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528B1 -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프린터 - Google Patents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528B1
KR101951528B1 KR1020167005109A KR20167005109A KR101951528B1 KR 101951528 B1 KR101951528 B1 KR 101951528B1 KR 1020167005109 A KR1020167005109 A KR 1020167005109A KR 20167005109 A KR20167005109 A KR 20167005109A KR 101951528 B1 KR101951528 B1 KR 101951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artridge
case
electrical contacts
tube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066A (ko
Inventor
다츠오 난조
야스오 고타키
겐타 우다가와
히로시 고시카와
와타루 다카하시
고이치 구보
시게키 후쿠이
나오즈미 나베시마
소지 곤도
마사후미 세키
가즈야 요시이
사토시 기무라
교스케 도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5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6Electrical contacts to the cartridge
    • B41J2/1753Details of contacts on the cartridge, e.g. protection of cont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46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electro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41J2002/17516Inner structure comprising a collapsible ink holder, e.g. a flexible bag

Abstract

프린터 본체와의 양호한 전기 접속을 실현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잉크 접수관(52) 및 복수의 전기 접속부(55)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33)에 대해 착탈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로서, 케이스(2)의 전면(2c)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잉크 접수관(52)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부(8)와, 전면(2c)의 관삽입부(8)보다 위쪽에 설치된 기판(3)과, 복수의 전기 접속부(55)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전기 접점(4)이며, 저면(2b)으로부터 상면(2a)으로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기판(3) 상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4)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프린터 {INK CARTRIDGE, AND INKJET PRINTER}
본 발명은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잉크를 이용하여 인쇄 매체에 인쇄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터 본체의 리시버(카트리지 장착부)에 착탈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에는, 프린터 본체에 설치되는 프린터 본체측 인터페이스부와 접속 가능한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가 설치되어 있다(국제 공개 제2012-054050호 참조). 국제 공개 제2012-054050호에는,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로서 전기 접점이나 잉크 공급구(잉크 배출구, 관삽입구), 카트리지측 락부 등이 설치되어 있다. 프린터 본체측 인터페이스부로서는, 전기 접점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기 접속부나, 잉크 공급구에 삽입되는 잉크 접수관, 카트리지측 락부에 결합하는 프린터 본체측 락 기구 등이 리시버에 설치되어 있다. 잉크 카트리지가 리시버에 삽입되면, 잉크 카트리지의 전기 접점이 리시버의 전기 접속부에 접속됨과 함께, 잉크 카트리지의 공급구에 리시버의 잉크 접수관이 삽입된다. 또한, 카트리지측 락부가 프린터 본체측 락부와 결합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가 리시버에 락된다. 이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와 프린터 본체와의 접속이 완료된다.
국제 공개 제2012-054050호의 도 6 내지 9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전기 접점은 카트리지 장착 방향(Y축 방향)으로 평행한 카트리지 우면의 상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를 리시버에 고정하는 카트리지측 락부는 전기 접점으로부터 먼 카트리지 저면에 설치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2-054050호에 나타나는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에는 개량의 여지가 있다. 예를 들면, 국제 공개 제2012-054050호에서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과 평행한 면에 전기 접점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시나 제거시에, 프린터 본체의 전기 접속부가 잉크 카트리지의 전기 접점 상에 강하게 마찰된다. 그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이나 제거가 반복하여 행해지면, 프린터 본체의 전기 접속부가 마모하여 전기 접속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대해서는,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에 있어서의 각 부위의 구성이나 배치 관계 등에 개량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 접수관 및 복수의 전기 접속부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이며, 상기 잉크 접수관에 공급 가능한 잉크를 수납하기 위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장착 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제1 측면, 상면(上面)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부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으로서,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복수의 전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으로 향하는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의 상기 영역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기술을 개량한 새로운 잉크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와 카트리지 장착부와의 양호한 접속을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잉크젯 프린터가 제공된다.
도 1은 잉크젯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잉크 카트리지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잉크 카트리지에 구비되어 있는 기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잉크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잉크 카트리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잉크 카트리지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잉크 카트리지를 Y축 방향을 따라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잉크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장착 유닛의 장착부에 장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카트리지 장착 유닛의 장착부에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된 장착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카트리지 장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카트리지 장착 유닛으로부터 뽑아낸 조인트 유닛과 잉크 카트리지와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부에 삽입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삽입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BK)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기판상의 전극 패드의 배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기판의 배치나 부착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잉크 카트리지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잉크 카트리지를 Y축 방향을 따라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부에 삽입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삽입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8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잉크 카트리지(18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180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제3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카트리지 장착 유닛으로부터 뽑아낸 조인트 유닛(59)과 잉크 카트리지(1801)와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3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801)에 삽입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삽입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는 제3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BK)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제4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2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3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잉크 카트리지(3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3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5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301)가 장착부에 삽입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삽입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3은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4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잉크 카트리지(4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4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제6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401)가 장착부에 삽입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삽입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5는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5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잉크 카트리지(5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5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제7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501)가 장착부에 삽입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삽입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은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6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잉크 카트리지(6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6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제8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601)가 장착부에 삽입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삽입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9는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7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잉크 카트리지(7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7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제9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701)가 장착부에 삽입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삽입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1은 제10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8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잉크 카트리지(8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8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제1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9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기판을 누르는 용수철이 신장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기판을 누르는 용수철이 압축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제11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901)가 장착부에 삽입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삽입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4는 제1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0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잉크 카트리지(10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35는 제12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001)가 장착부에 삽입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삽입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삽입 도중을 나타내고, (c)는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6은 제1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1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잉크 카트리지(11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11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제1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2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잉크 카트리지(12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12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제1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3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잉크 카트리지(13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13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제15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위치 결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은 제16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케이스(2)의 구성 요소인 제2 케이스 부재(41)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제2 케이스 부재(41)를 갖는 잉크 카트리지(1701)의 사시도이다.
도 41은 제17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9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결합 레버(1926)의 이동에 수반하여 결합부(1924)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2는 제17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901)가 장착부(33)에 삽입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삽입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3은 제18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2001, 2101, 2201, 23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프린터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덧붙여 이하의 각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례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잉크젯 프린터>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잉크젯 프린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는, 잉크 수납 용기로서의 잉크 카트리지(1)가 프린터 본체(이하, 「장치 본체」라고도 한다)(30)에 탑재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프린터 본체(30)는, 캐리지(31), 잉크젯 헤드(32), 장착부(33), 반송 수단(34), 제어부(35) 및 입출력부(36) 외에, 도시하지 않은 개폐 가능한 외장 커버, 급송 수단, 급송 카셋트, 배출 트레이 및 조작부 등을 갖추고 있다. 또한, 프린터 본체(30)는 입출력부(36)를 통해 컴퓨터나 디지털 카메라, 메모리 카드 등의 외부 장치(미도시)와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5)는 프린터 본체(30) 전체의 제어, 잉크 카트리지(1)와의 정보통신의 제어, 입출력부(36)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해석·처리 및 입출력부(36)로의 정보의 출력 등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35)는 캐리지(31), 잉크젯 헤드(32), 반송 수단(34), 급송 수단 등의 각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는 명령을 발행하여, 각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5)는 잉크 카트리지(1)에 설치된 기억 소자로부터 잉크색이나 초기 잉크 충전량, 잉크 소비량 등의 카트리지 고유 정보를 판독하는 제어나, 잉크 카트리지(1)에 설치된 기억 소자에 잉크 소비량 등의 정보를 기입하는 제어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출력부(36)를 통해 입력되는 인쇄 지령이나 화상 데이터 등의 정보를 해석·처리하고, 또한 잉크 잔량 등의 정보를 입출력부(36)로 출력할 수도 있다.
캐리지(31)에는, 잉크젯 헤드(32) 및 잉크 카트리지(1)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장착부(이하, 「카트리지 장착부」 또는 「카트리지 홀더」라고도 함)(33)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도 6이나 도 8 등에 나타나듯이, 잉크젯 헤드(32)와 장착부(33)가 일체화된 헤드 유닛(「카트리지 장착 유닛」이라고도 함)(38)이, 캐리지(31)에 대해 제거 가능하게 탑재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캐리지(31)는 인쇄 매체(37)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X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캐리지(31)에 설치된 장착부(33)는, 시안(C), 블랙(Bk), 마젠타(M) 및 옐로우(Y)의 잉크를 각각 수납하는 잉크 카트리지(1C, 1Bk, 1M, 1Y)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잉크 카트리지(1Bk)는 다른 3개의 잉크 카트리지(1C, 1M, 1Y)보다 큰 폭과 대용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잉크젯 헤드(32)는, 시안(C), 블랙(Bk), 마젠타(M) 및 옐로우(Y)의 잉크를 각각 토출하기 위한 각 색 헤드부를 갖추고 있어 잉크 카트리지(1)로부터 공급되는 잉크가 토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캐리지(31)에 대해 사용자가 잉크 카트리지(1)의 착탈이나 교환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우선 사용자가 캐리지(31)나 반송 수단(34) 등을 덮고 있는 외장 커버(미도시)를 열린 상태로 한다. 외장 커버의 열린 상태가 프린터 본체에 의해 검출되면, 캐리지(31)가 「카트리지 교환 위치(미도시)」로 이동한다. 사용자는 카트리지 교환 위치에 있는 캐리지(31)에 잉크 카트리지(1)를 삽입할 수 있으며 또한, 카트리지 교환 위치에 있는 캐리지(31)로부터 잉크 카트리지(1)를 꺼낼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1)의 착탈이나 교환을 한 후, 사용자가 외장 커버를 닫힌 상태로 하면, 외장 커버의 닫힌 상태가 검출된다. 닫힌 상태가 검출되면, 프린터 본체(30)의 제어부(35)는 캐리지(31)에 장착되어 있는 잉크 카트리지(1)의 기억 소자로부터 잉크 색 정보를 읽어낸다. 제어부(35)는, 읽어낸 잉크 색 정보에 근거하여, 캐리지(31)에 장착되어야 할 모든 색(본 예에서는 4색)의 잉크 카트리지가 갖추어져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캐리지(31)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색의 잉크 카트리지가 존재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제어부(35)는 조작부(미도시)의 표시 패널이나 외부 장치(미도시)의 표시부에 에러 메세지를 표시시키기 위해, 조작부나 외부 장치에 대해 에러 표시 지령을 내린다. 한편, 캐리지(31)에 장착되어야 할 모든 색의 잉크 카트리지가 갖추어져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잉크젯 프린터는 인쇄 가능 상태가 된다.
외부 장치(미도시) 또는 조작부(미도시)로부터 제어부(35)에 인쇄 지령이 입력되면, 제어부(35)는 프린터가 인쇄 가능 상태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인쇄 가능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급송 수단(미도시)이, 급송 카셋트(미도시)에 적재된 인쇄 매체(37)를 픽업하여, 픽업한 인쇄 매체(37)를 반송 수단(34)을 향해 급송한다. 반송 수단(34)은 인쇄 매체의 아래쪽 면을 지지하는 인쇄판(platen), 및 인쇄 매체를 간헐적으로 반송 가능한 반송 롤러, 반송 롤러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수단 등을 갖추고 있어 급송 수단으로부터 급송된 인쇄 매체(37)를 배출 트레이(미도시)를 향하여 반송한다. 인쇄 매체(37)의 반송과 반송의 사이에, 캐리지(31)는 인쇄 매체(37)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X축 방향을 따라 인쇄 매체 상에서 이동한다. 캐리지(31)의 이동 중에 잉크젯 헤드(32)로부터 인쇄 매체(37)를 향해 잉크가 토출되고 이에 의해 인쇄 매체 상에 화상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캐리지의 이동과 인쇄 매체의 반송의 반복에 의해, 인쇄 매체 상에 화상이 형성되어 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 유닛(카트리지 장착 유닛)(38)이 캐리지(31)에 대해서 제거 가능하게 탑재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잉크젯 헤드(32)와 장착부(33)가 개별적으로 캐리지(31)에 제거 가능하게 탑재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장착부(33)가 캐리지(31)와 일체화되어 있고 잉크젯 헤드(32)만이 캐리지(31)에 제거 가능하게 탑재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잉크젯 헤드(32)와 장착부(33)의 양쪽 모두가 캐리지(31)에 일체화되어 있는 형태일 수도 있다. 요컨대, 캐리지(31)는 잉크젯 헤드(32)를 탑재 가능하고 또한, 잉크 카트리지(1)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잉크 카트리지>
다음으로, 도 1의 잉크젯 프린터에서 사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의 일례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4개의 잉크 카트리지(1C, 1Bk, 1M, 1Y)는 수납하는 잉크의 종류, 카트리지 폭(1Bk가 1C, 1M, 1Y보다 큰 폭) 및 후술하는 식별부(9)가 다른 이외에는 기본 구성이 같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대표적으로 잉크 카트리지(1M)의 구성을 「잉크 카트리지(1)」로서 설명한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M)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잉크 카트리지에 갖춰져 있는 기판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정면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잉크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잉크 카트리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잉크 카트리지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잉크 카트리지를 Y축 방향을 따라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케이스)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듯이, 잉크 수납 용기로서의 잉크 카트리지(1)는, 내부에 잉크 수납실(11)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이하, 「카트리지 본체」 또는 「용기 본체」라고도 함)(2)를 갖추고 있다.
케이스(2)는 상벽(上壁)의 외벽면인 상면(上面)(2a), 하벽(저벽)의 외벽면인 하면(저면)(2b), 상벽과 하벽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벽의 외벽면인 복수의 측면(2c 내지 2f)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들 상벽/상면, 저벽/저면 및 복수의 측벽/복수의 측면은,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부에 장착되었을 때의 잉크 카트리지의 방향(자세), 즉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방향(자세)에 의해 정의된다.
복수의 측면은, 제1 측면인 전면(정면)(2c), 제2 측면인 후면(배면)(2d),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제3 측면인 좌면(2e),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제4 측면인 우면(2f)을 포함한다. 전면(2c)은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의 앞쪽(선단)에 위치하는 면이다. 후면(배면) (2d)은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의 뒤쪽(후단)에 위치하는 면이며, 잉크 수납실(11)을 사이에 두고 전면(2c)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좌면(2e)은 잉크 카트리지를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좌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우면(2f)은 잉크 카트리지를 정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우측에 위치하는 면이며, 잉크 수납실(11)을 사이에 두고 좌면(2e)의 반대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케이스(2)는 6개의 주요면을 갖는 개략 직육면체이다. 6면 가운데, 좌면(2e) 및 우면(2f)이 최대 면적을 갖는 면이며, 전면(정면)(2c) 및 후면(배면)(2d)이 최소 면적을 갖는 면이다. 6면의 사이즈 관계는, 전면(2c) 및 후면(2d) < 상면(2a) 및 하면(저면)(2b) < 좌면(2e) 및 우면(2f)과 같이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2)의 사이즈는 예를 들면, 높이(Z축 방향의 사이즈)가 약 4.7cm, 깊이(Y축 방향의 사이즈)가 약 8.4cm, 폭(X축 방향의 사이즈)이 약 1.6mm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좌면(2e) 및 우면(2f)의 면적은, 약 39.48(=4.7×8.4)cm2가 된다. 상면(2a) 및 하면(2b)의 면적은 약 13.44(=1.6×8.4)cm2가 된다. 전면(정면)(2c) 및 후면(배면)(2d)의 면적은 약 7.52(=1.6×4.7)cm2가 된다. 또한, 여기에서 예시한 높이, 깊이 및 폭의 구체적인 숫자는, 케이스(2)의 사이즈에 적용 가능한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실시 형태의 케이스(2)의 사이즈가 이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전면(2c)인 제1 측면을 갖는 제1 측벽을 「전벽」, 후면(2d)인 제2 측면을 갖는 제2 측벽을 「후벽」, 좌면(2e)인 제3 측면을 갖는 제3 측벽을 「좌벽」, 우면(2f)인 제4 측면을 갖는 제4 측벽을 「우벽」이라고 한다. 전벽과 후벽은 잉크 수납실(1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고 또한, 좌벽과 우벽은 잉크 수납실(1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다.
도 2에 대해, X축 방향은 잉크 카트리지(1)의 폭 방향이며, 캐리지에 탑재된 상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의 이동 방향(캐리지의 이동 방향)이기도 하다. 「폭방향」은 케이스(2)의 우면(2f)으로부터 좌면(2e)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Y축 방향은 잉크 카트리지의 깊이 방향이며,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삽입 방향) 및 제거 방향(탈착 방향)이기도 하다. 「깊이 방향」은 케이스(2)의 전면(2c)으로부터 후면(2d)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Z축 방향은 잉크 카트리지의 높이 방향이며,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높이 방향」은 케이스(2)의 하면(2b)으로부터 상면(2a)으로 향하는 방향이다. 또한, θx 방향은 X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는 회전 방향이며, θy 방향은 Y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는 회전 방향이며, θz 방향은 Z축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는 회전 방향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X축 방향은 좌면(2e) 및 우면(2f)에 직교하고, Y축 방향은 전면(정면)(2c) 및 배면(2d)에 직교하며, Z축 방향은 상면(2a) 및 하면(저면)(2b)에 직교하게 된다.
다만, 후술하는 대로, 본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케이스의 형상은 직육면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케이스를 구성하는 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케이스를 구성하는 면의 전부 또는 일부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이들 면에 X축, Y축, Z축이 직교한다고는 할 수 없다.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듯이, 케이스의 전면(2c)에는, 전기 접점(4)이 설치된 기판(3), 위치 결정부로서의 위치 결정 구멍(6), 관통부로서의 관통구(27), 관삽입부로서의 관삽입구(8) 및 식별부(9)가 설치되어 있다. 전기 접점(4), 위치 결정 구멍(6), 관통구(27), 관삽입구(8) 및 식별부(9)는 장착부(33)에 설치된 프린터 본체측 인터페이스부와 접속 또는 결합되는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로서 기능한다.
전기 접점(4), 위치 결정 구멍(6), 관통구(27), 관삽입구(8) 및 식별부(9)는, 각각 도 8이나 도 9에 나타나는 프린터 본체측 인터페이스부인 전기 접속부(55), 위치 결정 핀(53), 개봉 핀(51), 잉크 접수관(52), 식별 부재(60)에 접속 또는 결합된다. 프린터 본체측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도 8이나 도 9 등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이하,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를 중심으로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듯이, 관삽입구(8)는 케이스(2)의 전면(2c)의 하부(상면(2a)보다 저면(2b)에 가까운 부분)인 저면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관삽입구(8)는 관삽입로(22)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관삽입로(22)의 타단부는 잉크 수납실(11)에 접속되어 있다. 관삽입로(22)는 카트리지 깊이 방향(관삽입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 Y축 방향)을 따라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연장되어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는 중공로(中空路) 전역이 카트리지 깊이 방향(관삽입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삽입로(22)는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잉크 접수관(52)을 수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관삽입구(8)가 설치된 일단부로부터 카트리지 깊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 형상의 연장부가 관삽입로(22)의 일부에만 설치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듯이, 관삽입로(22)에는, 탄성체로서의 시일 부재(19)가 설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19)의 안쪽(관삽입구(8)보다 잉크 수납실(11)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는 개폐 가능한 슬릿이 설치되어 있어 잉크 접수관(52)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슬릿은 닫힌 상태로 되어 있다. 슬릿이 닫힌 상태에 있어서, 관삽입구(8)와 잉크 수납실(11)은 비연통 상태가 되어 있다. 잉크 접수관(52)이 관삽입로(22)에 삽입되면, 그 슬릿은 확대되어 개구되고, 잉크 접수관(52)과 잉크 수납실(11)과의 연통이 확보됨과 함께, 잉크가 누출되는 일이 없도록 시일 부재(19)의 내주면이 잉크 접수관(52)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이와 같이 하여 관삽입로(22)에 잉크 접수관(52)이 삽입됨으로써 잉크 수납실(11) 내의 잉크가 잉크 접수관(52)에 공급 가능한 상태로 된다.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시에 있어서 관삽입구(8)에는 잉크 접수관(52)이 삽입되므로, 이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예를 들면, 전면(2c)을 따른 방향인 X축 방향이나 Z축 방향)으로의 케이스(2)의 이동이 규제된다. 즉, 관삽입부로서의 관삽입구(8)는 전면(2c)의 면내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삽입부로서 관삽입구(개구)를 채용하고 있지만, 관삽입부는 개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삽입부(8)는, 잉크 접수관(52)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되기 때문에, 잉크 접수관(52)이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반드시 개구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관삽입부(8)는, 잉크 접수관(52)이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닫혀져 있고, 잉크 접수관(52)이 삽입된 때에만 개구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관삽입로, 관삽입구 및 관삽입부는 각각 기능면에서 이하와 같이 칭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관삽입로(22)」는, 잉크 접수관(52)을 받는 부위이기도 하므로, 「관접수로」라고 할 수도 있다. 「관삽입구(8)」는, 관접수로의 일단에 위치하여, 잉크 접수관(52)을 받기 위한 개구이기도 하므로, 「관접수구」라고 할 수도 있다. 「관삽입부(8)」는, 관접수로의 일단에 위치하여 잉크 접수관(52)을 받기 위한 부위이기도 하므로, 「관접수부」라고도 한다.
또한, 관삽입로, 관삽입구 및 관삽입부는 각각 기능면에서 이하와 같이 칭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관삽입로(22)」는 카트리지 외부(잉크 접수관(52))로 잉크 수납실(11) 내의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로이기도 하므로, 「잉크 공급로」라고 할 수도 있다. 「관삽입구(8)」는 잉크 공급로의 일단에 위치하여 잉크 수납실(11) 내의 잉크를 카트리지 외부(잉크 접수관(52))로 공급하기 위한 개구이기도 하므로, 「잉크 공급구」라고 할 수도 있다. 「관삽입부(8)」는 잉크 공급로의 일단에 위치하여 잉크 수납실(11) 내의 잉크를 카트리지 외부(잉크 접수관(52))로 공급하기 위한 부위이기도 하므로, 「잉크 공급부」라고 할 수도 있다.
또한, 관삽입로, 관삽입구 및 관삽입부는 각각 기능면에서 이하와 같이 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관삽입로(22)」는 잉크 수납실(11) 내의 잉크를 카트리지 외부로 배출 가능한 배출로이기도 하므로, 「잉크 배출로」라고 할 수도 있다. 「관삽입구(8)」는 잉크 배출로의 일단에 위치하여, 잉크 수납실(11) 내의 잉크를 카트리지 외부로 배출 가능한 개구이기도 하므로, 「잉크 배출구」라고 할 수도 있다. 「관삽입부(8)」는 잉크 배출로의 일단에 위치하여, 잉크 수납실(11) 내의 잉크를 카트리지 외부로 배출 가능한 부위이기도 하므로, 「잉크 배출부」라고 할 수도 있다.
도 5의 (a)에 나타나듯이, 잉크 카트리지(1)가 장착부(33)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 즉 잉크 카트리지(1)의 미사용 상태에서는, 밀봉 부재로서의 밀봉 필름(18)이 관삽입구(8)를 덮도록 관삽입구(8)의 주위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이 밀봉 필름(18)(「관삽입구 밀봉 필름」, 「공급구 밀봉 필름」, 또는, 「관접수구 밀봉 필름」이라고도 함)은 물류시 등의 카트리지 사용 전에 있어서의 잉크 누출을 방지하는 잉크 누출 방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밀봉 필름(18)은 잉크 카트리지(1)의 장착시에 잉크 접수관(52)에 의해 개봉된다.
