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0127B1 - 수직이동이가능한트레이가장착된용지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수직이동이가능한트레이가장착된용지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0127B1
KR100310127B1 KR1019980052339A KR19980052339A KR100310127B1 KR 100310127 B1 KR100310127 B1 KR 100310127B1 KR 1019980052339 A KR1019980052339 A KR 1019980052339A KR 19980052339 A KR19980052339 A KR 19980052339A KR 100310127 B1 KR100310127 B1 KR 100310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per discharge
sheets
sheet
discharg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2701A (ko
Inventor
마사히로 다무라
켄지 야마다
유끼다까 나까자또
쥰-이찌 이이다
요시히꼬 나까야마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010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483109B2/ja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1999006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0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01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B65H29/2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65H31/36Auxiliary devices for contacting each article with a front stop as it is pi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65H2301/4214Forming a pile of articles on ed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22Binder, e.g. glueing device
    • G03G2215/00827Stap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886Sorting or discharging
    • G03G2215/00911Detection of copy amount or presence in discharge tray

Abstract

본 발명의 용지적재장치는, 배출된 용지를 보유하고 상,하로 이동하는 용지배출트레이, 상기 용지배출트레이위에 위치되고 상기 용지배출트레이에 용지를 배출시키는 용지배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는, 상기 용지배출롤러로 부터 아래로 떨어져 사전 설정된 거리에 위치된 기준용지수납위치에서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용지를 수납한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는, 사전 설정된 거리동안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 이동하고, 상기 용지배출트레이상의 적재된 용지의 양이 상기 용지의 사전 설정된 적재량에 도달할 때, 상기 위치에서 적어도 다음 용지를 수납한다.

Description

수직이동이 가능한 트레이가 장착된 용지적재장치{SHEET STACKING APPARATUS WITH VERTICALLY MOVABLE TRAY}
본 발명은 수직이동이 가능한 트레이 장착 용지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등의 용지배출부 연결된 용지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용지를 수직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며 그 용지를 적재할 수 있는 용지배출트레이와, 그 용지배출트레이의 상부에 위치하여 용지배출트레이로 용지를 배출하는 용지배출롤러를 포함하는 용지적재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 용지적재장치의 용지배출트레이는, 용지배출롤러의 아래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한 기준용지수납위치에서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용지를 수납한다.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는, 스테이플 되지도 휘지도 않은 보통의 용지와 스테이플 된 것이라 하더라도 스테이플 핀의 두께로 인한 마운드가 불분명한 용지를 고려하여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배출트레이(12)가 기준용지수납위치에 머물러 있을 때는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위치가 , 예를 들어, 상기 용지배출롤러의 닢부(nip portion)와 같이 용지배출롤러(3)에 대하여 기준위치보다 낮은 임의의 거리 L에 있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거리 L은 용지배출롤러(3)의 닢부와 용지가 적재되지 않을 때의 용지배출트레이(12)의 상표면 사이의 거리, 또는 상기 용지배출롤러(3)의 닢부와 용지가 적재되어있을 때의 상기 용지배출트레이(12) 상의 용지의 최상표면사이의 거리로 정해진다. 그러한 거리 L은 상기 용지배출트레이(12)를 제어기로 이동시킴으로써 일정하게 제어된다.
실제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12)에 적재된 용지의 높이는 센서로 읽혀지며, 그 결과에 따라 상기 거리 L이 제어되며, 따라서 이 거리 L은 또 센서의 정확성에 따라 어떤 범위에서 변할 수도 있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12)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을 때, 용지를 수납받는 기준위치는 용지배출롤러(3)의 닢부 아래로 거리 L만큼 떨어져 있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12)는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에서 상기 용지배출롤러(3)로부터 배출된 첫 번째 용지를 수납받는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12)는 수직방향으로 베이스끝단(배출된 용지의 상류측)보다 높게 위치한 개방 단면(배출된 용지의 하류측)을 가지고 있다. 상기 용지배출롤러(3)는 어느 정도의 모멘트를 갖고 용지배출트레이(12)를 향해 용지를 배출한다.
상기 용지배출롤러(3)로부터 상기 용지배출트레이(12)에 배출된 용지는 자신의 무게로 인하여 용지배출트레이의 경사를 따라, 보다 정확하게는, 용지배출트레이12에 적재된 용지의 경사를 따라 스위치백 방식으로, 미끄러지게 되고, 용지배출트레이의 베이스끝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후방펜스에 의해 정지된다.
용지가 용지배출트레이에 계속하여 적재됨에 따라 용지배출트레이 12상의 용지의 상표면 높이도 증가한다. 이러한 적재 조작 동안, 상기 용지배출트레이(12)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면, 적재된 용지의 최상표면과 상기 용지배출롤러(3) 사이의 거리는 용지배출트레이에 용지가 적재되지 않을 때의 거리 L보다 적어지게 된다. 만일 이같은 거리가 너무 적어지면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상에 배출된 용지는 더 이상 적절하게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는, 거리 L을 적절한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상부에 용지가 적재될 때마다 하강하도록 제어되고 그러면 그 용지는 정렬될 수 있다.
비록 상기 거리 L을 적절히 그리고 계속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하더라도, 적재된 용지의 상표면 높이가 적재된 용지의 정렬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제어기는 용지가 적재될 때마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가 일정한 거리만큼 낮아지도록 간헐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이같이 거리 L은 일정한 허용치 이내에서 일정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12)는 용지를 수용하기 위하여 용지 적재량에 따라 상기와 같은 간헐적인 하강 조작을 반복한다. 이같은 경우, 기준용지수납위치는, 상기 일정한 허용치가 포함된, 용지배출롤러(3)의 닢부 아래로 거리 L(앞서 언급한 정해진 편차를 포함하여)에 위치하는 용지배출트레이의 최상면(만일 용지배출트레이 12에 용지가 적재된다면, 그 용지의 최상 표면)이 된다.
용지적재장치가 스테이플장치와 결합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12)는 용지배출롤러(3)로부터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용지를 지급받을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12)는, 용지에 관련된 선택 모드에 따라 스테이플되지 않은 용지만, 또는 스테이플된 용지 세트만, 또는 스테이플되지 않은 용지와 스테이플된 용지 세트 양자가 혼합된 방식으로 수용할 수 있다. 더욱이, 그러한 용지 적재 상태는 그 용지가 용지배출트레이(12)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유지될 것이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에 적재된 용지는 일반적으로 스테이플 되었는지 여부 및 그 용지의 양에 관계없이 일반적으로 요철 모양과 같이 휘어져 있다. 예를 들어, 볼록한 모양으로 휘어져 있는 스테이플되지 않은 용지가 용지배출트레이 12에 차례로 적재될 때, 그 용지의 휘어짐은 축적된다. 이러한 휘어짐의 축적은 상기 용지로 하여금 부분적으로 큰 마운드 부분을 형성하도록 한다.
만일 그러한 상태가 발생하면, 비록 용지배출트레이 12의 높이가 기준용지수납위치 근처에서 제어된다 할지라도, 새롭게 배출된 용지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12)에 먼저 적재된 용지의 마운드 부분에 걸리게 되고, 그 용지의 끝단은 후방펜스 쪽으로 미끄러지지 아니할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용지는 용지배출트레이 12상에서 부적절하게 정렬될 것이다. 따라서, 적재된 용지의 마운드 부분에 걸린 용지는 그 선단측에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개방단측으로 전위될 수도 있다.
상기 전위된 용지가 용지배출트레이 12에 적재될 때, 그 다음 용지가 용지배출롤러(3)로부터 배출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다음 용지는 그 선단측에서 전술한 전위된 용지를 감싸게 된다. 더욱이, 상기 다음 용지는 마찰력으로 인하여 상기 전위된 용지와 함께 이동한다. 그 결과, 적재된 용지의 오정렬(misalignment)이 일어나며, 극단적인 경우에는 용지배출트레이로부터 떨어질 수도 있다.
상기의 휘어짐으로 인한 오정렬은 스테이플된 용지의 경우에도 일어난다. 예를 들면, 그 스테이플된 용지가 배출될 때, 그 용지는 세트로 형성되어 있고 스테이플되지 아니한 용지보다 큰 경도를 지니고 있으므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 세트는 상기 휘어짐 때문에 마운드 부분에 걸려 있는 다른 세트의 스테이플된 용지에 의해 정지되어 부적절하게 정렬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는 다른 세트의 스테이플된 용지를 밀어 용지배출트레이 12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어떤 경우에는, 다음 세트의 스테이플된 용지의 선단이 적재 세트의 스테이플된 용지의 마운드 부분에서 정지되어 용지배출롤러 3내로 휘감기거나 정렬이 흐트러진다.
전형적인 용지적재장치의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기준용지수납위치는, 휘어짐이 없는 통상의 용지 또는 용지배출롤러(3)와 마주하지 않은 위치에 스테이플된 용지를 이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센스가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기준용지수납위치를 세트하고 제어하는 상기 적재된 용지의 최상표면상의 감지 위치는 상기 용지배출롤러 3과 마주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다.
상기 감지위치의 이러한 일탈은 어떤 경우 용지적재의 문제를 야기한다. 즉, 그 후단측 또는 용지배출롤러 3에 스테이플된 용지세트가 연속적으로 적재될 때, 또는 상기 용지배출롤러 3측에 휘어짐이 있는 용지가 연속적으로 적재될 때, 상기 거리 L은 용지의 적재동작 시작시에만 적재된 용지의 최상면과 상기 용지배출롤러 3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그땐, 적재된 용지들의 수가 증가함에 의해 앞서 언급한 바와같은 볼록한 모양의 용지들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적재된 용지들은 휘어진 부분이 축적되어 커다란 마운드를 형성하기 시작할 것이다. 오목모양 용지의 경우에 있어서도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휘어진 부분이 크게 상승될 것이다. 이에 의해, 적재된 용지의 상승된 부분의 최상표면과 그 근처를 포함하는 영역에서는, 그러한 영역과 상기 용지배출롤러 3사이의 거리는 상기 거리 L보다 적어질 것이다.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 세트의 경우, 스테이플 핀의 두께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의 수내에서 축적되기 때문에,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에 의해 걸린 용지들은 크게 상승하거나 볼록 모양으로 마운드된다. 또한, 적재된 용지의 전위된 부분의 최상표면과 상기 용지배출롤러 3사이의 거리는 상기 거리 L보다 적어질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적재된 용지의 최상표면과 상기 배출롤러 3사이의 거리는 상기 휘어짐이 있는 용지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 양자에서 적어지게 된다. 그때, 상기 휘어진 용지의 최상표면과 그 근처의 후단부 또는 스테이플된 용지의 스테이플부는 결국 용지배출롤러 3과 마찰하기 시작한다. 만일 그러한 마찰이 일어나면, 상기 용지배출롤러 3에 의한 용지 휘감김 때문에 적재수행이 나빠지며, 또한 상기 용지배출롤러 3에 더해지는 마찰부하가 증가한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용지는 손상된다. 극단적인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이 휘감겨진 용지에 의해 손상을 입거나, 또는 상기 휘감겨진 용지로 인한 과도한 부하 때문에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의 회전이 정지된다. 더욱이,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 세트가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로부터 배출될 때, 그 단부가 상기 스테이플 핀 때문에 마운드된 부분에 이미 적재된 용지들을 치거나 밀어 결국에는 상기 적재된 용지들을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로부터 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안출되었으며, 그 목적은 이들 문제점과 여타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있다.
