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136B1 -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136B1
KR101792136B1 KR1020160145446A KR20160145446A KR101792136B1 KR 101792136 B1 KR101792136 B1 KR 101792136B1 KR 1020160145446 A KR1020160145446 A KR 1020160145446A KR 20160145446 A KR20160145446 A KR 20160145446A KR 101792136 B1 KR101792136 B1 KR 101792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arm body
suspension arm
suspension
insert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448A (ko
Inventor
이성근
김현우
권태성
유병석
정세웅
권혁
권익진
윤영인
박민국
권순찬
이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to EP16882134.6A priority Critical patent/EP3398795A4/en
Priority to JP2018534583A priority patent/JP6860577B2/ja
Priority to CN201680076790.9A priority patent/CN108473014B/zh
Priority to US16/066,930 priority patent/US10953577B2/en
Priority to PCT/KR2016/015512 priority patent/WO2017116182A2/ko
Publication of KR20170080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29C45/14344Moulding in or through a hole in the article, e.g. outsert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F16C11/0628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with linings
    • F16C11/063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with linings the linings being made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8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unsprung part of the vehicle, e.g. wheel knuckle or rigid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with reinforcing nerves or bran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2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with two attachment points on the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22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having L-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24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having triangular or Y-shape, e.g. wishb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2Aluminium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4Thermo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2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1Shaping by casting
    • B60G2206/81012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1Assembly proced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은, 스틸 재질의 현가암 바디; 상기 현가암 바디에 인서트되어 결합되는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을 포함하고; 상기 현가암 바디에는 결합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플랜지는 상기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저중량 및 고강성의 현가암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HYBRID SUSPENSION AR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의 현가암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어퍼 컨트롤 암 및 로워 컨트롤 암과 같은 차량용 현가암을 플라스틱과 스틸의 복합 재질로 제조한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차륜을 연결하는 장치이다. 차량의 현가장치는,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이 스프링의 작동을 조절하는 쇽 업소버, 차륜의 작동을 제어하는 현가암이나 현가링크를 포함한다.
한편, 차륜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식으로는 스윙 암식, 위시본식 및 맥퍼슨 스트럿식 등이 있고, 위시본식 제어 방식을 사용하는 현가장치는, 차륜과 체결된 너클을 차체에 연결하는 현가암(로워 컨트롤 암)을 구비한다. 즉, 현가암은 차체를 구성하는 크로스 멤버나 서브 프레임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너클에 볼 조인트를 매개로 연결된다. 현가암은, 이러한 구성을 통해 차륜을 차체에 지지시키고,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차륜의 토우 인을 적절히 제어하여, 차량의 직진 주행성과 조향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현가암은 주물 타입과 프레스 타입 방식으로 제조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주물 타입 방식에 따르면, 스틸 혹은 알루미늄 용탕을 금형에 주입하여 응고시켜 성형함으로써 현가암이 제조된다. 또한, 프레스 타입 방식에 따르면, 스틸 소재의 강판을 상판과 하판을 프레스로 제작하여 두판을 용접해서 현가암을 제작한다.
종래의 현가암 제조방식에서는, 스틸을 주물로 제작하거나 혹은 스틸 소재를 이용하여 상판과 하판을 각각 프레스 공법으로 제작한 다음에 용접으로 결합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 경우, 스틸 소재의 특성상 중량이 무겁고, 제작 공정이 많이 소요되며, 강판의 용접 결합으로 인한 변형 및 강성 취약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목적은, 스틸 소재의 현가암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복합 재질의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사출 웰드 라인에 의한 강도 저하를 방지하며, 부식 우려를 저감시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은, 스틸 재질의 현가암 바디; 현가암 바디에 인서트되어 결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인서트 몰딩; 및 현가암 바디와 인서트 몰딩의 이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가암 바디와 인서트 몰딩의 일부가 서로 교차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는 플랜지 구조를 포함하고, 플랜지 수단은, 현가암 바디의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결합 플랜지; 및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의 일부이고 결합 플랜지에 의하여 삽입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는 보강 구조를 포함하고, 보강 구조는, 현가암 바디 내 삽입되어 고정되고 인서트 몰딩과 접하는 보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보강판은 현가암 바디의 단면 방향으로 배치되고, 인서트 몰딩은 보강판을 감쌀 수 있다.
보강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고, 인서트 몰딩은 구멍을 통과할 수 있다.
보강판은 현가암 바디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인서트 몰딩의 일부는 보강판에 인서트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보강판의 말단은 보강판의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는 버튼 구조를 포함하고, 버튼 구조는, 현가암 바디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홀;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으로부터 형성되고 하나의 이상의 홀에 삽입되어 충진됨과 더불어 하나 이상의 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확장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은, 스틸 재질의 현가암 바디; 현가암 바디에 인서트되어 결합되는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을 포함하고; 현가암 바디에는 그 폭 방향 내측으로 결합 플랜지가 절곡되게 형성되고; 결합 플랜지는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는 2개의 레그부; 및 2개의 레그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레그부의 각 선단부에는 부시 파이프가 용접으로 결합되고; 조인트부의 선단부에도 볼 조인트 파이프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볼 조인트 파이프는, 부시 파이프들 사이의 중앙 부위에 위치되고; 부시 파이프들은 수평 방향으로 개구되게 배치되며; 볼 조인트 파이프는 수직 방향으로 개구되게 배치될 수 있다.
