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408B1 - 서스펜션 부시 - Google Patents

서스펜션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408B1
KR102417408B1 KR1020160169650A KR20160169650A KR102417408B1 KR 102417408 B1 KR102417408 B1 KR 102417408B1 KR 1020160169650 A KR1020160169650 A KR 1020160169650A KR 20160169650 A KR20160169650 A KR 20160169650A KR 102417408 B1 KR102417408 B1 KR 102417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rubber
stopper
outer iron
suspension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066A (ko
Inventor
김성신
김정호
하태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4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스펜션 부시에 관한 것으로, 원통 형상의 외철(110)과, 상기 외철(110)에 비해 작은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외철(110)의 내측에 동일 중심축 상에 배치되며 상기 외철(110)의 양단에 비해 양단이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내철(120)과, 상기 내철(120)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 직경이 크며 상기 외철(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몸체부(121)와, 상기 외철(110)의 내측에서 상기 외철(110)과 상기 내철(120)의 몸체부(121) 사이에 배치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러버(130)와, 상기 러버(130)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철(120)의 양단 일부를 감싸 지지하는 스토퍼(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양단 스토퍼가 외철 내측에 위치되므로 조립성 및 이음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서스펜션 부시{SUSPENSION BUSH}
본 발명은 서스펜션 부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토퍼 타입 서스펜션 부시에 관한 것이다.
서스펜션 부시는 서스펜션 암이나 링크를 프레임에 연결할 때 노면 충격에 의해 서스펜션 지오메트리(geometry)가 틀어지는 것을 막고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선회시 차량에 부가되는 횡력을 지지하기 위해 스토퍼 타입 서스펜션 부시를 사용하며, 스토퍼 타입 서스펜션 부시는 양단 스토퍼 타입 부시와 편층 스토퍼 타입 부시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스토퍼 타입 부시(10)는 원통형의 내철(11)과 내철(11)의 외경을 감싸는 러버(13)를 포함하며, 러버(13)의 양단에 스토퍼(17)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양단 스토퍼 타입 부시(10)는 외경에 서스펜션 암(1)이 조립되고 크로스 멤버 브라켓(3)에 볼트(5) 및 너트(7)로 체결된다.
이러한 양단 스토퍼 타입 부시(10)는 스토퍼(17)가 차량 전후에 위치하여 핸들링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나, 러버(13)와 서스펜션 암(1) 사이에 스틱-슬립 노이즈가 발생하므로 이음에 매우 취약하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측 스토퍼 타입 부시(20)는 원통형의 내철(21)과 내철(21)의 외경을 감싸는 러버(23), 러버(23)의 외경을 감싸는 외철(25)을 포함하고, 외철(25)의 일단을 절곡 형성하여 서스펜션 암(1)을 지지하기 위한 스토퍼(27)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편측 스토퍼 타입 부시(20)는 스토퍼(17)가 차량 전방에만 위치하여 핸드링 측면에서는 양단 스토퍼 타입 부시(10)에 비해 불리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철(35)의 양단을 절곡 형성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외철(35) 양단이 조립시 간섭되어 부시(30)가 서스펜션 암(1)에 조립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8-032764호(1998.09.0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서스펜션 암에 조립이 용이하며 서스펜션 암과의 이음 취약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타입 서스펜션 부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통 형상의 외철과 상기 외철에 비해 작은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외철의 내측에 동일 중심축 상에 배치되며 상기 외철의 양단에 비해 양단이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내철과 상기 외철과 내철의 사이에 배치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러버를 포함한다.
상기 외철의 양단은 상기 내철을 향하여 소정부분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외철의 양단부와 상기 내철의 외면은 소정간격 이격된다.
상기 내철과 상기 러버는 상기 외철 내에서 고정돌기와 고정홈 구조로 결합된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외철 내에 위치되는 상기 내철의 몸체부 양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러버의 양단부에 요입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를 둘러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외철의 양단측 내면에는 러버층이 부착된다.
원통 형상의 외철과 상기 외철에 비해 작은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외철의 내측에 동일 중심축 상에 배치되며 상기 외철의 양단에 비해 양단이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내철과 상기 내철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 직경이 크며 상기 외철의 내측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외철의 내측에서 상기 외철과 상기 내철의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러버와 상기 러버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철의 양단 일부를 감싸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러버와 상기 몸체부의 접합면은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는 곡면 형상 또는 요철 형상으로 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외철의 양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를 둘러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외철의 양단부와 상기 내철의 외면은 소정간격 이격된다.
상기 외철의 양단부측 내측에는 상기 러버와 연결되게 러버층이 부착된다.
