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500B1 - 히알루론산의 올리고머 또는 이의 염의 컨쥬게이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히알루론산의 올리고머 또는 이의 염의 컨쥬게이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500B1
KR102420500B1 KR1020167025478A KR20167025478A KR102420500B1 KR 102420500 B1 KR102420500 B1 KR 102420500B1 KR 1020167025478 A KR1020167025478 A KR 1020167025478A KR 20167025478 A KR20167025478 A KR 20167025478A KR 102420500 B1 KR102420500 B1 KR 102420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aluronic acid
conjugate
oligomer
acid oligomer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5999A (ko
Inventor
라도반 부파
이브아나 바사라보바
크리스티나 네스포로바
테레자 에흘로바
온드레이 코틀란드
페트라 세도바
레오스 흐로메크
블라디미르 벨레브니
Original Assignee
콘티프로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프로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콘티프로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60125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3Glycosaminoglycans or mucopolysaccharides, e.g. keratan sulfate; Derivatives thereof, e.g. fucoidan
    • C08B37/0072Hyaluronic acid, i.e. HA or hyaluronan; Derivatives thereof, e.g.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lan) or hyaluron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식 I, II III 또는 IV에 따른 히알루론산 올리고머 또는 이의 염의 컨쥬게이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올리고머는 아미노 결합 또는 이미노 결합에 의해 이관능성 아미노 링커를 통해 이의 말단 아노머 중심(ending anomeric center)에 의해 각각의 기질에 결합된다. 이러한 유형의 컨쥬게이트는 올리고머를 이의 본래의(native) 형태로 방출시킬 수 있다. 제조된 시스템은 선택된 암세포주에 대한 증강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었다.

Description

히알루론산의 올리고머 또는 이의 염의 컨쥬게이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CONJUGATES OF OLIGOMER OF HYALURONIC ACID OR OF A SALT THEREOF,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염의 컨쥬게이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컨쥬게이트에 의해, 히알루론산의 올리고머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들을 이들의 본래의 오리지널 형태로 방출시킬 가능성이 있다.
히알루론산은 β-(1,3)-D-글루쿠론산 및 β-(1,4)-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2개의 반복적인 당류 사이클(saccharidic cycle)로 이루어진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이다:
Figure 112016089406244-pct00001
.
히알루론산은 이의 단리 방법 및 초기 물질에 따라 5.104 g.mol-1 내지 5.106 g.mol-1로 높은 분자량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매우 친수성인 다당류는 전체 pH 범위 내에서 염 형태로 수용성이다. 이는 결합 조직, 피부, 관절 낭액의 일부를 형성하며, 수화, 프로테오글리칸 조직화, 세포 분화, 증식 및 혈관신생과 같은 다수의 생물학적 과정들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HA 올리고머의 결합
전술한 바와 같이, 본래의(native) 히알루론산은 유기체에서 꽤 신속하게 분해되는 선형 다당류이다. 분지형 구조를 가진 히알루로난의 제조를 위한 제1의 확실한 시도는 2008년에 Toemmeraase K.(WO 2008/014787)에 의해 기술되었다. 이는 보다 고분자량의 탈아세틸화된 히알루로난의 아미노기를 환원성 아민화에 의해 히알루로난 올리고머의 말단 아노머 중심(ending anomeric center)과 결합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허 문헌인 Hacker M., Saraf A., Mikos A.G., WO 2008/115799의 저자들은 HA 올리고머의 말단 아노머 중심을 폴리에틸렌 이민에 결합시키는 경우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시켰다. 강한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아미노 글리코사이드를 가수분해적으로 극도로 안정한 이차 아민으로 전환하는 환원성 아민화가 사용된다. 이러한 반응은 약간 염기성인 환경 및 승온에서 수행되며, 소듐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가 환원제로서 사용된다. 생성되는 컨쥬게이트는 DNA 또는 간엽 줄기세포의 캡슐화에 사용되었으며, 여기서, 오로지 육량체만이 히알루로난 올리고머로서 언급된다. 또 다른 가능성은 논문 Eur. J. Org. Chem. 2011, 5617-25에 개시되었다. 여기서, 아미노기는 HA 올리고머의 글루코사민 부분의 위치 6에서 생성되며, 그런 다음 아미노기는 온화한 조건에서 탄소 나노튜브에 결합된 카르복실산의 NHS 에스테르와 반응한다. 환원성 아민화를 사용한 다이아미노 또는 폴리아미노 링커에 의한, 보다 저분자량의 히알루로난의 말단 아노머 중심의 결합은 Xu(WO 2007/101243)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생성되는 기질들은 활성 성분들의 캡슐화에 사용되었다. 또 다른 가능성은 Carter(US 2012/0277416)에 의해 개시되었으며, 여기서, 인지질은 HA 올리고머의 말단 아노머 중심에 결합되었다. 제1 단계에서, 위치 1에 아민을 가진 올리고머의 유도체는 환원성 아민화에 의해 제조되었으며, 그런 다음, 이는 인지질의 활성 카르복실산과 공액되었다. 생성되는 컨쥬게이트는 광범위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었다. 환원된 아노머 말단에 아미노기를 가진 HA 올리고머에의 유사한 결합 과정은 2013년에 Siiskonen에 의해 공개되었으며, 여기서, 마크(mark) 2-아미노아크리돈이 결합되었다. 상기 컨쥬게이트는 시토졸에서 히알루로난 단편의 생물분포(biodistribution) 연구에 사용되었다.
전술한 방법들의 단점은, 이들 방법이 HA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의 컨쥬게이트를 형성하며, 이는 이들을 본래의 형태로 추가로 방출시키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이의 원인은, 아민을 말단 아노머 중심에 결합시키는 현재까지 알려진 모든 방법들은 환원, 즉, 종료 사이클의 비가역적인 변형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영구적으로 개방된 채로 있으며, 올리고머를 본래의 형태로 가역적으로 방출시키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은 하기 도식 1에 예시되어 있다:
Figure 112016089406244-pct00002
.
전술한 단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 II, III 또는 IV의 HA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에 의해 극복되며, 이는 HA 올리고머를 본래의 형태로 가역적으로 방출시킨다.
본 발명의 주제는 일반식 I, II, III 또는 IV 중 임의의 일반식에 따른 히알루론산의 올리고머 또는 이의 염의 컨쥬게이트이다:
Figure 112016089406244-pct00003
상기 일반식에서,
R3는 COOR6 또는 CH2OH이며;
R4는 OH 또는 NHCOCH3이며;
R6는 H+이거나, 또는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알칼리 토금속 이온, 바람직하게는 Na+, K+, Mg2 + 또는 L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5는 C1-C30 알킬, C1-C30 알킬아릴, 또는 N, O,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헤테로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C1-C30 알킬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O 또는 NH 기이며;
R3가 COOR6인 경우, R4는 OH이며, R1은 H이며, R2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잔기이며;
R3가 CH2OH인 경우, R4는 NHCOCH3이며, R2는 OH이며, R1은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잔기이며;
기질은 다당류이며, 바람직하게는 이는 분자량이 104 g.mol-1 내지 106 g.mol-1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05 g.mol-1인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생성되는 컨쥬게이트의 구조는 치환기 X의 특징에 따라 상당히 달라진다. X가 산소 가교 -O-인 경우, 이미노 형태가 상당히 존재한다. X가 질소 가교 -NH-인 경우, 주요한 형태는 베타 배치를 가진 아미노이다.
이러한 발명에 따른 컨쥬게이트 내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잔기는 1개 내지 17개의 당류 사이클을 가지며, 여기서, 당류 사이클은 β-(1,3)-D-글루쿠론산 및 β-(1,4)-N-아세틸-D-글루코사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정의된 일반식 I 및 일반식 II의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주제는, 제1 단계에서, 히알루론산의 올리고머가 이의 말단 아노머 중심 상의 위치 1에서 일반식 H2N-X-R5-X-NH2의 과량의 다이아미노 링커와 반응한다는 것이며, 이러한 일반식에서, R5는 C1 - C30 알킬, C1-C30 알킬아릴, 또는 N, O,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헤테로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C1-C30 알킬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O 또는 NH 기이며; pH 3 내지 pH 6.99, 바람직하게는 pH 3 내지 pH 6, 보다 바람직하게는 pH 5 내지 pH 6의 약산성 환경에서, 이후, 일반식 V 및 일반식 VI의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다이아미노 링커의 컨쥬게이트가 단리되며:
Figure 112016089406244-pct00004
상기 일반식에서, R1 내지 R6 치환기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제1 단계 반응의 진행은 하기 도식 2에 의해 예시된다.
