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741B1 -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 - Google Patents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741B1
KR890000741B1 KR1019810005038A KR810005038A KR890000741B1 KR 890000741 B1 KR890000741 B1 KR 890000741B1 KR 1019810005038 A KR1019810005038 A KR 1019810005038A KR 810005038 A KR810005038 A KR 810005038A KR 890000741 B1 KR890000741 B1 KR 890000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portion
car
elevator car
lift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5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413A (ko
Inventor
엔드류 카펜하겐 죠오지
포드 잭슨 레이
Original Assignee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죠오지 메크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죠오지 메크린 filed Critical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30007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
제1도는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의 적재 운반상태의 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엘리베이터 카의 작동설치상태의 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바닥비임부재 142 : 제2버팀대
16 : 천장비임부재 144, 146 : 제1고정수단
21 : 턴널 150, 152 : 제2고정수단
12 : 카프레임 104 : 카도어
100 : 제1승강부분 154, 156 : 슬리이브
122 : 제2승강부분 128 : 제1측부비임부재
120, 196, 198, 200 : 객실용 캡 130 : 제2측부비임주재
92 : 카스테이션 128, 160, 162 : 개구
140 : 제1버팀대 168 : 고정수단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에 관한것으로, 특히 유압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적합한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카의 구성부품을 비롯하여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여러부품들은 보통 작업장소까지 적재운반되어 이 작업장소에서 조립된다. 따라서, 현장 조립시간과 그에 따른 원가가 엘리베이터에 소요되는 원가중 대부분을 차지한다. 신체장애자에 의해 주로 사용될 수 있는 단지 몇개의 층을 갖는 비교적 낮은 건물에 특정한 형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식의 구조물에 들어가는 총 건설비용중 엘리베이터 건설에 들어가는 비용은 상단한 부분을 차지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낮은층의 구조물에 적합한 엘리베이터의 제조원가와 현장 설치비용을 경감할 수 있는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비추어보아,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으로 향하고 수직으로 이격된 천장비임부재와 바닥비임부재, 이 천장과 바닥비임부재 사이에 설치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직립구조부재를 구비하는 카프레임과 전기한 카프레임의 바닥비임에 의해 만들어지는 제1승강부분과 제2승강부분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카용 혼성 승강조립체와, 제2승강부분이 제1승강부분에 대해 실제로 수직상태를 갖는 적재운반위치와 제1, 제2승강부분들이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조립체를 형성하게되는 작동위치 사이에서 전기한 제2승강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전기한 제2승강부분을 카프레임에 피봇트 연결하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규격화된 엘리베이터카가 제공된다.
1980년 12원 22일 출원된 미합중국 출원번호 제219,193호는 유압잭용의 구멍깊이를 없애거나 실제로 감소시키기 위해 유압잭이 터널내에있는 엘리베이터 카를 통해 위로 신장하는 형식의 유압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요약하면, 본 명세서의 설명은 엘리베이터 카에 부착된 작동제어장치 뿐만 아니라, 카프레임, 즉 스링(sling) 및 승강대가 공장에서 완전하게 조립된 형식의 개선되고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게 된다. 카프레임은 엘리베이터 카의 제일 앞부분에 노출된 수직으로 향하는 구조의 강철제 조립체이며, 충분한 앞뒤의 길이를 갖기 때문에 카에 부착되는 작동 제어장치가 카프레임에 의해 충분히 지지되고 보호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제어장치는 카프레임의 바닥비임부분의 소정부위에 위치하며 바닥비임의 나머지 부분은 입구를 형성한다. 따라서 카프레임은 제1동작부분, 즉 제1승강부분을 제공한다. 바닥비임은 입구용 평판을 지지하기 위해 수평프랜지를 또한 구비한다. 그리고 제2동작부분, 즉 제2승강부분은 적당한 피보트조립체와 선택적으로 접을 수 있는 버팀대로 카프레임에 피보트식으로 부착되며, 이에따라 제2승강부분이 공장에서 스링에 조립되고, 수직으로 접혀 적재위치상태(제1도)가 될 수 있다. 제2승강부분의 적재위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적재운반중에 스링에 부착된 작동 제어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 카도어, 카도어 작동기, 유압잭, 완충기, 발판홈, 안내로울러 조립체, 그리고 안내레일의 일부가 카스링과 함께 조립되어 하나의 수송화물로 운반될 수 있으며, 해치도어와 가장 낮은 층의 해치도어 앞부분도 요구에 따라 쉽게 하나의 수송화물로 맞춰놓을 수 있다. 작업장소에서, 규격화된 엘리베이터는 건물의 엘리베이터용 통로에 놓여지며, 이 엘리베이터와 함께 운반된 안내레일을 건물에 부탁시키고, 유압잭의 실린더부를 건물에 연결하며, 그리고 제2승강부분을 작동위치가 되도록 펼친다.
