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841A - 조절 가능한 지붕 모서리 난간 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지붕 모서리 난간 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841A
KR20000022841A KR1019990036869A KR19990036869A KR20000022841A KR 20000022841 A KR20000022841 A KR 20000022841A KR 1019990036869 A KR1019990036869 A KR 1019990036869A KR 19990036869 A KR19990036869 A KR 19990036869A KR 20000022841 A KR20000022841 A KR 20000022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handrail member
elevator
folde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9425B1 (ko
Inventor
미야꼬시가즈아끼
가미무라고세이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00022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66B5/0081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by preventing falling by means of safety fences or handrails, being operable or not, mounted on top of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로 내에서 승강하도록 된 승강함과, 승강함의 지붕 모서리부를 따라서 상기 승강함에 배치되고,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된 적어도 1개의 난간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보수원에 의한 보수 작업 수행 중에는 난간이 기립 위치로 조정되고, 그밖에는 승강함의 지붕에 존재하는 최대 돌출물보다 낮은 위치에 유지되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지붕 모서리 난간 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ELEVATOR WITH ADJUSTABLE TOP EDGE RAILING MEMBERS}
본 발명은 승강함의 상측에 지붕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는 난간을 개선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 건물에 설치되어 거주자 등이 소망하는 층에 이르기 쉽게 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로(1)가 건물에 수직으로 뻗으며, 승강로(1)에 설치되는 1쌍의 가이드 레일(2), 승강함 프레임(3)을 거쳐 가이드 레일(2) 간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함(4) 및 승강함(4)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 시스템(5)을 포함한다. 구동 시스템(5)은 그 중 하나만 나타내는 케이블(6), 2개의 카시브(7), 균형추 시브(8), 균형추(9) 및 승강로(1)의 상부에 설치되어 케이블(6)을 구동하는 권상기(10)로 구성되어 있다.
권상기, 제어판 등이 설치되는 승강로(1) 직상의 기계실을 없애고 권상기(10)가 승강로(1)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방식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설치 시에 오버헤드 치수를 줄임으로써 승강로(1)를 제외한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다(오버헤드 치수란 승강함(4)이 최상층에 정지할 때의 승강함(4)의 플로어와 승강로(1)의 천정 간의 거리를 지칭함).
즉 오버헤드 치수란 승강함(4)의 최대 돌출물, 즉 가이드슈(11)와 승강로(1)의 천정 위의 최소 돌출물, 즉 승강로(1)의 천정 간의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승강함(4) 상의 최대 돌출물로부터 승강로(1)의 천정 위의 최소 돌출물 간의 거리는 도시하지 않은 오일 버퍼의 균형추의 행정이나 균형추 오일 버퍼(도시 생략)와 균형추(8) 간의 거리 등의 승강로(1) 내의 다른 부분의 조건 등에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오버헤드 치수가 작은 엘리베이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승강함(4)의 최대 돌출물과 승강로(1)의 천정 간의 거리를 줄일 필요가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를 정기 점검하는 경우 등에 보수원이 승강함(4)의 지붕에 올라가서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때가 있다. 보수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난간(12)이 측부 및 후부를 따라 승강함(4)의 상부에 설치된다. 작은 오버헤드 치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난간(12)의 높이(Y)를 승강함(4)의 최대 돌출물(4), 즉 가이드슈(11)의 높이(X)보다 낮출 필요가 있다.
그러나 높이(Y)가 높이(X)보다 낮으면, 난간(12)은 승강함(4)의 보수원의 안전을 확보하는 주요 물체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다. 반면에 난간(12)의 높이가 커지면 오버헤드 치수가 커지고, 그 결과 작은 오버헤드 치수의 엘리베이터를 실현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오버헤드 치수가 작고 점검시에 난간으로 승강함 위의 보수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신규의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견인식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도1의 난간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축소 상태에서의 난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신장 상태에서의 난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내려앉은 상태의 난간 부재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기립 상태의 난간 부재의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일측의 난간 부재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사시도.
도11은 도10의 난간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12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12b는 도12a의 난간 부재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13a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상면도이고, 도13b는 도13a의 난간 부재의 정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정면도.
도15a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상면도이고, 도15b는 도15a의 난간 부재의 정면도.
도16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정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정면도.
도18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정면도.
도19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정면도.