Figure 112016089406244-pct00005
이러한 반응은 과량의 다이아미노 링커에서 수행되며, 이는 링커의 양 말단 모두에서 변형을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제거한다.
놀랍게도, 이러한 반응은 소정의 양의 약산 및 물의 존재 하에서만 진행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조건이 중성이거나 염기성인 경우, 성공적인 반응이 관찰되지 않았다. HCl 또는 H2SO4와 같은 강산이 존재하는 경우, HA 올리고머의 분해가 발생하였다.
pH 3 내지 pH 6.99의 약산성 환경은 카르복실산,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프로판산 또는 젖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을 반응 매질에 첨가함으로써 달성된다.
산의 양은 기질인 히알루론산 이당류의 몰 양에 대해, 5 당량 내지 30 당량, 바람직하게는 10 당량 내지 15 당량의 범위이다.
나아가, 다이아미노 링커의 양은 기질인 히알루론산 이당류의 몰 양에 대해, 5 당량 내지 30 당량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0 당량이다.
나아가, 제1 단계는 1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0℃의 온도에서 24시간 내지 150시간, 바람직하게는 60시간 내지 80시간 동안 진행된다.
이후, 제2 반응 단계가 수행되며, 이 단계에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V 및 일반식 VI의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다이아미노 링커의 컨쥬게이트가 물 또는 물과 수-혼화성 유기 용매의 혼합물에서 기질의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와 반응되며, 이러한 용매는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메탄올 또는 다이메틸설폭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이, 제2 단계는 1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0℃의 온도에서 24시간 내지 150시간, 바람직하게는 60시간 내지 80시간 동안 진행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V 및 일반식 VI의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다이아미노 링커의 컨쥬게이트는 전술한 방법 및 조건에 따라 환원제의 존재 하에 기질의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와 반응되어, 일반식 III 및 일반식 IV의 컨쥬게이트를 형성하며, 이러한 환원제는 바람직하게는 시아노 보로하이드라이드(NaBH3CN) 또는 피콜린 보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기질은 가수분해적으로 매우 강한 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환원제의 양은 히알루론산 이당류의 몰 양에 대해, 0.1 당량 내지 5 당량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 당량이다.
아민화 또는 환원성 아민화에 의해 기질을 결합시키는 상기 2가지 가능성 모두는 도식 3에 나타나 있다.
Figure 112016089406244-pct00006
일반식 III 및 일반식 IV(상기 도식 참조)의 컨쥬게이트가 형성되는 환원성 아민화 동안에, 환원은 실질적으로 기질-링커 연결 상에서만 진행되며, 이는 반응 온도, 시간, 환원제의 양 및 올리고머-링커 연결의 비-환원(no reduction)과 같은 절충 조건(compromise condition)으로 인한 것이며, 이는 또한 기본적으로, 환원성 이민의 특징을 가지기도 한다는 것이 관찰된 것은 놀랍다.
HA 올리고머의 말단 아노머 중심을 컨쥬게이트 기질 - 링커와 결합시키려는 노력은, HA 올리고머의 필링 절단(peeling cleavage)이 발생한 경우에는 보다 높은 온도에서조차 성공적이지 않았으며:
Figure 112016089406244-pct00007
따라서, 최종 컨쥬게이트의 제조 시, 먼저 이관능성 링커를 올리고머에 결합할 필요가 있다.
전술한 사실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컨쥬게이트의 제조 시, 후속적으로는,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약산 범위의 pH, 주의 깊은 환원 등)에서 마지막으로 확인된 반응 조건을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일반식 I, II, III, IV의 최종 컨쥬게이트는 현재까지 알려진 해결방안과 비교하여, 히알루로난 올리고머를 이의 본래의 오리지널 형태로 방출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는 이의 생물학적 활성의 측면에서 중요하다. 필요한 조건은, 기질이 알데하이드기를 함유하는 것이며, 이는 OH 기를 함유하는 다당류의 경우 산화와 같은 화학적 변형에 의해 꽤 쉽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되는 해결방안의 실현은 기술적으로 복잡하지 않으며, 고비용의 화학물질, 용매 또는 단리 절차의 사용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쥬게이트는 하기와 같은 방출을 허용한다:
Figure 112016089406244-pct00008
.
가역적인 고정화의 가능성은, 생물학적 활성 또는 생체 적합성을 위해 올리고머의 오리지널 구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 매우 중요하다. 일부 유형의 HA 올리고머는 예를 들어 암세포에 대해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조된 시스템은 선택된 암세포주에 대해 증강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일반식 I 내지 일반식 IV의 컨쥬게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약학 및 생체 의학에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올리고머의 담체로서 사용되거나, 또는 이러한 컨쥬게이트는 항암 효과를 가진 물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본 발명에 따른 HA 컨쥬게이트의 염을 의미하며, 이는 생체내에서 사용하기에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요망되는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알칼리 토금속 이온, 보다 바람직하게는 Na+, K+, Mg+ 또는 Li+ 등이 있다.
용어 "다당류"는 히알루론산과 같은 다당류, 이의 약제학적 염, 전분, 글리코겐, 셀룰로스 등을 의미하며, 이는 이들의 OH 기의 산화 후에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를 함유한다.
용어 "컨쥬게이트"는 2개 이상의 화학적 화합물이 공유 결합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쥬게이트는 HA 올리고머 및 링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어, HA 올리고머-링커 컨쥬게이트를 제공하며, 그런 다음, 이는 기질, 즉, 다당류, 바람직하게는 히알루론산에 결합되어, HA 올리고머-링커-기질 컨쥬게이트를 형성한다.
용어 "히알루론산의 올리고머"는 교대로 반복적인 당류 사이클 β-(1,3)-D-글루쿠론산 및 β-(1,4)-N-아세틸-D-글루코사민을 함유하는 히알루론산의 올리고머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당류 사이클의 수는 2 내지 18이다.
용어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잔기"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하나 이상의 당류 사이클을 의미하며, 이는 β-(1,4)-N-아세틸-D-글루코사민 또는 β-(1,3)-D-글루쿠론산이다.
아노머 중심을 통해 링커에 결합된 말단 당류 사이클이 β-(1,3)-D-글루쿠론산인 경우, 상기 하나의 당류 사이클은 β-(1,4)-N-아세틸-D-글루코사민이다.
아노머 중심을 통해 링커에 결합된 말단 당류 사이클이 β-(1,4)-N-아세틸-D-글루코사민인 경우, 상기 하나의 당류 사이클은 β-(1,3)-D-글루쿠론산이다.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잔기가 2개 이상의 당류 사이클을 포함하는 경우, β-(1,3)-D-글루쿠론산 및 β-(1,4)-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당류 사이클이 교대로 반복된다.
용어 "과량의"는, 기질인 히알루론산 이당류의 몰 양에 대해 1 당량보다 많은 다이아미노 링커의 양을 의미한다.
용어 "단리된다"는, 반응이 종료된 후, 반응 혼합물이 중화되고, 석출된 반응 생성물이 여과 및 건조됨을 의미한다.
도 1은 불멸화된 발암성 세포의 성장의 저해 과정을 영향을 받지 않는 대조군의 백분율로 보여준다.
실시예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당량(eq)은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 한, 히알루론산의 이당류에 관한 것이다. 백분율은 다르게 지시되지 않는 한, 중량%를 의미한다.
초기 히알루론산(공급원: CPN spol. s r.o., Dolni Dobrouc, CZ)의 분자량은 104 g.mol-1 내지 106 g.mol-1 범위 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며, SEC-MALLS에 의해 측정되었다.
