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9258A -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9258A
KR20170099258A KR1020160021412A KR20160021412A KR20170099258A KR 20170099258 A KR20170099258 A KR 20170099258A KR 1020160021412 A KR1020160021412 A KR 1020160021412A KR 20160021412 A KR20160021412 A KR 20160021412A KR 20170099258 A KR20170099258 A KR 20170099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hole
circumferential surface
insert
rod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호
김종찬
정희문
손광락
박인희
이영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
Priority to KR1020160021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9258A/ko
Publication of KR20170099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3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with embedded inserts for material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2Aluminium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2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1Shaping by casting
    • B60G2206/81012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원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장착홀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장착홀에 삽입된 상태로, 사출 성형되는 인서트를 통해 상기 장착홀에 장착되는 볼 조인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STABILIZER LIN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 조인트가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 장치는 차체와 차륜을 연결하는 장치로서,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이 스프링의 작동을 조절하는 쇽 업소버, 차륜의 작동을 제어하는 현가 암이나 링크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현가 장치에는 차체의 롤(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의미함)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태빌라이저 바가 장착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는 그 양측 단부가 차륜과 일체로 상하 거동하는 로어암에 연결되어 선회 주행 시 또는 불규칙 노면 주행 시 양쪽 차륜의 상하 거동을 상호 구속함으로써, 그 높이 차를 감소시켜 차체의 롤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와 로어 암은 보통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금속 재질의 로드와, 이 로드의 양단에 장착되는 볼 조인트로 구성되어 스태빌라이저 바와 로어 암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볼 조인트는 볼 스터드의 볼을 하우징에 넣어서 회전 가능하게 만든 구조로서, 강체로 만들어진 볼 및 볼 스터드와, 볼 스터드를 감싸는 케이스 혹은 하우징, 케이스와 볼 스터드의 볼 사이에 개재되어 볼 스터드의 운동을 자유롭게 만드는 베어링, 및 하우징의 내부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더스트 커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플라스틱 사출형 볼 조인트는 통상적으로 베어링을 단순히 볼에 가 조립한 상태에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단부에 장착되는 케이스를 관통하도록 금형의 상판에 조립하며, 금형의 하판을 닫고 인서트 수지를 금형에 주입하여 인서트를 사출한 후, 금형을 개방하여 더스트 커버를 볼 스터드에 조립하게 된다.
한편,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되는 케이스는 볼 스터드가 결합된 상태에서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구성하는 로드 단부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데, 이 때,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된 케이스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두께를 두껍게 성형하거나 복잡한 리브 형상을 형성하여 하중을 분산시키는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에서 케이스의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에는 용융수지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기공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기공으로 인해 수축이 발생됨에 따라, 외부에 함몰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에 리브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작 금형의 형상이 복잡해질 수 있어 제작비용이 상승되고,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축 방향으로 과도한 인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할 경우 스테빌라이저 링크의 로드가 변형되기 전에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된 케이스가 깨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볼 스터드를 장착하기 위한 케이스부를 로드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축 방향으로 과도한 인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할 경우에 케이스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볼 스터드를 안정적으로 장착함으로써, 하중 작용에 따른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원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장착홀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장착홀에 삽입된 상태로, 사출 성형되는 인서트를 통해 상기 장착홀에 장착되는 볼 조인트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부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틸 소재로 형성되는 상기 로드와 동등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홀에는 사출 성형되는 상기 인서트가 상기 장착홀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케이스부의 내주면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을 향하여 경사진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로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장착홀의 높이방향을 따라 내주면 상, 하부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장착홀의 내주면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부의 높이방향으로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장착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부의 외측을 향하여 라운드진 반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홀에는 상기 볼 조인트와의 사이에 사출 성형되는 상기 인서트가 상기 장착홀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장착홀의 내주면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부의 높이방향으로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의 중심을 향하여 반원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는 상기 케이스부가 형성되는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 조인트는 볼과 스터드를 포함하는 볼 스터드와, 상기 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과 상기 장착홀의 내주면 사이에 사출 성형을 통해 충진되는 상기 인서트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와 상기 볼 스터드에는 더스트 커버가 씌워져서 링 클립으로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볼 스터드에는 상기 더스트 커버의 상단에 대응하는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에는 상기 더스트 커버의 하단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상단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고정단이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볼 스터드를 장착하기 위한 케이스부를 로드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축 방향으로 과도한 인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할 경우에 케이스부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볼 스터드를 안정적으로 장착함으로써, 하중 작용에 따른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를 로드와 동등한 스틸 소재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형성함에 따라, 종래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작되던 케이스를 적용할 경우에 발생되던 기공 및 함몰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와 볼 스터드 사이에 사출 성형을 통해 구비되는 인서트의 두께를 줄이는 동시에, 인서트를 사출하기 위한 금형의 형상을 단순화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케이스부의 내부에 홈 또는 돌기를 형성하여 케이스부의 내부에서 인서트의 회전을 방지해 볼 스터드를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정위치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적용되는 케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적용되는 케이스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적용되는 케이스부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100)는 스태빌라이저 바를 로어 암이나 현가장치에 연결하기 위해 적용된다.
