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4901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4901A
KR20040084901A KR10-2004-7012399A KR20047012399A KR20040084901A KR 20040084901 A KR20040084901 A KR 20040084901A KR 20047012399 A KR20047012399 A KR 20047012399A KR 20040084901 A KR20040084901 A KR 20040084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room
machine
rope
hoistwa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타스스무
시타미야고지
하야시요시카츠
요시카와마사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4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90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machine r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6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positively attached to a winding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4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guide rop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용 케이지(cage)(4)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로(2)와,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기계실(8)과, 이 승강로(2)와 기계실(8)을 구획하는 기계실 바닥부(12)를 구비한다. 또한, 기계실(8)의 측벽(10)의 일 면에 출입구(24)가 설치되고, 출입구(24)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기계실 바닥부(12)에 기계대(14)가 배치된다. 또한, 기계실 바닥부(12)의 아래쪽에 한쌍의 지지 비임(32, 34)이 설치되어, 상기 기계대(14)를 지지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도 10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500)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 투시 부분을 포함하는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500)의 F-F'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500)에는, 승강로(2)를 구비할 수 있고, 케이지(4) 및 균형추(6)가 현수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2) 상부에는 기계실(8)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2) 및 기계실(8)은 사방이 측벽(10)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또한, 기계실(8)은 기계실 바닥부(12)에 의해 승강로(2)로부터 구획되어 있다.
기계실(8)의 기계실 바닥부(12)의 상부에는, 기계대(machine foundation)(14)가 설치되고, 기계대(14)의 상부에, 케이지(4)를 승강로(2)에 현수하여 승강시키기 위한 권상기(traction machine)(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계실(8)에는, 권상기(16)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패널(control panel)(20)이나, 조속기(調速機)(governor)(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계실(8)의 측벽(10)의 일 면에는 출입구(24)가 설치되고, 기계실 도어(26)가 구비되어 있다. 기계실(8)에는, 이 기계실 도어(26)를 개방함으로써 출입 할 수 있다.
기계대(14)는 승강로(2)의 바닥에, 출입구(24)가 설치된 측벽(10)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2개의 평행하게 배치된 베드부(bed portion)(80)와, 이 베드부(80)의 양단에, 또한 아래쪽에, 베드부(80)에 대하여 수직하게 배치된 지지 비임(82)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 기계실(8)의, 도 10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적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승강로(2)의 단면적보다도 크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공간 절약화 등으로 인해, 기계실(8)의 단면적을, 승강로(2)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하는, 즉, 승강로(2)의 사방의 측벽이 그대로, 기계실(8)의 측벽과 연속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기계실(8)을 승강로(2)과 동일한 폭으로 했을 경우, 출입구(24) 부근에 기계대(14)가 배치되게 된다. 이 경우, 기계대(14)의 상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출입구(24)의 문지방면(sill surface)을 설치하여, 출입구(24)가 기계대에 의해 가로막히지 않도록 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기계대(14)의 높이가 높을 경우에는, 기계실(8)의 출입이 용이하게 되도록, 문지방면의 높이에 맞춰서, 측벽(10) 외측의 외측 바닥을 기계실 바닥부(12)의 표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하거나, 또는, 발판(stool) 등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기계실 바닥부(12)와는 별도로 외측 바닥을 설치하거나, 발판을 설치하거나 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비용이나 설치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또한, 승강로(2)와 동일한 폭 정도까지 좁힐 수 있었던 기계실(8)내에 있어서도, 빈 스페이스(space)에, 제어 패널(20), 조속기(22) 등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필요한 기기가 배치된다. 그러나, 기계실(8)내의 스페이스는 더욱 좁아지기 때문에, 이들 기기의 수리나 보수 점검 등이 필요할 경우, 작업자는 점검하는 기기까지는, 기계대(14) 등의 돌출물을 넘어서 이동하지 않으면 안되다. 이 때문에, 수리나 점검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또한, 그 동안, 엘리베이터의 정지나 감속 등의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서비스의 저하에도 이어지게 된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것 같은 문제를 해결 하는 것을 목적으로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소형화에 대응한 기계실에 있어서도, 기계실내로의 출입이나 기계실에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량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용 케이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기계실과, 상기 승강로와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는 기계실 바닥부와, 상기 기계실의 측벽의 일 면에 설치된 출입구를 구비한다. 또한, 이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출입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기계실 바닥부에 배치된 기계대와, 상기 기계실 바닥부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기계대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 비임을 구비한다.
