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847B1 - 중공 스프링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중공 스프링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847B1
KR102153847B1 KR1020197033276A KR20197033276A KR102153847B1 KR 102153847 B1 KR102153847 B1 KR 102153847B1 KR 1020197033276 A KR1020197033276 A KR 1020197033276A KR 20197033276 A KR20197033276 A KR 20197033276A KR 102153847 B1 KR102153847 B1 KR 102153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opening
steel pipe
tubular member
polish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3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256A (ko
Inventor
히로노부 사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39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3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designed for abrasive blasting of particular work, e.g. the internal surfaces of cylinder blocks
    • B24C3/325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designed for abrasive blasting of particular work, e.g. the internal surfaces of cylinder blocks for internal surfaces, e.g. of tubes
    • B24C3/327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designed for abrasive blasting of particular work, e.g. the internal surfaces of cylinder blocks for internal surfaces, e.g. of tubes by an axially-moving flow of abrasive particles without passing a blast gun, impeller or the like along the internal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00Processes of grinding or polishing;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0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the interior surfaces of hollow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1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other means for tumbling of work
    • B24B31/11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other means for tumbling of work using plastically deformable grinding compound, moved relatively to the workpiece under the influence of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12Accessories; Protective equipment or safety devices; Installations for exhaustion of dust or for sound absorption specially adapted for machines covered by group B24B3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3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5/4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tubes inter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4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treating only selected parts of a surface, e.g. for carving stone or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8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polishing surfaces, e.g. smoothing a surface by making use of liquid-borne abra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1/00Selection of abrasive materials or additives for abrasive bl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3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designed for abrasive blasting of particular work, e.g. the internal surfaces of cylinder b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2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3Shaping by folding or bending
    • B60G2206/81035Shaping by folding or bending involving heating to relieve internal st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중공 스프링은, 강관의 내면의 전체에 걸쳐 표면 조도의 평균값이 10 ㎛ 보다 작은 것이고, 및/또는 내면의 전체에 압축 잔류 응력을 부여한 것이어도 되고, 관상 부재 (10) 의 제 1 단 (11) 과 제 2 단 (12) 사이에서 관 내에 점탄성을 갖는 연마 미디어 (200) 를 흘려 관의 내면을 연마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연마 미디어 (200) 는, 점탄성을 갖는 모재와, 입자상의 연마제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고, 강관의 내면을 균일하게 연마하여, 표면 조도를 저감하고, 및/또는 압축 잔류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피로 수명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중공 스프링 및 그 제조 방법{HOLLOW SP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피로 수명을 향상시킨 중공 스프링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서는 경량화의 요구로부터 중공 스프링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공 스프링의 일종으로서, 코너링시에 발생하는 차체의 롤을 줄이기 위해, 강관 등을 소정의 형상으로 굽힘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중공 스태빌라이저가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자원 절약·에너지 절약 등의 관점에서 경량화의 요구가 더욱 높아지는 경향이 있고, 중실 (中實) 스태빌라이저로부터 중공 스태빌라이저에 대한 수요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을 참조).
중공 스프링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는 관 (管) 의 외면보다 내면의 응력이 낮지만, 외면에 숏피닝을 실시하여 압축 잔류 응력을 부여하면, 외면의 응력이 완화되고, 외면과 내면의 응력차는 작아진다. 중공 스프링을 경량화하기 위해 두께를 얇게 해 가면, 이 경향이 보다 현저해져, 내면을 기점으로 하는 절손 (折損) 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피로 파괴는 표면으로부터 발생하기 때문에, 표면의 조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고 피로 수명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파이프재 내면의 표면 조도를 저감시키기 위해 내면에 연마제를 블라스트 처리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특허문헌 2).
또, 파이프재 내면에 숏피닝을 실시하여 내면에 압축 잔류 응력을 부여하여 내면의 수명이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8932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1765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25827호
그러나, 중공 스프링은, 굽힘 가공에 의해 복잡한 형상이 되고, 경량화를 목적으로 하여 두께가 얇아지면, 굽힘부의 단면이 편평해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연마제를 블라스트 처리하는 것에 의해서는 부분적으로 강하게 부딪히거나 하여, 내면을 균일하게 연마하여 표면 조도를 저감하거나, 내면에 압축 잔류 응력을 부여하거나 함으로써 피로 수명을 향상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 특허문헌 3 은 반사 부재를 이동시키면서 숏피닝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해져, 보다 복잡한 형상이나 세경의 파이프재에 완전히 대응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서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내면을 균일하게 연마하여 표면 조도를 저감하고, 및/또는 압축 잔류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피로 수명을 향상시킨 중공 스프링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출원에 관련된 중공 스프링은, 강관의 내면의 전체에 걸쳐 표면 조도의 평균값이 10 ㎛ 보다 작다.
또한, 이 출원에 관련된 중공 스프링은, 강관에 의해 구성된 중공 스프링으로서, 강관의 내면의 전체에 걸쳐 압축 잔류 응력을 부여한 것이어도 된다.
