스테이플러(S1)을 온으로 하여 단면철을 실행한다(S415).
한편, 시프트트레이(202)를 소정량 하강시켜(S416) 배지공간을 확보하고, 시프트배지모터를 구동시켜 시프트배지롤러(6)의 회전을 개시시켜(S417), 방출모터(157)을 온으로 하여 방출벨트(52)를 소정량 회전시켜(S428), 철한 용지묶음을 반송로(C) 방향으로 밀어올린다. 이로써, 용지묶음은 시프트배지롤러(6)의 닙에 끼어져 시프트트레이(202)로 배지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시프트배지센서(303)이 온이 되고(S419), 용지묶음이 센서(303) 위치로 나아가, 시프트배지센서(303)이 오프가 되어 용지묶음이 센서(303) 위치를 빠져나갔음이 확인되면(S420), 용지묶음은 시프트배지롤러(6)에 의해 시프트트레이로의 배지가 완료되는 상태가 되었으므로, 방출벨트(52) 및 종이치우개 펜스(53)을 대기위치로 이동시켜(S421, S422), 시프트배지롤러(6)의 회전을 소정 시간 경과후 정지시켜(S423), 시프트트레이(202)를 용지받이위치로 상승시킨다(S424). 이 상승위치는, 지면검지센서(330)에 의해 시프트트레이(202) 상에 적재된 용지묶음의 최상위 용지의 상면을 검지함으로써 제어된다. 이들 일련의 동작을 작업의 최종부까지 반복한다(S425).
그렇게 해서, 최종부가 되면, 단면철 스테이플러(S1), 방출벨트(52), 종이치우개 펜스(53)을 각각 홈-포지션으로 이동시켜(S426, S427, S428), 입구롤러(1), 반송롤러(2,7,9,10), 스테이플 배지롤러(11) 및 두드림롤러(12)의 회전을 정지시키고(S429), 분기턱(15)의 분기솔레노이드를 오프로 하여(S430) 모두 초기상태로 돌아가 처리를 끝낸다.
이렇게 하여,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반입되어 온 용지를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서 스테이플처리를 수행해 시프트트레이(202)로 배지하여 적재한다. 그리고, 이 경우도 펀치유닛(100)에 의해 천공한 용지의 스테이플처리가 가능하다.
이 스테이플모드시의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의 동작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스테이플모드가 선택되면, 도 6과 같이, 종이치우개 펜스(53)은 홈-포지션에서 이동하고,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 배출되는 용지폭보다 한쪽으로 7㎜ 떨어진 대기위치에서 대기한다(S405). 용지가 스테이플 배지롤러(11)에 의해 반송되고, 용지후단이 스테이플 배지센서(305)를 통과하면(S409), 종이치우개 펜스(53)이 대기위치로부터 5㎜ 내측으로 이동하여 정지한다.
또한, 스테이플 배지센서(305)는 용지후단 통과시점에 그것을 검지하고, 그 신호가 CPU(360)에 입력된다. CPU(360)에서는 이 신호의 수신시점에서 스테이플 배지롤러(11)을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테이플 반송모터로부터의 발신펄스수를 카운트하고, 소정 펄스 발신후에 두드림SOL(170)을 온시킨다(S412). 두드림롤러(12)는, 두드림SOL(170)의 온/오프에 의해 진자운동을 하고, 온시에는 용지를 두드려 아래쪽으로 되돌리고, 후단펜스(51)에 접촉시켜 종이를 가지런히 한다. 이 때,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 수용되는 용지가 입구센서(301) 또는 스테이플 배지센서(305)를 통과할 때마다 그 신호가 CPU(360)에 입력되고, 용지매수가 카운트된다.
두드림SOL(170)이 오프되어 소정 시간 경과후, 종이치우개 펜스(53)은 종이치우개 모터(158)에 의해 더욱 2. 6㎜ 내측으로 이동하여 일단 정지하고, 가로정돈이 종료된다. 종이치우개 펜스(53)은 그 후 7. 6㎜ 외측으로 이동하여 대기위치로돌아가, 다음 용지를 기다린다(S412). 이 동작을 최종쪽까지 수행한다(S413). 그 후, 다시 7㎜ 내측으로 이동하여 정지하고(S414), 용지묶음의 양측단을 눌러 스테이플동작을 대비한다. 그 후, 소정 시간 후에 도시하지 않은 스테이플모터에 의해 단면철 스테이플러(S1)이 작동하고, 철처리가 이루어진다(S415). 이 때 2군데 이상의 스테이플처리가 지정되어 있으면, 1군데의 스테이플처기가 종료된 후, 스테이플이동모터(159)가 구동되어, 단면철 스테이플러(S1)이 용지후단을 따라 적정위치까지 이동되고, 2군데째의 스테이플처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3군데째 이후가 지정된 경우는, 이것을 반복한다.
스테이플처리가 종료되면, 방출모터(157)이 구동되고, 방출벨트(52)가 구동된다(S418). 이 때, 배지모터도 구동되고, 방출턱(52a)에 의해 들어올려진 용지묶음을 받아들이기 위해 시프트배지롤러(6)가 회전하기 시작한다(S417). 이 때, 종이치우개 펜스(53)은 용지크기 및 스테이플매수를 바탕으로 상이한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를테면, 스테이플매수가 설정매수보다 적거나, 설정크기보다 작은 경우에는, 종이치우개 펜스(53)에 의해 용지묶음을 누르면서 방출턱(52a)에 의해 용지묶음 후단을 걸어 반송한다.
그리고, 종이유무센서(310) 또는 방출벨트(HP)센서(311)에 의한 검지로 소정 펄스 후에 종이치우개 펜스(53)을 2㎜ 물러나게 하여 종이치우개 펜스(53)에 의한 용지 구속을 해제한다. 이 소정 펄스는, 방출턱(52a)가 용지 후단과 접촉하고 나서 종이치우개 펜스(53)의 선단을 빠지는 사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플매수가 설정매수보다 많거나, 설정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미리 종이치우개 펜스(53)을 2㎜ 물러나게 하여, 방출한다. 어느 경우도 용지묶음이 종이치우개 펜스(53)을 다 빠져나가면, 종이치우개 펜스(53)은, 다시 5㎜ 외측으로 이동하여 대기위치에 복귀하고(S422), 다음 용지에 대비한다. 그리고, 용지에 대한 종이치우개 펜스(53)의 거리에 의해 구속력을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⑤ 중철제본모드
이 모드는, 용지를 반송로(A)와 반송로(D)를 거쳐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로 반송하고,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서 정합 및 중철을 수행한 후, 다시 중앙접지처리 트레이(C)에서 중앙접지하여, 중앙접지된 용지묶음을 반송로(H)를 거쳐 하부트레이(203)으로 배출하는 모드이다. 이 모드에서는, 분기턱(15)와 분기턱(16)은 모두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반송로(A)로부터 반송로(D)에 이르는 경로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판(55)가 상술한 도 15, 도 16, 또는 후술할 도 33 및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상태가 되어 용지묶음을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로 안내하고, 중앙접지가 수행된다. 이 때의 처리수순을 도 26에 나타낸다.
이 모드에서는, 동작이 개시되고, 용지가 화상형성장치(PR)측으로부터 반입되는 상태가 되면, 용지 후처리장치(PD)의 반송로(A)의 입구롤러(1) 및 반송롤러(2), 반송로(D)의 반송롤러(7,9,10) 및 스테이플 배지롤러(11),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의 두드림롤러(12)가 각각 회전을 개시한다(S501). 그리고, 분기턱(15)를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온으로 하여(S502) 분기턱(1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어서, 방출벨트(52)의 홈-포지션도 방출벨트(HP)센서(311)로 검지하고, 그 위치를 확인한 후, 방출모터(157)를 구동시켜 방출벨트(52)를 대기위치로, 또한 종이치우개 펜스(53)도 종이치우개 펜스(HP)센서로 홈-포지션위치를 검출한 후, 대기위치로, 그리고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를 홈-포지션으로 각각 이동시킨다(S503, S504, S505).
