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253B1 - Ctba 부시 - Google Patents

Ctba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4253B1
KR101734253B1 KR1020150141222A KR20150141222A KR101734253B1 KR 101734253 B1 KR101734253 B1 KR 101734253B1 KR 1020150141222 A KR1020150141222 A KR 1020150141222A KR 20150141222 A KR20150141222 A KR 20150141222A KR 101734253 B1 KR101734253 B1 KR 101734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outer pipe
ctba
press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1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333A (ko
Inventor
오윤석
박진욱
손현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20965584.6U priority Critical patent/CN205220272U/zh
Publication of KR20160087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4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4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CTBA 부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TBA 부시는 CTBA 현가장치의 양측 트레일링 암 선단에 형성된 부시 브라켓에 압입되는 CTBA 부시에 있어서,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아웃터 파이프;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부에 구비되며, 벌지구조를 갖는 인너 파이프; 및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주면과 인너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된 부시 고무를 포함하며, 상기 홀은 상기 부시 브라켓에 대하여 아웃터 파이프의 압입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며, 서로 평행한 2개의 수직변과, 상기 수직변과 연결되며,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압입반대방향에 대해 일정각도로 벌어진 사선변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CTBA 부시{BUSH FOR COUPLED TORSION BEAM AXLE}
본 발명은 CTBA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아웃터 파이프를 적용한 CTBA 부시의 압입성을 향상시키는 CTBA 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CTBA(Coupled Torsion Beam Axle) 타입의 현가장치는 차량의 후륜 휠 사이에 장착되어, 차량의 코너링과 브레이킹 시, 조정 안정성과 승차감 향상을 위한 부분이다.
이러한 CTBA 타입의 현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빔(100)과 토션 바(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토션 빔(100)의 양단에는 타이어와 휠을 장착하기 위한 캐리어(110)를 일측에 장착한 트레일링 암(120)이 고정된다.
상기 각 트레일링 암(120)의 일측과 선단은 차체의 서브 프레임(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한 쇽 업소버(130)와 부시 브라켓(140)이 구성되고, 상기 부시 브라켓(140)에 CTBA 부시(Bush for coupled torsion beam axle, 150)가 개재되며, 스프링 시트(160)를 통하여 차체와의 사이에 스프링(17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CTBA 부시(150)는 원통형의 아웃터 파이프(151)와, 상기 아웃터 파이프(151)의 내측에 배치되는 인너 파이프(153), 및 상기 아웃터 파이프(151)와 인너 파이프(153)의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15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아웃터 파이프(151)는 일단부에 플랜지부(152)를 형성하여 부시 브라켓(140)에 압입된 후, 지지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 파이프(151)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직사각형의 홀(157)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아웃터 파이프(151)의 홀(157)은 상기 CTBA 부시(150)를 부시 브라켓(140)에 용이하게 압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CTBA 부시(150)는 상기 부시 브라켓(140)에 압입할 경우, 아웃터 파이프(151)의 일측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홀(157)의 코너부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아웃터 파이프(151)의 변형을 야기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부시 브라켓에 압입할 때, 아웃터 파이프의 홀 주변에서 발생되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CTBA 부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CTBA 현가장치의 양측 트레일링 암 선단에 형성된 부시 브라켓에 압입되는 CTBA 부시에 있어서,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는 아웃터 파이프;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부에 구비되며, 벌지구조를 갖는 인너 파이프; 및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주면과 인너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된 부시 고무를 포함하며, 상기 홀은 상기 부시 브라켓에 대하여 아웃터 파이프의 압입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며, 서로 평행한 2개의 수직변과, 상기 수직변과 연결되며,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압입반대방향에 대해 일정각도로 벌어진 사선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시 브라켓에 압입된 상태로, 상기 부시 고무의 외주면 중앙부 일정구간이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부시 브라켓의 내주면에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CTBA 부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홀은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노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치홈은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압입 반대 방향에 위치한 수직변과, 상기 수직변의 양측에 형성된 사선변 사이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 파이프는 상기 홀의 각 모서리부에 노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치홈은 상기 모서리에 라운드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 파이프는 압입반대방향 단부 상의 플랜지와 외주면 사이에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부시 브라켓에 대하여 압착되는 압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은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압입 방향 측의 수직변 보다 압입 반대 방향 측의 수직변이 더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 파이프는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시 고무는 상기 부시 브라켓에 압입된 상태로, 외주면 중앙부 일정구간이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부시 브라켓의 내주면에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시 고무는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홀을 통하여 상기 부시 브라켓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중앙부 일정구간의 양측에 상기 부시 고무의 변형을 흡수하는 변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 파이프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파이프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CTBA 부시의 아웃터 파이프에 사다리꼴 형상의 홀을 적용하여, 부시 브라켓에 압입 시, 부드러운 변형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 파이프에 형성된 홀의 코너부에 노치 구조를 적용하여, 부시 브라켓에 압입 시, 아웃터 파이프의 하중이 몰리는 것을 분산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CTBA 