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235A - 하이브리드 현가암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현가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235A
KR20170119235A KR1020160047157A KR20160047157A KR20170119235A KR 20170119235 A KR20170119235 A KR 20170119235A KR 1020160047157 A KR1020160047157 A KR 1020160047157A KR 20160047157 A KR20160047157 A KR 20160047157A KR 20170119235 A KR20170119235 A KR 20170119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arm body
lower arm
bush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성
정세웅
이성근
유병석
김현우
권혁
권익진
윤영인
박민국
권순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to KR1020160047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9235A/ko
Publication of KR20170119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2Aluminium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2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1Shaping by casting
    • B60G2206/81012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 로워 암 및 어퍼 암이 개시된다.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암바디; 상기 암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로워 암바디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상기 암바디에 대해 50% 이상 80% 이하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현가장치의 로워 암 및 어퍼 암의 강성 증대 및 중량 절감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현가암{HYBRID SUSPENSION ARM}
본 발명은 차량용 현가장치의 현가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워 컨트롤 암 및 어퍼 컨트롤 암과 같은 차량용 현가암을 플라스틱 소재와 스틸 재질의 복합 재질로 만든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차륜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이 스프링의 작동을 조절하는 쇽 업소버, 차륜의 작동을 제어하는 현가암이나 현가링크 등으로 구성된다.
차륜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식으로는 스윙 암식, 위시본식 및 맥퍼슨 스트럿식 등이 있고, 상기 위시본식 현가장치는 차륜과 체결된 너클을 차체에 연결하는 현가암(로워 컨트롤 암)을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현가암은 차체를 구성하는 크로스 멤버나 서브 프레임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은 너클에 볼 조인트를 매개로 연결되어, 차륜을 차체에 지지시키고, 차량의 주행 상항에 따라 차륜의 토우 인을 적절히 제어하여 차량의 직진 주행성과, 조향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가암은 주물 타입과 프레스 타입 방식으로 제조되어 왔다.
즉, 주물 타입은 스틸 혹은 알루미늄 용탕을 금형에 주입하여 응고시켜 성형하고, 프레스 타입은 스틸 소재의 강판을 상판과 하판을 프레스로 제작하여 2판을 용접해서 현가암을 제작해 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가암 제조방식에서는, 스틸을 주물로 제작하거나 혹은 스틸 소재를 이용하여 상판과 하판을 각각 프레스 공법으로 제작한 다음에 용접으로 결합함에 따라 스틸 소재의 특성상 중량이 무겁고, 제작 공정이 많이 소요되며, 강판의 용접 결합으로 인한 변형 및 강성 취약이 우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스틸 혹은 알루미늄 소재의 현가암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복합 재질의 하이브리드 현가암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강성 증대 및 중량 저감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차량용 하이브리드 현가암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로워 암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로워 암바디; 상기 로워 암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로워 암바디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상기 로워 암바디에 대해 50%이상 80%이하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워 암바디는 스틸 재질 혹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워 암바디의 일단에는 볼 조인트가 결합되고; 상기 로워 암바디의 타단에는 제1부시가 결합되며; 상기 볼 조인트와 상기 제1부시 사이의 상기 로워 암바디의 모서리 부위에는 제2부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워 암바디는, 평판 형상의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와;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하게 절곡된 제1,2벽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벽 플랜지의 일단과 상기 제2벽 플랜지의 일단은 서로 분리되어 제1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결합홈에는 상기 볼 조인트의 볼 조인트 파이프가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1벽 플랜지의 타단과 상기 제2벽 플랜지의 타단은 서로 분리되어 제2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결합홈에는 상기 제2부시의 제2부시 파이프가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부시를 장착하기 위한 제1부시 파이프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벽 플랜지의 각 상단에는 상기 로워 암바디의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인서트의 결합 돌기들이 채워져서 돌출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는, 상기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한 인서트 바디와; 상기 인서트 바디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2벽 플랜지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제1,2테두리 플랜지; 및 상기 테두리 플랜지와 상기 인서트 바디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하는 다수개의 보강 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테두리 플랜지의 일단들은 상기 볼 조인트의 볼 조인트 파이프의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제1,2테두리 플랜지의 타단들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2부시의 제2부시 파이프의 일부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테두리 플랜지는 상기 제1부시 파이프 플랜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보강 리브들은, 상기 제1,2테두리 플랜지와 상기 인서트 바디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보강 리브들은, 격자 무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어퍼 암은 금속 재질의 