그리고, 입구센서(301)의 온, 오프(S506, S507), 스테이플 배지센서(305)가 온(S508), 시프트배지센서(303)이 오프(S509)이면,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 용지가 배지되어, 용지가 존재하므로, 두드림솔레노이드(170)을 소정 시간 온시켜, 두드림솔레노이드(12)를 용지에 접촉시켜, 후단펜스(51)측에 압박시켜, 용지후단을 가지런히 한다(S510). 이어서, 종이치우개 모터(158)을 구동함으로써 종이치우개 펜스(53)을 소정량 내측으로 이동시켜 용지의 폭방향(용지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정돈동작을 수행한 후, 대기위치로 되돌린다(S511). 이로써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로 보내어진 용지의 종횡(반송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가지런해진다.
이들 스텝(S506)에서 스텝(S512)까지의 동작을 1장마다 반복하여, 부의 최종 용지가 되면(S512-Y), 종이치우개 펜스(53)을 소정량 내측으로 이동시켜 용지 단면이 미끄러지지 않는 상태로 하고(S513), 이 상태로 방출모터(157)을 온시킴으로써 방출벨트(52)를 소정량 회전시켜(S514), 중철스테이플러(S2)의 스테이플위치까지 용지묶음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나서, 용지묶음의 중앙부에서 중철스테이플러(S2)를 온시켜, 중철을 수행한다(S515). 이어서,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를소정량을 변위시켜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로 향하는 경로를 형성하고(S516),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의 상측 묶음반송롤러(71), 하측 묶음반송롤러(72)의 회전을 개시하여,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에 설치된 가동 후단펜스(73)의 홈-포지션을 검지한 후, 해당 가동 후단펜스(73)을 대기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의 용지묶음수용체제가 정비되면, 방출벨트(52)를 다시 소정량 회전시켜(S519), 방출롤러(56)과 가압롤러(57)에 가담시켜,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측으로 용지묶음을 반송한다. 용지선단이 묶음도달센서(321)위치에 이르고(S520), 소정 거리만큼 반송하면, 상측 묶음반송롤러(71), 하측 묶음반송롤러(72)의 회전을 정지시켜(S521), 하측 묶음반송롤러(72)의 가압상태를 해제한다(S522). 이어서, 접지플레이트(74)에 의한 접지동작을 개시하고(S523), 접지롤러(81, 82) 및 하부배지롤러(83)의 회전을 개시한다(S524). 그리고 접지부통과센서(323)에 의해 중앙접지된 용지묶음의 통과를 감시하고(S525, S526), 접지부통과센서(323) 위치를 용지묶음의 후단이 통과하면(S526-Y), 하측 묶음반송롤러(72)를 가압하고(S527), 접지플레이트(74), 분기가이드판(54) 및 가동가이드판(55)를 홈-포지션으로 이동시킨다(S528, S529).
이 상태에서 용지묶음의 통과를 하부배지센서(324)에 의해 감시하고(S530, S531), 하부배지센서(324)를 용지묶음 후단이 통과하면(S531-Y), 접지롤러(81, 82), 하부배지롤러(83)을 다시 소정 시간 회전시킨 후, 정지시킨다(S532). 이어서, 방출벨트(52)와 종이치우개 펜스(53)을 대기위치로 이동시킨다(S534, S535). 그리고, 작업의 최종부인지 어떤지 체크하고(S535), 작업의 최종부가 아니면스텝(S506)으로 돌아가 이후 처리를 반복하고, 최종부라면, 방출벨트(52) 및 종이치우개 펜스(53)을 홈-포지션으로 이동시켜(S536, S537), 입구롤러(1), 반송롤러(2,7,9,10), 스테이플 배지롤러(11) 및 두드림롤러(12)의 회전을 정지하고(S538), 분기턱(15)의 분기솔레노이드를 오프로 하여(S539) 모드 초기상태로 돌려서 처리를 마친다.
이렇게 하여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반입되어 온 용지를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로 중철하고,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로 중앙접지한 후, 하부트레이(203)상에 중앙접지된 용지묶음을 배지하여 적재한다.
도 2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처리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에 도시된 처리모드는 도 26에 도시된 처리모드와 대부분의 스텝이 동일하다. 즉 도 27의 스텝(S5001 내지 S5019)은 각각 도 26의(S501 내지 S519)와 동일하고, 스텝((S5022 내지 S5041)은 각각 도 26의 (S520 내지 S539)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26의 처리모드와 비교할 때 도 27의 처리모드는 방출벨트(52)가 소정량 이동하는 단계(S5020) 및 분기가이드판(54)를 소정량 변화시켜 도 16의 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S5021)를 추가로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처리모드가 하나의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 28 및 29에 도시되어 있다.
이 모드에서는, 동작이 개시되고, 용지가 화상형성장치(PR)측으로부터 반입되는 상태가 되면, 용지 후처리장치(PD)의 반송로(A)의 입구롤러(1) 및 반송롤러(2), 반송로(D)의 반송롤러(7,9,10) 및 스테이플 배지롤러(11),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의 두드림롤러(12)가 각각 회전을 개시한다(S5101). 그리고, 분기턱(15)와 분기턱(16)을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로 안내하는 반송로(D)측으로 전환한다(S5102).
이어서, 방출벨트(52)의 홈-포지션도 방출벨트(HP)센서(311)로 검지하고, 그 위치를 확인한 후, 방출모터(157)를 구동시켜 방출벨트(52)를 대기위치로(S5103), 또한 종이치우개 펜스(53)도 종이치우개 펜스(HP)센서로 홈-포지션위치를 검출한 후, 대기위치로, 그리고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를 홈-포지션 {반송로(C)측(위쪽)으로 반송하는 위치}로 각각 이동시킨다(S5104).
그리고, 입구센서(301)의 온, 오프(S5106, S5107), 스테이플배지 센서(305)가 온, 오프(S5107, S5108)하면,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로 용지가 배지되어, 용지가 존재하므로, 두드림솔레노이드(170)을 소정 시간 온시켜, 두드림솔레노이드(12)를 용지에 접촉시켜, 후단펜스(51)측에 압박시켜, 용지후단을 가지런히 한다(S5110). 이어서, 종이치우개 모터(158)을 구동함으로써 종이치우개 펜스(53)을 소정량 내측으로 이동시켜 용지의 폭방향(용지반송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정돈동작을 수행한 후, 대기위치로 되돌린다(S5111). 이로써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로 보내어진 용지의 종횡(반송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 가지런해진다.
이들 스텝(S5105)에서 스텝(S5110)까지의 동작을 1장마다 반복하여, 부의 최종 용지가 되면(S5111-Y), 종이치우개 펜스(53)을 소정량 내측으로 이동시켜 용지 단면이 미끄러지지 않는 상태로 한다(S5512). 그 상태가 도 31에 도시되어 있다.이 상태로부터 방출벨트(52)를 소정량 회전시킨다(S5113). 방출벨트(52)가 소정량 회전하고, 중철스테이플러(S2)의 스테이플위치에 용지묶음의 스테이플위치가 도달하면, 중철스테이플러(S2)의 스테이플모터가 온되어, 중철된다(S5114). 그 상태가 도 32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묶음반송롤러(71), 하측 묶음반송롤러(72)의 회전을 개시하여(S5115), 가동 후단펜스(73)의 홈-포지션을 검지한 후, 해당 가동 후단펜스(73)을 대기위치로 이동시킨다(S5116).
스테이플처리된 용지묶음(PB)는 선단부(PB1)이 도 30에 나타난 위치{방출롤러(6)과 가압롤러(57)의 닙을 넘어 분기가이드판(54)의 가이드면(54b)를 넘지 않는 위치}가 될 때까지 방출턱(52a)에 의해 하류로 용지크기별로 설정된 소정거리를 소정속도(V1)로 반송되고 일단 정지한다(S5117). 이 이동거리는 방출모터(157)의 구동펄스에 의해 관리된다. 그 후,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가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소정량 변위하고,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측으로 이송하는 위치(아래쪽에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위치)로 이동한다(S5118). 그리고, 도 33과 같이 용지묶음 선단부(PB1)는 방출롤러(56)과 가압롤러(57)에 의해 협지되고, 분기가이드판 (54)와 가동가이드(55)에 의해 형성되는 경로를 다시 방출턱(52a)와 방출롤러(56)에 의해 소정 속도(V2)(V1<V2)로 하류로 반송되어(S5119),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측으로 반송된다.