부시의 적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TBA 부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TBA 부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TBA 부시를 부시 브라켓에 압입하는 것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TBA 부시를 부시 브라켓에 압입하는 것을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TBA 부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TBA 부시(10)가 압입되는 CTBA 타입의 현가장치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차폭방향으로 토션 빔이 구비되고, 상기 토션 빔의 양단에는 CTBA 부시(10)를 장착하기 위한 부시 브라켓이 구성되는 트레일링 암이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CTBA 현가장치의 부시 브라켓에 압입되는 CTBA 부시(10)는 아웃터 파이프(11), 인너 파이프(13), 및 부시 고무(15)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아웃터 파이프(11)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아웃터 파이프(11)는 형상의 자유도를 높여 축방향 특성을 증대시켜, 차량의 횡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플라스틱 재질은 가벼우면서도 변형이 용이하여, 차량의 중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차량의 횡강성을 향상시켜 핸들링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 파이프(11)는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홀(17)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홀(17)은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의 외주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17)은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의 외주면에 2개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홀(17)을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홀(17)은 수직변(17a)과 사선변(17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변(17a)은 압입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2개의 변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선변(17b)은 압입 반대 방향을 향하여 일정 각도로 벌어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사선변(17b)은 상기 2개의 수직변(17a)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홀(17)을 형성한다.
즉, 상기 홀(17)은 상기 수직변(17a)과 사선변(17b)이 연결되어, 압입 방향 측의 수직변(17a) 보다 압입 반대 방향 측의 수직변(17b)이 더 긴 사다리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CTBA 부시(10)를 부시 브라켓에 압입할 시, 부드러운 변형을 유도하여, 용이하게 압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상기 홀(17)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를 가진 형상이면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홀(17)은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노치홈(19)이 형성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된 노치홈(19)은 압입 반대 방향에 위치한 수직변(17a)과, 상기 수직변(17a)의 양측에 형성된 사선변(17b) 사이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노치홈(19)은 상기 홀(17)에 형성된 4개의 모서리 중, 압입 반대 방향 측에 형성된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노치홈(19)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CTBA 부시(10)를 부시 브라켓에 압입 시,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에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노치홈(19)은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노치홈(19)이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를 가지는 형태면 적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인너 파이프(13)는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인너 파이프(13)는 일측에 둘레를 따라 외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돌출부(2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20)는 벌지 구조의 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인너 파이프(13)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시 고무(15)는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의 내주면과 인너 파이프(13)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부시 고무(15)는 상기 CTBA 부시(10)를 부시 브라켓에 압입 시, 상기 아웃터 브라켓(11)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TBA 부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TBA 부시를 부시 브라켓에 압입하는 것을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TBA 부시를 부시 브라켓에 압입하는 것을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CTBA 부시(10)는 도 2를 기본으로 하면서, 아웃터 파이프(11)의 외주면에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돌기(16)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돌기(16)의 형상을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홀(17) 사이에서는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의 외주면을 따라 각각 4개의 돌기(16)가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의 홀(17)이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홀(17)과 수직하도록 폭 방향으로 3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홀(17)의 개수는 한정짓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돌기(16)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그 돌출면이 압입방향으로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원활한 압입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16)는 고무 재질을 이용함으로써, CTBA 부시(10)를 부시 브라켓에 삽입되었을 경우, 상기 고무 재질의 탄성 및 마찰력으로 인해 이탈력을 추가로 더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복수의 돌기(16)를 포함하는 상기 아웃터 파이프(11)는 외주면의 직경이 부시 브라켓의 내주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CTBA 부시(10)를 부시 브라켓에 압입 시,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에 스웨이징(Swaging) 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의 수축 발생 및 이를 통한 CTBA 부시(10)의 이탈력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 CTBA 부시(10)는 노치홈(19)이 상기 홀의 수직변(17a)과 사선변(17b) 사이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노치홈(19)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CTBA 부시(10)를 부시 브라켓에 압입 시,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에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분산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웃터 파이프(11)는 압입 반대 방향의 선단면에 플랜지(33)를 구비하여 CTBA 부시(10)를 부시 브라켓에 압입 시, 상기 플랜지(33)에 의해 CTBA 부시(10)가 더 이상 압입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 파이프(11)는 압입반대방향 선단의 플랜지(33)와 연결된 압착부(35)를 구비하여 CTBA 부시(10)를 부시 브라켓에 압입 시, 상기 부시 브라켓과의 사이에 압입력을 높인다.