본 발명은 외철 구조 적용으로 서스펜션 암과 이음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양단 스토퍼가 외철 내측에 위치되므로 서스펜션 암에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단 스토퍼 구조 적용으로 핸들링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토퍼가 러버의 양단에 형성되어 내철의 양단 일부를 감싸 지지하는 형상이고, 스토퍼의 둘레에는 공간부를 형성하여 프리 표면을 확보함으로 써 외철의 이동에 연동하여 스토퍼 부분이 소정 부분 이동할 수 있으므로 서스펜션 부시의 내구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양단 스토퍼 타입 부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편측 스토퍼 타입 부시(a) 및 이를 개선하기 위한 양단 스토퍼 타입 부시(b)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스펜션 부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스펜션 부시를 서스펜션 암에 조립하고 크로스 멤브 브라켓에 조립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서스펜션 부시는 비노출형 양단 스토퍼 타입 서스펜션 부시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부시(100)는 외철(110), 내철(120), 러버(130)를 포함한다.
외철(11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축 방향으로 서스펜션 암(1)에 조립된다. 외철(110)은 서스펜션 암(1)과의 이음성을 높여 스틱-슬립 노이즈 발생을 방지한다.
외철(110)의 양단은 내철(120)을 향하여 소정부분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라운드지게 형성된 부분은 서스펜션 암(1)에 외철(11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외철(110)의 라운드진 양단부(111,113)와 내철(120)의 외면은 소정간격 이격된다. 이는 외철(110)을 서스펜션 암(1)에 조립시 외철(110) 양단부(111,113)가 일정부분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내철(120)은 외철(110)에 비해 작은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외철(110)의 내측에 동일 중심축 상에 배치되며 외철(110)의 양단에 비해 양단이 외측으로 더 돌출된다. 내철(120)은 크로스 멤버 브라켓(3)에 볼트 및 너트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내철(120)의 양단이 외철(110)의 양단에 비해 더 돌출됨에 의해 크로스 멤버 브라켓(3)에 볼트 및 너트 체결이 용이하다.
내철(120)은 내철(120)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크며 외철(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몸체부(121)를 포함한다. 내철(120)은 몸체부(121)가 러버(130)와 접합 고정된다.
러버(130)는 외철(110) 내측에서 외철(110)과 내철(120)의 몸체부(121) 사이에 배치되어 완충작용을 한다.
러버(130)는 외철(110)과 내철(120)의 몸체부(121)에 각각 접합 고정된다. 러버(130)는 고무 재질 또는 고무와 유사한 탄성이 있고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된다.
러버(130)의 양단에 내철(120)의 양단 일부를 감싸 지지하는 스토퍼(140)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스토퍼(140)는 고정돌기(141)와 고정홈(143) 구조로 될 수 있다. 외철(110) 내에 위치되는 내철(120)의 몸체부(121) 양단부에 고정돌기(141)를 돌출 형성하고, 고정돌기(141)와 대응되는 러버(130)의 양단부에 고정홈(143)을 요입 형성하는 방식으로 스토퍼(140)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스토퍼(140)는 러버(130)가 내철의 양단 일부를 감싸 지지하는 형상으로만 될 수 있다.
스토퍼(140)는 차량 전후에 위치되어 핸들링 측면에서 유리하게 한다.
스토퍼(140)는 외철(110)의 양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전후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내철(120)의 몸체부(121)의 단면 두께는 러버(130)의 단면 두께에 비해 더 두꺼울 수 있다. 내철(120)의 몸체부(121)의 단면 두께가 러버(130)의 단면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두꺼우면 크로스 멤브 브라켓(3)에 지지되는 지지력이 높아 크로스 멤브 브라켓(3)과 서스펜션 암(1)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러버(130)와 내철(120) 몸체부(121)의 접합면은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는 곡면 형상 또는 요철 형상으로 되어 러버(130)와 내철(120)의 접합력이 우수하도록 한다.
스토퍼(140)를 둘러 내철(120) 및 러버(130)로 채워지지 않은 빈 공간부(145)가 형성된다. 공간부(145)는 내구성을 고려하여 충분한 자유 표면을 확보한 것으로 외철(110)의 이동으로 스토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철(110)은 서스펜션 암(1)에 연결되어 있어 힘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외철의 이동시 스토퍼 부분이 밀리는 것을 수용하기 위해 스토퍼를 둘러 자유 표면을 확보하는 공간부(145)가 형성된다.
공간부(145)의 형상은 곡면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철(110)의 양단부측 내면에는 러버(130)와 연결되게 얇은 러버층(147)이 부착된다. 러버층(147)은 외철(110) 내측에 충격 최소화를 위해 부착되는 것이다.
참고로 외철(110)과 내철(120)은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서스펜션 부시(100)는 서스펜션 암(1)에 조립되는 선단이 외철(110), 공간부(145), 러버(130), 내철(120) 구조로 되므로 조립 과정에서 외철(110)이 공간부(145)로 소정부분 이동하여 서스펜션 암(1)에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외철(110) 구조 적용으로 서스펜션 암(1)과의 이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양단 스토퍼(140)가 외철(110) 내측에 위치되는 구조이므로 서스펜션 부시(100)를 서스펜션 암(1)에 조립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외철(110) 내측으로 위치하는 양단 스토퍼(140)가 전후력을 지지할 수 있어 핸들링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서스펜션 부시(100)는 외철(110)이 서스펜션 암(1)에 조립되고 내철(120)이 크로스 멤버 브라켓(3)에 볼트(151) 및 너트(153) 체결에 의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외철(110)은 서스펜션 암(1)에 연결되어 있어 힘의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공간부(145)가 충분한 프리 표면을 확보하여 스토퍼(140)의 소정부분 이동을 가능하게 하므로 서스펜션 부시(100)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철(110)의 양단부측 내면에도 러버(130)와 연결되게 러버층(147)이 부착되어 외철(110) 내측의 충격 최소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외철 111,113: 양단부
120: 내철 121: 몸체부
130: 러버 140: 스토퍼
141: 고정돌기 143: 고정홈
145: 공간부 147: 러버층
151: 볼트 153: 너트