용지선단이 묶음도달센서(321) 위치에 도달하고(S5120), 그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반송하면, 상하측 묶음반송롤러 (71, 72)의 회전을 정지시키고(S5121), 방출벨트(HP)센서(311)이 온되고, 방출벨트(52)의 회전위치가 홈-포지션이 되면(S5122),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를 홈-포지션{위쪽 반송로(C)로 반송하는 위치}로 이동시켜(S5123), 방출벨트(52)를 회전시켜 방출턱(52a)을 대기위치로 이동시킨다(S5124). 이 상태를 도 35에 나타낸다. 그리고,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묶음반송롤러(72)의 가압상태를 해제한다(S5125). 이어서,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플레이트(74)에 의한 접지동작을 개시하고(S5126), 접지롤러(81, 82) 및 하부배지롤러(83)의 회전을 개시한다(S5127).
그리고 접지부통과센서(323)에 의해 중앙접지된 용지묶음의 통과를 감시하고(S5128, S5129),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부통과센서(323) 위치를 용지묶음의 후단이 통과하면(S5129-Y), 하측 묶음반송롤러(72)를 가압하고(S5130), 접지플레이트(74), 분기가이드판(54) 및 가동가이드판(55)를 홈-포지션으로 이동시킨다(S5131).
이 상태에서 용지묶음의 통과를 하부배지센서(324)에 의해 감시하고(S5132, S5133), 하부배지센서(324)를 용지묶음 후단이 통과하면(S5133-Y), 접지롤러(81, 82), 하부배지롤러(83)을 다시 소정 시간 회전시킨 후, 정지시킨다(S5134). 이어서, 방출벨트(52)와 종이치우개 펜스(53)을 대기위치로 이동시킨다(S5135). 그리고, 작업의 최종부인지 어떤지 체크하고(S5136), 작업의 최종부가 아니면 스텝(S515으로 돌아가 이후 처리를 반복하고, 최종부라면, 방출턱(52a) 및 종이치우개 펜스(53)을 홈-포지션으로 이동시켜(S5137, S5138), 입구롤러(1), 반송롤러(2,7,9,10), 스테이플 배지롤러(11) 및 두드림롤러(12)의 회전을 정지하고(S5139), 분기턱(15)의 분기솔레노이드를 오프로 하여(S5140) 모드 초기상태로 돌려서 처리를 마친다.
이렇게 하여 전술한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반입되어 온 용지를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로 중철하고,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로 중앙접지한 후, 하부트레이(203)상에 중앙접지된 용지묶음을 배지하여 적재한다.
8. 용지묶음 편향기구 및 방출벨트의 동작제어
도 39는,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로 이루어진 묶음분기가이드의 이니셜처리의 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용지묶음 편향기구의 굿어과 캠(61), 분기가이드판(54) 및 가동가이드(55)의 동작에 대해 설명했으나, 이때의 CPU(360)의 제어는 도 39와 같이 이루어진다.
이 처리에서는, 우선, 캠(61)의 차폐부(61c)을 검출할 묶음분기가이드 홈-포지션 센서(315)의 온/오프를 체크하고(S601), 온 바꿔말하면 차폐부(61c)를 묶음분기가이드 홈-포지션 센서(315)가 검출하면(S601-Y), 묶음분기 구동모터(161)을 반시계방향(도 11의 화살표방향에 대응)으로 회전시킨다(S602). 그리고, 묶음분기가이드 홈-포지션 센서(315)가 오프가 된 시점(S603-Y)에서 묶음분기 구동모터(161)을 정지시킨다(S604). 이 상태가 도 10의 상태이다.
한편, 스텝(S601)에서 묶음분기가이드 홈-포지션 센서(315)가 오프이면, 묶음분기 구동모터(161)을 시계방향(도 11에서는 반화살표방향에 대응)으로 회전시켜(S605), 묶음분기가이드 홈-포지션 센서(315)가 온이 된 시점(스템S606-Y)에서 묶음분기 구동모터(161)을 정지시켜(S607), 다시 반시계방향으로구동하여(S602) 묶음분기가이드 홈-포지션 센서(315)가 오프가 된 시점에서 정지시킨다(S603, S604). 이로써, 캠(61)의 초기위치, 바꿔말하면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의 초기위치가 설정된다.
도 40은, 상기 용지묶음 편향기구와 용지묶음의 반송제어, 즉 방출벨트(52)에 의한 이송과, 분기가이드판(54) 및 가동가이드(55)에 의한 편향동작의 제어수순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제어에서는, 우선, 중철모드로(S701), 화상형성장치(PR)본체측에서 작업엔드신호가 보내어지는지 어떤지 체크한다(S702). 그리고, 작업엔드신호를 수신하고 있으면, 다시 최종 용지가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 수납되었는지 어떤지 체크하고(S703), 최종 용지가 수납된 시점에서 방출모터(157)에 의해 방출벨트(52)를 구동하고, 용지묶음을 중철위치로 이동시킨다(S704). 용지묶음의 이동이 완료하면(S705), 중철스테이플러(S2)에 의해 스테이플동작을 실행한다(S706). 중철이 완료되면(S707), 묶음분기 구동모터(161)을 구동하여 상술한 도 10의 위치로부터 도 12의 위치가 되도록 캠을 동작시켜,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를 용지묶음 편향위치로 변경한다(S708).
용지묶음 편향위치로 변경이 완료되면(S709), 방출벨트(52)를 방출모터(157)에 의해 구동하고, 중철한 위치로부터 용지묶음을 위쪽으로 방출한다(스텝710). 그 때, 방출벨트(52)는 용지크기에 따라서 설정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한 시점에서 일단 정지하고(S711), 그 후, 용지묶음은, 방출롤러(56)과 가압롤러(57), 및 상측 묶음반송롤러(71), 하측 묶음반송롤러(72)에 의해 소정의 접지위치까지 반송된다. 이어서, 다음 작업이 있는지 어떤지 체크하고(S712), 다음 작업이 있으면, 다음 작업에 대비하고, 방출벨트(52)는 대기위치(도 35)까지 이동한다(S713). 그리고,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는 초기위치(도 10)으로 돌아가 반송로(C)측을 개방한다(S714). 또한, 상기 스텝(S712)에서, 다음 작업이 없으면 도 39에 나타낸 이니셜동작 이후로 넘어간다(S715).
도 41은 가동가이드(55)의 이니셜처리의 처리수순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3 내지 도 16에 용지묶음 편향기구의 구성과 캠(61), 분기가이드판(54) 및 가동가이드(55)의 동작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때 CPU(360)의 가동가이드(55)의 제어는 도 41과 같이 이루어진다.
이 처리에서는, 우선, 가동가이드(55)의 차폐부(55b)를 검출하는 가동가이드 홈-포지션 센서(337)의 온/오프를 체크하고(S701), 온 바꿔말하면 차폐부(55b)를 가동가이드 홈-포지션 센서(337)이 검출하면(S701-Y), 가동가이드 구동모터(171)을 반시계방향(도 14의 화살표방향에 대응)으로 회전시킨다(S702). 그리고, 가동가이드 홈-포지션 센서(337)이 오프가 된 시점(S703-Y)에서 가동가이드 구동모터(171)을 정지시킨다(S704). 이 상태가 도 13의 상태이다.
한편, 스텝(S701)에서 가동가이드 홈-포지션 센서(337)이 오프이면, 가동가이드 구동모터(171)을 시계방향(도 14에서는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대응)으로 회전시켜(S705), 가동가이드 홈-포지션 센서(337)이 온이 된 시점(S706-Y)에서 가동가이드 구동모터(171)을 정지시켜(S707),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켜(S702) 가동가이드 홈-포지션 센서(337)이 오프가 된 시점에서 정지시킨다(S703, S704). 이로써, 가동가이드(55)의 초기위치가 설정된다.
