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064B1 -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064B1
KR890001064B1 KR1019810005035A KR810005035A KR890001064B1 KR 890001064 B1 KR890001064 B1 KR 890001064B1 KR 1019810005035 A KR1019810005035 A KR 1019810005035A KR 810005035 A KR810005035 A KR 810005035A KR 890001064 B1 KR890001064 B1 KR 890001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elevator car
elevator system
tunne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5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410A (ko
Inventor
앤드류 카펜하겐 죠오지
존 마틴 니일스
에드워드 페이스 존
안소니 세트 로버트
에드워드 랜덜 차알스
포오드 잭슨 레이
에스. 베인즈 거딥
Original Assignee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죠오지 메크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죠오지 메크린 filed Critical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30007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4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actuated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엘레베이터 카를 갖는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사시도.
제2도는 일부의 부품을 생략하거나 절제한 상태 제1도의 엘레베이터 시스템의 후방입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엘레베이터 시스템 12 : 엘레베이터 카
14 : 승강통로 16 : 건물
19 : 승강통로 홈 20 : 유압잭
21 : 실린더 22 : 플래트폼
23 : 플런저 24 : 캡(cab)
25 : 실린더 헤드 30 : 터미널 구조
34 : 하부비임 부재 36 : 상부비임 부재
38,40 : 수직부재 42 : 제1단부
44 : 제2단부 45 : 중간연결부
46 : 제1레그부 57,49 : 플랜지
48 : 제2레그부 50 : 제1단부
52 : 제2단부 54 : 중간연결부
56 : 제1레그구 58 : 제2레그부
60 : 제1단부 62 : 제2단부
64 : 중간연결부 66 : 제1레그부
68 : 제2레그부 70,72 : 플랜지
73 : Z형 장착브래킷 75 : 레그부
79 : 레그부 80,82 : 너트와 볼트의 조립체
84,86,88 : 안내레일 슬로트 90 : 안내레일
92,94,96 : 슬로트 98 : 안내로울러 조립체
100 : 측면비임부재 101 : 측면비임부재
102,104,106,108 : 중간비임부재 109 : 피봇조립체
110,112 : 브래이스부재 114 : 바닥부재
116,118 : 측면판 120 : 후면
122 : 상면판 124,126,128,130 : 측면부재
132 : 단부판 134,136 : 보강리브
135 : 플런지의 상부 137 : 핀
139 : 볼트 140 : 작동제어기
141,143 : 완충기 142 : 카 호출버튼
144 : 카위치표시기 146 : 스윙반전 판넬
148 : 제1레그부 150 : 제2레그부
152 : 횡부재 155 : 도선보호관
157 : 아암부재 164 : 하부
166 : 중간부 167 : 조명수단
168 : 상부 169 : 형광램프
171 : 반투명판 172,174,176 : 안내로울러조립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 특히 유압잭을 위해 요구되는 홈이 제거되거나 그 홈의 깊이가 상당히 감소된 유압식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유압식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카(car)의 수직운행 거리와 같은 깊이의 유압작용 홈을 필요로 한다. 그홈을 뚫는데는 비용이 많이들며, 단지 몇층밖에 안되는 층간 거리가 낮은 건물에 유압식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경우 홈을 뚫는 비용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비용이 비교적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층간 거리가 낮은 건물에는 비교적 저가의 엘레베이터 시스템을 사용하기때문이다.
상기홈을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카의 양측부에 두개의 유압잭을 설치하거나 유압잭의 실린더부가 카 구조의 일부가 되게함으로써 동력유닛이 들어올려야 할 중량에 실린더의 중량과 유압오일의 중량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한 전술한 형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플랫폼과, 이 플랫폼상에 설치되는 출입구, 측벽 및 상부를 구비하는 캡과, 이캡및 상기 플랫폼을 지지하는 구조적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승강통로내의 엘리베이터 카, 및 건물에 고정되어 있는 실린더,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상기 승강통로내에서 지지하는 단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런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수직운행 경로 내에서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작동가능한 단일 유압잭을 포함하는, 수직이격된 다수의 층과 승강통로를 갖춘 건물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그 수직운송경로의 상하한사이에서 운행될 때 상기 유압잭의 적어도 실린더부가 상기 엘리베이터카내로 상향 연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런저의 단부는 상기 지지수단과 접촉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하측에 요구되는 상기 유압잭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감소시키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다.
도면에 나타나 있으나 청구되지 않은 특징들은 1980년 12월 22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219,206호에 청구되어 있다.
