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4907A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4907A
KR20020034907A KR1020010066992A KR20010066992A KR20020034907A KR 20020034907 A KR20020034907 A KR 20020034907A KR 1020010066992 A KR1020010066992 A KR 1020010066992A KR 20010066992 A KR20010066992 A KR 20010066992A KR 20020034907 A KR20020034907 A KR 20020034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conductors
insulating film
insulato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3416B1 (ko
Inventor
모리세이이찌
노구찌미쯔히로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20034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10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 H01L29/42336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with one gate at least partly formed in a tren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10B41/41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of a memory region comprising a cell select transistor, e.g. NAN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4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 H10B41/42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 H10B41/43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comprising only one type of peripheral transistor
    • H10B41/48Simultaneous manufacture of periphery and memory cells comprising only one type of peripheral transistor with a tunnel dielectric layer also being used as part of the peripheral transis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반도체 기판 위에 제1 절연막, 제1 도전체막, 캡이 순서대로 형성된다. 동일한 패턴으로 상기 제1 절연막, 상기 제1 도전체막, 상기 캡과 상기 기판이 에칭된다. 그 패턴으로 제2 절연막이 매립된다. 상기 캡이 제거된다. 상기 제2 절연막 측면에 제2 도전체막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홈형 소자 분리 영역, 부유 게이트와 제어 게이트를 갖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부유 게이트와 제어 게이트 사이의 용량 결합에 관한것이다.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는 불휘발성 메모리 셀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불휘발성 메모리 셀은, 부유 게이트와 제어 게이트를 갖는다. 부유 게이트와 제어 게이트 사이의 용량 결합에 의해 부유 게이트의 전위가 제어된다. 제어 게이트와 부유 게이트의 용량 결합이 클수록 제어 게이트의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용량 결합을 크게 하기 위해, 제어 게이트가 부유 게이트에 근접하는 면적을 이하와 같이 크게 한다. 부유 게이트는 제1층의 다결정 실리콘(Si)막과 제2층의 다결정 실리콘의 2층 구조를 갖는다. 제1층의 다결정 실리콘막은 홈형 소자 분리 영역과 자기 정합적으로 형성된다. 제2층의 다결정 실리콘은, 제1층의 다결정 실리콘막과 홈형 소자 분리 영역 위에 형성된다. 제2층의 다결정 실리콘 위에 절연막이 형성된다. 이 절연막 위에 제어 게이트가 형성된다.
그러나, 이 셀 구조는 메모리 셀의 소자 분리 폭 Wt로서, 제2층의 다결정 실리콘끼리 분리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또한, 이 셀 구조는 리소그래피 공정시의 정합 여유를 위한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이 셀 구조에서는, 부유 게이트와 제어 게이트 사이의 용량 결합을 크게 하기 위해, 부유 게이트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 부유 게이트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하면, 셀 사이의 부유 게이트의 용량 결합 C2가 커진다. 용량 결합 C2가 커지면, 이웃한 셀의 데이터 상태에 따라 셀의 임계 전압이 변조되기 쉽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에 홈을 갖는 반도체 기판과,
그 홈에 매립되며 측면의 상부가 상기 기판의 표면보다 높은 제1 및 제2 절연체와,
상기 기판의 표면 상에 설치되고, 하나의 단부가 제1 절연체와 접하며, 다른 단부가 상기 제2 절연체와 접하는 제3 절연막과,
상기 제3 절연막의 표면 상에 설치하고, 하나의 단부면이 상기 제1 절연체와 접하며, 다른 단부면이 상기 제2 절연체와 접하는 제1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체의 하나의 단부면 근방에 설치되는 제2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체의 다른 단부면 근방에 설치되는 제3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의 제1 측면과 상기 제3 도전체의 제2 측면에 접하고, 상기 제1 도전체의 상면과 접하는 제4 절연막과,
상기 제4 절연막 위에 설치되는 제4 도전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가 제공된다.
도 1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상면도.
도 1b는 도 1a의 I-I 방향의 단면도.
도 2a는 도 1a의 II-II 방향의 단면도.
도 2b는 도 1a의 III-III 방향의 단면도.
도 3a∼도 4c는 각각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로서, 도 4c는 도 5의 I-I 방향의 단면도.
도 5는, 도 4c에 도시된 반도체 장치의 상측으로부터의 투시도.
도 6은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비교예의 상세부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부유 게이트사이의 결합 용량 저감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11b는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11c는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11d는 제3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
도 12a∼도 12d는 각각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3a∼도 13d는 각각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4a∼도 14c는 각각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15a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상측으로부터의 투시도.
도 15b는 도 15a의 I-I 방향의 단면도.
도 15c는 도 15a의 VI-VI 방향의 단면도.
도 16a∼도 20d는 각각 제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각 제조 공정 단면도로서, 도 16a, 도 16c, 도 17a, 도 17c, 도 18a, 도 18c, 도 19a, 도 19c, 도 20a, 도 20c는 각각 메모리 셀 영역의 단면도이고, 도 16b, 도 16d, 도 17b, 도 17d, 도 18b, 도 18d, 도 19b, 도 19d, 도 20b, 도 20d는 각각 주변 회로 영역의 단면도.
도 21a 및 도 21b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비교예의 단면도로서, 도 21a는 도 21c의 I-I 방향의 단면도이고, 도 21b는 도 21c의 VI-VI 방향의 단면도.
도 21c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비교예의 상면도.
도 22a는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상측으로부터의 투시도.
도 22b는 도 22a의 I-I 방향의 단면도.
도 22c는 도 22a의 VI-VI 방향의 단면도.
도 23a∼도 23d는 각각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단면도로서, 도 23a 및 도 23c는 메모리 셀 영역의 단면도이고, 도 23b 및 도 23d는 주변 회로 영역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도체 기판
6 : 절연막
7 : 제어 게이트
21∼24 : 소자 분리 영역
31∼33 : 터널 산화막
41∼43 : 제1 도전체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도 1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하의 특징을 갖는다. 반도체 기판(1)은 표면에 홈을 갖는다.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은 그 홈에 매립된다.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측면이 기판(1)의 표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터널 산화막(31 내지 33)이 기판(1)의 표면 위에 설치된다. 터널 산화막(31 내지 33)의 양측 단부가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과 접하고 있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는 터널 산화막(31 내지 33)의 표면 위에 설치된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양측 단부면이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과 접한다. 제2 도전체(51, 53, 55)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표면 위에 설치된다. 제2 도전체(51, 53, 55)는 제1 도전체의 한쪽 단부면의 근방에 설치된다. 제2 도전체(51, 53, 55)의 제1 측면이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과 접하고 있다. 제3 도전체(52, 54, 56)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표면 위에 설치된다. 제3 도전체(52, 54, 56)는 제1 도전체의 다른 단부면 근방에 설치된다. 제3 도전체(52, 54, 56)의 제1 측면이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과 접하고 있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와, 제2 도전체(51, 53, 55) 및 제3 도전체(52, 54, 56)에 의해 부유 게이트 전극이 구성된다.
절연막(6)은 제2 도전체(51, 53, 55)의 제2 측면과 접한다. 절연막(6)은 제3 도전체(52, 54, 56)의 제2 측면과 접한다. 절연막(6)은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표면과 접한다. 제어 게이트(7)로 기능하는 도전체는 절연막(6) 위에 설치된다.
또,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전하 축적을 담당하는 전극인 전하 축적 영역을 관례에 따라 부유 게이트 전극으로 표기한다. 부유 게이트 전극은 용도에 부합한 보유 시간, 예를 들면 불휘발성 메모리 용도로는 10년, 휘발성 메모리 용도로는 1초정도의 기간동안 전하를 보유할 수 있다.
소스·드레인 영역(81 내지 87)은 반도체 기판(1)의 표면 근방에 배치된다. 소스·드레인 영역(81 내지 87)의 도전형은 부유 게이트 전극(41 내지 43)의 하측의 기판(1)의 도전형과 상이하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형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을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 평행하게 배치하고, 제어 게이트(7, 27)를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기판(1) 위에 불휘발성 메모리 셀을 다수개 집적시킬 수 있다.
부유 게이트 전극은 2층 구조이다. 제1층은 제1 도전체(41 내지 43)이다. 제2층은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이다. 제2 및 제3 도전체는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1 내지 제3 도전체(42, 53, 54)가 하나의 부유 게이트 전극으로서 기능한다.
홈형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패턴은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패턴에 반전된 패턴이다. 홈형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에 의해 제1 도전체(41 내지 43)가 자기 정합적으로 분리된다.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단부 위에 소자 분리 절연막(21 내지 24)의 측벽으로서,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측면에 설치된다.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의 측면은 제어 게이트(7) 아래에 볼록한 부분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불휘발성 메모리 셀인 플래시 메모리 셀도 부유 게이트(42, 53, 54)와 제어 게이트(7)를 갖는다. 미세화된 플래시 메모리 셀을 개발할 때는 부유 게이트(42, 53, 54)와 제어 게이트(7) 사이의 결합 용량의 크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게이트(7)와 부유 게이트(42, 53, 54) 사이의 결합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셀의 성능이 향상된다. 이 미세화와 결합 용량의 증대를 달성할 수 있던 이유는 두가지이다. 첫째 이유는 홈형 소자 분리 영역(22, 23)에 대하여 자기 정합적으로 활성 영역과 제1 도전체(42)를 설치하기 때문이다. 둘째 이유는, 제1 도전체(42)의 양측 단부, 즉 홈형 소자 분리 영역(22, 23)의 측면에 대하여 자기 정합적으로 홈형 소자 분리 영역(22, 23)의 측벽인 제2 및 제3 도전체(53, 54)를 설치하기 때문이다. 다중 자기 정합적인 구조에 의해 미세화를 달성할 수 있다. 제2 및 제3 도전체(53, 54)의 측면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큰 측면에 의해 결합 용량의 증대를 달성한다.
제2 도전체(51)의 측면이 제1 소자 분리 영역(21)과 접한다. 제3 도전체(52)의 측면이 제2 소자 분리 영역(22)과 접한다. 이들은 소자 분리 영역(21, 22)에 대하여 자기정합적으로 도전체(51, 52)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2a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체(42, 44 혹은 71 내지 74)의 막 두께가 얇다. 또한, 제2 및 제3 도전체(53, 54)의 막 두께도 얇다. 이에 따라, 인접 셀(61 내지 64) 사이의 부유 게이트 전극 사이의 기생 용량 C1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생 용량 C1을 통한 셀 사이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1) 우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 분리 영역(22과 23)의 장소에 홈부(10)가 형성된다. 홈부(10)와, 제1 도전체(41 내지 43) 및 활성 영역(1)은 자기 정합적으로 가공된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는 활성 영역(1)의 측방에는 배치하지 않는다.
p형 실리콘(Si) 기판(1) 위에 실리콘 산화막 또는 옥시니트라이드막인 절연막(31 내지 33)을 형성한다. 이 실리콘 산화막 또는 옥시니트라이드막은 불휘발성 메모리 셀의 터널(Tunnel) 산화막이 된다. 이 실리콘 산화막의 막 두께는 3㎚이상에서 15㎚이하로, 예를 들면 10㎚ 정도이다. 절연막(31 내지 33) 위에 다결정 실리콘(Si)막인 제1 도전체(41 내지 43)를 퇴적한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막 두께는 10㎚이상에서 500㎚ 이하로, 예를 들면 30㎚ 정도이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 위에 실리콘 질화막인 캡(91 내지 93)을 퇴적시킨다. 캡(91 내지 93)의 막 두께는 3㎚이상에서 500㎚ 이하로, 예를 들면 100㎚ 정도이다.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의 높이는 이들 캡(91 내지 93)의 막 두께에 대응하여 거의 동일하다. 즉, 캡(91 내지 93)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이어서, 리소그래피 공정과 에칭에 의해,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이 되는 영역에 홈(1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캡(91 내지 93), 제1 도전체(31 내지 33), 실리콘 기판(1)을 순차적으로 에칭한다. 소자 분리용의 홈(10)과, 제1 도전체(41 내지 43), 캡(91 내지 93)은 자기 정합적으로 형성된다. 실리콘 기판(1) 내의 홈(10)의 깊이는 50㎚이상에서 1000㎚이하로, 예를 들면 300㎚정도이다. 홈(10)을 형성한 후에, 필요에 따라 얇은 실리콘 산화막을 열 산화법으로 형성한다. 이 실리콘 산화막의 막 두께는 3㎚이상에서 20㎚이하로 예를 들면 10㎚ 정도이다.