어퍼 암바디; 상기 어퍼 암바디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암바디에는 그 폭 방향 내측으로 결합 플랜지가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 플랜지는 상기 인서트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인서트는 상기 어퍼 암바디에 대해 50%이상 80%이하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어퍼 암바디는, 2개의 레그부; 및 상기 2개의 레그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레그부의 각 선단부에는 부시 파이프가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부의 선단부에도 볼 조인트 파이프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볼 조인트 파이프는 상기 부시 파이프들 사이의 중앙 부위에 위치되고; 상기 부시 파이프들은 수평 방향으로 개구되게 배치되며; 상기 볼 조인트 파이프는 수직 방향으로 개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시 파이프들에는 각각 부시가 압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볼 조인트 파이프에는 볼 조인트가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암바디에는 하나 이상의 홀이 관통해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에는 상기 하나의 이상의 홀에 삽입되어 충진됨과 더불어 상기 하나 이상의 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확장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암바디는, 2개의 레그부 및 상기 2개의 레그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도, 2개의 레그부 및 상기 2개의 레그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홀은 상기 2개의 레그부의 각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나 이상의 소경홀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경홀에 삽입되어 충진됨과 더불어 상기 하나 이상의 소경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소경홀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 이상의 소경홀을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소경홀 사이에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하나 이상의 중경홀이 형성되며; 상기 중경홀에는 상기 인서트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중경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중경 결합 테두리가 상기 인서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홀은 상기 어퍼 암바디의 상기 조인트부에 형성된 대경홀을 포함하고; 상기 대경홀에는 상기 인서트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대경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대경 결합 테두리가 상기 인서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에는 하나 이상의 격자 무늬 모양의 보강 리브가 일체로 돌출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현가암에 의하면, 금속 재질의 현가 암바디에 경량의 플라스틱 재질로 된 인서트가 일체로 결합되어, 종래의 스틸 혹은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된 현가암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량은 가벼우면서도 전체적은 강성은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현가암을 차량에 적용할 경우에, 강성 증대로 인해 차량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구성도 증대될 수 있으며, 중량 절감으로 인해 차량의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과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로워 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로워 암의 금속 재질의 로워 암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로워 암의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된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어퍼 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어퍼 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어퍼 암의 반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 좌측은 '일측', '일단', '일단부'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며, 도면에서 우측은 '타측', '타단', '타단부'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로워 암(10)은 전체적인 형상이 대체적으로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틸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된 로워 암바디(20)와,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고 로워 암바디(20)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인서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로워 암(10)의 일단에는 볼 조인트(40)가 장착될 수 있고, 타단에는 제1부시(50)가 결합될 수 있으며, 볼 조인트(50)와 제1부시(50) 사이의 모서리부위에는 제2부시(60)가 결합될 수 있다.
볼 조인트(40)는 원통 형상의 볼 조인트 파이프(42)와, 이 볼 조인트 파이프(42)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볼 스터드(44)를 포함할 수 있다.
볼 조인트(40)는 로워 암(10)을 도시되지 않은 너클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는 기능을 하고, 제1,2부시(50, 60)들은 로워 암(10)을 차체에 탄력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로워 암바디(20)는 스틸 소재로 제작할 경우에 차량용 고장력 강판을 일반적인 프레스 공법으로 성형될 수 있다.
로워 암바디(20)는 대체로 평판 형상을 한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22)와, 이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22)의 가장자리를 따라 대체로 수직하게 절곡된 벽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22)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하는 관통홀(22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인서트(30)의 결합 돌기(32; 도2에 도시)들이 각 관통홀(222)을 채워서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22)보다 더 돌출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22)들과 결합 돌기(32)들은 로워 암바디(20)와 인서트(30)의 결합 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벽 플랜지는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2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경유하여 모서리 부위까지 일체로 연결된 제1벽 플랜지(24)와, 상기 모서리 부위로부터 상기 타단까지 일체로 연결된 제2벽 플랜지(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벽 플랜지(24)와 제2벽 플랜지(26)는 서로 연결되는 않는 구조를 갖는다.