본 발명의 상기 및 이외의 목적들은 승강로를 승강하도록 된 승강함과 그 지붕 모서리에 배치되고 높이가 조정 가능한 난간 부재를 포함하는 새로운 개량형 엘리베이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 및 부가적인 많은 이점에 대한 보다 완전한 이해는 첨부한 도면을 따른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도면을 참조 시에 수개의 도면에 걸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이하 본 발명을 도3및 도4에 나타내는 제1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의 각 부분은 난간만 제외하고는 도1에서 설명한 엘리베이터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개선된 난간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3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간 부재(23)는 역U자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승강함(4)의 지붕 옆모서리와 지붕 뒤모서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3에서 승강함(4)의 뒤모서리에 배치된 난간 부재(23)는 도시되지 않고, 승강함(4)의 측부 및 후측에 배치된 난간 부재(23)만 도시한다.
난간 부재(23)는 승강함(4)의 상면에, 수직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난간 부재(23)는 승강함(4)에 세워지는 한 쌍의 통체(21)와, 통체(21)에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다리(20a)를 갖고 통체(21)의 상단으로부터 연재하는 난간(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난간(20)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체(21) 안으로 다리(20a)를 삽입하고,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체(21)로부터 다리(20a)를 빼냄으로써 난간(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 각 통체(21)의 높이는 다리(20a) 전체가 통체(21) 내에 삽입되었을 때의 난간(20)의 높이(Y)가 승강함(4) 상의 최대 돌기물의 높이(X), 예들 들면 대개의 경우 가이드슈(11)의 높이보다 낮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전 시에는 난간(20)의 높이(Y)를 승강함 최대 돌기물의 높이(X)보다 낮은 위치로 낮게 하고, 엘리베이터의 보수 점검 시에는 보수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난간(20)의 높이를 올릴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통체(21) 내부로 그 끝이 향하는 볼트(22) 등의 잠금 장치가 쌍을 이루는 통체(21)의 일측의 상단부 표면에 설치되고, 볼트(22) 끝으로 다리(20a)를 가압함으로써 연재하는 난간(20)을 보수원의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잠금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난간 부재(23)에 의하면,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20a) 전체가 통체(21)에 삽입되므로, 엘리베이터의 정상 작동 시에는 난간(20)이 낮아져 오버헤드 치수를 늘리지 않고도 엘리베이터가 건물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수원이 점검을 위해 승강함(4) 위에 올라갈 경우, 다리(20a)가 통체(21)로부터 빠져 나와서 보수원의 안전을 확보하는 위치에 볼트로 죄어 잠금 고정되므로, 보수 작업이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예는 오버헤드 치수를 줄이고 안전을 확보한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활주 가능한 난간 부재(23)가 채용되므로, 신축 단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보수원의 안전을 확보하는 난간 높이를 설계하기가 용이하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난간 부재(33)의 사시도로서, 힌지식 난간 부재가 신축식 난간 부재 대신 사용된다. 난간 부재(33)는 승강함(4)의 지붕 옆모서리와 지붕 뒤모서리를 따라 배치된다. 도5 및 도6에서는 승강함(4)의 좌측에 배치된 난간 부재(33)만 나타낸다. 승강함(4)의 우측 및 후측에 배치된 난간 부재(33)는 편의상 도시를 생략한다.
난간 부재(33)는 승강함(4) 위에 설치되어 승강함의 중앙부를 향하게 난간(30)을 접는 한 쌍의 힌지판(31)을 구비한다. 난간(30)은 기립시의 높이가 보수원의 안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힌지판(31)의 피벗판(31a)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다리(30a)를 갖는다.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전 시에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간(30)이 승강함(4)의 중앙부 쪽으로 접혀서 승강함(4)의 최대 돌출물의 높이보다 낮아진다. 보수원이 승강함(4)에 올라타서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때에는, 난간(30)이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펴져서 기립 상태가 됨으로써 보수원의 안전을 충분한 확보할 수 있는 높이로 된다. 또한 잠금 링크(32)가 일측의 힌지판(31)에 부착되어 난간(30)의 기립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잠금이 해제되지 않는 동안은 난간(30)이 기립 상태로부터 접힘 상태로 가지 않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난간 부재(33)에 의하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의 힌지식 난간은 승강함(4)의 폭 및 깊이에 따라 난간의 기립 높이를 증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난간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3에 나타낸 제1실시예의 난간 부재(23)가 변형된 것이다.