또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용 케이지를 로프로 현수하여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기계실과, 상기 승강로와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는 기계실 바닥부와, 상기 기계실의 측벽의 일 면에 설치된 출입구와, 상기 기계실 바닥부에 배치된 기계대를 구비한다. 또한, 이 엘리베이터 장치는 상기 출입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기계실 바닥부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로프의 적어도 일단을 고정하는 로프 지지부와, 상기 기계실 바닥부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로프 지지부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 비임을 구비한다.
이렇게 하면, 출입구와 기계대 사이에 바닥의 평탄한 부분을 확보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수 점검이나 수리 등을 하는 작업자 등은 기계실에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고, 작업시에도, 평면인 바닥 위를 이동하면 좋기 때문에,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엘리베이터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기계실은, 바닥이 기계대 혹은 로프 지지부의 배치되는 위치에 개구를 포함하고, 기계대 또는 로프 지지부는 개구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이것에 의하면, 기계실의 출입구 부근에서의 돌출물을 억제하고, 평탄한 부분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보수 점검 등의 작업자는 용이하게 기계실내를 이동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용 케이지(cage)를 승강시키는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기계실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로서 적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 부분을 포함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A-A'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 부분을 포함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B-B'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 부분을 포함하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C-C'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 부분을 포함하는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D-D'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로프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 7의 E-E'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 부분을 포함하는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F-F'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상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 부분을 포함하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100)의 A-A'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승강로(2), 케이지(4), 균형추(6) 및 기계실(8)을 구비한다.
승강로(2)에는, 케이지(4) 및 균형추(6)가 현수되어 있다. 또한, 승강로(2)의 상부에는, 기계실(8)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2) 및 기계실(8)은 측벽(10)에 의해 사방을 둘러싸여져 있다. 측벽(10)의 각 면은 승강로(2)로부터, 윗쪽의 기계실(8)까지 연속되어 있다. 즉, 도 1 방향의 단면적은 기계실(8)도, 승강로(2)도 동일하다.
기계실(8)은 기계실 바닥부(12)에 의해 승강로(2)로부터 구획된 공간이다. 또한, 기계실(8)에는 기계대(14), 권상기(16), 제어 패널(20), 조속기(22)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계실(8)의 측벽(10)의 일 면에는 출입구(24)가 설치되고, 출입구(24)에는 기계실 도어(26)가 설치되어 있다. 출입구(24)는 기계실의 내측과 외측을 구획하는 문지방면의 높이가 기계실 바닥부(12)의 표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개구되어 있다. 기계실 도어(26)를 개방함으로써 출입구(24)로부터 기계실(8) 내부에 출입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출입구(24)가 설치된 측면측이 정면(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좌측)으로 간주되고, 이것에 대향하는 면을 배면(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오른쪽)이라고 칭한다. 또한, 정면 및 배면에 평행한 방향을 폭 방향으로 칭하고, 이것에 수직한 방향을 깊이 방향이라고 칭한다. 케이지(4) 출입용 도어는 폭 방향으로 개폐하게 되어 있다.
기계실 바닥부(12)는 바닥(30), 건축 비임(building beams)(32, 34) 및 외측 바닥(36)을 구비한다. 바닥(30)은 승강로(2)의 상부에 케이지(4)의 승강 방향에 대하여 거의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닥(30)에는 기계실(8)로부터 승강로(2)까지 관통하는 로프 관통 구멍(38)이 2개 설치되어 있다.