2개 내지 18개의 당류 사이클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를, 보다 높은 분자량을 가진 중합체의 효소적 분해에 의해 제조하였다.
DS = 치환도 = 100% * (결합된 치환기 또는 변형된 이당류의 몰 양) / (모든 이당류들의 몰 양)
실시예 1 글루코사민 부분의 위치 6에서 산화된 HA- 알데하이드의 제조.
히알루론산의 산화
NaClO 수용액(0.5 eq)을, 질소 분위기 하에 NaCl 1%, TEMPO(0.01 eq) 및 NaHCO3(5 eq.)를 함유하는 히알루로난(1 g, 200 kDa)의 1% 수용액에 점차적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에탄올 0.1 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다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생성되는 용액을 증류수에 의해 0.2%까지 희석시키고, 혼합물(0.1% NaCl, 0.1% NaHCO3) 3-회 5 리터(1일 1회)에 대해 투석하고, 증류수 7-회 5 리터(1일 2회)에 대해 투석하였다. 그런 다음, 생성되는 용액을 증발시키고, 분석하였다.
DS 10% (NMR로부터 확인됨)
1H NMR (D2O) δ 5.26 (s, 1H, 중합체-C H (OH)2)
HSQC (D2O) 교차 신호 5.26 ppm(1H) - 90 ppm(13C) (중합체-C H (OH)2)
실시예 2 HA의 8당류(HA-8)와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아디페이트와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HA 8당류를 5%의 농도로 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아디페이트(6 당량) 및 아세트산(15 당량)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0℃의 온도, pH 4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NaHCO3를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의해 반복적으로 석출하였다. 최종 고체 생성물을 진공 하에 건조하였다.
1H NMR (D2O) δ 4.24 (d, J=9.7Hz, 1H, -O-C H -NH- 베타), 초기 말단 아노머 중심의 신호가 존재하지 않음(-O-C H -OH 알파)
실시예 3 HA 3당류(HA-3)와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아디페이트와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HA 3당류(글루쿠론산으로 종료됨)를 7%의 농도로 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아디페이트(25 당량) 및 아세트산(25 당량)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의 온도, pH 6에서 15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NaHCO3를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의해 반복적으로 석출하였다. 최종 고체 생성물을 진공 하에 건조하였다.
1H NMR (D2O) δ 4.11 (d, J=8.8Hz, 1H, -O-C H -NH- 베타), 초기 말단 아노머 중심의 신호가 존재하지 않음(-O-C H -OH 알파)
실시예 4 HA 18당류(HA-18)와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아디페이트와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HA 18당류(글루코사민으로 종료됨)를 5%의 농도로 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아디페이트(15 당량) 및 아세트산(20 당량)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40℃의 온도, pH 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NaHCO3를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의해 반복적으로 석출하였다. 최종 고체 생성물을 진공 하에 건조하였다.
1H NMR (D2O) δ 4.10 (d, J=8.7Hz, 1H, -O-C H -NH- 베타)
실시예 5 HA 10당류(HA-10)와 O,O '-1,3-프로판 다이일비스하이드록실 아민과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HA 10당류를 3%의 농도로 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O,O'-1,3-프로판 다이일비스하이드록실 아민(5 당량) 및 젖산(5 당량)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0℃의 온도, pH 6에서 10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NaHCO3를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의해 반복적으로 석출하였다. 최종 고체 생성물을 진공 하에 건조하였다.
1H NMR (D2O) δ 7.53 (d, J=5.3Hz, 1H, -O-C H =N- Z-이성질체), δ 6.89 (d, J=6.0Hz, 1H, -O-C H =N- E-이성질체)
실시예 6 HA 4당류(HA-4)와 테레프탈로일 다이하이드라자이드와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HA 4당류를 3%의 농도로 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테레프탈로일 다이하이드라자이드(5 당량) 및 프로판산(6 당량)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0℃의 온도, pH 6에서 10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NaHCO3를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의해 반복적으로 석출하였다. 최종 고체 생성물을 진공 하에 건조하였다.
1H NMR (D2O) δ 4.12 (d, J=8.8Hz, 1H, -O-C H -NH- 베타)
실시예 7 환원성 아민화에 의한, 알데하이드에 대해 위치 6에서 산화된 알루로난(실시예 1)에의 HA-8 -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아디페이트 컨쥬게이트(실시예 2)의 결합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컨쥬게이트 0.01 g을 2%의 농도로 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알데하이드를 함유하는 히알루론산의 유도체 0.01 g(분자량 6 x 105 g.mol-1) 및 피콜린 보란 5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의해 석출하였다. 최종 고체 생성물을 진공 하에 건조하였다.
1H NMR (D2O) δ 2.85, 3.12 (m,m 부분입체이성질체 쌍, 2H, -NH-C H 2-중합체)
DOSY NMR (D2O) δ 4.24 (d, J=9.7Hz, 1H, -O-CH-NH- 베타)는 보다 높은 분자량, 및 2.85 a 3.12의 부분입체이성질체 수소의 신호를 가진 히알루론산과 동일한 이동성을 가진다.
실시예 8 환원성 아민화에 의한, 알데하이드에 대해 위치 6에서 산화된 알루로난(실시예 1)에의 HA-3 -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아디페이트 컨쥬게이트(실시예 3)의 결합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컨쥬게이트 0.01 g을 2%의 농도로 물에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알데하이드를 함유하는 히알루론산의 유도체 0.01 g(분자량 2 x 104 g.mol-1) 및 소듐 시아노 보로하이드라이드 0.3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의해 석출하였다. 최종 고체 생성물을 진공 하에 건조하였다.
1H NMR (D2O) δ 2.89, 3.04 (m,m 부분입체이성질체 쌍, 2H, -NH-C H 2-중합체)
DOSY NMR (D2O) δ 4.11 (d, J=8.8Hz, 1H, -O-CH-NH- 베타)는 보다 높은 분자량, 및 2.89 a 3.04의 부분입체이성질체 수소의 신호를 가진 히알루론산과 동일한 이동성을 가진다.
실시예 9 환원 없이, 알데하이드에 대해 위치 6에서 산화된 히알루로난(실 시예 1)에의 HA-8 -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아디페이트 컨쥬게이트(실시예 2)의 결합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컨쥬게이트 0.1 g을 1/1 비율의 물/DMSO의 혼합물에 2%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알데하이드를 함유하는 히알루론산의 유도체 0.1 g(분자량 2 x 104 g.mol- 1)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의해 석출하였다. 최종 고체 생성물을 진공 하에 건조하였다.
1H NMR (D2O) δ 7.48 (m, 1H, -N=C H -중합체)
DOSY NMR (D2O) δ 4.24 (d, J=9.7Hz, 1H, -O-CH-NH- 베타)는 보다 높은 분자량, 및 7.48의 신호를 가진 히알루론산과 동일한 이동성을 가진다.
실시예 10 환원 없이, 알데하이드에 대해 위치 6에서 산화된 히알루로난 (실시예 1)에의 HA-18 -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아디페이트 컨쥬게이트(실시예 4)의 결합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컨쥬게이트 0.1 g을 물에 2%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알데하이드를 함유하는 히알루론산의 유도체 0.1 g(분자량 2 x 104 g.mol-1)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의 온도에서 10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의해 석출하였다. 최종 고체 생성물을 진공 하에 건조하였다.
1H NMR (D2O) δ 7.47 (m, 1H, -N=C H -중합체)
DOSY NMR (D2O) δ 4.25 (d, J=9.7Hz, 1H, -O-CH-NH- 베타)는 보다 높은 분자량, 및 7.47의 신호를 가진 히알루론산과 동일한 이동성을 가진다.
실시예 11 환원 없이, 알데하이드에 대해 위치 6에서 산화된 히알루로난 (실시예 1)에의 HA-10 - O,O '-1,3-프로판 다이일비스하이드록실 - 아민 컨쥬게이트 (실시예 5)의 결합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컨쥬게이트 0.01 g을 물에 2%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그런 다음, 알데하이드를 함유하는 히알루론산의 유도체 0.01 g(분자량 2 x 104 g.mol-1)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되는 혼합물을 이소프로필 알코올에 의해 석출하였다. 최종 고체 생성물을 진공 하에 건조하였다.