이러한 압착부(35)는 압입반대방향 단부 상의 플랜지(33)와 외주면 사이에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부시 브라켓에 대하여 압착된다.
즉, 상기 아웃터 파이프(11)는 압입반대방향의 단부에 압입반대방향으로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압착부(35)를 구비하여, CTBA 부시(10)를 부시 브라켓에 압입 시, 아웃터 파이프(11)와 부시 브라켓이 단단하게 압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웃터 파이프(11)를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아웃터 파이프(11)는 압입 방향 측으로 직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부(30)를 형성한다.
이러한 경사부(30)는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의 단부에 형성되어 경사진 면이 끝나는 지점에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의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턱(31)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턱(31)은 상기 부시 브라켓에 삽입되었을 경우, CTBA 부시(10)의 이탈력을 추가로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시 고무(15)는 도 2를 기본으로 하면서, 홀(17)을 통하여 중앙부 일정구간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CTBA 부시(10)를 부시 브라켓(B)에 압입 시, 상기 홀(17)을 통하여 부시 브라켓(B)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부시 고무(15)는 CTBA 부시(10)를 부시 브라켓(B)된 상태로, 상기 부시 고무(15)의 외주면 중앙부 일정구간이 상기 홀(17)을 통하여 상기 부시 브라켓(B)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부시 브라켓(B)은 CTBA 부시(10)가 압입되는 측의 선단이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CTBA 부시(10)가 용이하게 압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시 고무(15)는 상기 홀(17)에서 수직변(17a)에 인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변형홈(37)을 형성한다.
즉, 상기 부시 고무(15)는 아웃터 파이프(11)의 홀(17)을 통하여 부시 브라켓(B)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중앙부 일정구간의 양측에 상기 부시 고무(15)의 변형을 흡수하는 변형홈(37)을 형성한다.
이는 CTBA 부시(10)를 부시 브라켓(B)에 압입 시, 부시 고무(15)가 부시 브라켓(B)에의해 일정량 압착되며, 상기 변형홈(37)을 통하여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압착되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부시 고무(15)는 차량이 주행 중, 둔턱 등을 지나면서 충격하중을 받을 때, 상기 변형홈(37)을 통하여 충격력을 흡수 할 수 있다.