건축 비임(32)은 승강로(2) 및 기계실(8)의 사방을 둘러싸는 측벽(10)중 정면측 및 배면측의 측벽(10)을 따라 2개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건축 비임(34)은 건축 비임(32)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기계실(8)의 중앙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바닥(30)은 이들 3개의 건축 비임(32, 34) 위에 배치되고, 건축 비임(32, 34)에 의해 승강로(2)의 윗쪽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정면측의 측벽(10)의 외측에는 외측 바닥(36)이 설치되어 있다. 외측 바닥(36) 및 바닥(30)의 표면과, 출입구(24)의 바닥부는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바닥(30) 위에는 기계대(14)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대(14)는 2개의 지지 비임(40)과 2개의 H형 강(H-shaped structural steels)(42)을 구비한다. 지지 비임(40)은 폭 방향으로 바닥(30) 위에 2개 배치되어 있다. 지지 비임(40)중 하나는 배면측의 측벽(10)을 따라 배치된 건축 비임(32)의 윗쪽에 바닥(30)을 거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 비임(40)의 다른 하나는 건축 비임(34)의 윗쪽에 바닥(30)을 거쳐서 설치되어 있다. H형 강(42)은 2개가 평행하게, 또한, 지지 비임(4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H형 강(42)의 일단은 건축 비임(32) 윗쪽의 지지 비임(40)에 지지되고, 타단은 건축 비임(34) 윗쪽의 지지 비임(40)에 지지되어 있다. 즉, 기계대(14)는 2개의 지지 비임(40)에 걸치도록 2개의 H형 강(42)을 조합하여 구성된 상면에서 보았을 때 사다리 형상의 베드부이다. 또한, H형 강(42)은 지지 비임(40)보다도 높이가 높은 비임이다.
기계대(14) 위에는 권상기(16)가 장착되어 있다. 권상기(16)는 권상기 베이스(traction machine base)(46), 권상기 본체(48) 및 디플렉터 시브(deflector sheave)(50), 권상차(traction sheave)(52)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권상기 베이스(46)는 기계대(14) 위에 2개의 H형 강(42)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 베이스(46) 위에는 권상기 본체(48)가 장착되어 있다. 권상기 베이스(46)에는 디플렉터 시브(5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또한, 권상기 본체(48)에는 권상차(5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권상기(16)에는 로프(54)가 권취되어 있다. 로프(54)의 일단이 케이지(4)에 고정되어 있다. 로프(54)는 승강로(2)의 케이지(4)로부터 바닥(30)에 설치된 한쪽 로프 관통 구멍(38)을 통해서 기계실(8)측에 들어간다. 기계실(8)내에서 권상차(52), 디플렉터 시브(50)에 권취되고, 다른쪽 로프 관통 구멍(38)을 통해서, 다시 승강로(2) 내부에 들어간다. 로프(54)의 타단은 균형추(6)에 고정되어 있다. 즉, 로프(54)는 중간 부분을 권상차(52) 및 디플렉터 시브(50)에 권취시킴으로써 지지되고, 일단에 있어서, 케이지(4)에 고정되어, 케이지(4)를 승강로(2)내에 현수하며, 타단에 있어서, 균형추(6)에 고정되어, 균형추(6)를 승강로(2)내에 현수하고 있다.