부시 파이프들에는 각각 부시가 압입되어 결합되고; 볼 조인트 파이프에는 볼 조인트가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에는 하나 이상의 홀이 관통해서 형성되고;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에는 하나의 이상의 홀에 삽입되어 충진됨과 더불어 하나 이상의 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확장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는, 2개의 레그부 및 2개의 레그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도, 2개의 레그부 및 2개의 레그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홀은 2개의 레그부의 각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나 이상의 소경홀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버튼은 하나 이상의 소경홀에 삽입되어 충진됨과 더불어 하나 이상의 소경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소경홀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 이상의 소경홀을 포함하고; 2개 이상의 소경홀 사이에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하나 이상의 중경홀이 형성되며; 중경홀에는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의 일부가 삽입되어 중경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중경 결합 테두리가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에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결합홀은 현가암 바디의 조인트부에 형성된 대경홀을 포함하고; 대경홀에는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의 일부가 삽입되어 대경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대경 결합 테두리가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에 형성될 수 있다.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에는 하나 이상의 격자 무늬 모양의 보강 리브가 일체로 돌출해서 형성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는 2개의 레그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쪽 레그부에는 파이프 형상의 부시 결합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부시 결합 돌출부에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른쪽 레그부에는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이 사출로 결합되고;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의 결합 선단부에는 볼 조인트가 삽입되어 일체로 사출 결합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에는 대경홀이 형성되어, 대경홀에 부시가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대경홀은 부시 결합 돌출부와 볼 조인트 사이에서 현가암 바디의 한쪽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에는 하나 이상의 중경홀이 형성되고; 중경홀을 메우고 중경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하나 이상의 버튼이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에 형성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에는 하나 이상의 소경홀이 형성되고,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에는 하나 이상의 소경 결합 테두리가 소경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쪽 레그부에는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이 사출로 결합되고;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의 결합 선단부에는 볼 조인트가 삽입되어 일체로 사출 결합될 수 있다.
다른쪽 레그부의 선단부에는 대경 부시 결합홀이 형성되어, 대경 부시 결합홀에 부시가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2개의 레그부가 만나는 모서리에는 부시 파이프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부시 파이프는 볼 조인트와 대경 부시 결합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쪽 레그부에는 중경홀이 형성되고;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의 내부를 향해 절곡된 중경홀 플랜지가 현가암 바디에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레그부에는 하나 이상의 소경홀이 관통해서 형성되고;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에는 하나 이상의 소경홀을 메우고 소경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하나 이상의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버튼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제조방법은, 강재를 이용해서 볼 스터드를 제작하고; 플라스틱을 이용해서 볼 베어링을 제작하며; 볼 스터드에 볼 베어링을 결합시키며; 강판을 이용하여 현가암 바디를 제작하며; 현가암 바디에 부시 파이프들과 볼 조인트 파이프를 부착하며; 볼 스터드와 볼 베어링의 조립체를 볼 조인트 파이프에 압입하여 조립하며; 현가암 바디를 금형에 삽입하여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해서 현가암 바디에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이 서로 결합되게 하며; 부시를 부시 파이프에 압입하여 조립하며; 볼 스터드에 더스트 커버를 씌워서 링 클립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볼 베어링에 윤활유를 주입할 수 있다.
삭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틸 재질의 현가암 바디가 외측을 형성하는 반면에 내측에는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이 배치되어, 스틸 현가암 바디의 단면계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서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에서 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사출물의 웰드 라인을 감소시켜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의 크랙 발생을 최대한으로 억제해서 강성 증대 및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타입의 현가암에서 중량 저감과 동시에 강성 증대로 차량의 승차감과 조종 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개시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개시는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볼 조인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제조방법의 제작 순서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보강판이 설치된 현가암 바디의 하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보강판이 설치된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하면도이다.
도 14a는 도 1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4b는 도 1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에 따른 다른 보강판이 설치된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보강판이 설치된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5의 볼 베어링에 그루브가 적용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5의 볼 베어링에 슬롯이 적용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에 적용되는 버튼의 최적 개수를 정하기 위한 실험 자료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삭제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현가암(1)의 분해 사시도이다.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1)은, 차량용 고장력 강판을 일반적인 프레스 공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 현가암 바디(10)를 포함할 수 있다.