Claims (13)

  1. 원통 형상의 외철;
    상기 외철에 비해 작은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외철의 내측에 동일 중심축 상에 배치되며 상기 외철의 양단에 비해 양단이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내철; 및
    상기 외철과 내철의 사이에 배치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러버;를 포함하며
    상기 러버는 상기 외철 내에서 상기 내철과 고정돌기와 고정홈 구조로 결합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부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철의 양단은 상기 내철을 향하여 소정부분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부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철의 양단부와 상기 내철의 외면은 소정간격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부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외철 내에 위치되는 상기 내철의 몸체부 양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러버의 양단부에 요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부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를 둘러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부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외철의 양단측 내면에는 러버층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부시.
  8. 원통 형상의 외철;
    상기 외철에 비해 작은 지름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외철의 내측에 동일 중심축 상에 배치되며 상기 외철의 양단에 비해 양단이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내철;
    상기 내철에서 다른 부분에 비해 직경이 크며 상기 외철의 내측에 배치되는 몸체부;
    상기 외철의 내측에서 상기 외철과 상기 내철의 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완충작용을 하는 러버; 및
    상기 러버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내철의 양단 일부를 감싸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를 둘러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부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러버와 상기 몸체부의 접합면은 오목부와 볼록부를 갖는 곡면 형상 또는 요철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부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외철의 양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부시.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철의 양단부와 상기 내철의 외면은 소정간격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부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철의 양단부측 내측에는 상기 러버와 연결되게 러버층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부시.
KR1020160169650A 2016-12-13 2016-12-13 서스펜션 부시 KR102417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50A KR102417408B1 (ko) 2016-12-13 2016-12-13 서스펜션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50A KR102417408B1 (ko) 2016-12-13 2016-12-13 서스펜션 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066A KR20180068066A (ko) 2018-06-21
KR102417408B1 true KR102417408B1 (ko) 2022-07-06

Family

ID=62806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650A KR102417408B1 (ko) 2016-12-13 2016-12-13 서스펜션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4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183A (ko) * 2019-06-10 2020-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롤마운트 장치
US11815149B2 (en) * 2021-05-14 2023-11-14 The Pullman Company Elastomeric bushing with travel limi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5261A (ja) * 2007-09-28 2009-04-23 Toyo Tire & Rubber Co Ltd 防振ブッシュ
JP2009168244A (ja) 2008-01-15 2009-07-30 Nok Corp ブッシュ
KR101511545B1 (ko) 2013-11-19 201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장치용 부시 구조
JP2016017523A (ja) * 2014-07-04 2016-02-01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ブッシュ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2492B2 (ja) 1996-10-14 2006-04-05 日立電線株式会社 架橋成形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5261A (ja) * 2007-09-28 2009-04-23 Toyo Tire & Rubber Co Ltd 防振ブッシュ
JP2009168244A (ja) 2008-01-15 2009-07-30 Nok Corp ブッシュ
KR101511545B1 (ko) 2013-11-19 2015-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장치용 부시 구조
JP2016017523A (ja) * 2014-07-04 2016-02-01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ブッシ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066A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592B1 (ko) Tm마운트의 스토퍼
US8540261B2 (en) Suspension arm attachment structure
US20070145657A1 (en) Bush
JP6343535B2 (ja) 筒型防振装置
EP2960542A1 (en) Shock absorber
KR102540392B1 (ko) Tm마운트의 스토퍼
KR102417408B1 (ko) 서스펜션 부시
WO2017056546A1 (ja) ブラケット付き筒形防振装置
JP5998162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20120012205A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부시
JP5959918B2 (ja) ブラケット及び防振連結ロッド
JP4548175B2 (ja) サスペンションロッド構造
KR101734253B1 (ko) Ctba 부시
KR102221835B1 (ko) 차량 현가장치의 리어 어퍼암
JPH1182625A (ja) スタビライザブッシュ
JP5965274B2 (ja) 車体側パネルへのストラットロッドの取付構造
JPH10252795A (ja) 防振装置
KR20210055210A (ko) 쇽업소버 마운트의 제조방법 및 쇽업소버 마운트
KR20150033479A (ko) 로어암 부시장치
CN210761001U (zh) 车轮护罩固定支架及车辆
JP6546716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2006151177A (ja) スタビライザのマウント構造
KR20180068573A (ko) 서스펜션용 인슐레이터
KR200147369Y1 (ko) 부시
JP2015121295A (ja) トルクロ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