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2667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2667A
KR20010082667A KR1020010007552A KR20010007552A KR20010082667A KR 20010082667 A KR20010082667 A KR 20010082667A KR 1020010007552 A KR1020010007552 A KR 1020010007552A KR 20010007552 A KR20010007552 A KR 20010007552A KR 20010082667 A KR20010082667 A KR 20010082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hoistway
bridge
floor fram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4505B1 (ko
Inventor
사사끼고유
다까꾸사끼야수후미
이시와따다까시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3795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2605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76967A external-priority patent/JP4514298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1008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5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로(昇降路)의 피트(pit) 깊이를 얕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승강하는 승강 케이지(cage)(1)의 양측을 안내하는 승강로(7)에 따라 대향하여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10)을 연결하는 수평의 가상(假想) 축선(軸線)(21)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따라 배치되며, 케이지의 저부(底部)에 설치된 한쌍의 시브(sheave)(2)에 걸쳐지고 케이지를 승강시키는 로프(5)를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 레일(10)을 고정 도구(24)에 의해 승강로의 저부에 각각 고정시키고, 케이지의 저부에 위치하는 한쌍의 시브에 감긴 로프의 투영면 상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지도록 승강로의 저부에 완충기(9)를 설치했다. 이것에 의해, 승강 케이지가 완충기의 풀 스트로크(full-stroke) 상태까지 낙하해 온 것과 같은 경우에도, 시브에 걸쳐져 있는 로프가 가이드 레일의 고정 도구와 간섭할 우려가 없어지고, 그만큼 피트의 깊이를 얕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UNIT}
본 발명은 사람이나 짐 등을 운반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등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짐 등을 운반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통상, 승강로에 연결되는 건물의 옥상에 기계실이 마련되어 있고, 이 기계실에 호이스트(hoist)를 비롯한 조속기(調速機) 또는 제어반(制御盤) 등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에 필요한 각종 설비가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에 승강 케이지를, 다른쪽에 평형추를 매단 로프를 호이스트로 정지 마찰(靜止摩擦)(traction)에 의해 이동시킴으로써, 승강 케이지를 승강시키고 있다.
그러나, 건물의 옥상에 기계실을 마련하는 것은, 건물을 1층분 높게 하는 것으로 되어, 북측 사선의 규제나 그늘 규제 등의 영향을 받거나, 건물의 상부에 하중이 가해지거나 하여 건물의 설계에 여러 가지 제약을 주었다. 그래서, 최근, 승강로 내에 호이스트 또는 조속기를 설치하거나,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삼방(三方) 프레임 내에 제어반을 설치함으로써, 기계실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이른바 무(無)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가 주목 받게 되었다.
이 무기계실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 케이지의 상부와 승강로의 정부(頂部) 사이에 미소한 틈만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정지 마찰식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그다지 채용되지 않았던 밀어올림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밀어올림 방식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케이지(1)의 저부(底部)에 한쌍의 시브(2)(본 명세서 중에서는 활차 또는 시브라고 한다)를 설치하는 동시에, 평형추(3)의 상부에도 시브(4)를 설치하고, 이들 승강 케이지(1)의 시브(2)와 평형추(3)의 시브(4)에 걸친 로프(5)의 양단을 각각 승강로의 상방부에 고착(固着)시키며, 승강 케이지(1)와 평형추(3)와의 사이에서 로프(5)를 호이스트(6)에 감은 것이다. 따라서, 호이스트(6)를 구동함으로써, 승강 케이지(1)를 아래로부터 밀어올리도록 하여 상승시키거나, 반대로 밀어내리도록 하여 하강시키는 것이다. 물론, 평형추(3)는 승강 케이지(1)와는 반대 방향으로 승강한다.
그런데, 엘리베이터 장치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로(7)의 저부(8)에 완충기(9)가 설치되어 있어, 가이드 레일(10)로 안내되어 승강하는 승강 케이지(1)가 어떠한 원인에 의해 낙하하여, 승강로(7)의 저부(8)에 충돌한 것과 같은 경우에도, 승강 케이지(1)에 대한 충격을 흡수 및 완화시킴으로써, 승강 케이지(1) 내의 승객(11)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완충기(9)는 통상 승강 케이지(1)의 저부의 중앙 부근을 수용하는 것과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10)은 승강 케이지(1)의 양 측면의 대략 중앙부를 안내하도록 승강로(7)에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10)의 최하부(最下部)는 빔(beam)(12)에 연결되어 승강로(7)의 저부(8)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A-A선 방향의 단면도인 도 3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0)은 빔(12)의 양 단부에 설치된 판자(13)에 고정 금속 부품(1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완충기(9)는 빔(12)의 중앙부에 볼트(1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빔(12)은 완충기(9)를 지지하는 지지대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밀어올림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10)에서의 최하부를 연결하고 있는 빔(12)을 수평의 가상 축선으로 하면, 승강 케이지(1)의 저부에 설치된 한쌍의 시브(2)는 상기 수평의 가상 축선(빔(12)의 축선)을 교차하는 방향에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시브(2)에 승강 케이지(1)를 승강시키기 위한 로프(5)가 걸쳐져 있기 때문에, 로프(5)는 승강 케이지(1)의 저부를 경사지게 횡단하게 된다.