이에 따라, 셀의 미세화를 실현한다. 또한, 활성 영역의 코너부를 피복하도록 제1 도전체(41 내지 43)가 형성되지 않는다. 활성 영역의 코너부에서의 전계집중이 생기지 않는다. 이 전계 집중에 따른 메모리 셀 특성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2) 이어서,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에 고밀도 플라즈마(HDP : High Density Plasma)법으로 절연막이 매립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절연막을 퇴적한 후, 화학 기계 연마(CMP : Chemica1 Mechanical Polish) 등의 방법으로 캡(91 내지 93)의 상면까지 절연막(21 내지 24)이 연마된다. 절연막(21 내지 24)이 평탄화된다.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이 제1 도전체의 단부에 자기 정합적으로 매립된다.
(3)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91 내지 93)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에 둘러싸인 홈부(11)가 생긴다. 캡(91 내지 93)이 실리콘 질화막이면, 열 인산(H3PO4)의 약액을 이용한다. 이 약액에 의한 에칭으로, 캡(91 내지 93)만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4)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측면에 얇은 도전체막(5)을 퇴적시킨다. 이 얇은 도전체막(5)의 재료는 다결정 실리콘이다. 이 얇은 도전체막(5)은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가 된다.
(5)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체막(5)이 에치 백된다.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측면에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가 형성된다. 이 에치 백 공정으로, 셀 사이에 존재하는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 위의 절연체막(5)은 자기 정합적으로 제거된다.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는 셀마다 분리할 수있다. 예를 들면 제2 도전체(53)와 제3 도전체(52)는 분리된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와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는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의 바닥면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 제1 및 제2 도전체(41, 51)사이에 얇은 절연막이 존재해도 제1과 제2 도전체(41, 51)는 용량 결합한다. 따라서, 절연막이 존재하는 경우도,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메모리 셀은 동작한다.
(6) 도 4c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 게이트(42, 53, 54)와 제어 게이트(7)사이의 블록 절연막(6)을 형성한다. 블록 절연막(6)은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 측면에 형성된다. 블록 절연막(6)은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와, 제1 도전체와,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 상면 위에 형성된다. 블록 절연막(6)은 홈부(11)의 내벽에 형성된다. 블록 절연막(6)으로서는 실리콘 산화막/실리콘 질화막/실리콘 산화막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막, 소위 ONO막을 이용한다.
(7)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게이트(7)는 절연막(6) 위에 퇴적된다. 제어 게이트(7)는 홈부(11)에 매립된다.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의 측면에 근접하여 제어 게이트(7)가 퇴적된다.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와 제어 게이트(7)는 큰 결합 용량을 갖는다.
(8)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소그래피 공정과 에칭으로 제어 게이트재료(7와 27)를 스트립 형성으로 형성한다. 이 에칭을 행할 때와 동일한 마스크를 이용하거나, 에칭된 제어 게이트 재료(7와 27)와 마스크로 이용하고, 또한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도 마스크로 하여, 도 2a와 도 2b와 같이 제1 내지 제3도전체(42, 44) 등도 에칭한다. 또, 이 에칭에서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가 두께 H1로 모두 동일한 제어 게이트(7), 제2 및 제3 도전체(56) 등과 절연막(6)을 동시에 동일한 속도로 에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에칭에는, 스퍼터성이 높은 에칭 조건을 선택하면 된다. 또한, 후술된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를 채용해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재료에 따라 에칭 속도가 상이해도 양호한 에칭 형상을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이나 제어 게이트 재료(7, 27)를 마스크로 하여 기판(1)에 이온 주입을 행한다. 주입한 불순물의 활성화를 행한다. 이에 따라, 소스·드레인 영역(81 내지 87)이 형성된다.
본 제1 실시예의 제조 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유 게이트를 분리하기 위한 리소그래피 공정과 에칭 공정이 불필요하다. 부유 게이트(41 내지 43)와 활성 영역의 정합 여유도 불필요하다.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과 활성 영역을 자기 정합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셀을 미세화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의 횡폭을 최소 디자인 치수 F의 2배의 크기로 할 수 있다. 이것은, 소자 분리 영역(23) 등의 폭과 간격을 각각 F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전압을 이용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 그 소자 분리 스페이스를 F로 축소할 수 있다. 이 반도체 집적 회로의 칩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반도체 집적 회로의 제조 비용을 삭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양측 단부에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측벽으로서 자기 정합적으로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가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 도전체의 막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접 셀 사이의 부유 게이트 전극사이의 기생 용량 C1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기생 용량을 통한 셀 사이의 간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유 게이트(41 내지 43) 등과 제어 게이트(7) 사이의 용량 결합을 유지하면서, 플래시 메모리를 미세화시킬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제1 변형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H2를 크게 함으로써, 부유 게이트와 제어 게이트사이의 용량 결합을 크게 할 수 있다. 높이 H2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원리적으로는 캡(91) 등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한다. 높이 H2는 캡(91) 등의 막 두께와 거의 동일해진다. 결합 용량의 증대를 위해, 도전체(41)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없다. 높이 H2를 높이면, 부유 게이트끼리의 기생 용량 C1은 증대한다. 그러나, 높이 H2를 크게 할 때의 그 기생 용량 C1의 증대율은 부유 게이트(41, 51, 52)와 제어 게이트(7) 사이의 용량 결합의 증대율보다 작다.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
제1 실시예에서는,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 측면에 설치되는 제2 부유 게이트(51) 등의 측면이 기판(1) 표면에 대하여 수직이다. 이 수직의 경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트립 형성의 제어 게이트(7, 27)를 반응성 이온 에칭(RIE : Reactive Ion Etching)으로 형성한다. 이 에칭시에, 자기 정합적으로 동일한 마스크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제어 게이트(7) 등과 부유 게이트(51, 52) 등을 에칭 가공한다. 이 때에, 부유 게이트(51, 52) 등의 측면과 제어 게이트(7) 등의 측면사이에 형성된 수직의 절연막(6)이 제거되기 어렵다. 이 제거되지 않은 절연막(6)이 마스크가 되어, 하층의 제1 도전막(41) 등의 에칭에 있어서, 에칭 잔여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에칭 잔여물은 셀끼리의 부유 게이트를 쇼트시킨다. 이 에칭 잔여물은 반도체 장치의 불량의 원인이 된다. 수율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1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도전체(151 내지 156)의 단면 형상을 순방향 테이퍼 형상으로 한다. 이 형상에 의해, 에칭 시의 절연막(6)의 가공성을 높인다. 제2 및 제3 도전체(151) 등의 형상을 순방향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절연막(6)이 비스듬히 배치된다. RIE와 같은 이방성 에칭에서도 절연막(16)을 적은 에칭량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 순방향 테이퍼 형상은, 제2 및 제3 도전체(151 내지 156)를 상호 분리하는 에치 백 시의 에칭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써(예를 들면 기판 온도를 저하시키는 등)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의 홈(11) 내측의 측면만이 제어 게이트(7)와 근접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의 홈(11) 외측의 측면에서도 제어 게이트(7)와 근접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에서는, 제1 실시예의 반도체 장치보다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와 제어 게이트(7)의 용량 결합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제조 방법은 제1 실시예의 공정(5)의 도 4b까지 동일하다. 이어서 도 8a에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웨트(wet) 에칭법으로 소자 분리 영역(STI : 21 내지 24)을 에치 백한다. 이후의 공정은 제1 실시예의 공정(6)의 도 4c 이후와 동일하다. 즉,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도전체(41 내지 43)와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 위에 절연막(6)을 형성한다. 또한, 절연막(6) 위에 제어 게이트(7)가 되는 도전막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의 양측면이 제어 게이트(7)와 용량 결합할 수 있다.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의 높이가 동일하면, 제1 실시예보다 제2 실시예의 용량 결합은 크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크기의 용량 결합을 얻기 위해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부유 게이트(51) 등의 높이를 제1 실시예보다 낮출 수 있다.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상면의 높이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다결정 실리콘막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아진다. 이에 따라, 도 1a 및 도 2a에 나타내는 제어 게이트(7)와 제어 게이트(27)의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 분리 영역(22)의 상면의 높이가 제1 도전체(41)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 제어 게이트(7)가 제1 도전체(41)의 상면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어 게이트(7)가 영역(116)과 같이 제3 도전체(52) 하측에 설치된다. 이것은, 제3 도전체(52)가 제1 도전체(41)보다도 소자 분리 영역(22)측으로 확대되기 때문이다. 제3 도전체(52)가 소자 분리 영역(22)의 상측에 설치된다. 이 확대는, 제1 도전체(41) 위에 제3 도전체(52)를 퇴적시킨 공정의 앞 처리에서 생긴다. 이 앞 처리에서는 제1 도전체(41) 위의 자연 산화막을 에칭 제거한다. 이 때, 노출되어있는 소자 분리 영역(22)도 에칭되어, 소자 분리 영역(21과 22)의 간격이 확대된다.
그리고, 도 9a의 구조에 있어서, 제어 게이트(7)와 제어 게이트(27)를 분리 가공한다. 제어 게이트(7), 블록 절연막(6), 제3 도전체(52) 및 제1 도전체(41)를 이방성 에칭으로 거의 수직으로 에칭 가공한다. 이 분리 가공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생긴다.
우선, 제어 게이트(7)를 패터닝하여 수직 가공한다. 블록 절연막(6)은 에칭되지 않고 남는다. 제3 도전체(52) 하측의 제어 게이트(7)의 영역(116)도 에칭되지 않고 남는다. 이것은, 영역(116)이 에칭제로부터 제3 도전체(52)로 마스크되기 때문이다.
이 후, 블록 절연막(6)을 이방성 에칭한다. 제3 도전체(52) 아래의 블록 절연막(114)은 에칭되지 않고 남는다. 이것은, 막(114)이 에칭제로부터 제3 도전체(52)로 마스크되기 때문이다. 영역(116)도 에칭되지 않고 남는다.