현가암 바디(10)는 예를 들어, 'U'자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U'자 형의 현가암 바디(10)는, 예를 들어, 현가장치의 어퍼 콘트롤 아암으로 사용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현가암 바디(10)는 2개의 레그부(12)와, 이 2개의 레그부(12)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레그부(12)의 각 선단부에는 부시 파이프(16)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고, 조인트부(14)의 선단부는 볼 조인트 파이프(18)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2개의 각 레그부(12)의 선단부와 조인트부(14)의 선단부에는 대체로 반원통형의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파이프(16, 18)는 이러한 결합홀에 각각 끼워지고, 결합홀과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볼 조인트 파이프(18)는, 부시 파이프(16)들 사이의 중앙 부위에 위치될 수 있고, 또한 부시 파이프(16)들은 수평 방향으로 개구되게 배치된 반면에 볼 조인트 파이프(18)는 수직 방향으로 개구되게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부시 파이프(16)에는 각각 부시(30)가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각 부시(30)는 예를 들면 차체에 볼트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볼 조인트 파이프(18)에는 볼 조인트(40)가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볼 조인트(4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1 및 도 5를 참고할 수 있다.
볼 조인트(40)는 볼 스터드(41)와, 이를 감싸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볼 베어링(42), 상기 볼 스터드(41)를 감싸서 외부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더스트 커버(43), 이 더스트 커버(43)를 볼 스터드(41)에 조립하기 위한 링 클립(44) 및, 볼 베어링(42)의 반대편으로부터 볼 스터드(41)로 씌워지는 프로텍터(45)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부(14)에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대경홀(142)이 관통해서 형성될 수 있고, 각 레그부(12)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중경홀(122)과 소경홀(124)이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지름의 크기는 소경홀(124), 중경홀(122), 및 대경홀(142)로 갈수록 순서대로 증가한다. 중경홀(122)은 소경홀(1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중경홀(122)과 소경홀(124)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현가암 바디(10)에는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이 결합될 수 있다.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은 대체로 현가암 바디(1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2개의 레그부(22) 및 그 조인트부(24)를 포함할 수 있고, 조인트부(24)에는 대경홀(242)이 관통해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부(14)의 대경홀(142)의 가장자리는 두께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대경 결합 테두리(244)가 형성되고, 이 대경 결합 테두리(244)는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의 사출시 현가암 바디(10)의 대경홀(142)의 주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게 형성되어, 현가암 바디(10)의 내부에 인서트된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이 현가암 바디(1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현가암 바디(10)와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의 각 레그부(2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버튼(220)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각 버튼(224)은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의 사출시 현가암 바디(10)의 각 레그부(12)에 형성된 소경홀(124)에 삽입되어 소경홀(124)을 채우고, 소경홀(124)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각 버튼(224)은 현가암 바디(10)와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버튼(224) 사이에 형성된 중경 결합 테두리(222)는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의 사출시 현가암 바디(10)의 각 레그부(12)에 형성된 중경홀(122)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되어, 현가암 바디(10)와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1)의 후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플라스틱 몰딩 바디(20)에는 대체로 격자 무늬 모양의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26)가 일체로 돌출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리브(26)의 형상은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컴퓨터 최적설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현가암 바디(10)는 그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2개의 결합 플랜지(17)를 구비할 수 있다. 결합 플랜지(17)는 각 레그부(12)의 측면 말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구부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2개의 결합 플랜지(17)는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의 사출시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의 내부, 즉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의 일부이고 결합 플랜지(17)에 의하여 삽입되는 고정부(20a)로 삽입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결합 플랜지(17)의 상면, 하면, 및 측면이 고정부(20a)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과 결합 플랜지(17) 사이의 틈이 발생할 여지가 적고,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 자체에 크랙이 생기더라도 현가암 바디(10)로부터 이탈할 여지가 적다. 따라서, 현가암 바디(10)와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1)의 볼 조인트(40)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볼 조인트(40)는 현가암 바디(10)의 볼 조인트 파이프(18)에 압입된 상태에서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이 사출됨에 따라, 볼 조인트(40)는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에 의하여 볼 조인트 파이프(18)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은 볼 베어링(42)과 볼 조인트 파이프(18) 사이에 침투되면서, 볼 베어링(42)을 감싸고, 경화된 후에는, 볼 베어링(42)을 볼 조인트 파이프(18)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볼 베어링(42)은 볼 스터드(41)의 구형 부분을 감싸고, 더스트 커버(43)는 볼 베어링(42)으로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볼 스터드(41)의 스틱 부분을 감싼다.
삭제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1)의 제조방법(S100)의 제작 순서를 나타낸 조립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1)의 제조방법(S100)의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제조방법은, 먼저 강재를 이용해서 볼 스터드(41)를 제작(S110)하고, 플라스틱을 이용해서 볼 베어링(42)을 제작(S120)한 다음에 볼 스터드(41)에 볼 베어링(42)을 결합(S130)시켜 조립한다. 이 때, 볼 베어링(42)의 성능 향상을 위해 볼 베어링(42)과 볼 스터드(41) 사이에 윤활유를 주입할 수 있다.
이어서 강판을 이용하여 현가암 바디(10)를 제작(S140)하고, 현가암 바디(10)에 파이프(16, 18)들을 용접으로 부착(S150)하며, 볼 스터드(41)와 볼 베어링(42)의 조립체를 볼 조인트 파이프(18)에 압입하여 조립(S160)한다.