로워 암바디(20)의 일단에는 볼 조인트 파이프(42)가 예를 들면 용접으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22)의 일단에는 볼 조인트 파이프(42)를 삽입하기 위한 원호 형상을 한 결합홈(224)이 형성되어, 이 결합홈(224)에 볼 조인트 파이프(42)가 삽입된 상태에서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22)와 제1,2벽 플랜지(24, 26)의 일단(242, 262)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22)의 타단에는 제1부시 파이프 플랜지(226)가 형성되어, 제1부시(50)가 제1부시 파이프 플랜지(226)에 예를 들면 압입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서리 부위에는 제1벽 플랜지(24)의 타단(244)과 제2벽 플랜지(26)의 타단(264)이 각각 대체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결합홈(228)을 형성하고, 제2부시(60)의 제2부시 파이프(62)가 제2결합홈(228)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벽 플랜지(24)의 타단(244)과 제2벽 플랜지(26)의 타단(264) 및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22)에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벽 플랜지(24)와 제2벽 플랜지(26)의 각 상단에는 로워 암바디(20)의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 플랜지(246, 26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절곡 플랜지(246, 266)은 로워 암바디(20)와 인서트(3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서트(30)는 로워 암바디(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사출 성형될 때에 로워 암바디(2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인서트(30)의 중량은 로워 암바디(20)의 중량에 대해 최소 50% 이상으로, 최대 80% 이내의 중량비로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30)는 전체적으로 대체로 "L"자 형상을 이루고서 로워 암바디(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한 인서트 바디(32)와; 이 인서트 바디(32)의 테두리를 따라 대체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2보강 플랜지(24, 26)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제1,2테두리 플랜지(34,36) 및; 제1,2테두리 플랜지(34,36)와 인서트 바디(32)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하는 다수개의 보강 리브(3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테두리 플랜지(34)의 일단과 제2테두리 플랜지(35)의 일단들은 볼 조인트 파이프(42)의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테두리 플랜지(34)는 제1부시 파이프 플랜지(226)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테두리 플랜지(34)의 타단과 제2테두리 플랜지(35)의 타단들은 서로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제2부시 파이프(62)의 일부에 결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보강 리브(38)들은 제1,2테두리 플랜지(34,36)와 인서트 바디(32)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하기 위해 서로 크로스되게, 예를 들면 격자 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서트(30)는 다수개의 보강 리브(38)들을 구비함으로써, 구조적인 강성이 증대되고, 보강 리브(38)들 사이에는 빈 공간들이 다수개로 존재하여 인서트(30)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하이브리드 어퍼 암은, 스틸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을 일반적인 프레스 공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어퍼 암바디(100)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암바디(100)는 2개의 레그부(102)와, 이 2개의 레그부(102)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레그부(102)의 각 선단부에는 부시 파이프(116)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고, 조인트부(104)의 선단부에도 볼 조인트 파이프(118)가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2개의 각 레그부(102)의 선단부와 조인트부(104)의 선단부에는 대체로 반원통형의 결합홀이 형성되어, 각 파이프(116, 8)가 결합홀에 형합되어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볼 조인트 파이프(118)는, 부시 파이프(116)들 사이의 중앙 부위에 위치될 수 있고, 또한 부시 파이프(116)들은 수평 방향으로 개구되게 배치된 반면에 볼 조인트 파이프(118)는 수직 방향으로 개구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부시 파이프(116)에는 각각 부시(130)가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각 부시(130)는 예를 들면 차체에 볼트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볼 조인트 파이프(118)에는 볼 조인트(140)가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볼 조인트는 볼 스터드(141)와, 이를 감싸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42), 상기 볼 스터드(141)를 감싸서 외부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더스트 커버(143), 이 더스트 커버(143)를 볼 스터드(141)에 조립하기 위한 링 클립(144) 및, 상기 볼 스터드(141)의 상부에 씌워지는 프로텍터(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부(104)에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대경홀(107)이 관통해서 형성될 수 있고, 각 레그부(102)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중경홀(106)과 소경홀(105)이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중경홀(106)은 소경홀(105)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중경홀(106)과 소경홀(105)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어퍼 암바디(100)의 내부에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되고 어퍼 암바디(100)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인서트(120)가 구비될 수 있다.