도 1은 용지적재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용지적재장치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스테이플 트레이의 조거펜스부근의 설명도
도 4는 용지후 처리장치의 스테이플부의 사시도
도 5는 스테이플 과정이 종료된 후 용지를 반송하는 용지 반송시스템의 설명도
도 6은 용지후 처리장치의 제어기구의 블록도
도 7A는 용지적재장치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7B는 용지표면센서의 사시도
도 8은 포지셔닝 롤러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포지셔닝 롤러의 다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용지배출트레이의 위치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1은 제어기구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절차의 일부분을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제어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용지의 수를 계수하고 용지방출트레이의 하강조작을 제어하는 제어절차를 설명하는 주프로그램 부분의 플로우차트
도 13은 제어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스테이플 카운트 제어를 위한 제어절차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제어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스테이플 카운트 제어를 위한 다른 제어절차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제어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스테이플 카운트 제어를 위한 또 다른 제어절차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제어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스테이플 카운트 제어를 위한 또 다른 제어절차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제어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스테이플 카운트 제어를 위한 또 다른 제어절차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제어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용지배출트레이의 상승 및 하강 조작에 대한 제어절차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9는 제어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용지배출롤러의 회전과 용지배출트레이의 상승 및 하강 조작을 위한 제어절차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0은 용지배출트레이의 하강조작을 설명하는 타이밍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스테이플 장치(staple device)
9a, 9b : 조거펜스(jogger fences)
12 : 용지배출트레이(sheet discharge tray)
따라서, 상기 언급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출된 용지를 보유하고 상, 하로 이동하는 용지배출트레이,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위에 위치되고 상기 용지배출트레이에 용지를 배출시키는 용지배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규한 용지적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는,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아래로 떨어져 사전 설정된 거리에 위치된 기준용지수납위치에서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용지를 수납한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는, 사전 설정된 거리동안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 이동하고, 상기 용지배출트레이상의 적재된 용지의 양이 상기 용지의 사전 설정된 적재량에 도달할 때, 상기 위치에서 적어도 다음 용지를 수납한다.
본 발명은 또한 , 배출된 용지를 보유하고 상, 하로 이동하는 용지배출트레이,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위에 위치되고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로 용지를 배출시키는 용지배출롤러, 및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른 신규한 용지적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는,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아래로 떨어져 사전 설정된 거리로 위치된 기준용지수납위치에서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용지를 수납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용지배출롤러가 회전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를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로부터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제 1과 제 2하강모드중 어느 하나를 적어도 선택적으로 실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드러난다. 더욱이, 첨부도면과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한 구조를 설명하며, 본 명세서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한 모든 균등한 구조와 기법이 분명해질 정도로 충분히 본 발명의 조작, 개념 및 속성을 분명하게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된 제어 내용은 이미 설명되었으므로, 이하 주로 도 16의 플로우챠트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16의 프로세스의 기본구조는 도 12의 그것과 공통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들간의 차이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가 하강된 상태로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에 적절한 도 12의 점선에 의해 둘러싸인 단계 S3에 상당하는 상기 프로세스가 상기 단계 S3~8과 S3~9(점선에 의해 둘러싸임) 각각의 결합으로 구성된 프로세스에 의해 대체되었다는데 있다.
상기 언급한 프로세스가 아닌 도 12와 도 16의 상기 프로세스는 전적으로 같다. 즉, 도 12상의 상기 단계 S1, S2,S4 및 S5는 각각 상기 단계 S1~4, S2~5, S4~5 및 S5~5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도 16상의 점선에 의해 둘러싸인 프로세스가 주로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용지의 통과는 도 16의 상기 용지배출센서 28을 OFF에서 ON으로 전환함으로써 감지된다. 즉, 만일 상기 프로그램이 단계 S2~5에서 예(YES)를 판단하면, 그땐 프로그램은 단계 S3~8로 진행한다. 이때, 용지통과가 상기 용지배출센서 38에 의해 감지될 때, 이는 하나의 용지가 통과했음을 의미한다. 용지통과가 상기 용지배출센서 38의 OFF로 부터 ON으로의 변화에 의해 인식될 때, 도 6에 도시된 상기 제어장치는 그 속에 내장된 용지수 계산기의 수내에서 통과된 용지의 수를 합산한다.
상기 스테이플된 세트에 있어 포함된 상기 용지수는 상기 스테이플 모드가 선택될 때 이미 알려지며,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는 또한 스테이플세트 수계산기의 축적된 값에 의해 알려진다. 따라서, 상기 용지수는 이러한 값으로부터 계산되고, 도 6에 도시된 제어장치내에 내장된 용지수 계산기는 상기 값을 상기 용지들의 수로 합산한다.
상기 용지수 계산기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수 계산기의 축적된 값은, 사용자가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로부터 상기 용지를 제거하고 상기 시간 계산기가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를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에 까지 상승시키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계산한 후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가 특정한 시간동안 상승될 때 지워진다. 이때, 상술한 특정한 시간은, 상기 적재된 용지의 잔여량이 상기 스테이플 핀의 두께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위의 상기 용지가 제거된 후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를 상승시키는데 요구되는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용지수 계산기의 축적된 값은 단계 S3~8에서 사전 설정된 용지수 X와 비교된다. 상기 사전 설정된 용지수 X는,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지의 휘어짐과 상기 용지와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의 간섭에 의해 야기되는 것과 같은 용지의 오정렬(misalignment)이 발생할 수도 있는 값으로 세트된다. 만일 상기 용지수 계산기의 축적된 값이 상기 사전 설정된 용지수 X를 초과한다면, 상기 용지는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에서 더 이상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위에 수납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지는 이후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가 상기 기준용지수신위치로부터 하강된 위치에서 수납된다. 이에 의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용지수 계산기의 값을 단계 S3~8에서의 상기 사전 설정된 용지수와 비교한다. 만일 상기 용지수 계산기의 값이 상기 사전 설정된 용지수 X에 도달하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를 하강시키는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 단계 S4~5로 진행한다.
또한, 비록 상기 용지수 계산기의 값이 상기 사전 설정된 용지수 X보다 적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상기 휘어짐의 영향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될 지라도, 상기 스테이플 핀의 두께의 영향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의 수에 의존하며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3~9로 진행하여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수 계산기의 값을 상기 사전 설정된 스테이블된 용지세트수 K와 비교한다. 만일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수 계산기의 값이 상기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 K에 도달하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하강제어를 실행하기 위해 단계S4~5로 진행한다. 만일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수 계산기의 값이 상기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 K보다 적으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수 계산기의 값이 상기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수 K에 도달할 때가지 도 18의 통상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복귀(RETURN)로 끝난다.
이러한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 K는 스테이플 프로세싱 핀의 두께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 용지들의 상술한 오정렬이 발생되는지 여부에 대한 임계값으로 세트된다. 상기 제어는 이하 도 12와 도 18의 결합에 관련한 프로세서에 따른다.
이러한 실시예는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수, 상기 용지들의 수,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들의 세트수 및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들의 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수를 고려하여 용지수납위치를 전환시키는 판단기준으로서 사전 설정된 적재량을 결정하는 제어절차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상기 수납위치를 전환시키는 상기 판단기준은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를 세트하려는 것이 아니라 상기 스테이플 모드가 세트될 때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가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로부터 하강되는 위치를 세트하려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상기 제어절차는 또한, 스테이플된 용지들과 스테이플되지 않은 용지들이 계속적인 상기 스테이플 모드와 상기 통상의 모드의 수행으로 인한 혼합상태에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위에 적재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하강제어는 도 11에 도시된플로우챠트의 순서에 의해 실행된다. 서브-루틴 R2의 내용은 도 15에 도시된 스테이플 계산제어를 위한 플로우챠트를 대체시킴으로써 실행된다. 또한, 도 11의 상기 트레이 하강제어를 위한 상기 서브-루틴 R2의 내용은 도 18에 도시된 상기 트레이 하강제어를 위한 플로우챠트의 순서를 이용함으로써 실행된다. 즉, 본 실시예는 도 15와 도 18에 도시된 상기 플로우챠트들의 결합에 의해 실행된다. 도 18에 도시된 상기 제어의 내용은 이미 설명되었기 때문에, 이하 도 15에 도시된 상기 플로우챠트가 주로 설명된다.
도 15의 프로세스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12와 도 14의 그것들과 공통한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가 하강상태(점선에 의해 둘러싸임)에 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도 12의 단계 S3에 대응하는 프로세서는 상기 도 15와는 다르게 상기 단계 S3~3, S3~6, S3~7 및 S3~7의 결합으로 구성된 도 15(점선에 의해 둘러싸임)에서의 프로세스로 대체되었다.
상술한 프로세스와 다른 도 12의 프로세스는 도 15의 프로세스와 완전히 같다. 즉, 도 12에서의 단계 S1, S2, S4 및 S5는 각각 도 15에서의 단계 S1~4', S2~4', S4~4' 및 S5~4'에 대응한다.
따라서,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도 15에서 점선에 의해 둘러싸인 프로세스가 주로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용지통과는 도 15에서의 상기 용지배출센서 38을 OFF에서 ON으로 전환시킴에 의해 감지된다. 즉, 만일 프로그램이 단계 S2~4'에 있어 응답 예(YES)를 판단하면, 그땐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3~5로 진행한다. 이때, 용지더미의 통과, 다시 말하면 스테이플된 용지세트는 상기 용지배출센서 38에서 하나의 용지통과감지에 의해 감지된다.
만일 용지통과가 상기 용지배출센서 38을 OFF에서 ON으로의 변화에 의해 인식되면, 도 6에 도시된 제어장치는 그 속에 내장된 용지수 계산기에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를 합산한다.
상기 용지수 계산기의 축적된 값은, 사용자가 용지를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계산기가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를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까지 상승시키는데 요하는 시간을 계산한 후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가 특정한 시간동안 상승될 때 지워진다. 이때, 그 적재된 용지들의 잔여량이 상기 스테이플 핀의 두께에 의해 야기되는 문제를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위의 용지가 제거된 후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를 상승시키는데 요구되는 시간에 따라 상술한 특정시간은 결정된다.
상기 스테이플 모드 내에 세트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들의 수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사전 설정된 용지수 W는 단계 S3~5에서 비교된다. 이 사전 설정된 용지수 W는 상술한 스테이플 프로세싱 핀의 두께에 의해 야기되는 용지들의 오정렬(misalignment)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대한 임계값으로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들의 수로써 세트된다.
단계 S3~5에 있어서, 만일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의 수가 상기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 W보다 적으면, 상기 프로그램은 아니어(NO)로 들어가 단계 S6을 진행한다. 만일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의 수가 상기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와 같거나 많다고 판단되면, 상기 프로그램은 예(YES)로 들어가 단께 S3~7을 진행한다.
단계 S3~7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스테이플된 용지세트들의 값과 상기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들의 수 h와 비교한다. 만일 스테이플된 용지수 계산기의 값이 상기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 h에 도달하면,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4~4'을 진행하고, 만일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 계산기의 값이 상기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 h에 도달하지 못하면, 상기 값이 상기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 h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프로그램은 도 18의 통상의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복귀(RETURN)로 끝난다.
상기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 h는 도 15의 단계 S3~5에서의 사전 설정된 용지수 W와 유사한 방법으로 세트된 임계값이므로, 상기 임계값 h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설명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된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하강제어는 도 11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의 순서에 의해 실행된다. 도 11의 서브-루틴 R1은 도 17에 도시된 스테이플 계산제어를 위한 플로우챠트에 의해 대체된다. 또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하강동작을 제어하는 서브-루틴 R2의 내용은 도 18과 같은 하강동작을 제어하는 플로우챠트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의 제어는 도 17과 도 18에 도시된 상기 플로우챠트들의 결합에 의해 실행된다.
