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7360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7360A
KR20040017360A KR10-2004-7001315A KR20047001315A KR20040017360A KR 20040017360 A KR20040017360 A KR 20040017360A KR 20047001315 A KR20047001315 A KR 20047001315A KR 20040017360 A KR20040017360 A KR 20040017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machine room
hoisting
support
hoist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9684B1 (ko
Inventor
요시카와마사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7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6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machine r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카(8)가 승강하는 승강로(2)와, 기계실(4)과, 기계실(4)과 승강로(2)를 칸막이하는 기계실 마루(6)와, 기계실(4)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8)를 승강하기 위한 호이스팅 머신(12)과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기계실 마루(6)는 호이스팅 머신(2)의 소정의 위치에 지지되는 지지부(20)와, 지지부 (20)에 지지되어 호이스팅 머신(12)을 설치하기 위한 기계대(24)와를 포함한다. 또한, 그 기계대(24)는 호이스팅 머신을 설치하는 기계대 설치부와(32)와, 지지부 (20)에 지지되는 기계대(30)와를 가진다. 또, 기계대 설치부(32)는 기계대 지지부 (30)에 대하여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도 5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200) 내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 나타난 것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200)에는 승강로(2)가 구비되어 있다. 승강로(2)의 상부는 기계실 마루(4)로 칸막이 되어 기계실(6)이 제공되어 있다.
승강로(2)에는 카(8) 및 평형추(10)가 현수되어 승강로(2)를 카(8) 및 평형추(10)가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 기계실(6)에는, 호이스팅 머신(12)이 제공되어 있다.
호이스팅 머신(12)에는, 제어장치(14)가 접속되어 있다.
또, 기계실(6)에는, 문(16)이 설치되어, 그 문에서 기계실(6)에 출입할 수가 있다.
호이스팅 머신(12)에는, 로프(18)가 감겨져 있다. 또, 로프(18)의 일단은 기계실(6)에서 승강로(2)에 현수되어 카(8)에 접속하여 승강로(2)에 카(8)를 현수하고 있다. 또, 타단은 기계실(6)에서 승강로(2)에 현수되어, 평형추(10)에 접속되어 승강로(2)에 평형추(10)를 현수하고 있다.
도 6은 엘리베이터 장치(200)의 기계실(6)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며, 도 7은 기계실(6)의 도 6의 A-A'에 있는 단면도이다.
도 6, 도 7에 나타난 것 같이, 기계실 마루(4)는 건축빔(62), 기계실 마루판 (64), 기계대(66)로 이루어져 있다.
건축빔(62)은 승강로(2)의 소정의 높이에서, 승강로(2)의 벽에 고정되어 있다. 기계실 마루판(64)은 건축빔(62)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건축빔(62)은 기계실 마루판(44)의 양단, 즉, 도 6, 도 7에서는 좌우단부를 지지하고 있다. 또, 기계실 마루판(44)에는 로프통로(68,70)가 제공되어 있다.
기계실 마루판(44)의 상부에는, 건축빔(62)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기계대(66)가 평행으로 2개 배치되어 있다. 기계대(66)는 300㎜ ~ 500㎜ 정도의 높이를 가진 기둥이다. 기계대(66)의 위에는 호이스팅 머신(12)이 설치되어 있다. 기계대(66)는 카(8) 및 평형추(10)를 현수하여 승강시키는 호이스팅 머신(12)을 지지하기 위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계대(66)는 어느 정도의 높이를 필요로 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계실(6)내에서는 300㎜ ~ 500㎜의 높이를 가지는 기계대(66)가 제공되어, 그 호이스팅 머신(12) 및 제어장치(14) 등이 설치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장치를 빌딩 등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작게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이 많으며,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 상부에 배치되는 기계실(6)에 대해서도 작게 할 필요가 있어, 기계실(6)의 크기에는 어느 정도의 제약이 걸린다.
이와 같이, 크기가 제약된 기계실 내에서, 호이스팅 머신(12) 및 제어장치 (14) 등의 점검 및 수리 등의 작업을 시행할 경우에는, 기계대(66) 등의 돌출물에 의해 충분한 발판을 확보할 수가 없어서, 기계대(66)의 위에 올라간 상태 및 기계대(66), 호이스팅 머신(12), 제어장치(14) 등의 돌출물을 피하는 자세 등 부자연한 자세로 작업을 할 수밖에 없다. 그 때문에, 원활하게 작업을 진행하기가 어려워서 작업시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어, 안전점검 등의 작업의 경우에 엘리베이터의 정지시간이 장시간에 이르게 된다.