9. 중앙접지모드시의 스테이플동작과 접지동작의 상세
이 중앙접지모드시의 스테이플동작과 접지동작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반송로(A)에서 분기턱(15)와 분기턱(16)에 의해 분류된 용지는, 반송로(D)로 안내되고, 반송롤러(7, 9, 10) 및 스테이플 배지롤러(11)에 의해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로 배출된다.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서는, ④의 스테이플모드시와 마찬가지로 배지롤러(11)에 의해 차례로 배출되는 용지를 정합하고, 스테이플 직전까지는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도 31 참조). 그 후, 도 32와 같이 용지묶음은 방출턱(52a)에 의해 용지크기별로 설정된 거리만큼 반송방향 하류로 운반되고, 그 중앙을 중철스테이플러(S2)에 의해 스테이플처리된다. 스테이플처리된 용지묶음은 방출턱(52a)에 의해 반송방향 하류측으로 용지크기별로 설정된 소정 거리만큼 반송되어, 일단 정지한다. 이와 달리, 스테이플처리된 용지묶음은 선단부가 상술한 도 30에 나타낸 방출롤러(56)과 가압롤러(57)의 닙을 넘어 분기가이드판(54)의 가이드면을 넘지 않는 위치가 될 때까지 방출턱(52a)에 의해 하류로 용지크기별로 설정된 거리만큼 소정속도(V1)로 반송되어 일단 정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거리는 방출모터(157)의 구동펄스에 의해 관리된다.
다음으로 가동가이드(55)를 회전시켜 아래쪽 반송로로 편향시키는 위치에 세팅하는 동시에 분기가이드판을 소정량 닫아 방출롤러(56)과 가압롤러(57)이 미소거리 떨어진 위치에 세팅한다(도 33). 이 미소거리는 매수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동시에 그 용지묶음의 두께에 의해 작은 값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42의 플로차트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우선 스테이플 매수를 체크하고(S801) 스테이플 매수가 2장에서 5장이면 틈새없이(S802), 5장에서 10장은 0. 5㎜(S803, S804), 10장 이상은 1㎜(S803, S805)의 틈새로 하는 등의 구동모터펄스 P1·P2·P3가 설정되어 있다(S802, S803, S804). 이렇게 매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스테이플처리된 용지묶음은 방출턱(52a)에 의해 하류로 이송을 개시하고, 그 때 용지묶음 선단이 소정 거리만큼 가압롤러쌍(57)과 방출롤러(55)의 닙을 통과한 시점에서 다시 분기가이드판(54)를 닫아, 방출롤러(56)과 가압롤러(57)이 가압상태가 되게 한다. 이 타이밍은 용지크기별로 설정된 방출모터(157)의 구동펄스에 의해 관리된다. 그에 의해 어떤 크기라 하더라도 통과거리가 같아지게 설정된다.
이를테면, 방출턱(52a)가 설치된 방출벨트(52)의 HP센서(311)~롤러쌍(56, 57)까지의 이동거리를 L1, 상기 소정 통과거리를 5㎜로 하여 방출턱(52a)의 HP센서(311)~스턱 중의 용지후단까지의 거리를 Lh라고 할 경우, 그 동작타이밍은 방축턱(52a)가 HP센서(311)로부터 이동한 거리 Ln으로 결정되며 그 환산펄스로 제어된다. Ln은 용지길이를 Lp라고 하면,
Ln=L1-Lh-Lp+5㎜
로 주어진다. 이 펄스를 크기별로 설정하고, 도 43에 나타낸 플로차트와 같이, 크기체크(S901, 903, 905)와 크기에 따른 펄스설정(S902, 904, 906)을 수행하여 제어함으로써, 크기와 상관없이 같은 타이밍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방출벨트(52)의 HP센서(311)로부터의 펄스제어를 실시예로 했으나, 롤러쌍(56, 57) 근방에 검지수단을 설치하여 용지묶음의 선단검지로 제어해도 된다. 이 경우, 본체로부터의 크기 정보에 의하지 않고 제어가 가능해진다.
그 후, 도 33과 같이, 용지묶음의 선단부는 방출롤러(56)과 가압롤러(57)에 의해 협지되고,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가 회동함으로써 형성되는 경로, 즉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로 안내되는 경로를 통과하도록 다시 방출턱(52a)와 방출롤러(56)에 의해 하류로 반송된다. 이 방출롤러(56)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방출벨트(52)의 구동축(방출축)(65)에 설치되고, 방출벨트(52)와 동기를 맞추어 구동된다.
이 방출롤러(56)은 상술과 같이 방출벨트(52)의 구동축(방출축)(65)에 설치되고, 방출벨트(52)와 동기하여 구동된다.
그리고, 도 35와 같이, 그 용지묶음은 상측 묶음반송롤러(71)과 하측 묶음반송롤러(72)에 의해, 미리 그 용지크기에 따른 위치에 홈-포지션으로부터 이동하여, 하측 단면을 가이드하기 위해 정지하고 있는 가동 후단펜스(73)까지 반송된다. 이 때, 방출턱(52a)는 방출벨트(52)의 외주상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또 1개의 방출턱(52a')가 후단펜스(51) 근방에 도달한 위치에서 정지하고,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는 홈-포지션으로 복귀하여, 다음 용지를 대비한다.
한편 방출턱(52a)가 방출벨트(HP) 센서(311)에 의해 검지되면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는 홈-포지션으로 복귀하고, 다시 방출벨트(52)의 외주상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또 1개의 방출턱(52a)가 후단펜스(51) 근방에 도달한 위치에서 정지하여 다음 용지에 대비한다.
도 36과 같이, 가동 후단펜스(73)에 접촉하는 용지묶음은, 하측 묶음반송롤러(72)의 가압이 해제되고, 그 후, 도 37과 같이, 스테이플처리된 침부(針部) 근방이 접지플레이트(74)에 의해 거의 직각방향으로 눌려, 대향하는 접지롤러(81)의 닙으로 안내된다. 미리 회전하고 있는 접지롤러(81)은, 닙으로 안내된 용지묶음을 가압반송함으로써 용지묶음의 중앙에 접지를 실시한다.
그리고, 도 38과 같이, 접지를 실시한 용지묶음은 반송로(H)에 설치된 제2 접지롤러(82)에 의해 접지 상태가 강화되고, 하부배지롤러(83)에 의하 하부트레이(203)으로 배출된다. 이 때, 용지묶음후단이 접지부통과센서(323)에 검지되면, 접지플레이트(74)와 가동 후단펜스(73)은 홈-포지션으로 복귀하고, 하측 묶음반송롤러(72)의 가압은 복귀되고, 다음 용지를 대비한다. 또한, 다음 작업이 같은 용지사이드로 같은 매수이며, 가동 후단펜스(73)은 그 위치에서 대기해도 된다. 그리고, 가동후단펜스(73)의 구동기구는, 풀리쌍(73a, 73b)와, 이들 풀리쌍(73a, 73b) 사이에 팽팽히 설치되고, 상기 후단펜스(73)가 부착되어, 일체로 이동하는 구동벨트(73c)로 이루어진다.