엘리베이터 장치(100)에 있어서는, 권상기(16)의 권상차(52) 및 디플렉터 시브(50)가 회전함으로써 로프(54)가 이동하고, 이에 따라, 케이지(4) 및 균형추(6)가 균형을 잡으면서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권상기(16)에는 제어 패널(20) 및 조속기(22) 등이 접속되어, 회전이 제어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30)은 정면 및 측면측의 측벽(10)에 따라 설치된 건축 비임(32)과, 이 건축 비임(32)에 평행하게 기계실(8)의 중앙 부근에 설치된 건축 비임(3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기계대(14)는 일단이 배면측의 측벽(10)을 따라 설치된 건축 비임(32)에 지지되고, 타단이 기계실(8)의 기계실 바닥부(12)의 중앙 부근에 배치된 건축 비임(3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계실(8)의 바닥의 중앙부 부근에 건축 비임(34)을 배치함으로써, 이 부분에 있어서, 케이지(4)를 현수하는 권상기(16)를 지지하는 기계대(14)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면측 및 배면측의 양단에 배치된 건축 비임(32)을 가로질러 정면측에서 배면측까지 이어지는 긴 기계대를 배치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기계대(14)를 출입구(24) 부근에서 이격된 위치에 배치 할 수 있고, 출입구(24) 부근에어느 정도의 평평한 스페이스를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외측 바닥(36)과, 출입구(24) 바닥부와, 바닥(30)의 표면을 동일한 높이로 할 수 있다. 즉, 출입구(24)의 외측에서 기계실 내부에 걸쳐서, 또한, 출입구(24)로부터 기계대(14)까지 사이에 평탄한 바닥을 확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수 점검이나 수리 등에 있어서 작업자 등은 작업시에, 평평한 바닥 위를 이동하면 좋고, 안전 점검 등의 작업 시간을 단축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건축 비임(34)이 기계실(8)의 중앙부 부근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건축 비임(34)은 이 부분에 배치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출입구(24) 부근의 평탄한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서 적절한 위치에 기계대(14)를 배치했을 때에, 이 기계대(14)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권상기(16)의 형상이나, 케이지(4) 및 균형추(6)를 현수하는 로프의 권취 방법, 기계대(14)의 형상 등은 실시형태 1에 설명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이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1:1 로핑(roping)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2:1 로핑(roping)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이용하는 것도 좋다. 또한, 도 1 방향에 있어서의 기계실(8)의 단면적과, 승강로(2)의 단면적이 동일한 것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계실(8)과 승강로(2)의 단면적이 다른 것에도 대응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 부분을 포함하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 장치(200)의 B-B'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200)도 엘리베이터 장치(100)와 유사한 것이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장치(200)는 엘리베이터 장치(100)의 기계실 바닥부(12)와는 상이한 기계실 바닥부(56) 및 기계대(14)와는 상이한 기계대(58)를 구비한다.
기계실 바닥부(56)는 바닥(30), 건축 비임(32, 60)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바닥(30)은 엘리베이터 장치(100)에 있어서 설명한 바닥(30)과 같은 것으로, 2개의 로프 관통 구멍(38)을 구비한다. 또한, 건축 비임(32)은 엘리베이터 장치(100)가 구비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 정면측 및 배면측의 각 측벽(10)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건축 비임(60)은 건축 비임(32)에 수직한 방향으로 2개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건축 비임(32, 60)의 상부에 바닥(30)이 배치되고, 바닥(30)은 이것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정면측의 측벽(10)의 외측에는, 엘리베이터 장치(100)와 같이, 외측 바닥(36)이 설치되어 있다. 바닥(30)과, 외측 바닥(36)과, 출입구(24)의 바닥부는 동일 높이로 되어 있다.