인서트(120)의 중량은 어퍼 암바디(100)의 중량에 대해 최소 50% 이상으로, 최대 80% 이내의 중량비로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120)는 대체로 어퍼 암바디(10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2개의 레그부(122) 및 그 조인트부(124)를 포함할 수 있고, 조인트부(124)에는 대경홀(125)이 관통해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부(124)의 대경홀(125)의 가장자리는 두께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대경 결합 테두리(126)가 형성되고, 이 대경 결합 테두리(126)는 플라스틱 인서트 몰딩(120)의 사출시 어퍼 암바디(10)의 대경홀(107)의 주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게 형성되어, 어퍼 암바디(100)의 내부에 결합된 인서트(120)가 어퍼 암바디(10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어퍼 암바디(100)와 인서트(12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인서트(120)의 각 레그부(12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결합 돌기(124)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각 결합 돌기(124)는 인서트(120)의 사출시 어퍼 암바디(100)의 각 레그부(102)에 형성된 소경홀(105)에 삽입되어 소경홀(105)을 채우고, 소경홀(105)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결합 돌기(124)도 어퍼 암바디(100)와 인서트(12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2개의 결합 돌기(124) 사이에 형성된 중경 결합 테두리(123)는 인서트(120)의 사출시 어퍼 암바디(100)의 각 레그부(102)에 형성된 중경홀(106)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되어, 어퍼 암바디(100)와 인서트(12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인서트(120)에는 대체로 격자 무늬 모양의 하나 이상의 보강 리브(127)가 일체로 돌출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어퍼 암바디(100)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그 폭 방향 내측으로 절곡된 2개의 결합 플랜지(103)를 구비할 수 있다.
2개의 결합 플랜지(103)는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인서트 (120)의 사출시 인서트 (1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어퍼 암바디(100)와 인서트(120)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10: 하이브리드 로워 암
20: 로워 암바디
30: 인서트:
40: 볼 조인트
50: 제1부시
60: 제2부시
100: 어퍼 암바디
120; 인서트
130: 부시
140: 볼 조인트

Claims (24)

  1.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로워 암바디;
    상기 로워 암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로워 암바디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상기 로워 암바디에 대해 50%이상 80%이하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로워 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암바디는 스틸 재질 혹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로워 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암바디의 일단에는 볼 조인트가 결합되고;
    상기 로워 암바디의 타단에는 제1부시가 결합되며;
    상기 볼 조인트와 상기 제1부시 사이의 상기 로워 암바디의 모서리 부위에는 제2부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로워 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암바디는,
    평판 형상의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와;
    상기 바디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하게 절곡된 제1,2벽 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로워 암.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벽 플랜지의 일단과 상기 제2벽 플랜지의 일단은 서로 분리되어 제1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결합홈에는 상기 볼 조인트의 볼 조인트 파이프가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제1벽 플랜지의 타단과 상기 제2벽 플랜지의 타단은 서로 분리되어 제2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결합홈에는 상기 제2부시의 제2부시 파이프가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로워 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부시를 장착하기 위한 제1부시 파이프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로워 암.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벽 플랜지의 각 상단에는 상기 로워 암바디의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로워 암.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상기 인서트의 결합 돌기들이 채워져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로워 암.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기 로워 암바디 플레이트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한 인서트 바디와;
    상기 인서트 바디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2벽 플랜지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제1,2테두리 플랜지; 및
    상기 테두리 플랜지와 상기 인서트 바디를 서로 연결하여 보강하는 다수개의 보강 리브들;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로워 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테두리 플랜지의 일단들은 상기 볼 조인트의 볼 조인트 파이프의 일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로워 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테두리 플랜지의 타단들은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제2부시의 제2부시 파이프의 일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로워 암.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테두리 플랜지는 상기 제1부시 파이프 플랜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로워 암.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보강 리브들은, 상기 제1,2테두리 플랜지와 상기 인서트 바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로워 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보강 리브들은, 격자 무늬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로워 암.