따라서, 완충기(9)는 승강 케이지(1)의 시브(2)와 상기 시브(2)에 걸쳐진 로프(5)와의 간섭을 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었다. 즉, 도 4a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빔(12)의 축선에 대하여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 빔(12)의 중앙부를 양측으로 돌출시켜 빔(12)이 대략 십자형으로 되도록 형성하고, 양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각각 완충기(9)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었다. 이 경우, 완충기(9)는 2개 배치되기 때문에, 각각의 완충기(9)의 완충 능력으로서는 1개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약 1/2로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4a는 밀어올림 방식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 케이지(1)의 투시 평면도이고, 도 4b는 그 승강 케이지(1)의 하부 정면도이다.
그런데, 건물에 엘리베이터 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승강로(7)의 피트(16) 깊이를 가능한 한 얕게 하고 싶다는 요망이 강했다. 그것은 피트(16)를 얕게 할 경우, 그만큼 굴착 공사 또는 설비 공사가 간단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승강 케이지(1)의 저부와 그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시브(2)에 걸쳐져 있는 로프(5)와의 사이에는, 소정의 치수(L)가 필요로 되기 때문에, 반대로 피트(16)가 얕아지면, 승강 케이지(1)가 완충기(9)의 풀 스트로크(full-stroke) 상태까지 낙하해 온 것과 같은 경우에, 시브(2)에 걸쳐져 있는 로프(5)가 가이드 레일(10)을 고정시켜 완충기(9)를 지지하고 있는 빔(12)과 간섭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승강 케이지(1)가 낙하한 경우, 만일 피트(16)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작업자가 있었을 때에는, 작업자가 퇴피할 장소를 제한하게 되어, 안전상의 문제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피트 깊이를 얕게 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밀어올림 방식 엘리베이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의 완충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도 8의 A-A선 방향의 단면도.
도 4는 밀어올림 방식 엘리베이터 장치에서의 종래의 완충기의 설치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설명도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지지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a는 분해도, b는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a는 분해도, b는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지지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승강로(昇降路) 구조물의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케이지(cage) 프레임의 플로어 아래 부분과 피트(pit) 내의 기기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케이지 프레임의 플로어 아래 부분과 피트 내의 기기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케이지 프레임의 플로어 아래 부분과 피트 내의 기기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4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케이지 프레임의 플로어 아래 부분의 기기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5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조속기(調速機)와 케이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6은 도 15에서의 링크 기구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7은 상기 제 3 실시예에서의 플로어 프레임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50 : 케이지(cage) 2 : 시브(sheave)
3 : 평형추(counterbalance) 5, 113 : 로프
7 : 승강로(昇降路) 9 : 완충기
10 : 가이드 레일 22 : 고정 금속 부품
23, 24 : 지지대 25, 130 : 조속기(調速機)
26 : 제한선 27 : 퇴피소(退避所)
101 : 플로어 프레임 103 : 방진(防振) 고무
104, 117 : 브리지(bridge) 105 : 시브 브리지
106 : 시브 유니트 107 : 비상(非常) 멈춤 장치
108 : 링크 기구 109 : 웨지(wedge)
110, 122 : 링크 111 : 완충기
112 : 수용판 114, 118, 135 : 브래킷(bracket)
115 : 가이드 116 : 지점(支點)
141 : 플레이트 142 : 보조 브리지
155 : 피트(pit) D10 : 플로어 아래 길이
D11 : 피트 깊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승강로와, 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 케이지 및 평형추와, 상기 승강 케이지의양측을 안내하도록 상기 승강로에 따라 대향하여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과, 이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수평의 가상 축선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따라 설치되고 상기 승강 케이지의 저부에 설치된 한쌍의 시브와, 이 시브에 걸쳐지고 상기 승강 케이지 및 평형추를 승강시키는 로프를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 레일을 상기 승강로의 저부에 각각 고착시키고, 상기 승강로의 저부에 상기 승강 케이지의 저부에 위치하는 상기 한쌍의 시브에 감긴 로프의 투영면 상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완충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승강 케이지가 완충기의 풀 스트로크 상태까지 낙하해 온 것과 같은 경우에도, 시브에 걸쳐져 있는 로프가 가이드 레일을 고정시키고 있는 빔과 간섭할 우려가 없어지고, 그만큼 피트의 깊이를 얕게 할 수 있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벽과 상기 