도 18에 도시된 제어의 내용은 이미 설명되었기 때문에, 이하 도 17의 플로우챠트가 주로 설명된다.
도 17에 있어서, 프로세스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 12와 도 16의 구조와 공통한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가 하강상태(점선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로 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에 관련한 도 12의 단계 S3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는 도 17의 단계 S3~10, S3~11, S3~12, S3`13 및 S3~14(점선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에 의해 대체된다. 이것이 도 12와 도 17에 도시된 프로세스들간의 차이점이다.
상술한 것과 다른 도 12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도 17에 도시된 절차와 완전히 같다. 즉, 도 12의 단계 S1, S2, S4 및 S5는 각각 단계 S1~5', S2~5', SS4~5' 및 S5~5'에 대응한다. 단계 S3~10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 모드 내에 세트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수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 내에 포함된 사전 설정된 용지수 W는 비교된다. 이 사전 설정된 용지수 W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스테이플링 핀에 의해 야기되는 용지들의 오정렬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임계값으로써 용지들의 수로 세트된다.
단계 S3~10에 있어서, 만일 상기 스테이플 모드 내에 세트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수가 사전 설정된 용지수 W보다 같거나 많으면, 상기 스테이플 핀의 영향은 대개 무시될 수 있다. 반대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수가 상기 사전 설정된 용지수 W보다 적으면, 상기 핀의 영향은 무시될 수 없다.
단계 S3~10에 있어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수가 상기 사전 설정된 용지수 W보다 적으면, 상기 프로그램은 아니오(NO)로 들어가 단계 S3~11을 진행한다. 단계 S3~11에 있어서, 용지수 계산기의 축적된 값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사전 설정된 용지수 A'과 비교된다. 상기 사전 설정된 용지수 A'는 용지의 휨이나 상기 용지와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의 간섭에 의해 야기되는 상술한 용지들의 오정렬(misalignment)이 첫째로 발생될 수 있는 값으로 세트된다.
만일 상기 용지수 계산기의 축적된 값이 상기 사전 설정된 용지수A'을 초과하면, 상기 용지는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에서 더 이상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위로 수납될 수 없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가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로부터 하강된 위치에서 용지를 수납한다. 이에 의해, 상기 용지수 계산기의 값은 단계 S3~11에서의 상기 사전 설정된 용지수 A'와 비교된다. 만일 상기 용지수 계산기의 값이 상기 사전 설정된 용지수 A'에 도달하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하강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단계 S4~5'로 진행한다.
또한, 비록 상기 용지수 계산기의 값이 단계 S3~11에서 사전 설정된 용지수 A'보다 적을 때 용지의 휨에 대한 영향은 무시될 수 있을지라도, 상기 핀 두께에 대한 영향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가 증가함에 따라 나타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용지수 계산기의 값이 단계 S3~11에서의 상기 사전 설정된 용지수 A'보다 적으면, 상기 프로그램은 아니오(NO)로 들어가 단계 S3~12에서의 상기 스테이플 핀의 영향을 체크한다.
단계 S3~12에 있어서, 스테이플된 용지수 계산기의 값은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 B'과 비교된다. 만일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의 값이 상기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 B'에 도달하면, 상기 프로그램은 사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하강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단계 S4~5'로 진행한다. 만일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의 값이 상기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 B'보다 적다면, 상기 프로그램은 복귀(RETURN)로 끝난다.
단계 S3~10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수가 사전 설정된 용지수 W와 같거나 그 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스테이플 핀의 두께의 영향과 상기 휨(curl)의 영향을 체크하기 위해 단계 S3~11과 S3~12에서의 프로세스와 같은 유사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만일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핀 두께의 영향을 판단하고 상기 휨이 무시되지 않는다면, 그땐 복귀(RETURN)로 끝난다.
다시 말하면, 비록 상기 용지수 계산기의 값이 사전 설정된 용지수 A보다 적을 때 상기 휨의 영향은 무시될 수 있을지라도, 만일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의 수가 증가하면, 상기 스테이플 핀의 두께영향은 나타난다. 따라서, 만일 상기 용지수 계산기의 값이 단계 S3~13에서의 용지수 A보다 적다면, 상기 프로그램은 아니오(NO)로 들어가 단계 S3~14에서의 상기 스테이플 핀의 두께영향을 체크한다.
단계 S3~14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수 계산기의 값을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 B와 비교한다. 만일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수 계산기의 값이 상기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 B에 도달하면, 상기 스테이플 핀의 영향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4~5'을 실행하고, 만일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수 계산기의 값이 상기 사전 설정된 수 B보다 적으면, 그땐 상기 프로그램은 복귀(RETURN)로 끝난다.
상기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 B는 스테이플 프로세스동안 상기 핀의 두께에 의해 야기되는 상술한 용지들의 오정렬(misalignment)이 발생하는지 여부에 대한 임계값으로 세트되어 있다.
상기 사전 설정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러한 사전 설정된 용지수 X, A, A', W, α,β,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 내의 사전 설정된 용지수 W 및 상기 사전 설정된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 K, B, B', Y, h, m은 임계값으로써 더욱 상세한 단계로 세트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이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위에 적재된 용지와 접촉하고 있는 동안 만일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이 회전하면,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용지가 배출될 때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이 회전하기 전에 상기 적재된 용지의 최상표면이 적어도 상기 용지배출롤러 3으로부터 분리하는 거리정도 내에서 제어기에 의해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가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로부터 하강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상기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그후,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 즉 도 10에서의 이점쇄선에 의해 나타내어진 위치이며 거리 L1내에서 상기 용지배출롤러 3으로 떨어진 위치보다 하강된 제1용지수납위치에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를 지지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가 제1용지수납위치에서 용지를 수납하도록 제어되는 제1하강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가 용지를 상기 제1용지수납위치에서 배출하는 것을 완전히 마쳤을 때, 용지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의 회전정지 후 상기 제어기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를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로 상승시키고, 다음에 들어오는 용지를 기다린다. 똑같은 제어가 반복된다.
비록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이 용지와 접촉하여 회전하는 것은 방지되지만, 상기 제1용지수납위치(도 10의 거리 L1의 위치)는 상기 용지배출롤러 3으로부터 보아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도 10의 거리 L)보다 낮기 때문에 용지의 떨어짐이 많게 된다. 따라서, 보다 적은 강성율을 가진 용지의 하류쪽 끝단부는 휘기(끝단이 휘는)쉽고 용지손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하강모드에 추가하여 제 2하강모드를 실행한다. 상기 제 2모드에 있어서, 한 번 하강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는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이 회전을 시작한 후 용지가 상기 용지배출롤러 3으로부터 배출되기 전에 상기 기준용지수납 위치쪽으로 상승된다.
따라서, 용지가 상기 용지배출롤러3으로부터 배출되기 전에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를 상승시킴에 의해, 그리고 상기 용지의 선단부의 휘어짐이 발생하기 전에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표면으로 상기 용지의 선단부를 수납함에 의해 상기 선단휘어짐은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상승동작은, 용지가 그 선단부에서 뿐만 아니라 그 끝단에서 완전히 배출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제어타이밍 또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이동속도의 세팅레벨에 따라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는 상기 용지의 끝단이 완전히 배출되기 전에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에 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위의 용지의 최상표면의 휘어진 표면부분 또는 스테이플 핀을 가지는 부분은 상기 용지배출롤러 3과 접촉할 수도 있기 때문에, 그러한 상황이 발생하여 배출되는 도중에 있는 상기 용지의 끝단이 완전히 배출될 수 없다고 가정할 수도 있다.
그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제어에 추가하여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가 상승된 후 상기 용지배출롤러 3으로부터 용지의 배출이 종료하기 전에, 다시 말하면 상기 용지의 끝단이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위로 배출되기 전에, 상기 제어기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가 다시 하강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는 상기 제1용지수납위치에 도달할 때의 시간에서 정지된다.
따라서, 배출되는 도중에 있는 상기 용지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하강도중에 상기 트레이 12위로 그 끝단이 완전히 배출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용지는 상기 제1용지수납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위에서 배출될 수도 있다. 상기 어떤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용지는 어떠한 문제없이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상으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지가 완전히 배출될 때, 상기 용지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의 회전을 정지한 후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가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는 상승되고, 다음에 들어오는 용지를 기다린다.
상기의 제어절차는 반복된다.
이러한 제어는 이하 도 19의 사용에 의해 설명되는 절차를 따르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술한 제 1모드와 제 2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용지적재장치를 구축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도 19에서의 플로우챠트를 따른다.
상기 제 1하강모드를 실행할 수 있는 용지적재장치를 구축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도 19에서의 플로우챠트에서 단계 S4에서 S8까지의 절차가 생략된 플로우챠트를 따른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모드, 제 2모드 기타와 같은 각각의 모드에 대한 선택은 제어판넬 내에 장착된 모드를 위한 선택키를 스위칭함으로써 실행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스테이플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장치와의 결합의 경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스테이플 모드와 연결되어 세트될 수도 있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통상의 모드 또는 스테이플 모드에 상관없이 휘어짐이 일어나기 쉬운 용지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로부터의 감지된 정보에 연결하여 세트될 수도 있다.
상기 하강 모드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제어장치는 그 모드를 인식하고 도 9의 단계 S1 또는 단계S4에서의 예(YES)를 판단한다.
이때, 비록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는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상기 통상의 모드와 스테이플 모드의 경우 다르나,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용지가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위에 존재하지 않을 때의 상기 트레이의 최상표면, 그리고 상기 용지가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위에 존재할 때의 상기 용지의 최상표면)와 상기 용지배출롤러 3사이의 거리가 L이 되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위치가 어떤 경우에서도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로 정의된다.
도 1에서 도8까지 도시된 구조들을 가진 용지적재장치를 포함하는 용지이송처리장치 내에서의 상기 하강모드의 실시예는 도 19의 사용에 의해 상기 스테이플 모드로 주로 설명된다.
도 19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장치로 배출되어질 수 있는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변화중 어느 하나, 다시 말하면 트리거(trigger)로서 상기 배출모터 57의 시작에 따라 상기 배출벨트 홈센서 37에 의해 상기 배출벨트 10의 시작감지 또는 통상의 모드에서 출입구센서(entrance sensor)36에 의한 용지감지에 따라 플로우챠트가 하강모드인지 여부를 상기 프로그램은 판단한다. 만일 상기 하강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S2로 진행하고, 만일 상기 하강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그땐 상기 프로그램은 복귀(RETURN)로 끝난다.
타이머는 트리거로써 도 20에서의 시점 T0(시간 포인터 0)에 기초하여 시간계산을 시작하고,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는 동시에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 도 10에서의 실선에 의해 나타나는 것처럼)로부터 하강되기 시작한다.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은 사전 설정된 시간 t1이 상기 시점 T0로부터 지나가는 시점 T1에서 회전을 시작한다. 상기 시간 t1은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이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는 시간으로 사전 설정된다(단계 S3). 상기 사전 설정된 시간 t1은, 상기 배출폴(discharge pawl) 10a가 홈 위치로 이동하기 시작할 때 의 시점과 그 후단펜스 19의 위치에서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를 낚아챈 후 상기 배출폴 10a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와 함께 상승하기 시작할 때의 시점사이의 시간으로 세트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3에서의 프로세스가 실행함과 동시에 단계 S4에서의 상기 제2하강모드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제 2하강모드가 선택되지 않는다면,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9로 건너뛰어 상기 제 1하강모드를 실행하고, 만일 상기 제 2하강모드가 선택되면, 그땐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5로 진행한다. 상기 두 개의 제 1하강모드와 제 2하강모드가 이하 분리되어 설명된다.
a. 제 1하강모드
상술한 단계 S2에서 하강을 시작하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는 사전 설정된 시간 t2가 상기 시점 t1으로부터 지나간 후 시점 t2에서 하강을 정지한다. 상기 시간 t2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가 상기 시점 T0로부터 상기 제1 용지수납위치(도 10에서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남)로 하강을 요하는 시간으로 결정된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는 상기 제 1용지수납위치에 머문다(단계 S9).