이 출원에 관련된 중공 스프링의 제조 방법은, 중공 스프링에 사용하는 강관을 제공하는 공정과, 강관에 있어서, 제 1 개구와 제 2 개구 사이에서 관 내에 점탄성을 갖는 연마 미디어를 흘려 관의 내면을 연마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관의 내면의 표면 조도를 저감하고, 및/또는 압축 잔류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피로 수명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강관은, 소정의 형상으로 굽힘 가공되어 있어도 된다. 강관은, 열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연마 미디어는, 점탄성을 갖는 모재와, 입자상의 연마제를 포함해도 된다.
연마하는 공정은, 강관의 제 1 개구로부터 제 2 개구를 향하여 연마 미디어를 흘리는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연마 미디어를 흘리는 공정은,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강관의 제 1 개구에 상기 연마 미디어를 공급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해도 된다.
연마하는 공정은, 강관의 제 1 개구로부터 제 2 개구를 향하여 연마 미디어를 흘리는 제 1 공정과, 반대로 제 2 개구로부터 제 1 개구를 향하여 연마 미디어를 흘리는 제 2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제 1 공정은, 공급원으로부터 강관의 제 1 개구에 연마 미디어를 공급함과 함께, 강관의 제 2 개구로부터 연마 미디어를 공급원에 회수하고, 제 2 공정은, 공급원으로부터 강관의 제 2 개구에 연마 미디어를 공급함과 함께, 강관의 제 1 개구로부터 연마 미디어를 공급원에 회수해도 된다.
이 출원에 관련된 중공 스프링은, 상기 서술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 스프링은, 강관의 내면이 균일하게 연마되고, 및/또는 강관의 내면에 압축 잔류 응력이 부여되어, 피로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중공 스프링의 내면을 균일하게 연마하고, 및/또는 압축 잔류 응력을 부여하여, 그 결과 중공 스프링의 피로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중공 스태빌라이저를 제조하는 일련의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의 중공 스태빌라이저의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관상 부재를 나타내는 삼면도이다.
도 4 는, 관상 부재의 굽힘부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관상 부재의 내면의 연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실시예 1 의 표면 조도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실시예 1 의 관상 부재의 굽힘부 및 스트레이트부에 있어서의 내면의 표면 조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은, 실시예 1 의 관상 부재의 내면에 있어서의 잔류 응력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실시예 2 의 표면 조도의 측정 위치를 나타내는 관상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10 은, 실시예 2 의 내면에 있어서의 표면 조도의 측정 위치를 나타내는 관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1 은, 실시예 2 의 표면 조도의 측정 결과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 는, 실시예 2 의 표면 조도의 측정 결과를 관상 부재의 형상별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 은, 실시예 2 의 잔류 응력의 측정 결과를 관상 부재의 형상별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중공 스프링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중공 스프링은, 강관에 의해 구성되고, 내면의 전체에 걸쳐 표면 조도의 평균값이 10 ㎛ 보다 작은 것이고, 내면의 전체에 압축 잔류 응력을 부여한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는 중공 스프링으로서 중공 스태빌라이저를 상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실시형태는 중공 스태빌라이저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자동차의 서스펜션용의 중공 코일 스프링 등 다른 종류의 중공 스프링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중공 스태빌라이저에 있어서는, 다른 부재에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단부를 제외한, 중공 스태빌라이저의 본체가 중공 스프링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의 중공 스태빌라이저는, 도 1 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재인 강관의 수용 (스텝 S1), 절단 (스텝 S2), 굽힘 가공 (스텝 S3), 열처리 (스텝 S4), 내면 연마 (스텝 S5), 단부 가공 (스텝 S6), 숏피닝 (스텝 S7), 도장 (스텝 S8) 이라는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의 일련의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은, 스텝 S5 의 내면 연마의 공정에 상당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소재의 수용 (스텝 S1), 절단 (스텝 S2), 굽힘 가공 (스텝 S3), 열처리 (스텝 S4) 를 거친 강관이 제공되고, 이 강관에 대하여 내면 연마를 실시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스텝 S1 내지 스텝 S4 의 공정을 거쳐,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이 적용되는 강관을 관상 부재라고 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은, 스텝 S4 에서 ??칭 및 템퍼링 등 열처리가 실시된 관상 부재가 제공되고, 스텝 S5 의 내면 연마에 상당하는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내면의 표면 조도를 저감하고, 및/또는 압축 잔류 응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내면의 표면 조도를 저감시키고, 및/또는 압축 잔류 응력을 부여시키기 위해서는,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을 적용하기 전에, 스텝 S4 의 열처리가 이미 실시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가령,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과 스텝 S4 의 열처리의 순서를 바꾸고,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해 내면 연마한 후에 열처리를 실시한다고 하면, 열처리에 의해 표면 조도가 증가하거나, 압축 잔류 응력이 감소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표 1 에, 강관의 내면 연마 후에 열처리를 실시한 경우의 내면의 표면 조도의 추이를 비교예로서 나타낸다. 촉침식 측정기로 측정한 산술 평균 조도 Ra (단위 ㎛) 및 최대 높이 조도 Rz (단위 ㎛) 는, 내면 연마에 의해 소재보다 저하되어 있지만, 열처리에 의해 증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열처리가 표면 조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열처리를 내면 연마 후에 실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이 분명하다. 또한, 표 1 의 데이터는, 동일한 강관의 동일 지점을 측정한 것이다.