승강 케이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상기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수평의 가상 축선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한쪽 공간을 상기 평형추의 승강 영역으로 하고, 다른쪽 공간을 비상 정지용의 조속기를 배치하는 영역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피트가 얕아져도, 평형추의 승강 영역이나 조속기의 설치 장소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벽과 상기 승강 케이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상기 평형추 또는 조속기를 배치한 공간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사이에 두고 반대쪽 공간을 작업자용 퇴피소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피트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작업자가 퇴피할 장소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만일 승강 케이지가 낙하한 것과 같은 경우에도, 얕은 피트 내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승강로에 따라 승강하는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승강 케이지의 일 벽면에 도어(door)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승강 케이지의 벽에 연결되는 양측의 외벽 측에, 상기 승강 케이지의 저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수용 도구와, 이 수용 도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승강로의 저부에 설치된 완충기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기는 상기 승강 케이지가 낙하하여 풀 스트로크 수축한 상태에서도 상기 승강 케이지의 저부가 상기 승강로의 저부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서도, 완충기의 높이와 승강 케이지에 대한 수용 도구의 부착 위치에 따라, 피트의 깊이를 얕게 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케이지 플로어 프레임 아래의 서로 반대쪽의 2개소에 시브를 구비한 밀어올림식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플로어 프레임 하면의 일 방향에 브리지를 설치하고, 이 브리지의 하측은 이것과 교차하도록 시브 브리지를 부착시키며, 해당 시브 브리지의 양단 각각에 시브를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플로어 프레임 하면의브리지와 상기 시브 브리지와의 사이에 방진부재를 개재시킬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플로어 프레임 하면의 브리지의 양 단부에 피트 측의 2개소에 설치되는 완충기 각각에 대한 수용판을 부착시킬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시브의 상단 위치를 상기 플로어 프레임 하면의 브리지의 하단면보다도 상측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지 플로어 프레임에 레일 게이지 방향으로 해당 플로어 프레임의 높이 이내의 폭 또는 두께의 보강재를 설치하고, 해당 보강재를 상기 플로어 프레임 하면의 브리지에 대하여 그들의 교차 부분에서 체결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지 플로어 프레임에 레일 게이지 방향으로 해당 플로어 프레임의 높이 이내의 폭 또는 두께의 보조 브리지를 설치하고, 해당 보조 브리지의 양 단부에 비상 멈춤 장치를 부착시킬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비상 멈춤 장치는 웨지를 아래쪽으로부터 밀어올림으로써 동작시키는 링크 기구를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링크 기구와 조속기 로프와의 연결부를 케이지 프레임에 대하여 브래킷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지 아래 시브의 상단을 플로어 프레임의 저면에 방진부재의 최대 휨량 + 여유 치수의 거리까지 근접시킬 수 있으며, 비상 멈춤 장치를 플로어 프레임 하면의 브리지 높이 이내로 되도록 부착시키기 때문에, 종래의 케이지 프레임 구조보다도 하측 브리지와 방진부재의 높이만큼 케이지 아래 치수를 축소시키고, 그만큼 피트 깊이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케이지의 조립을 행할 때, 플로어 프레임을 승강장 도어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때, 고정수단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비상 멈춤 장치를 보조 브리지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플로어 프레임만을 움직일 수 있어, 조정 작업이 용이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승강로 내에서 승강 케이지(1)의 위쪽으로부터 승강로의 저면 측을 들여다본 수평 투영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승강로(7) 내에는 승강 케이지(1)의 양 측면의 대략 중앙부를 안내하도록 한쌍의 가이드 레일(10)이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1점쇄선(2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10)을 연결하는 수평의 가상 축선(21)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따라 승강 케이지(1)의 저부에 한쌍의 시브(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시브(2)에는 승강 케이지(1)를 승강시키기 위한 로프(5)가 걸쳐져 있다.
한쌍의 가이드 레일(10)은 각각 개별의 고정 금속 부품(22)에 의해 승강로(7)의 저부(8)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한쌍의 가이드 레일(10)을 연결하여 고정시키고 있던 빔(12)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사용하고 있지 않다. 또한, 승강로(7)의 저부(8)에는, 승강 케이지(1)의 투영면에 걸리도록, 승강 케이지(1)의 저부에 위치하는 한쌍의 시브(2)에 감긴 로프(5)의 투영면 상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긴 지지대(23, 24)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대(23, 24)에는 각각 완충기(9)가 설치되어 있고, 양 완충기(9)는 승강 케이지(1)의 저부에 대하여 대략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지지대(23, 24)에 유지되어 있다.