마지막으로, 제1 도전체(41)를 에칭에 의해 제거한다. 이 에칭시에도, 막(114)과 영역(116)은 제거되지 않고 남는 경우가 있다. 이 에칭 잔여 영역(116)은 인접하는 데이터 제어선(7과 27) 사이의 단락 불량을 생기게 한다. 이 단락 불량은, 본 발명자등이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영역(116)이 제거되어 존재하지 않고, 막(114)만이 에칭 후에 남은 경우에도 문제점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소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이온 주입을 행할 때에 막(114)이 이온 주입시의 마스크로서 이용되기 때문이다. 또한, 소스/드레인 영역에 대한 컨택트 전극을 형성하기 위한 에칭을 행할 때에 에칭의 마스크가 되기 때문이다.
이들로부터, 제2 실시예에서는 메모리 셀부의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높이는 제1 부유 게이트(41)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어 게이트 전극(7)의 에칭 잔여 영역(116)은 생기지 않는다.
<제3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 측면의 측벽으로서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를 형성한다.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 각각의 분리는 에치 백 공정으로 행한다. 이 에치 백 공정에 관하여, 이하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우선, 에치 백하는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의 재료는 다결정 실리콘막이다.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의 하층에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재료도 다결정 실리콘막이다. 에치 백 공정에서, 제2 및 제3 도전체(54와 55)를 확실하게 분리시키기 위해 제1 도전체(41 내지 43)도 에칭된다. 이에 따라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완성된 막 두께가 반도체 기억 장치사이와 내부에서 변동된다. 이 변동에 의해 셀 특성이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고 발명자는 생각하였다.
이어서, 셀사이의 기생 용량 C1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막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것은, 막의 두께를 줄여도 제어 게이트와 부유 게이트의 용량 결합을 줄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막 두께를 얇게 하면, 이 얇은 막(41 내지 43)의 표면이 에치 백 공정에서 에칭된다. 이 에칭에 의해, 얇은 막(41 내지 43)에 핀 홀이라는 결함이 발생한다. 이 결함에 의해, 막(41 내지 43)의 하층인 터널 산화막(31 내지 33)의 신뢰성을 열화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발명자는 생각하였다.
마지막으로, 도 8a에서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는 하층의 제1 부유 게이트(41 내지 43)와 밀착하는 면적이 작다. 이에 따라,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의 높이를 너무 높이면, 제2 및 제3 도전체(51 내지 56)가 제1 도전체(41 내지 43)로부터 박리되어 쓰러질 가능성이 있다고 발명자는 생각하였다.
그래서 제3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메모리 셀의 두개의 제2 및 제3 도전체(51와 52)는 분리하지 않고 접속된 일체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3과 제2 도전체(54와 55)를 분리하는 에치 백 공정에서는 제2 및 제3 도전체(55와 56) 사이에 제1 도전체(43)를 노출시키지 않는다.
즉,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홈을 갖는 반도체 기판(1)을 갖는다.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은 그 홈에 매립된다.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 측면이 기판(1)의 표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설치된다.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상면은 기판(1)의 표면보다 높다. 터널 산화막(31 내지 33)은 기판(1)의 표면 위에 설치된다. 터널 산화막(31 내지 33) 양단이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과 접하고 있다. 부유 게이트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와, 제2 도전체(51 내지 53)를 갖고 있다. 제1 도전체 (41 내지 43)는 터널 산화막(31 내지 33)의 표면 위에 설치된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양측 단면이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과 접하고 있다. 제2 도전체(51 내지 53)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표면 위에 설치된다. 제2 도전체(51, 53, 55)의 바닥부가 제1 도전체(41 내지 43)에 접한다. 제2 도전체(51, 53, 55)의 양측 단부는 중앙부보다 높다. 그 양단부의 높이는 소자 분리 영역의 상면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다. 부유 게이트와 제어 게이트사이의 절연막(6)은 제2 도전막(51 내지 53)의 표면에 접한다. 절연막(6)은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상면 위에 설치된다. 제어 게이트(7)는 절연막(6) 위에 설치된다.
부유 게이트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와 제2 도전체(51 내지 53)로 이루어지는 2층의 적층 구조로 되어 있다. 제3 실시예의 제2 도전체(51 내지 53)는 제1과 제2 실시예의 제2 및 제3 도전체(51와 52)가 제1 도전체(41 내지 43) 위에서 연결되어 일체로 되어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전체(41 내지 43와 51 내지 53)는 모두 두께를 얇게 설정함으로써, 부유 게이트와 제어 게이트사이의 접합 용량을 줄이지 않고, 인접 메모리 셀의 부유 게이트 사이의 기생 용량C1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제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도 3a로부터 도 4a를 이용하여 설명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과 기본적으로 동일한 제조 방법을 우선 행한다. 즉, 홈부(10)와, 제1 도전체(41 내지 43) 및 활성 영역은 자기 정합적으로 가공된다.
(1)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형 실리콘(Si) 기판(1) 위에 실리콘 산화막 또는 옥시니트라이드막(31 내지 33 : SiO2)을 열 산화에 의해 성막한다. 이 실리콘산화막 또는 옥시니트라이드막(31 내지 33)은 불휘발성 메모리 셀의 터널(Tunnel) 산화막이 된다. 이 실리콘 산화막 또는 옥시니트라이드막(31 내지 33)의 막 두께는 3㎚이상 15이하, 예를 들면 10㎚ 정도이다. 계속하여, 부유 게이트의 일부에서 제1 도전체(41 내지 43)가 되는 다결정 실리콘(Si)막을 실리콘 산화막(31 내지 33) 위에 형성한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막 두께는 10㎚이상 500㎚이하, 예를 들면 30㎚ 정도이다. 또한, 캡(91 내지 93)으로서 기능하는 실리콘 질화막을 제1 도전체(41 내지 43) 위에 퇴적시킨다. 캡 재료(91 내지 93)의 막 두께는 3㎚이상 500㎚로서, 예를 들면 120㎚ 정도이다.
이어서, 포토리소그래피와 에칭에 의해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이 되는 영역에 홈(10)을 만든다. 구체적으로는,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이 되는 영역의 캡(91 내지 93), 제1 도전체(41 내지 43), 실리콘 기판(1)을 순차적으로 에칭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0)과, 제1 도전체(41 내지 43), 캡(91 내지 93)은 자기 정합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셀의 미세화를 실현함과 함께 활성 영역의 코너부를 피복하도록 부유 게이트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전계 집중 효과에 따른 메모리 셀 특성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실리콘 기판(1) 내의 홈(10)의 깊이는 50㎚이상 1000㎚ 이하의 범위로서, 예를 들면 300㎚ 정도이다. 소자 분리용의 홈(10)을 형성한 후에 필요에 따라 얇은 실리콘 산화막을 기판(1)과 제1 도전체의 노출면 위에 열 산화법으로 형성한다. 이 얇은 실리콘 산화막의 막 두께는 3㎚이상 20㎚이하로서 예를 들면 5㎚정도이다.
이어서, 홈(10)에 예를 들면 고밀도 플라즈마(HDP : High Density Plasma)법으로 절연막을 매립한다. 매립 재료를 퇴적시킨 후, 화학 기계 연마법(CMP : Chemical Mechanical Polish)등의 방법으로 캡(91 내지 93)의 상면까지 절연막을 연마하여 평탄화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은 부유 게이트(41 내지 43) 단부에 자기 정합적으로 매립된다. 이어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재료(91 내지 93)를 제거한다. 이에 따라,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으로 둘러싼 홈부(11)를 형성한다. 이어서, 부유 게이트 전극의 제2 도전체(51 내지 53)가 되는 얇은 다결정 실리콘막(5)을 퇴적한다. 이 다결정 실리콘막(5)의 막 두께는 3㎚이상 250㎚ 이하의 범위로서 예를 들면 20㎚ 정도이다. 지금까지의 제조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어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포토레지스트(76)를 다결정 실리콘막(5) 위의 전면에 도포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트 레지스터(76)를 에치 백한다. 이에 따라,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 위에 위치하는 다결정 실리콘막(5)을 노출시킨다. 에치 백된 레지스트(77 내지 79)는 홈(11) 내에 매립된다.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RIE법에 의한 에치 백으로,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 위의 다결정 실리콘막(5)을 제거한다. 부유 게이트 전극의 제2 도전체(51 내지 53)가 형성된다.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트(77 내지 79)를 박리한다.
마지막으로, 제2 도전체(51 내지 53)와,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 위에 부유 게이트와 제어 게이트사이의 절연막(6)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게이트(7)가 되는 다결정 실리콘막을 퇴적시킨다.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상면의 높이가 제2 도전체(51 내지 53)의 최상부의 높이보다 낮다. 그리고,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상면의 높이가 제2 도전체(51 내지 53)의 최하부의 높이보다 높던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도 9의 에칭 잔여물(116)을 생기게 하지 않는다.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어 게이트(7)와 제2 도전체(51 내지 53)가 절연막(6)을 통해 근접한다. 즉, 제2 도전체(51 내지 53) 외측의 측면부에서도 제2 도전체(51 내지 53)가 제어 게이트(7)와 절연막(6)을 통해 근접한다. 이에 따라,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는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어 게이트(7)와 부유 게이트(51 내지 53) 사이의 용량 결합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어서,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제2 도전체(5)를 퇴적시키는 부분까지는 제1 및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어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산화막(120)을 CVD법으로 퇴적시킨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산화막(120)의 에치 백을 행한다.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 상측의 제2 도전체(5)가 노출된다. 실리콘 산화막(121 내지 123)은 홈(11) 내부에 매립된다. 이 때, 홈(11) 내의 실리콘 산화막(121 내지 123)의 잔여 막 두께 d는 이후에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을 에칭 제거하는 깊이보다도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CMP법 혹은 에치 백법으로, 소자 분리영역(21 내지 24) 위의 제2 도전체(5)를 제거한다. 제2 도전체(5)는 제2 도전체(51 내지 53)를 분할된다. CMP법에 따르면, 홈(11) 측면에 남게 되는 제2 도전체의 높이를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산화막(121 내지 123)과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에칭을 행한다. 이 에칭에 의해, 홈(11) 내의 실리콘 산화막(121 내지 123)을 제거한다. 제2 도전체의 상면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을 원하는 깊이까지 에칭한다. 이 때, 원하는 깊이보다도 실리콘 산화막(121 내지 123)의 잔여 막 두께 d가 얇으면,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에칭과 동시에 실리콘 산화막(121 내지 123)의 제거를 할 수 있다. 이 에칭에 의해, 제2 도전체(51 내지 53)의 외측면부의 핀(fin) 형상의 돌기가 노출된다. 제2 도전체(51 내지 53)의 바닥면의 전면이 제1 도전체(41 내지 43) 상면의 전면에 접하고 있으므로, 돌기는 쓰러지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 위와 제2 도전체(51 내지 53) 위에 절연막(6)을 형성한다. 절연막(6) 위에 제어 게이트(7)가 되는 다결정 실리콘막을 퇴적시킨다.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전체(57 내지 59)가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 위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부유 게이트(57 내지 59)와 제어 게이트(7)의 절연막(5)을 통해 대향하는 부분의 면적을, 제3 실시예의 반도체 장치보다 넓힐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는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어 게이트(7)와 부유 게이트(57 내지 59) 사이의 용량 결합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어서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c에 나타내는 캡 재료(91 내지 93)를 제거하는 부분까지는 제1 및 제3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어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을 웨트(wet) 에칭 등의 등방성 에칭으로 에칭한다. 이 에칭에 의해,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은 후퇴한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 측방의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도 제거된다. 홈(11)의 폭은 넓어진다.