또한, 바닥(30) 위에는 기계대(58)가 설치되어 있다. 기계대(58)는 H형 지지 비임(62) 및 H형 강(64)을 구비한다. H형 지지 비임(62)은 건축 비임(6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2개가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H형지지 비임(62)은 양단이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건축 비임(60)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H형 강(64)은 H형 지지 비임(62)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2개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H형 강(64)의 양단은 각각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H형 지지 비임(6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즉, 기계대(58)는 H형 강(64)이 H형 지지 비임(62)에 걸치도록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상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사다리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기계대(58)의 상부에는, 2개의 H형 강(64)에 걸치도록 권상기(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제어 패널(20) 및 조속기(22) 등이 기계실(8)에 설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200)에 있어서는, 기계대(58)를 바닥(30)의 하방의 출입구(24)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된 건축 비임(60)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기계대(58)를 출입구(24)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 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구(24)로부터 기계대(14)까지의 바닥에 평탄한 부분을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의해, 출입구(24)의 바닥부를 바닥(30)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설치하고, 또한, 외측 바닥(36)도 동일한 높이로 해서 출입구(24) 부근에 있어서의 단차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계실(8)에의 출입이나, 내부에 있어서의 이동이 용이하고, 수리나 보수 작업 등을 할 때, 작업을 안전하고 또한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에 있어서, 기계대(58)는 H형 지지 비임(62) 및 H형 강(64)을 구비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실시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같은 기계대(14)를 건축 비임(60)에 의해 지지하도록 하여 배치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기계대(58)를 건축 비임(32, 34)에 의해 지지하도록 하여 배치한 것이라도 좋다.
그 밖의 부분은 실시형태 1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엘리베이터 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도를 포함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은 엘리베이터 장치(300)의 C-C'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300)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와 유사한 것이며, 엘리베이터 장치(300)가 구비하는 기계실 바닥부(66)는, 엘리베이터 장치(100)가 구비하는 기계실 바닥부(12)와 같이, 바닥(30), 건축 비임(32, 34) 및 외측 바닥(36)을 구비한다.
그러나, 기계실 바닥부(12)와 상이한 기계실 바닥부(66)의 바닥(30)은 로프 관통 구멍(38)을 구비하고 있지 않고, 기계대(14)가 장착되는 위치에 개구(68)를 구비한다. 개구(68)는 기계대(16)를 그대로 매설할 수 있는 크기로 개구되어 있다.
기계대(14)의 2개의 지지 비임(40)중 하나는 건축 비임(34) 위에 직접 장착되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다른 하나는 배면측의 건축 비임(32)에 직접 장착되어, 지지되어 있다. 또한, 2개의 H형 강(42)이 지지 비임(4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지지 비임(40)에 지지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기계대(14)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계실 바닥부(66)에, 바닥(30)에 설치된 개구(68)로부터 매설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개구(68)에는, 기계대(14)가 매설된 상태에서, 바닥(30)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커버판(70)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판(70)에는 2개의 로프 관통 구멍(72)이 설치되고, 이 로프 관통 구멍(72)으로부터 승강로(2)에 로프(54)가 현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면, 기계실(8)의 기계실 바닥부(66)에 기계대(14)를 매설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구(24)와 권상기(16) 사이에 더욱 평탄한 부분을 확보 할 수 있다. 또한, 이것에 의해, 출입구(24)의 바닥부를 바닥(30)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설치하고, 또한, 외측 바닥(36)도 동일한 높이로 해서, 출입구(24) 부근에 있어서의 단차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 때문에, 기계실(8)에의 출입이나, 내부에 있어서의 이동이 용이하게 되고, 수리나 보수 작업 등을 실시할 때, 작업을 안전하고 또한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3에 있어서,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것 같은 건축 비임(32, 34)을 구비하는 기계실 바닥부(12)에 개구를 설치하고, 여기에, 기계대(14)를 매설하는 것 같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설명한 엘리베이터 장치(200)의 기계대(58)를 설치하는 부분에 개구를 설치하여 매설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3에 있어서, 개구(68)에 커버판(70)을 제공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히 커버판을 갖지 않는 것이라도 좋다.
그 외의 부분은 실시형태 1 또는 2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4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엘리베이터 장치(400)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투시 부분을 포함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7의 엘리베이터 장치(400)의 D-D'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9는 엘리베이터 장치(400)의 로프 지지부(74)를 설명하기 위한 도 7의 E-E'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400)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장치(100)와 유사한 것이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장치(100)가 1: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인 것에 반해서, 엘리베이터 장치(400)는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이다.