이러한 스태빌라이저 링크(100)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110), 케이스부(120), 및 볼 조인트(1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로드(110)는 원형 단면을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로드(110)는 적용 차종에 따라 전체 길이가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부(120)는 상기 로드(110)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장착홀(1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케이스부(120)는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양측면이 개구되어 상기 장착홀(122)이 중앙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틸 소재로 형성되는 상기 로드(110)와 동등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케이스부(120)의 형상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로드(110)는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 또는 압축 하중에 대하여 강성을 확보하도록 상기 케이스부(120)가 형성되는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11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112)는 상기 로드(110)의 외주면 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리브(112)는 상기 로드(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오목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 조인트(130)는 상기 장착홀(122)에 삽입된 상태로, 사출 성형되는 인서트(136)를 통해 상기 장착홀(122)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볼 조인트(13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구비된 볼(132a)과, 이 볼(132a)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대체로 원기둥 형상을 한 스터드(132b)를 포함하는 볼 스터드(132)와, 상기 볼 스터드(132)의 운동을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상기 볼(132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베어링(13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터드(132b)는 스태빌라이저 바, 차체 프레임, 차륜의 너클 혹은 링크 등에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볼 조인트(130)는 상기 베어링(134)의 외주면과 상기 장착홀(122)의 내주면 사이에 사출 성형을 통해 충진되는 상기 인서트(136)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12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부(120)와 볼 조인트(130)의 결합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볼 스터드(132)의 볼(132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베어링(134)을 상기 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시킨다. 그런 후, 상기 케이스부(120)의 장착홀(122)에 베어링(134)이 결합된 볼 스터드(132)를 삽입한 상태로 하부 금형에 안착시키고, 상부 금형을 하부 금형의 상부에 상부 금형을 합형 시킨다.
