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645B1 - 자동차용 부싱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645B1
KR101609645B1 KR1020140137600A KR20140137600A KR101609645B1 KR 101609645 B1 KR101609645 B1 KR 101609645B1 KR 1020140137600 A KR1020140137600 A KR 1020140137600A KR 20140137600 A KR20140137600 A KR 20140137600A KR 101609645 B1 KR101609645 B1 KR 101609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inforcing layer
bushing
hollow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7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진
정석훈
김찬홍
채희창
김준홍
Original Assignee
김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택진 filed Critical 김택진
Priority to KR1020140137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서브 프레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브 프레임을 자동차에 장착할 경우, 볼트 및 서브 프레임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공간을 부싱으로 보완함으로써, 자동차 운행 중의 헨들링 성능 및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휠 얼라이먼트의 틀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부싱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부싱은,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금속소재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는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섬유강화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싱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부싱{Bushing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부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브 프레임을 자동차에 장착할 경우, 볼트 및 서브 프레임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공간을 자동차용 부싱으로 보완함으로써, 자동차 운행 중의 헨들링 성능 및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휠 얼라이먼트의 틀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부싱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직접적으로 전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 및 타이어를 노면에 확실하게 접지시키기 위해, 타이어를 안정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현가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쇼크업소버, 스프링 및 서스펜션암 등이 장착되며, 이들이 차체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서브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다.
서브 프레임은 그 형태에 따라 우물자형 서브 프레임 및 에이치자형 서브 프레임이 있으며, 서브프레임이 차체에 고정되기 위해 볼트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서브 프레임이 볼트에 의해 차체에 장착됨에 있어서, 견고하게 맞물려 장착되지 못하고 이들 사이에 약간의 틈이 생겨 자동차 운행 중에 주행이 매끄럽지 못한 헨들링의 불안정 및 휠 얼라이먼트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서브 프레임 및 볼트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을 제거하고자 이들 사이에 부싱을 장착하여 자동차 운행의 안정성 및 휠 얼라이먼트가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공개번호 제 10-20100043611호와 같은 발명 등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부싱의 경우에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자동차의 중량감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쉽게 마모되어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자동차의 서브 프레임과 볼트 사이에 부싱을 부가하여, 자동차의 운행 안정성 및 휠 얼라이먼트의 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경량의 부싱을 사용함으로써 자동차에 부가되는 무게의 부담 및 마모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부싱을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721389호(발명의 명칭:다공질 윤활유 저장조를 구비한 동적 홈 베어링)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7001684호(발명의 명칭:롤링 베어링, 특히 자동차 내의 듀얼 매스 플라이휠을 위한 1열 홈-볼 베어링)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브 프레임을 자동차에 장착할 경우, 볼트 및 서브 프레임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공간을 자동차용 부싱으로 보완함으로써, 자동차 운행 중의 헨들링 성능 및 조종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휠 얼라이먼트의 틀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부싱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부싱은,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금속소재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는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섬유강화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부는 외면 상단이 돌출되어 절곡 형성된 절곡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바디부는 외면 중단이 상기 바디부의 내측 반경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내면 중단에 상기 바디부의 외측 반경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섬유강화층은, 중공을 이루는 원통형상의 금속층; 상기 금속층 외면에 와인딩되어 형성된 제 1강화층; 상기 제 1강화층 외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공간으로 이루어진 중공층; 상기 중공층 외면에 와인딩되어 형성된 제 2강화층; 및 상기 제 2강화층 외면에 금속으로 코딩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강화층은, 중공을 이루는 원통형상의 금속층; 상기 금속층 외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공간으로 이루어진 중공층; 상기 중공층 외면에 와인딩되어 형성된 제 2강화층; 상기 제 2강화층 외면에 금속으로 코팅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강화층은, 중공을 이루는 원통형상의 금속층; 상기 금속층 외면에 와인딩되어 형성된 제 1강화층; 상기 제 1강화층 외면에 와인딩되어 형성된 제 2강화층; 상기 제 2강화층 외면에 금속으로 코팅되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섬유강화층은, 중공을 이루는 원통형상의 금속층; 상기 금속층 외면에 와인딩되어 형성된 제 1강화층; 상기 제 1강화층 외면에 형성되며, 내부가 공간으로 이루어진 중공층; 상기 중공층 외면에 금속으로 코팅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현가장치 및 엔진 등이 장착되는 서브 프레임을 자동차에 장착함에 있어서, 서브 프레임과 볼트 사이에 생기는 공간을 부싱으로 보완함으로써, 운행 중에 헨들링의 성능이 개선되어 자동차의 운행 안정성이 향상시킬 수 있으며 휠 얼라이먼트의 틀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때 사용되는 부싱을 경량의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강화층을 사용함으로써,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부싱보다 강도, 비중 및 내충격성 등이 향상되어 부싱이 자동차에 부가되더라도 무게의 중량감을 감소시킬수 있으며, 쉽게 마모가 되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부싱이 사용되는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부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부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자동차용 부싱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의 단면을 위에서 바라면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부싱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부싱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부싱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부싱이 사용되는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서브 프레임(10)은 삽입부(20)로 이루어지며, 이에 자동차용 부싱(100)이 삽입됨을 확인할 수 있다.