Figure 112019115250086-pct00001
도 2 는, 중공 스태빌라이저의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장치는, 관상 부재 (10) 의 관 내에 연마 미디어를 흘림으로써 내면을 연마하는 것이고, 연마 미디어를 공급하는 제 1 공급원 (31), 제 1 공급원 (31) 을 구동하는 제 1 구동원 (35), 제 1 공급원 (31) 과 관상 부재 (10) 를 접속하여 연마 미디어를 보내는 제 1 유로 (21) 를 갖고 있다. 또, 이 장치는, 연마 미디어를 공급하는 제 2 공급원 (32), 제 2 공급원을 구동하는 제 2 구동원 (36), 제 2 공급원 (32) 과 관상 부재 (10) 를 접속하여 연마 미디어를 보내는 제 2 유로 (22) 를 갖고 있다.
도 3 은, 관상 부재 (10) 를 나타내는 삼면도이다. 도 3(a) 는 상면도, 도 3(b) 는 정면도, 도 3(c) 는 측면도이다. 관상 부재 (10) 는, 강관이 コ 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된 후에 ??칭 및 템퍼링의 열처리가 실시된 것이다. 관상 부재 (10) 의 제 1 단 (11) 및 제 2 단 (12) 은, 각각 개방되어 제 1 개구 (11a) 및 제 2 개구 (12a) 를 형성하고 있다.
도 4 는, 관상 부재의 굽힘부에 있어서의 관상 부재 (10) 의 단면 형상의 추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는 도 3(a) 중의 단면 AA, 마찬가지로 도 4(b) 는 단면 BB, 도 4(c) 는 단면 CC 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관상 부재 (10) 의 단면 형상은, 도 4(a) 및 도 4(c) 와 비교하여, 도 4(b) 는 보다 평평하게 되어 있다. 관상 부재 (10) 는, 경량화되면 두께가 얇아져 굽힘부의 단면이 편평해지는 경향이 현저해진다.
도 2 의 제 1 공급원 (31) 및 제 2 공급원 (32) 은, 점탄성을 갖는 연마 미디어를 제 1 유로 (21) 및 제 2 유로 (22) 를 통해 관상 부재 (10) 에 공급하고 있다. 또, 제 1 유로 (21) 및 제 2 유로 (22) 를 통해 관상 부재 (10) 로부터 연마 미디어를 회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 1 공급원 (31) 이 제 1 유로 (21) 를 통해 연마 미디어를 관상 부재 (10) 에 공급할 때에는, 제 2 공급원 (32) 이 제 2 유로 (22) 를 통해 연마 미디어를 회수해도 된다. 반대로, 제 2 공급원 (32) 이 제 2 유로 (22) 를 통해 연마 미디어를 관상 부재 (10) 에 공급할 때에는, 제 1 공급원 (31) 이 제 1 유로 (21) 를 통해 연마 미디어를 회수해도 된다.
연마 미디어는, 점탄성을 갖는 모재에 입자상의 연마제 (지립) 를 포함하고, 고압하에서 유동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모재는 폴리붕화실록산 폴리머 등의 고분자 재료여도 되고, 연마제는 탄화규소나 다이아몬드 등이어도 된다. 연마 미디어의 모재 및 연마제는, 여기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 는, 관상 부재 (10) 의 내면의 연마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관상 부재 (10) 의 제 1 단 (11) 의 제 1 개구 (11a) 는, 제 1 장착구 (25) 에 의해 제 1 유로 (21) 에 접속되어 있다. 관상 부재 (10) 의 제 2 단 (12) 의 제 2 개구 (12a) 는, 제 2 장착구 (26) 에 의해 제 2 유로 (22) 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공정에 있어서는, 제 1 공급원 (31) 으로부터 제 1 유로 (21) 를 통해 관상 부재 (10) 의 제 1 개구 (11a) 에 연마 미디어 (200) 가 공급된다. 제 1 개구 (11a) 에 공급된 연마 미디어 (200) 는 관상 부재 (10) 의 관 내를 제 2 개구 (12a) 를 향하여 흘러, 제 2 개구 (12a) 로부터 배출된다. 제 2 개구 (12a) 로부터 배출된 연마 미디어 (200) 는, 제 2 유로 (22) 를 통해 제 2 공급원 (32) 에 회수된다.
제 2 공정에 있어서는, 제 2 공급원 (32) 으로부터 제 2 유로 (22) 를 통해 관상 부재 (10) 의 제 2 개구 (12a) 에 연마 미디어 (200) 가 공급된다. 제 2 개구 (12a) 에 공급된 연마 미디어 (200) 는 관상 부재 (10) 의 관 내를 제 1 개구 (11a) 를 향하여 흘러, 제 1 개구 (11a) 로부터 배출된다. 제 1 개구 (11a) 로부터 배출된 연마 미디어 (200) 는, 제 1 유로 (21) 를 통해 제 1 공급원 (31) 에 회수된다.