간단히 말해서, 본 발명은 종래의 단일 유압잭을 이용하는 개량된 유압식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유압실린더는 엘리베이터 하측에 배치되고, 건물에 부착되어 있다. 유압잭은 엘리베이터 카내로 상향연장되어 있고, 카 하부에 요구되는 공간은 이와같이 카내로 삽입된 양만큼 감소되게 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유압잭은 카프레임(car frame)의 상부비임까지 또는 상부비임의 상부까지 연장한 터미널구조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를 완전히 관통한다. 상기 플런저의 단부는 터널구조의 상단부와 접촉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널 구조는 상기 카프레임의 주요한 수직 지지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이 터널구조는 (cab)의 입구와 카에 장착된 작동제어장치 사이의 카의 전면에 인접한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카에 장착된 작동제어 장치는 상기 캡의 전반 내측벽의 역할을 하는 스윙반전 판넬 (swing return panel)전면 및 후면상에 설치된다. 출입판넬 즉 도어는 일련의 승강통로 스위치에 인접한 카의 측면에 위치한 측면수직 부재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승강통로 스위치에 뿐만 아니라 카에 장착된 작동 제어기에 용이하게 접근할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관리인을 엘리베이터를 유지보수 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설명에 따라 구성된 엘리베이터 시스템 (10)의 사시도 이며, 제2도는 후방입면도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은 건물(16)의 각 층을 통하는 승강통로(14)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12)를 포함한다. 승강통로(14)의 바닥에 있는 승강통로 홈(19)에 설치된 단일 유압잭(20)은 엘리베이터 카(12)를 움직이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유압잭(20)은 실린더(21), 실린더헤드(25), 단일의 플런저(23)을 갖는 재래적인 것이나 텔레스코프식 잭을 사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12)는 플랫폼(22)와, 플랫폼(22)에 설치된 캡(CAB)(24)와, 상기 플랫폼과 캡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적 지지수단인 카 프레임(26)을 포함한다. 카프레임(26)은 유압잭을 수납하기위한 터널모양의 금속구조물(30)을 구비하며, 그 금속구조물(30)에 의해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유압잭을 수용하기 위해 바닥에 형성하는 홈의 깊이가 감소되거나 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터널구조물(30)은 엘리베이터 카(12)의 최 전면상에 배치되며, 캡(24)의 상부까지 또는 상부의 위까지 연장한다.
특히, 엘리베이터 카(12)의 구조적 지지수단(26)은 구조용강으로 만들어진 카프레임이된다. 카프레임(26)은 각각 하부 비임부재(34)와 상부 비임부재(36)에 의해 형성되는, 수평하게 놓여있고 수직으로 상호 이격된 하부와 상부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카프레임(26)의 주요수직 구조부재는 터널구조물(30)에 의해 제공되며, 이 터널구조물은 상기 하부 및 상부 비임 부재(34),(36)내의 개구를 관통연장하고, 이 비임부재들에 용접되어 있다. 수직부재(38)과 (40)에 의해 제공되는 제1 및 제2측부는 비교적 얇은 박판금속으로 만들어져 있는데, 이는 터널구조물(30)이 주요한 수직지지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수직부재(38)(40)이 주요 수직 지지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하부비임부재( 34)는 각각 제1 및 제2단부(42)와 (44)를 구비하며, 소정의 단면, 예로써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은 U자형단면을 가진다. 상기 U 자형 부재는 중간연결부(45)와 제1 및 제2수직 레그부(legportion)(46)(48)을 구비한다. 이들 수직레그부(46)(48)의 단부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플랜지(47)(49)을 형성한다. 하부비임부재(34)는 상기 플랜지(47)(49)의 정렬된 단부사이의 공간이 터널구조물(3 0)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치수로 한다.
상부비임부재(36)은 각각 제1및 제2단부(50)(52)를 구비하며, 소정의 단면, 예로써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은 U자형 단면을 가진다. 상기 U 자형 부재는 중간연결부 (54)와 제1 및 제2레그부(56)(58)을 구비한다.
각 수직부재(38)(40)는 예로써, 수직부재(38)의 제1및 제2단부(60)(62)와 같은 제1 및 제2단부를 구비한다. 이들 수직부재, 예컨대 수직부재(38)은 소정의 단면, 예컨대 중간연결부(64)와 제1및 제2레그부의(66)(68)을 구비하는 U 자형 단면을 구비한다. 상기 제1및 제2레그부의 단부에는 플랜지(70)(72)가 형성되며, 이 플랜지들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동일평면상에 놓이도록 절곡된 것이다.