이 지지대(23)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대치시킨 L형 금속 부품(23a)의 양측부에 평평한 금속 부품(23b)을 용접시켜 박스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그의 중앙부에 완충기(9)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6a는 지지대(23)의 조립 상황을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한편, 지지대(24)는,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대치시킨 L형 금속 부품(24a)의 양측부에 평평한 금속 부품(24b)을 용접시켜 박스형으로 형성한 것이며, 그의 중간부로부터 한쪽 측으로 돌출되도록 다른 L형 금속 부품(24c)과 평평한 금속 부품(24d)으로 이루어진 볼록부(24e)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이 볼록부(24e) 내에 완충기(9)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7a는 지지대(24)의 조립 상황을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승강로(7)의 내벽과 승강 케이지(1)의 외벽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10)을 연결하는 수평의 가상 축선(21)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한쪽 공간에 승강 케이지(1)용의 평형추(3)의 승강 영역이 형성되며, 다른쪽 공간에 승강 케이지(1)의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증대되었을 때에, 이것을 검출하여 정지시키는 비상 정지용 조속기(2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평형추(3)용의 완충기(28)가 승강로(7)의 저부(8)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가상 축선(21)을 사이에 두고 대칭 위치에 있는 공간은 작업자의 퇴피소(27)로서 확보된다. 그 퇴피소(27)의 공간으로 되는 승강로(7)의 저면(8)에는 노란 선으로 제한선(26)을 그리거나, 그 제한선(26) 내에 퇴피소의 문자를 표시하고 있다.
그런데, 지지대(24)에 볼록부(24e)를 형성하고, 이 볼록부(24e)에 완충기(9)를 부착시킨 것은, 만일 낙하 사고가 일어났을 때에, 지지대(23)에 설치된 2개의 완충기(9)에 의해 승강 케이지(1)의 저부의 충격을 조화스럽게 흡수 및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즉, 승강 케이지(1)의 저부에 대하여 대략 대칭으로 되는 위치에 2개의 완충기(9)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지지대(23)의 배치에 대하여 지지대(24)는 조속기(25)의 설치 장소의 관계로부터 대칭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여, 지지대(24)에 형성된 볼록부(24e)에 완충기(9)를 설치하고, 양 완충기(9)를 대칭 위치에 배치하면서, 지지대(24)의 위치를 조속기(25)의 설치 장소를 피하여 설치했기 때문이다.
또한, 지지대(23, 24)를 길게 형성한 것은, 만일 낙하 사고가 일어났을 때에 완충기(9)가 받는 충격을 지지대(23, 24)를 통하여 승강로(7)의 저부(8)로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그러나, 승강로(7)의 저부(8)의 기초를 확실하게 정비하여 두면,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의 지지대(29)에 완충기(9)를 지지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한쌍의 가이드 레일(10)을 승강로(7)의 저부(8)에 고정 금속 부품(22)에 의해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종래 사용하고 있던 빔(12)을 폐지(廢止)시키는 동시에, 승강 케이지(1)의 저부에 위치하는 한쌍의 시브(2)에 감긴 로프(5)의 투영면 상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떨어져 완충기(9)를 승강로(7)의 저부(8)에 배치했기 때문에, 승강 케이지(1)가 완충기(9)의 풀 스트로크 상태까지 낙하해 온 것과 같은 경우에도, 시브(2)에 걸쳐져 있는 로프(5)가 가이드 레일(10)을 고정시키고 있던 빔(12)과 간섭할 우려가 없어지고, 그만큼 피트(16)의 깊이를 얕게 할 수 있다. 또한, 피트(16)가 얕아지더라도, 평형추(3)의 승강 영역 또는 조속기(25)의 설치 장소를 확보할 수 있으며, 피트(16)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작업자가 퇴피할 장소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만일 승강 케이지(1)가 낙하한 것과 같은 경우에도,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로를 건물 내에 구축하지 않고, 건물의 건축 현장과는 다른 제조원에서 승강로에 상당하는 구조물을 몇 개의 부분으로 하여 구성해 두고, 그것을 건물의 건축 현장에 반입하여 쌓아올림으로써, 승강로를 구축하는 공법도 채용되게 되었다. 그래서, 이러한 공법에 있어서, 제 1 실시예로서 설명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지지대(23, 24)를 건물의 건축 현장에 반입하는 경우의 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승강로 구조물 내, 최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부분(41)은 승강로 구조물로서의 강고한 프레임체(42)에 둘러싸여 있고, 그의 내측에 지지대(23, 24)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대(23, 24)에는 각각 완충기(9)도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10a)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금속 부품(22) 또는 평형추(3)용의 완충기(28)도 부착되어 있다. 다만, 가이드 레일(10a)은 부분(41)의 반송 시에만 고정되어 있는 더미(dummy)로서, 고정 시에는 제거되어 정식의 가이드 레일(10)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지지대(23)와 지지대(24)의 볼록부(24e)가 접속 금속 부품(4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완충기(9)의 질량이 크기 때문에, 부분(41)의 운반 시에 지지대(23, 24)가 진동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물론, 지지대(23, 24)의 강도를 높게 해 두면, 운반 시의 진동에도 견디는 것은 가능하나, 고정 후, 완충기(9)를 통하여 지지대(23, 24)가 받는 충격은 피트(16)의 저부로 분산되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강도를 높이는 것은 과도한 설계로 되어,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운반 시에만 지지대(23, 24)를 접속 금속 부품(43)에 의해 연결하여 보강하도록 한다. 그리고, 부분(41)을 고정시킨 후, 이 접속 금속 부품(43)을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여, 지지대(23, 24)에 필요 이상의 강도를 부여하지 않고, 부분(41)을 안전하게 건축 현장에 반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Oa는 승강로 내에서 승강 케이지(1)의 위쪽으로부터 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0b는 그 승강 케이지(1)의 하부 정면도이다.