또한, 기계실(6)의 소형화의 요구가 진첩되어 현재에는, 도 5 ~ 7에 나타낸 것 같이 기계실(6)의 폭을 승강로(2)의 폭과 동일하게 한다. 즉, 기계실(6)의 수평방향의 단면적을 승강로(2)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는 것도 많다. 그 경우, 특히 기계실(6)의 문(16)을 열면 바로 앞에 기계대(66)가 설치되어서, 입구부분 바로 안에 큰 높이차가 있게 된다. 또, 기계대(66)가 실의 전면에 좌우에 걸쳐서 놓여 있으므로, 제어장치(14)의 설치공간을 가질 수가 없어서, 제어장치 (14)를 기계대(66)의 위에 배치하게 된다. 그러나, 제어장치(14)는 어느 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것을 기계대(66)위에 배치하면, 기계실(6)은 상방으로 어느 정도의 높이를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용 승강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기계실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모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계실을 나타내는 상면 모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계실을 나타내는 단면 모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계실을 나타내는 단면 모형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모형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계실을 나타내는 상면 모형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계실을 나타내는 단면 모형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예)
다음,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에서 동일 또는 상단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그의 설명을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며, 엘리베이터 장치(100)의 정면의 벽을 제거한 내부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난 것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승강로(2)를 구비한다. 승강로(2)의 상방은 기계실 마루(4)에 의해 칸막이 되어 기계실(6)이 구비되어 있다.
카(8)와, 평형추(10)는 승강로(2)내에 현수되어 있다.
기계실(6)에는 호이스팅 머신(12)이 구비되어 있으며, 호이스팅 머신(12)에는 제어장치(14)접속되어 있다.
또, 기계실(6)에는 기계실(6)에 출입하기 위한 기계문(16)이 설치되어 있다.
호이스팅 머신(12)에는 로프(18)가 감겨져 있으며, 로프(18)의 1단은 기계실(6)에서 승강로(2)에 매달고, 카(8)에 접속하여, 카(8)를 승강로(2)에 현수하고 있다. 또 타단은 기계실(6)에서 승강로(2)에 현수하고 평형추(10)에 접속하여, 평형추(10)를 승강로(2)에 현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100)에 있어서, 호이스팅 머신(12)의 회전속도는 제어장치(14)에 의해 설정되며, 또, 엘리베이터 운전시 호이스팅 머신 (12)의 회전 및 정지도 제어장치(14)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제어장치(14)에 의해 호이스팅 머신(12)의 회전이 개시되면, 호이스팅 머신 (12)에 감겨진 로프(18)가 회전방향에 맞추어 이동을 개시하며, 그에 따라 승강로 (2)내를 카(8) 및 평형추(10)가 평형을 취하여, 각각 역방향으로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엘리베이터 장치(100)의 기계실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도를 포함한 상면도이다. 또, 도 3은 기계실의 도 2에서의 A-A`면의 단면도이며, 도 4는 B-B`면에서의 단면도이다.
기계실 마루(4)는 건축빔(20), 기계실 마루판(22), 기계대(24) 및 상면마루판(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축빔(2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것 같이 정면에서 보아 I형의 빔이며, 승강로(2)의 소정의 높이에서, 승강로(2)가 대향하는 좌우 양측면의 벽에 돌출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 기계실 마루판(22)은 건축빔(20)의 위에 배치되어, 그의 양단, 즉 도 2 ~ 도 4에서의 좌우 단부에서 건축빔(2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기계대(24)는 2개의 빔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각 빔은 종래의 기계대와같은 I형의 빔의 좌우 양단부를 절삭하여 좁게 한 형상을 가지며, 양단부의 절삭된 좁게 된 기계대 단부(30)와, 중앙의 굵기가 굵게 남아 있는 기계대 중앙부(32)로 구성되어 있다. 기계대 단부(30)는 가장 두꺼운 부분에서 300㎜ ~ 500㎜의 두께를 가진다. 또, 기계대 단부(30)는 각각 빔의 길이방향이 건축빔(20)에 대해서 수직으로 되도록, 기계실 마루판(2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기계대 중앙부(32)는 기계대 단부(30)에 접속 지지되어, 정면에서 보아 기계실 마루(4)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기계대 중앙부(32)는 기계실 마루판(22)에 뚫린 개구(28)에 끼워맞추어져서, 기계실 마루판(22)의 표면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기계대(24)의 위에는 1면에 상면 마루판(26)이 깔려 있다. 그러나, 도 2는 상면 마루판(26)을 제거한 상태의 상면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상면 마루판(26)은 도시 않되어 있다. 상면 마루판(26)은 기계실(6)의 마루면 전면에 깔린 평탄한 판이며, 또 상면 마루판(26)에는 로프를 통하여 구멍(34,3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계실 마루판(4)의 상부에는, 호이스팅 머신(12)이 설치되어 있으며, 호이스팅 머신(12)은 지지판(40)과 지지판(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대활차(42)와 소활차(44)와를 구비하고 있다. 호이스팅 머신(12)의 대소활차 (42,44)를 회전시킴으로서 대소활차(42,44)에 감겨진 로프(18)를 좌우로 이동시켜, 그에 따라 카(8), 평형추(10)를 승강할 수가 있다.