대체로 Z 형인 장착 브래킷들은 상부비임부재(36)의 레그부(56)(58)사이에 용접되어 수직부재(38)(40)의 제2단부의 설치 지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수직부재 (38)이 수직 지지기능을 제공하는 구조가 아닌 경우 대각선 방향의 견고한 고정 지점을 제공하게된다. 예컨대, Z 형 장착브래킷(73)은 상부비임부재(36)의 단부(50)에 인접하여 용접되는데, 제1도에는 하나의 레그부(75)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부비임부재(34)의 레그부(46)(48)의 사이에 장착브래킷을 용접하여 수직부재(38)(40)의 제1단부의 장착지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플랫폼(22)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지점을 제공하도록 된다. 예컨데, Z 형 장착브래킷은 제1단부(42)에 인접하여 용접되며, 제1도에는 그 브래킷의 하나의 레그부(79)가 도시되어 있다.
적절한 너트 및 볼트 조립체(80)을 사용하여 수직부재(38)(40)의 제1단부를 하부비임부재(34)에 연결하고, 또 하나의 너트 및 볼트 조립체를 사용하여 수직부재 (38)(40)의 제2단부를 상부비임부재(36)에 연결한다.
상기 하부 및 상부 비임부재(34)(36)의 중간연결부에는 예컨대 안내레일(88) (90)을 수납하기 위한 슬로트(84)(8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및 상부비임부재( 34)(36)의 중간연결부에는 또한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안내로울러 조립체(98)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슬로트, 예컨대 상기 상부비임부재(36)의 안내레일슬로트(86)에 인접한 슬로트(92)(94)(96)가 형성되어 있다.
플랫폼(22)는 전방 및 후방 비임부재(76)(78)및 이들과 용접 연결된 제1 및 제2측면 비임부재(100)(101)을 구비하는 장방형의 강 구조물이다. 상기 전방 및 후방비임부재(76)(78)은 측면비임부재(100)(101) 및 다수의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중간비임부재, 예컨대 중간비임부재(102)(104)(106)(108)을 수납하기 위한 치수 및 ㄷ 자형단면을 구비한다. 이 플랫폼은 예컨대 피봇조립체(109)를 통해 접었다 폈다 할수 있게 되어있다.
대각선방향의 측면 브래이스부재(110)(112)의 일단부는 상부비임부재에 볼트 결합되고, 그 나머지부는 측면 비임부재(100)에 용접되고, 브래이스부재(112)의 일단부는 상부비임부재에 볼트 결합되고, 그 나머지부는 측면 비임부재(101)에 용접된다. 상기 브래이스부재(110)(112)는 플랫폼(22)를 접었다 폈다 할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적절한 바닥부재(114)는 플랫폼(22)위에 설치되어 있고, 캡(24)는 상기 바닥부재(114)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캡은 측면판(116)(118), 후면판(120) 및 상면판(122)를 구비한다.
하부비임부재(34)의 플랜지(47)은 캡의 입구와 승강통로도어 사이를 분리하고 있는 출입구 플래이트(57)을 지지한다. 엘리베이터카의 도어(59)는 활주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어(59)를 작동시키는데 적합한 도어작동기(도시되지 않음) 는 198 0. 12. 22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219,102호에 설명되어 있다.
내부에 정방형 또는 원형의 개구부를 구비한 기다란 터널 구조물(30)은 하부비임부재(34)와 상부비임부재(36)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터널구조물(30)이 정방형 개구부를 구비한 경우, 터널구조물은 적절한 고정방법, 예컨대 용접에 의해 고정된 네개의 금속 측면부재(124), (126), (128), (130)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터널구조물(30)은 지지부재의 일부분으로서, 이것에는 플런저(23)의 단부가 접촉하는 단부플레이트 (132)가 구비된다. 단부플레이트(132)는 플런저(23)의 상단부(135)를 수납하기 위한 소형 개구부(133)을 구비하여 플런저(23)을 적절하게 단부플레이트의 중심에 위치시키고 이 단부플레이트(132)에 고정시키게 된다. 핀(137)은 플런저의 상단부(135)에 있는 개구부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널(30)은 하부와 상부비임부재(34)(36)에 각각 용접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연장되어 있고, 지지부재 (26)의 주요한 수직 구조적 지지체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직부재(38)(40 )은 비교적 얇은 판금으로 제작된다.