계속해서 현가암 바디(10)를 금형에 삽입하여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해서 현가암 바디(10)와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이 서로 결합(S170)되게 한다.
그리고 부시(30)를 부시 파이프(16)에 압입하여 조립(S180)하고, 볼 스터드(41)에 더스트 커버(43)를 씌워서 링 클립(44)으로 고정(S190)시키면, 현가암의 제작 과정이 종료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300)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B-B선 단면도이다.
삭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로워 컨트롤 아암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300)을 나타낸다. 로워 컨트롤 아암은 예를 들어, 'λ'자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300)은 차량용 고장력 강판을 일반적인 프레스 공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 현가암 바디(310)를 포함할 수 있다. 현가암 바디(310)의 내측에는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320)이 사출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310)는 서로 일체로 연결된 2개의 레그부(312, 314)를 포함할 수 있다. 한쪽 레그부(312)에는 파이프 형상의 부시 결합 돌출부(31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부시 결합 돌출부(316)에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32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부시 결합 돌출부(316)에는 도시되지 않은 부시가 결합되어 차체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른쪽 레그부(314)에도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320)이 사출로 결합될 수 있고,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320)의 결합 선단부에는 볼 조인트(40)가 삽입되어 일체로 사출 결합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310)의 'λ'형상의 중앙 부분에는 대경홀(318)이 형성되고, 대경홀(318)은 부시 결합 돌출부(316)와 볼 조인트(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현가암 바디(310)의 한쪽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대경홀(318)에 도시되지 않은 부시가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310)와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320)의 결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현가암 바디(310)에는 하나 이상의 중경홀이 형성되고, 상기 중경홀을 메우고 중경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하나 이상의 버튼(322)이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320)에 형성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310)에는 하나 이상의 소경홀이 형성되고,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320)에는 하나 이상의 소경 결합 테두리(324)가 소경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현가암 바디(310)에는, 2개의 레그부(312, 314) 상면에 걸쳐서 움푹 들어가도록 파인 우물(330)이 형성될 수 있다. 우물(330)은 2개의 레그부(312, 314) 상면에 분리된 형태로 각각 형성되거나, 하나의 레그부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우물(330)은 현가암 바디(310) 자체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우물(330)에 의하여 구부러진 부분과 2개의 레그부(312, 314)의 측면 사이에 인서트 몰딩(320)이 투입되고 냉각 과정에서, 인서트 몰딩(320)이 수축하게 되고, 인서트 몰딩(320)이 이러한 구부러진 부분을 조이는 힘을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인서트 몰딩(320)과 현가암 바디(1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우물(330)과 관련된 구조는 앞서 설명한 하이브리드 현가암(1) 및 후술될 하이브리드 현가암(4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9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현가암 바디(310)는 그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2개의 결합 플랜지(319)가 형성되고, 2개의 결합 플랜지(319)는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320)의 사출시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320)의 내부로 2개의 결합 플랜지(319)가 박히는 형태로 삽입되어 현가암 바디(310)와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32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400)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C-C선 단면도이다.
삭제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400)은 로워 컨트롤 아암에 적용될 수 있다.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400)은 차량용 고장력 강판을 일반적인 프레스 공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 현가암 바디(410)를 포함할 수 있다. 현가암 바디(410)의 내측에는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420)이 사출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410)는 2개의 레그부(412, 414)를 포함할 수 있다.
한쪽 레그부(412)에는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420)이 사출로 결합될 수 있고,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420)의 결합 선단부에는 볼 조인트(40)가 삽입되어 일체로 사출 결합될 수 있다. 다른쪽 레그부(414)의 선단부에는 대경 부시 결합홀(418)이 형성되어, 이 대경 부시 결합홀(418)에 도시되지 않은 부시가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2개의 레그부(412, 414)가 만나는 모서리에는 부시 파이프(43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부시 파이프(430)는 볼 조인트(40)와 대경 부시 결합홀(41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현가암 바디(410)와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420)의 결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현가암 바디(410)의 한쪽 레그부(414)에는 중경홀을 형성하고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420)의 내부를 향해 절곡된 중경홀 플랜지(41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현가암 바디(410)와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420)의 결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2개의 레그부(412, 414)에는 하나 이상의 소경홀이 관통해서 형성되고,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420)에는 하나 이상의 소경홀을 메우고 소경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하나 이상의 버튼(422)이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버튼(422)은 원형 또는 4각 형상과 같은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현가암 바디(410)는 그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2개의 결합 플랜지(419)가 형성되고, 2개의 결합 플랜지(419)는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420)의 사출시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420)의 내부로 2개의 결합 플랜지(419)가 박히는 형태로 삽입되어 현가암 바디(410)와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42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삭제
상술한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1, 300, 400)은, 현가암 바디와 인서트 몰딩의 이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가암 바디와 인서트 몰딩의 일부가 서로 교차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는, 플랜지 구조, 버튼 구조, 보강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추가적인 수단 없이 현가암 바디와 인서트 몰딩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떤 구조이든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에서 결합 플랜지(17, 319, 419)를 구비하는 플랜지 구조와, 버튼(224, 322, 422)을 구비하는 버튼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으며, 아래에서는 보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보강판(50)이 설치된 현가암 바디(10)의 하면도이고, 도 13은 보강판(50)이 설치된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1)의 하면도이다. 또한, 도 14a는 도 1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4b는 도 13의 B-B'선 단면도이다. 현가암 바디(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고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면, 적어도 하나의 보강판(50)은, 현가암 바디(10)가 형성하는 'ㄷ'자형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현가암 바디(10)의 양쪽 내측면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은 보강판(50)을 감싸게 된다.