도7의 난간 부재(24)는 역U자형으로 각각 형성되고, 도3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승강함(4)의 지붕 옆모서리와 지붕 뒤모서리를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7에서는 승강함(4)의 우측에 배치된 난간 부재(23)만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난간 부재(24)는 승강함(4)의 측면에, 수직으로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난간 부재(24)는 각각 승강함(4)의 측면에 입설되는 한 쌍의 통체(21)와, 통체(21)에 그 상단으로부터 활주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다리(20a)를 갖는 난간(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난간(20)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체(21) 안으로 다리(20a)를 삽입하고,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체(21)로부터 다리(20a)를 빼냄으로써 난간(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통체(21)는 승강함(4)의 측면에 고정 부재(40)로 고정된다.
또한 통체(21) 내부로 그 끝이 향하는 볼트(22) 등의 잠금 장치가 쌍을 이루는 일측의 통체(21)의 상단부 표면에 설치되어, 볼트(22) 끝으로 다리(20a)를 가압함으로써 연재하는 난간(20)을 보수원의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잠금 고정한다.
제3실시예에 의하면, 비교적 길이가 긴 통체(21)를 채용함으로써 충분한 높이의 난간(20)을 실현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사시도이다.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부분에 연결판(50)을 덧붙임으로써 도3의 제1실시예를 변형한 것이다.
제4실시예에서 인접하는 난간(20)이 일측의 연결판(50)과 상측 부에서 일체로 되어 점검 상태에서 정상 작동 상태로 엘리베이터의 상태를 전환할 때에 키 낮은 상태로 난간(20) 전체가 동시에 복귀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의하면 엘리베이터를 정상 운전 상태로 복귀시키고 난 다음, 난간 부재(23)가 승강로(1)의 천정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사시도로서, 난간(20)이 승강함(4)의 최대 돌출물보다 낮은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전을 금지하는 운전 금지 장치(60)가 제4실시예에 부가된다.
운전 금지 장치(60)는 난간(20)이 제자리로 복귀하는지를 검출하는 리밋 스위치(61)와, 제어기(62)를 갖는다. 리밋 스위치(61)는 난간(20)이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전을 위해 제자리로 돌아올 때에 제어기(62)에 확인 신호를 보낸다. 제어기(62)는 허가 신호를 권상기(10)에 보냄으로써 확인 신호를 제대로 받았을 때에만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전을 허가한다. 즉 난간(20)이 승강함(4)의 최대 돌출물, 즉 가이드슈(11)보다 낮은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는 엘리베이터는 작동할 수 없게 된다.
제5 실시예에 의하면, 난간(20)이 가이드슈(11)보다 높은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정상 운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안전을 향상할 수 있다.
상기 운전 금지 장치(60)는 승강함(4)에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되는 각각의 난간 부재와 함께 채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도4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리밋 스위치(61)가 각각의 난간 부재(23)에 설치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난간 부재(78)의 사시도이다. 도11은 도10의 난간 부재(78)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검 시에 보수원의 안전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해서 보수원이 승강함(4)에 타기 전에 난간 부재(7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즉 난간 부재(78)는 승강함(4)에 지붕 옆모서리를 따라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배치된 제1 난간 부재(70)와 지붕 후측을 따라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배치된 제2 난간 부재(75)로 되어 있다. 보수원이 점검을 위해 엘리베이터 차고로부터 승강함(4)에 올라타기 전에 제1 난간 부재(70)와 제2 난간 부재(75)를 올릴 수 있다.
제1 난간 부재(70)는 각각 역U자형으로 형성되고 승강함(4)의 전방측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재하는 난간(71)을 갖는다. 난간(71)은 승강함(4)의 중앙부를 향해 피벗 가능한 힌지(72)에 의해 승강함(4) 상의 스탠드(73)에 설치되는 2개의 다리(71a)를 갖는다. 이에 따라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난간 부재(70)가 승강함(4)에 설치되어,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립하거나 승강함(4)의 중앙부를 향해 접힐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 난간 부재(70)는 승강함틀(3a)의 지붕에 접혀 놓여진다.
제2 난간 부재(75)는 양단부에서 난간(71)의 후측 단부에 연결되는 체인(76)을 갖는다. 체인(76)은 난간(71) 사이에 배치되어 난간(71)이 기립할 때 소정의 높이를 이룬다. 즉 체인(76)은 난간(71)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긴장이 조정됨으로써 높이가 변한다.