이러한 부시 고무(15)는 상기 CTBA 부시(10)를 부시 브라켓(B)에 압입 시, 상기 아웃터 브라켓(11)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CTBA 부시(10)는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에 압입반대방향으로 벌어진 사다리꼴 형상의 홀(17)을 적용함으로써, 부시 브라켓(B)에 압입 시,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의 더욱 부드러운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의 사다리꼴 형상의 홀(17)은 기존의 스웨이징 공정을 대신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에 형성된 홀(17)의 모서리에 노치홈(19)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아웃터 파이프(11)에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파이프(13) 내부의 벌지 구조는 CTBA 부시(10)의 축방향 특성을 증대시켜 차량의 핸들링 성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존의 사이드 스토퍼를 제거함으로써, 부품 수를 줄이고 경량화는 물론 원가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부시 고무(15)의 변형홈(37)을 통하여 충격흡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CTBA 부시(10)는 부시 브라켓(B)에 용이하게 압입할 수 있도록, 압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CTBA 부시 11 ... 아웃터 파이프
13 ... 인너 파이프 15 ... 부시 고무
16 ... 돌기 17 ... 홀
17a ... 수직변 17b ... 사선변
19 ... 노치홈 20 ... 돌출부
30 ... 경사부 31 ... 걸림턱
33 ... 플랜지 35 ... 압착부
37 ... 홈

Claims (12)

  1. CTBA 현가장치의 양측 트레일링 암 선단에 형성된 부시 브라켓에 압입되는 CTBA 부시에 있어서,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에 노치홈이 형성되는 아웃터 파이프;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부에 구비되며, 벌지구조를 갖는 인너 파이프; 및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내주면과 인너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홀을 통하여 상기 부시 브라켓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중앙부 일정구간의 양측에 부시 고무의 변형을 흡수하는 변형홈이 형성되는 부시 고무를 포함하며,
    상기 홀은 상기 부시 브라켓에 대하여 아웃터 파이프의 압입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수직변과, 상기 수직변과 연결되어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압입반대방향에 대해 일정각도로 벌어진 사선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압입방향 측의 수직변 보다 압입반대방향 측의 수직변이 더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CTBA 부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홈은
    상기 아웃터 파이프의 압입 반대 방향에 위치한 수직변과, 상기 수직변의 양측에 형성된 사선변 사이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BA 부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파이프는
    상기 홀의 각 모서리부에 노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BA 부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홈은
    상기 모서리에 라운드 형태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BA 부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파이프는
    압입반대방향 단부 상의 플랜지와 외주면 사이에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부시 브라켓에 대하여 압착되는 압착부를 형성하는 CTBA 부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파이프는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CTBA 부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고무는
    상기 부시 브라켓에 압입된 상태로, 외주면 중앙부 일정구간이 상기 홀을 통하여 상기 부시 브라켓의 내주면에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CTBA 부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파이프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BA 부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파이프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BA 부시.
KR1020150141222A 2015-01-13 2015-10-07 Ctba 부시 KR101734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20965584.6U CN205220272U (zh) 2015-01-13 2015-11-27 双扭力梁式轴衬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6397 2015-01-13
KR1020150006397 2015-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333A KR20160087333A (ko) 2016-07-21
KR101734253B1 true KR101734253B1 (ko) 2017-05-24

Family

ID=56680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1222A KR101734253B1 (ko) 2015-01-13 2015-10-07 Ctba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42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225B1 (ko) * 2016-10-14 2022-04-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Ctba용 부시유닛
KR20210104315A (ko) 2020-02-17 2021-08-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부시 구조 및 부시 장착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091B1 (ko) * 2003-03-07 2005-10-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후륜 현가장치용 부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091B1 (ko) * 2003-03-07 2005-10-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후륜 현가장치용 부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333A (ko)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640B2 (en) Bush
KR101734253B1 (ko) Ctba 부시
US9579946B2 (en) Trailing arm bush for coupled torsion beam axle
CN106114107B (zh) 用于车辆的耦接扭力梁轴
KR102383225B1 (ko) Ctba용 부시유닛
KR20120015196A (ko) 서스펜션용 부시
KR20160050435A (ko)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
CN105564174B (zh) 具有压配合连接的球头节的横连杆
CN205220272U (zh) 双扭力梁式轴衬套
KR20170070726A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용 부시유닛
KR101364981B1 (ko) 차량용 토션 빔과 이를 이용한 차량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KR100519091B1 (ko) 후륜 현가장치용 부쉬
JP6348766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JP5622467B2 (ja) 防振ブッシュ及び防振ブッシュ組付体の製造方法
US11577569B2 (en) Bushing snubber bracket
JP2018091463A (ja) 防振ブッシュ
KR102418628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100010746U (ko) 스테빌라이져 바아의 설치를 위한 스테빌라이져링크
JP2008240987A (ja) 防振装置
JP2008155874A (ja) トーコレクトブッシュ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24724B1 (ko) 쇼크 업소버용 브래킷 및 제작 방법
JP5472197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のブッシュ装置
KR100428132B1 (ko)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
KR100690365B1 (ko) 맥퍼슨 스트러트 베어링
KR20120121238A (ko) 쇼크 업소버용 브래킷 및 제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