유압잭(20)을 수납하기 위한 수직홈은 완전히 제거하거나, 또는 4피트 이하의 깊이로 그 깊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므로(4피트 이하의 홈은 드릴로 형성할 필요가 없음) 단부판(132)는 상부비임부재(36)과 동일한 수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실제로 단부판(132)는 카프레임(26)의 일부를 구성하는데, 이는 터널구조물(30)의 측면부재(124)(126)(128)과 (130)중에 적어도 몇개를 상부비임부재(36)과 터널구조물(30)에 부가적인 보강리브부재(134)(136)을 용접할수도 있다. 단부플레이트(132)는 터널구조물(30)을 구성하는 측면부재에 착탈 가능하여 고정된다. 예를 들면, 네개의 나사구멍을 형성한 금속블록들(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단부판(132)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들을 통하여 하향 연장하는 볼트(137)을 사용하여 단부판(132)의 하부에 고정 할수 있다. 이들 네개의 블록들 각각은 볼트(137)과 결합하는 나사구멍의 축선에 수직한 축선을 가지는 추가의 나사구멍을 구비하며, 이 추가 나사구멍의 축선은 상호 수직을 이룬다. 터널(30)의 측벽에는 상기 금속블록내의 추가 나사구멍에 결합되는 볼트(139)를 수납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카(12)가 완충장치(141)(143)까지 하강하고 단부플레이트(132)는 제거되어 실린더헤드 역할을 하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터널구조물(30)은 상부비임부재(36)까지 연장시키지 않고, 엘리베이터카(12)를 관통하여 하향 연장시켜 하부비임부재(34)의 하부까지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터널(30)은 하부비임부재(34)에 용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의 보강리브(137)은 하부비임부재(34)와 터널구조물(30)에 용접된다. 이러한 터널구성에 의해 유압잭(20)은 터널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 부호됨과 동시에 유압잭(20)과 엘리베이터 카(12)의 내부는 완전히 분리된다. 강관으로 터널(30)을 구성하고, 이 터널을 카프레임의 하부 및 상부비임부재에 용접한 경우, 상기 터널은 카프레임(26)의 주요지지부를 형성한다.
엘리베이터 카(12)의 최전면부에 터널(30)을 설치하면, 이 터널(30)은 승객의 눈에 보이지 않게된다. 터널은 캡의 입구를 구성하는 개구부(138)과 예컨대 카 호출버튼위치(142)와 카 위치 표시기(144)와 같은 카에 장착된 작동제어기(140)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편리하다. L자형 스윙반전판넬(146)은 내부의 캡의 전면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제1레그부(148)을 구비하여, 이 제1레그부상에는 작동제어기(140)이 설치된다. 상기 스윙반전판넬(146)에는 또한 입구의 측벽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제2레그부 (150)이 구비된다. 횡부재(152)는 스윙반전판넬(146) 및 개구부(138)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터널구조물(30)을 은폐시키는데 일조를 한다. 상기 횡부재(152)에는 조명수단(167), 예컨대 반투명 판넬(171)의 후방에 배치된 형광램프(169)를 설치할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면판(122)에 캡내의 조명을 위한 붙박이 조명시설을 설치할수도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관점은 카에 설치된 작동제어장치와 승강통로 스위치에 엘리베이터카 내에서 손쉽게 접근할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엘리베이터 카의 상부로부터 카내에 들어가야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상기 스윙반전판넬의 후방측에 설치된 카 호출버튼(142)와 카 위치 표시기(144)이외에도 스윙반전판넬에는 비상등전원과 전화도어 및 전화기를 설치할수 있다. 스윙반전판넬(146)에는 또한 환기팬용 그릴(gr ill)을 설치할수 있다. 판넬(149)에는 단자판(151) 및 기타의 제어장치를 설치한다. 수직부재(40)은 승강통로에 장착된 스위치와 정렬된 수직부재내의 개구를 카바하기위한 판넬(153)을 구비한다. 예컨대 스위치(145)와 같은 승강통로 스위치는 도선보호관(1 55)상에 장착되며, 이 도선보호관은 수직방향으로 이격배치된 아암부재(157)상에 장착되며, 이 아암장착부재(157)은 안내레일(90)에 고정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몇몇 다른 특성과 카프레임(26)을 더욱 명백히 설명하기위해 캡(24), 수직부재(38)(40) 카 장착작동제어(140), 스윙반전판넬(146)을 제거한 상태의 제1도에 도시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의 후방 입면도이다. 유압잭(20)의 실린더부(21)은 제1및 제2클램핑 조립체(154)(156)에 의해 승강통로 홈(19)에 고정되어 있다. 클램핑조립체(154)는 승강통로 홈(19)의 바닥에 장치된 구조용강으로된 직사각형 프레임(158)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58)은 장착플레이트(159)에 의해서 홈(19)의 전방벽에 설치되어 있다. 클램핑 조립체(154)위에 설치된 제2클램핑 조립체(156)은 장착플레이트(161)에 연장되어 있는 아암(도시되어있지 않음)을 포함하며, 이 아암은 홈(19)의 전방벽에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널구조물(30)은 카프레임(12)의 하부비임부재 하측에 베치되는 따라서 플랫폼(22)의하측에 배치된 하부부분(164)와, 카프레임 (12)의 상부 및 하부비임 부재사이에 배치된 중간부분(166)과, 상부비임부재(36)위에 배치된 상부부분(168)을 포함한다.