도 37 및 도 38과 같이, 중앙접지는, 접지플레이트(74)와 제1 및 제2 접지롤러(81, 82)에 의해 이루어지나, 도 1과 같이 제2 접지롤러(82)와 하부 배지롤러(83)은, 엔드펜스(32) 또는 시프트트레이(202)의 베이스부의 케이스측면(SBA)보다 측면쪽으로 돌출한 위치에 설치되면서, 또한 하부트레이(203)의 선단부는 시프트트레이(202)의 선단부의 연직 하방과 동일위치, 또는 동일위치보다도 용지 후처리장치(PD) 본체측으로 위치하여, 시프트트레이(202)로 규정되는 수직투영면적보다도 수직투영면적이 커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제2 접지롤러(82)와 하부배지롤러(83)을 상기 케이스 측판(SBA)보다도 측면쪽으로 돌출시켜, 복수단에 걸친 접지롤러에 의해 충분한 접지처리를 가능케 하고 있다. 그 때, 중앙접지에 의해 용지묶음의 크기가 반이 되므로, 하부트레이(203)의 트레이크기도 그 크기로서 최대처리크기의 반이면 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트레이(203)의 선단부를 시프트트레이(202)의 선단부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상술한 접지롤러(82)와 하부배지롤러(83)의 설치공간을 무리없이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시프트트레이(202)의 최대하강위치보다 아래쪽의 케이스 측면(SBB)는, 상기 케이스 측면(SBA)보다도 상기 설치공간 만큼 측면쪽으로 돌출한다. 이로써, 수직투영면적을 증대시키지 않고도, 충분한 접지기능을 갖는 접지기구를 용지 후처리장치(PD) 본체 아래쪽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시프트트레이(202)의 수직방향의 스트로크도 중앙접지한 용지묶음의 배출구 바로 위로부터 배지롤러(6)으로부터의 배지구 바로 아래까지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시프트트레이(202)의 적재량도 하부트레이(203)의 적재량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를 급격히 기울여,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와 이루는 각을 최소한으로 하여 스테이플처리트레이(F)와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 사이에 중앙접지를 수행하기 위한 접지기구를 배치하고,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 내에서 단면철과 중철 시 정합처리와 스테이플처리를 수행하고, 그 후, 접지부에서 용지묶음에 접지를 실시하도록 구성하여, 서로 병행처리를 가능케 했으므로, 종래 기술의 결점인 기능의 제약, 생산성 저하, 장치 대형화를 모두 해소하고, 공간이 절약되고 생산성이 높은 용지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면철 스테이플러(S1)과 중철스테이플러(S2)를 구분함으로써, 종이치우개 펜스(53)에 의한 정합위치 근방에 항상 스테이플처리에 적합한 스테이플러가 존재하고, 정합 및 스테이플처리에 걸리는 전체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고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방출벨트(52)와 방출턱(52a)를 사용하여 용지묶음을 반송방향 상류와 하류로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스테이플위치의 미묘한 조정도 가능해지고, 사용자가 의도한 위치에서 스테이플동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서 중철처리와 접지처리를 독립된 처리스테이션으로 실시할 수 있어, 비교적 처리에 시간이 걸리는 접지처리 중에도 다음 작업의 용지를 적재정합할 수 있게 되어 비약적으로 생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스테이플처리 트레이를 용지 최대길이에 대해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스테이플처리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가동가이드(55)와 분기가이드판(54)와 방출롤러(56)에 의해 소경(R)의 턴부를 구성하였으므로, 용지묶음의 편향반송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더욱공간절약을 달성할 수 있다.
통상의 경우, 용지묶음은 방출턱(52a)에 의해서만 반송력을 부여받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턴부가 소경(R)인 경우에, 용지묶음을 반송하려면 큰 반송력이 필요해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하는 방출롤러(56)을 반송가이드로 삼음으로써 용지묶음에 대해 반송력을 줄 수 있다. 그 때, 반송가이드가 반송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반송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의 하류에 시프트트레이(202)와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로 배출방향을 편향 가능한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를 설치했으므로, '중철만 하고 싶다' "중앙접지만 하고 싶다' 등 사용자의 다채로운 요구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중철만 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철스테이플러(S2)로 용지묶음의 중앙부를 철한 후,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를 개방한 상태에서 방출턱(52a)에 의해 반송로(C)측응로 용지묶음을 밀어올리고, 배지롤러(6)를 통해 시프트트레이(202)로 배지한다. 또한, 중앙접지만 하고 싶은 경우에는,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를 도 33의 폐쇄상태로 하여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측의 반송로를 개방하고,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에서 1장 용지를 보내어, 접지플레이트(74)와 접지롤러(81, 82)에 의해 접지처리를 수행한다. 1장으로 중앙접지된 용지는, 이렇게 접어져서 하부배지롤러(83)로부터 하부배지트레이(203)로 배지한다. 이것을 설정한 장수 만큼 반복하면, 1장씩 중앙접지된 용지가 복수매 하부배지트레이(203)에 집적된다.
9-1. 중앙접지모드시의 잼 처리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중철모드시에 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중철특유의 잼으로서, 이를테면 도 44 내지 도 47과 같은 잼이 있다. 도 44는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가 도 12의 상태가 되어 중철처리트레이(G)로의 반송경로를 형성하고 있을 때에, 용지의 선단이 가압롤러(57)과 방출롤러(56)의 닙으로 들어가지 않고, 가압롤러(57)에 접촉하여 잼이 되는 상태를 나타낸다(도시, 선단부). 이러한 상태가 되면, 바로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를 파선 상태(도 10에 나타낸 홈-포지션)으로 복귀시, 잼처리용 공간을 확보한다.
또한, 도 45는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와 방출롤러(56)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로를 반송 중인 용지묶음(PB)에 잼이 생긴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가 된 경우에도, 바로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를 파선 상태(도 10에 나타낸 홈-포지션)으로 복귀시켜, 잼처리용 공간을 확보한다.
그리고, 잼은, 도 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묶음(PB)의 표지(PBS)의 선단부가 가압롤러(57)에 걸리거나,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묶음(PB)의 표지(PBS)의 선단부가 분기가이드판(54)에 설치된 지지리브 등의 돌기(PJ)에 걸려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어느쪽이든, 중철제본모드시에 잼이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를 도 10의 상태, 즉, 캠(61)이 홈-포지션 상태로 잼처리용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잼처리를 실행한다. 다시 말하면, 분기가이드판(54), 가동가이드(55), 방출롤러(56) 및 가압롤러(57)에 의한 압박 또는 폐쇄에 의해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구속한 상태를 해제한다.
이 때의 처리수순을 도 48에 나타낸다. 이 잼처리로는, 용지잼이 검지되면(S2001), 각 구동모터를 정지하고(S2002), 분기가이드판(54) 및 가동가이드판(55)가 홈-포지션{도 10에서 나타낸 반송로(C)로 안내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체크하고(S2003), 홈-포지션에 위치하고 있으면, 화상형성장치(PR)의 조작부에 잼이 일어났다는 취지의 표시를 나타내고(S2006) 처리를 끝낸다.
한편, 스텝(S2003)에서 홈-포지션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묶음분기 구동모터(161)을 온으로 하여(S2004) 가동가이드판(54) 및 가동가이드(55)를 홈-포지션에 위치시켜(S2005), 화상형성장치(PR)의 조작부에 잼이 일어났다는 취지의 표시를 나타내고(S2006) 처리를 끝낸다.
그리고, 중앙접지모드시에 잼이 발생한 경우에는, 잼위치가 어느 경로에서 발생하든,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은, 분기가이드판(54)와 가동가이드(55)가 동작하여 중앙접지처리 트레이(G)측의 반송경로가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시프트트레이(202)측으로의 반송경로는 폐쇄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잼이 발생한 경우, 모든 작동기구가 정지하면, 스테이플처리 트레이(F)내에 수용된 용지를 제거하는 것이 곤란해지기 때문이다. 이것은, 상기와 같이 반송경로가 폐쇄상태가 되어, 스테이플처리 트레이의 배지측(이 실시형태에서는 위쪽)으로부터 용지를 제거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송경로의 어딘가에서 잼이 발생했을 때 일단 각 구동모터를 정지시킨 후, 시프트트레이(202)측으로의 반송경로가 폐쇄된 상태인지 어떤지를 확인하고, 폐쇄되어 있으면 이 반송경로를 개방한 후, 잼표시를 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잼처리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반송경로는 개방되어 있으므로, 잼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반송롤러의 표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해당 표면을 따라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 안내부재와, 상기 제1 안내부재를 제1 반송로로 안내하는 제1 위치 및 제2 반송로로 안내하는 제2 위치에 위치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반송롤러의 회전반경을 턴경으로 하고,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고속이면서 크게 편향시킬 수 있게 되어, 저비용, 고생산성, 공간절약이 우수한 용지편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를 일시적으로 수납하고, 배출하는 제1 처리트레이와, 상기 제1 처리트레이의 용지반송방향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처리트레이 하류단부보다 위쪽으로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제1 반송로 및 상기 제1 처리트레이 하류단부보다 아래쪽으로 반송하는 제2 반송로와, 상기 제1 반송로와 제2 반송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처리내용에 따라서 반송로를 전환하는 것만으로도 상이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저비용, 고생산성, 공간절약이 우수한 용지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묶음에 대해 제1 처리를 행하는 제1 처리수단이 설치된 제1 처리트레이와, 제1 처리수단에서 제1 처리가 실시되고, 제1 처리트레이로부터 배출된 용지묶음을 그대로 배지하는 제1 반송로와, 용지묶음에 대해 제2 처리를 행하는 제2 처리수단측에 상기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제2 반송로와, 제1반송로와 제2 반송로로 용지묶음의 반송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제1 처리트레이에서 제1 처리가 실시된 용지묶음을 다른 처리를 가하지 않고 그대로 배지하거나, 제2 처리를 행하는 제2 수단측으로 반송할지를 제1 및 제2 반송로의 전환으로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어, 저비용, 고생산성, 공간절약이 우수한 용지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효과를 발휘하는 용지처리장치를 화상형성장치와 일체 또는 부가설치하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저비용, 고생산성, 더욱이 공간절약이 우수한 화상형성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지묶음의 선단이 롤러쌍으로 진입할 경우에는 그 가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진입시 부하경감이 용이해져 반송에 충분한 가압력을 가할 수 있고, 또한 반송로의 특정 효과도 얻을 수가 있어 원활한 반송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이한 크기라 하더라도 그 진입시 용지반송조건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품질의 안정화가 가능하다.