이와 같은 제 1 공정 및 제 2 공정이 교대로 반복해서 실시되고, 연마 미디어 (200) 는 관상 부재 (10) 의 관 내를 왕복해서 흐른다. 연마 미디어 (200) 는, 입자상의 연마제 (지립) 를 포함하고, 관상 부재 (10) 의 내면을 연마하면서 관 내를 유동한다. 따라서, 관상 부재 (10) 의 내면은, 관 내를 유동하는 연마 미디어 (200) 에 의해 차츰 연마된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コ 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되고,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굽힘부의 단면이 편평해져 있는 관상 부재 (10) 에 있어서도, 유동하는 연마 미디어 (200) 에 의해 관 내는 균일하게 연마된다. 그 결과, 중공 스태빌라이저의 내면을 균일하게 연마하여 표면 조도를 저감시키고, 및/또는 압축 잔류 응력을 부여함으로써, 중공 스태빌라이저의 피로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공정 및 제 2 공정이 교대로 반복되고, 연마 미디어 (200) 가 관상 부재 (10) 의 관 내를 왕복해서 흐르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연마 미디어 (200) 가 관상 부재 (10) 의 관 내를 제 1 개구 (11a) 로부터 제 2 개구 (12a) 를 향하여 흐르는 제 1 공정, 또는 관 내를 제 2 개구 (12a) 로부터 제 1 개구 (11a) 를 향하여 흐르는 제 2 공정의 어느 일방만을 실시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공급원 (31) 및 제 2 공급원 (32) 을 별개로 구성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관상 부재 (10) 의 제 1 개구 (11a) 및 제 2 개구 (12a) 에는, 각각 제 1 유로 (21) 및 제 2 유로 (22) 를 통해 동일한 공급원으로부터 연마 미디어를 공급해도 된다. 예를 들어, 관상 부재 (10) 의 관 내를 연마 미디어가 왕복해서 흐르도록, 또는 관 내를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동일한 공급원에 의해 연마 미디어를 공급 또는 회수해도 된다.
실시예 1
실시예 1 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중공 스태빌라이저의 제조 방법을 적용하여,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은 コ 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된 관상 부재의 내면이 연마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에 있어서는, 굽힘 가공된 굽힘부와, 굽힘 가공되지 않은 중앙의 스트레이트부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에 있어서는, 연마 미디어는, 연마제에 탄화규소를 사용하고, 그 입도는, 고정 지석의 입도 #80 ∼ 100 상당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연마 미디어의 공급원으로부터, 압력 5 ㎫, 유속 600 ㎜/min, 연마 시간 20 분의 조건으로, 관상 부재에 연마 미디어를 공급하여, 관 내에 흘렸다.
표 2 에는, 관상 부재의 관 내에 연마 미디어를 흘려 관상 부재의 내면을 연마한 후, 내면의 표면 조도를 촉침식 측정기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2 에는, 굽힘부 및 스트레이트부에 대해, 산술 평균 조도 Ra (단위 ㎛) 및 최대 높이 조도 Rz (단위 ㎛) 가 나타나 있다. 또, 표 2 에는, 비교예로서, 관상 부재의 내면을 연마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한 조건으로 굽힘부 및 스트레이트부에 대해 표면 조도를 측정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Figure 112019115250086-pct00002
도 6 은, 실시예 1 의 조도 파형 데이터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 는 실시예 1 의 굽힘부의 조도 파형이고, 도 6(b) 는 실시예 1 의 스트레이트부의 조도 파형이다. 도 6(c) 는 비교예의 굽힘부의 조도 파형이고, 도 6(d) 는 비교예의 스트레이트부의 조도 파형이다.
표 2 및 도 6 에 의하면, 실시예 1 에 있어서는, 굽힘부 및 스트레이트부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비교예보다 표면 조도가 저감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 에 있어서는, 본 실시형태의 중공 스태빌라이저의 제조 방법이, 굽힘부 및 스트레이트부 모두에 있어서, 관 내의 표면 조도를 충분히 저감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해졌다.
도 7 은, 실시예 1 의 관상 부재의 굽힘부 및 스트레이트부에 있어서, 내면의 둘레 방향으로 랜덤하게 4 점에서 표면 조도를 측정한 결과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 는, 관상 부재의 굽힘부에 대해, 가로축에 나타내는 제 1 점 내지 제 4 점에 대해, 세로축에 굽힘부의 산술 평균 조도 Ra 및 최대 높이 조도 Rz 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에는, 산술 평균 조도 Ra 및 최대 높이 조도 Rz 의 각각의 평균값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7(b) 는, 관상 부재의 스트레이트부에 대해 동일하게 나타내고 있다.
도 7 에 의하면, 도 7(a) 의 굽힘부 및 도 7(b) 의 스트레이트부에 대해, 4 점의 산술 평균 조도 Ra 및 최대 높이 조도 Rz 의 각각이, 4 점의 평균값에 비교적 가까운 수치였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중공 스태빌라이저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굽힘부 및 스트레이트부에 대해, 둘레 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표면 조도가 되도록 내면 연마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해졌다.
도 8 은, 관상 부재 (10) 의 스트레이트부의 내면에 있어서의 잔류 응력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잔류 응력은, X 선 응력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관상 부재 (10) 의 내면으로부터 깊이 방향의 거리에 대해 측정하였다. 도면 중의 측정값 a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관상 부재 (10) 의 내면을 연마한 경우이다. 비교를 위해, 관상 부재 (10) 의 내면을 연마하지 않은 경우도 측정값 b 에 나타내었다.