용지는 이 단계까지 진행된다.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은, 사전 설정된 시간이 상기 용지배출센서 38이 타이머에 의해 용지의 끝단을 감지할 때의 시간으로부터 지나갈 때의 시점에서 회전이 정지되며, 상기 사전 설정된 시간은 상기 용지가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위로 완전히 배출될 때 상기 용지의 끝단이 상기 용지배출센서 38에 의해 감지될 때의 시간으로부터 요구되는 시간으로 결정된다(단계S10).
만일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의 회전이 정지하면, 상기 용지의 최상표면은 아무런 문제없이 상기 용지배출롤러 3에 접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는 즉시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는 단계 S11에서 상승된다. 그러므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는, 단계 S12에서의 상기 용지표면레버 13을 경유하여 상기 용지표면센서 32가 ON으로 변해진 상태 하에서 단계 S13에서 정지된다. 이에 의해,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는 도 10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상기 기준용지위치로 되돌아가서 다음에 들어오는 용지를 기다린다. 동일한 제어가 이하 반복된다.
b. 제 2하강모드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이 회전하고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가 하강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단계 S5에서 상기 용지센서 38에 의한 상기 용지의 선단감지를 기다린다. 만일 상기 용지의 선단이 상기 용지배출센서 38에 의해 감지된다면, 하강하고 있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는 상승하는 것으로 변해진다(단계S6). 이것은 상기 용지의 선단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높은 위치로 위치된 상태에 있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에서 상기 용지의 선단을 수납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최적위치는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를 상기 용지가 그 선단휘어짐이 야기됨이 없이 수납될 수 있는 위치로 상승시키기 위한 사전 설정된 시간의 차이는 단계 S5와 단계 S6사이에서 세트됨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시간의 차이는 실험에 의해 결정되며 타이머에 의해 세트된다.
상기 용지의 선단은, 상기 용지배출센서 38로 용지의 끝단을 감지함에 의해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상으로 완전히 배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용지배출센서 38의 위치는 상기 용지배출롤러 3,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 및 상기 용지의 크기에 관련한 사전 설정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요구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지배출센서 38은 상기 용지배출롤러 3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용지의 끝단이 상기 용지배출센서 38에 의해 감지될 때 상기 용지의 선단은 충분하게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상으로 배출된다.
단계 S7에 있어서, 상기 용지의 끝단이 상기 용지배출센서 38에 의해 감지될 때 단계 S6에서 이미 상승을 시작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는, 상기 용지의 끝단을 시점에 기초하여 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에 따라 상기 용지의 끝단이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을 통과하기 전에 하강하는 것으로 변해진다. 이러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하강동작은, 그 경사를 따라 미끄러져 내려오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상으로 배출되고 상기 배출롤러 3과의 간섭없이 그 끝단에서 상기 후단펜스 29에 대하여 부딪치게 되는 용지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수행된다.
상기 용지의 끝단은 그러한 공간이 확보된 시점이후 적어도 상기 용지배출롤러 3에 의해 배출된다. 이러한 하강동작은 단계 S9에서 정지된다. 단계 S9후의 절차는 앞서의 제 1하강모드에서 설명되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상기 용지이송처리장치를 위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뿐만 아니라화상형성장치용 상기 용지배출트레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기는, 컴퓨터 기술영역의 당업자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개시에 따라 프로그램된 종래의 범용 디지털 마이크로프로세스 컴퓨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적절한 소프트웨어 코딩은, 소프트웨어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시에 기초하여 숙련된 프로그래머에 의해 쉽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그 기술분야의 당업자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특정한 집적회로를 마련하거나 종래의 성분회로들을 적절하게 상호연결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명백하게, 본 발명에 대한 많은 개량과 변화가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가능하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것이라도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내이면 본 발명이 실시될 수도 있음을 이해되어야 한다.
지금 충분하게 본 발명을 설명하였기 때문에, 여기에서 나타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는 많은 변화나 개량이 만들어질 수 있음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의 견지에서 명백하다. 본 출원서는 1997년 12월 1일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번호 JPAP09-330101)과 1998년 2월 24일에 출원된 이본 특허출원(번호JPAP10-042261)에 기초한 것이며, 상기 모든 내용은 참고로 통합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1. 용지후 처리장치의 전체구조
본 발명의 용지적재장치의 바람직한 구조 및 개략조작을 도 1 내지 9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에서 부호 600은 복사기등(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록지의 분류, 적재 및 스테이플링 처리를 하는 용지후 처리장치의 일례로서의 마무리 장치를 나타낸다.
마무리장치 600에 관하여, 용지의 처리방향 순서대로 유입센서, 유입롤러 1 및 선택피크 8이 복사기 등으로부터 용지 이송 통로의 입구에 탑재되어 있다.
용지배출트레이 12를 향해 이송되거나 혹은 스테이플장치 11을 향해 이송되는 용지는 선택 피크 8의 회전운동에 의해 분리된다. 용지배출트레이 12로 향하는 이송통로에는 한 쌍의 상부이송 롤러쌍 2a와 2b, 용지의 선단 및 후단을 검출하는 용지배출센서 38, 한 쌍의 용지배출롤러 3(이하 '용지배출롤러 3' 라한다), 포지셔닝롤러 7, 용지표면 레버 13, 용지표면 센서 32 및 33 (도 7A와 7B참조)이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플장치 11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송통로에는 하부 이송롤러 4a와 4b, 용지배출센서 37, 용지 이송롤러(브러쉬 롤러) 6이 배치되어 있다.
벨트에 의해 연결된 하부 이송롤러 4a와 4b는 후술되는 이송모터 54에 의해 구동된다.
용지배출트레이 12는 필요에 따라 업-다운 모터 23과 쉬프트모터 52에 의해 상하방향(도 1)이나 좌우방향 (도1에서 용지표면으로 침투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플 장치 11은 스테이플 트레이 62 아래쪽에탑재된다. 스테이플 트레이 62에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정렬용 조거펜스 9a와 9b, 리터닝 롤러(returning roller) 5, 철해진 용지묶음을 배출하기 위해 조거펜스 9a와 9b 뒤에 위치한 배출벨트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조거펜스 9a, 9b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거벨트 49를 통해 조거모터 26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리터닝 모터는 포지셔닝 솔레노이드에 의한 진자운동을 위해 제공된다.
용지의 하부측(끝단 모서리)을 수용하고 정지시키기 위한 후단펜스 19가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거펜스쌍 9a, 9b 아래에 탑재된다.
스테이플 장치 1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플 벨트 50에 탑재되어 스테이플러 이동모터 27이 야기한 스테이플 벨트 50의 이동에 반응하여 횡방향 (도1에서의 침투방향)으로 이동한다.
용지배출센서 37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의 후단을 검출한다.
상기 포지셔닝 솔레노이드 30은 용지배출 센서 37의 후단검출신호를 기초로 한 ON 명령에 의해 리터닝롤러 5를 이동시킨다.
리터닝롤러 5는 용지의 후단과 부딪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용지를 정렬한다.
상기 용지후 처리장치에서 제어장치로서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는 회로구조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각의 스위치 및 센서로부터 나오는 신호 각각은 I/O 인터페이스 60을 통해 CPU 70으로 입력된다.
CPU 70은 입력되는 각 신호에 상응하는 업다운 모터 23, 쉬프트 모터 52, 선택 솔레노이드 53, 포지셔닝 솔레노이드 30, 이송모터 54, 용지배출모터 55, 스테이플 모터 56, 배출모터 57, 스테이플러 이동모터 27, 및 죠거모터 26을 구동한다.
이송모터 54의 펄스신호는 CPU에 입력될 때 카운트되며 카운트 데이터에 따라 포지셔닝 솔레노이드 30이 제어된다. 용지를 정렬하는 정렬제어장치는 CPU 및 CPU를 구동하는 여러 가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용지 후처리장치의 조작
[통상 모우드]
스테이플 과정을 조작하지 않는 통상 모우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구조의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복사된 용지는 유입롤러 1에 의해 수용되어 선택피크 8이 코스제어에 의해 용지배출트레이 12로 향하는 통로를 따라 나아가고 상부 이송롤러쌍 2a, 2b에 의해 이송된 다음 한 쌍의 용지배출 롤러 3에 의해 배출된다.
도 1, 7A, 8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적재면에서는, 스폰지와 같은 재질로 되어 있는 포지셔닝 롤러 7이 그 자중(自重)에 의해 전자식으로 접촉한다. 용지배출트레이 12로 배출된 용지는 그 경사면을 따라 스위치백 방식(switchback manner)으로 하향으로 하강한다.
용지가 포지셔닝롤러 7에 의해 그 하단(후단가장자리)에서 끼워지면, 용지는 포지셔닝 롤러 7에 의해 하부로 이송되도록 구동되고 용지수용기구로서 후단펜스 29(도 7A)에 대하여 부딪힌다.
이와 같이하여 용지의 길이방향(용지이송방향)의 배열이 수행된다. 포지셔닝 롤러 7은 이송되는 용지를 아래로 구동시키기 위해 회전하며 덧붙여서 포지셔닝 롤러 7의 회전속도는 적재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용지배출 센서 38이 용지의 후단을 검출할 때 감소된다.
이와 같이, 복사된 용지는 순서대로 한 장씩 용지배출트레이 12상에 배출된다. 이에 따라 용지배출트레이 12상에 적재된 용지의 상표면이 상승된다. 축 13a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용지표면레버 13의 끝가장자리는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자중으로 용지배출트레이 12상에 적재된 용지의 상표면과 접촉하도록 탑재된다.
용지표면 레버 13의 타단 가장자리는 광차단기로 구성된 용지표면센서 33에 의해 검출되도록 구성된다.
용지표면 센서 33은 스테이플 과정(제본과정)이 수행되지 않는 통상 모우드에서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상승-하강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되며 나아가 용지표면센서 32는 스테이플 모우드(제본 모우드)에서 상승-하강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다.
용지표면 레버 13은 받침점을 중심으로 그 자중에 의한 모멘트로 회전가능하며, 용지 표면레버 13이 용지표면센서 32 또는 33을 ON하는 위치에서 용지표면 레버 13의 자유단 부분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중지부재(stopping member)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중지부재는 용지표면센서 32의 위치에서 걸고 중단시키며 통상 모우드에 있을 때 그리스 스테이플 모우드에 있을 때 용지표면센서 32를 ON한다.
중지부재는 용지표면센서 33의 위치에서 걸고 중단시키며 용지표면센서 33을 ON한다.
용지배출트레이 12상에 용지가 한 장씩 적재되면, 용지표면레버 13의 자유단부분은 적재된 용지에 의해 밀려진다. 용지표면 레버 13이 용지표면센서 32 또는 33으로부터 이동되면 용지 표면센서 32 또는 33이 OFF 된다.