또한, 스테이플 매수마다 롤러쌍의 이간거리를 미소조정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반송에 부응한 반송조건의 설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간거리를 용지묶음의 두께보다 약간 작게 설정함으로써 진입시 부하를 감소시키면서도 약간의 반송력을 부여할 수 있어 더욱 방축턱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접지수단측으로 안내하는제1 경로와,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접지하지 않고 장치외로 안내하는 제2 경로 중 하나의 경로에 상기 반송수단의 반송방향으로 전환하는 경로변경수단을 갖추고, 경로변경수단은, 반송수단의 반송방향을 제1 경로측으로 저환하여 반송하고 있을 때에, 잼이 발생하면, 상기 경로변경수단에 의한 상기 용지묶음 또는 용지에 대한 구속상태를 해제하고, 또는 제2 경로측으로 반송방향을 전환하므로, 잼발생에 의해 구동계가 정지하고, 잼처리를 수행할 때, 반송경로는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어, 이로 인해 용이하게 잼처리를 할 수 있어, 사용하기 간편한 용지처리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7)

  1. 복수의 반송경로의 분기부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경로를 전환하는 용지편향장치에 있어서,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반송롤러의 표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해당 표면을 따라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 안내부재와,
    상기 제1 안내부재를 제1 반송로로 안내하는 제1 위치 및 제2 반송로로 안내하는 제2 위치로 위치시키는 구동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편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재는 상기 반송롤러와 동축상에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편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 안내부재의 용지반송방향 상류측의 상기 반송롤러 표면과 이루는 틈새에 상기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안내하고, 제1 위치에 위치했을 때 제1 반송로측의 경로를 개방하는 제2 안내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편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2 안내부재는 제1 반송로측의 경로를 폐쇄하여 상기 제1 안내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반송롤러 표면을 따라 1개의 안내경로를 형성하고, 제2 반송로에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편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송로로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안내할 때, 상기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상기 반송롤러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상기 제2 안내부재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편향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재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의 요동구동, 및 상기 제2 안내부재의 제1 반송로측 경로의 개방, 폐쇄동작은, 1개의 캠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편향장치.
  7. 반입된 용지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용지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를 일시적으로 수납하고, 배출하는 제1 처리트레이와,
    상기 제1 처리트레이의 용지반송방향 하류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처리트레이 하류단부보다 위쪽으로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제1 반송로 및 상기 제1 처리트레이 하류단부보다도 아래쪽으로 반송하는 제2 반송로와,
    상기 제1 반송로와 제2 반송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트레이에는 제1 처리수단이, 상기 제2 반송로에는 제2 처리를 수행하는 제2 처리수단이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9. 반입된 용지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용지처리장치에 있어서,
    용지묶음에 대해 제1 처리를 수행하는 제1 처리수단이 설치된 제1 처리트레이와,
    상기 제1 처리수단에서 제1 처리가 실시되고, 상기 제1 처리트레이로부터 배출된 용지묶음을 그대로 배지하는 제1 반송로와,
    상기 용지묶음에 대해 제2 처리를 수행하는 제2 처리수단측으로 상기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제2 반송로와,
    상기 제1 반송로와 상기 제2 반송로로 용지묶음의 반송로를 전환하는 전환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제2 반송로로 전환했을 대, 상기 제1 처리트레이의 최하류측에 위치하는 반송롤러의 외주를 따라 상기 용지묶음을 편향시켜, 제2 반송로로 용지묶음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11. 제7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제2 반송로로 전환했을 때, 용지묶음의 두께방향을 규제하고 제2 반송로로 용지묶음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방향의 규제는 반송로의 용지두께방향의 경로폭을 축소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로는 상기 제1 처리트레이의 하류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용지묶음을 반송하고, 상기 제2 반송로는 상기 제1 처리트레이의 하류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14. 제7항, 제9항,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제2 반송로측으로 용지묶음을 안내할 때, 용지묶음을 아래쪽으로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15. 제7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은 제2 반송로측으로 용지묶음을 안내할 경우, 적어도 90°이상 용지묶음의 반송방향을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16.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수단은 용지묶음에 대해 정합처리를 수행하는 정합기구 및/또는 스테이플처리를 수행하는 스테이플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17.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처리수단은 용지묶음에 대해 중앙접지처리를 수행하는 접지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18.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트레이는 용지반송방향 상류측이 아래쪽으로, 하류측이 위쪽으로 위치하도록 기울여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19.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송로의 용지 두게방향의 경로폭은 상기 제1 반송로의 상기 경로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2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트레이에 수납된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상기 제1 또는 제2 반송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2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트레이에 수납된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상기 제1 또는 제2 반송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반송롤러와 상기 이동수단을 공통의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이 풀리 간에 팽팽히 설치된 벨트와, 이 벨트에 돌출설치되고, 용지 또는 용지묶음의 후단부를 밀어올리는 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송롤러와 구동측 상기 풀리가 동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반송롤러의 원주속도가 상기 풀리의 원주속도보다 빠르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23.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로와 상기 제2 반송로의 하류측에는,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배지하는 배지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24.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이 상기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지편향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25. 입력된 화상정보를 바탕으로 용지에 가시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배지되고, 도입된 용지를 처리하는 제7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지처리장치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
  26. 용지 또는 용지묶음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는 처리수단과,
    복수의 반송로의 분기부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또는 처리되지 않은 용지 또는 용지묶음의 반송방향을 제1 반송로 또는 제2 반송로 중 하나로 전환하는 전환수단,
    을 갖는 용지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을 상기 제1 반송로로 용지를 반송하기 위한 제1 위치와, 상기 제2 반송로로 용지를 반송하기 위한 제2 위치와, 상가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의 중간인 제3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설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수단이,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반송하는 반송롤러의 표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해당 표면을 따라 요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 안내부재와,
    상기 제1 안내부재를 상기 제1 반송로로 안내하는 제1 위치 및 제2 반송로로 안내하는 제2 위치로 위치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제1 안내부재가 제2 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 안내부재의 용지 반송방향 상류측의 상기 반송롤러 표면과의 틈새에 상기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안내하고, 제1 위치에 위치했을 때 제1 반송로측의 경로르 개방하는 제2 안내부재와,
    상기 제2 안내부재에 설치되고, 제2 반송로에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안내할 때, 상기 용지 또는 용지묶음을 상기 반송롤러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3의 위치에 설정할 때 상기 아압롤러를 상기 반송롤러로부터 소정 간격 이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2 반송로측으로 용지묶음을 반송할 때, 상기 제3 위치에서 용지묶음의 선단부를 받아들이고, 상기 용지묶음의 선단부가 상기 가압롤러와 상기 반송롤러와의 닙을 통과한 후, 상기 제2 위치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설정변경타이밍은, 용지묶음의 크기와 상관없이 동일한 타이밍이 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거리는, 스테이플처리되는 용지의 스테이플매수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거리는, 스테이플매수가 적을수록 작은 거리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32. 화상형성후의 용지에 대해 소정 처리를 가하는 처리수단을 갖는 용지처리장치에 있어서,
    용지를 스택하는 스택수단과,
    상기 스택수단에 스택된 용지묶음에 대해 스테이플처리를 가하는 스테이플수단과,
    상기 용지묶음 또는 상기 용지에 접지처리를 가하는 접지수단과,
    상기 스택수단에 스택된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상기 접지수단측 또는 장치 외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접지수단측으로 안내하는 제1 경로와, 상기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접지하지 않고 장치 외로 안내하는 제2 경로 중 하나의 경로로 상기 반송수단의 반송방향을 전환하는 경로변경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경로변경수단은, 상기 반송수단의 반송방향을 제1 경로측으로 전환하여 반송할 때, 잼이 발생하면, 상기 경로변경수단에 의한 상기 용지묶음 또는 용지에 대한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33. 화상형성후의 용지에 대해 소정 처리를 가하는 처리수단을 갖는 용지처리장치에 있어서,
