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140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140B1
KR100907140B1 KR1020077015359A KR20077015359A KR100907140B1 KR 100907140 B1 KR100907140 B1 KR 100907140B1 KR 1020077015359 A KR1020077015359 A KR 1020077015359A KR 20077015359 A KR20077015359 A KR 20077015359A KR 100907140 B1 KR100907140 B1 KR 100907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car
footrest
elevator apparatus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5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135A (ko
Inventor
에이지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7015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140B1/ko
Publication of KR2008003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07Setting or modification of parameters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는 가중에 의해 통상 위치에서부터 가중 위치로 변위 가능한 발판이 엘리베이터 칸상의 승강장 출입구측 가장자리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가중 위치로 변위된 발판은 홀딩 기구에 의해 가중 위치에 기계적으로 홀딩된다. 홀딩 기구에 의한 가중 위치로의 발판의 홀딩은 해제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해제된다. 발판의 변위 상태는 검출 스위치에 의해 검출된다. 제어 장치는 검출 스위치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운전 모드가 자동 운전 모드와 보수(保守) 운전 모드로 전환 가능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상에 압전 매트(piezoelectric mat) 등의 검출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위에 정비원이 오르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에 신호가 보내져서,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이 금지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상에 설치된 엘리베이터 칸상 점검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운전 모드가 점검 모드로 전환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11-322214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검출 스위치위에 정비원이 올라 있을 때에만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이 금지되므로, 엘리베이터 칸상 점검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승강장(landing) 도어를 닫고 엘리베이터 칸상의 검출 스위치의 설치 영역 밖으로 정비원이 이동한 경우, 엘리베이터 칸상에 정비원을 태운 채로 엘리베이터 칸이 자동 운전되고 만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엘리베이터 칸상에 정비원을 태운 채로, 엘리베이터 칸이 자동 운전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칸상의 승강장 출입구측 가장자리부 근방에 설치되고, 가중(加重)에 의해 통상 위치에서부터 가중 위치로 변위 가능한 발판; 가중 위치로 변위된 발판을 가중 위치에 기계적으로 홀딩(holding)하는 홀딩 기구; 홀딩 기구에 의한 가중 위치로의 발판의 홀딩을 해제하는 해제 조작부; 발판의 변위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 및 검출 스위치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 장치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 장치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1)은 승강로내에 매달려진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frame)(도시하지 않음)과, 엘리베이터 칸 프레임에 지지된 엘리베이터 칸실(2)을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실(2)의 전(前)면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a)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2a)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3)에 의해 개폐된다. 각 정지층의 승강장에는 승강장 출입구(4)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출입구(4)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개폐된다.
엘리베이터 칸실(2)상의 승강장 출입구(4)측 가장자리부 근방에는 발판(5)이 설치되어 있다. 발판(5)의 반(反) 승강장 출입구(4)측 단부(후단부)는 복수의 힌지(hinge)(6)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실(2)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발판(5)은 엘리베이터 칸(1)의 폭 방향으로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실(2)의 윗면과 발판(5)의 아랫면 사이에는 복수의 스프링(7)이 개재되어 있다. 발판(5)상에 정비원이 올라 있지 않을 때에, 발판(5)은 스프링(7)에 의해 통상 위치에 홀딩되어 있다. 발판(5)상에 정비원이 오름으로 인해 가중되면, 스프링(7)이 압축되는 동시에, 승강장 출입구(4)측 단부(전단(前端)부)가 밑으로 눌려지는 방향으로 발판(5)이 회동(回動)되고, 발판(5)은 가중 위치로 변위된다.
발판(5)의 전단면에는 출몰(出沒) 가능한 래치(latch)(8)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실(2)상에는 발판(5)이 가중 위치로 변위되었을 때에 래치(8)가 걸어맞춤(係合)되는 래치 걸어맞춤 부재(9)가 고정되어 있다. 홀딩 기구(10)는 래치(8) 및 래치 걸어맞춤 부재(9)에 의해 구성되고, 가중 위치로 변위된 발판(5)을 가중 위치에 기계적으로 홀딩한다.