이때, 통상모우드가 선택되기 때문에, 용지배출트레이상의 적재된 용지의 상표면은 용지배출롤러 3으로부터 용지가 한 장씩 배출될 때마다 상승한다. 따라서, 용지배출트레이 12가 용지표면센서 13의 자유단부분이 용지센서 33으로부터 떠날 때마다 용지표면센서 33이 ON될 때까지 업다운 모터 23을 구동하여 용지배출트레이 12가 하강되도록 제어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용지배출트레이 12상에 있는 용지의 터치다운 위치조건은 일정값을 기초로 제어된다. 다시 말해서, 용지배출롤러 3과 용지배출트레이 12(용지의상표면) 사이의 거리는 도 10에서와 같이 거리 L로 제어된다. 도 10은 용지배출트레이 12에 용지가 적재되어 있지 않는 경우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그러나, 용지배출트레이 12가 용지로 적재되어있는 경우라도 적재된 용지의 상표면과 용지배출 롤러 3 사이의 분리거리는 거리 L을 기초로 제어된다.
이같이, 용지배출롤러 3으로부터 일정거리를 갖는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위치를 "기준용지 수용위치(standard sheet receiving position)"라하고 이는 구부러짐 등을 갖는 특수용지가 아닌 보통용지를 수용하기 위해 설정된 적당한 위치이다.
통상 모우드에서 용지를 한 장씩 배출하는 경우와 스테이플 모우드에서 제본된 용지를 배출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기준용지 수용위치는 서로 다르다. 이는 용지표면센서 32 및 33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명백한 것이다.
나아가 분류/적재 모우드에서는 용지배출트레이 12가 복사기 본체의 제어패널로부터 발생된 분류신호에 따라 시프트모터 52를 사용하여 횡방향으로 정해진 량만큼 이동된다. 이 이동동작은 적재위치를 달리하여 끝날 때까지 수행된다. 더욱이 용지배출트레이 12는 그 일이 끝나면 회수되는 용지를 준비하기 위해 약 30mm정도 하강된다.
[스테이플 모우드(제본 모우드)]
다음에 스테이플 모우드에서 제본 과정을 수행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테이플 모우드가 선택되면, 한 쌍의 조거펜스 9a 및 9b가 그 홈위치로부터 이동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서 용지의 측면선으로부터 약 7mm 떨어진 위치에서 대기한다.
도 1에서, 이송모터 54에 의해 용지가 구동되면 용지는 하부 이송롤러 4a와 4b에 의해 이송된다. 용지가 용지배출센서 37을 통과할 때, 조거펜스쌍 9a와 9b는용지를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내측으로 5mm 정도 밀게된다. (도 2에서 검은색 화살표 방향의 이동) 나아가 용지가 용지배출 센서 37을 통과했을 때의 시점에서 용지배출센서 37은 용지의 후단이 통과하는 것을 검출하고 그 신호를 CPU 70에 입력한다.
CPU는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이송모터 54로부터 나오는 진동펄스를 계수하고 예정된 펄스가 진동된 후 포지셔닝 솔레노이드 30을 ON 시킨다.
리터닝롤러 5는 포지셔닝 솔레노이드 30을 ON 및 OFF 시킴으로서 상하로 요동한다. 리터닝롤러 5는 용지와 부딪혀 포지셔닝 솔레노이드가 ON 될 때 용지를 아래로 되돌린다.
리터닝롤러 5는 용지를 후단펜스 19에 대하여 밀어 용지를 정렬한다. 이때 용지가 유입센서 36 (혹은 용지 배출센서 37)을 통과할 때마다 유입센서 36(혹은 용지배출 센서 37)에 의해 발생된 신호가 CPU 70으로 입력되고 스테이플 트레이에 의해 수용된 용지수가 계수된다.
포지셔닝 솔레노이드 30이 0FF 된 때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 한 쌍의 조거펜스 9a, 9b가 조거모터 26에 의해 2mm 만큼 내측으로 이동하여 일시적으로 중지하며, 측방향 배열이 종료된다.
그후 한 쌍의 조거펜스 9a, 9b가 7mm 만큼 회귀하여 다음 용지를 기다린다. 이 절차는 마지막 용지가 종료될 때까지 반복된다.
마지막 용지에서 7mm 만큼의 조깅동작이 다시 수행되고 상기 한 쌍의 조거펜스 9a, 9b는 스테이플 동작을 준비하기 위해 용지 묶음의 양측단을 고정시킨다.
그 후, 스테이플 장치 11은 정해진 시간 경과 후 동작하며, 제본과정이 수행된다. 이때, 복수의 제본위치에 대한 제본과정이 표시되면 스테이플 이동 모터 27이 구동되어 첫 번째 제본과정이 종료된 후 용지의 후단을 따라 스테이플장치 11을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후 두 번째 제본과정이 수행된다.
제본과정이 종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모터 57을 구동하여 배출벨트 10을 구동시킨다. 이때, 용지배출모터 55가 또한 구동되어 배출벨트 10이 들어올린 용지묶음을 수용하기 위한 회전을 시작한다. 상기 조거펜스 9a, 9b 쌍은 각각의 크기 및 제본된 용지수 각각에 대하여 다른 조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된다.
예를 들어, 제본된 용지수가 정해진 용지수보다 적거나 용지크기가 미리 설정된 크기보다 적을 때, 그 용지묶음은 끌어당겨지고 사이에 끼워진 그 후단에서 배출폴(discharge pawl)에 의해 이송된다. 나아가 용지는 배출벨트 홈센서 39에 의해 정해진 펄스가 계수된 후 조거펜스 9a, 9b를 2mm 만큼 후퇴시킨 상기 조거펜스 쌍에 의한 파지로부터 해제된다.
상기 배출 폴 10a가 용지묶음의 후단에 대하여 부딪칠 때와 상기 배출폴 10a가 상기 조거펜스쌍 9a, 9b의 끝단부로부터 통과할 때 사이에 정해진 수의 펄스가 설정된다.
또한 제본된 용지수가 미리 설정된 수보다 크거나 혹은 제본된 용지의 크기가 정해진 크기보다 클 때, 용지는 앞서 상기 조거펜스쌍 9a, 9b를 약 2mm 만큼 후퇴시키면서 배출된다.
어떤 경우라도, 용지묶음이 조거펜스쌍을 통과할 그 조거펜스쌍 9a, 9b는 대기위치로 되돌아가 용지배출 롤러 3으로부터 나오는 다음 용지를 기다리기 위해 약 5mm 만큼 더 이동한다. 나아가, 상기 파지력은 상기 조거펜스 9a, 9b와 상기 용지사이의 거리를 설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마지막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순차과정이 반복된다.
용지배출트레이 12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다운 리프트 벨트 48에 걸려있다. 업-다운 리프트 벨트 48은 기어 및 타이밍 벨트를 통해 업-다운 모터 23에 의해 구동되며 그 모터 23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승 및 하강된다.
도 7B는 홈위치를 기초로 한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용지수용위치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용지수용 위치는 상기 업-다운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용지표면 레버 13과 용지표면센서 32, 33으로 용지수용위치를 검출함으로써 설정된다 (표면센서 33은 통상모우드에 사용되는 것이며 표면센서 32는 스테이플모우드에 사용되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도, 용지배출롤러 3으로부터 나오는 용지는 각 모우드에서 기준 용지수용위치에 있는 용지배출트레이 12상으로 배출된다. 용지가 적재될 때마다 용지배출트레이 12는 하강하며, 결국 하한센서 34에 의해 하한위치가 검출된다.
나아가, 용지배출트레이 12가 상승하고, 그리고 용지배출트레이 12가 예정된 상한 위치에 도달하면, 포지셔닝 롤러 7 역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상표면에 의해 밀려진다.
포지셔닝 롤러 7은 회전중심으로서 회전축 7a 주위를 회전가능하며, 용지배출트레이 12가 예정된 상한위치에 도달하면, 회전가능 레버의 끝단부가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상단스위치 31을 ON시킨다.
도 8은 상단 리미트 스위치 31의 OFF 상태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9는 ON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상단 리미트 스위치가 OFF 상태에 있으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다운 모터 33의 구동이 중단되게 되고, 용지배출트레이 13 상부에 위치한 부품들은 용지배출트레이 12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후단펜스 19는 4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펜스 19a와 19b 모두는 고정된 형태로서 스테이플트레이 62에 고정되어 있다. 펜스 19c와 19d는 이동식 형태로서 스테이플장치 11상에 탑재되어 장치11과 함께 이동하게 되어있다.
이하 용지 후처리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지배출트레이 12상에 적재된 용지가 용지배출롤러 3과 접촉하거나 혹은 용지배출트레이 12상에 이미 적재된 깨끗하지 못한 용지와 용지배출 롤러 3으로부터 나오는 다음 용지가 서로 방해하는 상태에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용지 후처리장치는 문제가 야기되기 전에 특정 적재상태가 검출되면 제어기가 용지배출트레이 12를 이같은 문제가 야기되지 않는 위치까지 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용지배출트레이 12는 기준용지 수용위치로부터 하강하여 용지배출트레이 12가 하강하고 있거나, 막 하강을 멈추었거나 혹은 하강 과정이 완료된 후 상승과정에 있는 위치에서 다음 용지를 수용한다. 이같은 위치중 어느 하나도상기한 문제점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없다. 이같은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구로서 도 6에 도시된 구성이 채택된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용지적재장치가 용지배출트레이 12, 용지배출롤러 3, 상기 용지배출롤러 3의 바로 앞에 설치된 용지배출센서, 배출가능한 용지배출트레이 12로 진행시키기 위해 용지의 어떠한 변화도 인식할 수 있고 용지배출센서 38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는 장치(배출벨트 홈센서 37 혹은 유입센서 36에 해당함), 모터와 같이 이들 요소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시스템, 및 도 6에 도시된 상기 요소들을 제어하고 주성분으로서 CPU 70을 갖는 제어기구를 포함한 끝처리장치(finisher) 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있다.
이같은 구성이 제공된 용지 적재장치는 팩시밀리, 복사기 등과 같이 용지를 배출하는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에 나오는 용지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배출트레이 12상에 있는 적재된 용지가 일정량에 도달하면 용지배출롤러 3의 파지부 보다 "L+L1" 만큼 낮은 거리인 위치에 머무르는 용지배출트레이 12에 의해 수용된다.
이때, 상기 정해진 일정량은 용지후단이 용지배출롤러 3에 접촉하거나 적재된 용지가 접혀졌거나 스테이플 핀의 두께로 인해 영향을 받아 용지의 오배열이 일어나기 전에 그 적재량 범위 내에서 임의적으로 정해질 수 있는 적재량을 의미한다.
용지가 이같은 적재량에 도달하면, 용지배출트레이 12는 기준용지 수용위치로부터 거리 L1만큼 하강한다. 거리 L1은 기준용지 수용위치로부터 용지배출트레이 12를 하강시키기 위한 예정된 적재량에 상응한다. 정해진 거리 L1만큼 하강된 후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위치가 도10에서 2중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정해진 거리 L1의 실질적인 값은 용지배출트레이 12상에 적재된 용지의 비틀림(접힘)이나 스테이플핀의 두께에 따라 개별적으로 설정된다.
일정거리 L1을 설정하는 기준은 이미 적재된 용지의 후단이 용지의 비틀림이나 스테이플핀의 두께에 의해 용지 배출롤러 3과 접촉되더라도 그 후단이 용지배출롤러 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다시 말해서, 정해진 길이 L1을 정하는 기준은 용지배출롤러 3으로부터 배출된 용지가 이미 적재된 용지 더미를 충분히 지나갈 수 있는지, 그리고 배출동작이 적재된 용지의 적정 정렬상태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나아가 다음 용지를 받기 위한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타이밍은 용지배출트레이 12가 하강하고 있거나, 하강하는 것을 중단하였거나, 하강 후 상승하고 있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될 수 있기 때문에, 거리 L1은 앞서 언급된 타이밍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배출트레이 12가 기준용지 수용위치를 기준으로 하강되기 때문에, 트레이 12는 최소다음 용지(다음 용지후 나오는 용지) 수용한 후 그리고 정해진 거리 L1만큼 하강한 후 정해진 수용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다시 상승한다.