도 8 의 측정값 b 에 나타내는 내면을 연마하지 않은 경우의 잔류 응력은, 관상 부재 (10) 의 내면에서 정 (正) 의 값을 취하고, 내면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감소하여, 거의 일정한 부 (負) 의 값으로 포화되어 있다. 이것은, 잔류 응력이 내면에 있어서는 인장 응력이고, 내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커지면 압축 응력으로 전환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하여, 측정값 a 에 나타내는 내면을 연마한 경우의 잔류 응력은, 관상 부재 (10) 의 내면에 있어서, 측정값 b 에 나타낸 내면을 연마하지 않은 경우보다 절대값이 큰 부의 값을 취하고, 내면으로부터의 거리와 함께 절대값은 감소하지만, 거의 일정한 부의 값으로 포화되어 있다. 이것은, 내면에 있어서의 잔류 응력의 절대값은 내면을 연마하지 않은 경우보다 크고, 잔류 응력은 내면으로부터의 거리에 관계없이 압축 응력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관상 부재 (10) 의 내면을 연마함으로써, 내면에 압축 잔류 응력을 적절히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관상 부재의 내면의 연마에 의한 압축 잔류 응력의 부여는, 관상 부재의 내면의 연마에 의한 조도 저감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관상 부재 (10) 를 가공하는 공정의 수에 변화는 없고, 작업의 부담이 증가하지는 않는다.
관상 부재의 내면을 균일하게 연마하여 제조한 중공 스태빌라이저의 반복 굽힘 피로 시험의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은, 본 실시형태에 따라 내면을 연마한 것이다. 비교예는, 내면 연마를 실시하고 있지 않다. 피로 시험은, 실시예 1 및 비교예에 대해, 각각 2 개의 샘플을 사용하였다.
Figure 112019115250086-pct00003
표 3 에 의하면, 내면을 균일하게 연마한 중공 스태빌라이저는 반복 굽힘에 대한 내구 횟수가 증대되어, 피로 수명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 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중공 스태빌라이저의 제조 방법을 적용하여,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은 コ 자 형상으로 굽힘 가공된 관상 부재 (10) 의 내면의 연마를 실시하고, 연마 있음, 연마 없음의 각각의 경우의 표면 조도 및 잔류 응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에 있어서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조건에 의해 연마 및 측정을 실시하였다.
도 9 는, 실시예 2 의 표면 조도의 측정 위치를 나타내는 관상 부재 (10) 의 상면도이다. 표면 조도의 측정은, 관상 부재 (10) 의 제 1 단 (11) 으로부터 제 2 단 (12) 을 향하는 순서로, 스트레이트부의 제 1 위치 (P1), 굽힘부의 제 2 위치 (P2), 스트레이트부의 제 3 위치 (P3), 굽힘부의 제 4 위치 (P4) 및 스트레이트부의 제 5 위치 (P5) 에서 실시하였다. 제 1 위치 (P1), 제 3 위치 (P3) 및 제 5 위치 (P5) 는, 관상 부재 (10) 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각각의 스트레이트부의 대략 중앙이다.
도 10 은, 실시예 2 의 표면 조도의 내면에 있어서의 측정 위치를 나타내는 관상 부재 (10) 의 단면도이다. 표면 조도의 측정은, 도 9 에 나타낸 제 1 위치 (P1) 내지 제 5 위치 (P5) 의 각각에 대해, 관상 부재 (10) 의 내벽의 상부 (10a), 하부 (10b), 내측 (10c) 및 외측 (10d) 의 4 개 지점에 대해, 연마 있음, 연마 없음의 각각의 경우로 실시하였다. 여기서, 내측 (10c) 및 외측 (10d) 은, 굽힘부의 제 2 위치 (P2) 및 제 4 위치 (P4) 에 있어서의 관상 부재 (10) 의 굽힘의 방향에 따라 규정되고, 접속하는 스트레이트부의 제 1 위치 (P1), 제 3 위치 (P3) 및 제 5 위치 (P5) 에 대해서도 내측 및 외측이 동일한 방향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 1 위치 (P1) 내지 제 5 위치 (P5) 의 각각에 대해, 상부 (10a), 하부 (10b), 내측 (10c) 및 외측 (10d) 의 4 개 지점의 최대 높이 조도 Rz 의 최대값, 최소값 및 평균값을 구하였다.
도 11 은, 실시예 2 의 표면 조도의 측정 결과 (최대 높이 조도) 의 평균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연마 있음의 꺾은선과 연마 없음의 꺾은선을 비교하면, 연마에 의해 표면 조도는 제 1 위치 (P1) 로부터 제 5 위치 (P5) 에 걸쳐 저하되었다. 표면 조도 (최대 높이 조도) 의 평균값은, 연마 없음에서는 10 ㎛ 를 초과하는 지점이 있는 것에 대하여, 연마 있음에서는 어느 위치도 10 ㎛ 를 초과하고 있지 않다.