또한 래치(77)가 다리(71a)를 지지하는 힌지(72)의 전방측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래치(77)는 힌지의 피벗부와 고정부를 동시에 잠금 고정함으로써 난간(71)의 기립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노브(77a)가 래치(77)에 각각 설치되어 래치(77)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이에 따라 난간(71)과 체인(76)을 엘리베이터 차고에서 승강함(4)에 올라타지 않고도 점검하기 편한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제6실시예에 의하면, 점검 시에 보수원이 다리(71a)의 하나를 붙잡고 승강함(4)에 올라타기 전에 엘리베이터 차고로부터 기어나와서 난간(71)을 세운 다음 래치(77)로 힌지(72)를 잠금 고정한다. 다른 난간(71)이 마찬가지로 세워지고 잠금 고정됨으로써 도10 및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잠금 고정되어 기립 상태로 유지된다. 점검 후에 보수원은 먼저 엘리베이터 차고로 내려온 다음 노브(77a)를 작동하여 래치(77)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난간(71)을 승강함(4)의 중앙부를 향해 접는다. 이에 따라 승강함(4)에 올라타기 전에 난간(71)과 체인(76)의 높이가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보수원은 안전을 확보한 후에 승강함(4)에 올라탈 수 있어 안전하게 엘리베이터를 점검할 수 있다.
또한 난간(71)이 스탠드(73) 상에 탑재되므로, 난간(71)을 세웠을 때에 보수원의 안전을 보장하는 난간 부재(78)의 전체 높이가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탠드(73)의 높이(Y1)와 난간(71)의 높이(Y2)의 합에 상당하는 높이(Y)가 된다. 또한 난간(71)을 접을 경우, 난간(71) 만이 접히므로, 난간 부재(78)는 작은 공간만을 차지한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방식을 바꿈으로 인해 부재(78)의 높이를 바꿀 필요가 있을 때에는 스탠드(73)의 높이는 바뀌더라도 마찬가지의 난간(71)을 사용할 수 있다.
도12a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112b는 도12a의 난간 부재의 주요 부분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6실시예를 변형한 것으로 제2난간 부재(75)로서 체인(76) 대신에 접힘 난간 부재(83)를 사용한 것이다.
난간 부재(83)는 역U자상으로 형성된 난간(84)을 갖는다. 난간(84)의 대향 단부(84b)는 크랭크 모양을 하고, 도시하지 않은 축 베어링에 의해 승강함(4)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도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립 상태에서 승강함(4)의 중앙부를 향해 접히게 된다.
난간(84)에 인접하는 다리(71a)의 하나는 단부(84b)와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즉 다리(71a)의 일단부(71b)는 도시하지 않은 축 베어링에 의해 도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함(4)에 피벗 가능하게 지지된다. 양단부(84b, 71b)는 2개의 베벨 기어(85)로 된 기어 부재(86)에 의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난간(71)이 기립 상태로부터 접히면 난간(84)이 함께 접힌다. 또한 난간(71)이 기립 상태로 올려지면 난간(84) 또한 선다. 난간(71)을 1개만 조정하여 상기 작동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13a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13b는 도13a의 난간 부재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6실시예를 변형한 것으로, 제2 난간 부재(75)로서 체인(76) 대신에 링크 난간 부재(91)를 사용한 것이다.
난간 부재(91)는 각각의 일단이 난간(71)의 뒤모서리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서로 연결되는 1쌍의 난간(90)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도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간(71)을 접음으로써 연결점(91a)에서 피벗하여 난간(90)이 아래로 움직여 접힌다.
또한 잠금 장치(92)가 난간 부재에 부가됨으로써 소망하는 난간 위치를 유지하고, 난간(9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 경감시킬 수 있다.
잠금 장치(92)는 일측 난간(90)의 후측에 납땜 고정된 너트(93)를 갖고, 볼트(94)는 너트(93)에 상당하는 타측 난간의 위치에 형성된 홀(도시 생략)을 통해서 너트(93)에 접속된다. 난간(90)은 너트(93)와 볼트(94)에 의해 일직선 상으로 잠금 고정된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제6 실시예를 변형한 것으로, 제2 난간 부재(75)로서 체인(76) 대신에 링크 난간 부재(100)를 사용한 것이다.
난간 부재(100)는 난간(71)의 뒤모서리의 각각에 각각의 일단이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1쌍의 제1 레일(101, 103)과 제1레일(101, 103)의 대향 단부의 각각에 그 양단이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평 난간(102)을 갖는다. 이에 따라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간(71)이 접힘으로써 난간 부재(100)가 내려와서 관절에서 피벗하여 접힌다.