엘리베이터 장치(400)에 있어서, 기계대(14)는 정면을 향해서 오른쪽(도 7에 있어서 상방)의 측벽(10) 방향으로 한쪽으로 치워져 있다. 또한, 정면을 향해서 좌측(도 7에 있어서 하방)이 빈 스페이스(empty space)에는 로프 지지부(74)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30)에는 로프 지지부(74)를 매설하기 위한 개구(76)가 설치되어 있다. 로프 지지부(74)는 개구(76)로부터, 기계실 바닥부(12)에 매설된 것 같은 상태에서, 건축 비임(32, 34)에 직접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개구(76)에는, 바닥(30)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커버판(78)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 설명하면, 로프 지지부(74)는 로프 지지부를 지지하는 비임(rope support supporting beams)(80), 로프 지지 홈형 강(rope support channel steels)(82), 및 로프 지지판(rope support plates)(84, 86)을 구비한다. 로프 지지부를 지지하는 비임(80)은 바닥(30)의 개구(76) 부분에 2개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2개의 로프 지지부를 지지하는 비임(80)중 한쪽은 건축 비임(34) 위에 직접 배치되어 지지되고, 다른쪽은 배면측의 건축 비임(32)에 직접 배치되어 지지되고 있다.
또한, 로프 지지 홈형 강(82)은 단면 ㄷ자 형상의 홈형 강이며, 로프 지지부를 지지하는 비임(80)에 지지되는 부분에 있어서 노치(notch)를 갖는다. 또한, 이 노치 부분에는,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로프 지지부를 지지하는 비임(80)에 접하는 부분에 용접 부분이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로프 지지 홈형 강(82)은 로프 지지부를 지지하는 비임(8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2개의 ㄷ자형 개구 부분을 마주 보게 한 상태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각 로프 지지 홈형 강(82)은 일단을 배면측에 배치된 건축 비임(32)상의 로프 지지부를 지지하는 비임(80)에 지지할 수 있고, 타단이 건축 비임(34)상의 로프 지지부를 지지하는 비임(80)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로프 지지판(84, 86)은 로프 지지 홈형 강(82)에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출입구(24)에 가까운 쪽의 로프 지지판(84)은 2개의 로프 지지 홈형 강(82)의 하측 부분에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면측의 측벽에 가까운 쪽에 배치된 로프 지지판(86)은 2개의 로프 지지 홈형 강(82)의 상측 부분에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로프 지지판(84, 86)에는 각각 스프링(88) 및 너트(90)가 설치되고, 이 스프링(88) 및 너트(90)에 로프(54)의 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스프링(88) 및 너트(90)는 각 로프 지지판(84, 86)에 4개씩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케이지(4) 및 균형추(6)를 현수하는 로프(54)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4개의 로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프(54)는 로프 지지부(74)에 있어서 각각의 로프마다 스프링(88) 및 너트(90)에 의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개구(76) 부분에는, 매설된 로프 지지부(74)의 위로부터, 커버판(78)이 씌워져 있다. 커버판(78)에는 로프 지지판(86)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어, 로프 지지판(86) 및 이 로프 지지판(86)에 설치된 스프링(88) 및 너트(90)만이 표면에 노출하는 상태로, 개구(76)가 커버판(78)으로 덮여져 있다. 이로써, 로프 지지부(74)가 배치된 부분도 바닥(30)과 동일한 높이에 평탄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외측 바닥(36), 바닥(30), 커버판(78), 및 출입구(24)의 바닥부는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400)의 기계실(8)에 있어서는, 바닥(30)에 개구(76)를 설치하고, 여기에서 바닥(30) 아래쪽으로 로프 지지부(74)를 매설하고, 또한, 이의 상부에서 커버판(78)을 씌우고 있다. 따라서, 출입구(24)로부터, 기계대(14)까지의 사이나, 로프 지지판(84)이 설치되는 부분에 있어서, 평탄한 부분을 확보 할 수 있다. 따라서,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권상기(16), 제어 패널(20) 및 조속기(22) 부근의 돌출을 억제하고, 평탄한 바닥(30)을 보다 많이 확보 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점검이나 수리 등을 위한 작업시에 작업자의 이동이 용이하게 되고, 엘리베이터 검사 시간 등을 단축시키고, 엘리베이터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4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장치(100)와 동일한 기계대(14) 등을 배치한 것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엘리베이터 장치(200)에 있어서의 기계대(58)를 설치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예컨대, 건축 비임의 배치를 엘리베이터 장치(200)와 같이 한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건축 비임 및 기계대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하고, 바닥(30)의 출입구(24) 부근측의 비어 있는 부분에 적어도 2개의 건축 비임의 일부가 노출하도록 개구를 설치하고, 이 노출하는 2개의 건축 비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로프 지지부(74)를 설치하면 좋다. 