전기 접점(이하, 「카트리지측 전기 접점」이라고도 함)(4)으로서의 전극 패드를 구비한 기판(3)은 케이스(2)의 전면(2c)의 공급구(8)보다 위쪽의 위치, 보다 상세하게는, 상면(2a)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나듯이, 기판(3)의 상면에는 복수의 전기 접점(4)이 설치되고 기판(3)의 이면에는 기억 소자(5)가 설치되어 있다. 전기 접점(4)과 기억 소자(5)는 기판에 설치된 관통 구멍을 통해서 배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기판(3)의 「이면」이란 케이스의 안쪽을 향한 면을 가리키며, 기판(3)의 「상면」이란 케이스의 외측으로 향한 면을 가리킨다. 기판(3)의 형상이나 구조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 접점(4)이나 기억 소자(5)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된다. 기판(3)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와 에폭시 수지를 혼합해 판상으로 한 것에 배선 패턴을 형성한 이른바 글래스 에폭시 기판이어도 되고, 필름 위에 배선 패턴을 형성한 이른바 플렉시블(flexible) 기판이어도 된다.
기억 소자(5)는 정보 기억부(메모리부)와 제어 회로를 구비한 IC 칩이다. 정보 기억부에는 카트리지 고유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카트리지 고유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잉크 수납실에 수납되는 잉크의 색에 관한 정보나 잉크의 초기 충전량에 관한 정보, 잉크 수납실로부터 외부로 공급된 잉크의 소비량에 관한 정보, 카트리지의 제조 연월일에 관한 정보 등을 들 수 있다. 정보 기억부(메모리부)의 구성은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EEPROM나 FeRAM 등 여러 가지의 형태가 적용 가능하다. 한편, 제어 회로는 프린터 본체(30)의 제어부(35)로부터 보내져 온 정보를 해석하고, 정보 기억부에 정보를 기입하고, 정보 기억부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제어부(35)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어 회로는 제어부(35)로부터 보내져 온 잉크 소비량 정보나 잉크 색 정보 등을 해석하고, 또한 이들 잉크 소비량 정보나 잉크 색 정보 등을 정보 기억부에 기입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는 정보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잉크 색 정보나 잉크 소비량 정보 등을 판독하고, 또한 판독한 정보를 제어부(35)로 출력할 수도 있다.
카트리지측 전기 접점(4)으로서의 전극 패드는 본체측 전기 접점(55)(이하, 「전기 접속부」라고도 함)으로서의 전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고, 도 3의 (a)와 같이 전극 패드(4)의 일부가 전극 단자(55)와의 접촉 위치(4a)가 된다. 기판(3)의 상면에는 전기 접점(전극 패드)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전기 접점(4)에는, 예를 들면, 프린터 본체로부터 클럭 신호가 입력되는 접점, 잉크 소비량 등의 데이터가 입출력되는 접점, 기억 소자를 동작시키는 전원이 프린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접점, 접지에 접속되는 접점 등이 포함된다. 또한, 도 3에서는 전기 접점의 개수가 5개인 경우를 예시했지만, 전기 접점의 개수는 5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증감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 패드(4)는 후술하는 도 8이나 도 9에 나타나듯이 장착부(33)에 배치된 전극 단자(55)에 접속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그 때문에, 전극 패드(4)를 카트리지 장착 방향(Y축 방향)과 교차하는 면(예를 들면, 카트리지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기판(3) 상의 영역)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술한 카트리지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 복수의 전극 패드(4)를 카트리지 높이 방향(Z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전극 패드(4)를, 「카트리지 높이 방향(Z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일례인 카트리지 폭 방향(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시키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도 3의 (a)의 예에서는, 복수의 전극 패드(4)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Y축 방향)과 직교하는 XZ면인 전면(2c)에 카트리지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지만, 이 배치는 바람직한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XZ면에 대해서 기울기를 갖는 면에 복수의 전극 패드(4)가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도 3의 (a)에 나타나는 전극 패드의 배치를 표현하는 것에는, 여러가지 표현 방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전극 패드(4)는 카트리지 깊이 방향(Y축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에 카트리지 높이 방향(Z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고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극 패드(4)는 관삽입구(8)를 갖는 관삽입로(22)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에, 카트리지 높이 방향(Z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복수의 전극 패드(4)는 관삽입구(8)의 형성면/형성 영역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에, 카트리지 높이 방향(Z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전극 패드(4)는 관삽입구(8)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에, 카트리지 높이 방향(Z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극 패드(4)는, (1) 카트리지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2) Y축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3) 카트리지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4)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5) 관삽입로(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또는 (6) 관삽입구(잉크 배출구)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 패드(4)가 전극 단자(55)에 접속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1)의 기억 소자(5)와 프린터 본체(30)의 제어부(35)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제어부(35)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기억 소자(5)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예를 들면, 상기 카트리지 고유 정보)를 판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제어부(35)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기억 소자(5)에 정보(예를 들면, 잉크 소비량에 관한 정보)를 기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듯이, 위치 결정부(6)는 케이스(2)의 전면(2c)의 길이 방향(높이 방향)에 있어서 관삽입구(8)와 전기 접점(4)과의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위치 결정부(6)는 관삽입구(8)보다 위쪽이고 전기 접점(4)보다 아래쪽에, 또한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6)는 앞이 가는 원기둥 형태의 위치 결정 핀(53)이 삽입되는 부위이며, 위치 결정 핀(53)과 결합(예를 들면, 끼워맞춤(嵌合))함으로써, 카트리지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예를 들면, 전면(2c)에 나란한 방향인 X축 방향이나 Z축 방향)으로의 케이스(2)의 이동을 규제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위치 결정부(6)는 위치 결정 핀(53)과의 결합(예를 들면, 끼워맞춤)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예를 들면, 전면(2c)에 나란한 방향)으로의 카트리지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여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위치 결정부(6)는 전벽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부여도 되고, 전벽에 설치된 오목부여도 되지만, 어느 것이든 위치 결정 핀(53)이 삽입되는 위치 결정구를 갖는 구성은 바람직한 일례이다. 또한 관삽입구(8)에 잉크 접수관(52)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도 어느 정도의 카트리지 이동은 규제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장착부에 대한 잉크 카트리지의 고정밀의 위치 결정을 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위치 결정부(6)와 후술하는 위치 규제면(10)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듯이, 대기 연통구(7) 및 관통구(27)는 카트리지 높이 방향에 대해 관삽입구(8)와 위치 결정부(6)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즉, 대기 연통구(7) 및 관통구(27)는 관삽입구(8)보다 위쪽이면서 위치 결정부(6)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대기 연통구(7) 및 관통구(27)는 개봉 핀(51)이 삽입되는 부위이다. 관통구(27)는 전벽에 설치된 관통 구멍이며, 개봉 핀이 통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대기 연통구(7)는 대기 연통로(16)의 일단부에 설치된 개구이며, 관통구(27)보다 안쪽의 위치,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 깊이 방향에 있어서 전벽과 잉크 수납실(11)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내벽인 대기 연통구 형성벽에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의 장착부(33)에의 장착시에, 개봉 핀(51)은 우선 관통구(27)에 삽입되고 그 후, 관통구(27)를 통과한 개봉 핀(51)이 대기 연통구(7)에 삽입되게 된다.
도 5의 (a)에 나타나듯이, 대기 연통로(16)의 일단부는 대기 연통구 형성벽에 설치된 개구인 대기 연통구(7)이며, 대기 연통로(16)의 타단부는 잉크 수납실(11)에 접속되어 있다. 대기 연통로(16)와 잉크 수납실(11)과의 접속 부분에는 메니스커스(meniscus) 힘을 갖는 필터(15)가 배치되어 있다. 잉크가 소비되어 잉크 수납실 내의 부압(負壓)이 필터의 메니스커스 힘 이상에 이르면, 대기 연통로측의 대기는 필터(15)의 메니스커스를 깨고 잉크 수납실 내에 도입되어 연통 상태가 된다. 연통 상태에서는, 잉크 수납실(11)로부터 잉크가 소비된 만큼만, 대기 연통로(16)를 통해 잉크 수납실(11)에 대기가 도입되므로, 잉크 수납실(11) 내의 부압이 너무 높아지지는 않는다. 따라서, 잉크 수납실(11) 내의 부압이 너무 높아지는 것에 기인하여 잉크 수납실(11)로부터 외부로의 잉크 공급이 곤란해지는 것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고,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거의 모두 다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도 5의 (a)에 나타나듯이, 잉크 카트리지(1)의 미사용 상태에서는, 밀봉 부재로서의 밀봉 필름(17)이 대기 연통구(7)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하, 밀봉 필름(17)을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이라고도 한다.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은 도 4에 나타나듯이, 가요성 부재(12)의 주요면에 대해서 약 90° 굽은 상태로 되어 있어, 제1 케이스 부재(40)에 설치된 대기 연통구(7)를 덮도록 제1 케이스 부재(40)의 내벽인 대기 연통구 형성벽에 밀착되어 있다. 그리고, 잉크 카트리지(1)의 장착시에, 관통구(27)를 통해 대기 연통구(7)에 삽입되는 개봉 핀(51)에 의해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은 개봉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은 가요성 부재(12)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이 가요성 부재(12)와는 별개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은 물류시 등의 카트리지 사용 전에 있어서의 잉크 증발이나 잉크 누출을 억제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이 개봉되는 타이밍은 잉크 카트리지의 사용 직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잉크 카트리지(1)가 프린터 본체에 장착되는 타이밍에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이 개봉되도록 하기 위해, 프린터 본체의 개봉 핀(51)에 의해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이 개봉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의 (a)에 나타나듯이,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은 전면(2c)보다 안쪽 위치, 구체적으로는, 전면과 잉크 수납실과의 사이의 위치이면서 유저가 건드릴 수 없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 사용 전에,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이 유저에 의해 벗겨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식별부(9)는 잉크 카트리지(1)가 잘못된 장착 위치(다른 색의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되어야 할 위치)에 장착되어 버리는 것을 기계 구조적으로 막는 기능을 갖는 부위이며, 잉크색마다 독특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식별부(9)는 도 2나 도 4에 나타나듯이 오목부를 가지고 있어 이 오목부의 위치가 잉크 카트리지의 색마다 차이가 난다. 이 식별부(9)에 대응하도록, 카트리지 장착부(33)에는 식별 부재(60)로서의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다(도 9 참조). 이 볼록부의 위치는 장착부마다 달라서, 다른 색의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 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식별부(9)는 도 2나 도 4에 나타나듯이, 케이스(2)의 전면(2c)의 길이 방향(높이 방향)에 있어서 관삽입구(8)와 전기 접점(4)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식별부(9)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그 배치 범위는 위치 결정부(6)와 관통구(27)와의 길이 방향의 거리보다 광범위하게 걸쳐 있다.
또한, 도 2나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케이스(2)의 전면(2c)에 있어서의 관통구(27)의 주위의 부분은 원통형으로 높게 되어 있다. 이 높아진 부분 및 그 근방 부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착부(33)에 설치된 이젝트 용수철(57)과 접촉 가능한 이젝트 용수철 접촉부(23)로서 기능한다(도 9 참조). 도 9의 점선으로 나타나는 이젝트 용수철 접촉부(23)는,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젝트 용수철(57)에 의해 카트리지 제거 방향으로 눌리고 있다. 즉, 이젝트 용수철 접촉부(23)는 잉크 카트리지(1)를 제거하는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력 또는 잉크 카트리지(1)를 제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외력)을 이젝트 용수철(57)로부터 받는 힘수용부로서 기능한다. 이젝트 용수철 접촉부(23)의 위치는 카트리지 높이 방향에 있어서 전기 접점(4)과 관삽입구(8)와의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 결정부(6)보다 아래쪽이며 또한 관삽입구(8)보다 위쪽이다.
이상과 같이 케이스(2)의 전면(2c)에는, 전기 접점(4), 위치 결정부(위치 결정구)(6), 관통구(27), 관삽입구(8), 식별부(9), 이젝트 용수철 접촉부(힘수용부)(23) 등의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가 집중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를 집중 배치함으로써, 프린터 본체측 인터페이스부도 집중 배치가 가능해지며, 이에 의해 프린터 본체측 인터페이스부를 유닛화할 수 있고 또한 그 유닛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는 케이스(2)의 전면(2c)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케이스(2)의 상면(2a)에도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2)의 상면(2a)에는, 도 8에 나타낸 장착부(33)에 설치되는 걸림 레버(58)의 걸림부(54)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24)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나 도 5에 나타나듯이, 결합부(24)는 이젝트 용수철(5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잉크 카트리지(1)를 장착 완료 위치에 보유 지지시키기 위해서, 걸림부(54)로서의 걸림돌기에 결합 가능한 오목부이다. 결합부(24)는 잉크 카트리지(1)를 카트리지 장착부(33)에 고정하기 위한 락부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결합부(24)로서 오목부는 도 5 및 도 10에 나타나듯이, Y축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24a)인 측부를 가지고 있고 해당 영역(24a)의 적어도 일부가 걸림돌기(54)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영역(24a)은, 전기 접점(4)이 설치된 기판(3) 상의 영역의 수직선 또는 전기 접점(4)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이며,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영역(24a)은 상기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또한, 상기 영역(24a)은 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이기도 하고, 또한 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 영역(24a)은 잉크 배출구(8)의 중심선(잉크 배출구(8)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이기도 하다.
결합부(24)와 걸림부(54)가 결합한 결합 상태(락 상태)에 있어서는, 잉크 카트리지(1)를 장착 완료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와 프린터 본체측 인터페이스부와의 접속 상태(예를 들면, 전기 접점(4)과 전기 접속부(55)와의 접속 상태, 위치 결정부(6)와 위치 결정 핀(53)과의 접속 상태(위치 결정부(6)와 위치 결정 핀(53)과의 결합(예를 들면, 끼워맞춤 상태), 관삽입구(8)과 잉크 접수관(52)과의 접속 상태(관삽입구(8)에 잉크 접수관이 삽입된 삽입 상태), 잉크 수납실(11)과 잉크 접수관(52)과의 연통 상태 등)가 유지된다. 한편, 결합부(24)와 걸림부(54)와의 결합 상태(락 상태)가 해제되면, 잉크 카트리지(1)는 이젝트 용수철(57)의 가압력에 의해 제거 방향으로 이동되어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와 프린터 본체측 인터페이스부와의 접속 상태도 해제된다. 이와 같이, 결합부(24)는 걸림부(54)와 함께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와 프린터 본체측 인터페이스부와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보면, 결합부(24)는 이젝트 용수철(5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잉크 카트리지(1)의 제거 방향(예를 들면, 전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2)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부위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결합부(24)의 영역(24a)이 상기 규제력을 걸림 레버(58)의 걸림돌기(54)로부터 받게 된다. 이와 같이 결합부(24)는 잉크 카트리지(1)의 외부로부터 받는 힘(외력)에 의해 생기는 케이스(2)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부재이다.
도 2나 도 5 등에 나타나듯이, 결합부(24)는 케이스(2)의 상면(2a)에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24)가 케이스(2)의 상면(2a)에 설치되는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결합부가 케이스의 저면에 설치된 구성에 비해, 결합부(24)와 전기 접점(4)과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락에 수반하여 결합부(24)를 중심으로 한 위치 어긋남이 생겼다 하더라도, 그 어긋남에 기인한 전기 접점의 위치 어긋남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양호한 전기 접속을 실현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24)를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잉크 카트리지와 프린터 본체와의 양호한 접속을 실현하기 쉽다. 즉, 잉크 카트리지와 프린터 본체와의 양호한 접속을 행하는데 있어서, 전기 접점(4)이 관삽입구(8)보다 전후 방향(Y축 방향)의 이동 허용 범위가 좁다. 즉, 전기 접점(4)이 관삽입구(8)보다 카트리지의 전후 방향(Y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해서 엄격하다. 한편, 결합부(24)와 걸림부(54)와의 결합시(락시)에 있어서, 결합부(24)를 회전 중심으로 한 θx 방향으로의 케이스(2)의 이동에 수반하는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결합부(24)를 회전 중심으로 한 θx 방향으로의 케이스(2)의 이동에 수반하는 전후 방향으로의 케이스(2)의 이동량이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쪽이 작아지도록, 결합부(24), 관삽입구(8) 및 전기 접점(4)의 배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결합부(24)를 케이스(2)의 상면(2a)에 배치하고, 이에 의해, 결합부(24)를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의 근처에 위치시키는 것은 바람직한 일례이다.
또한, 도 2나 도 5 등에 나타나듯이, 결합부(24)는 케이스(2)의 상면(2a)의 길이 방향(깊이 방향)에 있어서 배면(2d)보다 전면(2c)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24)를 전기 접점(4)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결합부(24)와 전기 접점(4)과의 사이의 Y축 방향의 길이 공차를 작게 할 수 있고 카트리지 장착시의 결합부(24)에 대한 전기 접점(4)의 전후 방향(Y축 방향)의 위치 공차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전후 방향의 위치 공차가 작으면 전극 단자(55)의 전후 방향의 이동 가능량(stroke)을 작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나듯이, 케이스(2)의 좌면(2e) 및 우면(2f)에 있어서의 전면 근방이면서 동시에 저면 근방에 설치되는 위치 규제면(10)은, 잉크 카트리지(1)가 장착부(33)에 장착될 때에 도 8이나 도 9 등에 나타나는 장착부(33)의 위치 결정벽(56)에 접촉하는 접촉면이다. 이 좌우의 위치 규제면(10)은 위치 결정벽(56)에 접촉하여 X축 방향 및 θy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잉크 카트리지는 좌면(2e) 및 우면(2f)에 위치 규제면(10)이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저면(2b)의 전면 근방에 Y축 방향을 따라 2개의 홈을 형성하고, 그 2개의 홈의 측면을 위치 규제면(10)으로 하여도 된다. 요컨대, 위치 규제면(10)은 잉크 카트리지의 저면 근방이 위치 결정벽(56)에 접촉하여 X축 방향 및 θy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면이면 된다.
(잉크 수납실)
다음으로, 잉크 수납실의 구성을 중심으로 잉크 카트리지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잉크 카트리지를 분해한 분해도이다. 케이스(2)는 상면(2a), 저면(2b), 전면(2c), 배면(2d) 및 좌면(2e)을 포함한 제1 케이스 부재(40)와 우면(2f)를 포함한 제2 케이스 부재(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케이스 부재(41)는 제1 케이스 부재(40)의 개구를 막는 덮개 부재로서 기능한다. 잉크 수납실(11)은 제1 케이스 부재(40)의 내벽면과 이 제1 케이스 부재(40)의 내벽 가장자리에 용착된 가요성 부재(12)(유연성이 있는 시트)에 의해 구성되는 내부 공간에 잉크를 수납하는 방이다.
시일 부재 유닛(20)은 제1 케이스 부재(40)에 설치된 관삽입로(22)에 끼워지는 부재이다. 시일 부재 유닛(20)은 일단에 개폐 가능한 슬릿이 설치되고 타단이 개구하고 있는 원통형의 시일 부재(19)와 시일 부재(19)의 외주면과 일체화된 외장(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일 부재 유닛(20)이 관삽입로(22)에 삽입되면, 상기 타단의 개구가 관삽입구(8)를 구성하게 된다.
잉크 수납실(11)의 내부에는, 부압 발생 부재로서의 부압 발생 용수철(13)과 제1 케이스 부재(40)의 내벽 둘레보다 한층 더 작은 판 부재(14)가 배치된다. 부압 발생 용수철(13)의 일단은 제1 케이스 부재(40)의 좌면(2e) 내벽에 결합되고 부압 발생 용수철(13)의 타단은 판 부재(14)에 결합된다. 부압 발생 용수철(13)은 판 부재(14)를 통해 가요성 부재(12)를 잉크 수납실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잉크 수납실 내를 일정한 부압의 범위로 유지한다. 잉크 수납실(11)의 외부로의 잉크 공급에 의해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가 감소하면, 잉크 수납실(11) 내의 부압은 높아지려고 하지만, 부압 발생 용수철(13)이 줄어들고, 그에 따라 판 부재(14)가 잉크 수납실(11)의 내부 용적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부압의 상승을 억제한다.
잉크 수납실(11)과 제2 케이스 부재(41) 사이의 공간(비잉크 수납 공간)은 잉크 카트리지(1)의 뒤벽에 설치된 연통로(미도시) 및 대기 개구(26)(도 6 참조)를 통해 잉크 카트리지(1)의 외부와 연통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잉크 카트리지(1)의 뒤벽에는 사행(蛇行) 형상의 홈(미도시)이 설치되어 있고, 이 홈의 일단은 상기 비잉크 수납 공간에 연통하고 있으며, 또한 타단은 대기 개구(26)에 연통하고 있다. 그리고, 이 사행 형상의 홈을 덮도록 라벨(25)(도 6 참조)이 붙어 있고 라벨(25)에 의해 덮인 홈이 상기 비잉크 수납 공간과 대기 개구(26)를 연통하는 연통로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판 부재(14)가 잉크 수납실(11)의 내부 용적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잉크 수납실(11)과 제2 케이스 부재(41) 사이의 공간(비잉크 수납 공간)에는 대기 개구(26)로부터 연통로(미도시)를 통해 대기가 도입된다.
상기 판 부재(14)의 이동이 행해짐으로써 잉크 공급은 행해지지만, 더불어 잉크 소비가 진행되어 잉크 수납실(11) 내의 부압이 필터(15)의 메니스커스 힘 이상에 이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 연통로(16)로부터 필터(15)를 통과해 잉크 수납실(11) 내로 공기가 도입되게 된다. 그 이후에는, 잉크가 공급된 만큼만 대기 연통로(16)로부터 대기가 잉크 수납실 내에 도입되므로, 잉크 수납실의 부압은 일정 범위 내로 유지되어 부압이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잉크 공급의 도중으로부터 대기가 잉크 수납실 내에 들어가게 함으로써,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대부분 모두 다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잉크의 주입>
본 실시 형태에 대해, 잉크 카트리지(1)에 잉크를 주입하는 방법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것 같이 빈 잉크 카트리지(단, 관삽입구 밀봉 필름(18)을 제외한다)를 준비하고, 그 후 관삽입구(8)로부터 잉크를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잉크 주입 후에 관삽입구 밀봉 필름(18)을 케이스(2)의 전면(2c)에 붙인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이 가요성 부재(12)와는 별개 부품으로서 구성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잉크 카트리지를 제조할 수도 있다. 우선,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빈 잉크 카트리지(단,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 및 관삽입구 밀봉 필름(18)을 제외한다)를 준비한다. 구체적으로는, (i) 잉크 수납실(11)과 (ii) 잉크 수납실(11)에 대기를 도입 가능한 대기 연통로(16)와 (iii) 개봉 핀(51)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 구멍(27)이 형성된 관통 구멍 형성벽(전벽 (2c))과 (iv) 관통 구멍 형성벽(전벽)과 잉크 수납실(11) 사이에 위치하여, 대기 연통로(16)의 단부에 위치하는 대기 연통구(7)가 형성된 대기 연통구 형성벽을 갖는 케이스(2)를 준비한다. 이어서, 관통 구멍(27)을 통과한 개봉 핀(51)에 의해 개봉 가능한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을, 대기 연통구(17)를 덮도록 붙인다. 그 다음에, 잉크를 주입하고, 마지막으로 잉크 접수관(52)에 의해 개봉 가능한 관삽입구 밀봉 필름(18)을 케이스(2)의 전면(2c)에 붙인다. 이와 같이 하여 잉크 카트리지(1)를 제조할 수도 있다.
