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307B1 - 차량용 링크 - Google Patents

차량용 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307B1
KR102145307B1 KR1020190048740A KR20190048740A KR102145307B1 KR 102145307 B1 KR102145307 B1 KR 102145307B1 KR 1020190048740 A KR1020190048740 A KR 1020190048740A KR 20190048740 A KR20190048740 A KR 20190048740A KR 102145307 B1 KR102145307 B1 KR 102145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vehicle
connection
extension
vehicl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준
김영기
김상환
송교문
이도훈
이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트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트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트랄
Priority to KR102019004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1Shaping by casting
    • B60G2206/81012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60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상을 단순화 하여 가공이 용이하고 제품의 무게를 줄임과 아울러 단면적 대비 강도를 향상시킨 차량용 링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에 형성된 제1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후방측에 형성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의 단면 형상은, 상측으로 연장된 상향 연장부와, 상기 상향 연장부의 하단에 일측단이 연결되며 타측으로 연장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하향 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링크{CAR LINK}
본 발명은 차량용 링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형상을 단순화 하여 가공이 용이하고 경량화 및 강도를 향상시킨 차량용 링크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있어서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휠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주는 장치로서, 상하방향으로는 스프링과 유압 쇽 업소오버 등에 의해 지지되고, 기타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와 휠 사이의 상대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에는 상대운동이 필요한 부품과 부품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각종 차량용 링크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차량용 링크의 일례로서, 차량의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콘트롤 아암을 예로들면, 몸체부의 양측에 각각 연결부가 형성되고,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부에는 차량의 휠 측에 연결되고, 몸체부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부에는 차량의 차체측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차량용 링크의 몸체부는 그 단면이 대략‘∩’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몸체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강성을 만족하면서 중량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금속 재질의 몸체부의 내측면 또는 둘레 전체에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링크의 구성에 의하면, 몸체부의 전체 표면적이 넓어 인서트 사출 시 플라스틱과 금속 재질의 계면이 넓어지게 되며, 그만큼 플라스틱 소재를 많이 사용해야 하므로, 제품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으며,‘∩’자 형상의 단면 구조는 굽힘 하중이 작용할 경우 굽힘에 취약하므로 강도보강구조를 추가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에 따라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가공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차량용 링크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5124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형상을 단순화 하여 가공이 용이하고 제품의 무게를 줄임과 아울러 단면적 대비 강도를 향상시킨 차량용 링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링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에 형성된 제1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후방측에 형성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의 단면 형상은, 상측으로 연장된 상향 연장부와, 상기 상향 연장부의 하단에 일측단이 연결되며 타측으로 연장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하향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향 연장부는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향 연장부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오목한 곡면 형상에서 상기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곡률이 완만하게 변경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는 굽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 단면이 ‘S’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부에는 부시와 용접 결합되도록 하는 용접면을 제공하기 위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 용접 결합되며 차체축이 관통되며 연결되는 부시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상향 연장부보다 상측으로 길게 형성된 제1연장부와, 상기 하향 연장부보다 하측으로 길게 형성된 제2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향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단에서 수직 또는 경사지게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향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측단에서 수직 또는 경사지게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간부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1몸체부와, 상기 중간부의 