이에따라 버팀대들이 제2승강부분을 스링에 의해 만들어지는 제1승강부분과 일렬로 배치하기 위해 신장되어 고정되며, 이 공정을 슬라이딩조정 조립품에 의해 조정된다.
객실용 측판들을 제2승강부분위에 위치시키고 천장은 측판들의 상부에 고착시킨다. 객실의 천장 조명은 작동 제어장치위에 배치된 광창의 필수적인 부분이며 따라서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의 사전조립체의 일부로 적재운반되거나 요구에 따라 지붕 천장의 한 부분으로 할 수도 있다. 카에 부착된 작동 제어장치용 전기배선은 콘센트로 완성되며, 이것을 작업장소에서 상대 프러그에 연결하면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와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 규격화된 엘리베이터카(10)의 투시도이다. 제1도는 적재운반위치의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10)을 도시한 것이며, 제2도는 작동위치상태의 카(10)을 도시하고 있다.
엘리베치터 카(10)은 프레임 개구의 가로축이 수평인 구조의 강철제 장방형프레임인 카프레임, 즉 스팅(12)를 포함한다. 특히, 이 스링(12)는 각각 바닥과 천장비임부재(14,16)과 그리고 제1, 제2직립 선틀부재(18,20)을 구비한다. 도시된 모범적 실시예에 있어서, 카프레임, 즉 스링(12)는 또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터널(21)을 구비한다. 바닥비임부재(14)는 각각 제1, 제2단부(22,24)를 갖고, 실제로 U자 모양의 단면형태를 갖는다. 이 U자 모양의 단면형태는 굴곡부분(26)과 제1, 제2직립버팀대부분 (28,30)을 각각 포함한다. 직립버팀대부분(28,30)은 수평으로 향하는 프랜지(32,34)를 제공하기 위해 공통 평면에서 서로의 방향으로 구부러진 단부를 갖는다. 바닥비임부재(14)는 직립버팀대부분(28,30) 사이의 간격과 프랜지단부(32,34) 사이의 간격이 카에 부착되는 작동 제어장치(뒤에 기술함)를 완전하게 지지하기에 충분한 규격을 갖는다.
천장비임부재(16)은 제1, 제2단부(36,38)을 각기 갖고, 또한 굴곡부분(40)과 제1, 제2버팀부분(42,44)을 각각 포함하여 실제로 U자 모양의 단면형태를 갖는다.
직립선틀부재(18,20)은 그중 하나의 선틀부재(18)에 도시된 제1, 제2단부 (4 6,48)과 같은 제1, 제2단부를 갖는다. 선틀부재(18)과 같은 선틀부재는 굴곡부분(50 )과 제1, 제2버팀부분(52,54)를 각기 포함하며, U자 모양의 단면형태를 갖는다. 제1, 제2버팀부분은 서로 일렬을 이루면서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진 프랜지(56,58)를 구비한다.