제어장치(14)는 제어판(46)과 제어판 고정구(48)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판(46)은 소형의 얇은 제어판이며, 제어판 고정구(48)는 2면이 90으로 교차한얇은 L자형의 형상을 가진다. 제어판(46)은 제어판 고정구(48)에 고정되어 있다. 또, 도 14에 나타난 것 같이 제어판 고정구(48)의 하방은 상면 마루판(26)의 하측에 내장되어 기계실 마루판(2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제어장치(14)에서, 호이스팅 머신에 회전 및 정지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케이블도 상면 마루판(26)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상면 마루판(26)은 기계대(24)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기계대(24)는 기계실 마루판(22)의 상면에 배치된 2개의 빔 임으로, 상면 마루판(22)과 기계실 마루판(22)과의 사이에 기계대(24)가 배치않된 부분에는 공간이 존재한다. 그 공간부분을 이용하여 제어장치(14)의 제어판 고정구(48)의 하방과 제어판(46)의 하방에 접속되는 케이블(50)과를 상면 마루판(26) 밑에 매설하여 제어장치(14)가 설치되어 있다.
앞의 설명과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기계대(24)는 종래의 빔의 양단을 얇게 형성한 것 같은 형상을 가진 빔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즉, 호이스팅 머신 (12)을 지지하는 기계대(24)의 기계대 중앙부(32)는 기계대 단부(30)에 대해서, 어느 정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 두꺼운 기계대 중앙부(32)는 기계실 마루판 (22)의 개구(28)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따라서, 기계실 마루(4)를 일반적으로 얇게 형성할 수가 있어, 그에 따라 기계실(6)의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안전점검 및 수리 등의 기계실(6)내에서의 작업을 효율좋게 진행할 수가 있어, 작업에 의한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기계대(24)에 있어서, 호이스팅 머신(12)이 설치되어 차(8) 및평형추(10)를 승강함으로서, 가장 큰 힘이 걸리는 것은 호이스팅 머신을 설치한 기계대 중앙부(32)이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 호이스팅 머신 등의 설치되는 부분을 두껍게 하면 기계대(24)에서 호이스팅 머신(12)을 충분히 지지하는 강도를 확보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상면 마루판(26)에 의해 기계대(24)를 기계실 마루(4) 표면에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기계실 마루(4)는 호이스팅 머신(12) 및 제어장치(14) 등의 기기를 제외하고, 평탄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계실 문(16)에서 출입하는 경우의 기계실(6)내의 높이차를 억제할 수가 있으며, 또 호이스팅 머신(12) 및 제어장치(14)의 안전점검 및 수리 등의 기계실(6)내에서의 작업의 경우에도, 충분한 발판을 확보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시켜, 작업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어,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제어장치(14)의 제어판 고정구(48)의 하방과 케이블을 상면 마루판(26)의 하방에 내장하고, 상면 마루판(26)과 기계실 마루판 (22)과의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높이가 높은 제어장치 (14)를 기계대를 피하여 낮은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계실(6)의 높이가 제어장치(14)에 의해 높이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제어판 고정구(48)는 L자형의 형상으로 하여 1면을 기계실 마루(4)내에 내장하고, 그 제어판 고정구(48)에 박형의 제어판(46)을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제어장치(14)의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하여, 또한, 설치에 요하는 부품에 폭을 빼앗기지 않고 안정한 상태에서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계실(6)에 제어장치(14)가 구비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하지 않고, 제어장치(14)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외부에 구비되어도 된다. 또, 제어장치가 기계실(6)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제어장치의 형상은 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것에 한하지 않고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또, 기계실 마루(4)내에 제어장치가 끼워맞춤된 것에 한하지 않고, 종래와 같이 기계실 마루(4)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도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계실 마루판(22)은 4각형의 개구(28)를 가지며, 그 부분에 기계대 중앙부(32)를 끼워맞춤에 의해 기계대(24)가 기계실 마루판 (22)에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개구는 4각형에 한하지 않고 기계대 중앙부(32)의 형상에 맞추어 좌우로 긴 장방형의 개구를 2개 평형으로 설치한 것 등도 된다. 그러나, 그 경우에는, 별도로 로프통공이 필요하게 된다. 또, 기계대(24)를 기계실 마루판(22)에 끼워맞추는 방법은 그에 한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기계대(24)에서는 기계실(6)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두께가 두꺼운 기계대 중앙부(32)를 구비하고 그곳에 호이스팅 머신(12)을 설치한다. 그러나, 기계대(24)의 형상은 그에 한하지 않고, 호이스팅 머신(12)을 설치하는 부분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기계실(6)의 폭이 승강로(2)의 폭과 동일한 폭, 즉, 기계실(6)과 승강로(2)와의 수평방향의 단면적이 동일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기계실(6)의 공간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계실(6)이 승강로(2)의 폭보다도 크게되어 있는 것도 된다.