금형의 합형이 완료되면, 합형된 금형의 내부에 용융수지를 사출하여 상기 케이스부(120)의 장착홀(122) 내주면과 베어링(134)의 사이에 용융수지를 충진시킨다. 충진된 용융수지는 경화되면서 상기 인서트(136)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케이스부(120)에 상기 볼 조인트(130)가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인서트(136)와 상기 볼 스터드(132)에는 더스트 커버(138)가 씌워진 상태로, 상기 더스트 커버(138)의 상부와 하부가 링 클립(139)으로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더스트 커버(138)는 상기 케이스부(120), 볼 스터드(132), 베어링(134), 및 인서트(136)의 내부로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 스터드(132)에는 상기 더스트 커버(138)의 상단에 대응하는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고정홈(13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136)에는 상기 더스트 커버(138)의 하단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부(120)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상단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고정단(137)이 외측을 향하여 일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더스트 커버(138)는 그 상단부 내주면이 상기 고정홈(135)에 일정부분 삽입된 상태로 상기 링 클립(139)을 통해 고정되며, 그 하단부는 상기 링 클립(139)을 통해 상기 고정단(138)에 걸림으로써,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상기 볼 스터드(134)와 상기 인서트(136)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부(120)의 장착홀(122)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 성형되는 상기 인서트(136)가 상기 장착홀(122)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24)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124)은 상기 케이스부(1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홀(122)의 상부와 하부에서 내주면 모서리부 둘레에 40°각도로 각각 이격되어 9 개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홈(124)은 상기 케이스부(120)의 내주면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을 향하여 경사진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고정홈(124)들에는 상기 인서트(136) 형성을 위한 사출 성형 시, 내부로 사출된 용융수지가 유입된 상태로 경화됨으로써, 상기 인서트(136)가 상기 장착홀(122)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인서트(136)가 장착홀(122)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고정홈(124)은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위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적용되는 케이스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200)에서 상기 고정홈(224)은 상기 로드(210)와 연결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장착홀(222)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장착홀(222)의 내주면 상, 하부를 연결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홈(224)은 그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테빌라이저 링크(300)에서 상기 고정홈(324)은 상기 장착홀(322)의 내주면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90°각도로 이격되어 4 개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부(320)의 높이방향으로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3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홈(324)은 상기 장착홀(322)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부(320)의 외측을 향하여 라운드진 반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제2 내지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부(120, 220, 320)에 고정홈(124, 224, 324)이 형성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후술할 제4 실시예와 같이 돌기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부(420)의 장착홀(422)에는 사출 성형되는 상기 인서트(136)가 상기 장착홀(422)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424)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돌기(424)는 상기 장착홀(422)의 내주면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90°각도로 이격되어 4 개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부(420)의 높이방향으로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돌기(424)는 상기 장착홀(422)의 중심을 향하여 반원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일 실시예와 제2 내지 제3 실시예의 상기 고정홈(124, 224, 324)에는 상기 인서트(136) 형성을 위한 사출 성형 시, 내부로 사출된 용융수지가 유입된 상태로 경화됨으로써, 상기 인서트(136)의 회전이 방지되고, 상기 고정돌기(424)에 의해서는 사출된 용융수지가 경화될 경우, 상기 인서트(136)의 외주면에 미도시된 걸림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인서트(136)가 상기 장착홀(122, 222, 322, 422)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100)를 적용하면, 볼 스터드(132)를 장착하기 위한 케이스부(120)를 로드(110)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축 방향으로 과도한 인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할 경우에 케이스부(120)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볼 스터드(132)를 안정적으로 장착함으로써, 하중 작용에 따른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20)를 로드와 동등한 스틸 소재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형성함에 따라, 종래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작되던 케이스를 적용할 경우에 발생되던 기공 및 함몰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부(120)와 볼 스터드(132) 사이에 사출 성형을 통해 구비되는 인서트(136)의 두께를 줄이는 동시에, 인서트(136)를 사출하기 위한 금형의 형상을 단순화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케이스부(120)의 내부에 고정홈(124, 224, 324) 또는 고정돌기(424)를 형성하여 케이스부(120)의 내부에서 인서트(136)의 회전을 방지해 볼 스터드(132)를 스태빌라이저 링크(132)에 정위치 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200, 300, 400 : 스태빌라이저 링크
110, 210, 310, 410 : 로드
120, 220, 320, 420 : 케이스부
122, 222, 322, 422 : 장착홀
124, 224, 324 : 고정홈
130 : 볼 조인트
132 : 볼 스터드
134 : 베어링
135 : 고정홈
136 : 인서트
137 : 고정단
138 : 더스트 커버
139 : 링 클립
424 : 고정돌기

Claims (16)