터널(21)이 채택된다면, 이 터널(21)이 주요한 수직지지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선틀부재(18,20)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부는 제2차적인 것이되므로, 선틀부재(18,2 0)을 각기 얇은 금속박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터널(21)을 사용하지 않으면, 선틀부재(18,20)은 주요한 수직지지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선틀부재(1 8,20)이 단지 제2차적인 지지만을 할때, 선틀부재(18,20)의 제2단부용 부착점을 제공하고 접을 수 있는 버팀대용 지지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서로 이웃하는 천장비임부재 (16)의 다리사이의 Z자모양의 장착브래캣을 용접한다. 예를들면 Z자 모양의 브래킷( 60)은 천장비임부재(16)의 단부(36)에 고정되며, 도면에서는 하나의 다리(62)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같이, 부착브래킷을 제1단부(22)에 있는 브래킷(64)과 같이 바닥비임부재 (14)의 다리사이에 용접된다. 도시된 바와같이, 적당한 너트와 보울트조립체가 선틀부재(18,20)의 제1단부를 바닥비임부재(14)에 결합된 장착브래킷에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선틀부재(18,20)의 제2단부를 천장비임부재(16)에 결합된 장착브래킷에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도면에서는 너트와 보울트조립체(66)가 바닥비임부재 (14)에 구비되고, 또다른 너트와 보울트조립체(68)은 천장비임부재(16)에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바닥과 천장비임부재(14,16)은 안내레일(76,78)의 돌출부분을 수용하기 위하여 바닥비임부재(14)의 단부(22)에 있는 홈(70)과, 천장비임부재(16)의 각 단부(36, 38)에 있는 홈(72,74)와 같이 비임부재들의 단부에 있는 굴곡부분을 일부 절단하여 홈을 마련한다. 바닥과 천장비임부재(14,16)는 홈(74)근처에서 점선으로 도시되는 안내로울러 조립체(86)등을 수용하기 위해 천장비임부재(1b)의 안내레일용 홈(72)근처에 도시된 긴 개구(80,82,84)와 같은 여러개의 개구를 구비한다.
카프레임, 즉 스링(12)가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10)의 정면부를 형성하고, 안내레일(76,78)이 결합된 해치구멍 전방부분에 부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터널(21)이 채택되지 않으면, 유압잭의 피스톤과 평판을 수납하기 위한 보통의 받침대판이 바닥비임부재(14)의 굴곡부분(26)에 부착되며 따라서 유압잭은 결합된 해치구멍의 전방부분에 부착된다.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4,041,845호는 유압실린더와, 이 유압실린더를 엘리베이터 카에 통상적으로 연결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터널(21)이 사용된다면, 실린더(89)와 실린더헤드(91),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피스톤 (93)을 갖는 유압잭(87)이 규격화된 엘리베이터카에 조립되고, 이 엘리베이터 카와 함께 적재운반된다. 터널(21)은 제거가 가능한 단부평판(95)를 포함하며, 피스톤(93)의 단부는 단부평판에 있는 개구를 통해 신장하며, 핀(97)으로 고정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직립선틀부재 뿐만 아니라 바닥과 천장비임부재는 엘리베이터 카에 부착되는 작동제어장치를 지지하고, 이를 수용할 수 있을만큼 충분한 넓이를 갖는다.
스링(12)에 한지점으로 지지되는 진동 반복판넬(88)은 작동 제어장치를 구성하는 여러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고, 수용한다. 예를들면,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표시기 (90)은 엘리베이터 카(10)이 위치하는 층을 나타내고, 카스테이션(92)는 가려는 층을 선택하기 위한 푸쉬버튼을 장치한다. 그 이외의 추가 품목으로는 석쇠모양의 장치(94) 뒤쪽에 배치되는 배기팬과, 비상전원(96), 그리고 전화기의 도어(98)이 있다. 여러 제어장치용 구성요소의 전기배선은 하나의 장소로 유도되며, 그 끝을 플러그로 마감하고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결선하는 작업이 필요치 않으므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작동 제어장치와 진동 반복판넬(88)은 바닥비임부재(14)의 단지 일부분만을 차지하고, 나머지 부분(100)은 출입구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하여 스링(12)는 지금부터 설명되는 혼성승강대 조립체의 제1부분(100)을 형성하는 것이다.