승강로(7) 내에는 대향하도록 한쌍의 가이드 레일(10)이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10)의 최하부는 빔(12)으로 연결되며, 빔(12)은 승강로(7)의 저부(8)에 고정되어 있다. 승강 케이지(1)는 측벽이 가이드 레일(10)로 안내되어, 로프(5)(도시 생략)에 의해 승강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밀어올림 방식 또는 정지 마찰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10)로 안내되는 측과는 상이한 승강 케이지(1)의 측면(정면 또는 뒷면)에 실(sill)(31)이 설치되어 있고, 정면측의 실(31)에 따라 개폐되도록, 승강 케이지(1)에는 도어(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는 중앙으로부터 양측으로 슬라이딩하여 열리는 것과 같은 형식의 것이나, 한쪽으로 슬라이딩하는 형식의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승강 케이지(1)의 벽에 연결되는 양측의 외벽 측에 있어서, 승강 케이지(1)의 저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수용 금속 부품(32)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로(7)의 저부(8)(즉, 피트(16)의 저부)에는 수용 금속 부품(32)에 대한 수평 투영면에 위치하도록 완충기(9)가 고정되어 있다. 즉, 완충기(9)는 대향하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10)을 연결하는 빔(12)의 축선(길이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따라 배치되어 있고, 이 완충기(9)를 수용하도록 승강 케이지(1)의 외벽 측에 수용 금속 부품(32)을 고정시킨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완충기(9)의 높이와 수용 금속 부품(32)의 부착 위치에 따라, 피트(16)의 깊이를 얕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얕은 피트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설치할수 있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7은 무기계실, 밀어올림 방식 엘리베이터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플로어 아래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는 조속기와 케이지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도 17에는 케이지의 플로어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지(150)의 플로어 아래 치수(D10)를 플로어 프레임(101)의 두께와 케이지 아래 시브(102)의 직경과 방진 고무(103)의 최대 휨량과의 합계 치수에 대하여 여유 치수를 부가한 치수로 하여 피트 깊이를 저감시키기 위해, 종래의 케이지 구조와 같이 레일 게이지 방향으로 설치하는 하측 브리지(156)를 없애고,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지의 전후 방향(레일 게이지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이며, 승객의 승강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브리지(104)를 배치하며, 시브 브리지(5)에 의해 일체화된 케이지 아래 시브 유니트(106)를 브리지(104)와 시브(2)가 그들의 높이 방향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비상 멈춤 장치(107)의 링크 기구(108)는 전후 방향의 브리지(104)에 설치되어 있다. 비상 멈춤 장치(107)의 좌우 웨지(109)의 구동은, 종래와 같이 위로부터 끌어올리는 것이 아니라, 좌우의 밀어올림 링크(110, 122) 각각에 의해 아래로부터 밀어올림으로써 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지 플로어(101)의 하면에는보강재(140)를 전후 방향의 브리지(104)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배치하고, 각각을 브리지(104)와 체결시키고 있다. 그리고, 레일 게이지 방향으로 분산 독립하여 플레이트(141)를 개재시켜 플로어 프레임(1)에 부착되는 비상 멈춤 장치(107)는 플로어 프레임(101) 내에 수용되는 브리지(142)에서 좌우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피트(155) 내의 완충기(111)는 전후로 2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완충기(111)에 대한 케이지 프레임의 플로어 아래의 수용판(112)은 브리지(104)의 전후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속기 로프(113)와 비상 멈춤 장치(107)의 링크 기구(108)와의 연결 브래킷(114)은, 피트(155)가 얕아진 분만큼 조속기(130)의 인장 장치(139)를 위쪽에 설치함으로써 간섭하지 않도록 위에 배치하며, 굴곡 가공을 실행하고 있다. 조속기(130)의 로프(113)에는 시브(138) 및 인장 장치(139)에 의해 장력이 부여되고 있다. 또한, 평형추(158)의 높이는 피트 깊이(D11)가 단축되는 만큼 단축되게 된다.
이상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지(150)의 플로어 프레임(101)은 좌우 폭방향(전후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복수의 보강재(140)를 갖고 있다. 좌우의 플레이트(141)는 플로어 프레임(10l)에 볼트(143)에 의해 직접적으로 체결되고, 그 플레이트(141)에 비상 멈춤 장치(107) 및 가이드(115)가 부착되어 있다. 이 좌우의 플레이트(141)는 플로어 프레임(101)의 보강재(140)와는 별도로 설치한 보조 브리지(42)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로어 프레임(101)의 하면에는 다양한 기기가 부착되어 있다. 브리지(104)는 플로어 프레임(101)의 보강재(140)와 직교하는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보강재(140)에 대하여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브리지(104)의 서로 반대쪽의 2개소에는 피트(155)에 설치되는 완충기(111)에 대한 수용판(112), 방진 고무(103), 세테피링크의 지점(116)이 고정되어 있다.