제9실시예에 의하면, 난간 부재(100)의 전체 접힘 높이(H)가 낮아진다.
도15a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의 난간 부재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15b는 도15a의 난간 부재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6실시예를 변형한 것으로, 제2 난간 부재(75)로서 체인(76) 대신에 난간 부재(108)를 사용한 것이다.
난간 부재(108)는 난간(71)으로부터 연재하는 1쌍의 슬릿 레일(105)과, 난간(71)의 각각의 후측에 설치되고 난간(105)에 의해 안내되는 1쌍의 캠롤러(107)를 갖는다. 이에 따라 도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간(71)이 접힘으로써 난간 부재(108)가 내려와서 접히고 캠롤러(107)와 슬릿 레일(105)에 의해 안내된다.
슬릿 레일(105) 대신에 슬릿 없이 난간(106)의 일측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을 사용할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제6실시예를 변형한 것으로, 제2 난간 부재(75)로서 체인(76) 대신에 탄성 난간 부재(112)를 사용한 것이다.
난간 부재(112)는 난간(71)의 각 후측 부의 일단에서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1쌍의 실린더(111)와 양단부에서 실린더(111)의 내측으로 연결되는 탄성 부재(110)를 갖는다.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간(71)이 접힘에 따라 난간 부재(112)가 내려와서 탄성 부재가 축소된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10의 제6실시예를 변형한 것으로, 제 6 실시예에 승강함(4)의 최대 돌출물보다 낮은 위치로 난간(71)이 복귀하기 까지 난간의 정상 작동을 금지하는 작동 금지 장치(120)를 부가한 것이다.
작동 금지 장치(120)는 스탠드(123)를 통해서 승강함(4)에 탑재되어 난간(71)이 제자리로 복귀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2개의 리밋 스위치(121)와 제어기(122)를 갖는다.
리밋 스위치(121)는 난간(71)이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전을 위해 제자리로 돌아올 때에 제어기(122)에 확인 신호를 보낸다. 제어기(122)는 허가 신호를 권상기(10)에 보냄으로써 양쪽 확인 신호를 각 리밋 스위치(121)로부터 받았을 때에만 엘리베이터의 정상 운전을 허가한다. 즉 난간(71)이 승강함(4)의 최대 돌출물보다 낮은 위치로 복귀할 때까지는 엘리베이터는 작동할 수 없게 된다.
도18은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의 난간 부재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17의 제12실시예를 변형한 것으로, 난간(71)에 리밋 스위치(121)를 탑재한다. 즉 난간(71)이 접힐 때에 돌출부(121a)가 스탠드(124)를 접촉하도록 리밋 스위치(121)의 돌출부(121a)가 각 난간(71)에 탑재된다.
제13실시예에 의하면, 승강함(4)의 최대 돌출물보다 낮은 위치로 난간(71)이 복귀할 때까지는 엘리베이터는 작동하지 않는다.
도19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의 난간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17의 제12실시예를 변형한 것으로, 리밋 스위치(121) 대신에 스위치 장치(125)를 사용한 것이다.
스위치 장치(125)는 일측 난간(71)의 상측에 설치된 터닝 스위치(125a)와 타측 난간(71)의 상측에 설치되고 터닝 스위치(125a)에 접촉하여 터닝 스위치(125a)를 스위칭하는 판(126)을 갖는다. 이에 따라 양쪽 난간(71)이 모두 제대로 접힐 때에만 터닝 스위치(125)가 판(126)에 접촉하고, 이에 따라 스위치 장치(125)가 확인 신호를 제어기(122)로 출력한다.
제14실시예에 의하면, 양쪽 난간(71)이 단일의 스위치(125a)에 의해 제대로 접힌다.