이어서,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전체(5)를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 위와 제1 도전체(41 내지 43) 위에 성막한다. 특히, 제2 도전체(5)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측면 위에도 성막한다. 이후의 제조 방법은, 도 12a로부터 도 12d에 나타내는 제3 실시예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다. 즉,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토레지스트(77 내지 79)로 홈(11) 내부의 제2 도전체(57 내지 59)를 보호하면서 제2 도전체(57 내지 59)를 분할한다. 이러한 공정에 의해,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으로 제2 도전체(57 내지 59)가 돌출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제3 변형예)
제3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와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의 특징을 겸비하고 있다. 제2 도전체(57 내지 59) 외측의 측면이 제어 게이트와 절연물(6)을 통해 대향하고있다. 또, 제2 도전체(57 내지 59)가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 위에 배치되고,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으로 돌출되어 있다.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의 상면의 높이가 제2 도전체(57 내지 59)의 최상부의 높이보다 낮다. 그리고,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의 상면의 높이가 제2 도전체(57 내지 59)의 최하부의 높이보다 높거나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도 9의 에칭 잔여물(116)을 생기게 하지 않는다.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어 게이트(7)와 제2 도전체(57 내지 59)가 절연막(6)을 통해 대향한다. 이에 따라 제3 실시예의 제3 변형에는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어 게이트(7)와 부유 게이트(57 내지 59) 사이의 용량 결합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제3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와 제3 실시예의 제2 변형예의 제조 방법에 기초한다.
<제4 실시예>
제4 본 실시예는, 제3 실시예 중에서 특히 제3 변형예를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4 본 실시예의 반도체 장치는 NAND 구조의 불휘발성의 반도체 기억 장치이다. 제4 본 실시예의 반도체 장치는 메모리 셀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 사이의 영역과, 메모리 셀 영역의 제어 게이트 전극(7) 상면의 단차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4 실시예에 있어서, 도 15b의 절연막(101, 102)도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실시예의 소자 분리 영역(101, 102, 124 내지 127)의 형상은 도 11d의 제3 실시예의 제3 변형예의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의 형상과 동일하다.
도 15a의 좌측과 도 15b는 메모리 셀 영역이다. 도 15a의 우측과 도 15c는 주변 회로 영역이다. 상호 동일한 폭의 제어 게이트(28, 7, 27)가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이 제어 게이트(28, 7, 27)의 하측에서, 평행하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메모리 셀 영역에 있어서,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은 예를 들면 상호 동일한 폭을 갖고,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소자 분리 내압을 맞추고, 채널 컨덕턴스를 맞추어, 균일한 디바이스를 형성하는데 바람직하다. 메모리 셀(162, 163)과 더미 셀(161)의 소스/드레인 영역(81 내지 87)은 상측에 제어 게이트(28, 7, 27)와,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설치된다. 주변 회로(164)의 소스/드레인 영역(88)은 상측에 제어 게이트(28, 7, 27)와, 소자 분리 영역(124)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 설치된다.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 상측에 형성된 제어 게이트 전극(7)의 바닥면은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상면보다도 적층 방향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2 도전체(58, 59) 두개의 외측 측면의 최대 거리는 제1 도전체(42, 43)의 두개의 단부면의 거리보다도 크다. 제2 도전체(58, 59)의 하면 즉 외측 측면의 하단은 제1 도전체(42, 43)의 상면보다도 아래에 설치된다. 제2 도전체(58, 59)는 제1 도전체(42, 43) 위에서 연결된 일체의 도전체이다. 제2 도전체(58, 59)의 두개의 외측 측면의 거리는 이 측면의 상부일수록 좁다. 제어 게이트 전극(7)은 블록 절연막(6)을 통해 제2 도전체(58, 59)의 상면과 측면에 대향한다. 소자 분리 영역(125)은 제2 도전체(57)에 접한다. 소자 분리 영역(124)도 제2 도전체(57)에 접한다. 소자 분리영역(124)은 소자 분리 영역(125)보다 폭이 넓다. 소자 분리 영역(124)의 상면의 높이는 소자 분리 영역(125)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다.
더미 셀(161)은 복수의 메모리 셀(162, 163)로 이루어지는 메모리 셀 어레이와 주변 회로(164) 사이에 형성된다. 더미 셀(161)은 메모리 셀(162, 163)의 동작이나 프로세스 제어성을 안정시킨다. 더미 셀(161)은 메모리 셀(162, 163)과 거의 동등한 구조를 갖고, 메모리 셀(162, 163)과 인접하여 형성된다. 더미 셀(161)은 하나에 한하지 않고, 물론 복수개 형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기호를 알기 쉽게 표시하기 위해, 더미 셀(161)과 주변 회로(164) 사이를 분리하여 나타내었다. 더미 셀(161)과 주변 회로(164)는 소자 분리 영역(124)을 동일한 것으로 하여 연속하여 형성된다. 주변 회로(164)란, 메모리 셀(162, 163) 이외에서 MIS 트랜지스터로서 기능하는 디바이스를 말한다.
p형 실리콘 기판(1)의 붕소(B)의 불순물 농도는 1014-3이상에서 1029-3이하이다. p형 실리콘 기판(1) 위에, 예를 들면 3㎚이상에서 15㎚ 이하의 두께를 갖는 실리콘 산화막 또는 옥시니트라이드막인 게이트 절연막(31 내지 33, 35)이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31 내지 33, 35) 위에는 폴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도전체(42와 43)는 메모리 셀(163, 162)의 부유 게이트의 제1 전하 축적층으로서 기능한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에는 예를 들면 인(P) 또는 비소(As)가 불순물 농도로 1018-3이상에서 1021-3이하의 범위로 첨가되어 있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의 두께는10㎚이상에서 500㎚이하의 범위이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31 내지 33, 35)과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는 단차가 없는 평면 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 셀(162, 163)의 전기 특성의 셀 사이의 변동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의 측면에는 부유 게이트 측벽 산화막(101)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와, 부유 게이트 측벽 산화막(101) 위에는 제2 도전체(57 내지 59와 15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도전체(57 내지 59와 157)는 예를 들면 인 또는 비소를 불순물로서 불순물 농도 1018-3이상에서 1021-3이하의 범위로 첨가되어 있는 폴리실리콘이다. 제2 도전체(57 내지 59)의 두께는 3㎚이상에서 500㎚이하의 범위이다. 제2 도전체(57 내지 59)의 두께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 두께의 절반보다도 작고, 예를 들면 3㎚이상에서 100㎚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도 제어 게이트 사이의 용량 결합을 작게 하지 않는다. 또, 데이터의 판독 시간이나 기입 시간을 현저히 길게 할 수록 저항 성분이 커지는 일도 없다. 한편, 셀 사이의 결합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제2 도전체(57 내지 59)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 상면의 전면과, 대향하는 측면의 상부에 접하고 있다. 즉, 제2 도전체(57 내지 59)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상면 및 측면을 피복하고 있다. 또한, 제2 도전체(57 내지 59)는 도 1b의 도전체(51, 52)와 달리, 일체형의 도전체이다. 이에 따라, 제2 도전체(57 내지 59)와 제1 도전체(41 내지 43)는 보다 넓은 면적에서 밀착되기 때문에, 제2도전체(57 내지 59)의 내부 응력이나 제2 도전체(57 내지 59)에 대한 외력에 의한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도전체(58, 59)는 메모리 셀(162, 163)의 부유 게이트의 제2 전하 축적층으로서 기능한다. 제2 도전체(58, 59)의 외측면부의 상면은 내부의 상면보다 높다. 제2 도전체(58, 59)는 대문자 H의 형상이다. 제2 도전체(58, 59)는 외측의 우측에 제1 측면과, 외측의 좌측에 제2 측면을 갖고 있다. 제2 도전체(58, 59)는 내측의 우측에 제3 측면과, 내측의 좌측에 제4 측면을 갖고 있다. 제2 도전체(58, 59) 외측의 제1과 제2 측면의 하부는 소자 분리 영역(125 내지 127)에 접하고 있다. 제2 도전체(58, 59) 외측의 제1과 제2 측면과 내측의 제3과 제4 측면의 상부 위에는 블록 절연막(6)이 설치되어 있다. 제2 도전체(58, 59)의 내부의 상면에도 블록 절연막(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블록 절연막(6) 위에는 제어 게이트(7)가 설치되어 있다. 블록 절연막(6)은 예를 들면 두께 5㎚이상에서 30㎚이하의 범위의 실리콘 산화막 또는 옥시니트라이드막, 또는 각각의 두께가 2㎚이상에서 100㎚이하의 범위인 실리콘 산화막/실리콘 질화막/실리콘 산화막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막(ONO막)이다. 제어 게이트(7)는 예를 들면 인, 비소, 또는 붕소를 불순물로 하여 불순물 농도 1017-3이상에서 1021-3이하의 범위로 첨가되어 있는 폴리실리콘이다. 또한, 제어 게이트(7)는 텅스텐 실리사이드(WSi)와 폴리실리콘과의 적층 구조라도 무방하다. 또한, 니켈 실리사이드(NiSi), 몰리브덴 실리사이드(MoSi), 티타늄 실리사이드(TiSi), 코발트실리사이드(CoSi)와 폴리실리콘의 적층 구조라도 무방하다.제어 게이트(7)의 두께는 10㎚이상에서 500㎚이하 범위의 두께이다. 소자 분리 영역(125 내지 127)의 상측에 위치하는 블록 절연막(6) 및 제어 게이트(7)는 제1 도전체(42, 43)의 상면보다도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소자 분리 영역(125 내지 127)의 상측에 위치하는 블록 절연막(6) 및 제어 게이트(7)는 제2 도전체(58, 59)의 최하면보다도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5b의 높이 H는 양의 값이 된다. 이에 따라, 도 9에서 설명한 제어 게이트(7)의 에칭 잔여물(116)은 발생하지 않는다.
실리콘 기판(1) 위에는 라이너 절연막(102)을 통하여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이 설치되어 있다.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은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막으로 이루어진다.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이 형성되지 않은 실리콘 기판(1)의 표면 위에, 게이트 절연막(31 내지 33, 35)과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와 제2 도전체(57 내지 59)가 자기 정합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4 실시예 예에서는, 제2 도전체(58, 59)가 일체형의 도전체이다. 이에 따라, 제1 도전체(42, 43)와 제2 도전체(58, 59)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한다. 이에 따라, 제1 도전체(42, 43)와 제2 도전체(58, 59) 사이의 용량 또는 콘덕턴스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도전체(58, 59)의 전위 변동에 대하여, 제1 도전체(42, 43)의 전위 변동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도전체(42, 43)와 제어 게이트 전극(7)과의 커플링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도전체(58, 59)의 외측면부의 돌기부는 내부로 기울어져 있다. 돌기부가 대향하는 내측 측면의 거리는 돌기부의 상측일수록 좁다. 또한, 제2도전체(58, 59)의 외측면부의 돌기부가 대향하는 외측 측면의 거리는 돌기부의 상측일수록 크다. 이에 따라, 소자 분리 영역(125 내지 127) 사이에 삽입된 실리콘 기판(1)의 폭으로 결정되는 트랜지스터 셀의 채널 폭을 바꾸지 않고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인접하는 메모리 셀의 제2 도전체(58, 59) 사이의 용량 결합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폭에 따라 결정되는 트랜지스터의 전류 구동 능력을 일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인접하는 메모리 셀 사이의 용량 결합에 의한 임계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메모리 셀의 제2 도전체(58, 59) 사이의 단락에 의한 문제점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4 실시예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셀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조 방법 도중까지는 기본적으로는 제1 실시예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다.