발판(5)상의 전단부 근방에는 홀딩 기구(10)에 의한 가중 위치로의 발판(5)의 홀딩을 해제하는 해제 조작부로서의 해제 핸들(11)이 설치되어 있다. 해제 핸들(11)을 도면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래치(8)가 발판(5)측으로 퇴몰(退沒)하고, 래치(8)의 래치 걸어맞춤 부재(9)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발판(5)의 전단부가 스프링(7)에 의해 밀어 올려져서, 발판(5)이 통상 위치로 되돌려진다.
엘리베이터 칸실(2)상에는 발판(5)의 변위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12)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 스위치(12)는 발판(5)이 가중 위치로 변위됨으로써 기계적으로 조작된다. 제어 장치(13)는 검출 스위치(12)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의 운전을 제어한다.
도 2 는 도 1의 제어 장치(13)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검출 스위치(12)는 운전의 가ㆍ불가(可ㆍ不可)를 전환하는 전원 스위치(14)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발판(5)이 통상 위치에 위치할 때, 검출 스위치(12)는 자동 운전측에 접속되고, 발판(5)이 가중 위치에 위치할 때, 검출 스위치(12)는 보수 운전측에 접속된다.
검출 스위치(12)에는 운전 모드를 자동 운전 모드와 보수 운전 모드 사이에 서 전환하기 위한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는 엘리베이터 칸(1)상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칸(1)상의 정비원에 의해 조작된다.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의 자동 운전측의 단자에는 통상 운전 지령 발생 릴레이(relay)(16)가 접속되어 있다.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의 보수 운전측의 단자에는 보수 주행 스위치(17)를 통하여 업(UP) 운전 지령 발생 릴레이(18) 및 다운(DOWN) 운전 지령 발생 릴레이(19)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검출 스위치(12)는 통상은 자동 운전측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스위치(14)의 접점이 폐로로 되어 있을 때,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가 자동 운전측에 접속되어 있으면, 통상 운전 지령 발생 릴레이(16)가 도전(energize)되고, 운전 모드는 자동 운전 모드로 된다. 자동 운전 모드에서는 승강장이나 엘리베이터 칸(1)내로부터의 호출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1)이 자동 운전된다.
이 상태로부터, 검출 스위치(12)가 보수 운전측으로 전환되고, 또한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가 보수 운전측으로 전환되면, 운전 모드는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된다. 보수 운전 모드에서는 엘리베이터 칸(1)내나 승강장으로부터의 호출이 무효화되고, 정비원에 의한 보수 주행 스위치(17)의 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이 저속으로 승강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가중 위치로 변위된 발판(5)이 해제 핸들(11)이 조작될 때까지, 홀딩 기구(10)에 의해 가중 위치에 기계적으로 홀딩되므 로, 만일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를 조작하지 않고 승강장 도어를 닫고 엘리베이터 칸(1)상의 발판(5)의 영역 밖으로 정비원이 이동한 경우에도, 엘리베이터 칸(1)이 자동 운전되는 일은 없다. 즉, 엘리베이터 칸(1)상에 정비원을 태운 채로 엘리베이터 칸(1)이 자동 운전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발판(5)은 홀딩 기구(10)에 의해 가중 위치에 기계적으로 홀딩되므로, 정전을 수반한 고장의 복원 중에, 정비원이 전원 스위치(14)나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를 조작해야 할 것을 착오로 잊은 채 엘리베이터 칸(1)상으로 진입해도, 발판(5)에 의해 검출 스위치(12)가 조작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1)의 운전이 저지된다.