실시예 2 에서는, 관상 부재 (10) 의 관 내에 연마 미디어를 흘려 연마하기 때문에, 제 1 위치 (P1), 제 3 위치 (P3) 및 제 5 위치 (P5) 의 스트레이트부와, 제 2 위치 (P2) 및 제 4 위치 (P4) 의 굽힘부라는 관상 부재의 형상에 관계없이 연마 미디어에 의해 일정하게 연마된다. 이 때문에, 스트레이트부 또는 굽힘부라는 관상 부재의 형상에 관계없이, 표면 조도 (최대 높이 조도) 의 평균값은 내면의 전체에 걸쳐 저하되어 있다.
도 12 는, 실시예 2 의 표면 조도의 측정 결과 (최대 높이 조도) 를 관상 부재의 형상별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연마 있음과 연마 없음으로 비교하면, 연마에 의해 최대 높이 조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까지의 폭이 좁아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최대 높이 조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까지의 폭은, 연마 없음에서는 굽힘부에 있어서 10 ㎛ 를 초과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연마 있음에서는 관상 부재의 형상에 상관없이 10 ㎛ 를 초과하고 있지 않다.
실시예 2 에서는, 관상 부재 (10) 의 관 내에 연마 미디어를 흘려 연마하기 때문에, 제 1 위치 (P1), 제 3 위치 (P3) 및 제 5 위치 (P5) 의 스트레이트부와, 제 2 위치 (P2) 및 제 4 위치 (P4) 의 굽힘부라는 관상 부재의 형상에 관계없이 연마 미디어에 의해 일정하게 연마된다. 이 때문에, 스트레이트부 또는 굽힘부라는 관상 부재의 형상에 관계없이, 최대 높이 조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까지의 폭은 내면의 전체에 걸쳐 좁아져 있다.
도 13 은, 실시예 2 의 잔류 응력의 측정 결과를 관상 부재의 형상별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 은, 도 12 와 동일하게, 제 1 위치 (P1), 제 3 위치 (P3) 및 제 5 위치 (P5) 의 스트레이트부와, 제 2 위치 (P2) 및 제 4 위치 (P4) 의 굽힘부라는 관상 부재의 형상별로, 연마 있음, 연마 없음의 각각의 경우의 잔류 응력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다. 연마 있음의 경우, 스트레이트부 또는 굽힘부라는 관상 부재의 형상에 관계없이, 내면에 압축 잔류 응력이 부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에서는, 관상 부재 (10) 의 관 내에 연마 미디어를 흘려 연마하기 때문에, 관상 부재 (10) 가 스트레이트부인지 굽힘부인지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연마된다. 이 때문에, 스트레이트부 또는 굽힘부라는 관상 부재의 형상에 관계없이, 내면의 전체에 걸쳐 압축 잔류 응력이 부여된다.
실시예 2 에서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관상 부재 (10) 의 관 내에 연마 미디어를 흘려 내면을 균일하게 연마하였다. 이것에 의해, 관상 부재 (10) 의 내면의 전체에 걸쳐 표면 조도의 평균값이 10 ㎛ 보다 작아지고, 및/또는 내면의 전체에 걸쳐 압축 잔류 응력이 부여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예 2 의 중공 스태빌라이저도 반복 굽힘에 대한 내구 횟수가 증대되어, 피로 수명의 향상이 도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이 발명은, 자동차 등의 차량에 사용되는 중공 스프링 및 그 제조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10 : 관상 부재
11 : 제 1 단
11a : 제 1 개구
12 : 제 2 단
12a : 제 2 개구
21 : 제 1 유로
22 : 제 2 유로
200 : 연마 미디어

Claims (11)

  1. 중공 스프링의 제조 방법으로서,
    중공 스프링에 사용하는 강관을 제공하고, 상기 강관은, 소정의 형상으로 굽힘 가공되고, 열처리되어 있는 공정과,
    상기 굽힘 가공 및 열처리의 공정의 후에, 상기 강관에 있어서 제 1 개구와 제 2 개구 사이에서 관 내에 점탄성을 갖는 연마 미디어를 흘려 관의 내면을 연마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관의 내면의 전체에 걸쳐 표면 조도를 저감시키는 것과 압축 잔류 응력을 부여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행함으로써 피로 수명을 향상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하는 공정은, 상기 강관의 제 1 개구로부터 제 2 개구를 향하여 상기 연마 미디어를 흘리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미디어를 흘리는 공정은,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강관의 제 1 개구에 상기 연마 미디어를 공급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하는 공정은, 상기 강관의 제 1 개구로부터 제 2 개구를 향하여 상기 연마 미디어를 흘리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2 개구로부터 상기 제 1 개구를 향하여 상기 연마 미디어를 흘리는 제 2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정은,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강관의 제 1 개구에 상기 연마 미디어를 공급함과 함께, 상기 강관의 제 2 개구로부터 상기 연마 미디어를 상기 공급원에 회수하고, 상기 제 2 공정은,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강관의 제 2 개구에 상기 연마 미디어를 공급함과 함께, 상기 강관의 제 1 개구로부터 상기 연마 미디어를 상기 공급원에 회수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 미디어는, 점탄성을 갖는 모재와, 입자상의 연마제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중공 스프링.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7033276A 2017-06-28 2018-06-28 중공 스프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2153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6781 2017-06-28
JP2017126781 2017-06-28
PCT/JP2018/000511 WO2019003477A1 (ja) 2017-06-28 2018-01-11 中空スタビライザ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PCT/JP2018/000511 2018-01-11
PCT/JP2018/024664 WO2019004375A1 (ja) 2017-06-28 2018-06-28 中空ばね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256A KR20190139256A (ko) 2019-12-17
KR102153847B1 true KR102153847B1 (ko) 2020-09-08

Family