DOSY NMR (D2O) δ 7.53 (d, J=5.3Hz, 1H, -O-C H =N- Z-이성질체), δ 6.89 (d, J=6,0Hz, 1H, -O-C H =N- E-이성질체)는 보다 높은 분자량을 가진 히알루론산과 동일한 이동성을 가진다.
실시예 12 실시예 8에 따른 컨쥬게이트의 생물학적 시험
실시예 8에 따라 제조된 컨쥬게이트의 처리 후, A2058 세포주의 생존력의 확인:
표준 조건(10% FBS를 포함하는 DMEM 배지, 37℃, 5% CO2)에서 배양된 세포주를 4개의 96-웰 배양 패널에 1개 웰 당 5000개 세포의 밀도로 접종하고, 200 ㎕의 배지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 배양 배지를, 컨쥬게이트(실시예 8)를 1000 ㎍/ml, 100 ㎍/ml 및 10 ㎍/ml의 농도로 함유하는 새 배지로 교환하였다. 대조군 웰용 배지는 컨쥬게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새 배지로 교환하였다. 처리 직후, 세포의 생존력을 MTT 방법에 의해 제1 패널에서 측정하였다. 간략하게는, MTT 용액(5 mg/ml) 20 ㎕를 세포에 첨가하고, 이들을 함께 37℃, 암실에서 2.5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 배양 배지를 석션해 내고, 세포 단층을 10% Triton X-100을 포함하는 DMSO와 이소프로판올의 혼합물(1:1)에 의해 용해시켰다. 패널의 개별 웰에서 생성되는 색상을 플레이트 분광광도계(570 nm에서의 흡광도, 690 nm에서의 보정)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러한 측정을 다른 패널들에서도 24시간마다 반복하였다. 최종 생존력을, 주어진 시간에서의 샘플의 흡광도 및 T0에서의 샘플의 흡광도의 비율로서 계산하였다.
A2058은 인간 흑색종 유래의 불멸화된 세포주이고, 매우 침습적이며, 이러한 이유로, A2058은 종종 종양 형성 및 전이 모델로서 사용된다.
백분율로 표현한 세포 성장 저해 결과를 도 1에 나타내며, 도 1에서, 세포 성장의 저해는 본 발명에 따른 컨쥬게이트의 영향으로 인해 시간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명확하다.

Claims (24)

  1. 일반식 I, II, III 또는 IV에 따른 히알루론산의 올리고머 또는 이의 염의 컨쥬게이트로서,
    Figure 112021121964213-pct00009

    상기 일반식에서,
    R3는 COOR6 또는 CH2OH이며;
    R4는 OH 또는 NHCOCH3이며;
    R6는 H+이거나, 또는 알칼리 금속 이온 또는 알칼리 토금속 이온, 또는 Na+, K+, Mg2+ 또는 L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5는 C1-C30 알킬, C1-C30 알킬아릴, 또는 N, O,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헤테로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C1-C30 알킬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O 또는 NH 기이며;
    R3가 COOR6인 경우, R4는 OH이며, R1은 H이며, R2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 잔기이며;
    R3가 CH2OH인 경우, R4는 NHCOCH3이며, R2는 OH이며, R1은 히알루론산 올리고머 잔기이며;
    상기 히알루론산 올리고머 잔기가 1개 내지 17개의 당류 사이클(saccharidic cycle)을 포함하며, 상기 당류 사이클이 β-(1,3)-D-글루쿠론산 및 β-(1,4)-N-아세틸-D-글루코사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기질은 다당류이고, 상기 다당류가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히알루론산의 올리고머 또는 이의 염의 컨쥬게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분자량이 104 g.mol-1 내지 106 g.mol-1의 범위, 또는 105 g.mol-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의 올리고머 또는 이의 염의 컨쥬게이트.
  3. 제1항에서 정의된 일반식 I 및 일반식 II에 따른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일반식 V 및 일반식 VI의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다이아미노링커의 컨쥬게이트를 물 또는 물과 수-혼화성 용매 혼합물에서 기질의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와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Figure 112021121964213-pct00010

    상기 일반식에서,
    R3는 COOR6 또는 CH2OH이며;
    R4는 OH 또상기 일반식에서,
    R3는 COOR6 또는 CH2OH이며;
    R4는 OH 또는 NHCOCH3이며;
    R6는 H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며;
    R5는 C1-C30 알킬, C1-C30 알킬아릴, 또는 N, O,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헤테로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C1-C30 알킬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O 또는 NH 기이며;
    R3가 COOR6인 경우, R4는 OH이며, R1은 H이며, R2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 잔기이고;
    R3가 CH2OH인 경우, R4는 NHCOCH3이며, R2는 OH이며, R1은 히알루론산 올리고머 잔기이고;
    상기 히알루론산 올리고머 잔기가 1개 내지 17개의 당류 사이클(saccharidic cycle)을 포함하며, 상기 당류 사이클이 β-(1,3)-D-글루쿠론산 및 β-(1,4)-N-아세틸-D-글루코사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질이 다당류이거나, 또는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분자량이 104 g.mol-1 내지 106 g.mol-1의 범위, 또는 105 g.mol-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10℃ 내지 40℃, 또는 20℃의 온도에서 24시간 내지 150시간, 또는 60시간 내지 8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혼화성 용매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메탄올 또는 다이메틸설폭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8. 제1항에서 정의된 일반식 III 및 일반식 IV에 따른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이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서 진행되며,
    일반식 V 및 일반식 VI의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다이아미노링커의 컨쥬게이트가 환원제의 존재 하에 기질의 하나 이상의 알데하이드기와 추가로 반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가 시아노 보로하이드라이드 또는 피콜린 보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의 양이 히알루론산 이당류의 몰 양에 대해, 0.1 당량 내지 5 당량의 범위, 또는 3 당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일반식 V 및 일반식 VI의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다이아미노링커의 상기 컨쥬게이트가, pH 3 내지 pH 6.99의 범위에서, 상기 히알루론산 올리고머가 위치 1의 이의 말단 아노머 중심(ending anomeric center)에서 일반식 H2N-X-R5-X-NH2의 과량의 다이아미노 링커와 반응하는 식으로 제조되며,
    이때, 상기 일반식 V 및 상기 일반식 VI의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다이아미노 링커의 상기 컨쥬게이트가 단리되며,
    상기 일반식에서, R5는 C1-C30 알킬, C1-C30 알킬아릴, 또는 N, O,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헤테로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C1-C30 알킬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O 또는 NH 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이 pH 3 내지 pH 6, 또는 pH 5 내지 pH 6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이 아세트산, 프로판산 또는 젖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카르복실산, 또는 아세트산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의 양이 기질인 히알루론산 이당류의 몰 양에 대해, 5 당량 내지 30 당량, 또는 10 당량 내지 15 당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과량의 상기 링커가 기질인 히알루론산 이당류의 몰 양에 대해, 5 당량 내지 30 당량의 범위, 또는 10 당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이 10℃ 내지 40℃, 또는 20℃의 온도에서 24시간 내지 150시간, 또는 60시간 내지 80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17. 제8항에 있어서,
    일반식 V 및 일반식 VI의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다이아미노링커의 상기 컨쥬게이트가, pH 3 내지 pH 6.99의 범위에서, 상기 히알루론산 올리고머가 위치 1의 이의 말단 아노머 중심(ending anomeric center)에서 일반식 H2N-X-R5-X-NH2의 과량의 다이아미노 링커와 반응하는 식으로 제조되며,
    이때, 상기 일반식 V 및 상기 일반식 VI의 히알루론산 올리고머-다이아미노 링커의 상기 컨쥬게이트가 단리되며,