또한, 해제 핸들(11)은 발판(5)의 전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해제 핸들(11)의 조작을 승강장으로 이동하고 나서부터 행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스위치(12)와는 별도로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를 엘리베이터 칸(1)상에 설치하고, 검출 스위치(12)가 작동되고, 또한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가 보수 운전측으로 전환되었을 때에만 보수 운전을 가능하게 하고, 검출 스위치(12)가 해제되고, 또한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15)가 자동 운전측으로 전환되었을 때에만 보수 운전을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운전 모드의 잘못된 전환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제 핸들(11)과 래치(8)를 일체 구성으로 해도 되며, 이 경우 예를 들어 핸들과 래치가 일체화되어 있는 시판의 도어용 부품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발판(5)에 래치(8)를 설치하고, 엘리베이터 칸실(2)상에 래치 걸어맞춤 부재(9)를 설치하였으나, 반대로 발판(5)에 래치 걸어맞춤 부재(9)를 설치하고, 엘리베이터 칸실(2)상에 래치(8)를 설치해도 된다.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간단하기 때문에 생략하였으나, 도 3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3)의 지지 구조도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발판(5)의 승강장 출입구(4)측 단면(전단면)에는 홀딩 기구(10)에 의한 가중 위치로의 발판(5)의 홀딩을 해제하는 해제 조작부로서의 해제 버튼(21)이 설치되어 있다. 해제 버튼(21)을 도면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프레싱(pressing) 조작하는 것에 의해, 래치(8)가 발판(5)측으로 퇴몰하고, 래치(8)의 래치 걸어맞춤 부재(9)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발판(5)의 전단부가 스프링(7)(도 1)에 의해 밀어 올려져, 발판(5)이 통상 위치로 되돌려진다.
엘리베이터 칸실(2)의 전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3)를 지지하는 단면 역 L 자형의 거더(girder)(22)가 고정되어 있다. 거더(22)에는 해제 버튼(21)을 승강장측에 노출시키는 개구부(22a)가 설치되어 있다. 해제 버튼(21)은 개구부(22a)를 통하여 승강장측으로부터 조작된다.
거더(22)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3)의 개폐 동작을 안내하는 도어 레일(23)이 고정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칸 도어(3)는 도어 패널(24)과, 도어 패널(24)의 상부에 고정된 도어 행거(hanger)(25)와, 도어 행거(25)에 설치되어 도어 레일(23) 상을 굴러서 움직이는 한 쌍의 행거 롤러(roller)(26)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3)는 도어 레일(23)로부터 매달려져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해제 버튼(21)이 발판(5)의 전단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해제 버튼(21)의 조작을 보다 확실하게 승강장으로부터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거더(22)에 개구부(22a)를 설치하고, 해제 버튼(21)의 조작은 개구부(22a)를 통하여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해제 버튼(21)의 조작을 보다 확실하게 승강장으로부터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해제 버튼(21)은 거더(22)보다 승강장 출입구(4)측에 설치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해제 버튼(21)의 조작을 엘리베이터 칸(1)상에서 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해제 버튼(21)의 조작을 더욱 확실하게 승강장으로부터 행하게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에,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 장치의 회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예에서는 검출 스위치(12)가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를 겸하고 있다. 즉, 가중에 의해 발판(5)이 가중 위치로 변위되면, 검출 스위치(12)가 보수 운전측으로 전환되고, 운전 모드가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된다. 또, 발판(5)이 통상 위치로 되돌려지면, 검출 스위치(12)가 자동 운전측으로 되돌려져서, 운전 모드가 자동 운전 모드로 전환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 또는 2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발판(5)이 가중 위치로 변위되면 운전 모드가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되고, 발판(5)이 통상 위치로 되돌려지면 운전 모드가 자동 운전 모드로 되돌려지므로,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가 불필요하며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의 조작 망각이나 오조작에 의한 운전 모드의 오전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해제 조작부로서 해제 핸들(11) 및 해제 버튼(21)을 나타내었으나, 해제 조작부의 형상이나 기구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노브(knob) 등이어도 된다. 또, 해제 조작부는 회전 조작 및 프레싱 조작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풀링(pulling) 조작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해 발판(5)이 통상 위치로 되돌려지나, 발판을 통상 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체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발판(5)이 통상 위치와 가중 위치 사이에서 회동 변위되나, 예를 들어 발판의 전체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1 매의 발판(5)을 사용하였으나, 복수 매로 분할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1 개의 검출 스위치(12)를 사용하였으나, 복수 개의 검출 스위치를 사용하여, 어느 1 개에 의해 발판이 가중 위치로 변위한 것이 검출되면 자동 운전을 불가로 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 모드가 자동 운전 모드와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 가능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엘리베이터 칸,
    상기 엘리베이터 칸상의 승강장 출입구측 가장자리부 근방에 설치되고, 가중(加重)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실의 윗면과 발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에 의해 밀어올려진 통상 위치에서부터 가중 위치로 변위 가능한 발판,