ID=6474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3276A KR102153847B1 (ko) 2017-06-28 2018-06-28 중공 스프링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987779B2 (ko)
EP (1) EP3608057B1 (ko)
JP (2) JP6721789B2 (ko)
KR (1) KR102153847B1 (ko)
CN (1) CN110678295B (ko)
BR (1) BR112019025890B1 (ko)
CA (2) CA3133268C (ko)
ES (1) ES2921753T3 (ko)
PH (1) PH12019502534A1 (ko)
RU (1) RU2741437C1 (ko)
TW (1) TWI724311B (ko)
WO (3) WO2019003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100263A (zh) * 2019-06-25 2021-01-01 天陽航太科技股份有限公司 降低工件之內腔表面粗糙度之處理裝置
WO2021229808A1 (ja) * 2020-05-15 2021-11-18 三菱製鋼株式会社 中空ばね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070821A (zh) * 2021-04-30 2021-07-06 广州华德汽车弹簧有限公司 一种用于提高空心稳定杆产品疲劳寿命的方法
JP2023146950A (ja) * 2022-03-29 2023-10-12 日本発條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の製造方法
CN117102273B (zh) * 2023-10-24 2024-02-02 成都先进金属材料产业技术研究院股份有限公司 钛合金无缝管及提高其旋转弯曲疲劳性能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5022A (ja) 2003-05-22 2004-12-09 Fuji Heavy Ind Ltd 歯車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120153A (ja) 2013-12-16 2015-07-02 シーメンス エナ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内部冷却式発電機コイルの研磨クリーニング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39234A (en) * 1959-05-21 1962-06-19 Gen Dynamics Corp Honing apparatus
US3634973A (en) * 1969-08-27 1972-01-18 Extrude Hone Corp Apparatus for abrading by extrusion and abrading medium
JPS60103643A (ja) 1983-11-10 1985-06-07 Fujitsu Ltd 半導体装置
JPS60103643U (ja) * 1983-12-16 1985-07-15 株式会社井上ジャパックス研究所 研摩装置
JPH01281876A (ja) * 1988-05-02 1989-11-13 Mita Giken:Kk 球状弾性砥石
US5070652A (en) * 1990-10-31 1991-12-10 Extrude Hone Corporation Reversible unidirectional abrasive flow machining
JP2822849B2 (ja) * 1992-06-19 1998-11-11 日本鋼管株式会社 自動車用継目無鋼管の製造法
JPH0789325A (ja) 1993-09-21 1995-04-04 Mitsubishi Steel Mfg Co Ltd 中空スタビライザ
US5367833A (en) * 1993-10-22 1994-11-29 Extrude Hone Corporation Unidirectional abrasive flow machining
JP3082558B2 (ja) * 1994-01-28 2000-08-28 日本鋼管株式会社 耐久性に優れた中空スタビライザー
JPH07266837A (ja) * 1994-03-29 1995-10-17 Horikiri Bane Seisakusho:Kk 中空スタビライザの製造法
JPH07266216A (ja) * 1994-03-31 1995-10-17 Hitachi Ltd 砥粒流動加工装置
US5788558A (en) * 1995-11-13 1998-08-04 Localmed,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olishing lumenal prostheses
JP3365474B2 (ja) 1997-04-09 2003-01-14 株式会社ニコン 偏光性イメージング装置
US5746691A (en) * 1997-06-06 1998-05-05 Global Therapeutics, Inc. Method for polishing surgical stents
RU2156448C1 (ru) 1998-12-25 2000-09-20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автоматик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анометрических трубчатых пружин
JP4331300B2 (ja) * 1999-02-15 2009-09-16 日本発條株式会社 中空スタビライザの製造方法
JP4157242B2 (ja) * 1999-11-22 2008-10-01 日本発条株式会社 中空スタビライザと、その製造方法
US6418770B1 (en) * 2000-12-08 2002-07-16 Meritor Suspension Systems Company Method for improving the fatigue life of a tubular stabilizer bar
JP2002331326A (ja) * 2001-03-08 2002-11-19 Nhk Spring Co Ltd 中空スタビライザ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11250B2 (ja) * 2001-05-30 2005-11-02 株式会社堀場エステック 管の内面研磨装置
JP2005059115A (ja) * 2003-08-08 2005-03-10 Nec Tokin Corp 金属管内周面の研磨方法
JP4277724B2 (ja) 2004-03-26 2009-06-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疲労特性に優れた2次加工鋼管
JP2006035364A (ja) * 2004-07-26 2006-02-09 Toshiba Corp 金属部品研磨用投射材および金属部品の研磨方法
JP2006068835A (ja) * 2004-08-31 2006-03-16 Showa Denko Kk 砥粒流動加工法による記録媒体用基板の端面研磨方法
JP4612527B2 (ja) * 2005-11-04 2011-01-12 日本発條株式会社 中空ばね
JP4705456B2 (ja) 2005-11-04 2011-06-22 神鋼メタ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シームレス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17132B2 (ja) * 2006-09-01 2013-06-1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管内面ブラスト装置、鋼管内面ブラスト方法及び内面の表面性状に優れた鋼管の製造方法
KR20130093172A (ko) * 2007-03-14 2013-08-21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심레스 강관을 이용한 중공 스프링
JP5066430B2 (ja) 2007-11-20 2012-11-07 日本発條株式会社 ショットピーニング用反射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ョットピーニング方法