우선, 도 16a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셀(162, 163), 더미 셀(161)과 주변 회로(164)에서는 소자 분리용 홈부(10)와, 제1 도전체(41 내지 43), 주변 회로의 게이트 전극(141) 및 활성 영역(1)은 자기 정합적으로 가공된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 및 주변 회로의 게이트 전극(141)은 활성 영역(1)의 측면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셀(161 내지 163)의 미세화를 실현함과 함께, 활성 영역(1)의 코너부를 피복하도록 부유 게이트(42, 43)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전계 집중 효과에 따른 메모리 셀 특성의 변동을 억제시킬 수 있다.
p형 실리콘 기판(1) 위에, 절연막(31 내지 33, 35)을 실리콘 기판(1)의 산화또는 질화에 의해 형성한다. 절연막(31 내지 33, 35)의 두께는 3㎚이상에서 15㎚이하의 범위의 두께이다. 이 절연막(31 내지 33, 35)은 불휘발성 메모리 셀(162, 163)의 터널(Tunnel) 산화막(32, 33)과 더미 셀(161)의 절연막(31)과, 주변 회로의 게이트 절연막(35)으로서 기능한다.
이어서, 절연막(31 내지 33, 35) 위에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를 성막한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의 재료는 다결정 실리콘으로서, 막 두께는 10㎚이상에서 500㎚이하의 범위의 막 두께이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는 메모리 셀(162, 163)의 제1 부유 게이트(42, 43)와, 더미 셀(161)의 도전체(41)와 주변 회로의 제1 게이트 전극(141)으로서 기능한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 위에 캡(91 내지 94)으로서 기능하는 실리콘 질화막을 퇴적시킨다. 이 캡(91 내지 94)의 막 두께에 따라 나중에 형성하는 제2 도전체(57 내지 59)의 높이가 결정된다. 이 캡(91 내지 94)의 막 두께는 100㎚이상에서 500㎚이하 범위의 막 두께이다.
이어서, 도 16a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소그래피 공정과 에칭에 의해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이 되는 영역에 홈(1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이 되는 영역 이외를 마스크하는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이 레지스트 패턴 및 해당 레지스터 패턴으로 패터닝된 캡(91 내지 94)을 마스크로, 캡(91 내지 94),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 절연막(31 내지 33, 35)과 실리콘 기판(1)을 순차적으로 에칭한다. 소자 분리용의 홈(10)과,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 캡(91 내지 94)은 자기 정합적으로 형성된다. 실리콘기판(1) 내의 소자 분리용의 홈(10)의 깊이는 50㎚이상에서 500㎚이하의 범위의 깊이이다. 홈(10)의 측벽의 형상은 순방향 테이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캡 재료(91 내지 94)가 노출되는 측벽은 순방향 테이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어 게이트 전극의 에칭 잔여물을 발생시키지 않고 메모리 셀을 분리할 수 있다.
홈(10)을 만든 후, 홈(10) 내벽 위에 얇은 라이너 산화막(102)을 성막한다. 라이너 산화막(102)은 실리콘 기판(1)을 열 산화하여 형성한다. 라이너 산화막(102)의 막 두께는 3㎚이상에서 15㎚이하의 범위의 막 두께이다. 이 열 산화시에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의 측면도 산화되어, 실리콘 산화막(101)이 형성된다. 캡 재료(91 내지 94)는 거의 산화되지 않는다. 캡(91 내지 94)보다도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가 산화 속도가 더 빠르다. 도 16c과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의 폭은 캡(91 내지 94)의 폭보다도 좁아진다.
이어서, 소자 분리용의 홈(10)에, 예를 들면 고밀도 플라즈마(HDP : High Density plasma)법으로 형성한 실리콘 산화막(21 내지 24)을 매립한다. 실리콘 산화막(21 내지 24)은 감압(LP) CVD 법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도 16c와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산화막(21 내지 24)을 퇴적시킨 후, CMP 법으로 캡 재료(91 내지 94)를 CMP 법의 스톱 재료로서 실리콘 산화막(21 내지 24)을 평탄화한다. 이에 따라,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은 캡 재료(91 내지 94)와 실리콘 산화막(101)의 측면에 자기 정합적으로 형성된다.
도 17a와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재료(91 내지 94)를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에 따라,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으로 둘러싸인 홈부(11)를 형성한다. 지금까지의 공정은 기본적으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적용시킬 수 있다. 이 홈부(11)의 형성에 의해,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의 표면은 공기에 노출된다. 이 때문에, 소위 자연 산화막(103)이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 표면 위에 성막된다. 자연 산화막(103)의 막 두께는 0.3㎚로부터 2㎚ 범위의 막 두께이다. 이 산화막(103)의 막 두께는 이어서 행해지는 제2 도전체(5, 57 내지 59)의 퇴적까지의 방치 시간에 의존한다. 이 산화막(103)은 막 두께의 균일성이나 제어성이 뒤떨어지기 때문에, 균일한 커플링비를 얻기 위해서는 제거할 필요가 있다. 불산에 의한 웨트 에칭에 의해 산화막(103)을 제거한다. 불산에 의한 웨트 에칭을 행하면, 도 17c와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된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상부가 에칭된다. 그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 상부의 폭이 좁아진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이 형성된다. 홈부(11)의 폭이 넓어진다. 산화막(101)도 동시에 에칭된다. 여기서, 산화막(101)도 에칭되는 것은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의 폭은 캡 재료(91 내지 94)의 폭(1)보다도 좁기 때문이다. 캡 재료(91 내지 94)를 제거하면, 산화막(101)이 노출된다.
이어서, 도 18a와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와 절연막(101)과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 위에 제2 도전체(5)를 성막한다. 제2 도전막(5)의 재료는, 다결정 실리콘막이다. 제2 도전막의 막 두께는 3㎚이상에서 100㎚ 이하의 범위의 막 두께이다. 특히, 10㎚이상에서 30㎚이하 범위의 막 두께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이면, 셀사이의 용량 결합은 충분히 작다. 전하 축적 전극의 내부의 분포 저항도 충분히 작다. 제2 도전체(5)는 제2 전하 축적 전극(부유 게이트 : 58, 59)으로서 기능한다.
이어서, 제2 도전체(5) 위에 측벽 마스크 절연막(104)을 성막한다. 측벽 마스크 절연막(104)으로는, 예를 들면 테트라에톡시실란(TEOS)을 원료로 하는 실리콘 산화막이나 HTO(High Temperature Oxide)막을 이용한다. 측벽 마스크 절연막(104)의 막두께는 3㎚이상에서 100㎚이하 범위의 막 두께로, 예를 들면 10㎚ 정도의 막 두께이다. 포토레지스트(77 내지 80)를 도포한다. 이어서, 부분 노광한다. 메모리 셀(162, 163)과 더미 셀(161) 위의 레지스트를 노광하고, 주변 회로(164) 위의 레지스트를 노광하지 않는다. 이 노광시에 노광량을 조정함에 따라, 도 18c와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셀(162, 163) 및 더미 셀(161)의 홈부(11)의 바닥부에 레지스트(77 내지 79)를 남긴다. 주변 회로(164)의 활성 영역과 그 주변의 소자 분리 영역(124)은 레지스트(80)로 피복한다. 이 노광시에, 메모리셀(162, 163) 및 더미 셀(161)의 피치보다도 파장이 긴데, 예를 들면 염가인 i선의 레지스트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 셀(162, 163) 및 더미 셀(161)의 홈부(11)의 바닥부에 있는 레지스트(77 내지 79)까지는 노광되지 않는다. 이 노광의 조건은 메모리 셀(162, 163) 및 더미 셀(161)의 활성 영역에 레지스트가 남기 때문에, 메모리셀(162, 163) 및 더미 셀(161)의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 상부의 레지스트는 노광되고 박리되는 것이다.
이어서, 도 19a와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트(77 내지 80)를 마스크로 하여 이방성 에칭을 행한다. 측벽 마스크 절연막(104)이 제거된다. 여기서 제2 도전체(5)의 홈부(11)의 내부에서 대향하는 측면의 간격은 홈부(11)의 상부일수록 좁아진다. 따라서 홈부(11)의 측벽에 형성된 절연막(104)은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의 상면 위에 설치된 제2 도전체(5)에 마스크되어, 에칭되지 않고 남는다. 레지스트(77 내지 79) 두께의 변동과는 무관하게, 측벽 마스크 절연막(104)의 최대 높이가 결정된다. 측벽 마스크 절연막(104)의 최대 높이는 이방성 에칭의 에칭량에 따라 결정된다. 측벽 마스크 절연막(104)의 최대 높이를 균일한 높이로 제어성좋게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레지스트(77 내지 80)를 박리한다. 측벽 마스크 절연막(104)을 마스크로 하여,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을 에칭 스토퍼로 하여 도 19c와 도 1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전체(5)를 에칭한다.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 위의 제2 도전체(5)는 제거된다. 이에 따라, 제2 도전체(57 내지 59, 157)는 상호 분리된다. 이 에칭으로는 에칭 손상이 적은 등방성 에칭을 이용한다. 물론, 손상이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측벽 마스크 절연막(104)을 마스크로 하여 이방성 에칭을 행해도 무방하다. 이방성 에칭에서는, 도 19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도전막(157)의 가로 방향의 에칭량은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도전체(57 내지 59, 157)에 직접 레지스트(77 내지 80)가 접하지 않기 때문에, 레지스트(77 내지 80)로부터 제2 도전체에 대한 나트륨(Na)이나 철(Fe), 크롬(Cr) 등의 금속 오염이나 탄소 오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제2 도전체(57 내지 59, 157)의 에칭에CMP 법을 이용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CMP법에 특유의 스크래치에 의한 잔사 잔여물이나 면적이 넓은 부분의 오버 폴리시(over polish) 현상이 생기지 않는다.
레지스트(106)를 전면 도포한다. 더미 셀(161)의 일부와, 주변 회로의 소자 분리 영역(124)을 피복하도록 레지스트(106)를 노광하고, 패터닝한다. 이 노광에서는, 메모리 셀의 홈부(11)의 바닥도 완전하게 노광되도록 조건을 선택한다. 도 20a와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지스트(106)를 마스크로 하여, 예를 들면 등방성 에칭으로 측벽 마스크 절연막(104)을 박리한다. 계속해서, 레지스트(106)를 마스크로 하여, 이방성 에칭으로 소자 분리 절연막(124 내지 127)을 에치 백한다.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의 상면의 높이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상면보다도 높게 배치된다. 또한,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 상면의 높이는 제2 도전체(57 내지 59)의 하면보다도 높게 배치된다. 즉,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의 측면과 제2 도전체(57 내지 59)의 측면은 접한다. 또한, 레지스트(106)가 제2 도전체(57 내지 59, 157)의 단면에만 접촉한다. 이 때문에, 제3 실시예의 도 12a와 같이 제2 도전체(5) 전면에 레지스트(76)를 도포하는 것보다도 레지스트(106)로부터의 제2 도전체(57 내지 59, 157)에 대한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도전체(57 내지 59)의 단부의 돌기부가 노출되지만 쓰러지지는 않는다. 이것은, 제2 도전체(57 내지 59) 바닥부의 면적이 넓기 때문이다.