또, 엘리베이터 장치를 승강하기 위한 기구와, 호이스팅 머신(12)과, 건축빔(20) 등의 형상, 구조 등은 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것에 한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른 형상, 구조이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지지부는 기계실 마루를 지지하는 부분이며, 예로써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건축빔(20)이 해당한다. 또, 기계대 설치부는 호이스팅 머신을 설치함으로, 기계대의 타부분에 대하여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며, 예로써,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계대 중앙부의(32)가 해당한다. 또, 기계대 지지부는 지지부에 지지된 부분이며, 예로써, 본 실시의 형태에서의 기계대 단부(30)가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의 구조상 크기가 제약되는 좁은 기계실을 넓게 사용하도록 하며, 또, 기계실내에 있는 돌출물을 적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개량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카가 승강하는 승강로와,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과 승강로를 칸막이하는 기계실 마루와,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를 승강하기 위한 호이스팅 머신과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이며, 상기 기계실 마루는 승강로의 소정위치에 고정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호이스팅 머신을 설치하기 위한 기계대와를 포함하며, 상기 기계대와, 상기 호이스팅 머신을 설치하는 기계대 설치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기계대 지지부와를 가지며, 상기 기계대 설치부는 상기 기계대 지지부에 대하여 두껍게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기계대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기계실 전체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기계실을 넓게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기계실내에서의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기계실 마루판이 상기 지지부와 상기 기계대 지지부 사이에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기계실 마루판을 구비하며, 상기 기계대 설치부는 상기 기계실 마루판에 끼워맞추어진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기계실 마루가 중앙부에 개구를 가지며, 상기 기계대 설치부는 상기 개구에 맞물려 끼워맞추어진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기계실 마루가 상기 기계대에 지지되어 기계실 마루표면 전체를 덮는 표면마루판을 포함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호이스팅 머신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제어장치가 일부분에서 상기 기계실 마루에 끼워맞추어진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호이스팅 머신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2면이 거의 수직으로 교차하는 L자형의 형상을 가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2면중 1면이상이 상기 표면마루판에 끼워맞추어져서,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기계실이 상기 승강로의 상방을 칸막이 함으로서 제공되며, 승강로의 수평방향의 단면적과 상기 기계실의 수평방향의 단면적은 동일한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대의 호이스팅 머신을 설치하는 부분을 두껍게 형성하고, 그 부분을 기계실 마루판에 내장하고 있다. 따라서, 호이스팅 머신 등을 설치하는 기계대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기계실 마루부분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하여 기계실내의 공간절약화를 크게할 수가 있다. 또, 작은 기계실내에서도 작업을 효율좋게 진행할 수가 있어서, 따라서, 충분한 발판을 확보하여 기계실내에서의 작업을 효율좋게 진행할 수가 있어, 작업에 걸리는 신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장치를 기계실 마루에 결합하는 것에 대하여는높이가 높은 제어장치를 배치함으로, 기계실 전체의 높이가 높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기계실의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가 있으며, 또 제어장치의 일부를 끼워맞춤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제어장치를 박형으로 하여도 안정하게 제어장치를 설치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엘리베이터의 카가 승강하는 승강로와, 기계실과, 상기 기계실과 승강로를 칸막이하는 기계실 마루와, 상기 기계실에 구비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의 카를 승강하기 위한 호이스팅 머신과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마루는 승강로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호이스팅 머신을 설치하기 위한 기계대와를 포함하며, 상기 기계대는 상기 호이스팅 머신을 설치하는 기계대 설치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기계대 지지부와를 가지며, 상기 기계대 설치부와, 상기 기계대 지지부에 대해서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마루는 또한 상기 지지부와, 상기 기계대 지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기계실 마루판을 구비하고, 상기 기계대 설치부는 상기 기계실 마루판에 끼워맞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마루판은 중앙부에 개구를 가지며, 상기 기계대 설치부는 상기 개구에 맞물려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47001315A 2002-06-07 2002-06-07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39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5658 WO2003104130A1 (ja) 2002-06-07 2002-06-07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360A true KR20040017360A (ko) 2004-02-26