RU2359805C1 (ru) 2008-03-25 2009-06-27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эрокосм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академика М.Ф. Решетнева" (СибГАУ) Способ абразивного полирования отверстий
JP5631184B2 (ja) * 2010-12-03 2014-11-26 日本発條株式会社 中空ば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11764B2 (ja) * 2010-12-13 2015-05-07 日本精線株式会社 銅合金線及び銅合金ばね
WO2013175821A1 (ja) * 2012-05-25 2013-11-2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中空スタビライザ並びに中空スタビライザ用鋼管及びその製造方法
US9669516B2 (en) * 2012-10-15 2017-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urface treatment of objects
SI24359A (sl) * 2013-05-14 2014-11-28 Univerza V Ljubljani Priprave in postopki poliranja z abrazivnim tokom
JP6212473B2 (ja) * 2013-12-27 2017-10-1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強度ばね用圧延材及びこれを用いた高強度ばね用ワイヤ
CN106461007B (zh) * 2014-07-07 2018-12-04 爱信艾达株式会社 螺旋弹簧
KR20170039665A (ko) * 2014-08-01 2017-04-11 닛폰 하츠죠 가부시키가이샤 스테인리스강 스프링, 및 스테인리스강 스프링의 제조 방법
US10065289B2 (en) * 2014-09-02 2018-09-04 Apple Inc. Polishing features formed in components
DE102015217399A1 (de) 2015-09-11 2017-03-16 Thyssenkrupp Ag Rohrfeder für Kraftfahrzeuge und ei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Rohrfeder
JP6662685B2 (ja) * 2016-03-31 2020-03-11 Jx金属株式会社 めっき層を有するチタン銅箔
US10646977B2 (en) * 2016-06-17 2020-05-12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brasive flow machin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45022A (ja) 2003-05-22 2004-12-09 Fuji Heavy Ind Ltd 歯車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120153A (ja) 2013-12-16 2015-07-02 シーメンス エナ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内部冷却式発電機コイルの研磨クリーニ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78295A (zh) 2020-01-10
CA3065750C (en) 2022-01-04
WO2019003397A1 (ja) 2019-01-03
CA3133268C (en) 2023-10-03
US20200094376A1 (en) 2020-03-26
EP3608057A1 (en) 2020-02-12
EP3608057B1 (en) 2022-03-16
US10987779B2 (en) 2021-04-27
PH12019502534A1 (en) 2020-06-29
KR20190139256A (ko) 2019-12-17
RU2741437C1 (ru) 2021-01-26
CN110678295B (zh) 2022-02-18
ES2921753T3 (es) 2022-08-31
WO2019004375A1 (ja) 2019-01-03
BR112019025890B1 (pt) 2021-07-06
TW201907096A (zh) 2019-02-16
JP2020038010A (ja) 2020-03-12
JPWO2019004375A1 (ja) 2019-11-07
CA3065750A1 (en) 2019-01-03
WO2019003477A1 (ja) 2019-01-03
EP3608057A4 (en) 2020-05-06
BR112019025890A2 (pt) 2020-06-30
JP6721789B2 (ja) 2020-07-15
CA3133268A1 (en) 2019-01-03
TWI724311B (zh) 2021-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847B1 (ko) 중공 스프링 및 그 제조 방법
JP4183129B2 (ja) 車両用リーフスプリ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946009B2 (en) Peening method for vehicle suspension spring
JPH05177544A (ja) 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
JPH05148537A (ja) 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
Zeng et al. Research on machining characteristic of double-layer elastomer in pneumatic wheel method
JP2002257169A (ja) 鉄道車両用高疲労強度軸ばね
JP3301088B2 (ja) 耐疲労性に優れたばね
JPH0824938A (ja) 捻回特性の優れた高強度極細鋼線の製造方法
JP2009270150A (ja) 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
JP6724400B2 (ja) 強度と延性のバランスに優れた高強度極細鋼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15038A (ja) 耐久性に優れた中空スタビライザー
JP3009452B2 (ja) 高強度浸炭窒化処理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
JPH05156351A (ja) オイルテンパー線による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
JPH02211922A (ja) トーションバーの製造方法
JP2803915B2 (ja) 高強度コイルばねの疲労強度向上方法
JPS60154835A (ja) コイルスプリングの製造方法
US20070228625A1 (en) Helical compression spring
JP4841364B2 (ja) 230N/mm2以上の疲労強度を有するリンクチェーンの研磨方法
Yin et al. Ultraprecision finishing process integrated ELID grinding and MRF for BK glass
Harada et al. Effect of microshot peening on residual stress of high-toughness spring steel
JPH11118045A (ja) スプ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74273A (ja) 疲労強度に優れたコイルばね
JPH0674274A (ja) 疲労強度に優れたコイルばね
JP2006136929A (ja) 金属線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