    상기 일반식에서, R5는 C1-C30 알킬, C1-C30 알킬아릴, 또는 N, O, 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헤테로원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C1-C30 알킬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O 또는 NH 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이 pH 3 내지 pH 6, 또는 pH 5 내지 pH 6의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이 아세트산, 프로판산 또는 젖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카르복실산, 또는 아세트산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산의 양이 기질인 히알루론산 이당류의 몰 양에 대해, 5 당량 내지 30 당량, 또는 10 당량 내지 15 당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과량의 상기 링커가 기질인 히알루론산 이당류의 몰 양에 대해, 5 당량 내지 30 당량의 범위, 또는 10 당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이 10℃ 내지 40℃, 또는 20℃의 온도에서 24시간 내지 150시간, 또는 60시간 내지 80시간 동안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의 컨쥬게이트의 제조 방법.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약학 및 생체 의학에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올리고머의 담체 조성물로서,
    상기 약학 및 생체 의학에서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올리고머가 히알루론산 올리고머인, 조성물.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컨쥬게이트를 포함하는, 항암 효과를 가진 물질의 제조용 조성물로서,
    상기 항암 효과를 가진 물질이 상기 컨쥬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KR1020167025478A 2014-03-11 2015-03-10 히알루론산의 올리고머 또는 이의 염의 컨쥬게이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420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ZPV2014-150 2014-03-11
CZ2014-150A CZ305153B6 (cs) 2014-03-11 2014-03-11 Konjugáty oligomeru kyseliny hyaluronové nebo její soli, způsob jejich přípravy a použití
PCT/CZ2015/000018 WO2015135511A1 (en) 2014-03-11 2015-03-10 Conjugates of oligomer of hyaluronic acid or of a salt thereof,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999A KR20160125999A (ko) 2016-11-01
KR102420500B1 true KR102420500B1 (ko) 2022-07-13

Family

ID=5303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478A KR102420500B1 (ko) 2014-03-11 2015-03-10 히알루론산의 올리고머 또는 이의 염의 컨쥬게이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023658B2 (ko)
EP (1) EP3116514B1 (ko)
JP (1) JP6649892B2 (ko)
KR (1) KR102420500B1 (ko)
AR (1) AR100039A1 (ko)
BR (1) BR112016020644A8 (ko)
CZ (1) CZ305153B6 (ko)
DK (1) DK3116514T3 (ko)
ES (1) ES2710801T3 (ko)
HU (1) HUE043758T2 (ko)
PL (1) PL3116514T3 (ko)
RU (1) RU2682509C2 (ko)
WO (1) WO20151355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2012842A3 (cs) 2012-11-27 2014-08-20 Contipro Biotech S.R.O. Nanomicelární kompozice na bázi C6-C18-acylovaného hyaluronanu, způsob přípravy C6-C18-acylovaného hyaluronanu, způsob přípravy nanomicelární kompozice a stabilizované nanomicelární kompozice a použití
CZ305153B6 (cs) 2014-03-11 2015-05-20 Contipro Biotech S.R.O. Konjugáty oligomeru kyseliny hyaluronové nebo její soli, způsob jejich přípravy a použití
CZ2014451A3 (cs) 2014-06-30 2016-01-13 Contipro Pharma A.S. Protinádorová kompozice na bázi kyseliny hyaluronové a anorganických nanočástic, způsob její přípravy a použití
CZ309295B6 (cs) 2015-03-09 2022-08-10 Contipro A.S. Samonosný, biodegradabilní film na bázi hydrofobizované kyseliny hyaluronové, způsob jeho přípravy a použití
CZ2015398A3 (cs) 2015-06-15 2017-02-08 Contipro A.S. Způsob síťování polysacharidů s využitím fotolabilních chránicích skupin
CZ306662B6 (cs) 2015-06-26 2017-04-26 Contipro A.S. Deriváty sulfatovaných polysacharidů, způsob jejich přípravy, způsob jejich modifikace a použití
CZ308106B6 (cs) 2016-06-27 2020-01-08 Contipro A.S. Nenasycené deriváty polysacharidů, způsob jejich přípravy a jejich použití
WO2020085734A1 (ko) * 2018-10-24 2020-04-30 주식회사 화이바이오메드 히알루론산 말단의 알데하이드 그룹을 이용하여 제조한 약물 접합체
JP2022529953A (ja) * 2019-04-19 2022-06-27 ジョインセラピュイティクス エッセ.エッレ.エッレ. 官能化ヒアルロン酸の架橋ポリマーと、炎症状態の治療におけるその使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1243A1 (en) 2006-02-28 2007-09-07 Novozymes Biopolymer A/S Derivatives of hyaluronic acids

Family Cites Families (1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20662A (en) 1971-09-13 1973-03-13 Nat Starch Chem Corp Preparation of starch esters
US3728223A (en) 1971-10-08 1973-04-17 Amano Pharma Co Ltd Production of hyaluronidase from a strain of streptomyces
GB1527592A (en) 1974-08-05 1978-10-04 Ici Ltd Wound dressing
CH628088A5 (en) 1975-09-17 1982-02-15 Dresden Arzneimittel Process for obtaining streptococcal metabolic products
US4205025A (en) 1975-12-22 1980-05-27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Synthetic polymeric fibrids, fibrid products and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JPS6033474B2 (ja) 1978-05-11 1985-08-02 藤沢薬品工業株式会社 新規なヒアルロニダ−ゼbmp−8231およびその製造法
US4716224A (en) 1984-05-04 1987-12-29 Seikagaku Kogyo Co. Ltd. Crosslinked hyaluronic acid and its use
US4713448A (en) 1985-03-12 1987-12-15 Biomatrix, Inc. Chemically modified hyaluronic acid preparation and method of recovery thereof from animal tissues
US4851521A (en) 1985-07-08 1989-07-25 Fidia, S.P.A. Esters of hyaluronic acid
GB8519416D0 (en) 1985-08-01 1985-09-04 Unilever Plc Oligosaccharides
JPS62104579A (ja) 1985-10-30 1987-05-15 Kyowa Hakko Kogyo Co Ltd ヒアルロニダ−ゼの製造法
JPH0751064B2 (ja) 1986-08-13 1995-06-05 生化学工業株式会社 新規なヒアルロニダ−ゼsd−678およびその製造法
IT1219587B (it) 1988-05-13 1990-05-18 Fidia Farmaceutici Polisaccaridi carbossiilici autoreticolati
JPH0214019A (ja) 1988-06-30 1990-01-18 Tonen Corp 繊維状成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133401A (ja) * 1988-11-14 1990-05-22 Kao Corp 糖誘導体の製造法
US5522879A (en) 1991-11-12 1996-06-04 Ethicon, Inc. Piezoelectric biomedical device
US5824335A (en) 1991-12-18 1998-10-20 Dorigatti; Franco Non-woven fabric material comprising auto-crosslinked hyaluronic acid derivatives
IT1254704B (it) 1991-12-18 1995-10-09 Mini Ricerca Scient Tecnolog Tessuto non tessuto essenzialmente costituito da derivati dell'acido ialuronico
JP2855307B2 (ja) 1992-02-05 1999-02-10 生化学工業株式会社 光反応性グリコサミノグリカン、架橋グリコサミノグリカン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FR2689131B1 (fr) 1992-03-30 1994-05-20 Oreal Procede de preparation de monoesters majoritairement en position 6' du d-maltose et leur utilisation dans les domaines cosmetique, bucco-dentaire, pharmaceutique et alimentaire.
JPH0625306A (ja) 1992-04-21 1994-02-01 Shiseido Co Ltd 溶媒不溶化ヒアルロン酸及びその製造方法
IT1263316B (it) 1993-02-12 1996-08-05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Tessuto non tessuto multistrato in cui uno degli strati e' costituito essenzialmente da esteri dell'acido ialuronico
NL9700003A (nl) 1993-09-28 1997-07-01 House Foods Corp Werkwijze voor het inoculeren van Fistulina hepatica.