레지스트(106)를 박리한다. 제2 도전체(57 내지 59, 157)의 표면은 공기에 노출되기 때문에, 소위 자연 산화막이 0.3㎚∼12㎚정도 성장한다. 이 자연 산화막의 막 두께는 이어서 행해지는 블록 절연막(6)의 퇴적까지의 시간에 의존한다. 따라서, 이 자연 산화막의 막 두께는 균일성이나 제어성이 뒤떨어진다. 부유 게이트와 제어 게이트의 균일한 커플링비를 얻기 위해서는 이 자연 산화막을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예를 들면 이 자연 산화막의 불산에 의한 에칭 처리를 행한다.
도 20c와 도 2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전체(57 내지 59, 157)가 노출되는 표면과,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 위에, 블록 절연막(6)을 퇴적시킨다. 블록 절연막(6)으로는 예를 들면 두께 5㎚이하로부터 30㎚ 범위의 실리콘 산화막 또는 옥시나이트라이드막 또는 각각의 두께가 2㎚로부터 100㎚ 범위의 실리콘 산화막/실리콘 산화막/실리콘 산화막의 적층 구조를 갖는 ONO막이 이용된다.
이어서, 레지스트를 도포하고, 포토리소그래피 에칭을 행한다. 이에 따라, 주변 회로(164)의 제2 도전체(157) 위와, 더미 셀(161)과 주변 회로(164)사이의 소자 분리 영역(124) 위의 블록 절연막(6)을 제거한다. 제어 게이트 전극(7)을 블록 절연막(6)과 제2 도전체(157) 위에 퇴적시킨다. 제어 게이트 전극(7)으로는 예를 들면 인, 비소(砥素), 또는 붕소를 불순물로 하여 불순물 농도 1017-3이상에서 1021-3이하의 범위로 첨가되어 있는 폴리실리콘을 이용한다. 또는, 제어 게이트 전극(7)으로는 텅스텐 실리사이드(WSi)와 폴리실리콘과의 적층 구조, 또는 NiSi MoSi, TiSi, CoSi와 폴리실리콘의 적층 구조라도 무방하다. 제어 게이트 전극(7)의 막 두께는 10㎚이상에서 500㎚ 이하의 범위의 막 두께이다. 이 제어 게이트 전극(7)의 막 두께는 제2 도전체(57 내지 59)의 단부 돌기부의 최대 간격의 1/2이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2 도전체(57 내지 59)의 내측을 매립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도전체(57 내지 59)의 돌기부 상측에 평탄화한 제어 게이트 전극(7)의 상면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게이트 전극(7)의 리소그래피 여유를 확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2 실시예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제어 게이트 전극(7), 블록 절연막(6), 전하 축적 전극이 되는 제1과 제2 도전체(42, 43, 58, 59)를 반도체 표면 내의 패턴으로 선형으로 이방성 에칭으로 가공한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게이트 전극(7, 27, 28)으로 분할한다. 여기서, 제2 도전체(57 내지 59) 주변부의 돌기부 간격은 적층 방향으로 좁아진다. 이에 따라, 제어 게이트(7)의 가공 시의 이방성 에칭시에 제어 게이트 전극(7)의 에칭 잔여물을 감소시킬 수 있다. 소스·드레인 영역(81 내지 88)을 제어 게이트 전극(7, 27, 28) 양측에 형성한다.
한편, 도 21a, 도 21b와 도 21c는, 제4 실시예의 제조 공정에서 도 20a와 도 20b에 나타내는 레지스트(106)의 패터닝 프로세스와, 레지스트(106)에 의한 마스크 에칭 프로세스를 생략한 경우의 반도체 장치의 단면도와 상면도이다. 레지스트(106)에 의한 마스크 에칭 프로세스를 생략하면, 주변 회로(164)와 더미 셀(161) 사이의 넓은 소자 분리 영역(124)이 에치 백된다. 이 에치 백에 의해, 메모리 셀(162, 163) 사이의 좁은 소자 분리 영역(125 내지 127)도 모두 에치 백되기 때문에, 소자 분리 영역(124 내지 127) 상면의 높이는 거의 동일하다. 즉 한번 보면 양호한 평탄화가 이루어진 상태이다. 그러나, 도 21a와 도 21b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어 게이트 전극(7)을 퇴적시키면 메모리 셀 영역의 상면과, 더미 셀(161)과 주변 회로(164) 사이의 넓은 소자 분리 영역(124)의 상면에 제2 도전체(57 내지 59)의 외측면도의 볼록부의 높이 정도의 단차 D가 형성된다. 이 단차 D에 의해 도 2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게이트 전극(7, 27, 28)의 선폭이 넓은 소자 분리 영역(124) 위에서 굵어진다. 제어 게이트 전극(7, 27, 28)의 선폭이 굵어짐에 따라, 제어 게이트 전극(7, 27, 28) 사이에서 단락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혹은, 상기 단차 D에 의해 제어 게이트 전극(7, 27, 28)을 가공하는 리소그래피의 여유가 대폭 축소되는 것을 알았다. 이에 따라, 제어 게이트 전극(7, 27, 28)의 단선이나, 단락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제4 실시예에서는 제어 게이트 전극(7, 27, 28)을 가공하는 리소그래피에 있어서, 단차 D를 작게 한다. 이 때문에, 굳이 도 20a와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소자 분리 영역(124) 상면의 높이를 소자 분리 영역(125 내지 127) 상면의 높이보다 높게 한다. 이에 따라, 단차 D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제어 게이트 전극(7, 27, 28)을 가공하는 리소그래피 여유의 폭이 넓다. 그리고, 제어 게이트 전극(7, 27, 28)의 단선이나, 단락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제4 실시예의 변형예>
제4 실시예의 변형예는 제3 실시예의 제1 변형예를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메모리 셀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 사이의 영역과, 메모리 셀 영역의 제어 게이트 전극(7) 상면의 단차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도 9에 나타낸 제어게이트 전극(7)의 에칭 잔여물(116)을 생기게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도 22b와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도전체(57 내지 59, 157)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 상면 위에만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도전체(57 내지 59, 157)의 최대폭은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의 폭보다도 작다. 즉, 제2 도전체(57 내지 59)의 두개의 외측 측면의 최대 거리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두개의 단부면의 거리보다도 작다.
도 22a의 좌측과 도 22c가 메모리 셀 영역이다. 도 22a의 우측과 도 22c가 주변 회로 영역이다. 상호 동일한 폭의 제어 게이트(28, 7, 27)가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이 제어 게이트(28, 7, 27)의 하측에 있어서, 평행하게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메모리 셀 영역에 있어서,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은 상호 동일한 폭을 갖고,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메모리 셀(162, 163)과 더미 셀(161)의 소스/드레인 영역(81 내지 87)은 상측에 제어 게이트(28, 7, 27)와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설치된다. 주변 회로(164)의 소스/드레인 영역(88)은 상측에 제어 게이트(28, 7, 27)와, 소자 분리 영역(124)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설치된다.
p형 실리콘 기판(1) 위에 게이트 절연막(31 내지 33, 35)이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31 내지 33, 35) 위에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 측면에는 부유 게이트 측벽 산화막(101)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 위에는 제2 도전체(57 내지 59와 15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부유 게이트 측벽 산화막(101)과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 위에는 제2 도전체(57 내지 59)는 배치되지 않는다.
제2 도전체(57 내지 59)의 바닥면의 전면은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상면과 접하고 있다. 즉, 제2 도전체(57 내지 59)의 바닥면의 전면은 제1 도전체(41 내지 43)의 상면으로 피복되어 있다. 제2 도전체(57 내지 59)도 일체형의 도전체이다. 보다 넓은 면적에서 제1 도전체와 밀착한다. 이 때문에, 제2 도전체(57 내지 59)의 내부 응력이나, 제2 도전체(57 내지 59)에 대한 외력에 따른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도전체(58, 59)는 외측 측면부에 있어서 높고, 내부에 있어서 낮은 제2 도전체(58, 59) 외측면의 하부는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유 게이트 측벽 산화막(101)은 소자 분리 절연막(21 내지 24)에 접하고 있다. 제2 도전체(58, 59) 외측과 내측의 양측면 위에는 블록 절연막(6)이 설치되어 있다. 제2 도전체(58, 59) 내부의 상면에도 블록 절연막(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블록 절연막(6) 위에는 제어 게이트(7)가 설치되어 있다.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 상측에 위치하는 블록 절연막(6) 및 제어 게이트(7)는 제1 도전체(42, 43)의 상면(제2 도전체(58, 59)의 하면과 일치함)보다도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도 22b의 높이 H는 양의 값이 된다. 이에 따라 도 9에서 설명한 제어 게이트(7)의 에칭 잔여(116)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한,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상측에 위치하는 블록 절연막(6) 및 제어 게이트(7)는 제1 도전체(42, 43) 하면보다도 상측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서도, 도 9에서 설명한 제어 게이트(7)의 에칭 잔여물(116)이 발생하지 않는다.
실리콘 기판(1) 위에는 라이너 절연막(102)을 통해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24)이 설치되어 있다.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이 형성되지 않은 실리콘 기판(1)의 표면 위에 게이트 절연막(31 내지 33, 35)과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와 제2 도전체(57 내지 59, 157)가 자기 정합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4 실시예예의 변형예에서는 제2 도전체(58, 59)가 일체형의 도전체이다. 이에 따라, 제1 도전체(42, 43)와 제2 도전체(58, 59)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한다. 이에 따라, 제1 도전체(42, 43)와 제2 도전체(58, 59)사이의 용량 또는 컨덕턴스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어서,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반도체 장치의 메모리 셀 영역과 주변 회로 영역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4 실시예의 제조 방법의 일부를 변경한다.
우선, 제4 실시예의 도 16a와 도 16b에 나타낸 구조가 얻어질 때까지, 제4 실시예의 제조 방법을 실행한다. 이어서, 캡(91 내지 94)을 열 인산으로 에칭한다. 캡(91 내지 94)을 5㎚로부터 50㎚까지 범위의 두께로 제거한다. 도 23a와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에칭에 의해 캡 재료(95 내지 98)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의 제거 두께는 부유 게이트 측벽 산화막(101)을 형성할 때의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의 감소량과,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의 자연 산화막을 제거할 때의 소자 분리 영역(21 내지 24)의 감소량과의 합보다도 크다. 이어서, 홈(10) 내벽 위에 얇은 라이너 산화막(102)을 성막한다. 이 후에는, 제4 실시예의 제조 방법으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공정을 행한다.