바닥비임부재(14)의 수평프랜지(32)는 해치 문입구로 부터 엘리베이터 카(10 )속으로 들어가는 출입구(100)을 구분하는 입구평판(102)를 지지한다. 카도어 (104)는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활주가능하게 장치되며, 카도어(104)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카도어(104)의 바닥에 있는 돌출부(108)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입구평판 (102)상에 홈(106)이 형성된다. 도어 작동기는 도어(104)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카도어 (104)에 연결된다. 터널(21)이 채택되지 않는다면, 도어 작동기는 천장비임부재816)의 상부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4,043,430호는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어 작동기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1980년 12원 22일 출원된 미합중국 출원번호 제219,102호는 터널(21)을 채택하는 경우의 엘리베이터 카에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도어 작동기를 기술하고 있다. 스링(12)에 전기 작동요소들을 부착하는 이 외에 출입구(100)과 진동 반복판넬(88)의 위에서 엘리베이터 카(10)의 내부를 가로질러 위치하는 통상의 광창(112)는 반투명판넬(118)뒤쪽에 배치된 형광등 (116)과 같이 엘리베이터 내부를 밝게하기 위한 조명장치(114)를 구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상기 광창조명 대신에 또는 그에 덧붙여, 제2도에 도시된 카 천장(120)에 필요에 따라 내부 조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조명기구를 구비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카스링(12)는 카스테이션(92), 카도어(104), 그리고 입구평판(102)를 포함하여 진동 반복판넬(88)과 작동 제어장치를 지지하는 부분뿐만 아니라, 입구를 형성하는 부분(100)을 포함하는 혼성승강 조립체의 제1부분을 제공한다. 또한 제2승강부분(122)는 스링(12)에 피봇트식으로 연결되어 혼성승강 조립체가 완성된다. 이 제2승강부분(122)는 서로 이격되고, 평행한 전,후 비임부재(124,126)와, 용접등의 방법으로 상기 전,후 비임부재(124,126)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제2측방 비임부재(128,126)으로 만들어진 장방향 구조의 강철구조물이다. 다수의 중간 비임부재(132)는 전,후 비임부재(124,126)사이에 평행하게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장방형의 구조물을 보강한다. 제2승강부분(122)를 스링(12)에 피봇트식으로 고착시키는 피봇트장착부에는 선틀(18)에 있는 피봇트박대(134)와 피봇트 암부재(136,138)과 같이 선틀(18,20)에 고착된 피봇트막대가 포함된다. 피봇트 암부재(136,138)을 피봇트막대(134)를 수납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고, 제2승강부분(122)의 측부비임부재 (12 8,130)에 각각 용접된다. 피봇트 암부재(136,138)은 제2승강부분(122)의 전면 비임부재(124) 쪽으로 가끼히 배치되며, 피봇트막대는 선틀(18,20)의 제1단부에 이웃하도록 배치된다.
전면 비임부재(124) 근처의 피봇트지지부 이외에도, 접을 수 있는 제1 및 제2버팀대(140,142)가 스링(12)와 제2승강부분(122)사이에 설치된다. 스링(12)위에 있는 피봇트보울트(144,146)가 상기 버팀대(140,142)의 피봇트점을 제공한다. 또다른 피봇트점들이 피봇트보울트(148)에 의해 제공되는 후방비임부재(126)근처에서 측부비임부재(128,130)위에 있는 제2승강부분(122)에 위치한다. 그리하여, 제2승강부분 (122)의 장방형 구조물중 두 구석은 직립선틀부재(18,20)의 제1단부에 피봇트식으로 연결되고, 나머지 두 구석은 직립선틀부재(18,20)의 제2단부에 피봇트식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제2승강부분(122)에 있는 피봇트점들은 조정가능하고, 활주가능한 조립체의 일부로서, 조정가능 조립체(150)의 일부인 피봇트핀, 즉 보울트(148)를 구비하고, 역시 조립체(152)의 부분에도 피봇트점이 구비된다. 활주가능한 제1 및 제2슬리이브 (154,156)은 측부비임부재(128,130)의 U자형 단면부내에서 배치된다. 조정가능 조립체(150.152)는 유사하므로, 단지 하나의 조립체(150)에 대해서만 자세히 기술한다.
탭으로 가공된 3개의 개구가 슬리이브(154)의 측면부분에 제공되며, 이 측면부분은 측부비임부재(128)의 굴곡부와 접촉한다. 탭가공된 개구는 슬리이브(154)의 단부 부분에서 제공되며 이 슬리이브 단부 부분은 후방비임부재(126)의 굴곡부와 접촉한다. 세개의 긴 개구(158,160,162)는 슬리이브(154)의 측면부분에 있는 탭 가공개구와 일렬을 이루면서 측면 비임부재의 굴곡부에 형성된다. 상기 개구의 신장방향은 비임부재의 길이 축방향과 나란하다. 후방비임부재(126)의 굴곡부에 있는 개구는 슬리이브 (154)의 단부에 있는 탭가공개구와 일렬을 이루도록 제공된다. 피봇트보울트, 즉 핀(1 48)은 개구(158)을 통해 탭이있는 개구중 하나와 결합하고, 두개의 다른 보울트 (164,166)은 개구(160,162)를 통해 슬리이브(154)의 측면에 있는 나머지 두개의 탭가공 개구와 결합한다. 보울트(168)은 후방비임부재(126)의 굴곡부에 있는 개구를 통해 슬리이브(154)의 단부에 있는 탭 가공개구와 결합한다. 그리하여 보울트(148, 164, 166)이 느슨해질때, 보울트(168)는 슬리이브(154)를 이동시키고, 필요에 따라 피봇트보울터(148)를 이동시켜 스링(12)의 승강부분과 제2승강부분 (122)이 일렬이 되도록 만들 수 있다.