안내로울러 조립체(98)이외에도 엘리베이터 카는 추가의 안내로울러 조립체 (172)(174)(176)을 구비한다. 안내로울러 조립체(98)(172)는 안내레일(88)과 맞물리며, 안내로울러(174)(176)은 안내레일(90)과 맞물려서, 엘리베이터 카(12)가 플런저(23)의 상단부와 단부플레이트(132)사이에서 승강운동할때, 이 엘리베이터 카를 원할하고도 정확하게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낙하하는힘(tipping force)을 지탱하는 안내로울러는 기타 다른 로울러보다 큰 외경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12)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 수단은 엘리베이터 카(12)의 수직돌출부내에 배치된 단일의 유압잭(20)이 됨을 알수 있다. 또한 실린더(21)은 단순히 승강통로 홈(19)의 바닥에 배치할수 있으며, 그럼에도 엘리베이터카(12)는 다수의 층까지 작동이 가능하다. 약4피트의 최대길이를 가진 얕은 홈은 홈 (19)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사용된 것과 같은 장비에 의해 형성할수 있으므로 드릴 작업은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실린더(21)이 홈(19)의 바닥의 하부까지 연장하지 않게 되고, 깊이가 얕은 홈을 사용할수 있다. 건물의 층번호는 터널(30)의 상부부분(168)의 높이, 층간 거리 및 유압잭이 한개의 플런저를 구비할것인가 또는 텔레스코프식 잭인가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선행기술과 달리 본 발명의 카 프레임의 구성 요소들은 압축 상태의 부하를 받지않고 인장상태의 부하를 받는다.
요약하여, 본 발명의 유압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층간거리가 낮은 건물에 적합한 비교적 저렴한 시스템이며, 유압잭을 수용하기 위한 홈을 드릴로 형성할 필요없이 신축 건물이나 기존의 건물에 설치할수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터널구조물은 터널구조물 이 카프레임의 주요한 수직 지지부재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수직부재는 비교적 얇은 판금으로 형성할수 있다.
또한 캡의 내벽을 형성하는 스윙반전판넬에 의해 카의 내부에서도 카에 장착된 작동제어기와 승강통로 스위치에 용이하게 접근할수 있다.

Claims (11)

  1. 플랫폼(22)와, 이 플랫폼상에 설치되는 출입구(138), 측벽(116〈118), 상부 (122)를 구비하는 캡(24)와, 이 캡 및 플랫폼을 지지하는 구조적 지지수단(34)를 포함하는, 승강통로내의 엘리베이터 카(12)(제1도) ; 및 건물에 고정되어있는 실린더(21), 및 상기 엘리베이터카를 상기 승강통로내에서 지지하는 단부(135)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런저(23)(제1, 2도)와상기 엘리베이터카를 그 수직 운행 경로내에서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작동하는 단일 유압잭(20)을 포함하는, 다수의 층과 승강통로(16)(제2도)를 갖춘 건물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가 그 수직 운행 경로의 상, 하한 사이에서 운행될때, 상기 유압잭의 적어도 실린더부(21)이 상기 엘리베이터카내로 상향 연장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랜저(23)의 단부(235)는 상기 지지수단과 접촉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하측에 요구되는 상기 유압잭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이 상단부(168)과 하단부(164)를 구비한 수직방향의 중공 터널구조물(30)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되어 있고, 상기 유압잭이 상기 터널 구조물의 하단부에 진입하고, 상기 유압잭이 적어도 하나의 플랜저가 상기 터널구조물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된 상단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제1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이 플랫폼 하측의 하부비임부재(34)와, 캡의 상부의 상부비임부재(26)과, 상기 상, 하부 비임부재의 적어도 고정되고 이들 비임부재 사이에 연장된 상기 터널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비임부재에는 상기 터널구조물이 관통하는 개구부가 구비되며, 이터널구조물의 상단부는 상부비임부재의 상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터널구조물의 하단부는 하부비임부재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구조물이 상기 상, 하부비임부재에 고정되고, 이 터널구조물이 카프레임의 1차적인 수직 지지기능을 제공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캡의 입구가 있는 전면부 (14)과, 이 전면부의 플랫폼상에 장착된 작동 제어기(140)을 포함하며, 상기 유압잭은 상기 전면부내의 상기 캡의 입구와 작동제어기 사이의 엘리베이터 카내로 상향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캡의 입구가 있는 전면부(148)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수단이 상기 전면부(148)에 배치된 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전면상의 상기 플랫폼상에 배치된 작동제어기(140)을 포함하며, 상기 터널구조물이 상기 입구와 작동 제어기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제어기와 터널 구조물을 덮는 스윙반전판넬(1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스윙반전판넬의 후방에 추가의 판넬(149)를 포함하며, 작동 제어기(140)은 상기 스윙반전판넬 부재상에 장착되고, 다른 작동 제어기 (151)은 상기 추가 판넬(149)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승강통로에 있는 승강통로 스위치(145)를 포함하며, 상기 스윙반전판넬 부재가 개방된때 접근이 가능한 수직 연장의 수직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부재에는 상기 승강통로 스위치에 정렬된 개구를 포함하며, 이 개구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 카내에서 상기 승강통로 스위치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19810005035A 1980-12-22 1981-12-21 엘리베이터 시스템 KR890001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219,103 US4356895A (en) 1980-12-22 1980-12-22 Elevator system