타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2몸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 대칭된 형상의 상기 상향 연장부와 연결부 및 하향 연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는 차량의 휠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차량의 차체측에 연결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상향 연장부의 상단부와 상기 하향 연장부의 하단부는 플랜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향 연장부의 상단부와 상기 하향 연장부의 하단부는‘ㄱ’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향 연장부의 상단부와 상기 하향 연장부의 하단부는‘U’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향 연장부의 상단부와 상기 하향 연장부의 하단부는 컬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향 연장부의 상단부와 상기 하향 연장부의 하단부는 헤밍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중간부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드는 굽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금속 또는 비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전체 또는 일부는 합성수지로 둘러싸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에 사출성형에 의해 결합되는 볼 조인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볼 조인트에는, 상기 제1연결부에 소켓이 조립되고, 상기 소켓의 내측에 볼 스터드의 구형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구형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연결부와 소켓의 외측면을 덮는 사출 성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출 성형부는, 상기 소켓의 외측면을 덮는 소켓 조립부와, 상기 볼 조인트가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볼 조인트의 구형부와 축부의 경계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버링부, 및 상기 제2연결부의 외측면을 덮는 플랜지부가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출 성형부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드는 굽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링크에 의하면, 몸체부를 상향 연장부와 연결부 및 하향 연장부로 이루어진 단순한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가공이 용이하고 제품의 무게를 줄임과 아울러 단면적 대비 강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굽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몸체부의 단면을‘S’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굽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탄성을 가질 수 있는 형태로 형상을 구성하여 측면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상향 연장부의 상단부와 하향 연장부의 하단부를 플랜지 형상,‘ㄱ’자 형상,‘U’자 형상, 컬링 형상, 헤밍 형상 등으로 형성할 경우, 몸체부의 강도를 더욱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에는 부시와 용접 결합되도록 하는 용접면을 제공하기 위한 연장부를 형성함으로써, 용접면을 더욱 넓게 확보할 수 있어 부시를 제2연결부에 보다 견고하게 용접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부에 소켓이 조립되고, 소켓의 내측에 볼 스터드의 구형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출 성형부를 형성하되, 사출 성형부는 소켓 조립부와 버링부 및 플랜지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사출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사용량을 줄여 제품의 전체적인 경량화를 실현함과 아울러 제1연결부에 볼 조인트를 조립하는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으며, 수직 방향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링크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링크를 저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5 내지 도 11은 도 3의 B-B 선을 따르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링크 몸체부 형상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링크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링크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C-C 선을 따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제1연결부(120)가 위치하는 방향을‘전방’이라 지칭하고, 제2연결부(130)가 위치하는 방향을‘후방’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링크(100)는, 몸체부(110;100A,100B), 상기 몸체부(110)의 전방측에 형성된 제1연결부(120), 및 상기 몸체부(110)의 후방측에 형성된 제2연결부(130;130a,130b)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차량용 링크(100)는 차량의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콘트롤 아암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연결부(120)는 차량의 휠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부(130)는 차량의 차체측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차량용 링크(100)는 차량용 콘트롤 아암 이외에도 두 개의 차량용 부품들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링크에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몸체부(110)와 제1연결부(120) 및 제2연결부(130)는, 금속 또는 비철 금속 재질의 판을 스탬핑(stamping) 가공하여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와 제1연결부(120) 및 제2연결부(130)의 전체 또는 일부는 사출성형에 의해 합성수지로 둘러싸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의 단면 형상은, 상측으로 연장된 상향 연장부(110a)와, 상기 상향 연장부(110a)의 하단에 일측단이 연결되며 타측으로 연장된 연결부(110b), 및 상기 연결부(110b)의 타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하향 연장부(110c)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상향 연장부(110a)는 상기 연결부(110b)의 일측단에서 수직 또는 경사지게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향 연장부(110c)는 상기 연결부(110b)의 