트레이 12를 일단 상승시킨 후 하강시키는 이유는 다음 용지 수용조작시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예정된 하강량을 정확히 결정하기 위해서이다. 이는 트레이 12상에 적재된 용지의 상표면 위치(혹은 높이)가 트레이 12의 하강된 위치에서 용지를 수용함으로써 변경되기 때문이다.
또한 최소한 다음 용지 수용후 트레이 12를 상승시키는 이유는 다음 용지로서 일련의 제본된 용지에 포함된 다수량의 용지를 수용한 직후 트레이 12를 상승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혹은 비-제본 용지의 경우 복수량 용지를 수용하는 조작에 있어서 특정량의 용지를 수용한 후 용지배출트레이 12를 상승시키는 다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양자 경우는 최소 다음 용지가 수용될 때 트레이 12가 상승되는 경우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명확히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제본된 용지만의 세트, 제본되지 않은 용지만의 세트, 제본된 용지와 제본되지 않는 용지가 결합된 것등 트레이 12상에 적재된 여러 가지 용지상태가 있을 수 있다.
비틀림(curl)에 의한 영향의 단계는 제본된 용지 혹은 제본되지 않은 용지에 관계없이 용지의 수에 관련된다. 따라서, 제본되지 않을 용지의 비틀림은 복사된 용지의 수 (=용지수)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스테이플 핀 두께의영향은 제본된 용지에 대한 특별한 문제로서 이 문제는 제본된 용지의 수와 복사된 용지의 수에 관련된다.
따라서 용지의 상기 언급된 정해진 적재량을 설정시 이들 성분들 즉, 용지수, 복사된 용지의 수, 제본 용지의 수 등은 고려되어야 하며, 그 후 트레이 12를 하강시켜야 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값이 결정된다.
본 실시예는 후술되는 각 실시예에서의 기술사상을 포함하는 상위개념으로서의 기술사상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는 용지수를 고려하여 기준용지 수용위치로부터 하강된 위치에서 용지를 수용하도록 트레이 12의 위치를 선택하는 판단기준으로서 예정된 적재량을 기술한다.
이 경우 트레이 12를 하강시키는 제어절차를 도11, 12 및 17을 주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관련된 용지 후처리용 주프로그램의 일부를 예시하고 있으며, 여기서는 용지수를 계수하는 제어를 위한 서브루틴 R1과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하강동작을 제어하는 서브루틴 R2가 순서대로 수행된다.
서브-루틴 R2가 수행되면, 프로그램은 서브루틴 R1의 상부로 돌아간 후 서브루틴 R1이 다시 수행된다. 이 서브-루틴 사이클은 반복되며, 이들 제어는 도 6에 도시된 제어장치에서 수행된다.
도 11에서의 서브루틴 R1의 내용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고, 서브루틴 R2의 내용은 도 17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통상모우드와 스테이플모우드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에서의 서브루틴 R1의 내용은 용지수계수의 제어를 위해 도 12에 도시된 루틴으로 수행되며, 서브루틴 R2의 내용은 트레이 12의 하강동작 제어를 위해 도 17에 도시된 루틴으로 수행된다.
이하 도 12의 플로우챠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1에서 트레이 제이 플랙이 1인지 여부를 제어기가 판단한다. 만일 1이면 프로그램은 YES를 택한 다음 리턴(RETURN)으로 가게되고, 그후 프로그램은 서브루틴 R2로 진행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관련하여 용지배출트레이 12를 하강시키는 제어모우드의 초기에 모든 플랙은 클리어된다. 트레이 12를 하강시키는 제어모우드가 클리어되지 않으면 통상모우드 및 스테이플모우드가 트레이 12를 하강시키는 제어모우드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그 경우, 제본된 용지와 제본되지 않은 용지의 혼합세트가 트레이 12에 존재하게 된다.
후술되는 실시예에서는 도 12의 경우에 따라 처리되는 루틴이 기술되어 있다. 이같은 루틴에서는, 도 6에 도시된 제어장치에 포함된 다수의 용지카운터의 값(도 16에서는 X, 도17에서는 A 및 A')과 비교된 예정된 용지수, 다수의 제본된 세트 카운트의 값(도 16에서 K)과 비교되는 예정된 수의 복사된 용지수, 제본된 용지의 예정된 수(도17에서의 B 및 B')등이 이같은 혼합상태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트레이 12를 하강시키기 위한 제 1 제어모우드 상태의 트레이 제어 플랙이 "0"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단계 S1에서 답이 NO이면, 제어기는 용지배출센서 38이 ON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용지배출 센서 38을 용지가 통과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용지배출센서 38이 ON 일 때 항상 하나의 용지가 통과되는 것은 아니며, 한 장 통과 조작에 따라, 통상모우드에서 한 장이 통과하고, 혹은 스테이플 모우드에서 한 묶음의 용지(제본된 일련의 용지묶음)가 통과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본된 용지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용지가 용지배출센서 38에 의해 검출된 한 장 통과 조작에서 통과될 수 있다.
만일 단계 S2에서 용지배출센서 38을 ON하여 제어기가 용지통과 조작을 판단하지 않는다면 (단계 S2에서의 NO), 프로그램은 리턴(RETURN)으로 진행한다. 반대로 만일 제어기가 센서 38을 ON하여 용지통과 조작을 판단한다면 (S2에서의 YES), 용지수 카운터는 통과된 장수를 계수한다.
한 장 통과 조작은 통상모우드에서 한 장이 통과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장수 카운터는 1을 계수(1을 더함)하며, 그리고 한 장 통과 조작은 또한 제본된 용지세트에 포함된 수의 용지가 스테이플 모우드에서 통과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장수 카운터는 스테이플 모우드에서 매 용지통과 조작마다 제본된 용지 내에 포함된 용지수를 계수한다.
제어기가 단계 S2에서 용지센서 38이 OFF 된 것으로 판단하면 프로그램은 YES를 취하고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제어기는 용지수 카운터의 축적된 값(용지배출트레이 12에 적재된 용지수)을 정해진 용지수 X와 비교한다. 사용자는 트레이 12로부터 용지를 제거하며, 이에 따라 용지배출트레이 12는 시간카운터에 의해 용지배출트레이 12를 상승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계수하는 기준용지 수용위치까지 상승한다.
용지의 적재량은 용지의 비틀림이나 스테이플핀의 두께에 기인하여 어떠한 문제도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가도록 일정시간이 정해진다.
상기 비틀림 및 적재된 용지와 용지배출롤러 3사이의 경계로 인한 상기한 바와 같은 용지 오정렬이 최초로 일어날 수 있는 값으로 일정 용지수 X가 설정된다. 만일 용지수 카운터의 축적값이 일단 정해진 용지수 X를 넘게되면 더 이상 기준용지 수용위치에서 용지가 용지배출트레이 상에 수용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가 그후 용지배출트레이 12가 상기 기준용지 수용위치로부터 하강되는 위치에서 수용된다. 이에 따라, 제어기는 용지수 카운터의 축적값이 정해진 용지수 X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S3에서 판단한다. 만일 용지수카운터의 값이 X보다 적으면, 용지배출트레이 12는 기준용지 수용위치에서 용지를 수용한다(도 18에서의 S7).
만일 용지수 카운터의 값이 X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S3에서, 제어기가 S4에서 트레이 상승플랙을 1로 설정하고 도5에서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하강시간을 계수하는 트레이 하강 카운터를 재설정한다.
이하 도 18의 플로우챠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S3에서 용지수 카운터가 정해진 용지수 X에 도달할 때까지, 트레이 제어플랙은 도18에서의 단계 S6에서 체크될 때 클이어되도록 대기한다.
프로그램이 NO를 택하고 용지배출트레이 12는 단계 S7에서 기준용지 수납위치에서 용지를 수납하는 것을 반복한다. 이 수순을 통상 조작이라 하며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위치는 정해진 기준용지 수납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위치는 용지표면센서 32와 33에 의해 일정범위 내에서 제어된다.
단계 7에서 통상 조작으로 반복되는 이같은 루틴에 의해 용지수 카운터의 축적값이 증대한다.
도 12에서의 S3에서 용지수 카운터의 값이 일정용지수 X를 넘게되면, 트레이제어 플랙은 S4에서 1로 설정되고 프로그램은 도1에서의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기는 YES를 택한 다음 단계 S8로 진행한다.
단계 S8에서 제어기는 트레이 하강플랙이 "1"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처음에 트레이 하강플랙이 클리어되기 때문에 프로그램은 NO를 택하고 단계 S10에서 트레이 하강 서브루틴으로 진행한다.
트레이 하강의 서브루틴에서, 상하모터 23이 구동되고 용지배출트레이 12는 하강을 개시한다. 하강 카운터는 트레이 12의 하강개시와 동시에 하강카운터 계수를 시작한다. 나아가, 단계 S10에서 트레이 하강플랙이 "1"로 설정되고 프로그램은 리턴으로 통과한다.
용지배출트레이 12가 하강하면, 단계 S10에서 트레이 하강플랙이 "1"로 설정되기 때문에, 다음부터 S18에서 프로그램이 YES를 취하고 그 프로그램은 트레이 하강 카운터의 시간계수값(time count value)과 단계 S11에서 정해져있는 임계값 m을 비교한다.
상기 트레이 하강 카운터는 도9에 도시된 제어장치내의 타이머로서 매 5㎳마다 계수한다.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12는 계수값이 일정한 임계값 m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하여 하강된다.
용지배출트레이 12가 하강되면, 앞서 언급한 용지배출센서 38이 검출한 용지가 용지배출트레이 12에 의해 수납된다. 구체적인 임계값 m은 이송된 용지의 이동속도,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하강속도, 용지배출 센서 38과 용지배출트레이 12 사이의 거리(적재된 용지를 쌓는 단계를 고려하여 용지배출트레이 12가 용지를 수납하는 위치)등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이와 같이 임계값 m을 설정함에 따라 용지배출트레이 12는 트레이 12가 하강, 하강 후 중지 혹은 중지 후 상승하는 어느 위치에서도 용지를 수납할 수 있다.
단계 S1에서 계수값이 트레이 하강 카운터의 임계값 m혹은 그 이상이 되면, 프로그램은 YES를 취하고, S12에서 트레이 상승플랙이 "1"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트레이 상승플랙은 처음에 클리어되기 때문에 프로그램은 S13으로 진행하고, 그후 용지배출트레이 12는 트레이 중지의 서브루틴 수행에 따라 중지하게 된다.
다음에, 용지배출트레이 12는 단계 14에서 트레이 상승의 서브루틴을 수행하여 상승을 시작한다. 그후 S15에서 프로그램은 트레이 상승플랙을 "1"로 설정하고 리턴으로 간다.
용지표면센서 32 또는 33은 용지배출트레이 12를 강하시킴에 따라 ON된다. 그러나 트레이 12는 트레이 12의 상승에 따라 용지표면센서 32 또는 33을 OFF 하여 중지한다. 다시 말해서 용지표면센서는 단계 S16에서 OFF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OFF 이라면 프로그램은 S17로 진행하고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상승을 중지시킨다.