KR100639684B1 KR100639684B1 (ko) 2006-10-30

Family

ID=29727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315A KR100639684B1 (ko) 2002-06-07 2002-06-07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12658A4 (ko)
JP (1) JP4142009B2 (ko)
KR (1) KR100639684B1 (ko)
CN (1) CN1292971C (ko)
WO (1) WO2003104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71112B1 (en) * 2002-12-12 2011-02-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WO2006024894A1 (en) * 2004-09-03 2006-03-09 Otis Elevator Company Machine room with a raised work platform in front of the controller for elevators and elevator equipped therewith
KR100860936B1 (ko) * 2007-02-02 2008-09-29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제어기 전방에 상승된 작업 플랫폼을 구비하는엘리베이터용 기계실과 이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IN2014CN04312A (ko) * 2011-11-28 2015-09-04 Mitsubishi Electric Corp
WO2017013764A1 (ja) * 2015-07-22 2017-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昇降路上部の機械室における制御盤の取付固定構造および取付固定方法
CN108190692B (zh) * 2017-12-29 2019-06-07 重庆红方机电有限公司 一种高强度电梯用钢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292A (ja) * 1990-04-26 1992-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H0920478A (ja) * 1995-07-05 1997-01-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機械室装置
JP2001048448A (ja) * 1999-08-05 2001-02-2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
EP1316526A4 (en) * 2000-09-07 2008-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LIF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2658A4 (en) 2010-05-12
CN1555337A (zh) 2004-12-15
JPWO2003104130A1 (ja) 2005-10-06
EP1512658A1 (en) 2005-03-09
WO2003104130A1 (ja) 2003-12-18
JP4142009B2 (ja) 2008-08-27
KR100639684B1 (ko) 2006-10-30
CN1292971C (zh)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10618B2 (en) Traction sheave elevator
CN110844743B (zh) 跃层电梯和跃层方法
JPH0585681A (ja) エレベータホイストウエイ作業プラツトホー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構成部品の据付方法
CA2307424C (en) Equipment for carrying out operations in a lift shaft
KR20040052478A (ko) 기계실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KR100639684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474152B1 (ko) 엘리베이터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041575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06855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10096838A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및 그 방법
JP200109764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189382B2 (ja) 取外し可能なカバーを備えた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ための屋上用制御ユニット
EP1329411B1 (en) Elevator device
JP2001048445A (ja) エレベータ
JP200500833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1072351A (ja) エレベータ
KR200199478Y1 (ko) 기계실 없는 하부구동형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설치구조
JP7343053B2 (ja) エレベーター据付用の作業床装置
JP4546532B2 (ja) 高くなった作業プラットフォームをコントローラの前に備えたエレベータ用のマシンルームおよびこのマシンルームを備えたエレベータ
JP4091218B2 (ja) エレベータ
KR20040084901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397799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0007253A (ja) 小形エレベータ装置
JP2001072354A (ja) 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据付方法
JPH06156923A (ja) エレベータの据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