    용지를 스택하는 스택수단과,
    상기 스택수단에 스택된 용지묶음에 대해 스테이플처리를 가하는 스테이플수단과,
    상기 용지묶음 또는 상기 용지에 접지처리를 가하는 접지수단과,
    상기 스택수단에 스택된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상기 접지수단측 또는 장치외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접지수단측으로 안내하는 제1 경로와, 상기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접지하지 않고 장치외로 안내하는 제2 경로 중 하나의 경로로 상기 반송수단의 반송방향을 전환하는 경로변경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경로변경수단은, 상기 반송수단의 반송바향을 제1 경로측으로 전환하여 반송할 때, 잼이 발생하면, 제2 경로측으로 반송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이,
    상기 제2 4경로측으로 전환되었을 때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장치외로 배출하기 위한 롤러와,
    이 롤러에 용지를 밀어올리는 반송벨트와,
    상기 제1 경로측으로 전환되었을 때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상기 롤러의 외주면을 따라 접지롤러측으로 편향시키는 가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상기 롤러표면으로 압박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제1 경로측으로 전화되었을 때, 상기 가압롤러를 상기 롤러 표면에 압박하는 가이드판과,
    상기 롤러표면과의 사이에 용지묶음 또는 용지를 반송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판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한 구동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로측으로의 전환은 잼 발생후 바로 이루어져 제1 경로측으로의 규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처리장치.
  37. 제32 내지 3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지처리장치와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일체 또는 별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시스템.
KR10-2002-0058047A 2001-09-25 2002-09-25 용지편향장치, 용지처리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KR100491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90600 2001-09-25
JP2001290600A JP4388246B2 (ja) 2001-09-25 2001-09-25 用紙偏向装置、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1352031A JP3850717B2 (ja) 2001-11-16 2001-11-16 用紙処理装置
JPJP-P-2001-00352031 2001-11-16
JP2002192536A JP3850759B2 (ja) 2002-07-01 2002-07-01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JP-P-2002-00192536 2002-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891A true KR20030026891A (ko) 2003-04-03
KR100491136B1 KR100491136B1 (ko) 2005-05-24

Family

ID=27347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047A KR100491136B1 (ko) 2001-09-25 2002-09-25 용지편향장치, 용지처리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6957810B2 (ko)
EP (3) EP1568636B1 (ko)
KR (1) KR100491136B1 (ko)
AT (3) ATE393750T1 (ko)
DE (3) DE60226908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26908D1 (de) 2001-09-25 2008-07-10 Ricoh Kk Blattendbearbeitungsgerät und dieses verwendende Bilderzeugungsgerät
EP1400864B1 (en) * 2002-09-20 2007-10-31 Ricoh Company, Ltd. Paper processing apparatus
EP1650145B1 (en) * 2002-12-11 2008-05-2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Paper post-processing method for punching paper and apparatus therefore
JP4769420B2 (ja) * 2003-04-09 2011-09-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088206B2 (ja) 2003-06-12 2008-05-21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折り装置、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340582B2 (ja) * 2003-07-28 2009-10-07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66816A (ja) * 2003-08-01 2005-03-17 Ricoh Co Ltd 穿孔装置、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46880B2 (ja) * 2004-03-17 2010-04-07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262159B2 (ja) * 2004-07-20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429219B2 (ja) * 2004-07-20 2010-03-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6076675A (ja) * 2004-09-07 2006-03-23 Fuji Xerox Co Ltd 用紙折り装置およびステープル処理装置
US20060180970A1 (en) * 2004-09-13 2006-08-17 Nisca Corporation Sheet finish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7416177B2 (en) * 2004-09-16 2008-08-26 Ricoh Company, Ltd. Sheet folding apparatus,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748993B2 (ja) * 2004-10-21 2011-08-17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59879B2 (ja) * 2004-11-11 2010-04-28 株式会社リコー 用紙穿孔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用紙後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
US7413181B2 (en) * 2004-11-15 2008-08-19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capable of effectively performing sheet finishing operation
TWI252837B (en) * 2005-03-11 2006-04-11 Lite On Technology Corp Paper feeding device and method for flipping paper for same
JP4695526B2 (ja) * 2005-05-20 2011-06-08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500746B2 (ja) 2005-08-29 2010-07-14 株式会社リコー 穿孔処理装置、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950566B2 (ja) * 2005-09-12 2012-06-13 株式会社リコー 穿孔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
US7681873B2 (en) 2005-12-06 2010-03-23 Ricoh Co., Ltd.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JP4446960B2 (ja) * 2005-12-16 2010-04-07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455291B2 (en) * 2005-12-22 2008-11-25 Xerox Corporation Media alignment systems and methods
JP2007197198A (ja) * 2006-01-30 2007-08-09 Ricoh Co Ltd シート媒体整合装置と画像形成システム
US7742716B2 (en) * 2006-04-04 2010-06-22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system
US7694966B2 (en) * 2006-04-10 2010-04-13 Ricoh Company, Ltd.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530559B2 (en) 2006-04-12 2009-05-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ooklet maker
US20070278199A1 (en) * 2006-04-14 2007-12-06 Ewa Environmental, Inc. Particle burning in an exhaust system
US7862022B2 (en) * 2006-04-28 2011-01-04 Canon Finetech Inc.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000949B2 (ja) * 2006-08-23 2012-08-15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028157B2 (ja) * 2006-09-05 2012-09-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8063063A (ja) * 2006-09-06 2008-03-21 Ricoh Co Ltd シート整合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862024B2 (en) * 2007-12-27 2011-01-04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 finishe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finishing method
JP4518171B2 (ja) * 2008-03-26 2010-08-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処理装置
JP5157619B2 (ja) * 2008-04-24 2013-03-06 株式会社リコー 製本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262504B2 (ja) * 2008-09-22 2013-08-14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処理システム
JP5304266B2 (ja) * 2009-01-26 2013-10-02 株式会社リコー 記録紙処理装置
US8052147B2 (en) * 2009-12-11 2011-11-08 Pitney Bowes Inc. Inserter system divert gate actuated by pre-fold accumulator drive shaft
US20110215513A1 (en) * 2010-03-05 2011-09-08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finisher connecting method
JP5218478B2 (ja) * 2010-06-09 2013-06-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348077B2 (ja) * 2010-06-09 2013-11-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2082069A (ja) * 2010-10-15 2012-04-26 Gradco Japan Ltd 用紙処理装置
JP2013234068A (ja) 2012-04-10 2013-11-21 Ricoh Co Ltd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791658B2 (ja) * 2012-04-27 2015-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87561B2 (ja) * 2012-08-31 2016-09-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記録材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10222025B2 (en) * 2014-01-23 2019-03-05 Philips Lighting Holding B.V. Light diffuser, LED lamp arrangement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JP5713126B1 (ja) * 2014-03-24 2015-05-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後処理装置
US9919890B2 (en) * 2015-08-28 2018-03-20 Canon Finetech Nisca Inc. Apparatus for processing sheets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s provided with the same
JP7030419B2 (ja) * 2017-04-06 2022-03-07 株式会社東芝 シート処理装置
JP7064299B2 (ja) * 2017-09-05 2022-05-10 株式会社東芝 シート処理装置
US10753330B2 (en) 2018-04-23 2020-08-25 Caterpillar Inc. Fuel-water separator self-draining valve with release member