타측단에서 수직 또는 경사지게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향 연장부(110a)의 하단과 상기 연결부(110b)의 일측단이 연결되는 부분은 라운드 형상으로 가공되고, 상기 연결부(110b)의 타측단과 상기 하향 연장부(110c)의 상단이 연결되는 부분은 라운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향 연장부(110a)는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향 연장부(110c)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110b)는 상기 오목한 곡면 형상에서 상기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곡률이 완만하게 변경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의 단면은 대략‘S’자 형상으로 구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10)에 굽힘 하중(F1)이 작용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몸체부(110)의 단면을‘S’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굽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스프링과 같은 탄성을 가질 수 있는 형태로 형상을 구성하여 몸체부(110)에 측방향의 하중(F2)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측면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차량용 링크의 몸체부가‘∩’자 형상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와 비교할 때, 본 발명의 차량용 링크(100)의 몸체부(110)의 경우, 상향 연장부(110a)가 연결부(110b)의 일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하향 연장부(110c)는 연결부(110b)의 타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형상을 단순화 하여 가공이 용이하고, 제품의 무게를 줄임과 아울러 단면적 대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몸체부(110A)와 제2몸체부(110B)의 단면 형상은, 상기 중간부(111)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 대칭된 구조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몸체부(110A)를 구성하는 상향 연장부(110a)와 연결부(110b) 및 하향 연장부(110c)와, 상기 제2몸체부(110B)를 구성하는 상향 연장부(110a)와 연결부(110b) 및 하향 연장부(110c)는, 상기 중간부(111)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는 단면 구조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중간부(111)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비드(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111)는 차량의 휠 측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120)가 일측에 형성되므로, 휠로부터 전달된 큰 힘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 중간부(111)에 비드(111a)를 형성함으로써 굽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비드(111a)는 굽힘 하중(F1)이 작용하는 방향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갖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비드(111a)는 굽힘 하중(F1)의 작용에 따른 중간부(111)의 변형 및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굽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링크 몸체부(110;110-1,110-2,110-3,110-4,110-5,110-6,110-7) 형상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실시예로, 상기 몸체부(110-1)는 상기 상향 연장부(110a)와 연결부(110b) 및 하향 연장부(110c)로 이루어지고, 상향 연장부(110a)의 상단부(110d-1)와 하향 연장부(110c)의 하단부(110e-1)는 각각 직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로, 상기 몸체부(110-2)는 상기 상향 연장부(110a)와 연결부(110b) 및 하향 연장부(110c)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 연장부(110a)의 상단부(110d-2)와 상기 하향 연장부(110c)의 하단부(110e-2)는 플랜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로, 상기 몸체부(110-3)는 상기 상향 연장부(110a)와 연결부(110b) 및 하향 연장부(110c)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 연장부(110a)의 상단부(110d-3)와 하향 연장부(110c)의 하단부(110e-3)는‘ㄱ’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4실시예로, 상기 몸체부(110-4)는 상기 상향 연장부(110a)와 연결부(110b) 및 하향 연장부(110c)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 연장부(110a)의 상단부(110d-4)와 상기 하향 연장부의 하단부(110e-4)는‘U’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5실시예로, 상기 몸체부(110-5)는 상기 상향 연장부(110a)와 연결부(110b) 및 하향 연장부(110c)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 연장부(110a)의 상단부(110d-5)와 상기 하향 연장부의 하단부(110e-5)는 컬링(curling)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컬링 형상은 원형으로 감겨진 형상을 의미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6실시예로, 상기 몸체부(110-6)는 상기 상향 연장부(110a)와 연결부(110b) 및 하향 연장부(110c)를 포함하고, 상기 상향 연장부(110a)의 상단부(110d-6)와 상기 하향 연장부의 하단부(110e-6)는 헤밍(hemming)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헤밍 형상은 이중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110d-6',110e-6')와 제2플랜지부(110d-6",110e-6")가 중첩되어 맞대어진 형상을 의미한다.