<카트리지 장착 유닛>
다음으로, 잉크 카트리지(1)가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장착 유닛(헤드 유닛)(38)의 구성에 대해 도 6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잉크 카트리지(1)가 도 1에 나타나는 카트리지 장착 유닛(38)의 장착부(33)에 장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나는 카트리지 장착 유닛(38)의 장착부(33)에 잉크 카트리지(1)가 장착된 장착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카트리지 장착 유닛(38)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카트리지 장착 유닛(38)으로부터 뽑아낸 조인트 유닛(이하, 「본체측 접속 유닛」이라고도 한다)(59)과 잉크 카트리지(1)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9에는 2색의 잉크 카트리지에 대응하는 조인트 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 유닛(헤드 유닛)(38)은 잉크젯 헤드(32)와 카트리지 장착부(33)가 일체화된 것이며, 도 1의 캐리지(31)에 제거 가능하게 탑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착부(33)는 도 6 및 도 8에 나타나듯이 전면에 개구를 갖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49)과 프레임의 안쪽에 배치된 조인트 유닛(59)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49)의 내부 공간에, 각 잉크 카트리지(1)가 각각 수용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나듯이, 4개의 잉크 카트리지(1C, 1Bk, 1M, 1Y)는 X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수용된다. 또한, 블랙 잉크 카트리지(1Bk)가 다른 컬러 잉크 카트리지(1C, 1M, 1Y)보다 폭이 넓기 때문에, 거기에 맞추어, 블랙 잉크 카트리지용 장착 영역은 컬러 잉크 카트리지용 장착 영역보다 큰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나듯이, 잉크 카트리지(1)는 캐리지의 이동 방향(X축 방향)과 직교하는 Y축 방향을 따라 장착(삽입)된다. 도 6 중의 백색 화살표가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삽입 방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반대가 잉크 카트리지의 제거 방향(탈착 방향)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카트리지 장착 방향(Y축 방향)은 중력 방향(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며, 이 예에서는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수평면에 대해서 5° 정도의 기울기를 가지고 있어 완전한 수평 방향은 아니고, 거의 수평 방향으로 되어 있다.
도 6, 도 8 및 도 9에 나타나듯이, 장착부(33)에는, 프린터 본체측 인터페이스부를 갖는 조인트 유닛(59)이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 유닛(59)은 잉크 카트리지의 전면(2c)에 대향 가능한 입설면(立設面)에 선단이 뾰족한 원기둥 형태의 개봉 핀(51), 앞이 가는 원기둥 형상기고 선단에 개구를 갖는 중공침(中空針)인 잉크 접수관(52), 앞이 가는 원기둥 형상의 위치 결정 핀(53), 전극 단자(55), 위치 결정 벽(56), 이젝트 용수철(57) 및 볼록부 형상의 식별 부재(60) 등을 가지고 있다. 개봉 핀(51), 잉크 접수관(52), 위치 결정 핀(53) 및 식별 부재(60)는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또한 이젝트 용수철(57)은 Y축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개봉 핀(51)은 잉크 카트리지(1)의 장착시에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을 찢어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을 개봉하는 개봉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개봉 핀(51)은 우선 관통구(27)에 삽입되고, 관통구(27)를 통과한 개봉 핀(51)이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을 개봉함과 함께 대기 연통구(7)에 삽입된다.
잉크 접수관(52)으로서의 잉크 접수침은 관삽입구 밀봉 필름(18)을 찢어 관삽입구 밀봉 필름(18)을 개봉함과 함께 관삽입구(8)에 삽입되어 관삽입로(22)와 접속하여 관삽입로(22)로부터 잉크를 받는 잉크 접수 부재이다. 이 잉크 접수관(52)은 잉크젯 헤드(32)와 연통하고 있어, 관삽입로(22)로부터 받은 잉크를 잉크젯 헤드(32)로 공급한다. 즉, 잉크 접수관(52)은 잉크젯 헤드(32)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관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잉크 접수관(52)으로서 선단에 개구를 갖는 앞이 가는 원기둥 형태의 중공침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관삽입구(8)에 삽입되어 잉크 카트리지(1)로부터 잉크를 받을 수 있는 개구를 갖는 중공 부재이면 된다. 반드시 개구의 위치가 선단일 필요는 없고, 또한, 앞이 가는 원기둥 형태일 필요도 없다.
위치 결정 핀(53)은 위치 결정부(6)에 삽입되어 위치 결정부(6)와 결합(예를 들면 끼워맞춤)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1)의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예를 들면, 전면(2c)에 나란한 방향인 X축 방향이나 Z축 방향)으로의 케이스(2)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위치 규제 부재이다.
전극 단자(55)는 전극 패드(4)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기 접속부(본체측 전기 접점)이며, 전극 패드(4)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의 전극 패드(4)에 대응하여 5개의 전기 접속부(전극 단자)(55)가 설치되어 있지만, 전극 패드(4)나 전기 접속부(전극 단자)(55)의 개수는 5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극 패드(4)에 대응하여 복수의 전기 접속부(전극 단자)(55)가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이들 복수의 전기 접속부(전극 단자)(55)는 프린터 본체(30)의 제어부(3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나듯이, 복수의 전기 접속부(전극 단자)(55)는 전기 접속 유닛(47)에 설치되어 있다. 전기 접속 유닛(47)은 복수의 전기 접속부(55)와 복수의 전기 접속부(55)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46)와 지지 부재(46)를 카트리지 제거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 용수철(미도시)을 갖추고 있다. 이 전기 접속 유닛(47)은 조인트 유닛(59)의 일부를 구성한다. 조인트 유닛(59)의 위쪽에 배치된 전기 접속부(55)는 Y축 방향을 따라 전극 패드(4)와 대향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기 접속부(55)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 용수철의 신축에 연동하여 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전기 접속부(55)가 전극 패드(4)와 접촉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전기 접속부(55)는 Y축 방향에 있어서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동작에 있어서, 카트리지 장착 방향(Y축 방향)으로 잉크 카트리지가 이동해 나가면, 제1 위치에 있는 전기 접속부(55)에 잉크 카트리지의 전극 패드(4)가 접촉한다. 그 후, 더욱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부의 안쪽으로 밀어넣어짐에 따라, 전기 접속부(55)는 전극 패드(4)와의 접촉 상태를 유지한 채로 제1 위치보다도 장착부 안쪽인 제2 위치까지 이동한다. 또한, 제조 오차 등을 고려하여, 전기 접속부(55)는 제2 위치보다 더 장착부 안쪽인 제3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잉크 카트리지의 제거시에는, 장착시와는 반대로, 잉크 카트리지가 제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전기 접속부(55)가 Y축 방향을 따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까지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전기 접속부(55)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극 패드(4)와의 접촉압이 필요 이상으로 너무 높아지는 것이 방지되어 전극 패드(4)나 전기 접속부(55)의 파손이나 고장을 억제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나듯이, 위치 결정벽(56)은, 잉크 카트리지(1)의 우면 하단부 및 좌면 하단부에 있는 위치 규제면(10)과 접촉하여 잉크 카트리지의 X축 방향 및 θy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위치 규제 부재이다. 2개의 위치 결정벽(56)이 잉크 카트리지(1)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2개의 위치 규제면(10)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잉크 카트리지의 저면 근방에 있어 X축 방향 및 θy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다.
이젝트 용수철(57)은 잉크 카트리지(1)를 장착부(33)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잉크 카트리지의 전면(2c)의 이젝트 용수철 접촉부(23)와 접촉하여 잉크 카트리지(1)를 카트리지 제거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누르는 가압 부재이다. 이젝트 용수철(57)은, 개봉 핀(5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입설(立設)된, Y축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코일 용수철이다. 이젝트 용수철(57)은 잉크 카트리지와의 비접촉 상태에서는 신장 상태이며,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에 수반하여 압축된다. 카트리지의 제거시에는, 이젝트 용수철(57)의 신장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1)는 카트리지 제거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이동에 의해, 전기 접점(4)과 전기 접속부(55)와의 접속 상태, 잉크 수납실(11)과 잉크 접수관(52)과의 연통 상태, 위치 결정부(6)와 위치 결정 핀(53)과의 결합 상태(접속 상태), 관삽입구(8)와 잉크 접수관(52)과의 접속 상태(관삽입구(8)에 잉크 접수관(52)이 삽입된 삽입 상태)가 해제되어 이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는 제거 가능 상태가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이젝트 용수철(57)의 작용으로서 결합부(24)와 걸림부(54)와의 결합 상태의 해제에 수반하여 잉크 카트리지를 제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 외에, (1) 전기 접점(4)과 전기 접속부(55)와의 접속 상태, (2) 잉크 수납실(11)과 잉크 접수관(52)과의 연통 상태, (3) 위치 결정부(6)와 위치 결정 핀(53)과의 결합(끼워맞춤) 상태(위치 결정부(6)에 위치 결정 핀(53)이 삽입된 삽입 상태) 및 (4) 관삽입구(8)에 잉크 접수관(52)이 삽입된 삽입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예시했지만, 이러한 상태의 해제는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면, 관삽입로(22)에 잉크 접수관(52)의 일부가 삽입된 채로도, 위치 결정부(6)에 위치 결정 핀(53)의 일부가 삽입된 채로도, 잉크 카트리지를 제거하는 것은 가능하고, 잉크 카트리지가 제거 방향으로 이동하기만 하면 유저가 잉크 카트리지를 제거하기 쉬워진다. 이젝트 용수철(57)은 잉크 카트리지를 제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압력을 잉크 카트리지에 부여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따라서, 이젝트 용수철(57)로부터 가압력을 받는 힘 수용부(23)는 상술한 접속 상태, 연통 상태, 결합(끼워맞춤) 상태, 삽입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잉크 카트리지(1)를 제거 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이젝트 용수철(57)로부터 받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잉크 카트리지를 제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받을 수 있으면 된다.
식별 부재(60)는 잉크 카트리지의 식별부(9)인 오목부와 결합(예를 들면, 끼워맞춤) 가능한 볼록부 형상의 부위이다. 볼록부의 위치가 장착부마다 달라서, 대응하는 색의 잉크 카트리지 이외의 장착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식별 부재(60)는 대응하는 색의 잉크 카트리지의 식별부(9)에만 결합(예를 들면, 끼워맞춤)하고, 대응하지 않는 색의 잉크 카트리지의 식별부(9)와는 결합(예를 들면, 끼워맞춤)하지 않는 것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상술한 개봉 핀(51), 잉크 접수관(52), 위치 결정 핀(53), 전극 단자(55), 위치 결정벽(56), 이젝트 용수철(57) 및 식별 부재(60)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나는 위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즉, 아래에서 위로 향해, 위치 결정벽(56), 잉크 접수관(52), 이젝트 용수철(57), 위치 결정 핀(53), 전극 단자(55)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개봉 핀(51)은 이젝트 용수철(57)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위치 결정 핀(53)보다 아래쪽이면서 또한 잉크 접수관(52)보다 위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식별 부재(60)는 잉크 접수관(52)보다 위쪽이면서 또한 전극 단자(55)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8에 나타나듯이, 카트리지 장착 유닛(38)의 장착부(33)에는, 상술한 조인트 유닛(59) 외에, 잉크 카트리지(1)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49)이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49)에는, 프레임 내의 공간을 나누기 위한 플레이트(48)나, 잉크 카트리지(1)를 장착부(33)에 고정하기 위한 락 기구로서의 걸림 레버(5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49) 및 플레이트(48)는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의 자세를 규제하는 장착 가이드(50)로서 기능한다.
도 6에 나타나듯이, 프레임(49) 상벽 및 저벽에는, 내부 공간을 나누는 복수의 플레이트(48)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48)에 의해 나뉘어 분할된 4개의 공간 각각에 잉크 카트리지(1)가 수용된다. 플레이트(48)는 프레임(49)의 안쪽으로부터 앞쪽으로 연장된 판이다. 각 플레이트(48)는 X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플레이트끼리의 간격은 그 간격에 수용되어야 할 잉크 카트리지(1)의 폭에 대응한다. 장착 가이드(50)는 플레이트(48) 및 프레임(49)의 저벽, 상벽 및 측벽에 의해 구성되어, 이 장착 가이드(50)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동작시의 자세가 규제된다.
도 8에 나타나듯이, 걸림 레버(58)는 장착 가이드(50)의 앞쪽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어, 연장 방향의 중앙 부근에 지지축(7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축(78)은 프레임(49) 상벽으로 구성되는 위쪽의 장착 가이드(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고 걸림 레버(58)는 지지축(7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걸림 레버(58)의 안쪽 단부에는, 잉크 카트리지(1)의 결합부(24)에 결합 가능한 걸림부(54)로서의 걸림돌기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78)을 사이에 두고 걸림돌기(54)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걸림 레버(58)의 아래쪽 면 부분과 위쪽의 장착 가이드(50)와의 사이에는, 미도시한 밀어올림 용수철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밀어올림 용수철은, 걸림돌기(54)가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지지축(78)을 사이에 두고 걸림돌기(54)와는 반대측의 걸림 레버 부분을 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방향으로 걸림 레버(58)를 누르고 있다. 걸림 레버(58)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걸림 레버(58)에 있어서의 지지축(78)과 걸림돌기(54)의 사이의 일부분의 아래면이 위쪽의 장착 가이드(50)의 단부에 접촉하고 있어, 걸림 레버(58)의 회전이 제지된 상태에서 보유 지지된다. 이 자세에 있어서, 걸림돌기(54)는 장착부(33)에 삽입되는 잉크 카트리지(1)의 결합부(24)와 접촉 가능한 위치(제1 위치)에 있다. 잉크 카트리지(1)가 삽입되면, 걸림돌기(54)가 잉크 카트리지(1)와 접촉함으로써, 밀어올림 용수철의 밀어올리는 힘에 대항하여 걸림 레버(58)의 회동이 발생하고, 걸림돌기(54)는 제1 위치보다 위쪽의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제2 위치에 있어서, 걸림돌기(54)는 잉크 카트리지(1)의 상면(2a)에 접촉하고 있다. 그 후, 잉크 카트리지(1)가 한층 더 안쪽으로 삽입되어 오목부 형상의 결합부(결합 오목부)(24)가 걸림돌기(54)에 접촉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해 오면, 걸림돌기(54)는 밀어올림 용수철의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제1 위치로 이동하여 결합 오목부(24)의 측면(24a)과 결합한다. 이에 의해, 이젝트 용수철(5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잉크 카트리지(1)는 장착부(33)에 고정되고 장착 완료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걸림돌기(54)와 결합 오목부(24)와의 결합 상태에서는, 이젝트 용수철(5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전기 접점(4)과 전기 접속부(55)와의 접속 상태, 잉크 수납실(11)과 잉크 접수관(52)과의 연통 상태, 위치 결정부(6)와 위치 결정 핀(53)과의 결합 상태(예를 들면, 끼워맞춤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한편, 잉크 카트리지(1)를 장착부(33)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유저가 걸림 레버(58)를 이동시켜 걸림 레버(58)의 걸림돌기(54)와 잉크 카트리지(1)의 결합부(24)와의 결합 상태를 해제한다. 결합 상태가 해제되면, 이젝트 용수철(57)의 가압력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1)는 제거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 상태가 된다.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동작 및 제거 동작>
도 10은 잉크 카트리지(1)가 장착부(33)에 장착(삽입)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삽입 초기 상태(장착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삽입 완료 상태(장착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a)에 나타나듯이, 장착 동작의 초기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1)는 장착 가이드(50)의 안쪽을 따라 삽입되어 간다. 잉크 카트리지(1)가 이젝트 용수철(57)에 접촉하면, 그 이후에는 이젝트 용수철(57)의 가압력이 잉크 카트리지(1)에 걸리므로, 장착 완료 상태가 되기 전에 조작을 멈추면 잉크 카트리지(1)는 밀려 되돌아 온다.
이젝트 용수철(57)에 접촉한 상태에서 잉크 카트리지(1)가 한층 더 안쪽으로 삽입되면, 이어서 잉크 카트리지(1)의 식별부(9)의 오목부가 장착부(33)의 식별 부재(60)의 볼록부에 적합한지 여부가 확인된다. 잉크 카트리지(1)와 장착 위치와의 대응 관계(대응하는 색)가 올바른 경우에는, 식별부(9)의 오목부와 식별 부재(60)의 볼록부가 적합하므로(끼워맞춰지므로), 잉크 카트리지(1)를 더욱 안쪽으로 밀어넣는다. 한편, 잉크 카트리지(1)와 장착 위치와의 대응 관계(대응하는 색)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에는, 식별부(9)의 오목부와 식별 부재(60)의 볼록부가 적합하지 않고(끼워맞춰지지 않고), 잉크 카트리지(1)를 더 이상 안쪽으로 밀어넣을 수 없다. 이 시점에서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 및 관삽입구 밀봉 필름(18)은 아직도 개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가 잘못된 장착 위치에 삽입된 경우에는,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이나 관삽입구 밀봉 필름(18)은 개봉되지 않고 종료된다.
식별부(9)와 식별 부재(60)가 적합하여(끼워맞춰지어) 잉크 카트리지(1)가 더욱 삽입되면, 이어서 관삽입구 밀봉 필름(18)이 잉크 접수관(52)의 선단에 의해 개봉됨과 함께, 관삽입구(8)에 잉크 접수관(52)이 삽입된다. 그 다음에, 위치 결정부(6)에 위치 결정 핀(53)이 삽입됨과 함께, 2개의 위치 규제면(10)이 2개의 위치 결정벽(56)에 의해 끼워짐으로써, 그 이후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한다. 2개의 위치 규제면(10)에 의해 저면 근방의 2개소가 위치 규제됨과 함께, 2개의 위치 규제면(10)보다 위쪽에 있는 위치 결정부(6)에 의해 1개소가 위치 규제되므로, 잉크 카트리지(1)의 전면(XZ평면) (2c)을 따른 방향(X축 방향, Z축 방향) 및 θy 방향으로의 이동은 대체로 규제된다.
이어서, 관통구(27)에 삽입된 개봉 핀(51)에 의해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이 개봉됨과 함께, 대기 연통구(7)에 개봉 핀(51)이 삽입된다. 이어서, 잉크 접수관(52)이 관삽입로(22) 내에 설치된 시일 부재(19)의 슬릿에 삽입되고, 이에 의해 잉크 수납실(11)과 잉크 접수관(52)이 연통한다. 이어서, 전기 접점(4)이 전기 접속부(55)에 접촉한다.
마지막으로, 결합부(24)가 걸림돌기(54)와 결합하는 위치까지 잉크 카트리지가 밀어넣어지면, 도 10의 (b)에 나타나듯이 잉크 카트리지(1)가 고정되고 장착 완료 상태가 된다. 도 10의 (b)에 나타나는 위치가 장착 완료 위치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를 장착부(33)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걸림 레버(58)를 회동시켜 걸림돌기(54)와 결합부(24)와의 결합 상태를 해제한다. 결합 상태가 해제되면, 이젝트 용수철(57)의 가압력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1)는 도 10의 (a)에 나타나는 위치까지 밀려 되돌아 온다.
또한,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 잉크 카트리지와 프린터 본체와의 접속 순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바람직한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실시 형태는 상술한 접속 순서를 실현하는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접속 순서와는 다른 접속 순서를 실현하는 잉크 카트리지라도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적용 가능하다.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의 배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나듯이, 전기 접점(4)은 관삽입구(8)보다 위쪽의 위치, 즉, 카트리지 높이 방향에 대해 관삽입구(8)보다 상면(2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에 의하면, 관삽입구(8)로부터 잉크의 누출이 생겼다고 해도, 전기 접점(4)에 잉크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만일, 관삽입구(8)와 전기 접점(4)의 상하 관계가 본례와는 반대인 경우, 즉, 관삽입구(8)가 전기 접점(4)보다 위쪽에 배치되었을 경우, 프린터 본체측의 잉크 접수관(52)도 전기 접속부(55)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그러면, 잉크 접수관(52)으로부터 떨어진 잉크가 전기 접속부(55c)에 접촉하여 그 잉크가 전기 접점(4)에 전사될 가능성도 있지만, 본례에서는 이러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접점(4)이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면(도 2의 예에서는 Y축 방향과 직교하는 XZ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면(우면, 좌면, 상면 또는 저면)에 전기 접점(4)이 배치된 구성에 비해, 전극 단자(55)와 전기 접점(4)과의 마찰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극 단자(55)가 전기 접점(4) 상에 강하게 마찰하는 것으로 생길 수도 있는 단점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면에 전기 접점(4)이 배치된 구성에서는, 전극 단자(55)가 전기 접점(4) 상에 비교적 강하게 마찰한다. 그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이나 제거가 반복하여 행해지면, 전극 단자(55)가 마모하여 전기 접속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 단자(55)가 전기 접점(4) 상에 마찰하는 양이 적기 때문에, 전극 단자의 마모나 이에 기인한 전기 접속의 신뢰성의 저하를 억제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나 도 5 등에 나타나듯이, 카트리지 장착부(33)에 잉크 카트리지(1)를 고정하기 위한 락부로서의 결합부(24)가 케이스(2)의 상면(2a)에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24)가 케이스(2)의 상면(2a)에 설치되는 본 구성에서는, 결합부가 케이스의 저면에 설치된 구성에 비해, 결합부(24)와 전기 접점(4)과의 거리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락에 수반하여 결합부(24)를 중심으로 한 위치 어긋남이 생겼다고 해도, 그 어긋남에 기인한 전기 접점의 위치 어긋남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양호한 전기 접속을 실현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24)를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잉크 카트리지와 프린터 본체와의 양호한 접속을 실현하기 쉽다. 즉, 카트리지와 프린터 본체와의 양호한 접속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전기 접점(4)이 관삽입구(8)보다 전후 방향(Y축 방향)의 이동 허용 범위가 좁다. 즉, 전기 접점(4)이 관삽입구(8)보다 카트리지의 전후 방향(Y축 방향)의 이동에 대해서 엄격하다. 한편, 결합부(24)와 걸림부(54)와의 결합시(락시)에 있어서, 결합부(24)를 회전 중심으로 한 θx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는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일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결합부(24)를 회전 중심으로 한 θx 방향으로의 케이스(2)의 이동에 수반하는 전후 방향으로의 케이스(2)의 이동량이 관삽입구(8)로부터 전기 접점(4)의 방향으로 작아지도록 결합부(24), 관삽입구(8) 및 전기 접점(4)의 배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결합부(24)를 상면(2a)에 배치하고, 이에 의해 결합부(24)를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의 근처에 위치시키는 것은 바람직하다. 만일, 국제 공개 제2012-054050호와 같이 저면에 결합부를 설치하면, 결합부가 관삽입구보다 전기 접점에 가깝게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장점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나 도 5 등에 나타나듯이, 결합부(24)가 상면(2a)의 깊이 방향에 대해 배면(2d)보다 전면(2c)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24)를 상면(2a)에 있어서 전면 측에 배치함으로써, 결합부(24)를 상면(2a)에 있어서 배면 측에 배치한 형태보다 결합부(24)를 전기 접점(4)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결합부(24)를 전기 접점(4)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의 결합부(24)와 전기 접점(4) 사이의 Y축 방향의 길이 공차를 작게 할 수 있어 카트리지 장착시의 결합부(24)에 대한 전기 접점(4)의 전후 방향(Y축 방향)의 위치 공차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전후 방향의 위치 공차가 작으면 전극 단자(55)의 전후 방향의 이동 가능량(stroke)을 작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Y축 방향)과 교차하는 면(바람직하게는 XZ면)에, 복수의 전극 패드(4)가 수평 방향(카트리지의 폭방향, X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저면 근방의 위치 규제면(10)과 그보다 위쪽에 있는 위치 결정부(6)에 의해, 전면(2c)에 나란한 방향(X축 방향이나 Z축 방향 등) 및 θy 방향으로의 이동은 규제된다. 다만, θx 방향으로의 이동은 어느 정도 생길 수 있다. θx 방향으로의 이동이 생겼을 때, 기판(3)의 하단측이 상단측보다 Y축 방향으로 전기 접속부(55)로부터 멀어진다. 즉, 기판(3)의 하단측의 어긋남량이 상단측의 어긋남량보다 크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전극 패드가 카트리지 높이 방향(Z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구성에서는, 전극 단자(55)로부터의 어긋남량이 전극 패드마다 크게 다르고, 이에 따라 접촉압도 다르기 때문에, 안정된 전기 접속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만일, 기판의 상단측의 전극 패드와 본체측의 전극 단자(55)와의 접촉압에 맞추어 전체를 설계하면, 하단측의 전극 패드와 본체측의 전극 단자와의 접촉압이 너무 낮아져 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반대로, 기판의 하단측의 전극 패드와 본체측의 전극 단자와의 접촉압에 맞추어 전체를 설계하면, 상단측의 전극 패드와 본체측의 전극 단자와의 접촉압이 너무 높아져 버리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만일 복수의 전극 패드마다 본체측의 전극 단자를 개별로 설계하면, 각각 개별의 부품이 되어 비용 상승으로 연결되어 버리고, 설계 부하도 높아져 버린다. 이에 대해, 복수의 전극 패드가 수평 방향(카트리지의 폭방향, 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θx 방향으로의 이동이 생겼을 경우에서도, 전극 단자(55)로부터의 어긋남량이 전극 패드간에 크게 다를 것은 없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은 생기기 어렵다.