접을 수 있는 버팀대(140,142)는 구조에 있어서 유사하다. 그러므로 단지 하나의 버팀대(140)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한다. "접을 수 있는"이란 용어는 제2승강부분 (122)가 적재운반상태와 작동위치 사이에서 위치이동이 가능하고 유지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접을 수 있는 형태를 폭넓게 포함하는 것을 뜻하며, 문자 그대로 접을 수 있는 버팀대 뿐만 아니라 신측 가능하게 끼울 수 있는 버팀대도 포함한다. 다만 도면에서는 버팀대의 모점적인 실시예를 나타낼 뿐이다. 버팀대(140)은 제1, 제2의 신장막대(17 0,172)를 각각 포함한다. 제1막대(170)은 제1, 제2단부(174,176)을 각각 가지며, 개구는 피봇트보울트(144)를 수납하기 위해 제1단부(174) 근처에 개구가 제공된다. 또한 세개의 개구가 제2단부(176) 근처에서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며, 그중 중앙개구는 제2막대(172)와 제1막대(170)을 연결하는 너트와 보울트조립체(178)을 수납한다. 또한 (180)과 (182)로 표시된 나머지 두개의 개구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막대(170)와 마찬가지로 제1막대(172)도 제1, 제2단부(184,185)을 각기 가지며, 피봇트보울트(148)을 수납하기 위해 제1단부(184) 근처에 개구가 제공된다. 세개의 개구는 제2단부(186) 근처에 서로 이격되어 제공되며, 중앙개구는 너트와 보울트조립체(178)을 수납한다. (188)과 (190)으로 표시되는 나머지 두개의 개구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는 엘리베이터 카(10)의 적재운반상태의 위치를 나타내며, 제2승강부분 (122)가 스링(12)에 아주 근접되게 수직으로 접혀져 있는 상태이다. 보울트(144, 148, 178)은 이 적재위치에서 제2승강부분(122)의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죄어져 있다. 이 형태는 적재함을 좁은공간에 실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작동 제어장치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작용을 하기도 한다. 스링(12)는 제어장치의 주위에 강철링을 제공하고, 카도어(104)는 이 링의 한쪽 개방측부를 폐쇄하고, 제2승강부분(122)이 나머지 개방측부를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설치현장에서 안내레일(76,78)이 설치된다.
제1도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카가 설치장소에 도착할때, 그것을 해치구멍에 위치시키고, 안내레일부분(76,78)을 건물에 고착하며, 유압잭(89)의 실린더(87)도 건물에 부착한다. 그리고 안내로울러 조립체(86)를 조정시킨다. 그리하여 카프레임, 즉 스링(12)와 그에 결합된 구성요소들이 완전히 지지되며, 적절히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보울트(144,148,178)를 풀어서 제2승강부분(122)을 제2도에 도시된 작동위치로 이동시킨다. 도시된 바와같이, 버팀대(140,142)는 직선형태로 퍼지며, 그것은 개구 (1 80)과 개구(190)이 일렬을 이루게되며, 개구(182)와 개구(188)도 일렬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나서 너트와 보울트조립체(192,194)를 중간의 너트와 보울트조립체 (178)과 일렬을 이루도록하여 결합시킨다. 그리고나서 조정가능한 조립체(150)을 풀고, 보울트(168)를 스링(12)에 의해 형성된 승강부분과 제2승강부분(122)이 한 평면에 놓여질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나서 일평면에 2개의 승강부분(100, 122)이 배치되었을때, 보울트(144,148,162,164)를 모두 단단히 조인다.