US219103 1980-12-22
US219.103 1980-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410A KR830007410A (ko) 1983-10-21
KR890001064B1 true KR890001064B1 (ko) 1989-04-22

Family

ID=22817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5035A KR890001064B1 (ko) 1980-12-22 1981-12-21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356895A (ko)
JP (1) JPS57126379A (ko)
KR (1) KR890001064B1 (ko)
CA (1) CA11480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2575A (ja) * 1983-11-18 1985-06-19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乗りかご
US4667775A (en) * 1986-04-30 1987-05-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Hydraulic elevator system
WO1999065812A1 (fr) * 1998-06-16 1999-12-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scenseur
US6488129B2 (en) * 1999-10-27 2002-12-03 Inteventio Ag Cooling device for a drive means of an elevator
CN103626010B (zh) * 2013-11-13 2017-01-18 吴家集 多级缸体驱动电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4588A (en) * 1939-04-24 1940-09-10 Carl S Lagerquist Elevator
US3613834A (en) * 1969-08-28 1971-10-19 Frank Howard Field Elevator lift
US3650356A (en) * 1969-12-18 1972-03-21 Rchard L Brown Hydraulically-actuatable elevator system
US3741351A (en) * 1971-03-05 1973-06-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Integrated elevator construction
US3954157A (en) * 1974-08-16 1976-05-04 Dover Corporation Elevator lifting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126379A (en) 1982-08-06
KR830007410A (ko) 1983-10-21
US4356895A (en) 1982-11-02
JPS6261500B2 (ko) 1987-12-22
CA1148097A (en) 198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41351A (en) Integrated elevator construction
KR890000741B1 (ko)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
KR100399425B1 (ko) 조절 가능한 상단 에지 난간 부재를 갖는 엘리베이터
US20020185338A1 (en) Rope elevator
US6209686B1 (en) Car structure
KR20040085076A (ko) 승강기 통로에 임시 안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스톱바
KR101814756B1 (ko) 지붕 점검통로와 배연 기능을 갖는 방음터널
KR102480892B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
KR890001064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US4529062A (en) Elevator system
JP360360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122605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S6261501B2 (ko)
KR102438764B1 (ko) Mrl 엘리베이터 설치구조
CN101531313B (zh) 无机房电梯
WO2001079105A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installation structure with traction machine mounted in an extended pit
JPS6261505B2 (ko)
JPH01267286A (ja) ホームエレベータ
JPH11228058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2000007253A (ja) 小形エレベータ装置
JP2878936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工法
KR20040017360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1080834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エレベータ制御装置の保守点検方法
JP4245315B2 (ja) エレベータ据付用移動足場およびエレベータ据付工法
CN100465082C (zh) 电梯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