상기 제2 내지 제6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상향 연장부(110a)의 상단부(110d-2,110d-3,110d-4,110d-5,110d-6)와 하향 연장부(110c)의 하단부(110e-2,110e-3,110e-4,110e-5,110e-6)를 플랜지 형상,‘ㄱ’자 형상,‘U’자 형상, 컬링 형상, 헤밍 형상 등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10-1)의 구조와 비교하여 몸체부(110)의 강도를 더욱 보강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7실시예로, 상기 몸체부(110-7)는 상기 상향 연장부(110a)와 연결부(110b) 및 하향 연장부(110c)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110b)에는 강도 보강을 위해 볼록한 형상의 비드(110b')가 형성된 것을 구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링크(100-1)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링크(1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부(130;130a,130b))에는 부시(140;140a,140b)와 용접 결합되도록 하는 용접면을 제공하기 위한 연장부(131,132)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31,132)에 용접 결합되며 차체축(S)이 관통되며 연결되는 부시(140;140a,140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31,132)는 상기 부시(140;140a,140b)의 외측면의 일부를 감싸며 접촉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상향 연장부(110a)보다 상측으로 길게 형성된 제1연장부(131;131a,131b)와, 상기 하향 연장부(110c)보다 하측으로 길게 형성된 제2연장부(132;132a,132b)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부시(140;140a,140b)가 용접되는 용접면은, 제2연결부(130;130a,130b)의 단부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연장부(131;131a,131b)와 제2연장부(132;132a,132b)의 단부에도 추가로 형성되므로, 용접면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부시(140;140a,140b)를 제2연결부(130;130a,130b)에 보다 견고하게 용접 결합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링크(100-2)는, 상기 제1연결부(120)에 사출성형에 의해 결합되는 볼 조인트(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볼 조인트(150)는 소켓(151)과, 볼 스터드(152) 및 사출 성형부(153)로 구성된다. 상기 볼 스터드(152)는 상기 소켓(151)과 사출 성형부(153)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형부(152a)와, 상기 구형부(152a)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축부(152b)로 구성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볼 조인트(150)의 축부(152b)는 차량의 휠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미도시됨)에 연결되어, 상기 너클과 차량용 링크(100)의 제1연결부(120) 간에 구관절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볼 조인트(150)는 부분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120)에 조립된다. 즉, 상기 제1연결부(120)에 소켓(151)이 조립되고, 상기 소켓(151)의 내측에 볼 스터드(152)의 구형부(152a)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구형부(152a)를 둘러싸며 상기 제1연결부(120)와 소켓(151)의 외측면을 덮는 사출 성형부(153)가 형성된다.
상기 사출 성형부(153)는, 상기 소켓(151)의 외측면을 덮는 소켓 조립부(153a)와, 볼 조인트(150)가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볼 조인트(150)의 구형부(152a)와 축부(152b)의 경계부에 공간(154)을 형성하는 버링부(153b), 및 상기 제2연결부(120)의 외측면을 덮는 플랜지부(153c)가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연결부(120)에 부분적으로 사출 성형부(153)를 사출 성형하여 소켓 조립부(153a)와 버링부(153b) 및 플랜지부(153c)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사출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사용량을 줄여 제품의 전체적인 경량화를 실현함과 아울러 제1연결부(120)에 볼 조인트(150)를 조립하는 공정을 간소화 할 수 있으며, 수직 방향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사출 성형부(153)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비드(153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드(153d)는 전술한 중간부(111)에 형성된 비드(111a)의 외측면에 사출성형되며, 굽힘 하중(F1)이 작용하는 방향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굽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100-1,100-2 : 차량용 링크
110,110-1,110-2,110-3,110-4,110-5,110-6 : 몸체부
110A : 제1몸체부 110B : 제2몸체부
110a : 상향 연장부 110b : 연결부
110b' : 비드 110c : 하향 연장부
110d-1,110d-2,110d-3,110d-4,110d-5,110d-6 : 상단부
110e-1,110e-2,110e-3,110e-4,110e-5,110e-6 : 하단부
111 : 중간부 111a : 비드
120 : 제1연결부 130,130a,130b : 제2연결부
131,131a,131b : 제1연장부 132,132a,132b : 제2연장부 140,140a,140b : 부시 150 : 볼 조인트
151 : 소켓 152 : 볼 스터드
152a : 구형부 152b : 축부
153 : 사출 성형부 153a : 소켓 조립부
153b : 버링부 153c : 플랜지부
153d : 비드 154 : 공간
F1 : 굽힘 하중 F2 : 측방향 하중
S : 차체축

Claims (22)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에 형성된 제1연결부; 및
    상기 몸체부의 후방측에 형성된 제2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의 단면 형상은, 상측으로 연장된 상향 연장부와, 상기 상향 연장부의 하단에 일측단이 연결되며 타측으로 연장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타측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하향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향 연장부는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향 연장부는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오목한 곡면 형상에서 상기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곡률이 완만하게 변경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는 굽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 단면이 ‘S’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부에는 부시와 용접 결합되도록 하는 용접면을 제공하기 위한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에 용접 결합되며 차체축이 관통되며 연결되는 부시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상향 연장부보다 상측으로 길게 형성된 제1연장부와, 상기 하향 연장부보다 하측으로 길게 형성된 제2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단에서 수직 또는 경사지게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향 연장부는 상기 연결부의 타측단에서 수직 또는 경사지게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중간부의 