2개의 케이지 아래 시브(102)는 시브 브리지(105)에 의해 시브 유니트(106)로서 유니트화되어 있다. 이 시브 유니트(106)는 L자형의 브리지(117)를 개재시켜 플로어 프레임(101)의 아래 톱니에 있어서, 케이지 중심의 바로 아래를 매달기 로프(154)가 통과하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L자형의 브리지(117)는 높이 방향에서 브리지(104)와 교차하고 있고, 방진 고무(103)의 레일 게이지 방향의 전단력(剪斷力)이 비정상적으로 증대되었을 때에 스톱퍼의 기능도 한다.
케이지 아래 시브(102)의 상단 위치는 브리지(104)의 하단면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설정이고, 플로어 프레임(101)의 하면과의 사이의 틈(δ0)은 방진 고무(103)의 최대 휨량 + 여유 치수의 거리로 하고 있다. 또한, 시브(102)의 직경은 사용하는 매달기 로프(154)의 직경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다.
비상 멈춤 장치(107)를 작동시키는 링크 기구(l08)는 브리지(104)와 플로어 프레임(101)에 설치된 브래킷(118)에 지점을 갖고, 규정 속도로 케이지(150)가 하강하면 조속기(130)가 로프(113)를 잡으며, 그대로 케이지(150)가 더 하강하면 리프트 레버(131)가 올라가, 좌우의 웨지(109)를 좌우의 링크(110, 122) 각각이 동기하여 아래로부터 밀어올리도록 동작하는 구성이다.
브래킷(114)은 지점부(132)로부터 수직방향으로 기립되어, 한 번 로프(113)의 방향으로 굴곡되고, 다시 수직으로 기립되어 로프(113)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브래킷(133)에 체결되어 있다. 상술한 브래킷(114)은 케이지 프레임의 프레임(134)에 브래킷(13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114)과 브래킷(135)의 교차부에는 각각 적당한 슬릿(136)이 형성되어, 브래킷(114)이 흔들리지 않으며, 조속기(130)가 작동했을 때에 저항으로 되지 않도록 플렉시블(flexible)에 핀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지(150)의 플로어 프레임(101)의 아래쪽 최하부는, 시브(102)의 하단과 그 위치에서 감겨져 있는 매달기 로프(154)의 영역으로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지(150)의 플로어 프레임(101)의 플로어 아래 치수(D10)는, 플로어 프레임(101)의 높이와 시브(102)의 직경과 방진 고무(103)의 휨량을 합계한 치수에 대하여 여유 치수를 부가한 치수로 된다.
시브 유니트(106)는 케이지 플로어 프레임(101)에 대하여 비상 멈춤 장치(107)와의 간섭을 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무(無)부하의 경우에는 케이지의 중심 바로 아래를 밀어올리게 되어, 기계적 효율이 가장 좋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통상, 최하층에 착상(着床)할 때의 완충기(111) 상면과 수용판(112)과의 거리는 클리어런스(δ1)이다. 만일 케이지(150)가 어떠한 이유로 완충기(111)를 내리누른 경우, 케이지는 완충기(111)의 최대 스트로크(δ2)와 앞의 클리어런스(δ1)와의 합계 치수만큼 최하층 레벨로부터 하강하게 되기 때문에, 케이지(150)의 최하부가 피트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피트 깊이(D11)를 상기의 합계 치수와 케이지 아래 치수(Dl0)와의 합계 치수 (δ1+δ2+D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케이지(150)가 완충기(111)를 내리누른 경우, 그의 반력을 브리지(104)에서 받고, 비상 멈춤 장치(107)가 작동되었을 때에는 플로어 프레임(101)의 복수개의 보강재(140)에서 반력을 받는다. 여기서 보강재(140)는 플로어 프레임(101)의 표면재와 브리지(104)에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더욱 강한 강도가 확보된다.
도 15 및 도 16에 있어서, 케이지(150)가 규정 속도 이상으로 하강하면, 조속기(130)의 로프 그립(grip)기구부가 로프(113)를 잡아, 로프(113)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그대로 케이지가 하강하면 브래킷(133)을 개재시켜 브래킷(114)을 끌어올린다. 그리하면, 링크 기구(108)에 의해 좌우의 링크(110, 122) 각각이 동기하여 아래로부터 밀어올려지고, 각각 웨지(109)를 밀어올려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에 접촉시킴으로써 케이지를 정지시킨다.