또한, θx 방향으로의 이동이 생길 수 있는 본 구성에서는, Z축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Z축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고려하여 전극 패드의 사이즈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만일, 복수의 전극 패드가 Z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구성을 채용했을 경우, 전극 패드의 사이즈의 영향으로 Z축 방향의 기판 사이즈가 비교적 크게 되어 버린다. 전극 패드나 기판의 사이즈가 크면 기판의 고장의 원인이 되는 잉크나 먼지가 부착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또한 유저가 기판에 접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또한, 비용 상승으로도 되어 버린다. 이러한 복수의 전극 패드가 Z축 방향을 따라 배열된 구성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Z축 방향의 기판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기 접점(4)이 수평 방향(카트리지의 폭방향, X축 방향)으로 배열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은 전기 접점이 카트리지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배열된 구성에 비해,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에 부착된 잉크나 액체가 잉크 카트리지의 전기 접점(4)에 부착하는 것과 같은 상황이 생겼다고 해도, 잉크나 액체가 복수의 전기 접점간을 브릿지하여 전기 접점끼리 도통해 버리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다.
예를 들면, 잉크가 소비되어 비워진 빈 카트리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카트리지를 장착할 때, 유저가 잘못하여 빈 카트리지를 재장착해 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빈 카트리지를 일단 제거했을 때, 유저가 빈 카트리지에 액체를 흘리거나 하면, 그 빈 카트리지의 전기 접점에 액체나 잉크가 부착해 버릴 수도 있다. 그러면, 액체나 잉크가 부착된 빈 카트리지의 재장착에 수반하여, 액체나 잉크가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에 전사되어 버릴 수도 있다. 그 후, 새로운 카트리지를 장착하면,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에 부착되어 있는 액체나 잉크가 새로운 카트리지의 전기 접점(4)에 부착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경우로서 잉크 미스트가 다량 발생하는 것과 같은 조건으로 인쇄를 실시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인쇄를 실행하고 있을 때, 프린터 본체 내에 부유하고 있는 잉크 미스트가 프린터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에 부착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면, 새로운 잉크 카트리지를 프린터 본체에 장착했을 때, 프린터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에 부착되어 있는 잉크 미스트가 카트리지의 전기 접점(4)에 전사되어 버릴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잉크 전사량이 다량으로 되는 것과 같은 상황도 생길 수 있다.
만일, 상술한 바와 같은 상황이 생겼을 경우에, 복수의 전기 접점(4)이 카트리지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배열된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면, 위쪽의 전기 접점(4)에 부착된 액체가 늘어져 떨어져서 아래쪽의 전기 접점(4)에까지 도달하여, 위쪽의 전기 접점(4)과 하부의 전기 접점(4)이 도통해 버리는 것이 일어날 수 있다. 전기 접점간에 도통되면, 전기 접점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접점(4)이 카트리지의 폭방향(X축 방향)으로 배열된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만일 전기 접점(4)에 액체가 부착하여 아래쪽으로 늘어져 떨어지는 것 같은 상황이 생겼다고 해도, 전기 접점(4)이 카트리지 높이 방향(Z축 방향)으로 배열된 구성에 비해, 전기 접점간에 도통이 일어날 가능성을 저감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9나 도 10에 나타나듯이, 이젝트 용수철 접촉부(23)는 전면(2c)의 높이 방향에 대해 관삽입구(8)와 전기 접점(4)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에 의하면, 관삽입구(8)의 근방에 배치된 이젝트 용수철 접촉부(23)가 이젝트 용수철(57)로부터 힘을 받게 되므로, 잉크 접수관(52)이 관삽입로(22)에 설치된 환상의 고무 부재로 구성되는 시일 부재(19)로부터 빠지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삽입로(22)에 환상의 고무 부재로 구성되는 시일 부재(19)가 설치되어 있어 잉크 접수관(52)이 관삽입로(22)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잉크 접수관(52)은 시일 부재(19)에 의해 압접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인터페이스부에 비해 잉크 접수관(52)과 시일 부재(19)와의 압접 상태는 해제되기 어렵다. 잉크 접수관(52)과 시일 부재(19)와의 압접 상태가 순조롭게 해제되도록 하기 위해서, 이젝트 용수철 접촉부(23)를 관삽입구(8)의 근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젝트 용수철 접촉부(23)가 관삽입구(8)와 전기 접점(4)과의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관삽입구(8)와 위치 결정부(6)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젝트 용수철 접촉부(23)가 관삽입구(8)나 전기 접점(4), 위치 결정부(6)로부터도 멀지 않다. 따라서, 잉크 접수관(52)와 시일 부재(19)와의 압접 상태의 해제뿐만 아니라, 위치 결정부(6)와 위치 결정 핀(53)과의 결합 해제나, 전기 접점(4)과 전기 접속부(55)와의 접속 해제도 순조롭게 행해지기 쉽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나듯이, 전기 접점(4)이 위치 결정부(6)나 관삽입구(8)와 같은 전면(2c)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카트리지의 장착시에, 전기 접점(4)의, 전면(2c)에 있어서의 면내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나듯이, 위치 결정부(6)가 관삽입구(8)와 전기 접점(4)과의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 중에서 가장 위치 결정 정밀도가 요구되는 것은 전기 접점(4)이며, 전기 접점(4)이 관삽입구(8)보다 위치 결정 정밀도가 요구된다. 한편, 카트리지를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을 하는 것은 위치 결정부(6)이다. 따라서, 전기 접점(4)의 근방에 위치 결정부(6)를 배치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 결정부(6)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치에 의하면, 위치 결정부(6)의 위치 결정 정밀도에 상응하여 전기 접점(4)을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기 접점(4)과 전기 접속부(55)와의 양호한 전기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폭이 넓은 잉크 카트리지>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BK)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에 나타나는 블랙 잉크 카트리지(1BK)의 기본 구성은, 도 2에 나타나는 컬러 잉크 카트리지(1M)(1C, 1Y)와 대부분 같다. 예를 들면, 양자 사이에 카트리지의 높이나 깊이는 같고, 또한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의 종류나 배열 순서, 배열 폭도 같다.
블랙 잉크 카트리지가 컬러 잉크 카트리지와 주로 다른 점은, 컬러 잉크 카트리지보다 큰 폭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과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가 전면의 한쪽 편(상세하게는 우측)에 치우쳐 있다는 점이다.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를 전면의 한쪽 편(자세하게는 우측)에 치우치게 함으로써,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의 배열 폭을 블랙과 컬러에서 같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랙과 컬러에서 조인트 유닛(59)의 사이즈나 개략 구성을 공통화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
이상 설명한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은 본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일례에 지나지 않고,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상술한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으로 여러 가지의 변경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몇몇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기판상의 전기 접점의 배열)
본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기판상에 있어서의 전기 접점(전극 패드)의 배열은 도 3에 나타나는 배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2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전극 패드의 배열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0120] 도 12는 도 3과 같이, 복수의 전극 패드(61, 71)가 XZ 평면에 X축 방향(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예이다. 도 12의 (a)에서는, 전극 패드(61)의 Z축 방향의 위치가 패드간에 다르고, 도 12의 (b)에서는 전극 패드(71)의 형상이나 Z축 방향의 위치가 패드간에 차이가 난다. 그러나, 어느 쪽의 예도, 도 3과 같이, 전극 단자(55)와의 접촉 위치(61a, 71a)는 수평 방향(X축 방향)에 나란하다. 이 때문에, 도 3과 같이, 만일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시에 θx 방향으로의 이동이 생겼다고 해도, 전극 패드(4)와 전극 단자(55)와의 양호한 전기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케이스의 형상)
본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케이스(카트리지 본체)(2)의 형상은 도 2에 나타나는 것 같은 직육면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잉크 카트리지(1)의 내부의 기능이나 외장의 디자인, 카트리지 장착부(33)의 구조 등의 사정에 의해, 케이스(2)를 구성하는 복수의 면(상면, 저면, 복수의 측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요철부, 단차부, 절결부, 곡부 및 경사부 중 적어도 1개를 갖는 형태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3의 (a)에 나타나듯이 전면(2c)의 일부에 곡부를 갖는 형상이어도 된다. 도 13의 (a)의 예에 대해서는, 전기 접점(4)이 위치 결정부(6)의 개구(위치 결정구)나 관통구(27), 관삽입구(8)보다 앞쪽으로 돌출하여 위치하고 있고, 또한, 위치 결정구(6) 및 관통구(27)가 관삽입구(8)보다 안쪽 부분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러한 형태여도 물론 상관없다. 또한, 이러한 도 13의 (a)에서는, 도 3과 같이, 기판(3)이 케이스(2)의 전면(2c)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3의 (a)의 예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카트리지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기판 상의 영역에 복수의 전기 접점이 배치되는 형태이며, 이 점에서도 도 3과 같다. 또한, 다른 예로서 도 13의 (b)나 도 13의 (c)에 나타나듯이, 전면(2c)의 일부에 절결부나 오목부를 갖는 형태일 수도 있고, 그 절결부나 오목부에 기판(3)이 설치되는 형태이어도 된다. 도 13의 예에 대해서는, 기판(3)은 관삽입구(8)의 형성 영역을 포함한 전면(2c)에 직접적으로 또는 지지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기판 상의 전기 접점(4)은 관삽입구(8)의 형성 영역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포함한다.
(기판의 설치 방법)
본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기판(3)의 설치 방법은 도 4에 나타나듯이 기판(3)을 케이스(2)에 직접 설치하는 형태여도 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판(3)을 케이스(2)에 어떠한 부재를 통해 설치하는 형태여도 된다. 그 일례로서, 기판 지지 부재(81)에 기판(3)을 설치하여 이 기판 지지 부재(81)를 케이스(2)에 설치하는 형태를 도 13의 (b) 및 도 13의 (c)에 나타낸다. 도 13의 (b)에 나타나는 케이스(2)는 케이스의 코너부를 잘라낸 형상이다. 그 절결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기판 지지 부재(81)에 기판(3)이 설치되어 기판 지지 부재(81)가 절결부에 결합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를 구성한다. 도 13의 (b)에 나타나듯이, 절결부도 케이스의 전면(2c)을 구성한다. 절결부는 관삽입구(8) 등이 배치되는 전면(2c)과 동일 평면 상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지만, 이러한 형태여도 상관없다. 도 13의 (b)에서는, 기판 지지 부재(81)가 개재하고는 있지만, 기판(3)이 케이스(2)의 전면(2c)에 설치되어 있다. 도 13의 (c)에 나타나는 케이스(2)는 케이스의 전면측의 일부를 직육면체 형상으로 잘라낸 형상이며, 도 13의(b)과 같이, 기판(3)이 설치된 기판 지지 부재(81)와 잘림부(오목부)가 결합함으로써 잉크 카트리지를 구성한다. 도 13의 (c)에 나타나듯이, 오목부도 케이스의 전면(2c)을 구성한다. 그리고, 역시 기판(3)이 기판 지지 부재(81)를 통해 케이스(2)의 전면(2c)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판(3)은 케이스(2)에 직접 접속되어도 되고, 케이스(2)와는 다른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이러한 도 13의 (b)나 도 13의 (c)에서는, 도 3과 같이, 기판(3)이 케이스(2)의 전면(2c)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3의 (b)나 도 13의 (c)의 예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카트리지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기판 상의 영역에 복수의 접점이 배치되는 형태이며, 이 점에서도 도 3과 같다.
(전기 접점의 배치면)
도 2나 도 11, 도 1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배치예, 즉 전기 접점으로서의 전극 패드(4)가 전면(2c)과 평행한 면(XZ면)에 배치되는 예는 본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바람직한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전극 패드(4)가 배치되는 면은 XZ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 패드(4)는 도 9나 도 10 등에 나타나는 전극 단자(55)와 접속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그 때문에, 전기 접점으로서의 전극 패드(4)는 (ⅰ) 카트리지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면/영역, (ⅱ) Y축 방향과 교차하는 면, (ⅲ) 카트리지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면/영역, (ⅳ)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형성 영역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영역, (ⅴ) 관삽입로(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영역, 또는 (ⅵ) 관삽입구(잉크 배출구)의 중심선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ⅰ) 카트리지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면/영역, (ⅱ) Y축 방향과 교차하는 면/영역, (ⅲ) 카트리지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면/영역, (ⅳ)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형성 영역의 수직선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영역, (ⅴ) 관삽입로(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영역, 및 (ⅵ) 관삽입구(잉크 배출구)의 중심선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영역이란, XZ면 뿐만 아니라, XZ면에 대해 기울기를 갖는 면도 포함한다. 요컨대, 전기 접점(4)은 (ⅰ) 카트리지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ⅱ) Y축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ⅲ) 카트리지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ⅳ)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ⅴ) 관삽입로(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또는 (ⅵ) 관삽입구(잉크 배출구)의 중심선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예와 관련되는 잉크 카트리지에 대해, 도 14 및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로 관삽입로(22)의 구성, 대기 연통로(16)의 구성,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의 위치 및 대기 연통로(16)와 잉크 수납실(11)과의 접속 부분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다. 따라서, 이러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첨부함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잉크 카트리지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도면이고, (b)는 잉크 카트리지를 Y축 방향을 따라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15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부에 삽입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삽입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잉크 카트리지의 내부 구성>
(관삽입로의 구성)
도 14에 나타나듯이, 관삽입구(8)는 케이스(2)의 전면(2c)의 저면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관삽입구(8)는 관삽입로(22)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관삽입로(22)의 타단부는 잉크 수납실(11)에 접속되어 있다. 관삽입로(22)에는 탄성체(예를 들면, 환상의 고무 부재)로 이루어진 시일 부재(74)와 시일 부재(74)에 접촉하는 위치와 시일 부재(74)로부터 이격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밸브(75)와 밸브(75)를 시일 부재(74)를 향해 누르는 용수철(76)이 설치되어 있다. 시일 부재(74)의 외주면은 관삽입로(22)의 내면과 밀착되어 있다. 잉크 접수관(52)이 관삽입로(22)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밸브(75)가 시일 부재(74)에 접촉하여 시일 부재(74)의 개구가 밀봉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관삽입로(22)는 시일 부재(74)와 밸브(75)에 의해 차단된 상태가 되어 잉크 수납실(11)과 외부와의 연통도 차단되고 있다. 잉크 접수관(52)이 관삽입구(8)를 통해 관삽입로(22)에 삽입되면, 용수철(76)이 압축하는 방향으로 밸브(75)가 이동하여 시일 부재(74)와 밸브(75)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이에 의해 잉크 접수관(52)과 잉크 수납실(11)과의 연통이 확보됨과 동시에, 잉크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일 부재(74)의 내주면이 잉크 접수관(52)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이렇게 하여 관삽입로(22)에 잉크 접수관(52)이 삽입됨으로써, 잉크 수납실(11) 내의 잉크가 잉크 접수관(52)에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된다.
(대기 연통로와 잉크 수납실과의 접속 부분의 구성)
도 14에 나타나듯이, 대기 연통로(16)의 일단부에는 대기 연통구(7)가 설치되어 있고 대기 연통로(16)의 타단부는 잉크 수납실(11)에 접속되어 있다. 대기 연통구(7)를 밀봉하는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은 케이스(2)의 외벽면에 해당하는 전면(2c)에 장착되어 있고 가요성 부재(12)와는 별개의 부품으로 되어 있다. 대기 연통로(16)와 잉크 수납실(11)과의 접속 부분에는, 판 부재(14)의 이동에 연동하여 개폐 가능한 연동 밸브(77)가 설치되어 있어 이 연동 밸브(77)가 열린 상태가 되면, 대기 연통로(16)와 잉크 수납실(11)이 연통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잉크 수납실(11) 내의 잉크량이 일정량 이상일 때에는, 도 14의 (b)에 나타나듯이, 연동 밸브(77)는 닫힌 상태가 되어 잉크 수납실(11)은 대기 연통로(16)와는 연통하고 있지 않다. 판 부재(14)는 잉크의 소비에 수반하여 좌면(2e)으로 이동해 나가도록 구성되어 있어 잉크 수납실(11) 내의 잉크량이 일정량을 하회하면, 연동밸7)을 가압하여 연동 밸브(77)를 연다. 이에 의해, 잉크 수납실(11)과 대기 연통로(16)가 연통 상태가 된다. 연통 상태에서는, 잉크 수납실(11)으로부터 잉크가 소비된 만큼만, 대기 연통로(16)를 통해 잉크 수납실(11)에 대기가 도입되므로, 잉크 수납실(11) 내의 부압이 너무 높아지지는 않는다. 따라서, 잉크 수납실(11) 내의 부압이 너무 높아지는 것에 기인하여, 잉크 수납실(11)로부터 외부로의 잉크 공급이 곤란해지는 것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고,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대부분 모두 다 사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동작 및 제거 동작>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동작은 도 15에 나타나는 바와 같으며, 도 10에 나타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착 동작과 대부분 같다.
[0131] 도 15의 (a)에 나타나듯이, 우선 잉크 카트리지(1)는 장착 가이드(50)의 안쪽을 따라 삽입되어 이젝트 용수철(57)에 접촉한다. 그 상태에서 잉크 카트리지(1)가 한층 더 안쪽으로 삽입되면, 다음에 잉크 카트리지(1)의 식별부(9)의 오목부가 장착부(33)의 식별 부재(60)의 볼록부에 적합한지 여부가 확인되어 양자가 적합하면(끼워맞춰지면), 잉크 카트리지(1)가 더욱 안쪽으로 삽입된다. 잉크 카트리지(1)가 더욱 안쪽으로 삽입되면, 관삽입구 밀봉 필름(18)이 잉크 접수관(52)의 선단에 의해 개봉됨과 동시에, 관삽입구(8)에 잉크 접수관(52)이 삽입된다. 그 다음에, 위치 결정부(6)에 위치 결정 핀(53)이 삽입되고 그 후,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이 개봉 핀(51)에 의해 개봉됨과 동시에, 대기 연통구(7)에 개봉 핀(51)이 삽입된다. 그 다음에, 잉크 접수관(52)이 관삽입로(22) 내에 설치된 시일 부재(74)의 개구에 삽입되어 밸브(75)를 밀어넣고, 이에 의해, 잉크 수납실(11)과 잉크 접수관(52)이 연통한다. 그 다음에, 전기 접점(4)이 전기 접속부(55)에 접촉하고, 마지막으로 결합부(24)가 걸림 레버(58)의 걸림돌기(54)에 결합하여, 도 15의 (b)에 나타나는 장착 완료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프린터 본체측 인터페이스부와 양호한 접속 관계를 실현할 수 있는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가 제공된다.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
도 14에 대해서는, 4개의 구성(관삽입로의 구성, 대기 연통로의 구성,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의 위치 및 대기 연통로와 잉크 수납실과의 접속 부분의 구성)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다르게 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관삽입로(22)의 구성만을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다르게 하여도 되고, 대기 연통로(16)와 잉크 수납실(11)과의 접속 부분의 구성만을 제1 실시 형태의 것과 다르게 하여도 된다. 이외에도, 상기 4개의 구성 중 적어도 1개의 구성(1개의 구성만, 2개의 구성, 3개의 구성)을 제1 실시 형태의 것으로 대체한 형태는 본 변형예에 포함된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6 내지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잉크 카트리지(1801)는 케이스의 사이즈가 제1 실시 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외의 주된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다. 구체적으로는, 제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잉크 카트리지(1801)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잉크 카트리지(1)와 같이, 관삽입구(8), 전기 접점(4), 위치 결정부(6) 및 결합부(24) 등의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의 위치 관계는, 적어도 다음의 (ⅰ) 내지 (ⅳ)의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의 위치 관계와 공통된다. (ⅰ) 관삽입구(8)가 케이스의 전면에 있어서의 상면보다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ⅱ) 전기 접점(4)이 관삽입구(8)보다 위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ⅲ) 위치 결정부(6)가 관삽입구(8)보다 위쪽에 또한 전기 접점(4)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ⅳ) 결합부(24)가 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잉크 카트리지의 구성>
도 16은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8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잉크 카트리지(18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180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카트리지 장착 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킨 조인트 유닛(59)과 잉크 카트리지(1801)와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조인트 유닛(59)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조인트 유닛(59)과 같다. 따라서, 프린터 본체측 인터페이스부로서의 조인트 유닛(59)과 접속 가능한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의 구조나 위치 관계, 사이즈는 제3 실시 형태와 제1 실시 형태는 바뀌는 곳이 없다. 구체적으로는,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801)의 전면(1802c)에 설치된 전기 접점(4), 위치 결정 구멍(6), 관통구(27), 관삽입구(8) 및 식별부(9)의 구조나 위치 관계, 사이즈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의 전면(2c)에 설치된 전기 접점(4), 위치 결정 구멍(6), 관통구(27), 관삽입구(8) 및 식별부(9)의 구조나 위치 관계, 사이즈와 같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도 9 참조)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801)(도 17)의 양쪽 모두를 제품 개발하는 경우에도, 프린터 본체측 인터페이스부로서의 조인트 유닛(59)을 공통화할 수 있으므로, 조인트 유닛(59)의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접점(4), 위치 결정 구멍(6), 관통구(27), 관삽입구(8) 및 식별부(9) 등의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의 구조나 위치 관계, 사이즈 등도 공통화할 수 있으므로, 잉크 카트리지의 설계 부하를 경감할 수도 있다.