보강 파(50)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보강판(50)은 현가암 바디(10)의 레그부의 단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보강판(50)은 각 레그에 3개씩 제공될 수 있고, 보강판(50)이 설치되는 방향은 레그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뿐만 아니라, 레그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으로도 설치될 수 있다.
도 14a를 참고하면, 보강판(50)은, 현가암 바디(10)의 내측 상면과는 용접으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내측 상면과 보강판(50)의 상면 사이에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이 지나갈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보강판(50)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51)이 형성될 수 있고,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은 이러한 구멍(51)을 통과할 수 있다.
도 14b를 참고하면, 구멍(51)이 형성되는 것으로 인하여, 오히려,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 내부로 보강판(50)이 삽입되는 것과 같은 형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하이브리드 암의 전체 강성을 증가시키는 것과 더불어, 현가암 바디와 인서트 몰딩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5는 다른 보강판(60)이 설치된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단면도이다.
다른 보강판(60)은 두 개의 조각으로 서로 분리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현가암 바디(10)의 레그부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현가암 바디(10)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보강판(60)은 레그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다른 보강판(60)은, 현가암 바디(10)의 레그부를 이중으로 배치시키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다른 보강판(60)의 상면은, 보강판(50)과 달리, 현가암 바디(10)의 내측 상면과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고, 다른 보강판(60)의 분리된 조각의 각각의 상면 사이의 공간으로 인서트가 투입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보강판(60)의 상면은, 보강판(50)과 달리, 다른 보강판(60)의 상면과 현가암 바디(10)의 내측 상면과의 사이의 공간이 존재하도록 이격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간으로 인서트가 투입되지 않는다.
다른 보강판(60)은,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플랜지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보강판(60)의 하측 말단은 보강판(60)의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보강판(70)이 설치된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1)의 단면도이다.
또 다른 보강판(70)은, 다른 보강판(60)과 달리, 두 개의 조각으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고, 현가암 바디(10)의 내측 상면과 또 다른 보강판(70)의 상면은 상당한 길이의 공간 차이를 가지고 있다.
또 다른 보강판(70)은,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2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랜지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보강판(70)의 하측 말단은 보강판(70)의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1 및 5에 도시된 볼 조인트(40)에서, 볼 스터드(41)와 볼 베어링(42) 사이의 접촉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다.
삭제
도 17은 도 5의 볼 베어링(42)에 그루브(421, 424)가 적용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볼 베어링(42)의 내측 구면에는, 종 방향 그루브(421) 또는 횡 방향 그루브(42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루브(421, 424)의 존재는 그루브(421, 424) 내로 윤활유 또는 구리스가 채워지고, 볼 스터드(41)가 움직일 때 이러한 구리스가 볼 스터드(41)의 볼의 구면에 더 잘 분포되게 된다. 따라서, 볼 스터드(41)의 볼 부분과 볼 베어링(42)의 내측 구면이 더 원활하게 접촉하게 할 수 있다.
도 18은 도 5의 볼 베어링(42)에 슬롯(423)이 적용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슬롯(423)은 볼 베어링(42)의 상측 절단선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슬롯(423)은 볼 스터드(41)가 움직일 때, 볼 스터드(41)의 움직이는 방향으로 볼 베어링(42)의 내측 구면에 적용되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볼 베어링(42)과 볼 스터드(41)의 전체적인 접촉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삭제
도 19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1, 300, 400)에 형성되는 적절한 홀의 개수를 선택하기 위한 실험 자료를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1, 300, 400)에서, 소경홀 또는 중경홀의 적절한 개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이와 달리, 대경홀의 경우에는, 대체로 한 개만 존재하므로 개수를 선택할 필요가 없다.
우측의 시험 조건에서, (a)경우는, 홀의 개수가 가장 많은 경우에 해당하고, (b)의 경우에는 (a)보다는 적은 홀의 개수를 가지고, (c)의 경우에는 가장 적은 홀의 개수를 가지는 것으로 정하였다.