웨지(109)는 비상 멈춤 장치(107) 내에서 가이드(125)에 따라 경사 위쪽으로 움직이나, 지점(12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링크(110)에 의해 위로 밀어올려지는 힘의 방향이 가이드(125) 방향과 대략 평행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링크(110, 122)와 웨지(109)와의 연결부에는 긴 구멍(137)에 의한 적당한 거터(gutter)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양쪽의 웨지(109)는 저항 없이 밀어올려져, 가이드 레일(도시 생략)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l5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지(150)가 완충기(111)를 내리누른 경우에는 플로어 프레임(101)과 인장 장치(139)의 시브(138)는 높이 방향에서 교차하나, 브래킷(114)의 상승 위치와 절곡(折曲)(도 14 참조)에 의해 브래킷(114)과 로프(113)의 연결부는 시브(138)와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브래킷(135)에 의해 통상의 사용 시의 브래킷(114)의 요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고정 작업에 있어서, 승강장 도어에 대하여 케이지 플로어 프레임(101)의 위치를 조정할 때, 볼트(143)를 느슨하게 하여 좌우의 비상 멈춤 장치(107)를 보조 시브(142)에서 일체화한 상태에서, 플로어 프레임(101)을 움직임으로써, 플로어 프레임 위치 또는 수평도를 조정하고 있을 때에 가이드(115)와 비상 멈춤 장치(107)가 어긋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조속기(130)는 로프(113)의 그립기구를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했으나, 이것을 피트 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지 아래 시브 유니트(106)는 브리지(104)에 대하여 경사방향이 아니라, 직각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 케이지가 완충기의 풀 스트로크 상태까지 낙하해 온 것과 같은 경우에도, 시브에 걸쳐져 있는 로프가 가이드 레일을 고정시키고 있는 빔과 간섭할 우려가 없어지고, 그만큼 피트의 깊이를얕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트가 얕아져도, 평형추의 승강 영역 또는 조속기의 설치 장소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트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작업자가 퇴피할 장소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만일 승강 케이지가 낙하한 것과 같은 경우에도, 얕은 피트 내에서 작업을 하고 있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완충기의 높이와 승강 케이지에 대한 수용 금속 부품의 부착 위치에 따라, 피트의 깊이를 얕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지 아래 시브의 상단을 플로어 프레임의 저면에 방진부재의 최대 휨량 + 여유 치수의 거리까지 근접시킬 수 있으며, 비상 멈춤 장치를 플로어 프레임 하면의 브리지 높이 이내로 되도록 부착시키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케이지 프레임 구조보다도 하측 브리지와 방진부재의 높이만큼 케이지 아래 치수를 축소시키고, 그만큼 피트 깊이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그만큼 엘리베이터 고정에 필요한 시공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장에서 케이지의 조립을 행할 때, 플로어 프레임을 승강장 도어에 대하여 위치 결정할 때, 고정수단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비상 멈춤 장치는 보조 브리지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플로어 프레임만을 움직일 수 있어, 조정 작업이 용이해진다.

Claims (12)

  1. 승강로(昇降路)와,
    이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승강 케이지(cage) 및 평형추와,
    상기 승강 케이지의 양측을 안내하도록 상기 승강로에 따라 대향하여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과,
    이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수평의 가상(假想) 축선(軸線)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승강 케이지의 저부(底部)에 설치된 한쌍의 시브(sheave)와, 이 시브에 걸쳐지고 상기 승강 케이지 및 평형추를 승강시키는 로프를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 레일을 상기 승강로의 저부에 각각 고정시키고,
    상기 승강로의 저부에 상기 승강 케이지의 저부에 위치하는 상기 한쌍의 시브에 감긴 로프의 투영면 상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완충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벽과 상기 승강 케이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상기 대향하는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는 수평의 가상 축선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한쪽 공간을 상기 평형추의 승강 영역으로 하고, 다른쪽 공간을 비상 정지용의 조속기(調速機)를 배치하는 영역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벽과 상기 승강 케이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상기 평형추 또는 조속기를 배치한 공간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을 사이에 두고 반대쪽 공간을 작업자용 퇴피소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승강로에 따라 승강하는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된 승강 케이지의 일 벽면에 도어(door)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승강 케이지의 벽에 연결되는 양측의 외벽 측에, 상기 승강 케이지의 저부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수용 도구와,
    이 수용 도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승강로의 저부에 설치된 완충기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기는 상기 승강 케이지가 낙하하여 풀 스트로크(full-stroke) 수축한 상태에서도 상기 승강 케이지의 저부가 상기 승강로의 저부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케이지 플로어 프레임 아래의 서로 반대쪽의 2개소에 시브를 구비한 밀어올림식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플로어 프레임 하면의 일 방향에 브리지를 설치하고, 이 브리지의 하측에 이것과 교차하도록 시브 브리지를 부착시키며,
    해당 시브 브리지의 양단 각각에 시브를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프레임 하면의 브리지와 상기 시브 브리지와의 사이에 방진(防振)부재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프레임 하면의 브리지의 양 단부에 피트 측의 2개소에 설치되는 완충기 각각에 대한 수용판을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제 5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브의 상단 위치를 상기 플로어 프레임 하면의 브리지의 하단면보다도 상측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제 5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플로어 프레임에 레일 게이지 방향으로 해당 플로어 프레임의 높이 이내의 폭 또는 두께의 보강재를 설치하고, 해당 보강재를 상기 플로어 프레임 하면의 브리지에 대하여 그들의 교차 부분에서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플로어 프레임에 레일 게이지 방향으로 해당 플로어 프레임의 높이 이내의 폭 또는 두께의 보조 브리지를 설치하고, 해당 보조 브리지의 양 단부에 비상 멈춤 장치를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멈춤 장치는 웨지를 아래쪽으로부터 밀어올림으로써 동작시키는 링크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와 조속기 로프와의 연결부를 케이지 프레임에 대하여 브래킷에 의해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1-0007552A 2000-02-16 2001-02-15 엘리베이터 장치 KR100394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37952A JP2001226053A (ja) 2000-02-16 2000-02-16 エレベータ装置