  15. 금속 재질의 어퍼 암바디;
    상기 어퍼 암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어퍼 암바디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인서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암바디에는 그 폭 방향 내측으로 결합 플랜지가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 플랜지는 상기 인서트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인서트는 상기 어퍼 암바디에 대해 50%이상 80%이하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어퍼 암.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암바디는,
    2개의 레그부; 및
    상기 2개의 레그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어퍼 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레그부의 각 선단부에는 부시 파이프가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부의 선단부에도 볼 조인트 파이프가 용접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이브리드 어퍼 암.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 파이프는 상기 부시 파이프들 사이의 중앙 부위에 위치되고;
    상기 부시 파이프들은 수평 방향으로 개구되게 배치되며;
    상기 볼 조인트 파이프는 수직 방향으로 개구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이브리드 어퍼 암.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파이프들에는 각각 부시가 압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볼 조인트 파이프에는 볼 조인트가 압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이브리드 어퍼 암.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암바디에는 하나 이상의 홀이 관통해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에는 상기 하나의 이상의 홀에 삽입되어 충진됨과 더불어 상기 하나 이상의 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확장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어퍼 암.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암바디는, 2개의 레그부 및 상기 2개의 레그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도, 2개의 레그부 및 상기 2개의 레그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홀은 상기 2개의 레그부의 각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나 이상의 소경홀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는 상기 하나 이상의 소경홀에 삽입되어 충진됨과 더불어 상기 하나 이상의 소경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어퍼 암.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소경홀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 이상의 소경홀을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소경홀 사이에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하나 이상의 중경홀이 형성되며;
    상기 중경홀에는 상기 인서트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중경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중경 결합 테두리가 상기 인서트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어퍼 암.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홀은 상기 어퍼 암바디의 상기 조인트부에 형성된 대경홀을 포함하고;
    상기 대경홀에는 상기 인서트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대경홀의 주변 가장자리까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대경 결합 테두리가 상기 인서트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어퍼 암.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에는 하나 이상의 격자 무늬 모양의 보강 리브가 일체로 돌출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어퍼 암.
KR1020160047157A 2016-04-18 2016-04-18 하이브리드 현가암 KR20170119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157A KR20170119235A (ko) 2016-04-18 2016-04-18 하이브리드 현가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157A KR20170119235A (ko) 2016-04-18 2016-04-18 하이브리드 현가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235A true KR20170119235A (ko) 2017-10-26

Family

ID=6030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157A KR20170119235A (ko) 2016-04-18 2016-04-18 하이브리드 현가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92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825B1 (ko) 하이브리드 현가암
JP6771847B2 (ja) 車両用ハイブリッド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US11104196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ybrid suspension arm for vehicle using fixing pin and hybrid suspension arm manufactured by using same
US10442262B2 (en)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364176B2 (en) Vehicular anti-vibration structure
JP5606163B2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2011116340A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及び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製作方法
KR20200001063A (ko) 현가 암 및 볼 조인트
KR100834249B1 (ko) 강도가 보강된 경량화 로어암
KR101302328B1 (ko) 전방 현가 장치의 로어 컨트롤 암 조립체
JP4637751B2 (ja) 車両のスタビライザ取付構造
KR20170099258A (ko)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KR101549917B1 (ko) 차량의 현가암 및 그 제조방법
JP4743004B2 (ja) 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20170119235A (ko) 하이브리드 현가암
KR102264730B1 (ko) 쇽업소버 마운트의 제조방법 및 쇽업소버 마운트
KR102529385B1 (ko) 서브 프레임 마운팅구조
KR102607438B1 (ko) 차량용 현가암
US20220297490A1 (en) Trailing arm attachment portion structure
JP2007176250A (ja) トルクアーム式リヤサスペンション
KR102074495B1 (ko) 차량용 너클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JP2018161989A (ja) 自動車の後部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6928892B2 (ja) トレリングアーム
JP2012081883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