좌측의 그래프를 검토하면, 버튼의 숫자가 많을수록 인서트 몰딩과 접합 효과 및 강도 보강효과가 상승할 수 있다. 그러나, 적정 범위 숫자 이상의 버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보강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버튼이 수가 무조건적으로 많다고 하여 최대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은 아닌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어퍼 컨트롤 아암으로 사용되는 'U'자 형상의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1)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경홀(222) 및 소경홀(224)이 각 레그에 2 내지 4개 정도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워 컨트롤 아암으로 사용되는 'λ'형상의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300, 400)의 경우에도 또한, 각 레그에 버튼이 2 내지 4개 정도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대경홀이 형성되는 긴 레그 부분에는 버튼이 2 내지 4개 정도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볼 조인트가 설치되는 짧은 레그 부분에는 버튼이 1 내지 3개 정도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현가암 바디
12: 레그부
14: 조인트부
20: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
22: 레그부
24: 조인트부
30: 부시
40: 볼 조인트
310: 현가암 바디
320: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
410: 현가암 바디
420: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

Claims (28)

  1.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측벽을 포함하여 하향으로 개방된 스틸 재질의 현가암 바디와,
    상부벽과 상기 상부벽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측벽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보강재와,
    상기 보강재와 함께 상기 현가암 바디를 지지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인서트 몰딩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의 각 측벽이 상기 현가암 바디의 각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현가암 바디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보강재의 상부벽의 상하 방향 위치가 상기 현가암 바디의 측벽의 끝단의 상하 방향 위치에 근접하도록 보강재가 배치되어, 상기 보강재의 상부벽이 상기 현가암 바디의 하향 개방을 폐쇄시켜 박스형 폐쇄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인서트 몰딩이 상기 보강재의 상부벽과 현가암 바디의 측벽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인서트 사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보강재의 측벽은 상기 현가암 바디의 폭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인서트 몰딩 내부에 매립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현가암 바디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암 바디는,
    2개의 레그부; 및
    상기 2개의 레그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레그부의 각 선단부에는 부시 파이프가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부의 선단부에는 볼 조인트 파이프가 용접으로 결합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 파이프는, 상기 부시 파이프들 사이의 중앙 부위에 위치되고,
    상기 부시 파이프들은 수평 방향으로 개구되게 배치되며,
    상기 볼 조인트 파이프는 수직 방향으로 개구되게 배치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파이프들에는 각각 부시가 압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볼 조인트 파이프에는 볼 조인트가 압입되어 결합되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60145446A 2015-12-30 2016-11-02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KR10179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882134.6A EP3398795A4 (en) 2015-12-30 2016-12-29 HYBRID SUSPENSION ARM FOR A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8534583A JP6860577B2 (ja) 2015-12-30 2016-12-29 車両用ハイブリッド懸架ア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680076790.9A CN108473014B (zh) 2015-12-30 2016-12-29 车辆用混合悬架臂及其制造方法
US16/066,930 US10953577B2 (en) 2015-12-30 2016-12-29 Vehicular hybrid suspension a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2016/015512 WO2017116182A2 (ko) 2015-12-30 2016-12-29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89881 2015-12-30
KR1020150189881 2015-12-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842A Division KR101747336B1 (ko) 2015-12-30 2016-12-09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448A KR20170080448A (ko) 2017-07-10
KR101792136B1 true KR101792136B1 (ko) 2017-11-02

Family

ID=5921786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447A KR101826825B1 (ko) 2015-12-30 2016-11-02 하이브리드 현가암
KR1020160145446A KR101792136B1 (ko) 2015-12-30 2016-11-02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KR1020160167842A KR101747336B1 (ko) 2015-12-30 2016-12-09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447A KR101826825B1 (ko) 2015-12-30 2016-11-02 하이브리드 현가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842A KR101747336B1 (ko) 2015-12-30 2016-12-09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953577B2 (ko)
EP (2) EP3398795A4 (ko)
JP (2) JP6860577B2 (ko)
KR (3) KR101826825B1 (ko)
CN (2) CN108473014B (ko)
WO (1) WO20171159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804A1 (ko) * 2019-01-25 2020-07-30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현가암
KR102145307B1 (ko) * 2019-04-25 2020-08-18 주식회사 센트랄 차량용 링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8216B (zh) * 2015-04-13 2020-03-17 株式会社 F.泰克 车辆用悬架臂
WO2017115932A1 (ko) * 2015-12-30 2017-07-06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
KR101815147B1 (ko) * 2016-02-04 2018-01-31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및 그 제작방법
KR101792137B1 (ko) * 2016-12-27 2017-11-02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DE102017212746A1 (de) * 2017-07-25 2019-01-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bridlenker einer Radaufhängung mit integrierter Federfunktion