상기 설명의 견지에서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므로,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은 여기에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 이외로도 실시될 수 있다고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버헤드 치수가 작고 점검시에 난간으로 승강함 위의 보수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승강로 내에서 승강하도록 된 승강함과,
    상기 승강함의 지붕 단부를 따라서 상기 승강함에 배치되고,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된 적어도 1개의 난간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부재는 수직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난간 부재는
    난간과,
    상기 난간을 접고 펼치도록 된 접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난간 부재는
    상기 승강함의 지붕 단부를 따라서 상기 승강함에 배치되고, 높이가 조절 가능하게 된 복수의 난간과,
    서로 인접하는 상기 난간이 일체가 되게 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난간 부재는
    각각 접힘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함의 대향하는 지붕 단부를 따라서 상기 승강함에 배치되는 1쌍의 제1 난간 부재와,
    상기 승강함의 지붕 뒤모서리를 따라서 상기 승강함에 배치되는 제2 난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난간 부재와 상기 제2난간 부재는 보수원이 상기 승강함 상에 서기 전에 소망하는 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난간 부재 중 하나를 소망하는 위치에 잠금 고정하도록 된 잠금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난간 부재는 상기 제2난간 부재와 연결되어 일체로 상기 소망하는 위치에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난간 부재는 체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난간 부재는 접힘 난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난간 부재는
    상기 제1난간 부재의 각 뒤모서리에 일단이 피벗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타단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난간 부재가 접힘에 따라 상기 타단이 아래로 피벗하도록 된 1쌍의 레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난간 부재는
    상기 제1 난간 부재의 각 뒤모서리에 일단이 피벗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는 1쌍의 제1판과,
    상기 제1판의 각 타단에 양단이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평행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판 및 상기 평행판은 상기 제1난간 부재가 접힘에 따라 상기 평행판이 내려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난간 부재는
    상기 제1 난간 부재의 각 뒤모서리에 일단이 각각 부착되는 1쌍의 캠과,
    상기 제1난간 부재 사이에 연재하고, 상기 캠을 안내하도록 된 적어도 1개의 스플릿 레일을 갖는 판을 구비하고,
    상기 캠 및 상기 판은 상기 제1 난간이 접힘에 따라 상기 판이 내려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난간 부재는
    상기 제1 난간 부재의 각 뒤모서리에 양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난간 부재가 접힘에 따라 내려가도록 신축 가능하게 된 탄성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이 상기 승강함의 최대 돌출물보다 낮게 위치하지 않은 동안은 상기 승강함의 정상 운전을 금지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KR10-1999-0036869A 1998-09-03 1999-09-01 조절 가능한 상단 에지 난간 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KR100399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987398 1998-09-03
JP98-249873 1998-09-03
JP28784398A JP4245209B2 (ja) 1998-09-03 1998-10-09 エレべーター
JP98-287843 1998-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841A true KR20000022841A (ko) 2000-04-25
KR100399425B1 KR100399425B1 (ko) 2003-09-29

Family

ID=2653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869A KR100399425B1 (ko) 1998-09-03 1999-09-01 조절 가능한 상단 에지 난간 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43584B1 (ko)
EP (1) EP0985628B1 (ko)
JP (1) JP4245209B2 (ko)
KR (1) KR100399425B1 (ko)
CN (1) CN1120798C (ko)
DE (1) DE69938524T2 (ko)
MY (1) MY126540A (ko)
TW (1) TW4466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46942B1 (en) * 2000-12-28 2008-08-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ar upper handrail device of elevator
JP4684445B2 (ja) * 2001-03-23 2011-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かご装置
WO2002085773A1 (fr) * 2001-04-17 2002-10-3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age d'ascenseur et ascenseur
DE10297157T5 (de) * 2001-08-27 2004-07-22 Otis Elevator Co., Farmington Sicherheitsvorrichtung für Wartung von Aufzugsystemen vom Dach der Kabine aus
CN100345744C (zh) * 2001-08-28 2007-10-31 三菱电机株式会社 乘用轿厢及电梯装置
CN1283543C (zh) * 2002-03-07 2006-11-0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轿厢上扶手装置
WO2003093157A1 (fr) * 2002-05-01 2003-11-1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ain courante pour cage d'ascenseur
US20050230194A1 (en) * 2002-05-09 2005-10-20 Ryushu Nakamura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JP2003321174A (ja) * 2002-05-09 2003-11-11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乗り籠の作業用柵
US7140473B2 (en) 2002-06-20 2006-11-28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top balustrade for a car of a machine room-less elevator
US6830127B2 (en) * 2002-08-29 2004-12-14 Robert Aaron Johnson Pipeline construction safety platform
US20040104382A1 (en) * 2002-12-02 2004-06-03 Collins Douglas R. Safety railing system for roof access hatch
DE602004001274T2 (de) 2003-03-31 2007-05-31 Inventio Ag, Hergiswil Haltestab für die Kreation eines zeitlichen Sicherheitsraumes in einem Aufzugsschacht
ES2383009T3 (es) * 2003-09-15 2012-06-15 Otis Elevator Company Dispositivos de seguridad para inspección de ascensores
FR2866665A1 (fr) * 2004-02-24 2005-08-26 Juan Perea Dispositif de securite du type garde corps, systeme d'ascenseur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et procede de mise en securite d'une installation
US20050224299A1 (en) * 2004-04-13 2005-10-13 Soemardjan San A Elevator recessed car top for refuge area
JP4627430B2 (ja) * 2004-10-21 2011-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かごの手摺装置
JP2008529933A (ja) * 2005-02-18 2008-08-07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全側面を同時に操作するハンドルを使って折り畳むことができるエレベータかご室天板柵
FR2891820B1 (fr) * 2005-10-07 2008-12-05 Thyssenkrupp Elevator Mfg F Systeme d'ascenseur comprenant un dispositif de securite
NL1030867C2 (nl) * 2006-01-06 2007-07-09 Melker B V De Veiligheidsconstructies voor een liftkooi.