JP2000-037952 2000-02-16
JP2000-276967 2000-09-12
JP2000276967A JP4514298B2 (ja) 2000-09-12 2000-09-12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667A true KR20010082667A (ko) 2001-08-30
KR100394505B1 KR100394505B1 (ko) 2003-08-14

Family

ID=2658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552A KR100394505B1 (ko) 2000-02-16 2001-02-15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94505B1 (ko)
CN (1) CN1167599C (ko)
TW (1) TW593116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3016A (zh) * 2018-05-22 2018-08-21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侧向爬升的交通系统
CN108423014A (zh) * 2018-05-22 2018-08-21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侧向爬升的交通系统
CN108423013A (zh) * 2018-05-22 2018-08-21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侧向爬升的交通系统
CN108423015A (zh) * 2018-05-22 2018-08-21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侧向爬升的交通系统
CN108423017A (zh) * 2018-05-22 2018-08-21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侧向爬升的交通系统
CN108583587A (zh) * 2018-05-22 2018-09-28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侧向爬升的交通系统
CN108860172A (zh) * 2018-05-22 2018-11-23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侧向爬升的交通系统
CN114291693A (zh) * 2021-12-14 2022-04-08 南通吉程机械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底部自适应平衡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1357B2 (ja) * 2010-04-22 2014-07-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非常停止装置
FI124331B (fi) * 2010-11-30 2014-06-30 Kone Corp Hissi
CN102344071A (zh) * 2011-06-28 2012-02-08 苏州新达电扶梯部件有限公司 安全钳的提拉机构
CN102344072A (zh) * 2011-06-28 2012-02-08 苏州新达电扶梯部件有限公司 电梯对重安全钳
US10367070B2 (en) 2015-09-24 2019-07-30 Intel Corporation Methods of forming backside self-aligned vias and structures formed thereb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7097A (en) * 1951-07-20 1953-07-28 Rca Corp Plastic molding compositions comprising a vinyl chloride polymer and a resinous terpene-phenol reaction product
FI94123C (fi) * 1993-06-28 1995-07-25 Kone Oy Vetopyörähissi
JPH08157162A (ja) * 1994-12-07 1996-06-1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緩衝装置
JPH1160117A (ja) * 1997-08-25 1999-03-02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
JP2000034071A (ja) * 1998-07-17 2000-02-02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リニアモータ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点検用治具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3016A (zh) * 2018-05-22 2018-08-21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侧向爬升的交通系统
CN108423014A (zh) * 2018-05-22 2018-08-21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侧向爬升的交通系统
CN108423013A (zh) * 2018-05-22 2018-08-21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侧向爬升的交通系统
CN108423015A (zh) * 2018-05-22 2018-08-21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侧向爬升的交通系统
CN108423017A (zh) * 2018-05-22 2018-08-21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侧向爬升的交通系统
CN108583587A (zh) * 2018-05-22 2018-09-28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侧向爬升的交通系统
CN108860172A (zh) * 2018-05-22 2018-11-23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侧向爬升的交通系统
CN114291693A (zh) * 2021-12-14 2022-04-08 南通吉程机械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底部自适应平衡结构
CN114291693B (zh) * 2021-12-14 2024-02-09 南通吉程机械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底部自适应平衡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7599C (zh) 2004-09-22
TW593116B (en) 2004-06-21
KR100394505B1 (ko) 2003-08-14
CN1309077A (zh) 2001-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4505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01226053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7297209A (ja) エレベータ装置
JP4376585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JP409132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8698792B (zh) 电梯装置
JP4514298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5192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570612B2 (ja) エレベータ
JP2846528B2 (ja) 油圧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据付け方法
JP2012201497A (ja) マシンベッド及び揚重装置
KR101826881B1 (ko) 내진성능을 갖춘 엘리베이터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선 방지 구조
JP2011195308A (ja) 油圧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りリニューアルされたロープ式エレベータ
KR100455502B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JP405647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195063B2 (ja) エレベーター
JP2878936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工法
KR20040024094A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설치 구조
JP7400958B2 (ja) エレベーターの防振装置
JP4245315B2 (ja) エレベータ据付用移動足場およびエレベータ据付工法
JPH07237848A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け工法
JP2023114049A (ja) エレベーター
JPH092757A (ja) ユニット式建物における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
JP202404129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23168698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