도 16 및 도 17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801)는 내부에 잉크 수납실(11)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1802)를 갖추고 있다. 케이스(1802)는 상면(1802a), 하면(저면)(1802b), 복수의 측면(1802c 내지 1802f)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측면은 제1 측면인 전면(정면)(1802c), 제2 측면인 후면(배면)(1802d),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제3 측면인 좌면(1802e), 제1 측면과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제4 측면인 우면(1802f)을 포함한다.
케이스(1802)의 사이즈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2)의 사이즈보다 크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1802)의 Z축 방향의 사이즈(높이)는 케이스(2)의 Z축 방향의 사이즈(높이)보다 크고, 또한 케이스(1802)의 Y축 방향의 사이즈(깊이)는 케이스(2)의 Y축 방향의 사이즈(깊이)보다 크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1802)의 사이즈의 일례로서는, 높이가 약 7.8cm, 깊이가 약 9.5cm이며, 이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케이스(2)의 높이 약 4.7cm 및 깊이 약 8.4cm보다 크게 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1802)의 X축 방향의 사이즈(폭)는 케이스(2)의 X축 방향의 사이즈(폭)와 같게 되어 있고, 예를 들면 폭이 약 1.6cm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구체적 수치는 바람직한 일례에 지나지 않고,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케이스(1802)는, 6개의 주요면을 갖는 대략 직육면체이다. 6면 가운데, 좌면(2e) 및 우면(2f)이 최대 면적을 갖는 면이며, 전면(정면)(2c) 및 후면(배면)(2d)이 최소 면적을 갖는 면이다. 6면의 면적의 대소 관계는, 전면(2c) 및 후면(2d) < 상면(2a) 및 하면(저면)(2b) < 좌면(2e) 및 우면(2f)과 같이 되어 있다. 좌면(2e) 및 우면(2f)의 면적은 약 74.10(=7.8×9.5)cm2이 된다. 상면(2a) 및 하면(2b)의 면적은, 약 15.20(=1.6×9.5)cm2이 된다. 전면(정면)(2c) 및 후면(배면)(2d)의 면적은 약 12.48(=1.6×7.8)cm2이 된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나듯이, 케이스(1802)의 전면(1802c)에는 전기 접점(4)이 설치된 기판(3), 위치 결정부로서의 위치 결정 구멍(6), 관통부로서의 관통구(27), 관삽입부로서의 관삽입구(8) 및 식별부(9)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의 위치 관계는 제1 실시 형태와 같고, 예를 들면 저면측으로부터 상면측을 향함에 따라, 관삽입구(8), 관통구(27), 위치 결정 구멍(6), 기판(3)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다만,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801)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와는 달리 전기 접점(4)이 전면(1802c)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의 중앙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전기 접점(4)은 전면(1802c)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의 중앙보다 약간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전기 접점(4)은 전면(1802c)에 있어서의 상부(높이 방향의 중앙보다 위쪽의 부분)에 또한 상면보다 중앙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라도 관삽입구(8)와 전기 접점(4)과 결합부(24)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이 없다. 즉, 전기 접점(4)이 전면(1802c)의 중앙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고 해도, 결합부(24)가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깝게 설치되는 점에는 변화가 없기 때문에, 이 점에 관해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24)를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까이 배치하기 위해서, 결합부(24)를 상면(1802a)(보다 상세하게는, 상면(1802a)에 있어서의 배면(1802d)보다 전면(1802a)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결합부(24)를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의 근처에 배치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위치 결정부(6)가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까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 점에 관해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전기 접점(4)이 X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으므로, 이 점에 관해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 동작 및 제거 동작>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801)의 장착 동작은 도 18에 나타나는 바와 같으며, 도 10에 나타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착 동작과 대부분 같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801)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1)보다 높이가 크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걸림 레버(58)도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착부(33)의 장착 가이드나 내부 공간도 제1 실시 형태의 것보다 크지만, 장착부의 기능은 바뀌는 점이 없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의 (a)에 나타나듯이, 우선 잉크 카트리지(1801)는 장착 가이드(50)의 안쪽을 따라 삽입되어 이젝트 용수철(57)에 접촉한다. 그 상태에서 잉크 카트리지(1801)가 한층 더 안쪽으로 삽입되고, 다음에 잉크 카트리지(1801)의 식별부(9)의 오목부가 장착부(33)의 식별 부재(60)의 볼록부에 적합한지(끼워맞춰지는지) 여부가 확인되어 양자가 적합하면(끼워맞춰지면), 잉크 카트리지(1)가 더욱 안쪽으로 삽입된다. 잉크 카트리지(1801)가 더욱 안쪽으로 삽입되면, 관삽입구 밀봉 필름(18)이 잉크 접수관(52)의 선단에 의해 개봉됨과 동시에, 관삽입구(8)에 잉크 접수관(52)이 삽입된다. 그 다음에, 위치 결정부(6)에 위치 결정 핀(53)이 삽입되고 그 후,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이 개봉 핀(51)에 의해 개봉됨과 동시에 대기 연통구(7)에 개봉 핀(51)이 삽입된다. 그 다음에, 잉크 접수관(52)이 관삽입로(22) 내에 설치된 시일 부재(19)의 슬릿에 삽입되어 밸브(75)를 밀어넣고, 이에 의해 잉크 수납실(11)과 잉크 접수관(52)이 연통한다. 그 다음에, 전기 접점(4)이 전기 접속부(55)에 접촉하고, 마지막으로 결합부(24)가 걸림 레버(58)의 걸림돌기(54)에 결합하여, 도 18의 (b)에 나타나는 장착 완료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프린터 본체측 인터페이스부와 양호한 접속 관계를 실현할 수 있는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가 제공된다.
<폭이 넓은 잉크 카트리지>
도 19는 제3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801BK)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에 나타나는 블랙 잉크 카트리지(1801BK)의 기본 구성은 도 16에 나타나는 컬러 잉크 카트리지(1801)와 대부분 같다. 예를 들면, 양자 사이에 카트리지의 높이나 깊이는 같으며, 또한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의 종류나 배열 순서 및 배열폭도 같다.
블랙 잉크 카트리지(1801BK)가 컬러 잉크 카트리지(1801)와 주로 다른 점은 컬러 잉크 카트리지(1801)보다 큰 폭으로 구성되어 있는 점과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가 전면의 한쪽 편(상세하게는 우측)에 치우쳐 있다는 점이다.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를 전면의 한쪽 편(상세하게는 우측)에 치우치게 함으로써,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의 배열폭을 블랙과 컬러에서 같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블랙과 컬러에서 조인트 유닛(59)의 사이즈나 개략 구성을 공통화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제4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특히 결합부(224)의 구성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결합부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다. 따라서, 이러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24)를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까이 배치하기 위해서, 결합부(24)를 케이스의 상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결합부(24)를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까이 배치하는 구성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부를 케이스의 상면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결합부를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까이 배치해도 된다. 또한, 결합부(24)를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까이 배치하려면, 결합부를 저면보다 상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에 나타나듯이, 결합부(224)는 케이스의 우면(2f)을 구성하는 제2 케이스 부재(덮개 부재)(41)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결합부(224)는 우면(2f)으로부터 X축 방향(우면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이다. 이 돌기부(224)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Y축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224a)인 측부를 가지고, 이 영역(224a)의 적어도 일부가 걸림 레버(58)의 걸림돌기(54)와 접촉하고, 이에 의해 결합부(224)와 걸림돌기(54)가 결합한다. 또한, 결합부(224)의 접촉 영역(224a)은 도 5에 나타나는 결합 오목부(24)의 영역(24a)과 같이, 전기 접점(4)이 설치된 기판(3) 상의 영역의 수직선 또는 전기 접점(4)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이며,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영역(224a)은 상기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또한, 상기 영역(224a)은 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이기도 하고, 또한 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 영역(224a)은 잉크 배출구(8)의 중심선(잉크 배출구(8)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이기도 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를 케이스의 상면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구성으로서 도 20과 같은 형태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5 실시 형태나 제6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위치에 결합부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후술하는 제5 실시 형태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결합부는 저면보다 상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에 적용 가능한 결합부는 오목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 20과 같은 돌기 형상이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도 21 내지 도 2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의 구성 및 케이스의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외의 주된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다. 따라서, 이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케이스의 형상이 다름에 따라 내부 구성(예를 들면, 잉크 수납실의 형상이나 대기 연통로의 형상 등)도 당연히 다르게 되지만, 형상이 바뀌어도 기능에 변화는 없기 때문에, 내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은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3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잉크 카트리지(3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3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 대해서는, 케이스(2)의 형상이 특징적인데, 상면(2a)이 작고, 배면(2d)이 곡면이나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면(2d)의 일부의 영역이 결합부(324)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배면(2d)에 있어서의 상면 근방에 있는 경사면 또는 곡면이 결합부(324)를 구성한다. 이 결합부(324)는 저면(2b)보다 상면(2a)에 가까이 위치한다.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301)의 장착 동작은 도 22에 나타나는 대로이며, 도 10에 나타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착 동작과 대부분 같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 22에 나타나는 대로 결합부(324)가 걸림 레버(58)의 걸림돌기(54)와 결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에 대해 적용 가능한 결합부는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나타나는 오목부나 제4 실시 형태에 나타나는 돌기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곡면이나 경사면이라도 된다. 또한, 결합부가 설치되는 위치는 도 2와 같은 케이스(2)의 상면(2a)이나 도 20과 같은 케이스(2)의 측면(2f)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21과 같은 케이스(2)의 배면(2d)이어도 된다.
또한, 결합부(324)를 구성하는 경사면 또는 곡면은 도 5에 나타나는 영역(24a)이나 도 20에 나타나는 영역(224a)과 같이, 전기 접점(4)이 설치된 기판(3) 상의 영역의 수직선 또는 전기 접점(4)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고 있어,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324)는 상기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또한, 결합부(324)는 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고 있고, 또한, 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고 있다. 또한, 결합부(324)는 잉크 배출구(8)의 중심선(잉크 배출구(8)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고 있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도 23 및 도 2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의 구성 및 케이스의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외의 주된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다. 따라서, 이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케이스의 형상이 다름에 따라 내부 구성(예를 들면, 잉크 수납실의 형상이나 대기 연통로의 형상 등)도 당연히 다르게 되지만, 형상이 바뀌어도 기능에 변화는 없기 때문에, 내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3은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4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잉크 카트리지(4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4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에 대해서는, 케이스(2)의 형상이 특징적인데, 상면(2a)과 배면(2d)이 작고, 상면(2a)과 배면(2d)을 연결하는 접속 영역(2g)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접속 영역(2g)의 일부가 결합부(424)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접속 영역(2g)은 상면(2a)과 접속되고 또한 전면(2c)에 거의 평행한 제1 영역과 배면(2d)과 접속되고 또한 저면(2b)에 거의 평행한 제2 영역을 가지고 있어 이 제1 영역의 일부분인 상면 근방의 평면 부분이 결합부(424)로서 기능한다. 결합부(424)는 저면(2b)보다 상면(2a)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401)의 장착 동작은 도 24에 나타나는 대로이며, 도 10에 나타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착 동작과 대부분 같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 24에 나타낸 대로, 결합부(424)가 걸림 레버(58)의 걸림돌기(54)와 결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에 대해 적용 가능한 결합부는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나타나는 오목부, 제4 실시 형태에 나타나는 돌기부, 제5 실시 형태에 나타나는 곡면이나 경사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부가 설치되는 위치는 도 2와 같은 케이스(2)의 상면(2a), 도 20과 같은 케이스(2)의 측면(2f), 케이스(2)의 배면(2d)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도 23과 같은 케이스(2)의 상면(2a)과 배면(2d)과의 접속 영역(2g)이어도 된다.
또한, 결합부(424)를 구성하는 면은 도 5에 나타나는 영역(24a)이나 도 20에 나타나는 영역(224a)과 같이, 전기 접점(4)이 설치된 기판(3) 상의 영역의 수직선 또는 전기 접점(4)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고,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424)는 상기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또한, 결합부(424)는 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고 있고, 또한, 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고 있다. 또한, 결합부(424)는, 잉크 배출구(8)의 중심선(잉크 배출구(8)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고 있다.
〔제7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7 실시 형태에 대해 도 25 및 도 2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외의 주된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따라서, 이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5는 제7 실시 형태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5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잉크 카트리지(5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5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에 나타나듯이, 돌기인 결합부(524)가 케이스(2)의 상면(2a)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결합부(524)는 삼각기둥이 옆으로 누워있는 5면체의 돌기부이다. 이 돌기부(524)는 카트리지 장착 방향(Y축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524a)인 측부를 갖고, 이 영역(524a)의 적어도 일부가 걸림 레버(58)의 걸림돌기(54)와 접촉하고, 이에 의해 결합부(524)와 걸림 레버(58)의 걸림돌기(54)가 결합한다. 또한, 결합부(524)의 접촉 영역(524a)은 도 5에 나타나는 결합 오목부(24)의 영역(24a)과 같이, 전기 접점(4)이 설치된 기판(3) 상의 영역의 수직선 또는 전기 접점(4)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이며,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영역(524a)은 상기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또한, 상기 영역(524a)은 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이기도 하고, 또한 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 영역(524a)은 잉크 배출구(8)의 중심선(잉크 배출구(8)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이기도 하다.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501)의 장착 동작은 도 26에 나타나는 대로이며, 도 10에 나타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착 동작과 대부분 같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결합부(524)와 걸림 레버(58)의 관계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26의 (a)에 나타나는 위치에 있는 잉크 카트리지(501)가 장착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진입해 나가면, 결합부(524)가 걸림돌기(54)와 접촉하여 걸림 레버(58)의 걸림돌기측을 위로 밀어 올린다. 더욱 잉크 카트리지(701)가 진입해 나가면, 결합부(524)가 걸림돌기(54)보다 장착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곳까지 진행되어, 도 26의 (b)과 같이 결합부(524)의 영역(524a)이 걸림돌기(54)와 결합한다. 이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501)는 장착 완료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에 대해 적용 가능한 결합부는 제1 내지 제3의 실시 형태에 나타나는 오목부, 제4 실시 형태에 나타나는 돌기부, 제5 실시 형태에 나타나는 곡면이나 경사면, 제6 실시 형태에 나타나는 평면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8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8 실시 형태에 대해 도 27 및 도 2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외의 주된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다. 따라서, 이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7은 제8 실시 형태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6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잉크 카트리지(6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6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결합부(624)는 케이스(2)의 상면(2a)에 설치된 이동 가능 부재이다. 상세하게는, 결합부(624)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 돌기(624a)가 케이스(2)의 상면(2a)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스(2)의 상면(2a)에 지지된 탄성 변형 가능한 레버이다. 이 돌기(624a)가 걸림 레버(58)의 걸림돌기(54)와 접촉함으로써, 결합부(624)가 걸림 레버(58)와 결합한다. 또한, 돌기(624a)는 도 5에 나타나는 결합 오목부(24)의 영역(24a)과 같이, 전기 접점(4)이 설치된 기판(3) 상의 영역의 수직선 또는 전기 접점(4)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고 있으며,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기(624a)는 상기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돌기(624a)는 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부위이기도 하고, 또한 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부위이기도 하다. 또한, 상기 돌기(624a)는 잉크 배출구(8)의 중심선(잉크 배출구(8)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부위이기도 하다.
[0164] 제8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601)의 장착 동작은 도 28에 나타나는 대로이며, 도 10에 나타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착 동작과 대부분 같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결합부(624)와 걸림 레버(58)의 관계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28의 (a)에 나타나는 위치에 있는 잉크 카트리지(601)가 장착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진입해 나가면, 돌기(624a)가 걸림돌기(54)와 접촉하여 걸림 레버(58)의 걸림돌기측을 위로 밀어 올린다. 더욱 잉크 카트리지(601)가 진입해 나가면, 돌기(624a)가 걸림돌기(54)보다 장착 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는 곳까지 진행되어, 이 위치에서 결합부(624)가 걸림돌기(54)에 의해 하부측으로 밀려 도 28의 (b)와 같이 결합부(624)의 돌기(624a)가 걸림 레버(58)의 걸림돌기(54)와 결합한다. 이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601)는 장착 완료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에 대해 적용 가능한 결합부는 제1 내지 제7 실시 형태에 나타나는 고정(부동)의 결합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 가능한 결합부라도 된다.
〔제9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9 실시 형태에 대해 도 29 및 도 3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외의 주된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다. 따라서, 이 제8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9는 제9 실시 형태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7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잉크 카트리지(7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7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결합부(724)는 케이스(2)의 상면(2a)에 설치된, 케이스(2a)의 전면(2c)에 대해 이동 가능한 부재이다. 이 이동 가능한 결합부(724)는 탄성부로서의 용수철(725)에 의해 -A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으며 용수철(725)의 신축에 의해 -A 방향 및 그 역의 +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용수철(725)은 결합부(724)를 케이스(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결합부 이동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결합부(724)는 도 5에 나타나는 결합 오목부(24)의 영역(24a)과 같이, 전기 접점(4)이 설치된 기판(3) 상의 영역의 수직선 또는 전기 접점(4)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고 있고,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724)는 상기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제9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701)의 장착 동작은 도 30에 나타나는 대로인데, 도 10에 나타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착 동작과 대부분 같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결합부(724)와 걸림 레버(58)의 관계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결합부(724)가 걸림돌기(54)와 접촉하고 있지 않는 상태(비결합 상태)에서는, 도 30의 (a)와 같이 용수철(725)은 신장 상태가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잉크 카트리지(701)가 장착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진입해 나가서, 도 30의 (b)과 같이 결합부(724)가 걸림돌기(54)와 접촉하여 양자가 결합한다. 이 결합 상태에 있어서, 용수철(725)은 압축 상태로 되어 있다. 도 30의 (b)에 있어서의 결합부(724)의 위치는 도 30의 (a)에 있어서의 결합부(724)의 위치보다 전면(2c) 또는 전기 접점(4)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0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10 실시 형태에 대해 도 3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접점을 탑재한 기판의 배치가 제1 실시 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외의 주된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다. 따라서, 이 제10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1은 제10 실시 형태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8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잉크 카트리지(8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8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기판(3)은 상면(2a)과 전면(2c)을 연결하는 경사면(2h)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기판(3)에 구비된 전기 접점(4)은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Y축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가지고 있고, 해당 영역은 상면(2a)과 전면(2c)의 양쪽 모두에 대해 경사를 이루고 있다. 도 31의 구성에 의하면, 전기 접점(4)은 카트리지 삽입 방향(Y축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가지고 있고 Y축 방향으로 평행한 면에 설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801)의 삽입시에 있어서의 전기 접점(4)과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와의 마찰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기 접점(4)은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101)의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있으므로, 이 점에 관해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에 설치되는 기판(3) 및 전기 접점(4)은 제1 내지 제9 실시 형태에 나타나듯이 전면(2c)에 설치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1에 나타나는 전기 접점(4)은 (ⅰ) 카트리지 삽입 방향(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ⅱ) Y축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ⅲ) 카트리지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ⅳ)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ⅴ) 관삽입로(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및 (ⅵ)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31에 나타나는 기판(3)은 (ⅰ) 카트리지 삽입 방향(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면, (ⅱ) Y축 방향과 교차하는 면, (ⅲ) 카트리지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면, (ⅳ)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 (ⅴ) 관삽입로(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 및 (ⅵ)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가지고 있다.
〔제11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11 실시 형태에 대해 도 32 및 도 3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접점을 탑재한 기판을 지지하는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외의 주된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다. 따라서, 이 제11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2는 제11 실시 형태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9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기 접점(4)이 구비된 기판(3)은 탄성체(937)로서의 용수철에 의해 +A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으며, 용수철(937)의 신축에 의해 +A 방향 및 -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용수철(937)은 기판(3)을 케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판 이동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용수철(937)은 기판(3)의 이면에 설치된 돌기(936)와 케이스(2)의 전벽에 설치된 돌기(938)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있다. 잉크 카트리지(901)가 장착부(33)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잉크 카트리지의 미사용시)에 대해서는, 도 32의 (a)와 같이 용수철(937)은 신장 상태가 되어 있다. 한편, 잉크 카트리지(901)가 장착부(33)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 32의 (b)와 같이 용수철(937)은 압축 상태로 되어 있어 용수철(937)이 압축된 만큼 기판(3)은 전면(2c)보다 안쪽으로 들어간다.
도 33은 제11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901)가 장착부(33)에 삽입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삽입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3에 나타나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착 동작은 도 10에 나타나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장착 동작과 대부분 같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용수철(937)의 신축과 기판(3)의 이동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33의 (a)와 같이, 기판(3)에 설치된 전기 접점(4)이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와 접촉하고 있지 않는 상태(비접촉 상태)에서는, 용수철(937)은 신장 상태에 있다. 도 33의 (a)의 위치로부터 도 33의 (b)의 위치로 향해 잉크 카트리지(901)가 삽입되어 가면, 전기 접점(4)이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와 접촉한다. 그 후, 카트리지(901)를 더욱 안쪽으로 밀어넣으면, 전기 접점(4)이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로부터 가압되며 그에 따라 용수철(937)이 압축되어 그만큼 기판(3)이 전면(2c)보다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로 이동한다. 그 후, 도 33의 (b)에 나타나듯이, 결합부(24)가 걸림 레버(58)와 결합하고, 이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901)가 장착 완료 상태가 된다.
도 32의 구성에 의하면, 기판(3)이 용수철(937)에 의해+A 방향(장착 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으므로, 전기 접점(4)과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와의 접촉이 안정되기 쉽다. 또한, 기판(3)이 용수철(937)에 의해 -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기 접점(4)이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와 접촉했을 때에 필요 이상으로 접촉압이 높아지기 어렵다. 본 실시 형태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에 설치되는 기판(3) 및 전기 접점(4)은 전면(2c)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2 및 도 33에 나타나는 전기 접점(4)은 (ⅰ) 카트리지 삽입 방향(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ⅱ) Y축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ⅲ) 카트리지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ⅳ)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ⅴ) 관삽입로(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및 (ⅵ)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32 및 도 33에 나타나는 기판(3)은 (ⅰ) 카트리지 삽입 방향(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면, (ⅱ) Y축 방향과 교차하는 면, (ⅲ) 카트리지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면, (ⅳ)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 (ⅴ) 관삽입로(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 및 (ⅵ)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가지고 있다.