도 23c와 도 2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의 자연 산화막을 제거한 직후에, 제2 도전체(5)를 퇴적시키기 직전에는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 상면의 상측에만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의 측면은 노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제2 도전체(57 내지 59, 157)가 제1 도전체(41 내지 43, 141)의 측면으로부터 아래로 저하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어 게이트 전극(7)은 제2 도전막(57 내지 59, 157)의 상면 또는 측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어 게이트 전극(7)은 제2 도전막(57 내지 59, 157)의 하측에는 배치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 게이트 전극(7)의 바닥면이 제1 전하 축적층(41)의 바닥면보다도 적층 방향으로 상측에 형성된다. 제2 도전체(57 내지 59, 157)가 마스크가 되어, 제어 게이트 전극(7)의 에칭 잔여물(116)이 생기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자 분리 영역이나 절연막의 형성법은, 실리콘을 실리콘 산화막이나 실리콘 질화막으로 변환하는 산화나 질화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산소 이온을 퇴적시킨 실리콘에 주입하는 방법이나, 퇴적한 실리콘을 산화하는 방법, 실리콘 질화막을 실리콘 산화막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반도체 기판은 p형 실리콘 기판에 한정되지 않는다. 반도체 기판은, n형 실리콘 기판이나 SOI 기판의 실리콘층, 또는 실리콘 게르마늄(SiGe) 혼합 결정, 탄화 실리콘 게르마늄(SiGeC) 혼합 결정 등 실리콘을 포함하는 단결정의 반도체 기판이라도 무방하다. 또, p형 실리콘 기판으로부터 n형 실리콘 기판으로 치환하는 경우에는 n형 MOSFET의 형성을 대신하여 p형 MOSFET의 형성으로 치환된다.즉, 상술된 실시예의 n형을 p형으로 치환하고, p형을 n형으로 치환한다. 또한, 도핑 불순물종의 비소(As), 인(P)을 인듐(In), 붕소(B) 중 하나와 재판독하면 된다.
또한, 제어 게이트 전극 및 전하 축적 영역은 실리콘 반도체, SiGe 혼합 결정, SiGeC 혼합 결정, TiSi, NiSi, CoSi, TaSi, WSi, MoSi 등의 실리사이드나 폴리사이드, 티타늄(Ti), 알루미늄(Al), 구리(Cu), 질화 티타늄(TiN), 텅스텐(W) 등의 금속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재료는 다결정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제어 게이트 전극 및 전하 축적 영역은 이들 재료의 적층 구조라도 무방하다. 또한, 제어 게이트 전극 및 전하 축적 영역에는 비정질 Si, 비정질 SiGe 혼합 결정, 또는 비정질 SiGe 혼합 결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들 적층 구조로 해도 무방하다. 또한, 전하 축적 영역은 도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상관없으며, 물론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부유 게이트와 제어 게이트 사이의 용량을 크게 보유한 상태에서 소자 분리 폭 Wt를 좁힐 수 있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유 게이트와 제어 게이트 사이의 용량 결합을 크게 해도 부유 게이트 사이의 용량이 커지기 어려워, 셀 사이의 전기적 간섭을 막을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6)

  1. 표면에 홈을 갖는 반도체 기판과,
    상기 홈에 매립되며, 측면의 상부가 상기 기판의 표면보다 높은 제1과 제2 절연체와,
    상기 기판의 표면 위에 설치되며, 하나의 단부가 상기 제1 절연체와 접하고, 다른 단부가 상기 제2 절연체와 접하는 제3 절연막과,
    상기 제3 절연막의 표면 위에 설치되고, 하나의 단부면이 상기 제1 절연체와 접하고, 다른 단부면이 상기 제2 절연체와 접하는 제1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체의 상기 하나의 단부면 근방에 설치되는 제2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체의 상기 다른 단부면 근방에 설치되는 제3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의 제1 측면과 상기 제3 도전체의 제2 측면에 접하고, 상기 제1 도전체 상면과 접하는 제4 절연막과,
    상기 제4 절연막 위에 설치되는 제4 도전체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체의 제2 측면이 상기 제1 절연체와 접하고, 상기 제3 도전체의 제1 측면이 상기 제2 절연체와 접하는 반도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는 세로 방향(longitudianl)으로 복수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절연체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4 도전체는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반도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체가 상기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제3 도전체가 상기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반도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도전체의 단면 폭이 적층 방향의 아래 방향으로 넓어지는 반도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제4 도전체의 바닥면은 상기 제1 도전체의 상면보다도 높은 반도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체의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3 도전체의 상기 제1 측면의 최대 간격은 상기 제1 도전체의 상기 하나의 단부면과 상기 다른 단부면의 거리보다도 크고, 상기 제2 도전체의 하면은 상기 제1 도전체의 상면보다도 낮은 반도체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체의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3 도전체의 상기 제1 측면의 최대의 간격은 상기 제1 도전체의 상기 하나의 단부면과 상기 다른 단부면의 거리보다도 좁은 반도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체의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3 도전체의 상기 제1 측면의 간격은 상측일수록 좁은 반도체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체의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4 도전체사이에 상기 제4 절연막이 배치되는 반도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체는 상기 제1 절연체보다 폭이 넓고, 상기 제2 절연체 상면의 높이는 상기 제1 절연체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은 반도체 장치.
  12. 표면에 홈을 갖는 반도체 기판과,
    상기 홈에 매립되며, 상면이 상기 기판의 표면보다 높은 제1과 제2 절연체와,
    상기 기판의 표면 위에 설치되는 제3 절연막과,
    상기 제3 절연막의 표면 위에 설치되는 제1 도전체와,
    상기 제1 도전체 표면 위에 설치되고, 외측면부의 상면의 높이가 내부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은 제2 도전체와,
    상기 제2 도전체의 상기 내부의 상면과 접하는 제4 절연막과,
    상기 제4 절연막 위에 설치되는 제4 도전체
    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체의 제1 측면이 상기 제2 절연체와 접하고, 상기 제2 도전체의 제2 측면이 상기 제1 절연체와 접하는 반도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는 세로 방향(longitudinal)으로 복수개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절연체는 상기 세로 방향으로 복수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4 도전체는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 평행하게 배치되는 반도체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체가 상기 제1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반도체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체의 상기 외측면부의 단면 폭이 적층 방향의 하측으로 넓어지는 반도체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 상측에 형성된 상기 제4 도전체의 바닥면은 상기 제1 도전체의 상면보다도 높은 반도체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체의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의 최대 간격은 상기 제1 도전체의 폭보다도 넓고, 상기 제2 도전체의 하면은 상기 제1 도전체의 상면보다도 낮은 반도체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체의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의 최대 간격은 상기 제1 도전체의 폭보다도 좁은 반도체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체의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의 간격은 상측일수록 좁은 반도체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체의 상기 제2 측면과 상기 제4 도전체사이에 상기 제4 절연막이 배치되는 반도체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체는 상기 제1 절연체보다 폭이 넓고, 상기 제2 절연체 상면의 높이는 상기 제1 절연체 상면의 높이보다 높은 반도체 장치.
  23. 반도체 기판 위에 제1 절연막, 제1 부유 게이트막, 캡을 순서대로 형성하는 공정과,
    동일한 패턴으로, 상기 제1 절연막, 상기 제1 부유 게이트막, 상기 캡과 상기 기판을 에칭하는 공정과,
    상기 패턴으로 제2 절연막을 매립하는 공정과,
    상기 캡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2 절연막의 측면과 상기 제1 부유 게이트막의 상면에, 외측면부의 상면의 높이가 내부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은 제2 부유 게이트막을 형성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유 게이트막을 형성한 후에, 상기 제2 절연막을 에칭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의 제조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막의 측면에 제2 부유 게이트막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유 게이트막이 일체형으로, 상기 제1 부유 게이트 위에 배치되는 불휘발성 메모리의 제조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유 게이트막 위 및 상기 제2 절연막 위에 제4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4 절연막 위에 제4 도전체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불휘발성 메모리의 제조 방법.