이같이 단계 S17에서 용지배출트레이 12가 기준용지 수용위치로 상승되는 이유는 그 위치에서 용지를 수납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다음용지가 수납되는 때에 용지배출트레이 12를 하강시키기 위한 기준위치를 설정하기 위함이다. 이는 적재된 용지의 상표면 위치(높이)가 이미 변경되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는 제본된 용지세트에 포함된 용지수를 감안하여 용지수납위치를 절환시키는 판단 기준으로서 일정한 적재량을 설정하는 제어수순에 관한 것이다.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용지수납위치를 절환시키는 판단기준은 기준용지 수납위치로 설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스테이플 모우드가 선택될 때 기준용지 수납위치로부터 트레이 12가 하강되는 위치로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하강제어는 도 11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 의해 수행된다.
도 11에서 용지계수 제어의 서브루틴 R1의 내용은 도 13에 도시된 스테이플 계수 제어를 위한 플로우챠트의 수순에 따라 수행된다.
또한 도 11에서 트레이 하강제어의 서브루틴 R2의 내용은 도 18에 도시된 트레이 하강 제어를 위한 플로우챠트의 수순에 의해 수행된다. 즉, 본 발명의 제어는 도 13 및 18에 도시된 플로우챠트를 조합하여 수행된다.
도 18에 도시된 제어내용은 이미 설명한바 있으므로 도 13의 플로우챠트를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에서, 처리의 기본구조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공통이다. 용지배출트레이 12가 도 12의 단계 S3에 해당되는 하강될 상태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도 12에서 점선으로 둘러쌈)는 역시 점선으로 둘러싼 도 13의 단계 S3-1, S3-2및 S3-3의 조합처리로 대체된다. 이는 이들 처리사이의 차이점이다.
도 12 및 13에 도시된 처리들은 앞서 언급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다. 다시 말해서 도 12에서의 단계, S1, S2, S4, S1및 S5는 각각 도 13에서의 S1-3, S2-3, S4-3및 S5-3에 해당한다.
따라서, 중복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 13에서 점선으로 둘러싼 부분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지통과를 용지배출센서 38이 OFF에서 ON으로 절환됨에 의해 검출한다. 즉, S2-3에서 답이 YES라고 판단되면 프로그램은 단계 S3-1으로 진행한다.
이때, 용지배출센서 38에 의해 검출된 한번의 용지통과는 한 묶음의 용지 통과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일 세트의 제본용지가 용지검출센서 38에 의한 한번의 검출로 통과하였다. 만일 용지 통과가 용지배출센서 38이 OFF으로부터 ON으로 변경됨에 의해 인식된다면 도 6에 도시된 제어장치는 내부에 포함된 용지수 카운터에서통과된 용지수를 계수할 것이다.
스테이플 모우드에서는, 한번의 용지통과가 한 세트의 제본용지 내에 포함된 용지수가 통과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 제본된 일세트 용지 내에 포함된 용지수가 매 용지 통과마다 축적된다.
사용자가 트레이 12로부터 용지를 제거하면 트레이 12는 기준 용지 수납위치로 상승한다. 그후 제어기는 용지배출트레이 12가 특정시간동안 상승시 용지수 카운터를 클리어한다.
이때, 남아있는 적재용지가 비틀리거나 스테이플 핀의 두께로 인하여 문제를 야기하지 않도록 트레이 12상의 용지가 제거될 때 트레이 12가 필요한 시간에 따라 앞서 언급된 특정시간이 정해진다.
스테이플모우드에서 설정되는 제본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수와 제본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일정수의 용지 n과 단계 S3-1에서 비교된다.
이 일정수 용지 W는 스테이플 핀의 두께에 의해 야기된 앞서 언급된 용지 오정렬이 일어나는지 여부를 임계값으로서 제본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수로서 설정된다. 만일 스테이플 모우드에서 제본용지 내에 포함된 용지수가 일정 용지수 W를 넘는다면 스테이플 핀의 두께에 의한 영향을 무시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그 반대라면 스테이플 핀의 두께에 의한 영향은 무시될 수 없을 것이다. 만일 S3-1에서 제본용지내의 용지수가 W보다 적다고 판단되면 프로그램은 NO를 취하여 단계 S3-2로 진행한다.
그러나 만일 W와 같거나 W보다 많다고 판단되면 프로그램은 YES를 취하여 S3-3으로 진행한다.
단계 S3-2에서는 용지수 카운터의 값과 일정용지수 α가 비교된다. α는 제본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의 수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값이며, 용지수 카운터 값을 스테이플 모우드에 의해 정해진 제본 용지 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수로 나눌 때 스테이플 핀의 수를 계산할 수가 있다.
스테이플 핀의 영향을 이끌어내는 스테이플 핀의 수는 이미 실험에 의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스테이플 핀의 영향이 최초로 일어날 때의 용지수를 용지수 α로서 설정한다.
따라서 단계 S3-2에서 용지수 카운터의 값이 일정값 αD에 도달할 때까지 프로그램은 도 18에서의 통상 모우드를 수행하기 위해 리턴(RETURN)으로 통과하며, 그리고 용지수 카운터의 값이 일정용지수 α에서 도달했을 때 프로그램은 S4-3로 진행하여 용지배출트레이 12에 대한 하강제어를 수행한다.
단계 S3-3에서는 용지수 값과 일정 용지수 β를 대비한다. 일정용지수 β는 주로 비틀림(curl)의 영향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또한 제본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수가 일정용지수 W보다 클 때에 비틀림 영향이 유발하는 때의 용지수 실험에 의해 이미 알려져 있기 때문에 비틀림의 영향이 처음 나타날 때의 용지수를 일정 용지수 β로서 설정한다.
따라서 단계 S3-3에서 용지수 카운터의 값이 일정 용지수 β보다 적을 때 프로그램은 리턴으로 가서 도 18에서의 통상 조작을 수행하며, 그리고 만일 β에 도달하면 프로그램은 S3-4로 진행하여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하강제어를 수행한다. 그 제어는 도 12 및 18에 관련한 과정에 의한다.
하기 실시예는 용지를 기준 용지 수납위치에서가 아닌, 스테이플 모우드가 선택될 때 제본용지 세트의 수를 고려하여 용지배출트레이가 기준용지 수납위치로부터 하강되는 위치에서 수납하도록 용지배출트레이 12의 수납위치를 절환시키는 판단기준으로서 일정 적재량을 결정하는 제어수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하강제어는 도 11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의 수순에 따라 수행된다.
도 11에서의 용지계수제어의 서브루틴 R1의 내용은 도 14에 도시된 스테이플 계수 제어를 위한 플로우챠트의 수순에 따라 수행된다. 또한 도 11에서의 트레이 하강 제어의 서브루틴 R2의 내용은 도 18에 도시된 트레이 하강제어를 위한 플로우챠트의 수순에 의해 수행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의 제어는 도 14와 18 모두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의 결합수순에 의해 수행된다.
도 18에 도시된 제어내용은 이미 설명되었기 때문에 도 14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의 기본 구조는 도 12와 공통이다. 그 차이점은 도 12에서 용지배출트레이 12가 트레이 12를 하강시키는 상태로 되었는지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S3(점선으로 둘러싼 부위)에 대한 과정이 도 14에서는 단계 S3-4에 관한 부분(점선으로 둘러싼 부위)으로 대체되었다는 것이다. 그 이외는 양자 동일하다.
즉, 도 12에서의 단계 S1, S2, S4및 S5는 각각 도 14에서의 S1-4, S2-4, S4-4및 S5-4에 해당한다.
따라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도 14에서 점선으로 둘러싼 부위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에서 용지배출 센서 38이 OFF 으로부터 ON으로 절환 핀에 의해 용지 통과가 검출되며, 즉 단계 S2-4에서 프로그램이 YES 라고 판단되면 프로그램은 S3-4로 진행한다.
이때, 용지 배출센서 38에 의해 한번의 용지통과가 검출되면 하나의 제본용지 세트가 통과된 것이다.
만일 용지배출센서 38이 OFF에서 ON으로의 변경에 의해 용지통과를 인식하면, 도 6에 도시된 제어장치에 함유된 용지수 카운터가 제본된 용지의 세트수를 카운트한다.
스테이플 모우드에서는 제본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수는 이미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 제본된 용지의 세트수로부터 스테이플 핀의 수를 계산할 수 있다.
용지수 카운터의 누적값은 사용자가 트레이 12로부터 용지를 제거한 후 용지배출트레이 12가 일정시간 만큼 상승하고 그후 기준 용지수납위치로 상승하면 클리어되고, 그후 트레이 12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카운터가 계수한다.
이때, 남아있는 적재용지에 스테이플 핀의 두께에 의해 야기된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용지배출트레이 12상의 용지가 제거된 후 용지배출트레이 12를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에 따라 앞서 언급된 일정시간이 정해진다.
제본 세트수 카운터의 축적값과 일정수의 제본용지 세트수 Y가 단계 S3-4에서 스테이플 모우드에서 비교된다.
일정 용지수 Y는 스테이플 핀의 두께에 의해 야기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은 용지의 오정렬이 일어나는지 여부의 임계값에 대한 제본 용지의 세트수로서 설정된다.
만일 제본세트수 카운터의 값이 일정 용지수 Y보다 적으면 스테이플 핀의 영향은 무시될 수 있으며, 반대로 같거나 크면 스테이플의 영향은 무시될 수 없다.
따라서 프로그램은 단계 S3-4에서 제본 세트수 카운터의 수와 일정 용지수 Y를 비교한다. 그후 프로그램은 리턴으로 가서 제본 세트수 카운트의 값이 일정 용지수 Y에 도달할 때까지 도 18에서의 통상조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후 프로그램은 S4-4로 가서 제본세트수 카운터의 값이 단계 S3-4에서 일정용지수 Y에 도달할 때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하강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는 그후 도 12 및 18의 과정에 따르게 된다.
후술되는 실시예는 스테이플 모우드가 선택될 때 스테이플처리가 수행되는 용지수와 제본용지의 세트수를 고려하여 용지를 기준위치에서가 아닌 기준용지 수납위치로부터 하강된 위치에서 수납하도록 용지수납위치를 절환시키는 판단기초로서 적제량을 결정하는 제어수순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제어수순은 또한 스테이플 모우드와 통상 모우드 모드를 연속하여 수행한 결과 제본용지와 제본되지 않은 용지가 용지배출트레이 12상에 혼합된 상태로 적재되어 있는 경우를 고려하여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용지배출트레이 12의 하강 제어는 도 11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의 수순에 의해 수행된다.
도 11에서 용지계수제어를 위한 서브루틴 R1의 내용은 도 16에 도시된 스테이플 계수제어를 위한 플로우챠트의 수순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도 11에서의 서브루틴 R2의 내용은 도 18에 도시된 트레이 하강 제어를 위한 플로우챠트의 수순에 의해 수행된다. 즉, 본 발명의 제어는 도 16 및 18에 도시된 플로우챠트의 결합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용지의 휘어짐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하게 용지이송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용지적재장치를 제공함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화상형성장치 등으로부터 배출된 용지를 보유하는 용지배출트레이와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위에 위치되고 용지를 상기 용지배출트레이에 배출하는 용지배출롤러를 포함하는 용지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는 상, 하로 이동하고,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아래로 떨어져 사전 설정된 거리에 위치된 기준용지수납위치에서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용지를 수납하고,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상에 적재된 용지의 양이 상기 용지의 사전 설정된 적재량에 도달할 때, 사전 설정된 거리동안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 이동하고, 상기 위치에서 적어도 다음 용지를 수납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적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용지의 적재량은 용지들의 수를 고려하여 세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적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적재트레이는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를 포함하는용지들을 수납하고, 상기 용지의 사전 설정된 적재량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들의 수를 고려하여 세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적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는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스테이플 처리된 용지세트를 포함하는 용지들을 수납하고, 상기 용지의 사전 설정된 적재량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들의 수를 고려하여 세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적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는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스테이플 처리된 용지세트를 포함하는 용지들을 수납하고, 상기 용지의 사전 설정된 적재량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를 고려하여 세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적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는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스테이플 처리된 용지세트를 포함하는 용지들을 수납하고, 상기 용지의 사전 설정된 적재량은 상기 용지들의 수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를 고려하여 세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적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는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스테이플 처리된 용지세트를 포함하는 용지들을 수납하고, 상기 용지의 사전 설정된 적재량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수에 더하여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들의 수를 고려하여 세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적재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스테이플 처리된 용지세트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에 의해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수납된 용지 내에 포함되고, 상기 용지의 사전 설정된 적재량은 상기 용지의 수와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수에 더하여 상기 스테이플된 용지세트 내에 포함된 용지수를 고려하여 세트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적재장치.