〔제1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12 실시 형태에 대해 도 34 및 도 3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접점을 탑재한 기판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외의 주된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다. 따라서, 이 제12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4는 제12 실시 형태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0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잉크 카트리지(10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기판(1003)의 사시도이다. 전기 접점(1004)을 구비한 기판(1003)은 회전축(103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판(1003)은 제1 부분(1003a)과 제1 부분과 개략 수직인 제2 부분(1003b)을 갖는 개략 L자 형상이며, 제1 부분(1003a)과 제2 부분(1003b)은 회전축(1037)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 회전축(1037)의 양단은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다. 기판(1003)의 제2 부분(1003b)의 이면측에는, 케이스(2) 상벽의 아래쪽 면에 접속된 인장 용수철(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인장 용수철은 잉크 카트리지의 미사용시에 전기 접점(1004)이 거의 수직 하부를 향하도록 기판(1003)의 제2 부분(1003b)에 힘을 가하고 있다. 한편, 기판(1003)의 제1 부분(1003a)은 잉크 카트리지(1001)의 삽입시에 장착부(33)와 접촉하는 것으로, 장착부(33)로부터 회전력을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부분(1003a)이 회전력을 받음으로써, 기판(1003) 전체가 회전축(1037)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기판(1003)의 제2 부분(1003b)에 설치된 전기 접점(1004)이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이와 같이 전기 접점(1004)은, 잉크 카트리지의 미사용시에는 거의 수직 방향 아래를 향하고 있지만,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와 접속한 전기 접속 상태시에는 전방을 향하게 된다.
도 35는 제12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001)가 장착부(33)에 삽입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삽입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삽입 도중을 나타내고, (c)는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5의 (a)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001)가 삽입되어 가면, 기판(1003)의 제1 부분(1003a)이 위쪽의 장착 가이드(50)에 접촉하여 기판(1003)이 회전한다. 그리고, 도 35의 (b)와 같이 기판(1003)의 제2 부분(1003b)이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 잉크 카트리지(1001)가 삽입되어 간다. 그 후, 도 35의 (c)와 같이, 기판(1003)의 전기 접점(1004)이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결합부(24)가 걸림 레버(58)와 결합함으로써, 장착 완료 상태가 된다. 그 후, 잉크 카트리지(1001)을 카트리지 장착부(33)으로부터 제거하면, 기판(1003)의 제2 부분(1003b)의 이면에 설치되는 인장 용수철(미도시)에 의해 기판(1003)은 역회전하고, 다시 도 34의 (a)와 같이 전기 접점(1004)이 아래를 향하는 상태가 된다. 인장 용수철은 기판(1003)을 케이스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판 이동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 34 및 도 35의 구성에 의하면, 카트리지 장착 전에는 전기 접점(1004)은 유저가 손대기 어려운 케이스 내부 또는 케이스로부터 안쪽으로 들어간 개소에 위치하고 있고, 잉크 카트리지의 장착에 수반하여 기판(1003)이 회전하여 전기 접점(1004)이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위치로 이동해 오므로, 카트리지 장착 전에 유저가 전기 접점(1004)에 접할 가능성을 저감 할 수 있다.
또한,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나는 전기 접점(1004)은 잉크 카트리지의 미사용시에는, (ⅰ) 카트리지 삽입 방향(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ⅱ) Y축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ⅲ) 카트리지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ⅳ)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ⅴ) 관삽입로(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및 (ⅵ)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잉크 카트리지(1001)의 장착 완료 상태 또는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와의 접속 상태에 대해서는, 도 34 및 도 35에 나타나는 전기 접점(1004)은 바로 위에 열거되고 있는 (ⅰ) 내지 (ⅵ)의 영역을 갖는 상태가 된다.
〔제1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13 실시 형태에 대해 도 36 및 도 3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접점을 탑재한 기판의 구성이나 배치가 제1 실시 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외의 주된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다. 따라서, 이 제13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6은 제13 실시 형태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1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잉크 카트리지(11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11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에 나타나듯이, 기판(1103)은 상면과 평행한 제1 부분(1103a)과 제1 부분(1103a)에 대해 개략 수직인 제2 부분(1103b)을 갖는 개략 L자 형상으로, 제1 부분(1103a)의 이면이 상면(2a)에 의해 지지되고 제2 부분(1103b)의 이면이 전면(2c)에 의해 지지된다. 전극 접점(1104)은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와 접촉 가능한 영역(Y축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가지도록, 기판(1103)의 제2 부분(1103b)에 의해 지지된다. 이 전기 접점(1104)은 기판(1103)의 제1 부분(1103a)에 설치된 기억 소자(1105)와 전기 배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도 37은 제13 실시 형태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2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잉크 카트리지(12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12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에 나타나듯이, 기판(1203)은 상면과 평행한 제1 부분(1203a)과 제1 부분(1203a)에 대해 굴곡된 제2 부분(1203b)을 갖는 개략 L자 형상으로, 제1 부분(1203a)의 이면이 상면(2a)에 의해 지지된다. 제2 부분(1203b)의 이면은 전면(2c)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어, 이 점이 도 36의 구성과는 다르다. 전기 접점(1204)은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와 접촉 가능한 영역(Y축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가지도록, 기판(1203)의 제2 부분(1203b)에 의해 지지된다. 이 전기 접점(1204)은 기판(1203)의 제1 부분(1103a)에 설치된 기억 소자(1205)와 전기 배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잉크 카트리지(1201)가 장착부(33)에 삽입되어 가면, 전기 접점(1204)이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에 접촉하고, 그 후 양자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기판(1203)의 제2 부분(1203b)이 변형되어 케이스(2)의 전면(2c)에 접촉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결합부(24)가 걸림 레버(58)에 결합하여 장착 완료 상태가 된다.
도 36 및 도 37의 구성에 의하면, 전기 접점(1104, 1204)은 카트리지 삽입 방향(Y축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가지고 있고 Y축 방향으로 평행한 면에 설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의 삽입시에 있어서의 전기 접점과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와의 마찰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기 접점(1104, 1204)은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301)의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있으므로, 이 점에 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에 설치되는 기판(3)은 전면(2c)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나는 전기 접점(1104, 1204)은 (ⅰ) 카트리지 삽입 방향(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ⅱ) Y축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ⅲ) 카트리지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ⅳ)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ⅴ) 관삽입로(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및 (ⅵ)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36 및 도 37에 나타나는 기판(1103, 1203)은 (ⅰ) 카트리지 삽입 방향(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면(1103b, 1203b), (ⅱ) Y축 방향과 교차하는 면(1103b, 1203b), (ⅲ) 카트리지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면(1103b, 1203b), (ⅳ)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1103b, 1203b), (ⅴ) 관삽입로(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1103b, 1203b) 및 (ⅵ)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1103b, 1203b)을 가지고 있다.
〔제14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14 실시 형태에 대해 도 3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접점을 탑재한 기판의 구성이나 배치가 제1 실시 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외의 주된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다. 따라서, 이 제14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8은 제14 실시 형태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3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잉크 카트리지(130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잉크 카트리지(1301)를 X축 방향을 따라 우면측에서 본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판(1303)은 상면(2a)과 전면(2c)을 연결하는 절결부에 상면(2a)에 거의 평행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전기 접점(1304)은 기판(1303) 상의 전면측 선단에 설치되어 있고, 기억 소자(1305)는 전기 접점(1304)보다 기판(1303) 상의 배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전기 접점(1304)과 기억 소자(1305)는 전기 배선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도 38의 구성에 의하면, 전기 접점(1304)은 카트리지 삽입 방향(Y축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가지고 있고 Y축 방향과 평행한 면에 설치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1301)의 삽입시에 있어서의 전기 접점(4)과 본체측의 전기 접속부(55)와의 마찰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기 접점(4)은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301)의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있으므로, 이 점에 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38의 구성에서는, 기판(1303)을 절결부에 설치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판(1303)을 상면(2a)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서도, 기판(1303) 상의 전면측 선단에 전기 접점(1304)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도 38에 나타나는 기판(1303)은 도 2나 도 31, 도 32 등에 나타나는 기판(3)과는 달리, (ⅰ) 카트리지 삽입 방향(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면, (ⅱ) Y축 방향과 교차하는 면, (ⅲ) 카트리지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면, (ⅳ)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 (ⅴ) 관삽입로(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 또는 (ⅵ)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면을 갖지 않는다. 그렇지만, 기판(1303)에 구비된 전기 접점(1304)은 도 38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ⅰ) 카트리지 삽입 방향(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ⅱ) Y축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ⅲ) 카트리지 깊이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ⅳ)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형성면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ⅴ) 관삽입로(잉크 배출로)(22)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 및 (ⅵ) 관삽입구(잉크 배출구)(8)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가지고 있다.
〔제15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15 실시 형태에 대해 도 3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결정부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외의 주된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다. 따라서, 이 제15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9는, 제15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위치 결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의 (a)의 잉크 카트리지(1401)는 위치 결정 핀(53)과 결합하는 복수의 돌기(1406)를 가지고 있어 이 복수의 돌기(1406)가 위치 결정부(1406)로서 기능한다. 복수의 돌기(1406)는 전면(2c)보다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돌기(1406)로 둘러싸이는 개구는 전기 접점(4)의 아래쪽에, 한편 잉크 배출구(8)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잉크 배출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복수의 돌기(1406)로 둘러싸이는 개구에 위치 결정 핀(53)이 삽입되어 위치 결정 핀(53)이 복수의 돌기(1406)와 결합함으로써, 카트리지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예를 들면, 전면(2c)에 나란한 방향)으로의 카트리지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도 39의 (b)의 잉크 카트리지(1501)는 위치 결정 핀(53)이 삽입될 수 있는 슬릿을 형성하는 슬릿 형성 부재(1506)를 갖추고 있으며 이 슬릿 형성 부재(1506)가 위치 결정부로서 기능한다. 슬릿 형성 부재(1506)는 전면(2c)보다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슬릿 형성 부재(1506)에 의해 형성되는 슬릿은 전기 접점(4)의 아래쪽에, 그리고 잉크 배출구(8)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잉크 배출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위치 결정 핀(53)이 슬릿에 삽입되어 슬릿 형성 부재(1506)와 결합함으로써, 카트리지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예를 들면, 전면(2c)에 나란한 방향)으로의 카트리지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도 39의 (c)의 잉크 카트리지(1601)는 위치 결정 핀(53)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를 갖는 C자 형상 부재(1606)를 갖추고 있으며 이 C자 형상 부재(1606)가 위치 결정부로서 기능한다. C자 형상 부재(1606)는 전면(2c)보다 안쪽으로 들어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C자 형상 부재(1606)로 형성되는 개구는 전기 접점(4)의 아래쪽에, 그리고 잉크 배출구(8)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잉크 배출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위치 결정 핀(53)이 개구에 삽입되어 C자 형상 부재(1606)와 결합함으로써, 카트리지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예를 들면, 전면(2c)에 나란한 방향)으로의 카트리지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에 적용 가능한 위치 결정부는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케이스(2)의 전면(2c)에 설치된 위치 결정 구멍(6)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결정부(6)는 위치 결정 핀(53)에 작용하여 잉크 카트리지를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이면 넓게 적용 가능하다.
〔제16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16 실시 형태에 대해 도 4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3), 위치 결정부(3) 및 관통부(27)가 케이스(2)의 구성 요소인 제2 케이스 부재(1741)에 설치되어 관삽입구(8)와 식별부(9)가 케이스(2)의 구성 요소인 제1 케이스 부재(1740)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의 일부가 덮개 부재로서 기능하는 제2 케이스 부재에 설치되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외의 주된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다. 따라서, 이 제16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0은 제16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케이스(2)의 구성 요소인 제2 케이스 부재(1741)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제1 케이스 부재(1740)와 제2 케이스 부재(1741)를 갖는 잉크 카트리지(1701)의 사시도이다. 도 40의 (a)에 나타나듯이, 본 실시 형태의 제2 케이스 부재(1741)는 도 4에 나타나는 제1 실시 형태의 제2 케이스 부재(41)에 케이스(2)의 전벽/전면의 주요부가 되는 제2 전벽 형성 부재(1702c2)를 더한 것이다. 이 제2 전벽 형성 부재(1702c2)에는, 전기 접점(4)을 구비한 기판(3), 위치 결정부(6) 및 관통부(2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1 케이스 부재(1740)는 도 4에 나타나는 제1 케이스 부재(40)로부터 기판(3), 위치 결정부(6) 및 관통부(27)를 없애고, 전벽(2c)의 일부만을 제1 전벽 형성 부재(1702c1)로서 남긴 것이다. 즉, 제1 케이스 부재(1740)는, 결합부(24)가 설치된 상면(2a), 하면(2b), 배면(2d), 도시하지 않은 좌면(2e) 및 제1 전벽 형성 부재(1702c1)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제1 전벽 형성 부재(1702c1)에는 관삽입구(8) 및 식별부(9)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케이스 부재(1741)를 제1 케이스 부재(1740)에 설치함으로써, 도 40의 (b)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잉크 카트리지(1701)가 형성된다. 도 40의 (b)로부터 분명하게, 케이스(2)의 전벽/전면(2c)은 제1 케이스 부재(1740)의 구성 요소인 제1 전벽 형성 부재(1702c1)와 제2 케이스 부재(1741)의 구성 요소인 제2 전벽 형성 부재(1702c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에 적용 가능한 케이스는 제1 실시 형태에 나타낸 제1 케이스 부재와 제2 케이스 부재를 조합한 케이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케이스의 전벽/전면(2c)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낸 것처럼 케이스의 전벽/전면(2c)이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는 형태여도 된다. 그리고, 케이스의 전벽/전면에 배치되어야 할 카트리지측 인터페이스부를 케이스의 전벽/전면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에 분산시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7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17 실시 형태에 대해 도 41 및 도 4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잉크 카트리지의 결합부의 구성 및 카트리지 장착부(33)의 걸림부의 구성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를 뿐이고, 그 외의 주된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거의 같다. 따라서, 이 제17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1은 제17 실시 형태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9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결합 레버(1926)의 이동에 수반하여 결합부(1924)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에 나타나듯이, 잉크 카트리지(1901)는 결합부(1942)를 갖는 이동 가능한 결합 레버(1926)를 갖는다. 결합 레버(1926)는 상면(2a)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192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결합 레버(1926)의 회전에 의해 결합부(1924)가 케이스(1902)의 상면(1902a)에 접근하거나 상면(1902a)으로부터 멀어짐으로써, 결합부(1924)와 케이스(1902)의 상면(1902a)과의 거리가 가변한다. 도 41의 (a)는 결합부(1924)와 케이스(1902)의 상면(1902a)과의 거리가 비교적 클 때의 결합 레버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41의 (b)는 결합부(1924)와 케이스(1902)의 상면(1902a)과의 거리가 비교적 작을 때의 결합 레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결합 레버(1926)에 설치된 결합부(1924)는 상면(2c)의 근방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잉크 배출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점에 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2는 제17 실시 형태에서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1901)가 장착부(33)에 삽입되어 가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삽입 초기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잉크 카트리지(1901)가 삽입되면, 결합부(1924)가 카트리지 장착부(33)에 설치된 위쪽의 장착 가이드(50)에 접하며, 결합부(1924)가 상면(2a)에 접근하도록 결합 레버(1926)가 이동한다. 결합부(1924)가 상면(2a)에 접근한 상태가 도 42의 (a)에 나타나는 상태이다. 도 42의 (a)의 상태로부터 잉크 카트리지(1901)가 더욱 안쪽으로 삽입되어 결합부(1924)가 위쪽의 장착 가이드(50)의 단부를 통과하면, 결합부(1924)가 상면(2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결합 레버(1926)가 이동한다. 이에 의해, 결합부(1924)가 위쪽의 장착 가이드(50)의 단부에 설치된 결합 부재(1954)와 결합하여, 잉크 카트리지(1901)가 장착 완료 상태가 된다.
잉크 카트리지(1901)를 카트리지 장착부(33)로부터 제거할 때에는, 결합 레버(1926)의 배면측 단부(1927)를 위쪽(Z축 방향)으로 들어 올린다. 이에 의해, 결합부(1924)와 결합 부재(1954)와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며 이 해제에 수반하여 이젝트 용수철(57)의 가압력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1901)는 제거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저가 잉크 카트리지(1901)를 카트리지 장착부(33)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걸림 레버(1926)를 유저가 조작하여, 결합부(1924)와 결합 부재(1954)와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면, 용수철력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1901)는 제거 방향으로 이동해 오지만, 이 때 유저의 손은 제거 위치 부근에 있으므로, 만일 용수철력이 강하다고 해도 용수철력에 의해 튀어 나온 잉크 카트리지(1901)를 유저는 간단하게 손으로 잡을 수가 있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1901)의 필요 이상의 강한 튀어 나옴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에 적용 가능한 결합부는 카트리지 장착부(33)의 걸림 레버(58)와 결합 가능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 장착부(33)의 구성 요소와 결합 가능한 여러 가지 구성의 결합부를 적용 가능하다.
〔제18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18 실시 형태에 대해 도 4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3은 제18 실시 형태에 대해 적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2001, 2101, 2201, 2301)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잉크 카트리지에 위치 결정부(6) 및/또는 관통부(27)를 설치하지 않도록 하며, 한편 카트리지 장착부(33)에 위치 결정 핀(53) 및/또는 개봉 핀(51)을 설치하지 않도록 한 점이 제1 실시 형태와의 주된 차이점이며,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대체로 같다. 따라서, 이 제18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같은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3의 (a)에 나타나는 잉크 카트리지(2001)는 제1 실시 형태의 잉크 카트리지(1)로부터 위치 결정부(6) 및 관통부(27)를 제거하고, 또한 대기 연통구(미도시) 및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2017)을 케이스(2)의 상면(2a)에 설치한 것이다. 이 잉크 카트리지(2001)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 장착부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 장착부(33)로부터 위치 결정 핀(53) 및 개봉 핀(51)을 없앤 것이다. 카트리지 장착부에는 개봉 핀(51)이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은 유저가 벗길 필요가 있다. 그래서, 도 43의 (a)의 잉크 카트리지(2001)에서는 유저가 필름을 벗기기 쉬운 케이스(2)의 상면(2a)에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2017)을 설치하도록 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위치 결정부(6) 및 위치 결정 핀(53)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관삽입구(8) 및 잉크 접수관(52)과 위치 규제면(10) 및 위치 결정벽(56)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2001)가 위치 결정된다. 그 때문에, 위치 결정 정밀도는 제1 실시 형태의 그것보다 뒤떨어진다. 그러나, 결합부(24)를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에 가까이 배치하고 있는 점 및/또는 결합부(24)를 전기 접점(4)과의 거리가 작은 상면(2c) 또는 상면 근방에 배치하고 있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와 같으므로, 이 점에 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43의 (a)의 구성에서는, 유저에게 시일을 벗기게 하는 구성 때문에, 카트리지 장착 전에 대기 연통구 필름(2017)이 유저에 의해 벗겨져 버릴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1 실시 형태의 효과를 얻을 수 없다. 그러나, 한편,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의 첨부는 제1 실시 형태의 그것보다 용이하게 되며, 또한 개봉 핀(51)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프린터 본체의 부품 수를 줄일 수도 있다. 또한, 이 도 43의 (a)에서는, 대기 연통구(미도시) 및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2017)을 케이스(2)의 상면(2a)에 설치하는 구성에 대해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저가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2017)을 용이하게 벗길 수 있는 곳이면,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2017)은 어디에 배치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대기 연통구 및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2017)을 케이스(2)의 배면(2d)이나 우면(2f), 좌면(2e) 등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3의 (b)에 나타나는 잉크 카트리지(2101)는 제1 실시 형태의 잉크 카트리지(1)로부터 위치 결정부(6), 관통부(27), 대기 연통구(7), 필터(15), 대기 연통로(16) 및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17)을 제거하고, 나아가 케이스 내부의 잉크 수납실(11)의 구조를 바꾼 것이다.
도 43의 (c)에 나타나는 잉크 카트리지(2201)는 제1 실시 형태의 잉크 카트리지(1)로부터 관통부(27)를 제거하며, 또한 대기 연통구(미도시) 및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2217)을 케이스(2)의 상면(2a)에 설치한 것이다. 이 잉크 카트리지(2001)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 장착부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 장착부(33)로부터 개봉 핀(51)을 없앤 것이다. 유저에게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2217)을 벗기게 하는 구성 때문에, 카트리지 장착 전에 대기 연통구 필름(2217)이 유저에 의해 벗겨져 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제1 실시 형태의 효과를 얻을 수 없다. 그러나, 그 대신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의 첨부는 제1 실시 형태의 그것보다 용이하게 된다.
도 43의 (d)에 나타나는 잉크 카트리지(2301)는 제1 실시 형태의 잉크 카트리지(1)로부터 위치 결정부(6)를 제거한 것이다. 이 잉크 카트리지(2301)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카트리지 장착부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 장착부(33)로부터 위치 결정 핀(53)을 없앤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위치 결정부(6) 및 위치 결정 핀(53)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관삽입구(8) 및 잉크 접수관과 위치 규제면(10) 및 위치 결정벽(56)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2301)의 위치 결정이 된다. 그 때문에, 위치 결정 정밀도는 제1 실시 형태의 그것보다 뒤떨어진다. 그러나, 결합부(24)를 관삽입구(8)보다 전기 접점(4)의 근처에 배치하고 있는 점 및/또는 결합부(24)를 전기 접점(4)과의 거리가 작은 상면(2c) 또는 상면 근방에 배치하고 있는 점은 제1 실시 형태와 같으므로, 이 점에 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바람직한 양태]
상술한 실시 형태에 대해 개시된 본 발명의 잉크 카트리지 또는 잉크젯 프린터의 바람직한 양태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다.