  1. 원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장착홀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장착홀에 삽입된 상태로, 사출 성형되는 인서트를 통해 상기 장착홀에 장착되는 볼 조인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틸 소재로 형성되는 상기 로드와 동등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에는 사출 성형되는 상기 인서트가 상기 장착홀 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케이스부의 내주면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을 향하여 경사진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로드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장착홀의 높이방향을 따라 내주면 상, 하부를 연결하여 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장착홀의 내주면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부의 높이방향으로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장착홀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부의 외측을 향하여 라운드진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에는 상기 볼 조인트와의 사이에 사출 성형되는 상기 인서트가 상기 장착홀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장착홀의 내주면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부의 높이방향으로 상부와 하부를 연결하여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의 중심을 향하여 반원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케이스부가 형성되는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로드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는
    볼과 스터드를 포함하는 볼 스터드와, 상기 볼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의 외주면과 상기 장착홀의 내주면 사이에 사출 성형을 통해 충진되는 상기 인서트를 통해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와 상기 볼 스터드에는 더스트 커버가 씌워져서 링 클립으로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볼 스터드에는 상기 더스트 커버의 상단에 대응하는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에는 상기 더스트 커버의 하단에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상단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고정단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KR1020160021412A 2016-02-23 2016-02-23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KR20170099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412A KR20170099258A (ko) 2016-02-23 2016-02-23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412A KR20170099258A (ko) 2016-02-23 2016-02-23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258A true KR20170099258A (ko) 2017-08-31

Family

ID=5976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412A KR20170099258A (ko) 2016-02-23 2016-02-23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925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813B1 (ko) * 2019-05-30 2019-11-08 최재영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결합을 위한 연결장치
WO2019235704A1 (ko) * 2018-06-08 2019-12-12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차량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CN110576561A (zh) * 2019-09-25 2019-12-17 博戈橡胶塑料(株洲)有限公司 一种带橡胶金属球铰的轻量化连杆制作方法
CN113784857A (zh) * 2019-05-09 2021-12-10 采埃孚股份公司 用于车辆底盘的稳定器、用于这种稳定器的摆动支座以及用于制造这种稳定器或这种摆动支座的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5704A1 (ko) * 2018-06-08 2019-12-12 주식회사 일진 차량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차량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CN113784857A (zh) * 2019-05-09 2021-12-10 采埃孚股份公司 用于车辆底盘的稳定器、用于这种稳定器的摆动支座以及用于制造这种稳定器或这种摆动支座的方法
KR102042813B1 (ko) * 2019-05-30 2019-11-08 최재영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결합을 위한 연결장치
CN110576561A (zh) * 2019-09-25 2019-12-17 博戈橡胶塑料(株洲)有限公司 一种带橡胶金属球铰的轻量化连杆制作方法
CN110576561B (zh) * 2019-09-25 2022-05-27 博戈橡胶塑料(株洲)有限公司 一种带橡胶金属球铰的轻量化连杆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3577B2 (en) Vehicular hybrid suspension ar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32063B1 (ko) 볼 조인트 일체형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암 및 그 제조 방법
US8783702B2 (en) Single-axis damping joint for connecting chassis components for vehicles
KR20170099258A (ko)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KR102067684B1 (ko) 볼 조인트 및 이것을 사용한 스태빌라이저 링크
KR102084258B1 (ko) 현가 암 및 볼 조인트
KR20120012205A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부시
JP2018090245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のためのスタビライザー
JP6832206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スタビリンク
KR102187630B1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102663539B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의 부시 장치
US20210086575A1 (en) Ball joint assembly for vehicle, stabilizer link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ll joint assembly for vehicle
KR101934876B1 (ko) 볼 조인트
KR101077632B1 (ko) 차량의 콘트롤암
KR102278350B1 (ko) 차량용 스트럿 장치
US11584189B2 (en) Bush for vehicle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20120015195A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부시
KR101958433B1 (ko) 볼 조인트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현가암
KR20170119235A (ko) 하이브리드 현가암
KR101609645B1 (ko) 자동차용 부싱
KR101214654B1 (ko) 필로볼 부시 및 그 제조 방법
KR101798686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JP5860273B2 (ja)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および軸受装置
JP2019074132A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