JP2020070170A (ja) * 2018-11-01 2020-05-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1897279B2 (en) 2021-05-11 2024-02-13 Ricoh Company, Ltd. Envelop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US11649134B1 (en) * 2022-08-30 2023-05-16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3341A1 (de) 1969-08-25 1971-03-04 Polygraph Leipzig Vorrichtung zur Einzelbogenentnahme aus dem Bogenförderfluß einer Falzmaschine
US4318542A (en) * 1974-01-23 1982-03-09 Eastman Kodak Company Sorter mechanism
IE44232B1 (en) 1975-11-05 1981-09-23 Pfizer Ltd Quaternary heterocyclic fused thiazolium salts and their use as pesticides
US5692411A (en) 1984-11-17 1997-12-02 Ricoh Co., Ltd. Quiet paper sorter using a collision impact reduction means
JPS6343165A (ja) * 1986-08-08 1988-0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写真複写装置
US4858909A (en) * 1988-03-31 1989-08-22 Xerox Corporation Sheet transporting apparatus
US5020784A (en) * 1988-09-27 1991-06-04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rranging papers
JPH02275967A (ja) 1989-01-17 1990-11-09 Konica Corp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086509B2 (ja) * 1989-01-23 1996-01-24 有限会社ヤマモト 支柱安定具
US5263697A (en) 1989-04-18 1993-11-23 Ricoh Company, Ltd. Finish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803312B2 (ja) * 1990-04-12 1998-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用紙処理装置
US5108081A (en) * 1991-01-02 1992-04-28 Eastman Kodak Company Saddle stitcher for a reproduction apparatus finisher
US5201517A (en) * 1992-06-24 1993-04-13 Xerox Corporation Orbiting nip plural mode sheet output with faceup or facedown stacking
US5263703A (en) * 1992-06-24 1993-11-23 Xerox Corporation Orbiting nip control for increasing sheet stacking capacity
GB2268481B (en) * 1992-07-01 1996-04-03 Ricoh Kk Recording Apparatus with a Finisher
JP3359662B2 (ja) 1992-08-19 2002-12-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システム装置
JP3309447B2 (ja) 1992-10-13 2002-07-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のフィニッシャ
JP2801501B2 (ja) * 1993-08-06 1998-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用紙後処理装置
JPH07187479A (ja) 1993-12-28 1995-07-25 Fuji Xerox Co Ltd シート処理装置
JP3466376B2 (ja) 1995-06-07 2003-11-10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後処理装置
NL1000855C2 (nl) 1995-07-20 1997-01-21 Oce Nederland Bv Inrichting voor het verzamelen van gevouwen en ongevouwen kopievellen.
FR2739846B1 (fr) 1995-10-12 1997-12-19 C P Bourg Sa Machine de finition de livrets
JPH09183558A (ja) 1995-12-28 1997-07-15 Canon Aptecs Kk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DE19719485C2 (de) 1996-05-08 2003-03-20 Ricoh Kk Dokumenthandhabungseinrichtung mit einem Heftmodus
JP3667492B2 (ja) 1996-05-08 2005-07-06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733655B2 (ja) * 1996-09-30 1998-03-30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JP3566492B2 (ja) 1996-11-01 2004-09-15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後処理装置
JPH10194571A (ja) * 1996-12-27 1998-07-28 Minolta Co Ltd フィニッシャ
JPH10218475A (ja) 1997-02-12 1998-08-1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用紙後処理装置
JP3626316B2 (ja) 1997-03-12 2005-03-09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フィニッシャ
JP3748710B2 (ja) 1997-06-10 2006-02-22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処理装置
US6494449B2 (en) 1997-12-01 2002-12-17 Ricoh Company, Ltd. Sheet stacking apparatus with vertically movable tray
KR100310127B1 (ko) 1997-12-01 2002-02-19 이토가 미찌야 수직이동이가능한트레이가장착된용지적재장치
JP4106732B2 (ja) 1998-03-30 2008-06-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US6231045B1 (en) 1998-06-12 2001-05-15 Ricoh Company, Ltd. Finish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3844177B2 (ja) 1998-07-31 2006-11-08 株式会社リコー 排紙装置
JP3674326B2 (ja) 1998-08-20 2005-07-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綴じ込み装置
JP2000072320A (ja) 1998-09-02 2000-03-07 Konica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013349B2 (ja) 1998-09-08 2007-11-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シート綴じ込み装置
JP3719013B2 (ja) 1998-10-14 2005-11-24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118860A (ja) 1998-10-06 2000-04-25 Konica Corp シート後処理装置
JP3875802B2 (ja) 1998-11-11 2007-01-31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後処理装置
JP3387836B2 (ja) 1998-11-17 2003-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3748754B2 (ja) 1999-03-23 2006-02-22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処理装置
US6176485B1 (en) * 1999-04-05 2001-01-23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Apparatus for diverting a continuous stream of flat products to alternate paths
US6375180B1 (en) * 1999-05-19 2002-04-23 Konica Corporation Sheet finishe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conveyance apparatus
JP3483504B2 (ja) * 1999-07-15 2004-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孔明け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FR2797220B1 (fr) 1999-08-03 2001-11-30 Neopost Ind Systeme automatise de preparation de livrets a la demande
JP3973828B2 (ja) 1999-10-08 2007-09-12 株式会社リコー 用紙積載装置
JP3641189B2 (ja) * 2000-04-21 2005-04-20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3840365B2 (ja) * 2000-05-12 2006-11-0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搬送方向切換装置
JP3885473B2 (ja) 2000-08-30 2007-02-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システム
US6712349B2 (en) * 2000-09-19 2004-03-30 Ricoh Company, Ltd. Sheet folder with turnover and pressing device
JP3679702B2 (ja) * 2000-10-31 2005-08-03 ニスカ株式会社 シ−ト後処理装置及びシ−ト後処理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DE60226908D1 (de) 2001-09-25 2008-07-10 Ricoh Kk Blattendbearbeitungsgerät und dieses verwendende Bilderzeugungs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8636A1 (en) 2005-08-31
EP1568636B1 (en) 2008-04-30
US7134654B2 (en) 2006-11-14
DE60226352D1 (de) 2008-06-12
ATE393750T1 (de) 2008-05-15
US6957810B2 (en) 2005-10-25
US20030057641A1 (en) 2003-03-27
DE60230570D1 (de) 2009-02-12
EP1568637B1 (en) 2008-05-28
EP1295833A3 (en) 2003-08-13
ATE396945T1 (de) 2008-06-15
US20050225021A1 (en) 2005-10-13
ATE419210T1 (de) 2009-01-15
KR100491136B1 (ko) 2005-05-24
US20070029716A1 (en) 2007-02-08
EP1295833A2 (en) 2003-03-26
US7331572B2 (en) 2008-02-19
DE60226352T2 (de) 2009-05-20
DE60226908D1 (de) 2008-07-10
US7198268B2 (en) 2007-04-03
EP1295833B1 (en) 2008-12-31
EP1568637A1 (en) 2005-08-31
US20050218579A1 (en)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1136B1 (ko) 용지편향장치, 용지처리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JP5332694B2 (ja) シート処理システム、シート供給制御方法、及びシート供給制御プログラム
JP4748993B2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832718B2 (en) Sheet pos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US20120025442A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 processing method
JP5151711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746472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388246B2 (ja) 用紙偏向装置、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3732812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184643B2 (ja)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3850717B2 (ja) 用紙処理装置
JP4136861B2 (ja) 用紙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8037626A (ja) シート整合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02280B2 (ja) 折りシート積載装置とこの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378264B2 (ja) シート積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3341919A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3811076B2 (ja)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044461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300040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160821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251823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3824968B2 (ja)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4210419A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4210417A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22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