또한, 예컨대, 건축 비임을 정면측, 배면측의 측벽(10)을 따라 설치된 건축 비임(32)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3개 설치,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2개의 건축 비임(60)에 평행하게, 또한, 1개의 건축 비임을 설치하고, 건축 비임(60)중 한개와, 새롭게 설치한 건축 비임을 지주로 해서, 로프 지지부(74)를 설치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4에 있어서, 기계대(14)는 바닥(30) 위로 돌출하는 경우에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계대(14)도 기계실 바닥부(12)에 매설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4에 있어서는, 로프 지지판(84)만을 바닥(30) 아래쪽에 매설하고, 로프 지지판(86)은 바닥(30)의 표면에 돌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는 배면측의 측벽(10) 부근에 있어서, 돌출물이 있더라도, 작업 방해로 되는 일이 비교적 적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의 로프 지지판(84, 86)이 함께 바닥(30) 아래쪽에 매설된 상태로 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4에 있어서는, 로프(54)가 실제로는 4개로 구성되고, 따라서, 각 로프 지지판(84, 86)에는 각각 스프링(88) 및 너트(90)가 4개씩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로프의 구성에 따라서, 필요한 개수의 스프링 및 너트(90)를 설치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로프의 선단은 스프링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확실하게 로프의 선단이 고정되는 것이면, 다른 고정 방법에 의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4에 있어서는, 커버판(78)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이는 평탄한 커버판(78)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쪽이 이동 등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기 때문이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커버판(78)을 구비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의 부분은 실시형태 1 내지 3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한쌍의 비임에는, 예컨대, 실시형태 1 내지 4에 있어서의 배면측의 건축 비임(32), 실시형태 1, 3, 4에 있어서의 건축 비임(34), 또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건축 비임(60)이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기계대용 개구에는, 예컨대,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개구(68)가 해당하고, 로프 지지부용 개구에는, 예컨대,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개구(76)가 해당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기계대 또는 로프 지지부는 한쌍의 지지 비임에 의해 지지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출입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 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구와 기계대 또는 로프 지지부 사이에 바닥이 평탄한 부분을 확보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수 점검이나 수리 등을 실시하는 작업자 등은 기계실에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고, 작업시에도 평면인 바닥 위를 이동하면 좋기 때문에, 작업 시간을 단축 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기계대 또는 로프 지지부를 기계실 바닥부에 설치된 개구 부분에 배치하는 것에 대해서는, 기계실내의 돌출물을 억제하고, 평탄한 부분을 많이 확보 할 수 있으므로, 보수 점검 등의 작업자는 용이하게 기계실내를 이동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9)

  1. 엘리베이터용 케이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기계실과,
    상기 승강로와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는 기계실 바닥부와,
    상기 기계실의 측벽의 일 면에 설치된 출입구와,
    상기 출입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기계실 바닥부에 배치된 기계대와,
    상기 기계실 바닥부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상기 기계대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 비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지 비임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출입구가 설치된 면에 대향하는 면을 갖는 측벽에 대하여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출입구가 설치된 면과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비임은 상기 출입구가 설치된 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가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바닥부는 상기 기계대가 배치되는 위치에 기계대용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기계대는 상기 기계대용 개구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엘리베이터용 케이지의 승강에 이용할 수 있는 로프의 적어도 일단을 고정하는 로프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로프 지지부는 상기 한쌍의 비임에 지지되고, 상기 출입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엘리베이터용 케이지를 로프로 현수하여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로와,
    상기 승강로 상부에 설치된 기계실과,
    상기 승강로와 상기 기계실을 구획하는 기계실 바닥부와,
    상기 기계실의 측벽의 일 면에 설치된 출입구와,
    상기 기계실 바닥부에 배치된 기계대와,
    상기 출입구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기계실 바닥부에 배치되어, 상기 로프의 적어도 일단을 고정하는 로프 지지부와,