서브 프레임(10)은 자동차의 엔진 및 구동축 전 후의 현가장치 등 자동차의 중요 부품들이 자동차 프레임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프레임(10)은 자동차의 엔진 등 중요 부품들이 자동차의 결합에 용이하도록 각 측에 삽입부(20)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삽입부(20)는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에 볼트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삽입부(20)에 볼트가 삽입됨으로써, 자동차의 중요 부품들은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으며, 자동차에 이상이 있을 경우 자동차 프레임에서 탈부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삽입부(20)에 형성된 중공부가 이에 삽입되는 볼트의 크기와 맞지 않아서 서브 프레임(10)의 삽입부(20)와 볼트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자동차용 부싱(100)을 삽입부(20)와 볼트 사이의 공간에 끼움으로써 이들 사이에 생기는 공간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부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부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자동차용 부싱(100)은 바디부(200) 및 플랜지부(300)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바디부(200)는 서브 프레임(10)의 삽입부(20)에 삽입되며, 이에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을 이루는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200)의 외면 상단은 돌출되어 절곡된 절곡부(210)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바디부(200)의 내면 중단은 바디부(200)의 외측 반경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홈(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바디부(200)는 외면 상단이 내측 반경방향으로 일부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부(2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디부(200)의 형상에 따라 삽입부(20)에 견고하게 삽입됨으로써, 삽입부(20)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홈(220)에는 구리스가 주입될 수 있고, 오링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함몰부(230)에는 오링이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절곡부(210)는 바디부(200)가 삽입부(20)에 삽입된 후에 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절곡부(210)가 없는 매끄러운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할 것이다.
또한, 홈(220)에는 구리스 등과 같은 윤활유가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윤활유를 주입하는 것은 자동차용 부싱(100)에 삽입되는 볼트의 잦은 마찰로 인해 표면이 마모되어 생길 수 있는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되는 자동차용 부싱(10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의 어떠한 기술 등으로 전용 가능한 바, 반드시 상기한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랜지부(300)는 바디부(200)의 하단이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디부(200)가 삽입부(20)와 볼트 사이의 공간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삽입부(20)의 외주면에 걸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플랜지부(300)는 알루미늄, 철 등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와 같은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자동차용 부싱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의 단면을 위에서 바라면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자동차용 부싱(100)의 바디부(200)는 섬유강화층(400)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섬유강화층(400)은 금속층(410), 제 1강화층(420), 중공층(430), 제 2강화층(440) 및 코팅층(4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금속층(410)은 플랜지부(300)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플랜지부(30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그 소재를 달리할 수 있다.
금속층(410)은 바디부(200)의 외면을 이루므로, 중공을 이루는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금속층(410)은 일반적인 성형 방법에 의해 플랜지부(300)가 함께 성형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금속층(410)의 성형 후, 플랜지부(300)를 성형하여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이들을 결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그런 다음, 금속층(410) 외면에 임의의 와인딩 각도로 제 1강화층(42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제 1강화층(420)은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렇게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소섬유를 금속층(410)에 와잉딩하고, 열경화성 수지의 경화온도에서 이를 경화시켜 제 1강화층(42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참고로, 탄소섬유는 금속보다 가볍고 금속소재에 비해 탄성과 강도가 좋다는 점에서, 제 1강화층(420)에 탄소섬유를 사용함으로써 강도, 비중, 내충격성 및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공층(43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탄소섬유 소재의 블럭을 제조하고, 이를 제 1강화층(420) 외면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공층(430)은 자동차용 부싱(100)의 바디부(200)를 따라 곡률을 이루는 2개 이상의 블럭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착제 등을 이용해 제 1강화층(420) 외면에 접착시킬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중공층(430)이 제 1강화층(420)에 접착되는 방법으로 접착제만을 이용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것은 아니며, 제 1강화층(420) 외면에 중공층(430)을 형성하기 위해 통상의 어떠한 기술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당연할 것이다.