(양태 1)
잉크 접수관 및 복수의 전기 접속부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잉크 접수관에 공급 가능한 잉크를 수납하기 위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장착 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제1 측면, 상면(上面)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부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으로서,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복수의 전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으로 향하는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의 상기 영역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2)
상기 기판의 상기 영역은 상기 제1 측면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3)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 또는 2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4)
상기 기판의 상기 영역은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상면에 대해서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5)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상면과의 사이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 또는 4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6)
잉크 접수관 및 복수의 전기 접속부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잉크 접수관에 공급 가능한 잉크를 수납하기 위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장착 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제1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부와,
상기 상면에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전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의 각각은,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의 상기 영역이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으로 향하는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7)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은 상기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8)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장착 방향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과 접속된 제3 측면과,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과 접속된 제4 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은,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과 직교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9)
상기 제3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제4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3 측면, 상기 제4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작은 면적을 갖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3 측면, 상기 제4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8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10)
잉크 접수관 및 복수의 전기 접속부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잉크 접수관에 공급 가능한 잉크를 수납하기 위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장착 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제1 측면, 상기 장착 방향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제3 측면,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제4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부와,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기판과,
상기 복수의 전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 상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11)
상기 제3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제4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3 측면, 상기 제4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작은 면적을 갖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3 측면, 상기 제4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0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12)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상기 관삽입부와 상기 잉크 수납실을 연결하는 관삽입로와,
상기 관삽입로에 설치된 탄성체로서, 상기 관삽입로에의 상기 잉크 접수관의 삽입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가능한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13)
상기 탄성체는 상기 관삽입로에 삽입되는 상기 잉크 접수관의 외주면과 접촉 가능한 고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2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14)
상기 관삽입부에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된 삽입 상태 및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과 상기 복수의 전기 접속부가 접속된 접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걸림 레버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15)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저면보다 상기 상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4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16)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4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17)
상기 결합부는 상기 걸림 레버의 돌기와 결합 가능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4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18)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삽입부보다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4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19)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로서, 상기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위치 결정 부재와 결합 가능한 위치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20)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관삽입부보다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9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21)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삽입되는 위치 결정구를 갖고,
상기 위치 결정구는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20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22)
상기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은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으로 향하는 높이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9 내지 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23)
상기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은 상기 제1 측면에 나란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19 내지 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24)
잉크 카트리지로서,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로서,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를 갖고, 상기 복수의 측면이 제1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된 기판과,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으로 향하는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 상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25)
잉크 카트리지이며,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로서,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를 갖고, 상기 복수의 측면이 제1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측면의 수직선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으로 향하는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의 상기 영역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26)
상기 복수의 측면은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과,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제3 측면과,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제4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은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과 직교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24 또는 25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27)
상기 제3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제4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3 측면, 상기 제4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작은 면적을 갖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3 측면, 상기 제4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26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28)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24 내지 2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29)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저면보다 상기 상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28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30)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28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31)
상기 결합부는 상기 기판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28 내지 3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32)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배출구를 연결하는 중공로와,
상기 중공로에 설치된 고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24 내지 3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33)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로서, (a)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면, (b)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 (c)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3 면, (d)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4 면, (e)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5 면, (f)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5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6 면을 갖고, (g)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4 면보다 상기 제3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제1 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제3 면으로부터 상기 제4 면으로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34)
상기 제3 면으로부터 상기 제4 면으로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방향은 상기 제5 면 및 상기 제6 면과 직교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33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35)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기판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오목부 형상의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33 또는 34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36)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4 면의, 상기 제2 면보다 상기 제1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35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37)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배출구를 연결하는 중공로와,
상기 중공로에 설치된 고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24 내지 3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38)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와, 상기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배출구를 연결하는 중공로를 갖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으로 향하는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의 각각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중공로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39)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으로 향하는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의 각각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잉크 배출구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40)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형성된 형성 영역을 포함하는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으로 향하는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의 각각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형성 영역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41)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과, 상기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제3 측면과,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제4 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은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과 직교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38 내지 4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42)
상기 제3 측면은 상기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제4 측면은 상기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측면은 상기 제3 측면, 상기 제4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작은 면적을 갖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3 측면, 상기 제4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41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43)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38 내지 4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44)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저면보다 상기 상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43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45)
상기 결합부는 상기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43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46)
상기 결합부는 상기 기판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43 내지 4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47)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배출구를 연결하는 중공로와,
상기 중공로에 설치된 고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38 내지 4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48)
잉크 접수관 및 복수의 전기 접속부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를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로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A) 상기 잉크 접수관에 공급 가능한 잉크를 수납하기 위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한 케이스로서, 상기 장착 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제1 측면, 상기 장착 방향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2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와, (B)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부와, (C)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기판으로서,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기판과, (D) 상기 복수의 전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으로 향하는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의 상기 영역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양태 49)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은 상기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48에 기재된 잉크젯 프린터.
(양태 50)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과 접속된 제3 측면과,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과 접속된 제4 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은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애 직교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48 또는 49에 기재된 잉크젯 프린터.
(양태 51)
개봉 핀을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착탈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로서,
(i) 잉크 수납실이과, (ii) 상기 잉크 수납실에 접속되어 상기 잉크 수납실에 대기를 도입 가능한 대기 연통로와, (iii) 상기 개봉 핀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관통 구멍 형성벽과, (iv) 상기 관통 구멍 형성벽과 상기 잉크 수납실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대기 연통로의 단부에 위치하는 대기 연통구가 형성된 대기 연통구 형성벽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한 상기 개봉 핀에 의해 개봉 가능한 밀봉 필름으로서, 상기 대기 연통구를 덮는 밀봉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52)
잉크 접수관 및 개봉 핀을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착탈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로서,
(i) 상기 잉크 접수관에 공급 가능한 잉크를 수납하기 위한 잉크 수납실과, (ii) 상기 잉크 수납실에 접속되어 상기 잉크 수납실에 대기를 도입 가능한 대기 연통로와, (iii)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구와, (iv) 상기 개봉 핀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 구멍과, (v) 상기 관삽입구 및 상기 관통 구멍을 갖는 측벽, 상기 측벽과 상기 잉크 수납실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대기 연통로의 단부에 위치하는 대기 연통구가 형성된 대기 연통구 형성벽, 저벽 및 상벽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한 상기 개봉 핀에 의해 개봉 가능한 밀봉 필름으로서, 상기 대기 연통구를 덮는 밀봉 필름과,
상기 잉크 접수관에 의해 개봉 가능한 밀봉 필름으로서, 상기 관삽입구를 덮는 제2 밀봉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53)
개봉 핀을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착탈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의 제조방법으로서,
(i) 잉크 수납실과, (ii) 상기 잉크 수납실에 접속되어 상기 잉크 수납실에 대기를 도입 가능한 대기 연통로와, (iii) 상기 개봉 핀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관통 구멍 형성벽과, (iv) 상기 관통 구멍 형성벽과 상기 잉크 수납실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대기 연통로의 단부에 위치하는 대기 연통구가 형성된 대기 연통구 형성벽을 구비한 케이스를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한 상기 개봉 핀에 의해 개봉 가능한 밀봉 필름을, 상기 대기 연통구를 덮도록 부착하는 부착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의 제조방법.
(양태 54)
상기 잉크 수납실에 잉크를 주입하는 주입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 공정은 상기 부착 공정 뒤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53에 기재된 제조 방법.
(양태 55)
잉크 접수관 및 개봉 핀을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착탈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으로서,
(i) 상기 잉크 접수관에 공급 가능한 잉크를 수납하기 위한 잉크 수납실과, (ii) 상기 잉크 수납실에 접속되어 상기 잉크 수납실에 대기를 도입 가능한 대기 연통로와, (iii)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구와, (iv) 상기 개봉 핀이 삽입될 수 있는 관통 구멍과, (v) 상기 관삽입구 및 상기 관통 구멍을 갖는 측벽, 상기 측벽과 상기 잉크 수납실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대기 연통로의 단부에 위치하는 대기 연통구가 형성된 대기 연통구 형성벽, 저벽 및 상벽을 갖는 케이스를 준비하는 준비 공정과,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한 상기 개봉 핀에 의해 개봉 가능한 밀봉 필름을 상기 대기 연통구를 덮도록 부착하는 부착 공정과,
상기 잉크 접수관에 의해 개봉 가능한 제2 밀봉 필름을 상기 관삽입구를 덮도록 부착하는 제2 부착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양태 56)
상기 잉크 수납실에 잉크를 주입하는 주입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 공정은 상기 제1 부착 공정의 뒤에, 상기 제2 부착 공정 전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55에 기재된 제조 방법.
(양태 57)
잉크 접수관, 전기 접속부 및 위치 결정 부재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잉크 접수관에 공급 가능한 잉크를 수납하기 위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장착 방향의 앞쪽에 위치하는 전면, 상면 및 저면을 갖는 프레임과,
전기 전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부와,
상기 전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영역을 갖는 전기 접점과,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에서, 상기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에서 또한 상기 관삽입부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위치 결정 부재와 결합 가능한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58)
상기 위치 결정부는 전기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삽입되는 위치 결정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태 57에 기재된 잉크 카트리지.
(양태 59)
잉크 접수관, 전기 접속부, 위치 결정 부재, 가압 용수철 및 걸림 레버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잉크 접수관에 공급 가능한 잉크를 수납하기 위한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구를 포함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장착 방향의 앞쪽에 위치하는 전면, 상기 장착 방향의 뒤측에 위치하는 후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관삽입구가 상기 전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전기 전면의, 상기 저면보다 상기 상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기 접점과,
전기 전면의, 상기 관삽입구보다 위쪽에, 상기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에 또한 상기 관삽입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에 나란한 방향으로의 상기 프레임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 결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60)
잉크 접수관, 전기 접속부 및 걸림 레버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잉크 접수관에 공급 가능한 잉크를 수납하기 위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장착 방향의 앞쪽에 위치하는 전면, 상면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전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부와,
상기 전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전기 접점과,
상기 관삽입부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로서, 상기 관삽입부에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된 삽입 상태 및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전기 접속부가 접속된 접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걸림 레버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61)
잉크 접수관, 전기 접속부 및 걸림 레버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잉크 접수관에 공급 가능한 잉크를 수납하기 위한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구를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장착 방향의 앞쪽에 위치하는 전면, 상기 장착 방향의 뒤측에 위치하는 후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관삽입구가 상기 전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전기 전면의, 상기 관삽입구보다 위쪽의 위치에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기 접점과,
상기 상면의, 상기 후면보다 전기 전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로서, 상기 관삽입구에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된 삽입 상태 및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전기 접속부가 접속된 접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걸림 레버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62)
잉크 접수관, 전기 접속부, 가압 용수철 및 걸림 레버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잉크 접수관에 공급 가능한 잉크를 수납하기 위한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구를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장착 방향의 앞쪽에 위치하는 전면, 상기 장착 방향의 뒤측에 위치하는 후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관삽입구가 상기 전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전면의, 상기 관삽입구보다 위쪽의 위치에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기 접점과,
상기 전면의, 상기 관삽입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된 힘 수용부로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방향과는 반대의 제거 방향으로 누르기 위한 가압력을 상기 가압 용수철로부터 받는 것이 가능한 힘 수용부와,
상기 상면의, 상기 후면보다 상기 전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로서,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관삽입구에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된 삽입 상태 및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전기 접속부가 접속된 접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걸림 레버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63)
잉크 접수관, 전기 접속부, 위치 결정 부재, 가압 용수철 및 걸림 레버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잉크 접수관에 공급 가능한 잉크를 수납하기 위한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구를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장착 방향의 앞쪽에 위치하는 전면, 상기 장착 방향의 뒤측에 위치하는 후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관삽입구가 상기 전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전면의, 상기 관삽입구보다 위쪽의 위치에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전기 접점과,
전기 전면의, 상기 관삽입구보다 위쪽에, 상기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에 또한 상기 관삽입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에 나란한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 결정구와,
상기 전면의, 상기 관삽입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위치 결정구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된 힘수용부로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를 상기 장착 방향과는 반대의 제거 방향으로 누르기 위한 가압력을 상기 가압 용수철로부터 받는 것이 가능한 힘 수용부와,
상기 상면의, 상기 후면보다 전기 전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로서,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관삽입구에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된 삽입 상태, 상기 전기 접점과 상기 전기 접속부가 접속된 접속 상태 및 상기 위치 결정구에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삽입된 삽입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걸림 레버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64)
잉크 카트리지로서,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로서,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를 갖고, 상기 복수의 측면이 제1 측면과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전기 접점과,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접점을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또한 상기 상면의, 상기 제2 측면보다 상기 제1 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65)
잉크 카트리지로서,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로서,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를 갖고, 상기 복수의 측면이 제1 측면과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전기 접점과,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되어 전기 전기 접점을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된 힘 수용부로서,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를 누르기 위한 가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힘 수용부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또한 상기 상면의, 상기 제2 측면보다 상기 제1 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66)
잉크 카트리지로서,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로서,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를 갖고, 상기 복수의 측면이 제1 측면과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전기 접점과,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접점을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된 위치 결정구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상기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에 또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구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위치 결정구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된 힘 수용부로서,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를 누르기 위한 가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힘 수용부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또한 상기 상면의, 상기 제2 측면보다 상기 제1 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67)
잉크 카트리지로서,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의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로서,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를 갖고, 상기 복수의 측면이 제1 측면과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전기 접점과,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접점을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된 위치 결정구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상기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에 또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구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또한 상기 상면의, 상기 제2 측면보다 상기 제1 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68)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 면,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3 면 및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4 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4 면보다 상기 제3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전기 접점과,
상기 제1 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접점을 지지하는 기판과,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또한 상기 제4 면의, 상기 제2 면보다 상기 제1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오목부 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69)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 면,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3 면 및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4 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4 면보다 상기 제3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전기 접점과,
상기 제1 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접점을 지지하는 기판과,
상기 제1 면의,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기판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된 힘 수용부로서,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를 누르기 위한 가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힘 수용부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또한 상기 제4 면의, 상기 제2 면보다 상기 제1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오목부 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70)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 면,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3 면 및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4 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4 면보다 상기 제3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전기 접점과,
상기 제1 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접점을 지지하는 기판과,
상기 제1 면의,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기판보다 아래쪽에 또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기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구로서, 상기 제1 면에 나란한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위치 결정구와,
상기 제1 면의,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위치 결정구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된 힘 수용부로서,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를 누르기 위한 가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힘 수용부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또한 상기 제4 면의, 상기 제2 면보다 상기 제1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오목부 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71)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 면,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3 면 및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4 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4 면보다 상기 제3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전기 접점과,
상기 제1 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 접점을 지지하는 기판과,
상기 제1 면의,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기판보다 아래쪽에 또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기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구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전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또한 상기 제4 면의, 상기 제2 면보다 상기 제1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기판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오목부 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72)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로서, (a)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 면, (b)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 (c)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3 면, (d)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4 면, (e)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5 면, (f)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5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6 면을 갖고, (g)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4 면보다 상기 제3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면에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제3 면으로부터 상기 제4 면으로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과,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기판에 가까운 위치에 또한 상기 제4 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면보다 상기 제1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오목부 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73)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로서, (a)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 면, (b)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 (c)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3 면, (d)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4 면, (e)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5 면, (f)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5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6 면을 갖고, (g)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4 면보다 상기 제3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면에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제3 면으로부터 상기 제4 면으로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과,
상기 제1 면의,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기판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된 힘 수용부로서,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를 누르기 위한 가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힘 수용부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기판에 가까운 위치에 또한 상기 제4 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면보다 상기 제1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오목부 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74)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로서, (a)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 면, (b)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 (c)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3 면, (d)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4 면, (e)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5 면, (f)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5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6 면을 갖고, (g)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4 면보다 상기 제3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면에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제3 면으로부터 상기 제4 면으로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과,
상기 제1 면의,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기판보다 아래쪽에 또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구로서, 상기 제1 면에 나란한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위치 결정구와,
상기 제1 면의,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위치 결정구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된 힘 수용부로서,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를 누르기 위한 가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힘 수용부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기판에 가까운 위치에 또한 상기 제4 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면보다 상기 제1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오목부 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75)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로서, (a)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 면, (b)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 (c)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3 면, (d)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4 면, (e)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5 면, (f)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5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6 면을 갖고, (g)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4 면보다 상기 제3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면에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제3 면으로부터 상기 제4 면으로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과,
상기 제1 면의,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기판보다 아래쪽에 또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구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기판에 가까운 위치에 또한 상기 제4 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면보다 상기 제1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오목부 형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76)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와, 상기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배출구를 연결하는 중공로를 갖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 측면,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중공로의 연장 방향으로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전기 접점과,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전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로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77)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와, 상기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배출구를 연결하는 중공로를 갖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 측면,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중공로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전기 접점과,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전기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 방향에 평행하게 또한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측면을 향하는 깊이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를 누르기 위한 가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힘 수용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전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로서, 상기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깊이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78)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와, 상기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배출구를 연결하는 중공로를 갖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 측면,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중공로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전기 접점과,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기판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위치 결정구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 방향으로 평행하게 또한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측면을 향하는 깊이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를 누르기 위한 가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힘 수용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깊이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79)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와, 상기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배출구를 연결하는 중공로를 갖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 측면,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중공로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전기 접점과,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2 측면보다 상기 제1 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기판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전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한 영역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80)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 측면,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잉크 배출구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전기 접점과,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81)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한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 측면,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잉크 배출구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전기 접점과,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중심선에 평행하게 또한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을 향하는 깊이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를 누르기기 위한 가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힘 수용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로서, 상기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깊이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82)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 측면,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잉크 배출구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전기 접점과,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전기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로서, 상기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중심선에 평행하게 또한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을 향하는 깊이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를 누르기기 위한 가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힘 수용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로서, 상기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깊이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83)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 측면,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잉크 배출구의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전기 접점과,
상기 케이스의, 상기 제2 측면보다 상기 제1 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전기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84)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형성된 형성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형성 영역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전기 접점과,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또한 상기 형성 영역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85)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형성된 형성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측면,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형성 영역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전기 접점과,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전기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형성 영역의 수직선에 평행하게 또한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을 향하는 깊이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를 누르기 위한 가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힘 수용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로서, 상기 형성 영역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깊이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86)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형성된 형성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측면,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형성 영역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전기 접점과,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로서, 상기 형성 영역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형성 영역의 수직선에 평행하게 또한 상기 제1 측면으로부터 제2 측면을 향하는 깊이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를 누르기 위한 가압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힘 수용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로서, 상기 형성 영역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깊이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양태 87)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형성된 형성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형성 영역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전기 접점과,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또한 전기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형성 영역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잉크 카트리지와 카트리지 장착부의 양호한 접속을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잉크 카트리지와 잉크젯 프린터가 제공된다.
1 잉크 카트리지
2 케이스
2a 상면
2b 저면
2c 전면
2d 배면
2e 좌면
2f 우면
3 기판
4 전기 접점(전극 패드)
4a 접촉 위치
5 기억 소자
6 위치 결정부(위치 결정 구멍, 위치 결정구)
7 대기 연통부(대기 연통구)
8 관삽입부(관삽입구)
9 식별부
10 위치 규제면
11 잉크 수납실
12 가요성 부재
13 부압 발생 용수철
14 판 부재
15 필터
16 대기 연통로
17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
18 관삽입구 밀봉 필름
19 시일 부재
20 시일 부재 유닛
21 외장
22 관삽입로
23 이젝트 용수철 접촉부(힘 수용부)
24 결합부(오목부)
25 라벨
26 대기 개구
27 관통부(관통구)
30 프린터 본체
31 캐리지
32 잉크젯 헤드
33 장착부(카트리지 장착부, 카트리지 홀더)
34 반송 수단
35 제어부
36 입출력부
37 인쇄 매체
38 헤드 유닛(카트리지 장착 유닛)
40 제1 케이스 부재
41 제2 케이스 부재
46 전기 접속부의 지지 부재
47 전기 접속 유닛
48 플레이트
49 프레임
50 장착 가이드
51 개봉 부재(개봉 핀)
52 잉크 접수 부재(잉크 접수관)
53 위치 결정 부재(위치 결정 핀)
54 걸림부(걸림 돌기)
55 전기 접속부(전극 단자, 본체측 전기 접점)
56 위치 결정벽
57 가압 부재(이젝트 용수철)
58 걸림 레버
59 조인트 유닛(본체측 접속 유닛)
60 식별 부재
61 전기 접점(전극 패드)
61a 접촉 위치
62 기억 소자
63 기판
71 전기 접점(전극 패드)
71a 접촉 위치
72 기억 소자
73 기판
74 시일 부재
75 밸브
76 용수철
77 연동 밸브
78 지지축
81 기판 지지 부재
101 잉크 카트리지
201 잉크 카트리지
224 결합부(돌기부)
301 잉크 카트리지
324 결합부(곡면 또는 경사면)
401 잉크 카트리지
424 결합부(평면)
501 잉크 카트리지
524 결합부(돌기부)
601 잉크 카트리지
624 결합부
701 잉크 카트리지
724 결합부
725 탄성체
801 잉크 카트리지
901 잉크 카트리지
936 돌기
937 탄성체(용수철)
938 돌기
1001 잉크 카트리지
1003 기판
1004 전기 접점
1037 회전축
1101 잉크 카트리지
1103 기판
1104 전기 접점
1105 기억 소자
1201 잉크 카트리지
1203 기판
1204 전기 접점
1205 기억 소자
1301 잉크 카트리지
1303 기판
1304 전기 접점
1305 기억 소자
1401 잉크 카트리지
1406 위치 결정부(복수의 돌기)
1501 잉크 카트리지
1506 위치 결정부(슬릿 형성 부재)
1601 잉크 카트리지
1606 위치 결정부
1701 잉크 카트리지
1702c1 제1 전벽 형성 부재
1702c2 제2 전벽 형성 부재
1801 잉크 카트리지
1802 케이스
1901 잉크 카트리지
1902 케이스
1924 결합부
1925 회전축
1926 결합 레버
2001 잉크 카트리지
2017 대기 연통구 밀봉 필름
2101 잉크 카트리지
2201 잉크 카트리지
2301 잉크 카트리지

Claims (50)

  1. 잉크 접수관 및 복수의 전기 접속부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잉크 접수관에 공급 가능한 잉크를 수납하기 위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장착 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제1 측면, 상기 장착 방향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2 측면, 상면(上面)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부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으로서,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복수의 전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으로 향하는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의 상기 영역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과,
    상기 관삽입부에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된 삽입 상태 및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과 상기 복수의 전기 접속부가 접속된 접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걸림 레버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와,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이고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이면서, 또한, 상기 관삽입부보다는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로서, 상기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위치 결정 부재와 결합 가능한 위치 결정부와,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이면서 상기 위치 결정부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상기 제1 측면에 제공된 관통구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과 접속되어 있는 대기 연통구와 유체 소통하는 관통구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삽입부보다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로서, 상기 상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측면보다 상기 제1 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잉크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영역은 상기 제1 측면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영역은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상면에 대해서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상면과의 사이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6. 잉크 접수관 및 복수의 전기 접속부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잉크 접수관에 공급 가능한 잉크를 수납하기 위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케이스로서, 상기 장착 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제1 측면, 상기 장착 방향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2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부와,
    상기 상면에 설치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전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전기 접점과,
    상기 관삽입부에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된 삽입 상태 및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과 상기 복수의 전기 접속부가 접속된 접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걸림 레버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와,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이고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이면서, 또한, 상기 관삽입부보다는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로서, 상기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위치 결정 부재와 결합 가능한 위치 결정부와,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이면서 상기 위치 결정부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상기 제1 측면에 제공된 관통구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과 접속되어 있는 대기 연통구와 유체 소통하는 관통구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삽입부보다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로서, 상기 상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측면보다 상기 제1 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의 각각은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의 상기 영역이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으로 향하는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7.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은 상기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8.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과 접속된 제3 측면과,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과 접속된 제4 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은,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과 직교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제4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3 측면, 상기 제4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작은 면적을 갖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3 측면, 상기 제4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0. 잉크 접수관 및 복수의 전기 접속부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로서,
    상기 잉크 접수관에 공급 가능한 잉크를 수납하기 위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한 케이스로서, 상기 장착 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제1 측면, 상기 장착 방향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제3 측면,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제4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부와,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기판과,
    상기 복수의 전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상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과,
    상기 관삽입부에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된 삽입 상태 및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과 상기 복수의 전기 접속부가 접속된 접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걸림 레버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와,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이고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이면서, 또한, 상기 관삽입부보다는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로서, 상기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위치 결정 부재와 결합 가능한 위치 결정부와,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이면서 상기 위치 결정부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상기 제1 측면에 제공된 관통구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과 접속되어 있는 대기 연통구와 유체 소통하는 관통구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삽입부보다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로서, 상기 상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측면보다 상기 제1 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잉크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제4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3 측면, 상기 제4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작은 면적을 갖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3 측면, 상기 제4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2. 제1항, 제2항, 제4항, 제6항,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상기 관삽입부와 상기 잉크 수납실을 연결하는 관삽입로와,
    상기 관삽입로에 설치된 탄성체로서, 상기 관삽입로에의 상기 잉크 접수관의 삽입에 수반하여 탄성 변형가능한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관삽입로에 삽입되는 상기 잉크 접수관의 외주면과 접촉 가능한 고무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걸림 레버의 돌기와 결합 가능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가 삽입되는 위치 결정구를 갖고,
    상기 위치 결정구는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2.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은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으로 향하는 높이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3.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은 상기 제1 측면에 나란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4. 잉크 접수관 및 복수의 전기 접속부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로서,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로서,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를 갖고, 상기 복수의 측면이 제1 측면과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제1 측면에 설치된 기판과,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으로 향하는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 상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과,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이고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이면서, 또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는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로서, 상기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위치 결정 부재와 결합 가능한 위치 결정부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로서, 상기 상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측면보다 상기 제1 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와,
    상기 잉크배출구보다 위쪽이면서 상기 위치 결정부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상기 제1 측면에 제공된 관통구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과 접속되어 있는 대기 연통구와 유체 소통하는 관통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5. 잉크 접수관 및 복수의 전기 접속부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로서,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잉크 카트리지의 방향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로서,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를 갖고, 상기 복수의 측면이 제1 측면과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측면의 수직선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기판과,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으로 향하는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의 상기 영역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과,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이고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이면서, 또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는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로서, 상기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위치 결정 부재와 결합 가능한 위치 결정부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로서, 상기 상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측면보다 상기 제1 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와,
    상기 잉크배출구보다 위쪽이면서 상기 위치 결정부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상기 제1 측면에 제공된 관통구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과 접속되어 있는 대기 연통구와 유체 소통하는 관통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면은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제3 측면과,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제4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은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과 직교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제4 측면은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3 측면, 상기 제4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작은 면적을 갖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3 측면, 상기 제4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의 각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기판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32.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배출구를 연결하는 중공로와,
    상기 중공로에 설치된 고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33. 잉크 접수관 및 복수의 전기 접속부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로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로서, (a) 상기 잉크 수납실 내의 잉크를 외부로 배출 가능한 잉크 배출구가 설치된 제1면, (b)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2 면, (c)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3 면, (d)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4 면, (e)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과 교차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5 면, (f)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5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면, 상기 제2 면,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의 각각보다 큰 면적을 갖는 제6 면을 갖고, (g) 상기 잉크 배출구가 상기 제4 면보다 상기 제3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제1 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3 면을 저면으로 한 상태에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제3 면으로부터 상기 제4 면으로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과,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위쪽이고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이면서, 또한,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는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로서, 상기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위치 결정 부재와 결합 가능한 위치 결정부와,
    상기 잉크 배출구보다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로서, 상기 제4 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면보다 상기 제1 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결합부와,
    상기 잉크배출구보다 위쪽이면서 상기 위치 결정부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상기 제1 면에 제공된 관통구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과 접속되어 있는 대기 연통구와 유체 소통하는 관통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으로부터 상기 제4 면으로 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상기 방향은 상기 제5 면 및 상기 제6 면과 직교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35. 제33항 또는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기판의 수직선에 평행한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오목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36. 삭제
  37. 제24항, 제25항, 제33항 및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수납실과 상기 잉크 배출구를 연결하는 중공로와,
    상기 중공로에 설치된 고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카트리지.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잉크 접수관 및 복수의 전기 접속부를 구비한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해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장착 방향을 따라 장착 가능한 잉크 카트리지를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로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가 (A) 상기 잉크 접수관에 공급 가능한 잉크를 수납하기 위한 잉크 수납실을 포함한 케이스로서, 상기 장착 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제1 측면, 상기 장착 방향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2 측면, 상면 및 저면을 갖는 케이스와, (B) 상기 제1 측면의, 상기 상면보다 상기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될 수 있는 관삽입부와, (C)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기판으로서,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장착 방향과 교차하는 영역을 갖는 기판과, (D) 상기 복수의 전기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복수의 전기 접점으로서, 상기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면으로 향하는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기판의 상기 영역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전기 접점과, (E) 상기 관삽입부에 상기 잉크 접수관이 삽입된 삽입 상태 및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과 상기 복수의 전기 접속부가 접속된 접속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걸림 레버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와, (F)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이고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보다 아래쪽이면서, 또한 상기 관삽입부보다는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위치 결정부로서, 상기 장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위치 결정 부재와 결합 가능한 위치 결정부와, (G) 상기 관삽입부보다 위쪽이면서 상기 위치 결정부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상기 제1 측면에 제공된 관통구로서, 상기 잉크 수납실과 접속되어 있는 대기 연통구와 유체 소통하는 관통구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삽입부보다 상기 복수의 전기 접점에 가까운 위치로서, 상기 상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측면보다 상기 제1 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은 상기 높이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50. 제48항 또는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과 접속된 제3 측면과, 상기 잉크 수납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측면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제1 측면, 상기 제2 측면, 상기 상면 및 상기 저면과 접속된 제4 측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높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은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프린터.