DE102017213563A1 (de) * 2017-08-04 2019-02-07 Zf Friedrichshafen Ag Dreipunktlenker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n Dreipunktlenker
KR101958433B1 (ko) * 2017-08-18 2019-03-20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현가암
KR101935415B1 (ko) * 2017-09-29 2019-01-07 주식회사 일진 고정 핀을 이용한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하이브리드 현가암
KR20190072712A (ko) 2017-12-15 2019-06-26 서진산업 주식회사 강성보강 플랜지와 사출구조를 갖는 하이브리드 로워암
DE102018206417A1 (de) * 2018-04-25 2019-10-3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adaufhängu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2063065B1 (ko) * 2018-05-28 2020-02-11 (주)화신 차량용 로어암
KR102084257B1 (ko) * 2018-06-26 2020-03-04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이를 포함하는 현가 암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0001501A (ja) * 2018-06-27 2020-01-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部材
CN109606044A (zh) * 2018-12-28 2019-04-12 安徽科源机械有限公司 一种汽车下摆臂总成
DE102019203832A1 (de) * 2019-03-20 2020-09-24 Audi Ag Radführungslenker für ein Fahrwerk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sowie Fahrzeug, insbesondere Kraftfahrzeug
DE102019204486A1 (de) * 2019-03-29 2020-10-01 Zf Friedrichshafen Ag Lenker für ein Fahrwerk eines Kraftfahrzeugs
WO2021005504A1 (en) * 2019-07-08 2021-01-14 Tiberina Solutions S.R.L. Hybrid suspension arm
JP7044099B2 (ja) * 2019-07-09 2022-03-3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DE102019122721A1 (de) * 2019-08-23 2021-02-25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Fahrwerklenk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hrwerklenkers
KR20210033354A (ko) * 2019-09-18 2021-03-26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현가암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1088254A (ja) * 2019-12-04 2021-06-10 日軽金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足回り部品
KR102326467B1 (ko) * 2019-12-20 2021-11-16 (주)동희산업 트레일링 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트레일링 암
KR102339940B1 (ko) * 2019-12-27 2021-12-17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현가암
CN111731058B (zh) * 2020-06-04 2021-06-22 索密克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增强拉脱力的汽车摆臂
CN111823799B (zh) * 2020-07-22 2022-01-2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控制臂及其制备方法
JP2022146559A (ja) * 2021-03-22 2022-10-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トレーリングアーム
KR102623016B1 (ko) * 2023-07-19 2024-01-10 주식회사 씨티알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
KR102623025B1 (ko) * 2023-07-19 2024-01-10 주식회사 씨티알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
KR102623037B1 (ko) * 2023-07-19 2024-01-10 주식회사 씨티알 차량용 하이브리드 컨트롤 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849B1 (ko) * 2012-12-12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로어암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826A (ja) 1993-08-06 1995-02-21 Toyota Motor Corp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51617A (ja) 1994-03-15 1995-10-03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JP3127764B2 (ja) * 1995-01-22 2001-01-2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後輪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H08318722A (ja) 1995-03-23 1996-12-03 Toyota Motor Corp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H08312636A (ja) * 1995-05-15 1996-11-26 Hitachi Metals Ltd サスペンション部品
JP3191654B2 (ja) * 1995-08-30 2001-07-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H11115800A (ja) 1997-10-08 1999-04-27 Marugo Rubber Ind Co Ltd 防振装置
IT1320526B1 (it) * 2000-07-07 2003-12-10 Fiat Ricerche Giunto di interconnessione di elementi strutturali.
JP3725031B2 (ja) * 2001-01-12 2005-12-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ITTO20010253A1 (it) * 2001-03-16 2002-09-16 Sistemi Sospensioni Spa Elemento strutturale per una sospensione di un autoveicolo e procedimento per la sua realizzazione.
KR20030088238A (ko) 2002-05-13 2003-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워아암 구조
KR20050038139A (ko) * 2003-10-21 2005-04-2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로어암 부시 장치
DE102005004917B4 (de) * 2005-02-02 2013-02-28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Lenkerbauteil für Radaufhängungen von Kraftfahrzeug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7393152B2 (en) * 2005-09-20 2008-07-01 Federal Mogul World Wide, Inc. Cone adaptor for ball joint studs, tie rods, sway bar links and the like
KR100834249B1 (ko) * 2007-02-07 2008-05-30 위아 주식회사 강도가 보강된 경량화 로어암
DE102007015615B4 (de) * 2007-03-29 2012-07-19 Zf Friedrichshafen Ag Verbindungsstück zum gelenkigen Verbinden von im Fahrwerk eines Fahrzeugs angeordneten Bauelementen
DE102007015616B4 (de) * 2007-03-29 2021-10-21 Zf Friedrichshafen Ag Verbindungsstück zum gelenkigen Verbinden von im Fahrwerk eines Fahrzeugs angeordneten Bauelementen
DE102007047191A1 (de) * 2007-07-03 2009-01-08 Hyundai Motor Company Unterer Arm einer Fahrzeugaufhängung
JP5141961B2 (ja) * 2008-03-26 2013-02-13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サブフレーム構造
CN201362147Y (zh) * 2009-03-23 2009-12-16 上海采埃孚伦福德底盘技术有限公司 铝合金转向系统控制臂