일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1몸체부와, 상기 중간부의 타측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2몸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단면 형상은, 상기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여 양측에 대칭된 형상의 상기 상향 연장부와 연결부 및 하향 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차량의 휠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차량의 차체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연장부의 상단부와 상기 하향 연장부의 하단부는 플랜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연장부의 상단부와 상기 하향 연장부의 하단부는‘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연장부의 상단부와 상기 하향 연장부의 하단부는‘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연장부의 상단부와 상기 하향 연장부의 하단부는 컬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연장부의 상단부와 상기 하향 연장부의 하단부는 헤밍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13. 삭제
  14. 삭제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굽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금속 또는 비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전체 또는 일부는 합성수지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에 사출성형에 의해 결합되는 볼 조인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볼 조인트에는, 상기 제1연결부에 소켓이 조립되고, 상기 소켓의 내측에 볼 스터드의 구형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구형부를 둘러싸며 상기 제1연결부와 소켓의 외측면을 덮는 사출 성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부는, 상기 소켓의 외측면을 덮는 소켓 조립부와, 상기 볼 조인트가 요동 가능하도록 상기 볼 조인트의 구형부와 축부의 경계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버링부, 및 상기 제2연결부의 외측면을 덮는 플랜지부가 일체형으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부에는 강도보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는 굽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과 나란한 길이방향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링크.
KR1020190048740A 2019-04-25 2019-04-25 차량용 링크 KR102145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740A KR102145307B1 (ko) 2019-04-25 2019-04-25 차량용 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740A KR102145307B1 (ko) 2019-04-25 2019-04-25 차량용 링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307B1 true KR102145307B1 (ko) 2020-08-18

Family

ID=72291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740A KR102145307B1 (ko) 2019-04-25 2019-04-25 차량용 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3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7120A (ja) * 1994-06-24 1996-03-12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H08188022A (ja) * 1995-01-11 1996-07-23 F Tech:Kk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KR20080019698A (ko) * 2005-06-09 2008-03-04 오토 샤시스 인터내셔날 에스엔씨 하나의 에지가 상승 연장부를 갖는 부메랑형 서스펜션 아암및 대응 차량
KR101792136B1 (ko) * 2015-12-30 2017-11-02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7120A (ja) * 1994-06-24 1996-03-12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H08188022A (ja) * 1995-01-11 1996-07-23 F Tech:Kk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KR20080019698A (ko) * 2005-06-09 2008-03-04 오토 샤시스 인터내셔날 에스엔씨 하나의 에지가 상승 연장부를 갖는 부메랑형 서스펜션 아암및 대응 차량
KR101792136B1 (ko) * 2015-12-30 2017-11-02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22033A1 (en) Rear suspension assembly for a vehicle
CN107530924B (zh) 混合臂及其制造方法
KR101363089B1 (ko) 차량의 섀시에 배치된 부품들의 관절형 연결을 위한 연결부
JP3505899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US8511698B2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US8628101B2 (en) Suspension structure, bush structure and suspension characteristic adjusting method
KR101225742B1 (ko) 자동차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US8414004B2 (en) Spring seat and mounting structure for spring seat
US7866640B2 (en) Bush
JP5606163B2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MX2013008597A (es) Estabilizador para suspension de vehiculos.
KR20110063173A (ko) 서스펜션 암
KR20100116081A (ko) 차량의 콘트롤암 및 그 제조 방법
CN108688430A (zh) 用于汽车悬架的稳定连杆
KR102145307B1 (ko) 차량용 링크
CN111114227B (zh) 扭力梁悬架结构
US5516129A (en) Upper arm i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JP7286082B2 (ja) 自動車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KR20160137911A (ko) 차량용 링크
JP2006264560A (ja) サスペンションロッド構造
KR20110063166A (ko) 서스펜션 암
EP4063240A1 (en) Vehicle body frame using component integration type rear lower
CN211335471U (zh) 一种悬架摆臂
KR101725124B1 (ko) 차량용 링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117928B1 (ko) 세미가류 일체형 전륜 인슐레이터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