CN101472830B (zh) * 2006-06-30 2013-07-17 奥蒂斯电梯公司 具有浅井坑和/或低顶盖的电梯
JP5015246B2 (ja) 2006-06-30 2012-08-29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検査されるエレベータの頂部や底部における最小空間を確保する安全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安全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
WO2008041332A1 (fr) * 2006-10-04 2008-04-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ystème d'ascenseur
US8833520B2 (en) * 2006-12-15 2014-09-16 C. & V. Engineering Company Pty Ltd Fall safety barrier
JP2008174337A (ja) * 2007-01-17 2008-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かご上手摺装置
JP4944628B2 (ja) * 2007-01-26 2012-06-06 パナソニック ホームエレベーター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の作業台の手摺り構造
JP2008285266A (ja) * 2007-05-16 2008-11-2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かご上作業用安全装置
KR100907140B1 (ko) 2007-07-04 2009-07-0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JP5360645B2 (ja) * 2008-07-23 2013-12-04 日本ビソー株式会社 折り畳み式作業用ゴンドラ
JP4836286B2 (ja) * 2008-10-21 2011-12-1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A2718454A1 (en) * 2009-10-20 2011-04-20 Kirk B. Gregus Elevator work deck
WO2012175394A1 (de) * 2011-06-22 2012-12-27 Inventio Ag Feuerwehraufzug
KR20140082972A (ko) * 2011-10-13 2014-07-03 인벤티오 아게 승강기
US9764925B2 (en) 2011-12-21 2017-09-1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including a car stop for maintaining overhead clearance
JP5923607B2 (ja) * 2012-07-20 2016-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3011033B (zh) * 2012-12-21 2015-08-12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高空平台系统及包含该高空平台系统的工程机械
JP5778722B2 (ja) * 2013-07-23 2015-09-16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Otis Elevator Company 浅いピットおよび/または低いオーバヘッドを備えたエレベータ
KR101432643B1 (ko) 2013-12-31 2014-08-22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물류운반용 높이조절식 컨테이너형 안전곤돌라
JP6145078B2 (ja) * 2014-04-23 2017-06-07 株式会社シィップ 昇降台装置
DE112015005891T5 (de) * 2015-01-05 2017-09-2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svorrichtung
EP3247664B1 (de) * 2015-01-20 2019-10-23 Inventio AG Aufzug
WO2016135922A1 (ja) * 2015-02-26 2016-09-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DE102015211488A1 (de) 2015-06-22 2016-12-22 Thyssenkrupp Ag Sicherheitseinrichtung einer Aufzugsanlage
DE112015006696T5 (de) * 2015-07-15 2018-03-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svorrichtung
US10233054B2 (en) * 2015-07-23 2019-03-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ar upper handrail apparatus
WO2017055387A1 (de) * 2015-09-30 2017-04-06 Inventio Ag Aufzugsanlage
WO2017102966A1 (de) * 2015-12-18 2017-06-22 Inventio Ag Aufzugskabine mit einer klappbaren balustrade sowie steuerungsvorrichtung für eine aufzuganlage mit einer solchen aufzugskabine
WO2018011976A1 (ja) * 2016-07-15 2018-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WO2018073896A1 (ja) * 2016-10-18 2018-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CN109843774B (zh) * 2016-10-27 2020-12-1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轿厢上扶手装置
DE102016121742A1 (de) * 2016-11-14 2018-05-17 Thyssenkrupp Ag Fahrkorb für ein Aufzugsystem
ES2944539T3 (es) * 2016-11-15 2023-06-22 Inventio Ag Cabina de ascensor
WO2018178285A1 (de) 2017-03-30 2018-10-04 Inventio Ag Aufzug
CN108557602A (zh) * 2018-06-27 2018-09-21 通力电梯有限公司 用于电梯的安全防护装置和包括该安全防护装置的电梯
KR20200025780A (ko) 2018-08-31 2020-03-10 이금기 엘리베이터 상부용 안전난간
CN111362085B (zh) * 2018-12-26 2022-12-20 奥的斯电梯公司 栏杆组件、轿厢和电梯