    가중 위치로 변위된 상기 발판을 가중 위치에 기계적으로 홀딩(holding)하는 홀딩 기구,
    상기 홀딩 기구에 의한 가중 위치로의 상기 발판의 홀딩을 해제하는 해제 조작부,
    상기 발판의 변위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 및
    상기 검출 스위치의 조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제 조작부는 상기 발판의 승강장 출입구측 단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제 조작부는 상기 발판의 승강장 출입구측 단면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전(前)면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지지하는 거더(girder)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거더에는 상기 해제 조작부의 조작을 승강장 출입구측으로부터 행하기 위한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전면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를 지지하는 거더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해제 조작부는 상기 거더보다 승강장 출입구측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딩 기구는
    상기 발판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상의 어느 한쪽으로 출몰(出沒) 가능하게 설치된 래치(latch)와,
    상기 발판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상의 어느 다른쪽에 설치되고 상기 발판이 가중 위치로 변위되었을 때에, 상기 래치가 걸어맞춤(係合)되는 래치 걸어맞춤 부재를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래치와 상기 해제 조작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상에는 운전 모드를 자동 운전 모드와 보수(保守) 운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검출 스위치에 의해 상기 발판이 가중 위치에 있음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가 보수 운전측으로 전환되고 있을 때에만, 운전 모드를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검출 스위치에 의해 상기 발판이 통상 위치에 있음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가 자동 운전측으로 전환되고 있을 때에만, 운전 모드를 자동 운전 모드로 전환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 스위치는 운전 모드를 자동 운전 모드와 보수 운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운전 모드 전환 스위치를 겸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077015359A 2007-07-04 2006-10-04 엘리베이터 장치 KR100907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5359A KR100907140B1 (ko) 2007-07-04 2006-10-04 엘리베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5359A KR100907140B1 (ko) 2007-07-04 2006-10-04 엘리베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135A KR20080033135A (ko) 2008-04-16
KR100907140B1 true KR100907140B1 (ko) 2009-07-09

Family

ID=3957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5359A KR100907140B1 (ko) 2007-07-04 2006-10-04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1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3914B2 (ja) * 2016-02-17 2020-02-12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2214A (ja) * 1998-05-14 1999-11-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00143125A (ja) 1998-09-03 2000-05-23 Toshiba Corp エレべーター
JP2005170565A (ja) 2003-12-09 2005-06-3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踏み板伝達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2214A (ja) * 1998-05-14 1999-11-24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00143125A (ja) 1998-09-03 2000-05-23 Toshiba Corp エレべーター
JP2005170565A (ja) 2003-12-09 2005-06-30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踏み板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135A (ko)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825B1 (ko) 엘리베이터의 안전 장치
JP5668865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4664370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安全停止装置
WO2018078113A1 (en) Elevator safety arrangement and elevator
CN113213312A (zh) 带有移动紧急停止装置的电梯轿厢
KR10090714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20070088553A (ko) 엘리베이터의 운전 장치
JP5037330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300930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EP1524234B1 (en) Elevator system
KR20070084379A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JP543668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001864B2 (ja) エレベータかごへの緊急駆動スイッチ及び通信手段の取付け構造
JP2009202996A (ja) 荷物用エレベータの台車停止装置
KR101153051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장치
JP4656734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装置
CN100572252C (zh) 电梯的运转装置
JP5032999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114599598A (zh) 电梯装置以及电梯装置的门位置检测装置
JP4776072B2 (ja) エレベータ
JP6811165B2 (ja) エレベーター
JP6598900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0885357B1 (ko) 엘리베이터의 운전 장치
JP2506809Y2 (ja) シャッタ―用安全装置
WO2020003350A1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