  9. 화상형성장치 등으로부터 배출된 용지를 보유하는 용지배출트레이와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위에 위치되고 용지를 상기 용지배출트레이에 배출하는 용지배출롤러를 포함하는 용지적재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추가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는 상, 하로 이동하고,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아래로 떨어져 사전 설정된 거리로 위치된 기준용지수납위치에서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용지를 수납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용지배출롤러가 회전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를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로부터 아래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적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가 상기 용지배출롤러가 회전을 정지할 때까지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보다 낮게 위치된 제 1용지수납위치에서 유지되는 제 1하강모드를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적재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용지배출롤러가 회전을 시작한 후 상기 용지배출롤러가 용지를 배출하기 전에 상기 용지배출트레이가 상기 기준용지수납위치까지 위로 이동하는 제 2하강모드를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적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용지배출트레이가 위로 이동된 후 상기 용지배출롤러가 용지배출을 완료하기 전에 상기 용지배출트레이를 다시 아래로 이동하도록 제어함을특징으로 하는 용지적재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상에 적재된 용지의 최상표면이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분리되도록 적어도 어떤 거리에 걸쳐 상기 용지배출트레이가 아래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적재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상에 적재된 용지의 최상표면이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분리되도록 적어도 어떤 거리에 걸쳐 상기 용지배출트레이가 아래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적재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상에 적재된 용지의 최상표면이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분리되도록 적어도 어떤 거리에 걸쳐 상기 용지배출트레이가 아래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적재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배출트레이 상에 적재된 용지의 최상표면이 상기 용지배출롤러로부터 분리되도록 적어도 어떤 거리에 걸쳐 상기 용지배출트레이가 아래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적재장치.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 1하강모드와 상기 제 2하강모드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적재장치.
KR1019980052339A 1997-12-01 1998-12-01 수직이동이가능한트레이가장착된용지적재장치 KR100310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010197A JP3483109B2 (ja) 1997-12-01 1997-12-01 用紙積載装置
JP9-330101 1997-12-01
JP10-42261 1998-02-24
JP4226198 1998-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701A KR19990062701A (ko) 1999-07-26
KR100310127B1 true KR100310127B1 (ko) 2002-02-19

Family

ID=2638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339A KR100310127B1 (ko) 1997-12-01 1998-12-01 수직이동이가능한트레이가장착된용지적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96247B1 (ko)
KR (1) KR100310127B1 (ko)
CN (1) CN114288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4449B2 (en) * 1997-12-01 2002-12-17 Ricoh Company, Ltd. Sheet stacking apparatus with vertically movable tray
US6231045B1 (en) * 1998-06-12 2001-05-15 Ricoh Company, Ltd. Finish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4047520B2 (ja) 2000-06-22 2008-02-13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128385A (ja) 2000-10-31 2002-05-09 Ricoh Co Ltd 用紙処理装置
DE60135587D1 (de) 2000-11-30 2008-10-09 Ricoh Kk Vorrichtung zum Ausrichten von einem bogenförmigen Medium
JP3973836B2 (ja) 2000-12-15 2007-09-12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状媒体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シート状媒体後処理装置
JP2002348014A (ja) 2001-03-22 2002-12-04 Ricoh Co Ltd 用紙積載装置、用紙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用紙積載方法
US6832759B2 (en) 2001-03-30 2004-12-21 Ricoh Company, Ltd. Sheet-shaped medium align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shaped medium after-treatment apparatus
JP2002370864A (ja) * 2001-04-11 2002-12-24 Ricoh Co Ltd 用紙処理装置
DE10127452A1 (de) * 2001-06-07 2002-12-12 Will E C H Gmbh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sammeln von Bogen zu Stapeln an einer Stapelablage
US7014183B2 (en) 2001-06-18 2006-03-21 Ricoh Company, Ltd. Sheet-shaped medium treatment apparatus
JP2003034458A (ja) * 2001-07-19 2003-02-07 Hitachi Koki Co Ltd 排紙装置及び印刷装置
KR100491136B1 (ko) 2001-09-25 2005-05-24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용지편향장치, 용지처리장치 및 화상형성시스템
JP3793444B2 (ja) 2001-10-26 2006-07-05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921069B2 (en) 2002-01-10 2005-07-26 Ricoh Company, Ltd. Sheet finisher and image forming system using the same
US7137625B2 (en) * 2002-02-12 2006-11-21 Ricoh Company, Ltd. Sheet finisher including means for setting cutting position image forming system including the sheet finisher
US20030215275A1 (en) * 2002-03-12 2003-11-20 Masahiro Tamura Sheet finisher with a punching unit
JP4071642B2 (ja) * 2002-03-25 2008-04-02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3753675B2 (ja) * 2002-05-22 2006-03-08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搬送装置、用紙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3999053B2 (ja) * 2002-06-05 2007-10-3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619792B1 (en) 2002-07-12 2003-09-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mechanism
US6905118B2 (en) * 2002-07-31 2005-06-14 Ricoh Company, Ltd. Sheet finisher and image forming system using the same
JP4769420B2 (ja) * 2003-04-09 2011-09-0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088206B2 (ja) * 2003-06-12 2008-05-21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折り装置、用紙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340582B2 (ja) * 2003-07-28 2009-10-07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066816A (ja) * 2003-08-01 2005-03-17 Ricoh Co Ltd 穿孔装置、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106001B2 (ja) * 2003-08-29 2008-06-25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搬送装置、用紙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446880B2 (ja) * 2004-03-17 2010-04-07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WO2006028307A1 (en) * 2004-09-09 2006-03-16 Krcd Co., Ltd. Multiple stapling apparatus
US7416177B2 (en) * 2004-09-16 2008-08-26 Ricoh Company, Ltd. Sheet folding apparatus,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748993B2 (ja) * 2004-10-21 2011-08-17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59879B2 (ja) * 2004-11-11 2010-04-28 株式会社リコー 用紙穿孔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用紙後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
US7413181B2 (en) * 2004-11-15 2008-08-19 Ricoh Compan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capable of effectively performing sheet finishing operation
JP2006182561A (ja) * 2004-11-30 2006-07-13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188325A (ja) * 2005-01-05 2006-07-20 Kyocera Mita Corp 用紙後処理装置
JP4695526B2 (ja) * 2005-05-20 2011-06-08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404551B2 (en) * 2005-10-26 2008-07-29 Xerox Corporation Stack quality monitoring algorithm
JP4967818B2 (ja) * 2007-05-29 2012-07-0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中間搬送装置
US20090160115A1 (en) * 2007-12-19 2009-06-2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sheet finisher, and method for driving stacking tray
JP4638517B2 (ja) * 2008-03-07 2011-02-2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4580431B2 (ja) * 2008-03-07 2010-11-10 シャープ株式会社 後処理装置
KR101301498B1 (ko) * 2008-03-26 201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독취장치와 복합기 및 원고 배출 방법
US7984900B2 (en) * 2008-07-17 2011-07-26 Kabushiki Kaisha Toshiba Bundle hook discharge device
JP2010058979A (ja) * 2008-08-04 2010-03-18 Ricoh Co Ltd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76228B2 (ja) * 2008-11-13 2013-12-25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揃え機構,スタッカーおよび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JP5560657B2 (ja) * 2009-03-18 2014-07-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EP2465797B1 (en) 2010-12-15 2017-06-28 Ricoh Company, Ltd. Sheet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sheet processing method
JP5806476B2 (ja) 2011-02-14 2015-11-10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03058004B (zh) * 2011-10-21 2015-06-10 株式会社理光 片状记录介质处理装置及图像形成装置
JP5791658B2 (ja) * 2012-04-27 2015-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12602A (ja) 2012-06-07 2014-01-23 Ricoh Co Ltd 排紙装置、孔版印刷装置
JP6047959B2 (ja) 2012-07-06 2016-12-21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9868303B2 (en) 2015-07-10 2018-01-16 Primera Technology, Inc. Horticulture tag printer
CN109304949B (zh) * 2017-07-28 2020-06-30 精工爱普生株式会社 记录装置
JP7358743B2 (ja) * 2019-02-20 2023-10-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及び後処理装置
CN112777385B (zh) * 2019-11-08 2023-01-03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纸张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9133A (en) * 1978-11-03 1980-0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cument stacking table lowering method, apparatus and controlling circuitry therefor
US4455115A (en) * 1982-07-26 1984-06-19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Hydraulic sheet stacking and weighing system
US5192261A (en) * 1987-03-31 1993-03-09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post-processing sheets
JPH01288566A (ja) 1988-05-16 1989-11-20 Canon Inc シート後処理装置
JP2633958B2 (ja) 1989-06-22 1997-07-23 シャープ株式会社 排出紙集積装置
JPH03192065A (ja) 1989-12-22 1991-08-21 Ricoh Co Ltd 紙スタツク装置
DE69228263T2 (de) * 1991-11-25 1999-08-05 Sharp Kk Vorrichtung zur weiteren Bearbeitung von Kopien
US5318401A (en) * 1992-05-26 1994-06-07 Xerox Corporation Stacking tray system with nonvertically receding elevator yielding square stacks
US5497984A (en) * 1993-07-16 1996-03-12 Sharp Kabushiki Kaisha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JP3532249B2 (ja) 1994-07-12 2004-05-31 株式会社リコー 用紙後処理装置
JPH09240901A (ja) 1996-03-07 1997-09-16 Fuji Xerox Co Ltd シート材積載装置
US6145826A (en) * 1997-10-27 2000-11-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8744A (zh) 1999-06-09
CN1142886C (zh) 2004-03-24
US6296247B1 (en) 2001-10-02
KR19990062701A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127B1 (ko) 수직이동이가능한트레이가장착된용지적재장치
US6494449B2 (en) Sheet stacking apparatus with vertically movable tray
JP3122518B2 (ja) 用紙スタツク装置
JP3466376B2 (ja) 用紙後処理装置
US5083760A (en) Finish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0024055A (ja) フィニッシャ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5121911A (en) Finisher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H11231753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H11165935A (ja) 排紙トレイおよび用紙後処理装置
JP2783327B2 (ja) 記録紙処理装置
JP3658509B2 (ja) 用紙積載装置
JP3483109B2 (ja) 用紙積載装置
JPH0826569A (ja) 用紙後処理装置
JP3434365B2 (ja) 用紙後処理装置
JP3617926B2 (ja) 用紙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0324445A (ja) 用紙後処理装置
JP3592869B2 (ja) 後処理装置
JP3884916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602930B2 (ja) 用紙後処理装置
JP4015142B2 (ja) 用紙後処理装置
JP3355200B2 (ja) 用紙積載装置
JPH061517A (ja) コピースタック装置
JP3423419B2 (ja) 用紙後処理装置
JP2510528Y2 (ja) 画像形成後処理装置
JP3615360B2 (ja) 用紙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