KR1020167005109A 2013-09-18 2014-09-17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프린터 KR101951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93043 2013-09-18
JP2013193043 2013-09-18
JP2014171029 2014-08-25
JPJP-P-2014-171029 2014-08-25
PCT/JP2014/075336 WO2015041364A1 (ja) 2013-09-18 2014-09-17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471A Division KR102100600B1 (ko) 2013-09-18 2014-09-17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066A KR20160035066A (ko) 2016-03-30
KR101951528B1 true KR101951528B1 (ko) 2019-05-09

Family

ID=5268901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471A KR102100600B1 (ko) 2013-09-18 2014-09-17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프린터
KR1020167005109A KR101951528B1 (ko) 2013-09-18 2014-09-17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프린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471A KR102100600B1 (ko) 2013-09-18 2014-09-17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프린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9840082B2 (ko)
EP (2) EP3047975B1 (ko)
JP (2) JP5907636B2 (ko)
KR (2) KR102100600B1 (ko)
CN (2) CN107933100B (ko)
BR (1) BR112016005781B1 (ko)
DE (1) DE112014004288T5 (ko)
PH (1) PH12016500517A1 (ko)
RU (1) RU2654423C2 (ko)
SG (1) SG11201602097UA (ko)
WO (1) WO2015041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1365A1 (ja) 2013-09-18 2015-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9346269B2 (en) * 2014-03-17 2016-05-24 Seiko Epson Corporation Flow path structure, liquid ejecting head,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JP6447300B2 (ja) 2015-03-27 2019-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
US9987849B2 (en) 2015-08-21 2018-06-05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ejecting device
JP6308989B2 (ja) 2015-09-30 2018-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及び液体吐出装置
JP6611564B2 (ja) 2015-10-30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ボトルおよび液体収納ボトルのパッケージ
JP6700719B2 (ja) 2015-10-30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ヘッド
JP6602160B2 (ja) 2015-10-30 2019-11-0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ヘッド
JP2017081083A (ja) 2015-10-30 2017-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ヘッド及び液体充填方法
JP6498098B2 (ja) 2015-10-30 2019-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液体収容部材
JP6723729B2 (ja) 2015-11-17 2020-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
JP6624905B2 (ja) 2015-11-26 2019-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容器および液体残量検出装置
US10391776B2 (en) 2015-11-30 2019-08-27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printing apparatus
JP6756137B2 (ja) 2016-03-31 2020-09-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
JP2017193105A (ja) 2016-04-20 2017-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ユニット
US10093105B2 (en) 2016-04-22 2018-10-09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JP6775992B2 (ja) 2016-04-22 2020-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吐出装置
JP6661462B2 (ja) 2016-05-16 2020-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補給容器
JP6746391B2 (ja) 2016-06-15 2020-08-2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ユニット
US10399347B2 (en) 2016-06-29 2019-09-03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supplying mechanism,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JP6930165B2 (ja) * 2017-03-24 2021-09-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液体供給ユニット
JP6982791B2 (ja) * 2017-05-08 2021-12-1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収納装置
US10583662B2 (en) 2017-09-28 2020-03-1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supply apparatus, liquid ejection head, and liquid supply method
JP2019064042A (ja) 2017-09-29 2019-04-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US10792930B2 (en) 2017-09-29 2020-10-06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ejection apparatus and liquid ejection head
WO2019074132A1 (en) 2017-10-13 2019-04-18 Canon Kabushiki Kaisha ITEM COMPRISING PASTILLE ELECTRODE, INK CARTRIDGE, RECORDING APPARATUS
JP7267708B2 (ja) 2017-10-13 2023-05-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ッド電極を有する部材、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装置
JP2019093669A (ja) 2017-11-27 2019-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補充容器及び液体補充システム
JP7057111B2 (ja) 2017-12-01 2022-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ル機構の製造方法
JP6590969B2 (ja) * 2018-03-14 2019-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WO2019186858A1 (en) * 2018-03-29 2019-10-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Liquid cartridge, system using the liquid cartridge,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liquid cartridge
KR102447095B1 (ko) 2018-07-13 2022-09-23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인쇄 액체 공급부
AU2018431744B2 (en) 2018-07-13 2021-12-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liquid supply
JP7000595B2 (ja) 2018-07-13 2022-01-19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 印刷液体サプライ
JP7110038B2 (ja) 2018-09-06 2022-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貯留容器および液体吐出装置
JP7154919B2 (ja) 2018-09-28 2022-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7224830B2 (ja) 2018-09-28 2023-02-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ッド電極を有する部材、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装置
JP7242231B2 (ja) 2018-09-28 2023-03-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パッド電極を有する部材、記録装置
JP7246978B2 (ja) 2019-03-15 2023-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充填方法
JP7391637B2 (ja) 2019-12-03 2023-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貯蔵装置および液体充填方法
JP2021151724A (ja) 2020-03-24 2021-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液体貯留タ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吐出装置
JP2021154605A (ja) 2020-03-27 2021-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2021183400A (ja) 2020-05-22 2021-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および液体吐出装置
JP2021194876A (ja) 2020-06-17 2021-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2021194880A (ja) 2020-06-17 2021-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2022018851A (ja) 2020-07-16 2022-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JP2022018869A (ja) 2020-07-16 2022-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JP2022018712A (ja) 2020-07-16 2022-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JP7078094B2 (ja) * 2020-11-17 2022-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供給装置
JP2022085780A (ja) * 2020-11-27 2022-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EP4328038A1 (en) * 2022-08-23 2024-02-28 Bobst Mex Sa Ink cartride receiving modu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6980A (ja) * 2005-11-22 2007-06-07 Seiko Epson Corp インクパック
JP2010000671A (ja) * 2008-06-19 2010-01-07 Ricoh Co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WO2013105504A1 (ja) * 2012-01-13 2013-07-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印刷材供給システム、印刷装置、液体収容容器、印刷システム、及び端子接続構造
JP2013163364A (ja) * 2012-01-12 2013-08-22 Seiko Epson Corp カートリッジ、及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0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5387A (en) * 1995-04-27 1998-10-20 Hewlett-Packard Company Ink supply for an ink-jet printer
JP3226803B2 (ja) 1995-11-02 2001-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を注入させるインク吸収体、該吸収体を用いたインクタンク、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タンクの製造方法
TW372219B (en) 1996-11-15 1999-10-21 Canon Kk Container for liquid to be ejected
JP3295366B2 (ja) 1997-02-19 2002-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キャップ付き液体保持容器、キャップ及び液体保持容器
JP3286210B2 (ja) 1997-06-19 2002-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US6454400B1 (en) 1998-09-01 2002-09-2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ntainer, cartridge including liquid container, printing apparatus using cartridge and liquid discharge printing apparatus
JP3706776B2 (ja) 1998-09-03 2005-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タンクホルダ、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390601B1 (en) 1998-10-27 2002-05-21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ink jet head cartridge,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6293663B1 (en) 1998-10-27 2001-09-25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JP3747134B2 (ja) * 1998-11-04 2006-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カートリッジの保管容器
EP1043163B1 (en) 1999-04-05 2003-12-03 Canon Kabushiki Kaisha Ink absorbent and ink tank
JP3745161B2 (ja) 1999-04-15 2006-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JP3706782B2 (ja) 1999-04-15 2005-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繊維積層体の製造方法、該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繊維積層体及び該繊維積層体を収納した液体収納容器、該容器を有した液体吐出ヘッドカートリッジ
JP3450798B2 (ja) 1999-04-27 2003-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供給システム、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液体収納容器、該システム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カートリッジ
US6443567B1 (en) 1999-04-27 2002-09-03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ejecting cartridge and recording device using same
JP2001063098A (ja) 1999-04-27 2001-03-13 Canon Inc 液体収納容器、該液体収納容器に用いられる弁機構および液体供給容器
JP2001010078A (ja) 1999-04-27 2001-01-16 Canon Inc インクタンク、該インクタンクが取り付けられるホルダー、該ホルダー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インクタンクのホルダーへの装着方法
JP2001063097A (ja) 1999-04-27 2001-03-13 Canon Inc 液体供給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液体供給容器
JP2001063090A (ja) 1999-04-27 2001-03-13 Canon Inc インクタンク、該インクタンクに用いられる弁ユニット、前記インクタンクの製造方法、前記インクタンク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1001542A (ja) 1999-06-24 2001-01-09 Canon Inc 液体供給方法および該液体供給方法に用いられる毛管力発生部材収納容器および液体供給容器
JP2001001544A (ja) 1999-06-24 2001-01-09 Canon Inc 液体供給方法、液体供給容器、負圧発生部材収納容器及び液体収納容器
US6450631B1 (en) 1999-06-24 2002-09-17 Canon Kabushiki Kaisha Storing method of ink tank and ink jet head cartridge, and ink tank and storing container used in the same method
US6471343B1 (en) 1999-06-24 2002-10-29 Canon Kabushiki Kaisha Ink supply system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6505923B1 (en) 1999-06-24 2003-01-1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supply system, liquid supply container and negative pressure generating member container used for the same system,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system
JP3647326B2 (ja) 1999-08-24 2005-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液体吐出機構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1063079A (ja) 1999-08-24 2001-03-13 Canon Inc 液体収納容器、液体吐出機構および液体吐出装置
JP2002019136A (ja) * 2000-07-04 2002-01-23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ATE269788T1 (de) 1999-11-05 2004-07-15 Seiko Epson Corp Tintenstrahlaufzeichnungsvorrichtung
CA2327067A1 (en) 1999-12-06 2001-06-06 Canon Kabushiki Kaisha Surface reformed fiber body, liquid container using fiber absorber, and method of producing fiber absorber for use in liquid ejection
JP4282043B2 (ja) 1999-12-06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液体供給通路、記録液体収納容器、およびこれらを備える記録液体供給装置、並びにその表面改質方法
JP3687517B2 (ja) * 2000-10-12 2005-08-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接続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WO2001053104A1 (fr) * 2000-01-21 2001-07-26 Seiko Epson Corporation Cartouche d'encre pour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 dispositif d'enregistrement a jet d'encre
JP2001341324A (ja) * 2000-03-30 2001-12-11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789315B2 (ja) 2000-10-04 2011-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モジュール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1197338A1 (en) 2000-10-05 2002-04-17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ntainer and method for disconnecting liquid container
JP4521981B2 (ja) 2000-11-09 2010-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繊維集合体の製造方法
JP3823729B2 (ja) * 2001-01-09 2006-09-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および同装置におけるインク種情報の設定方法
JP3796439B2 (ja) 2001-02-09 2006-07-12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JP3697213B2 (ja) 2001-02-0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および液体の撹拌方法
CA2371040A1 (en) 2001-02-09 2002-08-09 Nobuyuki Hatasa Liquid container and recording apparatus
JP3667295B2 (ja) 2001-05-10 2005-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JP3809401B2 (ja) 2001-07-27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JP2003155063A (ja) 2001-08-03 2003-05-27 Canon Inc 液体収納容器、および該液体収納容器の製造方法
JP2003103797A (ja) 2001-09-28 2003-04-09 Canon Inc 液体収納容器、液体収納容器の接続ユニット、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596871B2 (ja) 2001-09-28 2004-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JP2003205628A (ja) 2002-01-16 2003-07-22 Canon Inc インクタンク
JP3919567B2 (ja) 2002-03-18 2007-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の包装構造およびその開封方法
JP4250433B2 (ja) 2002-03-18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の包装構造およびその開封方法
JP2004174944A (ja) 2002-11-27 2004-06-24 Canon Inc 液体収納容器
JP4141873B2 (ja) * 2003-03-25 2008-08-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形成用部材及び液体収容体の製造方法
JP2004314600A (ja) 2003-04-04 2004-11-11 Canon Inc 液体収納容器、液体使用装置および記録装置、並びに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
JP2004314602A (ja) 2003-04-04 2004-11-11 Canon Inc 液体収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165278B2 (ja) * 2003-04-09 2008-10-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4358914A (ja) 2003-06-06 2004-12-24 Canon Inc インクタンク
JP2004358913A (ja) 2003-06-06 2004-12-24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タンクホルダー
JP2005028779A (ja) 2003-07-07 2005-02-03 Canon Inc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タンクホルダー
JP4058434B2 (ja) 2003-12-26 2008-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収納容器、該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プリンタシステム
WO2005102712A1 (en) * 2004-04-19 2005-11-03 Canon Kabushiki Kaisha Ink container, inkjet printing head, and inkjet printing apparatus
US7396118B2 (en) 2004-07-09 2008-07-08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for ink jet recor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533125B2 (ja) 2004-10-20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384116B2 (en) 2004-10-20 2008-06-1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ntainer and ink jet printing apparatus
JP4522245B2 (ja) 2004-12-09 2010-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539517B2 (ja) * 2005-09-29 2010-09-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EP1772273B2 (en) 2005-09-29 2011-06-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JP4277850B2 (ja) * 2005-11-30 2009-06-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リフィルユニット
JP4994648B2 (ja) 2005-11-30 201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およびこれ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7152733A (ja) 2005-12-05 2007-06-21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該装置用インクタンク
US8313185B2 (en) 2006-03-31 2012-11-2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container and liquid container package
JP4926538B2 (ja) 2006-05-11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および記録装置
JP4164519B2 (ja) 2006-06-16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942163B2 (ja) 2006-08-03 2012-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収納容器
JP4321562B2 (ja) 2006-08-08 2009-08-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JP5288743B2 (ja) 2006-08-23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7950790B2 (en) 2006-09-11 2011-05-31 Canon Kabushiki Kaisha Ink container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JP4946751B2 (ja) 2006-11-06 2012-06-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容器ホルダ、液体消費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CN101535054B (zh) * 2006-11-06 2011-11-16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液体容纳容器
JP5224754B2 (ja) * 2006-11-29 2013-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318053B2 (ja) * 2006-12-28 2009-08-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供給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画像記録装置
JP5151841B2 (ja) * 2007-10-01 2013-02-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および、液体噴射装置の制御方法
JP5031506B2 (ja) 2007-10-12 2012-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および記録装置
JP5106134B2 (ja) 2008-01-10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
ATE499215T1 (de) 2008-03-31 2011-03-15 Canon Kk Tintenbehälter und tintenstrahlaufzeichnungssystem
JP5550220B2 (ja) 2008-08-29 2014-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JP2010228380A (ja) 2009-03-27 2010-10-14 Brother Ind Ltd インク供給装置
US8646884B2 (en) * 2010-01-26 2014-02-1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Liquid supply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JP5340240B2 (ja) 2010-04-02 2013-11-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タンク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リンタ
JP5700979B2 (ja) * 2010-08-31 2015-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764172B2 (en) * 2010-09-03 2014-07-01 Seiko Epso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aterial cartridge, adaptor for printing material container, and circuit board
CA2813381C (en) 2010-10-22 2014-12-16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cartridge
JP5817445B2 (ja) * 2010-11-19 2015-1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回路基板
ES2664893T3 (es) * 2010-12-22 2018-04-23 Seiko Epson Corporation Cartucho
US8529037B2 (en) 2011-02-03 2013-09-10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and production process of ink tank
JP2013049170A (ja) * 2011-08-30 2013-03-14 Brother Industries Ltd 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記録装置
JP5853515B2 (ja) * 2011-09-09 2016-02-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AR085901A1 (es) 2012-01-12 2013-11-06 Seiko Epson Corp Cartucho y sistema de suministro de material de impresion
US8646889B2 (en) 2012-01-13 2014-02-11 Seiko Epson Corporation Cartridge and printing device
JP5615392B2 (ja) * 2012-02-23 2014-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およびそれを装着可能な装置
JP5979906B2 (ja) 2012-02-23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およびそれを装着可能な装置
JP6115041B2 (ja) * 2012-08-24 2017-04-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流体収容装置及び印刷流体供給装置
JP6083151B2 (ja) 2012-08-24 2017-02-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流体供給装置及び印刷流体カートリッジ
JP6136247B2 (ja) * 2012-12-25 2017-05-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保持装置、および液体噴射装置
WO2015041365A1 (ja) * 2013-09-18 2015-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6415114B2 (ja) 2014-05-30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貯留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た液体吐出装置及び液体貯留ユニットからの気泡の除去方法
JP6624801B2 (ja) 2014-05-30 2019-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吐出装置
JP6355442B2 (ja) 2014-06-10 2018-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の液体充填方法
US9375938B2 (en) 2014-06-27 2016-06-28 Canon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and ink jet printing apparatus
JP6385163B2 (ja) 2014-06-27 2018-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及び液体吐出装置
JP6395471B2 (ja) 2014-06-27 2018-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及び液体吐出装置
JP6465588B2 (ja) 2014-08-25 2019-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6980A (ja) * 2005-11-22 2007-06-07 Seiko Epson Corp インクパック
JP2010000671A (ja) * 2008-06-19 2010-01-07 Ricoh Co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163364A (ja) * 2012-01-12 2013-08-22 Seiko Epson Corp カートリッジ、及び、印刷材供給システム
WO2013105504A1 (ja) * 2012-01-13 2013-07-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印刷材供給システム、印刷装置、液体収容容器、印刷システム、及び端子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6005781A2 (ko) 2017-08-01
CN105722684A (zh) 2016-06-29
RU2016114544A (ru) 2017-10-23
US9840082B2 (en) 2017-12-12
KR20160035066A (ko) 2016-03-30
JP6157673B2 (ja) 2017-07-05
KR102100600B1 (ko) 2020-04-13
EP3047975B1 (en) 2020-02-26
US20180015728A1 (en) 2018-01-18
EP3047975A4 (en) 2017-05-17
EP3047975A1 (en) 2016-07-27
JP5907636B2 (ja) 2016-04-26
EP3674089B1 (en) 2022-11-23
SG11201602097UA (en) 2016-05-30
JPWO2015041364A1 (ja) 2017-03-02
RU2654423C2 (ru) 2018-05-17
KR20190018062A (ko) 2019-02-20
BR112016005781B1 (pt) 2023-01-17
WO2015041364A1 (ja) 2015-03-26
CN105722684B (zh) 2017-12-05
US20160200114A1 (en) 2016-07-14
DE112014004288T5 (de) 2016-06-09
PH12016500517A1 (en) 2016-05-16
EP3674089A1 (en) 2020-07-01
US10207511B2 (en) 2019-02-19
CN107933100B (zh) 2020-04-10
JP2016107646A (ja) 2016-06-20
CN107933100A (zh)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528B1 (ko)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프린터
KR101896816B1 (ko)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젯 프린터
US9278540B2 (en)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US9039154B2 (en)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US8297739B1 (en) Cartridge and printing material supply system
EP1757456A1 (en) Ink cartridge
JP2004358914A (ja) インクタンク
TW201738095A (zh) 液體收容容器、容器夾持具、及液體消耗裝置
CN115593114A (zh) 容器和印刷系统
JP2004148650A (ja) 液体供給具及び液体噴射装置
TW201600346A (zh) 液體收容體、液體消耗裝置及電連接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