US5616568A (en) 1993-11-30 1997-04-01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Functionalized derivatives of hyaluronic acid
KR960702624A (ko) 1994-03-14 1996-04-27 야마타니 와타루 안구 착용 물질(Material to be worn on the eyeball)
US5455349A (en) 1994-05-13 1995-10-03 Polaroid Corporation Vinylbenzyl thymine monomers
JP3913794B2 (ja) * 1994-07-22 2007-05-09 生化学工業株式会社 グリコサミノグリカン誘導体、該誘導体のアクリルアミド共重合体ゲル及び酵素同定法
WO1996009840A1 (en) 1994-09-27 1996-04-04 Nycomed Imaging A/S Contrast agent
US6025444A (en) 1994-11-17 2000-02-15 Sei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Seikagaku Corporation) Cinnamic acid derivative
JP3308742B2 (ja) 1994-11-17 2002-07-29 生化学工業株式会社 光架橋性ヒアルロン酸誘導体とその架橋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5690961A (en) 1994-12-22 1997-11-25 Hercules Incorporated Acidic polysaccharides crosslinked with polycarboxylic acids and their uses
CZ278797A3 (en) 1995-03-07 1997-11-12 Ciba Geigy Ag Photochemically cross-linked polysaccharide derivatives, process of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as carriers for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enantiomers
JP3942205B2 (ja) * 1995-07-24 2007-07-11 生化学工業株式会社 神経疾患の治療剤
IL123500A (en) 1995-08-29 2003-06-24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Composite biomaterials for preventing post-surgical adhesions of tissues
US5789462A (en) 1995-09-13 1998-08-04 Sei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Seikagaku Corporation) Photocured crosslinked-hyaluronic acid contact lens
DE19604706A1 (de) 1996-02-09 1997-08-14 Merck Patent Gmbh Vernetzungsprodukte von Aminogruppen-haltigen Biopolymeren
DE19616010C2 (de) 1996-04-23 1998-07-09 Seitz Filter Werk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Fibrets (Fibriden) aus Zellulosederivaten
IT1287698B1 (it) 1996-08-29 1998-08-18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Fili da sutura essenzialmente costituiti da derivati esterei dello acido ialuronico
US6632802B2 (en) 1996-08-29 2003-10-14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Hyaluronic acid esters, threads and biomaterials containing them, and their use in surgery
US6303585B1 (en) 1997-07-03 2001-10-16 Orquest, Inc. Cross-linked polysaccharide drug carrier
US6613897B1 (en) 1998-04-30 2003-09-02 Maruha Corporation Compounds having glucuronic acid derivatives and glucosamine derivative in the structur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tilization thereof
ES2174605T3 (es) 1998-05-07 2002-11-01 Tno Procedimiento para la oxidacion selectiva de alcoholes primarios.
US6630457B1 (en) 1998-09-18 2003-10-07 Orthogene Llc Functionalized derivatives of hyaluronic acid, formation of hydrogels in situ using sam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IT1302534B1 (it) 1998-12-21 2000-09-05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Composizioni iniettabili, biocompatibili e biodegradabili comprendentialmeno un derivato dell'acido ialuronico, cellule condrogeniche, per
AU1865100A (en) 1998-12-23 2000-07-31 Esparma Gmbh Hyaluronate lyase used for promoting penetration in topical agents
DE19917614C2 (de) 1999-04-19 2001-07-05 Thueringisches Inst Textil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ellulosischen Formkörpern mit hohem Adsorptionsvermögen
US6288043B1 (en) 1999-06-18 2001-09-11 Orquest, Inc. Injectable hyaluronate-sulfated polysaccharide conjugates
US6592794B1 (en) 1999-09-28 2003-07-15 Organogenesis Inc. Process of making bioengineered collagen fibrils
AU1741101A (en) 1999-11-08 2001-06-06 Sca Hygiene Products Zeist B.V. Process of oxidising primary alcohols
DE10003397A1 (de) 2000-01-27 2001-08-09 Hartmann Paul Ag Polyelektrolyt-Feststoffsystem,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sowie Wundverband
IT1317358B1 (it) 2000-08-31 2003-06-16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Derivati cross-linkati dell'acido ialuronico.
IT1317359B1 (it) 2000-08-31 2003-06-16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Polisaccaridi percarbossilati, quali l'acido ialuronico, processo perla loro preparazione e loro impiego in campo farmaceutico e
US6498269B1 (en) 2000-10-17 2002-12-24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Method for the oxidation of aldehydes, hemiacetals and primary alcohols
WO2002048197A1 (en) 2000-12-13 2002-06-20 Sca Hygiene Products Zeist B.V. Process for oxidising primary alcohols
EP1217008B1 (en) 2000-12-19 2006-03-01 Seikagaku Corporation Photocurable hyaluronic acid derivativ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photocured crosslinked hyaluronic acid derivative and medical material using the same
FR2819808B1 (fr) 2001-01-19 2003-04-18 Simafex Compositions stabilisees d'acide o-iodoxybenzoique e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P1369441A4 (en) 2001-01-31 2004-12-08 Seikagaku Kogyo Co Ltd NETWORKED POLYSACCHARIDE SPONGE
US6902548B1 (en) 2001-03-19 2005-06-07 Ed Schuler Use of Streptomyces hyalurolyticus enzyme in ophthalmic treatments
US6673919B2 (en) 2001-03-30 2004-01-06 Chisso Cororation Chemically modified hyaluronic acid or salts thereof,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reof
US6946284B2 (en) 2001-11-16 2005-09-20 University Of Massachusetts Solubilizing cross-linked polymers with photolyase
US20060189516A1 (en) 2002-02-19 2006-08-2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producing cross-linked hyaluronic acid-protein bio-composites
ITPD20020064A1 (it) 2002-03-12 2003-09-12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Derivati esterei dell'acido ialuronico per la preparazione di idrogelda utilizzare in campo biomedico, sanitario e chirurgico e come sistem
JP3975267B2 (ja) 2002-06-03 2007-09-1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多糖物質のアシル化方法
US20040101546A1 (en) 2002-11-26 2004-05-27 Gorman Anne Jessica Hemostatic wound dressing containing aldehyde-modified polysaccharide and hemostatic agents
US7550136B2 (en) 2002-12-20 2009-06-23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hoto-reactive polymers and devices for use in hair treatments
US7465766B2 (en) 2004-01-08 2008-12-16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Hydroxyphenyl cross-linked macromolecular network and applications thereof
US6982298B2 (en) 2003-01-10 2006-01-03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Hydroxyphenyl cross-linked macromolecular network and applications thereof
US20050126338A1 (en) 2003-02-24 2005-06-16 Nanoproducts Corporation Zinc comprising nanoparticles and related nanotechnology
FR2852012B1 (fr) 2003-03-04 2006-06-23 Oreal Procede de preparation de derives o-acyles du glucose
CA2518806C (en) 2003-03-11 2012-05-01 Seikagaku Corporation Photocrosslinked-polysaccharide composition and production process of the same
ES2226567B1 (es) 2003-06-20 2006-07-01 Universidad De Santiago De Compostela Nanoparticulas de acido hialuronico.