그후, 적절한 바닥(195)을 합성승강대 위에 설치한다. 측부판넬(196,198)과 후방판넬(200)을 상기 마루(195)위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객실 천장(120)을 규격화된 엘리베이터의 측방판넬(196,198)의 상부에 부착시켜 엘리베이터 카(10)의 조립을 완성한다. 이상의 설명 및 도면에서는 터널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유압잭이 카프레임의 바닥에 또는 터널을 통해 천장에 연결든가에 관계없이 카프레임이 카의 정면에 위치하는 어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쉽게 알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서로 수평하고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천장비임부재(16) 및 바닥비임부재(14)와, 상기 천장 및 바닥비임부재(16,14)사이에서 설치 고정되어 있는 직립선틀부재 (18,20)를 구비하는 카프레임(12)과, 제2승강부분(122)과 상기 카프레임이 바닥비임부재(14)로 만들어지는 제1승강부분(100)으로된 혼성승강 조립체와, 상기 제2승강부분(122)이 제1승강부분(10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적재운반위치와, 상기 제2승강부분(122)과 제1승강부분(100)이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조립체를 형성하는 작동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승강부분(122)가 피보트 형식으로 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승강부분(122)를 카프레임(12)에 피봇트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승강부분(122)은 카프레임(12)쪽에 근접한 제1 및 제2구석부와 상기 카프레임 (1 2) 쪽에서 원격한 제3 및 제4구석부를 갖는 장방형의 형상으로되고, 각각 제1 및 제2단부를 갖는 제1 및 제2버팀대(140,142)와, 상기 제1단부를 카프레임(12)에 고정하기 위한 제1고정수단(144,146)과 상기 제2단부를 상기 제2승강부분(122)의 제3 및 제4구석부에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수단(150,152)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고정수단 (144,146,150,152)은 상기 제2승강부분(122)의 작동위치에서 상기 제1승강부분(1 00)과 제2승강부분(122)을 정확하게 일렬로 배치시킬 수 일도록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
  2. 제1항에 있어서, 제2승강부분(122)이 작동위치에 있을때, 상기 제2승강부분 (122)위에 부착되고 이것에 의해 지지되는 객실(120,196,198,20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동 제어장치와 카스테이션(92)을 포함하고, 상기한 작동 제어장치는 제1승강부분(100)의 선택된 부위에 배치되며, 제1승강부분(100)의 나머지 부분은 제2승강부분(122)으로의 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제2고정수단(144,146,150,152)은 피봇트식으로 회전가능하고, 제1, 제2버팀대(140,142)는 적재운반위치와 작동위치사이에서 작동가능하며, 따라서 제2승강부분(122)이 적재운반위치와 작동위치사이에서 피봇트식으로 선회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 제어장치는 적재운반위치에서 카프레임에 의해 완전히 지지되며 제2승강부분(122)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
  6. 제5항에 있어서, 제1승강부분(122)이 입구를 형성하고, 바닥비임부재(14)에 의해 지지된 입구와 카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카도어(104)에 이웃하는 입구평판(10 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
  7. 제1항에 있어서, 제2고정수단(150,152)은 각각 조정가능하게 미끄러지는 제1 및 제2슬리이브부재(154,156)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버팀대(140,142)의 제2단부가 전기한 슬리이브부재(154,156)에 피봇트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
  8. 제7항에 있어서, 제2승강부분(122)이 실제로 U자 모양의 단면형태를 갖는 제1 및 제2측부비임부재(128,130)를 포함하고, 전기한 제1, 및 제2슬리이브부재(154, 156)는 상기 제1, 제2측부비임부재(128,130)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제2측부비임부재(128,130)는 신장된 개구(160,162)를 갖고 전기한 제2고정수단(150,152)은 제1 및 제2버팀대(140,142)의 제2단부를 신장된 개구(158)를 통해 제1, 제2슬리이브부재(154,156)에 피봇트식으로 고정시키는 피봇트보울트수단 (148) 및 제1승강부분 (100)과 제2승강부분(122)을 일렬로 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제2측부비임부재(128,130)내에 제1, 제2슬이이브부재(154,156)를 조정가능게 고정시키는 피봇트보울트수단(1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
KR1019810005038A 1980-12-22 1981-12-21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 KR890000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19206 1980-12-22
US219,206 1980-12-22
US06/219,206 US4361208A (en) 1980-12-22 1980-12-22 Modular elevator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413A KR830007413A (ko) 1983-10-21
KR890000741B1 true KR890000741B1 (ko) 1989-04-03

Family

ID=2281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5038A KR890000741B1 (ko) 1980-12-22 1981-12-21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361208A (ko)
JP (1) JPS57126386A (ko)
KR (1) KR890000741B1 (ko)
CA (1) CA11460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77275A1 (en) * 2020-12-03 2022-06-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enclos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5272U (ja) * 1982-12-29 1984-07-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かご