이때, 내부의 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자동차에 부가되는 자동차용 부싱(100)에 의한 중량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 2강화층(440)은 임의의 와인딩 각도로 중공층(430) 외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제 1강화층(420)과 마찬가지로 제 2강화층(440)은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 일 실시예인 섬유강화층(400)은 금속층(410) 외면에 제 1강화층(420)을 와인딩하며, 그 위에 중공층(430)을 형성하고, 다시 제 2강화층(440)을 와인딩하게 되면 마지막으로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코팅층(450)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부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부싱은 발명의 제 1실시에 따른 자동차용 부싱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부싱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부싱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부싱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자동차용 부싱(100)의 바디부(200)를 이루고 있는 섬유강화층(400)은 금속층(410) 및 코팅층(450)을 제외한 나머지 제 1강화층(420), 중공층(430) 및 제 2강화층(440)을 사용자의 필요나 편의에 따라 다르게 형성시킴으로써, 자동차용 부싱(100)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섬유강화층(400)은 금속층(410) 및 코팅층(450) 사이에 제 2강화층(440) 및 중공층(4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섬유강화층(400)은 금속층(410) 및 코팅층(450) 사이에 제 1강화층(420) 및 제 2강화층(440)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강화층(420) 및 중공층(430)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반드시 상기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섬유강화층(400)이 금속층(410) 및 코팅층(450)을 제외한 나머지 제 1강화층(420), 중공층(430) 및 제 2강화층(440)을 통해 3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자동차용 부싱 200 : 바디부
210 : 절곡부 220 : 홈
230 : 함몰부 300 : 플랜지부
400 : 섬유강화층 410 : 금속층
420 : 제 1강화층 430 : 중공층
440 : 제 2강화층 450 : 코팅층
10 : 서브 프레임 20 : 삽입부

Claims (8)

  1. 자동차용 부싱에 있어서,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금속소재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는,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섬유강화층;
    외면 상단이 돌출되어 절곡 형성된 절곡부; 및
    외면 중단이 상기 바디부의 내측 반경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강화층은,
    중공을 이루는 원통형상의 금속층;
    상기 금속층 외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탄소섬유 소재의 블록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중공층;
    상기 중공층 외면에 와인딩되어 형성된 제 2강화층;
    상기 제 2강화층 외면에 금속으로 코팅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싱.
  2. 자동차용 부싱에 있어서,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금속소재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는,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섬유강화층;
    외면 상단이 돌출되어 절곡 형성된 절곡부; 및
    외면 중단이 상기 바디부의 내측 반경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강화층은,
    중공을 이루는 원통형상의 금속층;
    상기 금속층 외면에 와인딩되어 형성된 제 1강화층;
    상기 제 1강화층 외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탄소섬유 소재의 블록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중공층;
    상기 중공층 외면에 금속으로 코팅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싱.
  3. 자동차용 부싱에 있어서,
    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단에서 외측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금속소재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부는,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섬유강화층;
    외면 상단이 돌출되어 절곡 형성된 절곡부; 및
    외면 중단이 상기 바디부의 내측 반경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강화층은,
    중공을 이루는 원통형상의 금속층;
    상기 금속층 외면에 와인딩되어 형성된 제 1강화층;
    상기 제 1강화층 외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탄소섬유 소재의 블록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 중공층;
    상기 중공층 외면에 와인딩되어 형성된 제 2강화층; 및
    상기 제 2강화층 외면에 금속으로 코딩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내면 중단에 상기 바디부의 외측 반경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싱.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137600A 2014-10-13 2014-10-13 자동차용 부싱 KR101609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600A KR101609645B1 (ko) 2014-10-13 2014-10-13 자동차용 부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7600A KR101609645B1 (ko) 2014-10-13 2014-10-13 자동차용 부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645B1 true KR101609645B1 (ko) 2016-04-06

Family

ID=55790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7600A KR101609645B1 (ko) 2014-10-13 2014-10-13 자동차용 부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6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030A (ja) * 1999-08-19 2001-02-27 Daihatsu Motor Co Ltd トレーリングアームの支持構造
JP2009085261A (ja) * 2007-09-28 2009-04-23 Toyo Tire & Rubber Co Ltd 防振ブッシ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5030A (ja) * 1999-08-19 2001-02-27 Daihatsu Motor Co Ltd トレーリングアームの支持構造
JP2009085261A (ja) * 2007-09-28 2009-04-23 Toyo Tire & Rubber Co Ltd 防振ブッシ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173B1 (ko) 볼 조인트 및 그 제작방법
US20180141402A1 (en) Stabilizer bar bushing assembly having brackets integrated with rubbers and stabilizer bar assembly using the same
JP2018516807A (ja) ハイブリッドア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80449A (ko) 하이브리드 현가암
JP2011116340A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及び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製作方法
US10414230B2 (en) Fastening shackle for fastening a leaf spring to a vehicle body
EP2960542A1 (en) Shock absorber
JP6343535B2 (ja) 筒型防振装置
JP2011116336A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KR20120012205A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부시
KR101322426B1 (ko) 자동차용 필로우 볼 부시
JP2013112333A (ja) 自動車用ロールロッド
KR101609645B1 (ko) 자동차용 부싱
US9505285B2 (en) Anti-vibration device
KR20150118668A (ko) 트레일링암 부시
KR102417408B1 (ko) 서스펜션 부시
KR20110132744A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부시
WO2018070505A1 (ja) 防振装置
KR102283774B1 (ko) 프리로드 타입 마운트
KR102663539B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의 부시 장치
US10703154B2 (en) Control arm for wheel suspension
CN107933235B (zh) 一种多材料混合结构汽车后悬架扭转梁
JP2018070039A (ja) 車両用部材取付構造
KR20210062133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바의 부시 장치
CN110667360A (zh) 衬套、悬置件以及具有其的电动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