JP7135902B2 (ja) * 2019-02-01 2022-09-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かご天井上巾木装置
WO2021121904A1 (en) * 2019-12-20 2021-06-24 Inventio Ag Elevator car pivotable balustrade and maintenance method for an elevator
CN111302191A (zh) * 2020-03-31 2020-06-19 瑞普兰德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内安全防护围栏
KR102205714B1 (ko) * 2020-08-10 2021-01-21 아세아시멘트(주) 절첩기능을 갖는 사이로장치용 핸드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사이로장치
CN114074884A (zh) * 2020-08-13 2022-02-22 奥的斯电梯公司 顶部扩展部及其操作方法、电梯轿厢组件和电梯系统
EP4005961A1 (de) 2020-11-30 2022-06-01 Inventio AG Aufzugskabine mit einer balustrade
CN113682921A (zh) * 2021-08-24 2021-11-23 崔晓江 一种简易井道平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8916A (en) * 1973-02-07 1975-04-22 Jr Gerome R White Rack and pinion drive counterbalanced hoist systems
GB2158038B (en) 1984-04-27 1986-10-29 Afd Engineering Lift car top barrier
JPH0649577Y2 (ja) * 1987-11-27 1994-12-1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サービス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JPH01281281A (ja) 1988-05-06 1989-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のかご上安全さく
JPH0625471B2 (ja) * 1989-09-28 1994-04-06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折り畳み足場
JPH04292386A (ja) * 1991-03-20 1992-10-16 Toshiba Corp 油圧エレベータかごの安全柵
JPH08133617A (ja) * 1994-11-02 1996-05-28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ーかご室上保守装置
JP2001058774A (ja) * 1999-08-18 2001-03-0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
JP2002003113A (ja) * 2000-06-15 2002-01-0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かご上保守運転装置
JP2002020062A (ja) * 2000-07-07 2002-01-23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かご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9425B1 (ko) 2003-09-29
JP2000143125A (ja) 2000-05-23
JP4245209B2 (ja) 2009-03-25
MY126540A (en) 2006-10-31
US6543584B1 (en) 2003-04-08
DE69938524T2 (de) 2009-06-10
EP0985628B1 (en) 2008-04-16
CN1246437A (zh) 2000-03-08
DE69938524D1 (de) 2008-05-29
EP0985628A2 (en) 2000-03-15
EP0985628A3 (en) 2003-10-15
TW446680B (en) 2001-07-21
CN1120798C (zh) 200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9425B1 (ko) 조절 가능한 상단 에지 난간 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RU2058928C1 (ru) Рабочая платформа для подъемника шахты в сооружаемом здании
JP4742591B2 (ja) エレベータの終端安全装置
US20190135586A1 (en) Elevator arrangement with low headroom
CA1146096A (en) Modular elevator car
EP3484803B1 (en) Elevator arrangement and elevator
CN101137571A (zh) 电梯检查安全装置
CN102216545A (zh) 移动式悬臂平台及其安装方法
JP5217073B2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装置
KR102480892B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KR20200025780A (ko) 엘리베이터 상부용 안전난간
KR1003945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2020062A (ja) エレベーターかご室装置
EP3530605B1 (en) Elevator car toe guard system
KR102202449B1 (ko)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대
KR102239971B1 (ko) 완충모듈을 구비한 휠체어용 리프트 승강장치
KR890001064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204933B1 (ko)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RU22688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олнения работ в шахте лифта
KR102219660B1 (ko) 사장교 주탑부 케이블 설치를 위한 승강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사장교 주탑부의 케이블 시공방법
JP200500833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188212Y1 (ko) 교량 점검용 슬라이드 방식의 출입장치
KR102591974B1 (ko) 건설용 리프트
KR950004101Y1 (ko) 유압승강기의 로프설치구조
JP3807851B2 (ja) エレベータの昇降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