KR10-2001-0066992A 2000-10-30 2001-10-30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483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31407 2000-10-30
JPJP-P-2000-00331407 2000-10-30
JP2001324141A JP3984020B2 (ja) 2000-10-30 2001-10-22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JP-P-2001-00324141 2001-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907A true KR20020034907A (ko) 2002-05-09
KR100483416B1 KR100483416B1 (ko) 2005-04-15

Family

ID=2660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992A KR100483416B1 (ko) 2000-10-30 2001-10-30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5) US6713834B2 (ko)
JP (1) JP3984020B2 (ko)
KR (1) KR100483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087B1 (ko) * 2006-06-16 2009-03-1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6114A (ja) * 2000-09-26 2002-06-2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17318A (ja) * 2001-01-19 2002-08-02 Sony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6762092B2 (en) 2001-08-08 2004-07-13 Sandisk Corporation Scalable self-aligned dual floating gate memory cell array and methods of forming the array
US6781189B2 (en) * 2002-01-22 2004-08-24 Micron Technology, Inc. Floating gate transistor with STI
CN100340001C (zh) 2002-06-19 2007-09-26 桑迪士克股份有限公司 Nand快速存储器结构
US6894930B2 (en) 2002-06-19 2005-05-17 Sandisk Corporation Deep wordline trench to shield cross coupling between adjacent cells for scaled NAND
US6703272B2 (en) * 2002-06-21 2004-03-09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orming spaced conductive regions, and methods of forming capacitor constructions
JP4412903B2 (ja) * 2002-06-24 2010-02-10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半導体装置
JP2004055803A (ja) * 2002-07-19 2004-02-19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
KR20040011016A (ko) * 2002-07-26 2004-02-05 동부전자 주식회사 알에프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TW544786B (en) * 2002-07-29 2003-08-01 Nanya Technology Corp Floating gate and method therefor
KR100448911B1 (ko) * 2002-09-04 2004-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더미 패턴을 갖는 비휘발성 기억소자
US6908817B2 (en) * 2002-10-09 2005-06-21 Sandisk Corporation Flash memory array with increased coupling between floating and control gates
KR100537276B1 (ko) * 2002-11-18 2005-12-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US7419875B2 (en) * 2002-12-06 2008-09-02 Nxp B.V. Shallow trench isolation in floating gate devices
KR100880340B1 (ko) 2002-12-20 2009-01-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526463B1 (ko) * 2003-05-07 2005-11-08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JP3964828B2 (ja) 2003-05-26 2007-08-2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US7105406B2 (en) * 2003-06-20 2006-09-12 Sandisk Corporation Self aligned non-volatile memory cell and process for fabrication
JP2005072380A (ja) * 2003-08-26 2005-03-17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その製造方法、電子カード及び電子装置
US6943118B2 (en) * 2003-09-18 2005-09-13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flash memory
US7221008B2 (en) 2003-10-06 2007-05-22 Sandisk Corporation Bitline direction shielding to avoid cross coupling between adjacent cells for NAND flash memory
US7202523B2 (en) * 2003-11-17 2007-04-10 Micron Technology, Inc. NROM flash memory devices on ultrathin silicon
US7183153B2 (en) 2004-03-12 2007-02-27 Sandisk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self aligned non-volatile memory cells
KR100589058B1 (ko) * 2004-03-16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JP2005277171A (ja) * 2004-03-25 2005-10-0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332885A (ja) * 2004-05-18 2005-12-02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371638B2 (en) * 2004-05-24 2008-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cells having high control gate coupling ratios using grooved floating gate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KR100621628B1 (ko) * 2004-05-31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기억 셀 및 그 형성 방법
JP2006012871A (ja) * 2004-06-22 2006-01-12 Nec Electronics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388251B2 (en) * 2004-08-11 2008-06-17 Micron Technology, Inc. Non-planar flash memory array with shielded floating gates on silicon mesas
TWI249846B (en) * 2004-08-23 2006-02-21 Winbond Electronics Corp Memory device
US20060043463A1 (en) * 2004-09-01 2006-03-0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Floating gate having enhanced charge retention
US7183161B2 (en) * 2004-09-17 2007-02-27 Freescale Semiconductor, Inc. Programming and erasing structure for a floating gate memory cell and method of making
US7094645B2 (en) * 2004-09-17 2006-08-2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Programming and erasing structure for a floating gate memory cell and method of making
JP2006108310A (ja) * 2004-10-04 2006-04-20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7518179B2 (en) * 2004-10-08 2009-04-1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Virtual ground memory array and method therefor
US7416956B2 (en) * 2004-11-23 2008-08-26 Sandisk Corporation Self-aligned trench filling for narrow gap isolation regions
US7381615B2 (en) 2004-11-23 2008-06-03 Sandisk Corporation Methods for self-aligned trench filling with grown dielectric for high coupling ratio in semiconductor devices
US8384148B2 (en) * 2004-12-22 2013-02-26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making a floating gate non-volatile MO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improved capacitive coupling
EP1675181A1 (en) * 2004-12-22 2006-06-28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e of making a non-volatile MO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482223B2 (en) * 2004-12-22 2009-01-27 Sandisk Corporation Multi-thickness dielectric for semiconductor memory
US7840895B2 (en) * 2005-03-07 2010-11-23 Computer Associates Think, Inc. System and method for data manipulation
JP4113199B2 (ja) * 2005-04-05 2008-07-0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JP4488947B2 (ja) 2005-04-08 2010-06-23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100674971B1 (ko) * 2005-04-27 200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U자형 부유 게이트를 가지는 플래시 메모리 제조방법
US7335939B2 (en) * 2005-05-23 2008-02-26 Infineon Technologies A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production
KR100645067B1 (ko) * 2005-07-04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로팅 게이트를 갖는 비휘발성 기억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KR100824400B1 (ko) * 2005-07-08 2008-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기억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US7619270B2 (en) * 2005-07-25 2009-11-17 Freescale Semiconductor,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continuous storage elements
US7642594B2 (en) * 2005-07-25 2010-01-05 Freescale Semiconductor,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gate lines, bit lines, or a combination thereof
US7112490B1 (en) * 2005-07-25 2006-09-2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Hot carrier injection programmable structure including discontinuous storage elements and spacer control gates in a trench
US7619275B2 (en) * 2005-07-25 2009-11-17 Freescale Semiconductor, Inc. Process for form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continuous storage elements
US7582929B2 (en) * 2005-07-25 2009-09-0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continuous storage elements
DE102005038939B4 (de) * 2005-08-17 2015-01-08 Qimonda Ag Halbleiterspeicherbauelement mit oberseitig selbstjustiert angeordneten Wortleitung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albleiterspeicherbauelementen
KR101088061B1 (ko) 2005-10-24 2011-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로팅 게이트를 갖는 비휘발성 기억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JP2007081189A (ja) * 2005-09-15 2007-03-29 Elpida Memory Inc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541240B2 (en) * 2005-10-18 2009-06-02 Sandisk Corporation Integration process flow for flash devices with low gap fill aspect ratio
KR100669346B1 (ko) 2005-11-11 2007-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로팅 게이트를 갖는 비휘발성 기억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JP2007134598A (ja) * 2005-11-11 2007-05-3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157854A (ja) * 2005-12-01 2007-06-21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EP1818989A3 (en) * 2006-02-10 2010-12-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835530A3 (en) * 2006-03-17 2009-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837917A1 (en) * 2006-03-21 2007-09-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1488516B1 (ko) * 2006-03-21 2015-02-0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
TWI416738B (zh) * 2006-03-21 2013-11-21 Semiconductor Energy Lab 非揮發性半導體記憶體裝置
EP1837900A3 (en) * 2006-03-21 2008-10-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7288175A (ja) * 2006-03-21 2007-11-0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US7592224B2 (en) 2006-03-30 2009-09-2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of fabricating a storage device including decontinuous storage elements within and between trenches
US7786526B2 (en) * 2006-03-31 2010-08-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007294911A (ja) * 2006-03-31 2007-11-0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EP1840947A3 (en) * 2006-03-31 2008-08-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5483659B2 (ja) * 2006-03-31 2014-05-0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US8022460B2 (en) * 2006-03-31 2011-09-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554854B2 (en) * 2006-03-31 2009-06-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deleting data from NAND type nonvolatile memory
US7977190B2 (en) 2006-06-21 2011-07-12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s having reduced interference between floating gat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such devices
CN101479843B (zh) 2006-06-30 2011-03-30 富士通半导体股份有限公司 半导体装置和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KR20120041806A (ko) * 2006-08-16 2012-05-02 샌디스크 코포레이션 형상화된 플로팅 게이트를 갖는 비휘발성 메모리
US7615445B2 (en) 2006-09-21 2009-11-10 Sandisk Corporation Methods of reducing coupling between floating gates in nonvolatile memory
US20080074920A1 (en) * 2006-09-21 2008-03-27 Henry Chien Nonvolatile Memory with Reduced Coupling Between Floating Gates
US8652912B2 (en) * 2006-12-08 2014-02-1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of fabricating a transistor gate including cobalt silicide
US7838922B2 (en) * 2007-01-24 2010-11-23 Freescale Semiconductor,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renches and discontinuous storage elements
US7572699B2 (en) * 2007-01-24 2009-08-1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Process of form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ins and discontinuous storage elements
US7651916B2 (en) * 2007-01-24 2010-01-2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renches and discontinuous storage elements and processes of forming and using the same
JP2008218604A (ja) * 2007-03-02 2008-09-18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
US7745285B2 (en) * 2007-03-30 2010-06-29 Sandisk Corporation Methods of forming and operating NAND memory with side-tunneling
KR100885891B1 (ko) * 2007-04-30 200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5282372B2 (ja) * 2007-05-11 2013-09-0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90047211A (ko) * 2007-11-07 2009-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전 패턴의 형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1402890B1 (ko) 2007-11-30 2014-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휘발성 기억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JP2009152498A (ja) * 2007-12-21 2009-07-09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メモリ
JP2010004020A (ja) * 2008-05-19 2010-01-07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935608B2 (en) * 2008-06-02 2011-05-03 Qimonda Ag Storage cell having a T-shaped gate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522915B2 (ja) 2008-09-30 2014-06-18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973353B2 (en) * 2009-02-09 2011-07-05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NAND memory cells
KR101096388B1 (ko) * 2009-12-30 2011-12-2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2043856A (ja) * 2010-08-16 2012-03-0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21722A (ko) * 2011-04-27 2012-11-0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CN104752356B (zh) * 2013-12-25 2018-07-06 北京兆易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或非型闪存的浮栅的制作方法
JP5781190B2 (ja) * 2014-04-07 2015-09-16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CN106972022B (zh) * 2016-01-11 2019-10-29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半导体器件及其制作方法、电子装置
TWI629749B (zh) * 2016-11-24 2018-07-11 旺宏電子股份有限公司 半導體元件及其製造方法與記憶體的製造方法
CN108717931A (zh) * 2018-05-23 2018-10-30 武汉新芯集成电路制造有限公司 一种改善浮栅缺陷的方法及半导体结构
CN110838490A (zh) * 2018-08-17 2020-02-25 北京兆易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浮栅存储器的制备方法和浮栅存储器
US10886287B2 (en) * 2019-01-14 2021-01-05 Globalfoundries Inc. Multiple-time programmable (MTP) memory device with a wrap-around control gate
US12009435B2 (en) * 2021-09-13 2024-06-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ated nanosheet field effect transistors and floating gate memory cell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5497A (ja) * 1997-06-04 1998-12-18 Sony Corp 半導体不揮発性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63304A (ja) * 1997-11-28 1999-06-18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342715B1 (en) * 1997-06-27 2002-01-29 Kabushiki Kaisha Toshib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963824A (en) * 1997-07-09 1999-10-05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of making a semiconductor device with adjustable threshold voltage
JPH1187543A (ja) 1997-09-10 1999-03-30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H11186419A (ja) * 1997-12-25 1999-07-09 Toshiba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JPH11261038A (ja) * 1998-03-11 1999-09-24 Sony Corp 半導体不揮発性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37344B2 (ja) * 1998-09-29 2009-03-1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490860B (en) 1998-12-24 2002-06-11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anufacturing of flash memory cell
JP3314748B2 (ja) 1999-02-09 2002-08-12 日本電気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TW407381B (en) * 1999-03-01 2000-10-01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anufacture of the flash memory cell
US6153494A (en) 1999-05-12 2000-11-2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to increase the coupling ratio of word line to floating gate by lateral coupling in stacked-gate flash
US6391722B1 (en) * 2001-07-13 2002-05-21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nonvolatile memory having high capacitive coupling rati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087B1 (ko) * 2006-06-16 2009-03-1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06132B2 (en) 2004-10-19
US20040232515A1 (en) 2004-11-25
US7061069B2 (en) 2006-06-13
JP3984020B2 (ja) 2007-09-26
US6713834B2 (en) 2004-03-30
US20040229422A1 (en) 2004-11-18
US20020093073A1 (en) 2002-07-18
JP2002203919A (ja) 2002-07-19
US7420259B2 (en) 2008-09-02
US20040080020A1 (en) 2004-04-29
US20060163637A1 (en) 2006-07-27
KR100483416B1 (ko) 200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3416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1771047B (zh) 具有鞍鳍晶体管的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US7432160B2 (en)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transistors having three dimensional channel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655435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285456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fin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channels
US6235589B1 (en) Method of making non-volatile memory with polysilicon spacers
JP4233953B2 (ja) 垂直型動的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dram)・アレイと論理回路部を含む複合型集積回路を作製する方法
JP2003303906A (ja) 不揮発性メモリ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6784039B2 (en) Method to form self-aligned split gate flash with L-shaped wordline spacers
US5389808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with increased capacitance between floating and control gates
US8378395B2 (en) Methods of fabricating field effect transistors having protruded active regions
KR20170137637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9267208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06997A (ko) 비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1218941B1 (en) Non-volatile memory having high gate coupling capacitance
JP2001035860A (ja) 縦型トランジスタに位置合せされた埋込み表面ストラップ用のハイブリッド5f2セル・レイアウト
US20050156224A1 (en) Method to make minimal spacing between floating gates in split gate flash
JP2002110821A (ja) メモリセル形成方法
KR100691484B1 (ko) 반도체소자의 플러그 제조 방법
US20050059249A1 (en) Method to shrink cell size in a split gate flash
JP5313486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0446220C (zh) 半导体元件的制造方法
CN118335615A (zh) Sdb的制造方法
KR20040022565A (ko) 반도체 장치의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83424A (ko) 디램 셀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