DE10331342B4 (de) 2003-07-11 2009-03-12 Thüringisches Institut für Textil- und Kunststoff-Forschung e.V. Thermostabile Form- oder Spinnmasse
WO2005014655A2 (en) * 2003-08-08 2005-02-17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Conjugates of hydroxyalkyl starch and a protein
US7235295B2 (en) 2003-09-10 2007-06-26 Laurencin Cato T Polymeric nanofibers for tissue engineering and drug delivery
WO2005028632A2 (en) 2003-09-19 2005-03-31 Colorad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Csurf) Hyaluronan (ha) esterification via acylation technique for moldable devices
US20100330143A1 (en) 2003-12-04 2010-12-30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Modified macromolecul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reof
US8313765B2 (en) 2003-12-04 2012-11-2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Biodegradable hyaluronic acid derivative, biodegradable polymeric micelle composition and pharmaceutical or bioactive composition
GB2408741B (en) 2003-12-04 2008-06-18 Ind Tech Res Inst Hyaluronic acid derivative with urethane linkage
ITMI20040605A1 (it) 2004-03-29 2004-06-29 Coimex S C R L United Companie Esteri butirrici dell'acido ialuronico a basso grado di sostituzione procedimento per la loro preparazione ed uso
JP2008505716A (ja) 2004-07-09 2008-02-28 ザ クリーヴランド クリニック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ヒドロキシフェニル架橋高分子ネットワーク及びその用途
US7323425B2 (en) 2004-08-27 2008-01-29 Stony Brook Technology And Applied Research Crosslinking of hyaluronan solutions and nanofiberous membranes made therefrom
WO2006056204A1 (en) 2004-11-24 2006-06-01 Novozymes Biopolymer A/S Method of cross-linking hyaluronic acid with divinylsulfone
US7214759B2 (en) 2004-11-24 2007-05-08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Biologically absorbable coatings for implantable devices based on polyester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the same
US7680038B1 (en) 2005-04-25 2010-03-16 Electronic Arts, Inc. Dynamic bandwidth detection and response for online games
GB0513552D0 (en) 2005-07-01 2005-08-10 Bristol Myers Squibb Co Bandage
US8354392B2 (en) 2005-07-06 2013-01-15 Seikagaku Corporation Drug-introduced photo-crosslinked hyaluronic acid derived gel
ITPD20050206A1 (it) 2005-07-07 2007-01-08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Biomateriali in forma di fibra da impiegarsi come dispositivi medici nel trattamento delle ferite e loro processi di produzione
ITMI20051415A1 (it) 2005-07-22 2007-01-23 Fidia Advanced Biopolymers Srl Biomateriali a base di corbossimetilcellulosa salificata con zinco associata a derivati dell'acido ialuronico da impiegarsi come dispositivi medici con attivita' antimicrobica ed antifungina e loro processo di produzione
ITPD20050242A1 (it) * 2005-08-03 2007-02-04 Fidia Farmaceutici Bioconiugati antitumorali dell'acido ialuronico o dei suoi derivati, ottenibili per coniugazione chimica diretta o indiretta, e loro impiego in campo farmaceutico
CN101282985B (zh) * 2005-09-21 2013-07-10 科德生物工程有限公司 用透明质酸低聚衍生物覆盖的细胞表面
US7993678B2 (en) 2005-09-26 2011-08-09 Novozymes Biopolymer A/S Hyaluronic acid derivatives
WO2007070617A1 (en) 2005-12-14 2007-06-21 Anika Therapeutics, Inc. Bioabsorbable implant of hyaluronic acid derivative for treatment of osteochondral and chondral defects
EP1826274A1 (en) 2006-02-24 2007-08-29 Kikkoman Corporation Enzyme composition, low molecular weight hyalurona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4892679B2 (ja) 2006-03-27 2012-03-07 国立大学法人弘前大学 ゲル紡糸によるヒアルロン酸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118730A (ko) 2006-06-13 2007-12-18 주식회사 코오롱 보습성이 우수한 창상피복재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80124395A1 (en) 2006-06-22 2008-05-29 Weiliam Chen Formulations and devices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neural ischemic damage
IE20060565A1 (en) * 2006-07-28 2008-02-06 Eurand Pharmaceuticals Ltd Drug delivery system based on regioselectively amidated hyaluronic acid
CA2657823A1 (en) 2006-08-04 2008-02-07 Novozymes Biopolymer A/S Branched hyaluronic acid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80063617A1 (en) 2006-09-07 2008-03-13 Abrahams John M Cosmetics formulations
ITMI20061726A1 (it) 2006-09-11 2008-03-12 Fidia Farmaceutici Derivati crosslinkati a base di acido ialuronico reticolato via click chemistry
CZ302856B6 (cs) 2006-09-27 2011-12-14 Cpn Spol. S R. O. Zpusob prípravy derivátu polysacharidu
US9597277B2 (en) 2006-12-22 2017-03-21 Croma-Pharma Gesellschaft M.B.H. Use of polymers
KR20080062092A (ko) 2006-12-29 2008-07-03 주식회사 핸슨바이오텍 세포전달체로서의 히알루론산 유도체 및 이의 제조 방법
EP1942117A1 (en) 2006-12-29 2008-07-09 Sigea S.R.L. Derivatives of acid polysaccharides
JP5329767B2 (ja) 2007-02-26 2013-10-30 帝人株式会社 芳香族コポリアミド繊維の製造装置
WO2008115799A1 (en) 2007-03-21 2008-09-25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Novel gene delivery vectors for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CZ2007299A3 (cs) 2007-04-24 2009-02-04 Cpn Spol. S R. O. Príprava nanovláken z polysacharidu a jejich smesí s polyvinylalkoholem
JP5165281B2 (ja) 2007-06-01 2013-03-21 株式会社バイオベルデ 2反応剤型の医療用含水ゲル形成剤、及び、これより得られるヒアルロン酸ゲル
WO2009037566A2 (en) 2007-06-19 2009-03-26 Uvarkina Tamara P Hyaluronidase and method of use thereof
CA2691541A1 (en) 2007-06-22 2008-12-31 Innovative Surface Technologies, Inc. Nanofibers containing latent reactive groups
US8268638B2 (en) 2007-07-18 2012-09-18 Advantageous System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tecting analytes in biological fluid of an animal
FR2921675B1 (fr) 2007-09-28 2010-03-19 Univ Claude Bernard Lyon Filament a base d'acide hyaluronique et son procede d'obtention.
US7976825B2 (en) 2007-12-06 2011-07-12 Janos Borbely Cancer cell diagnosis by targeting delivery of nanodevices
IE20070900A1 (en) * 2007-12-12 2009-06-24 Eurand Pharmaceuticals Ltd New anticancer conjugates
KR101601993B1 (ko) 2008-02-11 2016-03-17 바스프 에스이 합성 중합체로부터 다공성 구조의 제조 방법
EP3456749B1 (en) 2008-02-29 2021-07-14 PVAC Medical Technologies Ltd. A substituted polyvinyl alcohol reagent
JP5563563B2 (ja) 2008-06-05 2014-07-30 エージェンシー フォー サイエンス, テクノロジー アンド リサーチ ペルオキシダーゼおよび低濃度の過酸化水素の存在下でのヒドロゲルの形成方法
JP2010014784A (ja) 2008-07-01 2010-01-21 Fuji Xerox Co Ltd 光書込型表示装置、書込装置、及び光書き込み方法
FR2934999B1 (fr) 2008-08-13 2011-07-29 Adocia Polysaccharides fonctionnalises par des derives du tryptophane
CA2735173C (en) 2008-09-02 2017-01-10 Tautona Group Lp Threads of hyaluronic acid and/or derivatives thereof, methods of making thereof and uses thereof
CZ301555B6 (cs) 2008-11-06 2010-04-14 Cpn S. R. O. Zpusob prípravy DTPA sítovaných derivátu kyseliny hyaluronové a jejich modifikace
ITRM20080636A1 (it) 2008-11-28 2010-05-29 Univ Palermo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derivati funzionalizzati dell acido ialuronico e relativi idrogeli.