KR20100112846A (ko) 2009-04-10 2010-10-20 주식회사 일진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작 방법
KR20100116081A (ko) 2009-04-21 2010-10-29 주식회사 일진 차량의 콘트롤암 및 그 제조 방법
CN201511770U (zh) * 2009-09-10 2010-06-2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悬架臂
KR20110063164A (ko) * 2009-12-04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스펜션 암
JP2011116340A (ja) * 2009-12-04 2011-06-16 Hyundai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及び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製作方法
KR101180942B1 (ko) 2009-12-04 2012-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스펜션 암
KR20110063166A (ko) 2009-12-04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스펜션 암
DE102009054999A1 (de) * 2009-12-18 2011-06-22 Henkel AG & Co. KGaA, 40589 Verbundbauteil
IT1400618B1 (it) * 2010-05-12 2013-06-14 Sistemi Sospensioni Spa Elemento strutturale in materiale composito, particolarmente per sospensione di veicolo
KR101211419B1 (ko) 2010-10-29 2012-12-12 주식회사화신 자동차용 로워암
KR20120003176U (ko) * 2010-10-29 2012-05-09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로워 암
DE102011003971A1 (de) * 2011-02-11 2012-08-16 Zf Friedrichshafen Ag Faserverbund-Hybridlenker
KR101302328B1 (ko) 2011-10-05 2013-08-30 한국지엠 주식회사 전방 현가 장치의 로어 컨트롤 암 조립체
JP5905490B2 (ja) * 2011-12-21 2016-04-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取付構造
JP5468644B2 (ja) * 2012-06-15 2014-04-09 日本発條株式会社 スタビリンク
EP2759423B1 (de) * 2013-01-28 2015-04-22 Gestamp Umformtechnik GmbH Querlenker aus faserverstärktem Kunststoff für eine Radaufhängung eines Fahrzeuges
DE102013214673A1 (de) * 2013-07-26 2015-01-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adführender Lenker aus faserverstärktem thermoplastischen Werkstoff
US9327570B2 (en) * 2014-03-04 2016-05-03 Federal-Mogul Motorparts Corporation Ball joint assembly for a control arm
EP2927029B1 (de) * 2014-04-02 2018-06-13 Autotech Engineering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Fahrwerklenkers
KR101549917B1 (ko) * 2014-07-10 2015-09-03 주식회사 일진 차량의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
KR101573397B1 (ko) * 2014-08-01 2015-12-01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732066B1 (ko) 2015-04-29 2017-05-08 주식회사 일진 치핑에 의한 도장면 손상 방지 구조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암
KR101732063B1 (ko) * 2015-04-29 2017-05-08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일체형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암 및 그 제조 방법
WO2017115932A1 (ko) * 2015-12-30 2017-07-06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
KR101792137B1 (ko) * 2016-12-27 2017-11-02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KR101857172B1 (ko) * 2016-12-28 2018-05-16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
DE102017212746A1 (de) * 2017-07-25 2019-01-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ybridlenker einer Radaufhängung mit integrierter Federfunk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849B1 (ko) * 2012-12-12 2014-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로어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804A1 (ko) * 2019-01-25 2020-07-30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현가암
KR102145307B1 (ko) * 2019-04-25 2020-08-18 주식회사 센트랄 차량용 링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73014B (zh) 2021-08-17
US20190118437A1 (en) 2019-04-25
CN108473013B (zh) 2022-06-14
KR20170080448A (ko) 2017-07-10
WO2017115932A1 (ko) 2017-07-06
KR20170080449A (ko) 2017-07-10
EP3398795A4 (en) 2019-09-04
CN108473014A (zh) 2018-08-31
JP6860577B2 (ja) 2021-04-14
US10814535B2 (en) 2020-10-27
EP3398796A2 (en) 2018-11-07
KR101826825B1 (ko) 2018-02-08
JP2019506328A (ja) 2019-03-07
JP2019500274A (ja) 2019-01-10
EP3398796A4 (en) 2019-09-04
CN108473013A (zh) 2018-08-31
US10953577B2 (en) 2021-03-23
EP3398795A2 (en) 2018-11-07
KR101747336B1 (ko) 2017-06-14
JP6706325B2 (ja) 2020-06-03
US20190061452A1 (en)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136B1 (ko)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US10442262B2 (en)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6771847B2 (ja) 車両用ハイブリッド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KR101382336B1 (ko) 차량의 스트럿 마운팅 보강 유닛
KR101972245B1 (ko) 완충기
JP5918511B2 (ja) 車両のショックアブソーバー装着部の構造
KR101935415B1 (ko) 고정 핀을 이용한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하이브리드 현가암
CN108382470A (zh) 用于车辆的悬架及具有其的车辆
CN212579544U (zh) 汽车悬架的控制臂、悬架和汽车
KR101302328B1 (ko) 전방 현가 장치의 로어 컨트롤 암 조립체
JP2018514463A (ja) ハイブリッドロアアーム
KR102264730B1 (ko) 쇽업소버 마운트의 제조방법 및 쇽업소버 마운트
KR20180068757A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부시, 인슐레이터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815503B1 (ko) 차량용 휠 캐리어
JP6928892B2 (ja) トレリングアーム
KR102607438B1 (ko) 차량용 현가암
CN211764762U (zh) 一种汽车下摆臂
KR100482055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암
KR100471825B1 (ko) 자동차의 프런트서스펜션구조
KR20170119235A (ko) 하이브리드 현가암
JP6711293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
JP2005212780A (ja)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JP2018203136A (ja) トレリングアーム
KR100889000B1 (ko) 너클 브라켓의 용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