JPS59153980U (ja) * 1983-04-01 1984-10-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かご
AU597843B2 (en) * 1987-07-31 1990-06-07 Otis Elevator Company Modular elevator system
US4896747A (en) * 1988-07-28 1990-01-30 Otis Elevator Company Modular elevator system
FR2647097B1 (fr) * 1989-05-17 1991-08-30 Otis Elevator Co Chassis support pour cabine d'ascenseur
SG75168A1 (en) * 1998-05-08 2000-09-19 Inventio Ag Hydraulic elevator
SG74736A1 (en) * 1998-07-13 2000-08-22 Inventio Ag Car structure
US20040231930A1 (en) * 2003-01-28 2004-11-25 Patrick Bass Multiple-function elevator cross-head
AU2003295592A1 (en) * 2003-11-17 2005-07-0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platform
US20090096231A1 (en) * 2007-10-11 2009-04-16 Burlingame Michael J Collapsible workbasket assembly
CN105473486B (zh) * 2013-09-11 2017-06-0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轿厢
EP3031764B1 (en) * 2014-12-10 2017-05-24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car frame, a method for installing an elevator car frame, and an elevator
WO2016103391A1 (ja) * 2014-12-25 2016-06-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かご用部品の組立体、かご製造方法、及びエレベータのかご
CN106044481A (zh) * 2016-07-13 2016-10-26 天津鑫宝龙电梯集团有限公司 一种轿厢式电梯背包架
EP3560877A1 (en) * 2018-04-27 2019-10-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frame
CN109987487A (zh) * 2019-05-05 2019-07-09 中国计量大学 一种折叠式电梯轿架及使用方法
EP3795527B1 (en) * 2019-09-19 2023-03-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frame
JP7004408B1 (ja) * 2020-08-17 2022-01-2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レールユニット
JP7341961B2 (ja) * 2020-08-17 2023-09-1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かご枠
US11414302B1 (en) * 2021-04-09 2022-08-16 Juan-Carlos G. De Ledebur Foldable elevator structures for cabin and shaft
JP7179930B1 (ja) * 2021-08-06 2022-11-2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枠
JP7171864B1 (ja) * 2021-09-21 2022-11-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かご枠輸送モジュールおよびエレベータ据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770A (en) * 1911-04-08 1912-08-13 Harry S Lohr Combination step-ladder.
US3043397A (en) * 1961-08-14 1962-07-10 Tillotson Allen Horton Deer stand
US3741351A (en) * 1971-03-05 1973-06-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Integrated elevator construction
US3954157A (en) * 1974-08-16 1976-05-04 Dover Corporation Elevator lifting fr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77275A1 (en) * 2020-12-03 2022-06-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enclos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361208A (en) 1982-11-30
CA1146096A (en) 1983-05-10
JPS6261502B2 (ko) 1987-12-22
KR830007413A (ko) 1983-10-21
JPS57126386A (en) 198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0741B1 (ko) 규격화된 엘리베이터 카
US8875400B2 (en) Method for installing a collapsible mobile platform interior structure
EP1509473B1 (en)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US4830141A (en) Deployable rail structure for high-rise building evacuation system
US20050230194A1 (en) Safety fence at upper part of cab
JP2886824B2 (ja) プラットホームスクリーンドア
JPS6261501B2 (ko)
CN100418870C (zh) 具有集成控制器的电梯轿厢框架
KR890001064B1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CN216617010U (zh) 模块化汽车服务站
KR101846788B1 (ko) 발전용 보일러 수냉벽 긴급 보수용 조립식 곤도라 시스템 및 사용방법
KR102056629B1 (ko) 창호/방충방진망 설치용 이동식 작업 장치
JP2019167214A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KR102655505B1 (ko) 확장가변형 곤돌라
JPH04332109A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の吊上装置
KR102219660B1 (ko) 사장교 주탑부 케이블 설치를 위한 승강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사장교 주탑부의 케이블 시공방법
CN220010757U (zh) 翼展集装箱
CN114718274B (zh) 一种家用电梯钢结构井道
GB2553122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JPH08253968A (ja) ユニット建物
JP5174417B2 (ja) 建物ボイド内組込型の立体駐車装置
GB2438722A (en) Access platform with floor door
JPH03162381A (ja) エレベーター用鉄塔昇降路
JP2953281B2 (ja) 間仕切り装置の取付構造
WO2003078289A1 (fr) Ensemble ascense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