JP2010138276A (ja) 2008-12-11 2010-06-24 Nipro Corp ヒアルロン酸単糸の製造方法
AU2010215203B2 (en) 2009-02-21 2015-07-16 Covidien Lp Medical devices with an activated coating
CA2753179A1 (en) 2009-02-21 2010-08-26 Sofradim Production Crosslinked fibers and method of making same by extrusion
EP2398519A2 (en) 2009-02-21 2011-12-28 Sofradim Production Compounds and medical devices activated with solvophobic linkers
CZ2009168A3 (cs) 2009-03-17 2010-07-21 Contipro C, A.S. Zpusob prípravy derivátu kyseliny hyaluronové pomocí O-acyl-O´-alkylkarbonátu v prítomnosti substituovaného pyridinu
US8551378B2 (en) 2009-03-24 2013-10-08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Nanospinning of polymer fibers from sheared solutions
US20120219554A2 (en) 2009-05-14 2012-08-30 Fidia Farmaceutici S.P.A. Extracellular yaluronidase from streptomyces koganeiensis
WO2010138074A1 (en) 2009-05-29 2010-12-02 Hilborn Joens Hyaluronic acid based delivery systems
WO2010144194A1 (en) 2009-06-09 2010-12-16 Lux Biosciences, Inc. Topical drug delivery systems for ophthalmic use
CA2769244A1 (en) * 2009-07-27 2011-02-03 Lipoxen Technologies Limited Glycopolysialylation of non-blood coagulation proteins
RU2539395C2 (ru) 2009-07-30 2015-01-20 Карбилан Терапьютикс, Инк. Полимерные композиции модифицированной гиалуроновой кислоты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KR101103423B1 (ko) 2009-09-04 2012-01-0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 주입형 조직 접착성 하이드로젤 및 이의 생의학적 용도
US20120301441A1 (en) 2009-11-11 2012-11-29 Hermanus Bernardus Johannes Karperien Dextran-hyaluronic acid based hydrogels
EP2498824B1 (en) 2009-11-11 2016-04-20 University of Twente, Institute for Biomedical Technology and Technical Medicine (MIRA) Hydrogels based on polymers of dextran tyramine and tyramine conjugates of natural polymers
US20110111012A1 (en) 2009-11-12 2011-05-12 Hemcon Medical Technologies, Inc. Nanomaterial wound dressing assembly
CZ302504B6 (cs) 2009-12-11 2011-06-22 Contipro C A.S. Derivát kyseliny hyaluronové oxidovaný v poloze 6 glukosaminové cásti polysacharidu selektivne na aldehyd, zpusob jeho prípravy a zpusob jeho modifikace
CZ302503B6 (cs) 2009-12-11 2011-06-22 Contipro C A.S. Zpusob prípravy derivátu kyseliny hyaluronové oxidovaného v poloze 6 glukosaminové cásti polysacharidu selektivne na aldehyd a zpusob jeho modifikace
US8197849B2 (en) 2010-02-12 2012-06-12 National Health Research Institutes Cross-linked oxidated hyaluronic acid for use as a vitreous substitute
WO2011163568A1 (en) * 2010-06-24 2011-12-29 University Of Kansas Conjugates comprising an n-oxime bond and associated methods
CN101897976A (zh) 2010-07-16 2010-12-01 沈阳药科大学 一种药物增溶载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Z302994B6 (cs) 2010-12-31 2012-02-08 Cpn S.R.O. Hyaluronová vlákna, zpusob jejich prípravy a použití
CZ304072B6 (cs) 2011-04-26 2013-09-25 Contipro Biotech S.R.O. Amfoterní materiál na bázi sítované kyseliny hyaluronové, zpusob jeho prípravy, materiály obsahující aktivní cinidla uzavrené v síti hyaluronanu, zpusob jejich prípravy a jejich pouzití
CN102154738B (zh) 2011-05-10 2012-08-01 青岛大学 一种红藻琼胶纤维的制备方法
ITTO20110428A1 (it) 2011-05-13 2012-11-14 Rottapharm Spa Esteri dell'acido ialuronico, loro preparazione ed uso in dermatologia
WO2013056312A1 (en) 2011-10-18 2013-04-25 Cytomatrix Pty Ltd Fibre-forming process and fibres produced by the process
CZ2012136A3 (cs) * 2012-02-28 2013-06-05 Contipro Biotech S.R.O. Deriváty na bázi kyseliny hyaluronové schopné tvorit hydrogely, zpusob jejich prípravy, hydrogely na bázi techto derivátu, zpusob jejich prípravy a pouzití
CZ2012282A3 (cs) 2012-04-25 2013-11-06 Contipro Biotech S.R.O. Zesítovaný derivát hyaluronanu, zpusob jeho prípravy, hydrogel a mikrovlákna na jeho bázi
CZ304512B6 (cs) * 2012-08-08 2014-06-11 Contipro Biotech S.R.O. Derivát kyseliny hyaluronové, způsob jeho přípravy, způsob jeho modifikace a použití
CZ304303B6 (cs) 2012-11-27 2014-02-19 Contipro Biotech S.R.O. Vlákna založená na hydrofobizovaném hyaluronanu, způsob jejich přípravy a použití, textilie na jejich bázi a použití
CZ2012842A3 (cs) 2012-11-27 2014-08-20 Contipro Biotech S.R.O. Nanomicelární kompozice na bázi C6-C18-acylovaného hyaluronanu, způsob přípravy C6-C18-acylovaného hyaluronanu, způsob přípravy nanomicelární kompozice a stabilizované nanomicelární kompozice a použití
CZ304267B6 (cs) 2012-11-27 2014-02-05 Contipro Biotech S.R.O. Fotoreaktivní derivát kyseliny hyaluronové, způsob jeho přípravy, 3D síťovaný derivát kyseliny hyaluronové, způsob jeho přípravy a použití
CN103505736A (zh) 2013-09-23 2014-01-15 天津大学 基于改性透明质酸的高分子脂质体及其制备方法
CZ305153B6 (cs) 2014-03-11 2015-05-20 Contipro Biotech S.R.O. Konjugáty oligomeru kyseliny hyaluronové nebo její soli, způsob jejich přípravy a použití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01243A1 (en) 2006-02-28 2007-09-07 Novozymes Biopolymer A/S Derivatives of hyaluronic ac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6139420A3 (ko) 2018-09-13
JP2017508050A (ja) 2017-03-23
JP6649892B2 (ja) 2020-02-19
EP3116514B1 (en) 2019-01-02
HUE043758T2 (hu) 2019-09-30
RU2016139420A (ru) 2018-04-11
KR20160125999A (ko) 2016-11-01
US20170015759A1 (en) 2017-01-19
PL3116514T3 (pl) 2019-06-28
AR100039A1 (es) 2016-09-07
CZ2014150A3 (cs) 2015-05-20
BR112016020644A2 (ko) 2017-08-15
CZ305153B6 (cs) 2015-05-20
BR112016020644A8 (pt) 2018-04-03
US10023658B2 (en) 2018-07-17
WO2015135511A1 (en) 2015-09-17
RU2682509C2 (ru) 2019-03-20
EP3116514A1 (en) 2017-01-18
ES2710801T3 (es) 2019-04-26
DK3116514T3 (en) 201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0500B1 (ko) 히알루론산의 올리고머 또는 이의 염의 컨쥬게이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JP5886754B2 (ja) ヒアルロン酸の酸化誘導体の調製方法及びその修飾方法
Avadi et al. Diethylmethyl chitosan as an antimicrobial agent: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antibacterial effects
Sajomsang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quaternary ammonium chitosan containing mono or disaccharide moieties: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Benediktsdóttir et al. Synthesis of N, N, N-trimethyl chitosan homopolymer and highly substituted N-alkyl-N, N-dimethyl chitosan derivatives with the aid of di-tert-butyldimethylsilyl chitosan
EP2510017B1 (en) Oxidized derivative of hyaluronic acid, a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and a method of modification thereof
US5463022A (en) N-acetylcarboxymethylchitosan derivatives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Sajomsang et al. Synthesi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methylated N-(4-N, N-dimethylaminocinnamyl) chitosan chloride
Yan et al. Preparation of N-succinyl-chitosan and their physical-chemical properties as a novel excipient
JPH0539306A (ja) ヒアルロン酸およびコンドロイチン誘導体
El-Sayed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Gum Arabic Schiff's bases based on 9-aminoacridine with in vitro evaluation of their antimicrobial and antitumor potentiality
Suvannasara et al. Mucoadhesive 4-carboxybenzenesulfonamide-chitosan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Gomez et al. Bringing color to sugars: the chemical assembly of carbohydrates to BODIPY dyes
Bobula et al. One-pot synthesis of α, β-unsaturated polyaldehyde of chondroitin sulfate
EP0526649B1 (en) Carboxymethylmannoglucan and derivative thereof
RU2713295C2 (ru) Способ сшивания полисахаридов при помощи фотоудаляемых защитных групп
US20120190839A1 (en) Active esterified polysaccharid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2952207B (zh) 6-(1-甲基-β-咔啉-3-羧酸乙酰基)-6-脱氧-β-环糊精及其与阿霉素超分子包结配合物的制备和应用
KR100316345B1 (ko) 키토산의분자량조절제법
WO2012049521A1 (en) Glycosylated aminocoumarin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es of same
JP5646164B2 (ja) 分岐キトサン誘導体
EP1065217B1 (en) Polysaccharide aspartate
KR100395654B1 (ko) 하이드록시프로필 이소프로필 에테르 키토산의 제조방법
CZ2004579A3 (cs) Způsob přípravy derivátů hyaluronanu vázaných karbamátovou vazbo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