    상기 기계실 바닥부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상기 로프 지지부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 비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지 비임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출입구가 설치된 면에 대향하는 면을 갖는 측벽에 대하여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출입구가 설치된 면과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바닥부는 상기 로프 지지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로프 지지부용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 지지부는 상기 로프 지지부용 개구 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 바닥부는 상기 로프 지지부용 개구를 덮는 커버판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판은 상기 개구의 상기 로프 지지부의 윗쪽에 상기 바닥과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4-7012399A 2002-12-12 2002-12-12 엘리베이터 장치 KR200400849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13001 WO2004052767A1 (ja) 2002-12-12 2002-12-12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901A true KR20040084901A (ko) 2004-10-06

Family

ID=3250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399A KR20040084901A (ko) 2002-12-12 2002-12-12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2) EP1571112B1 (ko)
JP (1) JPWO2004052767A1 (ko)
KR (1) KR20040084901A (ko)
CN (1) CN100465082C (ko)
DE (1) DE60239167D1 (ko)
WO (1) WO20040527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32050B (zh) * 2008-12-05 2014-04-09 奥的斯电梯公司 包括支承于电梯机器支承件上的控制电子器件的电梯系统
FI20090389A (fi) * 2009-10-23 2011-04-24 Kone Corp Menetelmä hissin valmistamisessa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7292A (ja) * 1990-04-26 1992-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H0867468A (ja) * 1994-08-30 1996-03-12 Taisei Corp エレベータの機械室床
JPH08295473A (ja) 1995-04-26 1996-11-1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920478A (ja) * 1995-07-05 1997-01-2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機械室装置
JPH11263560A (ja) * 1998-03-17 1999-09-2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機械室
JP2001048441A (ja) * 1999-08-06 2001-02-2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
JP2001048445A (ja) 1999-08-16 2001-02-2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
JP2001072351A (ja) * 1999-09-03 2001-03-21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
CN1292971C (zh) * 2002-06-07 2007-01-03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15267A (zh) 2005-05-11
JPWO2004052767A1 (ja) 2006-04-06
DE60239167D1 (de) 2011-03-24
EP1571112A4 (en) 2009-02-25
EP1571112B1 (en) 2011-02-09
EP2135833A1 (en) 2009-12-23
WO2004052767A1 (ja) 2004-06-24
CN100465082C (zh) 2009-03-04
EP2135833B1 (en) 2012-03-28
EP1571112A1 (en)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44743B (zh) 跃层电梯和跃层方法
KR100326109B1 (ko)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JP2000247560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70037995A (ko) 승강실 및 승강로에 승강실의 지지 수단을 설치하는 방법
US7097000B2 (en) Elevator apparatus
KR20040105837A (ko) 엘리베이터
EP1396457B1 (en) Elevator device
KR20010082667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09132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40084901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005334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142009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109764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25192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180101486A (ko) 엘리베이터 장치
EP1329411B1 (en) Elevator device
JP2001048445A (ja) エレベータ
JPS63202579A (ja) エレベ−タの更新工法
KR100455502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JP4545451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23175881A1 (ja) 巻上機の据付方法
JP6833070B2 (ja) エレベータ及びその改修方法
JP2001080834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エレベータ制御装置の保守点検方法
JP2002205888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5145609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